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1775A - 타이어 상태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 및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타이어 상태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 및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1775A
KR20120051775A KR1020127009389A KR20127009389A KR20120051775A KR 20120051775 A KR20120051775 A KR 20120051775A KR 1020127009389 A KR1020127009389 A KR 1020127009389A KR 20127009389 A KR20127009389 A KR 20127009389A KR 20120051775 A KR20120051775 A KR 20120051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housing
hole
transmitte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9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0815B1 (ko
Inventor
다이스케 카네나리
Original Assignee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51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1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0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0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08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transmitting the signals by non-mechanical means from the wheel or tyre to a vehicle body mounted rece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91Constructional details of means for attaching the control device
    • B60C23/0494Valve stem attachments positioned inside the tyre chamb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7/00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tyre pressure or the pressure in other inflated bo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은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감시부를 포함한다. 송신 장치는, 타이어와 림으로 둘러싸인 타이어 공동(空洞) 영역에 채워진 가스의 상태를 타이어 정보로서 검출하는 센서, 검출된 타이어 정보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송신기, 및 센서와 송신기를 둘러싸는 벽과, 벽에 의하여 타이어 공동 영역으로부터 분리된 내부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우징에는 벽을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 구멍이 구비되어 있다. 관통 구멍은, 부재의 폐색(閉塞)에 의하여 타이어 공동 영역과 하우징 내의 내부 공간 사이에서 연통(連通)되어 있지 않은 비연통(非連通) 관통 구멍과, 타이어 공동 영역과 하우징 내의 내부 공간 사이에서 연통되어 있는 연통 관통 구멍을 포함한다. 비연통 관통 구멍은, 부재가 제거될 때 타이어 공동 영역과 하우징 내의 내부 공간 사이에서 연통되게 만들어진다. 수신 장치는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타이어 정보를 수신한다. 감시부는 타이어 정보에 기초하여 타이어 이상이 발생하였는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알린다.

Description

타이어 상태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와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TRANSMISSION DEVICE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TIRE CONDITION AND TIR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타이어 상태에 관한 타이어 정보를 송신하고 타이어 공동(空洞) 영역에 제공된 송신 장치 및 타이어 이상이 발생하였는지를 판정하는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에 관련된다.
종래로부터, 차량에 장착된 타이어의 공기압의 점검과 관리는 타이어 내구성의 향상, 내마모성의 향상, 연료 절약의 향상 또는 승차감의 향상 그리고 조종 성능의 향상을 위하여 요망된다. 그러한 목적을 위하여, 타이어 공기압 감시를 위한 다양한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휠(wheel)에 장착된 타이어의 공기압에 관한 정보가 검출되고, 그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장치가 각 휠의 타이어 공동 영역 내에 제공되고, 그리고 각 타이어의 공기압의 정보가 타이어의 공기압을 감시하도록 송신 장치로부터 얻어진다.
반면에, 타이어가 바람이 빠졌을 때, 타이어와 림 사이에 위치하는 타이어 공동 영역 내에 주입되는 펑크 수리제가 자주 사용되고 있다. 펑크 수리제는 액체이기 때문에, 수리제가 타이어 공동 영역 내로 주입될 때, 수리제는 타이어 공동 영역을 마주하는 타이어 내부 표면뿐만 아니라 타이어 공동 영역에 제공된 송신 장치에도 들러붙는다. 경우에 따라서는, 수리제가 공기압의 측정에 영향을 미치도록, 송신 장치에 형성된 개구(開口)부를 막도록 고화(固化)한다.
이 문제를 처리하기 위하여, 검출용 연통부(連通部)를 통한 이물질의 진입을 방지하는 것에 의하여 정상 검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휠 상태 검출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8-62730).
구체적으로 말하면, 휠 상태 검출 장치의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밸브에는 하우징에 형성된 연통 구멍의 개폐를 위한 연통부 개폐 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펑크 수리 시에, 연통 구멍을 통한 검출 공간 내에 펑크 수리제의 진입은 방지되어 있다. 이 연통부 개폐 기구는 뚜껑체와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기계적인 몸체들로 구성되어 있고, 휠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하여 연통 구멍을 자동적으로 개폐한다
나아가, 타이어 펑크 수리제를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펑크난 타이어가 고쳐진 후에, 타이어 압력이 떨어지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타이어 압력 감시 시스템과 타이어 압력 센서 유닛이 제안되어 있다(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7-196834).
구체적으로 말하면, 타이어 압력 감시 시스템은 차량의 각 타이어에 제공되어 있다. 그리고 타이어 압력 감시 시스템에는 타이어 압력 센서와 송신기를 가지는 센서 유닛, 센서 유닛으로부터 전파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장치, 및 각 타이어의 공기압이 역치(
Figure pct00001
)와 같거나 더 낮아질 때, 알람을 주기 위한 제어ECU가 구비되어 있다. 시스템에는 각 타이어의 펑크를 판정하기 위한 펑크 판정 수단과, 타이어가 펑크 난 것이 판정된 후에 펑크 수리제를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펑크 난 타이어가 수리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펑크 수리제 사용 판정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펑크 난 타이어가 펑크 수리제를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수리된 것이 판정되었을 때, 설령 공기압 센서로부터의 타이어 압력값이 정상값일지라도 제어 ECU는 알람을 계속한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8-62730에 기술된 장치의 연통부 개폐 기구는 뚜껑체와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기계적인 몸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장치 자체가 복잡하고 비싸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7-196834에 기술된 시스템과 유닛에 있어서, 펑크 수리제를 사용하는 것에 의한 타이어의 수리 후에 측정된 타이어 압력에 관한 정보가 옳은지 여부가 확실하지 않다. 그러므로, 펑크 수리 후에 타이어 이상이 발생하였는지를 판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8-62730 특허문헌 2 :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7-196834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펑크 수리제를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타이어 펑크를 수리한 후에도, 타이어 압력 정보와 같은 타이어 정보를 적절하게 검출하고 송신할 수 있는 송신 장치와, 타이어 이상이 발생하였는지를 판정하기 위한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첫 번째 관점에 의하면, 타이어의 상태에 관한 타이어 정보를 송신하고 타이어 공동 영역에 제공된 송신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장치는,
타이어와 림으로 둘러싸인 타이어 공동 영역에 채워진 가스의 상태를 타이어 정보로서 검출하는 센서와,
검출된 타이어 정보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송신기와,
센서와 송신기를 둘러싸는 벽과, 벽에 의하여 타이어 공동 영역으로부터 분리된 내부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을 포함한다.
하우징에는 벽을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 구멍이 구비되어 있다. 관통 구멍은 부재의 폐색(閉塞)에 의하여 타이어 공동 영역과 하우징 내의 내부 공간 사이에서 연통되어 있지 않은 비연통(非連通) 관통 구멍과, 타이어 공동 영역과 하우징 내의 내부 공간 사이에서 연통되어 있는 연통 관통 구멍을 포함한다. 비연통 관통 구멍은 부재가 제거될 때 타이어 공동 영역과 하우징 내의 내부 공간 사이에서 연통되게 만들어진다.
본 발명의 두 번째 관점에 의하면, 타이어의 상태에 관한 타이어 정보를 송신하고 타이어 공동 영역에 제공된 송신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장치는,
타이어와 림으로 둘러싸인 타이어 공동 영역에 채워진 가스의 상태를 타이어 정보로서 검출하는 센서와,
검출된 타이어 정보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송신기와,
센서와 송신기를 둘러싸는 벽과, 벽에 의하여 타이어 공동 영역으로부터 분리된 내부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을 포함한다.
하우징에는 내부 공간과 타이어 공동 영역을 연결하기 위한 하우징의 벽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이 구비되어 있고, 관통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고, 수단은 하우징의 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기와, 돌기로부터 하우징의 벽의 반대측 상에 돌출부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박육부(薄肉部) 둘레의 부분보다 더 작은 벽 두께를 가지는 박육부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새로운 관통 구멍이 돌기를 꺾어내는 것에 의하여 박육부의 위치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세 번째 관점에 의하면,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감시부를 포함하는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다.
송신 장치는,
타이어와 림으로 둘러싸인 타이어 공동 영역에 채워진 가스의 상태를 타이어 정보로서 검출하는 센서와,
검출된 타이어 정보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송신기와,
센서와 송신기를 둘러싸는 벽과, 벽에 의하여 타이어 공동 영역으로부터 분리된 내부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을 포함한다.
하우징에는 벽을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 구멍이 구비되어 있다.
관통 구멍은 부재의 폐색에 의하여 타이어 공동 영역과 하우징 내의 내부 공간 사이에서 연통되어 있지 않은 비연통 관통 구멍과, 타이어 공동 영역과 하우징 내의 내부 공간 사이에서 연통되어 있는 연통 관통 구멍을 포함한다. 비연통 관통 구멍은 부재가 제거될 때 타이어 공동 영역과 하우징 내의 내부 공간 사이에서 연통되게 만들어진다.
수신 장치는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타이어 정보를 수신한다. 감시부는 타이어 정보에 기초하여 타이어 이상이 발생하였는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알린다.
본 발명의 네 번째 관점에 의하면,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감시부를 포함하는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다.
송신 장치는,
타이어와 림으로 둘러싸인 타이어 공동 영역에 채워진 가스의 상태를 타이어 정보로서 검출하는 센서와,
검출된 타이어 정보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송신기와,
센서와 송신기를 둘러싸는 벽과, 벽에 의하여 타이어 공동 영역으로부터 분리된 내부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을 포함한다.
하우징에는 내부 공간과 타이어 공동 영역을 연결하기 위한 하우징의 벽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이 구비되어 있고, 관통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다. 수단은 하우징의 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기와, 돌기로부터 하우징의 벽의 반대측 상에 돌출부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박육부 둘레의 부분보다 더 작은 벽 두께를 가지는 박육부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새로운 관통 구멍이 돌기를 꺾어내는 것에 의하여 박육부의 위치에 형성된다.
수신 장치는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타이어 정보를 수신한다. 감시부는 타이어 정보에 기초하여 타이어 이상이 발생하였는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알린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펑크 수리제를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타이어 펑크를 수리한 후에도, 타이어 압력 정보와 같은 타이어 정보를 적절하게 검출하고 송신할 수 있는 송신 장치와, 타이어 이상이 발생하였는지를 판정하기 위한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의 제1 실시예인 타이어 압력 감시 시스템의 전체 개요도이다.
도 2는 타이어 공동 영역 내에 도 1에 도시된 송신 장치를 고정시키는 방법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송신 장치가 타이어 밸브와 통합된 전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화살표 A-A의 방향을 따라 취해진 송신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송신 장치의 회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감시 장치의 회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송신 장치와 다른 송신 장치의 또 다른 형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송신 장치에 사용되는, 도 4에 도시된 관통 구멍을 막는 부재와 다른 부재의 또 다른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송신 장치에 사용되는 관통 구멍을 막는 부재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송신 장치에 사용되는 관통 구멍을 막는 부재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a와 도 11b는 송신 장치에 사용되는 관통 구멍을 막는 부재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a와 도 12b는 송신 장치에서 관통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기구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송신 장치와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은 아래에서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의 실시예인 타이어 압력 감시 시스템(10)의 전체 개요도이다.
(제1 실시예 : 타이어 압력 감시 시스템의 개요)
타이어 압력 감시 시스템(이하 '시스템'이라고 한다)(10)은 차량(12) 상에 장착된다. 시스템(10)은 차량(12)의 각각의 휠의 타이어(14a, 14b, 14c, 14d) 내의 각각의 타이어 공동 영역 내에 제공되어 있는 공기압 정보 송신 장치(이하 '송신 장치'라고 한다)(16a, 16b, 16c, 16d)와 감시 장치(18)를 포함한다.
모든 송신 장치(16a, 16b, 16c, 16d)는 타이어 정보로서 타이어와 림으로 둘러싸인 타이어 공동 영역 내에 채워진 공기의 압력에 관한 정보를 검출하고, 타이어 정보를 감시 장치(18)로 무선으로 송신한다. 이하, 모든 송신 장치(16a, 16b, 16c, 16d)를 한번에 설명하기 위하여, 송신 장치(16a, 16b, 16c, 16d)를 총괄하여 송신 장치(16)라고 한다.
(제1 실시예 : 송신 장치의 구성)
도 2는 타이어 공동 영역 내에 송신 장치(16)를 고정시키기 위한 방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송신 장치(16)가 타이어 밸브(20)와 통합된 전체 장치의 사시도이다.
송신 장치(16)는 타이어 공동 영역의 일측 상에서 연장되는 타이어 밸브(20)의 단부(端部)에 제공되어 있고, 타이어 밸브(20)를 림(19)에 기계적으로 고정시키는 것에 의하여 타이어 공동 영역 내에 고정 배치되어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A라인을 따른 송신 장치(16)의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장치(16)는 하우징(22)과, 하우징(22)에 제공된 회로(24)를 포함한다. 하우징(22)은 회로(24)를 둘러싸는 벽과 벽에 의하여 타이어 공동 영역으로부터 분리된 내부 공간(38)을 포함한다. 회로(24)는 기판(26)과, 기판(26)에 제공된 센서 유닛(28), 송신기(30), 처리 유닛(32), 전원 공급부(34), 및 안테나(40)(도 5 참조)를 포함한다.
도 5는 송신 장치(16)의 회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센서 유닛(28)은 공기압 센서(28a)와 A/D 변환기(28b)를 포함한다. 공기압 센서(28a)는 하우징(22) 내의 내부 공간(38) 내의 공기압을 감지하고, 압력 신호를 출력한다. 하우징(22) 내의 내부 공간(38)은, 하우징(22)을 관통하는 6개의 관통 구멍(36) 중 1개의 관통 구멍(36)을 통하여 타이어 공동 영역 내의 공간과 연통한다. 남은 5개의 관통 구멍(36)은 비연통 관통 구멍이 되도록 부재(37)로 막혀있다. 도 4에서의 단면도에 있어서, 관통 구멍(36a, 36b, 36c)이 도시되어 있다. 관통 구멍(36a, 36b, 36c) 중에서, 관통 구멍(36a, 36b)은 비연통 관통 구멍이 되도록 부재(37)로 막혀있고, 관통 구멍(36c)은 내부 공간(38)과 타이어 공동 영역을 연결한다. 6개의 관통 구멍은 총괄하여 관통 구멍(36)이라고 한다.
A/D 변환기(28b)는 공기압 센서(28a)로부터 출력한 압력 신호의 디지털 변환을 수행하고, 압력 데이터를 출력한다.
처리 유닛(32)은 중앙 처리부(32a)와 기억부(32b)를 포함한다. 중앙 처리부(32a)는 기억부(32b)의 반도체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작동한다. 중앙 처리부(32a)가 전원이 넣어지고 구동될 때, 센서 유닛(28)으로부터 보내지고 공기압에 관한 정보인 압력 데이터가 송신기(30)를 통하여 미리 정하여진 시간 간격으로, 예를 들어 5분마다, 감시 장치(18)로 송신되도록 제어를 수행한다. 송신 장치(16)에 고유한 식별 정보는 기억부(32b)에 사전에 저장되어 있고, 중앙 처리부(32a)는 압력 데이터와 함께 식별 정보가 감시 장치(18)로 송신되도록 제어를 수행한다.
기억부(32b)는 중앙 처리부(32a)의 작동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ROM과, EEPROM과 같은 재기록할 수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송신 장치(16)에 고유한 식별 정보는 기억부(32b) 내의 기록할 수 없는 영역에 저장되어 있다.
송신기(30)는 발진 회로(oscillation circuit, 30a), 변조 회로(modulation circuit, 30b) 및 증폭 회로(amplifier circuit, 30c)를 포함한다.
발진 회로(30a)는 반송파 신호, 예를 들어, 315MHz 주파수대에 속해 있는 RF 신호를 발생시킨다.
변조 신호(30b)는 반송파 신호를 중앙 처리부(32a)로부터 보내진 압력 테이터와 송신 장치(16)에 고유한 식별 정보를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송신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변조한다. 변조 방법으로서는, 진폭 편이 변조(ASK), 주파수 변조(FM), 주파수 편이 변조(FSK), 위상 변조(PM), 및 위상 편이 변조(PSK)가 사용될 수 있다.
증폭 회로(30c)는 변조 회로(30b)에 의하여 발생한 송신 신호를 증폭하고, 안테나(40)를 통하여 감시 장치(18)로 송신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한다.
2차 배터리는, 예를 들어, 센서 유닛(28), 송신기(30) 및 처리 유닛(32)에 전력을 거의 영구적으로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34)로서 사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의 벽을 관통하는 6개의 관통 구멍(36)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24)를 덮는 하우징(22)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36)으로서, 3개의 관통 구멍(36a, 36b, 36c)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관통 구멍(36a, 36b, 36c) 중에서, 관통 구멍(36a, 36b)은 부재(37)로 막혀 있다. 다시 말하면, 2개의 관통 구멍(36a, 36b)을 통하여, 타이어 공동 영역과 하우징(22) 내의 내부 공간(38)은 관통 구멍(36) 내에 계지(係止, 서로 걸려 고정되는 것)된 부재(37)에 의하여 서로 분리되어 있다. 부재(37)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하나의 관통 구멍(36c)을 통하여, 타이어 공동 영역과 하우징(22) 내의 내부 공간(38)은 서로 연통한다. 부재(37)는 관통 구멍(36)의 구멍 지름과 실질적으로 같은 지름을 가지는 원주부(圓柱部)를 가지고, 원주부와 관통 구멍(36)의 내주면 사이의 마찰의 수단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복수의 관통 구멍(36)의 일부를 비연통 관통 구멍(36)으로 만들기 위하여 복수의 관통 구멍(36)의 일부에 부재(37)를 제공하는 목적은, 연통 관통 구멍(36)이 펑크 수리제로 막혔을 때, 비연통 관통 구멍에 제공된 부재(37)를 제거하는 것에 의하여 관통 구멍(36)을 새롭게 설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드는 것이다. 부재(37)가 구비된 관통 구멍(36)의 수와, 부재(37)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관통 구멍(36)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펑크 수리제가 내부 공간(38)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재(37)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관통 구멍(36)의 수는 바람직하게는 하나이다.
하우징(22)의 표면 내의 관통 구멍(36)의 개구부의 개구 면적은 바람직하게는 0.4mm2이거나 더 작다. 이것은, 설령 펑크 수리제가 개구부에 들러붙을지라도, 펑크 수리제가 표면 장력에 의하여 관통 구멍(36)에 들어가지 않고, 개구부에 부착된 펑크 수리제는 수리제가 고화하기 전에 타이어의 롤링(rolling)에 의하여 제거되기 매우 쉽기 때문이다.
관통 구멍(36)의 각각의 개구부의 개구 면적이 같을 필요는 없다. 개구부의 배치는 개구부가 두 개의 평행한 열로 배치되는 도 3에서의 그것에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배치도 될 수 있다.
비록 실시예에서 송신 장치(16)가 타이어 공동 영역 내에 채워진 공기의 압력을 타이어의 상태로서 검출하지만, 검출을 위한 대상은 공기압 대신에 타이어 공동 영역 내의 공기의 온도일 수 있다.
나아가, 송신 장치(16)는 타이어 밸브(20)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타이어 공동 영역을 마주하는 타이어의 내부 표면 또는, 타이어 공동 영역을 마주하는 림(19)의 표면에 직접 고정될 수 있다.
(감시 장치의 구성)
도 6은 감시 장치(18)의 회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감시 장치(18)는 예를 들어, 차량(12)의 운전석의 위치의 앞에 설치되고, 운전자에게 공기압에 관한 정보를 알린다. 감시 장치(18)는 안테나(52), 수신부(54), 수신 버퍼(56), 중앙 처리부(58), 기억부(60), 조작부(62), 스위치(64), 표시 제어부(66), 표시부(68), 및 전원 공급부(70)를 포함한다.
안테나(52)의 주파수는 송신 장치(16)의 송신 주파수와 맞추어지고, 안테나(52)는 수신부(54)에 연결되어 있다.
수신부(54)는 송신 장치(16)로부터 보내지고 미리 결정된 주파수의 송신 신호를 수신하고, 압력 데이터와 식별 정보의 데이터를 꺼내기 위하여 신호를 복조한다. 데이터의 이 조각들은 수신 버퍼(56)에 출력된다.
수신 버퍼(56)는 수신부(54)로부터 출력한 압력 데이터와 식별 정보의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저장된 압력 데이터와 식별 정보의 데이터는 중앙 처리부(58)의 지시에 따라, 중앙 처리부(58)에 출력된다.
중앙 처리부(58)는 주로 CPU로 구성되어 있고, 기억부(6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작동한다. 중앙 처리부(58)는 수신된 압력 데이터와 식별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식별 정보의 각 조각에 대한 타이어(14a~14d)의 각각의 공기압을 감시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중앙 처리부(58)는 압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타이어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알린다. 타이어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의 판정은, 예를 들어 타이어 펑크 난 것을 보여주도록 공기압이 이상하게 낮은 레벨로 떨어지거나, 또는 단기간에 급격하게 떨어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다.
중앙 처리부(58)는 판정 결과를 표시 제어부(66)에 출력하고, 표시 제어부(66)를 통하여 판정 결과를 표시부(68)가 출력하게 한다.
게다가, 중앙 처리부(58)는 조작부(62)로부터의 정보와 스위치(64)로부터의 정보에 따라 송신 장치(16)와의 통신 방법과 같은 것을 초기화한다. 나아가, 중앙 처리부(58)는 조작부(62)로부터의 정보에 따라, 타이어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기억부(60)는 중앙 처리부(58)의 CPU의 작동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ROM과, EEPROM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송신 장치(16)와의 통신 방법의 테이블은 생산 중에 기억부(60)에 저장된다.
송신 장치(16)와 감시 장치(18)는 초기 단계에서 상술한 통신 방법으로 서로 통신한다. 통신 방법 테이블은 송신 장치(16)에 고유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통신 프로토콜(protocol), 비트 전송률, 및 데이터 포맷과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이 조각 정보들의 설정은 조작부(62)로부터 입력의 수단에 의하여 좀더 자유롭게 바뀔 수 있다.
조작부(62)는 키보드와 같은 입력 장치를 포함하고, 다양한 종류의 정보와 조건을 입력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스위치(64)는 초기화의 시작을 중앙 처리부(58)에 지시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표시 제어부(66)는 중앙 처리부(58)로부터의 판정 결과에 따라, 타이어의 장착 위치에 대응하는 타이어 압력을 표시하도록 표시부(68)를 제어한다. 동시에, 표시 제어부(66)는 표시부(68)가, 예를 들어, 타이어가 펑크 났다고 하는 판정 결과 또한 표시하게 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전원 공급부(70)는 차량(12)에 장착된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감시 장치(18)의 각각의 부분에 적당한 전압으로 제어하고, 공급한다.
송신 장치(16)와 감시 장치(18)는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22)의 벽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36)의 일부는 부재(37)에 의하여 막힌 비연통 관통 구멍이다. 설령, 연통 관통 구멍(36c)이 펑크 수리제에 의하여 막힐지라도, 하나의 비연통 관통 구멍에 제공된 부재(37)를 제거하는 것에 의하여 관통 구멍(36a) 또는 관통 구멍(36b)을 연통 관통 구멍으로 만들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변경)
도 7은 송신 장치(16)의 변경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의 예에 있어서, 4개의 관통 구멍(36)이 하우징(22)에 제공되어 있다. 3개의 관통 구멍(36)의 개구부는 면(22a) 상에 형성되어 있고, 1개의 관통 구멍(36)의 개구부는 면(22a)으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향하는 측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면(22a) 상에 형성된 개구부를 가지는 3개의 관통 구멍(36) 중에서 2개의 관통 구멍(36)은 비연통 관통 구멍이 되도록 부재(37)로 막혀있다. 남은 1개의 관통 구멍(36)(도면에서 면(22a) 상의 왼쪽 구멍)은 열려있고, 내부 공간(38)과 타이어 공동 영역은 이 관통 구멍(36)을 통하여 서로 연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22)은 타이어 공동 영역에서의 서로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향하는 복수의 면을 가지고 있고, 타이어 공동 영역을 마주하는 복수의 관통 구멍(36) 개구부는 하우징(22)의 복수의 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설령 펑크 수리제가 일면(一面) 상의 관통 구멍의 개구부에 들러붙을지라도, 펑크 수리제가 다른 면 상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둘러붙을 가능성은 매우 적어, 타이어 공동 영역과 하우징(22) 내의 내부 영역 사이의 연통을 유지할 수 있다. 1개 또는 이상의 관통 구멍(36)은 하우징(22)의 복수의 면의 각각에 형성되어 있고, 총 2개 또는 이상의 관통 구멍(36)은 하우징(22)에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관통 구멍(36)의 개구부는 타이어 공동 영역과 하우징(22) 내의 내부 공간(38) 사이의 연통을 유지하기 위하여 하우징(22)의 복수의 면의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러한 하우징에 있어서, 관통 구멍(36)의 각 면에 형성된 개구부의 일부는 부재(37)로 막힌 비연통 관통 구멍일 수 있다. 설령 관통 구멍(36)이 펑크 수리제로 막힐지라도, 같은 면에 형성된 다른 관통 구멍(36)을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하우징(22) 내의 내부 공간(38)과 타이어 공동 영역 사이의 연통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설령 펑크 수리제가 타이어 공동 영역 내에 주입될지라도, 송신 장치(16)는 올바른 타이어 정보를 적당하게 측정하고 송신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8은 송신 장치(16)에서 관통 구멍(36)을 가지는 하우징(22)을 막기 위한 부재(37)의 또 다른 실시예(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비연통 관통 구멍(36)에서 부재(37)를 탈부착하는 것을 돕기 위한 보조 손잡이를 가지는 부재(37)의 예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떼어낼 수 있는 부재(37)의 단부(머리부)는, 부재(37)가 관통 구멍(36)에 제공될 때, 비연통 관통 구멍의 개구부로부터 돌출한다. 부재(37)의 돌출한 단부(머리부)에는 부재(37)를 탈부착하는 것을 돕는 보조 손잡이(37a)가 구비되어 있다. 보조 손잡이(37a)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타입일 수 있다. 어떤 타입은, 림으로부터 타이어를 떼어낸 후, 스트링(string), 와이어(wire)와 같은 선재(線材), 또는 얇은 지그(jig)를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부재(37)를 관통 구멍(36)에서 쉽게 뽑아낼 수 있도록, 예를 들어, 갈고리 형상 또는 고리 형상일 수 있다. 부재(37)의 재료는 수지(resin) 또는 금속일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변경)
도 9는 제2 실시예에서의 부재(37)의 변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부재(37)는 수나사, 암나사는 비연통 관통 구멍(36)에 형성되어 있고, 부재(37)는 관통 구멍(36) 내에 나합(螺合, 나사를 끼워 맞추는 것)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된다. 관통 구멍(36)이 수나사로 막히는 것에 의하여, 기밀성(氣密性)이 증가한다. 나아가, 부재(37)는 스크류 드라이버와 같은 것으로 수나사를 뽑아내는 것에 의하여 제거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게다가, 수나사가 부재(37)로서 사용되어, 코스트를 줄인다.
도 10a는 제2 실시예에서의 부재(37)의 또 다른 변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부재(37)는 시트(sheet)같은 필름이다. 필름은 관통 구멍(36)의 개구부 둘레의 하우징(22)의 면 상에 붙어있다. 부재(37)는 점착 필름일 수 있다.
도 10b는 부재(37)의 또 다른 변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복수의 관통 구멍(36)은 하우징(22)에 형성되어 있다. 부재(37) 복수의 시트같은 필름이고, 복수의 필름은 복수의 관통 구멍(36)의 각각의 개구부 둘레의 하우징(22)의 면 상에 개별로 붙는다. 각 부재(37)에는, 바람직하게는 부재(37)의 제거를 권장하는 “펑크 수리 후 1장을 벗기시오”와 같은 지시가 인쇄되어 있다. 설령 연통 관통 구멍(36)이 펑크 수리제로 막히고, 비연통 상태로 될지라도, 작업자가 타이어를 림으로부터 떼어내고, 부재(37) 상의 지시를 보고, 부재(37)를 벗기는 것에 의하여 비연통 관통 구멍(36)을 연통 상태로 할 수 있다.
도 11a는 제2 실시예에서의 부재(37)의 또 다른 변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부재(37)는 하우징(22)의 면 상에서의 소정 영역 내에서 슬라이드하는 직사각형의 판 부재이다. 관통 구멍(36)은 타이어 공동 영역과 하우징(22) 내의 내부 공간(38) 사이의 연통을 차단하도록 판 부재로 막혀있다. 판 부재인 부재(37)(도면에서 굵은 선으로 도시된 부재)는 홈부(39)에 계합(係合, 걸어 맞춤)되어 있다. 홈부(39)는 부재(37)의 폭 방향에서의 양 측부에 대응하여 하우징(22)의 표면 상에 형성되어 있고, 도면에서 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설령 관통 구멍(36)이 펑크 수리제로 막히고, 비연통 상태로 될지라도, 타이어를 림으로부터 떼어내고 부재(37)를 슬라이드하는 것에 의하여 쉽게 다른 비연통 관통 구멍(36)을 연통 상태로 할 수 있다.
도 11b는 제2 실시예에서의 부재(37)의 또 다른 변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부재(37)는 하우징(22)의 면의 소정 영역에서 슬라이드하는 링 형상의 판 부재이다. 관통 구멍(36)은 부재(37)의 링 형상에 대응하여 원형의 패턴으로 배치되어 있다. 관통 구멍(36)은 타이어 공동 영역과 하우징(22) 내의 내부 공간(38) 사이의 연통을 차단하도록 부재(37)로 막혀있다. 판 부재인 부재(37)는 링 형상의 둘레의 일부 상에 노치(notch)되어 있고, 노치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36)은 연통 상태에 있다.
부재(37)는 링 형상의 부재(37)의 외주부(外周部)와 내주부(內周部)에 대응하여 제공된 홈부(39)에 계합되고, 도면에서 원주(圓周) 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설령 관통 구멍(36)이 펑크 수리제로 막히고 비연통 상태로 될지라도, 작업자가 타이어를 림으로부터 떼어내고 링 형상의 원주 방향으로 부재(37)를 슬라이드할 수 있는 것에 의하여, 쉽게 비연통 관통 구멍(36) 중 하나를 연통 상태로 한다.
(제3 실시예)
도 12a와 도 12b는 송신 장치(16)에서의 관통 구멍(36)의 또 다른 실시예(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하우징(22)에는,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2) 내의 내부 공간(38)과 타이어 공동 영역의 사이를 연통하도록 하우징(22)의 벽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36)이 구비되어 있다. 게다가, 하우징(22)은, 하우징(22)의 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기(80)와, 돌기(80)로부터 하우징(22)의 벽의 반대측(내부 공간(38)의 측)에 돌기(8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오목부(recessed portion, 82)를 가진다. 오목부(82)의 위치에서의 하우징(22)의 벽부는, 그들 둘레의 부분보다 더 작은 벽 두께를 가지는 박육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80)를 꺾어내는 것에 의하여, 관통 구멍(36)이 오목부(82)의 위치에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돌기(80)가 꺾어내질 때,돌기(80)의 바닥부와 오목부(82)의 바닥면 사이의 벽이 얇고, 하우징(22)의 벽의 박육부가 돌기(80)와 동시에 제거되는 것에 의하여,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 구멍(36)을 형성한다.
설령 연통 상태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36)이 펑크 수리제로 막히고 비연통 상태로 될지라도, 작업자가 타이어를 림으로부터 떼어내고 돌기(80)를 꺾어내는 것에 의하여, 쉽게 새로운 연통 관통 구멍(36)을 형성한다.
그러한 돌기(80)와 오목부(82)를 사용하는 것에 의한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기구는, 상술한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및 그들의 변경에 있어서의 송신 장치(16)에 부가될 수 있다.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그들의 변경, 및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모든 관통 구멍(36)의 개구부 둘레의 영역은 바람직하게 발수면(water-repellent face)이다. 설령 펑크 수리제가 발수면 상에 흩뿌려질지라도, 흩뿌려진 펑크 수리제의 액적(液滴)이 발수면으로부터 쉽게 반발되기 때문에, 펑크 수리제가 관통 구멍(36)의 개구부에 들러붙고 고화할 가능성은 매우 적다. 발수면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실리콘계 수지, 플루오르계 수지, 유기실릴기 또는 플루오로알킬기를 그래프트(graft)하는 것에 의하여 얻어진 변성 수지, 또는 그와 유사한 것들이 이용된다. 관통 구멍(36)의 개구부 둘레의 영역에는 발수성을 발현하는 미세한 거침(asperity)이 구비될 수도 있다.
나아가, 관통 구멍(36)의 개구부의 개구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0.4mm2이거나 더 작다. 개구부의 개구 영역이 0.4mm2이거나 더 작을 때, 설령 펑크 수리제가 관통 구멍(36)의 개구부에 둘러붙을지라도, 표면 장력의 영향으로 인하여 펑크 수리제가 관통 구멍(36)에 들어갈 가능성이 매우 적다.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장치와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을 상세하게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장치와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여러 가지 방식으로 개선 또는 변경될 수 있다.
10 : 타이어 압력 감시 시스템
12 : 차량
14, 14a, 14b, 14c, 14d : 타이어
16, 16a, 16b, 16c, 16d : 공기압 정보 송신 장치
18 : 감시 장치
19 : 림
20 : 타이어 밸브
22 : 하우징
22a : 면
24 : 회로
26 : 기판
28 : 센서 유닛
28a : 공기압 센서
28b : A/D 변환기
30 : 송신기
30a : 발진 회로
30b : 변조 회로
30c : 증폭 회로
32 : 처리 유닛
32a : 중앙 처리부
32b : 기억부
34 : 전원 공급부
36, 36a, 36b, 36c, 36d : 관통 구멍
37 : 부재
37a : 보조 손잡이
39 : 홈부
40, 52 : 안테나
54 : 수신부
56 : 수신 버퍼
58 : 중앙 처리부
60 : 기억부
62 : 조작부
64 : 스위치
66 : 표시 제어부
68 : 표시부
70 : 전원 공급부
80 : 돌기
82 : 오목부

Claims (16)

  1. 타이어의 상태에 관한 타이어 정보를 송신하고 타이어 공동(空洞) 영역에 제공된 송신 장치이고,
    상기 타이어와 림으로 둘러싸인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에 채워진 가스의 상태를 상기 타이어 정보로서 검출하는 센서와,
    검출된 상기 타이어 정보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송신기와,
    상기 센서와 상기 송신기를 둘러싸는 벽과 상기 벽에 의하여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으로부터 분리된 내부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벽을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 구멍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관통 구멍은, 부재의 폐색(閉塞)에 의하여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과 상기 하우징 내의 상기 내부 공간 사이에서 연통(連通)되어 있지 않은 비연통(非連通) 관통 구멍과,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과 상기 하우징 내의 상기 내부 공간 사이에서 연통되어 있는 연통 관통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비연통 관통 구멍은 상기 부재가 제거될 때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과 상기 하우징 내의 상기 내부 공간 사이에서 연통되게 만들어지는,
    송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의 단부(端部)는 상기 비연통 관통 구멍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돌출하는 단부에는 탈부착을 돕는 보조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는,
    송신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수나사이고, 암나사가 상기 비연통 관통 구멍에 형성되어 있는,
    송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필름이고, 상기 필름은 상기 비연통 관통 구멍의 개구(開口)부 둘레의 상기 하우징의 면 상에 붙어있는,
    송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복수의 비연통 관통 구멍이 구비되어 있고, 각각의 필름이 상기 복수의 비연통 관통 구멍의 각각의 개구부 둘레의 상기 하우징의 면 상에, 상기 부재로서, 개별로 붙어있는,
    송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페이스 상에서의 소정 영역에서 슬라이드하는 판 부재인,
    송신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기와, 상기 돌기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상기 벽의 반대측 상에 상기 돌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당해 박육부(薄肉部) 둘레의 부분보다 더 작은 벽 두께를 가지는 박육부를 포함하고 있고, 새로운 관통 구멍이 상기 돌기를 꺾어내는 것에 의하여 박육부의 위치에 형성되는,
    송신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에서의 서로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향하는 복수의 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을 마주하는 상기 관통 구멍의 개구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기 복수의 면 상에 형성되는,
    송신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하나의 연통 관통 구멍이 구비되어 있고, 남은 관통 구멍은 비연통인,
    송신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의 각 개구부의 개구 면적은 0.4mm2이거나 더 작은,
    송신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의 각 개구부 둘레의 영역은 발수면(water-repellent face)인,
    송신 장치.
  12. 타이어의 상태에 관한 타이어 정보를 송신하고 타이어 공동 영역 내에 제공된 송신 장치이고,
    상기 타이어와 림으로 둘러싸인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에 채워진 가스의 상태를 상기 타이어 정보로서 검출하는 센서와,
    검출된 상기 타이어 정보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송신기와,
    상기 센서와 상기 송신기를 둘러싸는 벽과 상기 벽에 의하여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으로부터 분리된 내부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내부 공간과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을 연결하기 위한 상기 하우징의 상기 벽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이 구비되어 있고, 관통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기와, 상기 돌기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상기 벽의 반대측 상에 상기 돌출부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당해 박육부 둘레의 부분보다 더 작은 벽 두께를 가지는 박육부를 포함하고 있고, 새로운 관통 구멍이 상기 돌기를 꺾어내는 것에 의하여 박육부의 위치에 형성되는,
    송신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의 개구부의 개구 면적은 0.4mm2이거나 더 작은,
    송신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의 개구부 둘레의 영역은 발수면인,
    송신 장치.
  15.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감시부를 포함하는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이고,
    상기 송신 장치는,
    상기 타이어와 림으로 둘러싸인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에 채워진 가스의 상태를 상기 타이어 정보로서 검출하는 센서와,
    검출된 상기 타이어 정보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송신기와,
    상기 센서와 상기 송신기를 둘러싸는 벽과, 상기 벽에 의하여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으로부터 분리된 내부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벽을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 구멍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관통 구멍은, 부재의 폐색에 의하여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과 상기 하우징 내의 상기 내부 공간 사이에서 연통되어 있지 않은 비연통 관통 구멍과,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과 상기 하우징 내의 상기 내부 공간 사이에서 연통되어 있는 연통 관통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비연통 관통 구멍은 상기 부재가 제거될 때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과 상기 하우징 내의 상기 내부 공간 사이에서 연통되게 만들어지고,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타이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감시부는 상기 타이어 정보에 기초하여 타이어 이상이 발생하였는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알리는,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
  16.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감시부를 포함하는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이고,
    상기 송신 장치는,
    상기 타이어와 림으로 둘러싸인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에 채워진 가스의 상태를 상기 타이어 정보로서 검출하는 센서와,
    검출된 상기 타이어 정보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송신기와,
    상기 센서와 상기 송신기를 둘러싸는 벽과, 상기 벽에 의하여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으로부터 분리된 내부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내부 공간과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을 연결하기 위한 상기 하우징의 상기 벽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이 구비되어 있고, 관통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기와, 상기 돌기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상기 벽의 반대측 상에 상기 돌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당해 박육부 둘레보다 더 작은 벽 두께를 가지는 박육부를 포함하고 있고, 새로운 관통 구멍이 상기 돌기를 꺾어내는 것에 의하여 박육부의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타이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감시부는 상기 타이어 정보에 기초하여 타이어 이상이 발생하였는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알리는,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
KR1020127009389A 2009-11-30 2010-11-24 타이어 상태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 및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 KR1013708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70924A JP4623231B1 (ja) 2009-11-30 2009-11-30 タイヤの状態に関する情報を送信する送信装置およびタイヤ状態監視システム
JPJP-P-2009-270924 2009-11-30
PCT/JP2010/006854 WO2011064991A1 (en) 2009-11-30 2010-11-24 Transmission device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tire condition and tir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1775A true KR20120051775A (ko) 2012-05-22
KR101370815B1 KR101370815B1 (ko) 2014-03-07

Family

ID=43530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9389A KR101370815B1 (ko) 2009-11-30 2010-11-24 타이어 상태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 및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789412B2 (ko)
JP (1) JP4623231B1 (ko)
KR (1) KR101370815B1 (ko)
CN (1) CN102612441B (ko)
DE (1) DE112010004606B4 (ko)
TW (1) TWI457249B (ko)
WO (1) WO20110649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23229B1 (ja) * 2009-11-16 2011-02-02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の状態に関する情報を送信する送信装置およびタイヤ状態監視システム
JP5327237B2 (ja) * 2011-01-18 2013-10-30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の状態に関する情報を送信する送信装置およびタイヤ状態監視システム
JP5982757B2 (ja) * 2011-09-02 2016-08-31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情報を取得装置、タイヤ状態監視システム及びパンク修理液の回収方法
US9452646B2 (en) * 2012-07-24 2016-09-27 The Yokohama Rubber Co., Ltd. Transmitting device, tir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and tire assembly
US20160200153A1 (en) * 2013-08-20 2016-07-14 Mobile Awareness, Llc Tire wellness system
US10857844B2 (en) * 2016-01-15 2020-12-08 Infineon Technologies Ag Tire parameter monitoring system
JP7328488B2 (ja) * 2018-07-09 2023-08-17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情報取得装置
CN109990809B (zh) * 2019-04-24 2023-11-14 南宁职业技术学院 货运资格考试备胎更换项目的智能监测装置及监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7905B2 (ja) 1998-09-07 2002-08-26 太平洋工業株式会社 タイヤ空気圧警報装置用送信機のケーシング構造
FR2787187B1 (fr) * 1998-12-11 2001-01-05 Sagem Module de mesure de pression de pneumatique
ATE309921T1 (de) * 2000-02-22 2005-12-15 Pirelli System und verfahren um die verformungen eines reifens in bewegung zu überwachen
US7331367B2 (en) * 2000-03-31 2008-02-19 Bridgestone Firestone North American Tire, Llc Monitoring device and patch assembly
EP2113402A3 (en) * 2000-07-26 2010-08-04 Bridgestone Americas Tire Operations, LLC Electronic tire management system
JP3898573B2 (ja) * 2001-06-28 2007-03-28 太平洋工業株式会社 タイヤ状態監視装置の送信機及びその製造方法
TWI250957B (en) * 2001-11-06 2006-03-11 Nang Kuang Pharmaceutical Co L Liquid container
ITMI20020344A1 (it) * 2002-02-20 2003-08-20 Polenghi Mario S R L Assieme valvola-dispositivo di misurazione della pressione di un pneumatico
CN100398348C (zh) * 2002-08-12 2008-07-02 株式会社普利司通 判断漏气保用轮胎的剩余寿命和寿命终点的方法和设备
US7028541B2 (en) * 2003-11-04 2006-04-18 Lear Corporation Tire pressure sensing component for detecting air pressure and related method
JP4121986B2 (ja) * 2004-07-21 2008-07-23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
JP4264040B2 (ja) * 2004-09-01 2009-05-13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
FR2884610B1 (fr) * 2005-04-18 2007-05-25 Siemens Vdo Automotive Sas Procede de protection contre les decharges electrostatiques pour un boitier electronique
TWI261552B (en) * 2005-05-19 2006-09-11 Lite On Automotive Corp Tire condition sensing apparatus and mounting method thereof
US7281421B2 (en) * 2005-06-03 2007-10-16 Temic Automotive Of North America, Inc. Package for a tire pressure sensor assembly
JP4816102B2 (ja) * 2006-01-26 2011-11-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タイヤ空気圧監視システム
CN2887115Y (zh) * 2006-02-22 2007-04-11 台湾扣具工业股份有限公司 调节式通气孔面扣
JP4197024B2 (ja) * 2006-09-06 2008-12-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輪状態検出装置および車輪状態監視装置
WO2008133314A1 (ja) * 2007-04-24 2008-11-06 Bridgestone Corporation センサモジュール
JP5380848B2 (ja) * 2008-02-04 2014-01-0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タイヤ空気圧監視装置
US8047068B2 (en) 2008-08-01 2011-11-01 Schrader Electronics, Inc. Snap-in tire valve
US20110043354A1 (en) * 2009-08-19 2011-02-24 Peter Ross Shepler Vehicle tire monitoring system
WO2011058743A1 (en) * 2009-11-16 2011-05-19 The Yokohama Rubber Co., Ltd. Transmission device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tire condition and tir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JP4623229B1 (ja) * 2009-11-16 2011-02-02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の状態に関する情報を送信する送信装置およびタイヤ状態監視システム
JP5327237B2 (ja) * 2011-01-18 2013-10-30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の状態に関する情報を送信する送信装置およびタイヤ状態監視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89412B2 (en) 2014-07-29
KR101370815B1 (ko) 2014-03-07
DE112010004606B4 (de) 2016-08-18
CN102612441B (zh) 2015-06-24
TW201139169A (en) 2011-11-16
TWI457249B (zh) 2014-10-21
WO2011064991A1 (en) 2011-06-03
US20120229266A1 (en) 2012-09-13
DE112010004606T5 (de) 2013-01-24
CN102612441A (zh) 2012-07-25
JP4623231B1 (ja) 2011-02-02
JP2011111087A (ja) 201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0815B1 (ko) 타이어 상태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 및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
US8707778B2 (en) Transmission device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tire condition and tir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CA2772250C (en) Transmission device for transmitting tire information and tire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KR101608313B1 (ko) 타이어 상태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 및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
US9409451B2 (en) Tire information obtaining device, tir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recovering puncture repair liquid
KR101658977B1 (ko) 타이어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 및 타이어 정보 감시 시스템
JP2012001038A (ja) タイヤ情報を送信する送信装置およびタイヤ情報監視システム
JP5521817B2 (ja) タイヤ情報を送信する送信装置およびタイヤ情報監視システム
JP2009126316A (ja) タイヤ情報検出装置及びバルブ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