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9822A - 건설기계용 캡 - Google Patents

건설기계용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9822A
KR20120049822A KR1020110115705A KR20110115705A KR20120049822A KR 20120049822 A KR20120049822 A KR 20120049822A KR 1020110115705 A KR1020110115705 A KR 1020110115705A KR 20110115705 A KR20110115705 A KR 20110115705A KR 20120049822 A KR20120049822 A KR 20120049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shield
frame
cap
window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5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6121B1 (ko
Inventor
가즈노리 고마츠
츠요시 가케가와
히로키 다나카
Original Assignee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49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9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6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6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front, e.g. structure of the glazing, mounting of the glazing
    • B60J1/04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front, e.g. structure of the glazing, mounting of the glaz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52Details of compartments for driving engines or motors or of operator's stands or cabins
    • B66C13/54Operator's stands or cab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퍼레이터의 전방 시야를 넓게 함과 함께, 창틀에 대한 앞창유리의 장착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앞창(21)은, 캡 박스(14)의 전패널(15)에 지지되는 본체 프레임(23)에 내측을 향하여 개구하는 유리 고정 홈(23D)이 형성된 창틀(22)과, 창틀(22)을 덮도록 앞창유리(28)와, 앞창유리(28)의 외주연(28A)을 표면측과 이면측으로 끼운 상태에서 본체 프레임(23)의 유리 고정 홈(23D)에 탄성 변형하면서 들어감으로써 창틀(22)에 앞창유리(28)의 외주연(28A)을 고정하는 탄성 고정구(29)로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창틀(22)에 앞창유리(28)를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흑색 세라믹 프린트 등의 접착제 대책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고, 전방 시야를 넓힐 수 있다. 또, 접착제를 건조시키기 위한 시간을 생략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건설기계용 캡{CAB FOR CONSTRUCTION MACHINERY}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유압 쇼벨, 유압 크레인 등의 건설기계에 설치되어 앞창을 가지는 건설기계용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기계로서의 유압 쇼벨은, 자주(自走) 가능한 하부 주행체와, 당해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와, 당해 상부 선회체 전측(前側)에 부앙동(俯仰動)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부 선회체에는, 좌측 앞쪽에 위치하여 오퍼레이터가 승차하는 캡이 설치되고, 당해 캡은, 선회 프레임 상에 설치된 플로어 부재와, 당해 플로어 부재 상에 설치되어 오퍼레이터가 착좌(着座)하는 운전석과, 당해 운전석을 덮도록 상기 플로어 부재에 설치되고 전측이 개구된 캡 박스와, 당해 캡 박스 전측의 개구를 폐색(閉塞)하는 앞창을 구비하고 있다.
또, 앞창은, 캡 박스에 지지되는 프레임체로 이루어지는 창틀과, 당해 창틀의 전측을 덮도록 배치되고 외주연(外周緣)이 탄성 부재를 거쳐 당해 창틀에 접착된 앞창유리로 구성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23857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157333호
그런데, 상기 서술한 각 특허문헌에 의한 것에서는, 창틀의 전측에 접착제에 의해 앞창유리를 고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 접착제는 직사 일광에 의해 열화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앞창유리의 주위에는, 접착제를 숨기도록 흑색 세라믹 프린트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앞창유리에 실시한 흑색 세라믹 프린트에 의해 전방의 시야가 좁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 앞창유리를 창틀에 접착하는 구성에서는, 조립 작업시, 교환 작업시에 접착제를 건조시키기 위한 시간이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앞창유리의 조립 작업, 교환 작업에 시간을 필요로 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앞창유리에는 일반적인 강화 유리가 사용되고 있지만, 사양에 따라서는, 더욱 고강도의 접합 유리나 경량의 아크릴 수지제 유리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접합 유리나 아크릴 수지제 유리는, 일반적인 강화 유리와 비교하여 두께 치수가 커진다. 따라서, 창틀 전측에 앞창유리를 접착하는 구성에서는, 접합 유리나 아크릴 수지제 유리를 장착하는 경우, 캡 박스에 대한 앞창유리의 위치가 접근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캡 박스와 앞창의 간극을 메워서 빗물 등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 웨더 스트립을, 다른 치수의 것으로 교환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오퍼레이터의 전방 시야를 넓게 함과 함께, 창틀에 대한 앞창유리의 장착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건설기계용 캡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건설기계용 캡은, 전측이 개구하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 캡 박스와, 당해 캡 박스의 상기 개구를 폐색하는 앞창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서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구항 1의 발명이 채용하는 구성의 특징은, 상기 앞창은, 상기 캡 박스에 지지되는 프레임체로 이루어지고 내측을 향하여 개구하는 유리 고정 홈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창틀과, 당해 창틀의 내측을 덮도록 배치하여 설치된 앞창유리와, 당해 앞창유리의 외주연을 표면측과 이면측으로 끼운 상태에서 상기 창틀의 유리 고정 홈에 탄성 변형하면서 들어감으로써 상기 창틀에 앞창유리의 외주연을 고정하는 탄성 고정구로 구성한 것에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상기 탄성 고정구는, 탄성을 가지는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1개 또는 복수의 부재에 의해 단면 U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대면하여 연장된 협지면부(挾持面部)에 의해 상기 앞창유리의 외주연을 표면측과 이면측으로 끼우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상기 앞창유리는, 상, 하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의 판유리로서 형성하고, 상기 창틀은, 상기 앞창유리의 상측 가장자리부, 좌측 가장자리부 및 우측 가장자리부를 고정하는 상측 프레임부, 좌측 프레임부 및 우측 프레임부로부터 역 U자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 프레임과, 당해 본체 프레임의 좌측 프레임부와 우측 프레임부의 하단부(下端部)에 장착되어 당해 본체 프레임 내에 앞창유리를 고정하는 하측 고정 프레임으로 구성한 것에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상기 캡 박스에는, 좌, 우 방향에서 대면한 상태에서 전측에서 천정측에 걸쳐서 대략 L자 형상으로 연장되는 좌, 우의 가이드 레일을 설치하고, 상기 앞창은, 상기 창틀의 좌, 우 양측에 상기 각 가이드 레일을 따라 안내되는 롤러를 장착함으로써 개방, 폐쇄 가능하게 구성한 것에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탄성 고정구에 의해 앞창유리의 외주연을 표면측과 이면측으로 끼우고, 이 상태에서 창틀의 유리 고정 홈에 넣는다. 이것에 의해, 탄성 고정구는, 탄성력에 의해 앞창유리의 외주연을 창틀에 고정할 수 있다.
이 결과, 앞창유리는,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 창틀에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앞창유리의 주위에 흑색 세라믹 프린트 등의 접착제 대책을 실시할 필요가 없고, 캡에 탑승한 오퍼레이터에게 넓은 전방 시야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앞창유리를 창틀에 고정할 때에는, 접착제를 건조시키기 위한 시간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앞창의 조립 작업, 앞창유리의 교환 작업 등을 단시간에 행할 수 있다.
또한, 앞창유리를, 일반적인 강화유리에서 두께 치수가 큰 접합 유리나 아크릴 수지제 유리로 변경하는 경우에도, 두께 치수가 변화되는 앞창유리는 창틀 내에 들어가 있기 때문에, 캡 박스에 대한 앞창의 거리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앞창유리는, 예를 들면, 캡 박스와 앞창의 간극을 메워서 빗물 등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웨더 스트립을 다른 치수의 것으로 교환하지 않고, 일반적인 강화유리에서 접합 유리나 아크릴 수지제 유리로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탄성 고정구는, 단면 U자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대면하여 연장된 각 협지면부에 의해 앞창유리의 외주연을 표면측과 이면측으로 끼울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탄성 고정구를 창틀의 유리 고정 홈에 넣음으로써, 각 협지면부를 앞창유리의 외주연에 탄성적으로 눌러서 고정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직사각형 형상 앞창유리의 외주연에 탄성 고정구를 장착하고, 이 탄성 고정구가 장착된 앞창유리의 외주연을 본체 프레임의 유리 고정 홈에 하측으로부터 밀어넣는다. 그리고, 본체 프레임의 좌측 프레임부와 우측 프레임부의 하단부에 하측 고정 프레임을 장착함으로써, 본체 프레임 내에 앞창유리를 고정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앞창은, 좌, 우의 롤러를 캡 박스의 좌, 우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캡 박스 전측의 개구를 폐색하거나, 천정측에 격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건설기계용 캡이 적용되는 크롤러식의 유압 쇼벨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상부 선회체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캡을 도 2 중의 화살표 III-III 방향으로부터 본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 중의 A부를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앞창을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6은 창틀의 본체 프레임을 단체(單體)로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7은 창틀의 하측 고정 프레임을 단체로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8은 창틀의 본체 프레임과 하측 고정 프레임을 분해한 상태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체 프레임과 하측 고정 프레임의 장착 상태를 도 5 중의 화살표 IX-IX 방향으로부터 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하측 고정 프레임에 의한 앞창유리의 고정 상태를 도 5 중의 화살표 X-X 방향으로부터 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앞창유리를 단체로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12는 탄성 고정구를 단체로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체 프레임과 앞창유리와 탄성 고정구의 장착 상태를 도 5 중의 화살표 XIII-XIII 방향으로부터 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체 프레임과 앞창유리와 탄성 고정구를 분해한 상태로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의한 탄성 고정구를 본체 프레임과 앞창유리와 함께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건설기계용 캡으로서 유압 쇼벨에 사용하는 캡을 예로 들어, 도 1 내지 도 14를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1은 건설기계로서의 유압 쇼벨로, 당해 유압 쇼벨(1)은, 자주 가능한 크롤러식의 하부 주행체(2)와, 당해 하부 주행체(2) 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3)와, 당해 상부 선회체(3)의 전측에 부앙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토사의 굴삭 작업 등을 행하는 작업 장치(4)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부 선회체(3)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구조체를 이루는 선회 프레임(5)과, 당해 선회 프레임(5)의 좌측 앞쪽에 탑재된 후술의 캡(11)과, 당해 캡(11)의 후측에 위치하여 선회 프레임(5)에 탑재된 엔진, 유압 펌프 등(모두 도시 생략)을 덮는 구조물 커버(6)와, 상기 선회 프레임(5)의 후단부에 장착된 카운터 웨이트(7)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11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건설기계용 캡으로서의 유압 쇼벨용 캡[이하, 캡(11)이라고 한다]을 나타내고 있다. 이 캡(11)은, 선회 프레임(5)의 좌측 전부(前部)에 탑재되어, 오퍼레이터가 탑승하는 운전실을 구성하는 것이다. 또, 캡(11)은, 도 2,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플로어 부재(12), 운전석(13), 캡 박스(14), 가이드 레일(20), 앞창(21)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12는 캡(11)의 바닥부를 형성하는 플로어 부재로, 당해 플로어 부재(12)는, 선회 프레임(5)의 상측에 복수 개의 방진 마운트(도시 생략)를 통해 장착되어 있다. 또, 플로어 부재(12)의 주위에는, 캡 박스(14)의 하측이 장착되어 있다. 한편, 플로어 부재(12) 상에는, 오퍼레이터가 착좌하기 위한 운전석(13)이 설치되어 있다.
14는 캡(11)의 외형을 구성하는 캡 박스로, 당해 캡 박스(14)는, 전측에 배치된 전패널(15)과, 당해 전패널(15)과 대면하도록 후측에 배치된 후패널(16)과, 좌측에 위치하여 상기 전패널(15)과 후패널(16) 사이에 설치된 좌패널(17)(도 2 참조)과, 우측에 위치하여 상기 전패널(15)과 후패널(16) 사이에 설치된 우패널(18)과, 상측을 폐색하여 설치된 천정 패널(19)에 의하여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캡 박스(14)로서는, 네모진 상자 형상 외에도, 예를 들면, 좌패널, 천정 패널 등이 만곡한 원통형, 알형 등의 다른 형상도 포함하는 것이다.
한편, 캡 박스(14)의 전패널(15)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각형상의 개구(15A)가 형성되어 있다. 또, 개구(15A)의 내측 끝 가장자리에는, 웨더 스트립(15B)이 장착되어 있다. 이 웨더 스트립(15B)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창틀(22)의 전면 측에 탄성적으로 밀착함으로써, 전패널(15)과 앞창(21) 사이로부터 캡(11) 안에 빗물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 경우, 웨더 스트립(15B)은, 창틀(22)에 맞닿았을 때에, 찌그러지는 형태가 작아도, 너무 커도 밀착성이 나빠지기 때문에, 전패널(15)과 앞창(21)의 거리를 적정한 치수로 설계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캡 박스(14)의 좌패널(17)에는, 승강용 도어(17A)(도 1, 도 2 참조)가 개방, 폐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20은 캡 박스(14)의 좌패널(17), 우패널(18)에 각각 설치된 좌, 우의 가이드 레일(도 3 중에 우측만 도시)을 나타내고 있다. 이 좌, 우의 가이드 레일(20)은, 좌, 우 방향에서 대면하여 배치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가이드 레일(20)은, 전패널(15) 측으로부터 천정 패널(19) 측에 걸치도록 전측 하부로부터 전측 상부를 경유하여 후측 상부로 연장되는 반대 상태의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가이드 레일(20)은, 전패널(15)을 따르도록 상, 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 레일부(20A)와, 천정 패널(19)을 따르도록 당해 세로 레일부(20A)의 상부로부터 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레일부(20B)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 레일(20)은, 좌, 우 방향에서 대향하여 개구하는 단면 U자 형상의 요함(凹陷) 홈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21은 캡 박스(4)에 설치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앞창을 나타내고 있다. 이 앞창(21)은, 전패널(15)의 개구(15A)를 폐색하는 것이다. 또, 앞창(21)은, 상측으로 이동하여 천정 패널(19) 측에 격납함으로써, 전패널(15)의 개구(15A)를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앞창(21)은, 도 5 내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창틀(22), 롤러(27), 앞창유리(28), 탄성 고정구(29)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22는 캡 박스(14)의 전패널(15)에 지지되는 프레임체로 이루어지는 창틀이다. 이 창틀(22)은, 후술하는 앞창유리(28)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당해 앞창유리(28)를 유지하는 것으로, 상, 하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의 프레임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창틀(22)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창유리(28)의 외주연(28A)을 이루는 상측 가장자리부(28A1), 좌측 가장자리부(28A3) 및 우측 가장자리부(28A4)를 고정하기 위한 상측 프레임부(23A), 좌측 프레임부(23B) 및 우측 프레임부(23C)로부터 역 U자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 프레임(23)과, 상기 상측 프레임부(23A)와 대략 평행이 되도록 좌측 프레임부(23B)의 하단부와 우측 프레임부(23C)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본체 프레임(23) 안에 앞창유리(28)를 고정하는 하측 고정 프레임(24)에 의하여 대략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체 프레임(23)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에 대한 횡단면이 대략 U자 형상을 이루고, 이것에 의해, 상측 프레임부(23A), 좌측 프레임부(23B) 및 우측 프레임부(23C)의 내부에는, 내측을 향하여 개구하는 유리 고정 홈(23D)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이 유리 고정 홈(23D)은, 앞창유리(28)의 외주연(28A)을 사이에 둔 상태의 탄성 고정구(29)가 들어가는 것으로, 그 개구 치수는, 탄성 고정구(29)가 적절하게 탄성 변형하면서, 그 탄성력에 의해 앞창유리(28)를 확실하게 끼워 넣을 수 있는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또, 본체 프레임(23)의 상측 위치에는, 좌, 우의 모서리 위치에 상측 브래킷(23E)이 설치되고, 당해 각 상측 브래킷(23E)에는, 후술하는 록 장치(26), 롤러(27) 등이 장착되어 있다. 한편, 좌측 프레임부(23B), 우측 프레임부(23C)의 하단부에는, 하측 고정 프레임(24) 등을 장착하기 위한 하측 브래킷(23F)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하측 고정 프레임(24)은, 도 7,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된 양단부에 장착부(24A)를 가지고, 당해 각 장착부(24A) 사이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고정 홈(23D)의 하측 부위를 구성하는 단부(段部)(24B)로 되어 있다. 또, 단부(24B)의 양단부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부(24A)의 위치에서 유리 고정 홈(23D)의 일부를 이루는 감합 홈부(24C)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하측 고정 프레임(24)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 우의 장착부(24A)를 볼트(25)를 사용하여 본체 프레임(23)의 좌측 프레임부(23B), 우측 프레임부(23C)의 하단부에 장착할 수 있다. 이때에는, 단부(24B)를 앞창유리(28)의 하부 가장자리부(28A2)에 맞닿게 할 수 있고, 또, 앞창유리(28)의 사변부(斜邊部)(28B)를 감합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26은 본체 프레임(23)의 각 상측 브래킷(23E)에 설치된 록 장치(도 5 참조)로, 당해 록 장치(26)는, 앞창(21)에서 전패널(15)의 개구(15A)를 폐쇄한 상태 또는 천정 패널(19) 측에 격납한 상태일 때에, 캡 박스(14) 측에 걸어 앞창(21)을 록하는 것이다.
또, 27은 창틀(22)의 네 귀퉁이에 설치된 4개의 롤러로, 당해 각 롤러(27)는, 대응하는 가이드 레일(20)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앞창(21)은, 각 롤러(27)에 의해 각 가이드 레일(20)을 따라 이동할 수 있어, 캡 박스(14)의 전패널(15)을 폐색하거나, 천정 패널(19) 측에 격납할 수 있다.
28은 창틀(22)의 내측을 폐색하여 설치된 앞창유리로, 당해 앞창유리(28)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 하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후측으로 만곡한 판유리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앞창유리(28)는, 예를 들면, 작은 돌 등의 충돌 정도로는 손상되지 않는 일반적인 강도를 가진 강화유리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으로, 앞창유리(28)로서는, 높은 안전성과 강도를 겸비한 접합 유리, 경량의 아크릴 수지제 유리 등이 옵션으로서 준비되어 있다. 이들 유리는, 일반적인 강화유리보다 두께 치수가 커져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앞창유리(28)는, 접착제에 의해 창틀(22)에 장착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직사 일광을 차단하는 흑색 세라믹 프린트는 실시되어 있지 않다. 이것에 의해, 앞창유리(28)의 외주연(28A)을 투명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전방 시야를 넓게 할 수 있다. 또, 앞창유리(28)의 하측의 모서리부는, 비스듬하게 잘라냄으로써 사변부(28B)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이 사변부(28B)에 의해 모서리의 각도를 둔각으로 할 수 있어, 빗물에 대한 밀폐성을 높일 수 있다.
29는 앞창(21)을 구성하는 탄성 고정구를 나타내고 있다(도 12 참조). 이 탄성 고정구(29)는, 도 13,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창유리(28)의 외주연(28A)을 표면측과 이면측으로 끼운 상태에서 창틀(22)을 구성하는 본체 프레임(23)의 유리 고정 홈(23D)에 넣음으로써, 창틀(22) 안에 앞창유리(28)의 외주연(28A)를 고정하는 것이다. 또, 탄성 고정구(29)는, 본체 프레임(23)을 따르도록 역 U자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탄성 고정구(29)는, 앞창유리(28)의 두께 방향에서 대면하는 2개의 탄성부재(30, 31)로 이루어지고, 당해 각 탄성부재(30, 31)를 맞춤으로써 단면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30은 앞창유리(28)의 외주연(28A)에 표면으로부터 맞닿도록 역 U자 형상으로 연장된 표면측 탄성부재로, 당해 표면측 탄성부재(30)는, 단면이 대략 크랭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표면측 탄성부재(30)는, 대략 평탄한 협지면부(30A)와, 당해 협지면부(30A)의 내측에 위치하여 본체 프레임(23)의 유리 고정 홈(23D)과 앞창유리(28)의 간극을 덮도록 세워진 폐색부(30B)와, 협지면부(30A)의 외측에 위치하여 앞창유리(28)의 외주 끝에 걸리도록 이면측으로 돌출한 걸림부(30C)로 구성되어 있다. 이 걸림부(30C)는, 앞창유리(28)와 함께 본체 프레임(23)의 유리 고정 홈(23D)에 들어갔을 때에, 앞창유리(28)만 먼저 들어가지 않도록 함과 함께, 표면측 탄성부재(30)가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한편, 31은 앞창유리(28)의 외주연(28A)에 이면으로부터 맞닿도록 역 U자 형상으로 연장된 이면측 탄성부재로, 당해 이면측 탄성부재(31)는, 표면측 탄성부재(30)에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이면측 탄성부재(31)는, 표면측 탄성부재(30)의 협지면부(30A)에 대면하여 연장된 대략 평탄한 협지면부(31A)와, 당해 협지면부(31A)의 내측에 위치하여 세워진 폐색부(31B)와, 협지면부(31A)의 외측에 위치하여 표면측으로 돌출한 걸림부(31C)를 가지고, 이들 폐색부(31B)와 걸림부(31C)는, 표면측 탄성부재(30)의 폐색부(30B)와 걸림부(30C)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면측 탄성부재(31)의 이면측에는, 유리 고정 홈(23D)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예를 들면, 2개의 돌기(31D, 31E)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돌기(31D)는, 내측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돌출함으로써, 유리 고정 홈(23D)에 용이하게 들어갈 수 있고, 들어간 상태에서는 빠짐 방지로서 기능 하는 것이다.
그리고, 탄성 고정구(29)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측 탄성부재(30)의 협지면부(30A)를 앞창유리(28)의 외주연(28A)의 표면에 밀착시키고, 이면측 탄성부재(31)의 협지면부(31A)를 앞창유리(28)의 외주연(28A)의 이면에 밀착시킨다. 이것에 의해, 탄성 고정구(29)는, 앞창유리(28)의 외주연(28A)을 표면측과 이면측으로 간단히 끼울 수 있다. 다음으로, 앞창유리(28)의 외주연(28A)을 사이에 둔 각 탄성부재(30, 31)를, 탄성 변형시키면서 본체 프레임(23)의 유리 고정 홈(23D)에 넣음으로써, 탄성 고정구(29)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창틀(22) 안에 앞창유리(28)의 외주연(28A)을 탄성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유압 쇼벨(1)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다음에, 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오퍼레이터는 캡(11)에 탑승하여 운전석(13)에 착좌하고, 이 상태에서 주행용의 조작 레버(도시 생략)를 조작함으로써, 하부 주행체(2)를 주행시킬 수 있다. 또, 작업용 조작 레버(도시 생략)를 조작함으로써, 작업 장치(4)를 부앙동시켜 토사의 굴삭 작업 등을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앞창유리(28)가 파손되어 교환하는 경우의 작업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캡(11)으로부터 앞창(21)을 떼어내고, 볼트(25)를 느슨하게 하여 창틀(22)의 본체 프레임(23)으로부터 하측 고정 프레임(24)을 떼어낸다. 이것에 의해, 본체 프레임(23)의 유리 고정 홈(23D)으로부터 파손된 앞창유리(28)와 탄성 고정구(29)를 빼낼 수 있다.
한편, 새로운 앞창유리(28)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탄성 고정구(29)의 각 탄성부재(30, 31)에 의해 앞창유리(28)의 외주연(28A)을 표면측과 이면측으로 끼우고, 이 상태에서 본체 프레임(23)의 유리 고정 홈(23D)에 넣는다. 다음으로, 본체 프레임(23)의 좌측 프레임부(23B), 우측 프레임부(23C)의 하단부에 볼트(25)를 사용하여 하측 고정 프레임(24)을 장착함으로써, 앞창유리(28)를 상, 하 방향으로 고정한다. 이것에 의해, 새로운 앞창유리(28)를 탄성 고정구(29)를 통해 창틀(22) 안에 고정할 수 있고, 이 앞창(21)을 캡(11)에 장착함으로써, 앞창유리(28)의 교환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앞창(21)은, 캡 박스(11)의 전패널(15)에 지지되는 본체 프레임(23)에 내측을 향하여 개구하는 유리 고정 홈(23D)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창틀(22)과, 당해 창틀(22)의 내측을 폐색하여 설치된 앞창유리(28)와, 당해 앞창유리(28)의 외주연(28A)을 표면측과 이면측으로 끼운 상태에서 상기 본체 프레임(23)의 유리 고정 홈(23D)에 탄성 변형하면서 들어감으로써 상기 창틀(22)에 앞창유리(28)의 외주연(28A)을 고정하는 탄성 고정구(29)에 의해 구성되고 있다.
따라서, 탄성 고정구(29)에 의해 앞창유리(28)의 외주연(28A)을 표면측과 이면측으로 끼우고, 이 상태에서 본체 프레임(23)의 유리 고정 홈(23D)에 넣는다. 이것에 의해, 앞창유리(28)는, 그 외주연(28A)을 탄성 고정구(29)를 통해 창틀(22)에 탄성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 결과, 앞창유리(28)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창틀(22)에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앞창유리(28)의 주위에 흑색 세라믹 프린트 등의 접착제 대책을 실시할 필요가 없어, 운전석(13)에 착좌한 오퍼레이터에게 넓은 전방 시야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앞창유리(28)를 창틀(22)에 고정할 때에는, 접착제를 건조시키기 위한 시간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앞창유리(28)의 부착 작업, 교환 작업을 단시간에 행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앞창유리(28)를, 일반적인 강화유리에서 두께 치수가 큰 접합 유리나 아크릴 수지제 유리로 변경하는 경우에도, 두께 치수가 변화되는 앞창유리(28)는 창틀(22) 안에 넣어져 있기 때문에, 캡 박스(11)의 전패널(15)에 대한 앞창(21)의 거리는 일정한 채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앞창유리(28)는, 전패널(15)에 설치되는 빗물 침입 방지용 웨더 스트립(15B)을 교환하지 않고, 일반적인 강화유리에서 접합 유리나 아크릴 수지제 유리로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 탄성 고정구(29)는, 탄성을 가지는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2개의 표면측 탄성부재(30)와 이면측 탄성부재(31)에 의해 단면 U자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대면하여 연장된 협지면부(30A, 31A)에 의해 앞창유리(28)의 외주연(28A)을 끼울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탄성 고정구(29)를 본체 프레임(23)의 유리 고정 홈(23D)에 넣음으로써, 각 협지면부(30A, 31A)를 앞창유리(28)의 외주연(28A)에 눌러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고정구(29)를 1개의 부재에 의해 단면 U자 형상으로 형성한 경우와 비교하여, 앞창유리(28)를 각 협지면부(30A, 31A)에서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끼울 수 있어,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창틀(22)은, 앞창유리(28)의 외주연(28A)에 탄성 고정구(29)를 장착하고, 이 탄성 고정구(29)를 앞창유리(28)의 외주연(28A)과 함께 본체 프레임(23)의 유리 고정 홈(23D)에 하측으로부터 밀어넣어, 본체 프레임(23)의 하측 브래킷(23F)에 하측 고정 프레임(24)을 장착함으로써, 본체 프레임(23) 안에 앞창유리(28)를 간단하게, 또한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앞창(21)은, 좌, 우의 롤러(27)를 캡 박스(14)의 좌, 우의 가이드 레일(20)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캡 박스(14)의 전패널(15)을 폐색하거나, 천정 패널(19) 측에 격납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탄성 고정구(29)는, 앞창유리(28)의 두께 방향에서 대면하는 2개의 표면측 탄성부재(30)와 이면측 탄성부재(31)에 의해 구성되고, 당해 각 탄성부재(30, 31)를 맞춤으로써 단면 U자 형상으로 형성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5에 나타내는 변형예에 의한 탄성 고정구(41)와 같이, 1개의 부재에 의해 단면 U자 형상으로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즉, 변형예에 의한 탄성 고정구(41)는, 탄성을 가진 1개의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고, 대면하여 연장된 표면측 협지면부(41A)와 이면측 협지면부(41B) 사이에서 앞창유리(28)의 외주연(28A)을 끼우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 실시형태에서는, 건설기계용 캡으로서 크롤러식의 유압 쇼벨(1)의 캡(11)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캡(11)을 휠식의 하부 주행체를 구비한 유압 쇼벨에 적용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유압 크레인, 휠 로더, 트랙터, 불도저 등의 다른 건설기계의 캡에도 널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1 : 유압 쇼벨(건설기계) 11 : 유압 쇼벨용 캡(건설기계용 캡)
12 : 플로어 부재 13 : 운전석
14 : 캡 박스 15 : 전패널
16 : 후패널 17 : 좌패널
18 : 우패널 19 : 천정 패널
20 : 가이드 레일 21 : 앞창
22 : 창틀 23 : 본체 프레임
23A : 상측 프레임부 23B : 좌측 프레임부
23C : 우측 프레임부 23D : 유리 고정 홈
24 : 하측 고정 프레임 27 : 롤러
28 : 앞창유리 28A : 외주연
28A1 : 상측 가장자리부 28A2 : 하측 가장자리부
28A3 : 좌측 가장자리부 28A4 : 우측 가장자리부
29, 41 : 탄성 고정구 30 : 표면측 탄성부재
30A, 31A : 협지면부 31 : 이면측 탄성부재
41A : 표면측 협지면부 41B : 이면측 협지면부

Claims (4)

  1. 전측이 개구하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 캡 박스와, 당해 캡 박스의 상기 개구를 폐색하는 앞창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건설기계용 캡에 있어서,
    상기 앞창은, 상기 캡 박스에 지지되는 프레임체로 이루어지고 내측을 향하여 개구하는 유리 고정 홈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창틀과, 당해 창틀의 내측을 덮도록 배치하여 설치된 앞창유리와, 당해 앞창유리의 외주연을 표면측과 이면측으로 끼운 상태에서 상기 창틀의 유리 고정 홈에 탄성 변형하면서 들어감으로써 상기 창틀에 앞창유리의 외주연을 고정하는 탄성 고정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용 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고정구는, 탄성을 가지는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1개 또는 복수의 부재에 의해 단면 U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대면하여 연장된 협지면부에 의해 상기 앞창유리의 외주연을 표면측과 이면측으로 끼우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건설기계용 캡.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앞창유리는, 상, 하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의 판유리로서 형성하고,
    상기 창틀은, 상기 앞창유리의 상측 가장자리부, 좌측 가장자리부 및 우측 가장자리부를 고정하는 상측 프레임부, 좌측 프레임부 및 우측 프레임부로부터 역 U자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 프레임과, 당해 본체 프레임의 좌측 프레임부와 우측 프레임부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당해 본체 프레임 안에 앞창유리를 고정하는 하측 고정 프레임으로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건설기계용 캡.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박스에는, 좌, 우 방향에서 대면한 상태에서 전측에서 천정측에 걸쳐 대략 L자 형상으로 연장되는 좌, 우의 가이드 레일을 설치하고,
    상기 앞창은, 상기 창틀의 좌, 우 양측에 상기 각 가이드 레일을 따라 안내되는 롤러를 장착함으로써 개방, 폐쇄 가능하게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건설기계용 캡.
KR1020110115705A 2010-11-09 2011-11-08 건설기계용 캡 KR1017761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50649A JP5384466B2 (ja) 2010-11-09 2010-11-09 建設機械用キャブ
JPJP-P-2010-250649 2010-1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9822A true KR20120049822A (ko) 2012-05-17
KR101776121B1 KR101776121B1 (ko) 2017-09-07

Family

ID=46267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5705A KR101776121B1 (ko) 2010-11-09 2011-11-08 건설기계용 캡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384466B2 (ko)
KR (1) KR101776121B1 (ko)
CN (1) CN10253010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9800A1 (de) * 2020-05-26 2021-12-02 Serbay, Timur Sicherheitsverkleidung für eine fahrerkabine eines fahrzeug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5923A (ko) * 2020-07-07 2022-01-14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건설기계의 캐빈
US20220161637A1 (en) * 2020-11-20 2022-05-26 Optic Armor, LLC Adjustable window
CN112849306B (zh) * 2021-03-24 2022-08-26 北京汽车集团越野车有限公司 一种车架及车辆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612067Y1 (ko) * 1966-11-05 1971-04-26
JPH0612067Y2 (ja) * 1986-08-13 1994-03-30 古河機械金属株式会社 建設車両の油圧制御装置
US5984036A (en) * 1996-06-04 1999-11-16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Work machine with operator's cabin
EP1325988B1 (en) * 2000-09-18 2011-07-06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Cab for construction machinery
JP2005161994A (ja) * 2003-12-02 2005-06-23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用キャブ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9800A1 (de) * 2020-05-26 2021-12-02 Serbay, Timur Sicherheitsverkleidung für eine fahrerkabine eines fahrzeu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30104A (zh) 2012-07-04
JP2012102501A (ja) 2012-05-31
KR101776121B1 (ko) 2017-09-07
CN102530104B (zh) 2015-10-14
JP5384466B2 (ja) 2014-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4975B1 (ko) 작업차의 캐빈
US9027986B2 (en) Wiper device, open/close guard with wiper device, and cab for construction machine
KR20120049822A (ko) 건설기계용 캡
KR101660658B1 (ko) 가드 부착형 작업 차량용 캡 및 유압 셔블
KR20090123218A (ko) 조립식 가이드채널이 장착된 건설장비용 새시창
US6135223A (en) Guard cover for a construction machine
JP2007245749A (ja) 作業車のフレーム構造
JP6696345B2 (ja) 建設機械のキャブ
JP2010126069A (ja) 車両用ドア
US11807310B2 (en) Cab
JP4795750B2 (ja) キャブへのフロントガード取付構造
JP3646483B2 (ja) 車両の窓またはドアの開閉装置
US4624500A (en) Assembly for dampening vibration of a glass panel in a vehicle
JP2020179996A (ja) 建設機械のキャビン構造
KR100260228B1 (ko) 진동과 소음을 감소시킨 굴삭기의 캡
JP3704900B2 (ja) 車両の窓及びドアの開閉装置
CN217649550U (zh) 一种工程机械驾驶室及工程机械车辆
US8978308B2 (en) Door structure
KR102529532B1 (ko) 굴삭기의 캐빈용 방탄탑
JP2004322980A (ja) 建設機械の運転室
JP6911897B2 (ja) 建設機械のキャブ
JP6924082B2 (ja) 作業車両用キャブ、および作業車両
JPH11235786A (ja) 建設機械におけるキャビン用前面ガード部材
KR102299049B1 (ko) 중장비 차량의 동력실 실링 구조
JP4175995B2 (ja) 油圧ショベルの窓保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