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9998A - 교통정보 예측 시스템, 그 교통정보 예측 장치 및 교통정보 예측 방법 - Google Patents

교통정보 예측 시스템, 그 교통정보 예측 장치 및 교통정보 예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9998A
KR20120049998A KR1020100111279A KR20100111279A KR20120049998A KR 20120049998 A KR20120049998 A KR 20120049998A KR 1020100111279 A KR1020100111279 A KR 1020100111279A KR 20100111279 A KR20100111279 A KR 20100111279A KR 20120049998 A KR20120049998 A KR 20120049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information
road section
information
terminal
predi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1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8118B1 (ko
Inventor
이범식
김광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1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8118B1/ko
Publication of KR20120049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9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통정보 예측 시스템, 그 교통정보 예측 장치 및 교통정보 예측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예측교통정보를 생성하고자 하는 도로 구간으로 진입하거나 도로 구간에서 진출하는 휴대 단말의 수를 카운트하고, 카운트값을 이용해 도로 구간의 교통정보를 보정하여 예측교통정보를 생성하며, 예측교통정보를 전송하는 구성을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르면 도로 구간의 차량의 수를 고려해 실시간 교통정보를 보정함으로써, 현재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반영할 수 있어 정확한 교통 정보의 예측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교통정보 예측 시스템, 그 교통정보 예측 장치 및 교통정보 예측 방법 {System for forecast of traffic information, device for forecast of traffic information and method for forecast of traffic information}
본 발명은 교통정보를 예측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로 구간의 차량의 수를 고려해 실시간 교통정보를 보정하여 미래의 교통정보를 예측하는 교통정보 예측 시스템, 그 교통정보 예측 장치 및 교통정보 예측 방법에 관한 것이다.
네비게이션 시스템(navigation system)은 사용자의 요청에 의거하여 특정지역에 대한 실시간 교통정보 또는 그 실시간 교통정보를 이용한 소정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실시간 교통정보는 사용자의 교통정보요청이 발생된 시점의 교통정보를 말한다.
다만, 교통정보는 시시각각 변화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실시간 교통정보를 이용한 최적 경로를 주행하여 임의의 지점에 이르렀을 때 그 지점에서의 실시간 교통정보는 교통정보요청이 발생된 시점과는 다르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초기에 제공받은 교통정보는 그 효용성이 떨어진다.
이를 방지하게 위해 종래에는 과거의 교통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임의의 지점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점에 그 임의의 지점에서의 실시간 교통정보를 생성하고 그에 의거한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차량으로부터 초기경로가 전달되면 실시간 교통정보와 과거 교통데이터를 이용하여 초기경로정보에 관한 예측교통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현재의 요일 및 시간 등에 해당되는 과거 교통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초기경로정보에 포함된 경로들 각각을 주행할 것으로 예측되는 시점에 해당 경로의 주행 속도 등을 예측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예측 경로 안내 방법은 과거 교통데이터(일명, 교통 통계 데이터)와 실시간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예측교통정보 및 예측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해당 예측교통정보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많아질수록 예측된 교통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된 최적경로의 예측값 오차가 점점 커지게 된다.
즉, 종래의 예측 경로 안내 방법은 미래의 특정 시간대에 특정 구간의 이동 소요시간이 가장 짧을 것으로 예측되는 경로를 이용하여 예측최적경로를 산출한 후 해당 경로안내를 요청한 모든 사용자들에게 동일하게 제공한다. 따라서 그 예측최적경로를 제공받은 많은 사용자들이 동시에 임의의 구간을 이용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로 인해 해당 구간의 이동 소요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도로 구간으로 진입하거나 도로 구간으로부터 진출하는 차량의 수를 고려해 실시간 교통정보를 보정하여 미래의 교통정보를 예측하는 교통정보 예측 시스템, 그 교통정보 예측 장치 및 교통정보 예측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교통정보 예측 시스템은, 예측교통정보를 생성하고자 하는 도로 구간으로 진입하거나 도로 구간에서 진출하는 휴대 단말의 수를 카운트하고, 카운트값을 이용해 도로 구간의 교통정보를 보정하여 예측교통정보를 생성하며, 예측교통정보를 전송하는 예측교통정보 생성 장치 및 예측교통정보 생성 장치로부터 예측교통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휴대 단말을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교통정보 예측 장치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부, 도로 구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예측교통정보를 생성하고자 하는 도로 구간으로 진입하거나 도로 구간에서 진출하는 휴대 단말의 수를 카운트하고, 카운트값을 이용해 도로 구간의 교통정보를 보정하여 예측교통정보를 생성하며, 예측교통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교통정보 예측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도로 구간과 동일 선상인 도로 구간을 제외한 이외 도로 구간을 이동하는 휴대 단말의 수를 카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교통정보 예측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통신망을 통해 휴대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고, 휴대 단말의 수를 카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교통정보 예측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고속도로의 통행료를 무선 통신으로 지불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부터 휴대 단말의 통행 정보를 수신하여 휴대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고, 휴대 단말의 수를 카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교통정보 예측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휴대 단말로부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통해 확인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휴대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고, 휴대 단말의 수를 카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교통정보 예측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도로 구간 및 도로 구간의 이전 또는 이후 구간의 도로 구간 정보를 이용하여 예측교통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교통정보 예측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교통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휴대 단말로부터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면, 생성한 예측교통정보를 반영하여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단말 송수신부, 정보 표현을 위한 단말 출력부, 도로 구간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 저장부 및 도로 구간의 교통정보 및 도로 구간으로 진입하거나 도로 구간에서 진출하는 휴대 단말의 수를 카운트한 카운트값을 수신하면, 카운트값을 이용해 도로 구간의 교통정보를 보정하여 예측교통정보를 생성하고, 예측교통정보를 출력하는 단말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에 있어서, 단말 제어부는 도로 구간 및 도로 구간의 이전 또는 이후 구간의 도로 구간 정보를 이용하여 예측교통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은, 정보 입력을 위한 단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단말 제어부는 단말 입력부를 통해 목적지를 입력 받으면, 생성한 예측교통정보를 반영하여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교통정보 예측 방법은, 교통정보 예측 장치가 예측교통정보를 생성하고자 하는 도로 구간으로 진입하거나 도로 구간에서 진출하는 휴대 단말의 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트 단계, 교통정보 예측 장치가 카운트값을 이용해 도로 구간의 교통정보를 보정하여 예측교통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단계 및 교통정보 예측 장치가 예측교통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교통정보 예측 방법에 있어서, 카운트 단계는, 교통정보 예측 장치가 도로 구간과 동일 선상인 도로 구간을 제외한 이외 도로 구간을 이동하는 휴대 단말의 수를 카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교통정보 예측 방법에 있어서, 카운트 단계는, 교통정보 예측 장치가 통신망을 통해 휴대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고, 휴대 단말의 수를 카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교통정보 예측 방법에 있어서, 카운트 단계는, 교통정보 예측 장치가 고속도로의 통행료를 무선 통신으로 지불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부터 휴대 단말의 통행 정보를 수신하여 휴대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고, 휴대 단말의 수를 카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교통정보 예측 방법에 있어서, 카운트 단계는, 교통정보 예측 장치가 휴대 단말로부터 GPS 신호를 통해 확인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휴대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고, 휴대 단말의 수를 카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교통정보 예측 방법에 있어서, 생성단계는, 교통정보 예측 장치가 도로 구간 및 도로 구간의 이전 또는 이후 구간의 도로 구간 정보를 이용하여 예측교통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교통정보 예측 방법에 있어서, 전송단계는, 교통정보 예측 장치가 교통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휴대 단말로부터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면, 생성한 예측교통정보를 반영하여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산출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교통정보 예측 방법은, 휴대 단말이 도로 구간의 교통정보 및 도로 구간으로 진입하거나 도로 구간에서 진출하는 휴대 단말의 수를 카운트값을 수신하는 수신단계, 휴대 단말이 카운트값을 이용해 도로 구간의 교통정보를 보정하여 예측교통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단계 및 휴대 단말이 예측교통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교통정보 예측 방법에 있어서, 생성단계는, 휴대 단말이 도로 구간 정보 및 도로 구간의 이전 또는 이후 구간의 정보를 이용하여 예측교통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교통정보 예측 방법에 있어서, 출력단계는, 휴대 단말이 목적지를 입력 받으면, 생성한 예측교통정보를 반영하여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산출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로 구간으로 진입하거나 도로 구간으로부터 진출하는 차량의 수를 고려해 실시간 교통정보를 보정함으로써, 현재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반영할 수 있어 정확한 교통 정보의 예측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예측된 교통정보를 반영하여 최적의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도로 상의 차량을 분산시켜 도로의 소통 상태를 개선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예측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예측 시스템에서 교통정보 예측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예측 시스템에서 휴대 단말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예측 방법이 적용되는 도로 구간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예측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예측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직접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예측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은 교통정보 예측 장치(10), 휴대 단말(20) 및 통신망(30)을 포함한다.
통신망(30)은 교통정보 예측 장치(10)과 휴대 단말(20)과 간의 데이터 전송, 정보 교환을 위한 통신망을 의미하며, 방송망(broadcast network),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하여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 서비스 및 끊기는 현상이 없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IP망, IP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망을 통합한 아이피망 구조인 All IP망, Wibro(Wireless Broadband)망과, Wi-Fi망을 포함하는 무선랜(Wireless LAN), WPAN, 유선통신망,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및 위성통신망 등과 같이 기존에 알려져 있는 다양한 방식의 네트워크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더하여, 향후 개발 예정인 차세대 통신망이 될 수 있다.
교통정보 예측 장치(10)는 교통정보를 보정하여 미래의 교통정보를 예측하고, 예측된 교통정보를 휴대 단말(20)로 제공하는 장치이다.
교통정보는 도로의 소통 상황에 대한 정보를 말하며, 도로 주변에 설치된 비콘(Beacon) 설치하고 교통정보 수집차량이 통과한 시간을 기반으로 하여 수집하거나, 도로 주변에 설치된 교통량 측정 카메라를 이용하여 수집하거나, 이동통신망, 방송망 등과 같은 기존의 통신망 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을 이용하여 차량에 설치된 단말기의 이동경로와 소요시간을 수집하여 생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존의 알려진 다양한 방법으로 생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교통정보는 일반 도로, 고속 도로 등과 같은 도로의 종류에 따라 원활 또는 지체의 수준을 달리할 수 있다.
이때, 교통정보는 교통정보 예측 장치(10)가 생성할 수도 있으며, 교통정보 예측 장치(10)와 독립적인 교통정보 수집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교통정보는 도로를 일정 단위로 구획을 나누어 도로 구간으로 구분하고, 도로 구간 별로 생성될 수 있다.
교통정보 예측 장치(10)는 교통정보를 예측하고자 하는 도로 구간에 연결된 도로 구간에서 해당 도로 구간으로 진입하거나, 또는 해당 도로 구간에서 연결된 다음의 도로 구간으로 진출하는 휴대 단말(20)의 수를 카운트하고, 교통정보를 예측하고자 하는 도로 구간의 현재 교통정보를 보정함으로써 해당 도로 구간의 미래의 교통정보를 예측한다. 이하, 이러한 방식으로 예측된 교통정보를 예측교통정보라 한다.
이어, 교통정보 예측 장치(10)는 통신망(30)을 통해 휴대 단말(20)로 예측교통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휴대 단말(20)로 교통정보를 예측하고자 하는 도로 구간에 진입하는 휴대 단말(20)의 수를 카운트한 카운트값을 직접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교통정보 예측 장치(10)가 예측교통정보를 전송하는 휴대 단말(20)은 교통정보를 예측하는 도로 구간을 이동 중이거나, 해당 도로 구간으로 진입 또는 해당 도로 구간으로부터 진출하는 휴대 단말에 한정되지 않는다.
휴대 단말(20)은 사용자에게 경로를 안내하면서 교통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단말을 말하며, 교통정보 예측 장치(10)로부터 예측교통정보를 수신하면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교통정보 예측 장치(10)로부터 교통정보를 예측하고자 하는 도로 구간으로 진입하거나 해당 도로 구간에서 진출하는 휴대 단말(20)의 수를 카운트한 카운트값을 수신한 후, 수신한 카운트값을 이용해 교통정보를 보정하여 예측교통정보를 자체적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이때, 휴대 단말(20)은 교통정보 예측 장치(10)로부터 교통정보와 카운트값을 함께 수신할 수 있으나, 교통정보 예측 장치(10)와 독립적인 교통정보 수집 시스템으로부터 교통정보를 수신하고 교통정보 예측 장치(10)로부터는 카운트값만을 수신하여 예측교통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휴대 단말(20)은 휴대폰(mobile phone), 네비게이션(navigation), 스마트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PC 등과 같이 수신한 예측교통정보를 출력하며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단,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술한 예 이외에도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통신이 가능한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예측 시스템에서 교통정보 예측 장치(10)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교통정보 예측 장치(10)는 송수신부(11), 저장부(13), 제어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송수신부(11)는 휴대 단말(20)과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송수신부(11)는 예측교통정보를 휴대 단말(20)로 전송하고, 휴대 단말(20)로부터 출발지,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며 이에 대한 최적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가진다.
저장부(13)는 도로 구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소이다. 도로 구간 정보는 도로 식별정보, 도로의 구간 별 구간 식별정보를 포함하며, 이외 각 도로 구간 별 차선 수, 횡단보도의 존재 여부, 해당 도로 구간으로 진입 또는 진출하는 도로의 유무와 그 도로의 수, 일방통행 도로의 여부 등 도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는 송수신부(11) 및 저장부(13)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어부(15)는 예측교통정보를 생성하고자 하는 도로 구간으로 진입하거나 해당 도로 구간에서 진출하는 휴대 단말의 수를 카운트한다.
이때, 제어부(15)는 휴대 단말(20)의 위치를 확인하여 그 수를 카운트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망, Wibro(Wireless Broadband)망 등과 같이 휴대 단말(2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통신망(30)으로부터 휴대 단말(20)의 핸드오프(Hand Off) 정보, 단말기의 위치등록 정보 등을 수신하여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하이패스(hi-pass)와 같은 고속도로의 통행료를 무선 통신으로 지불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부터 고속도로를 이동하는 휴대 단말에 대한 통행 정보를 수신하여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으며, 휴대 단말(20)로부터 통신망(30)을 통해 휴대 단말(20)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이용하여 확인한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휴대 단말(20)의 위치를 확인하여, 교통정보를 예측하고자 하는 도로 구간으로 진입하거나 해당 도로 구간에서 진출하는 휴대 단말(20)의 수를 카운트 한 후, 이를 교통 정보에 반영하여 예측교통정보를 생성한다.
교통정보는 도로의 소통 상황에 따라 원활에서 지체까지 단계 별로 구분할 수 있으며, 제어부(15)는 해당 도로 구간으로 진입하거나 해당 도로 구간에서 진출하는 휴대 단말(20)의 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 혹은 이하인 경우 교통정보의 소통 단계에 반영하여 수정된 교통정보, 즉 예측교통정보를 생성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예측 방법이 적용되는 도로 구간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도로는 일정 단위로 구획을 나누어 도로 구간으로 구분되며, 예시한 도로는 제1 도로 구간에서 제4 도로 구간으로 나뉘어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교통정보를 예측하기 위한 구간을 제2 도로 구간으로 가정하며, 도로의 소통 상황은 원활, 준서행, 서행, 정체로 구분됨을 가정한다. 단, 도로의 모든 구간에서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으며, 도로의 소통 상황의 단계는 임의로 설정될 수 있음을 물론이다.
①은 제2 도로 구간으로부터 제1 도로 구간으로 진출하는 휴대 단말(20)을 나타내고, ②는 현재 제2 도로 구간을 이동하고 있는 휴대 단말(20)을 나타낸다. ③은 제3 도로 구간에서 제2 도로 구간으로 진입하는 휴대 단말(20)을 나타내며, ④는 제4 도로 구간에서 제2 도로 구간으로 진입하는 휴대 단말(20)을 나타낸다.
제어부(15)는 교통정보를 예측하기 위한 도로 구간으로부터 진출하는 휴대 단말(20), 즉 제2 도로 구간으로부터 제1 도로 구간으로 진출하는 휴대 단말(20)(①)을 카운트한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 혹은 이하인 경우 교통정보에 반영하여 예측교통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해당 도로 구간으로 진입하는 휴대 단말(20), 즉, 제3 도로 구간에서 제2 도로 구간으로 진입하는 휴대 단말(20)(③)과 제4 도로 구간에서 제2 도로 구간으로 진입하는 휴대 단말(20)(④)을 합하여 카운트한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 혹은 이하인 경우 교통정보에 반영하여 예측교통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도로 구간에서 제2 도로 구간으로 진입하는 휴대 단말(20)(③)을 카운트한 값이 임계값 이하인 경우, 현재 제2 도로 구간의 교통정보가 정체에서 서행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제3 도로 구간에서 제2 도로 구간으로 진입하는 휴대 단말(20)(③)을 카운트한 값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현재 제2 도로 구간의 교통정보가 원활에서 준서행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임계값과의 차이에 따라 원활에서 서행 또는 지체로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 교통정보를 예측하고자 하는 도로 구간의 직전 구간 혹은 직후 구간의 휴대 단말(20)의 수만을 대상으로 하지 않으며, 이전 또는 이후의 복수의 구간을 이동하는 휴대 단말(20)의 수를 합하여 이를 임계값과 비교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도로 구간의 교통정보를 예측하고자 할 때, 제2 도로 구간으로부터 제1 도로 구간으로 진입하는 휴대 단말(20)(①)과, 제3 도로 구간에서 제2 도로 구간으로 진입하는 휴대 단말(20)(③)의 수를 합하여 이를 임계값과 비교하여 임계값 이상 또는 이하인 경우 교통정보를 변경하며 예측교통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때, 임계값은 도로 구간의 차선 수, 횡단보도의 유무, 신호의 지속 시간, 공사의 진행 여부 등 도로에 관한 정보와 도로 외적인 정보를 반영하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도로 구간의 교통정보를 예측하는 경우, 제2 도로 구간에 비해 제1 도로 구간의 차선 수가 감소하고 있으므로, 제2 도로 구간에서 제1 도로 구간으로 진입하는 휴대 단말(20)(②)의 카운트값과 비교 기준이 되는 임계값은 제1 도로 구간의 차선 수를 반영하여 그 값을 작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횡단보도가 도로 구간 내에 위치하는 경우 신호의 지속 시간에 따라 도로 구간을 진행할 수 있는 차량의 수에 변동이 있으므로 임계값 설정을 달리할 수 있으며, 도로 상에서 공사가 진행되고 있는 경우 해당 도로 구간을 이동할 수 있는 차선 수가 감소되는 것이 불가피하므로 이러한 경우에도 임계값 설정을 작게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5)는 도로 구간과 동일 선상인 도로 구간을 제외한 이외 도로 구간을 이동하는 휴대 단말(20)의 수만을 카운트하여 예측교통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도로 구간에서 제2 도로 구간으로 진입하는 휴대 단말(20)(④)만을 카운트하여 임계값 이상인 경우, 제2 도로 구간의 교통 정보를 서행에서 지체로 변경할 수 있다. 이는, 제3 도로 구간에서 제2 도로 구간으로 진입하는 휴대 단말(20)(③) 보다 제4 도로 구간에서 제2 도로 구간으로 진입하는 휴대 단말(20)(④)의 수의 많고 적음으로 인하여 제2 도로 구간의 미래의 교통 상황이 변경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상술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3 도로 구간에서 제2 도로 구간으로 진입하는 휴대 단말(20)(③)의 카운트값과 제2 도로 구간으로부터 제1 도로 구간으로 진출하는 휴대 단말(20)(①)의 카운트값 중 어느 하나의 값만을 대상으로 설명하였지만, 두 가지 값을 모두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어 제어부(15)는 위와 같이 생성한 예측교통정보를 휴대 단말(20)로 전송하고, 예측교통정보를 수신한 휴대 단말(20)은 화면 상에 도로와 함께 예측교통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는 송수신부(11)를 통해 휴대 단말(20)로부터 출발지 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면,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산출하여 휴대 단말(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는 최단 시간 경로, 최단 거리 경로, 무료 도로만을 진행하는 경로 등 사용자에게 복수의 경로를 제공할 수 있음을 물론이며, 상술한 예측교통정보를 반영하여 최단 시간에 목적지까지 도달할 수 있는 최적의 경로를 산출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예측 시스템에서 휴대 단말(20)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20)은 단말 송수신부(21), 단말 출력부(23), 단말 저장부(25), 단말 제어부(27)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단말 입력부(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송수신부(21)는 교통정보 예측 장치(10)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가진다. 특히 단말 송수신부(21)는 교통정보 예측 장치(10)로부터 교통정보를 예측하고자 하는 도로 구간으로 진입하거나 해당 도로 구간으로부터 진출하는 휴대 단말(20)의 수를 카운트한 값을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가지며, 또한 교통정보 예측 장치(10)로부터 교통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단말 출력부(23)는 휴대 단말(20)의 동작 결과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 출력부(23)는 교통정보 예측 장치(10)로부터 수신한 카운트값을 이용해 생성한 예측교통정보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단말 저장부(25)는 도로 구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소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로 구간 정보는 도로 식별정보, 도로의 구간 별 구간 식별정보를 포함하며, 이외 각 도로 구간 별 차선 수, 횡단보도의 존재 여부, 해당 도로 구간으로 진입 또는 진출하는 도로의 유무와 있는 경우의 도로의 수, 일방통행 도로인지의 여부 등 도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입력부(29)는 휴대 단말(20)의 조작을 위한 복수의 키를 제공하고 휴대 단말(20) 사용자의 키 선택에 따른 선택신호를 발생시킨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단말 입력부(29)는 사용자가 가고자 하는 목적지에 대한 지명, 주소 등의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단말 제어부(27)는 단말 송수신부(21), 단말 출력부(23), 단말 저장부(25) 및 단말 입력부(29)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단말 제어부(27)는 도로 구간 별 교통정보와 예측교통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도로 구간으로 진입하거나 해당 도로 구간으로부터 진출하는 휴대 단말(20)의 수를 카운트한 카운트값을 수신하면, 수신한 카운트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 또는 이하인 경우 수신한 교통정보의 교통 소통 상태를 변경하는 보정하여 예측교통정보를 생성한다. 이어, 사용자가 교통 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화면 상에 도로와 함께 예측교통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 제어부(27)는 교통정보 예측 장치(10)로부터 교통정보와 카운트값을 함께 수신할 수 있으며, 교통정보는 독립적인 교통정보 수집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고 카운트값만을 교통정보 예측 장치(1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단말 제어부(27)가 카운트값을 이용하여 예측교통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은 앞서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과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단말 제어부(27)는 사용자로부터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으면, 각종 경로를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생성한 예측교통정보를 반영하여 최적의 경로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예측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교통정보 예측 장치(10)는 예측교통정보를 생성하고자 하는 도로 구간으로 진입하거나 해당 도로 구간에서 진출하는 휴대 단말(20)의 위치를 확인한다(S41).
이때, 교통정보 예측 장치(10)는 이동통신망, Wibro(Wireless Broadband)망 등과 같이 휴대 단말(2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통신망(30)으로부터 휴대 단말(20)의 핸드오프(Hand Off) 정보, 단말기의 위치등록 정보 등을 수신하여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하이패스(hi-pass)와 같은 고속도로의 통행료를 무선 통신으로 지불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부터 고속도로를 이동하는 휴대 단말에 대한 통행 정보를 수신하여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으며, 휴대 단말(20)로부터 통신망(30)을 통해 휴대 단말(20)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이용하여 확인한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단계(S41)에서 휴대 단말(20)의 위치를 확인한 교통정보 예측 장치(10)는 예측교통정보를 생성하고자 하는 도로 구간으로 진입하거나 해당 도로 구간에서 진출하는 휴대 단말(20)의 수를 카운트 한다(S43).
단계(S43)에서 휴대 단말(20)의 수를 카운트한 교통정보 예측 장치(10)는 카운트값을 이용하여 교통정보를 보정하여(S45), 예측교통정보를 생성한다(S47).
이때, 교통정보 예측 장치(10)는 해당 도로 구간으로 진입하거나, 해당 도로 구간으로부터 진출하는 휴대 단말(20)의 카운트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 혹은 이하인 경우 교통정보에 반영하여 예측교통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S47)에서 예측교통정보를 생성한 교통정보 예측 장치(10)는 생성한 예측교통정보를 휴대 단말(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어 이를 수신한 휴대 단말(20)은 사용자가 교통 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화면 상에 도로와 함께 예측교통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교통정보 예측 장치(10)는 휴대 단말(20)로부터 출발지 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면,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산출하여 휴대 단말(2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이때, 예측교통정보를 반영하여 최단 시간에 목적지까지 도달할 수 있는 최적의 경로를 산출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예측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20)은 도로의 교통 소통 상황을 나타내는 실시간 교통정보를 수신한다(S51).
이때, 휴대 단말(20)은 교통정보 예측 장치(10)로부터 교통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교통정보 예측 장치(10)와 독립적인 교통정보 수집 시스템으로부터 교통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단계(S51)에서 교통정보를 수신한 휴대 단말(20)은 교통정보 예측 장치(10)로부터 예측교통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도로 구간으로 진입하거나 해당 도로 구간으로부터 진출하는 휴대 단말(20)의 수를 카운트한 카운트값을 수신한다(S53).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교통정보 이후에 카운트값을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단계(S51)과 단계(S53)은 독립적인 단계이므로 양 단계의 순서가 바뀌어도 무관하다.
단계(S53)에서 카운트값을 수신한 휴대 단말(20)은 수신한 카운트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 또는 이하인 경우 실시간 교통정보의 교통 소통 상태를 변경하는 보정을 하여(S55), 예측교통정보를 생성한다(S57).
단계(S57)에서 예측교통정보를 생성한 휴대 단말(20)은 사용자가 교통 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화면 상에 도로와 함께 예측교통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휴대 단말(20)은 사용자로부터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으면, 생성한 예측교통정보를 반영하여 최적의 경로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교통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기존의 시스템에 비해 별도의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아 추가적인 비용 발생을 최소화한다. 특히, 차량을 이용하여 이동하는 사용자가 많아져 나날이 교통 혼잡이 가중되는 추세를 감안하면, 본 발명의 교통정보 예측 시스템에서의 교통정보를 예측하는 방안은 그 활용도가 적지 않을 것이다.
10: 교통정보 예측 장치 11: 송수신부
13: 저장부 15: 제어부
20: 휴대 단말 21: 단말 송수신부
23: 단말 출력부 25: 단말 저장부
27: 단말 제어부 29: 단말 입력부
30: 통신망

Claims (21)

  1. 예측교통정보를 생성하고자 하는 도로 구간으로 진입하거나 상기 도로 구간에서 진출하는 휴대 단말의 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카운트값을 이용해 상기 도로 구간의 교통정보를 보정하여 상기 예측교통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예측교통정보를 전송하는 예측교통정보 생성 장치;
    상기 예측교통정보 생성 장치로부터 상기 예측교통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휴대 단말;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예측 시스템.
  2.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부;
    도로 구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예측교통정보를 생성하고자 하는 도로 구간으로 진입하거나 상기 도로 구간에서 진출하는 휴대 단말의 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카운트값을 이용해 상기 도로 구간의 교통정보를 보정하여 상기 예측교통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예측교통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예측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로 구간과 동일 선상인 도로 구간을 제외한 이외 도로 구간을 이동하는 휴대 단말의 수를 카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예측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신망을 통해 상기 휴대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휴대 단말의 수를 카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예측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고속도로의 통행료를 무선 통신으로 지불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의 통행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휴대 단말의 수를 카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예측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통해 확인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휴대 단말의 수를 카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예측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로 구간 및 상기 도로 구간의 이전 또는 이후 구간의 도로 구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예측교통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예측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통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휴대 단말로부터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생성한 예측교통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예측 장치.
  9.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단말 송수신부;
    정보 표현을 위한 단말 출력부;
    도로 구간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 저장부;
    도로 구간의 교통정보 및 상기 도로 구간으로 진입하거나 상기 도로 구간에서 진출하는 휴대 단말의 수를 카운트한 카운트값을 수신하면, 상기 카운트값을 이용해 상기 도로 구간의 교통정보를 보정하여 상기 예측교통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예측교통정보를 출력하는 단말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부는 상기 도로 구간 및 상기 도로 구간의 이전 또는 이후 구간의 도로 구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예측교통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11. 제9항에 있어서, 정보 입력을 위한 단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 제어부는 상기 단말 입력부를 통해 목적지를 입력 받으면, 상기 생성한 예측교통정보를 반영하여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12. 교통정보 예측 장치가 예측교통정보를 생성하고자 하는 도로 구간으로 진입하거나 상기 도로 구간에서 진출하는 휴대 단말의 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트 단계;
    상기 교통정보 예측 장치가 상기 카운트값을 이용해 상기 도로 구간의 교통정보를 보정하여 상기 예측교통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단계;
    상기 교통정보 예측 장치가 상기 예측교통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예측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트 단계는,
    상기 교통정보 예측 장치가 상기 도로 구간과 동일 선상인 도로 구간을 제외한 이외 도로 구간을 이동하는 휴대 단말의 수를 카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예측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트 단계는,
    상기 교통정보 예측 장치가 통신망을 통해 상기 휴대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휴대 단말의 수를 카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예측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트 단계는,
    상기 교통정보 예측 장치가 고속도로의 통행료를 무선 통신으로 지불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의 통행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휴대 단말의 수를 카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예측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트 단계는,
    상기 교통정보 예측 장치가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통해 확인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휴대 단말의 수를 카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예측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단계는,
    상기 교통정보 예측 장치가 상기 도로 구간 및 상기 도로 구간의 이전 또는 이후 구간의 도로 구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예측교통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예측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단계는,
    상기 교통정보 예측 장치가 상기 교통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휴대 단말로부터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생성한 예측교통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산출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예측 방법.
  19. 휴대 단말이 도로 구간의 교통정보 및 상기 도로 구간으로 진입하거나 상기 도로 구간에서 진출하는 휴대 단말의 수를 카운트값을 수신하는 수신단계;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카운트값을 이용해 상기 도로 구간의 교통정보를 보정하여 상기 예측교통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단계;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예측교통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예측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도로 구간 정보 및 상기 도로 구간의 이전 또는 이후 구간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예측교통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예측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이 목적지를 입력 받으면, 상기 생성한 예측교통정보를 반영하여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산출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예측 방법.
KR1020100111279A 2010-11-10 2010-11-10 교통정보 예측 장치 및 방법 KR101808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279A KR101808118B1 (ko) 2010-11-10 2010-11-10 교통정보 예측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279A KR101808118B1 (ko) 2010-11-10 2010-11-10 교통정보 예측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9998A true KR20120049998A (ko) 2012-05-18
KR101808118B1 KR101808118B1 (ko) 2017-12-15

Family

ID=46267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1279A KR101808118B1 (ko) 2010-11-10 2010-11-10 교통정보 예측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81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21908A (zh) * 2013-04-25 2014-10-29 北京搜狗信息服务有限公司 一种延时路径规划的方法和系统
KR20180065794A (ko) 2016-12-08 2018-06-1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출발 시간 예측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CN110751848A (zh) * 2019-10-24 2020-02-04 邓生毛 智能交通管理之主动干预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066B1 (ko) * 2006-12-22 2007-12-2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요금 징수 시스템을 활용한 교통량 예측 시스템 및 그방법
JP5018599B2 (ja) * 2008-03-31 2012-09-0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交通信号制御装置及び方法、到着プロファイルの推定装置、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21908A (zh) * 2013-04-25 2014-10-29 北京搜狗信息服务有限公司 一种延时路径规划的方法和系统
KR20180065794A (ko) 2016-12-08 2018-06-1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출발 시간 예측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CN110751848A (zh) * 2019-10-24 2020-02-04 邓生毛 智能交通管理之主动干预系统
CN110751848B (zh) * 2019-10-24 2022-10-21 邓生毛 智能交通管理之主动干预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8118B1 (ko) 2017-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33245B2 (ja) 代替経路の生成
US9964412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ravel information
EP282464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information relating to the operation of traffic control signals
JP5471212B2 (ja) 交通信号制御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1525624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方法
JP2005241519A (ja) 交通情報予測装置
JP2009015817A (ja) 交通信号制御システム、交通信号制御装置及び方法、並びに、交通指標算出装置
JP2010134538A (ja) データ通信装置、データ通信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通信装置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246250B1 (ja) 経路探索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端末装置ならびに経路探索方法
JP2011169620A (ja) 動態管理システムおよび動態管理方法
US20090177379A1 (en)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KR20080000418A (ko) 실시간 교통 정보에 따른 주행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그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US20070239354A1 (en) Method of searching route in navigation system
JP2010286908A (ja) 配車システム
JP2019185232A (ja) 交通情報案内システム及び交通情報配信装置
KR20120049998A (ko) 교통정보 예측 시스템, 그 교통정보 예측 장치 및 교통정보 예측 방법
KR101934800B1 (ko) 대중교통 정보 제공 장치
JP4755491B2 (ja) 施設混雑情報予測装置、施設混雑情報予測方法およびカー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5114254B2 (ja) 地図表示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経路探索方法ならびに端末装置
KR20100115414A (ko) 능동형 택시서비스 시스템
KR100624722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량 데이터 제공 시스템 및그의 동작방법
KR20130061439A (ko) 최적 경로 탐색을 위한 교통 정보 제공 서버, 교통 정보 제공 단말 및 그 방법
KR101289412B1 (ko) 차량도착예측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41244A (ko) 최적 출발 알림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4910885B2 (ja) 渋滞予測装置、渋滞予測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