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8616A - 의료 관리 유닛을 위한 들것 지지 시스템 및 그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의료 관리 유닛을 위한 들것 지지 시스템 및 그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8616A
KR20120048616A KR1020127003477A KR20127003477A KR20120048616A KR 20120048616 A KR20120048616 A KR 20120048616A KR 1020127003477 A KR1020127003477 A KR 1020127003477A KR 20127003477 A KR20127003477 A KR 20127003477A KR 20120048616 A KR20120048616 A KR 20120048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support arm
arm assembly
mounting bracke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3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3670B1 (ko
Inventor
로베르트 친
Original Assignee
페르노-와싱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르노-와싱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페르노-와싱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20048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8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3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3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8Accommodating or securing wheelchairs or stretchers
    • A61G3/0816Accommodating or securing stretchers
    • A61G3/0866Accommodating or securing stretchers on height adjustable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8Accommodating or securing wheelchairs or stretchers
    • A61G3/0816Accommodating or securing stretchers
    • A61G3/0825Accommodating or securing stretchers using support rack, fr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8Accommodating or securing wheelchairs or stretchers
    • A61G3/0816Accommodating or securing stretchers
    • A61G3/0841Accommodating or securing stretchers on lateral support 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8Accommodating or securing wheelchairs or stretchers
    • A61G3/0816Accommodating or securing stretchers
    • A61G3/085Accommodating or securing stretchers on support, which can be brought into a different position, when not in use, e.g. foldable, collapsible, retractable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8Accommodating or securing wheelchairs or stretchers
    • A61G3/0816Accommodating or securing stretchers
    • A61G3/0858Accommodating or securing stretchers on support for multiple stretc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8Accommodating or securing wheelchairs or stretchers
    • A61G3/0816Accommodating or securing stretchers
    • A61G3/0875Securing stretchers, e.g. fastening means
    • A61G3/0883Securing stretchers, e.g. fastening means by preventing lateral movement, e.g. tr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9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a stud engaging a keyhole slo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차량을 위한 들것 지지 시스템으로서, 이 들것 지지 시스템은 수평 위치에서 들것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아암 조립체를 포함하고, 지지 아암 조립체는 개방 위치 및 폐쇄 위치를 갖는, 지지 아암 조립체의 자유 단부에 있는 조절가능한 후크 조립체를 포함하며, 이 조절가능한 후크 조립체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사이에서 후크 조립체를 로킹하는 래칫 시스템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료 관리 유닛을 위한 들것 지지 시스템 및 그 사용 방법 {LITTER SUPPORT SYSTEMS FOR MEDICAL CARE UNITS AND METHODS OF THEIR USE}
본 특허는 들것 지지 시스템들 및 그 사용 방법들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의료 관리 유닛 또는 차량을 위한 조절가능한 들것 지지 시스템들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부상 또는 병든 환자들은 들것들 상에서 지탱 또는 수송되는 경우가 많다. 들것은 일반적으로 아프거나 상처입은 사람 같은 사람이 그 내부에 또는 그 위에 지탱될 수 있는 침대 또는 스트레처(stretcher)를 지칭한다. 통상적으로, 들것은 샤프트들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 골격(예를 들어, 천)을 포함한다. 응급차들 내에서 환자들을 수송하면서 들것들 상에 환자들을 올리고 내리는 것뿐만 아니라, 응급 요원은 환자들의 수송 동안 종종 들것 상에 환자를 둔 상태로 환자들과 들것 양자 모두를 직접적으로 응급 차량에 싣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차량들, 특히 응급 차량들 내에서 들것들을 지지, 조작 및 고정하기 위한 시스템들에 대한 지속적 필요성이 존재한다. 추가적으로, 다양한 치수들의 들것들을 수용 및 고정할 수 있는 시스템들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일 실시예에서, 수평의 상승된 위치에 환자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들것 지지 시스템을 위한 지지 아암 조립체가 제공된다. 지지 아암 조립체는 자유 단부와 부착 단부를 포함하는 아암 부분과 아암 부분의 자유 단부에 배치된 외부 후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부착 단부는 선택된 높이에서 아암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부착 구조체에 지지 아암을 고정하도록 구성되고, 외부 후크는 다양한 직경들을 갖고 있는, 다양한 들것들의 측부 샤프트들을 고정하기 위해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아암 부분에 대해 조절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들것 지지 시스템은 제1 복수의 증분적 고정 위치들을 포함하는 제1 수직 트랙과, 제1 자유 단부와 제1 부착 단부를 포함하는 제1 아암 부분을 포함하는 제1 지지 아암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부착 단부는 제1 지지 아암을 제1 복수의 증분적 고정 위치들 중 임의의 것에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들것 지지 시스템은 제2 복수의 증분적 고정 위치들을 포함하는, 제1 수직 트랙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2 수직 트랙과, 제2 자유 단부와 제2 부착 단부를 포함하는 제2 아암 부분을 포함하는 제2 지지 아암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부착 단부는 제2 지지 아암을 제2 복수의 증분적 고정 위치들 중 임의의 것에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장착 트랙의 길이를 따라 다양한 위치들에 장비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트랙 시스템이 제공된다. 장착 트랙 시스템은 제1 복수의 수직 고정 슬롯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고정 슬롯은 하향 목부형 영역(necked-down region)에 인접한 확장된 헤드 부분을 포함하고, 그래서, 장착 돌출부의 확장된 헤드가 확장된 헤드 부분을 통과하여 확장된 헤드에 연결된 목부가 하향 목부형 영역을 따라 하향 활주할 수 있게 함으로써, 확장된 헤드가 하향 목부형 영역을 통해 제거될 수 없게 한다. 장착 트랙 시스템은 제1 복수의 수직 고정 슬롯들과 평행한 제2 복수의 수직 고정 슬롯들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복수의 수직 고정 슬롯들 각각은 제1 복수의 수직 고정 슬롯들과 수평으로 정렬됨으로써, 제1 복수의 수직 고정 슬롯들과 제2 복수의 수직 고정 슬롯들은 한 쌍의 수평 정렬된 장착 돌출부들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의해 제공되는 이들 및 추가적 특징들은 도면들과 연계하여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욱 완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가 본 발명을 특정하게 지정 및 명백하게 청구하는 청구범위에 의해 결말지어져 있지만, 첨부 도면과 연계하여 이루어지는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더욱 양호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믿어진다.
도 1은 완전히 전개된 구성의, 들것 지지 시스템의 예시적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격납 구성의, 도 1의 예시적 들것 지지 시스템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들것 지지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지지 아암 조립체의 예시적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단부판이 제거되어 있는, 도 3의 예시적 지지 아암 조립체의 단부의 상세도이다.
도 5는 도 3의 예시적 지지 아암 조립체의 단부의 상세도이다.
도 6은 도 3의 지지 아암 조립체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장착 브래킷의 예시적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6의 예시적 장착 브래킷의 저면도들이다.
도 9는 도 6의 예시적 장착 브래킷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3의 지지 아암 조립체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지지 아암의 예시적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6의 예시적 장착 브래킷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의 들것 지지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트랙의 예시적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예시적 트랙의 단부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도 6의 장착 브래킷과 도 12의 트랙 사이의 상호작용을 예시한다.
도 16은 장착 판의 예시적 실시예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17 및 도 18은 도 6의 장착 브래킷과 도 16의 장착 판 사이의 상호작용을 예시한다.
도 19는 도 6의 장착 브래킷과 도 12의 트랙을 사용하여 시트들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 배열의 예시적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의 들것 지지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지지 아암 조립체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21은 지지 아암 조립체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장착 브래킷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지지 아암 조립체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도 22의 장착 브래킷의 예시적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지지 아암 조립체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도 22의 장착 브래킷의 예시적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1의 들것 지지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지지 아암 조립체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25는 도 1의 들것 지지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지지 아암 조립체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26은 도 1의 들것 지지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지지 아암 조립체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27은 트랙에 장착될 수 있는 연막탄 라운칭 시스템(smoke grenade launching system)의 사시도이다.
도면들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질적으로 예시적인 것이며,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하는 의도는 없다. 또한, 도면들 및 본 발명의 개별 특징들은 상세한 설명을 참조로 더욱 완전히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의 다수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한 광범위한 설명을 기재한다. 이 설명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하여야만 하고, 모든 가능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유는 모든 가능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것이 불가능하지는 않다 하더라도 비실용적 때문이고,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특징, 특성, 구성요소, 조성, 성분, 생성물, 단계 또는 방법은 삭제되거나,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다른 특징, 특성, 구성요소, 조성, 성분, 생성물, 단계 또는 방법과 조합되거나, 그와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특허의 출원일 이후 개발되는 기술 또는 현재의 기술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다수의 대안적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는 여전히 본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인용된 모든 공보들 및 특허들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통합되어 있다.
또한, 문장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 '는 ...를 의미하는 것으로 규정된다"를 사용하여, 또는, 유사한 문장으로 본 특허 내에서 명시적으로 용어가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 용어의 의미를 명시적으로든 암시적으로든 그 평이하고 통상적인 의미를 넘어서는 것으로서 제한하고자 하는 의도는 없으며, 이런 용어는 본 특허의 임의의 부분(청구항의 언어 제외)에서 이루어진 임의의 선언들에 기초한 범주 내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어떠한 용어도 그렇게 설명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대하여 필수적인 것이 되는 것을 의도하지는 않는다. 본 특허의 마지막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임의의 용어가 단일 의미와 일관된 방식으로 기재되어 있다는 것에 관하여, 이는 본 특허에서 독자를 혼란스럽게 하지 않도록 단지 명료성을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이런 청구범위 용어가 암시적으로든 그 이외의 방식으로든 이 단일 의미에 한정된다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마지막으로, 청구항 요소가 임의의 구조의 설명 없이 기능 및 단어 "수단"을 기재함으로써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임의의 청구항 요소의 범주가 35 U.S.C.§112 제6 문단의 적용에 기초하여 해석되는 것을 의도하지는 않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들것 지지 시스템(10)의 예시적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의료 관리 유닛(1) 내에 연결 및/또는 장착되어 있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 의료 관리 유닛(1)은 차량을 포함하며, 따라서, 측벽(2)은 이런 차 내부의 벽일 수 있다. 예시적 차량들은 엠뷸런스들 또는 다른 지상 차량들, 보트들, 항공기들, 헬리콥터들 또는 다른 응급 또는 지원 탈것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 들것 지지 시스템(10)은 예로서, 장갑식(armored) 군용 지상 차량 같은 군용 지상 차량에 연결 및/또는 장착된다. 예로서, 도 1에 도시된 의료 관리 유닛(1)은 벽(2)을 갖는 군인을 수송하기에 적합한 무장된 트럭일 수 있다.
차량이 아닌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서, 의료 관리 유닛(1)은 휴대용 또는 고정용, 컨테이너 또는 건물 구조이며, 그래서, 들것 지지 시스템(10)은 이런 컨테이너 또는 건물 구조의 측벽(2)에 연결 및/또는 장착될 수 있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 의료 관리 유닛(1)은 예로서, 트럭 또는 다른 도로 차량의 후방 상에, 트레일러 상에, 항공기 또는 임의의 다른 탈것 내에 같이 차량에 의해 또는 차량 상에서 소정 위치로 수송되고, 차량으로부터 제거되고, 부상병 같은 환자들에 대한 의료 관리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도록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이런 위치에 남겨지게 될 수 있다. 컨테이너는 저부 벽(즉, 바닥), 다수의 측벽들(예를 들어, 측벽(2) 같은 네 개의 측벽들), 상단 벽 및 컨테이너의 내부 공간에 접근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도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컨테이너들은 본 기술 분야의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은 상품들을 선적 및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선적 컨테이너들 및 종래의 금속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의료 관리 유닛(1)은 상술한 바와 같은 이런 컨테이너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컨테이너는 임의의 및/또는 모든 원하는 의료 관리 장비 및 보급품들을 포함하는 이동식 및/또는 휴대용 병원 또는 의료 관리 유닛으로서 기능하도록 변형되어 있으며, 그래서, 환자들은 의료 관리 유닛(1) 내에서(즉, 컨테이너 내에서) 치료 및/또는 수용될 수 있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 의료 관리 유닛의 벽들은 총격, 다른 무기들 및/또는 폭발들로부터 추가적 보호를 제공하도록 장갑판(armored plating)으로 방어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서, 의료 관리 유닛(1)은 이런 벽 상에 장착될 때 들것 지지 시스템(10)을 지지하기에 충분히 강성적인 적어도 하나의 내부 벽을 갖는 텐트 및/또는 고정식 건물 구조일 수 있다.
후술될 바와 같이, 들것 지지 시스템(10)은 예견되든 예견되지 않든 다양한 응급 환경들을 수용하도록 계획되거나 계획되지 않은 조절을 행할 수 있는, 모듈식 조절가능한 들것 지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들것 지지 시스템(10)은 사용되지 않을 때 지지 시스템의 격납(예시적 격납 구성을 예시하는 도 2 참조) 또는 심지어 구성요소들의 제거를 위해, 그리고, 차량들 내에서 환자들 또는 다른 사람들을 지탱하는 하나 이상의 들것들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구성들을 제공할 수 있다. 들것 지지 시스템(10)의 조절성은 다양한 크기들(예를 들어, 폭들 및 두께들)의 들것들의 수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들것 지지 시스템(10)은 들것 지지 시스템의 다수의 구성요소들이 상호교체가능하다는 점에서 모듈식일 수 있으며, 이는 조립 시간, 복잡성 및 비용들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런 들것 지지 시스템(10)의 모듈성은 특정 응급 환경에 대해 더욱 신속하고 유동적인 반응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이는 일부 예들에서 의료적 결과들을 향상시킬 수 있다. 들것 지지 시스템 구성은 다양한 서로 다른 차량들 및/또는 다른 의료 유닛들에서의 그 사용을 가능하게 하며, 따라서, 상호교체가능성 및 유연성의 이득을 제공한다.
들것 지지 시스템(10)은 일반적으로 그 위에 상부 들것(14)이 지지되게 되는 상부 들것 지지 조립체(12)와, 하부 들것(18)이 그 위에 지지되게 되는 하부 들것 지지 조립체(16)와, 의료 관리 유닛(1)의 바닥(19)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그 예시된 위치들에서 상부 및 하부 들것 지지 조립체들(12, 16)을 지지하기 위한 트랙 시스템(20)을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상부 들것 지지 조립체(12)는 하부 들것(18)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그 위에서 상부 들것(14)을 지지한다. 상부 들것(14) 및 하부 들것(18)은 또한 의료 관리 유닛(1)의 바닥(19)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된 것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예로서, 상부 및 하부 들것들(14, 18)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는 의료 관리 유닛(1)의 바닥(19)에 대해 소정 각도 및/또는 서로에 대해 소정 각도의 경사 배향으로 그 관련 상부 및 하부 들것 지지 조립체들(12, 1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부 들것 지지 조립체(12)는 제1 상부 지지 아암 조립체(22) 및 제2 상부 지지 아암 조립체(24)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부 들것 지지 조립체(16)는 제1 하부 지지 아암 조립체(26) 및 제2 하부 지지 아암 조립체(28)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지지 아암 조립체(22, 24, 26, 28)는 트랙 시스템(20)의 높이를 따라 별개로 조절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부 지지 아암 조립체(22, 24) 및/또는 하부 지지 아암 조립체(26, 28)는 그 높이들이 함께 조절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제1 상부 및 하부 지지 아암 조립체들(22, 26) 및/또는 제2 상부 및 하부 지지 아암 조립체들(24, 28)이 연결되어 그 높이들이 함께 조절될 수 있을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들에서, 각 지지 아암 조립체(22, 24, 26, 28)는 독립적으로 조절가능하다.
트랙 시스템(20)은 제1 트랙(30)과, 제1 트랙으로부터 수평으로 이격되어 있는 제2 트랙(32)을 포함한다. 각 트랙(30, 32)은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배향될 수 있지만, 수직 배향을 벗어난 것 같은 다른 배향들도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예로서, 제1 및 제2 트랙들(30, 32)은 수평 배향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트랙 시스템(20)은 장착 브래킷이 벽을 따른 임의의 위치에서 트랙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수평 및 수직 방향들 양자 모두로 전체 벽에 걸쳐지는 제1 트랙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트랙은 벽에 고정되는 장치에 장착될 수 있으며, 벽은 트랙들을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돌출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트랙 위치 및 구성이 추가로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여야 한다. 일 특정 실시예에서, 슬롯들(34)이 제1 및 제2 트랙들(30, 32) 내에 제공된다. 슬롯들(34)은 제1 및 제2 트랙들(30, 32)의 길이들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하고, 지지 아암 조립체들(22, 24, 26, 28)의 수직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로킹 구조를 제공한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제1 및 제2 트랙(30, 32)은 다수의 수평 이격 슬롯들(34)을 포함한다. 트랙(30, 32) 당 4개의 슬롯들이 예시되어 있지만, 3개 슬롯들 같이 4개의 슬롯들보다 많거나 적은 슬롯들이 존재할 수 있다. 3개 슬롯 구성은 이하에 설명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인쇄된 또는 도색된 지표(35)가 트랙 시스템(20)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로서, 높이 지시자가 트랙들(30, 32)을 따라, 또는, 트랙들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지지 아암 조립체들(22, 24, 26, 28)의 신속한 조절들을 가능하게 하도록 트랙들(30, 32)의 높이를 따라 마커가 배치될 수 있다. 지표는 트랙들(30, 32) 및/또는 벽(2)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두 개의 들것 지지 조립체들(12, 16)이 도 1에 예시되어 있지만, 두 개보다 더 많거나 적은 들것 지지 아암 조립체들이 트랙마다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주의하여야 한다. 추가적으로, 차량 내에는 하나 보다 많은 들것 지지 시스템(10)이 존재할 수 있다. 예로서, 다수의 들것 지지 시스템들(10)이 의료 관리 유닛(1) 내의 다양한 위치들에 장착될 수 있다.
지지 아암 조립체들(22, 24, 26, 28) 이외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트랙 시스템(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모니터(36)(예를 들어, 활력 증후(vital sign)들을 감시하기 위해)가 제1 트랙(30) 상에 지지될 수 있고, 다른 모니터나 주입 펌프 장치, IV 백, 조명 시스템 등 같은 기타 장치 같은 다른 의료 장치(38)가 제2 트랙(32) 상에 지지될 수 있다. 임의의 수의 의료 관련 장치들 또는 비의료 관련 장치들이 트랙 시스템(20) 상에 지지될 수 있다. 모니터(36) 같은 다양한 감시 구성요소들은 유선 또는 무선(예를 들어, 블루투스 기술을 사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모니터(36) 및 장치(38)를 사용하는 환자를 지탱하는 들것 지지 조립체(12, 14)에 모니터(36) 및 장치(38)를 더 근접하게 배치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예로서, 도 1에서, 모니터(36) 및 장치(38)는 상부 들것 지지 조립체 상에 위치된 환자를 감시하는 데 사용하기 위해 상부 들것 지지 조립체(12) 위에 위치된다. 다른 구성에서, 모니터(36) 및 장치(38)는 하부 들것 지지 조립체 상에 위치된 환자를 감시하는 데 사용하기 위해 상부 들것 지지 조립체(12)와 하부 들것 지지 조립체(14)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트랙 시스템(20)이 차량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 같은 다른 실시예에서, 보조 지지 장비가 또한 트랙 시스템(20)에 장착될 수 있다. 예로서, 도 27을 참조하면, 복수의 라운치 튜브들(402)을 포함하는 연막탄 라운칭 시스템(400)이 차량 외부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연막탄 라운칭 시스템(400) 또는 임의의 다른 보조 지지 장비는 복수의 돌출부들(410)을 포함하는 장착 브래킷(444)에 고정될 수 있다. 각 돌출부(410)는 장착 브래킷(444)이 트랙의 임의의 부분을 따른 신속한 모듈식 설치를 가능하게 하도록 스템 부분(412)과 헤드 부분(416)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장착 브래킷(444)은 작업 동안 필요할 때 차량으로부터의 장비의 신속 분리를 가능하게 하도록 트랙으로부터 장착 브래킷(444)을 해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레버(41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부 들것 지지 조립체(12) 및 하부 들것 지지 조립체(16)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에 사용하기 위한 지지 아암 조립체(40)의 일 실시예는 지지 아암(42) 및 장착 브래킷(44)을 일반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지지 아암(42)은 말단 자유 단부(46), 장착 브래킷(44)에 장착된 부착 단부(48) 및 자유 단부(46)와 부착 단부(48) 사이에서 연장하는 세장형 아암 부분(50)을 갖는다. 제1 후크(52)(즉, 내부 후크)는 지지 아암 조립체(40)의 부착 단부(48)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후크(52)는 들것의 측부 샤프트를 수용하도록 크기설정 및 위치되고, 아암 부분(50)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제2 후크(54)(즉, 외부 후크)는 지지 아암 조립체(40)의 자유 단부(46)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후크(54)는 들것의 대향 측부 샤프트를 수용하도록 크기설정 및 위치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세장형 아암 부분(50), 제1 후크(52) 및 지지 아암 조립체(40)의 부착 단부(48)는 금속 재료(예를 들어, 알루미늄, 강철 등)를 주조하는 것에 의한 방식 같이 단일 부재로서 함께 형성될 수 있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아암 부분(50)은 아암 부분의 중심을 향한 굴곡부(55)를 가질 수 있다. 굴곡부(55)는 들것의 스프레더 바아들(즉, 들것의 측부 레일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굴곡된 바아들)과 아암 부분(50) 사이의 임의의 간섭을 감소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자유 단부(46)는 세장형 아암 부분(50)에 자유 단부(46)를 개재 및 연결하는 판들(56, 58)의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구들(61), 용접 등 같은 임의의 적절한 연결 구조 또는 방법이 판들(56, 58)을 함께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제, 판(58)이 제거되어 있는 지지 아암 조립체(40)의 자유 단부(46)를 도시하는 도 4를 참조하면, 제2 후크(54)는 판들(56, 58)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있는 조절가능한 후크 조립체(65)의 일부일 수 있다. 조절가능한 후크 조립체(65)는 제2 후크(54)를 포함하고, 제2 후크는 래칫의 주연부(66) 둘레에 위치된 치형부(64)를 구비하는 기어휠(62)을 포함하는 래칫(60)에 부착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치형부(64)는 치형부가 화살표(68)의 방향(즉, 폐쇄 방향)으로 이동할 때, 포올(pawl;70)이 순차적으로 각 치형부 위에서, 그 위를 미끄러지도록 소정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치형부(64)가 화살표(72)의 방향(즉, 개방 방향)으로 이동할 때, 포올(70)과 치형부(64)의 각도들은 포올이 치형부(64)에 대해 포획되게 하고, 이 방향으로의 추가 이동을 정지시키게 한다.
포올(70)은 기어휠(62)을 향해 편의될 수 있으며(예를 들어, 스프링에 의해), 피봇(76)에서 자유 단부(46)에 피봇식으로 연결된 트리거(74) 상에 위치된다. 트리거(74)는 포올(70)을 갖는 곡선부(75)와, 굴곡부(79)에 의해 곡선부에 연결되어 있는 하향 부분(77)과, 하향 부분에 대해 소정 각도로 있는 경사부(81)를 구비한다. 기어휠(62)과의 결합을 벗어나 화살표(80) 방향으로 조작자가 포올(70) 및 트리거(74)를 이동(예를 들어, 누름)시킬 수 있게 하도록 판들(56, 58)(도 3 참조)의 일부일 수 있는 가드 부재들(83, 85) 사이의 자유 단부(46)에 억세스 위치(78)가 제공될 수 있다. 래칫(60)은 (예를 들어, 스프링(82)을 사용하여) 개방 위치를 향해 편의될 수 있다. 트리거(74) 및 관련 포올(70)이 기어휠(62)과의 결합 상태를 벗어나 이동될 때, 래칫(60) 및 관련 제2 후크(54)는 스프링(82)에 의해 제공되는 편의력에 기인하여 화살표(72)의 개방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래칫(60) 및 제2 후크(54)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피봇될 수 있으며, 기어휠(62)과 포올(70) 사이의 상호작용에 기인하여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다수의 위치들에서 로킹될 수 있다. 절결부(84)는 제2 후크가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제2 후크(54)의 단부(88)를 수용하도록 크기설정된 자유 단부(46)의 상부면(86)으로부터 내향 연장한다. 절결부(84)는 제2 후크(54)의 단부(88)가 상부면(86) 아래에 위치되고 절결부 내에 들어갈 수 있게 하며, 이는 노출된 후크 단부(88)에 기인하여 비의도적으로 제2 후크(54)에 걸릴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제2 후크(54)의 도면이 개방 위치에서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래칫(60)의 주연부(66)는 트리거(74)의 굴곡부(79)와 접촉하며, 이는 도시된 개방 위치에서 제2 후크(54)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면으로서 기능한다. 다른 예로서, 제2 후크(54)는 판들(56, 58) 사이의 내부 거리보다 큰 고리 부분(89)에서의 증가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가드 부재들(83, 85)의 표면들(표면(91)만을 볼 수 있음)은 폐쇄 위치에 있게 된 이후, 제2 후크(54)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정지면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원하는 개방 위치를 초과한 제2 후크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해 다른 적절한 정지부 배열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돌출부(95)가 제2 후크(54)의 고리 부분(89)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이 돌출부(95)는 예를 들어 엄지를 사용하여 제2 후크(54)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래칫(60) 및 포올(70)에 의해, 조절가능한 후크 조립체(65)는 단지 한손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이는 다른 손이 다른 임무들을 수행하도록 자유로울 수 있게 한다. 기어휠(62)로부터 포올(70)을 분리시킴으로써, 편의된 래칫(60)은 포올이 기어휠(62)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유지되는 한 스프링(82)에 의해 제공되는 것에 추가적인 어떠한 힘도 없이 개방될 수 있다. 래칫(60) 및 제2 후크(54)가 개방 위치가 되고 나면, 래칫 및 제2 후크가 트리거를 작동한 것과 동일한 손에 의해 폐쇄 위치를 향해 회전될 수 있다. 치형부가 폐쇄 방향으로 이동할 때, 포올이 순차적으로 각 치형부 위에서 그 위로 미끄러지고 제2 후크(54)가 들것의 샤프트를 파지하거나 폐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포올과 연계된 스프링이 포올을 다음 치형부 이전의 인접한 만입부 내로 다시 밀려들어가게 하도록 치형부(64)와 포올(70)은 소정 각도로 경사진다. 제2 후크(54)가 들것의 샤프트를 파지하면, 래칫(60) 및 포올(70)은 래칫과 포올 사이의 로킹 배열에 기인하여 제2 후크의 개방을 방지한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2 후크(54)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조절가능한 실시예들에서, 들것 지지 조립체(16)는 다양한 들것들(18)의 측부 샤프트들(18', 18")을 고정하도록 동작할 수 있으며, 이 다양한 들것들(18)은 다양한 폭들(W)을 갖고 및/또는 다양한 들것들의 측부 샤프트들(18', 18")은 서로 다른 직경들(D)을 갖는다. 예로서, 두 개의 들것들(18)이 미소하게 서로 다른 폭들(W)(즉, 측부 샤프트들(18', 18") 사이의 거리)을 갖는 경우, 또는 서로 다른 제조 기원의 결과로서 같이 미소하게 서로 다른 직경(D)을 갖는 측부 샤프트들(18', 18")을 포함하는 경우, 동일한 지지 아암 조립체들(26, 28)은 다양한 위치들에서, 다양한 구성들의 측부 샤프트들을 조절가능하게 고정하도록 동작하는 조절가능한 제2 후크(54)로 인해 각 들것을 지지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장착 아암 및 장착 브래킷은 그 위에 들것을 지지할 수 있게 하는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도 2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지지 아암은 수평방향 저 프로파일 아암 부분(351)을 포함하고, 이 저 프로파일 아암 부분은 벽에 근접하게 들것을 지지하며, 그에 의해, 전체 조립체를 위해 필요한 수평 방향으로의 공간의 양을 제한한다. 이런 실시예에서, 수평방향 저 프로파일 장착 아암은 추가적 골격이 없는 내부 후크 조립체(355)를 포함하여, 내부 후크 조립체(355)가 벽에 더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게 한다. 그후, 핀들(340, 358)이 수평방향 저 프로파일 아암 부분(351)을 장착 브래킷(344)에 고정하고, 두 개의 해제 레버들(318)이 본 명세서에서 인지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작동될 때까지 다수의 돌출부들(360)이 장착 브래킷(344)을 벽에 고정한다. 도 2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서, 아암 부분(50)은 저 프로파일 디자인을 포함하지 않고, 대신, 추가적 지지를 위해 추가적 트러스들(356)을 포함한다. 추가적 트러스들(356)은 아암 부분(50)이 더 무거운 부하들을 지지할 수 있게 한다. 도 26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서, 지지 아암은 대안적 저 프로파일 아암 부분(35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대안적 저 프로파일 아암 부분은 벽에 긴밀한 근접도로 들것의 지지를 제공하지만, 저 프로파일 아암 부분(352)의 길이를 따라 하나 이상의 트러스들(357)을 제공함으로써 여전히 더 무거운 부하들을 지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장착 브래킷(344)은 이런 무거운 부하들을 지지할 때 추가적 지지를 제공하도록 추가적 돌출부들(360)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2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아암 부분(352)은 장착 브래킷(344)과 제2 후크(46) 사이에 오목부(358)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오목부(358)는 더 큰 깊이들의 들것들을 수용하도록 아암 부분(352) 내에 오목부 또는 깊은 부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로서, 들것이 중심을 향해 하향 굴곡된 크로스 바아를 포함하는 경우, 만입부(358)는 비교적 직선의 아암 부분(352)이 굴곡된 크로스 바아를 수용할 수 없을 때에 굴곡된 크로스 바아를 수용할 수 있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장착 브래킷(44)은 지지 아암(42)이 장착 브래킷(44)에 대해 피봇할 수 있게 하는 다양한 피봇 구조들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지지 아암(42)은 화살표들(100)의 방향으로 축(A1)을 중심으로 상하로 피봇할 수 있으며, 화살표(102) 방향으로 축(A2)을 중심으로 측방향으로 피봇할 수 있다.
또한, 지지 아암(42)이 제거되어 있는 장착 브래킷(44)을 예시하는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장착 브래킷은 장착 판(104)과 그 위에 장착된 회전 브래킷 조립체(swivel bracket assembly;106)를 포함한다. 장착 판(104)은 그것이 장착되어 있는 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지향하는 외부면(107)과 그것이 장착되어 있는 벽을 향해 지향하는 내부면(108)을 포함한다. 특히,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내부면(108)에는 트랙들(30, 32)(도 1)의 슬롯들(34) 내에 수용될 수 있는 돌출부들(110)이 있다. 각 돌출부(110)는 스템 부분(112)과 확장된 헤드 부분(114)을 포함한다.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헤드 부분들(114)은 슬롯들(34)의 확장된 개구 영역들을 통해 수용되도록, 그리고, 슬롯들의 하향 목부형 영역들 배후에 포획되도록 크기설정되며, 스템 부분들은 슬롯들의 하향 목부형 영역들을 통과하도록 크기설정된다.
로킹 돌출부(116)가 내부면(108)에 제공될 수 있다. 로킹 돌출부(116)는 연계된 트랙(30, 32)과 결합하여 지지 아암 조립체를 트랙(30, 32)을 따른 수직 위치에 로킹하기 위한 연장된 로크 위치를 향해 편의(예를 들어, 스프링에 의해)될 수 있다. 로킹 돌출부(116)는 수동으로 외부면(107)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로킹 돌출부에 작동식으로 연결된 레버(118)를 사용하여 후퇴될 수 있다. 로킹 돌출부(116)의 연장된 위치는 도 6에 예시되어 있으며, 로킹 돌출부의 후퇴된 위치는 도 7에 의해 예시되어 있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오목한 억세스 영역(120)이 레버에 대한 향상된 억세스를 위해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장착 판(104)이 해제될 수 있기 이전에 추가적 안전성을 제공하거나 예로서 레버들(118, 122)에 대한 접근성에 따라서, 로킹 돌출부(116)를 후퇴시키기 위해 어느 레버(118, 122)가 사용되는지를 조작자가 선택할 수 있게 하도록 동일한 로킹 핀 또는 추가적 로킹 핀과 연계하여 제2 레버(122)(그리고, 오목한 영역(123)이 장착 판(104)의 대향 측부에 제공될 수 있다. 예로서, 도 21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장착 브래킷(344)은 레버(318)가 장착 브래킷(344)의 양 측부들 상에서 작동될 때에만 후퇴될 수 있는(장착 브래킷을 로킹해제하도록) 로킹 돌출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런 실시예는 단일 레버가 우발적으로 작동될 때 장착 브래킷의 비의도적 이동을 방지함으로써 추가적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제, 도 6 및 도 9를 참조하면, 회전 브래킷 조립체(106)는 두 개의 샤프트 장착 아암들(126, 128) 사이에서 연장하는 내부 샤프트에 피봇식으로 장착된 피봇 브래킷(124)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샤프트 장착 아암들(126, 128)은 장착 판(104)의 외부면(107)으로부터 일체형으로 외향 연장한다. 피봇 브래킷(124)은 샤프트 장착 아암들(126, 128)의 내부 샤프트를 활주식으로 수용하는 관통 연장 개구를 구비하는 수직 피봇 부재(130)를 포함한다. 하부 아암 지지 부재(132)는 샤프트 장착 아암(128) 부근의 수직 피봇 부재(130)로부터 일체형으로 외향 연장한다. 상부 아암 지지 부재(134)는 샤프트 장착 아암(126) 부근에서 수직 피봇 부재(130)로부터 일체형으로 외향 연장한다. 크로스 바아(136)는 하부 아암 지지 부재를 위한 추가적 부하 지탱 지지부를 제공하도록 하부 아암 지지 부재(132)로부터 수직 피봇 부재(130)로 연장할 수 있다.
핀들(138, 140)은 피봇 브래킷(124)에 지지 아암(42)을 연결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역시, 도 3 참조). 핀들(138, 140)은 각각 하부 아암 지지 부재(132) 및 상부 아암 지지 부재(134) 내의 개구들(142, 144)에 의해 제거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지지 아암(42)은 하부 및 상부 아암 지지 부재들(132, 134) 내의 개구들(142, 144)과 정렬되는 대응 개구들(개구(146)를 예시하는 도 10 참조)을 구비한다. 장착 판(104)에 대한 피봇 브래킷(124)의 로킹에 의해 피봇 브래킷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다른 핀(150)이 제공될 수 있다. 핀(150)을 통과 삽입하도록 수직 피봇 부재(130)와 내부 샤프트에 정렬된 개구들(단지 개구(152)만이 도 9에 도시되어있음)이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내부 샤프트는 도 6의 위치 및 도 9의 위치 같은 다수의 위치들에서 피봇 브래킷(124)을 로킹하기 위해 다수의 개구들을 포함한다. 도 9는 장착 판(104)의 측부를 향해 피봇된 피봇 브래킷(124)을 예시하고, 도 6은 전진 위치에서 로킹된 피봇 브래킷(124)을 예시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11을 참조하면, 수직 피봇 부재(130)는 다수의 위치들에서 피봇 브래킷(124)을 로킹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다수의 개구들(또한 개구(153)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서, 장착 브래킷(344)에 대한 아암 부분(50)의 회전 운동을 해제가능하게 로킹하기 위해 패들 래치 피봇 브래킷(326)이 제공될 수 있다. 도 21은 전면판(346)을 구비하는 패들 래치 피봇 브래킷(326)을 도시한다. 도 22 및 도 23은 피봇 핀(306)과 하나 이상의 오목부들(327) 및 로킹 핀(328)을 더 양호하게 도시하기 위해 전면판(346)이 제거되어 있는 패들 래치 피봇 브래킷(326)을 도시한다. 패들 래치 피봇 브래킷(326)은 피봇 핀(306)에 장착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그와 함께 고정될 수 있다(아암 부분(50)의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함). 패들 래치 피봇 브래킷(326)은 하나 이상의 로킹 핀들(328)을 제거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오목부들(327)을 포함할 수 있다. 해제 판(330)이 하나 이상의 로킹 핀들(328)에 부착되고, 오목부들(327) 외부로의 상향 방향(A) 및 오목부들(327) 내로의 하향 방향(B)으로 로킹 핀(328)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예로서, 도 22에 가장 잘 예시된 바와 같이, 로킹 핀들(328)이 패들 래치 피봇 브래킷(326)의 오목부들(327) 내에 배치될 때, 로킹 핀들(328)은 패들 래치 피봇 브래킷(326)의 회전 운동을 방지하며, 이는 순차적으로 장착 브래킷(344)에 대한 장착 아암(50)의 회전 운동을 방지한다. 도 23에 가장 잘 예시된 바와 같이, 조작자는 그후 상향 방향(A)으로 오목부들(327)의 외부로 로킹 핀들(328)을 들어올리기 위해 해제 판(330)을 작동시킬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오목부들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로킹 핀들(328)의 제거는 패들 래치 피봇 브래킷(326) 및 장착 아암(50)의 억제되지 않은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로킹 핀들(328)은 그후 하나 이상의 오목부들(327)과 재결합하도록 하향 방향(B)으로 하강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장착 아암(50)의 회전 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로킹 핀들(328)은 스프링 등에 의해 하향 방향으로 편의될 수 있다. 이런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로킹 핀들(328)은 조작자가 해제 판(330)을 방임하고 나면 하나 이상의 오목부들로 복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로킹 핀들(328)은 조작자가 해제 판을 반대 방향으로 작동시켜 하나 이상의 해제 핀들이 하향 방향(B)으로 이동할 때에만 하나 이상의 오목부들(327)로 복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패들 래치 피봇 브래킷(326)은 로킹 핀들이 패들 래치 피봇 브래킷(326)을 적소에 고정하는 제한된 수의 회전 위치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로서, 패들 래치 피봇 브래킷(326)은 아암 부분(50)이 벽과 실질적으로 수직이어서 들것이 그 위에 지지될 수 있는 지지 위치(도 2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또는 아암 부분(50)이 실질적으로 벽과 평행한 격납 위치(도 2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중 어느 하나에서 고정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오목부들(327)은 이들 지정된 위치들 중 하나로 아암 부분(50)이 완전히 회전될 때 하나 이상의 로킹 핀들(328)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아암 부분이 사이 위치(in-between position)에 배치될 때, 하나 이상의 오목부들은 하나 이상의 로킹 핀들과의 정렬을 벗어남으로서 로킹 핀들(328)이 아암 부분(50)을 적소에 로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런 실시예는 적절하고 일관성 있는 동작이 유지되는 것을 보증하도록 제한된 수의 위치들 중 하나로 아암 부분(50)이 로킹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패들 래치 피봇 브래킷(326)의 오목부들(327)의 수는 아암 부분(50)이 로킹 핀들(328)을 통해 로킹될 수 있는 고정 위치들의 수를 조절하도록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핀들(138, 140, 150)은 각각 핀들의 비의도적 제거를 억제하기 위한 로킹 특징부를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각 핀(138, 140, 150)은 각 핀의 단부에 위치된 볼 베어링들(156) 같은 후퇴가능한 로킹 특징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볼 베어링들(156)은 그 각각의 개구들로부터의 핀들(138, 140, 150)의 후퇴와 간섭하도록 크기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볼 베어링들(156)을 후퇴시키고 핀들(138, 140, 150)을 제거하도록 눌러질 수 있는 버튼들(158) 같은 후퇴 메커니즘이 제공된다.
핀(150)의 제거는 피봇 브래킷(124) 및 그에 장착된 지지 아암(42)이 장착 판(104)에 대해 나란히 피봇할 수 있게 한다. 핀(140)의 제거는 피봇 브래킷(124) 및 장착 판(104)에 대해 상하로의 지지 아암(42)의 피봇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지지 아암(42)이 상하로 피봇될 수 있는 이들 실시예에서, 핀(138)의 샤프트(164)는 핀(140)이 제거된 상태에서 지지 아암(42)이 상하로 그를 중심으로 피봇할 수 있는 피봇 샤프트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하향 피봇된 지지 아암의 예를 예시한다. 예로서, 사용되지 않을 때 지지 아암(42)을 격납하기 위해 피봇 브래킷(124)에 대해 하향으로 지지 아암(42)을 피봇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죔쇠들, 래치들, 타이들, 체결구들 등 같은 임의의 적절한 격납 특징부들(도 2의 죔쇠들(166, 168) 참조)이 격납 위치에 지지 아암(42)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트랙 시스템(20) 또는 유사 트랙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트랙(170)의 예시적 실시예가 예시되어 있다. 둘 이상의 트랙들(170)이 도 1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트랙 시스템(20)에 사용될 수 있지만, 단 하나의 트랙이 설명될 것이며, 동일 트랙 시스템의 다수의 트랙들은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특징들을 가질 수 있다. 트랙(170)은 세장형 직사각형 형상(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는 보강판(backing plate;172)으로서,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보강판의 길이를 따라 연장하는 세 개의 슬롯들(174, 176, 178)을 구비하는 보강판(172)을 포함한다. 각 슬롯(174, 176, 178)은 하향 목부형 영역들(182)에 인접한 일련의 확장된 개구 영역들(180)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확장된 개구 영역들(180)은 대칭적이며, 그래서, 이들은 보강판(172)의 길이를 따라 폭방향 열들로 정렬되고 서로 등거리 이격되어 있다. 다른 예로서, 슬롯들(174, 176, 178) 중 하나 이상의 확장된 개구 영역들(180)은 모두 등거리가 아닐 수 있으며, 및/또는 다른 슬롯의 다른 확장된 개구 영역들과 열들로 정렬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트랙(170) 및 장착 브래킷(44)은 장착 브래킷을 트랙에 로킹하기 위해 사용되는 위상외 구성(out-of-phase configuration)을 제공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장착 브래킷(44)의 돌출부들(110a, 110b, 110c, 110d)의 확장된 헤드 부분들(114a, 114b, 114c, 114d)이 슬롯들(174, 178)의 확장된 개구 영역들(180a, 180b, 180c, 180d) 내에 삽입될 때, 로킹 돌출부(116)는 하향 목부형 영역(182a)과의 그 정렬에 기인하여 슬롯(176)에 진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슬롯(174, 178) 내에 확장된 헤드 부분들(114a, 114b, 114c, 114d)을 배치하는 것은 로킹 돌출부(116)가 그 외향 편의된 연장된 위치로 후퇴되게 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돌출부들(110a, 110b, 110c, 110d)의 스템 부분들(112)은 하향 목부형 영역들(182)을 통해 활주하도록 크기설정되고, 그 동안 확장된 헤드 부분들(114a, 114b, 114c, 114d)은 슬롯들(174, 178) 내에 남아 있는다. 화살표(183)의 방향으로의 장착 브래킷(44)의 하향 이동은 확장된 헤드 부분들(114a, 114b, 114c, 114d)을 슬롯들(174, 178)의 하향 목부형 영역들(182b, 182c, 182d, 182e)과 정렬시키고, 로킹 돌출부(116)를 슬롯(176)의 확장된 개구 영역(180e)과 정렬시킨다. 로킹 돌출부(116)의 폭은 확장된 개구 영역(180e)에 인접한 하향 목부형 영역들(182f, 182g)을 통한 통로들(184, 186)보다 클 수 있으며, 이는 로킹 돌출부가 확장된 개구 영역(180e)을 통해 슬롯(176) 내로 진입하고 나면 장착 브래킷(44)의 추가 이동을 방지한다. 로킹 돌출부(116)가 그 연장된 위치를 향해 편의되는 실시예들에서, 로킹 돌출부가 확장된 개구 영역(180e)과 정렬되고 나면 로킹 돌출부는 자동으로 그 연장된 위치로 스냅될 수 있다. 조작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레버(118)를 작동시킴으로써 슬롯(176) 외부로 로킹 돌출부(116)를 후퇴시킬 수 있으며, 다시, 다른 높이로 트랙(170)을 따라 장착 브래킷(44)을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4 및 도 15가 4개 돌출부들(110a, 110b, 110c, 110d) 및 하나의 로킹 돌출부(116)를 사용하여 트랙에 고정되는 장착 브래킷을 예시하고 있지만, 임의의 다른 수의 돌출부들 및 로킹 돌출부들이 대안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여야 한다. 예로서, 도 21 내지 도 2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장착 브래킷(344)은 6개 돌출부들(360)을 사용할 수 있으며, 두 개의 돌출부들(360)은 저부 부분 상에 배치되고, 4개 돌출부들(360)은 상단 부분 상에 배치된다. 이런 실시예는 트랙과 장착 브래킷(344) 사이에 더 많은 접촉 지점들을 제공함으로써 증가된 부하들 하에서 안전한 연결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장착 브래킷은 장착 브래킷 둘레로 균등하게 분포된 8개 돌출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임의의 수의 돌출부들이 트랙과 해제가능한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장착 브래킷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트랙(170)에 대한 대안으로서, 예시적 장착 판(190)이 아암 지지 조립체(40)의 장착 브래킷(44)을 벽에 장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장착 판(190)은 벽에 대한 장착을 위한 임의의 적절한 장착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 판(190)은 확장된 부분(200)과 하향 목부형 부분(202)을 갖는 키홀 슬롯들(192, 194, 196, 198)의 형태의 슬롯들을 포함한다. 키홀 슬롯들(192, 194, 196, 198)의 확장된 부분들(200)은 그를 통해 확장된 헤드 부분들(114)을 수용하도록 크기설정 및 배열되고, 하향 목부형 부분들(202)은 키홀 슬롯들 내에 확장된 헤드 부분들이 포획된 상태로 내부에서 스템 부분들(112)이 활주할 수 있게 하도록 크기설정된다. 로킹 돌출부가 개구(204)와 정렬될 때 로킹 돌출부(116)를 수용하도록 크기설정된 개구(204)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장착 판(190)에 대해 장착 브래킷(44)을 로킹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7에서, 확장된 헤드 부분들(114)은 키홀 슬롯들(192, 194, 196, 198)의 확장된 부분들(200) 내로 삽입되고, 이는 로킹 돌출부(116)를 후퇴시킬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장착 브래킷(44)은 그후 하향 방향으로 이동되어 하향 목부형 부분들(202) 배후에 확장된 헤드 부분들(114)을 배치시키고, 로킹 돌출부(116)를 개구(204) 내로 연장시킴으로써 장착 브래킷(44)을 장착 판(190)에 로킹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장착 판(190)은 아암 지지 조립체들(40)을 위한 장착 구조를 제공하도록 다른 장착 판들(190)과 함께 벽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장착 브래킷들(예를 들어, 장착 브래킷(44)과 유사한 장착 구조를 갖는 장착 브래킷들)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예로서, 트랙(170) 또는 장착 판(190)에 장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9는 좌대들(210, 212, 214)이 바닥으로부터 상승된 위치에서 벽(216)에 장착되는 예를 예시한다. 좌대들의 높이들은 상술한 바와 유사한 형태로 트랙들(170)을 따라 조절될 수 있으며, 그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지지 아암 조립체(220)의 다른 실시예는 지지 아암 조립체(40)를 참조로 상술된 특징들 중 다수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해제 트리거(222)가 로킹 돌출부(미도시)의 해제를 위해 제공되며, 그래서, 지지 아암 조립체(220)는 상술된 바와 유사한 형태로 트랙(30)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상술된 들것 시스템(10)은 예견되든 예견되지 않든 다양한 응급 상황들을 수용하도록 계획된 또는 계획되지 않은 조절을 행할 수 있는 모듈식 조절가능한 들것 지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들것 지지 시스템(10)은 비사용시 지지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을 격납하거나 심지어 제거하기 위해, 그리고, 차량들 내에서 환자들 또는 다른 사람들을 지탱하는 하나 이상의 들것들을 지지하기 위해 다수의 구성들을 제공할 수 있다. 들것 지지 시스템(10)은 다양한 크기들의 들것들을 수용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인용된 모든 문헌들은 관련 부분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 통합되어 있으며, 임의의 문헌에 대한 인용은 본 발명에 관한 종래 기술이라는 것을 허용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용어의 임의의 의미 또는 정의가 참조로 통합된 문헌의 용어의 임의의 의미 또는 정의와 상충된다면, 본 명세서에 할당된 의미 또는 정의가 우선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예시 및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은 본 발명의 개념 및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다른 변경들 및 변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는 모든 이런 변경들 및 변형들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Claims (27)

  1. 수평의 상승된 위치에서 환자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들것 지지 시스템을 위한 지지 아암 조립체에 있어서,
    자유 단부와 부착 단부를 포함하는 아암 부분으로서, 상기 부착 단부는 상기 아암 부분을 선택된 높이에 지지하기 위해 부착 구조체에 상기 지지 아암 조립체를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아암 부분과,
    상기 아암 부분의 자유 단부에 배치된 외부 후크로서, 다양한 들것들의 측부 샤프트들을 고정하도록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상기 아암 부분에 대해 조절될 수 있는, 상기 외부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다양한 들것들은 다양한 폭들을 가지고 및/또는 상기 다양한 들것들의 측부 샤프트들은 다양한 직경들을 가지는 지지 아암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후크는 상기 외부 후크에 작동식으로 연결된 래칫 조립체를 통해 조절될 수 있는 지지 아암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 조립체는 복수의 각진 폐쇄 위치들에서 상기 외부 후크의 개방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 아암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 조립체는 기어휠 및 상기 기어 휠을 향해 이동가능하게 편의되어 있는 포올을 포함하고, 상기 기어 휠은 상기 기어휠 주변 둘레에 연장되는 복수의 치형부를 포함하는 지지 아암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포올에 연결된 트리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의 작동은 상기 포올을 상기 복수의 치형부 중 적어도 하나와의 결합 상태를 벗어나도록 이동시키는 지지 아암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후크는 상기 트리거의 작동이 상기 외부 후크를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시키게 하도록 상기 개방 위치를 향해 편의되어 있는 지지 아암 조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 부분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외부 후크에 대면하는 내부 후크를 더 포함하는 지지 아암 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후크는 상기 아암 부분에 대해 고정되는 지지 아암 조립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 부분은 상기 외부 후크와 상기 내부 후크 사이에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외부 후크 및 상기 내부 후크로부터 수직방향으로 편위되어 있는 지지 아암 조립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단부는 상기 지지 아암 조립체가 벽에 고정될 때 지지 위치와 보관 위치 사이에서 전이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되는 지지 아암 조립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아암 조립체의 부착 단부에 연결된 장착 브래킷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장착 브래킷은 상기 지지 아암 조립체에 제1 피봇 위치를 제공하고, 상기 제1 피봇 위치는 상기 보관 위치와 상기 지지 위치 사이에서 수직 축을 중심으로 상기 장착 브래킷에 대한 상기 지지 아암 조립체의 피봇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장착 브래킷은 상기 지지 아암 조립체에 제2 피봇 위치를 제공하며, 상기 제2 피봇 위치는 하강 위치 및 상승 위치 사이에서의 수평 축을 중심으로 상기 장착 브래킷에 대한 상기 지지 아암 조립체의 피봇을 가능하게 하는 지지 아암 조립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브래킷에 대하여 상기 보관, 지지, 하강 및 상승 위치들 중 하나 이상에서 상기 지지 아암 조립체를 로킹하기 위해 상기 장착 브래킷에 의해 수용되도록 크기설정 및 구성된 하나 이상의 로킹 돌출부들을 더 포함하는 지지 아암 조립체.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단부는 상기 장착 브래킷에 대한 상기 지지 아암 조립체의 회전 운동을 로킹하기 위해 패들 래치 피봇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패들 래치 피봇 브래킷은 하나 이상의 로킹 핀들을 제거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오목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로킹 핀들은 상기 패들 래치 피봇 브래킷의 하나 이상의 오목부들 내에 있을 때 상기 보관 위치 또는 상기 지지 위치에서 상기 지지 아암 조립체를 해제가능하게 로킹하는 지지 아암 조립체.
  14. 들것 지지 시스템에 있어서,
    제1 복수의 증분 고정적 고정 위치들을 포함하는 제1 수직 트랙과,
    상기 제1 수직 트랙의 상기 제1 복수의 증분적 고정 위치들 중 임의의 것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제1 장착 브래킷과,
    제1 자유 단부와 제1 부착 단부를 포함하는 제1 아암 부분을 포함하는 제1 지지 아암 조립체로서, 상기 제1 부착 단부는 상기 장착 브래킷에 연결되는, 상기 제1 지지 아암 조립체와,
    제2 복수의 증분적 고정 위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직 트랙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2 수직 트랙과,
    상기 제2 수직 트랙의 상기 제2 복수의 증분적 고정 위치들 중 임의의 것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제2 장착 브래킷과,
    제2 자유 단부와 제2 부착 단부를 포함하는 제2 아암 부분을 포함하는 제2 지지 아암 조립체로서, 상기 제2 부착 단부는 상기 제2 장착 브래킷에 연결되는, 상기 제2 지지 아암 조립체를 포함하는 들것 지지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 트랙 및 상기 제2 수직 트랙 각각은
    제1 복수의 수직 고정 슬롯들로서, 각 고정 슬롯은 하향 목부형 영역에 인접한 확장된 헤드 부분을 포함하고, 그래서, 상기 제 1 장착 브래킷의 장착 돌출부의 확장된 헤드가 상기 확장된 헤드 부분을 통과하여 상기 확장된 헤드에 연결된 스템이 상기 하향 목부형 영역을 따라 하향 활주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확장된 헤드가 상기 하향 목부형 영역을 통해 제거될 수 없게 하는, 상기 제1 복수의 수직 고정 슬롯들과,
    상기 제1 복수의 수직 고정 슬롯들과 평행한 제2 복수의 수직 고정 슬롯들로서, 상기 제2 복수의 수직 고정 슬롯들 각각은 상기 제1 복수의 수직 고정 슬롯들과 수평으로 정렬됨으로써, 상기 제1 복수의 수직 고정 슬롯들과 상기 제2 복수의 수직 고정 슬롯들이 한 쌍의 수평으로 정렬된 장착 돌출부들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상기 제2 복수의 수직 고정 슬롯들을 포함하는 들것 지지 시스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 트랙은 상기 제1 장착 브래킷이 상기 제1 복수의 증분적 고정 위치들 중 임의의 것에 고정되었을 때, 상기 제1 장착 브래킷의 제1 로킹 돌출부를 수용하도록 작용할 수 있는 제1 복수의 개구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직 트랙은 상기 제2 장착 브래킷이 상기 제2 복수의 증분적 고정 위치들 중 임의의 것에 고정되었을 때 상기 제2 장착 브래킷의 제2 로킹 돌출부를 수용하도록 작용할 수 있는 제2 복수의 개구들을 더 포함하는 들것 지지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킹 돌출부는 상기 제1 복수의 고정 위치들 중 하나로부터 상기 제1 복수의 고정 위치들 중 다른 곳으로 상기 제1 장착 브래킷을 이동시키기 이전에 제1 레버에 의해 상기 제1 복수의 개구들로부터 해제되고,
    상기 제2 로킹 돌출부는 상기 제2 복수의 고정 위치들 중 하나로부터 상기 제2 복수의 고정 위치들 중 다른 곳으로 상기 제2 장착 브래킷을 이동시키기 이전에 제2 레버에 의해 상기 제2 복수의 개구들로부터 해제되는 들것 지지 시스템.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아암 조립체는 들것의 측부 샤프트를 수용하도록 상기 제1 아암 부분을 따라 배치된 제1 내부 후크와, 상기 들것의 대향 측부 샤프트를 수용하도록 제1 자유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내부 후크와 대면하는 제1 외부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 아암 조립체는 상기 들것의 상기 측부 샤프트를 수용하도록 상기 제2 아암 부분을 따라 배치된 제2 내부 후크와, 상기 들것의 대향 측부를 수용하도록 제2 자유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내부 후크에 대면하는 제2 외부 후크를 포함하는 들것 지지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후크 및 상기 제2 외부 후크는 가변적 직경들의 측부 샤프트들을 고정하도록 그 각각의 제1 및 제2 아암 부분들에 대해 각각 조절될 수 있는 들것 지지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후크는 상기 제1 외부 후크에 작동식으로 연결된 제1 래칫 조립체를 통해 조절가능하고, 상기 제2 외부 후크는 상기 제2 외부 후크에 작동식으로 연결된 제2 래칫 조립체를 통해 조절될 수 있는 들것 지지 시스템.
  21.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착 단부와 상기 제1 장착 브래킷 사이의 연결은 상기 제1 지지 아암 조립체가 제1 보관 위치와 제1 지지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부착 단부와 상기 제2 장착 브래킷 사이의 연결은 상기 제2 지지 아암 조립체가 제2 보관 위치와 제2 지지 위치 사이에서 전이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되는 들것 지지 시스템.
  22. 장착 트랙의 길이를 따른 다양한 위치들에서 장비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트랙 시스템에 있어서,
    제1 복수의 수직 고정 슬롯들로서, 각 고정 슬롯은 하향 목부형 영역에 인접한 확장된 헤드 부분을 포함하고, 그래서, 장착 돌출부의 확장된 헤드가 상기 확장된 헤드 부분을 통과하여 상기 확장된 헤드에 연결된 스템이 상기 하향 목부형 영역을 따라 하향 활주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확장된 헤드가 상기 하향 목부형 영역을 통해 제거될 수 없게 하는, 상기 제1 복수의 수직 고정 슬롯들과,
    상기 제1 복수의 수직 고정 슬롯들과 평행한 제2 복수의 수직 고정 슬롯들로서, 상기 제2 복수의 수직 고정 슬롯들 각각은 상기 제1 복수의 수직 고정 슬롯들과 수평으로 정렬됨으로써, 상기 제1 복수의 수직 고정 슬롯들과 상기 제2 복수의 수직 고정 슬롯들이 장착 브래킷의 한 쌍의 수평으로 정렬된 장착 돌출부들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상기 제2 복수의 수직 고정 슬롯들을 포함하는 장착 트랙 시스템.
  23. 제 22 항에 있어서, 복수의 수직 개구들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수직 개구들은 상기 장착 브래킷의 로킹 돌출부를 수용함으로써 상기 수평으로 정렬된 장착 돌출부들의 상기 스템들이 상기 제1 및 제2 복수의 수직 고정 슬롯들의 상기 하향 목부형 영역들에 배치될 때 상기 장착 브래킷의 수직 이동을 방지하도록 작용할 수 있는 장착 트랙 시스템.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직 개구들은 수직방향으로 나란한 배열로 정렬되는 장착 트랙 시스템.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직 개구들은 상기 제1 복수의 수직 고정 슬롯들과 상기 제2 복수의 수직 고정 슬롯들 사이에 배치되는 장착 트랙 시스템.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목부형 영역들은 상기 제1 복수의 수직 고정 슬롯들 내에서, 그리고, 상기 제2 복수의 수직 고정 슬롯들 내에서 인접한 확장된 헤드 부분들을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장착 트랙 시스템.
  27.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수의 수직 고정 슬롯들 내에서, 그리고, 상기 제2 복수의 수직 고정 슬롯들 내에서 상기 확장된 헤드 부분들 각각을 분리시키는 수직 거리가 상기 제1 복수의 수직 고정 슬롯들과 상기 제2 복수의 수직 고정 슬롯들의 헤드 부분들을 분리시키는 수평 거리와 동일하도록 상기 제1 복수의 수직 고정 슬롯들 및 상기 제2 복수의 수직 고정 슬롯들이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장착 트랙 시스템.
KR1020127003477A 2009-07-10 2010-07-12 의료 관리 유닛을 위한 들것 지지 시스템 및 그 사용 방법 KR1015736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2474309P 2009-07-10 2009-07-10
US61/224,743 2009-07-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616A true KR20120048616A (ko) 2012-05-15
KR101573670B1 KR101573670B1 (ko) 2015-12-02

Family

ID=43429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3477A KR101573670B1 (ko) 2009-07-10 2010-07-12 의료 관리 유닛을 위한 들것 지지 시스템 및 그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EP (3) EP2614804B1 (ko)
JP (3) JP5943835B2 (ko)
KR (1) KR101573670B1 (ko)
CN (2) CN104013499B (ko)
AU (3) AU2010271194B2 (ko)
BR (1) BR112012000615A2 (ko)
CA (1) CA2767547C (ko)
CO (1) CO6612184A2 (ko)
IL (3) IL217427A (ko)
MX (2) MX338958B (ko)
MY (1) MY158303A (ko)
RU (1) RU2560250C2 (ko)
WO (1) WO201100616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309B1 (ko) * 2023-01-31 2023-05-09 주식회사 오텍 구급차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92238B2 (en) 2010-07-12 2015-03-31 Ferno-Washington, Inc. Mounting system having a mounting plate with mounting studs and electrical contacts
US9241850B2 (en) 2011-09-02 2016-01-26 Ferno-Washington, Inc. Litter support assembly for medical care units having a shock load absorber and methods of their use
WO2013123180A1 (en) 2012-02-14 2013-08-22 Ferno-Washington, Inc. Quick antenna attachment and methods of their use
CN102525749B (zh) * 2012-02-22 2013-07-03 中国人民解放军军事医学科学院卫生装备研究所 箱仪一体机载综合急救系统
EP3517087A1 (en) * 2012-12-04 2019-07-31 Ferno-Washington, Inc. Side arm extensions for patient transport devices
CA2899738C (en) * 2013-02-11 2019-08-06 Ferno-Washington, Inc. Equipment mounting system
US10307313B2 (en) 2013-02-11 2019-06-04 Ferno-Washington, Inc. Equipment mounting system
US9944217B2 (en) 2013-02-11 2018-04-17 Ferno-Washington, Inc. Equipment mounting system
RU2651308C2 (ru) * 2013-02-11 2018-04-19 Ферно-Вашингтон, Инк. Самоустанавливающаяся система крепления, опора оборудования и способ, демонстрирующий крепление
US10398203B2 (en) 2014-02-11 2019-09-03 Ferno-Washington, Inc. Crash-ready, portable, compartmentalization device
US11083265B2 (en) 2014-02-11 2021-08-10 Ferno-Washington, Inc. Magnetic pouch attachment mechanism with crash stable locking teeth
US10398207B2 (en) 2014-02-11 2019-09-03 Ferno-Washington, Inc. Crash-ready, portable, compartmentalization device
ES2703798T3 (es) * 2014-07-18 2019-03-12 Ferno Washington Sistema de montaje de equipos
BR112017000947A2 (pt) 2014-07-18 2018-01-16 Ferno-Washington, Inc. dispositivo de compartimento de item portátil, e, método para utilizar o mesmo.
CN104188768B (zh) * 2014-09-23 2016-06-22 宁波Gqy视讯股份有限公司 一种担架锁紧装置
MX2017012672A (es) 2015-04-21 2018-01-24 Ferno Washington Conjunto de montaje de recipeinte.
USD776514S1 (en) 2015-04-21 2017-01-17 Ferno-Washington, Inc. Mounting adaptor for attachment to a track
CN105438487A (zh) * 2015-11-30 2016-03-30 哈尔滨飞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直升机用铝管框架式双层担架刚性支撑结构
US10548793B2 (en) * 2016-06-14 2020-02-04 Allen Medical Systems, Inc. Pinless loading for spine table
CN106580564A (zh) * 2016-12-14 2017-04-26 中国航空救生研究所 一种航空用担架系统
US10427575B2 (en) * 2017-01-05 2019-10-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movable head restraint bun feature
CN106726178B (zh) * 2017-01-22 2018-03-16 湖北航宇嘉泰飞机设备有限公司 可快速安拆的双层航空担架
RU179233U1 (ru) * 2017-08-28 2018-05-04 Андрей Валентинович Пушков Устройство размещения малоподвижного пассажира в транспорте (варианты)
CN108618900A (zh) * 2018-03-20 2018-10-09 王从相 一种具有升降扶手机构的转运医用床
CN108283546A (zh) * 2018-03-20 2018-07-17 王从相 一种医疗病床的升降床架装置
CN108542620A (zh) * 2018-04-24 2018-09-18 北京航天控制仪器研究所 一种航空条件下使用的担架支架机构
RU186392U1 (ru) * 2018-10-02 2019-01-17 Федеральная служба охран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Средство крепления носилок в салоне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RU200405U1 (ru) * 2020-06-01 2020-10-22 Публичн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КАМАЗ" Зажим для крепления носилок в салоне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114305892B (zh) * 2021-11-26 2024-03-22 北京特种机械研究所 车载可折叠式双层救护担架支架及其安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94264A (en) * 1943-04-07 1946-02-05 Harold E Robinson Carrying apparatus
FR1085340A (fr) * 1952-10-21 1955-01-31 Dispositif destiné à supporter un ou plusieurs brancards
US3042221A (en) * 1960-08-19 1962-07-03 Acme Steel Co Pallet rack
US3358300A (en) * 1966-05-23 1967-12-19 Lockheed Aircraft Corp Mounting and supporting apparatus for litters
DE2000967B1 (de) * 1970-01-10 1971-07-15 Stollenwerk Hans Vorrichtung zur Aufnahme einer Krankentrage in einem Fahrzeug
SU380322A1 (ru) * 1971-01-08 1973-05-15 УСТРОЙСТВО дл КРЕПЛЕНИЯ НОСИЛОК в КУЗОВЕ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3770234A (en) * 1971-07-23 1973-11-06 N Fovall Caddy for handled appliance
US4074812A (en) * 1975-12-11 1978-02-21 The Paltier Corporation Pallet rack
JPS5572471U (ko) * 1978-11-15 1980-05-19
ES252761Y (es) * 1980-08-08 1982-01-16 Estanteria desmontable
US4397432A (en) * 1981-06-02 1983-08-09 The Boeing Company Adjustable litter support assembly
DE3230905A1 (de) * 1982-08-19 1984-02-23 Hans Stollenwerk u. Cie GmbH & Co, 5000 Köln Lagerungsvorrichtung fuer krankentragen oder dergleichen
JPS59191947U (ja) * 1983-06-06 1984-12-20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棚受装置
US4783034A (en) * 1985-08-13 1988-11-08 General Datacomm, Inc. Slide lock mechanism
FR2599247A1 (fr) * 1986-05-29 1987-12-04 Equip Transformation Vehicu Structure amovible porte-brancards, pour l'amenagement d'un vehicule.
FR2649007B3 (fr) * 1989-07-03 1991-09-06 Gruau Laval Sa Supports de brancards a relevage et descente reglables
DE8910460U1 (ko) * 1989-09-01 1989-10-26 Karosseriewerke Weinsberg Gmbh, 7102 Weinsberg, De
JPH0445574Y2 (ko) * 1989-12-29 1992-10-27
KR930019169A (ko) * 1992-03-18 1993-10-18 우에다 히데끼 조립선반용의 코너 브라켓
JP2591724B2 (ja) * 1994-06-20 1997-03-19 新星工業株式会社 車両用多目的座席装置
US5988409A (en) * 1995-07-21 1999-11-23 Industrial Wire Products, Inc. Vertical wall rack and variable shelf arrangement
JP3045893U (ja) * 1997-07-03 1998-02-20 育山 頼 高さ調節装置
AUPP058297A0 (en) 1997-11-27 1997-12-18 Skilled Equipment Manufacturing Pty Limited Emergency vehicle system
US6155441A (en) * 1998-07-28 2000-12-05 Andersen; Bob R. Locking pin mechanism for rack and shelf systems
US6820758B2 (en) * 2001-04-20 2004-11-23 North American Steel Equipment Company Ltd. Lock for knock-down storage rack
US6923606B2 (en) * 2002-01-30 2005-08-02 Arinc Incorporated Medical evacuation patient support pallet
US6595379B1 (en) * 2002-02-01 2003-07-22 United Steel Enterprises, Inc. Lock for preventing inadvertent removal of a first frame component of an adjustable storage system from a second frame component of the adjustable storage system and the adjustable storage system
JP4074766B2 (ja) * 2002-03-04 2008-04-09 独立行政法人労働者健康福祉機構 車椅子固定装置
RU2214206C1 (ru) * 2002-03-28 2003-10-2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Казанский вертолетный завод" Санитар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например вертолет
US6945414B1 (en) * 2002-10-18 2005-09-20 Products Of Tomorrow, Inc. Wall panel and system
CN1735395B (zh) * 2003-01-15 2010-06-23 斯特赖克公司 救护车轻便床的装卸装置
US6851653B2 (en) * 2003-03-13 2005-02-08 Agm Container Controls, Inc. Support system for loads
CN1566740A (zh) * 2003-06-27 2005-01-19 美国钢铁企业公司 可调节储物系统及其上防止框架组件意外脱落的锁紧装置
US20050039644A1 (en) * 2003-08-18 2005-02-24 Sheahan Kevin Patrick Modular workbench
CN100546558C (zh) * 2004-04-09 2009-10-07 谢建浩 车用组合担架系统
CA2572210C (en) * 2004-06-30 2013-09-03 Ferno-Washington, Inc. Combination cot loading and fastening system
JP4388508B2 (ja) * 2005-06-13 2009-12-24 余合住金産業株式会社 収納棚
KR100694815B1 (ko) 2005-10-06 2007-03-14 (주)성우특장 응급환자용 주들것의 록킹장치
DE202005018261U1 (de) * 2005-11-23 2007-04-05 Hermann Schnierle Gmbh Verstellbare Sitzhalterung für einen Fahrgastsitz
US7328926B1 (en) * 2006-07-28 2008-02-12 Myers Will J Patient support system for medical transport vehicles
US7694368B2 (en) * 2006-08-04 2010-04-13 Ferno-Washington, Inc. Positive lock for height adjustable ambulance cot
CN101522152B (zh) * 2006-08-15 2011-04-20 费诺-华盛顿公司 用于与急救车辆内的急救床接合的支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309B1 (ko) * 2023-01-31 2023-05-09 주식회사 오텍 구급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4203595B2 (en) 2016-01-07
EP2614805A1 (en) 2013-07-17
AU2014203595A1 (en) 2014-07-17
RU2012101216A (ru) 2013-08-20
MY158303A (en) 2016-09-30
CN102481217A (zh) 2012-05-30
CN102481217B (zh) 2015-05-20
JP6306088B2 (ja) 2018-04-04
BR112012000615A2 (pt) 2017-07-04
WO2011006163A3 (en) 2011-12-22
IL217427A0 (en) 2012-03-01
KR101573670B1 (ko) 2015-12-02
WO2011006163A2 (en) 2011-01-13
EP2451418A2 (en) 2012-05-16
EP2451418B1 (en) 2013-05-15
EP2614805B1 (en) 2015-12-30
AU2010271194A1 (en) 2012-02-02
IL231431A (en) 2015-03-31
AU2014203593A1 (en) 2014-07-17
IL217427A (en) 2014-09-30
AU2014203593B2 (en) 2015-11-05
JP5943835B2 (ja) 2016-07-05
AU2010271194B2 (en) 2014-06-19
MX338958B (es) 2016-05-06
CA2767547A1 (en) 2011-01-13
MX2012000442A (es) 2012-04-24
RU2560250C2 (ru) 2015-08-20
IL231430A0 (en) 2014-04-30
IL231430A (en) 2015-03-31
CO6612184A2 (es) 2013-02-01
CA2767547C (en) 2016-11-01
JP2016193213A (ja) 2016-11-17
IL231431A0 (en) 2014-04-30
CN104013499B (zh) 2017-05-17
JP2015119992A (ja) 2015-07-02
CN104013499A (zh) 2014-09-03
JP2012532702A (ja) 2012-12-20
EP2614804B1 (en) 2015-09-16
EP2614804A1 (en) 2013-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48616A (ko) 의료 관리 유닛을 위한 들것 지지 시스템 및 그 사용 방법
US8636154B2 (en) Litter support systems for medical care units and methods of their use
ES2393971T3 (es) Sistema de combinación de carga y sujeción de camilla
US9902329B2 (en) Vehicular storage system
US5135350A (en) Method for transporting a patient from an ambulance
US6842922B2 (en) Critical care platform for litters
US10532827B2 (en) Modular staircase
US20020042952A1 (en) Critical care platform for litters
ES2710173T3 (es) Estructura de selladura mejorada para sellar múltiples secciones y un cajón de un carro para emergencias médicas
US20160095766A1 (en) Litter support assembly for medical care units having a shock load absorber and methods of their use
US20170296404A1 (en) Extendable and Retractable Gurney
RU2559231C2 (ru) Санитарный автомобиль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больных, раненых и других пострадавших лиц
KR101627856B1 (ko) 차량 물품 캐리어
WO2004021755A1 (en) A mounting brac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