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2174A - 모터 - Google Patents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2174A
KR20120052174A KR1020110118252A KR20110118252A KR20120052174A KR 20120052174 A KR20120052174 A KR 20120052174A KR 1020110118252 A KR1020110118252 A KR 1020110118252A KR 20110118252 A KR20110118252 A KR 20110118252A KR 20120052174 A KR20120052174 A KR 201200521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shaft
fixed
motor
bearing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8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7194B1 (ko
Inventor
마사토 야마모토
마사노부 츄타
히토시 우라카미
Original Assignee
니혼 덴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2138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2125129A/ja
Application filed by 니혼 덴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덴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52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2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7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7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H02K5/165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radially supporting the rotor around a fixed spindle; radially supporting the rotor direct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모터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상부에 고정된 로터 홀더와,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는 함유 소결 베어링인 베어링 부재와, 상기 베어링 부재가 삽입되는 베어링 보지 부재와, 상기 베어링 보지 부재에 고정된 장착판을 구비한다. 상기 베어링 보지 부재는 상기 베어링 부재가 삽입되는 베어링 보지 원통부와, 상기 베어링 보지 원통부의 하단으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넓어지는 플랜지부를 구비한다.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면은 장착 대상의 구멍부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 상기 장착 대상에 대한 상기 중심축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면을 포함한다. 상기 장착판이 상기 베어링 보지 원통부가 압입되는 개구부와, 상기 장착 대상에 고정되는 장착부를 구비한다. 상기 장착판의 하면은 상기 플랜지부의 상면에 접촉하고, 축방향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보지 원통부에 상기 장착판이 압입되는 압입 범위와 상기 베어링 부재의 존재 범위가 중첩된다. 상기 압입 범위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부재와 상기 베어링 보지 원통부 사이에 간극이 마련된다.

Description

모터{MOTOR}
본 발명은, 전동식의 모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사무 자동화(OA;Office Automation) 기기 등에 모터가 탑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모터에는 장착판이 마련되고, 장착판과 기기내의 다른 부재가 고정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03-32987 호 공보에 개시되는 모터는, 함유 메탈제의 슬리브 베어링과, 대략 원통형상의 하우징과, 장착판을 구비한다. 슬리브 베어링은 하우징의 내측에 압입된다. 하우징의 하단에는 직경방향 외측으로 굴곡하는 복수의 칼라형상부와 칼라형상부의 사이에서 수하(垂下)하는 복수의 수하부가 마련된다. 장착판은, 모터가 탑재되는 복사기 등에 장착된다. 장착판은 중앙에 직경이 큰 장착 구멍과, 장착 구멍의 주위에서 직경이 작은 구멍을 구비한다. 모터에서는, 수하부가 장착 구멍과 직경방향에서 접촉함으로써, 장착 구멍에 대한 하우징의 직경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을 실행한다. 또한, 칼라형상부에 마련된 나사 구멍과 장착판에 마련된 직경이 작은 구멍이 나사 고정됨으로써, 장착판에 대하여 하우징이 고정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08-289323 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모터의 하우징은 보지 원통부와, 링형상의 플랜지부와, 피팅부를 구비한다. 보지 원통부의 내측에는, 2개의 볼 베어링이 배치된다. 플랜지부는 보지 원통부의 하측에서 직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모터의 장착판에 고정된다. 피팅부는, 플랜지부보다도 하측에서 축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모터가 탑재되는 기기의 다른 부재의 구멍부에 끼워 맞춰진다.
일본 특허 공개 제 제 1998-127006 호 공보에 개시되는 모터는, 디스크 구동 장치용이다. 모터는 회전축과 함유 베어링인 통형상 베어링과, 통형상 베어링이 압입되는 두꺼운 베어링 보지체를 구비한다. 통형상 베어링의 내주면의 상하 양단부에는, 직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된 상하축 지지부가 마련된다. 통형상 베어링의 외주면에서는, 상부 및 하부가 베어링 보지체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된다. 이것에 의해, 통형상 베어링의 베어링 보지체에의 압입에 의한 상하축 지지부의 내경에의 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03-32987 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 2008-289323 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 1998-127006 호 공보
그런데, 최근, 신흥국의 경제 성장에 수반하여 OA 기기의 수요의 증대가 예상되어, OA 기기의 저가격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 때문에, 염가인 모터의 개발이 필요하게 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03-32987 호 공보에서는 하우징과 장착판이 나사 고정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공정수가 많아, 제조 가격을 억제할 수 없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 2003-32987 호 공보에서, 슬리브 베어링의 하단이 수하부와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슬리브 베어링을 하측, 즉, 모터의 출력측에 위치시키려고 하면, 인접하는 수하부의 사이로부터 윤활유가 누출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슬리브 베어링을 모터의 출력측에 마련하지 못하고, 샤프트를 안정되게 지지하기 위해서 함유 베어링의 길이를 길게 할 필요가 있다. 그 결과, 제조 코스트가 증대해 버린다.
그런데, 모터에는 샤프트의 베어링 부재에 대한 상하방향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베어링 부재의 상측 및 하측에서 샤프트의 주위에 환상의 빠짐 방지부가 마련된다. 모터의 제조에서는, 빠짐 방지부를 샤프트에 용이하게 장착하는 것이 요구된다. 만일, 샤프트에 삽입된 금속의 와셔 및, 와셔의 샤프트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는 금속의 고정 링에 의해 빠짐 방지부를 구성하려고 하면, 모터의 구동시에 와셔와 샤프트가 상대 회전하여, 와셔가 마모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모터의 제조 가격을 저감하는 것을 주요 목적의 하나로 하며, 빠짐 방지부를 샤프트에 용이하게 장착하는 것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1 측면에 따른 모터는, 상하방향을 향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배치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상부에 고정된 덮개를 갖는 대략 원통형상의 로터 홀더와, 상기 로터 홀더의 원통부의 내주면에 고정된 로터 마그넷과, 상기 샤프트를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함유 소결 베어링인 베어링 부재와, 상기 베어링 부재가 삽입되는 베어링 보지 부재와, 상기 로터 마그넷의 직경방향 내측에 배치된 스테이터와, 상기 베어링 보지 부재에 고정된 장착판을 구비하고, 상기 베어링 보지 부재가 상기 베어링 부재가 삽입되는 베어링 보지 원통부와, 상기 베어링 보지 원통부의 하단으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넓어지는 플랜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테이터가 상기 베어링 보지 원통부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상기 샤프트의 하단이 상기 플랜지부 보다 하방으로 돌출하며,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면이 장착 대상 부재의 구멍 부분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 상기 장착 대상 부재에 대한 상기 중심축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면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판이 상기 베어링 보지 원통부가 압입되는 개구부와, 상기 장착 대상 부재에 고정되는 장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장착판의 하면이 상기 플랜지부의 상면에 접촉하여, 축방향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보지 원통부에 상기 장착판이 압입되는 압입 범위와 상기 베어링 부재의 존재 범위가 중첩되어, 상기 압입 범위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부재와 상기 베어링 보지 원통부 사이에 간극이 마련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2 측면에 따른 모터는, 상하방향을 향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배치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상부에 고정된 덮개를 갖는 대략 원통형상의 로터 홀더와, 상기 로터 홀더의 원통부의 내주면에 고정된 로터 마그넷과, 상기 샤프트를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함유 소결 베어링인 베어링 부재와, 상기 베어링 부재가 삽입되는 베어링 보지 부재와, 상기 로터 마그넷의 직경방향 내측에 배치된 스테이터와, 상기 베어링 보지 부재에 고정된 장착판을 구비하고, 상기 베어링 보지 부재가 상기 베어링 부재가 삽입되는 베어링 보지 원통부와, 상기 베어링 보지 원통부의 하단으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넓어지는 플랜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테이터가 상기 베어링 보지 원통부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상기 샤프트의 하단이 상기 플랜지부보다 하방으로 돌출하며,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면이 장착 대상 부재의 구멍부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 상기 장착 대상 부재에 대한 상기 중심축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면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판이 상기 베어링 보지 원통부가 압입되는 개구부와, 상기 장착 대상 부재에 고정되는 장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장착판과 상기 플랜지부 사이에 축방향에서의 상기 장착판과 상기 플랜지부의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는 스페이서부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3 측면에 따른 모터는, 상하방향을 향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배치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상부에 고정된 덮개를 갖는 대략 원통형상의 로터 홀더와, 상기 로터 홀더의 원통부의 내주면에 고정된 로터 마그넷과, 상기 샤프트를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함유 소결 베어링인 베어링 부재와, 상기 베어링 부재가 삽입되는 베어링 보지 부재와, 상기 로터 마그넷의 직경방향 내측에 배치된 스테이터와, 상기 베어링 보지 부재에 고정된 장착판과, 상기 베어링 부재의 하측에서 상기 샤프트에 장착된 빠짐 방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어링 보지 부재가 상기 베어링 부재가 삽입되는 베어링 보지 원통부와, 상기 베어링 보지 원통부의 하단으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넓어지는 플랜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테이터가 상기 베어링 보지 원통부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상기 샤프트의 하단이 상기 플랜지부보다 하방으로 돌출하며,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면이 장착 대상 부재의 구멍부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장착 대상 부재에 대한 상기 중심축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면을 포함하며, 상기 장착판이 상기 베어링 보지 원통부가 압입되는 개구부와, 상기 장착 대상 부재에 고정되는 장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빠짐 방지부가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둘레방향으로 형성된 홈부에 끼워진 금속의 고정 링과, 상기 샤프트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 링의 상측에 배치되는 금속의 와셔와, 상기 와셔와 상기 베어링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환상의 수지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와셔가 하방으로 돌출하는 돌기부를 구비하며 상기 돌기부와, 상기 고정 링의 일부가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방향으로 서로 고정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4 측면에 따른 모터는, 상하방향을 향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배치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상부에 고정된 덮개를 갖는 대략 원통형상의 로터 홀더와, 상기 로터 홀더의 원통부의 내주면에 고정된 로터 마그넷과, 상기 샤프트를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함유 소결 베어링인 베어링 부재와, 상기 베어링 부재가 삽입되는 베어링 보지 부재와, 상기 로터 마그넷의 직경방향 내측에 배치된 스테이터와, 상기 베어링 보지 부재에 고정된 장착판과, 상기 베어링 부재의 하측에서 상기 샤프트에 장착된 빠짐 방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어링 보지 부재가 상기 베어링 부재가 삽입되는 베어링 보지 원통부와, 상기 베어링 보지 원통부의 하단으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넓어지는 플랜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테이터가 상기 베어링 보지 원통부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상기 샤프트의 하단이 상기 플랜지부보다 하방으로 돌출하며,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면이 장착 대상 부재의 구멍부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 상기 장착 대상 부재에 대한 상기 중심축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면을 포함하며, 상기 장착판이 상기 베어링 보지 원통부가 압입되는 개구부와, 상기 장착 대상 부재에 고정되는 장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빠짐 방지부가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둘레방향으로 형성된 홈부에 끼워진 수지의 고정 링과, 상기 샤프트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 링의 상측에 배치되는 금속의 와셔와, 상기 와셔와 상기 베어링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환상의 수지 플레이트를 구비한다.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모터의 제조 가격을 저감 할 수 있다. 제 4 항 내지 제 6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빠짐 방지부를 샤프트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의 평면도,
도 2는 모터의 저면도,
도 3은 모터의 측면도,
도 4는 모터의 단면도,
도 5는 모터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모터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의 단면도,
도 8은 베어링 보지 부재의 평면도,
도 9는 베어링 부재의 하부 근방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0은 하부 빠짐 방지부 및 샤프트의 저면도,
도 11은 베어링 부재의 상부 근방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2는 다른 예에 따른 모터의 단면도,
도 13은 또 다른 예에 따른 모터의 단면도,
도 14는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의 베어링 부재의 하부 근방을 도시하는 단면도.
본 명세서에서는, 모터의 중심축방향에서의 상측을 단순히 「상측」이라고 부르고, 하측을 단순히 「하측」이라고 부른다. 또한, 상하방향은, 실제의 기기에 조립되었을 때의 위치 관계나 방향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또한, 중심축으로 평행 또는 대략 평행한 방향을 「축방향」이라고 부르고,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직경방향을 단순히 「직경방향」이라고 부르며,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방향을 단순히 「둘레방향」이라고 부른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1)의 평면도이다. 모터(1)는, 예를 들면, 복사기, 프린터, 복합기 등의 OA(Office Automation) 기기의 구동원으로서 이용된다. 모터(1)는, 모터 본체(11)와, 장착판(12)과, 회로 기판(13)을 구비한다. 모터 본체(11)는 장착판(12)상에 마련된다. 도 2는 모터(1)의 저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판(12)에는, 장착 구멍(121a)을 갖는 장착부(121)가 마련된다. 장착판(12)은 프레스 가공으로 성형된다. OA 기기내에서는, 장착부(121)가 장착 대상 부재의 구멍부에 나사 고정으로 고정된다.
도 3은 모터(1)의 좌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13)은, 모터 본체(11)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한다. 회로 기판(13)에는, 연결기(131)가 고정된다. 연결기(131)는 외부 전원에 접속된다. 모터(1)에서는, 연결기(131) 및 회로 기판(13)의 배선을 거쳐서 외부 전원으로부터 모터 본체(11)에 전력이 공급된다.
도 4는 도 1의 화살표(A)의 위치에서 모터(1)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모터 본체(11)는, 아우터 로터형의 모터이다. 모터 본체(11)는, 회전 조립체인 회전부(2)와 스테이터(3)와 베어링 기구(4)를 구비한다. 회전부(2)는, 상하방향을 향하는 모터 본체(11)의 중심축(J1)을 중심으로 베어링 기구(4)를 거쳐서 장착판(1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회전부(2)는, 덮개를 갖는 대략 원통형상의 로터 홀더(21)와 로터 마그넷(22)을 구비한다. 로터 홀더(21)는 원통부(211)와, 덮개부(212)를 구비한다. 원통부(211)는 중심축(J1)에 평행이다. 덮개부(212)는, 원통부(211)의 상단을 폐색한다. 덮개부(212)의 중앙부(212a)는, 하방을 향하여 움푹 패인다. 중앙부(212a)에는, 패인 곳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중앙 원통부(212b)가 마련된다. 이것에 의해, 버링 가공에 의해서 중앙 원통부(212b)를 축방향 하측에 형성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로터 마그넷(22)은 페라이트 자석이며, 원통부(211)의 내주면(211a)에 고정된다. 로터 마그넷(22)은, 원통형상이라도 좋고, 복수의 마그넷 요소를 둘레방향으로 배열한 것이라도 좋다.
스테이터(3)는, 스테이터 코어(31)와 스테이터 코어(31)에 권회된 코일(32)을 구비한다. 스테이터(3)는, 로터 마그넷(22)의 직경방향 내측에 배치된다. 모터 본체(11)의 구동시에는, 로터 마그넷(22)과 스테이터(3) 사이에서 토크가 발생한다. 스테이터 코어(31)의 상면(311)은, 로터 홀더(21)의 중앙 원통부(212b)의 하단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회로 기판(13)은, 장착판(12)의 상면상에 배치되어, 장착판(12)에 마련된 코킹부(122)에 의해 코킹 고정된다. 회로 기판(13)상에는, 로터 마그넷(22) 근방 또한, 스테이터 코어(31)의 티스 사이에 홀 센서(132)[홀 소자나 홀(IC) 등]가 실장된다.
베어링 기구(4)는 샤프트(41)와, 함유 소결 베어링인 베어링 부재(42)와, 대략 원통형상의 베어링 보지 부재(43)와, 원통형상의 스페이서(44)와, 환상의 빠짐 방지부(45)를 구비한다. 베어링 부재(42)는 대략 원통형상이다. 샤프트(41)는, 중심축(J1)을 중심으로 베어링 부재(42)내에 배치된다. 샤프트(41)의 상부는, 로터 홀더(21)의 중앙 원통부(212b)에 고정된다. 베어링 보지 부재(43)는, 금속의 판재의 프레스 가공으로 성형된다. 베어링 보지 부재(43)는, 베어링 보지 원통부(431)와 플랜지부(432)를 구비한다. 플랜지부(432)는, 베어링 보지 원통부(431)의 하단으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넓어진다. 플랜지부(432)의 외주면(531)은, 중심축(J1)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이다. 샤프트(41)의 하단은, 플랜지부(432)보다 하방으로 돌출한다.
베어링 보지 원통부(431)내에는, 베어링 부재(42)가 압입된다. 베어링 보지 원통부(431)의 외주면(51)의 상부에는, 스테이터 코어(31)의 내주면의 하부가 압입으로 고정된다. 스테이터 코어(31)의 상면(311)은 베어링 보지 원통부(431)의 상단보다 상측에 위치한다.
베어링 기구(4)에서는 실질적으로, 베어링 부재(42)의 외주면(62)의 전체가 베어링 보지 부재(43)에 덮인다. 따라서, 윤활유가 누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축방향에서, 베어링 부재(42)의 하단면(421)의 위치는 플랜지부(432)의 하면(532)과 동일하다. 단, 엄밀하게 동일할 필요는 없고, 베어링 부재(42)는 플랜지부(432)의 하면(532)보다 약간 돌출되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축방향에서, 베어링 부재(42)의 하단면(421)과 하면(532) 사이의 거리는 1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5mm 이하이다. 이 경우라도, 베어링 부재(42)의 외주면(62)의 하부의 대체적으로 전체가 플랜지부(432)로 덮이기 때문에, 윤활유의 누출이 방지된다.
장착판(12)의 중앙에는, 원통형상의 개구부(123)가 마련된다. 개구부(123)는 버링 가공으로 형성된다. 모터(1)에서는, 개구부(123)에 베어링 보지 원통부(431)의 하부가 압입되는 것에 의해, 장착판(12)이 베어링 보지 원통부(431)에 고정된다. 장착판(12)의 하면(124)의 개구부(123) 근방의 부위는, 플랜지부(432)의 상면(533)에 접촉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베어링 보지 원통부(431)에 장착판(12)이 압입되는 축방향의 압입 범위는, 베어링 부재(42)의 축방향의 존재 범위와 직경방향으로 중첩된다.
모터(1)가 기기에 탑재될 때, 장착판(12)이 도 4 중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장착 대상 부재(9)의 장착면인 상면(91)상에 탑재된다. 이 때, 플랜지부(432)의 외주면(531)이 장착 대상 부재(9)의 구멍부(92)에 끼워진다. 이것에 의해, 상면(91)에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장착 대상 부재(9)에 대한 중심축(J1)의 위치가 결정된다. 이와 같이, 플랜지부(432)의 외주면(531)은 끼워 맞춤을 이용하여, 장착 대상 부재(9)에 대한 위치 결정면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외주면(531)의 일부만이 위치 결정면으로서 기능하여도 좋다.
모터(1)의 구동시에는, 베어링 부재(42)가 중심축(J1)을 중심으로 샤프트(4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기기내에서는, 샤프트(41)의 하부에 도시 생략한 피니언 기어가 고정되고, 피니언 기어와 다른 기어가 맞물리는 것에 의해, 모터(1)의 동력이 전달된다. 모터(1)에서는, 스테이터(3)가 베어링 보지 원통부(431)의 상부에 고정되기 때문에, 베어링 부재(42)에 의한 샤프트(41)의 지지 중심은, 스테이터(3)보다 하측, 즉, 모터(1)의 토크가 발생하는 위치보다 출력측에 존재한다. 이것에 의해, 샤프트(41)가 안정되게 지지된다.
도 5는 모터 본체(11)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 스페이서(44)는, PBT(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수지로 형성되어, 베어링 부재(42)의 상단과 로터 홀더(21)의 중앙 원통부(212b)의 하단 사이에 배치된다. 스페이서(44)가 마련되는 것에 의해, 샤프트(41) 및 회전부(2)가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빠짐 방지부(45)는, 베어링 부재(42)의 하측에서 샤프트(41)에 고정된다. 빠짐 방지부(45)는, 환상의 고정 링(451)과 고정 링(451)의 상면상에 배치된 환상의 수지 플레이트(452)를 구비한다. 수지 플레이트(452)는, 예를 들면, PEEK(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으로 형성된다. 빠짐 방지부(45)가 마련되는 것에 의해, 샤프트(41)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수지 플레이트(452)가 마련되는 것에 의해, 빠짐 방지부(45)가 베어링 부재(42)에 접촉해도, 베어링 부재(42)의 손상이 방지된다.
베어링 부재(42)의 내주면(61)에는, 축방향에서의 중앙에서, 직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움푹 패인 오목부(611)가 마련된다. 베어링 부재(42)의 외주면(62)에서는, 상부(621)의 직경이 중앙부(622) 및 하부(623)보다 작다. 중앙부(622) 및 하부(623)의 직경은 동일하다. 또한, 베어링 보지 원통부(431)의 내주면(52)에서는, 하부(523)의 직경이, 상부(521) 및 중앙부(522)의 직경보다 크다. 상부(521) 및 중앙부(522)의 직경은 동일하다. 베어링 보지 원통부(431)의 내주면(52)에서, 중앙부(522)와, 하부(523)의 경계에는 단부(520)가 형성된다. 또한, 베어링 보지 원통부(431)의 외주면(51)에서, 중앙부(512)와 하부(513)의 경계에는 단부(510)가 형성된다.
베어링 기구(4)에서는, 베어링 부재(42)의 외주면(62)의 상부(621)와 베어링 보지 원통부(431)의 내주면(52)의 상부(521) 사이에 제 1 간극(721)이 마련된다. 베어링 부재(42)의 외주면(62)의 하부(623)와 베어링 보지 원통부(431)의 내주면(52)의 하부(523) 사이에 제 2 간극(722)이 마련된다. 베어링 부재(42)의 내주면(61)의 오목부(611)와 샤프트(41)의 외주면(411) 사이에 제 3 간극(723)이 마련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경방향에서, 제 1 간극(721)은 베어링 보지 원통부(431)에 스테이터 코어(31)가 압입되는 압입 범위(711)와 거의 중첩된다. 직경방향에서, 제 2 간극(722)은 베어링 보지 원통부(431)에 장착판(12)이 압입되는 압입 범위(712)와 중첩된다. 이하, 압입 범위(711, 712)를 「제 1 압입 범위(711)」 및 「제 2 압입 범위(712)」라고 한다. 이것에 의해, 장착판(12) 및 스테이터 코어(31)가 각각 베어링 보지 원통부(431)를 가압하여도, 베어링 보지 원통부(431)에 삽입된 베어링 부재(42)의 내주면(61)에 뒤틀림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직경방향에서, 제 3 간극(723)은, 베어링 보지 원통부(431)의 내주면(52)의 중앙부(522)와 베어링 부재(42)의 외주면(62)의 중앙부(622) 사이의 압입 범위(713)와 중첩된다. 이것에 의해, 베어링 보지 원통부(431)로부터의 가압에 의해 베어링 부재(42)가 뒤틀렸을 경우라도, 샤프트(41)의 회전에의 영향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1)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장착판(12)이, 베어링 보지 부재(43)에 압입되는 것에 의해, 장착판(12)과 베어링 보지 부재(43)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그 결과, 조립 공수를 삭감할 수 있어, 제조 가격을 저감 할 수 있다.
베어링 기구(4)에서는 제 1 압입 범위(711)에서, 베어링 부재(42)와 베어링 보지 원통부(431) 사이에 제 1 간극(721)이 마련된다. 이것에 의해, 베어링 부재(42)의 내주면(61)의 상부가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2 압입 범위(712)에서, 베어링 부재(42)와 베어링 보지 원통부(431) 사이에 제 2 간극(722)이 마련된다. 이것에 의해, 베어링 부재(42)의 내주면(61)의 하부가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베어링 부재(42)를 용이하게 샤프트(41)의 출력측에 배치할 수 있다. 베어링 부재(42)가 샤프트(41)의 출력측에 배치됨으로써, 베어링 부재(42)의 길이를 짧게 해도, 샤프트(41)를 적절히 지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조 가격을 보다 저감 할 수 있다.
베어링 기구(4)에서는, 로터 마그넷(22)으로서 염가인 페라이트 자석이 이용됨으로써, 제조 가격을보다 저감 할 수 있다. 페라이트 자석은 네오디뮴 자석에 비하여 자력이 약하기 때문에, 로터 마그넷(22) 및 스테이터(3)의 축방향에서의 높이를 높게 하여 자기적 작용을 충분히 확보할 필요가 있다. 모터(1)에서는, 이러한 구조라도, 중앙 원통부(212b)가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으며, 축방향 하측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로터 홀더(21)가 베어링 부재(42)의 가까이에서 체결된다. 그 결과, 로터 홀더(21)의 언밸런스 등에 기인하는 진동이 발생했다고 해도, 중앙 원통부(212b)가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축방향 상측에서 체결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베어링 부재(42)에 전달되는 진동이 적다. 따라서, 베어링 부재(42)를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모터(1)의 제조 가격의 증대가 억제된다.
로터 홀더(21)의 샤프트(41)가 고정되는 부위인 중앙 원통부(212b)의 하단이, 스테이터 코어(31)의 상면(311)보다 하방에 위치함으로써, 로터 홀더(21)의 샤프트(41)에의 고정 위치를 베어링 부재(42)에 접근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로터 홀더(21)를 용이하게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장착판(12)에서는 개구부(123)가 원통형상인 것에 의해, 개구부(123)를 베어링 보지 원통부(431)에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버링 가공을 이용함으로써, 개구부(123)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베어링 보지 부재(43)에서는, 플랜지부(432)의 외주면(531)이 원형인 것에 의해, 평판 부재로부터의 플랜지부(432)의 성형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플랜지부(432)를 장착 대상 부재(9)의 구멍부(92)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베어링 보지 원통부(431)의 외주면(51)에 있어서, 중앙부(512)와 하부(513)의 경계에는 단부(510)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장착판(12)의 개구부(123)에 베어링 보지 원통부(431)를 압입할 때, 압입하는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단부(510)가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삽입의 가이드가 되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해진다.
기술과 같이, 베어링 부재(42), 장착판(12) 및 스테이터(3)가 베어링 보지 부재(43)에 압입 고정된다. 회로 기판(13)이 장착판(12)에 코킹 고정된다. 이와 같이, 모터(1)의 각 부품의 조립에 압입이나 코킹이 이용됨으로써, 고가의 설비를 사용하는 일 없이 모터(1)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도 동일하다.
(제 2 실시형태)
도 7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1a)의 단면도이다. 모터(1a)에서는, 베어링 부재(42)의 하측에 있어서 빠짐 방지부(46)가 샤프트(41)에 장착된다. 베어링 부재(42)의 상측에 있어서, 빠짐 방지부(47)가 샤프트(41)에 장착된다. 도 7에서는, 빠짐 방지부(46, 47)의 단면에 대한 평행 사선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이하, 빠짐 방지부(46)를 「하부 빠짐 방지부(46)」라고 말하고, 빠짐 방지부(47)를 「상부 빠짐 방지부(47)」라고 말한다. 베어링 부재(42)의 상단면(422)은 스테이터(3)의 축방향에서의 중앙, 즉, 스테이터 코어(31)의 축방향에서의 중앙보다 하방에 위치한다. 로터 홀더(21)의 덮개부(212)의 중앙부(212a)에는, 움푹 패인 곳의 하단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중앙 원통부(212c)가 마련된다. 중앙 원통부(212c)에는 샤프트(41)의 상부가 고정된다.
모터(1a)에서는, 베어링 보지 부재(43a)의 두께가 도 4에 도시하는 베어링 보지 부재(43)보다 얇다. 구체적으로는, 베어링 보지 부재(43a)의 두께는 1.2mm이다. 베어링 보지 부재(43a)의 플랜지부(432)는, 상면(533)으로부터 장착판(12)을 향하여 돌출하는 복수의 단차부(433)를 갖는다. 단차부(433)는, 하프 블랭킹(half blanking) 가공으로 마련된다. 모터(1a)의 다른 구조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1)와 거의 동일하다. 이하, 동일한 구성에는 동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베어링 보지 부재(43a)의 평면도이다. 플랜지부(432)의 단차부(433)는, 중심축(J1)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상이다. 3개의 단차부(433)는 둘레방향에 대하여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차부(433)의 상단은, 장착판(12)의 하면(124)에 대략 환상으로 접촉하여, 장착판(12)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한다. 플랜지부(432)의 상면(533)과 장착판(12)의 하면(124) 사이의 거리는, 단차부(433)의 축방향에서의 높이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모터(1a)에서는, 단차부(433)가 축방향에서의 장착판(12)과 플랜지부(432)의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는 스페이서부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도 9는 베어링 부재(42)의 하부 근방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하부 빠짐 방지부(46)는, 금속의 고정 링(461)과 금속의 와셔(462)와 환상의 수지 플레이트(463)를 구비한다. 하부 빠짐 방지부(46)에서는, 베어링 부재(42)의 하측에 있어서, 수지 플레이트(463), 와셔(462) 및 고정 링(461)이 순차적으로 하부를 향하여 배치된다. 고정 링(461)은, C형 고정 링이다. 고정 링(461)의 내주부는, 샤프트(41)의 외주면(411)에 둘레방향으로 마련된 환상의 홈부(412)에 끼워진다. 와셔(462) 및 수지 플레이트(463)는, 샤프트(41)에 유동 가능한 삽입 상태로 장착된다. 고정 링(461)이 존재함으로써, 고정 링(461)의 상측에 배치된 와셔(462)가 샤프트(41)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도 9에서는 수지 플레이트(463)를 베어링 부재(42)의 하단면(421)에 접한 상태에서 도시하고 있다. 그렇지만, 윤활유가 와셔(462)에 부착함으로써 수지 플레이트(463)가 와셔(462)의 상면에 접하는 경우도 있다.
모터(1a)에서는, 하부 빠짐 방지부(46)가 마련됨으로써, 샤프트(41)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수지 플레이트(463)가 와셔(462)와 베어링 부재(42)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베어링 부재(42)의 하부의 마모 또는 손상이 방지된다.
도 10은 도 9의 하부 빠짐 방지부(46) 및 샤프트(41)를 하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10에서는 샤프트(41)에 평행 사선을 부여하고 있다. 와셔(462)는 2개의 돌기부(462a)를 갖는다. 돌기부(462a)는 하방을 향하여, 즉, 도 10에 있어서의 지면 전방측을 향하여 돌출한다. 2개의 돌기부(462a)는, 중심축(J1)을 사이에 두고 일직선으로 나란히 한다. 고정 링(461)은, 중심축(J1)을 중심으로 하는 환상의 부위(461b)와, 해당 부위(461b)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461a)를 구비한다. 돌기부(462a) 및 돌출부(461a)는, 둘레방향에 대하여 나란히 한다. 정확하게는, 돌기부(462a)의 직경방향에 대한 존재 범위는, 돌출부(461a)의 직경방향에 대한 존재 범위와 중첩되며, 부위(461b)의 직경방향에 대한 존재 범위와는 중첩되지 않는다.
모터(1a)의 구동시에는, 1개의 돌기부(462a)와 돌출부(461a)가 둘레방향에 대하여 서로 고정함으로써, 고정 링(461)에 대한 와셔(462)의 상대 회전을 방해할 수 있다. 그 결과, 와셔(462)의 마모가 억제된다. 모터(1a)에서는, 2개의 돌기부(462a)가 존재함으로써, 돌출부(461a)가 1개의 돌기부(462a)를 초과하여도, 나머지의 돌기부(462a)와 둘레방향에 대하여 고정한다.
이것에 의해, 고정 링(461)에 대한 와셔(462)의 상대 회전이보다 확실히 억제된다. 또한, 돌기부(462a)의 크기가 작은 경우, 돌기부(462a)가 돌출부(461a)의 내측에 마련된 영역에 끼워지는 경우도 있다.
도 11은, 베어링 부재(42)의 상부 근방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상부 빠짐 방지부(47)는, 금속의 고정 링(471)과 금속의 와셔(472)와, 환상의 수지 플레이트(473)를 구비한다. 상부 빠짐 방지부(47)에서는, 베어링 부재(42)의 상측에 있어서, 수지 플레이트(473), 와셔(472) 및 고정 링(471)이 순차적으로 상측을 향하여 배치된다. 고정 링(471)의 내주부는, 샤프트(41)의 외주면(411)에 둘레방향으로 마련된 환상의 홈부(413)에 끼워진다. 와셔(472) 및 수지 플레이트(473)는, 샤프트(41)에 유격 끼워 맞춤 가능한 삽입 상태로 장착된다. 고정 링(471)이 존재함으로써, 와셔(472)가 샤프트(41)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방지된다.
모터(1a)에서는, 상부 빠짐 방지부(47)가 마련됨으로써, 샤프트(41)가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수지 플레이트(473)가 와셔(472)와 베어링 부재(42)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베어링 부재(42)의 상부의 마모 또는 손상이 방지된다.
와셔(472)의 상면에는, 도 10의 하부 빠짐 방지부(46)의 와셔(462)와 동일하게 돌기부가 마련된다. 돌기부는 상방을 향하여 돌출한다. 상부 빠짐 방지부(47)에서는, 하부 빠짐 방지부(46)와 동일하게, 돌기부와 고정 링(471)의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가 둘레방향에 대하여 서로 고정한다. 이것에 의해, 고정 링(471)에 대한 와셔(472)의 상대 회전을 방해할 수 있다.
이상,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1a)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하부 빠짐 방지부(46)에서는, 고정 링(461)에 의해 와셔(462)가 샤프트(41)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와셔(462)를 샤프트(41)에 압입하는 일 없이, 샤프트(41)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그 결과, 하부 빠짐 방지부(46)를 샤프트(41)의 주위에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부 빠짐 방지부(47)에서도 동일하다.
고정 링을 이용하는 일 없이 빠짐 방지부를 구성하는 경우, 프레스 가공이나 소결 등으로 형성된 환상 부재를 샤프트에 압입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모터에서는, 간섭값을 확보하기 위해서 환상 부재를 두껍게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샤프트의 직경이 작으면 충분한 압입 강도를 확보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와셔가 샤프트로부터 벗어날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해, 모터(1a)에서는 샤프트(41)의 직경이 작은 경우라도, 고정 링(461)을 마련함으로써, 와셔(462)가 샤프트(41)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확실히 방지된다. 상부 빠짐 방지부(47)에서도 동일하다. 모터(1a)에서는, 하부 빠짐 방지부(46) 및 상부 빠짐 방지부(47)에 의해, 모터(1a)의 구동시 등에 발생하는 스러스트방향의 하중에 대하여 충분히 견딜 수 있는 빠짐 방지 구조를 간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빠짐 방지 구조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모터(1a)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베어링 보지 부재(43a)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베어링 보지 부재(43a)의 재료비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모터(1a)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베어링 보지 부재(43a)에서는, 플랜지부(432)에 단차부(433)가 존재함으로써, 장착판(12)의 하면(124)으로부터 플랜지부(432)의 외주면(531)을 하방에 이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플랜지부(432)의 두께를 얇게 해도, 직경방향에 대하여, 외주면(531)을 도 4의 장착 대상 부재(9)의 구멍부(92)의 내주면에 충분히 접촉시킬 수 있다.
모터(1a)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장착판(12)이 베어링 보지 부재(43a)에 압입되기 때문에, 조립 공수를 삭감할 수 있어 제조 가격을 저감 할 수 있다. 또한, 베어링 보지 원통부(431)에 스테이터 코어(31)가 압입되는 제 1 압입 범위(711)(도 6 참조)에 있어서, 베어링 부재(42)와 베어링 보지 원통부(431) 사이에 제 1 간극(721)이 마련된다. 이것에 의해, 베어링 부재(42)의 내주면(61)의 상부가 변형하는 것이 억제된다. 마찬가지로, 베어링 보지 원통부(431)에 장착판(12)이 압입되는 제 2 압입 범위(712)에 있어서, 베어링 부재(42)와 베어링 보지 원통부(431) 사이에 제 2 간극(722)이 마련된다. 이것에 의해, 베어링 부재(42)의 내주면(61)의 하부가 변형하는 것이 억제된다. 이하의 다른 실시형태에서도 동일하다.
도 12는, 다른 예에 따른 모터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모터(1a)의 장착판(12)은, 복수의 단차부(125)를 구비한다. 단차부(125)는 장착판(12)의 하면(124)으로부터 플랜지부(432)의 상면을 향하여 돌출한다. 단차부(125)는, 하프 블랭킹 가공으로 마련된다. 복수의 단차부(125)는, 도 8에 도시하는 단차부(433)와 동일하게, 둘레방향에 등간격으로 마련된다. 모터(1a)에서는, 장착판(12)과 플랜지부(432) 사이의 스페이서부로서 단차부(125)가 마련된다. 이것에 의해, 플랜지부(432)의 두께가 얇은 경우라도, 플랜지부(432)의 외주면(531)을 장착 대상 부재(9)의 구멍부(92)의 내주면에 충분히 접촉시킬 수 있다.
도 13은, 또 다른 예에 따른 모터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장착판(12)과 플랜지부(432) 사이에는, 환상의 스페이서부(14)가 마련된다. 도 13에 도시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스페이서부(14)가 존재함으로써, 축방향에서의 장착판(12)과 플랜지부(432) 사이의 거리를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직경방향에서, 플랜지부(432)를 장착 대상 부재(9)의 구멍부(92)에 충분히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부는 반드시 환상일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평면에서 보아 대략 C자형상 이라도 좋다.
(제 3 실시형태)
도 14는,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의 베어링 부재의 하부 근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모터 하부 빠짐 방지부(46a)에는, 금속의 고정 링을 대신하여 수지의 고정 링(464)이 마련된다. 고정 링(464)의 내주부는, 샤프트(41)의 외주면(411)의 홈부(412)에 끼워진다. 베어링 부재(42)의 상측에는, 상부 빠짐 방지부가 마련된다. 상부 빠짐 방지부의 구성은, 수지의 고정 링이 마련되는 점을 제외하고, 도 11 상부 빠짐 방지부(47)와 동일하다. 모터의 다른 구조는, 도 7에 도시하는 모터(1a)와 동일하다. 이하, 동일한 구성에는 동 부호를 부여한다.
하부 빠짐 방지부(46a)에서는, 수지의 고정 링(464)이 이용됨으로써, 고정 링(464)에 대하여 와셔(462)가 상대 회전하여도, 와셔(462)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하부 빠짐 방지부(46a)에서는, 고정 링(464)에 의해 와셔(462)가 샤프트(41)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와셔(462)를 샤프트(41)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그 결과, 하부 빠짐 방지부(46a)를 샤프트(41)의 주위에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부 빠짐 방지부에서도 동일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플랜지부(432)의 외주면(531)이 중심축(J1)의 위치 결정을 실행할 수 있다면, 외주면(531)은 원형 이외의 여러 가지 형상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원형의 외주의 일부가 노치된 형상이어도 좋고, 각부가 면취된 사각형이라도 좋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베어링 부재(42)의 하단면(421)은 제 2 압입 범위(712)의 상단보다 하방, 보다 바람직하게는 플랜지부(432)의 상면(533)보다 하부에 위치한다면, 반드시, 축방향에 대하여 플랜지부(432)의 하면(532)과 동일한 위치일 필요는 없다. 이 경우라도, 베어링 부재(42)를 샤프트(41)의 출력측에 접근하면서, 제 2 간극(722)에 의해 베어링 부재(42)의 내주면(61)의 하부의 변형이 억제된다. 베어링 부재(42)의 상단은, 스테이터(3)의 축방향에서의 중앙보다 하방에 위치해도 좋다. 제 2 및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축방향에서의 베어링 부재(42)의 하단면(421)의 위치가 플랜지부(432)의 상면(533)과 동일, 또는, 상면(533)보다 하방에 위치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베어링 부재(42)의 외주면(62)의 상부(621) 및 중앙부(622)의 직경을 동일하게 하고, 베어링 보지 원통부(431)의 내주면(52)의 상부(521)의 직경을 중앙부(522)의 직경보다 크게 해도 좋다. 동일하게, 베어링 부재(42)의 외주면(62)의 하부(623)의 직경을 중앙부(622)의 직경보다 작게 하고, 베어링 보지 원통부(431)의 내주면(52)의 중앙부(522) 및 하부(523)의 직경을 동일하게 해도 좋다. 이와 같이, 제 1 간극(721) 및 제 2 간극(722)은 여러 가지 수법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베어링 보지 원통부(431)의 내주면(52)의 하부(523)의 직경을 다른 부위보다 크게 함으로써, 평판 부재로부터 프레스 가공으로 베어링 보지 부재(43, 43a)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장착판(12)은 완전하게 판형상일 필요는 없고, 장착 대상 부재(9)에의 장착에 필요한 여러 가지 입체적 부위가 존재해도 좋다. 장착부(121)에 있어서의 설치 구조도 나사 고정 이외의 구조라도 좋다. 장착판(12)의 개구부(123)는, 반드시 원통형상일 필요는 없으며, 원통형상의 부위는 생략되어도 좋다. 즉, 개구부(123)는, 통로가 형성된 평판형상의 부위라도 좋다. 이 경우, 통로의 내주면에 대하여, 베어링 보지 원통부(431)가 압입된다.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는, 플랜지부(432)의 단차부(433)의 수는, 3이외의 수라도 좋다. 단차부(433)의 수가 2인 경우, 2개의 단차부(433)는, 중심축(J1)을 사이에 두고 대략 일직선상으로 배치된다. 3이상의 단차부(433)가 마련되는 경우, 복수의 단차부(433)가 중심축(J1)을 중심으로 대략 환상으로 존재한다면, 반드시, 둘레방향에 등간격으로 배치될 필요는 없다. 1개의 단차부(433)만 마련되는 경우, 둘레방향에 대한 존재 범위가 180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차부(433)의 형상은, 원호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원형이나 점열형상 등의 다른 여러 가지 형상이라도 좋다. 장착판(12)의 단차부(125)에서도 동일하다.
하부 빠짐 방지부(46)에서는, 고정 링으로서 E형 고정 링이 이용되어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와셔(462)에 1개의 돌기부(462a)가 마련되고, 돌기부(462a)가 E형 고정 링의 원호형상의 부위의 양단부 사이에 배치된다. 모터(1a)의 구동시에는, 돌기부(462a)가 한쪽 단부와 둘레방향으로 고정한다. 이와 같이, 모터(1a)에서는, 여러 가지 형상의 고정 링이 이용 가능하며, 회전시에 고정 링의 일부가 둘레방향에 대하여 돌기부(462a)와 고정함으로써, 고정 링에 대한 와셔(462)의 회전 고정이 용이하게 실현된다. 상부 빠짐 방지부(47)에서도 동일하다. 또한, 금속의 고정 링의 경우, 강도상, C형 고정 링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빠짐 방지부(46)에서는, 와셔(462)의 돌기부(462a)의 수가 3이상이라도 좋다. 고정 링(461)에 대하여 돌기부(462a)가 둘레방향으로 확실히 고정한다면, 돌기부(462a)의 수가 1개라도 좋다. 또한, 와셔(462)를 샤프트(41)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면, 와셔(462)를 샤프트(41)에 경압입 하여도 좋다. 상부 빠짐 방지부(47)에서도 동일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스테이터 코어(31)는, 베어링 보지 원통부(431)의 외주면(51)에 직접적으로 장착될 필요는 없고, 간접적으로 장착되어도 좋다. 로터 마그넷(22)으로서 네오디뮴 자석이 사용되어도 좋다. 회로 기판(13)상에는, IC(집적회로) 등의 회로를 구성하는 전자 부품이 실장되어도 좋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빠짐 방지부(45)가 도시 생략한 피니언 기어라도 좋다. 즉, 빠짐 방지부(45)를 마련하지 않고 기어가 배치되어, 기어 자체가 빠짐 방지부로서 기능해도 좋다. 로터 홀더(21)의 중앙 원통부(212b)는, 중앙부(212a)로부터 위를 향하여 굽혀지도록 하여 마련되어도 좋다. 이 경우, 스페이서(44)의 축방향의 길이를 길게 함으로써, 베어링 부재(42)를 작게 할 수 있다. 반대로,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로터 홀더(21)와 샤프트(41)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조에 의해 결합되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 및 각 변형예에 있어서의 구성은,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적절히 조합할 수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용도의 모터에 이용할 수 있다.
1, 1a : 모터 3 : 스테이터
9 : 장착 대상 부재 12 : 장착판
14 : 스페이서부 21 : 로터 홀더
22 : 로터 마그넷 31 : 스테이터 코어
41 : 샤프트 42 : 베어링 부재
43, 43a : 베어링 보지 부재 46, 46a : 하부 빠짐 방지부
47 : 상부 빠짐 방지부 51 : (베어링 보지 원통부의) 외주면
92 : (장착 대상 부재의) 구멍부분
121 : 장착부 123 : 개구부
124 : (장착판의) 하면 125, 433 : 단차부
211 : 원통부 211a : (원통부의) 내주면
212b, 212c : 중앙 원통부 311 : (스테이터 코어의) 상면
411 : (샤프트의) 외주면 412, 413 : 홈부
422 : (베어링 부재의) 상단면 431 : 베어링 보지 원통부
432 : 플랜지부 461, 464, 471 : 고정 링
461a : 돌출부 462, 472 : 와셔
462a : 돌기부 463, 473 : 수지 플레이트
531 : (플랜지부의) 외주면 533 : (플랜지부의) 상면
711 내지 713 : 압입 범위 721 내지 723 : 제 1 내지 제 3 간극
J1 : 중심축

Claims (13)

  1. 상하방향을 향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배치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상부에 고정된 덮개를 갖는 원통형상의 로터 홀더와,
    상기 로터 홀더의 원통부의 내주면에 고정된 로터 마그넷과,
    상기 샤프트를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함유 소결 베어링인 베어링 부재와,
    상기 베어링 부재가 삽입되는 베어링 보지 부재와,
    상기 로터 마그넷의 직경방향 내측에 배치된 스테이터와,
    상기 베어링 보지 부재에 고정된 장착판을 구비하고,
    상기 베어링 보지 부재는,
    상기 베어링 부재가 삽입되는 베어링 보지 원통부와,
    상기 베어링 보지 원통부의 하단으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넓어지는 플랜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테이터가 상기 베어링 보지 원통부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샤프트의 하단이 상기 플랜지부보다 하방으로 돌출하며,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면이, 장착 대상 부재의 구멍부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 상기 장착 대상 부재에 대한 상기 중심축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면을 포함하며,
    상기 장착판은,
    상기 베어링 보지 원통부가 압입되는 개구부와,
    상기 장착 대상 부재에 고정되는 장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판의 하면이 상기 플랜지부의 상면에 접촉하고,
    축방향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보지 원통부에 상기 장착판이 압입되는 압입 범위와 상기 베어링 부재의 존재 범위가 중첩되고, 상기 압입 범위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부재와 상기 베어링 보지 원통부 사이에 간극이 마련되는
    모터.
  2. 상하방향을 향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배치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상부에 고정된 덮개를 갖는 대략 원통형상의 로터 홀더와,
    상기 로터 홀더의 원통부의 내주면에 고정된 로터 마그넷과,
    상기 샤프트를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함유 소결 베어링인 베어링 부재와,
    상기 베어링 부재가 삽입되는 베어링 보지 부재와,
    상기 로터 마그넷의 직경방향 내측에 배치된 스테이터와,
    상기 베어링 보지 부재에 고정된 장착판을 구비하고,
    상기 베어링 보지 부재는,
    상기 베어링 부재가 삽입되는 베어링 보지 원통부와,
    상기 베어링 보지 원통부의 하단으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넓어지는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테이터가 상기 베어링 보지 원통부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샤프트의 하단이 상기 플랜지부보다 하방으로 돌출하며,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면이, 장착 대상 부재의 구멍부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 상기 장착 대상 부재에 대한 상기 중심축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면을 포함하며,
    상기 장착판은,
    상기 베어링 보지 원통부가 압입되는 개구부와,
    상기 장착 대상 부재에 고정되는 장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판과 상기 플랜지부 사이에, 축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장착판과 상기 플랜지부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는 스페이서부가 마련되는
    모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장착판을 향하여 돌출하거나, 또는 상기 장착판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플랜지부를 향하여 돌출하는 단차부인
    모터.
  4. 상하방향을 향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배치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상부에 고정된 덮개를 갖는 원통형상의 로터 홀더와,
    상기 로터 홀더의 원통부의 내주면에 고정된 로터 마그넷과,
    상기 샤프트를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함유 소결 베어링인 베어링 부재와,
    베어링 부재가 삽입되는 베어링 보지 부재와,
    상기 로터 마그넷의 직경방향 내측에 배치된 스테이터와,
    상기 베어링 보지 부재에 고정된 장착판과,
    상기 베어링 부재의 하측에서 상기 샤프트에 장착된 빠짐 방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어링 보지 부재는,
    상기 베어링 부재가 삽입되는 베어링 보지 원통부와,
    상기 베어링 보지 원통부의 하단으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넓어지는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테이터가 상기 베어링 보지 원통부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샤프트의 하단이 상기 플랜지부보다 하방으로 돌출하며,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면이, 장착 대상 부재의 구멍부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 상기 장착 대상 부재에 대한 상기 중심축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면을 포함하며,
    상기 장착판은,
    상기 베어링 보지 원통부가 압입되는 개구부와,
    상기 장착 대상 부재에 고정되는 장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빠짐 방지부는,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둘레방향으로 형성된 홈부에 끼워진 금속의 고정 링과,
    상기 샤프트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 링의 상측에 배치되는 금속의 와셔와,
    상기 와셔와 상기 베어링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환상의 수지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와셔가 하방으로 돌출하는 돌기부를 구비하며,
    상기 돌기부와, 상기 고정 링의 일부가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방향으로 서로 고정되는
    모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링은 C형 고정 링인
    모터.
  6. 상하방향을 향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배치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상부에 고정된 덮개를 갖는 원통형상의 로터 홀더와,
    상기 로터 홀더의 원통부의 내주면에 고정된 로터 마그넷과,
    상기 샤프트를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함유 소결 베어링인 베어링 부재와,
    상기 베어링 부재가 삽입되는 베어링 보지 부재와,
    상기 로터 마그넷의 직경방향 내측에 배치된 스테이터와,
    상기 베어링 보지 부재에 고정된 장착판과,
    상기 베어링 부재의 하측에서 상기 샤프트에 장착된 빠짐 방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어링 부재가 삽입되는 베어링 보지 원통부와,
    상기 베어링 보지 원통부의 하단으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넓어지는 플랜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테이터가 상기 베어링 보지 원통부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샤프트의 하단이 상기 플랜지부보다 하방으로 돌출하며,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면이, 장착 대상 부재의 구멍부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 상기 장착 대상 부재에 대한 상기 중심축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면을 포함하며,
    상기 장착판은,
    상기 베어링 보지 원통부가 압입되는 개구부와,
    상기 장착 대상 부재에 고정되는 장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빠짐 방지부는,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둘레방향으로 형성된 홈부에 끼워진 수지의 고정 링과,
    상기 샤프트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 링의 상측에 배치되는 금속의 와셔와,
    상기 와셔와 상기 베어링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환상의 수지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모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판의 상기 개구부는 원통형상인
    모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원통형상의 상기 개구부는 버링 가공에 의해 형성된 것인
    모터.
  9.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외주면은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인
    모터.
  10.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 홀더의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는 부위의 하단이 상기 스테이터의 스테이터 코어의 상면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모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 마그넷은 페라이트 자석인
    모터.
  12.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부재의 하단은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표면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모터.
  13.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부재의 상단은 상기 스테이터의 축방향에서의 중앙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모터.
KR1020110118252A 2010-11-15 2011-11-14 모터 KR1012571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54400 2010-11-15
JPJP-P-2010-254400 2010-11-15
JP2011121388A JP2012125129A (ja) 2010-11-15 2011-05-31 モータ
JPJP-P-2011-121388 2011-05-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2174A true KR20120052174A (ko) 2012-05-23
KR101257194B1 KR101257194B1 (ko) 2013-04-22

Family

ID=46268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8252A KR101257194B1 (ko) 2010-11-15 2011-11-14 모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57194B1 (ko)
CN (1) CN10254545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453085U (zh) * 2012-08-09 2014-02-26 日本电产株式会社 风扇
CN109964391B (zh) * 2016-11-23 2022-04-29 日本电产株式会社 马达和电动助力转向装置
CN108233584A (zh) * 2016-12-22 2018-06-29 日本电产(东莞)有限公司 马达
CN108336838A (zh) 2017-01-20 2018-07-27 德昌电机(深圳)有限公司 电机
JP7090870B2 (ja) * 2017-12-26 2022-06-27 東京パーツ工業株式会社 モータ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0247A (ja) * 2002-01-31 2003-08-15 Tokyo Parts Ind Co Ltd モータのステータ支持機構とこの支持機構の製造方法
JP2004208400A (ja) * 2002-12-25 2004-07-22 Tokyo Parts Ind Co Ltd アウターロータ型モータ
CN1306684C (zh) * 2003-11-07 2007-03-21 日本电产株式会社 主轴马达和包括该主轴马达的记录磁盘驱动装置
JP4946625B2 (ja) * 2007-05-21 2012-06-06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KR20100035999A (ko) * 2008-09-29 2010-04-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핀들 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45458B (zh) 2014-12-17
CN102545458A (zh) 2012-07-04
KR101257194B1 (ko) 2013-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41277B2 (en) Motor
JP4946625B2 (ja) モータ
KR101257194B1 (ko) 모터
JP2012125129A (ja) モータ
US7800265B2 (en) Motor for a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US7986068B2 (en) Motor
US9018814B2 (en) Motor
CN110462989B (zh) 马达
CN210327272U (zh) 电动致动器
CN110771016B (zh) 电子设备
EP0762609A2 (en) Compound ball bearing
KR101004772B1 (ko) 모터
CN104184248A (zh) 电机及其端盖轴承连接结构
CN109256887B (zh) 马达
US20170179784A1 (en) Brushless motor
JP2013039011A (ja) モータ
WO2012017737A1 (ja) 扁平形振動モータ
JP5186162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
JP6221032B2 (ja) モータ
JP6745674B2 (ja) ロータおよび回転電機
CN112956110B (zh) 电机
CN212412923U (zh) 马达
JP2008228367A (ja) ブラシレスモータ
CN111262376B (zh) 马达和电动轮
JP2013176217A (ja) アウターロータ型ブラシレス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