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7856B1 - 차량 물품 캐리어 - Google Patents

차량 물품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7856B1
KR101627856B1 KR1020090052015A KR20090052015A KR101627856B1 KR 101627856 B1 KR101627856 B1 KR 101627856B1 KR 1020090052015 A KR1020090052015 A KR 1020090052015A KR 20090052015 A KR20090052015 A KR 20090052015A KR 101627856 B1 KR101627856 B1 KR 101627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bar
support elements
support
crossbars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2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9375A (ko
Inventor
제프리 엠 아프타나스
제럴드 제이 크미타
도널드 알 포터
존 엠 휴처트
Original Assignee
제이에이씨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2/136,854 external-priority patent/US8251267B2/en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이씨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제이에이씨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90129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9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45Carriers being adjustable or transformable, e.g. expansible, collap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외부 본체 표면에 장착될 수 있게 구성된 차량 물품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상기 차량 물품 캐리어는, 크로스 바아 중 하나를 관련 지지 요소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킬 필요없이 사용하기 위한 크로스 바아가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 대응하는 쌍의 지지 요소 상에 각각 적재될 수 있는 한 쌍의 크로스 바아를 구비한다. 상기 크로스 바아 중 후방 크로스 바아는, 후방 크로스 바아의 대향 단부에 있는 양 단부 지지체가 어느 단부 지지체로부터의 후방 쌍의 지지 요소로부터 동시에 로킹 또는 로킹 해제 가능하게 하는 단면 해제 특성을 갖는다. 후방 크로스 바아는 또한 그 위에 다양한 크기의 물품을 지지하도록 크로스 바아를 양호하게 구성하기 위해 후방 쌍의 지지 요소를 따라 활주 가능하게 배치된다.

Description

차량 물품 캐리어{VEHICLE ARTICLE CARRIER HAVING SINGLE SIDED RELEASABLE AND STOWABLE CROSS BARS}
본 발명은 차량 물품 캐리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필요 없을 경우 한쌍의 지지 레일에 평행한 적재 위치로 피봇될 수 있는 한쌍의 크로스 바아를 포함하는 차량 물품 캐리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며, 크로스 바아 중 적어도 하나는 크로스 바아의 일 단부로부터 동시에 로킹 및 로킹 해제될 수 있는 로킹 조립체를 대향 단부에 구비하고 있다.
차량 물품 캐리어는 차량의 외부 본체 상면상에 다양한 형상 및 사이즈의 물품을 운반하기 위한 다양한 자동차용 용도로 사용된다. 전형적으로, 한쌍의 길다란 레일이 대체로 서로 평행한 차량의 외부 본체 상면에 고정된다. 다음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크로스 바아는 대향 단부가 레일에 고정된다. 전형적으로, 크로스 바아는 적재 가능하지 않고, 물품 캐리어가 사용되고 있지 않을 때라도, 크로스 바아는 레일 사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레일에 고정된다. 물론, 크로스 바아가 제거 가능하다면, 이들은 레일로부터 완전히 제거되지만, 이것은 크로스 바아를 보관해야 하는 문제를 야기시킬 뿐만 아니라 크로스 바아를 차량 물품 캐리어의 나머지 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시켜야 하는 불편함을 야기시킨다. 종종, 이러한 분리에는 외부 도구를 필요로 할 수 있으며 이것은 사용자에게 추가적인 불편함을 가중시킨다. 또한, 이러한 부품을 차량내에 저장하는 것은 어렵고 및/또는 유용하고 한정된 적재 공간을 낭비한다. 차량과 별개로 크로스 바아를 보관하는 것은 차량 물품 캐리어를 사용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불편한 상황을 야기시킬 수 있는 동시에, 사용자는 차량과 함께 집이나 작업장에서 멀리 있지만, 크로스 바아는 집이나 작업 위치에 보관되어 있다.
크로스 바아가 레일상에 조정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는 형태이라면, 이것은 통상적으로 그 각 단부에 로킹 메카니즘을 구비하고 있을 것이다. 로킹 메카니즘은 크로스 바아를 레일에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레일상의 크로스 바아의 위치설정을 조정하는 것은 통상 크로스 바아의 제 1 단부 지지체를 로킹 해제시키고, 차량의 다른 측면 둘레로 걸어가고, 그리고 크로스 바아의 대향 단부에 제 2 단부 지지체를 로킹 해제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다음에, 크로스 바아는 원하는 위치로 이동되고, 다음에 제 2 단부 지지체는 로킹된다. 다음에, 사용자는 차량의 반대측 주변으로 걸어가서, 단부 지지체를 제 1 단부에 로킹시킨다.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순서는 물품 캐리어 시스템을 종종 이용하는 사람들에게는 다소 번거로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은 크로스 바아를 사용할 필요가 없을 때 고정식으로 고정된 지지 요소의 관련 쌍에 적재될 수 있는 한쌍의 크로스 바아를 구비하는 차량 물품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크로스 바아 중 어느 것도 지지 요소로부터 분리시킬 필요가 없고, 사용자가 적재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 크로스 바아를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어떠한 특정 도구도 필요 없다. 또한, 크로스 바아 중 하나는 설계된 쌍의 지지 바아를 따라 복수의 상이한 종방향 위치에 위치될 수도 있다.
일 특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크로스 바아의 적어도 하나는 단일측형 해제 로킹 메카니즘을 구비하며, 이 메카니즘은, 사용자가 크로스 바아의 일 단부에서 로킹 메카니즘을 작동시킬 때, 크로스 바아의 양 단부에서의 단부 지지체를 설계된 쌍의 지지 요소와 함께 로킹 맞물림으로부터 동시에 해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것은 우선 사용자가 제 1 단부 지지체를 로킹 해제시키고, 다음에 차량 둘레에서 다른 측으로 걸어가서 크로스 바아의 제 2 단부에서 동일한 조작을 실행하고, 다음에 그들 각 지지 요소로부터 양 단부 지지체를 로킹시키는 이들 조작을 반복할 필요성을 제거한다.
도시된 도면은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영역 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하기의 설명은 단지 예이며, 본 발명의 요지, 적용 또는 용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자동차(12)의 외부 본체 상면(14)에 장착된 차량 물품 캐리어 장치(10)가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장치(10)는 각각 제 1 및 제 2 전방 지지 요소(16, 18)와, 각각 제 1 및 제 2 후방 지지 요소(20, 22)를 포함한다. 제 1 (즉, "작동(operative)") 구성에 있어서, 전방 크로스 바아(24)는 전방 지지 요소(16, 18)로부터 지지되고, 후방 크로스 바아(26)는 후방 지지 요소(20, 22)로부터 지지된다. 제 2 (즉, "적재된(stowed)") 구성에 있어서, 전방 크로스 바아(24)는 지지 요소(16, 20)로부터 지지되는 동시에 후방 크로스 바아(26)는 지지 요소(18, 22)로부터 지지된다. 도 2에 도시된 적재된 구성에 있어서, 크로스 바아(24, 26)는 공기역학적 항력을 최소화하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 1 전방 지지 요소(16)는 부분 구형 리세스(28)와, 한쌍의 구멍(30)을 포함한다. 리세스(28)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게 되는 피봇 운동을 위해 전방 크로스 바아(24)의 제 1 단부 지지체(24a)를 장착하는데 사용된다. 구멍(30)은 외부 체결 요소를 지지 요소(16) 아래에서 외부 본체 상면(14)에 브라켓(도시하지 않음)을 고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게 하며, 또한 지지 요소(16)를 외부 본체 상면(14)에 고정식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리세스(28)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게 되는 바와 같이 단부 지지체(24a) 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는 구멍(32)을 구비한다.
도 3 및 도 5는 제 2 전방 지지 요소(18)를 더 상세하게 도시한다. 지지 요소(18)는 전방 크로스 바아(24)의 제 2 단부 지지체(24b)와 후방 크로스 바아(26)의 제 1 단부 지지체(26a) 중 어느 하나가 지지 요소(18)에 고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개구(34)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6은 제 1 후방 지지 요소(20)를 더 상세하게 도시한다. 지지 요소(20)는 복수의 이격된 슬롯(36)을 포함하고, 복수의 이격된 슬롯(36) 각각은 복수의 이격된 슬롯(36)과 정렬된 고정 루프(securing loop)(38)를 갖는다. 슬롯(36) 중 어느 하나는 후방 크로스 바아(26)가 작동 위치에 있을 때 후방 크로스 바아(26)의 단부 지지체(26a)와 지지 요소(20)의 맞물림을 촉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또한 후방 지지 요소(20, 22)를 따르는 후방 크로스 바아(26)의 조정 가능한 위치설정을 가능하게 한다. 개구(40)는 전방 크로스 바아(24)가 적재 위치(stowed position)에 있을 때 전방 크로스 바아(24)의 단부 지지체(24b)가 지지 요소(20)와 맞물리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채널(42)은 후방 크로스 바아(26)가 재위치될 때 채널(42)을 따르는 단부 지지체(26a)의 활주 이동을 허용한다. 바닥벽(42) 내의 구멍(44)은 예를 들어 상표명 리브넛(RIVNUT®) 패스너(fastener)와 같은 외부 고정 요소(도시되지 않음)가 지지 요소(20)를 차량(12)의 외부 본체 표면(14)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전방 크로스 바아(24)의 단부 지지체(24a)의 구성이 도시된다. 단부 지지체(24a)는 패스너(52)가 통과하여 삽입될 수 있는 구멍(50)을 갖는 단부 지지 구성요소(48)를 포함한다. 구형부(54)는 단부 지지 구성요소(48)와 일체로 형성되고, 전방 크로스 바아(24)가 단부 지지체(24b)에서 지지 요소(18)로부터 멀어지게 들어 올려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슬롯(56)을 포함한다. 구형부(54)는 또한 패스너(52)를 중심으로 한 전방 크로스 바아(24)의 피봇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패스너(52)는 개구(60)를 통해 브래킷(58)에 고정되어, 일단 단부 지지체(24a)가 지지 요소(16)에 조립되면 브래킷(58)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없다. 브래킷(58)은 브래킷(58)의 한쌍의 플랜지 내의 구멍(62)을 통해 연장하는, 예를 들어 상표명 리브넛 패스너(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한쌍의 체결 요소에 의해 차량(12)의 외부 본체 표면에 유지될 수 있다. 외부 본체 표면(14)에 단단히 고정된 브래킷(58)은 단부 지지체(24a)에 구조적으로 강한 부착 지점을 제공한다.
단부 지지 구성요소(48)는 전방 크로스 바아(24)의 크로스 바아 구성요소(64)의 제 1 단부(64a)에 고정될 수 있다. 이 점에 관하여, 크로스 바아 구성요소(64)는, 예를 들어 압출된 또는 롤 형성된 알루미늄과 같은 구조적으로 강한 재료로 바람직하게 제조되는 관형 구성요소를 형성함을 이해할 것이다. 체결 요소(66)는 단부 지지 구성요소(48)가 크로스 바아 구성요소(64)에 단단히 고정되도록 제 1 단부(64a) 내의 구멍(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연장하여 단부 지지 구성요소(48) 내의 구멍(도시되지 않음)과 맞물릴 수 있다.
도 7을 더 참조하면, 지지 요소(16)는 차량(12)의 외부 본체 표면(14) 상에 놓인 장착 패드(68) 위에 위치될 수 있다. 장착 패드(68)는 지지 요소(16)가 외부 본체 표면(14)에 설치되는 동안 외부 본체 표면(14)이 긁히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고무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전방 크로스 바아(24)의 제 2 단부 지지체(24b)의 구성이 더 상세하게 도시된다. 단부 지지체(24b)는 목부(neck portion)(74) 및 베이스부(76)를 갖는 단부 지지 구성요소(72)를 포함한다. 목부(74)는 전방 크로스 바아(24)의 크로스 바아 구성요소(64)의 단부(64b) 내로 삽입되고 그 다음에 단부(64b)의 구멍(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그리고 목부(74)의 구멍(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종래의 체결 요소(75)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도 8은 또한 지지 요소(20)와 외부 본체 표면(12a) 사이에 개재될 수 있는 복수의 구멍(77a)을 갖는 패드(77)를 도시한다. 구멍(77a)은 체결 요소(도시되지 않음)가 구멍(77a)을 통해 그리고 지지 요소(20) 내의 개구를 통해 연장하여 지지 요소를 외부 본체 표면(12a)에 고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단부 지지 구성요소(72)의 지지부(76)는 로킹 부재(locking member)(80)를 내부에 수용하는 개구(78)를 갖는다. 로킹 부재(80)는 손으로 파지 가능한 부분(82)과 턱부(jaw portion)(84)를 포함한다. 보어(86)는 피봇 핀(88)을 수용하고, 피봇 핀(88)은 단부 지지 구성요소(72) 내의 보어(90)를 통해 또한 연장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로킹 부재(80)는 단부 지지 구성요소(72)의 개구(78) 내에 피봇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9를 간략하게 참조하면, 바이어스 요소(biasing element)(92)는 피봇 핀(88) 위에 위치되고, 로킹 부재(80)의 표면(94)과 단부 지지 구성요소(72)의 내벽면(96)에 맞물린다. 바이어스 요소(92)는 로킹 부재(80)의 턱부(84)를 도 17에 도시된 평상시 로킹 위치로 가압하는 작용을 한다. 적재 위치에서, 턱부(84)는 지지 요소(20) 내의 개구(40)와 맞물린다.
도 10을 참조하면, 후방 크로스 바아(26)의 제 1 단부 지지체(26a)가 더 상세하게 도시된다. 제 1 단부 지지체(26a)는 목부(100)와 베이스부(102)를 갖는 단부 지지 구성요소(98)를 포함한다. 목부(100)는 관형 크로스 바아 구성요소(103)의 단부(103a) 내로 삽입되고, 그 다음에 종래의 나사산이 형성된 복수의 체결 요소(105)를 통해 단부(103a)에 고정될 수 있다. 체결 요소(105)는 크로스 바아 구성요소(103) 내의 구멍(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그리고 단부 지지 구성요소(98)의 목부(100) 내의 나사산이 형성된 보어 내로 연장할 수 있다.
단부 지지 구성요소(98)의 베이스부(102)는 로킹 부재(106)가 그 안에 위치되는 개구(104)를 포함한다. 로킹 부재(106)는 피봇 핀(110)을 수용하는 보어(108)를 포함하고, 피봇 핀은 또한 베이스부(102) 내의 보어(112)를 통해 연장하여 로킹 부재(106)는 개구(104) 내에 피봇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비틀림 스프링 형태의 바이어스 요소(114)가 조립 동안 피봇 핀(110) 위에 위치되며, 하나의 레그(leg)는 단부 지지 구성요소(98)의 표면(116)과 접촉하고, 바이어스 요소(114)의 나머지 하나의 레그는 로킹 부재(106)의 내부 벽면(118)과 접촉한다. 이것은 로킹 부재(106)를 도 17에 도시된 평상시 로킹 위치로 연속적으로 가압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로킹 부재(106)는 또한 손으로 파지 가능한 부분(120)과 턱부(122)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로킹 부재(106)를 로킹 해제 위치로 강제하고, 따라서 단부 지지체(26a)가 부착된 지지 요소[즉, 지지 요소(18)와 지지 요소(20)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단부 지지체(26a)가 결합해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손으로 파지 가능한 부분(120)을 파지할 수 있다. 턱부(122)는 지지 요소(18, 20)들 중 어느 하나에 단부 지지체(26a)를 로킹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도 10을 더 참조하면, 브래킷(124)은 개구(34) 내에 위치되고 브래킷(124) 내의 구멍(128)을 통해 연장하는 한쌍의 종래의 체결 요소(126)에 의해 외부 본체 표면(14)에 고정된다. 체결 요소(126)는 상표명 리브넛 패스너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체결 부재일 수 있다. 브래킷은 전방 크로스 바아(24)가 작동 위치에 있고 지지 요소(18)에 로킹될 때 단부 지지체(24b)의 턱부(84)가 맞물릴 수 있는 립(lip)(130)을 포함한다.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보호 패드(132)가 외부 본체 표면(14) 상에 위치된다. 컷-아웃(cut-out)(134)은 브래킷(124)에 간극을 제공한다. 단부 지지 구성요소(98)는 베이스부(102) 내의 구멍(도시되지 않음)과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된 패스너(138)에 의해 베이스부(102)에 유지된 휠(136)을 추가로 포함한다. 휠(136)은 단부 지지체(26a)가 후방 지지 요소(20)의 채널(42) 내에 맞물릴 때 후방 크로스 바아(26)의 원활한 활주 이동을 촉진하는 것을 도울 수 있도록 회전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부 지지체(26b)의 구성이 더 상세하게 도시된다. 단부 지지체(26b)는 베이스부(142), 구형부(144) 및 목부(146)를 갖는 단부 지지 구성요소(140)를 포함한다. 조립 동안, 목부(146)는 크로스 바아 구성요소(103)의 단부(103b) 내로 삽입된다. 종래의 나사산이 형성된 패스너(147)가 크로스 바아 구성요소(103) 내의 구멍을 통과하여 그리고 단부 지지 구성요소(140) 내의 나사산이 형성된 구멍(도시되지 않음) 내로 삽입되어 단부 지지 구성요소(140)를 크로스 바아 구성요소(103)에 고정식으로 유지한다.
단부 지지체(26b)는 또한 로킹 부재(150)가 그 안에 위치되는 개구(148)를 포함한다. 로킹 부재(150)는 베이스부(152), 손으로 파지 가능한 부분(154) 및 턱부(156)를 갖는다. 베이스부(152)는 피봇 핀(160)이 통과하여 삽입될 수 있는 보어(158)를 추가로 포함한다. 피봇 핀(160)은 또한 단부 지지 구성요소(140) 내의 보어(162)를 통해 삽입된다. 따라서, 피봇 핀(160)은 단부 지지 구성요소(140) 내의 로킹 부재(150)의 피봇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도 12 및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단부 지지 부재(140)는 또한 지지 요소(22)에 형성된 채널(166) 내에 배치되는 장착 블록(164)에 의해 피봇 운동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채널(166)은 반원형 벽부(168)를 구비하는데, 이 반원형 벽부(168)는 단부 지지 부재(140)가 그곳에 조립될 때 단부 지지 부재(140)의 구형부(144)를 지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개구(170)는 장착 블록(164)이 채널(166) 내로 삽입될 수 있게 한다. 지지 요소(22)는 각각 구멍(174)을 구비하는 복수의 바닥벽부(bottom wall portion)(172)를 포함한다. 지지 요소(22)를 차량(12)의 외부 본체 표면(14)에 체결하는 경우, 예컨대 RIVNUT® 패스너와 같은 종래의 패스너가 구멍(174)을 통해 삽입될 수도 있다. 고정 루프(176)에 의해 로킹 부재(150)의 턱 부(156)가 고정 루프(176) 내로 삽입되어 작동 상태에 있는 후방 크로스 바아(26)를 종방향 운동에 대해 고정할 수 있게 된다. 고무제 장착 패드(175) 또는 다른 적당한 보호 형태의 패드가 지지 요소(22)와 외부 본체 표면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구멍(175a)은 RIVNUT® 패스너와 같은 패스너가 장착 패드(175)를 통해 연장할 수 있게 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단부 지지 부재(140)는 리테이닝 부재(retaining member)(180)의 부분적으로 나사가 형성된 축을 수용하는 슬롯(178)도 구비한다. 개구(179)는 로킹 부재(150)의 턱부(156)가 그 개구(179)를 통해 돌출할 수 있게 한다. 리테이닝 부재(180)의 축에 나사 결합되거나 또는 압력 끼워맞춤(press fit)되는 패스너(182)는 장착 블록(164)이 지지 요소(22)의 채널(166) 내에 배치된 후에 단부 지지 구성요소(140)를 장착 블록(164)에 고정한다. 구면(144)과 장착면(166)의 맞물림과 더불어, 슬롯(178)은 후방 크로스 바아(26b)로 하여금 적재 위치(stowed position)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 피봇될 뿐만 아니라 단부 지지체(26a)에서 상승되게 한다. 슬롯(178)의 사용은, 단부 지지체(26a)가 지지 요소(18, 2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거나 또는 분리됨에 따라 단부 지지체(26a)를 상승 또는 하강시킴으로써, 2개의 지지 요소(18, 20) 사이에서 단부 지지체(26a)를 이동시킬 때 생길 수도 있는 임의의 간격 문제를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유리하다.
도 14 내지 도 16을 다시 참조하면, 장착 블록(164)은 지지 요소(22)로부터 후방 크로스 바아(26)를 분리할 필요 없이 지지 요소(22)의 채널(166) 내에서 활주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따라서, 후방 크로스 바아(26)는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후방 지지 요소(18, 20)를 따라 재배치될 수 있다. 본 예에서, 고정 루프(38, 176)는 후방 크로스 바아(26)가 고정될 수 있는 4개의 서로 다른 종방향 위치를 형성한다.
이제, 도 10, 도 12, 도 16 및 도 17을 다시 참조하면, 케이블(184)은 단부 지지체(26a)의 로킹 부재(106)에 고정되어 있는 제 1 단부(184a)를 구비한다. 케이블(184)은 강(steel)이나 나일론 또는 다른 적당한 강성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제 1 단부(184a)는 로킹 부재(106)의 채널(186) 내에 지지되어 있고, 케이블(184)의 확대된 헤드부(188)는 케이블이 로킹 부재(106)로부터 회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케이블(184)의 제 2 단부(184b)는 로킹 부재(150) 내의 아치형 숄더(190) 위로 연장되고, 확대된 헤드부(192)는 케이블(184)이 로킹 부재(150)로부터 회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코일 스프링(194) 형태의 편향 요소가 단부 지지 구성요소(140)의 목부(146)의 블라인드 보어(blind bore)(196) 내에 배치되어 있다. 편향 요소(194)는 케이블(184)에 크림핑되거나 또는 다른 방법으로 단단하게 고정되어 있는 블록(198)(도 16 및 도 17 참조)과 맞붙어 있어서, 로킹 부재(106, 150)를 평상시의 로킹 위치에 유지시키는 것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는 케이블에 장력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도 16 참조).
도 16 및 도 17을 다시 참조하면, 후방 크로스 바아(26)가 작동 상태와 적재 상태 사이에서 이동되어야 하는 경우, 또는 후방 크로스 바아(26)가 2개의 후방 지 지 요소(20, 22)를 따라 종방향으로 재배치되어야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로킹 부재(106)의 수동 맞물림 가능한 부분(120) 또는 로킹 부재(150)의 수동 맞물림 가능한 부분(154)을 각각 수동으로 파지하고, 연관된 단부 지지 구성요소(98, 140)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상승될 수도 있다. 동시에 케이블(184)에 의해 로킹 부재(106) 또는 로킹 부재(150) 중 나머지 하나는 로킹 해제 위치로 피봇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로킹 부재(106 또는 150)를 상승된 위치에 유지시키는 동안, 후방 크로스 바아(26)는 전체적으로 다른 한쌍의 고정 루프(38, 176)에 의해 형성되는 새로운 위치로 후방 지지 요소(20, 22)를 따라 활주하여 이동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후방 크로스 바아(26)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지지체(26a)가 지지 요소(18) 상에 배치됨과 더불어 작동 위치로부터 적재 위치로 피봇될 수도 있다. 이러한 위치에서, 단부 지지 구성요소(106)의 후크부(122)는 전방 지지 요소(18)의 개구(34)에 맞물린다. 어느 경우에나 사용자는 차량(12)의 한 측면으로부터의 지지 요소(20, 22)로부터 양 단부 지지체(26a, 26b)를 로킹 및 로킹 해제할 수 있다. 이는 후방 크로스 바아(26)를 재배치하기 위해, 또는 후방 크로스 바아(26)를 적재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킬 경우에 사용자가 차량(12)의 양 측면 사이에서 앞뒤로 걸을 필요가 없게 한다. 이는 후방 크로스 바아(26)의 조작함에 있어서 용이성과 편의성을 상당히 증가시킨다.
도 18을 참조하면, 전방 크로스 바아(24)가 작동 위치에 있는 경우, 로킹 부재(80)의 턱부(84)는 지지 요소(18)의 개구(34)를 통해 연장되어, 브래킷(124)의 플랜지(130)와 맞물린다[플랜지(130)는 도 10에도 도시되어 있음]. 후방 크로스 바아(26)가 적재 위치에 있는 경우, 단부 지지체(26a)의 로킹 부재(106)는 개구(34)를 통해 연장되어, 지지 요소(18)와 맞물린다(도 19 참조). 크로스 바아의 적재 위치에서, 크로스 바아(24, 26)는 지지 요소 쌍(16, 20) 및 지지 요소 쌍(18, 22)을 브릿지 연결하는, 매끄럽고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구성요소를 형성한다. 크로스 바아(24, 26)를 적재하는 것은 또한 차량 물품 캐리어(10)의 공기 역학적 특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인 장점은 어떠한 단부 지지체(24a, 24b, 26a, 26b)도 지지 요소(16, 18, 20, 22)로부터 분해하지 않고서도 크로스 바아(24, 26)의 적재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크로스 바아(24, 26)를 적재 위치에 재배치하거나 또는 적재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어떠한 외부 툴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예에서, 차량(12)의 외부 본체 표면(14)은 차량의 후방부(12b)에서보다 차량의 전방부(12a)에서 약간 더 넓다는 것은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지지 요소(20, 22)의 채널(42, 166)은 각각 후방 지지 요소(20, 22)의 최외측 에지(200, 202)에 다소 평행하지 않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지지 요소(20, 22)는 외부 본체 표면(14)의 종방향 측방 에지에 대체로 평행하게 장착될 수 있는 반면에, 채널(42, 166)은 서로 평행하게 유지된다. 채널(42, 166)의 평행한 위치 설정에 의해 단부 지지체(26a, 26b)는 구속 없이 채널(42, 166)을 따라 활주하여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방 지지 요소(16, 18)의 약간 더 넓은 이격은 개구(28)와 개구(34) 사이의 간격이 채널(42)과 채널(166) 사이의 간격보다 약간 더 클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로 인해, 전방 크로스 바아(24)의 전체 길이는 후방 크로스 바아(26)의 전체 길이보다 아주 약간 더 길다. 이는 또한 전방 지지 요소(16)의 리세스(28)와 후방 지지 요소(20)의 개구(40) 사이의 종방향 이격 거리가 전방 지지 요소(18)의 개구(34)와 최후방 고정 루프(176a)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약간 더 크게 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물론, 전방 지지 요소(16, 18) 간의 이격 거리 및 후방 지지 요소(20, 22) 간의 이격 거리가 동일한 경우에는 크로스 바아(24, 26)의 전체 길이가 동일할 수도 있고, 이는 지지 요소 쌍(16, 20) 및 지지 요소 쌍(20, 22) 상의 단부 지지체 고정점 사이의 이격 거리는 상이하게 할 필요가 없게 될 것이다.
로킹 부재(106, 150)뿐만 아니라, 단부 지지 구성요소(98, 140)도 고강도 플라스틱 또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강성 및 내구성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지지 요소(16, 18, 20, 22)도 고강도 플라스틱, 알루미늄 또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강성 및 내구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가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실시될 수 있는 변형예 및 변화예들을 인식할 것이다. 상기 예는 다양한 실시예로서 예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을 한정할 의도는 아니다. 그러므로, 그러한 한정은 관련된 종래 기술의 관점에서만 필요한 것으로서, 상세한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는 개방적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작동 가능한(즉, 비적재) 위치에서의 캐리어의 한쌍의 크로스 바아와 함께 자동차의 루프 부분상에 장착된 본 발명의 차량 물품 캐리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차량 물품 캐리어와 유사하지만 2개의 크로스 바아가 적재 위치에 있는 차량 물품 캐리어의 사시도,
도 3은 크로스 바아가 위치되어 있지 않은 차량 물품 캐리어의 평면도,
도 4는 전방 지지 요소 중 제 1 지지 요소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전방 지지 요소 중 제 2 지지 요소의 확대 사시도,
도 6은 후방 지지 요소 중 제 1 지지 요소의 확대 사시도,
도 7은 전방 크로스 바아의 제 1 단부에서의 부품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후방 지지 요소의 제 1 지지 요소에 추가하여, 전방 크로스 바아의 제 2 단부에서의 부품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단부 지지체의 단부 지지 부품 내에의 로킹 부재의 장착을 도시하는 횡단면 측면도,
도 10은 후방 크로스 바아의 제 1 단부에서의 부품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단부 지지체의 단부 지지 부품 내에 장착된 로킹 부재의 횡단면 측면도,
도 12는 후방 크로스 바아의 제 2 단부 및 제 2 후방 지지 요소에서의 부품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단부 지지 부품의 저면도,
도 14는 제 2 후방 지지 요소와 맞물린 후방 크로스 바아의 제 2 단부의 저면 사시도,
도 15는 제 2 후방 지지 요소의 확대 사시도,
도 16은 후방 크로스 바아의 로킹 부재가 로킹 위치에 있는, 후방 크로스 바아 및 2개의 후방 지지 요소의 횡단면 측면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지만 로킹 부재가 로킹 위치에 있는 크로스 바아 및 지지 요소의 도면,
도 18은 전방 지지 요소의 제 2 하나와 맞물린 전방 크로스 바아의 제 2 단부 지지체의 횡단면 사시도,
도 19는 전방 지지 요소의 제 2 하나와 맞물린 후방 크로스 바아의 제 1 단부 지지체의 부분 횡단면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 차량 물품 캐리어 장치 12 : 자동차
16, 18 : 제 1 및 제 2 전방 지지 요소 24 : 전방 크로스 바아
20, 22 : 제 1 및 제 2 후방 지지 요소 26 : 후방 크로스 바아
28 : 리세스 56 : 슬롯
58 : 브래킷 68 : 장착 패드
74 : 목부 75 : 체결 요소
77 : 패드 78 : 개구

Claims (2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차량의 외부 본체 표면 위에 물품을 지지하기 위한 차량 물품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외부 본체 표면의 후방부에 인접하게 상기 외부 본체 표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후방 지지 요소와,
    상기 외부 본체 표면의 전방부에 인접하게 상기 외부 본체 표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전방 지지 요소와,
    제 1 단부에서는 상기 후방 지지 요소 중 제 1 지지 요소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고, 제 2 단부에서는 상기 후방 지지 요소 중 제 2 지지 요소에 피봇 가능하게 부착되는 후방 크로스 바아와,
    상기 전방 지지 요소 중 제 1 지지 요소에 피봇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1 단부를 구비하고, 제 2 단부에서는 상기 전방 지지 요소 중 제 2 지지 요소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전방 크로스 바아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크로스 바아의 제 2 단부는 상기 전방 지지 요소 중 제 2 지지 요소에 부착되는 위치로서, 상기 전방 크로스 바아가 상기 한 쌍의 전방 지지 요소 사이에서 연장하는 작동 위치에 위치설정되어 있는, 상기 전방 지지 요소 중 제 2 지지 요소에 부착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전방 크로스 바아의 제 2 단부가 상기 후방 지지 요소 중 제 1 지지 요소에 부착되어 상기 전방 크로스 바아가 적재 위치에 있게 하는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고,
    상기 후방 크로스 바아의 제 1 단부는 상기 후방 지지 요소 중 제 1 지지 요소에 부착되는 위치로서, 상기 후방 크로스 바아가 상기 후방 지지 요소 사이에서 연장하는 작동 위치에 위치설정되어 있는, 상기 후방 지지 요소 중 제 1 지지 요소에 부착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후방 크로스 바아의 제 1 단부가 상기 전방 지지 요소 중 제 2 지지 요소에 부착되어 상기 후방 크로스 바아가 적재 위치에 있게 하는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전방 및 후방 크로스 바아 중 하나는 상기 후방 지지 요소를 따라 복수 개의 사전 결정된 이격된 위치에 종방향으로 위치설정 및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전방 및 후방 크로스 바아 중 하나는 한 쌍의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킹 부재 및 구조물로서, 상기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킹 부재의 피봇 운동을 통해 상기 전방 및 후방 크로스 바아 중 하나의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가 동시에 로킹 및 로킹 해제될 수 있게 하는, 상기 한 쌍의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킹 부재 및 상기 구조물을 포함하고,
    피봇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는 상기 전방 및 후방 크로스 바아의 단부는 각각의 상기 지지 요소로부터의 제거를 방지하는 방식으로 각각의 상기 지지 요소에 고정되고,
    각각의 상기 후방 지지 요소는, 상기 후방 크로스 바아가 작동 위치에 있고 상기 후방 지지 요소에 고정되어 있을 때, 상기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킹 부재의 일부와 맞물리기 위한, 복수 개의 종방향으로 정렬되고 이격되어 있는 고정 루프를 포함하는
    차량 물품 캐리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크로스 바아의 제 2 단부는 수동 맞물림 가능한 로킹 부재를 구비하는 단부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수동 맞물림 가능한 로킹 부재는 상기 단부 지지체에 대하여 피봇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구조물과 작동상 연관되는
    차량 물품 캐리어.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킹 부재는 상기 후방 크로스 바아의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킹 부재의 각각은 수동으로 맞물릴 수 있는
    차량 물품 캐리어.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크로스 바아의 제 1 단부는 제 1 단부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크로스 바아의 제 2 단부는 제 2 단부 지지체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단부 지지체는 상기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킹 부재 중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킹 부재는 상기 구조물에 의해 상호 결합되고, 상기 구조물은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단부 지지체 모두는 상기 로킹 부재에 의해 각각의 상기 지지 요소에 로킹될 수 있으며, 상기 단부 지지체 모두는 상기 로킹 부재 중 하나를 수동으로 맞물리고 이동시킴으로써 각각의 상기 단부 지지체로부터 동시에 로킹 해제될 수 있는
    차량 물품 캐리어.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지지 요소 중 제 1 지지 요소는 상기 작동 위치와 상기 적재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전방 크로스 바아를 이동시키기 이전에 상기 외부 본체 표면으로부터 상기 전방 크로스 바아를 멀어지도록 피봇팅하게 하는 슬롯을 포함하는
    차량 물품 캐리어.
  11. 제 6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후방 지지 요소는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을 따라서 상기 후방 크로스 바아가 활주 이동할 수 있는
    차량 물품 캐리어.
  12. 삭제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지지 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의 상기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킹 부재와 맞물리기 위한, 상기 후방 지지 요소의 벽부에 있는 복수 개의 이격된 개구를 포함하는
    차량 물품 캐리어.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크로스 바아에 내장되어 있는 바이어스 요소와, 상기 케이블에 결합되는 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바이어스 요소는 상기 후방 크로스 바아와 연관되는 상기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킹 부재 모두를 로킹 위치에 유지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상기 케이블 상에 작용하는
    차량 물품 캐리어.
  15. 차량의 외부 본체 표면 위에 물품을 지지하기 위한 차량 물품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외부 본체 표면의 후방부에 인접하게 상기 외부 본체 표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후방 지지 요소와,
    상기 외부 본체 표면의 전방부에 인접하게 상기 외부 본체 표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전방 지지 요소와,
    제 1 단부에서는 상기 후방 지지 요소 중 제 1 지지 요소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고, 제 2 단부에서는 상기 후방 지지 요소 중 제 2 지지 요소에 피봇 가능하게 부착되는 후방 크로스 바아로서, 상기 후방 크로스 바아의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 각각은 사용자에 의해 맞물릴 수 있고 로킹 위치와 로킹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수동 파지 가능 로킹 부재를 포함하는, 상기 후방 크로스 바아와,
    상기 전방 지지 요소 중 제 1 지지 요소에 피봇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1 단부를 구비하고, 제 2 단부에서는 상기 전방 지지 요소 중 제 2 지지 요소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전방 크로스 바아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크로스 바아의 제 2 단부는 상기 전방 지지 요소 중 제 2 지지 요소에 부착되는 위치로서, 상기 전방 크로스 바아가 작동 위치에 위치설정되어 있는, 상기 전방 지지 요소 중 제 2 지지 요소에 부착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후방 지지 요소 중 제 1 지지 요소에 부착되는 위치로서, 상기 전방 크로스 바아가 적재 위치에 있는, 상기 후방 지지 요소 중 제 1 지지 요소에 부착되는 위치까지 피봇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고,
    상기 후방 크로스 바아의 제 1 단부는 상기 후방 지지 요소 중 제 1 지지 요소에 부착되는 위치로서, 상기 후방 크로스 바아가 작동 위치에 위치설정되어 있는, 상기 후방 지지 요소 중 제 1 지지 요소에 부착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전방 지지 요소 중 제 2 지지 요소에 부착되는 위치로서, 상기 후방 크로스 바아가 적재 위치에 있는, 상기 전방 지지 요소 중 제 2 지지 요소에 부착되는 위치까지 피봇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전방 및 후방 크로스 바아 중 하나는 양 단부에서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킹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지지 요소를 따라 복수 개의 이격된 위치에 종방향으로 위치설정 및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킹 부재는 상기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킹 부재 중 하나를 각각의 로킹 해제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동시에 로킹 해제될 수 있고,
    피봇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는 상기 전방 및 후방 크로스 바아의 단부는 각각의 상기 지지 요소로부터의 제거를 방지하는 방식으로 각각의 상기 지지 요소에 피봇 가능하게 고정되고,
    각각의 상기 후방 크로스 바아는 상기 제 1 단부에서의 제 1 단부 지지체와 상기 제 2 단부에서의 제 2 단부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단부 지지체는 상기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킹 부재 중 하나를 수용하고, 상기 제 2 단부 지지체는 상기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킹 부재 중 다른 하나를 수용하고,
    상기 후방 지지 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 개의 종방향으로 이격된 고정 루프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루프에 각각의 상기 단부 지지체가 고정될 수 있는
    차량 물품 캐리어.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킹 부재는 상기 후방 크로스 바아의 내부 영역을 통해 연장되는 케이블에 의해 결합되는
    차량 물품 캐리어.
  17. 삭제
  18. 제 15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단부 지지체는 각각의 상기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킹 부재를 평상시 로킹 위치에 유지시키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바이어스 요소를 포함하는
    차량 물품 캐리어.
  19. 삭제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지지 요소 중 제 2 지지 요소와 상기 후방 지지 요소 중 제 1 지지 요소 각각은, 상기 전방 크로스 바아가 상기 전방 지지 요소 중 제 2 지지 요소 또는 상기 후방 지지 요소 중 제 1 지지 요소 중 하나에 고정될 수 있게 하는 개구를 포함하는
    차량 물품 캐리어.
  21. 차량의 외부 본체 표면 위에 물품을 지지하기 위한 차량 물품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외부 본체 표면의 제 1 부분에 인접하게 상기 외부 본체 표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 1 지지 요소와,
    상기 외부 본체 표면의 제 2 부분에 인접하게 상기 외부 본체 표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 2 지지 요소와,
    제 1 단부에서는 상기 제 2 지지 요소 중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고, 제 2 단부에서는 상기 제 2 지지 요소 중 다른 하나에 피봇 가능하게 부착되는 제 1 크로스 바아와,
    상기 제 1 지지 요소 중 하나에 피봇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1 단부를 구비하고, 제 2 단부에서는 상기 제 1 지지 요소 중 다른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제 2 크로스 바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크로스 바아 각각은 상기 제 1 및 제 2 단부 중 하나에서 피봇 가능하게 이동 가능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크로스 바아를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 요소에 선택적으로 고정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 크로스 바아를 작동 위치에 배치하며, 상기 제 1 크로스 바아는 상기 제 1 지지 요소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 2 크로스 바아는 상기 제 2 지지 요소 사이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크로스 바아는 상기 제 1 및 제 2 단부 중 하나로부터 각각 피봇 가능하게 이동가능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크로스 바아를 적재 위치에 배치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크로스 바아가 서로 평행하고 상기 차량의 주 종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크로스 바아는 상기 지지 요소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크로스 바아 중 하나는 양 단부에 한 쌍의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킹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킹 부재는 상기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킹 부재 중 하나의 이동을 통해 동시에 이동 가능하고,
    피봇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는 상기 제 1 및 제 2 크로스 바아의 단부는 각각의 상기 지지 요소로부터의 제거를 방지하는 방식으로 각각의 상기 지지 요소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지지 요소 각각은, 상기 제 1 크로스 바아가 작동 위치에 있고 상기 한 쌍의 제 1 지지 요소에 고정되어 있을 때, 상기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킹 부재의 일부와 맞물리기 위한 복수 개의 종방향으로 정렬되고 이격되어 있는 고정 루프를 포함하는
    차량 물품 캐리어.
KR1020090052015A 2008-06-11 2009-06-11 차량 물품 캐리어 KR1016278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136,854 2008-06-11
US12/136,854 US8251267B2 (en) 2007-06-13 2008-06-11 Vehicle article carrier having single sided releasable and stowable cross ba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9375A KR20090129375A (ko) 2009-12-16
KR101627856B1 true KR101627856B1 (ko) 2016-06-07

Family

ID=41343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2015A KR101627856B1 (ko) 2008-06-11 2009-06-11 차량 물품 캐리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627856B1 (ko)
DE (1) DE102009025034A1 (ko)
FR (1) FR29324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05369A1 (de) * 2010-01-22 2011-07-2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n. d. Ges. d. Staates Delaware ), Mich. Kraftfahrzeug mit einem fahrzeugdachseitigen Gepäckträger im Fahrzeuginnenraum
FR3039477B1 (fr) 2015-07-29 2017-12-08 Mecaplast France Barre de toit
US10576901B2 (en) 2017-01-17 2020-03-03 Jac Products, Inc. Vehicle article carrier having swing-in-place and stowable cross bars
KR102033454B1 (ko) 2018-10-31 2019-10-17 안성섭 기능성 옥외 사인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2723A (ja) 2002-10-22 2004-05-20 Jac Products Inc 簡素化された固定機構を有する車両用物品キャリヤ
US20060060621A1 (en) * 2004-09-22 2006-03-23 Klinkman John E Article carrier assembly with removable stowable cross-rails and latching mechanism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21535A1 (de) * 1993-06-29 1995-01-12 Happich Gmbh Gebr Dachlastenträger für Fahrzeuge
KR20050099676A (ko) * 2004-04-12 2005-10-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루프랙의 크로스바어셈블리 마운팅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2723A (ja) 2002-10-22 2004-05-20 Jac Products Inc 簡素化された固定機構を有する車両用物品キャリヤ
US20060060621A1 (en) * 2004-09-22 2006-03-23 Klinkman John E Article carrier assembly with removable stowable cross-rails and latching mechanism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9375A (ko) 2009-12-16
FR2932439A1 (fr) 2009-12-18
DE102009025034A1 (de) 2009-12-24
FR2932439B1 (fr) 2014-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1267B2 (en) Vehicle article carrier having single sided releasable and stowable cross bars
US6308874B1 (en) Roof rack assembly
US8276794B2 (en) Vehicle article carrier having releasable and stowable cross bars
AU2017101232B4 (en) Roof rack
US7815405B2 (en) Tie-down cleat and method for a vehicle article carrier
US7458490B2 (en) Article carrier assembly with removable stowable cross-rails and latching mechanism therefor
US6681970B2 (en) Deployable roof mounted equipment rack for tall vehicles
EP1095818A2 (en) Bicycle carrier apparatus adapted for use within a cargo area of a vehicle
US20130334267A1 (en) Ladder rack system
US20080035688A1 (en) Loading System for Vehicle Roofrack
KR101627856B1 (ko) 차량 물품 캐리어
EP1306266B1 (en) Cargo bar
US2013004506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oading and unloading cargo
US9987994B2 (en) Rooftop bike rack system
US7926685B2 (en) Single side release vehicle article carrier system and method
US6623224B2 (en) Apparatus and system for securing cargo
US20210188183A1 (en) Collapsible and Adaptable Car Roof Rack
WO2005113312A2 (en) Cargo restraining device
US20230365068A1 (en) A vehicle-mountable rack
WO2014171844A1 (en) Roof rack extension device
EP3575152B1 (en) Load carrier, in particular bicycle carrier
US20110163140A1 (en) Transport device
JP5619589B2 (ja) 着脱自在かつ収納自在なクロスバーを備える車用荷台
US7540566B2 (en) Vehicle seat adjustment extension arm
WO2006040671A2 (en) Load support for pickup truc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