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3793A - 사료용 볏짚 저장 및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사료용 볏짚 저장 및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3793A
KR20120053793A KR1020100115092A KR20100115092A KR20120053793A KR 20120053793 A KR20120053793 A KR 20120053793A KR 1020100115092 A KR1020100115092 A KR 1020100115092A KR 20100115092 A KR20100115092 A KR 20100115092A KR 20120053793 A KR20120053793 A KR 20120053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tank
feed
dust
rice str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5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식
Original Assignee
박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식 filed Critical 박종식
Priority to KR1020100115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3793A/ko
Publication of KR20120053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37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9/00Cut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hay, straw or the like
    • A01F29/09Details
    • A01F29/12Discharg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0Arrangements of straw crushers or cut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9/00Cut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hay, straw or the like
    • A01F29/09Details
    • A01F29/16Safety devices, e.g. emergency brake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51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볏짚을 투입하면 회전 칼날에 의해 일정 길이를 갖는 사료용 볏짚으로 절단하여 배출시키는 볏짚 절단장치에서, 볏짚의 절단시 발생되는 먼지를 외부로 배출하여 먼지 발생을 최소화시키는 한편 절단된 사료용 볏짚을 사용하기 좋게 보관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덮개가 구비되고 일정 용량을 가지며 하측이 좁은 형태를 갖는 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탱크의 측면 상측으로 공지의 볏짚 절단장치에서 배출되는 사료용 볏짚과 먼지가 투입되는 투입구를 구비하며, 상기 탱크의 덮개에는 외부와 연결되는 배출배관을 구비하고, 상기 탱크의 저부에는 사료용 볏짚의 배출을 단속하는 배출판을 구비하며, 상기 덮개에는 배출배관을 향하여 날리는 사료용 볏짚을 차단하는 일정폭을 갖는 차단판을 구비함으로써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사료용 볏짚 저장 및 집진장치{Rice straw storage facility and collector system for feed}
본 발명은 볏짚을 투입하면 회전 칼날에 의해 일정 길이를 갖는 사료용 볏짚으로 절단하여 배출시키는 볏짚 절단장치에서, 볏짚의 절단시 발생되는 먼지를 외부로 배출하여 먼지 발생을 최소화시키는 한편 절단된 사료용 볏짚을 사용하기 좋게 보관하도록 하는 것이다.
벼를 탈곡한 볏짚은 소를 키우는데 훌륭한 사료로 사용되는 것으로, 볏짚은 통상의 볏짚 절단장치에 의해 5cm 내외의 크기로 절단한 후 사료로 사용하게 된다.
볏짚 절단장치는 회전되는 한 쌍의 칼날 사이로 볏짚을 투입하고, 볏짚이 회전되는 한 쌍의 칼날 사이를 지나면서 일정 길이를 갖는 사료용 볏짚으로 절단된 후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사료용 볏짚은 먼지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삼면이 막힌 장소에 쌓이게 되며, 이렇게 쌓인 사료용 볏짚은 손수레 또는 포대에 담아 운반하기 위하여 별도로 상차과정을 거쳐야 한다.
상기 볏짚 절단장치는 운용과정에서 마른 볏짚의 이동에 따른 먼지가 발생하는 한편 절단과정에서 심하게 먼지가 날리게 되므로, 배출구를 통하여 사료용 볏짚과 함께 먼지가 날리게 되며, 이러한 사료용 볏짚 절단과정에서 발생되는 먼지로 인하여 볏짚 절단장치는 폐쇄되거나 은폐된 공간에 놓고 운용을 할 수밖에 없다.
즉, 입구는 개방되고 삼면이 막힌 공간에서 볏짚 절단장치를 놓고 볏짚을 절단하게 되면, 볏짚 절단과정에서 발생되는 먼지와 사료용 볏짚은 공간의 안쪽으로 날리게 되고, 이로 인하여 사료용 볏짚은 공간의 내측으로 쌓이게 되나 먼지는 공간의 내부에 머물면서 서서히 사라지게 되므로, 볏짚을 절단하는 작업자는 상당한 량의 먼지를 마시게 되고, 볏짚 절단과정에서 발생된 먼지가 집안에서 처리가 이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기존의 볏짚 절단장치는 볏짚을 절단하여 사료용 볏짚으로 절단함에 있어서, 먼지의 발생은 피할 수 없었고, 또한 절단된 사료용 볏짚은 바닥에 쌓이는 형태로 작업을 하게 되어 사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손수레 등을 이용하여 바닥에 쌓인 사료용 볏짚을 퍼 올려 주어야 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볏짚을 사료용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볏짚 절단장치에서 발생되는 먼지를 외부공간으로 배출시킴으로써 볏짚 절단시 먼지의 영향을 크게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사료용 볏짚을 탱크에 저장하게 되어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한편 운반시 탱크의 하부에서 직접 손수레에 담을 수 있게 되므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덮개가 구비되고 일정 용량을 가지며 하측이 좁은 형태를 갖는 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탱크의 측면 상측으로 공지의 볏짚 절단장치에서 배출되는 사료용 볏짚과 먼지가 투입되는 투입구를 구비하며, 상기 탱크의 덮개에는 외부와 연결되는 배출배관을 구비하고, 상기 탱크의 저부에는 사료용 볏짚의 배출을 단속하는 배출판을 구비하며, 상기 덮개에는 배출배관을 향하여 날리는 사료용 볏짚을 차단하는 일정폭을 갖는 차단판을 구비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볏짚 절단장치에서 배출되는 사료용 볏짚과 먼지는 투입구를 통하여 탱크의 내부로 투입된 후 차단판에 의해 사료용 볏짚은 탱크의 바닥에 쌓이는 한편 배출배관을 통하여 먼지가 외부로 비산되게 하고, 탱크에 채워진 사료용 볏짚은 배출판을 열어 손수레 또는 포대에 담아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사료용 볏짚의 절단시 대량으로 발생하는 먼지를 배출배관을 통하여 외부로 비산시키게 되므로 볏짚 절단시 작업자가 먼지로부터 자유롭게 작업을 할 수 있고, 절단된 사료용 볏짚을 탱크에 채워 보관하게 되므로 위생적인 보관이 가능하며, 탱크의 저면에 손수레를 놓고 배출판을 열어주면 사료용 볏짚이 손수레에 담기게 되는 것으로, 사료용 볏짚을 손수레에 담아 운반하기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볏짚 절단시 발생되는 먼지를 외부로 완전히 배출시켜 제거하게 되므로, 볏짚 절단시 발생하는 다량의 먼지로부터 벗어날 수 있어 작업자가 안전하고 위생적으로 작업을 할 수 있게 되어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탱크 정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탱크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탱크 정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탱크 배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탱크 측면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탱크에서 배출판과 보조배출판을 개방한 상태의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사료용 볏짚이 탱크에 채워지는 상태를 보인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표시창을 보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볏짚 감지센서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사료용 볏짚을 포대에 담아주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사시도
본 발명은 통상의 볏짚 절단장치에서 절단되어 배출되는 사료용 볏짚을 탱크에 모아주는 동시에 먼지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사료용 볏짚을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볏짚 절단시 최소한의 먼지만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볏짚 절단장치에서 절단된 볏짚을 모아주는 탱크를 구비하되 상기 볏짚 절단장치에서 탱크로 절단된 사료용 볏짚과 먼지를 투입시키는 투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투입구로 투입된 사료용 볏짚은 차단판에 부딪혀 탱크에 쌓이도록 하며, 상기 탱크로 투입된 먼지는 탱크의 상부에서 외부와 연결된 배출배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볏짚 절단시 먼지 발생을 최소로 하고, 탱크에 쌓인 사료용 볏짚은 하단에 설치된 배출판을 개방시켜 배출시킴으로써 간단히 손수레에 싣고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공지의 볏짚 절단장치에서 볏짚을 절단하여 먼지와 함께 배출하는 사료용 볏짚이 탱크의 내부에 쌓이도록 하는 한편 먼지는 탱크에 연결된 배출배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것으로, 볏짚 절단시 발생되는 먼지의 영향을 줄이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 도면에 의거 살펴본다.
본 발명은 절단된 사료용 볏짚이 채워지는 일정 공간을 갖는 탱크(10)를 구비하고, 상기 탱크(10)의 일측에는 볏짚 절단장치(100)로부터 발생되는 사료용 볏짚과 먼지가 투입되는 투입구(20)를 구비하며, 상기 탱크(10)의 상부에는 외부와 연결되어 먼지를 배출시키는 배출배관(30)을 구비하고, 상기 탱크(10)의 덮개(40)에는 투입구(20)로 투입된 사료용 볏짚이 부딪혀 떨어지게 하는 차단판(50)을 구비하며, 상기 탱크(10)의 하측으로는 개폐 가능한 배출판(60)을 구비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탱크(10)는 상부가 덮개(40)로 씌워지되 하부가 상부보다 좁은 형태를 갖도록 하고, 상기 탱크(10)는 철판을 용접하여 제작하거나 합성수지 등을 이용하여 사출 제작하여도 무방한 것으로, 상기 탱크(10)는 볏짚 절단장치(100)에서 절단된 사료용 볏짚이 일정량 채워져 쌓이도록 하면 된다.
탱크(10)의 상부를 덮어주는 덮개(40)는 탱크(10)의 상부와 패킹 등으로 밀봉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볏짚 절단장치(100)에서 탱크(10)의 내부로 유입된 먼지가 탱크(10)와 덮개(40)와의 사이로 배출되지 않고, 덮개(40)에 끼워지는 배출배관(3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
본 발명에서 배출배관(30)은 덮개(40)의 상부에 끼워져 외부와 연결되는 플렉시블한 알루미늄관이나 수지관을 사용하게 되고, 탱크(10)의 내부에 채워진 공기는 배출배관(3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되므로, 볏짚 절단장치(100)와 탱크(10)가 설치된 곳에서 발생되는 먼지가 최소로 된다.
본 발명에서 탱크(10)의 일측면 상측에는 볏짚 절단장치(100)와 연결되는 투입구(20)를 설치하여 볏짚 절단장치(100)에서 배출되는 사료용 볏짚과 먼지가 탱크(20)의 내부로 투입되게 하고, 상기 투입구(20)는 볏짚 절단장치(100)에서 경사진 채로 탱크(10)의 덮개(40)쪽으로 사료용 볏짚과 먼지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투입구(20)와 배출배관(30)은 서로 대향된 위치에 설치되게 하는 것이 사료용 볏짚은 탱크(10)에 쌓이고 먼지만 배출배관(30)을 통하여 배출되게 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덮개(40)의 하부에는 배출배관(30)이 설치되는 위치에서 투입구(20)가 설치되는 쪽으로 돌출되는 차단판(50)을 설치하여 투입구(20)에서 배출되는 사료용 볏짚이 차단판(50)에 부딪혀 탱크(10)의 바닥으로 떨어지게 하고, 배출배관(30)으로는 사료용 볏짚이 배출되지 않고 먼지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탱크(10)의 하부에는 배출판(60)을 설치함으로써 배출판(60)을 닫았을 때 사료용 볏짚이 탱크(10)에 쌓이도록 하고, 반대로 배출판(60)을 열면 탱크(10)의 내부에 채워진 사료용 볏짚이 하부로 배출되게 한다.
여기서 배출판(60)은 힌지 방식으로 회동되며 개폐가 이루어지게 하되 스프링(61)으로 탱크(10)에 걸려있게 되므로, 배출판(60)이 탱크(10)의 하부를 막아줄 경우 스프링(61)에 의해 배출판(60)이 탱크(10)의 하부에 밀착되게 하고, 이와는 별도로 탱크(10)의 외측으로 자석(11)을 설치하여 배출판(60)이 열렸을 때 자석(11)에 의하여 배출판(60)이 열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즉, 배출판(60)이 회동되면 닿게 되는 탱크(10)의 외측에 자석(11)을 설치하여 배출판(60)을 열었을 때 배출판(60)이 자석(11)에 부착되게 하여 배출판(60)이 자연스럽게 닫히는 현상을 없애도록 한다.
그리고, 배출판(60)에도 자석(62)을 부착하는 경우 배출판(60)이 탱크(10)의 저면을 막아줄 때 배출판(60)이 자석(62)에 의해 탱크(10)의 하부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사료용 볏짚은 5cm 내외로 절단되어 탱크(10)에 쌓일 경우 배출판(60)을 개방하더라도 쉽게 배출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와 같이 배출판(60)을 열었을 때 탱크(10)에서 사료용 볏짚이 배출되지 않을 경우 갈고리를 이용하여 볏짚을 끌어내기 위하여 상기 배출판(60)과 대향된 위치에 보조 배출판(70)을 설치한다.
상기 보조 배출판(70)은 탱크(10)의 측면을 일부 개방시키는 것으로, 탱크(10)의 외측에는 자석(12)을 설치하여 보조 배출판(70)이 열렸을 경우 자석(12)에 의해 보조배출판(70)이 열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보조 배출판(70)에도 자석(71)을 설치하여 보조 배출판(70)이 닫혔을 경우 탱크(10)에 자석(71)으로 고정되어 있게 함으로써 사료용 볏짚을 채울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보조배출판(70)의 배출판(60)의 개방 후 열어줌으로써 보조 배출판(70)으로 막혔던 부분을 이용하여 탱크(10)의 내부에 채워진 사료용 볏짚을 긁어낼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배출판(60)의 개방으로는 사료용 볏짚이 원활히 배출되지 않을 경우 보조 배출판(70)을 개방하여 탱크(10)에 채워진 사료용 볏짚을 갈고리 등으로 긁어내는 것이다.
본 발명의 탱크(10)에는 일측으로 내부를 볼 수 있는 투시창(15)을 설치하여 탱크(10)에 채워지는 사료용 볏짚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이와는 별도로 탱크(10)의 상측으로 사료용 볏짚이 채워지는 것을 감지하는 볏짚 감지센서(16)를 설치한 후 볏짚 감지센서(16)가 사료용 볏짚이 채워짐을 감지하면 경고용 부저를 울리도록 함으로써 탱크(10)에 사료용 볏짚을 무작정 채우는 문제가 없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탱크(10)와 볏짚 절단장치(100)는 하나의 프레임(80)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80)에는 전후방으로 바퀴(81)를 설치하여 특정 장소로 이동하여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프레임(80)에는 폴리백이나 포대(1)를 걸을 수 있는 걸음고리(82)를 설치하되 상기 걸음고리(82)에 의해 걸리는 포대(1)는 탱크(10)의 하부에 위치하여 탱크(10)에서 배출되는 사료용 볏짚이 채워질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걸음고리(82)에는 스프링(83)을 매개로 하여 프레임(80)에 고정시킴으로써 포대(1)의 사방으로 걸음고리(82)를 끼워줄 경우 포대(1)는 스프링(83)의 탄성력에 의해 팽팽하게 벌어져 있다가, 사료용 볏짚이 채워지면 무게에 의해 일부 쳐지게 되나 스프링(83)에 의해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사료용 볏짚을 채우기가 용이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탱크(10)의 하부에 손수레를 놓을 경우 배출판(60)과 보조배출판(70)을 열어 쉽게 상차 과정 없이 사료용 볏짚을 손수레에 담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동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배출배관(30)의 선단에 필터백(90)을 씌워주는 경우 탱크(10)에서 배출배관(30)을 통하여 배출되는 분진이 필터백(90)에서 걸러진 후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되므로, 볏짚 절단장치(100)에서 배출된 사료용 볏짚은 탱크(10)에 쌓이는 한편 먼지는 배출배관(30)에서 필터백(90)을 통하여 배출되게 되므로, 비교적 깨끗하게 걸러진 공기가 배출되게 되고, 분진은 필터백(90)에 의해 걸러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사용하는 경우는 배출배관(30)의 선단이 외부에 설치되지 않고, 볏짚 절단장치(100)와 같은 공간에 설치되었을 경우에 사용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볏짚 절단장치(100)에서 절단된 사료용 볏짚과 분진은 투입구(20)를 통하여 탱크(10)로 투입시켜 사료용 볏짚은 차단판(50)에 부딪힌 후 바닥에 쌓이도록 하고 분진은 외부와 연결된 배출배관(3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하고, 탱크(10)에 채워진 사료용 볏짚은 하부에 설치된 배출판(60)이나 보조 배출판(70)을 개방하여 손수레나 포대(1)에 담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볏짚 절단시 발생다량의 먼지가 탱크(1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되므로 먼지의 발생을 최소화시키면서 볏짚 절단이 이루어지고, 사료용 볏짚이 탱크(10)에 채워진 채로 보관이 가능하여 깨끗한 상태로 사료용 볏짚을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탱크(10)에 채워진 사료용 볏짚을 포대(1)나 손수레에 싣기가 용이한 것으로, 상차 과없이 사료용 볏짚을 운반할 수 있다.
10 : 탱크 20 : 투입구
30 : 배출배관 40 : 덮개
50 : 차단판 60 : 배출판
70 : 보조배출판 80 : 프레임
90 : 필터백

Claims (7)

  1. 덮개가 구비되고 사료용 볏짚이 채워져 쌓이는 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탱크의 측면 상측으로 공지의 볏짚 절단장치에서 배출되는 사료용 볏짚과 먼지가 투입되는 투입구를 구비하며,
    상기 탱크의 덮개에 설치되고 탱크의 내부로 유입된 분진과 먼지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배관을 구비하고,
    상기 탱크의 저부에는 사료용 볏짚의 배출을 단속하는 배출판을 구비하며,
    상기 덮개에는 투입구에서 배출배관을 향하여 날리는 사료용 볏짚을 차단하는 일정 폭을 갖는 차단판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용 볏짚 저장 및 집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탱크의 하부에 설치되어 사료용 볏짚의 배출을 단속하는 배출판은 회동되며 개방되게 하되 스프링으로 탱크와 연결되게 하고, 상기 배출판과 대향된 위치의 탱크 측면에는 회동되며 개방되는 보조 배출판을 설치하여 사료용 볏짚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용 볏짚 저장 및 집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탱크의 하부에 설치되어 배출판과, 상기 배출판과 대향된 위치에 설치되는 보조 배출판은 자석을 이용하여 닫히고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용 볏짚 저장 및 집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탱크의 측면에는 사료용 볏짚이 쌓이는 정도를 확인하는 투시창이 설치되거나 사료용 볏짚 감지센서를 설치한 후 사료용 볏짚이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될 때 부저를 울려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용 볏짚 저장 및 집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탱크와 볏짚 절단장치는 하나의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는 이동을 위한 바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용 볏짚 저장 및 집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프레임에는 스프링을 매개로 하여 포대를 걸어는 걸음고리를 설치하고, 상기 걸음고리에 걸린 포대의 입구는 탱크의 하부에 설치되는 배출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용 볏짚 저장 및 집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배출배관의 선단에는 필터백을 씌워 볏짚 절단시 발생된 분진이 필터백에서 포집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용 볏짚 저장 및 집진장치.
KR1020100115092A 2010-11-18 2010-11-18 사료용 볏짚 저장 및 집진장치 KR201200537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5092A KR20120053793A (ko) 2010-11-18 2010-11-18 사료용 볏짚 저장 및 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5092A KR20120053793A (ko) 2010-11-18 2010-11-18 사료용 볏짚 저장 및 집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3793A true KR20120053793A (ko) 2012-05-29

Family

ID=46269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5092A KR20120053793A (ko) 2010-11-18 2010-11-18 사료용 볏짚 저장 및 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5379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16642A (zh) * 2016-10-12 2017-02-22 山东省农业机械科学研究院 秸秆粉碎机生产线
CN108605530A (zh) * 2018-04-28 2018-10-02 芜湖盛创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高效的农业用秸秆粉碎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16642A (zh) * 2016-10-12 2017-02-22 山东省农业机械科学研究院 秸秆粉碎机生产线
CN108605530A (zh) * 2018-04-28 2018-10-02 芜湖盛创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高效的农业用秸秆粉碎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3723B2 (en) Material handling device for vehicle
CN109417899A (zh) 在储存收割模式下控制收割机的升运机速度的系统和方法
BR112018006781B1 (pt) Enfardadeira agrícola
CA2533244A1 (en) Auger airlock assembly and end dump housing
KR20120053793A (ko) 사료용 볏짚 저장 및 집진장치
US20130149089A1 (en) Systems and devices for removing materials from vacuum truck tanks
CA2709914C (en) Platform for a portable vacuum and shredder apparatus
JP2011087531A (ja) コンバイン
TWI686131B (zh) 聯合收割機
JP7299010B2 (ja) エア搬送装置
JP2015000028A (ja) トウモロコシ収穫機
CN209314327U (zh) 智能采摘机
CN209796882U (zh) 一种粮食收集机器人
WO2005070191A1 (en) Apparatus attachable to a lawn mower for collecting lawn trimmings using a disposable collection bag
CN106939447A (zh) 汽车隔音棉的防堵开松机
JP7226971B2 (ja) エア搬送装置
KR100958105B1 (ko) 쓰레기 수거장치
JP2020075787A (ja) エア搬送装置
JP4041152B1 (ja) 返しを有する固定具
JPH07116824B2 (ja) ダストシュート
JP4181866B2 (ja) 吸引運搬車
CN213813542U (zh) 一种用于农产品供应链检测传输装置
JP6956677B2 (ja) 収穫機
CN206172295U (zh) 一种固废物及生活垃圾管道运输楼宇储存装置
US9273506B1 (en)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door of a bulk seed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