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3390A - 아토피 개선 효능을 갖는 보습탄력 화장품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아토피 개선 효능을 갖는 보습탄력 화장품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3390A
KR20120053390A KR1020100114634A KR20100114634A KR20120053390A KR 20120053390 A KR20120053390 A KR 20120053390A KR 1020100114634 A KR1020100114634 A KR 1020100114634A KR 20100114634 A KR20100114634 A KR 20100114634A KR 20120053390 A KR20120053390 A KR 20120053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extract
oil
manufacturing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4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0701B1 (ko
Inventor
강환열
이봉호
김계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플랜
김계선
이봉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플랜, 김계선, 이봉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플랜
Priority to KR1020100114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0701B1/ko
Publication of KR20120053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3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토피 개선 효능을 갖는 보습탄력 화장품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아토피에 효과가 있는 다수의 한방원료를 유용성 성분으로 추출하여 이루어지는 천연아토오일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유상원료를 제조하는 제1원료 제조단계(S1);와, 정제수와, 피부 진정 및 노폐물 제거에 효과가 있는 조롱나무 추출물과, 피톤치드 효과가 있는 소나무 추출물 등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수상원료를 제조하는 제2원료 제조단계(S2);와, 상온에서 상기 제1원료 제조단계(S1)에서 제조된 유상원료에 상기 제2원료 제조단계(S2)에서 제조된 수상원료를 서서히 첨가하면서 30 내지 60분 교반시키는 원료 교반단계(S3);와, 상기 원료 교반단계(S3)에서 교반된 원료를 3 내지 5일간 숙성하는 숙성단계(S4);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아토피에 효능이 있는 한방원료가 배합되어 이루어지는 천연아토오일을 사용하여 화장품을 제조함으로, 아토피 증상에 대한 개선 및 치료를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방원료를 수용성이 아닌 유용성 성분인 올리브 오일에 침적하여 필요성분을 추출하여 피부미용 및 질병예방에 우수하고 아토피 개선 효능을 갖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부 진정 및 노폐물 제거에 효과가 있는 조롱나무 추출물과, 피톤치드 효과가 있는 소나무 추출물 등을 포함하여 제조함으로 제품의 품질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아토피 개선 효능을 갖는 보습탄력 화장품 및 그 제조방법{The cosmetics to have an atopic dermatitis improvement efficacy making method besides}
본 발명은 아토피 개선 효능을 갖는 보습탄력 화장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토피에 효능이 있는 한방원료가 배합되어 이루어지는 천연아토오일을 사용하여 화장품을 제조함으로, 아토피 증상에 대한 개선 및 치료를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방원료를 수용성이 아닌 유용성 성분인 올리브 오일에 침적하여 필요성분을 추출하여 피부미용 및 질병예방에 우수한 아토피 개선 효능을 갖는 보습탄력 화장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토피 피부염이란 극심한 가려움증의 원인 중 하나이고 태열이라고도 한다. "이상한" 또는 "부적절한" 이란 뜻이 있으며 아직까지 확실하게 원인 규명이 되고 있지 못하다.
증상은 피부 건조, 습진 등으로 다양하게 표현되는 대표적 알레르기성 피부질환이다.
심한 가려움증을 가지는 재발성 만성 피부염이며, 유전적 요인이 있어 알레르기 천식, 알레르기 비염, 알레르기 결막염, 음식 알레르기와 같은 알레르기 환자나 가족에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환자 개개인의 유전적 요인, 환경, 연령 등에 따라 단독으로 또는 여러 질환이 동시에 나타나는 수가 있다. 매우 흔한 피부병이며 어린이의 약 10 내지 15%가 아토피 피부염이 있고 75%의 환자가 1세 이전에 발생한다. 약 90%의 어린이 환자가 5년 내 저절로 호전되며 이중 약 5% 환자가 어른이 되어서도 지속된다.
따라서, 일상 생활에서 피부에 항상 접촉되는 화장품을 통해 아토피 증상을 개선할 수 있는 기능성 화장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아토피에 효능이 있는 한방원료가 배합되어 이루어지는 천연아토오일을 사용하여 화장품을 제조함으로, 아토피 증상에 대한 개선 및 치료를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방원료를 수용성이 아닌 유용성 성분인 올리브 오일에 침적하여 필요성분을 추출하여 피부미용 및 질병예방에 우수한 아토피 개선 효능을 갖는 보습탄력 화장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피부 진정 및 노폐물 제거에 효과가 있는 조롱나무 추출물과, 피톤치드 효과가 있는 소나무 추출물 등을 포함하여 제조함으로 제품의 품질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아토피 개선 효능을 갖는 보습탄력 화장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토피 개선 효능을 갖는 보습탄력 화장품 제조방법은 아토피에 효과가 있는 다수의 한방원료를 유용성 성분으로 추출하여 이루어지는 천연아토오일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유상원료를 제조하는 제1원료 제조단계(S1);와, 정제수와, 피부 진정 및 노폐물 제거에 효과가 있는 조롱나무 추출물과, 피톤치드 효과가 있는 소나무 추출물 등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수상원료를 제조하는 제2원료 제조단계(S2);와, 상온에서 상기 제1원료 제조단계(S1)에서 제조된 유상원료에 상기 제2원료 제조단계(S2)에서 제조된 수상원료를 서서히 첨가하면서 30 내지 60분 교반시키는 원료 교반단계(S3);와, 상기 원료 교반단계(S3)에서 교반된 원료를 3 내지 5일간 숙성하는 숙성단계(S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원료 제조단계(S1)의 유상원료는 디메치콘(Dimethicone) 1 내지 3g, 사이클로 펜타 실록산(Cyclopentasiloxane) 1 내지 3g, 에몰리엔트 실리콘 3 내지 5g, 천연아토오일 1 내지 3g, 토코페릴 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0.1 내지 1g, 카프릴릴 글리콜(Caprylyl Glycol) 0.1 내지 1g, 글리세린(Glycerin) 0.5 내지 1.5g, 카프릴하이드록시믹애씨드 0.1 내지 0.3g으로 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원료 제조단계(S1)의 유상원료에 포함되는 상기 천연아토오일은, 자초, 당귀, 백선피, 고삼, 황백, 황련, 츌무그라씨, 감초, 알로에가 배합되어 이루어지는 한방원료에 유용성 성분인 올리브 오일에 침적시키는 원료배합 및 침적단계(S11);와, 상기 한방원료가 침적된 상기 올리브 오일을 가열하여 200 내지 30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30 내지 40분 동안 교반하는 가열 및 교반단계(S12);와, 상기 가열 및 교반단계(S12)가 완료되면 100℃로 온도를 낮추고, 200메쉬(mesh) 여과망으로 여과하는 여과단계(S13);와, 상기 여과단계(S13)를 거친 여과물을 9 내지 11일간 숙성하는 여과물 숙성단계;의 과정으로 제조되되,
상기 한방원료는 자초 10 내지 800g, 당귀 10 내지 700g, 백선피 10 내지 700g, 고삼 10 내지 700g, 황백 10 내지 600g, 황련 10 내지 600g, 츌무그라씨 10 내지 600g, 감초 10 내지 500g, 알로에 10 내지 800g의 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합된 한방원료에 대해 상기 올리브 오일은 100 내지 2200g이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원료 제조단계(S2)의 수상원료는 정제수 80 내지 82g, 글리세린 3 내지 5g, 유청단백질 0.1 내지 0.3g, 카모마일꽃 추출물 0.1g, 당근 추출물 0.1g, 장미수 0.2 내지 0.4g, 홍삼 추출물 0.3 내지 0.5g, 상황버섯 추출물 0.4 내지 0.6g, 조롱나무 추출물 0.2 내지 0.4g, 소나무 추출물 0.5 내지 1.5g으로 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토피 개선 효능을 갖는 보습탄력 화장품은 상기에 상술된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개선 효능을 갖는 보습탄력 화장품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아토피에 효능이 있는 한방원료가 배합되어 이루어지는 천연아토오일을 사용하여 화장품을 제조함으로, 아토피 증상에 대한 개선 및 치료를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방원료를 수용성이 아닌 유용성 성분인 올리브 오일에 침적하여 필요성분을 추출하여 피부미용 및 질병예방에 우수하고 아토피 개선 효능을 갖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부 진정 및 노폐물 제거에 효과가 있는 조롱나무 추출물과, 피톤치드 효과가 있는 소나무 추출물 등을 포함하여 제조함으로 제품의 품질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토피 개선 효능을 갖는 보습탄력 화장품 제조방법의 블럭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아토피 개선 효능을 갖는 보습탄력 화장품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천연오토오일의 제조방법의 블럭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아토피 개선 효능을 갖는 보습탄력 화장품 및 그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토피 개선 효능을 갖는 보습탄력 화장품 제조방법을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토피 개선 효능을 갖는 보습탄력 화장품 제조방법의 블럭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아토피 개선 효능을 갖는 보습탄력 화장품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천연오토오일의 제조방법의 블럭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토피 개선 효능을 갖는 보습탄력 화장품 제조방법(100)은 제1원료 제조단계(S1)와, 제2원료 제조단계(S2)와, 원료 교반단계(S3)와, 숙성단계(S4)를 포함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원료 제조단계(S1)는 아토피에 효과가 있는 다수의 한방원료를 유용성 성분으로 추출하여 이루어지는 천연아토오일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유상원료를 제조하는 단계로,
상기 제1원료 제조단계(S1)의 유상원료는,
디메치콘(Dimethicone) 1 내지 3g, 사이클로 펜타 실록산(Cyclopentasiloxane) 1 내지 3g, 에몰리엔트 실리콘 3 내지 5g, 천연아토오일 1 내지 3g, 토코페릴 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0.1 내지 1g, 카프릴릴 글리콜(Caprylyl Glycol) 0.1 내지 1g, 글리세린(Glycerin) 0.5 내지 1.5g, 카프릴하이드록시믹애씨드 0.1 내지 0.3g으로 배합되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천연아토오일은,
자초, 당귀, 백선피, 고삼, 황백, 황련, 츌무그라씨, 감초, 알로에가 배합되어 이루어지는 한방원료에 유용성 성분인 올리브 오일에 침적시키는 원료배합 및 침적단계(S11);와, 상기 한방원료가 침적된 상기 올리브 오일을 가열하여 200 내지 30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30 내지 40분 동안 교반하는 가열 및 교반단계(S12);와, 상기 가열 및 교반단계(S12)가 완료되면 100℃로 온도를 낮추고, 200메쉬(mesh) 여과망으로 여과하는 여과단계(S13);와, 상기 여과단계(S13)를 거친 여과물을 9 내지 11일간 숙성하여 추출된 원료의 안정도(분리, 침전, 변색 등)를 높이는 여과물 숙성단계(S14);의 과정으로 제조되되,
상기 한방원료는 자초 10 내지 800g, 당귀 10 내지 700g, 백선피 10 내지 700g, 고삼 10 내지 700g, 황백 10 내지 600g, 황련 10 내지 600g, 츌무그라씨 10 내지 600g, 감초 10 내지 500g, 알로에 10 내지 800g의 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합된 한방원료에 대해 상기 올리브 오일은 100 내지 2200g이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천연아토오일을 구성하는 한방원료의 효능을 상세히 살펴보면,
① 자초 : 각종 암, 생리불순, 혈액순환촉진, 해독, 피부화농성질병, 홍역예방, 피부병에 효혐이 있는 신비의 약초로 오래전부터 산삼에 못지않은 효능을 가지는 약초로 알려져 있다. 맛은 쓰고 성질은 차며 혈분의 열을 없애고 해독하며 발진을 순조롭게 한다. 이전에는 자초를 홍역의 예방치료로 주로 써왔으나 현대는 화농성 피부질병에 주로 쓰인다. 또한 항균, 항염, 배농, 해독작용을 가지며 새살을 빨리 돋아나오게 한다.
안덕균씨의 <한국본초도감>에서는,
- 성미 :맛은 달고 성질은 차다.
- 효능, 양혈(養血), 활혈투진(活血透疹), 제창해독(除瘡解毒)
- 해설 : ⅰ) 혈열로 인한 반진이 암자색을 보일 때에 유효하며, 토혈, 코피, 소변출혈에도 빠른 효과를 보인다. ⅱ) 홍역의 예방과 치료에 발병률을 감소시키며, ⅲ) 종기초기와 피부가 헐어 생긴 발진, 만성궤양, 자궁경부미란, 습진, 불이나 뜨거운 물에 데었을 때 등에 내복하거나 외용한다.
- 약리 : ⅰ) 황색포도상구균, 대장균, 인플루엔자균, 이질균, 피부진균에 억제작용이 있고, 면역반응에 억제작용을 나타낸다. ⅱ) 항염증작용과 가벼운 해열작용을 보이며, ⅲ) 자궁의 생리주기 및 발육을 현저하게 억제시키므로 피임작용을 나타낸다. ⅳ) 소량사용하면 강심작용이 있고 다량 사용하면 억제작용을 나타낸다.
② 당귀 : 당귀(當歸)는 “마땅히 돌아간다,”, “회춘한다”는 뜻을 가지며, 뿌리와 전초에 쿠마린이 비교적 많이 들어 있어 항산화작용이 우수하며, 자외선에 의해 야기되는 피부노화 과정을 지연,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혈액순환촉진으로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피부에 영양분공급과 윤기를 부여함으로써 매끄러운 피부를 유지시켜준다. 또한 항염효과와 피부진정작용이 우수하고, 수렴작용이 뛰어나다.
③ 백선피 : 봉황삼으로 불리기도 하며, 천제가 지상에 내려와 단 한뿌리를 얻어간다는 전설적인 산삼이다. 본초강목에서 말하는 봉황산삼은 억균작용, 피부소양증, 두드러기에 효과적이며, 동의학에서는 아토피성피부염, 몸속의 독을 없앤다고 나와 있다.
④ 고삼 : 뿌리에 마트린, 옥시마트린, 소포라놀, 알칼로이드등이 들어 있어 항염증작용, 항알레르기 작용을 가지며 피부 가려움증과 과민반응을 억제한다. 뛰어난 항염증 항균작용으로 염증의 증식을 억제하고 열독으로 인한 피부 조직의 손상을 예방하고 치유하는 효과가 있으며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있어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⑤ 황백 : 황백은 맛은 쓰고 성질은 차며 독이 없다. 신경, 방광경에 작용하며, 유행성 뇌막염, 세균성 이질에 효과적이다.
⑥ 황련 : 열을 내려주며 소화기에 저체되어 있는 습열(濕熱)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기 때문에 열을 모여서 생긴 병증을 치료하는 요약(要藥)이 된다. 심(心)에 열이 있으면 정신불안 및 신경쇠약등의 증상이 나타나는데 이것을 치료하며 혈분(血分)에 열이 있어서 생긴 각종의 출혈증에도 응용된다. 가슴에 두근두근하면서 잠이 오지 않는 불면증, 눈과 귀에 종기가 나고 종양이나 종기, 입안 헌 것이나 어린이의 감기을 없애며 눈을 밝게 하며 눈에 눈물이 흐르는 증상을 치료한다. 또한 간기(肝氣)를 진정시키고 열독(熱毒)을 제거하는 작용도 있다.
⑦ 츌무그라씨 : 풍사와 습사를 없애고 기생충을 없앤다. 항균작용을 가지며, 외용약으로 쓸 때는 껍질을 버리고 찧어 붙이거나 까맣게 태워 가루내서 기초(약)제에 섞어 환부에 바르거나 붙인다. 과거에는 문둥병, 옴, 가려움증과 같은 증상에 약리작용을 보였다는 학설이 있다.
⑧ 감초 : 피부의 자기정화작용기능의 저하로 인한 피부트러블을 방지하기 위하여 항염증, 알레르기, 치유효과에 우수하다. 감초는 주로 뿌리에 약효가 있으며 한약방에서는 “약방의 감초”라는 말과 같이 빠뜨리지 못하는 생약의 하나이다. 모든 한방제에 배합되어 소위 교미(矯味)약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멜라닌 색소를 억제하고 또한 해독작용이 있어 상처 난 피부를 치유하며, 피부 본연의 맑고 투명한 피부로 가꾸어준다.
⑨ 알로에 : 상처가 난 곳을 치유하며, 영양소 공급을 도와 여러 질병에 대한 면역력을 길러준다. 습진이 있는 곳, 상처난 부위에 알로에를 즙을 내서 바르면 상처부위가 빠르게 회복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우수한 효능을 갖는 각종 한방원료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본 발명의 아토피 개선 효능을 갖는 보습탄력 화장품은 아토피 피부의 가려움증을 완화 개선하여 현대인에게 빈번하게 발생하는 아토피 증상에 대한 개선 및 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용성 성분으로 사용되는 올리브 오일은 비타민 E와 프로비타민을 함유하고 있어 피부노화를 막고 피부의 독소를 빼 주어 피부미용에 좋으며, 불포화지방산 및 토코페롤 등과 같은 항산화성분이 함유되어 각종 질병예방에 좋은 효능을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한방원료에서 성분을 추출하기 위해서 통상의 수용성 성분(물, 알코올, 폴리올 등)으로 추출하지 않고 유용성 성분인 상기 올리브 오일로 추출함으로, 추출물의 안정도(분리, 침전, 변색 등)를 높일 뿐만 아니라, 상기 올리브 오일의 효능적인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원료 제조단계(S2)는 정제수와, 피부 진정 및 노폐물 제거에 효과가 있는 조롱나무 추출물과, 피톤치드 효과가 있는 소나무 추출물 등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수상원료를 제조하는 단계로,
정제수 80 내지 82g, 글리세린 3 내지 5g, 유청단백질 0.1 내지 0.3g, 카모마일꽃 추출물 0.1g, 당근 추출물 0.1g, 장미수 0.2 내지 0.4g, 홍삼 추출물 0.3 내지 0.5g, 상황버섯 추출물 0.4 내지 0.6g, 조롱나무 추출물 0.2 내지 0.4g, 소나무 추출물 0.5 내지 1.5g으로 배합되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수상원료에 포함되는 원료 중에서 면역력 증강효과를 갖는 상황버섯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의 효능에 대해서 살펴보면,
① 상황버섯 추출물
상황버섯은 20년 이상 된 뽕나무의 죽은 고목에서 자생하는 노란색의 버섯으로 그 모양은 초기에는 노란 진흙덩이가 뭉친 것 같은 형태로 유지되다가, 다 자란 후의 모습은 나무 그루터기에 혓바닥을 내민 모습이어서 수설(樹舌)이라고도 한다. 동의보감에는 항암효과가 우수하다고 알려지고 있어 현재 고가로 유통되고 있다.
1. 상황버섯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크산틴과 크산틴옥시다제 효소반응으로 생성되는 활성산소(O2 -)가 니트로블루 테트라졸리움(Nitroblue tetrazolium : NBT)과 반응할 때 생성되는 청색을 측정하는 것으로 활성산소량을 측정한다. 크산틴과 크산틴옥시다제 효소반응으로 생성되는 활성산소를 NBT법으로 측정하여 상황버섯 추출물이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효과(SOD, super oxide desmutase 활성작용)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항산화 효과가 뛰어나다고 알려진 비타민 E(42.3%)에 비해 상황버섯 추출물은 우수한 항산화 효과(46%)를 보여 피부노화방지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일반적으로 활성산소는 정상적인 세포 대사과정, 약물 대사과정, 염증, 자외선 등에 의해 세포내에서 지속적으로 생성된다. 그러므로 생체는 이들에 의하여 일어나는 프리 라디칼 반응의 유해효과에 항상 노출되어 있다. 특히 세포의 연령증가에 따라 이들의 유해효과가 점진적으로 축적되어 각종 노화관련 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결과적으로 활성산소에 의한 생체내 프리 라디칼 반응을 억제시켜줄 수 있는 상황버섯 추출물과 같은 항산화 물질이 필요하다.
상황버섯 추출물의 경우 항산화 효과가 뛰어나므로 노화방지 제품에 첨가할 경우효능 효과가 우수한 제품이 될 것이다.
2. 상황버섯 추출물의 면역증강 효과
생체 내 면역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대식세포 (마크로파지)가 활성화 되면 super- oxide 나 hydrogenperoxide와 같은 반응산소 중간 물질이나 nitric oxide와 같은 반응질소 중간 물질을 생성하여 세포내 미생물을 효과적으로 사멸시키거나 번식을 저지하게 된다. Nitric oxide는 굉장히 불안정하여 수초간 존재하다가 산소와 물에 의해 nitrite와 nitrate로 바뀐다. Nitrite와 Griess reagent와의 반응으로 정색반응이 일어나므로 간접적으로 nitric oxide를 정량할 수 있다.
상황버섯 추출물에 의한 면역증강 정도를 평가하고자 마우스 복강내에서 활성화된 대식세포에 의해 생성되는 superoxide anion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인 LPS나 인터페론에 비해 상황버섯 추출물 투여군에서 superoxide anion의 양이 1.2-1.8배 증가되었다. 상기의 결과로 볼 때, 상황버섯 추출물은 대식세포를 활성화시키는 우수한 면역증강물질로 사료된다. 결과적으로 볼 때 상황버섯 추출물은 각종 피부손상의 방지 및 개선효과가 탁월하며 안전성면에서도 매우 우수하다. 또한, 상황버섯 추출물을 화장품에 함유 시 우수한 노화방지효과를 나타낸다.
②홍삼 추출물
뿌리는 약용하고 그 형태가 사람형상이므로 홍삼이라고 하는데 예로부터 불로 장생의 명약으로 일컬어진다. 각각 재배에 따라 나누어지는데 산에 절로 자란 것을 산삼, 밭에 심은 것을 재배삼, 산에 심어 기른 것을 장뇌삼이라고 한다. 재배삼은 짜뿌리를 자르고 말린 것을 백삼, 쪄서 말린 것을 홍삼이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영양소가 많이 함유되어 있는 인삼은 4년근, 홍삼은 6년근 이상이며, 수삼보다 건삼이 건삼보다 쪄서 숙성시켜 건조시킨 홍삼이 효가가 높다. 주요성분으로 뿌리에는 배당체, 정유, 기름, 아미노산, 알카로이드, 탄수화물, 비타민, 수지, 미량원소등이 있다. 홍삼의 배당체 성분은 오래전부터 연구되어 왔다.
홍삼의 사포닌이란 성분에는 피부를 아름답게 하는 효능이 많다. 사포닌에는 피부세포부활 작용이 있는데, 피부표면에 생긴 상처나, 트러블에 효과가 있으며, 홍삼의 사포닌 성분이 피부의 제일 바깥쪽의 각질층을 깨끗하게 해 주므로 표면의 조직이 거칠게 된 피부도 좋아진다.
이와 같이 홍삼의 사포닌은 피부세포에 직접작용하여, 고운 피부를 만들어 준다. 최근 자료에 따르면 사포닌 속의 파나기산이란 성분이 보습제의 작용을 해 피부에 윤기를 준다고 한다.
또, 한 가지의 기능은 혈행촉진작용에 있다. 혈행이 나빠지면 여러 가지 증상이 발생한다. 피부가 거칠어지는 증상도 그 한가지로 피부세포가 영양부족상태가 된다. 특히 영향을 받기 쉬운 곳이 얼굴인데, 모세혈관이 대단히 많아 피의 흐름이 순조롭지 못하면 그 부작용이 직접 얼굴에 나타난다. 홍삼의 사포닌에는 혈중의 여분의 콜레스테롤, 그리고 중성지방을 제거시켜 혈류를 도와주므로 혈행불량의 개선에 효과가 뛰어나고 피부세포에 충분한 영양과 산소를 공급하여 피부가 싱싱하게 되돌아 온다.
또한, 상기 수상원료에 포함되는 원료 중에서 피부진정 및 수렴효과를 갖는 유청단백질, 카모마일꽃 추출물, 당근 추출물, 장미수, 조롱나무 추출물, 소나무 추출물의 효능에 대해서 살펴보면,
① 유청단백질
피부내에서 세포가 증식되도록 자극하며 상처 입거나 세포가 부족한 곳으로 세포를 이동시켜 피부내 세포 발란스를 맞추어 주는 과학적인 미용 원료이다.
② 카모마일꽃 추출물
카모마일은 남서부 유럽등에 자생하는 허브로, 식물전체가 달콤한 사과의 향을 가지고 있어 사과란 의미로 카모마일(그리스어 카매레론=대지의사과)이란 이름이 붙여졌다.
카모마일은 로마제국의 팽창과 함께 유럽전역에 퍼진 역사가 오랜 약초의 하나로서 유럽에서는 가정상비약이라 하면 카모마일을 연상할 만큼 보편화 된 약초이다. 약리작용으론 이완효과를 포함한 진정작용, 소화촉진작용이 뛰어나 예로부터 민간약으로 알려져 있다. 효능효과에서는 먼저 리폭시게나제 활성억제이며, 이는 염증을 발생시키는 효소의 경로는 두 가지가 있으나, 그중 Lipoxygenase의 활성경로를 차단하여 염증의 발생을 억제한다.
두 번째는 프리라디칼 소거활성으로 프리라디칼은 생체내 지질, 단백질을 산화시키고, DNA의 변화, 노화등의 생리적과정에 변화를 주고 있다. 이러한 프리라디칼을 카모마일의 함유하고 있는 Flavonoids성분이 천연 SOD물질로 이를 억제한다.
③ 당근 추출물
아프가니스탄이 원산지이며, 높이는 1m에 달하고 곧게 자란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학슬풍이라는 약재로 쓴다. 당근에 많이 포함되어 있는 Carotene(Alpha, Beta carotene)은 몸속에 들어가 Vitamin A가 되면서 중요한 수행한다. 특히 비정상적 각질화피부와 건성피부를 치유하는 작용이 있다. 만약 이 성분이 부족할 경우 여러 감염에의 위험성이 증가한다. 그러므로 vitamin A와 carotene이 많은 당근은 피부의 건강함을 유지하는데 좋다.
또한, 당근은 강장, 피로회복에 쓰이며 호흡을 순조롭게 하고 위장이나 허파를 건강하게 해준다. 당근은 식욕을 증진시키고 소화를 도우며 미용에도 효과가 있다. 당근에다 사과 등을 첨가해서 갈아서 쥬스를 만들어 마시면 효과가 있다. 왜냐하면 부신피질 호르몬의 분비를 왕성하게 하기 때문이다
또한, Vitamin A의 공급원인 당근은 피부뿐만 아니라 인체에도 아주 유용한 채소이다. Vitamin A뿐만 아니라 다양한 Vitamins가 있고 당질로는 절반이 서당으로 감미가 강하고 포도당, 전분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펙틴과 리그닌도 있다. 잎에는 한국인에게 부족하기 쉬운 리신 스테오닌도 많이 들어있다
④ 장미수
천연식물성 Astrigent로 피부 세포호흡증진 및 피부유연효과, 혈행을 촉진시키고 피부탄력을 증가시킨다. 또한 천연장미의 싱그러운 향기가 피로에 지친 피부에 휴식을 가져준다.
⑤ 조롱나무 추출물
동부와 중앙 북아메리카에 자생하는 조롱나무과 관목인 하마메리스 의 가지와 나무껍질에서 얻어지며, 미국의 인디언들의 중요한 치료제(지혈, 창상 등)로 사용되어 왔다. 조롱나무는 탄닌과 탄닌산이 들어 있어, 피부 진정, 노폐물 제거, pH 균형을 맞추는데 도움을 주는 성분으로서 외부로부터 피부를 보호해주고 트러블을 완화시킨다. 또한 수렴제로서 모공을 수축시키고 피지분비를 조절하며 지혈제의 역할이 우수하여 상처 난 피부에 많이 사용한다. 표피의 지질에 작용하여 각질 박리효과와 보습효과는 오래 전부터 알려져 왔다. 각질제거 능력과 항균작용이 우수하며 상대적으로 낮은 농도에서도 탄력과 보습효과가 우수하며 항산화능력도 매우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⑥ 소나무 추출물
피톤치드 효과를 통해 피부세포에 활력을 주고 면역력도 높여 주는 효능을 갖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료 교반단계(S3)는 상온에서 상기 제1원료 제조단계(S1)에서 제조된 유상원료에 상기 제2원료 제조단계(S2)에서 제조된 수상원료를 서서히 첨가하면서 30 내지 60분 교반시키는 단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숙성단계(S4)는 상기 원료 교반단계(S3)에서 교반된 원료를 3 내지 5일간 숙성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와 같은 제조단계를 통해서 제조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토피 개선 효능을 갖는 보습탄력 화장품은 아토피에 효능이 있는 한방원료가 배합되어 이루어지는 천연아토오일을 사용하여 제조함으로, 아토피 증상에 대한 개선 및 치료를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방원료를 수용성이 아닌 유용성 성분인 올리브 오일에 침적하여 필요성분을 추출하여 피부미용 및 질병예방에 우수하고 아토피 개선 효능을 갖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부 진정 및 노폐물 제거에 효과가 있는 조롱나무 추출물과, 피톤치드 효과가 있는 소나무 추출물 등을 포함하여 제조함으로 제품의 품질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제조단계를 통해서 제조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토피 개선 효능을 갖는 보습탄력 화장품은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먼저, 천연아토오일을 제작하기 위해서 각종 한방원료를 아래와 같이 배합한다.
-한방원료 : 자초 130g, 당귀 120g, 백선피 110g, 고삼 110g, 황백 100g, 황련 100g, 츌무그라씨 100g, 감초 90g, 알로에 130g으로 배합한다.
상기와 같이 배합된 한방원료를 추출하기 위해서 유용성 성분인 올리브 오일 1350g에 침적한다. (S11)
그런 후, 200 내지 300℃로 가열 유지하면서 35분간 교반한 후에 100℃까지 냉각한다. (S12)
그런 후, 200메쉬 여과망에 여과된 여과물을 상온에서 10일간 숙성시킨다. (S13, S14)
여기서, 여과는 2번 정도가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숙성기간은 9일 미만이면 효과적인 원료 추출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추출물의 안정도가 낮게 되며, 숙성기간이 11일이 초과되더라도 효과적인 원료 추출 및 안정도 증감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10일 정도가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천연아토오일의 제조가 완료되면,
디메치콘(Dimethicone) 2g, 사이클로 펜타 실록산(Cyclopentasiloxane) 2g, 에몰리엔트 실리콘 4g, 천연아토오일 2g, 토코페릴 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0.5g, 카프릴릴 글리콜(Caprylyl Glycol) 0.5g, 글리세린(Glycerin) 1g, 카프릴하이드록시믹애씨드 0.2g을 배합하여 유상원료를 제조하고, (S1)
정제수 80.9g, 글리세린 4g, 유청단백질 0.2g, 카모마일꽃 추출물 0.1g, 당근 추출물 0.1g, 장미수 0.3g, 홍삼 추출물 0.4g, 상황버섯 추출물 0.5g, 조롱나무 추출물 0.3g, 소나무 추출물 1g을 배합하여 수상원료를 제조한 후, (S2)
상온에서 상기 유상원료에 상기 수상원료를 서서히 첨가하면서 30 내지 60분 교반시킨 후 (S3), 교반된 원료를 4일간 숙성하여 제품을 완성한다. (S4)
상기와 같은 제조과정을 통해서 제조되는 아토피 개선 효능을 갖는 보습탄력 화장품은 아토피 증상에 대한 개선 및 치료를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방원료를 수용성이 아닌 유용성 성분인 올리브 오일에 침적하여 필요성분을 추출하여 피부미용 및 질병예방에 우수하고 아토피 개선 효능을 갖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부 진정 및 노폐물 제거에 효과가 있는 조롱나무 추출물과, 피톤치드 효과가 있는 소나무 추출물 등을 포함하여 제조함으로 제품의 품질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S1. 제1원료 제조단계 S2. 제2원료 제조단계
S3. 원료 교반단계 S4. 숙성단계
S11. 원료배합 및 침적단계 S12. 가열 및 교반단계
S13. 여과단계 S14. 여과물 숙성단계
100. 유상원료와 수상원료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화장품 제조방법

Claims (5)

  1. 유상원료와 수상원료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화장품 제조방법에 있어서,
    아토피에 효과가 있는 다수의 한방원료를 유용성 성분으로 추출하여 이루어지는 천연아토오일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유상원료를 제조하는 제1원료 제조단계(S1);
    정제수와, 피부 진정 및 노폐물 제거에 효과가 있는 조롱나무 추출물과, 피톤치드 효과가 있는 소나무 추출물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수상원료를 제조하는 제2원료 제조단계(S2);
    상온에서 상기 제1원료 제조단계(S1)에서 제조된 유상원료에 상기 제2원료 제조단계(S2)에서 제조된 수상원료를 서서히 첨가하면서 30 내지 60분 교반시키는 원료 교반단계(S3); 및
    상기 원료 교반단계(S3)에서 교반된 원료를 3 내지 5일간 숙성하는 숙성단계(S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개선 효능을 갖는 보습탄력 화장품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료 제조단계(S1)의 유상원료는,
    디메치콘(Dimethicone) 1 내지 3g, 사이클로 펜타 실록산(Cyclopentasiloxane) 1 내지 3g, 에몰리엔트 실리콘 3 내지 5g, 천연아토오일 1 내지 3g, 토코페릴 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0.1 내지 1g, 카프릴릴 글리콜(Caprylyl Glycol) 0.1 내지 1g, 글리세린(Glycerin) 0.5 내지 1.5g, 카프릴하이드록시믹애씨드 0.1 내지 0.3g으로 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개선 효능을 갖는 보습탄력 화장품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료 제조단계(S1)의 유상원료에 포함되는 상기 천연아토오일은,
    자초, 당귀, 백선피, 고삼, 황백, 황련, 츌무그라씨, 감초, 알로에가 배합되어 이루어지는 한방원료에 유용성 성분인 올리브 오일에 침적시키는 원료배합 및 침적단계(S11);
    상기 한방원료가 침적된 상기 올리브 오일을 가열하여 200 내지 30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30 내지 40분 동안 교반하는 가열 및 교반단계(S12);
    상기 가열 및 교반단계(S12)가 완료되면 100℃로 온도를 낮추고, 200메쉬(mesh) 여과망으로 여과하는 여과단계(S13); 및
    상기 여과단계(S13)를 거친 여과물을 상온에서 9 내지 11일간 숙성하는 여과물 숙성단계(S14);의 과정으로 제조되되,
    상기 한방원료는 자초 10 내지 800g, 당귀 10 내지 700g, 백선피 10 내지 700g, 고삼 10 내지 700g, 황백 10 내지 600g, 황련 10 내지 600g, 츌무그라씨 10 내지 600g, 감초 10 내지 500g, 알로에 10 내지 800g의 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합된 한방원료에 대해 상기 올리브 오일은 100 내지 2200g이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개선 효능을 갖는 보습탄력 화장품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원료 제조단계(S2)의 수상원료는,
    정제수 80 내지 82g, 글리세린 3 내지 5g, 유청단백질 0.1 내지 0.3g, 카모마일꽃 추출물 0.1g, 당근 추출물 0.1g, 장미수 0.2 내지 0.4g, 홍삼 추출물 0.3 내지 0.5g, 상황버섯 추출물 0.4 내지 0.6g, 조롱나무 추출물 0.2 내지 0.4g, 소나무 추출물 0.5 내지 1.5g으로 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개선 효능을 갖는 보습탄력 화장품 제조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개선 효능을 갖는 보습탄력 화장품.
KR1020100114634A 2010-11-17 2010-11-17 아토피 피부용 화장품 제조방법 KR101300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634A KR101300701B1 (ko) 2010-11-17 2010-11-17 아토피 피부용 화장품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634A KR101300701B1 (ko) 2010-11-17 2010-11-17 아토피 피부용 화장품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3390A true KR20120053390A (ko) 2012-05-25
KR101300701B1 KR101300701B1 (ko) 2013-08-26

Family

ID=46269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4634A KR101300701B1 (ko) 2010-11-17 2010-11-17 아토피 피부용 화장품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070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55435A (zh) * 2012-07-12 2012-10-31 中国人民解放军第三O二医院 一种治疗皮肤瘙痒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KR101663995B1 (ko) * 2015-05-19 2016-10-12 엄용태 천연물로부터 유래된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피부 외용제의 제조방법
WO2018203668A1 (ko) * 2017-05-04 2018-11-08 이종열 아토피 피부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20210153374A (ko) * 2020-06-10 2021-12-17 김회동 리모넨이 제거된 피톤치드를 함유한 무알러지성 화장료 조성물
KR102373819B1 (ko) * 2020-10-29 2022-03-14 임지영 항산화 화장품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599B1 (ko) 2013-12-09 2015-03-30 하재순 친환경 아토피 피부염 예방 및 개선용 크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68646B1 (ko) * 2019-12-10 2022-02-25 이진선 상온 유화 공정을 이용한 아토피 개선 로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5307A (ko) * 1997-12-27 1999-07-15 성재갑 팩 조성물
KR20050099332A (ko) * 2004-04-09 2005-10-13 조남일 다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0633041B1 (ko) * 2005-01-22 2006-10-12 최향자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한방 화장품
KR100795993B1 (ko) * 2005-07-28 2008-01-21 (주)비엠씨 아토피성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55435A (zh) * 2012-07-12 2012-10-31 中国人民解放军第三O二医院 一种治疗皮肤瘙痒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KR101663995B1 (ko) * 2015-05-19 2016-10-12 엄용태 천연물로부터 유래된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피부 외용제의 제조방법
WO2018203668A1 (ko) * 2017-05-04 2018-11-08 이종열 아토피 피부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20210153374A (ko) * 2020-06-10 2021-12-17 김회동 리모넨이 제거된 피톤치드를 함유한 무알러지성 화장료 조성물
KR102373819B1 (ko) * 2020-10-29 2022-03-14 임지영 항산화 화장품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0701B1 (ko) 2013-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0701B1 (ko) 아토피 피부용 화장품 제조방법
KR100893106B1 (ko) 발모용 조성물
KR101744103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63890B1 (ko) 차가버섯, 말굽잔나비버섯, 신령버섯 및 노루궁뎅이버섯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12500B1 (ko) 대나무 통 한방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US9554985B2 (en) Agent for promoting hair growth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KR100971629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15339A (ko) 여드름 치료용 크림 조성물
US7205009B2 (en) Composition for treating hair and scalp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KR20070079156A (ko) 두발 건강유지 및 모발 생장촉진 원료추출물
CN103041042B (zh) 一种藏药组合物及其在防脱生发产品中的应用
CN104856909A (zh) 一种可减少黑色素沉积的睡眠面膜及其制备方法
KR101142541B1 (ko) 효소처리를 이용한 혼합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추출방법
KR101332215B1 (ko) 삼나무 및 연잎 복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 및 면역증강용 화장료조성물
KR101047612B1 (ko) 여드름 및 여드름양 발진 완화용 또는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CN110101776A (zh) 一种生发防脱发的藏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5125467A (zh) 一种祛红血丝乳液及其制备方法
KR20150112103A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CN115429725B (zh) 用于抗氧化、抗炎、皮肤镇静的化妆品组合物
KR101999675B1 (ko) 관상동맥성 심장질환의 예방과 치료용 생약조성물
KR20090107342A (ko) 어성초, 금전초, 차전초, 느릅나무 및 상엽 혼합추출물을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080049234A (ko) 봉숭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1678B1 (ko) 모발 성장 촉진 및 두피 및 모발 개선용 복합 항산화 추출물 및 화장료 조성물
KR20210123010A (ko) 아토피 피부개선 효과가 뛰어난 전문 화장품 제조방법
CN105168091A (zh) 一种祛红血丝面膜粉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