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4757A - 다시점 블랙박스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도로교통정보 제공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시점 블랙박스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도로교통정보 제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4757A
KR20180024757A KR1020160111573A KR20160111573A KR20180024757A KR 20180024757 A KR20180024757 A KR 20180024757A KR 1020160111573 A KR1020160111573 A KR 1020160111573A KR 20160111573 A KR20160111573 A KR 20160111573A KR 20180024757 A KR20180024757 A KR 20180024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ck box
information
vehicle
image
broker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1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8598B1 (ko
Inventor
김병익
안찬호
박연호
Original Assignee
아진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진산업(주) filed Critical 아진산업(주)
Priority to KR1020160111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8598B1/ko
Publication of KR20180024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8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8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37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8G1/0145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ctive traffic flow contr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5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etermining speed or overspeed
    • H04N13/0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다시점 블랙박스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도로교통정보 제공시스템은, 차량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블랙박스 모듈(100); 상기 블랙박스 모듈(100)과 연결되어 실시간으로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는 브로커 서버(200); 상기 블랙박스 모듈(100)과 연결되어 고정밀 위치정보 파악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 확인부(300); 및 상기 브로커 서버(300)에서 전송받은 정보 중 특징점을 통해 상황을 재구성하는 3D 재구성 모듈(400);을 포함하고, 상기 브로커 서버(200)는 단일 차량 또는 공간적으로 인접한 다수의 차량에서 상기 블랙박스 모듈(100)을 통해 촬영된 주변 영상들을 수집한 후에 정합하고, 상기 3D 재구성 모듈(400)은 상기 위치 확인부(300)에서 수신된 차량의 위치 정보, 속도 정보 및 상기 블랙박스 모듈(100)에서 수신된 차량의 번호판 정보 등을 통해 도로교통 상황의 3차원 영상기반 모델링 및 영상기반 렌더링을 거쳐 도로 상황을 3차원으로 복원하고, 이를 이용하여 도로교통 정보를 파악하게 한다.

Description

다시점 블랙박스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도로교통정보 제공시스템{Traffic information offering system using multi view blackbox camera image}
본 발명은 다시점 블랙박스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도로교통정보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단일 차량 또는 공간적으로 인접한 다수의 차량에서 블랙박스를 통해 촬영된 주변 영상들을 브로커 서버를 통해 수집한 후에 정합하고, 브로커 서버 상의 GPS 정보 및 차량의 속도 정보 등을 이용하여 3차원 영상기반 모델링 및 영상기반 렌더링을 거쳐 확인을 요하는 지선 도로의 교통정보 상황을 제공하는 시스템 기술이다.
산업 및 경제의 발달은 사회, 경제, 문화 활동의 증가를 유발하게 되며, 이에 따른 자동차 대수와 지역간 승객 및 화물 통행의 수요를 증가시킬 뿐 아니라, 통행의 양식도 다양하게 변화시키게 된다. 그러나, 도로 용량의 확충과 도로의 다양화만으로는 교통수요의 증가와 양식의 변화에 충분히 부응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이로 인한 대중의 불만이 커지게 되고, 대기오염, 교통사고, 차량 지체에 따른 경제적 손실도 계속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자, 정보, 통신 등 다른 분야의 기술을 이용하여 도로 이용의 효율성을 대폭 향상시킴으로써 교통수요와 도로공급의 격차를 경제적으로 좁혀 나가는 방법이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해법을 지능형 도로 교통 시스템(IT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이라 부르게 되었으며, 이러한 기술을 이용하여 교통 제어, 교통 정보안내, 차량 운영, 대중 및 화물 교통에 이르는 총체적 개선이 이루어질 전망이다.
한편, 최근에는 교통수요의 증가에 따른 분쟁을 예방 및 분석하는 도구로서 블랙박스의 보급률이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는 추세인데, 이는 예기치 않은 교통사고와 그에 대한 분쟁이 늘어나면서 시비를 가리기 위한 사고 현장의 정확한 원인 분석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고정시점의 블랙박스 영상은 2차원의 평면적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정확한 교통사고 현장의 분석에 한계가 존재하는바, 단순한 사고 현장 영상 기록 장치 뿐만 아니라 시공간 정보와 통신 기술을 연계한 다차원적 소스를 제공하는 장치로서의 대안이 요구되고 있다.
과거에는 도로 상에서 사고가 발생하거나 교통 체증이 있는 경우에는 조사 요원이 도로 현장을 방문하여 일간, 주간, 또는 월간 교통량과 평균 속도, 차량 종류 등을 조사한 후, 이 자료를 근거로 정해진 절차와 간격에 따라 사고 조사, 교통 흐름 제어 및 도로의 신설 및 확장을 결정하였으나, 최근에는 해당 현장에 설치하여 시간별, 차로별 통과 차량수 등을 측정하는 주행 차량 자동 분류(AVC;Automatic Vehicle Classification) 장비의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입체 교통 감시 및 방범 동영상 시스템을 제시하는 종래의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39873호를 참조할 수 있다.
상기 문헌은 전방위 카메라와 다거리에 설치된 감시카메라를 활용하여 다거리의 상황을 입체적으로 감시하고, 영상통제장치가 설치된 다거리의 신호기를 기점으로 도로 교통망을 블럭화하여 교통상황을 입체적으로 감시하며, 각각의 감시카메라가 설치된 구조물에 누름버튼 스위치와 경광등을 부착하여 방범 효과를 높이는 방안을 개시한다.
교차로 내의 교통사고 자동감지 및 가해자와 피해자 선별에 관한 방법 및 시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96490호를 참조할 수 있다. 상기 문헌은 신호제어기를 원격지에서 제어하거나 감시 카메라를 이용하여 속도 및 신호를 위반하는 차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데 있어 동영상 압축, 저장, 전송, 재생, 믹스, 먹스, 조회 등의 영상처리와 자동으로 사고 영상을 인식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종래의 문헌들은 차량 사고시에 블랙박스 영상을 통해 도로 상황을 실시간으로 정확히 판단하거나 지선 도로에 따른 차량의 흐름 상황을 판단하게 하는데 있어서는 한계가 있게 된다.
(특허문헌 1) KR10-1239873 B
(특허문헌 2) KR10-0496490 B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단일 차량 또는 공간적으로 인접한 다수의 차량에서 블랙박스를 통해 촬영된 주변 영상들을 브로커 서버를 통해 수집한 후에 정합하고, 브로커 서버 상의 GPS 정보 및 차량의 속도 정보 등을 이용하여 3차원 영상기반 모델링 및 영상기반 렌더링을 거쳐 확인을 요하는 지선 도로의 교통정보 상황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은 지상파 DMB 방송망을 통한 DGPS 보정정보를 이용하여 측정된 고정밀 위치 정보를 이용하고, 다양한 시공간 상의 복수 차량의 블랙박스 영상 및 속도 정보를 유,무선망을 통해 교환하는 브로커링을 통해 요구되는 지선 도로 상의 교통 정보에 대한 3차원 재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시점 블랙박스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도로교통정보 제공시스템은, 차량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블랙박스 모듈(100); 상기 블랙박스 모듈(100)과 연결되어 실시간으로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는 브로커 서버(200); 상기 블랙박스 모듈(100)과 연결되어 고정밀 위치정보 파악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 확인부(300); 및 상기 브로커 서버(300)에서 전송받은 정보 중 특징점을 통해 상황을 재구성하는 3D 재구성 모듈(400);을 포함하고, 상기 브로커 서버(200)는 단일 차량 또는 공간적으로 인접한 다수의 차량에서 상기 블랙박스 모듈(100)을 통해 촬영된 주변 영상들을 수집한 후에 정합하고, 상기 3D 재구성 모듈(400)은 상기 위치 확인부(300)에서 수신된 차량의 위치 정보, 속도 정보 및 상기 블랙박스 모듈(100)에서 수신된 차량의 번호판 정보 등을 통해 도로교통 상황의 3차원 영상기반 모델링 및 영상기반 렌더링을 거쳐 도로 상황을 3차원으로 복원하고, 이를 이용하여 도로교통 정보를 파악하게 한다.
상기 위치 확인부(300)는 DGPS 기준국(310), GPS 송신부(320) 및 DMB 송신소(330) 등을 포함하며, 고정밀위치(DGPS) 정보를 DMB 전송기술을 이용하여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시점 블랙박스 영상 데이터를 이용한 도로교통정보 제공시스템은 단일 차량 또는 공간적으로 인접한 다수의 차량에서 블랙박스를 통해 촬영된 주변 영상들을 브로커 서버를 통해 수집한 후에 정합하고, 브로커 서버 상의 GPS 정보 및 차량의 속도 정보 등을 이용하여 3차원 영상기반 모델링 및 영상기반 렌더링을 거쳐 확인을 요하는 지선 도로의 교통정보 상황을 분석하고, 이를 이용하여 교통정보 정보를 한눈에 알기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블랙박스에 기록된 영상을 DGPS를 포함한 통신 기능과 연계하는 동시에 가속도 센서 등 다양한 센서들과 연계함으로써 부가가치를 높이게 한다.
본 발명을 이용하는 경우에, 블랙박스 본연의 기능인 영상 녹화 측면에서 보았을 때, 특정한 영상 장면은 당시 차량의 블랙박스 뿐 아니라 공간적으로 같은 지역에서 다수의 차량에 장착된 블랙박스에 기록될 것인바, 블랙박스의 영상으로부터 교통 현장을 시공간 정보가 연계된 3차원 정보로 재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정확한 교통정보 분석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도로상황 장면의 3차원 재구성을 통하여 보다 정확한 도로정체 원인 분석이 가능하고 이를 도로 통제에 활용하는 새로운 사업화 분야 창출이 가능하며, 블랙박스 자체의 부가가치 향상을 통해 IT 산업 생태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한다.
본 발명은 다차원 영상의 영상화질 개선 참값대비 40dB의 효과가 있고, 다시점 블랙박스 카메라의 기하보정시 영상대각선길이 대비 0.3%오차가 발생하며, 모델기반 영상 추적 및 정합 평균추적 정확도가 77(Average precision)이고, 블랙박스 영상 및 센서데이터의 브로커링 초당트랜젝션수는 10(tps)이고, 위치정확도는 1.5m 개선이 이루어졌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교통정보 제공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도로교통정보 제공시스템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위한 조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교통정보 제공시스템을 이용하여 복수의 블랙박스 영상을 유무선망을 통해 교환하는 브로커링을 통해 기록된 이벤트에 대한 3차원 재구성을 시행하는 일련의 과정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4는 다시점 블랙박스 영상을 이용한 도로 현장의 3차원 재구성을 시행하는 과정을 보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로교통정보 제공시스템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교통정보 제공시스템은 차량에 장착된 블랙박스 모듈(100), 블랙박스 모듈(100)과 연결되어 실시간으로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는 브로커 서버(200), 블랙박스 모듈(100)과 연결되어 고정밀 위치정보 파악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 확인부(300), 및 브로커 서버(300)에서 전송받은 정보 중 특징점을 통해 상황을 재구성하는 3D 재구성 모듈(400)을 포함한다.
블랙박스 모듈(100)은 임의의 도로로 진행하는 주행 차량 또는 사고 차량에 장착된 블랙박스일 수 있지만, 이외에도 상기 주행 차량 또는 사고 차량 인근을 지나는 차량들에 장착된 블랙박스를 모두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블랙박스 모듈(100)은 주행 차량 또는 사고 차량에 장착된 메인 차량 블랙박스(110) 및 GPS를 통해 사고 지역을 지나는 것으로 확인된 인접 차량 블랙박스(120)를 모두 포함한다.
블랙박스 모듈(100)은 차량의 전,후,좌,우측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는 4채널 방식의 카메라 시스템을 가지며,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기 위해 넓은 시야 각을 갖는 광각 카메라가 이용된다.
브로커 서버(200)는 블랙박스 모듈(100)을 이루는 다시점의 블랙박스 영상을 이용하여 도로교통 또는 사고현장을 3차원으로 재구성하기 위해서 복수의 블랙박스(110,120)에서의 영상 및 센서 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근실시간으로 수집, 분석 및 배포한다.
복수의 차량에 장착된 다기종의 블랙박스들로부터 유무선으로 영상 및 센서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표준화된 전송 규격 또는 각 기종의 블랙박스로부터 영상 및 센서 데이터를 브로커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는 전용 미들웨어를 구성한다.
한편, 다기종의 블랙박스로부터 영상 및 센서 데이터를 획득할 경우 블랙박스별로 시간 및 지리 정보가 상이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정보를 동기화해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서버관리자를 채용한다.
브로커 서버(200)는 브로커링을 통해 다양한 시공간 상의 블랙박스 영상을 유,무선망을 통해 교환한다. 복수의 블랙박스에서 취득된 영상의 수집 및 배포를 기반으로 한 시공간 분석을 통해 다시점 블랙박스 영상 분석을 통한 주변 기상상황 실시간 파악하고, 다양한 시공간 상의 영상을 분석하여 실시간 교통정보를 수집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를 통해 수배/도난 차량 검색 기능이 가능하고, 화재, 인명 사고 등의 실시간 감지가 가능하다.
브로커 서버(200)는 차량의 일측에 설치되어 차량 운행 관련 정보를 검출하는 외부 센서(30)와 접속이 이루어진다. 상기 외부 센서(30)의 검출 데이터 및 차량 진단 데이터는 가속도, GPS 정보, 음성, 위치 등의 차량 외부정보와 브레이크, 스로틀 위치, 안전벨트 착용 유무, 조향신호, 속도 등의 차량 내부정보 등을 포함하여 보다 정확한 원인 규명이 가능하도록 한다.
위치 확인부(300)는 DGPS 기준국(310), GPS 송신부(320) 및 DMB 송신소(330)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오차 1m급 고정밀위치(DGPS) 정보를 DMB 전송기술을 이용하여 제공하는 개념을 포함한다.
DGPS(Differential GPS)는 일반적으로 인공위성으로부터 지상의 GPS 수신기로 송신되는 정보는 오차를 가지게 되는데, 서로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두 수신기가 있을 경우에는 두 수신기는 비슷한 오차를 갖게 된다. DGPS는 두 수신기가 가지는 공통의 오차를 서로 상쇄시킴으로써 보다 정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한 기술이다. 정밀측량에 의해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고 있는 고정국에서 오차의 범위를 이동국에 전송한 후 보정하여 사용하는 방식을 취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블랙박스 모듈(100)을 이루는 다시점의 블랙박스 영상으로부터 도로교통 상황의 3차원 재구성을 위해서는 차량의 정확한 위치 정보는 영상 기반 알고리즘의 안정적 동작을 위해 필수적인바, 지상파 DMB 방송망을 통한 DGPS 보정정보를 이용하여 측정된 고정밀 위치 정보를 이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지상파 DMB 방송망과 LTE 및 WiFi 등의 통신망을 이용하여 DGPS 정보를 보정할 수 있는 솔루션, 블랙박스의 DMB 모듈 및 통신모듈을 추가하여 고정밀 위치 측정 서비스를 제공한다.
위치 확인부(300)와 브로커 서버(200) 간의 조합을 통해서, 본 발명은 영상 및 모델 기반 3차원 모델링과 3차원 사고현장 재구성 및 렌더링 동역학 분석 기술에 필요한 차량의 고정밀 위치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DMB DGPS 보정정보를 활용하면 이동 중인 차량에 장착된 블랙박스의 실시간 고정밀 위치 측정이 가능하다.
3D 재구성 모듈(400)은 먼저 다양한 시점에서 촬영된 연속된 이미지들에 대한 정보들을 상보적으로 보완하여 블러 제거를 수행한다. 다시점 영상에서의 기하학적 추정을 통한 최적화가 가능하다.
다시점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motion의 상관관계에 따라 불필요한 움직임 제거 및 영상의 재구성을 위한 영상 보정을 한다. 서로 다른 블랙박스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대해 각기 다른 dynamic range에 대한 영상의 동적 범위를 높이기 위한 분석 기법을 통하여 복수개의 카메라 간 상보적인 dynamic range를 연산한다.
예를 들어, 블랙박스 모듈(100)에서 촬영된 각 영상들은 방사상으로 만곡진 왜곡 이미지를 나타내게 되므로 미리 워핑 포인트를 추출한 후, 워핑 알고리즘을 구동하여 왜곡된 각 이미지들을 교정한다. 각 영상들이 교정된 경우에 추출되는 차량의 평면 이미지는 상부에서 차량을 내려다보았을 때의 평면 사진으로서 미리 메모리에 저장되어져 각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들간에 중복 부분이 제거된다.
이후, OBD,GPU,IMU 등의 다중 센서를 이용한다. 각 센서에서 출력되는 펄스를 이용하여 다중 센서간의 시간 바이어스를 계산하여 동기화한다.
다음으로, 궤적관리 및 궤적 관련 시공간 질의 처리를 고도화한다.
이후, 블랙박스 동영상 및 블랙박스 영상에서 최적의 특징점을 검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특징을 정합 및 추적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로교통정보 제공시스템을 이용하여 복수의 블랙박스 영상을 유무선망을 통해 교환하는 브로커링을 통해 기록된 이벤트에 대한 3차원 재구성을 시행하는 일련의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차량의 블랙박스를 이용하여 다채널 영상을 실시간으로 획득한다(S10).
DGPS 송수신을 통해 차량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한다(S20).
도로 정체 또는 차량 사고 등이 발생한 것인지 브로커 서버(200) 및 위치 확인부(300) 등을 통해 확인한다(S30). 상기 도로 정체 여부는 수동으로 체킹하여 상기 브로커 서버(200) 및 3D 재구성 모듈(400) 상에 입력이 가능하다.
브로커 서버(200)에서 블랙박스의 영상 수신 및 GPS 정보를 수신한다(S40).
상기 S40 단계에서 수신된 영상에서 보정 및 화질 개선을 실시한다(S50).
상기의 개선된 영상에서 브로커 서버의 GPS 및 차량 속도 정보 등을 이용하여 교통정보 확인요구 구역 교통량 측정을 실시한다(S60).
도로 상에서 차량의 움직임을 차량 속도, 위치, 차량의 영상을 통한 번호판 인식 등을 포함한 3D 시뮬레이션을 통해 재구성하는 작업을 실시한다(S70). 즉, 교통정보 확인요구 구역에 해당하는 지선 도로의 시간대별 차량 위치를 통한 교통정보를 구축하고 도로 상의 차량 움직임을 3D 시뮬레이션으로 재구성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다시점 블랙박스 영상을 이용한 도로교통정보 3차원 재구성을 시행하는 과정을 보인다.
즉, 지선도로 현장에서 복수의 블랙박스 영상을 통한 다시점 영상을 취합하는 동시에 상기 영상 정보를 DGPS, DMB, 및 LTE/Wifi 등의 통신망을 통해 획득하고, 이후에 이들 정보를 토대로 차량 위치, 움직임 궤적 추정 및 3차원 복원을 통해서 도로교통 장면을 3차원으로 재구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시점 블랙박스 영상 데이터를 이용한 도로교통정보 분석 제공시스템은 단일 차량 또는 공간적으로 인접한 다수의 차량에서 블랙박스를 통해 촬영된 주변 영상들을 브로커 서버를 통해 수집한 후에 정합하고, 도로교통 상황의 3차원 영상기반 모델링 및 영상기반 렌더링을 거쳐 상황을 3차원으로 복원하고, 이를 이용하여 도로교통 정보를 한눈에 알기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

  1. 차량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블랙박스 모듈(100);
    상기 블랙박스 모듈(100)과 연결되어 실시간으로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는 브로커 서버(200);
    상기 블랙박스 모듈(100)과 연결되어 고정밀 위치정보 파악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 확인부(300); 및
    상기 브로커 서버(300)에서 전송받은 정보 중 특징점을 통해 상황을 재구성하는 3D 재구성 모듈(400);을 포함하고,
    상기 브로커 서버(200)는 단일 차량 또는 공간적으로 인접한 다수의 차량에서 상기 블랙박스 모듈(100)을 통해 촬영된 주변 영상들을 수집한 후에 정합하고,
    상기 3D 재구성 모듈(400)은 상기 위치 확인부(300)에서 수신된 차량의 위치 정보, 속도 정보 및 상기 블랙박스 모듈(100)에서 수신된 차량의 번호판 정보 등을 통해 도로교통 상황의 3차원 영상기반 모델링 및 영상기반 렌더링을 거쳐 도로 상황을 3차원으로 복원하고, 이를 이용하여 도로교통 정보를 파악하게 하는,
    다시점 블랙박스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도로교통정보 제공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확인부(300)는 DGPS 기준국(310), GPS 송신부(320) 및 DMB 송신소(330) 등을 포함하며, 고정밀위치(DGPS) 정보를 DMB 전송기술을 이용하여 제공하는,
    다시점 블랙박스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도로교통정보 제공시스템.
KR1020160111573A 2016-08-31 2016-08-31 다시점 블랙박스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도로교통정보 제공시스템 KR102178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573A KR102178598B1 (ko) 2016-08-31 2016-08-31 다시점 블랙박스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도로교통정보 제공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573A KR102178598B1 (ko) 2016-08-31 2016-08-31 다시점 블랙박스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도로교통정보 제공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757A true KR20180024757A (ko) 2018-03-08
KR102178598B1 KR102178598B1 (ko) 2020-11-13

Family

ID=61726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1573A KR102178598B1 (ko) 2016-08-31 2016-08-31 다시점 블랙박스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도로교통정보 제공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859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70453A (zh) * 2018-03-16 2018-08-31 长安大学 一种车辆直行的车速计算方法
KR102204051B1 (ko) * 2020-07-29 2021-01-18 (주)동광지엔티 지정이미지의 블러 처리 기능을 갖춘 mms 수집영상 가공시스템
CN113256991A (zh) * 2021-07-14 2021-08-13 智广海联(天津)大数据技术有限公司 基于车流量统计的汽车厂周边道路拥堵治理系统及方法
CN113269966A (zh) * 2021-07-21 2021-08-17 广东新中望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地磁大数据软硬件结合的时空态势感知模型
KR20220018250A (ko) * 2020-08-06 2022-02-15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율주행차량 데이터 및 cctv 카메라 영상을 활용한 사고상황 재현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5166A (ko) * 2008-08-04 2010-02-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교통사고 재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56977A (ko) * 2010-11-26 2012-06-05 주식회사 이미지넥스트 차량 탑재형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 생성된 주변 영상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KR20140045087A (ko) * 2012-10-08 2014-04-1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Dgps의 위치 보정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지원하는 장치와 단말기
KR20150014264A (ko) * 2013-07-29 2015-02-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교통 사고 현장 재현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5166A (ko) * 2008-08-04 2010-02-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교통사고 재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56977A (ko) * 2010-11-26 2012-06-05 주식회사 이미지넥스트 차량 탑재형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 생성된 주변 영상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KR20140045087A (ko) * 2012-10-08 2014-04-1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Dgps의 위치 보정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지원하는 장치와 단말기
KR20150014264A (ko) * 2013-07-29 2015-02-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교통 사고 현장 재현 장치 및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70453A (zh) * 2018-03-16 2018-08-31 长安大学 一种车辆直行的车速计算方法
CN108470453B (zh) * 2018-03-16 2021-01-01 长安大学 一种车辆直行的车速计算方法
KR102204051B1 (ko) * 2020-07-29 2021-01-18 (주)동광지엔티 지정이미지의 블러 처리 기능을 갖춘 mms 수집영상 가공시스템
KR20220018250A (ko) * 2020-08-06 2022-02-15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율주행차량 데이터 및 cctv 카메라 영상을 활용한 사고상황 재현 방법 및 시스템
CN113256991A (zh) * 2021-07-14 2021-08-13 智广海联(天津)大数据技术有限公司 基于车流量统计的汽车厂周边道路拥堵治理系统及方法
CN113256991B (zh) * 2021-07-14 2021-09-24 智广海联(天津)大数据技术有限公司 基于车流量统计的汽车厂周边道路拥堵治理系统及方法
CN113269966A (zh) * 2021-07-21 2021-08-17 广东新中望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地磁大数据软硬件结合的时空态势感知模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8598B1 (ko) 2020-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en et al. Cooper: Cooperative perception for connected autonomous vehicles based on 3d point clouds
KR20180024757A (ko) 다시점 블랙박스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도로교통정보 제공시스템
US10466714B2 (en) Depth map estimation with stereo images
US9564047B2 (en) Traffic monitoring system and traffic monitoring method in which a traffic control center configured a three dimensional traffic image
US20180288320A1 (en) Camera Fields of View for Object Detection
CN106571046B (zh) 基于路面网格体系的车路协同辅助驾驶方法
DE102020131323A1 (de) Kamera-zu-lidar-kalibration und -validierung
US10699567B2 (en) Method of controlling a traffic surveillance system
EP2682925B1 (en) Vehicle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KR20160062880A (ko) 카메라 및 레이더를 이용한 교통정보 관리시스템
CN106019264A (zh) 一种基于双目视觉的无人机危险车距识别系统及方法
CN111727437A (zh) 提供碰撞前预警的多光谱系统
WO2016185373A1 (en) Detection and documentation of tailgating and speeding violations
KR102124170B1 (ko) 다시점 블랙박스 영상 데이터를 이용한 교통사고 분석시스템
US10163341B2 (en) Double stereoscopic sensor
CN108810514A (zh) 通过图像报告进行的事件重建
DE102016218934A1 (de) Verfahren zum Datenaustausch und Datenfusionierung von Umfelddaten
DE112017005385T5 (de) Bildverarbeitungseinrichtung und Bildverarbeitungsverfahren
KR20170039465A (ko) 실시간 목표 탐지에 의한 교통 정보 수집 시스템 및 방법
DE112017005228T5 (de) Bildverarbeitungsvorrichtung und Bildverarbeitungsverfahren
KR20200026492A (ko) IoT기반의 카메라 그룹핑을 이용한 터널 내 유고 감시 시스템
Altekar et al. Infrastructure-based sensor data capture systems for measurement of operational safety assessment (osa) metrics
CN102785780A (zh) 无人飞行载具控制系统及方法
DE112018003045T5 (de) Kartenaktualisierungsvorrichtung, kartenaktualisierungssystem, kartenaktualisierungsverfahren und programm
CN103577790A (zh) 道路转弯类型检测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