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9945A - 정보 기록 매체, 정보 기록 장치 및 정보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기록 매체, 정보 기록 장치 및 정보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9945A
KR20120049945A KR1020127008794A KR20127008794A KR20120049945A KR 20120049945 A KR20120049945 A KR 20120049945A KR 1020127008794 A KR1020127008794 A KR 1020127008794A KR 20127008794 A KR20127008794 A KR 20127008794A KR 20120049945 A KR20120049945 A KR 201200499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recording layer
layer
data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8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미 도미타
게이지 가타타
Original Assignee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49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99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36Auxiliary data, e.g. lead-in, lead-out, Power Calibration Area [PCA], Burst Cutting Area [BCA], control inform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45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2007/0003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 G11B2007/0009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for carriers having data stored in three dimensions, e.g. volume storage
    • G11B2007/0013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for carriers having data stored in three dimensions, e.g. volume storage for carriers having multiple discrete lay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64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265Control data, system data or management information, i.e. data used to access or process user data
    • G11B2020/1267Address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33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by adding special lis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 G11B2020/184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by adding special lis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using a picket code, i.e. a code in which a long distance code [LDC] is arranged as an array and columns containing burst indicator subcode [BIS] are multiplexed for erasure deco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3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has a specific layer structure
    • G11B2220/235Multilayer discs, i.e. multiple recording layers accessed from the same sid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1Blu-ray discs; Blue laser DVR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Optical Record Carriers And Manufacture Thereof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정보 기록 매체(100)는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복수의 기록층(110, 120, 130, 140)을 가진다. 복수의 기록층 각각은 복수의 기록 형식 중 하나에 대응한다. 복수의 기록층 각각에 대하여, 각각의 기록층의 배치 위치에 따라 각각의 기록층에 할당되는 제1 기록층 번호(SLN) 및 대응하는 기록 형식에 할당되는 제2 기록층 번호(LLN)가 데이터의 어드레스 영역(14)에 포함된다.

Description

정보 기록 매체, 정보 기록 장치 및 정보 재생 장치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AND INFORMATION REPRODUCING DEVIC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복수의 기록층 각각에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데이터가 기록 및 재생될 수 있는 광디스크 등의 정보 기록 매체, 상기 정보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정보 기록 장치, 및 상기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정보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량의 데이터 배포 및 장기 보존에 적절한 정보 기록 매체로서, 광디스크가 주목받고 있다. 이 광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 형식으로는, (1) 제조 시에 스탬핑(stamping)에 의해 기록층에 엠보스 피트(embossed pit)가 형성되고, 이 엠보스 피트만이 재생될 수 있는 재생 전용형(read-only type), (2) 기록층에 색소 등을 포함하는 기록막이 사용되고, 1회만 기록 가능한 1회 기록형(write-once type), (3) 기록층에 광자기(magneto-optical) 기록막이나 상변화(phase change) 기록막이 사용되고, 데이터를 여러 번 재기록 및 소거 가능한 재기록 가능형(rewritable) 등이 알려져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광디스크의 대용량화의 요구에 따르기 위하여, 기록층을 복수개 적층한 광디스크가 제안되어 있다. 종래, 다층형의 광디스크에서, 복수의 기록층은 단일의 기록 형식에 대응한다. 각 기록층은 기록 형식에 따른 물리적 구조를 가지고, 기록층은 기록 형식에 따른 논리적 구조를 공유한다.
공유되는 논리적 구조의 예로서, 2층형 반대 트랙 경로 방식(opposite track path type)의 광디스크에서의 영역 구조 및 섹터 번호의 할당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1 기록층(즉, L0층)에는,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해 리드인 영역(lead-in area), 데이터 영역 및 미들 영역(middle area)이 형성되고,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해 광디스크의 기록 영역에서의 섹터 번호가 증가한다. 반면에, 제2 기록층(즉, L1층)에는, 외주측으로부터 내주측을 향해 미들 영역, 데이터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lead-out area)이 형성되고, 외주측으로부터 내주측을 향해 L0층에서의 되돌림 점에서부터 계속되는 광디스크의 기록 영역에서의 섹터 번호는 증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기록층을 가지는 광디스크의 경우라도, 각 기록층이 동일한 기록 형식에 대응하는 경우, 광 디스크는 한 유형의 논리 어드레스로 구성되어 있다.
광디스크에 대하여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하는 광디스크 장치는, 각각의 데이터 영역에 할당되는 섹터 번호와 각각의 기록층을 특정하기 위한 기록층 번호를 참조하여 데이터의 기록 위치 또는 재생 위치를 검출한다.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국제 공개공보 제2005/076268호
종래의 광디스크에서는, 예를 들면, ECC 블록 내의 어드레스 필드에, 광디스크 내의 각각의 기록층을 특정하는 기록층 번호가 기록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광디스크는 한 유형의 논리 어드레스에 의해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광디스크 내의 각 기록층을 특정하는 기록층 번호는, 한 유형의 논리 어드레스 내의 각 기록층을 특정하는 기록층 번호와 동일한 정보를 나타낸다.
최근, 광디스크의 용도의 다양화와 더불어, 복수의 기록 형식을 가지는 다층형의 광디스크에 대한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면, 적층되는 복수의 기록층 중 하나 또는 복수의 기록층은 제1 기록 형식에 대응하고,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기록층은 제2 기록 형식에 대응하도록 하는 광디스크가 최근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광디스크는 복수의 기록 형식 중 하나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논리 어드레스 유형을 가진다.
복수의 논리 어드레스 유형을 가지는 광디스크에서도, 데이터의 기록 위치 또는 재생 위치를 검출하기 위하여, 각각의 기록층에 기록층 번호가 할당되어야 한다. 그러나, 복수의 논리 어드레스 유형이 존재하기 때문에, 광디스크 내의 기록층 각각을 특정하는 기록층 번호와, 하나의 논리 어드레스 유형에서의 기록층 각각을 특정하는 기록층 번호는 서로 다르다.
종래, 전형적인 재기록 가능형의 광디스크에서는, 하나의 논리 어드레스 유형에서의 제1 기록층(즉, L0층)에는 리드인 영역이 형성되고, 섹터 번호의 개시점이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소프트웨어 모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록층 번호와 논리 어드레스는 유일의 대응 관계가 있기 때문에, 기록층 번호를 참조하여 기록층을 특정할 수 있다.
반면에, 광디스크 내의 기록층 각각을 특정하기 위해 기록층 번호가 각 기록층에 차례로 할당되는 경우에, 하나의 기록 형식(즉, 하나의 논리 어드레스 유형)에서의 제1 기록층에는 L0와는 상이한 기록층 번호가 할당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하나의 기록 형식에 대응하는 기록층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정보가 기록되는, 리드인 영역이 존재하는 기록층을 적절히 검출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또, 종래의 소프트웨어 모듈에서 규정되는 기록층 번호와 논리적 구조의 대응 관계는 적용될 수 없으며, 이러한 광디스크를 취급할 수 없다는 기술적인 문제가 생긴다.
반면에, 각각의 기록 형식에 대응하는 각각의 논리 어드레스 유형에 따라 기록층 번호를 (L0, L1 등의 순서로) 할당하는 경우, 상이한 유형의 논리 어드레스의 기록 형식 가운데, 동일한 기록층 번호가 각각 할당되는 복수의 기록층이 존재할 수 있고(예를 들면, L0가 복수개 존재), 기록층을 적절히 특정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예를 들면, 복수의 논리 구조를 가지는 다층형의 광디스크에서, 대상(target) 기록층의 적절한 특정이 가능한 정보 기록 매체, 및 그러한 정보 기록 매체를 대상으로 하는 정보 기록 장치 및 정보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복수의 기록층을 가지는 정보 기록 매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정보 기록 매체는, (i) 상기 복수의 기록층 각각에는, 데이터가 기록되는 데이터 영역과 상기 데이터의 기록 어드레스가 기록되는 어드레스 영역이 형성되고, (ii) 상기 복수의 기록층 각각은 복수의 기록 형식 중 하나에 각각 대응하고, (iii) 상기 복수의 기록층 각각은, 상기 기록층 각각에 의해 할당되는 제1 기록층 번호와 대응하는 기록 형식에 의해 할당되는 대응한 제2 기록층 번호를 가지고, 상기 제1 기록층 번호와 상기 제2 기록층 번호는 상기 어드레스 영역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또한, 전술한 정보 기록 매체에 상기 데이터를 기록하는 정보 기록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정보 기록 장치는, 상기 정보 기록 매체의 상기 어드레스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제1 기록층 번호 및 상기 제2 기록층 번호를 참조하는 참조 디바이스; 및 참조되는 상기 제1 기록층 번호 및 상기 제2 기록층 번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디바이스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은 또한 전술한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기 데이터를 재생하는 정보 재생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정보 재생 장치는 상기 정보 기록 매체의 상기 어드레스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제1 기록층 번호 및 상기 제2 기록층 번호를 참조하는 참조 디바이스; 및 참조되는 상기 제1 기록층 번호 및 상기 제2 기록층 번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디바이스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작용 및 다른 이점은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진다.
도 1은 광디스크를 나타낸 개념도 및 광디스크의 반경 방향에서의 기록 영역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개념도를 포함한, 일례의 광디스크의 기본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상기 일례의 광디스크에 저장되는 기록층 번호들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데이터 테이블의 예이다.
도 3은 상기 일례의 광디스크에서의 ECC 블록 및 BIS 블록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상기 일례의 광디스크에서의 BIS 블록 내의 어드레스 필드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일례의 정보 기록/재생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1>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정보 기록 매체는,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복수의 기록층을 가지는 정보 기록 매체로서, 상기 복수의 기록층 각각은, (i)데이터가 기록 되는 데이터 영역과, 상기 데이터의 기록 어드레스가 기록되는 어드레스 영역을 구비하고, (ii) 상기 복수의 기록층 각각은 복수의 기록 형식 중 하나에 대응하고, (iii) 상기 복수의 기록층 각각은, 상기 기록층 각각에 할당되는 제1 기록층 번호와 대응하는 기록 형식에 할당되는 제2 기록층 번호를 가지고, 상기 제1 기록층 번호와 상기 제2 기록층 번호는 상기 어드레스 영역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정보 기록 매체에 따르면, 각각이 복수의 기록 형식 중 하나에 대응하는 적층된 복수의 기록층을 가지는 광디스크 등의 정보 기록 매체가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적층된 복수의 기록층 중 하나 또는 복수의 기록층이 제1 기록 형식에 대응하고, 다른 또는 복수의 기록층이 제2 기록 형식에 대응하는 구조이다. 그런데, 상기 정보 기록 매체는 제3 기록 형식 등의 추가적인 기록 형식에 대응하는 구조를 가지는 기록층을 구비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복수의 기록 형식은, 예를 들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재생 전용형, 1회 기록형 및 재기록 가능형 등의 데이터의 기록의 태양을 규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 미리 정한 기록 형식에 대응하는 기록층은 실제, 관련 기록 형식으로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가능하게 하는 물리적 및 논리적인 구조를 가지는 기록층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정보 기록 매체에서, 각각의 기록층은, 데이터가 기록되는 데이터 영역과 상기 데이터가 기록되는 부분을 나타내는 어드레스 정보가 기록되는 어드레스 영역을 가진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정보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정보 기록 장치는, 어드레스 정보를 참조하여 데이터의 기록 위치를 취득하고, 어드레스 영역에 데이터가 기록되는 부분에 관한 어드레스 정보를 기록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본 실시예의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는 정보 재생 장치는, 어드레스 정보를 참조하여 재생될 데이터의 기록 위치를 취득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정보 기록 매체가 구비하는 복수의 기록층 각각에는, 제1 기록층 번호와 제2 기록층 번호가 할당되어 있다.
제1 기록층 번호는, 정보 기록 매체의 기록층 각각에 고유하게 할당되는 연속된 기록층 번호이다. 제1 기록층 번호는, 예를 들면, 각 기록층이 적층되는 배치 위치에 따라 할당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기록층 번호는, 정보 기록 매체에 포함되는 각 기록층에 대하여, 각각의 기록층과 기록/재생을 위한 광픽업 사이의 거리의 내림차순으로 기록층으로부터 차례로 SL0, SL1, …라고 연속적으로 할당된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하나의 섹터에서의 제1 기록층 번호와 섹터 번호를 판독함으로써, 정보 기록 매체 중의 상기 섹터 위치를 절대적으로(바꾸어 말하면, 유일하게)결정할 수 있다.
제2 기록층 번호는, 정보 기록 매체의 각각의 기록층이 대응하는 각각의 기록 형식에 대하여 유일하게 할당되는 연속적인 기록층 번호이다. 이 제2 기록층 번호는, 예를 들면, 각각의 기록 형식에 대하여, 대응하는 기록층 내의 논리적인 구조에 따라, 할당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기록 형식 중 재기록 가능형에 대응하는 복수의 기록층에는, 섹터 번호가 개시되는 기록층에서부터 LL0, LL1 등이 순차적으로 할당된다. 또, 동일한 정보 기록 매체 상의 재생 전용형에 대응하는 복수의 기록층에는, 섹터 번호가 개시되는 기록층에서부터 LL0, LL1 등이 순차적으로 할당된다. 그러므로, 하나의 정보 기록 매체에는, 재기록 가능형의 LL0, LL1 등과, 재생 전용형의 LL0, LL1 등, 각각의 기록 형식에 대하여 동일한 제2 기록층 번호가 할당된 기록층이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기록층 번호에 따르면, 정보 기록 매체의 각각의 기록층을 각각의 기록 형식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특정할 수 있다.
광디스크는 복수의 기록 형식 각각에 대응하는 논리 어드레스 계열을 가진다. 그런데, 광디스크 상의 물리 어드레스는 논리 어드레스 계열에 따라 할당되는 제2 기록층 번호와 기록층 내 물리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기록되어 있다.  데이터 재생 시에는, 이 물리 어드레스를 일정한 규칙에 따라 논리 어드레스로 변환하여, 원하는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섹터를 특정한다.
통상, 논리 어드레스는, 0에서부터 시작되는 연속적인 번호이다. 각 논리 어드레스 계열에는 동일한 변환 방법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각 기록 형식에 대응하는 기록층의 수와 위치는, 어떤 경우에 광디스크의 설계에 따라 달라진다. 이때, 제1 기록층 번호와 제2 기록층 번호의 대응 관계가 어떤 경우에 기록층의 수 따라 변화한다. 예를 들면, 제1 기록층 번호로서 SL0, SL1, SL2 및 SL3가 할당되어 있는 네 개의 기록층을 가지는 광디스크에 대하여 설명한다.  SL0 및 SL1가 제1 기록 형식에 대응하고 SL2 및 SL3가 제2 기록 형식에 대응하는 광디스크 상의 제1 기록층 번호와 제2 기록층 번호 사이의 대응 관계는, SL0, SL1 및 SL2가 제1 기록 형식에 대응하고 SL3가 제2 기록 형식에 대응하는 광디스크 상의 제1 기록층 번호와 제2 기록층 번호의 대응 관계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전자의 광디스크에서, 기록층 SL0 및 기록층 SL2는 각각 제1 및 제2 기록 형식의 제1 기록층이다. 따라서, 기록층 SLO과 기록층 SL2에는 제2 기록층 번호로서 LL0가 각각 할당된다. 기록층 SL1과 기록층 SL3는 각각 제1 및 제2 기록 형식의 제2 기록층이다. 따라서, 기록 계층 SL1과 기록층 SL3에는 제2 기록층 번호로서 LL1가 각각 할당된다. 반면에, 후자의 광디스크에서는, 기록층 SL0 및 기록층 SL3은 각각 제1 및 제2 기록 형식의 제1 기록층이다. 따라서, 기록층 SL0과 기록층 SL3에는 제2 기록층 번호로서 LL0가 각각 할당된다. 기록층 SL1 및 기록층 SL2는 각각 제1 기록 형식의 제2 및 제3 기록층의 기록층이다. 따라서, 기록층 SL1과 기록층 SL2에는 제2 기록층 번호로서 LL1, LL2가 각각 할당된다. 그런데, 기록층 SL0은 제1 기록층 번호로서 SL0가 할당되는 기록층이다. 이것은 다른 기록층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광디스크의 기록층 각각에 대응하는 기록 형식이 파악되어 있지 않으면, 다른 기록층 번호로부터 하나의 기록층 번호를 유일하게 얻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또, 제1 기록층 번호는 정보 기록 매체의 각 기록층에 대한 물리 정보(예를 들면, 적층되는 위치 등)에 대응한다. 예를 들면, 레이어 점프(layer jump)를 행하는 경우, 레이어 점프를 행하는 기록층들 사이의 두께에 따라 점프량(즉, 광픽업의 광축의 조정량)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기록층들 사이의 두께(예컨대, 스페이서층의 두께)는 기록층들 사이의 크로스토크의 영향을 억제하기 위하여 서로 다르다. 따라서, 적절한 레이어 점프를 실시하기 위한 점프량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기록층이 정보 기록 매체 내에서 유일하게 특정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의 정보 기록 매체의 각 기록층의 데이터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섹터 구조를 가진다. 각 섹터의 어드레스 영역에는, 적어도 제1 기록층 번호 및 제2 기록층 번호가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정보 기록 매체에 대하여 정보의 기록/재생을 행하는 기록/재생 장치에 따르면, 각 섹터의 어드레스 영역을 참조하여, 현재의 기록/재생 위치가 존재하는 기록층의 절대적인 위치의 특정과 각 기록 형식에서의 상대적인 위치의 특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런데, 제1 기록층 번호와 제2 기록층 번호의 대응 관계는, 예를 들면, 데이터 테이블로서 정보 기록 매체 내의 리드인 영역(예컨대, 각 기록 형식의 제1 기록층에 설치되는 리드인 영역) 내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정보 기록 장치 및 정보 재생 장치는 리드인 영역에 저장되는 데이터 테이블을 참조하여, 제1 기록층 번호와 제2 기록층 번호의 대응 관계를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정보 기록 매체에 의하면, 레이어 점프를 실시할 때, 각 섹터의 어드레스 영역에 포함되는 제1 기록층 번호를 참조하여, 현재의 기록/재생 위치가 존재하는 기록층을 특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점프 목적지(jump destination)인 기록층으로의 레이어 점프를 행하기 위한 점프량을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또, 동일한 기록 형식을 공유하는 복수의 기록층에서는, 각각의 기록층에 상이한 섹터 번호가 할당되기 때문에(예컨대, 반대 트랙 경로 방식의 기록층에 있어, L0층에서는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해 섹터 번호가 증가하는 하는 반면, L1층에서는 외주측으로부터 내주측을 향해 섹터 번호가 증가한다), 기록층마다 기록/재생에 상이한 디코딩 방법이 적응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정보 기록 매체에 따르면, 각 섹터의 어드레스 영역에 포함되는 제2 기록층 번호를 참조하여, 현재의 기록/재생 위치가 존재하는 기록층의 대응하는 기록 형식(바꾸어 말하면, 논리적인 구조)에서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고, 또한 그 위치에 따라 적절한 디코드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기록층 번호에 의하면, 각 기록 형식에 대응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기록층 중에서 하나의 기록층을 상대적으로 특정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현재의 기록/재생 위치가 존재하는 기록층을 특정한 다음, 상기 기록 형식에서의 리드인 영역이 존재하는 기록층을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다. 그러면, 전술한 제1 기록층 번호에 따라 리드인 영역을 가지는 기록층으로 레이어 점프를 행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 제1 기록층 번호 및 제2 기록층 번호는, 예를 들면, 종래의 DVD 또는 BD에서 채용된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 각 섹터의 어드레스 영역, 각 섹터의 ECC 블록에 포함되는 플래그 비트 영역, 및 복수의 플래그 비트 영역의 조합 영역의 각각에, 또는 조합한 것에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기록층 번호는 섹터 번호 내에 각 기록층을 식별 가능한 태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어드레스 영역은 개념적으로 넓게 전술한 바와 같이 층 번호 정보가 기록될 수 있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정보 기록 매체에서는, 특히 재기록 가능하거나 1회 기록 가능한 형식에 대응하는 각 기록층에, 제1 기록층 번호, 제2 기록층 번호, 및 섹터 번호 등이 미리 워블(wobble) 등에 프리포맷되어 있는, 이른바 ADIP(Address in Pre-Groove)가 채용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정보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정보 기록 장치는 데이터를 기록할 때 프리포맷 정보를 참조하여, 데이터의 기록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정보 기록 매체에서, 특히 재생 전용형의 기록 형식에 대응하는 기록층에서는, 예를 들면, 디스크 제조 시에, 제1 기록층 번호 및 제2 기록층 번호가 어드레스 영역에 포함되도록, 스탬퍼(stamper)에 의해 엠보스 피트(embossed pit)가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정보 기록 매체에 의하면, 데이터가 기록되는 각 섹터에 포함되는 제1 기록층 번호 및 제2 기록층 번호를 참조하여, 정보 기록 매체의 각 기록층을 절대적으로 특정할 수 있고 각 기록 형식에 각 기록층을 특정할 수 있다.
 <2>
본 발명의 정보 기록 매체의 일 측면에서, 복수의 기록 형식은 재생 전용형, 1회 기록형 및 재기록 가능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 측면에 따르면, 정보 기록 매체가 구비하는 복수의 기록층은 각각 재생 전용형, 1회 기록형 및 재기록 가능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록 형식 중 하나에 대응하는 물리적 및 논리적인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1 기록층 번호 및 제2 기록층 번호를 포함하는 각 데이터 영역의 어드레스 영역을 참조하여, 기록 형식 중 하나에 대응하는 각 기록층을 바람직하게 검출할 수 있다.
그러므로, 비교적 용이하게, 용도에 따른 복수의 기록 형식으로 데이터를 기록하고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정보 기록 장치에 관한 실시예는 전술한 정보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정보 기록 장치로서, 상기 정보 기록 장치는 상기 정보 기록 매체의 상기 어드레스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제1 기록층 번호 및 상기 제2 기록층 번호를 참조하는 참조 디바이스; 및 상기 참조된 상기 제1 기록층 번호 및 상기 제2 기록층 번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디바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기록 디바이스는 상기 데이터의 어드레스 영역에 상기 제1 기록층 번호 및 상기 제2 기록층 번호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기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정보 기록 장치에 따르면, 전술한 실시예의 정보 기록 매체에 바람직하게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의 정보 기록 장치는,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할 데이터의 어드레스 영역에 제1 기록층 번호 및 제2 기록층 번호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기록한다.
참조 디바이스는, 전형적으로는, 광디스크 등의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어드레스 정보를 판독 가능한 정보 기록 장치의 제어 유닛이다. 참조 디바이스는, 예를 들면, 워블 등에 프리포맷되는 어드레스 정보를 디코딩함으로써, 현재의 기록층의 제1 기록층 번호 및 제2 기록층 번호를 취득한다.
기록 디바이스는 취득된 제1 기록층 번호 및 제2 기록층 번호에 따라 데이터의 기록 위치를 검출한다. 예를 들면, 기록 디바이스는, 제2 기록층 번호에 따라 하나의 기록 형식에서의 리드인 영역이 형성되는 기록층을 특정한다. 그후, 기록 디바이스는 리드인 영역에 저장된 제1 기록층 번호와 제2 기록층 번호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데이터에 따라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기록층을 검출한다. 그후, 기록 디바이스는 기록층에서 워블 등에 프리포맷된 어드레스 정보(예컨대, 섹터 번호)에 따라 데이터의 기록 위치를 결정한다. 그리고, 데이터의 기록 위치가 결정된 후, 기록 디바이스는, 미리 정해진 기록 위치에, 어드레스 영역에 제1 기록층 번호 및 제2 기록층 번호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기록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정보 기록 매체에 의해 받을 수 있는 각종 효과를 받으면서 데이터의 기록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4>
본 발명의 정보 재생 장치의 실시예는, 전술한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정보 재생 장치로서, 상기 정보 기록 매체의 상기 어드레스 영역에 포함된 제1 기록층 번호 및 제2 기록층 번호를 참조하는 참조 디바이스; 및 참조된 상기 제1 기록층 번호 및 상기 제2 기록층 번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디바이스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정보 재생 장치에 따르면, 전술한 실시예의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를 바람직하게 재생할 수 있다.
데이터의 재생 시에, 참조 디바이스는, 기록되는 데이터의 어드레스 영역에 포함되는 제1 기록층 번호 및 제2 기록층 번호를 취득한다.
재생 디바이스는 취득된 제1 기록층 번호 및 제2 기록층 번호에 따라, 목적으로 하는 데이터(이하, 목적 데이터라고 함)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층을 검출한다. 특히, 재생 디바이스는 정보 기록 매체의 기록층을 특정하기 위한 제1 기록층 번호에 따라 현재의 기록층을 특정하고, 목적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층으로 레이어 점프를 행한다.
이어서, 재생 디바이스는 기록층에 기록된 각 데이터에 관한 어드레스 정보(예컨대, 섹터 번호)에 따라 목적 데이터의 위치를 결정하고, 데이터를 재생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정보 기록 매체에 의해 받을 수 있는 각종 효과를 받으면서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정보 기록 매체에 따르면, 복수의 기록 형식 중 하나의 형식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기록층을 가지는 정보 기록 매체에서, 기록되는 데이터의 어드레스 영역에 제1 기록층 번호와 제2 기록층 번호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정보 기록 장치에 따르면, 참조 디바이스와 기록 디바이스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정보 재생 장치에 따르면, 참조 디바이스와 재생 디바이스를 구비한다. 그러므로, 복수의 기록 형식 중 하나에 대응하는 복수의 기록층을 구비하는 정보 기록 매체에 대해 적절한 기록층을 특정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정보 기록 매체의 기본 구성예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정보 기록 매체의 예로서 광디스크(100)에 대하여 설명을 한다. 도 1은 본 예의 광디스크(100)의 기본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1 (a)에는 광디스크(100)의 개념도를 나타내고, 도 1 (b)에는 광디스크(100)의 반경 방향에서의 기록 영역 구조를 나타내는 대응하는 개략적인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1 (a) 및 도 1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디스크(100)는, 예를 들면,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 BD)와 같은 직경 12cm 정도의 디스크이다. 예를 들면, 투명 기판(102)에, 본 발명의 복수의 기록층의 일례를 구성하는 기록층(110, 120, 130, (140), 및 커버층(103)이 적층되어 있다. 또한, 각 기록층들 사이에는 스페이서층이 적층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 기록층들 사이의 스페이서층은 각각 두께가 상이하다. 또한, 기록층의 각 기록 영역에는, 예를 들면, 센터 홀(center hole)(101)을 중심으로 나선형 또는 동심원형으로, 예를 들면, 그루브 트랙 및 랜드 트랙 등의 트랙이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트랙들 상에는, 데이터가 ECC(Error Collection Code) 블록 단위로 분할되어 기록된다. ECC 블록은, 기록 정보가 에러 정정될 수 있는 데이터 관리 단위이다.
 이러한 다층형의 광디스크(100)의 기록 재생 시에는, 도 1 (a)에서,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향해 조사되는 레이저광(LB)의 집광 위치(focus position)를 미리 정해진 기록층에 맞춤으로써, 그 기록층에서의 사용자 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이 이루어진다.
특히, 본 예의 광디스크의 각 기록층은 상이한 기록 형식 중 하나에 대응한다. 기록층(110, 120)은 재기록 가능형의 기록 형식(예컨대, BD-RE)에 대응하고, 기록층(130, 140)은 1회 기록형의 기록 형식(예컨대, BD-R)에 대응한다. 따라서, 기록층(110, 120)의 물리적 및 논리적 구조는 전형적으로 기록층(130, 140)의 물리적 및 논리적인 구조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기록층(110, 120) 각각이 구비하는 기록막은, 예를 들면, 상변화막을 포함한다. 이 상변화막이 결정 상태와 비결정 상태(무정형 상태, amprphous state) 사이를 천이하여, 동일한 영역 부분에 데이터를 복수 회 기록 가능하게 한다. 반면에, 기록층(130, 140) 각각이 구비하는 기록막은, 색소 등이 도포되어 이루어지는 기록막이 사용된다. 이 색소가 레이저광 조사에 의해 개질되어(reformed), 기록 막에서의 데이터 기록을 1회에 한하여 가능하게 한다. 각 기록층의 논리적인 구조의 차이점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그런데, 이후, 기록층(110)과 기록층(120)과 같이 연속하여 배치(즉, 적층)되는, 동일한 기록 형식에 대응하는 복수의 기록층 세트를 레이어 세트라고 한다. 그런데, 각 레이어 세트에는, 예를 들면, 연속 번호인 레이어 세트 넘버가 설정되어 있다. 도 1 (a)에는, 기록층(110)과 기록층(120)은 레이어 세트 0에 속하고, 기록층(130)과 기록층(140)은 레이어 세트 1에 속한다.
 본 예의 광디스크(100)에서의 복수의 기록층(110, 120, 130, 140) 각각에는, 도 1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 (a) 및 (b) 아래쪽으로부터, SL0층/LL0층(110), SL1층/LL1층(120), SL2층/LL0층(130), SL3층/LL1층(140)과 같이 기록층 번호가 할당되어 있다. 이하로 이들 두 가지 유형의 기록층 번호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예에서는, 본 발명의 제1 기록층 번호의 구체예로서, 시그널 레이어 넘버(signal layer number, SLN)라는 연속 번호가 채용되어 있다.  여기서, SLN은 광디스크(100)의 각 기록층을 특정하기 위한 기록층 번호의 일례이다. SLN은, 예를 들면, 적층되는 복수의 기록층의 각각에 대하여, 각각의 배치 위치 등에 따라 차례로 할당되는 연속 번호이다.  도 1(b)에 나타낸 예에서는, 도 1(b)의 아래쪽의 기록층(110)으로부터 차례로, 예를 들면, SL0, SL1, SL2 등이 할당되어 있다.
 또, 본 예에서는, 본 발명의 제2 기록층 번호의 구체예로서, 로지컬 레이어 넘버(logical layer number)라는 연속 번호가 채용되어 있다. 여기서, LLN은 광디스크(100)의 각 레이어 세트 내에서의 기록층을 특정하기 위한 기록층 번호의 일례이다. LLN은 적층되는 복수의 기록층 중 동일한 레이어 세트에 속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기록층 각각에 대하여, 예를 들면, 논리 어드레스의 할당 순서에 따라 차례로 할당된다. 또한, LLN은 각 레이어 세트 내에서 독립적으로 할당되는 연속 번호이며, 각각의 상이한 레이어 세트에는 동일한 연속 번호가 사용된다. 예를 들면, 하나의 레이어 세트에 속하는 복수의 기록층에 대하여 각각 연속 번호(LL0, LL1, 등)가 할당되고, 다른 레이어 세트에 속하는 복수의 기록층 각각에 대하여 새롭게 연속 번호(LL0, LL1, 등)가 할당된다. 하나의 광디스크에 있어서, 복수의 기록층에 동일한 LLN이 할당될 수 있다.
도 1(b)에 나타낸 예에서는, 기록층(110)에 대하여 LL0, 기록층(120)에 대하여 LL1, 기록층(130)에 대하여 LL0, 기록층(140)에 대하여 LL1가 각각 할당되어 있다. 도 1(b)에 나타낸 광디스크(100)의 각 기록층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을 계속한다.
SL0층/LL0층(110)은 광디스크(100)의 재기록 가능형의 기록 형식에 대응하는 레이어 세트 0에 속하는 제1 기록층(즉, LL0)이다. SL0층/LL0층(110)은 리드인 영역(111), 사용자 데이터 영역(112) 및 미들 영역(113)을 가진다.
SL1층/LL1층(120)은 광디스크(100)의 재기록 가능형의 기록 형식에 대응하는 레이어 세트 0에 속하는 제2 기록층(즉, LL1)이다. SL1층/LL1층(120)은 리드아웃 영역(121), 사용자 데이터 영역(122) 및 미들 영역(123)을 가진다.
SL2층/LL0층(130)은 광디스크(100)의 1회 기록형의 기록 형식에 대응하는 레이어 세트 1에 속하는 제1 기록층(즉, LL0)이다. SL2층/LL0층(130)은 리드인 영역(131), 사용자 데이터 영역(132) 및 미들 영역(133)을 가진다.
 SL3층/LL1층(140)은 광디스크(100)의 1회 기록형의 기록 형식에 대응하는 레이어 세트 1에 속하는 제2 기록층(즉, LL1)이다. SL3층/LL1층(140)은 리드아웃 영역(141), 사용자 데이터 영역(142) 및 미들 영역(143)을 가진다.
그런데, 특히, SL0층/LL0층(110) 및 SL2층/LL0층(130)에서는,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해 각종 데이터가 기록된다. 반면에, SL1층/LL1층(120) 및 SL3층/LL1층(140)에서는, 외주측으로부터 내주측을 향해 각종 데이터가 기록된다. 즉, 본 예의 광디스크(100)는 반대 트랙 경로 방식의 광디스크에 상당한다. 그러나, 예를 들면, 평행 트랙 경로 방식(parallel track path type)의 광디스크일 수도 있다.
또한, 각 기록층의 각 데이터 영역은, 특히 기술되지 있지 않으면, 각 데이터 영역이 속하는 레이어 세트에 대응하는 하나의 기록 형식에 대응하는 공지의 광디스크에 설치된 데이터 영역과 동일한 구성일 수 있으며, 각 데이터 영역에 기록 되는 데이터도 동일한 형식을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한 레이어 세트에 속하는 기록층이라도, 예를 들면, SL0층/LL0층(110)의 논리적인 구조는 SL0층/LL1층(120)의 논리적인 구조는 상이하다. 또한, 특히, SL0층/LL0층(110)에 설치되는 리드인 영역(111) 또는 SL1층/LL0층(130)에 설치되는 리드인 영역(131)에는,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해 필요한 참조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EK라서, SL0층/LL0층(110) 및 SL1층/LL0층(130)을 특정하는 것이 기록 또는 재생의 수행에 중요하다. 이때, 각 레이어 세트에서 LLN이 0인 기록층을 특정함으로써, 적절히 리드인 영역(111) 또는 리드인 영역(131)이 설치된 기록층을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목적으로 하는 기록층(이하, 목적 기록층이라 함)까지 레이어 점프를 행하기 위해서는, 목적 기록층과 현재의 기록층이 특정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특히, 기록층들의 층간 두께가 상이한 구조를 가지는 광디스크에서는, 레이어 점프를 위한 점프량은 많은 경우에 현재의 기록층과 목적 기록층의 조합으로 특정된다. 현재의 기록층이 고유하게 특정되지 않으면 적절한 점프량을 결정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적절하지 않은 점프량(즉, 광픽업의 광축의 조정량)을 사용하여 레이어 점프를 행하는 경우, 레이저광의 집광점이 목적 기록층 상에서 안정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기록 또는 재생의 품질의 열화로 이어진다.
따라서, 본 예의 SLN에 따르면, 광디스크(100)의 기록층 각각에는, 전형적으로는 적층되는 배치에 따라 연속적인 번호가 할당된다. 따라서, 각 기록층의 섹터에 포함되는 SLN을 판독함으로써, 현재의 기록층을 고유하게 특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점프 목적지 기록층으로의 레이어 점프를 행하기 위한 점프량을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그런데, 예를 들면, 현재의 기록층이 속하는 레이어 세트에서 리드인 영역이 형성되는 기록층(즉, LL0층)으로 레이어 점프를 행하기 위해서는, LL0층을 특정하기 위한 LLN과 적절한 점프량을 결정하기 위한 LL0층의 SLN이 특정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또한, 목적 기록층의 SLN와 LLN은 서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
본 예의 광디스크(100)에서의 리드인 영역(111, 131)에는 각 기록층에 연관된 기록층 번호 SLN 및 LLN와, 및 각 기록층이 속하는 레이어 세트의 레이어 세트 넘버가, 예를 들면, 데이터 테이블의 형식으로 서로 연관되어 저장된다. 도 2는 본 예의 광디스크(100)와 연관된 데이터 테이블을 나타낸 예이다.
데이터 테이블의 좌측의 열은 각 기록층에 할당되는 SLN(SL0, SL1, SL2, SL3)를 나타내고, 중앙의 열은 각 기록층이 대응하는 레이어 세트(레이어 세트 0, 레이어 세트 1을 나타내고, 우측의 열은 각 레이어에 할당되는 LLN(LL0, LL1)를 나타낸다.
광디스크(100)에 대하여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하는 광디스크 장치는, 리드인 영역(111) 또는 리드인 영역(131)에 저장된 데이터 테이블을 참조하여 미리 정해진 기록층에 할당되는 SLN 및 LLN을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예의 광디스크는 네 개의 기록층(110, 120, 130, 140)을 가지는 광디스크에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더 많거나 더 적은 기록층을 구비할 수도 있고, 또 각 기록층이 대응하는 기록 형식도 임의의 구성일 수 있다. 또한, 각 기록층의 물리적 및 논리적인 구조도 경우에 따라, 대응하는 기록 형식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기록층에는, 리드인 영역, 리드아웃 영역 또는 미들 영역이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각 기록층은 더 세분될 수 있다.
그런데, 본 예의 광디스크(100)에서는, 특히 재기록 가능형 또는 1회 기록형의 기록 형식에 대응하는 각 기록층에는, SLN, LLN, 및 섹터 번호가 미리 워블 등에 프리포맷되어 있는, 이른바 ADIP가 채용될 수도 있다. 반면에, 재생 전용형의 기록 형식에 대응하는 기록층에서는, 예를 들면, 디스크 제조 시에, SLN 및 LLN이 어드레스 영역에 포함되도록 스탬퍼에 의해 엠보스 피트가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어드레스 영역의 예
이어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광디스크(100)의 데이터 영역에서의 SLN 및 LLN 어드레스 영역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예에서 채용되는 SLN과 LLN의 두 개의 기록층 번호 중, 각 레이어 세트에 의해 할당되는 LLN은, 종래의 다층형 광디스크에서 사용되는 기록층 번호와 동일하다. 일반적인 광디스크에서, 이와 같은 기록층 번호는, 예를 들면, 각 섹터에서의 섹터 번호의 상위 비트(high-order bit) 등에 기록되어 있다.  본 예의 광디스크(100)에서도, LLN은 마찬가지로 각 섹터에서의 섹터 번호의 상위 비트 등에 기록될 수 있다.
반면에, 광디스크(100)의 기록층을 특정하는 SLN은 종래에 이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SLN을 저장하기 위한 영역을 새롭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광디스크(100)의 구체적인 예인 BD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ECC 블록 구조에 대하여, 도 3(a) 및 도 3(b)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는 BD의 규격에 따른 광디스크(100)에서의 ECC 블록(10)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3(b)은, ECC 블록에 포함되는 버스트 인디케이터 서브 코드(burst indicator subcode, BIS) 블록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ECC 블록(10)은 64KB 크기의 데이터 영역이고 SYNC 데이터열(data column)(11), 각각 24개의 데이터열로 이루어지는 세 개의 BIS(12), 및 각각 496 바이트의 용량을 가지는 152열로 이루어진 장거리 코드(long distance code, LDC) 데이터열(13)을 포함한다. LDC 데이터열(13)은 SYNC 데이터열(11) 및 세 개의 데이터열(12)에 의해, 예를 들면, 38열마다 4개의 LDC 블록(13)으로 분할된다. 그런데, LDC에서는, 2바이트가 하나의 코드워드(code word)로 표현되고, LDC는 부호 길이 216의 데이터부 및 부호 길이 32의 패리티부로 구성된다.
세 개의 BIS(12)에서의 데이터는, 도 3(b)에 나타내는, 6행(row)의 물리 어드레스 정보(12a) 및 24행의 사용자 컨트롤 데이터(12b)를 포함하는 30행의 데이터와, 32행의 패리티 정보(12c)를 포함하는 24열의 BIS 블록으로부터 ECC 블록(10)에 삽입된다. 또, BIS 블록의 각 열은, 6 바이트의 물리 어드레스 정보, 24 바이트의 사용자 컨트롤 데이터, 및 32 바이트의 패리티 정보를 포함하는 BIS 코드 워드이다. 즉, BIS 블록은, 도 3(b)에서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향하는 BIS 코드 워드 0 내지 23의 24개 BIS 코드 워드를 가진다. 디코딩 동안, BIS 코드 워드의 에러는 BIS 코드 워드의 패리티행(parity row)에 기초한 패리티 검사에 의해 수정된다.
BIS 블록에서의 6행의 물리 어드레스 정보(12a)는 16개의 어드레스 필드(14)를 기록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어드레스 필드(14)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을 계속한다. 도 4는 하나의 어드레스 필드(14)의 구조에 대하여 개념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각 어드레스 필드(14)는 9 바이트의 데이터를 가지고, 그 중 최초의 4 바이트는 물리 섹터에 대응하는 어드레스 유닛 넘버(address unit number, AUN)부이고, 다섯 번째(제5) 바이트는 플래그 비트를 기록하는 플래그 바이트이며, 나머지 4바이트는 어드레스 필드의 패리티이다.
본 발명의 두 가지 유형의 기록층 번호(즉, SLN 및 LLN)를 저장하기 위한 어드레스 영역의 구체예로서, 어드레스 필드(14)의 AUN부가 사용된다. 이 AUN부에 기록층 번호를 기록하는 경우의 데이터 영역의 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예로서, AUN부의 4 바이트(즉, 32 비트)의 데이터 영역에서, 0에서 23까지의 24 비트가 레이어 내 어드레스(address unit number in layer, AUNL)로 사용되고, LLN은 그 다음의 4 비트에 기록되고, SLN은 마지막 4 비트에 기록된다.
또한, 제2 예로서, AUN부의 4 바이트(즉, 32 비트)의 데이터 영역은 1 비트 크기의 예약 영역(reserved area), 크기 4 비트 크기의 섹터 번호, 19 비트 크기의 레이어 내 어드레스, 3 비트 크기의 LLN, 2 비트 크기의 예약 영역, 및 3비트 크기의 SLN이, 차례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런데, 본 예의 광디스크(100)에서, SLN 및 LLN을 저장하기 위한 어드레스 영역의 구성은, 전술한 태양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다른 어드레스 영역 또는 플래그 비트 영역이 SLN 영역으로서 채용될 수 있거나, 어드레스 ECC 등이 SLN 영역으로서 채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디스크(100)에 따르면, 데이터가 기록되는 각 섹터에 포함되는 SLN 및 LLN을 참조하여, 광디스크(100)의 각 기록층을 절대적으로 특정할 수 있고 각 레이어 세트에서의 각 기록층을 특정할 수 있다.
(3) 정보 기록/재생 장치의 기본 구성예
이어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정보 기록/재생 장치의 예로서 정보 기록/재생 장치(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예의 정보 기록/재생 장치(1)의 기본적인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그런데, 정보 기록/재생 장치(1)는 광디스크(100)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능과, 광디스크(100)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보 기록/재생 장치(1)는, 광디스크(100)가 로딩되어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을 수행하는 디스크 드라이브(200); 및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퍼스널 컴퓨터와 같은 호스트 컴퓨터(300)를 구비한다.
디스크 드라이브(200)는 광디스크(100); 스핀들 모터(210); 광픽업(220); 신호 기록/재생 유닛(230); CPU(240); 메모리(250); 데이터 입출력 제어 유닛(260); 및 버스(270)를 구비한다.  또한, 호스트 컴퓨터(300)는 CPU(310p; 메모리(320); 조작 표시 제어 유닛(330); 및 데이터 입출력 제어 유닛(340)을 구비한다.
스핀들 모터(210)는 광디스크(100)을 회전 및 정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광디스크(100)를 액세스할 때 동작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스핀들 모터(210)는 도시하지 않은 서보 유닛으로부터의 스핀들 서보 하에 미리 정해진 속도로 광디스크(100)를 회전 및 정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광픽업(220)은 광디스크(100)에 대하여 기록 및 재생을 수행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반도체 레이저 소자, 콜리메이터 렌즈, 대물 렌즈 등을 구비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광픽업(220)은 광디스크(100)에 레이저빔 등을 재생시에는 판독광으로서 제1 파워로 조사하고, 광디스크(100)에 레이저빔 등을 기록 시에는 기록 광으로서 제2 파워로 변조시키면서 조사한다.
신호 기록/재생 유닛(230)은 CPU(240)의 제어 하에서 스핀들 모터(210)와 광픽업(220)을 제어하여, 광디스크(100)에 대하여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신호 기록/재생 유닛(230)은, 예를 들면,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LD 드라이버) 및 헤드 앰프(head amplifier) 등을 구비한다.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는, 예를 들면, 구동 펄스를 생성하고, 광픽업(220) 내에 배치된 반도체 레이저 소자(111)를 구동한다. 헤드 앰프는 광픽업(220)의 출력 신호, 즉 광빔의 반사광을 증폭하고, 증폭한 신호를 출력한다.
메모리(250)는 기록/재생 데이터의 버퍼 영역, 데이터가 신호 기록/재생 유닛(230)으로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할 때의 중간 버퍼로서 사용되는 영역 등을 비롯하여, 디스크 드라이브(200)에서의 전반적인 데이터 처리 및 OPC 처리에 사용된다.  또한, 메모리(250)는 기록 디바이스로서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즉 펌웨어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영역; 기록/재생 데이터의 일시 저장용 버퍼로서 사용되고 펌웨어 프로그램 등의 동작에 필요한 변수가 저장되는 랜덤 액세스 ㅁ메모리(RAM) 영역 등을 구비한다.
CPU(240)는 신호 기록/재생 유닛(230) 및 메모리(250)와 버스(270)를 통하여 접속되고, 각 제어 디바이스에 지시를 행함으로써, 디스크 드라이브(200) 전체를 제어한다. 통상, CPU(240)를 동작시키기 위한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는 메모리(250)에 저장되어 있다.
또, 본 예의 CPU(240)는 본 발명의 기록 장치 또는 재생 장치에서의 참조 디바이스의 일 구체예를 구성한다. CPU(240)는 광픽업(220)을 통하여 판독되는 광디스크(100)의 어드레스 정보로부터 기록층 번호 SLN 및 LLN을 취득한다. 그후CPU(240)는, 예를 들면, 기록층 번호 SLN 및 LLN에 따라 광픽업(220)에서의 레이저광의 광축 조정을 행함으로써, 원하는 기록층으로의 레이어 점프의 점프량을 설정한다.
데이터 입출력 제어 유닛(260)은 디스크 드라이브(200)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고, 메모리(250) 상의 데이터 버퍼로의 저장 및 인출을 행한다. 디스크 드라이브(200)에 SCSI와 ATAPI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접속되는 외부의 호스트 컴퓨터(300)로부터 발행되는 드라이브 제어 명령은, 데이터 입출력 제어 유닛(260)을 통하여 CPU(240)에 송신된다. 또한, 기록/재생 데이터도 마찬가지로 데이터 입출력 제어 유닛(260)을 통하여 호스트 컴퓨터(300)와 송수신된다.
조작 표시 제어 유닛(330)은 호스트 컴퓨터(300)에 대한 동작 지시를 수신하고 표시를 행한다.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조작 버튼 등을 통하여 입력되는 기록 또는 재생 등의 지시를 버스(350)를 통하여 CPU(310)에게 전송한다. CPU(310)는 조작 표시 제어 유닛(330)으로부터의 지시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 입출력 제어 유닛(340)을 통하여 디스크 드라이브(200)에 제어 커맨드를 송신하여, 디스크 드라이브(200) 전체를 제어한다. 마찬가지로, CPU(310)는 디스크 드라이브(200)에 동작 상태를 송신하도록 요구하는 커맨드를 송신할 수 있다. 이로써, 기록중 또는 재생중과 같은, 디스크 드라이브(200)의 동작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CPU(310)는 조작 표시 제어 유닛(330)을 통하여 형광관과 LCD와 같은, 도시하지 않은 표시 패널에 디스크 드라이브(200)의 동작 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
메모리(320)는 호스트 컴퓨터(300)에 의해 사용되는 내부 기억 장치이다. 메모리(320)는 BIOS(Basic Input/Output System)와 같은 펌웨어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ROM 영역; 운영 체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의 동작에 필요한 변수 등이 저장되는 RAM 영역 등을 포함한다. 또한, 메모리(320)는 데이터 입출력 제어 유닛(340)을 통하여, 도시하지 않은 하드 디스크와 같은 외부 기억 장치에 접속될 수 있다.
본 예의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 따르면, 광디스크(100)에의 데이터의 기록 및 기록된 데이터의 재생을 바람직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 및 명세서 전체로부터 읽어낼 수 있는 발명의 요지 또는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그러한 변경을 포함하는 정보 기록 매체, 정보 기록 장치 및 정보 재생 장치도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1 보 기록 장치
10 ECC 블록
12 BIS
14 어드레스 필드
100 광디스크
110 SL0층/LL0층
120 SL0층/LL1층
130 SL1층/LL0층
140 SL1층/LL1층
200 디스크 드라이브
210 스핀들 모터
220 광픽업
230 신호 기록 재생부
240 CPU
300 호스트 컴퓨터  

Claims (4)

  1.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복수의 기록층을 가지는 정보 기록 매체로서,
    (i) 상기 복수의 기록층 각각은, 데이터가 기록되는 데이터 영역, 및 상기 데이터의 기록 어드레스가 기록되는 어드레스 영역을 포함하고,
    (ii) 상기 복수의 기록층 각각은, 복수의 기록 형식 중 하나에 대응하고,
    (iii) 상기 복수의 기록층 각각은, 상기 기록층 각각에 할당되는 제1 기록층 번호; 및 대응하는 상기 기록 형식에 할당되는 제2 기록층 번호를 가지고,
    상기 제1 기록층 번호와 상기 제2 기록층 번호가 상기 어드레스 영역에 포함되는, 정보 기록 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록 형식은 재생 전용형, 1회 기록형 및 재기록 가능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 기록 매체.
  3. 제1항에 따른 정보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정보 기록 장치로서,
    상기 정보 기록 매체의 상기 어드레스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제1 기록층 번호 및 상기 제2 기록층 번호를 참조하는 참조 디바이스; 및
    참조된 상기 제1 기록층 번호 및 상기 제2 기록층 번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의 기록하는 기록 디바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기록 디바이스는, 상기 데이터의 어드레스 영역에 상기 제1 기록층 번호 및 상기 제2 기록층 번호를 포함하여 상기 데이터를 기록하는, 정보 기록 장치.
  4. 제1항에 따른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하는 정보 재생 장치로서,
    상기 정보 기록 매체의 상기 어드레스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제1 기록층 번호 및 상기 제2 기록층 번호를 참조하는 참조 디바이스; 및
    참조된 상기 제1 기록층 번호 및 상기 제2 기록층 번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디바이스
    를 포함하는 정보 재생 장치.
KR1020127008794A 2009-11-06 2009-11-06 정보 기록 매체, 정보 기록 장치 및 정보 재생 장치 KR201200499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69004 WO2011055453A1 (ja) 2009-11-06 2009-11-06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再生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9945A true KR20120049945A (ko) 2012-05-17

Family

ID=43969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8794A KR20120049945A (ko) 2009-11-06 2009-11-06 정보 기록 매체, 정보 기록 장치 및 정보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441906B2 (ko)
EP (1) EP2500903A1 (ko)
JP (1) JP5374592B2 (ko)
KR (1) KR20120049945A (ko)
CN (1) CN102598133A (ko)
TW (1) TW201131560A (ko)
WO (1) WO2011055453A1 (ko)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7474A (ja) * 1995-04-10 1996-11-01 Sony Corp データ記録媒体およびそのデータ記録媒体を使用する記録/再生装置
ATE485584T1 (de) * 2002-08-22 2010-11-15 Lg Electronics Inc Hochdichter optischer datenträger und aufnahme- /wiedergabe verfahren dafür
JP2004253099A (ja) * 2003-02-21 2004-09-09 Toshiba Corp シンクフレーム構造、情報記憶媒体、情報記録方法、情報再生方法、および情報再生装置
JP2007500410A (ja) 2003-07-30 2007-01-1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多層光記憶ディスク用のコンテンツ識別子
JP4315253B2 (ja) 2004-02-03 2009-08-1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
CN1981328B (zh) * 2004-07-05 2011-02-09 日本先锋公司 信息记录装置
US20070253306A1 (en) 2004-10-05 2007-11-0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Processor for Such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Preparation Method for Using Such Information Recording Meduim,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CA2596055A1 (en) * 2005-01-28 2006-08-0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storage medium and player
US8248907B2 (en) 2005-02-16 2012-08-2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Optical disc and optical disc device
JP3812584B1 (ja) 2005-02-16 2006-08-23 三菱電機株式会社 光ディスク及び光ディスク装置
US8254240B2 (en) 2005-02-16 2012-08-2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Optical disc and optical disc device
JP3918862B2 (ja) * 2005-02-16 2007-05-23 三菱電機株式会社 光ディスク及び光ディスク装置
US8213290B2 (en) 2005-02-16 2012-07-0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Optical disc and optical disc device
JP2007026617A (ja) * 2005-07-21 2007-02-01 Toshiba Corp 情報記憶媒体、記録方法、再生方法および装置
US8014259B2 (en) 2007-02-22 2011-09-06 Hitachi, Ltd. Multi layer optical disc and optical disc apparatus capable of coping with the multi layer optical disc
JP5241251B2 (ja) * 2008-01-22 2013-07-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多層光ディスクおよび多層光ディスクに対応可能な光ディスク装置
JP2008251147A (ja) * 2007-03-07 2008-10-16 Ricoh Co Ltd 多層光情報媒体とその光情報処理装置、並びに実行プログラム及びそれを備えた情報媒体
JP2009037705A (ja) * 2007-08-02 2009-02-19 Toshiba Corp 情報記録媒体及び情報記録再生装置並びに情報記録再生方法
JP4673413B2 (ja) * 2009-02-27 2011-04-20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41906B2 (en) 2013-05-14
CN102598133A (zh) 2012-07-18
JPWO2011055453A1 (ja) 2013-03-21
EP2500903A1 (en) 2012-09-19
TW201131560A (en) 2011-09-16
JP5374592B2 (ja) 2013-12-25
US20120170430A1 (en) 2012-07-05
WO2011055453A1 (ja) 2011-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63858B2 (ja) 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並びに記録制御用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WO2005116995A1 (ja)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並びに記録制御用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801015B2 (en) Optical recording medium having physical and logical position information of buffer areas
KR100871334B1 (ko) 정보 기록 매체, 정보 기록 장치 및 방법
JP4577698B2 (ja)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情報再生装置及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948843B2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information, and computer program
JP5374592B2 (ja)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再生装置
JP2007066398A (ja) 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90135707A1 (en)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and method, computer program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US20090040899A1 (en)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and Method, Computer Program for Record Control,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US8125880B2 (en)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computer program
JP4603535B2 (ja)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
US8203927B2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20060081718A (ko) 정보 기록 매체, 정보 기록 장치 및 방법
JPWO2006109682A1 (ja) 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記録制御用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並びに情報記録媒体
JP2006085829A (ja)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並びに記録制御用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90268593A1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