KR20120056977A - 차량 탑재형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 생성된 주변 영상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탑재형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 생성된 주변 영상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6977A
KR20120056977A KR1020100118488A KR20100118488A KR20120056977A KR 20120056977 A KR20120056977 A KR 20120056977A KR 1020100118488 A KR1020100118488 A KR 1020100118488A KR 20100118488 A KR20100118488 A KR 20100118488A KR 20120056977 A KR20120056977 A KR 20120056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mage
collision
black box
surrounding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8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영인
서용덕
송영기
백원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미지넥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미지넥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미지넥스트
Priority to KR1020100118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6977A/ko
Publication of KR20120056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69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9/00Recording measured values
    • G01D9/005Solid-state data logg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20Monitoring the location of vehicles belonging to a group, e.g. fleet of vehicles, countable or determined number of vehicles
    • G08G1/205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monitored vehicles as destination, e.g. accidents, stolen, rent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 B60Y2400/3042Collision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탑재형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 생성된 주변 영상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복수 개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차량 주변을 원본 영상, 탑뷰 영상 및 3D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처리하여 차량 주변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주변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차량의 충돌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충돌이 감지되면, 상기 충돌이 감지된 시간을 포함하는 소정 시간 구간 동안에 생성된 주변 영상을 충돌영상으로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량의 충돌시 주변 영상 중 충돌시점을 포함하는 소정 시간의 충돌영상을 추출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관에 차량 위치정보와 함께 제공함으로써, 교통사고의 증거를 확보하여 가해자와 피해자를 정확히 가릴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차량 충돌시 신속하고 정확하게 운전자와 탑승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여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탑재형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 생성된 주변 영상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Vehicle Loading type Blackbox System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by using Surrounding Image produced from the System}
본 발명은, 차량 탑재형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 생성된 주변 영상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주변 영상을 이용하여 교통사고의 증거를 확보하고, 신속하고 정확하게 운전자와 탑승자에게 사고처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탑재형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 생성된 주변 영상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1 가구 1 자동차 시대라고 할 정도로 자동차의 보급이 상용화됨에 따라, 차량의 대수가 크게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운전시 피로, 부주의, 운전미숙, 졸음 운전 등으로 인해 차량의 교통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차량의 사고시, 가해자와 피해자가 발생하게 되며, 법에 정해진 중과실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보험회사에서 가해자를 대신하여 피해자의 상해와 피해를 보상해주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 경우, 가해자가 교통사고를 발생시킨 책임을 인정해야 하나, 목격자가 없는 경우 일부 가해자가 자신의 잘못을 시인하지 아니하거나, 오히려 피해자에게 잘못을 전가하는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 이 경우, 경찰에서 교통사고 현장에서 다양한 조사를 벌여 가해자와 피해자를 가리게 되는데, 가해자가 경찰의 판단을 부정할 경우에는 재판까지 가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교통사고 처리 과정에서 피해자는 사고로 인한 신체적 고통과, 오랜 기간에 걸친 조사와 재판의 진행에 따른 시간적 정신적 고통을 받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차량의 전방과 후방에 카메라를 설치한 경우, 카메라에 저장된 영상을 교통사고의 증거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단순히 차량의 전방과 후방을 촬영한 영상만으로는 교통사고의 전말을 정확히 알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차량의 주변 전 영역에 걸쳐 촬영된 영상을 증거로 사용하여 교통사고의 가해자와 피해자를 정확히 가릴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주변 전 영역을 촬영하여 처리한 주변 영상을 차량의 사고 발생시 증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탑재형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 생성된 주변 영상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사고시 주변 영상과 차량의 위치를 운전자가 사고처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기관으로 자동 전송하여 운전자에게 신속하고 정확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탑재형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 생성된 주변 영상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탑재형 블랙박스 시스템은, 차량에 장착되며 차량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복수 개의 카메라; 상기 복수 개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차량 주변을 원본 영상, 탑뷰 영상 및 3D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처리하여 차량 주변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처리 장치; 상기 영상 처리 장치에서 생성된 차량 주변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카메라는, 상기 차량 지붕의 전방, 후방, 양 측방에 설치될 수 있다.
차량에 장착되며 차량의 충돌 여부를 감지하는 충돌감지센서; 상기 충돌감지센서를 통해 차량의 충돌이 감지되면, 상기 충돌이 감지된 시간을 포함하는 소정 시간 구간 동안에 생성된 주변 영상을 충돌영상으로 추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돌영상을 미리 정해진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차량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GPS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돌영상과 함께 상기 차량의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버와 상기 제어부 중 하나는 상기 차량의 충돌영상과 위치정보를 운전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관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주변 영상과 상기 차량의 DTG(Digital Tacho Graph)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원본 영상과 DTG 데이터를 제공받아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형태로 가공하여 보여주는 뷰어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주변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차량 주변에 이동 물체를 감지하고, 상기 이동 물체가 감지되면, 상기 이동 물체가 감지된 시간을 포함하는 소정 시간 구간 동안에 생성된 차량 주변 영상을 움직임 감지 영상으로 추출하여 상기 저장부에 영구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탑재형 블랙박스 시스템에서 생성된 주변 영상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은, 복수 개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차량 주변을 원본 영상, 탑뷰 영상 및 3D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처리하여 차량 주변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주변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충돌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충돌이 감지되면, 상기 충돌이 감지된 시간을 포함하는 소정 시간 구간 동안에 촬영된 주변 영상을 충돌영상으로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GPS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차량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돌영상과 함께 상기 차량의 위치정보를 미리 설정된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에서 상기 차량의 충돌영상과 위치정보를 운전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관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차량 탑재형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 생성된 주변 영상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은, 차량의 주변 영상을 원본 영상, 탑뷰 영상, 3D 영상으로 생성하고, 차량의 충돌시 주변 영상 중 충돌시점을 포함하는 소정 시간의 충돌영상을 추출한다. 그런 다음, 운전자 및 탑승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관에 충돌영상과 차량의 위치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교통사고의 증거를 확보하여 가해자와 피해자를 정확히 가릴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차량 충돌시 신속하고 정확하게 운전자와 탑승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여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차량 충돌 시 외에도 차량 주변에 움직임 즉 이동 물체가 감지되면 예비적 차원에서 움직임 감지 영상을 저장하고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제공함으로써 추후 차량 주변 또는 차량에 사고가 발생했을 때 원인을 쉽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차량 주변 영상과 함께 DTG 데이터를 저장하고 추후 사고 분석에 이용함으로써 사고 원인 분석에 대한 정확도를 매우 높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재형 블랙박스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블럭도,
도 2은 도 1의 블랙박스 시스템을 탑재한 차량의 상부에서 본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영상 처리 장치의 상세한 구성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재형 블랙박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주변 영상을 획득하고 차량 충돌시 외부로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재형 블랙박스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블럭도이고, 도 2은 도 1의 블랙박스 시스템을 탑재한 차량의 상부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영상 처리 장치의 상세한 구성블럭도이다.
본 차량 탑재형 블랙박스 시스템은, 차량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여 다양한 시점의 영상으로 출력하고, 차량 충돌 발생시 영상과 함께 차량의 위치정보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차량 탑재형 블랙박스 시스템은, 복수의 카메라(10), 충돌감지센서(50), 영상 처리 장치(20), 저장부(40), 통신부(70), GPS 모듈(60), 제어부(30), 전원부(80), 경고부(9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차량에서 촬영된 영상을 포함하는 정보를 외부의 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카메라(10)는 각각 차량의 전방, 후방, 양 측방에 설치되며 광각 렌즈 또는 어안 렌즈와 같이 화각이 큰 렌즈를 사용할 수 있고, 핀홀 카메라(10)도 사용할 수 있다. 각 카메라(10)는 170°이상의 넓은 화각을 가지는 렌즈를 통해 3차원의 피사체를 2차원의 영상으로 촬상하며, 촬상된 영상은 각각 4개의 채널(ch1, ch2, ch3, ch4)을 통해 영상 처리 장치(20)로 전달된다.
한편, 각 카메라(10)가 설치되는 위치 및 촬영각도는 카메라(10)의 촬영가능범위, 차량의 크기, 원하는 촬영범위 등의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0)의 촬영가능범위가 넓은 경우에는 카메라(10)의 설치간격을 넓게 할 수 있고, 차량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카메라(10)의 설치개수가 증가할 수 있다. 만약, 차량 주변을 따라 촬영되는 범위를 넓히고자 하는 경우에는 카메라(10)의 설치위치를 차량 상부에 배치하거나, 차량의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카메라(1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카메라(10)는 차량의 전방, 후방, 측방, 사이드미러 영역 등에 장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카메라(10)는 차량 지붕에도 장착될 수 있으며, 차량 지붕에 장착되는 경우, 차량 지붕의 전방, 후방, 양 측방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각 카메라(10)에서 촬영된 차량 주변에 대한 영상은 실시간으로 영상 처리 장치(20)로 전달된다.
영상 처리 장치(20)는, 각 카메라(1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입력받아 영상을 보정하고, 각 카메라(1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미리 설정된 형태로 출력한다. 예를 들면, 탑뷰 영상, 원본 영상, 3D 영상으로 변환한다. 탑뷰 영상, 3D 영상의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가상 시점을 설정하거나 변경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여기서, 탑뷰 영상은 차량의 상부에서 내려다본 상태의 영상으로서, 영상 처리 장치(20)에서는 각 카메라(10)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탑뷰 영상을 구성한다. 원본 영상은 각 카메라(10)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웃하는 카메라(10)에 의해 중첩되어 촬영된 부분을 제거하는 등의 작업을 거쳐 구성된다. 3D 영상은 각 카메라(10)에서 촬영된 영상을 3D로 재구성한 영상을 말하며, 영상 처리 장치(20)는 각 카메라(10)에서 촬영된 영상을 조합하여 3D 영상을 구성한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원본 영상은 카메라(10)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대해 왜곡 보정만을 수행하거나 별도의 처리를 하지 않고 바로 저장부(40)에 저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원본 영상은 탑뷰 영상 또는 3D 영상과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처리 장치(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입력부(21), 영상 처리부(23), 영상 합성부(25)를 포함한다.
영상 입력부(21)는 복수의 카메라(1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각각의 채널(ch1, ch2, ch3, ch4)을 통해 수신한다.
영상 처리부(23)는 영상 입력부(21)로부터 수신된 촬상 영상을 룩업 테이블(Look up Table)(27)을 통해 영상 처리하여, 각각의 촬상 영상으로부터 보정 영상을 생성 출력하도록 한다. 여기서, 룩업 테이블(27)은 왜곡 보정 알고리즘, 아핀(Affine) 변환 알고리즘, 시점 변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처리부(23)에서 영상 처리에 사용되는 룩업 테이블(27)은 최종 출력되는 영상의 시점에 따라 원본 영상용 룩업 테이블(27a), 탑뷰 영상용 룩업 테이블(27b), 3D 영상용 룩업테이블(27c)로 나누어진다. 이에 따라, 영상 처리부(23)에서는 미리 운전자 또는 설계자에 의해 원본, 탑뷰, 3D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시점에 부합되는 룩업 테이블(27)을 선택하여 보정 영상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영상 합성부(25)는 영상 처리부(23)를 통해 보정된 보정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보정 영상을 겹치도록 하는 오버레이(overlay) 방식으로 합성 처리하여 탑뷰 영상 또는 3D 영상을 생성한다. 영상 합성부(25)는 마스크 영상을 이용하여 오버레이 합성 처리를 하는데, 마스크 영상은 각 채널(ch1, ch2, ch3, ch4)별 영역 정보와 보정 영상을 구성하는 픽셀들에 대한 가중치(weight) 정보를 가진다.
영상 합성부(25)는 보정 영상들 사이에 중복되는 영역에 포함되는 픽셀들의 가중치를 조절하여 중복 영역이 자연스럽게 표시되도록 한다. 즉, 영상 합성부(25)는 4개 채널의 보정 영상을 오버레이 방식으로 합성 처리하여 차량의 주변 360°를 한눈에 볼 수 있는 탑뷰 영상 또는 3D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저장부(40)는 영상 처리 장치(20)에서 탑뷰 영상, 원본 영상, 3D 영상 중 하나로 생성된 주변 영상을 저장한다. 한편 원본 영상은 영상 합성부(25)를 거치지 않고 바로 저장부(4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저장부(40)의 용량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저장부(40)에서는 영상 처리 장치(20)에서 생성된 주변 영상을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만큼만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40)는 1시간 내지 24시간의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시간 이전에 저장부(40)에 저장되었던 주변 영상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순차적으로 삭제되고, 저장부(40)에서 저장할 수 있는 용량에 포함되는 시간만큼의 주변 영상만 저장부(40)에 남게 된다.
한편 저장부(40)에 저장된 원본 영상은 본 차량 탑재형 블랙박스 시스템에 연결되거나 별도로 구현되는 뷰어 장치(도시하지 않음) 상에서 사용자 선택에 따른 모드(에컨대 차량 전후좌우 4채널의 원본 영상 모드, 2D/3D 모드, 탑뷰 모드 등)로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뷰어 장치는 원본 영상을 해당 모드로 변환하여 보여주기 위한 이미지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뷰어 장치는 차량 주변 영상뿐만 아니라 GPS 정보, DTG 데이터도 함께 가공하여 보여줌으로써 사용자가 사고 현장 상황을 쉽고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한다.
충돌감지센서(50)는 차량의 외부에 주로 충돌이 일어나는 위치에 복수 개가 장착되며, 충돌감지센서(50)에서 감지된 차량의 충돌 여부는 제어부(30)로 전달된다.
GPS 모듈(60)은, 위성과의 통신을 통해 차량의 위치를 판단하여 차량의 위치정보를 생성한다. GPS 모듈(60)에서 생성된 차량의 위치정보는 제어부(30)로 전달 된다. 제어부(30)는 차량 위치 정보와 차량 주변 영상을 함께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차량의 위치를 운전자의 휴대 단말이나 별도의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차량에 내비게이션이 장착되어 있는 경우, 별도의 GPS 모듈(60)을 구성하지 아니하고 내비게이션과 연결하여 내비게이션에서 감지된 위치를 차량의 위치정보로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통신부(70)는, 통신망의 통신방식에 부합되도록 통신을 지원함으로써, 블랙박스 시스템이 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서버와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통신망은 구내 정보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도시권 통신망(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인터넷, 3G, WiFi, WIBRO 등을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고, 유선과 무선을 가리지 않으며, 어떠한 통신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상관없다.
통신부(70)는 통신망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통신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제어부(30)에서는 충돌감지센서(50)로부터의 충돌이 감지되면, 충돌이 일어난 시간을 포함하는 소정 시간 동안의 주변 영상을 저장부(40)로부터 인출한 다음, 충돌영상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때, 충돌영상이 추출되는 시간 간격은, 충돌시점을 포함하는 충돌 시점 전후로 10분 내지 1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설계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얼마든지 그 시간 간격은 변경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렇게 충돌영상을 추출한 다음, 제어부(30)는 통신부(70)를 동작시켜 분류된 충돌영상을 미리 설정된 외부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는 충돌영상과 함께 GPS 모듈(60)에서 실시간으로 감지된 차량의 위치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는 각 차량의 블랙박스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된 충돌영상을 저장하는 블랙박스 서버(100)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30)는 블랙박스 서버(100) 이외에 사고시 운전자가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의 휴대 단말이나 기관의 서버로 충돌영상과 차량의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기관으로는 보험사, 소방서, 응급구조기관 등을 들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블랙박스 서버(100)에서 기관의 서버로 충돌영상과 차량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제어부(30) 또는 블랙박스 서버(100)가 기관 서버로 충돌영상과 차량의 위치정보를 제공할 때, 차량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가장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는 기관을 선정하고, 선정된 기관의 서버로 충돌영상과 차량의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렇게 GPS 모듈(60)에서 생성된 차량의 위치정보가 차량의 충돌영상과 함께 서버로 제공됨에 따라, 차량의 사고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30)는 영상 입력부(21) 또는 영상 처리부(23)에서 전달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 주변에 이동 물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이동 물제가 감지되면 충격 감지 센서(50)에 의해 충돌이 감지된 것과 같이 움직임이 감지된 시점 전후로 소정 시간 동안의 영상(이하 움직임 감지 영상)을 저장부(80)에서 인출하여 외부의 서버, 휴대 단말로 전송하거나 저장부(80)에 별도로 저장할 수 있다. 차량 주변에서 이동 물체가 감지되는 경우는 충돌 감지보다는 차량에 미치는 영향이 작을 수 있으므로 움직임 감지 영상은 외부로 전송되거나 저장되는 시간이 수 초 내지 수십 초 정도로 짧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 그 시간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제어부(30)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110)에서 현재 차량 주변 영상 전송 요청을 받으면 충돌 감지 또는 움직임 감지 여부와 관계없이 차량 주변 영상을 전송해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휴대 단말(110)을 통해 음성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면 경고부(90)를 통해 음성 경고 메시지를 출력한다.
이를 위해 경고부(90)는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음성 경고 메시지 외에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30)는 충돌영상 또는 움직임 감지 영상을 기존의 주변 영상과 분류하여 저장부(40)에 별도로 영구 저장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영구 저장이라 함은 사용자에 의해 삭제 명령이 있기 전까지는 뒤에 녹화되는 다른 영상을 위해 자동으로 삭제되지는 않도록 저장한 것을 의미한다.
전원부(80)는 차량으로부터 본 차량 탑재형 블랙박스 시스템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과 별도로 배터리를 포함하여 차량에서 전원 공급이 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본 차량 탑재형 블랙박스 시스템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본 차량 탑재형 블랙박스 시스템의 제어부(30)는 차량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 도시하지 않음) 또는 차량에 장착된 각종 센서(도시하지 않음)로부터 획득된 가속페달 압력, 브레이크 페달 압력, 차량 속도, 휠 정보, 엔진 회전 속도 등 차량 운행과 관련된 정보인 DTG(Digital Tacho Graph) 데이터를 차량 주변 영상과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 차량 주변 영상, 차량 위치 정보와 함께 DTG 데이터를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차량 탑재형 블랙박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주변 영상을 획득하고 차량 충돌시 외부로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에 장착된 각 카메라(10)에서는 실시간으로 차량 주변을 촬영하고(S400), 촬영된 영상은 각 채널을 통해 영상 처리 장치(20)로 전달된다. 영상 처리 장치(20)에서는 각 카메라(10)로부터의 영상을 보정한 다음, 미리 선택된 시점에 부합되는 룩업 테이블(27)을 선택하여 영상을 처리하고, 이렇게 처리된 복수의 영상을 합성하여 주변 영상을 생성한다(S410). 생성된 주변 영상은 저장부(40)에 저장된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영상 처리 장치(20)는 촬영된 영상에 대해 왜곡 보정만을 수행하고 저장부(40)에 저장시킬 수도 있다.
차량이 운행하는 동안, GPS 모듈(60)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위성과 통신하여 차량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위치정보는 제어부(30)로 제공된다(S405).
이렇게 차량 주변의 영상이 촬영되어 주변 영상이 생성되어 저장부(40)에 저장되는 동안, 제어부(30)는 충돌감지센서(50)로부터의 감지에 따라 차량의 충돌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20). 차량이 충돌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S420-Y), 제어부(30)는 충돌시점을 포함하는 소정 시간 동안의 주변 영상을 추출하여 충돌영상으로 분류한다(S430). 그런 다음, 제어부(30)는 충돌영상과 함께 차량의 위치정보를 블랙박스 서버(100)로 전송한다(S440). 또한, 제어부(30)는 충돌영상을 저장부(40)에 별도로 저장한다.
블랙박스 서버(100)는 휴대 단말(110), 보험사, 소방서, 응급구조기관 등의 기관 중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는 기관들의 서버(120,130,140)에 충돌영상과 차량의 위치정보를 전송하여 출동을 요청한다(S450).
제어부(30)에서 직접 기관들의 서버(120,130,140)에 충돌영상과 차량의 위치정보를 전송하여 출동을 요청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단계(S420)에서 충돌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제어부(30)가 주변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 주변에 이동 물체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는 충돌 여부는 감지하지 않고 이동 물체가 있는지 여부만 감시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그리고 단계(S420)에서 차량 주변에 이동 물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30)는 이동 물체 감지 시점을 포함하는 소정 시간 동안의 주변 영상을 추출하여 움직임 감지 영상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는 움직임 감지 영상과 함께 차량의 위치정보를 블랙박스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움직임 감지 영상을 저장부(40)에 별도로 저장한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30)는 DTG 데이터, GPS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충돌 영상 또는 움직임 감지 영상과 대응시켜 저장부(40)에 저장하거나 소정의 서버 또는 휴대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블랙박스 시스템에서는 카메라(10)에서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여 원본 영상, 탑뷰 영상, 3D 영상 중 하나의 시점(視點)을 갖는 주변 영상을 생성한다. 그리고 차량의 충돌시 충돌시점(時點)을 포함하는 소정 시간동안 주변 영상을 추출하여 충돌영상으로 분류한다. 그런 다음, 운전자 및 탑승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관에 충돌영상과 차량의 위치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교통사고의 증거를 확보하여 가해자와 피해자를 정확히 가릴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차량 충돌시 신속하고 정확하게 운전자와 탑승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여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차량 충돌 시 외에도 차량 주변에 움직임 즉 이동 물체가 감지되면 예비적 차원에서 움직임 감지 영상을 저장하고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제공함으로써 추후 차량 주변 또는 차량에 사고가 발생했을 때 원인을 쉽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차량 주변 영상과 함께 DTG 데이터를 저장하고 추후 사고 분석에 이용함으로써 사고 원인 분석에 대한 정확도를 매우 높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카메라 20 : 영상 처리 장치
21 : 영상 입력부 23 : 영상 처리부
25 : 영상 합성부 27 : 룩업 테이블
30 : 제어부 50 : 충돌감지센서
60 : GPS 모듈 100 : 블랙박스 서버

Claims (18)

  1. 차량에 장착되며 차량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복수 개의 카메라;
    상기 복수 개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차량 주변을 원본 영상, 탑뷰 영상 및 3D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처리하여 차량 주변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처리 장치;
    상기 영상 처리 장치에서 생성된 차량 주변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영상 촬영을 위한 차량 탑재형 블랙박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카메라는, 상기 차량 지붕의 전방, 후방, 양 측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영상 촬영을 위한 차량 탑재형 블랙박스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차량에 장착되며 차량의 충돌 여부를 감지하는 충돌감지센서;
    상기 충돌감지센서를 통해 차량의 충돌이 감지되면, 상기 충돌이 감지된 시간을 포함하는 소정 시간 구간 동안에 생성된 주변 영상을 충돌영상으로 추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영상 촬영을 위한 차량 탑재형 블랙박스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영상을 미리 정해진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영상 촬영을 위한 차량 탑재형 블랙박스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차량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GPS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영상 촬영을 위한 차량 탑재형 블랙박스 시스템.
  6. 제 3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돌영상과 함께 상기 차량의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영상 촬영을 위한 차량 탑재형 블랙박스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차량의 충돌영상과 위치정보를 운전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관의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영상 촬영을 위한 차량 탑재형 블랙박스 시스템.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주변 영상과 상기 차량의 DTG(Digital Tacho Graph)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영상 촬영을 위한 차량 탑재형 블랙박스 시스템.
  9. 제 8 항에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원본 영상과 DTG 데이터를 제공받아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형태로 가공하여 보여주는 뷰어 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영상 촬영을 위한 차량 탑재형 블랙박스 시스템.
  10. 제 1 항에서,
    상기 차량 주변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차량 주변에 이동 물체를 감지하고, 상기 이동 물체가 감지되면, 상기 이동 물체가 감지된 시간을 포함하는 소정 시간 구간 동안에 생성된 차량 주변 영상을 움직임 감지 영상으로 추출하여 상기 저장부에 영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영상 촬영을 위한 차량 탑재형 블랙박스 시스템.
  11. 복수 개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차량 주변을 원본 영상, 탑뷰 영상 및 3D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처리하여 차량 주변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주변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형 블랙박스 시스템에서 생성된 주변 영상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차량의 충돌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충돌이 감지되면, 상기 충돌이 감지된 시간을 포함하는 소정 시간 구간 동안에 생성된 주변 영상을 충돌영상으로 추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형 블랙박스 시스템에서 생성된 주변 영상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GPS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차량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형 블랙박스 시스템에서 생성된 주변 영상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영상과 함께 상기 차량의 위치정보를 미리 설정된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형 블랙박스 시스템에서 생성된 주변 영상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차량의 충돌영상과 위치정보를 운전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관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형 블랙박스 시스템에서 생성된 주변 영상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주변 영상과 상기 차량의 DTG(Digital Tacho Graph) 데이터를 저장부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형 블랙박스 시스템에서 생성된 주변 영상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17. 제 16 항에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원본 영상과 DTG 데이터를 제공받아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형태로 가공하여 보여주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형 블랙박스 시스템에서 생성된 주변 영상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18. 제 11 항에서,
    상기 차량 주변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차량 주변에 이동 물체를 감지하고, 상기 이동 물체가 감지되면, 상기 이동 물체가 감지된 시간을 포함하는 소정 시간 구간 동안에 생성된 차량 주변 영상을 움직임 감지 영상으로 추출하여 저장부에 영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형 블랙박스 시스템에서 생성된 주변 영상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KR1020100118488A 2010-11-26 2010-11-26 차량 탑재형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 생성된 주변 영상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KR201200569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488A KR20120056977A (ko) 2010-11-26 2010-11-26 차량 탑재형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 생성된 주변 영상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488A KR20120056977A (ko) 2010-11-26 2010-11-26 차량 탑재형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 생성된 주변 영상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977A true KR20120056977A (ko) 2012-06-05

Family

ID=46608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8488A KR20120056977A (ko) 2010-11-26 2010-11-26 차량 탑재형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 생성된 주변 영상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5697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2476A (ko) * 2013-10-11 2015-04-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을 이용한 차량용 웰컴 시스템과 그 동작 방법
KR20150130717A (ko) * 2014-05-14 2015-11-24 주식회사 일리시스 주차시 차량용 블랙박스의 이벤트 감지시스템 및 그 이벤트 감지방법
KR20170141778A (ko) * 2015-05-29 2017-12-26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정보 제시 시스템
KR20180024757A (ko) * 2016-08-31 2018-03-08 아진산업(주) 다시점 블랙박스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도로교통정보 제공시스템
US20210334883A1 (en) * 2017-10-16 2021-10-28 Allstate Insurance Company Geotagging Location Data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2476A (ko) * 2013-10-11 2015-04-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을 이용한 차량용 웰컴 시스템과 그 동작 방법
KR20150130717A (ko) * 2014-05-14 2015-11-24 주식회사 일리시스 주차시 차량용 블랙박스의 이벤트 감지시스템 및 그 이벤트 감지방법
KR20170141778A (ko) * 2015-05-29 2017-12-26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정보 제시 시스템
KR20180024757A (ko) * 2016-08-31 2018-03-08 아진산업(주) 다시점 블랙박스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도로교통정보 제공시스템
US20210334883A1 (en) * 2017-10-16 2021-10-28 Allstate Insurance Company Geotagging Location Dat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04482B1 (ja) 事故情報収集システムおよび事故情報収集方法
US8379924B2 (en) Real time environment model generation system
KR101198206B1 (ko) 휴대 단말을 이용한 차량 주변 영상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5262976B2 (ja) 車載表示装置
KR20100030566A (ko) 지능형 운전 보조 시스템들
JPWO2007080921A1 (ja) 情報記録システム、情報記録装置、情報記録方法及び情報収集プログラム
US10232813B2 (en) Method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during an emergency call
EP2107504A1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a real time environment model for vehicles
CN106920293A (zh) 车辆事故自动记录分析方法
JP2012098105A (ja) 事故発生場所周辺の映像収集システム
KR20120056977A (ko) 차량 탑재형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 생성된 주변 영상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JP4214841B2 (ja) 周囲状況認識システム
JP2001304876A (ja) 車載カメラによる画像記録・再生方式
CN106056698B (zh) 机动车及状态记录方法和系统、图像生成装置、控制装置
JPWO2002056275A1 (ja) 運転情報処理装置
KR20130015626A (ko) Cctv 주차장 차량충돌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1391909B1 (ko)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데이터와 gis 연동 서비스 방법
JP5584561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画像表示方法
KR20130051691A (ko) 차량충돌 통보 시스템 및 방법
KR20110129726A (ko) 차량용 블랙박스 및 이를 이용한 차량 관리방법
KR101992652B1 (ko) 번호판 인식을 통한 차량 인식 방법 및 장치
WO2013125301A1 (ja) 監視システム
KR101687656B1 (ko) 단말을 이용한 차량용 블랙 박스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20150047900A (ko) 사고 예방과 상해치 경감을 위한 영상 기반 능동 제어 시스템
KR101395803B1 (ko) 차량 블랙박스를 이용한 차량단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