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2161A - 재봉틀 및 이러한 재봉틀을 이용하여 재봉 개시 부분을 재봉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재봉틀 및 이러한 재봉틀을 이용하여 재봉 개시 부분을 재봉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2161A
KR20120052161A KR1020110116720A KR20110116720A KR20120052161A KR 20120052161 A KR20120052161 A KR 20120052161A KR 1020110116720 A KR1020110116720 A KR 1020110116720A KR 20110116720 A KR20110116720 A KR 20110116720A KR 20120052161 A KR20120052161 A KR 20120052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upper thread
sewing
state
gri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6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2871B1 (ko
Inventor
엔스 요한
Original Assignee
뒤르콥 아들러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뒤르콥 아들러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뒤르콥 아들러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20052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2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2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2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47/00Needle-thread tensioning devices; Applications of tensometers
    • D05B47/04Automatically-controlled tension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47/00Needle-thread tensioning devices; Applications of tenso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재봉틀은 윗실(9)용 저장부를 갖는다. 니들(8)을 구비한 니들 바(7)는 직물을 관통하도록 윗실(9)을 안내하기 위해 사용된다. 파지기(10)는 바늘땀 형성 중에 윗실(9)을 파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윗실 고정부(14)가 파지기(10)와 실 채기(18) 사이 저장부 쪽을 향한 윗실의 진행 경로에 배치되어 있다. 윗실-주 인장부(21)가 윗실 고정부(14)의 전방에 저장부 쪽을 향한 윗실의 진행 경로에 배치되어 있다. 윗실 고정부(14)와 실 채기(18) 사이에는 실 인발부(24)가 배치되어 있다. 실 인발부(24)는 실 인발 상태에서 윗실(9)의 경로는 중립 상태에서 윗실(9)의 경로보다 실 경로길이 차이만큼 더 길도록 중립 상태와 실 인발 상태 간 전환이 가능하도록 조정된다. 그 결과, 재봉 개시 부분에서 직물로부터 돌출한 윗실의 일부를 신뢰성 있는 방법으로 짧게 할 수 있는 재봉틀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재봉틀 및 이러한 재봉틀을 이용하여 재봉 개시 부분을 재봉하기 위한 방법 {SEWING MACHINE AND METHOD FOR SEWING SEAM-STARTING PART USING SUCH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재봉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재봉틀을 이용하여 재봉 개시 부분을 재봉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사한 유형의 재봉틀이 EP 2 028 311 A2와 DE 102 34 251 A에 공지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과제는 재봉 개시 부분에서 직물로부터 돌출한 윗실의 일부를 신뢰성 있는 방법과 적은 제작비로 짧게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과제는 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된 특징부를 구비한 재봉틀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 채기와 윗실 고정부 사이의 실 인발부가 실 채기를 아래로 이동시킬 때 발생하는 실의 잔부를 뒤로 잡아 당겨주고 이어서 재봉 개시 부분을 재봉할 때 실 채기를 이용하여 윗실을 직물로부터 뒤로 어느 정도 잡아당겨 윗실의 개방 단부가 직물로부터 더욱 적게 돌출되도록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윗실은 실 인발부를 통해 유도되는 실의 경로길이 차이에 해당하는 소정의 길이만큼 뒤로 잡아 당겨진다. 게다가 윗실의 개시부를 형성하는 윗실의 개방 단부를 직물 아래로 잡아당겨 재봉한 직물의 외형을 손상시키지 않을 수 있다. 그 결과, 사절 과정을 통해 윗실의 돌출 개방 단부를 짧게 할 필요없이 외형적으로도 보기좋은 재봉 개시 부분을 얻을 수 있다. 예들 들면 자동차의 내부 부품 중 가죽을 재봉할 때 특히 중요한 외형적 재봉품질에 있어서 이용상의 장점이 있다. 윗실-인장부는 윗실-주 인장부와 윗실-예비 인장부로 구분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2항에 따른 실 인발부는 윗실 안내부와 적은 제작비로 일체화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실 인발부는 실의 진행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킬 수 있는 고리와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 고리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해 인상 실린더 또는 전기 인상 자석을 이용하여 구동시킬 수 있다. 실 인발부를 인상하기 위한 위치 구동부는 스텝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3항에 따른 고리 배치에 의해 실 인발부의 실 인발 작용이 최적화된다. 하우징 내 고정된 2개의 실-안내 고리가 피벗이동하는 고리 가까이 실 진행 경로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립 상태에서 피벗이동하는 고리와 하우징 내 고정된 2개의 실-안내 고리 간 거리는 2 cm 미만, 나아가 1 cm 미만일 수도 있다.
청구범위 제4항에 따른 실 인발부의 배치에 의해 실 인발부와 윗실 고정부를 하나의 구성단위로 일체화하여 함께 설치할 수 있다.
재봉틀을 작동시킬 때 윗실 고정부에 의해 제작비와 제어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6항 및 제7항에 따른 방법의 장점은 상술한 장치와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는데 있다. 파지 팁이 파지-회전 위치를 따라 적어도 180° 회전한 후, 예를 들면 파지 팁을 따라 240° 또는 245°로 회전한 후에 반대방향의 회전위치에 도달할 수 있다. 파지기에 의해 윗실을 파지한 후 파지기 회전의 적어도 일부를 얻는 동안 실 고정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재봉 개시 부분에서 윗실 말단부를 아래쪽으로 파지기에 의해 직물을 관통하여 잡아당긴다. 실 인발부를 중립 상태에서 실 인발 상태로 전환할 때 윗실을 잡아당겨 줌으로써 실 채기가 추후 다시 상승할 때 윗실이 방출되는 윗실 고정부에서는 실 인발부의 전환에 따라 유도되는 윗실의 경로길이 차이에 의해 소정의 길이 만큼 재봉 개시 부분에서 윗실이 뒤로 잡아 당겨진다. 재봉 개시 부분의 제1바늘땀을 형성하는 중에 실 인발부의 위치를 중립 상태로부터 실 인발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전환은 재봉 개시 부분을 재봉할 때 제2바늘땀, 제3바늘땀 또는 그 후속의 바늘땀 형성 중에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추가로 재봉하는 중에 조금씩 단계적으로 실 인발 상태로부터 중립 상태로 실 인발부를 복원할 수 있다. 재봉 과정이 종료될 때에도 복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재봉틀의 최종 사절 과정에서 중립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8항에 따른 지연 시간을 통해 재봉 개시 부분에서 윗실을 후퇴시키기 위한 경과 과정의 신뢰성을 보장한다. 후퇴를 신뢰성 있게 할 수 있는 이러한 지연 시간은 소정의 최소치 미만으로 떨어지지 않는다.
청구범위 제9항에 따른 절대적인 지연 시간은 실 인발부를 신뢰성 있게 작동시키기에 특히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청구범위 제10항에 따르면 누름발의 힘을 해제시켜 직물을 관통하여 윗실을 잡아당길 때 파지기에 의해 윗실이 아래쪽으로 누름발에 의해 원하지 않게 고정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재봉틀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아암 샤프트 위치 "0° 니들 바 상부 사점(dead point)"에서 도 1에 따른 재봉틀의 윗실 안내를 도시하고 있는 확대도이다;
도 3은 아암 샤프트 위치 "205° 루프 인상"에서 도 1에 따른 재봉틀의 윗실 안내를 도시하고 있는 확대도이다;
도 4는 아암 샤프트 위치 "300° 정지 상태의 윗실 고정부"에서 도 1에 따른 재봉틀의 윗실 안내를 도시하고 있는 확대도이다;
도 5는 아암 샤프트 위치 "325° 작동 상태의 실 인발부"에서 도 1에 따른 재봉틀의 윗실 안내를 도시하고 있는 확대도이다;
도 6은 아암 샤프트 위치 "60° 실 채기 상부 사점"에서 도 1에 따른 재봉틀의 윗실 안내를 도시하고 있는 확대도이다;
도 7은 윗실과 밑실에 의해 제공되는 재봉면을 따라 2층 구조의 직물을 관통하는 수직 단면 개략도로서, 실의 초기 단면을 가진 개방 단부를 가진 윗실을 볼 수 있다.
재봉틀(1)은 스탠드(4)를 통해 C-자형 하우징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상부 아암(2) 및 하부 하우징 형태의 바닥판(3)을 갖는다. 스탠드(4)에 수용되어 있는 벨트 전동부와 함께 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아암 샤프트(5)(도 2 참조)가 아암(2)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모터는 도 1에서 상부 아암(2)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중앙의 제어부(6)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다른 위치 및 재봉틀(1)에 대해 상대적으로 외부에 있는 예를 들면 케이블 가닥을 통해 연결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아암 샤프트(5)의 운동에 의해 니들 바(7)의 상하 구동이 유도되며 니들 바(7)의 하부 말단에는 니들(8)이 설치되어 있다. 윗실(9)은 니들(8)의 귀를 관통하고 있다(도 2 참조).
바닥판(3)에는 아암 샤프트(5)에 의해 통상적인 방법으로 수직 회전축(11)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이 유도될 수 있는 파지기(10)가 배치되어 있다(도 2 참조). 파지기(10)의 릴- 또는 실 권취 하우징(12)에는 밑실(13) 저장부가 구비되어 있다(도 7 참조).
도 2는 재봉틀(1)의 윗실(9)이 안내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니들(8)의 귀로부터 윗실 이송 방향의 반대방향, 즉 전단 방향으로 제1윗실 고정부(14)의 본체(16)에 대해 상대 이동이 가능한 고정판(15)을 포함하는 제1윗실 고정부(14)가 저장부 쪽을 향한 윗실의 진행 경로에 배치되어 있다. 본체(16)는 재봉틀(1)의 최상부에 마련되어 있는 설치판을 구성한다. 제1윗실 고정부(14)는 제어부(6)와 신호 연결되어 있고 제1윗실 고정부(14)의 위치에 윗실(9)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실 고정 위치와 제1윗실 고정부(14)로부터 윗실(9)이 빠져나가는 실 방출 위치 사이에서 이동이 가능하다. 제1윗실 고정부(14)의 영역에서 윗실(9)은 거의 수직으로 진행한다.
본체(16)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실-관통 개구부(17)에 의해 제1윗실 고정부(14)를 통과하는 윗실(9)의 이동경로가 제공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형태에서는 두 번째에 있는 실-관통 개구부(17)에 윗실(9)이 실 이송 방향에 횡으로 배치되어 있는 총 5개의 실-관통 개구부 중 우측의 개구부로부터 이동되고 있다.
제1윗실 고정부(14)의 전단에는 아암 샤프트(5)로부터 경우에 따라 공지의 방법으로 상방- 및 하방 이동을 유도하는 실 채기(18)가 배치되어 있다. 실 채기(18)의 개방 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실 채기 고리(19)와 제1윗실 고정부(14) 사이에서 윗실(9)은 도 2에서 본체(16)의 상부 말단에 마련되어 있는 안내 고리(20)를 통해 이동된다.
실 채기(18)의 전단에서 윗실(9)은 윗실-주 인장부(21)를 통과한다. 윗실-주 인장부(21)는 공지된 방법으로 가공처리하고 윗실 이송 방향으로 직렬로 배치되어 있는 2개의 주 인장 발생부(22)를 갖는다. 윗실-주 인장부(21)는 중앙의 제어부(6)와 신호 연결되어 있다. 주 인장 발생부(22)의 작동시, 즉 실 인장-팬 실린더가 낙하할 때 제어부(6)를 통해 윗실(9)은 소정의 실 인장하에 있게 된다. 상기 실 전압-팬 실린더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주 인장 발생부(22)는 윗실(9)을 주 인장 발생부(22)의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윗실-주 인장부(21)와 실 채기(18) 사이에는 윗실(9)이 윗실 이송 방향에 대해 횡 방향 이동을 조절할 수 있는 또 다른 안내 고리(23)를 통과한다.
파지기(10)와 실 채기(18) 사이, 더 정확하게는 니들(8)과 실 채기(18) 사이, 더 더욱 정확하게는 윗실 고정부(14)와 실 채기(18) 사이 윗실(9)의 진행 경로에 실 인발부(24)가 배치되어 있다. 실 인발부(24)는 제1윗실 고정부(14)의 고정판(15)에 있는 피벗 힌지부(26) 위에 힌지 결합되는 피벗이동이 가능한 인상기(25)를 갖는다. 실 인발부(24)는 윗실 고정부(14)의 고정판(15)에 설치되어 있다. 고정판(15)의 개방 단부에서 실 인발부(24)의 인상기(25)는 본체(16)에 설치되어 하우징 내 고정된 2개의 안내 고리(28) 사이에서 윗실(9)의 진행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힌지 결합이 가능한 실 고리(27)를 갖는다. 인상기(25)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중립 상태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실 인발 상태 사이에서 전환이 가능한데, 하우징 내 고정된 2개의 안내 고리(28) 사이, 즉 니들(8)과 실 채기(18) 사이에 있는 윗실(9)은 중립 상태에 있는 인상기(25)에서 윗실(9)의 상응하는 실의 경로 길이에 비해 실의 경로길이 차이만큼 길다. 이 실의 경로길이 차이는 도시되어 있는 실시형태에서 예를 들면 20 밀리미터이다.
하우징 내 고정된 2개의 안내 고리(28)는 인상기(25)가 실 인발 상태 또는 중립 상태에 있는지 관계없이 윗실(9)이 하우징 내 고정된 2개의 안내 고리(28) 사이 진행 이외에 경우에 따라 동일한 진행 경로를 가질 수 있다.
인상기(25)는 제어부(6)와 신호 연결되어 있는 전자기 구동부에 의해 중립 상태와 실 인발 상태 사이에서 전환이 가능하다. 이와 달리, 전자기 구동부 대신에 인상기(25)는 공기압 또는 스텝 모터를 통해서도 구동될 수 있다.
윗실-주 인장부(21)의 전단에는 경우에 따라 공지 방식으로 처리될 수 있고 제어부(6)와 신호 연결될 수 있는 윗실-예비 인장부(29)가 배치되어 있다. 윗실-주 인장부(21)는 2개의 주 인장 발생부(22)와 윗실-예비 인장부(29)와 함께 아암(2)에 설치되어 있는 설치판(30)에 마련되어 있다(도 1 참조).
윗실-예비 인장부(29)의 전단에서 설치판(30)에 도 2에서 상부 전방을 향해 약 90°로 구부려진 가장자리 영역에 제공되어 있는 실-관통 개구부(31)를 윗실(9)이 관통한다. 실-관통 개구부(31)의 전단에는 윗실 저장부로서 윗실 릴이 구성되어 있지만,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2 내지 6은 아암 샤프트(5)의 회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아암 샤프트(5)와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손잡이 휠(32)에는 아암 샤프트(5)의 1회전을 360°로 하여 분할 표시되어 있는 회전각 눈금(33)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경우에 따라 회전각 눈금(3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직물(34)의 지지 위치를 통해(도 7 참조) 직물면이 재봉틀(1)의 바늘판(35) 위에 제공되어 있다.
도 2는 아암 샤프트 위치가 0°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아암 샤프트 위치에서 니들 바(7)는 상부 사점에 있다. 직물(34)에 삽입하기 위해 니들(8) 아래에는 관통부가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위치를 재봉의 개시 위치, 즉 재봉 개시 부분으로 선택한다.
위치 0°에서 윗실 고정부(14)는 실이 방출되는 상태에 있다. 윗실-주 인장부(21)는 작동 상태에 있다. 실 인발부(24)는 중립 상태에 있다. 윗실-예비 인장부(29)는 작동 상태에 있다. 실 채기(18)는 하부의 사점으로부터 위쪽으로 진행 상태에 있다.
도 3은 아암 샤프트(5)의 위치가 205°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위치에서 니들 바(7)는 180°에서 얻어지는 하부 사점의 일부로부터 뒤로 이동되어 니들(8)의 귀 옆에 도 3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윗실 루프를 형성한다. 위치 205°에서는 경우에 따라 도 3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파지기(10)의 파지 팁이 윗실 루프에 끼워진 후 윗실(9)과 함께 이동된다.
위치 205°에서는 윗실 고정부(14)가 실 고정 상태에서 작동된다. 윗실-주 인장부(21)는 작동 상태에 있다. 실 인발부(24)는 중립 상태에 있다. 윗실-예비 인장부(29)는 작동 상태에 있다. 실 채기(18)의 경로는 하부 사점 방향으로 제공된다. 실 채기(18)는 상부 사점으로부터 이격되어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윗실 고정부(14)와 윗실-주 인장부(21) 사이에 실의 많은 부분이 인장되지 않은 상태에 있게 된다. 이렇게 인장되지 않은 실의 부분은 실 채기(18)의 상부 사점으로부터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위치 205°까지 실 채기 고리(19)의 2중 경로의 일부에 있게 된다. 파지기(10)는 위치 205°으로부터 개시하여 윗실 루프에 끼워져 있는 파지 팁에서 윗실을 빼낸다. 윗실(9)의 실 고정 상태에서는 윗실 고정부(14)에 의해 위로부터 공급될 수 없기 때문에, 윗실 루프를 빼낼 때 파지 팁에 의해 윗실(9)의 개방 단부를 직물을 관통하여 아래쪽으로 잡아당긴다. 누름발(37)이 윗실(9)의 개방 단부(36) (도 7 참조)을 직물 위에 고정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위치 205°에서는 누름발(37)의 힘을 해제시켜 누름발(37)의 하중이 직물(34)에 인가되지 않도록 한다.
도 4는 아암 샤프트 위치가 300°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위치 300°에서 하부 사점의 영역에는 실 채기 고리(19)가 있다. 이 경우, 파지기(10)를 통해 위에 이미 기재한 윗실의 경로를 추가로 연장시킨다. 이 아암 샤프트 위치에서는 윗실(9)이 파지기(10)에 의해 직물을 관통하여 아래쪽으로 잡아 당겨진다. 아암 샤프트 위치 300°에서는 누름발(37)은 다시 힘을 인가할 수 있으며, 아암 샤프트 위치 205°와 300° 사이에서 작동하게 된 누름발(37)의 힘을 해제시키면 다시 정지 상태에 있게 된다.
윗실 고정부(14)는 실이 방출되는 위치로 변환된다. 윗실-주 인장부(21)는 작동 상태에 있고 윗실(9)을 인장 상태로 유지시킨다. 실 인발부(24)의 인상기(25)는 중립 상태에 있다. 윗실-예비 인장부(29)는 작동 상태에 있다. 위치 300°에서 윗실(9)의 개방 단부(36)는 파지기(10)를 관통하여 아래쪽으로 더 잡아 당겨진다.
아암 샤프트 위치 205°와 아암 샤프트 위치 300° 사이의 경로에서 윗실(9)의 개방 단부(36)는 직물(34)을 통과하여 아래쪽으로 잡아 당겨진다. 아래의 기재내용에서 더욱 명백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암 샤프트가 더 회전하면서 실 채기(18)는 직물(34)에서 윗실(9)을 뒤로 잡아당긴다. 이후, 실의 개방 단부(36)는 보다 짧은 길이로 직물(34)로부터 돌출하게 된다.
도 5는 최종 바늘땀을 형성할 때 아암 샤프트 위치 325°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따른 위치에 비해 아암 샤프트(5)는 재봉 구동 방향으로 120°(원래는 480°)만큼 더 회전되어 있다.
위치 325°에서 윗실 고정부(14)는 실이 방출되는 위치에 있다. 윗실-주 인장부(21)는 작동 상태에 있다. 실 인발부(24)의 인상기(25)는 실 인발 상태로 전환된다.
실 채기 고리(19)는 위치 325°에서 하부 사점 이후 상방향 이동 초기 상태에 있다. 실 인발 상태로 실 인발부(24)가 전환함으로써 도 2에 따른 상태에서 실 채기 고리(19)의 영역에는 윗실의 많은 부분이 존재하고 이 부분들은 실 인발부(24)의 실 고리(27)를 향해 잡아 당겨진다. 실 채기 고리(19)와 윗실 고정부(14) 사이에는 윗실(9)의 많은 부분이 풀려지지 않고 존재하는데, 즉 도 6에서는 실질적으로 인장되어 있다.
위치 325°에서는 파지기(10)가 도 3에 따른 위치에 비해 회전축(11) 주위를 적절한 정도로 회전되어 있고, 보다 정확하게는 회전축(11) 주위를 240°(원래는 960°)로 회전되어 있다. 아암 샤프트의 회전이 추가로 진행되면서 형성된 바늘땀 영역에서 윗실(9)은 실 채기(18)를 통해 뒤로 잡아 당겨지는데, 보다 정확하게는 실 인발부(24)의 영역에서 윗실(9)이 늘어난 길이만큼 잡아 당겨진다.
도 6은 아암 샤프트 위치 60°의 상태를 나타낸다. 니들(8)은 아래쪽을 향해 이동 중에 있다. 윗실 고정부(14)는 실이 방출되는 위치에 있다. 윗실-주 인장부(21)는 작동 상태에 있다. 윗실-예비 인장부(29)는 작동 상태에 있다. 실 인발부(24)는 실 인발 상태에 있다. 실 인발 상태에서 실 인발부(24)는 전체적으로 재봉선 형성을 위한 진행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달리 재봉선을 한땀 한땀 추가 형성하는 중에 경우에 따라 중립 상태의 방향으로 실 인발부(24)가 조금씩 복원되며, 이로 인해 실 인발 상태와 중립 상태 사이에 실 인발 방향의 전체 경로 중에 매우 작은 부분이 형성된다. 바늘땀 하나 당 증가량이 너무 적어 한땀 당 실 인발부(24)의 전환 과정은 바늘땀 길이보다 작은 실의 경로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추가적인 실의 경로가 실 인발 상태로 전환된 실 인발부(24)에 대해서 윗실(9)의 우회로를 거쳐 제공되며, 실 채기(18)의 이동에 대해서는 추가의 재봉선 형성에 대한 효과없이 제공된다.
실 인발부(24)의 구동은 매듭이 연결되지 않을 때 도 2에 따른 아암 샤프트 위치 0°, 즉 윗실(9)의 개방 단부(36)에서 개시된다. 이 상태에서 2층 구조의 직물(34)이 삽입된다. 제어부(6)에 상태 정보로서 "재봉 개시 부분"이 입력된다. 도 2에 따른 상태에서 시작하여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직물(34)에서 재봉선의 재봉이 개시된다. 최초 과정과 그 다음 과정에서만 상술한 바와 같이 실 인발부(24)가 실 인발 상태로 전환된다. 제2바늘땀 형성시 돌출해 있는 형상에 맞게 중립 상태로부터 실 인발 상태로 실 인발부(24)가 전환된다. 후속의 모든 바늘땀 형성시 실 인발부(24)가 실 인발 상태에서 통과 상태에 있게 된다. 아암 샤프트 위치 325°에서 실 인발 상태에 있는 실 인발부(24)가 작동함으로써 후속 진행시 윗실(9)의 개방 단부(36)는 실 채기(18)에 의해 직물(34)을 관통하고 뒤로 잡아 당겨져 짧아진다. 이와 달리 제1바늘땀 형성시, 제3바늘땀 형성시 또는 그 후속의 바늘땀 형성시에 실 인발부(24)가 중립 상태로부터 실 인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중립 상태로부터 실 인발위치로 실 인발부(24)의 최초 전환 과정 이후 제어부(6)에서 상태 정보로서 "재봉 개시"이 "재봉 진행" 정보로 다시 전환된다. 사절 과정 후 제어부(6)에서 "재봉 개시"로 새로 전환된다. 이들 상태 정보는 추가의 재봉 과정 중에 탐색된다. 상태 정보로서 "재봉 개시"가 제공될 때야 비로소 실 인발부(24)가 구동된다. 재봉 과정 종료 및 경우에 따라 실시되는 사절 과정 후에 실 인발부(24)가 중립 상태로 복원된다. 이는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재봉선 형성 중에 서서히 일어날 수도 있다.
직물(34)을 통해 돌출해 있는 개방 단부(36)의 길이는 실 인발 상태에서 인상기(25)의 각도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이후, 특히 제어부(6)에서 인상기(25)가 스텝 모터를 통해 구동될 때 특히 많은 초기 실 길이를 미리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초기 실 길이에 따라 실 인발 상태에서 제어부(6)에 의한 제어에 의해 인상기(25)의 각도가 얻어진다. 이와 달리, 적절한 초기 실 길이로 유도되는 실 인발 길이를 인상기(25)에 대한 기계 제동장치를 통해 조정할 수도 있다.
실 인발부(24)는 중립 상태로부터 실 인발 상태로 윗실 고정부(14)를 구동한 후 50 ms 전환된다.
지연 시간은 제어부(6)로부터 미리 제공되며 실질적으로 윗실 고정부(14)의 신뢰성 있는 전환을 위한 전환 기간에 따라 다르다.
중립 상태로부터 실 인발 상태로 실 인발부(24)가 전환되는 중에 재봉 개시 부분에서 제1바늘땀 형성의 전체적인 진행과정은 고정된 아암 샤프트 회전수에서 실시되는데, 이 고정 회전수는 아암 샤프트(5)의 다른 작동 회전수에 비해 적다. 이렇게 적은 아암 샤프트 회전수도 또한 제어부(6)에 의해 미리 제공된다. 고정된 아암 샤프트 회전수에서 제1바늘땀이 형성되기 때문에 윗실 고정부(14)의 조정에 따라 실 인발부(24)의 전환 시간 지연에 대해 일정한 값, 예를 들면 50 ms가 얻어진다.
다른 값에 의해 재봉 개시 부분을 재봉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윗실의 루프를 형성한다. 다음, 파지기(10)의 파지 팁으로 윗실 루프를 파지 팁의 파지-회전 위치에서 파지한다. 이어서, 파지기(10)의 파지 팁을 파지기(10)의 파지기 하우징 주위를 약 240° 내지 250°, 특히 245°로 회전시키면서 파지-회전 위치와 대면하는 반대-회전 위치가 얻어질 때까지 파지기(10)의 파지 팁을 이용하여 윗실(9)을 빼낸다. 파지기(10)의 파지 팁은 파지-회전 위치에서부터 반대-회전 위치, 즉 적어도 반회전만큼 파지기(10)의 파지기 하우징 주위를 회전한다. 파지기(10)의 파지 팁의 반대-회전 위치를 얻은 후에는 중립 상태에서 실 인발 상태로 실 인발부(24)를 전환시킨다.
중립 상태와 실 인발 상태 간 인상기(25)의 전환을 통해 유도되는 실의 경로길이 차이는 직물(34)의 두께에 따라 다르게 미리 제공될 수 있다. 직물(34)의 두께는 이용자에 의해 조절하거나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두께 센서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측정된 직물 두께를 변경하고 실 인발부(24)에 실의 경로길이 차이-표준값을 전달하기 위해 제어부(6)를 직물-두께 센서와 신호 연결할 수 있다.
주 인장 발생부(22)는 재봉 과정의 종료시점에 사절 과정을 위해 주 인장 발생부(22)의 위치에 실 인장이 전혀 존재하지 않도록 이완될 수 있다. 재봉 과정 중에 주 인장 발생부(22)는 재봉을 위해 필요한 인장을 발생시킨다. 중립 상태로부터 실 인발 상태로 실 인발부(24)의 전환과 공조하여 주 인장 발생부(22)를 실 고정 상태로 변환시켜 개방 단부(36)로부터 윗실(9)을 뒤로 잡아당긴다. 주 인장 발생부(22)의 실 고정-기능은 재봉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 마찰력이 높은 직물에서 윗실(9)을 정지시킬 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하우징(2, 3, 4)과,
    윗실(9)용 저장부와,
    직물(34)을 관통하여 윗실(9)을 안내하기 위해 하부의 사점과 상부의 사점 사이에서 구동되어 상하로 수직 이동가능한 니들(8)을 구비하고 있는 니들 바(7)와,
    바늘땀 형성 중에 윗실(9)을 파지하기 위한 파지기(10)와,
    윗실(9)의 루프를 잡아당기기 위한 실 채기(18)와,
    파지기(10)와 실 채기(18) 사이 저장부 쪽을 향한 윗실의 진행 경로에서 구동가능한 윗실 고정부(14)와,
    작동 상태에서 윗실(9)을 소정의 실 인장 하에 위치시키는 실 채기(18) 전방의 저장부 쪽을 향한 윗실의 진행 경로에 윗실-주 인장부(21)를 구비하고 있는 재봉틀(1)로서,
    윗실 고정부(14)와 실 채기(18) 사이 윗실의 진행 경로에 있는 실 인발부(24)가 실 채기(18)와 파지기(10) 사이에서 윗실(9)이 제1실 경로를 갖는 중립 상태와 실 채기(18)와 파지기(10) 사이에서 윗실(9)이 제1 실 경로에 비해 실 경로길이 차이가 더 긴 제2 실 경로를 갖는 실 인발 상태 간 전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1).
  2. 제1항에 있어서, 실 인발부(24)가 실의 진행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피벗 이동이 가능한 단부에 실 고리(27)가 배치되어 있는 피벗 이동이 가능한 인상기(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3. 제2항에 있어서, 중립 상태에서 실 고리(27)가 하우징 내 고정되어 있는 2개의 실-안내 고리(28)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 인발부(24)가 윗실 고정부(14)의 고정판(15)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저장부 쪽을 향한 윗실의 진행 경로와 일치하도록 윗실 고정부(14)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재봉틀을 이용하여 재봉 개시 부분을 재봉하는 방법에 있어서,
    윗실 루프를 형성하는 단계,
    파지기(10)의 파지 팁으로 윗실 루프를 파지 팁의 파지-회전 위치에서 파지하는 단계,
    파지기(10)의 파지 팁을 파지기(10)의 파지기 하우징 주위를 반 회전시키면서 파지-회전 위치와 대면하는 반대-회전 위치가 얻어질 때까지 상기 파지 팁을 이용하여 윗실(9)을 빼내는 단계,
    파지기(10)의 파지 팁의 반대-회전 위치을 얻은 후 중립 상태에서 실 인발 상태로 실 인발부를 전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 개시 부분을 재봉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하방 사점으로부터 하방 사점과 상방 사점 사이의 루프 인상 형성부까지 니들(8)을 구비한 니들 바(7)를 개방되어 있는 윗실 고정부(14)와 중립 상태에 있는 실 인발부(24)를 상승시켜 윗실 루프(36)를 형성하는 단계,
    니들 바(7)의 루프 인상 형성부를 얻은 후에 윗실 고정부(14)의 실 고정 상태를 구동시키고 파지기(10)에 의해 윗실(9)을 파지 및 빼낸 후에 파지기 회전의 적어도 일부를 얻는 동안 윗실 고정부(14)의 실 고정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
    실 인발부(24)를 중립 상태에서 실 인발 상태로 전환시켜 실 채기(18)와 윗실 고정부(14) 사이에서 하강하는 실 채기(18)에서 윗실(9)을 빼내는 단계,
    실 인발부(24)를 중립 상태로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 개시 부분을 재봉하는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재봉틀(1)의 아암 샤프트(5)의 회전수와 무관하게 윗실 고정부(14)를 구동시킨 후 실 인발부(24)의 전환 지연시간을 미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 개시 부분을 재봉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실 인발부(24)가 실 인발 상태로 윗실 고정부(14)를 구동한 후 약 50 ms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재봉 개시 부분을 재봉하는 방법.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윗실(9)을 빼내기 시작하는 중에 적어도 재봉틀(1)의 누름발(37)의 힘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 개시 부분을 재봉하는 방법.
KR1020110116720A 2010-11-15 2011-11-10 재봉틀 및 이러한 재봉틀을 이용하여 재봉 개시 부분을 재봉하기 위한 방법 KR1018628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43906.1 2010-11-15
DE102010043906A DE102010043906A1 (de) 2010-11-15 2010-11-15 Nähmaschine sowie Verfahren zum Nähen eines Nahtanfangs mit einer derartigen Nähmas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2161A true KR20120052161A (ko) 2012-05-23
KR101862871B1 KR101862871B1 (ko) 2018-05-30

Family

ID=45002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6720A KR101862871B1 (ko) 2010-11-15 2011-11-10 재봉틀 및 이러한 재봉틀을 이용하여 재봉 개시 부분을 재봉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453050B1 (ko)
KR (1) KR101862871B1 (ko)
CN (1) CN102535038B (ko)
DE (1) DE102010043906A1 (ko)
TW (1) TWI49846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21060B3 (de) * 2012-11-19 2014-02-06 Dürkopp Adler AG Nähmaschine
DE102015223194B3 (de) * 2015-11-24 2017-02-23 Dürkopp Adler AG Verfahren zum Erzeugen eines Naht-Anfangsoberfadens mit kurzem Soll-Nahtüberstand sowie Baugrupp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DE102017201240A1 (de) * 2017-01-26 2018-07-26 Dürkopp Adler AG Verfahren zur Erzeugung eines Naht-Anfangsoberfadens einer in Nähgut auszubildenden Naht mit einem definierten Soll-Nahtüberstand sowie Nähmaschine zur Durchführung eines derartigen Verfahren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84589A (en) * 1970-01-27 1971-06-15 Clinton Ind Thread trimmer
US3654883A (en) * 1970-05-14 1972-04-11 Union Special Machine Co Thread control mechanism for sewing machines
DE2815297C2 (de) * 1978-04-08 1983-01-13 Dürkoppwerke GmbH, 4800 Bielefeld Gesteuerte, im Bereich zwischen dem Fadenhebel u. dem Nadelöhr angeordnete, auf mindestens einen Nadelfaden einwirkende Fadenklemme einer Nähmaschine
US5931107A (en) * 1997-12-22 1999-08-03 Mcdonnell Douglas Corporation Advanced stitching head for making stitches in a textile article having variable thickness
DE10234251C1 (de) * 2002-07-27 2003-10-09 Duerkopp Adler Ag Verfahren zum Ziehen des freien Fadenendes eines Nadelfadens von der Oberseite eines Nähgutteils auf dessen Unterseite und Nähmaschin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CN101046037A (zh) * 2007-04-18 2007-10-03 浙江新杰克缝纫机有限公司 一种电脑平缝机的夹线装置
DE102007039596A1 (de) * 2007-08-22 2009-02-26 Dürkopp Adler AG Nähmaschine sowie Verfahren zum Nähen eines Nahtanfangs mit einer derartigen Nähmaschine
DE102010003180B3 (de) * 2010-03-23 2011-07-28 RSG Rombold System GmbH & Co. KG, 71642 Vorrichtung zur Bereitstellung eines Annähfade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35038A (zh) 2012-07-04
EP2453050A1 (de) 2012-05-16
TWI498467B (zh) 2015-09-01
TW201245530A (en) 2012-11-16
CN102535038B (zh) 2015-05-06
KR101862871B1 (ko) 2018-05-30
DE102010043906A1 (de) 2012-05-16
EP2453050B1 (de) 201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73272B2 (ja) ミシン
KR101410571B1 (ko) 재봉틀 및 이 형태의 재봉틀을 이용한 봉합 시작부의 재봉방법
KR101448678B1 (ko) 단추 재봉실의 뿌리감기 장치
KR102493092B1 (ko) 재봉틀
KR20120052161A (ko) 재봉틀 및 이러한 재봉틀을 이용하여 재봉 개시 부분을 재봉하기 위한 방법
JP6045392B2 (ja) ミシン
JP3175658U (ja) ミシン
KR20070029070A (ko) 미싱에 있어서의 피봉제 부품의 절단 장치 및 절단 방법
KR102557765B1 (ko) 짧은 목표-시임 폭을 갖는 시임-시작 윗실의 형성 방법 및 이 방법의 실시를 위한 어셈블리
US6422165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raveling of seam
US5345887A (en) Thread manipulations at the beginning and end of a seam
KR20210044870A (ko) 코드재를 봉착할 수 있는 미싱 및 코드재를 공급하는 장치 그리고 코드 안내체
JP2002177678A (ja) ミシン
US5086718A (en) Sewing machine with automatic thread take-up and threading
KR870001525B1 (ko) 새로운 형(型)의 바늘땀과 그 형성방법 및 장치
JP3969574B2 (ja) ミシン
CN103668792A (zh) 双重环缝缝纫机
CN110656447B (zh) 缝纫机
KR102481545B1 (ko) 정의된 공칭 초과 실 길이를 가지고 섬유 조각 내에서 꿰매어질 솔기의 솔기 시작 바늘 실을 생산하는 방법 및 이러한 유형의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재봉틀
KR101961045B1 (ko) 단추 재봉실 감침 장치 및 그 감침 방법
JPH08187379A (ja) 縫製装置
US4161148A (en) Method of sewing a button on a thread stem and semi-automatic machine for performing same
CN105283596B (zh) 具有至少一个双锁式针迹旋梭的刺绣机
JP3447335B2 (ja) 刺繍ミシンの上糸切断装置及び上糸切断方法
JP6099378B2 (ja) ボタン付け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