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7891A - L―오르니틴 페닐아세테이트를 사용한 문맥압 항진증의 치료 및 간 기능 회복 - Google Patents

L―오르니틴 페닐아세테이트를 사용한 문맥압 항진증의 치료 및 간 기능 회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7891A
KR20120047891A KR1020127000293A KR20127000293A KR20120047891A KR 20120047891 A KR20120047891 A KR 20120047891A KR 1020127000293 A KR1020127000293 A KR 1020127000293A KR 20127000293 A KR20127000293 A KR 20127000293A KR 20120047891 A KR20120047891 A KR 20120047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enylacetate
ornithine
administration
phenylbutyrate
administ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0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5008B1 (ko
Inventor
라지브 잘란
케이쓰 앤더슨
Original Assignee
유씨엘 비즈니스 피엘씨
오세라 테라퓨틱스,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씨엘 비즈니스 피엘씨, 오세라 테라퓨틱스,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유씨엘 비즈니스 피엘씨
Publication of KR20120047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7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5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5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61K31/198Alpha-amino acids, e.g. alanine or edetic acid [ED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romatic groups, e.g. sulindac, 2-aryl-propionic acids, ethacry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121/00Preparations for use in 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L-오르니틴 페닐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문맥압 항진증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는 방법 및/또는 간기능을 회복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L―오르니틴 페닐아세테이트를 사용한 문맥압 항진증의 치료 및 간 기능 회복{TREATMENT OF PORTAL HYPERTENSION AND RESTORATION OF LIVER FUNCTION USING L-ORNITHINE PHENYLACETATE}
[관련 선행 출원]
본 출원은 2009년 6월 8일에 출원된 U.S. Provisional Patent Applications(미국 가출원) 제61/185,158호, 2009년 9월 9일에 출원된 제61/240,748호 및 2010년 1월 19일에 출원된 제61/296,377호의 이익을 주장한다. 이러한 관련 출원들 각각의 내용은 그 전체로써 본 발명에 참조된다.
본 발명은 약학화학, 생화학 및 의학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일 관점은 L-오르니틴을 페닐아세테이트 및 페닐부티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와 조합하여 사용하여 문맥압 항진증을 치료하고 및/또는 예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다른 관점은 L-오르니틴을 페닐아세테이트 및 페닐부티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와 조합하여 사용하여 간 기능을 회복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문맥압 항진증 (portal hypertension)은 문맥(portal vein)과 그 지맥 내의 혈압 증가를 말한다. 이것은 간경변과 간섬유화와 같은 간질환 환자에서 발생할 수 있는 그 상태이다. 문맥압 항진증은 또한 간문맥에서 간의 상체, 혈전증 또는 응고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문맥압 항진증에 대한 다양한 예방, 치료 및 관리는 증상의 정도에 따라 현재 이용가능할 수 있다. 전술한 상태를 치료하기 위한 추가의 요법이 필요하다.
특정 구체예는 개체에 L-오르니틴을 페닐아세테이트 및 페닐부티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와 조합하여 투여하여 문맥압 항진증을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개체에서 문맥압 항진증을 치료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특정 구체예는 개체에 L-오르니틴을 페닐아세테이트 및 페닐부티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와 조합하여 투여함으로써, 문맥압 항진증의 개시를 지연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문맥압 항진증의 개시 가능성을 지연 또는 감소시키는 방법을 개시한다.
특정 구체예는 간기능이 열악한 개체에서 간기능을 회복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개체에 L-오르니틴을 페닐아세테이트 및 페닐부티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와 조합하여 투여함으로써 간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특정 구체예는 문맥압 항진증을 앓고 있는 개체에서 정맥류 출혈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개체에 L-오르니틴을 페닐아세테이트 및 페닐부티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와 조합하여 정맥류 출혈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특정 구체예는 문맥압 항진증을 앓고 있는 개체의 복수를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개체에게 L-오르니틴을 페닐아세테이트 및 페닐부티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와 조합하여 투여함으로써 복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특정 구체예는 급성 간부전 환자에서 뇌 상해에 대하여 보호하는 방법으로서, 환자가 급성 간부전을 앓는다는 것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환자에게 L-오르니틴을 페닐아세테이트 및 페닐부티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와 조합하여 투여함으로써 상기 환자가 뇌상해로 발전하게 될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상기 치료하는 단계는 간이식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는 또한 급성 간부전에 의해 야기된 합병증을 치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상기 합병증은 정맥류 출혈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상기 개체는 문맥압 항진증을 앓고 있는 개체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문맥압 항진증을 앓는 환자는 또한 간경변과 같은 간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상기 개체는 간질환을 앓는 개체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상기 간질환을 가진 개체는 또한 문맥압 항진증을 앓는 개체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상기 간질환은 만성 간질환 (예를 들어, 간경변) 또는 급성 간부전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문맥압 항진증의 치료는 개체에서 전염증성 (proinflammatory) 사이토카인의 수준을 낮춤으로써 달성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문맥압 항진증의 치료는 내피세포 산화질소 합성효소 (endothelial 산화질소 합성효소) 활성을 증진시킴으로써 달성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L-오르니틴 및 페닐아세테이트는 L-오르니틴 페닐 아세테이트로서 투여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L-오르니틴 및 페닐아세테이트와 페닐부티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의 개별적인 생리적 허용 염이 상기 개체에 투여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L-오르니틴은 자유 단량체성 아미노산 또는 이의 생리적 허용염으로서 투여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페닐아세테이트와 페닐부티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는 소듐 페닐아세테이트 또는 소듐 페닐부티레이트로서 투여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투여는 경구, 정맥내, 복강내, 위장내 또는 근육내 투여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간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은 상기 문맥압 항진증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간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은 간관류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투여된 L-오르니틴과 페닐아세테이트 또는 페닐부티레이트의 양은 20 g 내지 40 g이다.
도 1A-D. 혈액 및 TNF-α 발현: 모조-실행 대조군에 비해 A) 담관 결찰 (BDL) 래트에서는 혈액 TNF-α의 유의한 증가가 있고 (*p<0.05), 이는 리포폴리사카라이드 (LPS)의 투여에 의해 상당히 증가되며 (##p<0.01), 및 L-오르니틴, 페닐아세테이트 (OP) 처리로 개선된다; B) BDL 래트에서 뇌 TNF-α의 유의한 증가가 있고 (*p<0.05), 이는 LPS의 투여에 의해 상당히 증가되며 (#p<0.05), OP 처리로 개선된다 ($p<0.05); C) BDL 래트에서 혈액 IL-6의 유의한 증가는 LPS 투여로 증폭된다(##p<0.01); 및 D) 비록 BDL를 사용하여 IL-6 뇌 농도에서 유사한 경향이 있지만, OP는 유의성 입증에는 실패하였다.
도 2A-B. 뇌 iNOS 및 NFκB 발현: 모조 실행 대조군에 비해, A) BDL 래트에서 뇌 iNOS 단백질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하며 (***p<0.01), 이는 OP 투여로 유의하게 개선된다($p<0.01); 및 B) BDL 래트에서 NFκB의 유의한 증가가 있고 (***p<0.05), 이는 또한 OP의 투여로 개선된다 ($$$p<0.01). 이러한 것들은 OP 처리된 동물에서 동맥 및 뇌 TNFα, ILIb 및IL-6가 유의하게 감소되는 것과 연관이 있다.
도 3A-B. 혈액 및 뇌 TNF-α 수준: 모조 대조군에 비해, A) BDL 래트에서 혈액 TNF-α 수준이 유의하게 증가하며, 이는 OP 투여에 의해 역전된다; 및 B) BDL 래트에서 혈액 TNF-α 수준이 유의하게 증가하며 이는 OP의 투여에 의해 역전된다.
도 4A-C. eNOS 활성과 단백질 발현, 및 iNOS 단백질 발현: 모조 대조군에 비해, A) BDL 래트에서 eNOS 활성이 유의하게 감소하며, 이는 OP의 투여로 역전된다; B) BDL 래트에서 eNOS 단백질 발현의 증가가 있다; 및 C) BDL 래트에서 iNOS 단백질 발현의 유의한 증가가 있다.
도 5A-C. 혈액 ADMA 및 대뇌 카베올린-1 단백질 발현: 모조 대조군에 비해, A) BDL 래트 혈액에서 혈액 ADMA가 유의하게 증가하고 이는 OP 투여후 유의하지 않게 감소한다; B) BDL 뇌 균질체에서 혈액 ADMA가 유의하게 증가하고, OP의 투여에 의해 유의하게 감소한다; 및 C) BDL 래트에서 대뇌 카베올린-1 단백질 발현의 유의한 증가가 있고, 이는 OP의 투여로 역전한다.
도 6A-C. 대뇌 DDAH-I 및 DDAH-2 단백질 발현 및 활성: 모조 대조군에 비해, A) BDL 래트에서 대뇌 DDAH-I 단백질 발현이 유의하게 감소하며, 이는 OP 투여에 의해 역전된다; B) BDL 래트에서 대뇌 DDAH-2 단백질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하고, 이는 OP 투여에 의해 역전된다; 및 C) BDL 래트에서 DDAH 활성이 유의하게 증가하고, 이는 OP 투여에 의해 역전된다.
도 7A-F. eNOS 활성과 단백질 발현, DDAH-I, NFκ-B, 간 카베올린-1의 단백질 발현, 및 문맥 압력: A) 모조 대조군에 비해, BDL 래트에서 eNOS 활성이 유의하게 감소하며, 이는 OP 투여에 의해 역전된다; B) BDL 래트에서 eNOS 단백질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하며 이는 OP 투여에 의해 또한 역전된다; C) BDL 래트에서 DDAH-I 단백질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하며, 이는 OP 투여에 의해 역전된다; D) BDL 래트에서 NFκ-B 단백질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하며, 이 증가는 OP 투여에 의해 유의하게 감소된다; E) BDL 래트에서 카베올린-1 단백질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하며, 이 증가는 OP 투여에 의해 유의하게 감소된다; 및 F) BDL 래트에서 문맥 압력이 유의하게 증가하며, OP 투여는 문맥압력을 30% 감소시키는 결과를 낳는다.
정의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개체는” 치료, 관찰 또는 실험의 대상이 되는 동물을 지칭한다. “동물”은 물고기, 갑각류 어류, 파충류, 및 특히 포유동물과 같은 냉혈 및 온혈 척추 및 무척추 동물을 포함한다. “포유동물”은 한정되지 않고, 생쥐; 래트; 토끼; 기니아 피그; 개; 고양이; 양; 염소; 소; 말; 꼬리 원숭이, 침팬지와 꼬리없는 원숭이와 같은 영장류, 및 인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환자”는 특징 질병이나 질환을 고치는 의도로 또는 적어도 개선하려는 의도로 또는 우선 질병이나 질환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의사 (예를 들어, 이종요법 의사, 또는 접골요법 의사), 또는 수의사와 같은 의료 전문가에게 치료되고 있는 개체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투여” 또는 “투여하는 것”은 척추동물에게 약학적 활성 성분의 투약량을 주는 방법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투약량”은 환자에게 투여되는 치료제의 양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일일 투약량”은 하루에 환자에게 투여되는 치료제의 총량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치료제”는 질병 또는 상태의 치료에 효과적인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치료적 유효량” 또는 “약학적 유효량”은 치료효과를 가지는, 치료제의 양을 의미한다. 약학적 활성 성분의, 치료에 유용한 투약량은 치료적 유효량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치료적 유효량은 임상 시험 결과 및/또는 모델 동물 연구에 의해 판정시 소망의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치료제의 그러한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치료효과”는 질병 또는 질환의 하나 이상의 증상을 어느 정도 완화하는 것을 뜻한다. 예를 들어, 치료효과는 개체에 의해 의사 소통된, 주관적인 불편의 감소에 의해 확인된다 (예, 자가-투여 환자 질문서에 기재된 감소된 불편).
약어
BDL = 담관결찰 (bile duct ligation);
OP = 오르니틴, 페닐아세테이트;
LPS = 리포폴리사카라이드.
iNOS = 유도성 산화질소 합성효소
eNOS = 내피세포 산화질소 합성효소
문맥압 항진증
문맥압 항진증은 문정맥내의 압력 증가이다 (소화 기관으로부터 간으로 혈액을 운반하는 정맥). 문맥압 항진증의 주요 증상과 합병증들은 위장관내 출혈, 예를 들어, 검고 타르와 같은 변 또는 혈변, 또는 정맥류로부터의 자연스런 파열에 의한 혈토 또는 출혈; 복수, 예를 들어, 복강내 유체의 축적; 뇌병증, 예를 들어, 열악한 간기능 및 간으로부터 떨어져서 흐르는 혈액 흐름으로 인한 혼란 및 망각; 및 감소된 혈소판 또는 감소된 백혈구 수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문맥압 항진증은 잠재하는 상태 (예 간 질환)의 증상 또는 결과일 수 있고, 따라서 개체는 하나 이상의 상태와 관련된 문맥압 항진증을 가질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상기 문맥압 항진증은 간질환과 관련된다.
간 질병의 비제한적 예는 간내 담즙정체증 (알라질 증후군, 담증성 간경변), 지방간 (알코올성 지방간, 라이 증후군), 간정맥 혈전증, 간렌즈핵변성증, 간비대, 간농양 (아메바성 간농양), 간경변 (알코올성, 담증성 및 실험성), 알코올성 간 질병 (지방간, 간염, 경변), 기생충성 (간 포충증, 간질증, 아메바성 간농양), 황달 (용혈성, 간세포성, 및 담즙 정체성), 담즙 정체증, 문맥압 항진증, 간비대, 복수, 간염 (알코올성 간염, 동물 간염, 만성 간염 (자가면역성, 간염 B, 간염 C, 간염 D, 약물 유도된), 독성 간염, 바이러스성 인간 간염 (간염 A, 간염 B, 간염 C, 간염 D, 간염 E), 윌슨씨 병, 육아종성 간염, 속발성 담즙성 간경변, 간성 뇌병증, 정맥류,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 원발성 경화성 담관염, 간세포 선종, 혈관종, 담석, 간 부전 (간성 뇌병증, 급성 간 부전), 및 간 신생물 (신혈관근지방종, 석회화 간 전이, 담낭 간 전이, 상피 종양, 섬유층판 간암종, 국소 결절성 과증식, 간 선종, 간담낭성 낭선종, 간 모세포종, 간세포암종, 간세포암(hepatoma), 간암, 간 혈관내피종, 중간엽 과오종, 간의 중간엽 종양, 결절성 재생 과증식, 양성 간 종양 (간 낭종 [단순 낭종, 다낭성 간질환, 간담낭성 낭선종, 담관 낭포증], 중간엽 종양 [중간엽 과오종, 영아 혈관내피종, 혈관종, 간자색반병, 지방종, 염증성 가종양, 기타], 상피 종양 [담관 상피 (담관 과오종, 담관 선종), 간세포 (선종, 국소 결절성 과증식, 결절성 재생 과증식)], 악성 간 종양 [간세포성, 간 모세포종, 간세포암종, 담관세포, 담관암, 낭선암, 혈관의 종양, 혈관육종, 카포시 육종, 혈관내피종, 다른 종양, 배아 육종, 섬유육종, 평활근육종, 횡문근육종, 암육종, 기형종(teratoma), 카시노이드, 편평암종, 원발성 림프종]), 간자색반병, 적혈구간성 포르피린종, 간성 포르피린종 (급성 간헐성 포르피린종, 만발성 피부 포르피린종), 젤웨거 증후군)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상기 간질환은 간염, 간경변, 담즙울체 또는 간부전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간질환을 가진 개체는 간성 뇌병증을 가진다.
특정 구체예에서, 상기 문맥압 항진증은 만성 간 질병과 연계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상기 만성 간 질병은 간경변이다. 간경변에서, 상처 조직은 간을 통한 혈액 흐름을 막고, 이는 결과적으로 문맥압 항진증을 나타낸다. 간정맥에서의 증가된 압력으로 인하여, 대정맥들은 (정맥류) 식도와 위에 걸쳐서 발생되어 상기 폐쇄를 우회하게 된다. 정맥류에서 압력이 증가되며 파열될 수도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문맥압 항진증을 감소시키는 것은 간성 뇌병증의 개시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문맥압 항진증은 또한 간정맥에서 혈전증 또는 응고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인간 및 실험실 동물에서의 문맥압 항진증은 운동항진 혈액순환, 내장 영역에서의 혈관확장, 및 비장기능항진과 연관될 수 있다. 비장기능 항진은 주요한 범혈구감소증으로 발전될 수 있다.
문맥압 항진증의 치료
특정 구체예에서, L-오르니틴을 페닐아세테이트 또는 페닐부티레이트와 함께 개체에 투여하여 문맥압 항진증을 치료 및/또는 예방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L-오르니틴은 페닐아세테이트 또는 페닐부티레이트와 함께 개체에 투여하여 문맥압 항진증의 개시 가능성을 지연하거나 감소시킨다. 특정 구체예에서, 상기 치료는 간기능의 회복을 결과하고 (예를 들어, 간 관류를 증가시키는) 따라서 문맥압 항진증을 개선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부분적 간기능이 회복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전체 간 기능이 회복된다. 간 기능의 회복은 (예를 들어, 간 관류를 증가시키는 것) 하나 이상의 하기 측정으로 알 수 있다: 알라닌 트랜스아미나제 (ALT) 시험, 아스파테이트 아미노트랜스퍼라제 (AST) 시험, 알파 글루타치온 S-트랜스퍼라제 (GST) 시험, 알부민 (Alb) 시험, 프로트롬빈 시간 시험, 및 복합 점수 (예를 들어, 차일드-푸 점수 MELD 점수). 추가로, 간 혈액동력학은 간 혈류 및/또는 문맥 압력을 검출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L-오르니틴 및 페닐아세테이트 또는 페닐부티레이트을 병행 투여하게 되면, 내피세포 산화질소 합성효소 (eNOS) 활성이 조절되는 결과를 나타내며, 따라서 감소된 eNOS 활성과 연계된 하나 이상의 증상을 치료 또는 개선하게 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감소된 eNOS 활성은 카베올린-1 및 비대칭성-디메틸아르기닌 (ADMA)을 위시한 내재적 산화질소 합성효소 저해체에서의 증가와 연계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상기 감소된 eNOS 활성은 NFκB에서의 증가와 연관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상기 감소된 eNOS 활성은 암모니아 증가와 연관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상기 감소된 eNOS 활성은 만성 간 질병 (예를 들어, 간경변) 및 급성 간부전을 위시한 간 질병과 연관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상기 병행투여를 사용하여 간 염증을 치료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상기 병행투여를 사용하여 간 질병(예, 간경변)에서 산화질소 신호전달이 엉망이된 기관 시스템의 기능을 개선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상기 병행투여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을 감소시키는 데 유익하며, 이는 문맥압 항진증을 치료하거나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그 능력을 더 촉진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문맥압 항진증은 조합물의 투여에 의해 간경변과 같은 기존의 만성 간 질병 환자에게서 예방된다. 따라서, 특정 구체예에서, 상지 조합물은 만성 간질환은 물론 문맥압 항진증을 가진 환자에게 투여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상기 병행투여를 이용하여 부분 또는 전체 간기능을 회복한다.
임의의 특정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특정 구체예에서, 상기 병행투여는 염증성 경로에 대한 효과를 통해서 문맥압 항진증의 상태를 에방하고 또는 완화시킨다. 특정 구체예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 및/또는 iNOS (유도성 산화질소 합성효소)의 수준을 저하시키는 것은 부분적인 또는 온전한 간 기능의 회복 및 문맥압 항진증의 치료를 결과한다.
L-오르니틴 및 페닐아세테이트 또는 페닐부티레이트를 독립적으로 또는 단일 투약 형태로 투여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조합물을 L-오르니틴 페닐아세테이트 염으로서 또는 L-오르니틴 페닐아세테이트 염의 용액으로서 투여한다.
페닐아세테이트 (또는 페닐 아세테이트 염) 및 페닐부티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와 조합된 L-오르니틴의 조성물의 다른 형태는 미국 특허 특허공개번호 제US2008/0119554호 및 2010년 4월 2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번호 제12/753763호에 기술되어 있고, 이것들은 전체가 본 발명에 참조문헌으로 통합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L-오르니틴 및 페닐아세테이트는 은 L-오르니틴 페닐 아세테이트 또는 이의 생리적 허용염으로서 존재하고 및/또는 투여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L-오르니틴은 자유 단량체성 아미노산 또는 이의 생리적 허용염으로서 존재하고 및/또는 투여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페닐아세테이트 및 페닐부티레이트의 적어도 하나는 소듐 페닐아세테이트 또는 소듐 페닐부티레이트로서 존재하고 및/또는 투여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L-오르니틴의 생리적 허용염 및 페닐아세테이트 및 페닐부티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의 생리적 허용염은 개체에 투여된다.
뇌 상해에 대한 보호
다른 구체예에서, 급성 간부전 또는 급성 간 기능장애를 가진 개체에, 또는 만성 간질환을 가진 개체에 뇌상해에 대하여 보호하기 위해 L-오르니틴을 페닐아세테이트 또는 페닐부티레이트와 병행투여 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상기 조합물은 급성 간부전의 위험이 있는 개체 (예, 명백한 급성 간부전이 없었던 타이레놀 과다 복용 개체) 또는 급성 간 기능장애가 없는 만성 간 질환을 가진 개체에 예방적으로 투여된다. 어떠한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특정 구체예에서, L-오르니틴을 페닐아세테이트 또는 페닐부티레이트와 같이 급성 간부전 또는 급성 간기능장애 환자에 초기 투여함으로써, 기술하는 바와 같이, 염증성 경로를 억제하는 작용을 통해 뇌 상해가 발전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구체예에서, 간이식을 포함하는 이후의 치료과정에 관계없이, 급성 간부전 또는 급성 간 기능장애로 진단되기 전 또는 진단 즉시 L-오르니틴은 페닐아세테이트 또는 페닐부티레이트과 병행 투여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그러한 조기 투여는 정맥류 출혈, onset of 뇌병증의 개시, 뇌압 증가 개시, 혼수상태의 개시, 삽관치료 및 중환자실(ICU) 치료의 필요를 예방하며, 고암모니아혈증을 완화 또는 역전시키며 따라서 그러한 합병증에 의해 야기되는 뇌 상해에 대하여 보호한다.
약학 조성물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생리적 허용 계면활성제, 담체, 희석제, 부형제, 평활화제, 현탁제, 막형성 물질, 및 코팅 보조제, 또는 이의 혼합물; 및 본 발명에서 개시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치료 용도의 허용 담체 또는 희석제는 약학 분야에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전체적으로 참조되고 있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8th Ed., Mack Publishing Co., Easton, PA (1990)에 기술되어 있다. 보존제, 안정제, 색소, 감미제, 향료, 향미제 등이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듐 벤조에이트, 아스코브 산 및 p-하이트록시벤조산의 에스에르물을 보존제로서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항산화제 및 현탁제를 사용할 수 있다. 다양한 구체예에서, 알코올류, 에스테르류, 황산화된 알리파틱 알코올류 등을 계면활성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수크로즈, 글루코즈, 락토즈, 전분, 결정화 셀룰로즈, 만니톨, 경질 무수 규산염, 마그네슘 알루미네이트, 마그네슘 메타실리케이트 알루미네이트, 합성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탄산 칼슘, 나트륨 탄산염, 인산 수소 칼슘, 칼슘 카복실메틸 셀룰로즈 등을 부형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경화된 오일 등은 평활화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코코넛유, 올리브유, 참기름, 땅콩유, 두유를 현탁제 또는 윤활제로 사용할 수 있다; 셀룰로즈 또는 당과 같은 탄수화물의 유도체로서 셀룰로즈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비닐의 유도체로서 메틸아세테이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현탁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및 에스테르 프탈레이트와 같은 가소제류를 현탁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오르니틴과 페닐아세테이트 및/또는 페닐부티레이트를 약학 허용 담체 또는 희석제와 함께 제형화할 수 있다. 약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시행되듯이, 오르니틴과 페닐아세테이트 및/또는 페닐부티레이트를 표준 약학 허용 담체(들) 및/또는 부형제(들)과 같이, 의약물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제형의 정확한 특성은 소정의 투여 경로를 위시한 몇가지 인자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오르니틴과 페닐아세테이트 및/또는 페닐부티레이트는 경구, 정맥내, 위장관내, 근육내, 또는 복강내 투여용으로 제형화된다.
용어 “약학 조성물”은 본 발명에서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과 희석제 또는 담체와 같은 다른 화학 성분과의 혼합물을 지칭한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상기 화합물(들)을 유기체로 투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화합물을 투여하는 다수의 기술들이 당해 분야에 잇고, 이는 경구, 주사, 에어로졸, 비경구 및 국부 투여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약학 조성물은 또한 화합물(들)을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질산, 인산, 메탄설폰산, 에탄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살리실산 등과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용어 “담체”는 화합물을 세포나 조직으로 투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화합물을 정의한다. 예를 들어, 디메틸 설폭사이드(DMSO)는 많은 유기 화합물을 유기체의 세포나 조직으로 흡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때문에 담체로서 통상 사용된다.
용어 “희석제”는 목적 화합물을 용해하는 것은 물론 그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형태를 안정화시키는 물에 희석된 화합물을 정의한다. 완충용액에 용해된 염은 당해 분야에서 희석제로서 이용된다. 하나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완충용액은 인산완충 생리액으로 이는 인간 혈액의 염 조건과 유사하다. 완충 염이 저농도에서 용액의 pH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완충된 희석제는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을 좀체 변형하지 않는다.
용어 “생리적 허용”은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과 특성을 폐기하지 않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정의한다.
본 발명에서 개시된 약학 조성물은 그 자체로 인간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거나, 다른 활성 성분과 혼합되어서 복합 요법으로서, 또는 적절한 담체 또는 부형제(들)과 혼합되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조합물의 제형과 투여에 대한 기술은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Mack Publishing Co., Easton, PA, 18th edition, 1990에서 찾아볼 수 있다.
특정 구체예는 본 발명에서 개시된 화합물(들) 또는 화합물들의 조합물을 정제, 막코팅된 정제, 캡슐, 당의정, 알약, 젤라틴 캡슐, 펠렛, 비즈, 또는 드라제 투약형태로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개시된 제형은 빠른 정제 압출 속도, 감소된 타정 압축력, 감소된 배출력, 혼합 균일성, 내용물 균일성, 색깔의 균일 분포, 가속화된 붕해 시간, 빠른 용해, 낮은 마손성 (friability) (포장, 선적, 배송과 같은 하부 공정에 바람직한) 및 변동이 없는 투약형태의 물성 (예, 무게, 경도, 두께, 마손도)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바람직한 약물 가공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개시된 화합물(들) 또는 화합물들의 조합물은, 예를 들어, 상기 약물 물질을, 결합제, 희석제, 붕해제, 윤활제, 충진제, 담체, 코팅, 활택제, 향미제, 착색제 등과 같은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임의의 적절한 약학 허용 부형제(들)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합함으로써 용이하게 제형화될 수 있다.
부형제
치료 용도에 허용되는 부형제는 약학 분야에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어, 각각 전체로써 참조되는, Handbook of Pharmaceutical 부형제s, 5th edition (Raymond C Rowe, Paul J Sheskey and Sian C Owen, eds. 2005), and 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21st edition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5)에 설명되어 있다. 용어 “담체” 물질 또는 “부형제”는 그 자체로는 치료제가 아니지만, 개체에 치료제를 전달하기 위한 담체, 및/또는 희석제 및/또는 보조제, 또는 운반체로서 사용되거나, 약학 조성물에 첨가되어 그 취급 또는 저장 특성을 개선하거나 상기 조성물의 투여 단위 제형을 캡슐, 정제, 막코팅된 정제, 당의정, 젤라틴 캡슐, 알약, 펠렛, 비드 등 경구투여에 적합한 개별 물품으로 만들기 쉽게 한다. 부형제는 예증적이나, 한정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희석제, 붕해제, 결합제, 습윤제, 중합체, 윤활제, 활택제, 코팅제, 감미제, 용해제, 불쾌한 맛이나 향을 감추거나 상쇄하려고 첨가된 물질, 향미제, 착색제, 방향제 및 조성물의 외관을 개선하기 위해 첨가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 및 제형은 개선된 전달, 운반, 내성 들을 제공하는 다른 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과 제형들은, 예를 들어, 분말, 페이스트, 젤리, 왁스, 오일, 지방, 지방 (양이온성 또는 음이온성) 함유 베지클 (LipofectinTM과 같은), DNA 접합체, 무수 흡수 페이스트, 수중유 및 유중수 에멀전, 에멀젼 카보왁스 (다양한 분자량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반고체 겔, 및 카보왁스를 포함하는 반고체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임의의 혼합물은, 제형 내의 활성 성분이 제형에 의해서 불활성화되지 않고 및 제형이 투여 경로와 생리적으로 적합하거나 참을 수 있는 것이라면, 본 발명의 개시 내용에 따른 처치와 치료에 적절할 수 있다. 참조 Baldrick P. “Pharmaceutical 부형제 development: the need for preclinical guidance.” Regul. Toxicol. Pharmacol. 32(2):210-8 (2000), Charman WN “Lipids, lipophilic drugs, and oral drug delivery-some emerging concepts.” J. Pharm. Sci. 89(8):967-78 (2000), 추가의 정보에 관한 상기 인용들은 약학자들에게 공지된 제형, 부형제 및 담체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기재된 부형제들의 하나 이상 또는 임의의 조합물이 본 발명에 개시된 제형 및/또는 방법에 내포 또는 제외될 수 있다. 당해 분야의 기술자에게 주지된 바와 같이, 부형제의 양은 약물 투약량과 투약 형태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윤활제
특정 구체예에서, 윤활제는 특정 투약 형태의 제조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윤활제는 정제를 제조할 때 사용될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윤활제는 타정 단계 직전에 투여될 수 있고, 양호한 분산을 얻는 최소 시간 동안 제형과 혼합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하나 이상의 윤활제가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한 윤활제의 예는,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칼슘 스테아레이트, 아연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탈크, 글리세릴 베헤네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글리콜에 대한 Carbowax® 및 폴리에틸렌 옥사이드에 대한 Polyox®의 등록상표로 미시간주 미들랜드 소재 다우 케미컬 컴패니로부터 이용가능한)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마그네슘 라우릴 설페이트, 소듐 올레이트, 소듐 스테아릴 푸마레이트, DL-루이신, 콜로이드성 실리카, 및 당해분야에 공지된 다른 것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형적인 윤활제는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칼슘 스테아레이트, 아연 스테아레이트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와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의 혼합물이다.
착색제
특정 구체예에서, 착색제가 또한 포함될 수 잇다. 착색제는 투약 형태 강도를 구분하기에 충분한 정도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약물 사용에 승인된 (21 CFR 74, 이는 전체가 본 발명에 참조된다) 착색제를 상업적 제형에 첨가하여 정제 강도를 구분한다. 다른 약학 허용 착색제들 및 이의 조합물의 사용은 본 발명에 포함된다.
결합제
결합제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제형에 응집성을 부여하고 따라서, 결과된 투약 형태가 압축 후에도 그대로 남도록 확실히 한다. 적절한 결합물질은 미세결정성 셀룰로즈, 젤라틴, 당류 (예를 들어, 수크로즈, 글루코즈, 덱스트로즈 및 말토덱스트린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왁스, 천연 및 합성 검, 폴리비닐피롤리돈, 전호화 전분, 포비돈, 셀룰로즈성 중합체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즈 (HPC),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즈 (HPMC), 메틸 셀룰로즈,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즈 등을 포함하는),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즈 (HPC)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서 개시된 제형은 주요 부형제(들)의 압축성을 향상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제를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상기 결합제(들)은 용액으로부터, 예, 습윤 과립액으로부터 분사되어 결합 활성을 증가시킨다.
붕해제
특정 구체예에서, 붕해제들은, 예를 들어, 투여 후 정제 붕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전분, 점토, 셀룰로즈, 알긴, 검 또는 가교된 중합체들이다. 적절한 붕해제는 가교된 폴리비닐피롤리돈 (PVP-XL), 소듐 스타치 글리콜레이트, 알긴산, 메타크릴 산 DYB, 미세결정성 셀룰로즈, 크로스포비돈, 폴라크린 포타슘, 소듐 스타치 글리콜레이트, 전분, 전호화 전분, 크로스아멜로즈 소듐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필요시, 상기 약학 제형은 습윤 또는 에멀젼화제, pH 완충제 등, 예를 들어, 소듐 아세테이트,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트리에탄올아민 소듐 아세테이트, 트리에탄올아민 올레이트,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디옥틸 소듐 설포석시네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등과 같은 비독성 보조 물질을 소량 함유할 수 있다.
코팅
특정 구체예에서, 상기 제형은 코팅, 예를 들어 필름 코팅을 포함할 수 있다. 필름 코팅이 포함되는 경우, 코팅 제조물은 예를 들어, 필름-형성 중합체, 가소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은 색소 및/또는 유백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필름-형성 중합체의 비제한적 예는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즈,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즈, 메틸셀룰로즈, 폴리비닐 피롤리돈 및 전분을 포함한다. 가소제의 비제한적 예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트리부틸 사이트레이트, 디부틸 세베케이트, 피마자유, 및 아세틸화된 모노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한다. 또한, 색소와 유백화제의 비제한적 예는 다양한 색의 철 산화물류, 많은 색의 레이크 다이 (lake dye), 티타늄 산화물을 포함한다.
희석제
특정 구체예에서, 희석제를 사용하며 수크로즈, 프럭토즈, 글루코즈, 갈락토즈, 말토즈, 전화당, 탄산 칼슘, 락토즈, 전분, 미세결정성 셀룰로즈, 락토즈 단일수화물, 인산 수소 칼슘, 무수 인산 수소 칼슘, 자일리톨, 소르비톨, 말티톨, 만니톨 및 글리세롤과 같은 약학 허용 폴리올, 전분, 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로 선택된다.
계면활성제
특정 구체예에서, 계면활성제를 사용한다. 계면활성제를 경구약물 형태에서 습윤제로서 사용하는 것은 문헌, 예를 들어, H. Sucker, P. Fuchs, P. Speiser, Pharmazeutische Technologie, 2nd edition, Thieme 1989, 페이지 260에 기술되어 있다. 또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그 중에서도, 약학적 활성 화합물의 투과성 및 생체이용성을 개선하는 것이 다른 논문, Advanced Drug Delivery Reviews (1997), 23, 페이지 163-183에서 공개된 논문에 공지되어 있다. 계면활성제들의 예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ester,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폴리글리콜화 글리세라이드,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록사머, 지방산 염, 담즙염, 알킬 설페이트, 레시틴, 담즙염과 레시틴의 혼합된 미셀, 글루코드 에스테르 비타민 E TPGS (D-α-토코페릴 폴리에틸렌 글리콜 1000 석시네이트),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및 이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활택제
특정 구체예에서, 활택제가 사용된다. 사용될 수 있는 활택제의 예는, 콜로이드성 이산화 실리콘, 마그네슘 트리실리케이트, 분말화된 셀룰로즈, 전분, 탈크, 인산 칼슘 및 이의 혼합물을 포함하나 이에 안정되지 않는다.
적절한 투여 경로는, 예를 들어, 경구, 직장, 경점막, 국소, 또는 장내 투여; 근육내, 피하, 정맥내, 골수내 주사는 물론 척추강내, 직접 심실내, 복강내, 비내, 또는 안내 주사를 포함하는 비경구 전달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조합물은 또한 데포 주사, 삼투압 펌프, 알약, 경피 (전계확산을 위시한) 패치 등을 포함한 지연 또는 조절된 방출 투여형태로 소정의 속도로 연장된 및/또는 시간에 맞춰, 맥동 투여용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 내용의 약학 조성물들은 자체적으로 공지된 수단, 예를 들어, 통상적인 혼합, 용해, 과립화, 드라제 제조, 가루화, 에멀젼화, 갭슐화, 포획 또는 타정 과정의 수단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약학 조성물은 따라서 활성 화합물의 가공을 용이하게 하는 부형제 및 보조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생리적 담체를 사용하는 통상적인 방식으로 약학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제조물로 제형화할 수 있다. 적절한 제형은 선택된 투여 경로에 좌우된다. 공지의 기술, 담체 및 부형제의 임의의 것을 당해 분야에서 적절한 및 이해되는 것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 전술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주사될 수 있는 것은, 액체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서 통상적인 형태, 주사되기 전에 용액 또는 현탁액에 적절한 고형 형태로, 또는 에멀젼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적절한 부형제는, 예를 들어, 물, 생리식염수, 덱스트로즈, 만니톨, 락토즈, 레시틴, 알부민, 소듐 글루타메이트, 시스테인 염산염 등이다. 또한, 필요시, 주사될 수 있는 약학 조성물은 습윤제, pH 완충제, 등과 같은 비독성 보조 물질을 소량 함유할 수 있다. 생리적으로 사용가능한 완충액은 한크스 용액(Hanks's solution) 링거액 또는 생리식염 완충액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필요시, 흡수 향상 제조물 (예, 리포좀)을 이용할 수 있다.
경점막 투여의 경우, 침투될 장애물에 적절한 침투제가 제형에 사용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예를 들어, 볼러스 주사 또는 연속 관류에 의해 투여되는 약학 제형은 수용성 형태에 함유된 활성 화합물의 수성 용액을 포함한다. 추가로, 활성 화합물의 현탁액은 적절한 오일성 주사 현탁액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적절한 친유성 용매 또는 담체는 참기름과 같은 지방유, 또는 대두유, 포토씨유 또는 아몬드유와 같은 다른 유기 오일, 또는 에틸 올레이트나 트리글리세라이드와 같은 합성 지방산 에스테르류, 또는 리포좀을 포함한다. 수성 주사 현탁액은 소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즈, 소르비톨 또는 덱스트린과 같은, 현탁액의 점도를 높이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조건적으로, 상기 현탁액은 또한 안정화제 또는 화합물의 용해도를 높여 고농축 용액을 제조하게 하는 안정화제 또는 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주사용 제형들은 단위 투약 형태로, 예를 들어, 앰퓰 또는 다중 투여 용기에서 보존제가 첨가된 채 있을 수 있다. 상기 조성물들은 유성 또는 수성 담체에 현탁액, 용액 또는 에멀젼과 같은 형태를 취할 수 있고 현탁화, 안정화 및/또는 분산화제와 같은 제형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활성 성분은 사용전에, 적절한 담체, 예를 들어, 멸균 무발열체 물과 조성되기 위한 분말 형태로 있을 수 있다.
경구 투여용으로, 본 발명에서 개시된 화합물(들) 또는 화합물들의 조합물은, 상기 활성 화합물을 당해분야에 공지된 약학 허용 담체와 조합함으로써 용이하게 제형화될 수 있다. 그러한 담체들로 인해, 본 발명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조합물은, 치료될 환자에 의해 경구 섭취되는 용도로서 정제, 필름 코팅된 정제, 알약, 드라제, 캡슐, 액체, 젤, 젤라틴 캡슐, 펠렛, 비드, 시럽, 슬러리, 현탁액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경구 용도의 약학 제조물들은, 상기 활성 화합물을 고형 부형제와 조합하고, 조건적으로 결과된 혼합물을 분쇄하고, 및 필요시 적절한 보조제를 첨가한 후 과립의 혼합물을 가공하여 정제 또는 드라제 핵심체(core)를 얻음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적절한 부형제는 특히, 락토즈, 수크로즈, 만니톨, 또는 소르비톨를 위시한 당류; 예를 들어, 옥수수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감자 전분, 젤라틴, 검 트라가칸스, 메틸 셀룰로즈,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소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 및/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 (PVP)과 같은 셀룰로즈 조제물과 같은 충전제이다. 필요시, 가교된 폴리비닐 피롤리돈, 아가, 또는 알긴산이나 소듐 알지네이트와 같은 그 염과 같은 붕해제를 첨가할 수 있다. 드라제 핵심체에 적절한 코팅물이 제공된다. 이를 위해, 아라비아 검, 탈크, 폴리비닐 피롤리돈, 카르보폴 젤,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또는 이산화티타늄, 락커 용액, 및 적절한 유기 용매나 용매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는 농축 당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염색물 또는 색소를 정제나 드라제 코팅물에 첨가하여 확인용으로 또는 활성 성분 용량의 상이한 조합들을 특징짓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안정화제를 첨가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의 모든 제형은 그러한 투여에 적합한 투약량으로 있어야 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허용되는 속방 용해 특성을 가진, 본 발명에서 개시된 화합물(들) 또는 화합물들의 조합물의 제형 및 이의 알차고 확대할 수 있는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경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약학 제조물은 젤라틴으로 만든 밀어맞춤 (push-fit) 캡슐은 물론 젤라틴 및 글리세롤이나 소르비톨과 같은 가소제로 만든, 연질, 밀봉 캡슐을 포함한다. 밀어맞춤 캡슐은 활성 성분을 락토즈와 같은 충전제, 전분과 같은 결합제, 및/또는 탈크나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윤활제, 및 조건적으로 안정화제와 혼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연질 캡슐에서, 상기 활성 성분은 지방유, 액체 파라핀, 또는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적절한 액체에 용대되거나 현탁될 수 있다. 또한, 안정화제를 첨가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의 모든 제형은 그러한 투여에 적합한 투여량으로 있어야 한다.
구강 투여의 경우, 상기 조성물은 통상적인 방식으로 제형된 정제 또는 로젠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흡입 투여용으로는, 본 발명에서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조합물은, 예를 들어,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메탄, 이산화탄소 또는 다른 적절한 가스와 같은 적절한 추진체를 사용하여, 압축된 팩 또는 분무기로부터 에어로졸 스프레이 형태로 간편하게 전달될 수 잇다. 압축된 에어로졸의 경우, 투약 단위는 계량화된 양을 전달하는 밸브를 제공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흡입기 또는 취입기에 사용하기 위해, 예를 들어, 젤라틴의 캡슐 및 카트리지들은 상기 화합물과 락토즈나 전분과 같은 적절한 분말 기재와의 분말 혼합물을 포함하도록 제형화될 수 있다.
안내, 비내 및 관절내 전달용으로 당해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약학 조성물이 또한 개시된다. 이러한 용도의 적절한 침투제들은 당해분야에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안내 전달용 약학 조성물들은 점안액과 같은 수용성 형태로 또는 젤란검 (Shedden 등, Clin. Ther., 23(3):440-50 (2001))이나 하이드로젤(Mayer 등, Ophthalmologica, 210(2): 101-3 (1996))형태의 수성 안과 용액; 안과 연고; 액체 담체 매체에 현탁된 미세입자, 약물-함유 작은 중합체성 입자 (Joshi, A., J. Ocul. Pharmacol., 10(l):29-45 (1994)), 액체-용해 제형 (Aim 등, Prog. Clin. Biol. Res., 312:447-58 (1989)), 및 미세구 (Mordenti, Toxicol. Sci., 52(l):101-6 (1999))와 같은 안과 현탁액; 및 눈 삽입물을 포함한다. 전술한 참조문헌 모두는 전체가 본 발명에 참조된다. 그러한 적절한 제형들은 대부분 가끔 그리고 바람직하게 안정성과 쾌적함을 위해 멸균, 등장성 및 완충되도록 제형화된다. 비내 전달용 약학 조성물은 또한 정상적인 섬모 작용의 유지를 보증하기 위해 많은 부분에서 코 분비물과 닮게 제조된 점적액과 스프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참조문헌에 포함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8th Ed., Mack Publishing Co., Easton, PA (1990)에서 개시되고, 및 당해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적절한 제형들은 대부분 바람직하게는 등장성이고, 5.5 내지 6.5의 pH를 유지하도록 약간 완충되어 있으며, 및 바람직하게는 항미생물성 보존제와 적절한 약물 안정화제를 포함한다. 이내(귓속) 전달용 약학 제형은 귀에 국소 적용하기 위한 현탁액 및 연고를 포함한다. 그러한 귀 제형의 통상적인 용액은 글리세린과 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개시된 화합물(들) 및 화합물들의 조합물은, 예를 들어, 통상적인 좌약 즉 코코아버터 또는 다른 글리세라이드류를 함유하는 좌약 또는 정체 관장제와 같은 직장 조성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전술한 제형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조합물은 또한 데포 제조물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그러한 오래 작용하는 제형들은 이식함으로써 (예를 들어, 피하내 또는 근육내로) 또는 근육내 주사로써 투여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조합물은 적절한 중합체성 소수성 물질 (예를 들어, 허용된 오일내의 에멀젼으로서) 또는 이온 교환 수지를 사용하여, 또는 난용성염과 같이, 난용성 유도체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소수성 화합물의 경우, 적절한 약학 담체는 벤질 알코올, 비극성 계면활성제, 수-혼화성 유기 중합체 및 수성상을 포함하는 공동 용매 시스템일 수 있다. 사용된 공통의 공동용매 시스템은 VPD 공동용매 시스템으로서, 3% w/v 벤질 알코올, 8% w/v 비극성 계면활성제인 Polysorbate 80™, 및 65% w/v 폴리에틸렌 글리콜 300을 순수 에탄올에 정해진 부피로 넣어 만든 용액이다. 자연적으로, 공동 용매 시스템의 비율은 용해성과 독성 특성을 변화시키지 않고 상당히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동 용매 성분의 구성은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OLYSORBATE 80™ 대신에, 다른 낮은-독성 비극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분율은 변할 수 있다; 다른 생체화합성 중합체가 폴리에틸렌 글리콜, 예를 들어, 폴리비닐 피롤리돈을 대체할 수 있다; 및 다른 당류 및 다당류가 덱스트로즈를 대신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소수성 약학 화합물용의 다른 전달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리포좀 및 에멀젼은 소수성 약물의 잘 알려진 전달 매체 또는 담체의 예이다. 비록 더 큰 독성을 감수하더라도, 디메틸설폭사이드와 같은 특정 유기 용매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합물들은 치료제를 함유하는 고형 소수성 중합체의 반투과성 매트릭스와 같은 서방성 시스템을 사용하여 전달될 수 있다. 다양한 서방성 물질들이 확립되었고 당해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서방성 캡슈른, 그들 화학적 본성에 의존하여, 수 주 내지 100일 넘게 화합물을 방출한다. 치료제의 화학적 특성과 생물학적 안정성에 의존하여, 단백질 안정화에 대한 추가의 전략을 세울 수 있다.
세포내 투여로 기획된 제제는 당해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여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제제들은 리포좀에 캡슐화된다. 리포좀 제형화 시 수성 용액에 있는 모든 분자들은 수성 내부로 내포된다. 리포좀 내용물은 오부 미세-환경으로부터 보호되며, 그리고 리포좀들이 세포막과 융합되기 때문에, 세포질내로 효과적으로 전달된다. 리포좀은 조직-특이성 항체로 코팅될 수 잇다. 리포좀은 소정의 기관으로 타겟되고 그에게 흡수될 것이다. 대안적으로, 소수성 유기 문자를 세포내로 직접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추가의 치료 또는 진단제를 상기 약학 조성물에 혼입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약학 조성물은 다른 치료 또는 진단제를 포함하는 다른 조성물과 조합될 수 있다.
투여방법
본 발명에 개시된 화합물(들) 및 화합물들의 조합물 또는 약학 조성물들은 적절한 수단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투여방법의 비제한적 예는, 본 발명에서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조합물을 생 조직에 접촉하기 위해 당해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적절히 예정된 것과 같이, (a) 캡슐, 정제, 과립, 스프레이, 시럽 또는 다른 그러한 형태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경구 경로를 이용한 투여; (b) 수성 현탁액, 유서 제조물 등으로서 또는 방울, 스프레이, 좌약, 고약, 연고들으로서 투약하는 것을 포함하는 직장, 질, 요도내, 안내, 비내 또는 귀속과 같은 비경구 경로를 통한 투여; (c) 주입 펌프 전달을 포함하는, 피하내, 복강내, 정맥내, 근육내, 피내, 안와내, 관절내, 척수내, 흉골내 등으로 주사하여 투여; (d) 신장 또는 심장 부위에 직접주사, 예를 들어 데포 이식과 같이 국부적 투여;는 물론 (e) 국소 투여를 포함한다.
투여에 적합한 약학 조성물은 본 발명에 개시된 화합물(들) 및 화합물들의 조합물이 의도된 목적을 달성하기에 효과적인 양으로 함유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조합물의 투여량으로서 요구되는 치료적 유효량은 투여경로, 치료되는 인간을 위시한 동물의 유형, 및 고려되는 특정 동물의 물리적 상태에 의존한다. 투여량은 원하는 효과를 달성하는 데 맞춤될 수 있으나, 체중, 식이, 동시 사용 약물, 및 의학 분야의 숙련자가 인식하는 다른 요소에 의존한다. 더 상세하게는, 치료적 유효량은 질병의 증상을 예방, 약화 또는 개선하는 데 또는 치료되는 개체의 생존을 연장하는 데 유효한 화합물의 양을 의미한다. 치료적 유효량의 결정은 당해 분야의 숙련자의 능력 내에서, 특히 본 발명에서 상세히 개시되는 내용에 비추어서 이뤄진다.
당해 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하듯이, 투여될 유용한 생체내 투약량과 특정 투여 양태는 연령, 체중 및 처리되는 포유동물종, 및 본 발명에서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조합물이 사용되는 특정 용도에 의존하여 달라진다. 유효한 투약량, 즉 원하는 결과를 성취하는 데 필요한 투약 수준을 결정하는 것은 통상적인 약리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당해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생성물의 인간 임상 적용은 낮은 투약 수준에서 개시되며, 투약수준은 원하는 효과를 성취랄 때까지 증가된다. 대안적으로, 시험관 연구에 허용될 수 있는 것을 사용하여 본 방법에서 왁인된 조성물의 유용한 투여량과 경로를 확립된 약학 방법으로써 확립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투약량”은 활성 성분 (예, L-오르니틴 및 페닐아세테이트 또는 페닐부티레이트)의 조합된 양을 지칭한다.
비인간 동물 연구에서, 잠재적 생성물의 적용은 높은 투약 수준에서 시작하여, 원하는 효과가 더 이상 얻어지지 않거나 역효과가 사라질 때까지 투약량을 줄인다. 투약량은, 원하는 효과 및 치료 증상에 따라 넓게 분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투약량은 약 0.1 mg/kg 내지 4000 mg/kg 체중, 바람직하게는 약 80 mg/kg 내지 1600 mg/kg 체중이다. 대안적 투약량은 당해분야의 기술자에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환자의 표면적에 기초하여 계산된다.
처리되는 상태의 중증도 및 반응성에 의존하면서, 투약은 서방성 조성물의 단일 투여일 수 있고, 여기서 치료 과정은 치유가 될때까지 또는 질병 상채의 감소가 성취될 때까지 수일 내지 수주간 계속될 수 잇다. 투여되는 조성물의 양은, 물론, 치료된 개체, 병의 중증도, 투여 방식, 처치의의 판단을 위시한 많은 인자에 의존한다. 본 발명에서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조합물은 일일 0.1 mg/kg 내지 4000 mg/kg 환자 체중의 투여량으로 경구 또는 주사 투여될 수 있다. 성인 인간에 대한 투여량은 일반적으로 1 g 내지 100 g/일 이다. 정제 또는 개별 단위물로 제공되는 다른 형태는 그러한 투약량에서, 또는 동일한 것들의 다수물로서, 예를 들어, 단위체가 1 g to 60 g (예를 들어, 약 5 g 내지 20 g, 약 10 g 내지 50 g, 약 20 g 내지 40 g, 또는 약 25 g 내지 35 g)을 함유하는, 본 발명에서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조합물의 양을 포함한다. 환자에 투여될 화합물의 정확한 양은 주치의의 책임이 될 것이다. 그러나, 사용된 투여량은 환자의 연령과 성별, 처리된 정확한 질환 및 그 중증도를 포함한 많은 인자에 의존할 것이다. 또한 투여 경로는 상태 및 그 중증도에 의존하여 달라질 수 있다. 오르니틴, 또는 페닐아세테이트 또는 페닐부티레이트의 투여량은 그러한 변수에 의존하여, 체중 kg 당 0.02g 내지 1.25g, 예를 들어, 체중 kg당 0.lg 내지 0.5g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오르니틴, 또는 페닐아세테이트 또는 페닐부티레이트의 투약량은 1 g 내지 100 g, 예를 들어, 10 g 내지 80 g, 15 g 내지 60 g, 20 g 내지 40 g, 또는 25 g 내지 35 g일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상기 오르니틴 및 페닐아세테이트/페닐부티레이트를 10: 1 내지 1 :10의 무게비, 예를 들어, 5:1 내지 1 :5, 4:1 내지 1 :4, 3:1 내지 1 :3, 2:1 내지 1 :2, 또는 약 1 : 1의 무게비로 투여될 수 있다. 의사는 임의의 특정 개체에 대해, 오르니틴 및 페닐아세테이트 또는 페닐부티레이트의 필요한 투약량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조합물의 약학조성물에 대한 정확한 제형, 투여경로 및 투약량은 환자의 상태에 비추어 개별 의사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참조, Fingl 등 1975,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이는 본 발명에 참조되며, 특히 1과를 참조). 일반적으로, 환자에 투여되는 조성물의 투여량 범위는 약 0.1 내지 4000 mg/kg 환자 체중일 수 있다. 상기 투약량은 환자가 필요한 대로, 단일 한번의 양일 수 있고 하루 이상의 기간동안 주어진 둘 이상의 연속 양일 수 있다. 화합물에 대한 인간 투약량이 적어도 특정 조건에 대하여 확립된 경우, 본 발명은 그러한 동일 투약량, 또는 확립된 인간 투약량의 약 0.1% 내지 약 5000%, 더 바람직하게는 약 25% 내지 약 1000%의 투약량을 사용할 수 있다. 인간 투약량이 확립되지 않은 경우, 새로이 발견괸 약학 화합물에 대한 경우에서 처럼, 동물에서 독성 연구 및 효능 연구에 의해 정성화된 바와 같이, 적절한 인간 투약량은 ED50 또는 ID50 값 또는 시험관내 또는 생체내 다른 적절한 값으로부터 추정될 수 있다.
주치의는 독성 또는 기관 부전으로 인해 투여를 어떻게 및 언제 종료, 중단 및 조절해야 하는지를 알 수 있다고 이해된다. 역으로 주치의는 또한 임상 반응이 적절치 않다면 (독성을 방해하면서) 처치를 더 높은 수준으로 조절하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특정 질환의 관리에 있어서 투여량은 치료될 상태의 중증도 및 투여 경로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상태의 중증도는, 예를 들어, 부분적으로 표준 예후 평가 방법에 의해 평가될 수 있다. 또한, 투여량과 투여 빈도는 또한, 개별 환자의 연령, 체중, 및 반응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전술한 것에 비견되는 프로그램을 수의학에서 사용할 수 있다.
비록 정확한 투여량이 약물 마다 기준하여 정해질 것이지만, 투약에 관한 특정 일반화가 이루어 질 수 있다. 약학 허용염의 투여의 경우, 투약량은 자유 염기로서 계산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일일 1 내지 4번 투여된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에서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조합물의 조성물은 각 활성 성분을 일일 100 g까지의 투여량으로 연속 정맥내 주입함으로써 투여될 수 있다. 당해 분야의 숙련자에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특정 상황에서, 특히 공격적인 질병이나 감염을 효과적으로 및 공격적으로 치료하기 위해 본 발명에 개시된 화합물을 전술한, 바람직한 투약 범위를 뛰어 넘는 또는 훨씬 뛰어 넘는 양으로 투여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서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조합물은 연속적인 치료기간 동안, 예를 들어, 일주일 이상 또는 수개월 또는 수년간 투여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개시된 화합물(들) 및 화합물들의 조합물은 일정 기간 동안 투여되며, 이 일정 기간은, 예를 들어, 적어도 약 1 주 내지 적어도 약 4 주간, 적어도 약 4 주 내지 적어도 약 8 주간, 적어도 약 4 주 내지 적어도 약 12 주, 적어도 약 4 주 내지 적어도 약 16주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개시된 화합물(들) 및 화합물들의 조합물의 투여방법은 하루 한 번, 하루 두 번, 매일, 격일로, 일 주 세 번, 격주로, 한 달 세 번, 한 달 한 번, 실질적으로 연속적 또는 연속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특정 구체예는 환자에서 문맥압 항진증을 치료하고 및/또는 간기능을 회복시키는 데 본 발명에 개시된 화합물(들) 및 화합물들의 조합물의 유효량을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환자에게 본 발명에서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조합물의 단회 투여량당 약물 약 1 g 내지 약 100 g의 양을 함유하는 본 발명에 개시된 화합물(들) 및 화합물들의 조합물의 투약량을 경구로, 한달 세번, 한달 한번, 매주 한번, 삼일마다 한번, 격일에 한번, 매일 한번, 매일 두번, 매일 세번,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치료의 필요 기간 동안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는 환자에서 문맥압 항진증을 치료하고 및/또는 간기능을 회복시키는 데 본 발명에 개시된 화합물(들) 및 화합물들의 조합물의 유효량을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환자에게 본 발명에서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조합물의 단회 투여량당 체중 kg당 약물 0.1 mg 내지 약 4000 mg의 양을 함유하는 본 발명에 개시된 화합물(들) 및 화합물들의 조합물의 투약량을 경구로, 한달 세번, 한달 한번, 매주 한번, 삼일마다 한번, 격일에 한번, 매일 한번, 매일 두번, 매일 세번,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치료의 필요 기간 동안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투약량과 주기는 조절 효과 또는 최소 유효 농도 (MEC)를 유지하기에 충분한 활성체의 세포농도를 제공하도록 개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MEC는 개별 화합물에 대해 달라지나, 시험관내 데이터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MEC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투약량은 개별 특성 및 투여 경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HPLC 분석 또는 생분석을 사용하여 혈액 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투약 주기 또한 MEC 값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조성물은 특정 시간 때의 10 내지 90%에 대해, 예를 들어, 15 내지 30%, 20 내지 45%, 25 내지 50%, 30 내지 55%, 35 내지 60%, 40 내지 65%, 45 내지 70%, 50 내지 75%, 55 내지 80%, 60 내지 90%, 65 내지 75%, 70 내지 80%, 75 내지 85%, 15 내지 90%, 20 내지 90%, 25 내지 90%, 30 내지 90%, 35 내지 90%, 40 내지 90%, 45 내지 90%, 50 내지 90%, 55 내지 90%, 60 내지 90%, 65 내지 90%, 70 내지 90%, 75 내지 90%, 또는 80 내지 90%에 대해, 필요한 MEC 이상으로 혈액 농도를 유지시키는 섭생법을 이용해 투여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조성물은 특정 시간 때의 20 내지 90%에 대해 MEC 이상으로 혈액 농도를 유지시키는 섭생법을 이용해 투여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조성물은 특정 시간때 30 내지 90%, 40 내지 90% 및 가장 일반적으로는 50 내지 90%에 대해 MEC 이상으로 혈액 농도를 유지시키는 섭생법으로 투여될 수 있다.
국소 투여 또는 선택적 흡수의 경우에서, 약물의 유효한 국소 농도는 혈액 농도와 관계없을 수 있다.
투여되는 조성물의 양은 치료되는 개체, 개체의 체중, 질환의 중증도, 투여 방식 및 처방 의사의 판단에 의존한다.
본 발명에 개시된 화합물(들) 및 화합물들의 조합물은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효능 및 독성에 대해 평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조합물의 독성론은 포유동물과 같은 세포주, 바람직하게는 인간 세포주에서 시험관내 독성을 결정함으로서 확립될 수 있다. 그러한 연구의 결과는 종종 포유동물, 더 상세하게는 인간과 같은 동물에서의 독성을 예고하여 준다. 대안적으로, 생쥐, 래트, 토끼 또는 원숭이와 같은 동물 모델에서의 본 발명에서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조합물의 독성은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조합물의 효능은 시험관내 방법, 동물 모델 또는 인간 임상 시험과 같은 수 가지 인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확립될 수 있다. 인지된 시험관내 모델은, 암, 심혈관 질환 및 다양한 면역 부정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상태의 거의 모든 유형에 대하여 존재한다. 유사하게도, 허용되는 동물 모델을 사용하여 그러한 상태를 치료하는 화합물의 효능을 확립할 수 있다. 효능을 결정하기 위해 모델을 선택할 때, 기술자는 적절한 모델, 투여량, 투여경로 및 섭생법을 선택하는 당해 분야의 수준에 의해 인도될 수 있다. 물론, 인간 임상 시험을 이용하여 인간에서 화합물의 효능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필요시,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단위 투약 형태를 포함하는 팩 또는 분배장치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 팩은, 예를 들어, 블리스터 팩과 같이, 금속 또는 플라스틱 호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팩 또는 분배 장치는 투여 안내서를 동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팩 또는 분배 장치는 약품의 제조, 사용 또는 판매를 규정한 정부당국에 의해 명시된 형태로 용기와 연합된 통지문이 동반되며, 상기 통지문은 인간 또는 수의 투여용으로 약물의 형태에 대한 당국의 승인을 반영한다. 그러한 통지문은, 예를 들어, 처방 약물에 대한 미국 식약청에 의해 승인된 라벨이거나 승인된 생성물의 간지일 수 있다. 양립된 약물 담체에 제형된 본 발명에서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또한 제조하고, 적절한 용기에 담고, 지시된 상태의 치료에 대하여 표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개시된 화합물(들) 및 화합물들의 조합물의 유효량은 당해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임의의 특정 개체에 대한 특정 투여 수준 및 투약 빈도는 달라질 수 있으며 사용된, 특정 화합물의 활성, 그 화합물의 대사 안정성 및 길이, 개체의 종류, 연령, 체중, 일반적인 건강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양식 및 시간, 배출 속도, 약물 조합, 특정 상태의 중증도를 포함한 다양한 인자에 의존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치료에 대한 바람직한 개체는 동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문맥압 항진증에 걸린 인간과 같은 포유동물 및 개, 고양이등과 같은 가축동물을 포함한다.
문맥압 항진증을 치료할 수 있는 본 발명에 개시된 화합물(들) 및 화합물들의 조합물을 이를 위한 유효량으로, 및 약학 허용 담체나 희석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또한 개시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른 치료제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통상적인 고체 또는 액체 담체나 희석제는 물론 소망의 투여 양태에 적합한 유형의 약학 첨가물 (예를 들어, 부형제, 결합제, 보존제, 안정화제, 향료 등)을 약학 제형 분야에 공지된 것과 같은 기술 또는 허용된 약학 실행에 어울리는 기술에 따라 사용함으로써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개시된 화합물(들) 및 화합물들의 조합물은 임의의 적합한 수단에 의해, 예를 들어, 경구적으로, 정제, 캡슐, 과립 또는 분말의 형태로; 설하 경로로; 구강적으로; 피하내, 정맥내 또는 흉골내 주사 또는 주입 기술 (예, 멸균 주사 수성 또는 비수성 용액 또는 현탁액) 와 같이 비장관적으로; 흡입 스프레이에 의한 것과 같이 비강적으로; 크림 또는 여고의 형태로와 같이 국소적으로; 또는 좌약의 형태로와 같이 직장적으로; 비독성, 약학 허용 담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투약 단위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개시된 화합물(들) 및 화합물들의 조합물은, 예를 들어, 속방성 또는 연장 방출에 적합한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속방 또는 연장된 방출은 상기 화합물(들) 또는 화합물들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적절한 약학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또는 특히, 연장된 방출의 경우, 피하 임플란트 또는 삼투압 펌프와 같은 장치를 사용하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개시된 화합물(들) 및 화합물들의 조합물은 또한 리포좀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활성 성분은 본 발명에서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정제, 캡슐, 용액 또는 현탁액과 같은 조성물로 또는 상처 치료용 국소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조합물 0.01 내지 5 중량%, 일일 1 내지 5 번 처치).
본 발명에 개시된 화합물(들) 및 화합물들의 조합물은 생리적 허용 운반체 또는 담체, 부형제, 결합제, 보존제, 안정화제, 향료 등, 또는 국소 담체와 통상적인 방식으로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개시된 화합물(들) 및 화합물들의 조합물은 또한 비장관 투여용의 멸균 용액 또는 현탁액과 같은 조성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조합물은 허용된 약학 실행에서 필요한 바와 같이, 생리적 허용 운반체, 담체, 부형제, 결합제, 보존제, 안정화제 등과 단위 투약 형태로 혼합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 또는 제조물에서의 활성 성분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지시된 범위 내에서 적절한 투약량이 얻어지는 그러한 양이다.
경구 투여용의 조성물 예는, 예를 들어, 증량제로서 미세결정성 셀룰로즈, 현탁화제로서의 알긴산 or 알긴산 나트륨염, 점도 향상제로서 메틸셀룰로즈, 및 당해 분야에 공지된 것과 같은 감미제나 향미제를 함유하는 현탁제; 및, 예를 들어, 미세결정성 셀룰로즈, 인산 이칼슘, 전분,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또는 락토즈 및/또는 당해 분야에 공지된 것과 같은 다른 부형제, 결합제, 증분제, 붕해제, 희석제 및 윤활제를 함유할 수 있는 속방 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성형된 정제, 압출된 정제 또는 동결건조된 정제는 사용될 수 있는 예증 형태이다. 예증적 조성물은 본 발명에서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조합물을 만니톨, 락토즈, 수크로즈 및/또는 시클로덱스트린과 같은 빠르게 용해하는 희석제와 제형화한 것을 포함한다. 또한, 셀룰로즈 (아비셀)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PEG)과 같은 고분자량 부형제가 그러한 제형에 포함될 수 있다. 그러한 제형은 또한 하이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즈 (HPC), 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틸 셀룰로즈 (HPMC), 소듐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즈 (SCMC), 말레무수물 공중합체 (예, Gantrez)와 같이 점막 점착을 돕기 위한 부형제, 및 폴리아크릴 공중합체(예, 카르보폴 934)과 같이 방출을 조절하는 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윤활제, 활택제, 향료, 착색제 및 안정화제 또한 제조와 사용 편의를 위해 첨가될 수 있다.
비강 에어로졸 또는 흡입 투여용의 예증적 조성물은 예를 들어, 벤질 알코올 또는 다른 적절한 보존제, 생체이용성을 개선한 흡수 촉진제, 및/또는 당해분야에 공지된 것과 같은 다른 용해 또는 분산제를 포함할 수 있는 생리식염액 내의 용액을 포함한다.
비경구 투여용의 예증적 조성물은 예를 들어, 만니톨, 1,3-부탄디올, 물, 링거액, 등장성 염화나트륨 용액, 또는 합성 모노- 또는 디글리세라이드류을 위시한 다른 적절한 분산 또는 습윤 및 현탁제제, 및 올레산을 위시한 지방산류와 같은 적절한 비독성, 비경구적 허용 희석제 또는 용매를 포함할 수 있는 주사용 용액 또는 현탁액을 포함한다.
직장 투여용 예증적 조성물은 보통 온도에서는 고체이지만 직장강에서는 액화되고 및/또는 용해되어 약물을 방출하는, 예를 들어, 코코아 버터, 합성 글리세라이드 에스테르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와 같은 적절한 비자극 부형제를 함유할 수 있는 좌약을 포함한다.
국소 투여용 예증적 조성물은 플라스티베이드(Plastibase) (폴리에틸렌과 젤화된 미네랄 오일) 와 같은 국소 담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조합물을 국소적으로 투여하여 말초혈관 질환을 치료하며 그러한 것으로서 크림 또는 연고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개시된 화합물(들) 및 화합물들의 조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문맥압 항진증의 치료에 또는 간 기능의 회복에 유용한 다른 적절한 치료제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조합물은 테르릴프레신, 오니프레신 및 바소프레신과 같은 바소프레신 유사체; 옥트레오타이드와 같은 소마토스타틴 및 이의 유사체; 프로프라놀롤 및 나돌롤과 같은 비선택적 베타 차단제; 카르베딜롤과 같은 혈관확장 베타 차단제; 이소소르비드 모노-나이트레이트 및 글리세린 트리나이트레이트와 같은 질산염류; 및 아토바스타틴, 플루바스타틴, 로바스타틴 및 심바스타틴과 같은 지질저하제류(statins)와 조합하여 투여될 수 있다.
전술한 다른 치료제들은, 본 발명에서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조합물과 조합하여 사용될 때, 예를 들어, Physicians' Desk Reference (PDR)에서 나타난 그러한 양으로 또는 그렇지 않으면 당해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은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 실시예 >
본 발명 적용의 구체예는 하기 실시예에 의해 더 구체적으로 개시되며, 이는 어떠한 이유에서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에서, 저등급 뇌수종과 함께, 종양괴사인자-알파(TNF-α)와 같은 증가된 사이토카인에 의해 지시되는 저등급 전신 및 뇌 전염증성 상태의 임상적 특징을 나타내는, 임상적으로 관련있는, 담관-결찰 (BDL) 간경변 래트 모델에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BDL 래트에서, 박테리아성 리포폴리사카라이드(LPS)를 투여하여 임상적 ACLF와 유사한 임상적 상황을 유도한다.
순전한(naive) 래트를 암모니아에 노출한 후 정맥내 LPS 주입하면, LPS 단독 투여된 동물에서는 나타나지 않던 염증성 반응, 뇌혈관확장 및 두개강 혈압상승을 발생한다는 것이 나타났고, 이는 암모니아가 LPS의 해독성으로 뇌를 ‘준비하는 (priming)’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가르킨다. 전신적 및 뇌 염증성 반응 둘 다 과장되어 있고 이는 세포독성 뇌수종의 악화를 결과하며 결론적으로 유의식에서 예비-혼수상태/혼수상태로 쇠락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동물모델
몸무게 200 내지 250 g인 34마리 수컷 스프라그-돌리(Sprague-Dawley) 래트를 사용하였다. 모든 래트를 단위로 가두고, 표준 설치류 먹이와 물을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고, 12시간의 명/암 주기와, 19 내지 23℃ 온도 및 약 50%의 습도를 유지하였다.
담관-결찰 (BDL): 래트를 마취하에서- 정맥내(IV) 디아제팜(lmg/kg) 주사후, 150μl/kg Hypnorm® (Janssen Pharmaceutica, Belgium)을 근육내 주사- 담관 결찰시켜 담즙성 간경변을 유도하였다.
모조-실행 (sham): 마취하에서 래트를 모조 수술하였다. 연구에 포함되기 전 7일 동안 BDL 래트에 고단백/암모니아발생 식이를 투여하였다. 상기 식이는 액체 설치류 먹이 (Bioserve, Frenchtown, NJ 08825, USA) 및 헤모글로빈 분자의 아미노산 조성을 모사한 맞춤 혼합물 (4g/Kg/일 Nutricia, Cuijk, Netherlands)로 구성되며 판매되는 젤라틴과 혼합하여 침강을 방지하였다. 이러한 섭생물은 만성적인 고암모니아혈증을 유발한다.
연구 디자인
ACLF를 나타내는 고암모니아혈증의 배경에 대하여 중첩된 염증을 치료하는 효과를 OP를 투여함으로써 조사하였다. 수술 4주 후에, BDL 래트를 무작위적으로 OP (0.3g/kg), 마우스 키메릭 항-TNF-α 단일클론 항체, 또는 식염수 (위약)을 3일 연속으로 복강내(IP) 투여하였다. 종료 3 시간 전에, 모든 BDL 래트에게 l mg/kg LPS (Sigma. Poole, UK)를 IP 투여하였다. 대조물로서, 모조 실행된 래트는 식염수만을 IP 주사하였다. 연구 군은 1) 모조-실행 (n=6), 2) BDL + 식염수 (n=6), 3) BDL + LPS (n=6), 및 4) BDL + OP + LPS (n=6)이었다.
단지 BDL (비LPS 처리) 래트에서 뇌염증반응에 대한 OP의 암모니아 저감 효과를 결정하기 위해 추가 연구를 실시하였다. 수술 4 주 후에, BDL 래트에게 무작위적으로 OP (0.3g/kg) 및/또는 식염수 (위약)를 3일 연속으로 복강내 (IP) 투여하였다. 대조군으로서, 모조 실행 래트에게 식염수를 IP 투여하였다. 연구군은 1) 모조 실행 (n=6), 2) BDL + 식염수 (n=6) 및 3) BDL + OP (n=6)이었다. 규범에 따라서, 처리후 3 시간 동안 온도조절된 환경에서 상기 래트에 사료와 물을 무제한 공급한 후, 마취 하에서- 디아제팜 (lmg/kg) IP 투여 20 분 후 Hypnorm® (200μL/kg) IP 투여- 방혈함으로써 희생시켰다. 피는 하행대동맥으로부터 뽑았고 즉시 냉장 헤파린/EDTA 함유 튜브에 담고 (완전 방혈 때까지), 3,120 x g 및 40C에서 원심분리하고, 혈장을 모으고, 분석전까지 -80℃에서 보관하였다.
혈장 및 뇌피질 사이토카인
혈장 및 뇌피질 샘플을 순간 냉동하고 (-80℃) 보관하였다. 분석전, 빙냉 세포 용해 완충액 300μl에 대뇌피질1OOμg을 균질화하고 탈단백질화하였다 (유리관 테플론 막자 호모게나이저를 사용하여). 4℃에서 10 분간12,000 x g로 원심분리한 후, 상청액을 모아서 가공하였다. 평형화된 뇌의 단백질 농도 정량화 후, 단백질 샘플과 혈장 상청액 (50μl)을 사이토카인 수준에 대하여 (pg/ml) Becton Dickinson (BD™ biosciences) 래트 염증 세포측정 비드 어레이 (CBA) 키트를 제작사 지시대로 사용하는 유세포 측정법으로 분석하였다. 이것들은 전염증성 사이토카인류 - TNF-α 및 인터루킨-6 (IL-6)를 포함하였다. CBA 비드에 의해 생성된 형광을 FACS Canto™ II 유세포 측정 시스템(BD™ Sciences) 상에서 측정함으로써 샘플을 분석하고, 데이터를 BD™ CTA 소프트웨어로 분석하였다.
웨스턴 블랏 분석
순간 냉동되고 (-80℃) 보관된 lOOμg 뇌피질 샘플을 300μl 빙냉 세포용해 완충액에서 균질화하고 탈단백질화 하였다 (유리관 테플론 막자 호모게나이저를 사용하여). 12,00Oxg로 10분간 4℃에서 원심분리한 후, 상청액을 수집하고 가공하였다. 샘플 단백질 농도 정량화 후 (평형화된 50μl 전두부 뇌피질 조직), NuPAGE® 프리캐스트 젤 시스템 (Invitrogen Ltd, UK)을 사용하여 웨스턴 블랏을 준비된 샘플 상에서 수행하여 단백질을 분리하고 옮겼다. iNOS 마우스 일차 항체 (BD Biosciences, UK) 및 마우스 IgG에 대한, HRP 접합된 이차 염소 다중클론성 항체 (Hycult biotechnology, Netherlands), 및 p65 NFκB - 토끼 일차 항체 (cell signalling, UK)와 토끼 IgG에 대한, HRP 접합된 이차 염소 다중클론 항체 (Hycult biotechnology, Netherlands)를 사용하여 특정 단백질 밴드를 검출하였다. 범세포성 (ubiquitous cellular) 세포골격 단백질인 알파-튜블린 (α-tubulin; Santa Cruz Biotechnology, Inc. USA)에 대한 항체를 측정하여 샘플 조직간의 총 단백질 발현에서의 정확한 차이를 확립하였다; 마우스 IgG에 대한, HRP 접합된 이차 염소 다중클론 항체 (Hycult biotechnology, Netherlands)가 검출에 요망. 모든 항체들은 1 :1000로 희석해서 사용하였다. Amersham ECL™ 어드밴스 웨스턴 블랏팅 검출 시약 및 Hyperfilm™ (GE Healthcare, UK)을 사용하여 단백질 밴드를 시각화하였다. 농도 측정은 Image-J 소프트웨어 (프리웨어; rsbweb.nih.gov/ij)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통계
데이터는 평균 ± SEM으로 표시된다. 차이의 유의성은 tested with Newman-Keuls 다중 비교 검증 또는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으로 검증하였다; p<0.05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하였다. 대응표본 t 검정 (paired t test) 또는 Wilcoxon Signed Rank 검정을 사용하여 적절한 두 개 군을 비교하였다. 상이한 처리 군에서 예비 혼수상태/혼수상태에 대한 시간에 대하여 Kaplan-Meier 생존 분석을 수행하였고, 상기 생존 곡선을 비교하여 로그 순위 검정법 (log-rank test)을 사용하여 상기 데이트를 통계분석하엿다. 사용된 소프트웨어는 Microsoft Excel 2003 (Microsoft Corp., Redmond, WA) 및 GraphPad Prism 4.0 (GraphPad Software, Inc., San Diego, CA)을 포함하였다.
결과
모든 래트는 수술후 체중을 불렸다. 종료 직전 취한 최종 체중은, BDL 래트 (평균 ± SEM; 342g ± 42)과 모조 실행된 대조군 (평균 ± SEM; 38Og ± 38)이 다르지 않았다. BDL 동물에서의 전신적 혈액동태학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잘 유지되었다.
혈장 및 뇌피질 사이토카인
모든 연구 군을 통틀어, 평균적인 전두엽 뇌피질 조직 사이토카인 수준은 그들의 각각의 순환 혈액 수준에 비하여 10 배 더 높았다 (도 1A-D 및 표 1). 다중 비교 군 분석으로 다음과 같이 밝혀졌다:
혈장 사이토카인: 모조-실행 래트와 비교할 때, 담관-결찰은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TNF-α의 혈장 수준이 유의하게 증가되는 것과 관계가 있었다 (p<0.05) (도 1A). BDL 래트에서, LPS를 주사하면, 혈액 TNF-α 및 IL-6를, 모조-실행된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p<0.001) 및 식염수-처리 BDL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p<0.01)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도 1B-C). BDL + LPS 래트에 비해, OP 투여후, 혈액 TNF-α의 유의한 감소 (p<0.01) 및 IL-6에서의 감소 경향이 있다 (도 1B-D).
뇌피질 사이토카인: 모조 실행된 래트와 비교할 때, 담관 결찰은 TNF-α의 뇌내 수준을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것과 연관되며 (p>0.05, 표 1), 이는 LPS에 의해 증폭되었다 (p<O.OOl). LPS-처리 BDL 래트에서, OP을 투여하면 증가된 뇌피질 TNF-α 수준을 개선하였다 (p<0.05). 담관-결찰 및 치료 간섭 후에 뇌 IL-6 수준도 유사 경향이 있었다.
혈장 및 뇌피질 사이토카인
혈장 사이토카인: 모조 실행 래트와 비교할 때 (114.8 ± 40.4 pg/ml), BDL는 혈액내 TNF-α 수준의 유의한 증가와 연관이 있고(902.2 ± 176.1 pg/ml; p<0.001), 이는 OP로 예비 처리함으로써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270.5 ± 59.4 pg/ml; p<O.OOl).
뇌피질 사이토카인: 모조 실행 래트와 비교할 때 (34.2 ± 4.6 pg/ml), BDL는 뇌피질 TNF-α 수준의 유의한 증가와 연관이 있고 (178.7 ± 62.9 pg/ml; p<0.05), 이는 OP로 예비 처리함으로써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54.7 ± 15.3 pg/ml; p<0.05).
iNOS 발현
모조 실행 래트와 비교할 때 (1.46 ± 0.17; 도 2A), BDL는 뇌에서 iNOS의 유의한 증가를 보이며 (2.87 ± 0.14; p<0.00l), 이는 OP의 예비 처리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2.32 ± 0.17; p<0.05).
NF κB 발현
사이토카인 수준(pmol/L) 모조 BDL BDL + LPS BDL + OP + LPS
혈액 TNF-α 90±25 1859±417* 4143±528*** 1919±828$$
혈액 IL-6 153±52 1470±422 4135±560***/## 3730±832
뇌 TNF-α 45±13 237±79* 402±57*** 165±12*
뇌 IL-6 26±5 144±99 285±104 126±84
데이터는 평균± 평균 표준 오차(SEM)로 표시된다. 기호는 다음과 같다;- *p<0.05 및 ***p<0.001 모조 실행 대조군 래트에 대비; $p<0.05 및 $$p<0.01, BDL + LPS 래트에 대비, 및 ##p<0.01, BDL 래트에 대비. 약어: 모조, 모조 실행. BDL, 담관-결찰. LPS, 리포폴리사카라이드.
모조 실행 래트과 비교시 (2.65±0.17; 도 2B), BDL는 뇌 NFκB 수준을 유의하게 증가 시켰고 (4.25±0.13; p<0.001), 이는 OP 예비 처리로 상당히 감소하였다(2.52±0.19; p<O.OOl).
본 실시예에서, 연구전 4 주간 동안 BDL 래트는 고암모니아혈증 및 증가된 혈액과 뇌 사이토카인에서 지적되는 전염증성 상태를 가진 만성 간질환을 보였다. 또한, LPS를 이 모델에 투여하면 이차 타격을 반영하며, 이 맥락에서, 염증 반응 증폭이 TNF-α 및 IL-6에서의 증가로 증명되는 바에 의해, 감염 현상을 나타낸다. 경변성 뇌는 LPS 처리 군에서 조차 전형적인 ‘세포독성 부종’을 나타낸다. 암모니아 및 감염은 동시에 (및 상승적으로) 작동하여 뇌부종과 혼수상태를 나타낸다.
OP 처리는 혈액과 뇌의 전염증성 사이토키인 감소와도 연관된다는 것이 관측되었다.
<뇌 eNOS 활성의 조절>
실시예 2
비대칭성 디메틸아르기닌 (ADMA)은 eNOS의 내재적 저해체이고 이의 수준은 간부전시 증가한다. L-오르니틴 및 페닐아세테이트의 조합물 투여가 NO 경로에 영향을 끼치는지 조사하였다. 본 실시예는 하기 질문에 관한 것이다: (a) eNOS 활성은 경변성 뇌에서 감소되는가? (b) 경변성 뇌에서 ADMA 수준은 증가되고 디-하이드로디아미노 하이드롤라제 (DDAH, ADMA을 분해하는 효소)는 감소되는가?: (c) eNOS 활성의 다른 조절체들은 경변성 뇌에서 변화되는 가 그리고 이러한 것들은 L-오르니틴과 페닐아세테이트 (OP)의 조합물에 의해 회복되는가?
스프라그-돌리 를 담관 결찰 (BDL) (n=16) 또는 모조 실행 (n=8) 후 4 주간 연구하였고 무작위적으로 위약 또는 OP (0.6gm/kg)로 i.p. 처리하였다. 동맥혈, 전두엽뇌조직 및 소변을 희생시 수집하였다. Cobas-MiraS 및 HPLC를 사용하여 혈액내 암모니아와 아미노산을 각각 측정하였다. 건조 중량 기술을 사용하여 뇌수(brain water)를 측정하였다. LCMS을 사용하여 요 페닐아세틸글루타민 및 혈액과 뇌 ADMA을 측정하였다. 방사능표지 1H 아르기닌을 사용하여 eNOS 활성을 측정하고 웨스턴 블라싱으로 eNOS, DDAH-I과 카베올린에 대한 단백질 발현을 측정하였다.
BDL 래트를 OP로 처리하면 동맥혈 암모니아 (p<0.001), 뇌수 (p<0.001) 및 증가된 요 페닐아세틸글루타민 (p<0.01)을 정상화시킨다. 모조 실행 대조군에 비해 BLD 동물에서 eNOS 활성은 유의하게 저하되나, eNOS 단백질 발현은 더 크게 되고, 이는 OP 처리된 동물에서 모조 값쪽으로 회복된다. 뇌 ADMA 수준은 모조에 비해 BDL에서 유의하게 더 높고, 뇌 DDAH-I는 유의하게 더 낮으며, OP 처리시 회복된다. 뇌 카베올린은 BDL 동물에서 유의하게 낮고, OP 처리 동물에서 모조 값 쪽으로 증가된다.
본 실시예는 산화질소 경로가 고암모니아혈증에 의해 악영향을 받고 이는 OP 처리로 회복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는 OP NO 신호전달을 혼란하게 하는 것으로 알려진 경변성 유기 시스템을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인다.
실시예 3
모조 실행 스프라그-돌리 래트 (n=10) 및 BDL 래트 (n=10)를 BDL 수술 후 4 주간 비교하였고, 추가의 BDL 군 (n=6)에서는 3g/kg OP를 일일 두번 3일간 i.p. 투여후 비교하였다. Cobas-Integra 및 HPLC를 사용하여 암모니아 및 아미노산을 각각 혈액에서 측정하였다. 건조 중량법을 사용하여 뇌수를 측정하였다. FACS 비드 어레이를 사용하여 TNFα를 측정하였다. LC-MS/MS를 사용하여 뇨 페닐아세틸글루타민 및 혈액과 뇌 ADMA를 측정하였다. eNOS와 DDAH 활성을 방사능 측정법으로 측정하였다. eNOS, DDAH- 1&2 및 카베올린-1에 대한 단백질 발현을 웨스턴 블랏팅으로 측정하였다.
하기 나타난 바와 같이, 혈액 (도 3A) 및 뇌 (도 3B) TNF-α 수준은 모조에 비해 BDL 래트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p<0.01, 양쪽 다). OP 처리는 이러한 변화를 모조에 가깝게 역전하며 BDL 단독에 비해 유의하다 (p<0.05; p<0.01, 각각).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eNOS 활성(도 4A)은 증가된 eNOS 단백질 발현에도 불구하고 모조에 비해 BDL 래트 뇌에서 상당히 감소하였다(도 4B). OP로 처리후, eNOS 활성은 모조 수준으로 역전되었고, eNOS 단백질 발현을 정상수준 비슷하게 하였다. iNOS 단백질은 또한 BDL 래트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도 4C). OP 처리는 BDL 단독에 비해 iNOS 단백질을 유의하게 하향 조절하였다 (도 4C).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혈액 ADMA (도 5A)는 모조에 비하여 BDL 래트 혈액 (p<0.01) 및 뇌 균질물에서 (도 5B) (p<0.05)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OP 처리 후, BDL에 비해, 혈액 ADMA에서는 유의한 감소가 없지만, 뇌 ADMA 농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대뇌 카베올린-1 단백질 발현 (도 5C)은 모조에 비해 BDL 래트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1). OP로 처리하면 카베올린-1 단백질을 모조 수준으로 역전하였다 (p<0.0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뇌 DDAH-I (도 6A) 단백질 발현은 BDL 래트에서 유의하게 (p<0.05) 감소하였다. 역으로, 대뇌 DDAH-2 (도 6B) 단백질 발현은 모조제 비하여 유의하게 (p<0.05) 증가하였다. OP 투여 후, BDL에 비해 DDAH-I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p<0.05) DDAH-2 단백질 발현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0.05). 또한, DDAH 활성은 (도 6C) 모조에 비해 BDL 래트 뇌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OP 처리는 BDL 단독(p<0.01)에 비해 DDAH 활성을 유의하게 (p<0.01) 감소시켰다.
<간 eNOS 활성의 조절>
실시예 4
경변에 있어서, 문맥압 항진증은 간염증과 연관이 있고, 이는 간내 내피세포 산화질소 합성효소 (eNOS) 활성을 감소시키는 데 기여하며, 이는 내재성 NOS 저해체들인, 카베올린-1 및 비대칭성-디메틸아르기닌 (ADMA)의 증가와 연관이 있다. 본 실시예는 L-오르니틴 페닐아세테이트 조합물(OP)로 처리하면 내피세포 NOS의 이러한 염증 의존 저해체의 조절을 통해 NFκB를 감소시키고 간내 NO 이용가능성을 증가시키며 이로써 문맥 압력을 감소시키는 것인지를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스프라그-돌리 래트는 BDL 수술 (n=16) 또는 모조 실행 (n=8) 4 주 후에 연구되며 연구 전 5일간 무작위적으로 위약 또는 OP(0.6gm/kg)로 i.p. 처리된다. 래트를 희생할 때, 마취 하에서 직접적 문맥 압력 측정하였고 간 조직을 수집하여 후속 분석하였다. 혈액 암모니아 및 생화학적 특성을 Cobas-MiraS 분석기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eNOS 활성을 방사능측정법으로 결정하였다. eNOS, DDAH-I, 카베올린-1, 및 NFκB에 대한 단백질 발현을 웨스턴 블랏팅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OP 처리는 모조 수준 쪽으로 고암모니아혈증을 감소시켰고 (p<0.001) 간 eNOS 활성을 모조 수준 쪽으로 증가시켰다. 이것은 위약 처리 군에 비해, 문맥 압력에서의 유의한 감소와 관련이 있다 (11±0.4 대 14±0.7 mmHg, p=0.01). 또한, OP 처리는, 위약 처리 동물에 비해 카베올린-1의 발현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며 (p<0.05) 디메틸아르기닌-디메틸아미노하이드롤라제-1의 발현을 증가시키면서 (p<0.05) [DDAH 1는 ADMA의 대사에 관여한다], 또한 간의 인산화된 NFκB 발현을 유의하게 저하시켰다.
본 실시예는 OP로 고암모니아혈증을 치료하면 경변 임상 관련 모델에서, NFκB 및 eNOS 저해체인 DDAHl-ADMA 및 카베올린-1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간 eNOS 활성의 회복을 통해 문맥압 항진증의 정도를 감소시킨다는 것을 보인다.
실시예 5
스프라그-돌리 래트에서 BDL 및 모조 수술 4 주 후에, BDL에 하루에 두 번 OP 3g/kg 또는 담체만을 i.p. 투여하고 (n=14/군), 5일간 처리하였다. 5번째 처리 후에, 모든 래트를 희생 전 마취하에서 문맥압을 측정하였다. 혈액 및 간 조직을 수집하여 후속 분석하였다. 혈액 암모니아 및 생화학적 특성을 Cobas-MiraS 분석기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eNOS 활성을 방사능 측정법으로 결정하였다. eNOS, DDAH-I, 카베올린-1, 및 NFκB에 대한 단백질 발현을 웨스턴 블랏팅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BDL 래트의 동맥 암모니아 및 혈액 생화학적 특성에 대한 OP 효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스튜던트 t' 검정 Mann Witney 비교 검정을 사용하여 통계 유의성을 계산하였다.
* - P<O.01 대 모조; ** - P<O.001 대 모조; - P<O.01 대 BDL; § - P<O.05 대 BDL; NS-유의성 무.
변수 모조 BDL BDL+OP
암모니아 (μmol/L) 55.86±4.05 222.3±24.01** 127.1±47.8
ALT (U/L) 26.88±2.61 159.8±10.81** 108.3±5.66
빌리루빈 (μmol/L) 32.52±2.43 304.9±25.97** 267.7±14.5NS
크레아틴 (μmol/L) 23.07±0.94 40.88±2.37* 32.38±1.44§
TNF-α (pg/ml) 121.9±46.4 822.9±203.1* 270.5±59.4§
도7A 및 7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eNOS 활성은 eNOS 단백질 발현이 증가됨에도 불구하고 (p<O.Ol), 모조에 비해 BDL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5). OP 처리후, eNOS 활성은 모조 수준으로 역전되었고, eNOS 단백질 발현이 정상 수준에 유사하게 되었다 (p<0.05). 도 7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DDAH-I 단백질 발현은 BDL에 비해 모조 동물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다 (p<0.01). OP를 BDL 래트에 투여후, DDAH-I 발현은 유의하게 증가되었고 모조 수준으로 되돌아 갔다 (p<0.05).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NFκB의 단백질 발현은 모조에 비해 BDL 래트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p<0.01). OP 처리는 NFκB 발현을 BDL에 비해 뚜렷이 감소시켰다 (p=0.05). 도 7E에 나타난 바와 같이, 카베올린-1의 발현은 모조에 비해 BDL 래트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p<0.01). OP로 처리한 후, 카베올린-1 발현은 BDL 단독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 되었다 (p<0.05).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맥압력은 모조에 비해 BDL 래트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p<0.0001). OP 처리는 BDL에 비해서 문맥압력을 30% 감소시켰다 (P<O.Ol).
실시예 6
본 실시예는 L-오르니틴 페닐아세테이트 조합물(OP)로 처리하는 것이 간 기능(예, 관류)을 향상시키는 지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스프라그-돌리 래트를 담관 결찰 (BDL) 4 주 후에 연구하였고 무작위적으로 위약 또는 OP로 처리하였다. BDL 래트의 간기능은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된다. 예를 들어, 간상해는 알라닌 트랜스아미나제 (ALT) 시험, 아스파테이트 아미노트랜스퍼라제 (AST) 시험, 및/또는 알파 글루타치온 S-트랜스퍼라제 (GST)시험에 의해 검출된다. 간기능은 알부민 (Alb)시험; 프로트롬빈 시간 시험; 및/또는 차이드-푸 점수' MELD 점수와 같은 복합 점수에 의해 측정된다. 간 혈액동력학은 간 혈류 및/또는 문맥 압력을 검출함으로써 측정된다.
OP의 투여는 BDL 래트에서 간 기능을 향상시키고 및/또는 회복시키는 데, 예를 들어, 간 관류를 증가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OP 처리는 또한 BDL 래트에서 문맥 압력을 낮추는 데 효과적이다.
실시예 7
본 실시예는 L-오르니틴 페닐아세테이트 조합물 (OP)로 처라하면 문맥압 항진증을 가진 BDL 래트에서 정맥류 출혈을 감소시키는 것을 결정하는 것이다.
스프라그-돌리 래트를 담관 결찰 (BDL) 4 주 후에 연구하였고 무작위적으로 위약 또는 OP로 처리하였다. BDL 래트에서의 문맥 압력을 측정하였다. BDL 래트는 또한 정맥류 출혈에 대하여 검사하였고 BDL 래트의 정맥류 출혈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OP의 투여는 BDL 래트에서 문맥 압력을 감소시키고 정맥류 출혈을 저하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실시예 8
본 실시예는 L-오르니틴 페닐아세테이트 조합물 (OP) 처리가 문맥압 항진증을 가진 BDL 래트에서 복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스프라그-돌리 래트를 담관 결찰 (BDL) 4 주 후에 연구하였고 무작위적으로 위약 또는 OP로 처리하였다. BDL 래트에서의 문맥 압력을 측정하였다. BDL 래트는 또한 복수에 대하여 검사하였고 BDL 래트의 복수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OP의 투여는 BDL 래트에서 문맥 압력과 복수를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비록 본 발명은 구체예 및 실시예를 참조하면서 설명되었지만, 다양하고 많은 변경이 본 발명의 사상을 이탈하지 않고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특허, 특허 출원, 논문, 서적 등을 위시한, 본 발명에서 인용된 모든 참조물은 전체로 여기에 참조문헌으로 기입된다. 용어, 용어 사용, 설명된 기술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기입된 문헌 및 유사 재료물의 하나 이상이 본 출원과 다르거나 반대되는 경우, 본 출원이 통제한다.

Claims (73)

  1. 개체에서 문맥압 항진증을 치료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개체에 L-오르니틴을 페닐아세테이트 및 페닐부티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와 조합하여 투여함으로써 문맥압 항진증을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체는 간질환을 앓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질환은 만성 간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만성 간질환은 간경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질환은 급성 간부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맥압 항진증의 치료는 상기 개체에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수준을 저하시킴으로써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맥압 항진증의 치료는 내피세포 산화질소 합성효소 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오르니틴 및 페닐아세테이트는 L-오르니틴 페닐 아세테이트로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오르니틴, 및 페닐아세테이트와 페닐부티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의 개별적인 생리적 허용염을 상기 개체에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오르니틴은 자유 단량체성 아미노산 또는 이의 생리적 허용염으로서 투여되도록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페닐아세테이트와 페닐부티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는 소듐 페닐아세테이트 또는 소듐 페닐부티레이트로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경구, 정맥내, 복강내, 위장내 또는 혈관내 투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정맥내 투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경구 투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오르니틴 및 상기 페닐아세테이트 또는 페닐부티레이트의 투여량은 20 g 내지 40 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개체에서 문맥압 항진증의 개시 가능성을 지연하거나 감소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개체에 L-오르니틴을 페닐아세테이트 및 페닐부티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와 조합하여 투여함으로써 문맥압 항진증의 개시 가능성을 지연하거나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개체는 간질환을 앓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간질환은 만성 간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만성 간질환은 간경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간질환은 급성 간부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문맥압 항진증의 개시 가능성의 지연 또는 감소는 상기 개체에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수준을 저하시킴으로써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문맥압 항진증의 개시 가능성의 지연 또는 감소는 내피세포 산화질소 합성효소 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L-오르니틴 및 페닐아세테이트는 L-오르니틴 페닐 아세테이트로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L-오르니틴, 및 페닐아세테이트와 페닐부티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의 개별적인 생리적 허용염을 상기 개체에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L-오르니틴은 자유 단량체성 아미노산 또는 이의 생리적 허용염으로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16항에 있어서, 페닐아세테이트와 페닐부티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는 소듐 페닐아세테이트 또는 소듐 페닐부티레이트로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경구, 정맥내, 복강내, 위장내 또는 혈관내 투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정맥내 투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경구 투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L-오르니틴 및 상기 페닐아세테이트 또는 페닐부티레이트의 투여량은 20 g 내지 40 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1. 열악한 간기능을 가지는 개체에서 간기능을 회복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개체에 L-오르니틴을 페닐아세테이트 및 페닐부티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와 조합하여 투여함으로써 간기능을 개선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개체는 문맥압 항진증을 앓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간기능을 개선하는 것은 문맥압 항진증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4. 제31항에 있어서, 간기능을 개선시키는 것은 간관류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간기능의 회복은 상기 개체에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수준을 저하시킴으로써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6.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간기능의 회복은 내피세포 산화질소 합성효소 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7.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L-오르니틴 및 페닐아세테이트는 L-오르니틴 페닐 아세테이트로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8.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L-오르니틴, 및 페닐아세테이트와 페닐부티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의 개별적인 생리적 허용염을 상기 개체에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9.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L-오르니틴은 자유 단량체성 아미노산 또는 이의 생리적 허용염으로서 투여되도록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0. 제31항에 있어서, 페닐아세테이트와 페닐부티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는 소듐 페닐아세테이트 또는 소듐 페닐부티레이트로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1.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경구, 정맥내, 복강내, 위장내 또는 혈관내 투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정맥내 투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3.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경구 투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L-오르니틴 및 상기 페닐아세테이트 또는 페닐부티레이트의 투여량은 20 g 내지 40 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5. 문맥압 항진증을 앓고 있는 개체에서 정맥류 출혈을 치료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개체에 L-오르니틴을 페닐아세테이트 및 페닐부티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와 조합하여 투여함으로써 정맥류 출혈을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정맥류 출혈의 치료는 상기 개체에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수준을 저하시킴으로써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7.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정맥류의 치료는 내피세포 산화질소 합성효소 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8.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L-오르니틴 및 페닐아세테이트는 L-오르니틴 페닐 아세테이트로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9.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L-오르니틴, 및 페닐아세테이트와 페닐부티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의 개별적인 생리적 허용염을 상기 개체에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0.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L-오르니틴은 자유 단량체성 아미노산 또는 이의 생리적 허용염으로서 투여되도록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1. 제45항에 있어서, 페닐아세테이트와 페닐부티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는 소듐 페닐아세테이트 또는 소듐 페닐부티레이트로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2.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경구, 정맥내, 복강내, 위장내 또는 혈관내 투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정맥내 투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4.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경구 투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5.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L-오르니틴 및 상기 페닐아세테이트 또는 페닐부티레이트의 투여량은 20 g 내지 40 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6. 문맥압 항진증을 앓고 있는 개체에서 복수 치료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개체에 L-오르니틴을 페닐아세테이트 및 페닐부티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와 조합하여 투여함으로써 복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치료는 상기 개체에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수준을 저하시킴으로써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8.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치료는 내피세포 산화질소 합성효소 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9.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L-오르니틴 및 페닐아세테이트는 L-오르니틴 페닐 아세테이트로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0.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L-오르니틴, 및 페닐아세테이트와 페닐부티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의 개별적인 생리적 허용염을 상기 개체에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1.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L-오르니틴은 자유 단량체성 아미노산 또는 이의 생리적 허용염으로서 투여되도록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2. 제56항에 있어서, 페닐아세테이트와 페닐부티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는 소듐 페닐아세테이트 또는 소듐 페닐부티레이트로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3.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경구, 정맥내, 복강내, 위장내 또는 혈관내 투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정맥내 투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5.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경구 투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6.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L-오르니틴 및 상기 페닐아세테이트 또는 페닐부티레이트의 투여량은 20 g 내지 40 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7. 환자가 급성 간부전 또는 급성 간 기능장애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환자에게 L-오르니틴을 페닐아세테이트 및 페닐부티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와 조합하여 투여함으로써 상기 환자가 뇌 상해를 나타내는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성 간부전의 환자에서 뇌 상해에 대하여 보호하는 방법.
  68.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단계는 상기 확인 단계 직후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9.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급성 간부전 또는 급성 간 기능장애를 치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0.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하는 단계는 간 이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1. 제67항에 있어서, 급성 간부전 또는 급성 간 기능이상에 의해 야기된 합병증을 치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2.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합병증은 정맥류 출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3.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L-오르니틴 및 상기 페닐아세테이트 또는 페닐부티레이트의 투여량은 20 g 내지 40 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27000293A 2009-06-08 2010-06-08 L―오르니틴 페닐아세테이트를 사용한 문맥압 항진증의 치료 및 간 기능 회복 KR1017150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515809P 2009-06-08 2009-06-08
US61/185,158 2009-06-08
US24074809P 2009-09-09 2009-09-09
US61/240,748 2009-09-09
US29637710P 2010-01-19 2010-01-19
US61/296,377 2010-01-19
PCT/US2010/037838 WO2010144498A2 (en) 2009-06-08 2010-06-08 Treatment of portal hypertension and restoration of liver function using l-ornithine phenylacetat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5930A Division KR20170026672A (ko) 2009-06-08 2010-06-08 L―오르니틴 페닐아세테이트를 사용한 문맥압 항진증의 치료 및 간 기능 회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7891A true KR20120047891A (ko) 2012-05-14
KR101715008B1 KR101715008B1 (ko) 2017-03-22

Family

ID=4330944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0293A KR101715008B1 (ko) 2009-06-08 2010-06-08 L―오르니틴 페닐아세테이트를 사용한 문맥압 항진증의 치료 및 간 기능 회복
KR1020177005930A KR20170026672A (ko) 2009-06-08 2010-06-08 L―오르니틴 페닐아세테이트를 사용한 문맥압 항진증의 치료 및 간 기능 회복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5930A KR20170026672A (ko) 2009-06-08 2010-06-08 L―오르니틴 페닐아세테이트를 사용한 문맥압 항진증의 치료 및 간 기능 회복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2) US20120157526A1 (ko)
EP (3) EP3517110A1 (ko)
JP (3) JP5749255B2 (ko)
KR (2) KR101715008B1 (ko)
CN (2) CN102625699B (ko)
AU (1) AU2010258888B2 (ko)
BR (1) BRPI1012956A8 (ko)
CA (2) CA2997484C (ko)
DK (2) DK2440200T3 (ko)
EA (2) EA201691430A1 (ko)
ES (2) ES2728948T3 (ko)
HK (2) HK1174264A1 (ko)
IL (2) IL216811A (ko)
MX (2) MX2011013129A (ko)
NZ (2) NZ596916A (ko)
PL (1) PL2440200T3 (ko)
SG (1) SG176675A1 (ko)
WO (1) WO2010144498A2 (ko)
ZA (1) ZA20110898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19581B1 (en) 2004-11-26 2015-02-25 UCL Business PLC Compositions comprising ornithine and phenylacetate or phenylbutyrate for treating hepatic encephalopathy
KR20220067001A (ko) 2009-04-03 2022-05-24 오세라 테라퓨틱스, 아이엔씨. L-오르니틴 페닐 아세테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
ES2728948T3 (es) 2009-06-08 2019-10-29 Ucl Business Plc Tratamiento de la inflamación cerebral usando Fenilacetato de L-Ornitina
ES2720148T3 (es) 2010-10-06 2019-07-18 Ocera Therapeutics Inc Métodos de fabricación de fenilacetato de L-ornitina
CN102993037B (zh) * 2012-11-20 2015-03-04 南京工业大学 一种l-鸟氨酸苯乙酸盐的制备方法
JP6543633B2 (ja) 2014-01-29 2019-07-10 ウメクライン コグニション アーベー 肝性脳症の治療において使用するためのステロイド化合物
FI3978074T3 (fi) 2014-10-24 2024-05-20 Mallinckrodt Pharmaceuticals Ireland Ltd Terlipressiini tyypin 1 hepatorenaalisen syndrooman hoitamiseksi
AU2015353703B2 (en) 2014-11-24 2021-04-01 Ucl Business Plc Treatment of diseases associated with hepatic stellate cell activation using ammonia-lowering therapies
TWI748936B (zh) 2015-01-12 2021-12-11 瑞典商優鎂奎認知Ab公司 新穎化合物
WO2016172112A1 (en) * 2015-04-20 2016-10-27 Ocera Therapeutics, Inc. Formulations of l-ornithine phenylacetate
JP2017014206A (ja) * 2015-06-30 2017-01-19 ナノアンティバイオティ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腹水の治療
JP6990170B2 (ja) * 2015-08-18 2022-01-12 オセラ セラピューティ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L-オルニチンをフェニルアセテートおよびフェニルブチレートのうちの少なくとも1つと組み合わせて用いる筋肉喪失の治療および予防
WO2017053613A1 (en) * 2015-09-25 2017-03-30 Ocera Therapeutics, Inc. Treatment and prevention of neuronal cell loss using l-ornithine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of phenylacetate and phenylbutyrate
US11219611B2 (en) * 2015-11-13 2022-01-11 Ocera Therapeutics, Inc. Formulations of L-ornithine phenylacetate
CA3004331A1 (en) * 2015-11-13 2017-05-18 Ocera Therapeutics, Inc. Formulations of l-ornithine phenylacetate
CN106109429A (zh) * 2016-07-26 2016-11-16 北京百奥药业有限责任公司 一种苯丁酸钠片剂及其制备方法
JOP20190146A1 (ar) 2016-12-19 2019-06-18 Axcella Health Inc تركيبات حمض أميني وطرق لمعالجة أمراض الكبد
US11160826B1 (en) 2017-03-03 2021-11-02 United States Government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Veterans Affairs Cholesterol lowering drugs for the treatment of hepatic encephalopathy
JP7126520B2 (ja) 2017-05-11 2022-08-26 オセラ セラピューティ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L-オルニチンフェニルアセテートを製造する方法
CU20200012A7 (es) 2017-08-14 2021-02-04 Axcella Health Inc Composiciones de aminoácidos para el tratamiento de enfermedad hepática
WO2019173148A1 (en) * 2018-03-05 2019-09-12 The United States Government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Veterans Affairs Cholesterol lowering drugs for the treatment of hepatic encephalopathy
JP2021527670A (ja) 2018-06-20 2021-10-14 アクセラ・ヘル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xcella Health Inc. 筋肉中の脂肪浸潤の治療の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KR102237526B1 (ko) * 2019-11-07 2021-04-07 한국식품연구원 오르니틴 생성능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wikim47를 이용한 마늘 발효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65637A (en) 1962-04-23 1964-08-06 Tanabe Seiyaku Co L-ornithine l-aspartate
NL302572A (ko) 1962-12-27
GB1067742A (en) 1963-09-16 1967-05-03 Kyowa Hakko Kogyo Kk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l-ornithine l-aspartate
ZA716628B (en) 1970-10-15 1972-06-28 Richardson Merrell Spa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ment of hepatic disease and mental fatigue
FR2113774A1 (en) 1970-11-13 1972-06-30 Roques Ets Prepn of l-ornithine salts with org acids - using silver oxides
US4100161A (en) 1974-04-15 1978-07-11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omotion of protein synthesis and suppression of urea formation in the body by keto analogs of essential amino acids
US3950529A (en) 1975-02-03 1976-04-13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Amino acid formulations for patients with liver disease and method of using same
US4320146A (en) 1978-03-17 1982-03-16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Treatment of hepatic and renal disorders with ornithine and arginine salts of branched chain keto acids
US4228099A (en) 1978-03-17 1980-10-14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Ornithine and arginine salts of branched chain keto acids and uses in treatment of hepatic and renal disorders
US4352814A (en) 1979-04-18 1982-10-05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Treatment of hepatic and renal disorders with mixed salts of essential or semi-essential amino acids and nitrogen-free analogs
US4284647A (en) 1980-03-31 1981-08-18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ocess for waste nitrogen removal
US4457942A (en) 1982-08-20 1984-07-03 Brusilow Saul W Process for waste nitrogen removal
US4857555A (en) 1985-09-12 1989-08-15 Brigham & Women's Hospital Method of treating catabolic dysfunction
US4783443A (en) 1986-03-03 1988-11-08 The University Of Chicago Amino acyl cephalosporin derivatives
US5139981A (en) 1987-06-24 1992-08-18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Corporation Process for preparing silver(I)-exchanged resins
JP2522034B2 (ja) 1988-12-27 1996-08-07 味の素株式会社 α−ケト酸・アミノ酸塩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
US5591613A (en) 1990-07-02 1997-01-07 Degussa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D-arginine and L-ornithine
DE4020980C1 (ko) 1990-07-02 1991-09-26 Degussa Ag, 6000 Frankfurt, De
JP3127484B2 (ja) 1991-02-28 2001-01-22 味の素株式会社 肝炎治療薬
US5767086A (en) 1992-04-03 1998-06-16 Terrapin Technologies, Inc. Bone marrow stimulation by certain glutathione analogs
US5571783A (en) 1993-03-09 1996-11-05 Clintec Nutrition Company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patients with hepatic disease
JP3273578B2 (ja) 1993-09-21 2002-04-08 第一化学薬品株式会社 オルニチンと酸性アミノ酸類又はケト酸類との塩の製造法
US5856481A (en) 1994-07-28 1999-01-05 Syntex (U.S.A.) Inc. 2-(2-amino-1,6-dihydro-6-oxo-purin-9-yl)methoxy-1,3-propanediol derivative
IL139728A (en) 1995-01-09 2003-06-24 Penwest Pharmaceuticals Compan Aqueous slurry composition containing microcrystalline cellulose for preparing a pharmaceutical excipient
ATE191615T1 (de) * 1995-02-23 2000-04-15 Novartis Nutrition Ag Aminosäurenzusammensetzungen und verwendung derselben klinischen nährung
AU2251897A (en) 1996-02-13 1997-09-02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The Method of treating liver disorders
ZA986614B (en) 1997-07-25 1999-01-27 Gilead Sciences Nucleotide analog composition
GB9815567D0 (en) 1998-07-18 1998-09-16 Glaxo Group Ltd Antiviral compound
US6258849B1 (en) 1998-07-23 2001-07-10 Stanislaw R. Burzynski Treatment regimen for administration of phenylacetylglutamine, phenylacetylisoglutamine, and/or phenylacetate
EP1179347A4 (en) 1999-05-21 2002-06-26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HEPATIC FUNCTION REGULATORS
US6768024B1 (en) 2000-08-04 2004-07-27 Lion Bioscience Ag Triamine derivative melanocortin receptor ligands and methods of using same
JP3211824B1 (ja) 2000-10-26 2001-09-25 味の素株式会社 分岐鎖アミノ酸含有医薬用顆粒製剤とその製造方法
CN1304723A (zh) 2001-01-16 2001-07-25 中山大学 含二氢呋喃环结构的丹参酮类化合物用于治疗肝性脑病的药物
US20040192751A1 (en) 2001-03-15 2004-09-30 Takeshi Abe Amino acid composition for ameliorating liver failure
US6503530B1 (en) 2001-11-01 2003-01-07 Chunghee Kimberly Kang Method of preventing development of severe metabolic derangement in inborn errors of metabolism
US20030105104A1 (en) 2001-11-27 2003-06-05 Burzynski Stanislaw R. Formulation of amino acids and riboflavin useful to reduce toxic effects of cytotoxic chemotherapy
US20030195255A1 (en) * 2002-04-12 2003-10-16 Summar Marshall L. Method for treating hepatic encephalopathies
US20040229948A1 (en) 2002-04-12 2004-11-18 Summar Marshall L. Method for preventing hepatic encephalopathic episodes
CN1383815A (zh) 2002-05-08 2002-12-11 刘万忠 防治肝病、肝性脑病的鸟氨酸和门冬氨酸的复方制剂及其制备方法
US20040152784A1 (en) 2002-07-23 2004-08-05 Special Products Limited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ment of a urea cycle deficiency or sickle-cell anaemia
EP1541141A1 (en) 2002-08-30 2005-06-15 Ajinomoto Co., Inc. Therapeutic agent for hepatic disease
US20050059150A1 (en) 2003-09-17 2005-03-17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Environments that maintain function of primary liver cells
MXPA03009902A (es) 2003-10-29 2005-05-03 Manuel Francisco Lara Och Jose Compuestos para reducir la hiperamonemia en pacientes con cirrosis u otras incapacidad para la eliminacion de amonio.
US7375078B2 (en) 2004-02-23 2008-05-20 Genentech, Inc. Heterocyclic self-immolative linkers and conjugates
EP1744770A2 (en) 2004-05-06 2007-01-24 Osteologix A/S High yield and rapid syntheses methods for producing metallo-organic salts
JP2008511611A (ja) 2004-08-30 2008-04-17 ルナメツド・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治療用4−フェニル酪酸制御放出製剤
EP2319581B1 (en) * 2004-11-26 2015-02-25 UCL Business PLC Compositions comprising ornithine and phenylacetate or phenylbutyrate for treating hepatic encephalopathy
GB0426141D0 (en) * 2004-11-26 2004-12-29 Ucl Biomedica Plc Treatment
WO2007077995A1 (ja) 2006-01-05 2007-07-12 Kyowa Hakko Kogyo Co., Ltd. 筋肉増量剤
DE102007009243A1 (de) 2007-02-22 2008-09-18 Evonik Röhm Gmbh Pellets mit einer Wirkstoff-Matrix und einem Polymerüberzug, sowie ein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Pellets
WO2009149196A1 (en) 2008-06-04 2009-12-10 Phenolics, Llc. Enteric-coated formulations of polyethylene glycol and one or more soluble amino acids for oral ingestion and enhanced uptake of same
AU2015221466B2 (en) 2009-04-03 2017-02-02 Ocera Therapeutics, Inc. L-ornithine phenyl acetate and methods of making thereof
KR20220067001A (ko) 2009-04-03 2022-05-24 오세라 테라퓨틱스, 아이엔씨. L-오르니틴 페닐 아세테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
CA2763894A1 (en) 2009-06-02 2011-01-13 Salix Pharmaceuticals, Ltd. Use of rifaximin to maintain remission of hepatic encephalopathy
AU2014250643B2 (en) 2009-06-08 2016-07-14 Ocera Therapeutics, Inc. Treatment of portal hypertension and restoration of liver function using L-ornithine phenylacetate
ES2728948T3 (es) 2009-06-08 2019-10-29 Ucl Business Plc Tratamiento de la inflamación cerebral usando Fenilacetato de L-Ornitina
JP2011236160A (ja) 2010-05-11 2011-11-24 Shinshu Univ 非アルコール性肝疾患治療薬
ES2720148T3 (es) 2010-10-06 2019-07-18 Ocera Therapeutics Inc Métodos de fabricación de fenilacetato de L-ornitina
RS56757B1 (sr) 2012-11-21 2018-04-30 Horizon Therapeutics Llc Postupci davanja i procene lekova za uklanjanje azota za lečenje hepatične encefalopatije
CN103705490B (zh) 2013-10-31 2016-08-17 蚌埠丰原医药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门冬氨酸鸟氨酸的缓释制剂及其制备工艺
AU2015353703B2 (en) 2014-11-24 2021-04-01 Ucl Business Plc Treatment of diseases associated with hepatic stellate cell activation using ammonia-lowering therapies
WO2016172112A1 (en) 2015-04-20 2016-10-27 Ocera Therapeutics, Inc. Formulations of l-ornithine phenylacetate
JP6990170B2 (ja) 2015-08-18 2022-01-12 オセラ セラピューティ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L-オルニチンをフェニルアセテートおよびフェニルブチレートのうちの少なくとも1つと組み合わせて用いる筋肉喪失の治療および予防
WO2017053613A1 (en) 2015-09-25 2017-03-30 Ocera Therapeutics, Inc. Treatment and prevention of neuronal cell loss using l-ornithine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of phenylacetate and phenylbutyrate
US11219611B2 (en) 2015-11-13 2022-01-11 Ocera Therapeutics, Inc. Formulations of L-ornithine phenylacetat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edical Hypotheses. 2007. Vol. 69, pp. 1064-106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49255B2 (ja) 2015-07-15
NZ596916A (en) 2013-09-27
CN104434894A (zh) 2015-03-25
MX2011013129A (es) 2012-03-14
EA025735B1 (ru) 2017-01-30
JP2017066153A (ja) 2017-04-06
WO2010144498A2 (en) 2010-12-16
JP2015163635A (ja) 2015-09-10
IL248696B (en) 2020-05-31
HK1174264A1 (en) 2013-06-07
ES2517340T3 (es) 2014-11-03
WO2010144498A9 (en) 2011-04-28
EA201171396A1 (ru) 2012-10-30
ZA201108988B (en) 2015-04-29
EP2799067A1 (en) 2014-11-05
KR20170026672A (ko) 2017-03-08
HK1203419A1 (en) 2015-10-30
ES2728948T3 (es) 2019-10-29
CA2764587A1 (en) 2010-12-16
BRPI1012956A8 (pt) 2021-11-03
DK2440200T3 (en) 2014-12-08
NZ615091A (en) 2015-03-27
EP2440200A4 (en) 2012-11-28
EA201691430A1 (ru) 2017-02-28
KR101715008B1 (ko) 2017-03-22
EP3517110A1 (en) 2019-07-31
CA2997484C (en) 2020-05-12
US20120157526A1 (en) 2012-06-21
BRPI1012956A2 (pt) 2017-06-06
JP6250588B2 (ja) 2017-12-20
CN102625699A (zh) 2012-08-01
JP6527497B2 (ja) 2019-06-05
AU2010258888B2 (en) 2014-08-07
DK2799067T3 (da) 2019-06-03
CN102625699B (zh) 2014-08-20
EP2799067B1 (en) 2019-04-03
AU2010258888A1 (en) 2012-02-02
IL216811A0 (en) 2012-02-29
JP2012529523A (ja) 2012-11-22
CA2997484A1 (en) 2010-12-16
SG176675A1 (en) 2012-01-30
CA2764587C (en) 2018-04-24
PL2440200T3 (pl) 2015-08-31
US20180161293A1 (en) 2018-06-14
EP2440200B1 (en) 2014-08-27
EP2440200B8 (en) 2014-10-15
EP2440200A2 (en) 2012-04-18
MX2020009703A (es) 2020-10-07
IL248696A0 (en) 2016-12-29
US11266620B2 (en) 2022-03-08
IL216811A (en) 201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66620B2 (en) Treatment of portal hypertension and restoration of liver function using L-ornithine phenylacetate
Baumgardner et al. N-Acetylcysteine Attenuates Progression of Liver Pathology in a Rat Model of Nonalcoholic Steatohepatitis3
US20180169045A1 (en) Amino aci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liver diseases
AU2014250643A1 (en) Treatment of portal hypertension and restoration of liver function using L-ornithine phenylacetate
CN105682653B (zh) 2,4-二硝基苯酚制剂和使用其的方法
EP2453743B1 (en) N-acetyl cysteine compositions and their use in improving the therapeutic efficacy of acetaminophen
JP2018526403A5 (ko)
US11207299B2 (en) Biphenyl sulfonamide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type IV collagen diseases
BR112020006658A2 (pt) métodos de tratamento de infecções bacterianas
CA3071096A1 (en) Co-administration of minocycline and colistin to reduce acute kidney injury
US20220152015A1 (en) Nedocromil sodium to prevent, limit onset, and /or treat pancreatic canc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