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1581A - 진공펌핑장치가 구비된 액체용기 - Google Patents

진공펌핑장치가 구비된 액체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1581A
KR20120051581A KR1020110115025A KR20110115025A KR20120051581A KR 20120051581 A KR20120051581 A KR 20120051581A KR 1020110115025 A KR1020110115025 A KR 1020110115025A KR 20110115025 A KR20110115025 A KR 20110115025A KR 20120051581 A KR20120051581 A KR 20120051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guide
pumping device
vacuum pump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5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4086B1 (ko
Inventor
임세철
임방빈
Original Assignee
연희화학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희화학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연희화학공업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51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1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4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4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3/10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application of pressure to material
    • B65B3/12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application of pressure to material mechanically, e.g. by pistons or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1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in an at least partially rigid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1782Devices aiding filling of syringes in situ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03Filling medical containers such as ampoules, vials, syring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펌핑장치가 구비된 액체용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진공펌핑장치가 구비된 액체용기는, 하부가 대기에 노출될 수 있도록 개구되고, 상부에는 장착구멍이 형성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부에는 액체를 입출입시키는 실린더실, 및 상기 실린더실 하부에 연결형성되어 내부의 액체량에 따라 체적이 가변되는 용액저장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장착구멍에 상기 실린더실이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용기; 상기 실린더실에 결합 및 분리되어 상기 내부 용기로부터 액체를 흡입하고, 흡입된 액체를 외부로 유출시켜주는 시린지수단; 및 상기 실린더실에 장착되고, 상기 시린지수단이 상기 실린더실에 삽입되면 선(先) 밀폐되고, 삽입된 이후에 상기 시린지수단이 흡입하면 후(後) 개방되어 기밀을 유지한 상태에서 액체가 유출되는 탄성캡;을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핑장치가 구비된 액체용기를 사용함으로써, 탄성캡의 구조가 간단하여 쉽게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반복 사용하여도 밀폐력을 지속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판막의 유동에 의하여 시린지수단을 삽입하는 과정에서도 최소한의 공기마저 용액저장구의 충진실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용액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공펌핑장치가 구비된 액체용기{LOQUID CONTAINER WITH PUMPING DEVICE}
본 발명은 진공펌핑장치가 구비된 액체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회전 방식으로 액체가 충전된 용기로부터 진공펌핑장치를 탈장착할 수 있으며, 진공이 유지된 상태에서 필요한 만큼의 액체를 용이하게 덜어 쓸 수 있어 액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진공펌핑장치가 구비된 액체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 상태나 겔 상태의 화장품이나 세제의 경우, 쉽게 덜어서 쓸 수 있도록 스프레이 형태나 진공펌핑장치가 구비된 용기가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되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산소의 유입을 방지해야하는 용액의 경우, 진공의 펌핑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용액과 산소의 접촉을 최소화하면서 용액을 필요할 때마다 취출하고자 할 때 진공펌프가 구비된 용기에 용액을 구비한다. 이러한 종래의 진공펌핑장치가 한국등록특허 제10-875906호에 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875906호는 손잡이에 실린더와 피스톤을 구비하여 용기로부터 내용물을 덜어내고, 다시 피스톤을 이용하여 내용물을 필요한 곳으로 토출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특히 용기의 상부에 장착된 하우징캡과 하우징캡으로부터 탈장착되는 실린더는 서로 나사결합방식으로 이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진공펌핑장치가 구비된 액체용기의 경우, 실린더를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실린더를 적어도 1회 이상, 즉, 여러 번의 횟수로 회전을 시켜야 한다. 이는 액체용기를 사용할 때마다 반복해서 나사결합의 잠금상태를 조절해야 하기 때문에 시계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회전해야만 했고, 이로 인하여 사용에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용기의 목 부분을 개폐시키기 위한 탄성캡의 구성이 복잡하기 때문에 이를 제조하는데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탄성캡을 반복해서 개폐할 경우, 탄성력이 저하되어 시간이 경과할 수록 밀폐되는 정도가 낮아지면서 공기나 이물질이 유입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피스톤을 누르면서 내용물을 토출시키고자 할 경우, 피스톤과 실린더 간의 최대 정지마찰력이 피스톤과 실린더 간의 구동 마찰력보다 높기 때문에 실제 피스톤의 구동시키는 과정에서 피스톤을 강하게 누르게 된다. 따라서, 실린더 내부에 충진된 내용물, 특히 점도가 낮은 내용물이 너무 강한 압력으로 분출되기 때문에 필요한 양보다 많은 양의 내용물이 토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피스톤 구성을 간소화하여 제조가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사용기간에 상관없이 탄성캡이 외부공기를 차단하는 성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진공펌프를 삽입하는 과정에서도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진공펌프장치가 구비된 액체용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반회전 방식을 채용하여 용기로부터 시린지수단을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고, 외부공기의 유입을 방지하여 저장된 용액의 오염을 장기간 방지할 수 있는 진공펌핑장치가 구비된 액체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하부가 개폐조절에 따라 대기에 노출될 수 있도록 개구되고, 상부에는 장착구멍이 형성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부에는 액체를 입출입시키는 실린더실, 및 상기 실린더실 하부에 연결형성되어 내부의 액체량에 따라 체적이 가변되는 용액저장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장착구멍에 상기 실린더실이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리필 가능하도록 탈장착되게 설치되는 내부용기;
상기 실린더실에 결합 및 분리되어 상기 내부 용기로부터 액체를 흡입하고, 흡입된 액체를 외부로 유출시켜주는 시린지수단; 및
상기 실린더실에 장착되고, 상기 시린지수단이 상기 실린더실에 삽입되면 선(先) 밀폐되고, 삽입된 이후에 상기 시린지수단이 흡입하면 후(後) 개방되어 기밀을 유지한 상태에서 액체가 유출되는 탄성캡;을 포함하는 진공펌핑장치가 구비된 액체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린지수단은 상기 실린더실에 90° 내지 180°회전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장착구멍 측 공간 내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실 상단부에는 상기 돌기의 형상에 대응되는 돌기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기 돌기 및 상기 실린더실의 상기 돌기체결부 간의 결합에 의해 상기 실린더실이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실에는, 상기 실린더실 상단부로부터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절개형성되는 것으로, 하부 말단에 상기 시린지수단이 길이방향으로 튀어오르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부가 형성되는 회전가압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시린지수단의 외주면에는 상기 회전가압가이드의 안내를 받는 가이드 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린더 실에 복수개 형성되는 상기 돌기체결부는, 상기 걸림턱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회전가압가이드측으로 편심된 지점 상부에 위치하는 제1돌기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 복수개 연결형성되는 상기 돌기는, 상기 제1돌기체결부에 접하는 제1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1돌기는 상기 제1돌기체결부와 접하는 체결면 및 상기 하우징의 방사상 내측을 향하는 슬립면을 포함하고, 상기 슬립면은 상기 체결면 측으로 갈수록 상기 시린지수단과의 이격거리가 짧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린지수단은
관 형상의 실린더 본체의 외주면에 상기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실린더부;
상기 실린더부 내부에 장착되는 피스톤부; 및
상기 피스톤부와 상기 실린더부 사이에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피스톤부는, 상기 피스톤 가이드부를 따라 상하 이동하는 피스톤로드, 및 상기 피스톤로드의 하단부에 체결된 피스톤헤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린더부는,
상기 실린더 본체;
상기 실린더 본체의 일단부에 연결형성되며 상기 실린더 본체보다 직경이 작거나 같게 형성된 유출입관;
상기 실린더 본체 내부로 유입된 액체의 급격한 배출을 방지하도록 액체의 유압을 조절하는 것으로, 상기 실린더 본체의 상기 일단부에 체결된 유압조절밸브; 및
상기 실린더 본체의 외주면에 상기 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유압조절밸브는, 평판 형상의 탄성재질로 구비되고, 상기 유압조절밸브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원호형상으로 천공형성된 제1유출입구멍 및 상기 유압조절밸브의 중심에 진집형성된 제2유출입구멍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린더 본체의 일단부 측에는 상기 실린더부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격벽이 연결형성되고,
상기 제1유출입구멍은 상기 격벽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린더 본체의 내경 값은 상기 유출입관 내경 값의 1배 내지 10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스톤로드의 상단부에는 상기 피스톤로드보다 직경이 큰 파지구가 연결형성되되,
상기 파지구의 상하방향 길이는 15mm 내지 35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피스톤부의 상향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피스톤 가이드; 및
상기 피스톤부의 하부에 위치한 보조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스톤 가이드 및 상기 보조링부재 내에 상기 피스톤부가 삽입 설치되되,
상기 피스톤 가이드의 내경은, 상기 피스톤헤드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보조링부재 내에서 상하 슬라이딩 이동하는 상기 피스톤헤드의 외경은, 상기 보조링부재 하단부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스톤 가이드는,
피스톤 삽입공이 형성된 평판형의 플랜지; 및
상기 플랜지의 상기 피스톤 삽입공으로부터 수직 하향으로 연결형성되어 상기 피스톤부가 삽입되는 가이드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관에는 상기 가이드관의 내측으로 안내구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피스톤부의 외주면에는 피스톤 가이드홈이 상하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안내구가 상기 피스톤 가이드홈에 삽입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관의 하단부 및 상기 보조링 부재 사이에는 상기 보조링 부재를 밀폐시키는 고무링부재가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스톤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보조링부재를 밀폐시키는 고무링부재가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캡은 상기 시린지수단의 말단이 삽입되는 삽입본체, 및 상기 삽입본체의 바닥면을 관통하는 유로개폐구를 포함하되,
상기 유로개폐구는 상기 시린지수단에 의해 가압되어 개구되도록 슬릿이 절개 성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캡은 상기 시린지수단의 말단이 삽입되는 삽입본체, 및 상기 삽입본체의 바닥면을 관통하는 유로개폐구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개폐구는 상기 탄성캡의 바닥면으로부터 상향으로 경사지게 돌출형성된 판막, 및 상기 판막을 관통하며 상기 판막의 최상단에 형성된 절개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액저장구 측에 위치한 상기 실린더실의 하부에는 상기 탄성캡이 장착되는 탄성캡 안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캡 안착부의 바닥면에는 바닥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된 유로조절돌출구, 및 상기 탄성캡 안착부의 바닥면을 관통하는 배출관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출관의 상부에는 상기 삽입본체의 바닥면이 위치하고, 상기 유로조절돌출구는 상기 유로개폐구에 삽입되도록 상기 탄성캡과 상기 탄성캡 안착부가 결합하고,
상기 유로조절돌출구는 상기 판막과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린지수단을 반회전시키는 동작으로도 결합 분리가 가능하고, 시린지수단으로부터 토출되는 액체가 저속으로 토출되기 때문에 많은 양의 내용물이 필요이상으로 토출되거나 한꺼번에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소량씩 사용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탄성캡의 구조가 간단하여 쉽게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반복 사용하여도 밀폐력을 지속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판막의 유동에 의하여 시린지수단을 삽입하는 과정에서도 최소한의 공기마저 용액저장구의 충진실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용액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마감판을 체결 및 해체하는 것만으로도 내부 용기을 탈장착할 수 있어 리필이 용이하다. 이로 인하여 용액을 사용한 이후에 용기를 교체하는데 드는 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하우징 및 시린지 수단의 재활용이 가능하여 이를 제조하는데 걸리는 공정시간과 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펌핑장치가 구비된 액체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펌핑장치가 구비된 액체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에 따른 유로조절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캡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캡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에 따른 시린지수단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가압가이드와 가이드돌기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용기와 하우징의 결합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린지수단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용액을 담는 용기가 단순히 개구(開口)를 개폐하는 것만으로 토출과정을 조절하여 용기 내의 용액이 공기와 접촉하는 것과 달리, 용액을 외부로 토출시키기 전에는 공기와 접촉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진공펌핑장치가 구비된 액체용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펌핑장치가 구비된 액체용기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펌핑장치가 구비된 액체용기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핑장치가 구비된 액체용기는 크게 액체용기와 진공펌핑장치로 구분할 수 있는데, 액체용기로는 하우징(100)과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어 내용물에 따라 체적이 가변되는 내부용기(200)를 포함한다. 또한, 진공펌핑장치로는 내부용기(200)에 반회전 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되어 내용물을 덜어낼 수 있게 해주는 시린지수단(300)과, 시린지수단(300)과의 기밀유지를 위하여 내부용기(200)에 구비된 탄성캡(220)을 포함한다.
하우징(100) 상부에는 장착구멍(110)이 형성되고 하부는 개구되어 있는데, 하우징(100)의 개구된 위치로 내부용기(200)를 삽입한 뒤, 마감판(120)으로 마감하게 된다. 하우징(100)의 장착구멍(110) 내측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돌기가 내부용기(200)의 돌기체결부에 위치하게 되면서 내부용기(200)가 하우징(100) 내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마감판(120)이 장착된 상태에서의 하우징(100) 내부의 전체 높이를 내부용기(200) 전체높이와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돌기체결부와 돌기가 별도의 복잡한 구조로 체결되지 않아도 내부용기가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하방향 및 회전방향으로의 구동을 제한하여 하우징(100) 내에서 내부용기(20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돌기는 제1돌기(111a) 및 제2돌기(111b)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체결부는 제1돌기(111a)가 체결되는 제1돌기체결부(211a) 및 제2돌기(111b)가 체결되는 제2돌기체결부(211b)를 포함한다.
리필이 가능한 내부용기(200)는 크게 용액이 저장되는 용액저장구(230)와 시린지수단(300) 및 탄성캡(220)을 보관하는 실린더실(210)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실린더실(210) 내에는 용액저장구(230) 내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캡(220)을 장착한다. 용액저장구(230)는 용액을 저장되는 공간인 충진실(232)이 구비된다. 즉, 용액저장구(230) 내에 슬라이딩 마감판(231)이 삽입되는데, 용액저장구(230)의 상부면으로부터 슬라이딩 마감판(231)의 상부면에 이르는 구간에 용액이 저장될 수 있는 충진실(232)이 형성되는 것이다. 충진실(232)은 용액의 압력에 의해 체적을 유지하기 때문에 시린지수단(300)에 의해 충진실(232) 내의 용액이 토출되면 용액의 체적이 감소한 양만큼 발생하는 진공압에 의해 슬라이딩 마감판(231)이 상승하여 충진실(232) 내부 체적을 감소시킨다. 즉, 상기와 같이 슬라이딩 마감판(231)을 용액저장구(230)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시킴으로써, 내부용기(200) 전체의 상하 길이에는 변동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충진실(232)의 체적이 감소하게 되어도 내부용기(200)가 하우징(100) 내에서 위치가 고정되게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실린더실(210)의 내부에는 탄성캡 안착부(240)가 형성되고, 탄성캡 안착부(240)의 상부에 탄성캡(220)이 위치하게 된다. 탄성캡(220)은 용액저장구(230) 내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로, 시린지수단(300)의 피스톤부(330)를 작동시켜 토출작업을 진행하기 전에는 탄성캡(220)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용액이 외부로 배출될 때에만 용액이 공기에 접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기밀유지가 가능하도록 탄성캡(220)을 실리콘 또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시린지수단(300)은 크게 피스톤 역할의 피스톤부(330)와 실린더 역할의 실린더부(310) 및 체결부(320)로 분류할 수 있다. 피스톤부(330)는 피스톤로드(335)와 피스톤로드(335) 하부에 결합된 피스톤 헤드(333) 및 피스톤로드(335)의 구동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파지구(331)를 포함한다. 파지구(331)는 실린더부(310)에 삽입된 피스톤부(330)를 쉽게 잡아 당길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파지구(331)는 상하방향의 길이를 15mm 내지 35mm로 형성함으로써, 파지구(331)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즉, 파지구(331)의 상하방향 길이가 15mm미만인 경우, 파지구(331)를 쥐는 과정에서 손가락이 파지구(331)를 감싸기 위해서는 과다하게 꺾이기 때문에 손가락 관절에 무리가 간다. 또한, 파지구(331)의 상하방향 길이가 35mm를 초과하는 경우, 파지구(331)를 쥐는 과정에서 손가락이 거의 꺾이지 않고, 손가락을 어느 정도 꺾어서 파지구(331)를 잡게 되더라도 피스톤로드(335)를 이동시킬 수 있는 손가락의 파지력이 파지구(331)에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피스톤로드(335)의 위치를 조절할 수 없다. 따라서, 파지구(331)는 상하방향의 길이를 15mm 내지 35m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파지구(331)의 형상은 상하방향의 길이가 15mm 내지 35mm인 것이라면 그 형상을 링형상이나 원형, 사각 또는 삼각 판형상 등 여러 가지로 형성 가능하다.
또한, 피스톤부(330)의 하단부에는 피스톤 헤드(333)가 위치한다. 체결부(320)는 피스톤가이드(322)와 보조링부재(323)를 포함하는데, 피스톤가이드(322)는 평판형의 플랜지(322a)와 플랜지(322a)에 천공된 피스톤 삽입공(322h)으로 구비된다. 피스톤 삽입공(322h)으로 피스톤로드(335)가 삽입되는데, 여기서 피스톤로드(335)의 이동경로를 상하 슬라이딩 방향으로 제한하기 위하여 피스톤 삽입공(322h)으로부터 하향절곡되게 관형상의 가이드관(322b)이 형성된다. 피스톤 삽입공(322h), 즉 가이드관(322b) 상부에는 돌기 형상의 안내구(32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피스톤로드(335)에 안내구(321)에 대응되는 피스톤가이드홈(337)을 형성함으로써, 피스톤로드(335)가 보다 안정적으로 상하 슬라이딩 방향으로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피스톤부(330)의 피스톤 헤드(333)는 특히 보조링부재(323) 내에 한하여 상하 슬라이딩 구동되도록 그 구동범위가 제한되어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부(330) 하단부에 위치한 피스톤 헤드(333)의 외경은 가이드관(322b)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피스톤 헤드(333)가 가이드관(322b) 내에서는 슬라이딩 구동할 수 없고 보조링부재(323) 내에서만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보조링부재(323)는 가이드관(322b)의 하부에 위치하는데, 피스톤 헤드(333)는 보조링부재(323)의 하단부의 내경 자체를 피스톤 헤드보다 좁게 형성함으로써 피스톤 헤드(333)의 하부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도 있다.
실린더부(310)는 실린더본체(315)와 유출입관(312)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유출입관(312)은 탄성캡(220)에 삽입되어 탄성캡(220)이 개방될 때 용액저장구(230)와 유체 연통된다. 실린더본체(315)의 외부면에 형성된 가이드돌기(311)는 전술한 회전가압가이드(212)와 체결함으로써 시린지수단(300)을 내부용기(200)에 체결시킬 수 있다. 실린더부(310)와 체결부(320)는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해 고정결합될 수 있는데, 일례로 체결부(320)의 플랜지(322a)에 대응되는 평판을 실린더부(310)에도 형성한 뒤 이를 서로 접착시키게 되면, 실린더부(310)와 체결부(320)가 하나의 실린더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체결부(320)를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은 실린더에 피스톤을 바로 설치할 때보다 피스톤 헤드(333)의 이동 범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밀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에 따른 유압조절밸브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부(310)의 내부에는 유입된 내용물이 너무 강한 압력이나 속도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조절밸브(313)를 실린더 본체(315)에 장착한다. 유압조절밸브(313)는 실리콘 또는 고무와 같이 자체 탄성변형이 쉽게 이루어지는 재질로 제작된다. 그리고 전체적인 형태는 실린더실(210)의 내부단면, 바람직하기로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형 형태로 제작한다. 유압조절밸브(313)는 원형 형상에 복수의 유출입구멍이 형성된다. 이때의 유출입구멍은 가상의 원호상 및 유압조절밸브(313)의 중심에 형성된다. 즉, 복수개의 유출입구멍 중 제1유출입구멍(313a)은 유압조절밸브(313)의 중심으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진 위치에 원호형상으로 천공 형성되고, 제2유출입구멍(313b)은 유압조절밸브(313)의 중심에 진집형성된다. 여기서 유압조절밸브(313)의 외주면 형상은 실린더부(310)의 내부 안쪽 형상과 접착하도록 제작함으로써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실린더 본체(315)의 일단부 측에는 상기 실린더부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게 격벽(315a)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유출입구멍(313a)이 격벽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유압조절밸브(313)를 형성하여 실린더 본체(315) 내로 내용물을 유입 및 유출하는 과정에서 유압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유압조절밸브(313)에 의해 내용물의 유입 및 유출을 아래와 같이 조절할 수 있다. 먼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헤드(333)를 상부로 이동하여 용액을 시린지수단(300) 내로 흡입시킬 경우, 유압조절밸브(313)가 용액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면서 격벽(315a)에 의해 막혀있던 제1유출입구멍(313a)이 개구되어 용액이 유출입구멍(313a, 313b)을 통해 원할하게 시린지수단 내로 유입된다. 이후에 용액을 시린지수단(300)에서 배출시키고자 할 때,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헤드(333)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눌러주면, 유압조절밸브(313)가 용액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면서 제1유출입구멍(313a)이 격벽(315a)에 의해 막히게 되고, 슬릿의 형상으로 절개되어 있는 제2유출입구멍(313b)으로만 용액이 배출된다. 유압조절밸브(313)의 중심에 형성된 제2유출입구멍(313b)은 일정 간격을 갖도록 천공하지 않고, 절개도구에 의해 단번에 절개하여 유압조절밸브(313)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었기 때문에 미사용시에는 닫혀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시린지수단(300) 내로 공기가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시린지수단(300) 내의 용액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피스톤헤드(333)로 압력을 가해야지만 제2유출입구멍(313b)이 개방되고, 개방될 때에도 틈이 좁게 형성되기 때문에 다량의 용액이 한꺼번에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캡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캡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캡(220, 2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가지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캡(220, 220')은 기본적으로 기밀유지가 가능하도록 실리콘 또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을 이용하여 용기형상으로 형성된다. 특히 탄성캡(220, 220')의 삽입본체(221, 221') 상부는 그 외주면은 실린더실(210)과 압착되어 기밀을 유지하고, 그 내주면은 시린지수단(300)의 실린더부(310)와 압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탄성캡(220, 220')의 삽입본체(221, 221') 내주면에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안내돌기(223, 223')를 더 형성한다. 안내돌기(223, 223')는 실린더부(310)의 하단이 탄성캡(220, 220')의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가압할 수 있게 안내함으로써, 유로개폐구(222, 222')에 균일하게 압력이 가해지도록 한다.
먼저,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캡(220)은, 유출입관(312)이 삽입되는 삽입본체(221)와, 삽입본체(221)의 바닥면에 형성된 유로개폐구(222)를 포함한다. 유로개폐구(222)는 삽입본체(221)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용액저장구(230) 내의 용액이 유로개폐구(222)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한다. 탄성캡(220)의 유로개폐구(222)는 판막(222a)과 절개구(222b)로 구분된다. 판막(222a)은 삽입본체(221)에 연결 형성되는 것으로 삽입본체(221)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되, 상부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형성된다. 절개구(222b)는 판막(222a)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용액이 배출되는 곳이다. 여기서 절개구(222b)는 특히 판막(222a)의 최상단에 절개된다.
탄성캡(220)은 탄성캡 안착부(240)에 안착되는데 탄성캡(220)에서 1차적으로 유로를 차단할 때 공기의 유입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탄성캡 안착부(240) 내에서 배출관(242)과 유로조절돌출구(244)의 형성위치를 고려한다. 유로조절돌출구(244)는 탄성캡 안착부(240)의 바닥면에 형성된 것으로 돌기와 같이 탄성캡 안착부(24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향 돌출형성된다. 또한 탄성캡 안착부(240) 바닥면을 관통하는 배출관(242)이 형성된다. 유로조절돌출구(244)는, 탄성캡 안착부(240)의 중심지점에 위치할 수 있는데, 특히 판막(222a)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판막(222a)과 유로조절돌출구(244)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시린지수단(300)이 피스톤 헤드(333)를 상부로 이동시켜 흡입을 진행할 때 용액이 보다 원활하게 시린지수단(300) 내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배출관(242)은 유로조절돌출구(244)로부터 방사상 외측에 형성될 수 있는데, 특히 삽입본체(221)의 바닥면이 배출관(242)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배출관(242)의 상부에 바로 절개구(222b)가 배치되지 않고, 밀폐된 삽입본체(221)의 바닥면이 배출관(242)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절개구(222b)가 개방되더라도 용액저장구(230)로부터 용액이 배출될 때 이외에는 용액저장구(230)와 항시 연통되는 배출관(242)으로 공기나 시린지수단(300) 내의 용액이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캡(220)의 구동 설명은 도 5를 예시로 들어 이후에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캡(220')은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린지수단(300)의 말단이 삽입되는 삽입본체(221'), 및 상기 삽입본체(221')의 바닥면을 관통하는 유로개폐구(222')를 포함하되,
상기 유로개폐구(221')는 상기 시린지수단(300)에 의해 가압을 받게 되면 개구되도록 슬릿형상으로 절개 성형될 수 있다. 슬릿 형상의 유로개폐구(222')는 시린지수단(300)의 하단부에 의해 가압을 받게 되면, 유로개폐구(222')가 벌어지면서 용액저장구(230)와 연통된다. 여기서 유로개폐구(222')는 일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평상시에는 내부용기(200)가 밀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실린지수단이 삽입되기 전에는 도 4c의 왼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본체(221')의 바닥면에 형성된 유로개폐구(222')가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내부 용기(200)의 용액저장구(230)가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시린지수단(300)이 삽입되면서 시린지수단(300)의 말단이 삽입본체(221')의 바닥면을 가압하게 되면 탄성의 바닥면의 면적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도 4c의 오른쪽에 도시된 삽입본체(221')의 바닥면과 같이 진집형성된 유로개폐구(222')의 중심부분이 개구되면서 시린지수단(300)의 유출입관(312) 내주면이 용액저장구(230)의 충진실(232)과 연통되어 충진실(232) 내의 내용물을 흡입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탄성캡(220, 220')은 실린더부(310) 및 실린더실(210)에 압착되어 기밀을 유지한 상태에서 시린지수단(300)의 삽입 또는 흡입동작에 의해서만 유로개폐구(222, 222')가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충진실(232) 내의 내용물이 공기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내용물이 오염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캡(220)의 절개구(222b)가 개폐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린지수단(300)을 실린더실(210)에 삽입하여 유출입관(312)이 탄성캡(220)의 삽입본체(221)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후,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 헤드(333)를 상부로 이동시키면, 진공압이 발생하면서 용액저장구(230) 내의 용액이 피스톤 헤드(333)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용액의 이동방향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막(222a)의 경사방향이 더 가파르게 되면서 절개구(222b)가 벌어지도록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탄성캡(220)이 개방되어 시린지수단(300)으로 용액이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탄성캡(220)은 반대방향의 유체 움직임에 대해서는 절개구(222b)가 폐쇄된다. 즉,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액이 시린지수단(300)에 잔류한 상태에서 피스톤 헤드(333)를 누르게 되면, 유체의 이동방향이 하부방향이 된다. 따라서 판막(222a)은 경사각이 낮아지면서 절개구(222b)가 폐쇄된다. 이때, 절개구(222b)의 절개면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지 않더라도, 유체가 용액저장구(230) 내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시린지수단(300) 내의 유체가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판막(222a) 자체가 하부방향으로 압력을 받기 때문에 판막(222a)이 유로조절돌출구(244)와 접촉하게 되면서 유체의 이동통로가 폐쇄되는 것이다. 여기서 유체는 시린지수단(300) 내의 용액(L)일 수도 있고, 시린지수단(300)을 실린더실(210)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실린더실(210)에 유입된 공기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탄성캡(220) 및 탄성캡 안착부(240)를 형성함으로써, 용액저장구(230) 내의 용액을 배출할 때 외에는 용액저장구(230)를 외부와 폐쇄하여 용액저장구(230) 내의 용액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여러가지 실시예에 따른 시린지수단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린지수단(300)은, 피스톤 헤드(333)가 보조링부재(323)와 얼마나 효과적으로 밀폐상태를 유지하느냐에 따라 용액저장구(230) 내의 용액을 일정한 속도로 배출할 수 있는 마찰력을 제공하느냐를 결정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린지수단(300)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 헤드(333) 자체를 탄성재질로 형성함으로써 피스톤 헤드(333) 자체가 보조링부재(323)와 긴밀하게 접촉상태를 유지하면서 상향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린지수단(300)들과 같이, 피스톤 헤드(333)는, 치수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 피스톤 로드와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PE 등의 재질로 제조할 수 있다. 즉, 도 6b, 및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링부재(334, 334')를 보조링부재(323)와 가이드관(322b)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하거나, 피스톤 헤드(333) 상부에 위치한 피스톤 로드(335)의 외주면에 설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보조링부재(323)와 피스톤부(330)가 기밀성을 유지한 상태에서 피스톤 헤드(333)를 이동시킴으로써 마찰력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피스톤 헤드(333)가 일정한 속도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찰력을 주기 때문에 시린지수단(300) 내의 내용물이 갑자기 외부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가압가이드와 가이드돌기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시린지수단(300)이 삽입되는 실린더실(210)은 시린지수단(300)을 단순히 삽입하여 보관할 수도 있지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실(210)에 회전가압가이드(212)를 형성함으로써 시린지수단(300)을 실린더실(210)에 고정하여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시린지수단(300)을 실린더실(210)에 고정하게 되면, 별도의 마개를 구비하지 않아도 장착구멍(110)을 덮을 수 있어 이물질이 내부용기(200) 및 하우징(100)으로 유입되거나 시린지수단(300)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시린지수단(300)이 내부용기(200)에 체결되기 때문에 시린지수단(300)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회전가압가이드(212)는 실린더실(210)의 상단부로부터 하부 길이방향에 경사지게 절개된 것으로, 회전가압가이드(212)의 말단에는 가이드돌기(311)가 삽입될 수 있는 걸림턱부(212a)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가이드 돌기(311)가 걸림턱부(212a)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걸림턱부(212a) 상부에 제1돌기체결부(211a)를 형성한다. 제1돌기체결부(211a)는, 상기 걸림턱부의 상부에 절곡 상향되게 형성되는데, 절곡되는 위치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부의 중심지점으로부터 상기 회전가압가이드(212) 측으로 편심된 지점 상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돌기체결부(211a)를 걸림턱부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가이드돌기(311)가 걸림턱부(212a)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제1돌기체결부(211a)에는 제1돌기(111a)가 위치하게 되는데 여기서 제1돌기(111a)는 걸림턱부(212a)에 안착한 가이드돌기(311)가 별도의 외력을 주지 않으면 걸림턱부(212a)를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제1돌기(111a)는 상기 제1돌기체결부(211a)와 접하는 체결면(β) 및 상기 하우징의 방사상 내측을 향하는 슬립면(α)을 포함한다. 여기서, 슬립면(α)은 상기 체결면(β) 측으로 갈수록 상기 시린지수단(300)과의 이격거리가 짧아지도록 형성된다.
가이드돌기(311)가 걸림턱부(212a)에 체결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가압가이드(212)를 따라 하향으로 이동하는 가이드돌기(311)가 제1돌기(111a)의 슬립면(α)에 접하게 되면 하우징(100)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인 제1돌기(111a)의 말단이 탄력을 받으면서 바깥쪽, 즉 실린더실(210)의 방사상 외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1돌기(111a)를 밀면서 이동하는 가이드돌기(311)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부(212a)로 이동하게 되면 제1돌기(111a)의 슬립면(α)을 미는 힘이 제거되면서 제1돌기(111a)가 원위치로 복원된다. 이때 가이드돌기(311)는 평면형상인 체결면(β)에 접하게 되면서 걸림턱부(212a)에 안착되는 것이다. 따라서, 걸림턱부(212a)에 안착한 가이드돌기(311)가 별도의 외력을 주지 않으면 걸림턱부(212a)를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실린더부(310)가 실린더실(210)에 결합되는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용기와 하우징의 결합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내부용기(200)와 하우징(100)이 체결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는 돌기 및 돌기체결부의 형상은 여러가지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펌핑장치가 구비된 액체용기와 같이 돌기 및 돌기체결부의 형상을 형성할 수도 있다. 먼저, 돌기는 제1돌기(111a)와 제2돌기(111b)를 포함하고, 돌기체결부로는 제1돌기(111a)와 제2돌기(111b)가 각각 체결되는 제1돌기체결부(211a) 및 제2돌기체결부(211b)를 포함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돌기체결부(211a)는 제1돌기(111a)의 한쪽 면인 체결면(β)과 접하도록 형성되어서 제1돌기(111a)의 슬립면(α)은 내부용기(200)와 접하지 않도록 형성한다. 따라서, 제1돌기(111a)가 가이드돌기(311)의 체결을 돕는 구조가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돌기체결부(211b)는 제2돌기(111b)의 양측면과 접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내부용기(200)에 형성된 제2돌기체결부(211b)에 하우징(100)에 형성되 제2돌기(111b)가 삽입되면 내부용기(200)가 하우징(100) 내에서 회전구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부용기(200) 및 하우징(100)을 결합시킴으로써, 시린지수단(300)을 내부용기(200) 내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과 동시에 내부용기(200)가 하우징(100) 내에서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싱예에 따른 시린지수단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린지수단(300)은 용액저장구(230) 내의 용액을 더욱 용이하게 배출하기 위해서 용액이 유입되는 체결부(320)의 내경(x)과 유출입관(312)의 내경(y)의 비율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용액이 유입되는 체결부(320)인 보조링부재(323)의 내경(x) 값을 상기 유출입관(312) 내경(y) 값의 1배 내지 10배로 제조함으로써, 용액이 시린지수단(300) 내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핑장치가 구비된 액체용기는 다양한 점도의 용액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유출입관(312)의 내경(y)이 보조링부재(323)의 내경(x)과 동일한 경우, 시린지 용액이 용이하게 흡입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그러나, 유출입관(312)의 내경(y)이 보조링부재(323)의 내경(x)보다 큰 경우, 흡입하고자 하는 용액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없다. 즉 원하는 양보다 많은 양을 용액저장구(230)에서 토출시키게 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피스톤부(330)의 이동거리를 과도하게 미세한 범위로 조절해야하기 때문에 시린지수단(300)에 용액을 흡입시키고자 할 때에 불필요한 시간을 허비하게 된다. 또한, 보조링부재(323)의 내경(x)이 유출입관(312)의 내경(y)의 10배를 초과하는 경우, 시린지수단(300)이 흡입하는 용액의 양은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지만, 고점도의 용액을 흡입시키는 경우 피스톤부(330)를 상향으로 이동할 수 없다. 따라서 보조링부재(323)의 내경(x) 값을 상기 유출입관(312) 내경 값의 1배 내지 10배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또는 변경은 모두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00: 하우징 110: 장착구멍
111a: 제1돌기 111b: 돌기
120: 마감판 200: 내부용기
210: 실린더실 211a: 제1돌기체결부
211b: 제2돌기체결부 212: 회전가압가이드
212a: 걸림턱부 220: 탄성캡
221: 삽입본체 222: 유로개폐구
222a: 판막 222b: 절개구
230: 용액저장구 231: 슬라이딩 마감판
232: 충진실 240: 탄성캡 안착부
242: 배출관 244: 유로조절돌출구
300: 시린지수단 310: 실린더부
311: 가이드돌기 312: 유출입관
313: 유로조절밸브 315: 실린더본체
320: 체결부 321: 안내구
322: 피스톤 가이드 322a: 플랜지
322b: 가이드관 322h: 피스톤 삽입홈
323: 보조링부재 330: 피스톤부
331: 파지구 333: 피스톤 헤드
334: 고무링부재 335: 피스톤로드
337: 피스톤가이드홈

Claims (20)

  1. 하부가 개폐조절에 따라 대기에 노출될 수 있도록 개구되고, 상부에는 장착구멍이 형성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부에는 액체를 입출입시키는 실린더실, 및 상기 실린더실 하부에 연결형성되어 내부의 액체량에 따라 체적이 가변되는 용액저장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장착구멍에 상기 실린더실이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리필 가능하도록 탈장착되게 설치되는 내부용기;
    상기 실린더실에 결합 및 분리되어 상기 내부 용기로부터 액체를 흡입하고, 흡입된 액체를 외부로 유출시켜주는 시린지수단; 및
    상기 실린더실에 장착되고, 상기 시린지수단이 상기 실린더실에 삽입되면 선(先) 밀폐되고, 삽입된 이후에 상기 시린지수단이 흡입하면 후(後) 개방되어 기밀을 유지한 상태에서 액체가 유출되는 탄성캡;을 포함하는 진공펌핑장치가 구비된 액체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린지수단은 상기 실린더실에 90° 내지 180°회전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핑장치가 구비된 액체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장착구멍 측 공간 내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실 상단부에는 상기 돌기의 형상에 대응되는 돌기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기 돌기 및 상기 실린더실의 상기 돌기체결부 간의 결합에 의해 상기 실린더실이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핑장치가 구비된 액체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실에는, 상기 실린더실 상단부로부터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절개형성되는 것으로, 하부 말단에 상기 시린지수단이 길이방향으로 튀어오르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부가 형성되는 회전가압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시린지수단의 외주면에는 상기 회전가압가이드의 안내를 받는 가이드 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핑장치가 구비된 액체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실에 복수개 형성되는 상기 돌기체결부는, 상기 걸림턱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회전가압가이드측으로 편심된 지점 상부에 위치하는 제1돌기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 복수개 연결형성되는 상기 돌기는, 상기 제1돌기체결부에 접하는 제1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1돌기는 상기 제1돌기체결부와 접하는 체결면 및 상기 하우징의 방사상 내측을 향하는 슬립면을 포함하고, 상기 슬립면은 상기 체결면 측으로 갈수록 상기 시린지수단과의 이격거리가 짧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핑장치가 구비된 액체용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린지수단은
    관 형상의 실린더 본체의 외주면에 상기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실린더부;
    상기 실린더부 내부에 장착되는 피스톤부; 및
    상기 피스톤부와 상기 실린더부 사이에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피스톤부는, 상기 피스톤 가이드부를 따라 상하 이동하는 피스톤로드, 및 상기 피스톤로드의 하단부에 체결된 피스톤헤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핑장치가 구비된 액체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는,
    상기 실린더 본체;
    상기 실린더 본체의 일단부에 연결형성되며 상기 실린더 본체보다 직경이 작거나 같게 형성된 유출입관;
    상기 실린더 본체 내부로 유입된 액체의 급격한 배출을 방지하도록 액체의 유압을 조절하는 것으로, 상기 실린더 본체의 상기 일단부에 체결된 유압조절밸브; 및
    상기 실린더 본체의 외주면에 상기 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유압조절밸브는, 평판 형상의 탄성재질로 구비되고, 상기 유압조절밸브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원호형상으로 천공형성된 제1유출입구멍 및 상기 유압조절밸브의 중심에 진집형성된 제2유출입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핑장치가 구비된 액체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본체의 일단부 측에는 상기 실린더부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격벽이 연결형성되고,
    상기 제1유출입구멍은 상기 격벽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핑장치가 구비된 액체용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본체의 내경 값은 상기 유출입관 내경 값의 1배 내지 10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핑장치가 구비된 액체용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로드의 상단부에는 상기 피스톤로드보다 직경이 큰 파지구가 연결형성되되,
    상기 파지구의 상하방향 길이는 15mm 내지 35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핑장치가 구비된 액체용기.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피스톤부의 상향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피스톤 가이드; 및
    상기 피스톤부의 하부에 위치한 보조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핑장치가 구비된 액체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가이드 및 상기 보조링부재 내에 상기 피스톤부가 삽입 설치되되,
    상기 피스톤 가이드의 내경은, 상기 피스톤헤드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보조링부재 내에서 상하 슬라이딩 이동하는 상기 피스톤헤드의 외경은, 상기 보조링부재 하단부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핑장치가 구비된 액체용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가이드는,
    피스톤 삽입공이 형성된 평판형의 플랜지; 및
    상기 플랜지의 상기 피스톤 삽입공으로부터 수직 하향으로 연결형성되어 상기 피스톤부가 삽입되는 가이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핑장치가 구비된 액체용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관에는 상기 가이드관의 내측으로 안내구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피스톤부의 외주면에는 피스톤 가이드홈이 상하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안내구가 상기 피스톤 가이드홈에 삽입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핑장치가 구비된 액체용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관의 하단부 및 상기 보조링 부재 사이에는 상기 보조링 부재를 밀폐시키는 고무링부재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핑장치가 구비된 액체용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보조링부재를 밀폐시키는 고무링부재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핑장치가 구비된 액체용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캡은 상기 시린지수단의 말단이 삽입되는 삽입본체, 및 상기 삽입본체의 바닥면을 관통하는 유로개폐구를 포함하되,
    상기 유로개폐구는 상기 시린지수단에 의해 가압되어 개구되도록 슬릿이 절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핑장치가 구비된 액체용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캡은 상기 시린지수단의 말단이 삽입되는 삽입본체, 및 상기 삽입본체의 바닥면을 관통하는 유로개폐구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개폐구는 상기 탄성캡의 바닥면으로부터 상향으로 경사지게 돌출형성된 판막, 및 상기 판막을 관통하며 상기 판막의 최상단에 형성된 절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핑장치가 구비된 액체용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저장구 측에 위치한 상기 실린더실의 하부에는 상기 탄성캡이 장착되는 탄성캡 안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캡 안착부의 바닥면에는 바닥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된 유로조절돌출구, 및 상기 탄성캡 안착부의 바닥면을 관통하는 배출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핑장치가 구비된 액체용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의 상부에는 상기 삽입본체의 바닥면이 위치하고, 상기 유로조절돌출구는 상기 유로개폐구에 삽입되도록 상기 탄성캡과 상기 탄성캡 안착부가 결합하고,
    상기 유로조절돌출구는 상기 판막과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핑장치가 구비된 액체용기.
KR1020110115025A 2010-11-12 2011-11-07 진공펌핑장치가 구비된 액체용기 KR1013340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511 2010-11-12
KR20100112511 2010-11-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1581A true KR20120051581A (ko) 2012-05-22
KR101334086B1 KR101334086B1 (ko) 2013-12-05

Family

ID=46051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5025A KR101334086B1 (ko) 2010-11-12 2011-11-07 진공펌핑장치가 구비된 액체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76223B2 (ko)
EP (1) EP2639185A4 (ko)
JP (1) JP5536961B2 (ko)
KR (1) KR101334086B1 (ko)
CN (1) CN103261054B (ko)
WO (1) WO201206406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8370A (ko) * 2017-12-28 2018-01-24 한승윤 잡는 부분이 변형 가능한 샤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03751B2 (ja) * 2012-05-31 2016-04-1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具及び吐出装置
FR2996826B1 (fr) * 2012-10-11 2014-12-05 Oreal Ensemble comportant une poche et une seringue et permettant le conditionnement, le prelevement et la distribution de doses d'un produit.
CN106104267B (zh) * 2014-03-31 2020-11-03 安捷伦科技有限公司 高压泵中的随活塞移动的密封件
US11407575B2 (en) 2017-09-01 2022-08-09 H2 Water Technologies Ltd. Containers for pressurizing a liquid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10301048B2 (en) * 2017-09-21 2019-05-28 Che Wei Lin Cap for a cup capable of removing air contained in the cup
JP7133308B2 (ja) 2017-12-26 2022-09-08 小林製薬株式会社 押出器具
TWI646263B (zh) * 2018-03-19 2019-01-01 立晏企業有限公司 吸排兩用輸液桶
TWI697452B (zh) * 2019-08-02 2020-07-01 立晏企業有限公司 輸液桶
CN113288802B (zh) * 2021-05-07 2022-08-05 闫一娇 营养液供给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1260A (ja) * 1989-09-27 1991-05-13 Hirozumi Yagi 気体吸い出し装置
US5425465A (en) * 1993-03-03 1995-06-20 Healy; Patrick M. Valved medication container
JP4006332B2 (ja) * 2002-12-26 2007-11-14 勝利 増田 流動体貯留容器
FR2854822B1 (fr) * 2003-05-16 2005-06-24 Rexam Dispensing Sys Distributeur de produit liquide ou en gel
JP4341519B2 (ja) 2003-10-03 2009-10-07 花王株式会社 吐出装置
KR100938440B1 (ko) * 2007-12-06 2010-01-25 주식회사 태성산업 화장품용기
KR100875906B1 (ko) * 2008-04-25 2008-12-26 연희화학공업 주식회사 액체용기의 간헐펌핑장치
JP5721025B2 (ja) * 2009-03-31 2015-05-2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重壁容器
JP5352419B2 (ja) * 2009-08-26 2013-11-2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重容器
JP5665176B2 (ja) * 2010-09-30 2015-02-0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リフィール容器
US9156569B2 (en) * 2011-12-21 2015-10-13 Berry Plastics Corporation Pediatric dosing dispens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8370A (ko) * 2017-12-28 2018-01-24 한승윤 잡는 부분이 변형 가능한 샤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55830A1 (en) 2013-10-03
CN103261054A (zh) 2013-08-21
WO2012064062A2 (ko) 2012-05-18
EP2639185A2 (en) 2013-09-18
CN103261054B (zh) 2014-12-10
KR101334086B1 (ko) 2013-12-05
US9376223B2 (en) 2016-06-28
JP2013543820A (ja) 2013-12-09
WO2012064062A3 (ko) 2012-07-19
JP5536961B2 (ja) 2014-07-02
EP2639185A4 (en) 2017-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4086B1 (ko) 진공펌핑장치가 구비된 액체용기
KR101554210B1 (ko) 진공펌프가 구비된 크림타입 화장품용기
KR100428471B1 (ko) 공기-액체혼합물인폼을분배하기위한장치및그작동유닛
KR920009588B1 (ko) 디스펜싱 펌프(dispensing pump)
KR880001135B1 (ko) 유연성의 피스톤을 겸비한 수동식 분배펌프
JP2006096423A (ja) 制御して空気吸入される分与アセンブリ
KR101604779B1 (ko) 디스펜서 용기
SI9600118A (en) Precompression pump sprayer
JP2001017896A (ja) トリガー作動ポンプ式噴霧器およびその排出弁アセンブリー
KR880001134B1 (ko) 수동으로 작동하는 분배 펌프
KR102150366B1 (ko)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KR20140019779A (ko) 펌프 장치 및 그의 사용 방법
JP2022540555A (ja) ポンプアセンブリおよび内容物排出機能を有する容器
US20050178094A1 (en) Vaccum pump for bottles
JP2000504618A (ja) 手動流体分配ポンプ
KR101324887B1 (ko) 마이크로 피펫
CN110694152B (zh) 具有防止细菌渗入功能的药剂分配器
KR100869617B1 (ko) 유체 디스펜서
JP6888991B2 (ja) 吐出キャップ
KR20120125059A (ko) 이종 액체 분리 수용 용기
KR20200052204A (ko) 방수 기능을 가진 액체용기용 펌핑장치
KR100858320B1 (ko) 유체용기
KR102306251B1 (ko) 내용물 용기
KR101663206B1 (ko) 디스펜서
CN112021762A (zh) 一种化妆品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