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6667A - 파일 인양용 기구 - Google Patents

파일 인양용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6667A
KR20120046667A KR1020110027664A KR20110027664A KR20120046667A KR 20120046667 A KR20120046667 A KR 20120046667A KR 1020110027664 A KR1020110027664 A KR 1020110027664A KR 20110027664 A KR20110027664 A KR 20110027664A KR 20120046667 A KR20120046667 A KR 20120046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hook
file
lifting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7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5356B1 (ko
Inventor
이규철
Original Assignee
녹우건설(주)
이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녹우건설(주), 이규철 filed Critical 녹우건설(주)
Priority to KR1020110027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5356B1/ko
Publication of KR20120046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6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5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5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현장에서 파일을 시공하거나 또는 재차 파일을 인양할 때 사용하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설현장에서 파일을 인양할 때 파일의 상단에 볼트 체결방식으로 결합하여 파일을 손쉽고 안전하게 인양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인양기구를 구현함으로써, 파일 인양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특히 파일 인양시 안전사고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한편, 파일의 상단에 결합하는 인양기구로서 매립형 및 노출형 두가지 타입을 적용함으로써, 파일의 규격이나 사양, 인양 작업조건 등에 따라 적합한 인양기구를 적용할 수 있는 등 파일 인양작업을 좀더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파일 인양용 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파일 인양용 기구{Device for sling pile}
본 발명은 파일 인양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설현장에서 파일을 시공하거나 또는 재차 파일을 인양할 때 사용하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 기초공사 단계에서는 지면에 여러 개의 파일을 박아서 구조물이나 건축물 등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일 시공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파일 시공을 위해서는 여러가지 형태로 파일을 인양해야 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예를 들면, 파일 운반시, 특히 트럭에 상차시킬 때나 바지선에 선적시킬 때, 또는 현장에서 파일을 하차시킬 때, 파일을 시공위치에 항타할 때 등과 같은 경우에 파일의 인양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며, 이러한 파일의 인양에 있어서는 시공성과 안전성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파일의 인양을 위해서는 여러가지 방법이나 장치 등이 제시되어 있으며, 그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방법으로 홀치기 방법이 있다.
상기 홀치기 방법은 지면에 고정된 파일의 상부를 와이어를 사용하여 올가미 형식으로 묶은 다음, 와이어를 기중기의 훅에 연결하여 인양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상기 홀치기 방법은 파일의 직경이 대형이거나 또는 파일의 길이가 길 경우에는 설치하기가 매우 곤란하여 사용이 불가능하고, 와이어가 묶여 있는 파일부위가 변형되는 등 국부적으로 파일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으며, 파일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도포한 방청제가 와이어에 의해 벗겨지면서 표면 산화 등으로 인해 파일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작업자의 부주의나 과실에 의해 와이어의 매듭이 풀어지는 경우가 빈번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파일 인양의 다른 방법으로서 파일의 상단부에 홀을 가공하여 고정핀을 건 다음, "U"자형의 고리를 사용하여 고정핀에 연결한 후, "U"자형 고리에 있는 와이어를 기중기의 훅에 연결하여 인양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기중기의 잡아당기는 힘과 파일의 무게로 인해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에 쉽게 파손되는 단점이 있고, 이로 인해 파일을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파손된 부분을 제거한 다음, 재차 홀을 가공해야 하는 등 작업성 및 경제성 측면에서 불리한 점이 있다.
또한, 파일 인양의 또 다른 방법으로서 파일의 상부에 다수 개의 브라켓을 설치한 다음에 브라켓에 있는 홀에 와이어를 연결한 후, 이 와이어를 기중기의 훅에 연결하여 인양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파일을 시공하거나 인양한 다음에는 파일에 설치되어 있는 브라켓을 절단해야 하는 작업을 추가로 해야 하므로 작업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고공에서 작업을 해야 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건설현장에서 파일을 인양할 때 파일의 상단에 볼트 체결방식으로 결합하여 파일을 손쉽고 안전하게 인양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인양기구를 구현함으로써, 파일 인양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특히 파일 인양시 안전사고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파일 인양용 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파일 인양용 기구는 파일 인양시 파일의 상단에 볼트 체결구조로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두께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다수의 볼트 체결용 홀을 가지면서 파일 상단에 밀착되는 링 모양의 결합체와, 상기 결합체의 저면에서 아래쪽을 향해 일정길이 안쪽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동시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지지대와, 상기 각 지지대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수평 원판 및 이 수평 원판의 상면에 형성되어 인양장비의 훅에 걸리는 고리 모양의 훅 걸이부를 가지면서 결합체에 일체 형성되는 연결체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체에 있는 볼트 체결용 홀과 파일의 상단에 있는 나사구멍에 볼트를 체결하여 결합한 후, 상기 연결체에 있는 훅 걸이부를 이용하여 인양장비의 훅을 걸어서 파일을 인양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체는 파일의 링모양의 단면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파일이 갖는 나사구멍의 위치와 수에 상응하는 볼트 체결용 홀을 갖도록 함으로써, 파일 제작시 내부의 철근을 고정시키고 상단의 철판을 연결하기 위해 구비되는 기존의 나사구멍을 그대로 활용하여 파일측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파일 인양용 기구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파일의 상단에 볼트 체결구조로 인양기구를 결합하여 파일을 인양하는 방식이므로, 파일 인양작업을 손쉽게 할 수 있고, 또 안전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파일에 기 형성되어 있는 나사구멍을 그대로 활용하여 인양기구를 결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추가적인 가공이나 브라켓 등의 부착없이 인양작업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등 작업의 효율성을 한층 높일 수 있다.
셋째, 볼트 체결구조로 인양기구를 결합 및 분리할 수 있으므로, 파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등 파일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파일과 인양기구를 낮은 위치에서 용이하게 결합 및 해체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파일의 상단에 볼트 체결방식으로 결합하기 때문에 시공후 조임 볼트만 해체하여 반복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고, 이동이 편리하여 원하는 장소에 신속하게 이동하여 다수의 파일 인양을 연속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 인양용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 인양용 기구와 파일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 인양용 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일 인양용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일 인양용 기구와 파일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일 인양용 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출형 타입의 파일 인양용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개략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타입의 파일 인양용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개략도이다.
상기 파일 인양용 기구는 파일(10)의 상단에 볼트로 체결하여 사용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파일(10)측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체(12)와 인양장비(13)의 훅(14)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체(16)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체(12)는 파일(10)의 단면에 대응하는 링 형태로 되어 있으며, 링의 둘레를 따라가면서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동시에 링의 두께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다수의 볼트 체결용 홀(11)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결합체(12)는 파일(10)의 상단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 체결용 홀(11)을 이용하여 파일(10)측에 볼트 체결구조로 결합된다.
예를 들면, 상기 결합체(12)는 파일(10)이 갖는 링 모양의 단면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져 있고, 이러한 결합체(12)가 갖는 볼트 체결용 홀(11)은 파일(10)의 상단에서 파일 길이방향으로 수직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나사구멍(17)에 일대일 대응되는 위치 및 수가 구비되어 있어서, 파일(10)의 상단에 결합체(12)를 꼭맞게 밀착시킨 후에 각 볼트 체결용 홀(11)과 나사구멍(17)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볼트(18)를 체결하게 되면, 파일(10)의 상단에 결합체(12)를 일체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파일(10)에 구비되는 나사구멍(17)의 경우, 파일(10)에 기 형성되어 있는 나사구멍(17), 예를 들면 파일 제작시(제품 생산시) 내부의 철근을 고정시키고 상단의 철판을 연결하기 위해 형성시켜 놓은 기존의 나사구멍(17)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체(12)에는 보강수단으로서 링 모양의 중심을 지나면서 링 모양의 내부 공간을 가로질러 형성되는 다수의 보강대(19)가 구비된다.
예를 들면, 상기 보강대(19)는 링 모양의 내측에서 "+"자 형태로 배치되어 결합체(12)의 구조적인 강성을 강화시켜주는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파일 인양용 기구는 두가지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데, 상기 결합체(12)에 일체 형성되는 연결체(16)의 형태, 훅(14)을 거는 위치 등을 달리하는 노출형 타입과 매립형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노출형 타입은 파일 인양용 기구의 연결체(16)가 파일(10)의 외측에 위치되어 있어서 파일(10)의 바깥쪽에서 인양장비(14)의 훅(14)를 걸어 사용하는 타입이다.
이를 위하여,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체(16)는 인양장비(13)의 훅(14)을 걸기 위한 부분으로서, 결합체(12)에 일체 형성되며 훅(14)을 걸 수 있는 훅 걸이부(15)를 갖추고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결체(16)는 소정의 형상을 하고 있는 판 부재로서, 결합체(12)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직경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수직으로 일정높이 세워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즉, 이때의 연결체(16)는 결합체(12)에 있는 어느 하나의 보강대(19)와 나란하게 그 윗면에서 수직으로 세워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체(16)의 중간에는 홀 모양으로 된 훅 걸이부(15)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때의 홀에 훅(14)을 걸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체(16)의 양면에는 보강대(19)측과의 사이에 세워지는 보강리브(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파일(10)의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연결체(16)는 보강리브(22)를 통해 결합체(12)측에 견고히 지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일 인양시 파일(10)의 상단에 결합체(12)를 맞춘 다음, 결합체(12)의 볼트 체결용 홀(11)과 파일(10)의 나사구멍(17)을 통해 볼트(18)를 체결하여, 파일 인양용 기구를 파일(10)측에 결합시킨 후, 기중기 등과 같은 인양장비(13)의 훅(14)을 파일 외측으로 나와 있는 연결체(16)의 훅 걸이부(15), 즉 홀에 걸고 기중기 운전을 통해 파일(10)을 인양하면, 파일 인양작업을 안전하고 손쉽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매립형 타입은 파일 인양용 기구의 연결체(16)가 파일(10)의 내측에 위치되어 있어서 파일(10)의 구멍 안쪽에서 인양장비(14)의 훅(14)를 걸어 사용하는 타입이다.
이를 위하여,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체(16)는 결합체(12)의 저면쪽으로 연장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대(20)와 훅 걸이부(15)가 있는 수평 원판(21)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때의 지지대(20)는 결합체(12)의 저면에서 아래쪽을 향해 일정길이 안쪽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동시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 원판(21)은 각 지지대(20)의 하단부와 일체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 원판(21)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훅 걸이부(15)는 고리 모양, 예를 들면 "∩"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지지대(20)들로 둘러싸여 있는 협소한 공간에서도 훅 걸이부(15)와 훅(14) 간의 체결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일 인양시 파일(10)의 상단에 결합체(12)를 맞춘 다음, 결합체(12)의 볼트 체결용 홀(11)과 파일(10)의 나사구멍(17)을 통해 볼트(18)를 체결하여, 파일 인양용 기구를 파일(10)측에 결합시킨 후, 기중기 등과 같은 인양장비(13)의 훅(14)을 파일 내측으로 들어가 있는 연결체(16)의 훅 걸이부(15), 즉 고리에 걸고 기중기 운전을 통해 파일(10)을 인양하면, 파일 인양작업을 안전하고 손쉽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파일 인양용 기구를 사용하여 파일을 인양하는 경우, 볼트 체결방식으로 파일에 파일 인양용 기구를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매우 간편할 뿐만 아니라, 다수의 볼트 체결력을 이용하여 파일과 파일 인양용 기구를 결합할 수 있으므로 파일이 대형화되면서 무게가 증가하고 또 파일의 직경이 큰 조건에서도 안전하게 파일을 인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파일 시공이나 해체를 위한 인양시 뿐만 아니라 파일의 이음작업시에도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 파일 11 : 볼트 체결용 홀
12 : 결합체 13 : 인양장비
14 : 훅 15 : 훅 걸이부
16 : 연결체 17 : 나사구멍
18 : 볼트 19 : 보강대
20 : 지지대 21 : 수평 원판
22 : 보강 리브

Claims (2)

  1. 파일 인양시 파일(10)의 상단에 볼트 체결구조로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두께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다수의 볼트 체결용 홀(11)을 가지면서 파일 상단에 밀착되는 링 모양의 결합체(12)와, 상기 결합체(12)의 저면에서 아래쪽을 향해 일정길이 안쪽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동시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지지대(20)와, 상기 각 지지대(19)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수평 원판(21) 및 이 수평 원판(21)의 상면에 형성되어 인양장비(13)의 훅(14)에 걸리는 고리 모양의 훅 걸이부(15)를 가지면서 결합체(12)에 일체 형성되는 연결체(16)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체(12)에 있는 볼트 체결용 홀(11)과 파일(10)의 상단에 있는 나사구멍(17)에 볼트(18)를 체결하여 결합한 후, 상기 연결체(16)에 있는 훅 걸이부(15)를 이용하여 인양장비(13)의 훅(14)을 걸어서 파일(10)을 인양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인양용 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체(12)는 파일(10)의 링 모양의 단면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고, 파일(10)이 갖는 나사구멍(17)의 위치와 수에 상응하는 볼트 체결용 홀(1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인양용 기구.
KR1020110027664A 2011-03-28 2011-03-28 파일 인양용 기구 KR101215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664A KR101215356B1 (ko) 2011-03-28 2011-03-28 파일 인양용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664A KR101215356B1 (ko) 2011-03-28 2011-03-28 파일 인양용 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8199A Division KR101038453B1 (ko) 2010-11-02 2010-11-02 파일 인양용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6667A true KR20120046667A (ko) 2012-05-10
KR101215356B1 KR101215356B1 (ko) 2012-12-26

Family

ID=46265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7664A KR101215356B1 (ko) 2011-03-28 2011-03-28 파일 인양용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53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345Y1 (ko) * 2012-09-14 2013-06-07 진 영 이 파일 인양구조체
KR101444135B1 (ko) * 2014-01-15 2014-09-26 대한민국 장갑차용 인양장치
KR20210068216A (ko) * 2019-11-29 2021-06-09 (주)젠텍엔지니어링 플러그 타입 리프팅 유닛을 이용한 초대구경 모노파일 조정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986B1 (ko) 2013-05-28 2014-07-08 (주)파일테크 회수 가능한 복합말뚝용 인양구와 이를 이용한 복합말뚝 매립공법
KR102070992B1 (ko) * 2017-12-18 2020-01-30 녹우건설(주) 보조파일 연결 및 해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시공 방법
KR102270545B1 (ko) 2018-01-17 2021-06-29 김민규 매립형 파일 근입 및 인양 기구 및 그 기구를 적용한 파일의 시공방법
KR102131267B1 (ko) * 2018-03-30 2020-07-07 김민규 파일 인양 장치 및 파일 인양 방법
KR102161146B1 (ko) * 2018-04-27 2020-09-29 주식회사 은명건설 파일 인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시공방법
KR20230136972A (ko) 2022-03-21 2023-10-04 백기원 회수식 phc말뚝 인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삭공 방식의 phc말뚝 시공방법
KR102430654B1 (ko) 2022-04-15 2022-08-09 (주) 성웅피앤씨 파일 인양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345Y1 (ko) * 2012-09-14 2013-06-07 진 영 이 파일 인양구조체
KR101444135B1 (ko) * 2014-01-15 2014-09-26 대한민국 장갑차용 인양장치
KR20210068216A (ko) * 2019-11-29 2021-06-09 (주)젠텍엔지니어링 플러그 타입 리프팅 유닛을 이용한 초대구경 모노파일 조정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5356B1 (ko) 2012-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5356B1 (ko) 파일 인양용 기구
KR101038453B1 (ko) 파일 인양용 기구
JP5584744B2 (ja) 吊り具装置、鉄筋籠の天端位置決め治具、鉄筋籠の吊り上げ方法、及び鉄筋籠の建込方法
US8764082B2 (en) Arrangement for lifting a tower wall portion of a wind turbine and method for lifting a tower wall portion of a wind turbine
JP5483912B2 (ja) 杭係止装置および杭係止方法
CN102900021B (zh) 一种拼装式桥梁湿接缝施工方法
CN103470093B (zh) 砼烟囱拆除方法
CN104480930B (zh) 一种灌注桩钢筋笼吊放固定施工方法
KR20170076033A (ko) 파일 인양용 기구
KR200476243Y1 (ko) 타워크레인용 앵커프레임
JP3181041U (ja) 橋梁用足場取付け部材
JP2008133596A (ja) 立坑用足場及び立坑用足場の組立・撤去方法
CN204401999U (zh) 带卸料平台的爬升式脚手架
JP6166870B2 (ja) 柱の立設方法、及び柱
KR102155651B1 (ko) 파일 인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5421805B2 (ja) 吊り具及び杭のブラケット
CN104314354A (zh) 高压电塔基座
CN205294694U (zh) 一种可移动式独立扒杆吊装装置
CN211691536U (zh) 一种清水混凝土外墙挂板简易提升机构
JP6661142B1 (ja) 吊り足場
JP3947542B2 (ja) 鉄塔の吊り上げ解体工法と同工法用塔体受け金具
KR102270545B1 (ko) 매립형 파일 근입 및 인양 기구 및 그 기구를 적용한 파일의 시공방법
KR20200114724A (ko) 파일 인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인양 방법과 파일 시공 방법
CN219449103U (zh) 一种次梁吊装装置
CN215439238U (zh) 高层建筑竖井管道吊运组合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