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8280A - 전지 모듈 - Google Patents

전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8280A
KR20120048280A KR1020100109833A KR20100109833A KR20120048280A KR 20120048280 A KR20120048280 A KR 20120048280A KR 1020100109833 A KR1020100109833 A KR 1020100109833A KR 20100109833 A KR20100109833 A KR 20100109833A KR 20120048280 A KR20120048280 A KR 20120048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late
battery module
fastener
fix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9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1662B1 (ko
Inventor
박시동
김태용
정강식
Original Assignee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9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1662B1/ko
Priority to US13/049,724 priority patent/US9455425B2/en
Publication of KR20120048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8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1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1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01M50/26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for cells or batteries, e.g. straps, tie rods or peripheral fram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지 모듈은 이차 전지들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이차 전지와 상기 이차 전지들의 외측에 배치된 엔드 플레이트들과, 상기 엔드 플레이트들에 고정되며, 적어도 일측 단부에 돌출된 지지턱이 형성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엔드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체결구, 및 상기 체결구가 삽입되며 상기 고정부재와 맞닿는 보강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지 모듈{BATTERY MODULE}
본 발명은 전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차 전지들을 고정하는 구조를 개선한 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rechargeable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이다. 저용량의 이차 전지는 휴대폰이나 노트북 컴퓨터 및 캠코더와 같이 휴대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대용량 전지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 고에너지 밀도의 비수전해액을 이용한 고출력 이차 전지가 개발되고 있으며, 상기한 고출력 이차 전지는 대전력을 필요로 하는 기기 예컨대, 전기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에 사용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이차 전지를 직렬로 연결하여 대용량의 전지 모듈로 구성된다.
또한, 하나의 대용량 전지 모듈은 통상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이차 전지로 이루어지며, 이차 전지는 원통형과 각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이차 엔드 플레이트와 엔드 플레이트들을 고정하는 고정부재에 의하여 지지되는 바, 이차 전지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못하면 외부의 충격으로 인하여 이차 전지가 파손될 수 있다. 고정부재는 엔드 플레이트에 볼트 등으로 고정되며, 무게 등을 이유로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볼트는 고정부재에 삽입 설치되는 바, 볼트와 고정부재는 점접촉을 하게된다. 특히, 이차 전지가 팽창하는 경우에는 볼트에 의한 가압력이 더욱 커져서 고정부재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차 전지들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전지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지 모듈은 복수 개의 이차 전지와 상기 이차 전지들의 외측에 배치된 엔드 플레이트들과, 상기 엔드 플레이트들에 고정되며, 적어도 일측 단부에 돌출된 지지턱이 형성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엔드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체결구, 및 상기 체결구가 삽입되며 상기 고정부재와 맞닿는 보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구는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엔드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지지턱에 걸려질 수 있다.
상기 엔드 플레이트는 이차 전지와 나란하게 배치된 가압판과, 상기가압판의 측단에서 절곡된 체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구는 상기 체결판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에는 이차 전지 사이로 냉매가 공급될 수 있도록 통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엔드 플레이트는 이차 전지와 나란하게 배치된 가압판과, 상기가압판의 상단과 하단에서 절곡된 체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구는 상기 체결판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엔드 플레이트에는 상기 체결구가 삽입되는 제1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체결구가 삽입되는 제2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고정홀은 상기 제1 고정홀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강부재에는 상기 체결구가 삽입되는 제3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고정홀은 상기 제3 고정홀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홀은 상기 이차 전지의 적층 방향으로 상기 제1 고정홀 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고정홀에는 홀의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고정부재보다 더 큰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고정부재보다 강도가 더 큰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지지판와 상기 지지판에서 돌출된 지지턱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체결구가 삽입되는 제1 고정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턱은 상기 지지판에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의 일측 단부는 돌출되어 상기 지지턱과 대향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엔드 플레이트와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부재가 설치되어 이차 전지들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의 고정부재와 보강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의 고정부재와 보강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에서 고정부재가 최초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8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에서 엔드 플레이트가 고정부재에서 뒤로 밀려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구성하는 이차 전지와 격벽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101)은 복수 개의 이차 전지들(20)과 이차 전지들(20) 사이에 배치된 격벽(38), 이차 전지들(20)의 외측에 배치된 엔드 플레이트(39), 및 엔드 플레이트들(39)을 연결 고정하는 고정부재들(41)을 포함한다.
이차 전지(20)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로서 각형인 것을 예로서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리튬 폴리머 전지 또는 원통형 전지 등 다양한 형태의 전지에 적용될 수 있다.
이차 전지(20)는 전극 어셈블리(미도시)가 내장되는 케이스(28)와 케이스(28)의 외측으로 돌출된 양극 단자(21)와 음극 단자(22)를 포함한다. 또한, 이차 전지(20)는 설정된 압력에서 개방되어 가스를 배출할 수 있도록 노치가 형성된 벤트부재(27)와 전해액 주입구를 밀봉하는 밀봉마개(23)를 더 포함한다.
케이스(28)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각형(prismatic) 타입으로 형성되며,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이차 전지(20)의 상부에는 전극 어셈블리의 양극(positive electrode)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양극 단자(21)와 전극 어셈블리의 음극(negative electrode)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음극 단자(22)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복수 개의 이차 전지(20)는 적층 배열되는 바, 이차 전지(20)의 넓은 전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나란하게 측방향(도 1의 x축 방향)으로 적층 배열된다.
나란하게 배열된 이차 전지들(20)은 버스바(bus-bar)(29)에 의하여 직렬로 연결되는데, 이웃하는 이차 전지들(20)의 양극 단자(21)와 음극 단자(22)가 엇갈리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일측 이차 전지(20)의 양극 단자(21)와 이에 이웃하는 이차 전지(20)의 음극 단자(22)에 버스바(29)가 설치된다. 버스바(29)는 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너트에 의하여 양극 단자(21)와 음극 단자(22)에 고정되어 있다.
격벽(38)은 돌기가 형성된 사각 플레이트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차 전지(20)를 이격시켜서 냉각매체가 이동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적층 배열된 이차 전지(20)의 제일 외측에는 엔드 플레이트(39)가 배치되는 바, 두 개의 엔드 플레이트(39)가 이차 전지들(20)을 내측으로 가압하고 있다. 엔드 플레이트(39)는 이차 전지들(20)과 맞닿아 이차 전지들(20)을 내측으로 가압하여 지지하는 가압판(39a)과 가압판(39a)의 양쪽 측단에서 바깥쪽으로 절곡된 체결판(39b)을 포함한다. 체결판(39b)에는 체결구(37)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고정홀(39c)이 형성된다.
엔드 플레이트(39)에는 두 개의 엔드 플레이트들(39)을 지지하는 고정부재(41)가 고정 설치되는 바, 고정부재(41)는 이차 전지들(20)의 적층 방향(도 1에서 x축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되며, 양쪽 단부가 각각 엔드 플레이트(39)에 고정된다.
고정부재(41)는 지지판(412)과 지지판(412)의 양쪽 측단에서 돌출된 지지턱(414)을 포함한다. 지지판(412)은 이차 전지들(20)의 적층 방향으로 길게 이어진 사각판 형태로 이루어진다. 지지판(412)에는 냉각 매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통기공(413)이 형성되는 바, 통기공(413)은 격벽(38)이 형성하는 공간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지지판(412)의 길이방향 양쪽 가장자리에는 제2 고정홀(416)이 형성되며 복수 개의 제2 고정홀(416)은 고정부재(41)의 폭 방향(도 1에서 z축 방향)으로 이격 배열되어 있다.
고정부재(41)는 이 제2 고정홀(416)을 통해서 엔드 플레이트(39)의 측단에 형성된 체결판(39b)에 체결구(37)와 체결구에 결합된 너트(36)를 매개로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구(37)가 볼트로 이루어진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체결구(37)는 리벳, 핀 등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턱(414)은 지지판(412)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바,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턱(414)은 지지판(412)에서 절곡되어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턱(414)이 지지판(412)의 양쪽 단부에서 돌출된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판(412)의 한쪽 단부에만 지지턱(414)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보강부재(51)는 지지턱이 형성된 단부에만 설치된다.
고정부재(41)의 외면에는 체결구(37)가 삽입되는 제3 고정홀(513)이 형성된 보강부재(51)가 설치되는 바, 보강부재(51)는 고정부재(41)의 가장자리와 접하도록 배치되어 지지턱(414)에 걸려진다. 이에 따라 체결구(37)는 보강부재(51)와 고정부재(41), 및 엔드 플레이트(39)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보강부재(51)는 고정부재(41)가 보다 더 큰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엔드 플레이트(39)를 지지한다. 보강부재(51)의 외주면이 지지턱과 맞닿아서 보강부재(51)와 지지턱(414)은 면접촉을 하며, 이에 따라 보강부재(51)에 전달된 힘을 지지턱(414)으로 충분히 분산시킬 수 있다.
보강부재(51)는 고정부재(41)의 양쪽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엔드 플레이트(39)를 고정한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보강부재(51)는 고정부재(41)의 한쪽 가장자리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최초 설치된 상태에서는 보강부재(51)가 지지턱(414)에서 이격되거나, 지지턱(414)에 힘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이차 전지(20)가 팽창하면 가압력에 의하여 제2 고정홀(416)이 확장되면서 보강부재(51)가 지지턱(414)과 맞닿아 지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1차적으로 고정부재(41)가 엔드 플레이트(39)를 지지하고, 2차적으로 보강부재(51)와 지지턱(414)이 엔드 플레이트(39)를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부재(51)와 고정부재(41)가 함께 체결구(37)에 결합되어 엔드 플레이트(39)를 지지하므로 더욱 안정적으로 엔드 플레이트(39)를 지지할 수 있다. 이차 전지들(20)을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는 동안 이차 전지(20) 내부에서 가스가 발생하여 이차 전지(20)가 팽창하는 바, 이차 전지(20)의 팽창에 따라 고정부재(41)에는 큰 압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 때, 고정부재(41)와 체결구(37)는 제2 고정홀(416)에서 점접촉을 하게 되고, 이 부분에 압력이 집중되어 고정부재(41)가 파손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구(37)에 의한 압력을 보강부재(51)가 함께 지지하고, 보강부재(51)에 전달된 압력을 보강부재(51)와 면접촉하는 지지턱(414)에서 지지하므로 안정적으로 이차 전지들(20)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보강부재(51)가 설치되므로 고정부재(41)를 무게가 큰 금속 대신 무게가 가벼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으로 대체함으로써 전지 모듈(101)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의 고정부재와 보강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102)은 복수 개의 이차 전지들(20)과 이차 전지들(20) 사이에 배치된 격벽(38), 이차 전지들(20)의 외측에 배치된 엔드 플레이트(39), 및 엔드 플레이트들(39)을 연결 고정하는 고정부재들(4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102)은 고정부재(42)와 보강부재(52)의 구조를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동일한 구조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적층 배열된 이차 전지(20)의 제일 외측에는 엔드 플레이트(39)가 배치되며, 엔드 플레이트(39)에는 두 개의 엔드 플레이트들(39)을 지지하는 2 개의 고정부재(42)가 고정 설치된다. 고정부재들(42)은 엔드 플레이트들(39)의 양쪽 측단에 각각 고정된다.
엔드 플레이트(39)는 이차 전지들(20)과 맞닿아 이차 전지들(20)을 내측으로 가압하여 지지하는 가압판(39a)과 가압판(39a)의 양쪽 측단에서 바깥쪽으로 절곡된 체결판(39b)을 포함한다. 체결판(39b)에는 체결구(37)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고정홀(39c)이 형성된다.
고정부재(42)는 이차 전지들(20)의 적층 방향(도 3에서 x축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되며, 양쪽 단부가 각각 체결판(39b)에 고정된다.
고정부재(42)는 지지판(422)과 지지판(422)의 양쪽 측단에서 돌출된 지지턱(424)을 포함한다. 지지판(422)은 이차 전지들(20)의 적층 방향으로 길게 이어진 사각판 형태로 이루어진다. 지지판(422)의 길이방향 양쪽 가장자리에는 체결구(37)가 삽입되는 제2 고정홀(426)이 형성되며 복수 개의 제2 고정홀(426)은 고정부재(42)의 폭 방향(도 1에서 z축 방향)으로 이격 배열되어 있다.
제2 고정홀(426)은 제1 고정홀(39c)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바, 제2 고정홀(426)은 이차 전지(20)의 적층 방향(x축 방향)으로 길게 이어진 구조로 이루어진다.
고정부재(42)는 이 제2 고정홀(426)을 통해서 엔드 플레이트(39)의 측단에 형성된 체결판(39b)에 체결구(37)와 너트(36)를 매개로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구(37)가 볼트로 이루어진다.
지지턱(424)은 지지판(422)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바,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턱(424)은 지지판(422)에서 절곡되어 있다.
고정부재(42)의 외면에는 체결구(37)가 삽입되는 제3 고정홀(523)이 형성된 보강부재(53)가 설치되는 바, 보강부재(53)는 체결구(37)에 의하여 고정부재(42)와 함께 엔드 플레이트(39)에 고정된다.
제3 고정홀(523)은 제2 고정홀(426) 보다 더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고정홀(39c)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보강부재(52)는 엔드 플레이트(39)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보강부재(52)는 지지판(422)과 맞닿는 베이스(521)와 베이스(521)의 일측 단부에서 돌출된 돌출부(522)를 포함한다. 판 형태로 이루어진 베이스(521)에 제3 고정홀(523)이 형성되며, 돌출부(522)는 보강부재(52)에서 절곡되어 돌출된다. 돌출부(522)는 지지턱(424)과 면접촉하여 보강부재(52)에 전달된 힘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강부재(52)는 고정부재(42)보다 더 큰 강도를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바,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42)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보강부재(52)는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최초 설치된 상태에서는 보강부재(52)가 지지턱(424)에서 이격되어 있으며, 체결구(37)는 제2 고정홀(426)에서 안쪽에 위치한다. 이때, 엔드 플레이트(39)는 체결판(39b)과 지지판(422)의 마찰력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이차 전지들(20)이 팽창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력에 의하여 체결구(37)가 외측으로 밀려나고, 엔드 플레이트(39)와 보강부재(52)도 함께 이동한다. 체결구(37)는 보강부재(52)가 지지턱(424)과 맞닿을 때까지 이동하는 바, 보강부재(52)가 지지턱(424)과 맞닿아 체결구(37)를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차 전지(20)가 팽창할 때, 엔드 플레이트(39)가 뒤로 밀려나므로 이차 전지(20)의 팽창으로 인하여 과도한 가압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강부재(52)의 의하여 지지되므로 더욱 안정적으로 엔드 플레이트(39)가 고정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103)은 복수 개의 이차 전지들(20)과 이차 전지들(20) 사이에 배치된 격벽(38), 이차 전지들(20)의 외측에 배치된 엔드 플레이트(34), 및 엔드 플레이트들(34)을 연결 고정하는 고정부재들(4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103)은 엔드 플레이트(34)와 고정부재(43, 45), 및 보강부재(53)의 구조를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동일한 구조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적층 배열된 이차 전지(20)의 제일 외측에는 엔드 플레이트(34)가 배치되며, 엔드 플레이트(34)에는 두 개의 엔드 플레이트들(34)을 지지하는 고정부재(43, 45)가 고정 설치된다.
엔드 플레이트(34)는 이차 전지들(20)을 내측으로 가압하여 지지하는 가압판(34a)과 가압판(34a)의 상단과 하단에서 바깥쪽으로 절곡된 체결판(34b)을 포함한다. 체결판(34b)에는 체결구(37)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고정홀(34c)이 형성된다.
엔드 플레이트(34)의 상단과 하단에는 고정부재(43, 45)가 설치되는 바, 고정부재(43, 45)는 이차 전지들(20)의 적층 방향(x축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되며, 양쪽 단부가 각각 엔드 플레이트(34)에 고정된다. 고정부재(43, 45)는 전지 모듈(103)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고정부재(43)와 전지 모듈(103)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고정부재(45)로 이루어진다.
상부 고정부재(43)는 지지판(432)과 지지판(432)의 양쪽 측단에서 돌출된 지지턱(434)을 포함한다. 지지판(432)은 이차 전지들(20)의 적층 방향으로 길게 이어진 사각판 형태로 이루어진다. 지지판(432)의 길이방향 양쪽 가장자리에는 제2 고정홀(436)이 형성되며 복수 개의 제2 고정홀(436)은 상부 고정부재(43)의 폭 방향(y축 방향)으로 이격 배열되어 있다. 상부 고정부재는 고정부재(42)는 이 제2 고정홀(416)을 통해서 엔드 플레이트(39)의 상단에 형성된 체결판(39b)에 체결구(37)와 너트(36)를 매개로 고정된다.
상부 고정부재(43)의 지지판(432)에는 배기홀(435)이 형성되는 바, 배기홀(435)은 이차 전지(20)의 벤트부재(27)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벤트부재(27)가 개방될 때 이차 전지(20) 내부의 가스는 배기홀(435)을 통해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지지턱(434)은 지지판(432)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바,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턱(434)은 지지판(432)에서 절곡되어 돌출된다.
하부 고정부재(45)는 지지판(452)과 지지판(452)의 양쪽 측단에서 돌출된 지지턱(454)을 포함한다. 지지판(452)은 이차 전지들(20)의 적층 방향으로 길게 이어진 사각판 형태로 이루어진다. 지지판(452)의 길이방향 양쪽 가장자리에는 제2 고정홀(456)이 형성되며 복수 개의 제2 고정홀(456)은 하부 고정부재(45)의 폭 방향(y축 방향)으로 이격 배열되어 있다. 하부 고정부재(45)는 이 제2 고정홀(416)을 통해서 엔드 플레이트(34)의 상단에 형성된 체결판(39b)에 체결구(37)와 체결구(37)에 결합된 너트(36)를 매개로 고정된다.
지지턱(454)은 지지판(452)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바,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턱(454)은 지지판(452)에서 절곡되어 돌출된다.
고정부재(43, 45)의 외면에는 체결구(37)가 삽입되는 제3 고정홀(533)이 형성된 보강부재(53)가 설치되는 바, 보강부재(53)는 체결구(37)에 의하여 고정부재(43, 45)와 함께 엔드 플레이트(34)에 고정된다.
보강부재(53)는 지지판(432, 452)과 맞닿는 베이스(531)와 베이스(531)의 일측 단부에서 돌출된 돌출부(532)를 포함한다. 판 형태로 이루어진 베이스(531)에 제3 고정홀(533)이 형성되며, 돌출부(532)는 베이스(531)에서 절곡되어 돌출된다. 돌출부(532)는 지지턱(434)과 면접촉하여 보강부재(53)에 전달된 힘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의 고정부재와 보강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고정부재(44)의 구조를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동일한 구조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고정부재(44)는 이차 전지들(20)의 적층 방향(도 3에서 x축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되며, 양쪽 단부가 각각 엔드 플레이트(39)에 고정된다.
고정부재(44)는 지지판(442)과 지지판(442)의 양쪽 측단에서 돌출된 지지턱(444)을 포함한다. 지지판(442)은 이차 전지들(20)의 적층 방향으로 길게 이어진 사각판 형태로 이루어진다. 지지판(442)의 길이방향 양쪽 가장자리에는 제2 고정홀(446)이 형성되며 복수 개의 제2 고정홀(446)은 고정부재(44)의 폭 방향(도 1에서 z축 방향)으로 이격 배열되어 있다.
제2 고정홀(446)은 엔드 플레이트에 형성된 제1 고정홀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바, 제2 고정홀(446)은 이차 전지의 적층 방향(x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제2 고정홀(446)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재(44)는 이 제2 고정홀(446)을 통해서 엔드 플레이트(39)의 측단에 형성된 체결판(39b)에 체결구(37)와 체결구()에 결합된 너트(36)를 매개로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구(37)가 볼트로 이루어진다.
지지턱(444)은 지지판(442)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바,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턱(444)은 지지판(442)에서 절곡되어 돌출된다.
고정부재(44)의 외면에는 체결구(37)가 삽입되는 제3 고정홀(543)이 형성된 보강부재(54)가 설치되는 바, 보강부재(54)는 체결구(37)에 의하여 고정부재(44)와 함께 엔드 플레이트(39)에 고정된다.
제3 고정홀(543)은 제2 고정홀(446) 보다 더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고정홀(39c)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보강부재(54)는 엔드 플레이트(39)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보강부재(54)는 지지판(442)과 맞닿는 베이스(541)와 베이스(541)의 일측 단부에서 돌출 형성된 돌출부(542)를 포함한다. 판 형태로 이루어진 베이스(541)에 제3 고정홀(543)이 형성되며, 돌출부(542)는 베이스(541)에서 절곡되어 돌출된다. 돌출부(542)는 지지턱(444)과 면접촉하여 보강부재(54)에 전달된 힘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설치된 상태에서 보강부재(54)는 지지턱(444)에서 이격되어 있으며, 체결구(37)는 제2 고정홀(446)에서 안쪽에 위치하여 돌기(446a)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이차 전지들(20)이 팽창하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력에 의하여 체결구(37)가 밀려나고, 엔드 플레이트(39)와 보강부재(54)도 함께 이동한다. 체결구(37)는 보강부재(54)가 지지턱(444)과 맞닿을 때까지 이동하여 보강부재(54)가 체결구(37)를 지지하게 된다. 보강부재(54)가 지지턱(444)과 맞닿을 때, 체결구(37)는 제2 고정홀(446)의 바깥쪽 내면과 맞닿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차 전지(20)가 팽창할 때, 엔드 플레이트(39)가 뒤로 밀려나므로 이차 전지(20)의 팽창으로 인하여 과도한 가압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강부재(54)의 의하여 지지되므로 더욱 안정적으로 엔드 플레이트(39)를 고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1, 102, 103: 전지 모듈
20: 이차 전지 21: 양극 단자
22: 음극 단자 23: 밀봉마개
27: 벤트부재 28: 케이스
29: 버스바 34, 39: 엔드 플레이트들
34a, 39a: 가압판 34b, 39b: 체결판
34c, 39c: 제1 고정홀 36: 너트
37: 체결구 38: 격벽
41, 42, 44: 고정부재
412, 422, 432, 452, 442, 452: 지지판
413: 통기공 414, 424, 434, 444, 454: 지지턱
416, 426, 436, 446, 456: 제2 고정홀
43: 상부 고정부재 435: 배기홀
45: 하부 고정부재 51, 52, 53, 54: 보강부재
513, 523, 533, 543: 제3 고정홀 521, 531, 541: 베이스
522, 532, 543: 돌출부

Claims (16)

  1. 복수 개의 이차 전지;
    상기 이차 전지들의 외측에 배치된 엔드 플레이트들;
    상기 엔드 플레이트들에 고정되며, 적어도 일측 단부에 돌출된 지지턱이 형성된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엔드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체결구;
    상기 체결구가 삽입되며, 상기 고정부재와 맞닿는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엔드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설치된 전지 모듈.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지지턱에 걸려진 전지 모듈.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 플레이트는 이차 전지와 나란하게 배치된 가압판과, 상기가압판의 측단에서 절곡된 체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구는 상기 체결판을 관통하여 설치된 전지 모듈.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는 이차 전지 사이로 냉매가 공급될 수 있도록 통기공이 형성된 전지 모듈.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 플레이트는 이차 전지와 나란하게 배치된 가압판과, 상기가압판의 상단과 하단에서 절곡된 체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구는 상기 체결판을 관통하여 설치된 전지 모듈.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 플레이트에는 상기 체결구가 삽입되는 제1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체결구가 삽입되는 제2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고정홀은 상기 제1 고정홀보다 더 큰 전지 모듈.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체결구가 삽입되는 제2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재에는 상기 체결구가 삽입되는 제3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고정홀은 상기 제3 고정홀보다 더 큰 전지 모듈.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홀은 상기 이차 전지의 적층 방향으로 상기 제1 고정홀 보다 더 길게 형성된 전지 모듈.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홀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가 형성된 전지 모듈.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고정부재보다 더 큰 두께를 갖는 전지 모듈.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고정부재보다 강도가 더 큰 소재로 이루어진 전지 모듈.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지지판와 상기 지지판에서 돌출된 지지턱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체결구가 삽입되는 제1 고정홀이 형성된 전지 모듈.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턱은 상기 지지판에서 절곡 형성된 전지 모듈.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의 일측 단부는 돌출되어 상기 지지턱과 대향하는 돌출부가 형성된 전지 모듈.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전지 모듈.
KR1020100109833A 2010-11-05 2010-11-05 전지 모듈 KR101191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833A KR101191662B1 (ko) 2010-11-05 2010-11-05 전지 모듈
US13/049,724 US9455425B2 (en) 2010-11-05 2011-03-16 Battery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833A KR101191662B1 (ko) 2010-11-05 2010-11-05 전지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280A true KR20120048280A (ko) 2012-05-15
KR101191662B1 KR101191662B1 (ko) 2012-10-17

Family

ID=46019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9833A KR101191662B1 (ko) 2010-11-05 2010-11-05 전지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55425B2 (ko)
KR (1) KR10119166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2520A1 (ko) * 2013-07-25 2015-01-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동형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EP3082176A1 (en) 2015-04-15 2016-10-19 SK Innovation Co., Ltd. Secondary battery pack with variable compression
CN109671882A (zh) * 2017-10-16 2019-04-23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电池模块
CN109671883A (zh) * 2017-10-13 2019-04-23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电池模块
CN110832665A (zh) * 2017-06-22 2020-02-21 三洋电机株式会社 电源装置和具备该电源装置的车辆以及蓄电装置
WO2021153523A1 (ja) * 2020-01-31 2021-08-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蓄電モジュール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76345B2 (ja) * 2011-06-09 2015-09-09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モジュール、電子機器、電力システムおよび電動車両
AU2013274198B2 (en) * 2012-06-13 2016-05-05 Allison Transmission, Inc. Energy storage system for hybrid electric vehicle
CN202839812U (zh) * 2012-08-28 2013-03-27 惠州比亚迪电池有限公司 一种动力连接及信号采集的集成组件
KR101769577B1 (ko) * 2014-05-07 2017-08-18 주식회사 엘지화학 홀드다운 브라켓을 포함하는 전지팩
KR102091767B1 (ko) * 2015-10-22 2020-03-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보호 구조물과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JP6831632B2 (ja) * 2016-02-19 2021-02-17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及び該蓄電装置の製造方法
JP6551791B2 (ja) * 2016-02-29 2019-07-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支持構造
KR102249896B1 (ko) * 2016-11-08 2021-05-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및 이차 전지 팩
WO2019130937A1 (ja) * 2017-12-25 2019-07-04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源装置及び電源装置を備える車両並びに蓄電装置
TWM560044U (zh) * 2018-01-23 2018-05-11 Chyng Hong Electronic Co Ltd 電源供應器之電源輸出端結構
KR102330872B1 (ko) * 2018-09-20 2021-11-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JP7061547B2 (ja) * 2018-10-02 2022-04-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モジュール及びバッテリ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US20220140430A1 (en) * 2019-02-27 2022-05-05 Honda Motor Co., Ltd. End plate securing structure and battery device
JP7232802B2 (ja) * 2020-10-20 2023-03-03 プライムプラネットエナジー&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蓄電装置
KR20230137775A (ko) * 2022-03-22 2023-10-05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20489A (en) * 1967-06-05 1969-01-07 James J Doggett & George M Rap Adjustable bolt assembly for battery supporting bracket
FR1600393A (ko) * 1968-12-31 1970-07-20
CA973611A (en) * 1972-08-16 1975-08-26 Saft Batteries Limited Intercell spacer for assembly of battery cells
US4520887A (en) * 1983-02-04 1985-06-04 D & S Plug Corporation Battery holddown arrangement
JP3271494B2 (ja) 1995-10-24 2002-04-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積層密閉形アルカリ蓄電池
JP4088359B2 (ja) * 1997-10-20 2008-05-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集合型密閉二次電池
JP4117865B2 (ja) * 1999-08-31 2008-07-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組電池
JP4127985B2 (ja) 2001-07-23 2008-07-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池パック
KR100728216B1 (ko) * 2005-11-07 2007-06-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KR100805152B1 (ko) 2006-04-10 2008-02-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KR100804703B1 (ko) * 2006-11-01 2008-02-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기 출력량 측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용 스택
JP5159112B2 (ja) * 2007-01-24 2013-03-06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池パ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US7955082B1 (en) * 2007-02-09 2011-06-07 Andrew Loyall Gause Basketball training device and method
JP5114973B2 (ja) 2007-03-02 2013-01-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および燃料電池用締結装置
JP2008282582A (ja) * 2007-05-08 2008-11-20 Sanyo Electric Co Ltd 組電池
JP2009087720A (ja) 2007-09-28 2009-04-23 Toshiba Corp 電池パック
JP2009129580A (ja) * 2007-11-20 2009-06-11 Aisin Seiki Co Ltd 燃料電池スタック装置
CN201173248Y (zh) * 2008-01-31 2008-12-3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枢纽器
JP2010140548A (ja) * 2008-12-11 2010-06-24 Sony Corp 電子機器
KR101050315B1 (ko) * 2009-02-26 2011-07-19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EP2423999A4 (en) * 2009-04-24 2014-03-26 Nissan Motor BATTERY PACK
KR101097222B1 (ko) * 2009-11-16 2011-12-21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엔드플레이트의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모듈
KR101084223B1 (ko) * 2009-12-18 2011-11-17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리스트레이너의 고정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모듈 및 그 고정 방법
KR101097223B1 (ko) * 2009-12-18 2011-12-21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리스트레이너의 고정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101117686B1 (ko) * 2009-12-28 2012-02-29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전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지 팩
US9196883B2 (en) * 2010-11-04 2015-11-24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2520A1 (ko) * 2013-07-25 2015-01-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동형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US10276842B2 (en) 2013-07-25 2019-04-30 Lg Chem, Ltd. Battery module having movable pressurization member
EP3082176A1 (en) 2015-04-15 2016-10-19 SK Innovation Co., Ltd. Secondary battery pack with variable compression
KR20160123091A (ko) 2015-04-15 2016-10-2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 전지 팩
US10199676B2 (en) 2015-04-15 2019-02-05 Sk Innovation Co., Ltd. Secondary battery pack comprising movable wall and elastic member
CN110832665A (zh) * 2017-06-22 2020-02-21 三洋电机株式会社 电源装置和具备该电源装置的车辆以及蓄电装置
CN110832665B (zh) * 2017-06-22 2022-09-23 三洋电机株式会社 电源装置和具备该电源装置的车辆以及蓄电装置
CN109671883A (zh) * 2017-10-13 2019-04-23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电池模块
CN109671882A (zh) * 2017-10-16 2019-04-23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电池模块
CN109671882B (zh) * 2017-10-16 2021-12-31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电池模块
WO2021153523A1 (ja) * 2020-01-31 2021-08-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蓄電モジュール
CN114762179A (zh) * 2020-01-31 2022-07-15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蓄电模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15004A1 (en) 2012-05-10
US9455425B2 (en) 2016-09-27
KR101191662B1 (ko) 201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1662B1 (ko) 전지 모듈
KR102162968B1 (ko) 확장형 배터리 모듈 구조를 갖는 배터리 팩
US11936061B2 (en) Electric power source device and vehicle with same
US9660230B2 (en) Battery pack having end plates
JP5271334B2 (ja) 電池モジュール及び電池パック
KR101252952B1 (ko) 배터리 셀의 유동을 방지하는 배터리 모듈
US7989104B2 (en) Battery module
KR102330872B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US9214658B2 (en) Battery pack
JP2018006314A (ja) 電池サブモジュールキャリア、電池サブモジュール、電池システムおよび自動車
KR100949333B1 (ko) 전지 모듈
US8557428B2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100717751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1799565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팩
EP2999024B1 (en) Base plate for battery module assembly having novel structure
KR20170062845A (ko) 구성이 간소화된 단위모듈을 포함하고 있는 전지모듈
KR101750487B1 (ko) 외부 입출력 단자 및 버스 바의 장착 수단을 포함하는 전지모듈
US8652679B2 (en) Rechargeable battery
KR20130110246A (ko) 신규한 구조의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
JP2018506828A (ja) 電池圧縮阻止体及びそれを含む電池モジュール
US10910624B2 (en) Battery pack including electrode terminal having catch jaws
CN216213798U (zh) 电池箱体及电池包
JPWO2019021777A1 (ja) 電池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装備する車両
CN114843687A (zh) 保护组件以及包括该保护组件的电池壳体
KR20150063655A (ko) 전지모듈의 이동 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