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3227A - 복합 유황 폴리머 - Google Patents
복합 유황 폴리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53227A KR20120053227A KR1020100114385A KR20100114385A KR20120053227A KR 20120053227 A KR20120053227 A KR 20120053227A KR 1020100114385 A KR1020100114385 A KR 1020100114385A KR 20100114385 A KR20100114385 A KR 20100114385A KR 20120053227 A KR20120053227 A KR 2012005322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organic particles
- sulfur
- sulfur polymer
- weight
- part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5/02—Polythioethers
- C08G75/0204—Polyarylenethioethers
- C08G75/025—Preparatory processes
- C08G75/0263—Preparatory processes using elemental sulfur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36—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sulfur, sulfides or selenium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22—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 C08K7/24—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inorganic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1/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polysulf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3—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diame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5—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particle size in gener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lymers With Sulfur, Phosphorus Or Metals In The Main Chain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100 중량부의 유황을, 디싸이클로펜타디엔(DCPD)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유황 개질제로 중합하여 형성된 유황 폴리머, 및 표면에 다공성 기공이 형성된 무기입자로서, 제1 평균 입경을 갖는 제1 무기입자들 및 제1 평균 입경의 5 내지 15 배인 제2 평균 입경을 갖는 제2 무기입자들로 이루어진 무기재료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제조용 복합 유황 폴리머가 개시된다. 상기 복합 유황 폴리머는 작업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휨 강도 등의 물리적 특성이 매우 우수하다.
Description
본 기술은 유황 폴리머 시멘트(SPC) 관련 기술로서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시멘트를 대체할 수 있고 휨 강도가 개선된 복합 유황 폴리머에 관한 기술이다.
최근 시멘트를 대체제하기 위하여 유황을 사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유황을 개질하여 폴리머로서 합성함으로써 우수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기술들이 알려 져 있다.
이처럼, 유황 폴리머란 유황을 유황 개질제로서의 특정 모노머들과 혼합하여 폴리머화한 소재이며, 상기 유황 폴리머는 아스팔트 등에 사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골재 및 기타 충진제 등을 혼합하여 콘크리트 조성물에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유황 폴리머를 합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유황을 디싸이클로펜타디엔(DCPD)과 혼합하여 반응 시킨 후 냉각함으로써 유황을 개질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으나, 이 방법은 강도 강화를 위하여 과량의 유황 개질제를 사용할 경우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 및 휨 강도 등 물성 면에서 개선해야 할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작업 특성 및 휨 강도 등의 물리적 특성이 우수하고 시멘트를 대체할 수 있는 복합 유황 폴리머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100 중량부의 유황을, 디싸이클로펜타디엔(DCPD)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유황 개질제로 중합하여 형성된 유황 폴리머; 및 표면에 다공성 기공이 형성된 무기입자로서, 제1 평균 입경을 갖는 제1 무기입자들 및 제1 평균 입경의 5 내지 15 배인 제2 평균 입경을 갖는 제2 무기입자들로 이루어진 무기재료 10 내지 90 중량부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제조용 복합 유황 폴리머를 제공한다.
상기 제1 무기입자들의 평균 입경은 5㎛ 내지 15㎛이고, 제2 무기입자들의 평균 입경은 50㎛ 내지 150㎛일 수 있다.
상기 제2 무기입자는 석유 정제 과정에서 발생되는 폐촉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무기입자는 상기 제2 무기입자의 분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재료는 제1 무기입자 100 중량부 대비 제2 무기입자를 0초과 150 중량부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재료의 비표면적(m2/g)(BET Method) 대비 미세공극면적(m2/g)(BJH Method)의 비율은 0.15 내지 0.25일 수 있다.
또한, 유황 개질제로서, 비닐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 0.05 내지 1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화합물은 디비닐벤젠(divinyl benzene)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황 개질제로서, 페놀 화합물, 페놀 유도체 및 티오에스테르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화합물 0.05 내지 3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유황 폴리머는 작업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압축 강도 및 휨강도가 매우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유황 폴리머는 복합 유황 폴리머 제조 시 폐촉매 분진이나 폐촉매 등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자원 재활용 측면에서 경제적이다.
도 1은 표 1에 나타낸 폐촉매 분진의 각각 200배 및 2000배 확대하여 도시한 SEM 사진이다.
도 2는 표 1에 나타낸 폐촉매의 각각 200배 및 2000배 확대하여 도시한 SEM 사진이다.
도 3은 표 1에 나타낸 폐촉매 분진의 입도 분포를 도시한 PSD 측정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표 1에 나타낸 폐촉매의 입도 분포를 도시한 PSD 측정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표 1에 나타낸 폐촉매 혼합물의 입도 분포를 도시한 PSD 측정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각각 폐촉매 분진, 폐촉매 및 폐촉매 혼합물이 포함된 유황 폴리머의 단면에 대한 SEM 사진이다.
도 2는 표 1에 나타낸 폐촉매의 각각 200배 및 2000배 확대하여 도시한 SEM 사진이다.
도 3은 표 1에 나타낸 폐촉매 분진의 입도 분포를 도시한 PSD 측정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표 1에 나타낸 폐촉매의 입도 분포를 도시한 PSD 측정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표 1에 나타낸 폐촉매 혼합물의 입도 분포를 도시한 PSD 측정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각각 폐촉매 분진, 폐촉매 및 폐촉매 혼합물이 포함된 유황 폴리머의 단면에 대한 SEM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유황 폴리머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하의 내용들은 실시예적인 기재들이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청구항 내용에 의하여 정의될 뿐 이하의 내용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제조용 복합 유황 폴리머는 유황 폴리머; 및 표면에 다공성 기공이 형성된 무기입자로서, 제1 평균 입경을 갖는 제1 무기입자들 및 제1 평균 입경의 5 내지 15 배인 제2 평균 입경을 갖는 제2 무기입자들로 이루어진 무기재료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황 폴리머는 100 중량부의 유황을, 디싸이클로펜타디엔(dicyclopentadiene, DCPD)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유황 개질제로 중합하여 합성될 수 있다.
상기 유황은 최초 분말 상의 유황으로서, 상기 유황으로서는 S8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황은 반응 시 용융되어 용융 유황(molten sulfur)으로서 유황 폴리머의 합성 반응에 참여하게 된다.
싸이클로펜타디엔(CPD)으로서는 디싸이클로펜타디엔(DCPD)이 사용되며, 모노싸이클로펜타디엔의 경우 고온의 반응온도에서 휘발될 수 있어 반응 온도에 따라서는 적합하게 사용될 수 없다. 상기 DCPD는 상기 유황 100 중량부 대비 1 내지 10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DCPD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유황 폴리머의 폴리머화가 약화되어 유황 폴리머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될 수 있으며 유황 폴리머의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유황 폴리머의 점성이 높아져, 보관 안정성 및 작업성이 급격히 저하될 수 있다. 상기 DCPD의 유황 폴리머 내 백분율 함량이 2.0 내지 3.5 중량%인 경우 유황 폴리머의 강도 및 저장성 면에서 유리하다.
상기 유황 개질제로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이중결합 함유 화합물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비닐기를 포함하는 방향족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방향족 화합물로서는 디비닐 벤젠(divinyl benzene)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황 개질제로 방향족 화합물을 더 포함할 경우 상기 유황 100 중량부 대비 0.05 중량부 내지 1 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이 유황 폴리머의 점도 조절 용이성 및 유황 폴리머의 장기 저장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황 개질제로는 페놀 화합물, 페놀 유도체 및 티오에스테르(thioester)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페놀 화합물, 페놀 유도체 및 티오에스테르(thioester)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화합물을 더 포함할 경우 상기 유황 100 중량부 대비 0.05 내지 3 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이 유황 폴리머의 점도 조절 용이성 및 유황 폴리머의 장기 저장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페놀 화합물, 페놀 유도체 또는 티오에스테르(thioester)계 화합물의 예로서는, 하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8]로 표시되는 화합물 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3]에서, R은 C6~C20의 페놀유도체기이며, 그 예로는 3,5-디터셔리부틸-4-하이드록시페닐(3,5-di-tert-butyl-4-hydroxyphenyl)기를 들 수 있다.
상기 [화학식 4]에서, R은 C6~C20의 페놀유도체기이며, 그 예로는 3,5-디터셔리부틸-4-하이드록시벤질(3,5-di-tert-butyl-4-hydroxybenzyl)기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황 개질제로는 테트랄린(tetraline)을 상기 유황 100 중량부 대비 1 내지 5 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압축강도 및 점도 특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유황 폴리머의 합성은 130 내지 150℃의 온도 하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반응시간은 1 내지 3 시간이고 특히 1.5 시간 전 후로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황 폴리머는 130℃ 하에서 5일 저장 후 점성이 600cp 이하로서, 장기 저장성이 우수하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유황 폴리머에 대하여 하기 실시예들을 들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 1] 유황 폴리머의 합성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의 100L 반응기에 유황 75Kg을 첨가하고 140℃의 3시간 동안 녹였다. 유황 폴리머(SPC)를 합성하기 위하여 상기 반응기에 DCPD 2.25kg를 반응기에 적가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은 145℃의 온도 하에서 진행되었다. 반응이 종료되면 용기에 받아내어 상온으로 냉각시켰다. 냉각된 SPC는 분쇄하여 활용하였다.
[실시예 2] 유황 폴리머의 합성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의 100L 반응기에 유황 75Kg을 첨가하고 140℃의 3시간 동안 녹였다. 유황 폴리머(SPC)를 합성하기 위하여 상기 반응기에 DCPD 2.25kg 및 디비닐벤젠 75g을 반응기에 적가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은 145℃의 온도 하에서 진행되었다. 반응이 종료되면 용기에 받아내어 상온으로 냉각시켰다. 냉각된 SPC는 분쇄하여 활용하였다.
[실시예 3] 유황 폴리머의 합성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의 100L 반응기에 유황 75Kg을 첨가하고 140℃의 3시간 동안 녹였다. 유황 폴리머(SPC)를 합성하기 위하여 상기 반응기에 DCPD 2.25kg, 디비닐벤젠 75g 및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0.75kg을 동시에 반응기에 적가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은 145℃의 온도 하에서 진행되었다. 반응이 종료되면 용기에 받아내어 상온으로 냉각시켰다. 냉각된 SPC는 분쇄하여 활용하였다.
[실시예 4] 유황 폴리머의 합성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대신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SPC를 준비하였다.
[실시예 5] 유황 폴리머의 합성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대신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단. R은 3,5-디터셔리부틸-4-하이드록시페닐기) 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SPC를 준비하였다.
[실시예 6] 유황 폴리머의 합성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대신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단. R은 3,5-디터셔리부틸-4-하이드록시벤질기)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SPC를 준비하였다.
[실시예 7] 유황 폴리머의 합성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대신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SPC를 준비하였다.
[실시예 8] 유황 폴리머의 합성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대신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SPC를 준비하였다.
[실시예 9] 유황 폴리머의 합성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대신 [화학식 7]로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SPC를 준비하였다.
[실시예 10] 유황 폴리머의 합성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대신 [화학식 8]로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SPC를 준비하였다.
준비된 유황 폴리머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무기재료와 혼합됨으로써 복합 유황 폴리머로 완성될 수 있다. 상기 무기재료는 유황 폴리머의 합성에 사용되는 유황 100 중량부 대비 10 내지 90 중량부가 되도록 상기 유황 폴리머와 혼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무기재료는, 표면에 다공성 기공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입도분포가 다른 2종의 무기입자들이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즉, 상기 무기재료는 제1 평균 입경을 갖는 제1 무기입자들 및 제2 평균 입경의 5 내지 15배인 제2 평균 입경을 갖는 제2 무기입자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무기입자는 분진 형태의 미세한 무기입자며 제2 무기입자는 공기 중에 날리지 않고 침전되는 입자들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무기입자들은 석유 정제 과정 중의 하나인 크래킹 공정에서 사용하고 수거된 폐촉매 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무기입자는 상기 제2 무기입자의 분진일 수 있다. 상기 제1 무기입자의 평균 입경은 대략 5 내지 15㎛이며, 상기 제2 무기입자의 평균 입경은 대략 50 내지 15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무기입자 및 제2 무기입자는 제2 무기입자가 상기 제1 무기입자 100 중량부 대비 0 초과 150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0 중량부가 되도록 혼합된다. 평균입경이 작은 제1 무기입자가 과량 포함되거나, 제1 무기입자와 제2 무기입자가 대략 균일하게 포함되는 것이 복합 유황 폴리머의 물리적 물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무기입자 및 제2 무기입자는 대략 구형체로서, 표면에 기공(pore)이 형성되어 있다. 무기재료와 유황 폴리머가 혼합될 경우, 제1 무기입자 및 제2 무기입자의 다공성 기공 부위에 유황 폴리머가 혼합되어, 다공성 기공에 흡착된 유황이 가교 역할을 함으로써 휨 강도가 개선될 수 있다.
하기 표 1은 석유 정제 과정 중 크랙킹 공정에서 수거된 폐촉매, 폐촉매 분진 및 이들의 혼합물(이하, 폐촉매 혼합물이라 함) 각각의 물리적 특성을 예시한 표이다.
항 목 | 폐촉매 | 폐촉매 분진 |
혼합물 (폐촉매 분진 : 폐촉매=50:50) |
비표면적(BET Surface Area) (m2/g) | 91.83 | 163.9 | 131.1 |
미세공극면적 (BJH Surface Area of pores) (m2/g) |
15.97 | 31.16 | 25.63 |
공극률 (BJH/BET) | 0.1739 | 0.1902 | 0.195 |
평균 입자 사이즈(APS) (㎛) | 79.0 | 7.79 | 36.1 |
* APS 측정: The ASAPTM 2020 - Accelerated Surface Area and Porosimetry System
* 공극률 측정: Malvern Korea, Master Size 2000
공극률= 미세공극면적(BJH Surface Area of pores)/ 비표면적(BET Surface Area)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혼합 시 표면 공극률(porosity)은 혼합 전에 비하여 오히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표 1에는 비표면적(m2/g)(BET Method 사용 측정) 대비 미세공극면적 (m2/g)(BJH Method 사용 측정)의 비율 즉, 공극률이 이 0.195인 경우가 예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기재료의 비표면적(m2/g) 대비 미세공극면적(m2/g)(BJH)의 비율은 0.15 내지 0.25이다.
도 1은 표 1에 나타낸 폐촉매 분진의 각각 200배 및 2000배 확대하여 도시한 SEM 사진이다. 도 2는 표 1에 나타낸 폐촉매의 각각 200배 및 2000배 확대하여 도시한 SEM 사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폐촉매 분진의 경우 비정형적 형태를 가지나 폐촉매의 경우 구형에 가까운 형상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은 표 1에 나타낸 폐촉매 분진의 입도 분포를 도시한 PSD(입경분포, particle size distribution) 측정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표 1에 나타낸 폐촉매의 입도 분포를 도시한 PSD 측정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표 1에 나타낸 폐촉매 혼합물의 입도 분포를 도시한 PSD 측정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평균 입경은 각각 폐촉매 분진이 7.79㎛, 폐촉매가 79.0㎛ 및 폐촉매 혼합물이 36.1㎛이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폐촉매 혼합물의 입도 분포는 좌측이 완만하고 우측이 급격한 곡선 분포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10] 복합 유황 폴리머의 시편 제조
실시예 1에서 준비된 유황폴리머 386g을 믹서에서 145℃ 및 100 rpm의 교반 조건하에서 7분 동안 녹였다. 이후, 혼합성 개선을 위하여 폐촉매 96g 및 폐촉매 분진 96g으로 이루어진 폐촉매 혼합물을 믹서에 넣고 10분 동안 혼합하였다. 이후, 표준모래 1349g을 20분 동안 혼합하였다. 상기 폐촉매, 폐촉매 분진 및 표준모래로서 미리 145℃의 온도 하에서 4시간 동안 예열 된 것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1]
폐촉매 혼합물 대신 폐촉매 분진을 사용하지 않고 폐촉매 193g을 단독으로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0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복합 유황 폴리머 시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폐촉매 혼합물 대신 폐촉매를 사용하지 않고 폐촉매 분진 193g을 단독으로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0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복합 유황 폴리머 시편을 제조하였다.
압축강도 및 휨 강도 측정
실시예 10,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시편에 대한 압축 강도 및 휨 강도를 측정하고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항 목 | 비교예 1 (폐촉매 단독) |
비교예 2 (폐촉매 분진 단독) |
실시예 1 (폐촉매분진:폐촉매=50:50) |
압축강도 | 32.7 | 69.2 | 69.1 |
휨 강도 | 5.8 | 10.2 | 14.8 |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폐촉매 또는 폐촉매 분진 각각을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보다 폐촉매 분진과 폐촉매를 동시에 포함하는 폐촉매 혼합물을 사용했을 때 휨 강도가 현저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SEM
-
EDAX
분석
복합 유황 폴리머의 구성 성분을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예 10,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시편을 사용하였다.
DAX 분석 결과 공통적으로 C, O, Al, Si 및 S 성분이 검출되었으며, 종래의 유황 폴리머와 대비하여 공 모양의 덩어리에 Si 및 Al이 산화물 형태인 SiO2 및 Al2O3 형태로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하기 표 3 및 표4는 각각 전술한 표1의 폐촉매에 대한 EDAX 분석 결과를 단위를 달리하여(atomic%/wt%) 나타낸 표이다.
atomic % | 폐촉매 분진 | 폐촉매 | 폐촉매 분진+ 폐촉매 |
C | 61.6 | 13.9 | 29.7 |
O | 18.2 | 65.6 | 45.5 |
Al | 0.64 | 7.50 | 2.94 |
Si | 1.11 | 10.1 | 3.70 |
S | 18.5 | 2.9 | 18.1 |
wt % | 폐촉매 분진 | 폐촉매 | 폐촉매 분진+ 폐촉매 |
C | 44.2 | 9.30 | 19.2 |
O | 17.4 | 58.4 | 39.3 |
Al | 1.04 | 11.3 | 4.29 |
Si | 1.86 | 15.8 | 5.61 |
S | 35.5 | 5.18 | 31.3 |
도 6은 각각 폐촉매 분진 단독, 폐촉매 단독 및 폐촉매 혼합물이 포함된 유황 폴리머의 단면에 대한 SEM 사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폐촉매 분진과 폐촉매를 동시에 포함하는 폐촉매 혼합물이 포함된 유황 폴리머 시편은 기공이 거의 없고 공 모양 덩어리들이 많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폐촉매가 유황 폴리머를 많이 흡수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Claims (8)
100 중량부의 유황을, 디싸이클로펜타디엔(DCPD)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유황 개질제로 중합하여 형성된 유황 폴리머; 및
표면에 다공성 기공이 형성된 무기입자로서, 제1 평균 입경을 갖는 제1 무기입자들 및 제1 평균 입경의 5 내지 15 배인 제2 평균 입경을 갖는 제2 무기입자들로 이루어진 무기재료 10 내지 90중량부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제조용 복합 유황 폴리머.
표면에 다공성 기공이 형성된 무기입자로서, 제1 평균 입경을 갖는 제1 무기입자들 및 제1 평균 입경의 5 내지 15 배인 제2 평균 입경을 갖는 제2 무기입자들로 이루어진 무기재료 10 내지 90중량부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제조용 복합 유황 폴리머.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기입자들의 평균 입경은 5㎛ 내지 15㎛이고, 제2 무기입자들의 평균 입경은 50㎛ 내지 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제조용 복합 유황 폴리머.
상기 제1 무기입자들의 평균 입경은 5㎛ 내지 15㎛이고, 제2 무기입자들의 평균 입경은 50㎛ 내지 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제조용 복합 유황 폴리머.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기입자는 석유 정제 과정에서 발생되는 폐촉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무기입자는 상기 제2 무기입자의 분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제조용 복합 유황 폴리머.
상기 제2 무기입자는 석유 정제 과정에서 발생되는 폐촉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무기입자는 상기 제2 무기입자의 분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제조용 복합 유황 폴리머.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재료는 제1 무기입자 100 중량부 대비 제2 무기입자를 0초과 150 중량부 이하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제조용 복합 유황 폴리머.
상기 무기재료는 제1 무기입자 100 중량부 대비 제2 무기입자를 0초과 150 중량부 이하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제조용 복합 유황 폴리머.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재료의 비표면적(m2/g)(BET Method) 대비 미세공극면적(m2/g)(BJH Method)의 비율은 0.15 내지 0.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제조용 복합 유황 폴리머.
상기 무기재료의 비표면적(m2/g)(BET Method) 대비 미세공극면적(m2/g)(BJH Method)의 비율은 0.15 내지 0.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제조용 복합 유황 폴리머.
제1항에 있어서,
유황 개질제로서, 비닐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 0.05 내지 1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제조용 복합 유황 폴리머.
유황 개질제로서, 비닐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 0.05 내지 1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제조용 복합 유황 폴리머.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화합물은 디비닐벤젠(divinyl benzen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제조용 복합 유황 폴리머.
상기 방향족 화합물은 디비닐벤젠(divinyl benzen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제조용 복합 유황 폴리머.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유황 개질제로서, 페놀 화합물, 페놀 유도체 및 티오에스테르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화합물 0.05 내지 3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제조용 복합 유황 폴리머.
유황 개질제로서, 페놀 화합물, 페놀 유도체 및 티오에스테르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화합물 0.05 내지 3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제조용 복합 유황 폴리머.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14385A KR101223705B1 (ko) | 2010-11-17 | 2010-11-17 | 유황폴리머 조성물 |
PCT/KR2011/002321 WO2012067315A1 (ko) | 2010-11-17 | 2011-04-04 | 복합유황폴리머 |
CN201180055673.1A CN103221456B (zh) | 2010-11-17 | 2011-04-04 | 复合含硫聚合物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14385A KR101223705B1 (ko) | 2010-11-17 | 2010-11-17 | 유황폴리머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53227A true KR20120053227A (ko) | 2012-05-25 |
KR101223705B1 KR101223705B1 (ko) | 2013-01-21 |
Family
ID=46084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14385A KR101223705B1 (ko) | 2010-11-17 | 2010-11-17 | 유황폴리머 조성물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101223705B1 (ko) |
CN (1) | CN103221456B (ko) |
WO (1) | WO201206731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844772B (zh) * | 2015-04-28 | 2017-11-10 | 中科院广州化学有限公司 | 一种具有可溶性的单质硫/脂环烯烃共聚物及其制备方法 |
CN108607528B (zh) * | 2018-05-08 | 2021-02-05 | 东北大学 | 一种硅藻土/硫化聚合物汞离子吸附材料及其制备方法 |
KR101954050B1 (ko) * | 2018-08-30 | 2019-03-05 | 주식회사 퍼팩트 | 황폴리머시멘트 함유 합성수지파이프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합성수지파이프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293463A (en) * | 1976-02-20 | 1981-10-06 | Vroom Alan H | Sulphur cements, process for making same and sulphur concretes made therefrom |
US4290816A (en) * | 1979-01-29 | 1981-09-22 | Southwest Research Institute | Sulfur compounds and method of making same |
DK160709C (da) * | 1989-03-10 | 1991-09-16 | Kkkk As | 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af syrefaste svovlbetonroer. |
JPH09194737A (ja) * | 1995-03-13 | 1997-07-29 | Idemitsu Kosan Co Ltd | 硫黄−アスファルト組成物 |
JPH10114565A (ja) | 1996-10-09 | 1998-05-06 | Idemitsu Kosan Co Ltd | 硫黄モルタル組成物 |
JP2002060491A (ja) * | 2000-08-16 | 2002-02-26 | Nippon Mitsubishi Oil Corp | 硫黄結合材の製造方法、硫黄結合材及び硫黄組成物の製造方法 |
JPWO2004011384A1 (ja) * | 2002-07-31 | 2005-11-24 | 新日本石油株式会社 | 耐酸性硫黄資材及び耐酸性硫黄資材の施工方法 |
KR20040072278A (ko) * | 2003-02-10 | 2004-08-18 | 에스케이 주식회사 | 유황폴리머 콘크리트관 및 그 제조 방법 |
JP2006306634A (ja) * | 2005-04-26 | 2006-11-09 | Nippon Oil Corp | 貝殻粉砕物を主成分とする多孔質改質硫黄固化体及び土木・建築用構造物 |
US8207249B2 (en) * | 2008-10-15 | 2012-06-26 | Hanmi E&C Co., Ltd. | Modified sulfur binder and the fabrication method thereof, hydraulic modified sulfur material composition and the fabrication method thereof or combustible modified sulfur material composition and the fabrication method thereof containing the modified sulfur binder |
KR101100254B1 (ko) * | 2009-04-14 | 2011-12-28 | 한미이엔씨 주식회사 | 개질 유황 결합재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함유하는 수경성 개질 유황 자재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또는 가연성 개질 유황 자재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CN101736911A (zh) * | 2009-12-31 | 2010-06-16 | 王丹 | 混凝土外保护或修复方法 |
-
2010
- 2010-11-17 KR KR1020100114385A patent/KR10122370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1
- 2011-04-04 CN CN201180055673.1A patent/CN103221456B/zh active Active
- 2011-04-04 WO PCT/KR2011/002321 patent/WO2012067315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23705B1 (ko) | 2013-01-21 |
WO2012067315A1 (ko) | 2012-05-24 |
CN103221456B (zh) | 2015-11-25 |
CN103221456A (zh) | 2013-07-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amseu et al. | Substitution of sodium silicate with rice husk ash-NaOH solution in metakaolin based geopolymer cement concerning reduction in global warming | |
Liu et al. | Fracture toughness and water uptake of high-performance epoxy/nanoclay nanocomposites | |
Duxson et al. |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eopolymer composition,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 |
Nohales et al. | Morphology, flexural, and thermal properties of sepiolite modified epoxy resins with different curing agents | |
Cai et al. | A study on the curing and viscoelastic characteristics of melamine–urea–formaldehyde resin in the presence of aluminium silicate nanoclays | |
Jiao et al. | Mesostructured silica for the reinforcement and toughening of rubbery and glassy epoxy polymers | |
Gong et al. | Particle configura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 (vinyl chloride)/montmorillonite nanocomposites via in situ suspension polymerization | |
KR101223705B1 (ko) | 유황폴리머 조성물 | |
JP2010540401A5 (ko) | ||
Morote-Martinez et al. | Addition of unmodified nanoclay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ating on natural stone | |
JP2580537B2 (ja) | シリカ球状粒子からなる三次元網状構造体 | |
Albayrak et al. | Bio‐based polymer nanocomposites based on layered silicates having a reactive and renewable intercalant | |
Subramani et al. | Crosslinked aqueous dispersion of silylated poly (urethane–urea)/clay nanocomposites | |
KR100843874B1 (ko) | 수산화마그네슘 입자 및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수지조성물 | |
Yu et al. | Preparation and thermal properties of mesoporous silica/phenolic resin nanocomposites via in situ polymerization | |
He et al. | A nanocomposite structure based on modified MCM-48 and polystyrene | |
JP2005517748A5 (ko) | ||
CN106870608A (zh) | 一种石墨烯刹车片材料及其制造方法 | |
Xue et al. | Porous synthetic smectic clay for the reinforcement of epoxy polymers | |
Wang et al. | Comparative study on the structure, mechanical, thermal, and tribological properties of PF composites reinforced by different kinds of mesoporous silicas | |
Mädler et al. | Visibly transparent & radiopaque inorganic organic composites from flame-made mixed-oxide fillers | |
CN115895194A (zh) | 一种分级结构层状硅酸镍改性环氧树脂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 |
JPS58185432A (ja) | 珪酸カルシウム球状二次粒子及びその製法 | |
RU2626493C2 (ru) | Строительная композиция и комплексная добавка для строительной композиции | |
See et al. | A reactive core–shell nanoparticle approach to prepare hybrid nanocomposites: effects of processing variabl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