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1135B1 - 유연성의 피스톤을 겸비한 수동식 분배펌프 - Google Patents

유연성의 피스톤을 겸비한 수동식 분배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1135B1
KR880001135B1 KR1019840003200A KR840003200A KR880001135B1 KR 880001135 B1 KR880001135 B1 KR 880001135B1 KR 1019840003200 A KR1019840003200 A KR 1019840003200A KR 840003200 A KR840003200 A KR 840003200A KR 880001135 B1 KR880001135 B1 KR 880001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pump
plunger
annular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3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0600A (ko
Inventor
에푸.콜셋테 더그라스
Original Assignee
더그라스 에푸. 콜셋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그라스 에푸. 콜셋테 filed Critical 더그라스 에푸. 콜셋테
Publication of KR850000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1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62Outlet valves actuat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to be sprayed
    • B05B11/0064Lift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9Means for locking a pump or its actuation means in a fix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9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 B05B11/0044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compensating underpressure by ingress of atmospheric air into the container, i.e. with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04Piston pumps comprising a movable cylinder and a stationary pis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21Piston pumps having an outlet valve which is a gate valve
    • B05B11/1022Piston pumps having an outlet valve which is a gate valve actuated by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38Pressure accumulation pumps, i.e. pumps comprising a pressure accumulation chamber
    • B05B11/104Pressure accumulation pumps, i.e. pumps comprising a pressure accumulation chamber the outlet valve being opened by pressure after a defined accumulation stro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61Pump priming means
    • B05B11/1063Air exhausted from the pump chamber being discharged into the container during pri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B05B11/1074Springs located outside pump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4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 F16K15/16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with tongue-shaped lamina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781With separate connected fluid reactor surface
    • Y10T137/7834Valve seat or external sleeve moves to open val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879Resilient material valve
    • Y10T137/7888With valve member flexing about secur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879Resilient material valve
    • Y10T137/7888With valve member flexing about securement
    • Y10T137/7891Flap or reed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연성의 피스톤을 겸비한 수동식 분배펌프
제1도에서 제7도까지는 특수한 흡입밸브가 구비된 본 발명에 의한 여러가지 분배펌프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종 단면도.
제3도는 제3도상의 펌프에 이용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흡입밸브에 대한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펌프 조립체 11 : 펌프동체
12, 13 : 폐쇄캡 15 : 원통형 벽
16 : 직립 피스톤 17 : 흡입로
18 : 디프관 21 : 보올 체크밸브
23 : 환상의 립시일 24 : 통풍구
25 : 플런저 26 : 펌프실
31 : 플런저 헤드 39 : 토출로
48 : 통풍 밀폐부 49 : 통풍실
50 : 환상 플랜지 53 : 릭립관형 기둥
54 : 원추형 벽 56 : 흡입공
57 : 슬리이브 부재 60 : 환상 플랜지
62 : 환상의 텅 64 : 정지 어깨
65 : 직립 기둥 66 : 슬리이브형 피스톤
67 : 패킹 시일 68 : 흡입 밸브
69 : 흡입공 71 : 밸브 시이트
72 : 플랩 밸브 94 : 원통형 벽
109 : 플랜지 112 : 환상의 홈
본 특허출원은, 1980년 2월 13일자 미국에 출원된 이건 출원인의 미국 특허출원 번호 제121,223호에 관련된 출원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압력 축압형의 분배 펌프에 관한 것이며, 더 상새하게 설명하면, 피스톤과 펌프동체는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펌프 동체에는 분배하여야 할 유동성 유체가 들어있는 컨테이너에 펌프 동체를 고정하기 위하여 폐쇄캡이 설치되어 있고, 분리할 수 있는 피스톤은 펌프동체를 만들고 있는 재료보다 더 유연하고 연질의 재료로 만들어진다.
상기 관련 출원서에서는 컨테이너 통풍실 개폐장치를 제공하므로서, 출원인의 미국 특허 제4,050,613호에 공지되어 있는 분배펌프를 개량한 압력 축압형의 펌프를 발표하고 있다. 직립 피스톤 상에 형성하고 있는 환상의 립시일(lip seal)은 둘레를 왕복운동을 할 수 있는 플런저 또는 축압기와 맞닿음하여서 가변성 체적펌프실을 같이 형성하고 있으며, 플런저 스커어트의 아랫쪽에 형성하여 있는 통풍밀폐부는 컨테이너 통풍구를 형성한 한 컨테이너 통풍실을 제공하기 위하여 원통형 벽 안쪽둘레와 맞닿음을 하고 있다.
피스톤 립시일은 플런저 압축행정(펌프가 시동하는 동안 충분한 하향 행정 종료시는 제외)을 하는 동안 펌프실로부터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계되며, 통풍밀폐부는 플런저가 상승된 위치에서 플런저의 최초 하향 행정을 하는 동안에 통풍실로부터 유체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분배되어야 하는 유동성 유체가 들어있는 컨테이너의 목부분에 펌프동체를 견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는 폐쇄캡이 형성되어 있는 이펌프의 펌프동채는 컨테이너에 펌프동체를 고정하는데 경직성을 지탱할 수 있는 비교적 견고하고 단단한 물질로 되어 있다.
반면에, 펌프실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피스톤의 립시일은 관형태로된 플런저 또는 축압기에 더 확실하게 일치하고 그 형태에 있어서는 어떠한 변화에도 적응할 수 있도록 피스톤은 더 유연하고 부드러운 재료로 만들어졌다.
또, 플런저 헤드는 펌프작용을 행하는 동안에 반복되는 취급에 적응할 뿐만 아니라, 스커어트에 형성되어 있는 스톱 어깨가 충분히 상승된 위치에서 펌프동체 또는 피스톤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정지 어깨에 맞물림하므로서 펌프동체상에 충분히 상승하는 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확실한 스톱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플런저 헤드는 비교적 투박하고 경질의 재료로 만들어져 있다.
또, 플런저 또는 축압기는 통풍실로부터 유체가 못마땅하게 누출되는 것을 피할 수 있도록 립시일은 펌프동체에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통풍실 벽에 더 확실하게 일치하고 그벽에 대한 어떠한 변화에도 적응 할 수 있도록 더 부드럽고 유연한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력 축압형으로된 많은 분배펌프에 있어서, 피스톤은 펌프동체와 단일체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단단한 펌프동체와 더 부드럽고 유연한 펌프 피스톤의 역할을 같게 수행하기가 어렵다.
또, 상기 관련 출원에 도시된 펌프들에 설치된 펌프피스톤들이 흡입밸브 제어로 똑같이 작용하게되므로, 피스톤은 동체와 단일체로 구성되어 있거나 피스톤은 흡입구의 개폐를 확실하게 제어하기 위하여 충분히 유연한 재료로 만들어져 있지 않을 때에는 이용할 수 있는 흡입밸브의 유형은 제한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피스톤은 펌프동체에서 분리될수 있을 뿐만아니라, 동체보다 더 부드럽고 유연한 재료로 만들어져서 폐쇄캡이 형성되어 있는 단단하고 견고한 펌프동체를 만듬과 동시에 개량된 피스톤 립시일이 형성된 개량된 피스톤 품질을 얻으며, 펌프에 이용될 수 있는 피스톤 또는 흡입 밸브들의 유형을 증가시킬 수 있는 압력 축압형 분배펌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플런저헤드는 단단하고 견고한 재료로 만들어지고, 통풍실로부터 유체의 누출을 적극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플런저 또는 축압기가 그 통풍 밀폐부를 잘 형성하고 질을 향상시킬수 있는 더 부드럽고 유연한 재료로 만들어지고 있는 분배펌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피스톤은 펌프동체에 연결된 관형 직립기둥에 축 방향으로 작동할 수 있는 슬리이브는 펌프실 내에서의 압력 변화에 따라 흡입로를 개폐하는 작용을 하고 있는 분배펌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둥은 그 상단부에 흡입공이 개설된 원추형의 벽이 형성되어 있으며, 피스톤상의 흡입 밸브가 출입구를 개폐하기 위하여 원추형의 벽에 어울리는 절두체의 원추면을 한 환상의 플랜지로 구성되어 있는 분배펌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접동할 수 있는 피스톤은 흡입행정시에 공기가 펌프실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압축 행정을 하는동안 펌프 압력에 대해서 피스톤을 저지하기 위하여 기둥과 밀폐되도록 맞물림하고 있는 분배펌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피스톤과 같이 통풍실을 형성하고 있는 원통형 벽은 펌프동체 또는 피스톤과 단일체로 형성할 수 있는 분배펌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피스톤 또는 흡입밸브가 펌프동체에서 직립된 기둥에 축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설치된 슬리이브로 구성되며, 기둥의 상단부에는 밸브 시이트가 형성되어 있고, 흡입밸브는 그 내부에 구멍이 천공되어 있는 환상이며 탄력있는 분젠밸브로 구성되어 있는 분배펌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피스톤 또는 흡입밸브가 펌프동체에서 직립된 기둥에 축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설치된 슬리이브로 구성되며, 기둥의 상단부에는 밸브 시이트가 형성되어 있고, 흡입밸브는 그 내부에 구멍이 천공되어 있는 환상이며 탄력있는 분젠밸브로 구성되어 있는 분배펌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플런저가 흡입행정을 하는 동안에 펌프실로 공기가 인입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고정된 피스톤 슬리이브가 기둥과 밀폐되도록 맞닿음하고 있는 분배펌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둥에 붙어 있는 피스톤 슬리이브 흡입밸트는 가요성 플랩밸브로 구성되어 있는 분배펌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런저가 흡입행정을 하는 동안에 공기가 인입되는 데 대해서 펌프실을 미폐하기 위한 환상의 패킹 시일을 형성하기 위하여 피스톤 슬리이브가 기둥과 맞닿음하고, 그러한 패킹 시일이 플런저 로크-엎(lock-up) 또는 로크-다운(lock-down)펌프의 회전 할 수 있는 로크링(lock Ring)에 연결될때 같은 방법으로 작용하는 분배펌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장점과 신규성은 첨부된 도면에 관련해서 설명되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보면 명백해질 것이다.
유사한 참조번호가 도면에서 유사하고 상응한 부품에 부여된 도면을 보면, 제1도에서 펌프 조립체는 참조번호 10으로 도시되며, 위에서 언급된 본인의 관련된 출원서의 제2도와 동일하다.
따라서, 펌프 조립체(10)는 본 실시예에서는 펌프조립체(10)를 분배하여야 할 유동성 유체를 넣는 컨테이너(도시되어있지 않음)의 목부분에 스냅식으로 끼워 맞추기 위하여 테두리(Ferrule)형태의 폐쇄캡(12)으로 구성하느 펌프동체(11)를 포함한다.
그 밖의 방법으로, 폐쇄캡(12)은 컨테이너의 목부분에 형성한 나사와 나사붙임을 할수 있도록 내측에 나선을 형성하고나 또는 펌프동체(11)는 아래에서 상술하는 제2도 내지 제7도에 참조번호 "13"으로 표시한는 일체로된 폐쇄캡을 구비한 직립기둥과 통풍실벽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펌프동체(11)는 폐쇄캡(12)만을 포함한다. 피스톤 부재는 적합한 방법으로 테두리와 밀폐되도록 맞물림하고 테두리가 컨테이너 목 부분의 상단 주면에 스냅되며, 컨테이너 목 부분의 상단 주면에 밀폐되도록 맞물림하는 성형으로 연장된 환상의 플랜지(14) 포함한다.
또한, 피스톤 부재는 환상의 플랜지(14)에 매달리고 직립 피스톤(16)과는 간격을 두어서 둘러져 있는 원통형 벽(15)을 포함한다. 피스톤(16)은 컨테이너로부터 분배되어야 하는 유체속으로 연장되는 그 하단부가 연설된 종래의 디프관(dip tub)(18)에 축이음되어서 이를 수용하는 흡입로(17)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밸브는 보올 시이트(19)의 형태로 피스톤(16)의 상단부에 제공되며, 보올 체크밸브(21)는 압축행정을 하는 동안 흡입로(17)를 폐쇄하기 위하여 피스톤 상에 끼워져 있다. 그리고, 다수의 저지구(22)는 흡입행정을 하는 동안 보올 밸브(21)가 끼워져 있지 아니하다. 윗쪽을 향하여 공간을 약간 두어서 피스톤(16)의 상단부에 제공하여 있는 환상의 립시일(lip seal)(23)에 위치하고있다.
가느다랗게 연장된 컨테이너의 통풍구(24)는 널리 행하여지고 있는 방법과 같이 컨테이너의 내외측 압력에 대한 균등화를 기하기 위하여 원통형의 벽(15)아랫쪽으로 연장되고, 컨테이너로부터 분배되는 유체와 공기를 교체하여 컨테이너의 붕괴와 펌프 내부의 압력기갑조건(氣閘)(pressure lock condition)을 피한다.
관형 플런저(25)는 정치 상태의 피스톤(16)을 둘러싸서 협동관계에 있고 가변성 체적 펌프실(26)을 제공하고 거기서 왕복운동을 할 수 있다.
코일스프링(27)은 받침대(28)와 플런저(25)내주면에 형성된 환상의 어깨(29)사이를 탄지해서 플런져(25)를 완전히 상승시킨 위치인 상반부로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하여 압상되고, 그래서 평상시에는 그 위치에플런저(25)는 올라가 있게 마련이다.
플런저 송출해드(31)는 플런저(25)를 꼭 맞게 접동할 수 있도록 수용하고 있으며, 흡입로(17)의 상단부를 제어하는 밸브와 같이 관형플린저(25)와 통하고 있는 가변성 체적 측압실(33)을 폐쇄하도록 나타내고 있는 아랫쪽으로 향한 블라인드 소켓(32)을 형성한다.
이러한 축압실(33)은, 펌프실(26)보다 직경이 더 큰 것임을 알 수 있고 윗쪽으로 제공된 플런저 상단 환형은 귀환 스프링(27)이 윗쪽으로 탄발하는 탄발력에 반대하여 축압실(33) 아랫쪽으로 가압하는 유체 압력으로 노출하게 된다.
플런저헤드(31), 그 상단부에 지형돌기(指形 : finger piece)(34)를 갖추도록 형성되어서 편리하게 간헐적으로 가해지는 지형압력(指形壓力 : finger pressure)은 정치 피스톤(16)상에서 플런저(25)가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플런저(25)에 전달되며, 플런저를 내리 누를 때마다 지형압력을 제거하면 뒤따라 플런저는 충분히 상승된 위치로 돌아가려는 스프링(27)에 의해서 저항력이 생긴다. 플런저 헤드(31)의 상향운동은 플런저 헤드(31)에 매달리고있는 스커어트(37)에 형성되어 있는 환상의 정지어깨(53)와 리브(36)와, 플랜지(14)상에 직립으로 입설된 직립원통형 벽(38)과 같은 적당한 장치에 의해서 확실한 동작으로 한정된다.
이러한 정지어깨(35)는, 본인의 미합중국 특허 제4,050,613호에서 소개된 유사한 정지부에 비하여 제1도에서 플런저가 상승된 위치에서 서로 밀폐되게 접합될 필요가 없는데, 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의 위치에서 컨테이너 통풍구(24)를 통한 플런저의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확실하게 예방되며, 마찬가지로 최초로 플런저가 하향 행정을 한 다음에도 누출은 방지된다.
토출로를 나타내고 있는 노즐(39)은, 플런저 헤드(31)의 벽을 통과하여 연장되며 일반적인 방법과 같이 축압실(33)로 부터 대기로 분배된 유체는 인접 노즐(41)을 통과하여 운반하기에 적합하다.
그리고, 본인의 상기 언급한 특허에서와 같이, 노즐(39)은 블라인드 소켓(32) 상단이 플런저(25)가 제1도에서와 같이 충분히 상승된 위치에서 귀환 스프링(27)에 의하여 출구가 없는 소켓(32)의 단부로 내밀어질때, 플런저에 의해서 적당히 덮혀지는 위치에서 출구가 없는 상단부 아래에 있는 블라인드 소켓(32)으로 노즐(39)은 열리게 된다. 플런저의 상단부에는 환상의 송출밸브 플랜지(43)를 타내는 환상의 홈(42)이 요설되어 있는데, 환상의 송출밸브 플랜지(43)는 노즐(39)상에 약간 누워 있는 상단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플랜지(43)는 플런저 헤드(31) 상에 준비된 링(44)을 눌러서 축압실을 만든다. 따라서, 축압로(39)는 도면 제4도에서 나타내고 있는 것을 비교하는 것과 같이, 플런저(25)와 피스톤(16)사이를 서로 관련하여서 왕복 운동을 하는 동안 보다 느리게 서서히 열리게 된다.
플런저 헤드(31)의 상단내측 이면에는 보올 밸브의 일부와 저지구(22) 및 환상의 립시일(23)에 의해서 확정되는 직립피스톤(16)의 상단부 윤곽과 일치하는 부분 구형의 내측단부(46)를 요설하고 있는 하향연장부(45)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피스톤(16)의 상단부와 대양하고 있는 플런저헤드(31)의 내측 단부는 상보적(相補的)인 윤곽으로 되어 있어서, 분배작업 이전에 플런저 헤드(31)를 내리누리는 동안에 서로 접촉하게되면, 펌프실(26)내에 압축된 공기는, 공기가 압축되어 있는 상태로 노즐(39)을 통하여 배출하게되므로 충분히 제거될 수 있으며, 직경이 큰 축압실(33)에 작용하여 노즐(39)을 개방하기 위하여 플런저(25)를 노즐에 상관하여 이동시킨다. 공기가 본인의 미합중국 출원 제121,223호에 설명돤 방법과 같이 펌프실(26)로부터 이동된 다음에 플런저 헤드(31)에 간헐적으로 가하여지는 손가락 압력으로 디프관(18)과 중공된 피스톤(16)을 통하여 유동성 유체를 윗쪽 펌프실(26)로 흡인하므로서, 펌프에 물을 붓는 작용을 하게 된다.
펌프에 물이 부어진 다음에, 플런저 헤드(31)의 최초하향행정으로 플런저(25)가 압축행정을 하는 동안 피스톤(16)상에서 아랫쪽으로 이동하게 하여서 스프링(27)을 압축시키는 원인이 된다. 압축 행정은 계속하여, 축압실(33)내에 있는 유동체의 압력은 스프링(27)이 윗쪽으로 탄발하려는 탄발력을 충분히 극복할 수 있는 플런저(25)에 하향력이 야기될때까지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이 명백하다.
이것은 플런저(25)가 블라인드 소켓(32)의 상단부에 막혀있는 부분으로 떨어지고 토출로 노즐(39)의 단부를 드러내도록 하기 위하여 플런저 헤드(31)소켓(32)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플런저(25)의 하향운동을 충분히 야기 시켜서 펌프실(26)내의 내용물은 그것을 통하는 압력하에서 토출되는 결과가 된다. 이러한 토출은 축압실(33)내에 들어 있는 유체 또는 유동체의 압력이 플런저(25)가 플런저 헤드(31)를 고려해서 아랫쪽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충분히 유지해서 토출로 노즐(39)이 드러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동안은 토출작용은 계속된다.
그 후에는, 상기 언급한 본인의 특허 및 관련 출원서에서 유사하게 설명된 것과 같이, 플런저 헤드에 손가락 압력이 불충분하거나 하향 행정의 단부 부근에 있는 내용물은 펄프실(26) 및 축압실(33)의 노즐(39)을 통하거나 하여서 축압실(33)내의 압력은 노즐(39)의 개구상태를 유지하는데 불충분하게 되면, 언제나 스프링(27)압력은 플런저 헤드(31)소켓(32) 내부에 들어가 있는 플런저(25)를 다시 복좌(復座)시켜서 노즐을 폐쇄시키도록 한다.
손가락 압력으로 복귀 행정을 허락하도록 놓아주면, 노즐(39)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고 유체의 새로운 충전은 플런저 및 플런저 헤드가 펌프스프링(27)에 의해서 규칙적으로 상승된 위치로 복귀될 때 개구된 흡입 보올 밸브(21)를 통하여 펌프실(26)로 들어오게 된다. 플런저(25)는 제1도에서 충분히 상승된 위치(실신)을 도시하여 있는 것과 같이, 원통형 벽(15)의 내주면에 밀폐식으로 맞물림되어서 배치되어 있느 환상의 통풍 밀폐구(48)에서 끝나고 있는 환상의 스커터어트(47)가 연설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피스톤(16)에 관하여 플런저(25)의 왕복운동을 하는 동안에, 제1도 상에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로의 거리"X"를 넘어서게 되면, 통풍 밀폐부(48)는 통풍구(24)의 상당 아랫쪽으로 이동되어 통풍구(24)를 개방시킨다.
원통형벽(15)과 피스톤(16)간의 공간은 통풍구(24)를 거쳐서 컨테이너의 안쪽과 개방된 상태로 연통되는 통풍실(49)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통풍구(24)는 개방되었을때 개방된 위치에서 통풍실(49)은 정지 어깨(35)(36)들의 내측을 지나서 대기로 개방된다.
통풍실(49)은 제1도에 입체 윤곽에서 통풍밀폐부(48)에 의하여 폐쇄될 뿐만아니라, 플런저의 최초 하향행정을 하는 동안에 플런저가 "X"거리보다 더긴 거리로 이동할때까지 폐쇄된다.
그래서, 펌프는 보관되어 있고 제1도의 운반 및 취급 위치에 있는 동안에 플런저 헤드(31)가 우발적으로 또는 다른 식으로 팔꿈치로 눌러졌을 때 플런저(25)가 "X"거리까지 하향 행정으로 이동되는 동안 통풍실(49)은 컨테이너로 부터 유체가 누출되지 아니하도록 폐쇄되어 잔류하게 된다.
이 "X"거리를 넘게되면 통풍실(49)은 상기한 바와같이 열리게 된다. 컨테이터 통풍구(24)의 크기와 위치는 분배되는 특수한 유체와 요구되는 분배 작업의 형태에 따라 "X"거리를 변경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테두리 도는 폐쇄캡(12)은 분배되어야 하는 유동성 유체가 들어있는 컨테이너의 목부분에 스냅식으로 끼워지거나 나사식으로 나사붙임이 되어 있기 때문에, 폐쇄캡(12)은 펌프 조립체(10)의 체결 작업을 견디어 낼수 있도록 컨테이너의 목 부분과 누출되지 않고 안전하고 견고하게 끼워 맞춤 되어서 견고하고 연속적이어야 한다.
따라서, 폐쇄캡(12)은 경질의 금속 또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유사한 재료로 만들 수 있다. 한편으로는, 피스톤(16)의 립시일(23)은 플런저(25)의 안쪽 직경에 정확히 일치하도록 어떠한 진원도(眞円度) 또는 불동율(不同率)을 허용하는 우수한 명료도를 부여하기 위하여 폐쇄캡(12)보다는 더 부드럽고 유연성의 재료로 만들어져야 한다.
따라서, 피스톤(16)부재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재료, 또는 그것과 유사한 재료로 만들 수 있다.
이렇게 해서 립시일(23)을 둘러싸고 있는 펌프실(26)로 부터 유체에 대한 어떠한 누출도 확실하게 피할 수 있음을 보증할 수 있다. 그리고, 플런저 헤드(31)는 양수 운전중에 반복되는 취급을 견디어 내기 위하여 폐쇄캡(12)을 만들고 있는 재료와 같이 견고한 재료로서, 특히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들어 진다.
한편으로는, 플렌저(25)는 원통형 벽(15)의 안쪽 직경에 정확히 일치하여야 하고, 진원도와 같은 어떠한 불동율에 따르도록 통풍 밀폐부(48)에 우수한 명료도를 부여하기 위하여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같은 비교적 보다 유연성이 있는 재료로 만들어져야 한다.
피스톤(16)을 폐쇄캡(12)으로부터 분리하여 보다 유연성 있게 만드므로서 이러한 부품이 바라는 목적에 가장 적합하고 보다 넓은 재료의 선택으로부터 고급 피스톤(16)을 생산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이것은 각기 상이한 피스톤 또는 흡입밸브에 대해 폭 넓은 선택을 위하여 허락한다.
제2도의 펌프 조립체(10A)는 제1도의 펌프 조립체(10)와 유사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번호로 표시되었다.
그러나, 펌프동체(11)는 다르게 구성되어 있고 컨테이너(도시되어 있지 않음)의 목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외측 나선과 나사붙임하는 내측나사가 형성된 일체의 폐쇄캡(13)을 포함한다.
또는, 폐쇄캡(13)은 컨테이너의 목 부분과 스냅식으로 끼워 맞추어지도록 적소에 제공되어 있다.
펌프동체(11)의 환상의 플랜지(51)는 귀환스프링(27)의 일단이 탄지되어 있으며, 플런저(25)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52)의 아랫쪽에는 귀환스프링(27)의 타단부가 탄지되어 있다.
원통형 벽(15)에는 플랜지(51)의 안쪽 단부가 일체가 되도록 플랜지(5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디프관(18)이 끼워지는 내측에 흡입로(17)가 일체로 형성된 직립기둥(53)과 함께 통풍실(49)을 제공한다.
직립기둥(53)의 상단은 참조번호(54)와 같이 원추형으로 형성되며, 둥근 지붕에 의하여 단부가 형성되고 또는 중앙플러그 위치(55)에 의하여 한정되어 있고, 원추면(54)은 그 내측에 다수의 흡입공(56)이 천공되어 있다. 중공된 슬리이브 형 피스톤(57)은, 기둥(53)을 에워싸고 있으며 플런저(25)의 흡인과 압축 행정을 하는 동안 펌프실(26)내의 압력 변화에 상응하여 흡입공(56)을 개폐할 수 있도록 기둥(53)과 상관하여 굴대의 방향으로 가동할 수 있다.
그 피스톤(57)은, 그 상단부에 휜상의 립시일(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애 구멍이 천공되어 있고 원추형 절두체의 윤곽을 이루고 있는 환상 플랜지(61)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환상 플랜지(61)의 내주면은 원추면(54)의 내주면과 일치하도록 경사지어 있으며 외주면은 종이와 같이 얇게 테이퍼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중앙의 구멍은 플린저 벽에 마찰에 의해서 도움이 되는 흡입 행정의 흡입 작용에 의하여 컨테이너로 부터 멀리 이동할 때 펌프의 흡입구가 된다.
그 피스톤(57)이 내측 이동 제한부에 이르렀을 때에는 중앙 구멍(46)은 플러그(55)에 의해서 폐쇄되고 압축행정용 체크 밸브로 사용된다.
중앙 플러그 위치(55)는 중앙 피스톤(57) 구멍에 인접한 연속적인 환상 시일 속에서 그 하부면이 환상 플랜지(59)와 접촉하거나 어느 정도 크로크로서 구멍속으로 들어갈 수 있다.
피스톤(57)은 흡인 행정에서 펌프실(26)로 공기가 인입되는 것을 막고 컨테이너를 외부적으로 피스톤(57)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환상 플랜지(61)에서 기둥과 밀폐되도록 결합하느 내부로향한 환상의 플랜지(60)가 설치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플랜지(60)는 피스톤 부분을 성형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그 내주면으로 부터 상부로 향하여 개방된 원추형 절두체형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피스톤(57)의 하부 및 내측 단부(62)는 기둥 (65)의 환상의 절단부(63)와 맞물리고 있으며 피스톤(57)이 기둥(65)위에서 왕복 이동할때 피스톤을 접동 안내하며 기둥과 축 방향으로 일직선이 되게 유지시킨다. 또한, 내측 단부(62)는 피스톤의 내부 주행을 흡입 밸브(21)가 확고하게 폐쇄되는 지점까지 제한하고 펌프행정의 과대한 공전 또는 밸브 부재들의 무리한 밀어넣기를 방지하기 위하여 절단부(63)의 하단부이며 기둥(65)상에 형성된 환상의 정지어깨(64)와 맞물림한다. 또한, 이러한 맞물림이 압축행정을 하는 동안에 펌프의 압축력에 대해 피스톤을 지지한다.
제1도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폐쇄캡(12)이 형성되어 있는 펌프 동체(11)는 견고하고 내구력이 있는 재료(예컨대, 폴리프로필렌)로 만들어지며 반면에, 피스톤(57)은 부드롭고 보다 유연성이 있는 재료(예컨데, 고밀도 폴리에틸렌)로 만들어지며 이들은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같은 목적용으로 이루어진다.
더우기, 플렌저 헤드(31)는 비교적 견고하고 내구력이 있는 재료로 만들어져서 펌프동체(11)의 재료와 같거나 유사하고, 반면에 플런저(25)는 비교적 부드럽고 보다 유연성이 있어서 피스톤과 유사하다. 이것은 제1도를 참조로 설명된 것과 같은 목적에서 립시일(58)과 통풍 밀폐부(48)에 좋은 정의를 내린다.
제3도의 분배펌프 조립체(10B)는 특수한 형태의 흡입밸브 및 펌프의 주입을 부수적으로 또는 다르게 돕는 장치를 제외하고도 제2도의 펌프 조립체(10A)와 유사하다.
이러한 장치는 스커어트(37)와 원통형 벽(38)에 의해서 각기 플린저와 원통형 벽(15)의 외부에 간격을 지고 있을때 제공되며, 플런저 헤드(31)아래에 있는 공간의 용적을 둘러싼다.
스커어트(37)는 플런저 헤드(31)의 왕복 이동중에 원통형 벽(38)에 대한 피스톤으로서 작동하여 정지어깨(35)가 왕복이동중에 원통형 벽(38)의 내주면과 맞물림으로 밀폐된다.
제3도에 구성된 정지피스톤(66)은 그 상단에 환상의 립시일(67)을 형성하여 있고, 중공된 슬리이브형 피스톤(66)에 의해서 둘러싸인 직립기둥(65)에 의하여 형성된다.
또한, 피스톤(66)은 그속에 흡입공(69)이 개설된 가요성 포피트 밸브(68)의 형태로 도시되는 일체로 성형된 밸브를 지닌다. 상단부가 원추형으로 개구된 가요성 포피트 밸브(68)는,압축 행정을 하는 동안 중공된 직립기둥(65)을 통하여 흡입로(17)를 폐쇄하기 위해 직립기둥(65)의 상단부에 형성된 밸브시이트(71)에 대하여 통상적으로 제지되어 있고, 밸브(68)는 흡입행정을 하는 동안 흡입로(17)를 개방하기 위하여 그 밸브시이트(71)로부터 제거되고 상부로 굽힌다.
또는, 흡입밸브는 제ㅐ3도에 도시되고, 본인의 미국 특허 제14,050,613호에서 도시된 것과 유사하게 나비밸브(72)로 이루어지거나 분젠밸브 또는 다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피스톤 슬리이브(66)는 직립기둥(65)과 밀폐되도록 맞물림하며 직립기둥(65)에 요설되어 있는 환상의 홈(74)속으로 퍼지는 환상의 리브(73)에 의해서 지지된다. 작은 직경을 한 기둥(75)의 상단부는 하부에서 상부로 향하여 내측에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는 회부 원추형면을 이루고 있으며(너무 경미해서 명확히 도시되지 않음), 밸브 슬리이브의 상부를 둘러싸서 테이터로 일치되는 밸브 슬리이브는 어느정도 약간 조립체를 제공하여 펌프실(26)로부터 압축손실을 안전하게 하는 환상의 분젠밸브의 방식에 있어서 두개의 부재 사이에 견고한 밀폐부가 제공되는 것을 알수 있다. 또한, 펌프실(26)의 압력은 이러한 밀폐부의 안정성으로 증가하게 된다.
또한 피스톤 스커어트(37)는 피스톤 조립을 쉽게 할 수 있도록 기둥 상단부(75)상에 내측면에서 외부적으로 넓어져 있고 특히 중액(重液: heavy liquid)과 반고체(semi-solid)를 양수할때 흡입 행정시 펌프실(26)로 공기가 인입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환상의 분젠 밸브의 방식으로 펄프 동체(11)에 형성되어 있는 원추형벽(77)과 이렇게 아랫쪽이 퍼진 플레아 스커어트(flared skirt)가 밀폐될 수 있도록 맞물림되어 있기 때문에, 피스톤에 대한 축방향 복원성을 제공한다. 협동하는 스커어트(37)와 원통형 벽(38)은 모두가 플린저 헤드(31)하부와 플린저(25) 및 원통형 벽(15)의 외부적으로 공기실(78)을 제공한다.
축의 리브(79)는 원통형 벽(38)의 내주면 아랫쪽에 위치하고 있다. 펌프는 본인의 미합중국 출원 제121,223호의 도면 제3도를 참조해서 설명된 것과 같은 방법으로 작동되며, 폐쇄컵(13)을 형성하고 있는 펌프동체(11)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견고하고 내구성이 있는 재료로 형성되며, 한편으로는 피스톤 스커어트는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같은 부드럽고 보다 유연성이 있는 재료로 형성되고, 이들은 상기 실시예에서 참조로 설명된 모적을 위해서 이루어진다.
마찬가지로, 플런저 헤드(31)는 펌프동체와 같이 견고하고 내구성이 있는 재료로 형성되며, 한편으로는 플런저(25)는 상기한 실시예에서 부드럽고 보다 유연성이 있는 피스톤 스커어트(76)와 같은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덧붙여서, 제2도 및 제3도의 실시예에서 나타내고 있는 펌프동체(11)에는 정지어깨(36)가 형성된 직립원통형 벽(38)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플러저 헤드(31)와 펌프 동체(11)를 만들고 있는 더 견고한 재료가 이러한 부품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제4도에 도시한 분배펌프(10C)는 제3도에 도시한 것과 유사한 디프관(18)을 관삽한 직립기둥(65)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피스톤 글리이브(66)는 원통형 벽(15)과 일체로 이루어지며, 그 하단부가 코르크형 시일로 형성되어 있는 펌프동체(11)의 컵 형탤고 된 위치(81)내부에 앉혀지게 된다.
환상플랜지(82)는 원통형 벽(15)의 바깥둘레 사방으로 연장되며, 폐쇄컵(13)의 상부 표면을 혹실하게 누른다. 귀환 스프링(27)은 피스톤 부재를 밀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플랜지(82)와 플런저(25)의 어깨(83)사이에 탄력 설치하고, 또한 헤드 스커어트 비이드(35)를 펌프 동체(11)의 저지용 비이드(36)에 의지해서 밀폐되도록 유지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플렌저 헤드(31)에 형성되어 있는 환상의 링(8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환상의 토출밸브 플랜지(85)가 맞물림하고 있기 때문에 토출밸브(43)는 폐쇄되어서 밀폐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피스톤 부재의 하단부와 컵 형태로 된 위치(81)와의 사이에 존재하는 코르크형시이일에 부가하여서, 밀폐수단으로는 텅과 구루으브(tongue-groove)를 배치하ㅓ나 세브론(chevron)등과 같은 그러한 밀폐용 턱은 폐쇄캡(13)상부 표면과 플랜지(82)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제3도의 밸브와 유사한 흡인 포피트 밸브(68)는 피스톤 슬리이브의 상단부에 제공되어 있고, 일체의 밸브스프링(86)에 의하여 밸브 시이트(71)에 대해 설치된 위치로 탄동되어 밀어지게 된다. 굴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환상의 립 시일(87)(88)은 각기 피스톤(66)과 기둥(65)에 연설되어 있으며, 압축행정을 하는 동안에 펌프실(26)속으로 공기가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밀폐되도록 서로 맞물림이 되어 있다.
또한, 플래퍼 밸브, 분젠밸브 등과 같은 그러한 다른 밸브의 형상도 밸브와 밸브시이트 사이에 회전작용을 필요로 하지 아니하게 되므로, 조립되기에 적합하면, 그 밸브는 밸브와 시이트 중간면의 자리잡고 있는 상대적인 넓이와 밸브 지지재들의 탄발력에의해서 폐쇄되도록 밀어진다. 제4도에 구현된 것과 같이, 원통형 벽(15)은 그 상부(15a)가 원통형이어서, 통풍실(49)은 통풍 밀폐부(48)에 의하여 대기와는 통풍실(49)이 통풍 밀폐부(48)와 접촉하고 있는동안 폐쇄되는 것이 유지된다.
원통형 벽(15)은 그 하부(15b)에서 환상의 범위에 따라 점차 외부적으로 연장하여서 점차 넓어지는 환상간극은 플런저(25)가 외관상의 점선 위치까지 뻗어 내려오게 되면 통풍 밀폐부(48)와 그 하부 내측면 사이에 형성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컨테이너는 통풍구(24)(89)를 통과해서 개방된 통풍실(49)을 통하여 정지어깨와 정지리브(35)(36)사이에 밀폐되지 아니한 맞물림 부를 통하여 대기와 연통된다.
또한, 상기 실시에서와 같이, 폐쇄캡(13)과 직립 피스톤을 구비한 펌프동체(11)는 원통형 벽(15)이 설치되어 있는 피스톤 부재보다 견고하고 내구적인 재료로 이루어지고 있다. 마찬가지로, 플런저 헤드(31)는 플런저(25)에 비하여 보다 견고하고 내구성의 재료로 만들어진다.
제5도에는 1982년 8월 10일자의 본인의 미합중국 특허 제4,343,417호의 제1도에서 도시된 펌프와 같은 분배펌프(10D)가 도시외어 있다. 그리고, 펌프(10C)는 본질적으로 환상의 제어부재(91)에 각기 설치되어 있는 협동하는 돌출부(92)(93)수단에 의해서 펌프동체에 상대적인 회전 이동을 위하여 별개의 피스톤 부재로 없어서는 안되도록 형성된 환상의 제어부(91)와 다른 형태의 흡입밸브를 제외하고는 제4도의 펌프(10C)와 동일하다.
제어부(91)는 그 하부에 확대된 직경(94a)을 형성하고 있는 원통형의 벽(94)을 지니고 있다.
통풍 밀폐부(48)는 제5도의 플런저(25)가 완전히 상승하여서 폐쇄된 위치에서 원통형의 벽(94) 내주면과 맞물림하여 통풍실(49)을 폐쇄시키고 통풍구(24)(89)를 통해서 그리고 플런저가 이러한 위치에서 놓일때 펌프 밖으로 컨테이너로부터 유체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플런저 헤드(31)가 풀리고 플런저(25)가 왕복 운동을 하는 동안에 통풍 밀폐부(48)는 확대된 직경(94a)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서 그와 함께 통풍실(49)을 개방하고 컨테이너 통풍을 용이하게 하도록 환상의 간극을 제공한다.
중앙부재는 환상의 링(95)과 환상의 링(95)에 매달리고 있는 외부 원통형의 벽(96)을 포함하며, 횡으로 연장되는 환상의 벽(97)은 원통형의 벽(94)(96)을 연결하여서 폐쇄캡(13)의 표면에 놓인다. 더우기, 제어부(91)는 보올 지지돌기(98)가 분배작업으로 충만하여 지도록 흡입작용을 하는 동안에 보올 체크밸브(99)을 포함할 수 있도록 그 상단부에 제공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4도의 피스톤(66)과 동일한 관형 피스톤 투환(66)을 포함한다.
이러한 보올체크밸브(99)는, 분배작업을 하는 동안에 흡입구를 폐쇄하기 위하여 플런저(25)가 압축행정을 하는 동안 피스톤 투환(66) 상단부에 제공된 흡입 밸브시이트(101)에 기대어 충분히 얹어져 있다.
플런저 스커어트(37)의 하부연(102)은 플런저(25)를 둘러싸고 있는 환상의 정지어깨(35)를 제공하며, 제5도에 도시된 플런저(25)가 와전히 상승해서 돌충된 위치에서 정지어깨(35)가 본인의 미합중국 특허 제4,343,417호에서 상세히 설명된 폐쇄수단과 공동 동작을 하기 위하여 미리 예정된 높이에 둔다. 간단히 말하면, 고정부(103)는 펌프 동체의 직립벽(105) 내주면에 대하여 돌림띠형으로 그 기부(104)에 첨부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부(103)는 동일한 간격으로 떨어져 있고, 제5도의 플런저 헤드가 고정위치에 있을때 정지어깨(35)와 맞물림으로 인접하여 있는 자유단을 지닌다.
플런저(25)의 왕복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플런저헤드(31)를 풀고 고정부(103)는 현수 플랜지(106)와 원통형의 벽(96)사이에 폐쇄된캠슬럿을 통하여 연장되고, 캠슬럿에 형성되어 있는 대향연부(107)(108)는 제어부(91)의 회전운동에 관해서 플런저를 풀기 위하여 각 고정부(103)를 외부적으로 움직이게 하는 원인이 되고, 또한 플런저를 폐쇄하기 위하여 내부적으로 움직이게 하는 원인이 된다.
직립기둥(65)에 대한 관형 피스톤(66)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에도 불구하고 제어부(91)가 작동하면, 테이퍼진 환상의 플랜지(립 시일)(87)(88)들의 안쪽 맞물림으로 인하여 펌프실(26)로부터 발생하는 압력의 손실을 방지하는 효과적인 회전밀폐를 제공한다.
상기한 각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5도의 펌프동체(11)는 폐쇄캡(13)과 직립기둥(65)을 포함하며, 견고하고 내구성의 재료로 만들어지며, 반면에 피스톤 슬리이브(66)와 일체로 형성된 제어부(91)는 보다 유연성 있고 부드러운 재료로 만들어진다.
더구나, 플런저헤드(31)는 펌프동체(11)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견고한 재료로 만들 수 있으며, 플런저(25)는 상기한 부드럽고 보다 유연성이 있는 재료로 만들어진다. 제6도는 본인의 미합중국 특허 제4,343,417호의 제3도와 같으며,제1도와 비교하면 중공된 피스톤 부재(16)가 직접 디프관(18)을 지지한다.
원통형 벽(15)으로부터 연장하는 플랜지(145)는 펌프동체의 내측으로 연장하는 플랜지(109)위에 놓이고, 예를들어, 플랜지(109)에 자리잡고 있는 환상의 홈(112)속으로 들어가도록 플랜지(14)이면에 돌출한 환상의 밀폐부(62)와 같이 밀폐되도록 맞물림 된다.
제어링(113)은 폐쇄캡(13)위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폐쇄컵(13)상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부(103)는, 고정부(103)의 상단부가 제어부(91)의 밑바닥에 제공되어 있는 캡홈에 맞물림이 되었을때 하연부(102)와 서로 맞물림 되거나 맞물림 되었던 것이 벗어나도록 이동이 되는 다른쪽을 향하여서 연장하고 있는 고정 발톱(114)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펌프동체와 피스톤을 별개로 형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거하여 상기 여러가지로 언급된 목적으로 견고하고 부드러운 재료로 만들어진다. 또한 플런저 헤드와 플러ㅈ저도 이상에서 각기 언급한 이유로 유사하게 견고하고 부드러운 재료로 만들어진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또다른 분배펌프는 단지 본인이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469, 118호에서도 도시된 것과 같이 임의로 폐쇄하고 또는 해제할 수 있는 플런저 헤드배치는 펌프(10E)와 다른 펌프(10F)로 제7도에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링(116)은 상호 회전운동을 하기 위하여 폐쇄캡(13)에 연결되고 폐쇄캡(13)의 상부 표면에 요설된 캡홈 속으로 돌출하고 있는 부수적 고정부(117)을 지니며, 이러한 상부 표면은 제어링(116)의 상부 표면의 밑바닥에 요설된 캡홈 속으로 들어가는 직립고정부(118)를 지니고 있다.
플런저 헤드의 폐쇄상태는 제7도의 좌측에 도시되어 있고, 플런저의 해제상태는 제7도의 좌측에 도시되어 있고, 플런저의 해제상태는 제7도의 우측에 도시되어 있다.
원통형 벽(15)은 원통형(15C)으로 형성되도록 대립하는 벽의 단부사이에 놓여있는확대된 내부 직경을 지닌다. 제7도의 좌측과 우측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통풍스커어트(47)는 플런저 헤드가 완전히 상승된 위치와 내려 눌려진 위치에서 각각 원통형 벽(15)의 내주면과 맞물림으로 접동하여서 통풍실(49)을 폐쇄시키고, 플런저가 이러한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펌프를 통하여 밖으로 컨테이너로부터 통풍구(24)를 통하여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플런저가 왕복운동을 하는 동안 통풍 밀폐부(48)는 통풍밀폐부와 틈이 형성되는 큰 직경(15C)에 나란히 놓여 있을 때 통풍실(49)이 개방되어서 개방된 통풍실(49)을 제공한다.
여러가지 통풍구(24), (15b), (94a)와 폐쇄부(15C)는 소개된 몇개의 펌프중에서 서로 교체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술된 것으로부터, 보다 유연성을 지니는 피스톤 부재는 두개의 부품이 별개이고 다른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다른 재료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폐쇄캡을 지니는 펌프동체를 만드는 데 필요한 재료의 선택에 제한을 받지 않고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른 요구를 만족시키는 다른 재료로 유사하게 만들어지는 플런저 헤드와 플런저에도 같은 조건이 적용된다. 피스톤 립시일(58)(67)과 통풍 밀폐부(48)는 보다 유연성을 지녀서 유동체가 누설되지 아니하는 펌프와 통풍실(49)을 확고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우수한 명확성을 성취할 수 있다.
또한, 직립기둥(65)을 보다 견고한 재료로 만들고 둘러싸고 있는 피스톤 슬리이브(66)를 보다 부드럽고 유연성이 있는 재료로 만들어진 이러한 펌프에서는 이들 부품간에 유동체가 누설되지 아니하도록 제5도에서와 같이 이들 부품간에 상태 회전 운동에 관계없이 유사하게 보장된다. 더구나, 피스톤을 폐쇄캡과 별개로 만들어져서 여러가지 흡입 밸브 형태가 피스톤과 같이 결합될 수 있으며, 이들 밸브는 보올 체크 밸브, 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밸브 슬리이브, 플래퍼 밸브를 포함한 가용성 밸브, 원형분젠 밸브 등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링을 구비하고 있으나 그렇지 않거나 피스톤은 흡입밸브, 통풍 슬리이브, 회전시일 등 부가적인 기능을 작ㄷ고 있는 플런저의 폐쇄하다 또는 해제하다는 두가지의 능력을 갖고 있는 분배 펌프의 여러가지 형태로 이루어진다.
명백하게, 본 발명의 다른 변형과 수정은 상술한 내용으로부터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영역 속에서 특별히 실명된 것이외에 이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28은 받침대, 42는 환상의 홈

Claims (13)

  1. 펌프 조립체는(10)는 펌프동체(11)와 별개의 피스톤부재로 구성하고, 펌프동체(11)는 분배되어야 하는 유동성 유체가 들어있는 컨테이너의 구부와 유동체가 누실되지 아니하도록 연결한 펌프조립체(10)을 안전하게유지시키기 위하여 폐쇄캡(12)(13)을 포함하며, 펌프조립체(10)는 컨테이너 통풍구(24)가 그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피스톤(16)(57)은 펌프동체(11)와 밀폐가 되도록 맞물림되며, 그 중심축을 따라 놓여있고, 플런저 수단은 완전히 상승된 위치로 탄발되어서 몰아내는 환상의 를린저(25)로 구성되며, 플런저(25)는 피스톤 부재(16)(57)와 접동하여 왕복운동을 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는 가변성 체적 펌프실(26)이 설치되어 있고, 피스톤 부재(16)는 흡입밸브(21)를 포함하며, 플런저 수단은 플런저 헤드(31)로 구성되는데, 플런저 헤드(31)는 플러저(25)에 접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고 플러저 헤드(31)가 왕복운동을 할때 펌프실(26)내의 압력 변화로 플린저(25)에 의하여 개폐하기에 적합한 토출로(39)를 구비하고 있으며, 펌프조립체(10)와 플런저 헤드(31)는 완전히 상승된 위치에서 플런저 헤드(31)를 제한하는 협동수단을 포함하며, 피스톤(16)은 플린저(25)와 밀폐되도록 맞물림하는 환상의 립시일(23)이 포함되어 있으며, 펌프 조립체(10)는 피스톤 부재와 떨어져서 피스톤 부재를 둘러써서 그와 함께 통풍구(24)가 개설된 통풍실(49)을 제공하고, 원통형 벽(15)을 이루고있는 플런저(26)가 상승된 위치에 있는 동안과 플런저(25)가 최초로 하향 행정 왕복운동을 하는 동안에 통풍실(49)을 폐쇄시키기 위하여 원통형 벽(15)의 내주면과 밀폐되도록 맞물림하는 플런저수단(25)에환상의 통풍밀폐부(48)가 형성되고, 이 통풍 밀폐부(48)는 플런저(25)의 하향 행정 왕복운동이 더욱 징행되면 통풍실(49)을 개방시키기에 적합하고, 플런저 헤드(31)와 펌프동체(11)는 각기 미리 결정한 경도, 내구도 및 강도를 구비한 제1재료로 만들어지고, 피스톤(16)과 플런저(25)는 각기 제1재료보다 부드럽고 유연성이 있는 제2 재료로 만들어지며, 따라서 환상의 립 시일(23)과 플런저(25)사이와, 통풍밀폐부(48)와 원통형 벽(15)간의 맞물림으로 밀폐상태를 높여서 통풍실(49)로 부터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축적 분배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피스톤 부재는 흡잊로(17)를 제공하는 중공된 피스톤(16)으로 구성되며, 펌프동체(11)와 맞물림으로 밀폐되어 있는 원통형 벽(15)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축적 분배펌프.
  3. 제1항에 있어서, 펌프동체(11)는 굴대형태와 같이 부설된 직립관형 기둥(53)을 포함하고 직립관형 기둥(53)에는 흡입로(17)가 개설되어 있고, 피스톤은 펌프실(26) 내의 압력의 변화에 상응하여서 흡입로(17)를 개폐할수 있도록 직립관형 기둥(53)에 축방향으로 가동할 수 술리이브 부재(57)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축적 분배펌프.
  4. 제3항에 있어서, 직립관형 기둥(53)은 내측에 흡입공(56)이 설치되고 그 상단부에는 원추형 벽(54)을 지니고있으며, 흡일밸브(54)는 흡입공(56)을 개폐하기 위한 원추형 벽(54)과 이어 붙는 표면이 울퉁불퉁한 원추형 절두체의 환상 플랜지(59)(6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축적 분배펌프.
  5. 제4항에 있어서, 직립관형 기둥(53)의 하부에는 환형의 정지어깨(64)가 형성되어 있으며, 슬리이브(57)의 하단부는 슬리이브(57)가 밸브식으로 폐쇄된 위치에서 정지어깨(64)와 맞물림하여서 밀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축적 분배펌프.
  6. 제3항에 있어서, 펌프동체(11)는 원통형 벽(15)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축적 분배펌프.
  7. 제1항에 있어서, 펌프동체(11)는 굴대처럼 부실된 직립관형 기둥(53)을 지니고 있으며, 직립관형 기둥(53)에는 흡입로(17)가 개설되어 있으며, 피스톤은 직립관형 기둥(53)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슬리이브 형 피스톤(57)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직립 기둥(65)의 상단부는 밸브 시이트(71)가 제공하고, 흡입밸브(68)는 그속에 흡입공(69)이 개설되어 있는 환상의 탄성 분젠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축적 분배펌프.
  8. 제7항에 있어서, 직립기둥(65)과 슬리이브(57)의 하단은 플런저(25)의 흡입 행정을 하는 동안에 공기의 인입을 막아 펌프실(26)을 밀폐시키기 위하여 중앙축으로 부터 외측으로 벌어진 원추형면과 밀폐식으로 맞물림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축적 분배펌프.
  9. 제1항에 있어서, 펌프동체(11)는 굴대처럼 부설된 직립기둥(65)을 포함하며 직립기둥(65)에는 흡입로(17)가 개설되어 있고, 피스톤(57)은 직립기둥(65)에 장착되어 있는 슬리이브형 피스톤(66)으로 이루어지며, 직립기둥(65)의 상단부에는 밸브 시이트(71)가 설치되어 있으며, 흡입밸브(68)는 가요성 플랩밸브(7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축적 분배 펌프.
  10. 제7항에 있어서, 슬리이브(66)는 플런저(25)의 흡입행정을 하는 동안에 공기의 인입을 막아서 펌프실(26)을 밀폐시키기 위하여 환상의 패킹 시일(67)을 제공하는 직립기둥(65)과 맞물림 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축적 분배펌프.
  11. 제9항에 있어서, 피스톤(66)은 원통형 벽(94)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축적 분배 펌프.
  12. 제7항에 있어서, 피스톤(66)은 원통형의 벽(94)과 폐쇄링(95)을 포함하며, 피스톤(66)은 직립기둥(65)에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며, 슬리이브(66)는 환상의 패킹 시일(67)을 제공하는 직립기둥(65)과 맞물림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축적 분배펌프.
  13. 제2항에 있어서, 겹쳐진 환상의 플랜저(14)는 원통형의 벽(15)과 펌프동체(11)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며, 플랜지(109)에 요설되어 있는 환상의 홈(112)은 다른 플랜지(14)에 돌설된 환상의 링(62)을 끼워 넣기 하고 있으며, 피스톤(16)과 펌프동체(11) 사이의 밀폐되는 맞닿음 접합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축적 분배 펌프.
KR1019840003200A 1983-06-08 1984-06-08 유연성의 피스톤을 겸비한 수동식 분배펌프 KR8800011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02,273 1983-06-08
US502.273 1983-06-08
US06/502,273 US4511065A (en) 1980-02-13 1983-06-08 Manually actuated pump having pliant pist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0600A KR850000600A (ko) 1985-02-28
KR880001135B1 true KR880001135B1 (ko) 1988-07-01

Family

ID=23997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3200A KR880001135B1 (ko) 1983-06-08 1984-06-08 유연성의 피스톤을 겸비한 수동식 분배펌프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4511065A (ko)
JP (1) JPS6069269A (ko)
KR (1) KR880001135B1 (ko)
BE (1) BE899870A (ko)
CA (1) CA1238022A (ko)
DE (1) DE3421069A1 (ko)
DK (1) DK274784A (ko)
FR (1) FR2547364A1 (ko)
GB (1) GB2141186A (ko)
GR (1) GR81572B (ko)
IT (1) IT1178393B (ko)
LU (1) LU85399A1 (ko)
NL (1) NL840181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0443A (en) * 1983-06-08 1987-02-03 Corsette Douglas Frank Manually operated dispensing pump
US4938392A (en) * 1988-11-29 1990-07-03 Su Cheng Yuan Anti-leakage structure for a liquid atomizer
DE4035663A1 (de) * 1990-11-09 1992-05-14 Pfeiffer Erich Gmbh & Co Kg Austragvorrichtung fuer medien
US5505343A (en) * 1994-10-19 1996-04-09 Knickerbocker; Michael G. Manually actuated pump
US5503306A (en) * 1994-10-19 1996-04-02 Aptar Group, Inc. Manually actuated pump
US5697530A (en) * 1996-01-29 1997-12-16 Monturas, S.A. Precompression pump sprayer
JP3697012B2 (ja) * 1996-03-22 2005-09-21 株式会社三谷バルブ 往復ポンプタイプの噴出器
US5829640A (en) * 1996-09-06 1998-11-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ensing pump
EP0867229A1 (en) * 1997-03-28 1998-09-30 Guala Dispensing S.P.A. Manually operated pump sprayer with liquid-tight venting means
FR2781463B1 (fr) 1998-07-24 2000-09-15 Oreal Pompe a reprise d'air
FR2781464B1 (fr) * 1998-07-24 2000-09-15 Oreal Pompe a clapet de refoulement comportant une bille
USD419877S (en) * 1998-12-03 2000-02-01 Owens-Illinois Closure Inc. Liquid dispenser
FR2816375B1 (fr) 2000-11-07 2003-04-11 Oreal Pompe pour la distribution d'un produit, notamment un produit cosmetique ou de soin
WO2002057153A1 (fr) * 2001-01-22 2002-07-25 Chiuhung Fan Bouchon retractable etanche a l'eau pour flacon a pompe contenant du shampooing
FR2871786B1 (fr) * 2004-06-16 2007-08-10 Valois Sas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DE102005009295A1 (de) * 2004-07-13 2006-02-16 Ing. Erich Pfeiffer Gmbh Dosiervorrichtung für Medien
FR2879567B1 (fr) * 2004-12-17 2007-01-26 Seriplast Sa Sa Flacon en matiere synthetique equipe d'une pompe
US20060231580A1 (en) * 2005-04-13 2006-10-19 Sonoco Development, Inc. Twist lock fluid dispensing valve
US7337930B2 (en) * 2005-05-20 2008-03-04 Gotohti.Com Inc. Foaming pump with improved air inlet valve
FR2894633B1 (fr) * 2005-12-14 2011-08-26 Rexam Dispensing Smt Pompe a chemise coulissante
FR2919275B1 (fr) * 2007-07-24 2012-04-27 Valois Sas Organe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US7857172B2 (en) * 2008-06-09 2010-12-28 Wilmar Corporation Pump mountable on two sizes of container
GB201011143D0 (en) 2010-07-01 2010-08-18 Rieke Corp Dispensers
GB201011144D0 (en) * 2010-07-01 2010-08-18 Rieke Corp Dispensers
US8714859B2 (en) * 2011-07-26 2014-05-06 Raytheon Company Clamping assembly that acts as an interface between two components
GB201212042D0 (en) 2012-07-05 2012-08-22 Rieke Corp Pump dispensers
CN108394638B (zh) * 2017-02-07 2019-04-26 丁要武 按压泵
CN113924169B (zh) * 2019-04-02 2023-06-09 里克包装系统有限公司 具有芯撑通气口和珠式密封件的锁定泵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44413A (en) * 1959-09-21 1962-07-17 Drackett Co Pump pistons
US3527551A (en) * 1968-08-05 1970-09-08 Louis F Kutik Valve system for pump
US4155485A (en) * 1975-07-21 1979-05-22 Spatz Corporation Pump devices for dispensing fluids
US4050613A (en) * 1976-08-31 1977-09-27 Corsette Douglas Frank Manual actuated dispensing pump
US4183449A (en) * 1978-01-09 1980-01-15 The Afa Corporation Manually operated miniature atomizer
US4402432A (en) * 1980-02-13 1983-09-06 Corsette Douglas Frank Leak-proof dispensing pump
US4343417A (en) * 1980-02-13 1982-08-10 Corsette Douglas Frank Dispensing pump locking means
US4496082A (en) * 1981-12-18 1985-01-29 Corsette Douglas Frank Liquid dispensing pump
US4410107A (en) * 1981-12-18 1983-10-18 Corsette Douglas Frank Liquid dispensing pu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R81572B (ko) 1984-12-11
GB8414293D0 (en) 1984-07-11
FR2547364A1 (fr) 1984-12-14
DK274784D0 (da) 1984-06-01
US4511065A (en) 1985-04-16
NL8401812A (nl) 1985-01-02
IT8448323A0 (it) 1984-06-06
DK274784A (da) 1984-12-09
DE3421069A1 (de) 1984-12-13
IT1178393B (it) 1987-09-09
JPS6069269A (ja) 1985-04-19
GB2141186A (en) 1984-12-12
KR850000600A (ko) 1985-02-28
LU85399A1 (fr) 1984-11-30
BE899870A (fr) 1984-10-01
CA1238022A (en) 1988-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1135B1 (ko) 유연성의 피스톤을 겸비한 수동식 분배펌프
KR100326905B1 (ko) 수밀부재를구비한액체분배펌프
US20190045906A1 (en) Foundation container having discharging pump having short stroke distance and content diffusion member
KR870001170B1 (ko) 액체분배펌프
EP0953381B1 (en) Fluid pump dispenser
US4410107A (en) Liquid dispensing pump
US3452905A (en) Self-sealing leak-proof pump
US4458832A (en) Liquid dispensing pump
RU2505465C2 (ru) Раздаточный контейнер
US3391647A (en) Liquid dispensing pump
US3991914A (en) Easily assembled, leakproof liquid dispensing pump
KR920009588B1 (ko) 디스펜싱 펌프(dispensing pump)
US4389003A (en) Sliding inlet seal for an atomizing pump dispenser
US4033487A (en) Double trigger pump
US5042694A (en) Dispenser for pasty compositions
JPS6157066B1 (ko)
CZ288430B6 (en) Precompression pump sprayer
JPH0645373B2 (ja) チューブ、びんおよび同様の容器の密閉装置
US4056216A (en) Liquid dispensing pump automatically sealable against leakage
JP2017535422A (ja) ポンプディスペンサ
KR102123187B1 (ko) 펌프 용기
US3608788A (en) Fluid-dispensing pump
US4227628A (en) Fluid dispensing pump having axially deformable valve
CA2167799A1 (en) Lever-operated pump
US2963265A (en) Dispensing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