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9913Y1 - 자수기의 장식사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자수기의 장식사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9913Y1
KR200209913Y1 KR2020000020433U KR20000020433U KR200209913Y1 KR 200209913 Y1 KR200209913 Y1 KR 200209913Y1 KR 2020000020433 U KR2020000020433 U KR 2020000020433U KR 20000020433 U KR20000020433 U KR 20000020433U KR 200209913 Y1 KR200209913 Y1 KR 2002099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ve yarn
embroidery machine
pulley
decorative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04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점길
이윤진
Original Assignee
이점길
이윤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점길, 이윤진 filed Critical 이점길
Priority to KR20200000204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99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99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9913Y1/ko

Links

Landscapes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수기의 봉착작업시에 장식사가 원할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장식사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장력조절장치와, 봉착작업시 장식사가 쉽게 빠지지 않고 정확한 자수모양을 형성할 수 있도록 고안된 봉착장치로 이루어지는 자수기의 장식사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자수기의 봉착작업시 장식사의 원할한 장력을 유지하면서 봉착작업을 할 수 있도록 장식사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장치와; 다수의 핀공이 형성되고 반원형의 홈이 상하부에 대칭으로 형성되며 하부 양측에는 풀리공이 형성된 전면커버와, 내측에 암나사가 형성된 다수의 고정핀이 각각의 핀공과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전면커버와 결합되며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후면커버와, 전면부 상하에 대칭하여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후면커버의 내측 중앙 상부에 위치하고 바늘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후면커버의 양측하부에 형성된 풀리공에 끼워져 고정되는 각각의 타이밍 풀리(210,212)와, 상기 각각의 타이밍 풀리를 연결하여 회전시키기 위한 타이밍 벨트로 구성되어 가는 자수사가 장식사의 외주면을 감싸서 장식사가 이탈되지 않도록 봉착하는 봉착장치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자수기의 장식사 공급장치{Yarn supply device of a weaving machine}
본 고안은 자수기에서의 장식사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자수기의 봉착작업시에 장식사가 원할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장식사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장력조절장치와, 봉착작업시 장식사가 쉽게 빠지지 않고 정확한 자수모양을 형성할 수 있도록 고안된 봉착장치로 이루어지는 자수기의 장식사 공급장치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수기에서 직물원단을 이용하여 장식사를 봉착작업함에 있어서, 장식사를 임의의 도형으로 이루도록 나열하면서 가늘은 자수사로 하여금 장식사를 감치기식으로 원단에 봉착하였으나 이러한 과정에서 공급되어지는 장식사의 회전에 의해 원하는 모양을 맞추기가 굉장히 어려웠다.
예를들면, 자수기에서 장식사가 팽팽하게 유지되면서 공급되지 아니하는 경우, 장식사 특유의 성질에 의해서 자유변형이 일어나므로 완전하지 못한 배열이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와는 달리 큰 오차를 갖는 장식사의 배열이 이루어졌으며, 이는 곧바로 자수문양의 형태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또한, 상기와 같이 장식사의 배열 및 봉착작업을 확인하는 별도의 수단이 구비되지 않을 경우에는 장식사의 배열이 원하는 모양으로 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없으므로 정확한 봉착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선출원된 국내실용신안(출원번호 제 93-11613호)이 도 1 및 도 2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수기에서 장식사를 공급하는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장식사를 공급하는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선출원된 고안의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자수기의 구성을 살펴보면, 체대(10)와 결합되는 지지체(20)에 체결수단(22a)을 매개로 안내부재 하우징(22)을 조합한다.
상기 하우징(220 내부에는 확인공(21a)과 유도홀(21b)을 갖는 안내부재(21)를 매설하고, 바늘대 후면에는 장식사 지지 로울러(11)를 결합하여 구성된 것이다.
설명되지 않은 부호 1은 자수기, 1a는 바늘, 1b는 스틸밴드이고, C는 클립, 11a는 하측 로울러이며, 20a는 지지체(20)를 체대(10)에 고정하는 체결나사이다.
또한, 도 2의 미설명된 부호 A는 직물원다, B는 장식사를 지칭한다.
계속해서, 종래의 자수기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직물원단(A)의 표면상으로 특정문양의 자수를 함에 있어서, 바늘(1a)의 왕복운동과 복(밑실을 감은 실패를 넣어두는 틀)집의 구동 및 원단의 위치이동에 따른 구동으로 장식사의 배열에 이어 밑실의 감치기 작업으로 직물원단(A)의 표면에 특정문양이 자수되는데, 도 2에서와 같이 장식사(B)의 공급경로는 장식사 지지로울러(11)에 의해 일정힘의 탄력을 받으면서 안내부재(21)의 유도홀(21b)을 통과하여 직물원단(A)의 표면을 거쳐 클립(C)에 파지되는 수순으로 이루어진다.
이어서, 바늘(1a)의 전진동작에 의해 직물원단(A)에 바늘이 박히게 되고,(바늘 끝부위에 재봉사가 끼워져 있으므로 한땀의 재봉작업이 이루어진다.) 도시되지 않은 구동모터에 의해 타공된 스틸밴드(1b)가 연동되며, 스틸밴드(1b)의 안내를 받아 장식사(B)가 끼워진 상태의 안내부재(21)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바늘(1a)의 주위로 장식사(B)가 감싸지게 되고,(즉, 직물원단 표면상으로 마치 'U'자 형으로 장식사가 놓여진다.) 이와 동시에 직물원단(A)에 박힌 상태의 바늘이 후진동작으로 직물원단(A)에서 빠지게 되면, 그 다음동작으로 직물원단(A)이 설정된 거리만큼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되고, 바늘의 전진동작에 의해 상기 장식사(B)가 직물원단(A)에 박히면서 봉착이 이루어진다.
계속해서, 안내부재(21)가 초기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바늘(1a)의 전후 이동으로 직물원단에 봉착하는 과정이 계속해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동작상태에서 공급되는 장식사(B)는 상기 안내부재(21)의 회전으로 인하여 팽팽하지 못한 상태로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장식사 지지로울러(11)의 상하 압착력에 의해 일정힘의 탄력을 받게되므로 항상 팽팽한 상태로 공급되어 원하는 무늬모양으로 장식사의 배열이 이루어진다.
즉, 하측 로울러(11a)가 결합된 회전봉이 장식사 공급 방향의 반대 방향인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어 하측 로울러(11a)에 의해 안내되는 장식사를 간섭하게 되므로 항상 팽팽한 상태로 장식사의 공급이 이루어진다.
또한, 봉착되어지는 장식사의 상태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가를 안내부재(21)에 형성된 확인공(21a)을 통해 가늠할 수 있게 되므로 순간적인 오동작으로 야기되는 불량을 대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장식사의 공급장치에 있어서는 장식사가 항상 팽팽한 상태로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을 뿐 더러 지지로울러에 의해서 마찰되고, 상기 장식사가 눌려짐으로써 장식사가 끊어지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은 장식사 공급장치는 롤러를 이용하여 일방향으로만 당겨주었기 때문에 장식사가 일자형태로 공급되는 경우에는 양호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었으나 급커브일 경우에는 실이 엉켜지게 되어 정확한 장식 문양이 나타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선출원된 고안에 의하면 안내부재(21)의 확인공을 통해 장식사가 정상적으로 봉착되는지 알아볼 수 있다고 하였으나, 실질적으로 자수기에서 장식사의 봉착이 이루어지는 작업은 매우 빠르게 봉착되어지므로 작업자가 미소한 확인공을 통해서 직접적으로 확인하기에는 큰 어려움이 뒤따랐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장식사를 공급할 때, 일자형태뿐만 아니라 급커브일 경우에도 장식사의 원할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봉착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공급되는 장식사를 적당하게 풀었다 당겼다하면서 알맞은 장력을 제공하여 정확한 자수의 문양을 새길 수 있는 자수기에서의 장식사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장식사를 감치기식으로 자수하는 경우에도 장식사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봉착작업을 할 수 있는 자수기의 장식사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자수기에서 장식사를 공급하는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장식사를 공급하는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장식사 공급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자수기의 동작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자수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장력조절장치 102 : 브라켓
104 : 원동축 106 : 피동축
108 : 원동풀리 110 : 피동풀리
112 : 구동벨트 114 : 구동모터
116 : 보빈 118 : 장식사
120 : 장식사 지지봉 122 : 바늘 고정대
200 : 자수기 202 : 전면커버
204 : 후면커버 206 : 홈
208 : 고정핀 210 : 풀리
212 : 바늘공 214 : 상부와이어
216 : 하부와이어 218 : 풀리공
220 : 베어링 222 : 장력조절볼트
224 : 장공 226 : 핀공
228 : 타이밍 벨트 230 : 고정너트
232 : 고정와셔 300 : 바늘
본 고안은 직물원단의 2차원 구동에 의해 바늘의 재봉작업으로 직물원단에 장식사를 공급하여 봉착작업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수기의 장식사 공급장치에 있어서, 자수기의 봉착작업시 장식사의 원할한 장력을 유지하면서 봉착작업을 할 수 있도록 장식사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장치와; 장식사가 이탈되지 않도록 장식사의 외주면을 완전히 감싸도록 봉착하는 봉착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장력조절장치는 평행하게 위치한 한 쌍의 브라켓에 각각 평행하게 끼워져서 원동축 및 피동축이 설치되고, 상기 원동축의 일단에는 구동모터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원동풀리가 설치되며, 상기 피동축의 일단에는 피동풀리가 설치되되 상기 원동풀리와 피동풀리는 구동벨트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구동모터의 정역회전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원동축과 피동축의 상부에 보빈이 얹혀져서 마찰에 의해 회전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식사를 봉착하기 위한 봉착장치는 다수의 핀공이 형성되고, 반원형의 홈이 상하부에 대칭으로 형성되고, 하부 양측에는 풀리공이 형성된 전면커버와; 내측에 암나사가 형성된 다수의 고정핀이 각각의 핀공과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전면커버와 결합되고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후면커버와; 전면부 상하에 대칭하여 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후면커버의 내측 중앙 상부에 위치하며, 바늘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후면커버의 양측하부에 형성된 풀리공에 끼워져 고정되는 각각의 타이밍 풀리(210,212)와; 상기 각각의 타이밍 풀리를 연결하여 회전시키기 위한 타이밍 벨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봉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풀리(212)가 반원형의 홈을 따라 회전하는 회전각도에 따라 타이밍 벨트(228)에 연결된 타이밍 풀리(210)가 360도 이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장식사 공급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자수기의 동작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자수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우선, 본 고안은 도 3 내지 도 5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장식사(118)사 감겨져 있는 원통형의 보빈(116)이 장력조절장치(100)에 놓여져 있고, 그 전부에는 장식사(118)가 지지되도록 장식사 지지봉(120)이 미도시된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장식사 지지봉(120)의 전부에는 장식사가 끼워지는 바늘(300)이 고정된 바늘 고정대(122)가 가로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바늘 고정대(122)의 전부에는 다시 봉착장치(200)가 상하부 와이어(214,216)에 의해 고정되어져 있다.
상기 봉착장치(200)는 전면커버(202)와 후면커버(204)로 이루어지고, 그 내측에 설치되는 타이밍 벨트(도시안됨)와 다수의 타이밍 풀리(도시안됨)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면커버(202)와 후면커버(204)는 다수의 고정볼트(223)에 의해 고정되어 진다.
상기 봉착장치(200)의 자세한 구조 및 동작은 도 5를 참조하여 하기에 상술하기로 한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설치된 장력조절장치(100)는 상기 보빈(116)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줌으로써 보빈에 감겨진 장식사(118)의 장력을 조절하여 준다. 즉, 상기 장식사(118)가 느슨해진 경우에는 상기 보빈(116)을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팽팽하게 유지시키고, 장식사(118)가 너무 팽팽해진 경우에는 상기 보빈(116)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장식사를 풀어주어 상기 장식사가 알맞은 장력을 유지하면서 공급될 수 있도록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알맞은 장력을 유지하는 것은 장식사의 공급에 따라 새겨지는 자수의 문양을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것이다.
상술한 장력조절장치(100)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평행하게 설치된 한쌍의 브라켓(102)에 가로방향으로 원동축(104)이 끼워져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원동축(104)과 평행하게 피동축(106)이 끼워져서 설치되어 있으며, 원동축(104)와 피동축(106)의 중간에는 상기 보빈(116)이 올려져 있다.
상기 원동축(104)의 좌측 일단에는 구동모터(114)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원동축(104)의 우측 타단에는 원동풀리(108)가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원동축(104)과 나란히 설치된 피동축(106)의 우측단에는 피동풀리(110)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그 타단은 상기 브라켓(102)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상기 원동축(104)에 설치된 원동풀리(108)와 피동축(106)에 설치된 피동풀리(110)는 구동벨트(112)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구동모터(114)가 구동됨에 따라 상기 원동축이 회전하면 상기 원동풀리(108)가 회전하고, 구동벨트(112)에 의해 연결된 피동풀리(110)가 회전된다.
상기 구동모터(114)는 정역회전(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을 자유자재로 가능하고 정밀한 제어가 가능한 서보모터를 이용한다.
상기와 같이 구동모터(114)에 의해 원동축(104)이 정회전(시계방향회전)하면 피동축(106)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고, 상기 원동축(104)과 피동축(106)위에 놓여진 보빈(116)은 마찰에 의해 역회전(반시계방향회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장식사(118)가 보빈에 감겨지게 됨으로써 장식사는 팽팽하게 유지된다.
이때, 상기 장식사가 너무 팽팽해져 끊어질 염려가 있는 경우에는 이와는 반대로, 상기 구동모터(114)를 동작시켜 상기 원동축(104)을 역회전(반시계방향회전)시키면 상기 피동축(106)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고, 상기 원동축(104)과 피동축(106)위에 놓여진 보빈(116)은 오히려 마찰되면서 정회전(시계방향회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장식사(118)가 보빈에서 풀려지게 됨으로써 장식사는 느슨해지게 된다.
따라서, 구동모터(114)를 이용하여 상기 보빈(116)을 반복적으로 정역회전시켜 줌으로써 보빈(116)에 감겨진 장식사(118)의 공급장력을 적절하게 유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바늘 고정대(122)의 전부에 설치된 봉착장치(200)를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봉착장치(200)는 다수의 핀공(226)이 형성되고 반원형의 상하부 홈(206)이 형성되며,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224)이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전면커버(202)와, 하부 양측에 풀리공(218)이 각각 형성되고, 중앙에 암나사부가 구비된 다수의 고정핀(214)이 내측 전면에 고정되어 있는 후면커버(204)와, 상기 고정핀(214)에 일측면에 상기 홈(208)에 끼워져서 홈을 따라 일정각도로 회전하도록 고정되어 있는 고정핀(208)을 구비한 타이밍 풀리(212)와, 상기 풀리공(218)에 각각 끼워져서 상기 타이밍 풀리(212)와 삼각형 구조로 배치되는 각각의 타이밍 풀리(210)와, 상기 타이밍 풀리(212)와 타이밍 풀리(210)의 외주에 서로 연결되면서 회전시키는 타이밍 벨트(228)와, 상기 타이밍 벨트(228)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전면커버(202)에 형성된 장공(224)에 설치되는 고정너트(230), 고정와셔(232) 및 장력조절볼트(222)로 이루어진다.
상기 타이밍 풀리(210)의 전면에는 장식사 바늘공(234)과 장식사 바늘공(23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봉착장치(200)의 정면에는 가로방향으로 상부 와이어(214) 및 하부 와이어(216)가 설치됨과 동시에 고정핀(223)에 의해 각각의 타이밍 풀리(212)와 연결되어 있고, 고정 브라켓(215)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상하부 와이어(214,216)가 좌우 이동함에 따라 상기 타이밍 풀리(212)가 반원형의 홈(206)을 타고서 45도 각도로 회전된다. 이때, 타이밍 벨트(228)에 의해 연결된 하부의 타이밍 풀리(210)는 420도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때, 가는 자수사는 상기 장식사의 외주면을 420도 회전하게 되므로 서로 겹쳐지면서 장식사를 완전하게 감싸게되어 장식사가 빠지지 않도록 방지한다.
본 고안에서는 봉착장치를 동작시키는 연결수단으로 바람직하게는 와이어(216)를 사용하였으나 바아(BAR)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어서, 상기 와이어(214)의 최끝단에 연결된 타이밍 풀리(212)에는 별도의 구동모터(도시안함)를 직결시켜서 상기 타이밍 풀리(212)를 회전시킴으로써 와이어를 화살표 방향으로 직선이동시키고, 상기 각각의 타이밍 풀리(212,210))가 회전하여 상기 타이밍 풀리(210)의 바늘구멍(234)에 실을 궤어 자수를 놓게 된다.
이때, 상기 타이밍 풀리(210)는 420도 각도로 회전되므로 가는 자수사가 장식사(118)의 외주면을 완전히 감싸도록 엮어진다.
이와 같은 동작은 종래에는 발휘되지 않던 본 고안의 현저한 효과이다. 왜냐하면, 종래의 장식사는 가는 자수사를 장식사의 외주를 360도 회전하도록 되어 있 으므로 장식사의 외주면을 감싸는 동작시 360도 시계방향으로 감싸고 다시 반시계향으로 360도 감싸게 되므로 상기 장식사가 360도 위치에 이르는 마지막 끝단에서는 서로 겹쳐지지 않게 됨으로써 장식사가 엮어지지 않고 장식사가 빠지는 문제점을 보완한 것이다.
즉, 상기 타이밍 풀리(212)와 직결된 별도의 구동모터(도시안됨)를 이용하여 타이밍 풀리(212)를 45도 회전시키면, 상기 하부 양측에 각각 설치된 타이밍 풀리(210)는 정방향 및 역방향(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각각 420도 회전하여 자수사가가 상기 장식사를 완전히 겹쳐지도록 감싸게 되므로 장식사가 빠져나오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자수기에서의 일반적인 동작은 종래의 자수기를 설명하는 과정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으므로 구체적인 기술은 하지 않기로 한다.
한편, 가는 자수사가 상기 장식사를 감싸도록 동작시키는 구동수단으로써 본 고안에서는 타이밍 풀리(210,212)와 타이밍 벨트(228)를 이용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제시되었지만, 기어와 기어, 타이밍 체인과 스프로킷 등을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의 기술로서는 극히 용이하게 실시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에 기술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실시는 본 고안의 핵심요소로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고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효과는 장식사를 공급할 때, 실이 엉키지 않고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자수문양을 정확하게 새기게 되므로 불량품이 줄어들고, 작업이 빨라지며,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자수기는 장식사이 장식사에서 빠지지 않도록 완전히 감싸줄 수 있으므로 별도로 장식사의 봉착작업을 감시할 필요가 없으며, 불량율을 최소화하여 장치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직물원단의 2차원 구동에 의해 바늘의 재봉작업으로 직물원단에 장식사를 공급하여 봉착작업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수기의 장식사 공급장치에 있어서,
    자수기의 봉착작업시 장식사의 원할한 장력을 유지하면서 봉착작업을 할 수 있도록 장식사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장치와;
    다수의 핀공이 형성되고 반원형의 홈이 상하부에 대칭으로 형성되며 하부 양측에는 풀리공이 형성된 전면커버와, 내측에 암나사가 형성된 다수의 고정핀이 각각의 핀공과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전면커버와 결합되며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후면커버와, 전면부 상하에 대칭하여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후면커버의 내측 중앙 상부에 위치하고 바늘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후면커버의 양측하부에 형성된 풀리공에 끼워져 고정되는 각각의 타이밍 풀리(210,212)와, 상기 각각의 타이밍 풀리를 연결하여 회전시키기 위한 타이밍 벨트로 구성되어 가는 자수사가 장식사의 외주면을 감싸서 장식사가 이탈되지 않도록 봉착하는 봉착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의 장식사 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장치는 평행하게 위치한 한 쌍의 브라켓에 각각 평행하게 끼워져서 원동축 및 피동축이 설치되고, 상기 원동축의 일단에는 구동모터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원동풀리가 설치되며, 상기 피동축의 일단에는 피동풀리가 설치되되, 상기 원동풀리와 피동풀리는 구동벨트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구동모터의 정역회전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원동축과 피동축의 상부에 보빈이 얹혀져서 마찰에 의해 회전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의 장식사 공급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풀리(212)가 반원형의 홈을 따라 회전하는 회전각도에 따라 타이밍 벨트(228)에 연결된 타이밍 풀리(210)가 360도이상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의 장식사 공급장치.
KR2020000020433U 2000-07-18 2000-07-18 자수기의 장식사 공급장치 KR2002099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433U KR200209913Y1 (ko) 2000-07-18 2000-07-18 자수기의 장식사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433U KR200209913Y1 (ko) 2000-07-18 2000-07-18 자수기의 장식사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9913Y1 true KR200209913Y1 (ko) 2001-01-15

Family

ID=73056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0433U KR200209913Y1 (ko) 2000-07-18 2000-07-18 자수기의 장식사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991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677B1 (ko) 2009-08-10 2010-03-18 한국봉제기술연구소 자수기용 북집 밑실의 장력 조절 장치
WO2013070038A1 (ko) * 2011-11-11 2013-05-16 썬스타알앤씨 주식회사 장력 조절 장치, 이를 포함하는 자수기의 헤드 그리고 이에 적합한 자수기의 장력 제어 장치
KR101365479B1 (ko) * 2011-11-11 2014-02-24 썬스타알앤씨(주) 장력 조절 장치, 이를 포함하는 자수기의 헤드 그리고 이에 적합한 자수기의 장력 제어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677B1 (ko) 2009-08-10 2010-03-18 한국봉제기술연구소 자수기용 북집 밑실의 장력 조절 장치
WO2013070038A1 (ko) * 2011-11-11 2013-05-16 썬스타알앤씨 주식회사 장력 조절 장치, 이를 포함하는 자수기의 헤드 그리고 이에 적합한 자수기의 장력 제어 장치
KR101365479B1 (ko) * 2011-11-11 2014-02-24 썬스타알앤씨(주) 장력 조절 장치, 이를 포함하는 자수기의 헤드 그리고 이에 적합한 자수기의 장력 제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09230B1 (en) Automatic multi-function multi-needle sewingmachine and relative sewing method
EP1185729B1 (en) Method and device to apply cord thread or ribbons onto fabrics in a quilting machine
KR100589639B1 (ko) 장식사 및 스팽글 자동봉착장치
US8312823B2 (en) Sewing machine
KR101420736B1 (ko) 장식사 또는 리본 봉착기
KR200209913Y1 (ko) 자수기의 장식사 공급장치
US7488011B2 (en) Button wrapping and knott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JP3489089B2 (ja) ルーパ糸繰り装置
JP3729717B2 (ja) 二重環縫いミシン
US8844452B2 (en) Machine for embroidering an item
KR950007654Y1 (ko) 자수기에서의 장식사 공급장치
JPH08246323A (ja) 刺繍素材の縫い付け方法
US2884882A (en) Sewing machine with finger to control bobbin thread
KR930010999B1 (ko) 자수기용 장치
CN104818587B (zh) 缝纫机
KR200445722Y1 (ko) 자수기용 코드사 공급장치
US5934212A (en) Two part sewing system for large work pieces
JP3570764B2 (ja) ロックミシン
JP2005224421A (ja) ミシンにおける送り装置
KR910001328Y1 (ko) 자수기 및 스팽글 (Spangle) 봉착장치
KR101797452B1 (ko) 동심 구조에 의하여 선택적 봉착이 가능한 장식사 또는 리본 봉착기
JPS594153B2 (ja) ボタンの根巻きを行なう方法および装置
JPH02182289A (ja) ミシン
JP2002355464A (ja) ミシンの自動糸調子装置
JP2000271367A (ja) ボタン孔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