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6512A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6512A
KR20120056512A KR1020100118088A KR20100118088A KR20120056512A KR 20120056512 A KR20120056512 A KR 20120056512A KR 1020100118088 A KR1020100118088 A KR 1020100118088A KR 20100118088 A KR20100118088 A KR 20100118088A KR 20120056512 A KR20120056512 A KR 20120056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display
reference line
bend
visual information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8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4418B1 (ko
Inventor
김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8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4418B1/ko
Priority to US13/283,995 priority patent/US8654075B2/en
Priority to EP11008789.7A priority patent/EP2458829B1/en
Priority to CN201110378385.1A priority patent/CN102566816B/zh
Publication of KR20120056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6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4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4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물리적 변형에 의해 다양한 사용자 입력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물리적 변형에 의해 다양한 사용자 입력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물리적 변형에 의해 다양한 사용자 입력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려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구부러짐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을 감지하여 사용자 입력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려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구부러지는 위치, 방향 및 강도를 감지하여 사용자 입력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려는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적어도 일부 영역 이상이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본체와 특정 시각 정보를 출력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의 탄성 변형에 따라 구부러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구부러진 위치, 방향 및 세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굽힘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유닛 및 상기 굽힘 정보에 기초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특정 영역에 나머지 영역과 구별되도록 소정의 마크를 출력시키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마크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특정 영역에 표시되는 점, 선, 그래픽, 기호 및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굽힘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마크의 위치, 크기, 형상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 유닛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배면에 그 길이방향 또는 폭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의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각 압력센서로부터 감지된 압력을 통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구부러짐에 의한 만곡부를 판단하고, 상기 만곡부를 통과하는 기준선을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시각 정보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 1구부러짐에 의한 제 1만곡부를 통과하는 제 1기준선을 상기 시각 정보 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 1구부러짐에 대하여 소정의 방향 또는 강도로 제 2구부러짐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제 2구부러짐에 의한 제 2만곡부를 통과하는 제 2기준선을 상기 시각 정보 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 1구부러짐 및 제 2구부러짐에 따라 제 1기준선과 제 2기준선 사이의 시각 정보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 1구부러짐 및 제 2구부러짐에 따라 제 1기준선과 제 2기준선 사이의 시각 정보를 확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 1구부러짐에 대하여 소정의 방향 또는 강도로 제 2구부러짐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구부러짐 방향 또는 강도에 따라 시각 정보를 스크롤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기준선과 제 2기준선의 교차 영역을 상기 시각 정보 상에 출력시키고, 상기 교차 영역에 대응되는 시각 정보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시각 정보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 1구부러짐에 의한 제 1만곡부를 통과하는 제 1기준선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 2구부러짐에 의한 제 2만곡부를 통과하는 제 2기준선을 상기 시각 정보 상에 각각 출력시키며, 상기 제 1 및 제 2기준선에 의하여 분할된 시각 정보를 각각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1회 이상의 구부러짐에 의한 각 만곡부를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기준선이 미리 결정된 기준선과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잠금을 해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각 정보는 문서, 책, 사진, 지도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물리적 변형에 의해 다양한 사용자 입력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구부러짐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을 감지하여 사용자 입력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구부러지는 위치, 방향 및 강도를 감지하여 사용자 입력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요부 구성부재를 나태타내는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전면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다양한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또 다른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전면 사시도.
도 9 내지 도 13은 도 8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다양한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bar)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1)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24)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24)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또한 디스플레이(1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1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터치 패드(135)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151)의 전방 또는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전면 사시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다양한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또 다른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전면 사시도이고, 도 9 내지 도 13은 도 8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다양한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다.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는 적어도 일부 영역 이상이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본체(10)와 특정 시각 정보를 출력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10)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10)의 탄성 변형에 따라 구부러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구부러진 위치, 방향 및 세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굽힘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유닛(S) 및 상기 굽힘 정보에 기초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특정 영역에 나머지 영역과 구별되도록 소정의 마크를 출력시키기 위한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마크(예를 들어, 도 4의 B1, 도 11의 R1)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특정 영역에 표시되는 점, 선, 그래픽, 기호 및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굽힘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예를 들어, 굽힘 위치, 굽힘 강도 또는 굽힘 방향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 상에 표시된 마크의 위치, 크기, 형상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변경시킬 수 있다.
일 실시태양으로, 굽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상기 위치에 새로운 마크를 출력시키거나, 기존에 표시된 마크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굽힘 강도가 변경되는 경우(예를 들어, 강도가 증가)에는 상기 마크의 크기를 증가시키거나, 형상을 변경시키거나, 색상을 진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굽힘 방향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마크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태양뿐만 아니라, 상기 제어부(180)는 마크의 위치, 크기, 형상 또는 색상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굽힘 정보의 변경을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마크를 굽힘 정보가 감지되는 즉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특정 영역 상에 출력시킬 수도 있고, 상기 마크의 출력 여부를 사용자가 결정할 수 있도록 확인 메뉴 등을 우선 출력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마크를 소정 시간 동안만 출력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마크의 표시 방식과 관련하여, 상기 제어부(180)는 특정 영역상의 시각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마크의 색상을 투명하게 하여 특정 영역 상에 상기 마크를 오버레이(overlay)시킬 수도 있고, 지시선 또는 연결선 등으로 연결하여 상기 특정 영역을 벗어난 영역 상에 상기 마크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센서 유닛(S)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배면에 그 길이방향 또는 폭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의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각 압력센서로부터 감지된 압력을 통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구부러짐에 의한 만곡부를 판단하고, 상기 만곡부를 통과하는 기준선을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에 시각 정보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제 1구부러짐에 의한 제 1만곡부를 통과하는 제 1기준선(B1)을 상기 시각 정보 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제 1구부러짐에 대하여 소정의 방향 또는 강도로 제 2구부러짐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제 2구부러짐에 의한 제 2만곡부를 통과하는 제 2기준선(B2)을 상기 시각 정보 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제 1구부러짐 및 제 2구부러짐에 따라 제 1기준선(B1)과 제 2기준선(B2) 사이의 시각 정보(A1)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도 5참조).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제 1구부러짐 및 제 2구부러짐에 따라 제 1기준선(B1)과 제 2기준선(B2) 사이의 시각 정보(A2)를 확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도 6참조).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제 1구부러짐에 대하여 소정의 방향 또는 강도로 제 2구부러짐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구부러짐 방향 또는 강도에 따라 시각 정보를 스크롤(R, F)시킬 수 있다(도 7참조).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 1기준선과 제 2기준선의 교차 영역을 상기 시각 정보 상에 출력시키고, 상기 교차 영역에 대응되는 시각 정보(R1, R2)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도 11참조).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에 시각 정보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 1구부러짐에 의한 제 1만곡부를 통과하는 제 1기준선(B3)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 2구부러짐에 의한 제 2만곡부를 통과하는 제 2기준선(B4)을 상기 시각 정보 상에 각각 출력시키며, 상기 제 1 및 제 2기준선에 의하여 분할된 시각 정보(P1 내지 P4)를 각각 활성화시킬 수 있다(도 12참조).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적어도 1회 이상의 구부러짐에 의한 각 만곡부를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기준선(B5, B6)이 미리 결정된 기준선과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잠금을 해제시킬 수 있다(도 13참조).
또한, 상기 시각 정보는 문서, 책, 사진, 지도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상기 본체(10)는 전술한 케이스(101, 102), 제어부(180) 및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되며, 적어도 일부 영역 이상이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10)는 실질적으로 케이스(101,102)의 내부에 구비되는 프레임 등으로 이루어지나 실질적으로 케이스(101,102)와 명확하게 구분되지는 않는다. 즉, 본체(10)는 케이스(101,102) 및 그 내부 형상을 이루는 프레임 등을 포함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전체적인 골격을 구성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본체(10)는 그 자체로서 구부러짐이 가능하게 구성되므로, 적어도 일부가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져서 외부로 노출되거나, 설계조건에 따라 별도의 케이스(101, 102)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케이스(101,102)도 본체(10)와 같이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져 이동 단말기(100)의 물리적인 외관 변형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동 단말기(100)의 본체(10)의 내부에는 일반적인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도시되지 않음)과 유연한 재질의 연성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도시되지 않음)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본체(10)에서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부분에는 연성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될 수 있고, 견고한 재질로 이루어진 부분에는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제어부(180)를 구성하는 인쇄회로기판은 구리 배선이 가늘게 인쇄된 판으로, 반도체?컨덴서?저항 등 각종 부품을 끼울 수 있도록 되어 있어 부품 상호간을 연결시키는 구실을 하는 전자 부품을 말하며, 전기 배선을 효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자기기 크기를 줄이고 성능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인 인쇄회로기판은 일정한 강성을 가지는 견고한 기판으로 형성되나, 연성인쇄회로기판은 플라스틱처럼 휘어지는 기판에 전자 소자를 부착시켜서 전자 회로를 실장하므로 변형이 이루어지는 구조에 적합하다.
전술한 디스플레이는 본체(10)의 구부러짐에 대응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 flexible display)로 구성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는 말 그대로 유연한 형태의 화면으로서 궁극적으로는 구부리거나 둘둘 말 수도 있는 디스플레이를 의미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는 접고 펼 수 있는 유연성(flexibility)을 부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는 상기 본체(10)의 탄성 변형에 따라 구부러지도록 상기 본체(10)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센서 유닛(S)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길이방향 및/또는 폭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각 센서 유닛(S)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각 위치에서의 압력 변화 및 강도 등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제어부(180)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구부러진 위치, 방향 및 강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따라 사용자 입력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센서 유닛(S)은 모션 센서, 장력 센서, 기울기 센서, 압력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중, 압력센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에 압력이 가해지는지 여부와, 그 압력의 크기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압력센서는 사용환경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에서 압력의 검출이 필요한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는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변화에 대해서 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로서,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가속도 센서에는,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에 내장되어 충돌을 감지하는데 사용하는 큰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부터, 사람 손의 미세한 동작을 인식하여 게임 등의 입력 수단으로 사용하는 미세한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다. 가속도 센서는 보통 2축이나 3축을 하나의 패키지에 실장하여 구성되며,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Z축 한 축만 필요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어떤 이유로 Z축 방향 대신 X축 또는 Y축 방향의 가속도 센서를 써야 할 경우에는 별도의 조각 기판을 사용하여 가속도 센서를 주 기판에 세워서 실장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본체(10)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가 물리적으로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물리적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 ㅇ유(S)이 구비되면 키패드나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지 않고도 직관적으로 사용자 입력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구부러짐에 의해 발생하는 압축력 및 인장력을 사용자 입력신호로 감지하거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구부러짐에 의해 발생하는 복수의 센서 유닛(S)의 상대 위치 변화를 사용자 입력신호로 감지할 수 있으므로, 게임이나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심의 메뉴를 사용하는 경우 그 활용성이 극대화되고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물리적인 변형을 하나의 사용자 입력신호로 인식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다양한 방법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동작 상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전술한 마크는 기준선인 경우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에 시각 정보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제 1구부러짐에 의한 제 1만곡부를 통과하는 제 1기준선(B1)을 상기 시각 정보 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도 4에는 실질적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부러져 일부 영역이 만곡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 또는 경사진 방향을 따라 구부러져 일부 영역이 만곡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어부(180)에서 기준선을 출력시키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일 실시태양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센서 유닛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배면에 그 길이방향 또는 폭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의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80)는 각 압력센서로부터 감지된 압력을 통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에 따른 압력 분포를 인식하게 되고, 상기 압력 분포를 보상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구부러짐에 의한 만곡부를 판단하고, 상기 만곡부를 통과하는 기준선을 출력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 상의 각 좌표 위치를 바탕으로 직선이 나올 수 있는 일정 범위 안의 압력 오차를 계산하고, 이러한 오차 범위 밖의 데이터를 제외하여, 전술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만곡부 상에 일정 범위 내의 압력 분포를 갖는 지점을 연결하여 직선 형태(기준선)로 출력시킬 수 있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제 1구부러짐에 대하여 소정의 방향 또는 강도로 제 2구부러짐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제 2구부러짐에 의한 제 2만곡부를 통과하는 제 2기준선(B2)을 상기 시각 정보 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제 1구부러짐 및 제 2구부러짐에 따라 제 1기준선(B1)과 제 2기준선(B2) 사이의 시각 정보(A1)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활성화된 시각 정보(A1)를 선택하여 필요한 곳에 붙여 넣거나, 잘라내거나, 활성화된 시각 정보(A1)를 메일 등으로 통하여 다른 매체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제 1구부러짐 및 제 2구부러짐에 따라 제 1기준선(B1)과 제 2기준선(B2) 사이의 시각 정보(A2)를 확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제 1구부러짐(제 1기준선 B1)에 대하여 소정의 방향(R 또는 F) 또는 강도로 제 2구부러짐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구부러짐 방향(R 또는 F) 또는 강도에 따라 시각 정보를 스크롤(scroll)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영상 또는 음악 파일이 재생되고 있는 경우에, 사용자는 이러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동영상 전환, 음악 전환, 및 특정 시간 구간의 영상 또는 음악 정보를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를 통하여 신문, 문서 또는 책 등의 시각 정보가 표시된 경우에, 상기 제어부(18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예를 들어, 좌측 모서리 부분을 구부림)으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제 1구부러짐이 입력되는 경우, 특정 방향에 따라 시각 정보를 다음 페이지로 스크롤(scroll)시킬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우측 모서리 부분을 구부리면 시각 정보를 이전 페이지로 스크롤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에는 실질적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가 그 길이방향에 경사진 방향을 따라 구부러져 일부 영역이 만곡되는 경우(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우측 모서리 부분이 구부러짐)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구부러짐에 의한 만곡부를 통과하는 기준선(B3)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 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도 8에서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좌측 모서리 부분을 구부림)으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제 1구부러짐(제 1기준선 B3)이 입력되는 경우, 특정 방향에 따라 시각 정보를 스크롤(scroll)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에 출력된 시각 정보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스크롤시키거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에 출력된 시각 정보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폭 방향을 따라 스크롤시킬 수 있다.
일 실시태양으로, 도 9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저장된 사진 폴더(H) 및 상기 사진 폴더(H)에 저장된 복수의 시진들(H1 내지 H3)이 함께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하단부에는 사진 폴더(H)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들(H1 내지 H3)이 차례로 표시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중앙부에는 현재 선택된 사진(H2)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도 9의 (b) 및 (c)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좌측 모서리 부분을 구부리면, 시각 정보는 현재 표시된 사진(H2)의 다음 사진(H3)으로 스크롤되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중앙부에 다음 사진(H3)이 표시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우측 모서리 부분을 구부리면, 시각정보는 현재 표시된 사진(H2)의 이전 사진(H1)으로 스크롤되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중앙부에 이전 사진(H3)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0의 (a)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좌측 모서리가 구부러진 경우(B3),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좌측에 위치하는 메뉴항목(235)이 선택될 수 있다. 선택된 메뉴항목은 바로 실행되거나, 실행 여부의 선택 등에 따라 실행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도 10의 (b)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우측 모서리가 구부러지는 경우(B4),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우측에 위치하는 메뉴항목(237)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중앙에 위치하는 메뉴항목(236)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상단 또는 하단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구부리는 경우에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도 10의 (a)를 참조하면, 플럭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좌측 모서리가 구부러지는 경우(B3), 선택되는 메뉴 항목(235)은 벤딩 앤 드래그 입력(bending and drag input)(240)에 따라 실행가능한 메뉴 항목 중에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도 10의 (b)를 참조하면, 벤딩 앤 드래그 입력을 위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우측 모서리가 휘어지는 경우(B4) 실행할 메뉴 항목(242)이 설정된다. 도 10의 (c)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가 구부러지는 경우(B5) 선택되는 메뉴항목은 2개 이상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실행할 메뉴항목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메세지로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1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기준선과 제 2기준선의 교차 영역을 상기 시각 정보 상에 출력시키고, 상기 교차 영역에 대응되는 시각 정보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에 지도 정보가 출력된 경우에 제 1 내지 제 3 기준선(B3 내지 B5)의 교차 영역(R1, R2)을 각각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12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에 시각 정보(예를 들어, 사진)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제 1구부러짐에 의한 제 1만곡부를 통과하는 제 1기준선(B3)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 2구부러짐에 의한 제 2만곡부를 통과하는 제 2기준선(B4)을 상기 시각 정보 상에 각각 출력시키며, 상기 제 1 및 제 2기준선(B3, B4)에 의하여 분할된 시각 정보(P1 내지 P4)를 각각 활성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분할된 시각 정보(P1 내지 P4)를 선택하여 붙여 넣거나,잘라 내거나, 메일 등을 통하여 다른 매체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3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적어도 1회 이상의 구부러짐에 의한 각 만곡부를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기준선(B5, B6)이 미리 결정된 기준선과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잠금을 해제시킬 수 있다.
즉,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를 구부러짐에 의한 기준선이 특정 점들을 통과하게 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물리적 변형에 의해 다양한 사용자 입력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구부러짐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을 감지하여 사용자 입력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구부러지는 위치, 방향 및 강도를 감지하여 사용자 입력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이동 단말기 15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Claims (14)

  1. 적어도 일부 영역 이상이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본체;
    특정 시각 정보를 출력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의 탄성 변형에 따라 구부러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구부러진 위치, 방향 및 세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굽힘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유닛; 및
    상기 굽힘 정보에 기초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특정 영역에 나머지 영역과 구별되도록 소정의 마크를 출력시키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특정 영역에 표시되는 점, 선, 그래픽, 기호 및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굽힘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마크의 위치, 크기, 형상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닛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배면에 그 길이방향 또는 폭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의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각 압력센서로부터 감지된 압력을 통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구부러짐에 의한 만곡부를 판단하고, 상기 만곡부를 통과하는 기준선을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시각 정보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 1구부러짐에 의한 제 1만곡부를 통과하는 제 1기준선을 상기 시각 정보 상에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 1구부러짐에 대하여 소정의 방향 또는 강도로 제 2구부러짐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제 2구부러짐에 의한 제 2만곡부를 통과하는 제 2기준선을 상기 시각 정보 상에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 1구부러짐 및 제 2구부러짐에 따라 제 1기준선과 제 2기준선 사이의 시각 정보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 1구부러짐 및 제 2구부러짐에 따라 제 1기준선과 제 2기준선 사이의 시각 정보를 확대 또는 축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 1구부러짐에 대하여 소정의 방향 또는 강도로 제 2구부러짐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구부러짐 방향 또는 강도에 따라 시각 정보를 스크롤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기준선과 제 2기준선의 교차 영역을 상기 시각 정보 상에 출력시키고, 상기 교차 영역에 대응되는 시각 정보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시각 정보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 1구부러짐에 의한 제 1만곡부를 통과하는 제 1기준선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 2구부러짐에 의한 제 2만곡부를 통과하는 제 2기준선을 상기 시각 정보 상에 각각 출력시키며, 상기 제 1 및 제 2기준선에 의하여 분할된 시각 정보를 각각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1회 이상의 구부러짐에 의한 각 만곡부를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기준선이 미리 결정된 기준선과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잠금을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정보는 문서, 책, 사진, 지도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00118088A 2010-11-25 2010-11-25 이동 단말기 KR101664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088A KR101664418B1 (ko) 2010-11-25 2010-11-25 이동 단말기
US13/283,995 US8654075B2 (en) 2010-11-25 2011-10-28 Mobile terminal
EP11008789.7A EP2458829B1 (en) 2010-11-25 2011-11-04 Mobile terminal
CN201110378385.1A CN102566816B (zh) 2010-11-25 2011-11-24 移动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088A KR101664418B1 (ko) 2010-11-25 2010-11-25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512A true KR20120056512A (ko) 2012-06-04
KR101664418B1 KR101664418B1 (ko) 2016-10-10

Family

ID=44946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8088A KR101664418B1 (ko) 2010-11-25 2010-11-25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654075B2 (ko)
EP (1) EP2458829B1 (ko)
KR (1) KR101664418B1 (ko)
CN (1) CN102566816B (ko)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338B1 (ko) * 2012-06-05 2014-08-12 한국과학기술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정보 전달 방법, 정보 전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 제어방법 및 장치
KR20140114096A (ko) * 2013-03-18 2014-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KR20140137737A (ko) * 2013-05-23 2014-1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전자 장치의 잠금 해제 방법, 및 전자 장치의 주밍 및 토글링 제어 방법
KR20140141843A (ko) * 2013-05-31 2014-1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WO2015009128A1 (en) * 2013-07-19 2015-0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devic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object by flexible device
KR20150019248A (ko) * 2013-08-13 2015-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1524949B1 (ko) * 2013-12-19 2015-06-02 전자부품연구원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WO2015093667A1 (ko) * 2013-12-19 2015-06-25 전자부품연구원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CN104811517A (zh) * 2015-04-30 2015-07-29 上海华勤通讯技术有限公司 带柔性显示屏的移动终端及其自动贴附方法
WO2016047850A1 (ko) * 2014-09-25 2016-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6104822A1 (ko) * 2014-12-23 2016-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US9959811B2 (en) 2012-09-06 2018-05-01 Samsung Display Co., Ltd. Sensing unit, flexible device, and display device
US10054987B2 (en) 2015-03-20 2018-08-2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modul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20180123644A (ko) * 2018-11-01 2018-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20190121737A (ko) * 2019-10-18 2019-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US10503274B2 (en) 2012-07-30 2019-1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US10514775B2 (en) 2013-12-19 2019-12-24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Electronic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US10615485B2 (en) 2013-02-25 2020-04-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terminal with antenna device for display element or display assembly including flexible functional region
US11054929B2 (en) 2013-12-19 2021-07-06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Electronic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15186B1 (en) 2009-10-26 2016-09-2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ith flexible body for inputting a signal upon bending said body
KR101864185B1 (ko) * 2011-12-15 2018-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면 모드 변경 방법
US8610663B2 (en) * 2012-02-06 2013-12-17 Lg Electronics Inc.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672796B2 (en) * 2012-02-17 2017-06-06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US9851811B2 (en) * 2012-02-20 2017-12-26 Beijing Lenovo Software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375962B1 (ko) * 2012-02-27 2014-03-18 주식회사 팬택 플렉서블 단말기
CN103870040B (zh) * 2012-12-13 2017-02-08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的方法及电子设备
KR102028175B1 (ko) * 2012-07-30 2019-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제공하는 플렉서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79348B1 (ko) * 2012-07-30 2020-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장치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KR102016119B1 (ko) 2012-08-01 2019-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23066A (ko) * 2012-08-16 2014-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피드백 제공 방법
KR101948665B1 (ko) * 2012-08-23 2019-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26843A (ko) * 2012-08-23 2014-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링크 형성 방법 및 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15080B1 (ko) * 2012-09-17 2021-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40036499A (ko) * 2012-09-17 2014-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28717B1 (ko) * 2012-09-18 2019-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40044227A (ko) 2012-10-04 2014-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40051013A (ko) * 2012-10-22 2014-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이를 이용한 이미지 촬상 장치 및 이미지 편집 방법
CN102932551A (zh) * 2012-11-05 2013-02-1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使用柔性屏移动终端的加锁和解锁方法
CN103853514A (zh) * 2012-12-04 2014-06-1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的方法及电子设备
CN103902073B (zh) * 2012-12-25 2019-01-04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可弯曲式面板的操作控制方法及系统
KR101909492B1 (ko) 2012-12-27 2018-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장치와의 인터렉션 방법 및 사용자 단말
KR20140089816A (ko) * 2013-01-07 2014-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츠 주밍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단말
US9854693B2 (en) * 2013-01-24 2017-12-26 Lg Electronics Inc. Rear cover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0001914B2 (en) * 2013-03-21 2018-06-19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causing a deformation representation
KR20140116672A (ko) * 2013-03-25 2014-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휴대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 휴대 장치
US9354742B2 (en) * 2013-04-10 2016-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aging visible regions thereof
KR20150006191A (ko) * 2013-07-08 2015-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파노라마 이미지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4423538B (zh) * 2013-08-19 2018-02-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装置
CN104423553A (zh) * 2013-09-03 2015-03-18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基于柔性屏幕的终端设备控制方法
TWI514219B (zh) * 2013-12-17 2015-12-21 Ind Tech Res Inst 運用於軟性顯示面板的撓曲感測器及相關感測方法與系統
KR102351666B1 (ko) 2014-07-14 2022-01-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을 구비한 플랙서블 표시 장치
KR102255143B1 (ko) * 2014-09-02 2021-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벤디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4571534B (zh) 2015-02-10 2019-03-2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震动提示方法及电子设备
CN104980544B (zh) * 2015-07-13 2016-10-2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两端可折弯的柔性屏移动终端
CN106790821B (zh) 2015-07-13 2020-06-3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可分离滑动的柔性屏移动终端
CN105302515B (zh) * 2015-09-21 2018-08-0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6886324B (zh) * 2015-12-16 2020-08-11 宏碁股份有限公司 触控显示设备及其操作方法
KR20170077670A (ko) * 2015-12-28 2017-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581141B1 (ko) * 2016-06-22 2023-09-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이를 이용한 터치 감지 방법
CN106060225A (zh) * 2016-07-31 2016-10-26 张建平 曲屏手机单手解锁方法
CN106952582A (zh) * 2017-05-10 2017-07-14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具有弯折行为反馈功能的柔性显示装置及反馈方法
CN107831993B (zh) * 2017-10-24 2020-04-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播放控制方法、装置、终端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7908350A (zh) * 2017-12-28 2018-04-13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解锁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319445B (zh) * 2018-02-02 2020-05-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音频播放方法及移动终端
CN109799966A (zh) * 2018-12-20 2019-05-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确定显示区域的方法和电子设备
CN110716686A (zh) * 2019-09-29 2020-01-2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内容的切换方法及电子设备
KR102116125B1 (ko) * 2020-02-10 2020-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2327837B1 (ko) * 2020-02-10 2021-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11291A1 (en) * 2008-07-10 2010-01-14 Nokia Corporation User interface, device and method for a physically flexible device
KR20100027501A (ko) * 2008-09-02 2010-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00073297A1 (en) * 2008-09-24 2010-03-25 Penny Jean Beckwith System and method for incorporating a personalized writing style into a word program
JP2010157060A (ja) * 2008-12-26 2010-07-15 Sony Corp 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38494A1 (en) * 2005-04-22 2006-10-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lexible displays as an input device
JP4368392B2 (ja) * 2007-06-13 2009-11-18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変形センサシステム
JP5573158B2 (ja) * 2007-10-31 2014-08-20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透明導電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フレキシブル機能性素子
JP4909922B2 (ja) * 2008-02-29 2012-04-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可撓操作可能な情報表示端末装置、及び情報表示用インタフェース
KR101521219B1 (ko) * 2008-11-10 2015-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11291A1 (en) * 2008-07-10 2010-01-14 Nokia Corporation User interface, device and method for a physically flexible device
KR20100027501A (ko) * 2008-09-02 2010-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00073297A1 (en) * 2008-09-24 2010-03-25 Penny Jean Beckwith System and method for incorporating a personalized writing style into a word program
JP2010157060A (ja) * 2008-12-26 2010-07-15 Sony Corp 表示装置

Cited B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338B1 (ko) * 2012-06-05 2014-08-12 한국과학기술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정보 전달 방법, 정보 전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 제어방법 및 장치
US11036310B2 (en) 2012-07-30 2021-06-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US10503274B2 (en) 2012-07-30 2019-1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US9959811B2 (en) 2012-09-06 2018-05-01 Samsung Display Co., Ltd. Sensing unit, flexible device, and display device
US10615485B2 (en) 2013-02-25 2020-04-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terminal with antenna device for display element or display assembly including flexible functional region
US11431076B2 (en) 2013-02-25 2022-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terminal with antenna device for display element or display assembly including flexible functional region
KR20140114096A (ko) * 2013-03-18 2014-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KR20140137737A (ko) * 2013-05-23 2014-1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전자 장치의 잠금 해제 방법, 및 전자 장치의 주밍 및 토글링 제어 방법
KR20140141843A (ko) * 2013-05-31 2014-1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N105556450A (zh) * 2013-07-19 2016-05-04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控制设备的柔性设备、方法以及用于通过柔性设备显示对象的方法和装置
WO2015009128A1 (en) * 2013-07-19 2015-0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devic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object by flexible device
KR20150019248A (ko) * 2013-08-13 2015-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0503276B2 (en) 2013-12-19 2019-12-10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Electronic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US11054929B2 (en) 2013-12-19 2021-07-06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Electronic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O2015093667A1 (ko) * 2013-12-19 2015-06-25 전자부품연구원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KR101524949B1 (ko) * 2013-12-19 2015-06-02 전자부품연구원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US10514775B2 (en) 2013-12-19 2019-12-24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Electronic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O2016047850A1 (ko) * 2014-09-25 2016-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372165B2 (en) 2014-12-23 2019-08-06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WO2016104822A1 (ko) * 2014-12-23 2016-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US10054987B2 (en) 2015-03-20 2018-08-2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modul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CN104811517A (zh) * 2015-04-30 2015-07-29 上海华勤通讯技术有限公司 带柔性显示屏的移动终端及其自动贴附方法
KR20180123644A (ko) * 2018-11-01 2018-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20190121737A (ko) * 2019-10-18 2019-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58829A3 (en) 2014-04-30
CN102566816A (zh) 2012-07-11
US8654075B2 (en) 2014-02-18
CN102566816B (zh) 2014-10-22
EP2458829B1 (en) 2018-03-21
KR101664418B1 (ko) 2016-10-10
EP2458829A2 (en) 2012-05-30
US20120133621A1 (en) 201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4418B1 (ko) 이동 단말기
KR101578736B1 (ko) 이동 단말기
KR101517082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70416B1 (ko) 이동 단말기
KR101688134B1 (ko) 사이드 터치 입력 수단을 구비한 이동단말기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
KR20100035059A (ko) 이동 단말기
KR20100053349A (ko) 터치 모듈, 그 터치 모듈의 제조 방법 및 그 터치 모듈을 갖는 휴대 단말기
KR20110045330A (ko) 이동 단말기
KR20110016337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표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10058117A (ko) 터치스크린을 포함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20140373A (ko) 이동 단말기
KR20110045686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홀로그램 데이터 표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00063545A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수기 메모 방법
KR20100023256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 방법
KR20130083237A (ko) 이동 단말기
KR2010006225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KR20110032901A (ko) 이동 단말기
KR20130015319A (ko) 이동 단말기
KR101804914B1 (ko) 이동 단말기
KR20110046886A (ko) 휴대용 단말기
KR20110002366A (ko) 이동 단말기
KR20100093888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37654A (ko) 이동 단말기에서의 터치 신호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20120040826A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20100095256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