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3092B1 - 재봉틀 - Google Patents

재봉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3092B1
KR102493092B1 KR1020180044030A KR20180044030A KR102493092B1 KR 102493092 B1 KR102493092 B1 KR 102493092B1 KR 1020180044030 A KR1020180044030 A KR 1020180044030A KR 20180044030 A KR20180044030 A KR 20180044030A KR 102493092 B1 KR102493092 B1 KR 102493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thread
seal
upper seal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7054A (ko
Inventor
헤크너 크리스토프
슐테 파트릭
뇔트게 토마스
Original Assignee
뒤르콥 아들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뒤르콥 아들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뒤르콥 아들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117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7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47/00Needle-thread tensioning devices; Applications of tensometers
    • D05B47/04Automatically-controlled tension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10Electrical or electromagnetic drives
    • D05B69/12Electrical or electromagnetic drives using rotary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2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cilitating seaming; Hem-turning elements; Hemm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5/00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재봉틀은 상부 실(13)에 대한 공급부(12)를 구비한다. 재봉 바늘을 구비한 바늘대는 재봉된 물품을 통해 상부 실(13)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구동시에 재봉 바늘은 위아래로 이동 가능하다. 그리퍼는 스티치 형성 중에 상부 실(13)을 캡처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 실 샤프트(37)는 자신의 샤프트 축 둘레에서 회전 가능하다. 상부 실(13)은 상부 실 샤프트(37) 상에서 미끄러지지 않게 지탱한다. 작동가능한 회전식 드라이브(38)는 상부 실 샤프트(37)의 샤프트 축 둘레에서 상부 실 샤프트(37)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어 설비(33)는 회전식 드라이브(38)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재봉 후에 돌출하는 실 단부가 가능한 한 짧아지는 방식으로 솔기 외향의 개선을 가능하게 하는 재봉틀이 생성된다. 또한, 재봉 절차의 재현성이 개선될 수 있다.

Description

재봉틀{SEWING MACHINE}
본 발명은 재봉틀에 관한 것이다.
재봉틀은 예로서 EP 2 028 311 A2 및 DE 199 51 127 C2로부터 알려졌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재봉 후 돌출하는 실 단부가 가능한 한 짧아지도록 솔기 외관의 개선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재봉틀을 개량하는 것이다. 또한 재봉 절차의 재현성(reproducibility)이 개선된다.
이러한 목적은 바늘 실 또는 상단 실로도 지칭되는 상부 실을 위한 공급부, 상부 실을 재봉된 물품을 통해 가이드하기 위해 위아래로 이동 가능하게 구동되는 재봉 바늘을 갖는 바늘대, 스티치 형성 중에 상부 실을 포착하기 위한 그리퍼(gripper), 상부 실 런(run) 내에 배치되며 자신의 샤프트 축 둘레에서 회전 가능한 상단 실 샤프트로도 지칭되는 상단 실 샤프트, 자신의 샤프트 축 둘레에서 상단 실 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작동 가능한 회전식 드라이브 및 회전식 드라이브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 설비를 갖는 재봉틀에 의해 달성되며, 상부 실은 적어도 하나의 원 주 부분에서 상단 실 샤프트의 샤프트 축을 중심으로 한 상단 실 샤프트의 구동 회전의 경우에도 베어링 컨택트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상단 실 샤프트의 외부 면을 지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단 실이 미끄러지지 않는 방식으로 지지하는, 회전 방식으로 작동되는 상단 실 샤프트는 재봉 바늘의 재봉 동작 중에 상단 실 예비부 또는 공급부로부터 항상 정확히 정의된 양의 상단 실을 공급할 가능성으로 이어진다는 점이 인지되었다. 특히 각 스티치 동안 공급되는 상부 실의 양과 관련하여, 재현 가능한 재봉 동작은 예를 들어 실 당김 나이프로부터 상단 실로, 또는 상단 실로부터 상단 실 예비부로의 임펄스의 원치 않는 전달이 방지되게 한다. 또한, 상단 실 상의 상단 실 샤프트에 의해서 정확하게 정의된 장력이 인가될 수 있다. 추가의 실 장력은 생략된다. 이론적으로, 특히 실 레버와 재봉 바늘 사이에서 이어지는 상단 실에서의 느슨한 상단 실을 방지하기 위한 실 인장 스프링이 또한 생략될 수 있다. 상부 스레드 샤프트는 디스크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이것의 원형 껍질 벽은 상단 실이 가이드되는 원주식 홈으로 구현된다. 이러한 유형의 디스크는 바퀴 디스크 또는 롤러 디스크로도 지칭된다.
정의된 스티치 길이의 경우, 정확히 동일한 양의 상단 실이 항상 공급될 수 있다. 후자의 방법으로, 정의된 길이, 특히 최적의 짧은 길이의 상단 실 단부가 솔기 시작 및 솔기 끝에서 구현될 수 있다. 느슨한 스티치, 즉 스티치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실 길이를 갖는 스티치는 작동된 회전 방식으로 구동 가능한 상단 실 샤프트에 의해서 생성될 수 있다. 이것은 예컨대 특히 어깨 패드와 같은 패드의 재봉시에 실에 의해서 원치 않게 변형되지 않고, 예컨대 수축되지 않고 패드를 재봉하기 위해서 활용될 수 있다. 작동된 회전 방식으로 구동 가능한 상단 실 샤프트는 또한 특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솔기 시작에서 제어된 방식으로 상단 실을 수축시켜 솔기 시작에서 상단 실 단부를 더욱 짧아지게 한다. 또한, 스티치 형성 동안 상단 실의 목표 결핍(starvation)은 작동된 회전 방식으로 구동되는 상단 실 샤프트에 의해서 개시될 수 있다. 재봉틀은 로크 스티치 재봉틀 또는 체인 스티치 재봉틀일 수 있다.
회전식 드라이브는 전자가 상단 실을 사전정의된 공칭 최대 실 장력을 초과하지 않는 장력에 노출하도록 고안될 수 있다. 전기 모터로서의 회전식 드라이브의 실시예에서, 회전식 드라이브에 의해 상단 실이 겪는 장력은 회전식 드라이브의 전류 드레인을 측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회전식 드라이브를 통해 생성되는 상단 실 장력은 회전식 드라이브의 전원 드레인을 측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드라이브 전원 드레인 검출의 도움으로 확립될 수 있는 상단 실 장력에 의해, 이러한 상단 실 장력은 회전식 드라이브의 도움으로 사전정의될 수 있다.
상단 실 샤프트의 단면은 원형과 다를 수 있다. 횡단면은 예를 들어 타원형일 수 있다. 상단 실 샤프트의 원주는 이러한 원주가 하나의 스티치로 공급되는 상단 실의 양과 정확히 일치하는 크기일 수 있다. 상단 실 샤프트는 또한 예를 들어 캠 디스크의 방식으로 성형되는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단 실 런에서 작동된 회전 방식으로 구동되는 상단 실 샤프트가 실 레버의 전방에 배치되는 재봉틀의 설계 실시예의 경우, 재봉 동작 중에 상단 실 예비부로부터 실 레버에 항상 정확히 정의된 양의 상단 실을 공급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예에서 작동된 회전 방식으로 구동된 상단 실 샤프트는 실 레버에 의해 정확하고 재현 가능한 상단 실의 공급을 지원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실 레버를 갖는 이러한 배치의 경우, 상단 실에 의해 실 레버로부터 상단 실 예비부로의 임펄스의 원치 않는 전달이 방지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재봉틀의 일 실시예의 경우, 작동된 회전 방식으로 구동되는 상단 실 샤프트가 상단 실의 공급의 측면에서 완전히 실 레버의 기능을 수행한다고 가정하도록 실 레버가 또한 완전히 생략될 수 있다.
작동된 회전 방식으로 구동된 상단 실 샤프트는 실 레버와 재봉 바늘 사이의 상단 실 런에서 작동 가능한 상단 실 클램프의 기능을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상단 실 클램프는 이러한 경우에 생략될 수 있다.
상단 실에 의한 상단 실 샤프트의 적어도 180° 랩핑 또는 감기는 상단 실 샤프트의 껍질 벽 상에서 미끄러지지 않게 상단 실을 지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따라서 상단 실 샤프트의 제어된 회전식 드라이브에 의한 상단 실의 정확한 공급을 가능하게 한다. 작동된 회전 방식으로 구동되는 상단 실 샤프트가 실 레버 없이 사용되는 재봉틀의 변형예의 경우에서, 상단 실은 상단 실 샤프트로부터 바늘대로 직접 공급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단 실은 이 예에서는 중공(hollow)으로 구현되는 바늘대를 통해 가이드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상단 실 샤프트의 회전식 드라이브의 드라이브 작동은 바늘대의 위아래 운동이 상단 실 공급에 대해 갖는 효과가 스티치 형성을 위한 상단 실의 원하는 공급이 최종 결과로서 획득되는 정도까지 보상되도록 수행될 수 있다. 상단 실 샤프트 둘레의 원주 방향에서 상단 실 런의 방식에 의해 작동된 회전 방식으로 구동 가능한 상단 실 샤프트의 랩핑은 180°보다 클 수 있으며, 적어도 270°, 적어도 360°(전체 랩핑), 적어도 540°일 수 있으며, 그보다 더 클 수 있다. 상단 실에 의한 상단 실 샤프트의 랩핑에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프리텐셔닝(pretensioning) 요소의 도움을 받는 상단 실은 또한 상단 실 샤프트 상의 상단 실이 미끄러지지 않게 지탱하는 것이 유사하게 보장되는 방식으로 작동된 회전 방식으로 구동되는 상단 실 샤프트에 대해 가압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가압은 상단 실 샤프트를 향해 프리텐셔닝된 인장 롤러의 도움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단 실은 상단 실 샤프트와 인장 롤러 사이에서 이어진다. 큰 원주 영역을 가로질러 상단 실 샤프트를 향해 상단 실을 인장하는 이러한 유형의 복수의 인장 롤러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변형예에서, 상단 실은 또한 예로서 벨트, 특히 타이밍 벨트와 같은 가요성 프리텐셔닝 요소에 의해 상단 실 샤프트의 껍질 벽의 적어도 하나의 원주 부분에 대해 가압될 수 있다.
회전식 드라이브가 스테퍼 모터로서 구현되는 실시예는 특히 정밀한 회전식 구동을 가능하게 한다. 회전식 드라이브는 브러시리스(brushless) DC 전기 모터, 전자 정류 모터(ECM, EC 모터) 또는 동기식 DC 모터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부 실에 의해 둘러싸이거나 감긴 상단 실 샤프트의 지름 범위는 5mm 내지 50mm인 것이 특히 적합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후방이 상부 실에 의해 감싸진 상단 실 축은 5mm 내지 30mm 범위 내의 지름, 예를 들어 10mm의 지름을 가질 수 있다.
재봉틀의 스티치 길이를 사전정의하기 위해 설비 - 신호 링크의 측면에서의 상기 설비는 제어 설비에 접속됨 - 가 제공되고, 재봉된 물품의 재료 두께에 대한 측정 설비 - 신호 링크의 측면에서의 상기 측정 설비는 제어 설비에 접속됨 - 가 제공되며, 상부 실의 실 장력에 대한 측정 설비 - 신호 링크의 측면에서의 상기 측정 설비는 제어 설비에 접속됨 - 가 제공되도록 구성되는 설계 실시예에 따라, 스티치 길이, 재료 두께, 또는 실 장력에 의존하도록 계산되는 상단 실의 양이 상응하는 방식으로 상단 실 샤프트의 회전을 작동시킴으로써 실 장력과 같이 스티치 실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제어 설비에 의해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도면에 의해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내부의 세부사항을 부분적으로 드러내는, 상단 실 가이드를 구비한 재봉틀의 정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도 1과 비교하여 추가 구성요소를 가지고 구현된, 재봉틀의 상단 실 가이드의 세부사항을 비스듬한 방식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다른 관점에서 본, 도 2에 따른 상단 실 가이드의 구성요소들을 도시하며;
도 4 및 5는 상단 실을 가이드하기 위한, 도 2 및 3에 따른 상단 실 가이드의 상단 실 샤프트의 작동된 회전 방식으로 구동 가능한 부분인 바퀴 디스크를 비스듬하고 확대된 방식으로 도시한다.
재봉틀(1)은 베이스 플레이트(2)로부터 위로 연장하는 지지부(3) 및 각진 암(4)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2)를 구비하는 기계 프레임(1a)을 갖는다. 각진 암(4)은 헤드(5)에서 종료된다. 암 샤프트(6)는 암(4)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헤드(5) 내의 상기 암 샤프트(6)는 실 레버(8)를 갖는 크랭크 메커니즘(7)을 구동한다. 구동 기술의 측면에서 크랭크 메커니즘(7)은 헤드(5) 내에서 축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도록 장착된 바늘대(9)에 접속된다. 헤드(5)의 하단부에 있는 상기 바늘대(9)에는 바늘(10)이 구비되어 있다. 크랭크 메커니즘(7)에 의해 바늘(10)은 수직축(11) 상에서 위아래로 이동 가능하다.
재봉틀(1)의 일 실시예의 경우(도시되지 않음), 후자에는 실 레버가 없다.
위치 상관관계의 표현을 단순화하기 위해, 카테시안 xyz 좌표계가 아래에서 사용될 것이다. 수직축(11)은 이러한 좌표계의 z-방향을 따라 연장한다. x-방향은 도 1의 도면 평면에 수직으로 그리고 상기 도면 평면에 내로 이어지며, 재봉틀(1)의 재봉 방향과 평행하도록 연장된다. 도 1의 y-방향은 좌측으로 진행한다.
바늘(10)은, 실패(12)의 형태인 상단 실 예비부 또는 공급부로부터 실 인장 설비 및 실 레버(8)에 의해 공급되는, 상부 실 또는 상단 실로도 지칭되는 바늘 실(13)을 구멍 내에 가이드한다.
베이스 플레이트(2)는 나사로 고정된 베어링 플레이트(14)를 지지하고, 재봉된 물품 부분(15)을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14) 상에서 지탱한다. 스티치 플레이트(16)로서 구현되는 베어링 플레이트(14)의 부분은 하부 톱니(lower feed dog)로도 지칭되는 하부 직물 컨베이어(17)의 통로에 대해 간격을 갖도록 구성된다. 후자는 바늘(10)의 통과를 위한 스티치 홀(18)을 갖는다. 구동 기술에 있어서 직물 컨베이어(17)는 공지된 방식으로 스러스트 및 리프트(thrust and lift) 메커니즘에 접속된다. 대안적으로, 재봉틀의 일 실시예의 경우(도시되지 않음)의 스티치 홀은 스티치 플레이트 내에 직접 구현될 수 있다.
그리퍼 팁(21)을 갖는 그리퍼 바디(20)를 갖는 그리퍼(19)가 베어링 플레이트(14) 아래에 위치된다. 실패(22) 또는 실 코일의 형태로 그리퍼 실 공급부 또는 예비부를 수용하는 포트형(pot-shaped) 실패 하우징이 그리퍼 바디(20) 내에 장착된다. 실패(22)는 바닥 실 예비부로서의 역할을 한다. 그리퍼 실은 또한 바닥 실로도 지칭된다.
그리퍼(19)는 바늘(10)과 함께 스티치 형성 공구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바늘(10)은 상단 실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퍼(19)는 상단 실을 바닥 실로 감는 역할을 한다.
그리퍼(19)는 z-방향으로 이어지는 수직 그리퍼 축(2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재봉틀의 경우, 수평으로 이어지는 그리퍼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그리퍼가 또한 가능하다. 그리퍼 바디(20)는 그리퍼 축(23)과 동축이도록 연장하는 샤프트(25)에 고정적으로 접속된다. 샤프트(25)는 베이스 플레이트(2)에 나사로 고정된 베어링 블록(26)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베어링 블록(26)의 내부에 배치된 기어 메커니즘에 접속된 드라이브 샤프트(27)는 상기 베어링 블록(26)에 장착된다. 기어 메커니즘은 드라이브 샤프트(27)의 한 번의 회전에서 샤프트(25) 상에 위치된 그리퍼 바디(20)가 2번 회전하도록 1:2의 기어비를 가진다. 구동 기술의 측면에서 드라이브 샤프트(27)는 벨트 드라이브(28)를 통해 암 샤프트(6)에 접속된다.
재봉된 물품 부분(15)이 유지 및 수송되도록, 재봉틀(1)은 추가로 노루발(30a) 및 재봉된 물품을 수송하기 위해 하부 직물 컨베이어(17)와 상호작용하는 상부 톱니(31a)를 구비한다. 이 구성요소들, 노루발(30a) 및 상부 톱니(31a)는 도 1에서 개략적인 방식으로만 나타내어졌다.
도 2 및 3은 재봉틀(1)의 상단 실(13)의 가이드를 상세히 나타낸다. 도 1에 따른 상단 실의 가이드와 비교하여, 도 2에 따른 상단 실의 가이드에서 상단 실(13)은 더 많은 개별적인 가이드 구성요소들에 걸쳐 가이드된다. 바늘(10)의 구멍(도 2에서는 보이지 않음)으로부터 진행하여, 제 1 상단 실 클램프(32)는 상단 실 런의 예비부 측에서 상단 실 수송 방향에 반대로, 즉 상류방향으로 배치되며, 이러한 제 1 상단 실 클램프(32)는 제 1 상단 실 클램프(32)의 메인 바디에 대해 변위 가능한 클램핑 플레이트를 구비한다. 신호의 측면에서 제 1 상단 실 클램프(32)는 제어 설비(33)에 접속되며 상단 실(13)이 제 1 상단 실 클램프(32)의 위치에서 고정식으로 클램핑되는 실 클램핑 위치와 제 1 상단 실 클램프(32)가 상단 실(13)을 해제하는 실 해제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다. 제 1 상단 실 클램프(32)의 영역에서 상단 실(13)은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식으로 이어진다.
실 레버(8)는 제 1 상단 실 클램프(32)의 상류에 배치되고, 상기 실 레버(8)의 상향 및 하향 이동은 그 자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암 샤프트(6)로부터 마찬가지로 발산된다. 실 레버(8)의 자유 단부 상에 배치된 실 레버 구멍과 제 1 상단 실 클램프(32) 사이의 상단 실(13)은 또한 가이드 구멍(34)을 관통한다.
실 레버(8)의 상류 측의 상단 실(13)은 실 장력 스프링 유닛(35) 위에서 그리고 후속하여 원형 상단 실 가이드 홈이 포함되는 가이드 볼트(36) 위에서 이어진다. 실 장력 스프링 유닛(35)의 실 인장 스프링은 하류로 이어지는 상단 실 경로 내에서 어떠한 느슨한 상단 실, 다시 말해 어떠한 장력도 없는 상단 실도 방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이러한 하류 상단 실 내에서 실 장력 스프링 유닛(35)의 실 인장 스프링은 따라서 항상 최소의 장력으로 상단 실을 유지한다. 실 인장 설비에 의해 발생되는 상단 실 장력과 비교하여, 실 인장 스프링에 의해 상단 실에 인가되는 힘은 미미할 수 있다. 실 인장 스프링은 후속하는 상단 실 런에서 어떠한 느슨한 상단 실도 방지하는 탄성 보상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상단 실 샤프트(37)는 가이드 볼트(36)의 상류에 배치된다. 원주 상에서 상단 실을 가이드하는 휠 디스크(37a)는 상단 실 샤프트(37)의 구성요소 부품이며, 상기 휠 디스크(37a)는 아래에서 도 4 및 5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상단 실 샤프트(37)는 상단 실에 의해 대략 1.5 배 감기거나 랩핑되고, 상기 상단 실은 대략 540°의 원주 각도 범위에 의해 상단 실 샤프트(37) 상에서 지탱한다. 따라서, 상단 실(13)은 상단 실 샤프트(37)를 적어도 한번 완전히 감거나 랩핑한다. 상단 실(13)이 상단 실 샤프트(37)를 랩핑하는 각도 범위는 절반 랩핑과 2 또는 3번의 완전한 감기 또는 랩핑 사이의 범위일 수 있다(랩핑 각도는 180°와 1080° 사이의 범위에 있다). 특히 도 4 및 5의 맥락에서 기술될 실시예에 대한 대안으로서, 상단 실(13)에 의해 랩핑되는 상단 실 샤프트(37)의 외부 면 또는 껍질 벽이 상단 실 샤프트(37)와 상단 실(13) 사이의 어떠한 미끄러짐도 방지하도록 다른 방식으로 거칠게 만들어지거나 구조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경우(도시되지 않음), 상단 실 샤프트(37)와 상단 실(13) 사이의 미끄러짐의 부재는 상단 실 샤프트(37)의 껍질 벽 상의 상단 실 샤프트(37)의 적어도 하나의 원주 부분에 대해 상단 실(13)을 누르는 적어도 하나의 프리텐셔닝 설비에 의해서 또한 획득될 수 있다. 이러한 프리텐셔닝 설비는 적어도 하나의 인장 롤러의 도움으로, 또는 예를 들어 프리텐셔닝 벨트와 같은 가요성 프리텐셔닝 요소의 도움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단 실 샤프트(37)는 x-방향과 평행하게 이어지는 상단 실 샤프트(37)의 샤프트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제어 설비(33)에 의해 작동 가능한 스테퍼 모터의 형태인 회전식 드라이브(38)가 이를 위한 역할을 한다. 상단 실 샤프트(37)는 회전식 드라이브(38)의 모터 샤프트에 회전식으로 고정된 방식으로 접속된다. 재봉틀(1)의 하우징 상에서 조립 플레이트(38c) 상에서 결과적으로 조립되는 유지 프레임(38b)에 회전식 드라이브(38)가 접속되는 방식으로 조립 플레이트(38a)가 도 3에 추가로 도시되었다. 이러한 하우징 상의 조립 플레이트(38c) 또한 실 인장 플레이트로도 지칭된다.
가이드 볼트(36)는 동시에 유지 프레임(38b)의 일부이다. 상단 실(13)에 의해 랩핑되는 상단 실 샤프트(37)는 휠 디스크(37a)로서 구현된다(도 4 및 5 참조). 휠 디스크(37a)의 외부 원주는 각각 대략 U-형 또는 V-형의 홈 프로파일(37b)을 가지며, 상단 실(13)은 상단 실의 가이드의 실시예에 따라 절반 랩핑과 트리플 랩핑 사이의 원주 각도 범위(180° 내지 1080°) 내의 상단 실 랩핑 각도에 의해 가이드된다. 도 5는 540°(1과 1/2의 랩핑)의 원주 각도 범위를 갖는 상단 실 샤프트(37)의 휠 디스크(37a)의 상단 실 랩핑을 도시한다.
휠 디스크(37a)의 외부 프로파일(37b)은 +/- x-방향으로 축방향에서 외측으로 구부러진 복수의 웹(web)(37d)을 각각 구비하는 두 개의 웹 링(37c)에 의해 형성된다. 두 개의 웹 링(37c)의 웹(37d)을 원주 방향으로 배치하는 것은 웹(37d)이 각각의 경우에서 두 개의 웹 링(37c) 중 하나에 그리고 두 개의 웹 링(37c) 중 다른 하나에 교대 방식으로 할당되도록 한다. 프로파일(37b)의 프로파일 베이스는 웹(37d)의 스프링 부분(37e)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부분(37e)은 x-방향에서 서로 오버랩된다. 이것은 휠 디스크(37a)를 랩핑할 때 상단 실(13)이 상단 실 샤프트(37)(도 5 참조)의 샤프트 축에 대해 정확히 정의된 반경 r에서 움직이는 것을 보장한다.
휠 디스크(37a)는 두 부분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의 외부측 상의 제 1 휠 디스크 메인 바디는 제 1 웹 링을 지지하고, 휠 디스크(37a)의 다른 메인 바디는 다른 웹 링을 지지한다. 휠 디스크(37a)의 이러한 두 부분은 이러한 예에서 회전식으로 고정된 방식으로 서로에 접속된다.
도 5는 휠 디스크(37a)의 회전에서 회전 각도 φ에 의해 상단 실 샤프트(37) 하류의 상단 실의 추가 가이드로 공급되는 상단 실 길이(131)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반경 r 및 회전 각도 φ에 따라 이 길이에는 다음이 적용된다: 13l/r=cosφ.
상단 실 샤프트의 추가의 보다 단순한 실시예의 경우, 상단 실 샤프트는, 상단 실(13)을 확실하기 가이드하기 위한 원주식 홈이 이러한 랩핑 영역에 형성되도록 예로서 U-형인 축방향 프로파일을 가진다.
상단 실(13)에 의해 랩핑되는 상단 실 샤프트(37)는 대략 10mm의 지름을 갖는다. 상단 실 샤프트(37)의 실시예에 따라, 5mm 내지 50mm 범위의 상단 실 샤프트 지름이 존재할 수 있다.
실 레버가 없는 재봉틀(1)의 실시예의 경우, 상단 실(13)은 또한 바늘(10)에 의해 그리고 바늘대(9)에 의해 상단 실 샤프트(37)에 직접 가이드될 수 있다. 실은 이러한 예에서 중공이도록 구현된 바늘대(9)를 통해 가이드될 수 있다.
상단 실 샤프트(37)의 상류인 상단 실(13)은 추가의 실 편향부(39) 및 실 구멍(40)을 통해 가이드되고, 그로부터 상단 실 예비부(12)로 이어진다.
재봉틀(1)의 제어 설비(33)는 스티치 길이를 사전정의하도록 한편으로는 하부 직물 컨베이어(17), 다른 한 편으로는 상부 톱니(31a)의 드라이브의 기어박스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따라서 제어 설비(33)는 동시에 스티치 길이 사전 정의 설비로서의 기능을 한다.
노루발(30a)은 재봉된 물품(15)의 재료 두께에 대한 측정 설비로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신호 링크의 측면에서 노루발(30a)의 각각의 재료 두께 센서는 유사하게 제어 설비(33)에 접속된다.
한편으로는 실 장력 스프링 유닛(35) 및 다른 한 편으로는 실 편향부(39)가 상단 실(13)의 실 장력에 대한 측정 설비로서 구현되고, 신호 링크의 관점에서 유사하게 제어 설비에 접속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상단 실(13)의 실 장력을 측정하는 설비는 실 레버(8)와 재봉 바늘(10) 사이에서 이어지는 상단 실 런에, 예를 들어 제 1 상단 실 클램프(32)의 위치, 가이드 구멍(34)의 위치에, 또는 이들 구성요소들이 재봉틀의 이러한 실시예에 존재하는 경우, 제 1 상단 실 클램프(32)와 가이드 구멍(3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신호 링크의 측면에서 실 레버(8)와 바늘(10) 사이에서 이어지는 실 내의 상단 실(13)의 실 장력에 대한 이러한 측정 설비는 유사하게 제어 설비(33)에 접속된다.
재봉틀의 실시예에 따라, 작동 가능한 회전 방식으로 구동할 수 있는 상단 실 샤프트(37)가 상단 실 런의 하류에서 느슨한 상단 실을 방지하는 기능을 완전히 보장하는 한 실 인장 유닛(35)이 또한 생략될 수 있다.
재봉틀(1)의 재봉 동작에서, 회전식 드라이브(38)에 의해 구동되는 상단 실 샤프트(37)의 회전에 의해서, 입력 파라미터 "스티치 길이", "재료 두께", "상단 실 장력" 및 선택적으로 다른 추가의 기계 파라미터에 의존하도록 정확하게 정의된 상단 실의 양이 상단 실 예비부(12)로부터 빠져나온다. 상단 실 샤프트(37)에 독립적으로 상단 실(13)에 사전정의된 장력을 가하며 종래기술에서 상단 실 인장 유닛 또는 상단 실 장력으로도 지칭되는 상단 실 가이드 구성요소가 재봉틀(1)의 상단 실(13)의 스레드 런 내에 완전히 존재하지 않고, 다시 말해 제공되지 않는다.
상단 실(13) 상의 실 장력은 오로지 상단 실 샤프트(37)에 의해 사전정의된 텐실 스트레스에 의해서만 생성된다. 예를 들어, 360 단계로 모터 샤프트의 1회의 전체 회전을 수행하는 스테퍼 모터가 회전식 드라이브(38)를 위해 사용될 때, 예컨대 1 단계의 경우 0.1㎜의 상단 실 길이가 사전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상단 실(13)의 양을 사전정의하는 것은 회전식 드라이브(38)로서 스테퍼 모터의 단계들의 비교적 작은 회전에 의해 이미 매우 정밀하게 수행될 수 있다.
사전정의된 스티치 길이의 경우, 정확히 동일한 양의 상단 실이 상단 실 샤프트(37)에 의해 이용 가능하게 될 수 있으며 제어 설비(33)에 의해서 각 스티치의 경우에서 회전 각도가 정확히 사전정의된다. 스티치마다 이용 가능한 상단 실의 양은 스티치 길이에 따라 상응하게 적응될 수 있다.
실 부분이 실 당김 나이프의 도움으로 준비되도록, 절단 후에 기계 상에 남아있는 상단 실(13)이 정확하게 사전정의된 길이를 갖도록 솔기의 마지막 스티치에 대한 상단 실의 양은 정확하게 사전정의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바늘 상의 상단 실(13)은 정확히 정의된 길이를 갖는 자유로운 상단 실 초기 부분을 가진다.
또한, 작동된 회전 방식으로 구동되는 상단 실 샤프트(37)의 도움으로 재봉틀의 작동 중에 특수 기능이 수정될 수도 있다. 솔기의 구성 시작시에, 상단 실 샤프트(37)의 회전식 드라이브(38)의 상응하는 작동에 의해서, 상단 실(13)은 형성된 솔기의 제 1 스티치로부터, 따라서 예를 들어 첫 스티치, 처음 두 개의 스티치, 또는 처음 세 개의 스티치로부터 제어된 방식으로 축소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솔기 시작에서 자유 상단 실 시작 부분이 단축된다.

Claims (9)

  1. 상부 실(upper thread)(13)에 대한 공급부(12)를 구비하는 재봉틀(1)로서,
    재봉된 물품(15)을 통해 상기 상부 실(13)을 가이드하기 위한 재봉 바늘(10) -상기 재봉 바늘(10)은 구동시에 위아래로 이동 가능함- 을 갖는 바늘대(9);
    스티치 형성 중에 상기 상부 실(13)을 캡처하기 위한 그리퍼(gripper)(19);
    상부 실 런(run)에 배치되고 자신의 샤프트 축 둘레에서 회전 가능한 상부 실 샤프트(upper thread shaft)(37);
    상기 상부 실 샤프트(37)를 자신의 샤프트 축 둘레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작동가능한 회전식 드라이브(38);
    상기 회전식 드라이브(38)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 설비(33)를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원주 부분 내의 상기 상부 실(13)은 자신의 샤프트 축 둘레에서 구동된 상기 상부 실 샤프트(37)의 회전의 경우에서도 상기 상부 실 샤프트의 외부면 상에서 지탱하고,
    상기 상부 실 샤프트의 외부면 상에서 상기 상부 실이 미끄러지지 않게 지탱하는 것은:
    - 상기 상부 실에 의해 상기 상부 실 샤프트를 적어도 180°로 랩핑 또는 감거나,
    - 가요성 프리텐셔닝 요소에 의해 상부 실 샤프트의 껍질 벽의 적어도 하나의 원주 부분에 대해 상기 상부 실을 가압하거나,
    - 상기 상부 실 샤프트의 일부인 휠 디스크를 갖는 상부 실 샤프트의 원주 상에서 상기 상부 실을 가이드하거나,
    - 상부 실 샤프트를 향해 프리텐셔닝된 인장 롤러의 도움으로 상기 상부 실 샤프트에 대해 상부 실을 가압함으로써 수행되는, 재봉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실(13)의 루프를 당기기 위한 실 레버(8)에 의해 특징지어지며, 상부 실 런 내의 상기 상부 실 샤프트(37)는 상기 실 레버(8)의 앞에 배치되는, 재봉틀.
  3. 제 1 항에 있어서,
    원주 방향에서의 상기 상부 실 샤프트(37)는 적어도 180°만큼 상기 상부 실(13)에 의해 감기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재봉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드라이브(38)는 스테퍼 모터(stepper motor)(38)로서 구현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재봉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실(13)에 의해 감기는 상기 상부 실 샤프트(37)는 5mm 내지 50mm 범위 내의 지름을 갖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재봉틀.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실 샤프트(37)와 상기 실 레버(8) 사이에서 상부 실 런 내에 있는 상부 실 장력 스프링 유닛(35)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재봉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봉틀(1)의 스티치 길이를 사전정의하기 위한 설비에 의해 특징지어지며, 신호 링크의 측면에서 상기 설비는 상기 제어 설비(33)에 접속되는, 재봉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봉된 물품(15)의 재료 두께에 대한 측정 설비(30a)에 의해 특징지어지며, 신호 링크의 측면에서 측정 설비(30a)는 상기 제어 설비(33)에 접속되는, 재봉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실(13)의 실 장력에 대한 측정 설비(35, 39)에 의해 특징지어지며, 신호 링크의 측면에서 측정 설비(35, 39)는 상기 제어 설비(33)에 접속되는, 재봉틀.
KR1020180044030A 2017-04-18 2018-04-16 재봉틀 KR1024930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206499.4A DE102017206499B3 (de) 2017-04-18 2017-04-18 Nähmaschine
DE102017206499.4 2017-04-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054A KR20180117054A (ko) 2018-10-26
KR102493092B1 true KR102493092B1 (ko) 2023-01-27

Family

ID=61837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030A KR102493092B1 (ko) 2017-04-18 2018-04-16 재봉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392388A1 (ko)
JP (1) JP7105090B2 (ko)
KR (1) KR102493092B1 (ko)
CN (1) CN108729047B (ko)
DE (1) DE102017206499B3 (ko)
TW (1) TWI81666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00731A (ja) * 2018-06-29 2020-01-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
CN111088609A (zh) * 2018-10-24 2020-05-01 江苏华东纺织产品检测有限公司 一种服装折边器
CN109371586B (zh) * 2018-12-13 2021-06-04 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针对缝料薄厚自动调整收线的缝纫机及其调整收线方法
CN111197203B (zh) * 2020-03-19 2021-07-30 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一种抬牙剪线组件和具有该抬牙剪线组件的缝纫机
DE102022203472A1 (de) 2022-04-07 2023-10-12 Dürkopp Adler GmbH Nähmaschi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6136A (ja) 2005-11-17 2007-06-07 Yamato Sewing Mach Co Ltd ミシンの糸供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75397A (ja) * 1987-06-29 1988-11-1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
DE19951127C2 (de) 1999-10-23 2002-06-20 Duerkopp Adler Ag Knopfloch-Nähmaschine
JP2001170385A (ja) * 1999-12-17 2001-06-26 Juki Corp ボタン穴かがり縫いミシン
SE526806C2 (sv) * 2004-03-15 2005-11-08 Vsm Group Ab Trådtillförsel vid symaskin
DE102006061348A1 (de) * 2005-12-27 2007-08-23 Juki Corp., Chofu Nähmaschine
DE102007026651A1 (de) * 2007-06-08 2008-12-18 Dürkopp Adler AG Nähmaschine sowie Betriebsverfahren für eine derartige Nähmaschine
DE102007039596A1 (de) 2007-08-22 2009-02-26 Dürkopp Adler AG Nähmaschine sowie Verfahren zum Nähen eines Nahtanfangs mit einer derartigen Nähmaschine
JP2009125247A (ja) * 2007-11-22 2009-06-11 Juki Corp ミシン
DE102008011509B4 (de) * 2008-02-25 2014-09-18 Pfaff Industriesysteme Und Maschinen Ag Fadenspannvorrichtung an einer Näh- oder Stickmaschine
DE102011005198A1 (de) * 2011-03-07 2012-09-13 Dürkopp Adler AG Nähmaschine sowie Verfahren zum Nähen eines Nahtanfangs mit einer derartigen Nähmaschine
EP2650420B1 (de) * 2012-04-10 2015-07-08 Müller Martini Holding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Fadenheften von Buchblöcken, sowie Buchfertigungsstrasse mit einer solchen Vorrichtung
CN104141201B (zh) * 2013-05-08 2016-08-24 陈忠前 工业缝纫机
DE102013007928A1 (de) * 2013-05-12 2014-11-13 Pfaff Industriesysteme Und Maschinen Ag Nähmaschine zur Erzeugung von Nähten mit kurzen Fadenanfangslänge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6136A (ja) 2005-11-17 2007-06-07 Yamato Sewing Mach Co Ltd ミシンの糸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839206A (zh) 2018-11-01
DE102017206499B3 (de) 2018-05-03
CN108729047B (zh) 2022-07-12
JP2018175865A (ja) 2018-11-15
EP3392388A1 (de) 2018-10-24
KR20180117054A (ko) 2018-10-26
TWI816668B (zh) 2023-10-01
CN108729047A (zh) 2018-11-02
JP7105090B2 (ja) 2022-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3092B1 (ko) 재봉틀
KR101448678B1 (ko) 단추 재봉실의 뿌리감기 장치
KR20080088455A (ko) 재봉기
US7488011B2 (en) Button wrapping and knott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JP3175658U (ja) ミシン
KR100699660B1 (ko) 미싱
JP4070164B2 (ja) ベルトループ縫付けミシン
KR101862871B1 (ko) 재봉틀 및 이러한 재봉틀을 이용하여 재봉 개시 부분을 재봉하기 위한 방법
KR102621331B1 (ko) 재봉틀용 실 장력조절 장치
US4791876A (en) Automatic needle thread supply control system
JP5205175B2 (ja) 刺繍ミシンの布押え体
JPH03199436A (ja) 自動糸通し装置及び自動糸継装置
CN101922088B (zh) 环缝缝纫机
KR200209913Y1 (ko) 자수기의 장식사 공급장치
JPS6161835B2 (ko)
KR102180366B1 (ko) 단추 재봉실의 감침장치 및 그 감침방법
CN209039726U (zh) 一种锁边机的收线装置
JP2002355464A (ja) ミシンの自動糸調子装置
JPH0817862B2 (ja) 自動糸調子ミシン
KR200465633Y1 (ko) 셔닐 자수기의 미싱헤드
CN115341332A (zh) 一种织袜设备及生产工艺
JPS6110628Y2 (ko)
JPS5938346B2 (ja) 刺繍用ミシンの巻糸案内装置
JP2004156184A (ja) 編機
JPS611383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