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1013A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이를 이용한 이미지 촬상 장치 및 이미지 편집 방법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이를 이용한 이미지 촬상 장치 및 이미지 편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1013A
KR20140051013A KR1020120117555A KR20120117555A KR20140051013A KR 20140051013 A KR20140051013 A KR 20140051013A KR 1020120117555 A KR1020120117555 A KR 1020120117555A KR 20120117555 A KR20120117555 A KR 20120117555A KR 20140051013 A KR20140051013 A KR 20140051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unit
shape
unit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7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우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7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1013A/ko
Priority to US13/896,535 priority patent/US20140111417A1/en
Publication of KR20140051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10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42Handling or displaying different aspect ratios, or changing the aspect rati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5Zooming at least part of an image, i.e. enlarging it or shrinking 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92Change of orientation of the displayed image, e.g. upside-down, mirrored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이를 이용한 이미지 촬상 장치 및 이미지 편집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미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형태 변형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 디스플레이부의 형태 변형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및 디스플레이부의 형태 변형이 감지되면, 디스플레이부의 형태 변형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변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이를 이용한 이미지 촬상 장치 및 이미지 편집 방법{FLEXIBLE DISPLAY APPARATUS, APPARATUS FOR CAPTURING IMAGE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EDITING IMAGE}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이를 이용한 이미지 촬상 장치 및 이미지 편집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변형하여 이미지를 편집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이를 이용한 이미지 촬상 장치 및 이미지 편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등의 이미지 촬상 장치는 피사체를 촬상하고, 촬상된 이미지를 디지털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이다. 이러한 종래의 카메라는 피사체를 촬상하는 과정에서 렌즈에 의해서 왜곡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카메라는 촬상된 이미지에 존재하는 왜곡(Lens Distorion)을 이미지 프로세서에서 의해서 사후적으로 보정(Correction)을 한다.
종래의 왜곡 보정 방식은 카메라의 제품 제조 당시에 기 설정한 왜곡률에 따라 촬영된 영상이 보정될 수 있다. 하지만, 피사체가 촬상되는 환경 및 렌즈 상태에 따라 렌즈 왜곡의 종류 및 특성이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왜곡은 배럴 왜곡(Barrel distortion), 핀쿠션 왜곡(Pincushion distortion), 머스타쉬 왜곡(mustache distortion) 등과 같이 다양한 왜곡 형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카메라는 기 정의된 몇 가지 왜곡 형태에 대해서 일률적인 왜곡률을 적용하여 촬영된 영상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고 있으므로, 정밀한 왜곡 보정을 수행할 수 없었다.
또는, 사용자가 피사체의 이미지를 인위적으로 변형할 경우에, 종래의 이미지 촬상 장치는 스마트 필터 기술에 따라 어안 효과를 사용하게 되면, 촬영된 영상을 어안 렌즈로 촬영한 것처럼 보이도록 이미지 프로세서로 후처리하여 영상 변환을 수행하였다.
또는, 촬영된 영상을 PC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변환을 할 수 있다. 다만, PC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이미지 편집 방법은 이미 설정된 효과만 사용가능하며, 사용자가 변형을 제어할 수는 없었다. 그리고, 종래의 이미지 편집 방법은 왜곡률을 수치적으로 입력하거나 사용자가 2차원적인 화면상에서 이미지를 변형하는 것만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이미지 편집 효과를 발휘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형태를 변형하여 직관적으로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이를 이용한 이미지 촬상 장치 및 이미지 편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은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미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형태 변형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태 변형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태 변형이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태 변형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이미지를 변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형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태를 분석하여 변환 좌표계를 산출하고, 상기 변환 좌표계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를 변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형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태를 분석하여 3차원 좌표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3차원 좌표값을 2차원 좌표값으로 매핑시켜서 상기 변환 좌표계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태 변형이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이미지를 변환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특정점을 중심으로 불특정 방향으로 벤딩 및 롤링 등의 형태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촬상 장치는, 이미지를 촬상하는 촬상부, 형태 변형이 가능하고, 촬상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태 변형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태 변형이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태 변형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이미지를 변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태 변형에 따라 변환된 이미지의 포커스, 콘트라스트, 샤프니스 및 화이트 밸런스 등을 조절하도록 상기 촬상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형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태를 분석하여 변환 좌표계를 산출하고, 상기 변환 좌표계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를 변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형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태를 분석하여 3차원 좌표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3차원 좌표값을 2차원 좌표값으로 매핑시켜서 상기 변환 좌표계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미지 촬상 장치는,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태 변형이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이미지를 변환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특정점을 중심으로 불특정 방향으로 벤딩 및 롤링 등의 형태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한 이미지 편집 방법은, 이미지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태 변형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태 변형이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태 변형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이미지를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상기 이미지를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변형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태를 분석하여 변환 좌표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 좌표계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를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상기 이미지를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태를 분석하여 3차원 좌표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상기 3차원 좌표값을 2차원 좌표값으로 매핑하여 상기 변환 좌표계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이미지 편집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태 변형이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이미지를 변환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특정점을 중심으로 불특정 방향으로 벤딩 및 롤링 등의 형태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이미지 촬상 장치의 이미지 편집 방법은, 이미지를 촬상하는 단계, 촬상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태 변형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태 변형이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태 변형에 따라 상기 이미지를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이미지 촬상 장치의 이미지 편집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태 변형에 따라 변환된 이미지의 포커스, 콘트라스트, 샤프니스 및 화이트 밸런스 등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이미지를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변형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태를 분석하여 변환 좌표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 좌표계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를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미지를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태를 분석하여 3차원 좌표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된 상기 3차원 좌표값을 2차원 좌표값으로 매핑시켜서 상기 변환 좌표계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이미지 편집 방법은, 변환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특정점을 중심으로 불특정 방향으로 벤딩 및 롤링 등의 형태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지는 디스플레이부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벤딩 상태를 감지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내지 도 8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벤드 센서를 이용하여 벤딩을 감지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 및 도 1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벤드 센서를 이용하여 벤딩을 감지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편집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편집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편집하는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장착된 카메라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이미지 촬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촬상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변형하는 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편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이미지 촬상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편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19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편집한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수신부(120), 감지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등을 포함하는 컨텐츠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부(110)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벤딩(bending) 가능한 특성을 가진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는 벤딩이 가능할 수 있는 구조 및 재질로 제작되어야 한다. 디스플레이부(110)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부분에서 설명한다.
수신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한다. 수신부(120)는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이러한 수신부(120)는 다양한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될 수 있는 통신 인터페이스로 기능할 수 있다.
감지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형태 변형을 감지한다. 즉, 디스플레이부(110)는 휘어질 수 있는 구조 및 재질로 제작되므로,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110)에 외력이 가해지면 외력의 종류에 따라 벤딩, 롤링 또는 이들이 조합된 형태의 변형이 발생된다.
감지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일측 표면 또는 양측 표면에 구비될 수 있는 벤드 센서에 의해서 표면 변형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즉, 감지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형태 변형에 대응하여 벤드 센서의 변위가 발생되면, 벤드 센서의 변위량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의 변형 여부, 변형 종류, 변형 정도, 변형 형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10)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된 상태에서, 감지부(130)를 통해서 디스플레이부(110)의 형태 변형이 감지되면, 형태 변형된 디스플레이부(110)의 형태 정보를 분석한다. 즉, 제어부(140)는 감지부(130)를 통해서 디스플레이부(110)의 형태 변형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형태 변형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종전 좌표계를 새로운 좌표계로 변환한다.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의 종전 좌표값을 새로운 좌표계로 매핑함으로써 이미지를 변환한다.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10)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10)의 벤딩이 감지되면, 벤딩된 디스플레이부(110)의 형태를 분석하지 않는다. 벤딩된 디스플레이부(110)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면, 벤딩된 디스플레이부(110)의 형태를 분석하고, 분석된 형태에 기초하여 종전 픽셀의 좌표값을 새로운 좌표값에 따라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변환한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세부 구성 및 그에 대한 벤딩 감지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의 구조 및 그 벤딩 감지 방법의 예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부의 기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10)는 기판(111), 구동부(112), 디스플레이 패널(113) 및 보호층(114)을 포함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종이와 같이 휘어지거나, 구부려지거나, 접혀지거나, 또는 말릴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유연한 기판 위에 제작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기판(111)은 외부 압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플라스틱 기판(가령, 고분자 필름)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플라스틱 기판은 기초 소재(base film)에 배리어 코팅(barrier coating)이 양면으로 처리된 구조를 갖는다. 기초 소재의 경우, PI(Polyimide), PC(Polycarbonite), PET(Polyethyleneterephtalate), PES(Polyethersulfone), PEN(Polythylenenaphthalate), FRP(Fiber Reinforced Plastic) 등의 다양한 수지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배리어 코팅은 기초 소재에서 서로 대향되는 면에 수행되며, 유연성을 유지하기 위해 유기막 또는 무기막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기판(111)은 플라스틱 기판 외에도 유리 박막(thin glass) 또는 금속 박막(metal foil) 등과 같이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소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구동부(112)는 디스플레이 패널(113)을 구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구동부(112)는 디스플레이 패널(113)을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며, a-si TFT,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동부(112)는 디스플레이 패널(113)의 구현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패널(113)은 복수의 화소 셀로 이루어진 유기 발광체 및 그 유기 발광체의 양면을 덮는 전극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구동부(112)는 디스플레이 패널(113)의 각 화소 셀에 대응되는 복수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각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로 전기 신호를 인가하여,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화소 셀을 발광시킨다. 이에 따라,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13)은 유기발광다이오드 외에도 EL, EPD(electrophoretic display), ECD(electrochromic display), LCD(liquid crystal disply), AMLCD, PDP(Plasma display Panel)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만, LCD의 경우, 자체적으로 발광할 수 없다는 점에서 별도의 백라이트가 요구된다. 백라이트가 사용되지 않는 LCD의 경우에는 주변 광을 이용한다. 따라서, 백라이트 없이 LCD 디스플레이 패널(113)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광량이 많은 야외 환경과 같은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보호층(114)은 디스플레이 패널(113)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보호층(114)에는 ZrO, CeO2, Th O2 등의 재료가 이용될 수 있다. 보호층(114)은 투명한 필름 형태로 제작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3) 표면 전체를 덮을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디스플레이부(110)는 전자 종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자 종이는 종이에 일반적인 잉크의 특징을 적용한 디스플레이로서, 반사광을 사용하는 점이 일반 평판 디스플레이와는 다른 점이다. 한편, 전자 종이는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캡슐을 이용한 전기영동을 이용하여 그림 또는 문자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10)가 투명한 재질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경우, 벤딩이 가능하면서 투명한 성질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도 구현될 수 있다. 가령, 기판(111)은 투명한 성질을 가지는 플라스틱과 같은 폴리머 재료로 구현되고, 구동부(112)가 투명 트랜지스터로 구현되며 디스플레이 패널(113)이 투명 유기 발광층 및 투명 전극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투명성을 가질 수 있다.
투명 트랜지스터란 기존 박막 트랜지스터의 불투명한 실리콘을 투명한 아연산화물, 산화 티타늄 등과 같은 투명 물질로 대체하여 제작한 트랜지스터를 의미한다. 또한, 투명 전극은 ITO(indium tin oxide)나 그래핀과 같은 신소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때 그래핀이란 탄소원자가 서로 연결돼 벌집 모양의 평면 구조를 이루며 투명한 성질을 가지는 물질을 의미한다. 그 밖에, 투명 유기 발광 층도 다양한 재료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에서 형태 변형, 즉, 벤딩을 감지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외부 압력에 의해 벤딩되어 그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벤딩에는 일반 벤딩, 폴딩, 롤링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일반 벤딩(normal bending)이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부러지는 상태를 의미한다.
폴딩(Folding)은 디스플레이부가 접혀지는 상태를 의미한다. 여기서, 폴딩 및 일반 벤딩은 벤딩되는 정도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가령, 일정한 벤딩 각도 이상으로 벤딩이 이루어지면 폴딩된 상태로 정의하고, 그 벤딩 각도 미만으로 벤딩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일반 벤딩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롤링(Rolling)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말려진 상태를 의미한다. 롤링 역시 벤딩 각도를 기준으로 판단될 수 있다. 가령, 일정 벤딩 각도 이상의 벤딩이 일정 영역에 걸쳐 감지되는 상태를 롤링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반면, 일정 벤딩 각도 미만의 벤딩이 롤링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영역에서 감지되는 상태를 폴딩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상술한 일반 벤딩, 폴딩, 롤링 등은 벤딩 각도 이외에 곡률 반경을 기초로 하여 판정될 수도 있다.
또한, 곡률 반경과 상관 없이 디스플레이부(110)가 말려진 단면이 거의(substantially) 원이나 타원에 가까운 형상을 갖는 상태를 롤링이라고 정의할 수도 있다.
다만, 이상과 같은 다양한 형태 변형 예들에 대한 정의는 일 예에 불과하며, 디스플레이부(110)의 종류나 크기, 무게, 특징 등에 따라 다르게 정의될 수도 있다. 가령, 디스플레이부(110)의 표면이 서로 맞닿을 수 있을 정도로 벤딩이 가능하다면, 폴딩은 벤딩과 동시에 장치 표면이 서로 접촉하는 상태로 정의될 수도 있다. 반면, 롤링은 벤딩으로 인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앞면과 뒷면이 서로 접촉하는 상태로 정의될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본 명세서는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벤딩 및 그 밖의 벤딩 형태를 총괄하여 벤딩이라 칭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양한 방식으로 벤딩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감지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 앞면이나 뒷면과 같은 하나의 표면에 배치된 벤드 센서(bend sensor)나 또는 양면 모두에 배치된 벤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감지부(130)의 벤드 센서에서 센싱되는 값을 이용하여 벤딩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벤드 센서(bend sensor)란, 그 자체로 구부러질 수 있으며, 구부러지는 정도에 따라 저항값이 달라지는 특성을 가지는 센서를 의미한다. 벤드 센서는 광섬유 벤딩 센서나, 압력 센서,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감지부(130)는 벤드 센서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 또는 벤드 센서를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이용하여 벤드 센서의 저항 값을 감지하고, 그 저항 값의 크기에 따라 해당 벤드 센서의 위치에서의 벤딩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벤드 센서가 디스플레이부(110)의 앞면에 내장된 상태를 나타내지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벤드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10)의 뒷면에 내장될 수도 있고, 양면 모두에 내장될 수도 있다. 또한, 벤드 센서의 형태, 개수 및 배치 위치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에는 하나의 벤드 센서 또는 복수 개의 벤드 센서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벤드 센서는 하나의 벤딩 데이터를 감지하는 것일 수도 있으나, 하나의 벤드 센서가 복수의 벤딩 데이터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싱 채널을 갖는 것일 수도 있다.
도 3에서는 복수 개의 바 형태의 벤드 센서들이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격자 형태를 이룬 예를 도시하였다.
도 3에 따르면, 벤드 센서는 제1 방향으로 나열된 벤드 센서(21-1 내지 21-5) 및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나열된 벤드 센서(22-1 내지 22-5)를 포함한다. 각 벤드 센서들은 서로 일정한 간격만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가로 및 세로 방향 각각으로 5 개씩 벤드 센서(21-1 내지 21-5, 22-1 내지 22-5)가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 등에 따라 벤드 센서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벤드 센서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은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이루어지는 벤딩을 감지하기 위해서이므로, 일부분만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지거나, 일부분에 대해서만 벤딩을 감지할 필요가 있는 장치인 경우에는, 해당 부분에만 벤드 센서가 배치될 수도 있다.
각 벤드 센서(21-1 내지 21-5, 22-1 내지 22-5)는 전기 저항을 이용하는 전기 저항식 센서 또는, 광섬유의 변형률을 이용하는 마이크로 광섬유 센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벤드 센서가 전기 저항식 센서로 구현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 4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에서 X축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면서, 디스플레이부(110)의 중심 영역이 Z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벤딩된 경우, 벤딩에 의한 외력이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 벤드 센서들(21-1 내지 21-5)에 가해진다. 이에 따라,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 각 벤드 센서(21-1 내지 21-5)에 변형이 생기고, 변형 크기에 따라 저항값이 달라지게 된다.
감지부(130)는 각 벤드 센서(21-1 내지 21-5)로부터 출력되는 출력값의 변화를 감지하여 디스플레이부(110)에서 X축 방향으로 벤딩이 이루어진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중심 영역이 디스플레이부(110)의 표면이 Z축을 따라 표면 방향으로 벤딩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디스플레이 표면을 기준으로 Z축을 따라 표면 반대 방향으로 벤딩된 경우에도 가로 방향의 벤드 센서(21-1 내지 21-5)의 출력값의 변화에 기초하여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도 5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의 형태가 상하측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Y축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져서 벤딩된 경우, 외력은 Y축 방향으로 배치된 벤드 센서들(22-1 내지 22-5)에 가해지게 된다. 외력에 의해서 벤드 센서들(22-1 내지 22-5)은 변형이 생기고, 변형 크기에 따라 저항값이 달라지게 된다. 감지부(130)는 Y축 방향으로 배치된 벤드 센서(22-1 내지 22-5)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세로 방향의 형태 변형을 감지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Z- 방향의 벤딩을 도시하였으나, Z+방향의 벤딩도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벤드 센서(22-1 내지 22-5)를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대각선 방향의 형태 변형인 경우, 장력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벤드 센서들에 모두에 가해지므로,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벤드 센서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대각선 방향의 형태 변형도 감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벤드 센서를 이용하여 일반 벤딩, 폴딩 및 롤링 등의 각 변형 형태를 감지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벤드 센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에서 벤딩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6은 디스플레이부(110)가 벤딩되었을 때, 디스플레이부(110)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벤딩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면 또는 양면에 배치된 벤드 센서도 함께 구부러지며 가해지는 장력의 세기에 대응되는 저항값을 가지며, 이에 대응되는 출력값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도 6과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벤딩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뒷면에 배치된 벤드 센서(31-1) 또한 구부러지고, 가해지는 장력의 크기에 따른 저항값을 출력한다.
이 경우, 장력의 세기는 벤딩 정도에 비례하여 커지게 된다. 가령, 도 6과 같이 벤딩이 이루어지게 되면, 중심 영역의 벤딩 정도가 가장 크게 된다. 따라서, 중심 영역인 a3 지점에 배치된 벤드 센서(31-1)에 가장 큰 장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벤드 센서(31-1)이 가장 큰 저항값을 가지게 된다. 반면, 바깥 방향으로 갈수록 벤딩 정도가 약해진다. 이에 따라, 벤드 센서(31-1)는 a3 지점을 기준으로 a2, a1 지점으로 갈수록, 또는 a4, a5 지점으로 갈수록 a3 지점보다 작은 저항값을 가지게 된다.
감지부(130)는 벤드 센서에서 출력되는 저항값이 특정 지점에서 최대값을 갖고 양쪽 방향으로 갈수록 출력되는 저항값이 점차 작아지면, 최대 저항값이 검출된 영역이 제일 큰 벤딩이 이루어진 영역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30)는 저항값이 변하지 않은 영역은 벤딩이 이루어지지 않은 플랫(flat) 영역으로 판단하고, 저항값이 일정 크기 이상 변한 영역은 벤딩이 조금이라도 이루어진 벤딩 영역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벤딩 영역을 정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의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앞면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으로 벤딩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벤드 센서들은 도시하지 않았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벤드 센서들에 대한 도면 부호는 도면마다 상이하게 부여하였으나, 실제로는 도 3에 도시된 구조와 같은 벤드 센서들이 그대로 이용될 수도 있다.
벤딩 영역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휘어져서 구부러진 영역을 의미한다. 벤딩에 의해 벤드 센서가 함께 구부러지게 되므로, 벤딩 영역은, 원 상태에서와는 다른 저항값을 출력하는 벤드 센서가 배치된 모든 지점으로 정의될 수 있다.
감지부(130)는 저항값 변화가 감지된 지점들간의 관계를 기초로 하여, 벤딩 라인의 크기, 벤딩 라인의 방향, 벤딩 라인의 위치, 벤딩 라인의 개수, 벤딩의 횟수, 형태가 변화되는 벤딩 속도, 벤딩 영역의 크기, 벤딩 영역의 위치, 벤딩 영역의 개수 등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항값 변화가 감지된 지점들 사이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내이면 저항값을 출력하는 지점들을 하나의 벤딩 영역으로 감지한다. 반면, 저항값 변화가 감지된 지점들 중 그 사이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이격된 지점이 존재하면, 이들 지점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벤딩 영역으로 구분하여 정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7 및 도 8을 참조한다.
도 7은 하나의 벤딩 영역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서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벤딩되면, 벤드 센서(31-1)의 a1 지점부터 a5 지점까지, 벤드 센서(31-2)의 b1 지점부터 b5 지점까지, 벤드 센서(31-3)의 c1 지점부터 c5 지점까지, 벤드 센서(31-4)의 d1 지점부터 d5 지점까지, 벤드 센서(31-5)의 e1 지점부터 e5 지점까지 원 상태에서와는 다른 저항값을 가지게 된다.
이 경우, 각 벤드 센서(31-1 내지 31-5)에서 저항값 변화가 감지된 지점들은 서로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여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감지부(130)는 벤드 센서(31-1)에서 a1 지점부터 a5 지점까지, 벤드 센서(31-2)에서 b1 지점부터 b5 지점까지, 벤드 센서(31-3)에서 c1 지점부터 c5 지점까지, 벤드 센서(31-4)에서 d1 지점부터 d5 지점까지, 벤드 센서(31-5)에서 e1 지점부터 e5 지점까지를 모두 포함하는 영역(32)을 하나의 벤딩 영역으로 감지한다.
도 8은 복수의 벤딩 영역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에 따라, 벤드 센서(31-1)의 a1 지점부터 a2 지점까지 및 a4 지점부터 a5 지점까지, 벤드 센서(31-2)의 b1 지점부터 b2 지점까지 및 b4 지점부터 b5 지점까지, 벤드 센서(31-3)의 c1 지점부터 c2 지점까지 및 c4 지점부터 c5 지점까지, 벤드 센서(31-4)의 d1 지점부터 d2 지점까지 및 d4 지점부터 d5 지점까지, 벤드 센서(31-5)의 e1 지점부터 e2 지점까지 및 e4 지점부터 e5 지점까지 원 상태에서와는 다른 저항값을 가지게 된다.
벤드 센서(31-1)에서 a1 지점부터 a2 지점까지 및 a4 지점부터 a5 지점까지는 각 지점을 기준으로 보면 각각 연속되지만 a2 지점 및 a4 지점 사이에는 a3 지점이 존재하므로 a2 지점부터 a4 지점까지는 연속적이지 않다. 따라서, a2 지점부터 a4 지점까지 사이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것으로 보면 a1 지점부터 a2 지점까지와 a4 지점부터 a5 지점까지는 서로 다른 벤딩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다른 벤드 센서들(31-2 내지 31-5)의 각 지점 역시 이와 마찬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벤드 센서(31-1)에서 a1 지점부터 a2 지점까지, 벤드 센서(31-2)에서 b1 지점부터 b2 지점까지, 벤드 센서(31-3)에서 c1 지점부터 c2 지점까지, 벤드 센서(31-4)에서 d1 지점부터 d2 지점까지, 벤드 센서(31-5)에서 e1 지점부터 e2 지점까지를 모두 포함하는 영역(34)을 하나의 벤딩 영역으로 정의하고, 벤드 센서(31-1)에서 a4 지점부터 a5 지점까지, 벤드 센서(31-2)에서 b4 지점부터 b5 지점까지, 벤드 센서(31-3)에서 c4 지점부터 c5 지점까지, 벤드 센서(31-4)에서 d4 지점부터 d5 지점까지, 벤드 센서(31-5)에서 e4 지점부터 e5 지점까지를 모두 포함하는 영역(35)을 다른 하나의 벤딩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한편, 벤딩 영역은 벤딩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벤딩 라인이란 각 벤딩 영역에서 가장 큰 저항값이 검출된 지점들을 연결하는 라인으로 정의될 수 있다.
가령, 도 7의 경우 벤딩 영역(33)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a3 지점, 벤드 센서(31-2)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b3 지점, 벤드 센서(31-3)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c3 지점, 벤드 센서(31-4)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d3 지점, 벤드 센서(31-5)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e3 지점을 연결하는 라인(33)을 벤딩 라인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벤딩 라인이 디스플레이 표면의 중앙 영역에서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 8의 경우, 벤딩 영역(34)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a1 지점, 벤드 센서(31-2)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b1 지점, 벤드 센서(31-3)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c1 지점, 벤드 센서(31-4)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d1 지점, 벤드 센서(31-5)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e1 지점을 연결하는 라인(36)을 하나의 벤딩 라인이 될 수 있다. 또한, 벤딩 영역(35)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a5 지점, 벤드 센서(31-2)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b5 지점, 벤드 센서(31-3)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c5 지점, 벤드 센서(31-4)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d5 지점, 벤드 센서(31-5)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e5 지점을 연결하는 라인(36)을 다른 하나의 벤딩 라인이 될 수 있다. 즉, 도 8에서는 디스플레이 표면의 좌우측 가장자리 부근에서 두 개의 세로 방향 벤딩 라인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9 및 도 1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벤드 센서를 이용하여 벤딩을 감지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의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10)의 모서리 부분에 벤드 센서(115-1, 115-2, 115-3, 115-4)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0)에 외력이 가해져서 변형이 일어나게되면, 벤드 센서들(115-1, 115-2, 115-3, 115-4)에도 외력이 가해지면서 변형이 이루어지고, 변형의 정도에 따라 저항값이 달라지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점선은 도 3 내지 5에서 벤드 센서가 배치된 영역이다. 도 9에서는 디스플레이부(110)의 가장 자리에 배치된 벤드 센서(115-1, 115-2, 115-3, 115-4)는 각각 벤딩 정도에 따라 저항값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제1 벤드 센서(115-1)은 5개 지점(a1, a2, a3, a4, a5)에서 벤딩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감지할 수 있다. 제2 벤드 센서(115-2)는 5개 지점(b1, b2, b3, b4, b5)에서 벤딩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감지할 수 있다. 제3 벤드 센서(115-3)는 5개 지점(c1, c2, c3, c4, c5)에서 벤딩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감지할 수 있다. 제4 벤드 센서(115-4)는 5개 지점(d1, d2, d3, d4, d5)에서 벤딩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130)는 a1 지점을 기준점으로 세로축 라인의 저항값은 제1 벤드 센서(115-1)의 제1 지점(a1)의 저항값과 제3 벤드 센서(115-3)의 저항값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a2 지점을 기준점으로 세로축 라인의 저항값은 제1 벤드 센서(115-1)의 제2 지점(a2)의 저항값과 제3 벤드 센서(115-3)의 저항값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a5 지점을 기준전으로 세로축 라인이 저항값은 제1 벤드 센서(115-1)의 제5 지점(a5)의 저항값과 제4 벤드 센서(115-4)의 저항값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도 10은 디스플레이부(110)에 외력이 가해져서 변형이 일어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10)의 변형이 일어나면, 제1 벤드 센서 내지 제4 벤드 센서(115-1, 115-2, 115-3, 115-4)에서 감지된 저항값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평면의 변형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의 X1 지점의 저항값은 제1 벤드 센서(115-1)의 제1 지점(a1)에서 감지된 저항값과 제3 벤드 센서(115-3)의 제1 지점(c1)에서 감지된 저항값을 이용하여 산출한다. X2 지점의 저항값은 제1 벤드 센서(115-1)의 제4 지점(a4)에서 감지된 저항값과 제4 벤드 센서(115-4)의 제2 지점(d2)에서 감지된 저항값을 이용하여 산출한다. X3 지점의 저항값은 제2 벤드 센서(115-2)의 제5 지점(b5)에서 감지된 저항값과 제4 벤드 센서(115-4)의 제5 지점(d5)에서 감지된 저항값을 이용하여 산출한다.
도 9에 도시된 3개의 지점과 도 10에 도시된 3개의 지점은 디스플레이부(110)에서 동일한 픽셀 지점을 나타낸다. 하지만, 도 9에서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형태 변형이 일어나지 않은 경우이고, 도 10에서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형태 변형이 일어난 경우이다.
도 9의 경우에는 x1, x2, x3 지점의 좌표값이 2차원 좌표계로 표현될 수 있다. 즉, 가로축(이하에서 X축으로 함), 세로축(이하에서 Y축으로 함)의 좌표값에 따라 3개 지점의 좌표값이 정해질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3개의 픽셀에 대해서만 좌표값 매핑 관계를 설명하지만,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제공하는 해상도에 따라 그 개수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9에서의 x1은 디스플레이부(110)의 형태 변형이 없으므로, 2차원 좌표값인 (a1, c1)으로 표현될 수 있다. 하지만, 도 10에서의 x1은 디스플레이부(110)의 형태 변형이 발생하였으므로, 종전의 2차원 좌표계로 표현할 수 없고, 3차원 좌표계에 따라 좌표값이 (a1, c1, z1)으로 변경된다. 여기서 z1의 값은 디스플레이부(110)의 가장 자리에 구비된 벤드 센서의 저항값에 따라 획득된 벤딩 정도 및 벤딩 방향에 따라 연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10에 도시된 x2와 x3는 종전의 2차원 좌표계에서 3차원 좌표계로 변환되고, x2 및 x3를 표현하기 위한 Z축 좌표값은 각각 벤드 센서에 의해서 감지된 저항값에 기초하여 벤딩 정도 및 벤딩 방향에 따라 연산될 수 있다.
도 11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편집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의 좌측 첫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렌즈 왜곡이 발생된 제1 이미지(1100-1)가 디스플레이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1의 좌측 두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로축 양 가장자리가 이미지 표시 방향을 향하도록 벤딩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중심축이 이미지 표시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벤딩된 상태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형태 변형이 이루어진다. 도 11의 좌측 두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형태 변형이 이루어지면, 렌즈 왜곡이 보정된 제2 이미지(1100-2)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140)는 감지부(130)를 통해서 디스플레이부(110)의 형태 변형을 감지하고, 감지된 변형 형태에 기초하여, 변형된 디스플레이부(110)의 3차원 좌표계를 산출한다. 제어부(140)는 제1 이미지(1100-1)의 좌표값을 새롭게 산출된 3차원 좌표계에 매칭시킴으로써 렌즈 왜곡을 보정하고, 렌즈 왜곡이 보정된 제2 이미지(1100-2)로 변환할 수 있다.
도 11의 좌측 세번째 도면을 참고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10)에 렌즈 왜곡이 보정된 제3 이미지(1100-3)가 디스플레이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1의 좌측 네번째 도면을 참고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로축 양쪽 가장 자리가 도 11의 좌측 두번째 도면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장 자리보다 더 가까워지도록 벤딩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중심축이 이미지 표시 방향을 향하도록 벤딩된 상태로 플레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형태 변형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형태 변형이 일어나면, 도 11의 좌측 네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안 효과를 갖는 제4 이미지(1100-4)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140)는 감지부(130)를 통해서 디스플레이부(110)의 형태 변형을 감지하고, 감지된 변형 형태에 기초하여, 변형된 디스플레이부(110)의 3차원 좌표계를 산출한다. 제어부(140)는 렌즈 왜곡이 보정된 제3 이미지(1100-3)의 좌표값을 새롭게 산출된 3차원 좌표계에 매칭시킴으로써 제3 이미지(1100-3)에 어안 효과를 부여함으로써, 어안 효과를 갖는 제4 이미지(1100-4)로 변환할 수 있다.
도 12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편집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세로축으로 기울이거나 가로축으로 기울이는 것으로 인한 이미지 편집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2의 좌측 첫번째 도면을 참고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제1 이미지(1200-1)가 디스플레이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2의 좌측 두번째 도면을 참고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세로축 방향으로 윗쪽이 이미지 표시 방향으로 향하고, 아래쪽이 이미지 표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향하도록 기울어진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제1 이미지(1200-1)를 세로축 방향으로 아래쪽에서 윗쪽으로 올려다보는 것과 같은 이미지 효과가 적용된 제2 이미지(1200-2)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140)는 감지부(130)를 통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울어짐을 감지하고, 감지된 기울어짐 방향 및 정도에 기초하여 좌표값을 변경하여 제1 이미지(1200-1)에서 제2 이미지(1200-2)로 이미지를 변환한다.
즉,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미지를 세로축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이미지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감지부(130)는 기울기 센서,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를 더 포함하여야 한다.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카메라 및 힌지 센서를 더 포함하여야 한다. 제어부(140)는 힌지 센서의 꺾임 각도에 기초하여 좌표값을 변경하여 제1 이미지(1200-1)에서 제2 이미지(1200-2)로 이미지 변환을 하게 된다.
도 12의 좌측 세번째 도면을 참고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제3 이미지(1200-3)가 디스플레이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2의 좌측 네번째 도면을 참고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가로축 방향으로 좌측이 이미지 표시 방향으로 향하고, 우측이 이미지 표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향하도록 기울어진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제3 이미지(1200-3)를 가록축 방향으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바라보는 것과 같은 이미지 효과가 적용된 제4 이미지(1200-4)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140)는 감지부(130)를 통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로축 기울어짐을 감지하고, 감지된 기울어짐 방향 및 정도에 기초하여 좌표값을 변경하여 제3 이미지(1200-3)에서 제4 이미지(1200-4)로 이미지를 변환한다.
도 13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편집하는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의 좌측 도면을 참고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로 방향양측 가장 자리를 벤딩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10)의 중심 영역이 이미지 표시 방향으로 향하면,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의 중심 영역은 변형이 크게 발생된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벤딩하여 이미지 변환을 하게 되면, 변환된 이미지(1300-1)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크기에 맞게 변환된다.
도 13의 우측 도면을 참고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로 방향으로 두 번의 벤딩을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10)의 제1 세로 영역과 제2 세로 영역에서 변형이 크게 발생하게 된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두 번 벤딩하여 이미지 변환을 하게 되면, 변환된 이미지(1300-2)는 2개 세로 영역에 변형이 발생된 상태로 디스플레이부(110)의 크기에 맞게 변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디스플레이부(110)를 변형함으로써, 변형 효과를 시각적으로 즉시 확인할 수 있고, 왜곡률을 수치로 입력하는 방식과 비교하여 보다 다양하고 기하학적인 이미지 변환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합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장착된 카메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상술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 저장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 조작에 의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형태 변형이 일어나면, 형태 변형을 감지하여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카메라(200)에 연결될 수 있고, 카메라(200)에 의해서 촬상된 이미지를 라이브 뷰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습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는 상술한 방식에 따라 이미지 편집을 할 수 있고, 편집된 이미지를 카메라(200)에 구비된 저장소에 저장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카메라(200)와 연결될 수 있고, 분리될 수도 있습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부(120)를 통해서 카메라(200)로부터 촬상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또는 카메라(200)에 기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습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카메라(200)와는 별개의 전자 장치이고, 카메라(20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210)와는 별개의 구성일 수 있습니다.
이렇게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카메라(200)에 장착할 경우에, 사용자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직접 만지면서 여러 가지 기하학적인 변환을 시도함으로써, 이미지 촬영 도중에 사용자에 의해서만 연출될 수 있는 독특한 이미지 변환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합니다.
이하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카메라(200)의 일부 구성으로 포함하는 이미지 촬상 장치의 실시 예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이미지 촬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촬상 장치(200)는 디스플레이부(210), 촬상부(220), 감지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촬상 장치(200)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부(210), 감지부(230) 및 제어부(240)는 상술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10), 감지(130) 및 제어부(140)와 그 기능이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이미지 촬상 장치(200)에서 특징적인 구성인 촬상부(220)와 이를 이용한 특징을 중심으로 이하에서 설명한다.
촬상부(220)는 피사체의 빛을 모아서 촬상 영역에 광학상이 맺히게 하는 렌즈,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빛을 전기 신호로 광전 변환하는 촬상 소자 및 촬상 소자의 아날로그 형태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D 컨버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촬상 소자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촬상 소자 및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촬상 소자일 수 있다.
제어부(240)는 디스플레이부(210)의 형태 변형에 따라 변환된 이미지의 포커스, 콘트라스트, 샤프니스 및 화이트 밸런스 등을 조절하도록 촬상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변형된 디스플레이부(210)의 형태를 분석하여 변환 좌표계를 산출하고, 변환 좌표계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변환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변형된 디스플레이부(210)의 형태를 분석하여 3차원 좌표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3차원 좌표값을 2차원 좌표값으로 매핑시켜서 변환 좌표계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촬상 장치(200)는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디스플레이부(210)의 형태 변형이 감지되면, 디스플레이부(210)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이미지를 변환하여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촬상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변형하는 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의 좌측 상단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촬상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10)는 촬상된 이미지의 라이브 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10)는 스위블될 수 있고,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면이 카메라 바디에 접하도록 접힐 수도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210)는 플렉서블한 소재로 제작되므로, 모서리 영역이 벤딩될 수 있다(도 16의 우측 상단 도면 참고). 또는 디스플레이부(210)는 가로축을 중심으로 벤딩될 수 있고(도 16의 좌측 하단 도면 참고), 디스플레이부(210)는 가로축으로 2번 이상의 벤딩도 가능하다(도 16의 우측 하단 도면 참고).
도 16에서는 가로축 방향으로 벤딩하는 경우에 대해서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촬상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10)는 플렉서블하므로, 가로축, 세로축 및 이들이 조합된 벤딩이 가능하고, 일부 영역만 벤딩될 수도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편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편집 방법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편집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입력하는 단계와(S1710), 입력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S1730), 디스플레이부(110)에 형태 변형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S1750) 및 디스플레이부(110)에 형태 변형이 감지되면 감지된 형태 변형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의 형태를 변환하는 단계(S1770)를 수행한다.
이렇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편집하는 방법을 도 17 및 19를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이미지 데이터가 입력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의 이미지가 입력되고, 디스플레이부(110)에 삼각형 이미지(1910)이 디스플레이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플렉서블하므로, 외력에 의해서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에 외력이 가해져서, 변형이 발생하면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도 변형된 형태의 이미지(1930)로 육안으로 관찰된다(도 19의 중간 도면 참고).
형태가 변형된 이미지(193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형태 변형에 의해서 비롯된 것이므로, 변형된 디스플레이부(110)의 좌표계에 대한 정보를 감지부(130)를 통해서 획득하고, 획득된 좌표계 정보에 기초하여 변환 좌표계를 산출해야한다.
디스플레이부(110)의 변형으로 이미지 형태가 변형되면, 육안으로는 확인되는 이미지(1930)와 동일한 변형 이미지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산출된 변환 좌표계로 이미지의 좌표계를 전사시킴으로써 이미지 변환을 한다.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부(110)가 변형됨으로써 육안으로 변환된 이미지로 관찰된 삼각형 이미지(1930)는 좌표계 리매칭을 통해서 평면 디스플레이부(110)에서도 동일한 형태의 이미지(1950)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이미지 촬상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편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이미지 촬상 장치의 이미지 편집 방법은, 이미지를 촬상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S1810), 촬상된 피사체의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촬상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며(S1820),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형태 변형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한다(S1830). 형태 변형이 감지되면(S1830-Y), 디스플레이부의 형태 변형에 따라 새로운 좌표계를 산출하고, 산출된 새로운 좌표계에 기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매칭시켜서 이미지를 변환한다(S1840). 이미지가 변환된 경우에, 변환된 이미지의 촬상 조건을 변경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S1850). 촬상 조건을 변경할 것으로 판단하면(S1850-Y), 변환된 이미지에 따라 촬상 조건을 변경한다(S1860). 예를 들어, 이미지의 포커스, 밝기, 샤프니스, 콘트라스트 및 화이트 밸런스 등을 변경함으로써 변환된 이미지 효과를 보다 향상시킨다. 촬상 조건이 변경된 이후에, 피사체가 새로운 촬상 조건으로 재 촬영되면, 촬상된 이미지를 변환하고, 변환된 이미지를 저장부에 저장한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편집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미지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디스플레이부의 형태 변형을 감지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부의 형태 변형이 감지되면, 디스플레이부의 형태 변형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변환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10 : 디스플레이부
111 : 기판 112 : 구동부
113 : 디스플레이 패널 114 : 보호층
120 : 수신부 130 : 감지부
140 ; 제어부 200 : 이미지 촬상 장치
210 : 디스플레이부 220 : 촬상부
230 : 감지부 240 : 제어부

Claims (22)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이미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형태 변형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태 변형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태 변형이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태 변형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이미지를 변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형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태를 분석하여 변환 좌표계를 산출하고, 상기 변환 좌표계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를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형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태를 분석하여 3차원 좌표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3차원 좌표값을 2차원 좌표값으로 매핑시켜서 상기 변환 좌표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태 변형이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이미지를 변환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특정점을 중심으로 불특정 방향으로 벤딩 및 롤링 등의 형태 변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6. 이미지 촬상 장치에 있어서,
    이미지를 촬상하는 촬상부;
    형태 변형이 가능하고, 촬상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태 변형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태 변형이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태 변형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이미지를 변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미지 촬상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태 변형에 따라 변환된 이미지의 포커스, 콘트라스트, 샤프니스 및 화이트 밸런스 등을 조절하도록 상기 촬상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촬상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형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태를 분석하여 변환 좌표계를 산출하고, 상기 변환 좌표계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를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촬상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형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태를 분석하여 3차원 좌표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3차원 좌표값을 2차원 좌표값으로 매핑시켜서 상기 변환 좌표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촬상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촬상 장치는,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태 변형이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이미지를 변환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촬상 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특정점을 중심으로 불특정 방향으로 벤딩 및 롤링 등의 형태 변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촬상 장치.
  1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한 이미지 편집 방법에 있어서,
    이미지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태 변형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태 변형이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태 변형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이미지를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편집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를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변형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태를 분석하여 변환 좌표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 좌표계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를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편집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를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태를 분석하여 3차원 좌표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상기 3차원 좌표값을 2차원 좌표값으로 매핑하여 상기 변환 좌표계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편집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편집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태 변형이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이미지를 변환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 편집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특정점을 중심으로 불특정 방향으로 벤딩 및 롤링 등의 형태 변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편집 방법.
  17.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이미지 촬상 장치의 이미지 편집 방법에 있어서,
    이미지를 촬상하는 단계;
    촬상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태 변형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태 변형이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태 변형에 따라 상기 이미지를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편집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편집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태 변형에 따라 변환된 이미지의 포커스, 콘트라스트, 샤프니스 및 화이트 밸런스 등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편집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를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변형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태를 분석하여 변환 좌표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 좌표계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를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편집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를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태를 분석하여 3차원 좌표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된 상기 3차원 좌표값을 2차원 좌표값으로 매핑시켜서 상기 변환 좌표계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편집 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편집 방법은,
    변환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편집 방법.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특정점을 중심으로 불특정 방향으로 벤딩 및 롤링 등의 형태 변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편집 방법.
KR1020120117555A 2012-10-22 2012-10-2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이를 이용한 이미지 촬상 장치 및 이미지 편집 방법 KR2014005101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555A KR20140051013A (ko) 2012-10-22 2012-10-2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이를 이용한 이미지 촬상 장치 및 이미지 편집 방법
US13/896,535 US20140111417A1 (en) 2012-10-22 2013-05-17 Flexible display apparatus, apparatus to capture image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editing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555A KR20140051013A (ko) 2012-10-22 2012-10-2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이를 이용한 이미지 촬상 장치 및 이미지 편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1013A true KR20140051013A (ko) 2014-04-30

Family

ID=50484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7555A KR20140051013A (ko) 2012-10-22 2012-10-2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이를 이용한 이미지 촬상 장치 및 이미지 편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111417A1 (ko)
KR (1) KR20140051013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0629A (ko) * 2014-09-11 2016-03-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 디스플레이 및 이의 영상 처리 방법
KR20170069103A (ko) * 2015-12-10 2017-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78544A (ko) 2016-12-30 2018-07-10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흡기매니폴드의 가변밸브 액추에이터
WO2019004594A1 (ko) * 2017-06-30 2019-01-03 (주)피엑스디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0216398B2 (en) 2015-04-16 2019-0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KR20220047962A (ko) * 2015-11-18 2022-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0235B1 (ko) * 2013-05-31 2020-08-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JP2015035209A (ja) * 2013-07-12 2015-02-1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
TWI514219B (zh) * 2013-12-17 2015-12-21 Ind Tech Res Inst 運用於軟性顯示面板的撓曲感測器及相關感測方法與系統
USD763849S1 (en) * 2014-07-08 2016-08-16 Lg Electronics Inc. Tablet computer
USD763848S1 (en) * 2014-07-08 2016-08-16 Lg Electronics Inc. Tablet computer
CN105678684B (zh) 2014-11-18 2020-11-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截取图像的方法及装置
US20180000179A1 (en) * 2016-06-30 2018-01-04 Alan Jeffrey Simon Dynamic face mask with configurable electronic display
US10636175B2 (en) * 2016-12-22 2020-04-28 Facebook, Inc. Dynamic mask application
CN112394894A (zh) * 2019-08-19 2021-02-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显示数据处理、显示方法、装置、终端及可读存储介质
WO2021112272A1 (ko) * 2019-12-03 2021-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4418B1 (ko) * 2010-11-25 2016-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9116599B2 (en) * 2012-03-19 2015-08-25 Autodesk, Inc. Systems and methods for visualizing a 3D scene using a flexible display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0629A (ko) * 2014-09-11 2016-03-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 디스플레이 및 이의 영상 처리 방법
US10216398B2 (en) 2015-04-16 2019-0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US11137890B2 (en) 2015-04-16 2021-10-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US11749151B2 (en) 2015-04-16 2023-09-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KR20220047962A (ko) * 2015-11-18 2022-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70069103A (ko) * 2015-12-10 2017-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78544A (ko) 2016-12-30 2018-07-10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흡기매니폴드의 가변밸브 액추에이터
WO2019004594A1 (ko) * 2017-06-30 2019-01-03 (주)피엑스디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11417A1 (en) 2014-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51013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이를 이용한 이미지 촬상 장치 및 이미지 편집 방법
US10365752B2 (en) Touch-control display panel and touch-control display device
US10949003B2 (en) Display apparatus for individually controlling transparency and rendering state of each of a plurality of areas and display method thereof
US9552105B2 (en) Display device having multi-touch recognizing func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561172B1 (ko) 디스플레이 내에 카메라 모듈이 포함된 전자 장치 및 상기 카메라 모듈 주변의 이미지를 보정하는 방법
EP2891940B1 (en) Display system, flexible remote controller,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54540B1 (ko) 곡면형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2278816B1 (ko)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US8139045B2 (en) Display device having multi-touch recognizing func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04204901B (zh) 移动设备光导显示
CN111417915A (zh) 包括用于使用通过形成在显示器中的开口的入射光来产生图像数据的传感器的电子装置
US20080303786A1 (en) Display device
US20150301672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60027342A (ko) 터치 패널 및 이의 구동 장치
CN103489372A (zh) 柔性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US9633478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30222432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displaying content
US10234903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5048118B2 (ja) 立体画像を表示するタッチパネル
US11683466B2 (en) Application processor,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KR101346865B1 (ko) 멀티 터치인식 기능을 가지는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US2013016267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02663731A (zh) 一种光学触摸系统中摄像机镜头光轴快速标定方法及系统
US11682183B2 (en) Augmented reality system and anchor display method thereof
KR20140094958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실행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