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1267B1 - 파일 인양 장치 및 파일 인양 방법 - Google Patents

파일 인양 장치 및 파일 인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1267B1
KR102131267B1 KR1020180037463A KR20180037463A KR102131267B1 KR 102131267 B1 KR102131267 B1 KR 102131267B1 KR 1020180037463 A KR1020180037463 A KR 1020180037463A KR 20180037463 A KR20180037463 A KR 20180037463A KR 102131267 B1 KR102131267 B1 KR 102131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lug
file
insertion groov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7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4558A (ko
Inventor
김민규
이미정
Original Assignee
김민규
이미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규, 이미정 filed Critical 김민규
Priority to KR1020180037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1267B1/ko
Publication of KR20190114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4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4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T- or I-section beams or gir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02D13/10Follow-blocks of pile-drivers or like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일 인양 장치 및 파일 인양 방법에 관한 것으로, 파일 인양 장치는, PHC 파일 또는 강관 파일에 결합되는 원판형 러그와, 상기 원판형 러그에 연결되는 인양 러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원판형 러그는, 내부에 러그홀이 형성되는 링 형상의 판으로 이루어진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서부터 상기 러그홀을 향하여 돌출되며, 하부를 향하여 열려있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부는,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1측부와, 상기 제1측부에서부터 연장되는 제1상부와, 상기 제1상부에서부터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2측부와, 상기 제2측부에서부터 하부를 향하여 경사를 형성하며 연장되는 경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파일 인양 방법은 원판형 러그 결합단계, 인양 러그 삽입 단계, 파일 인양 단계, 인양 러그 분리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파일 인양 장치 및 파일 인양 방법 {Pile lifting apparatus and Pile lifting method}
본 발명은 파일 인양 장치 및 파일 인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사부가 형성된 삽입홈이 마련된 원판형 러그와 원판형 러그에 연결되는 인양 러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경사부가 형성된 삽입홈을 통해 파일 인양 후 인양 러그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할 수 있는 파일 인양 장치 및 파일 인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 기초공사 단계에서는 지면에 여러 개의 파일을 박아서 구조물이나 건축물 등을 지지할 수 있는 파일 시공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파일 시공을 위해서는 파일을 목적하는 위치에 인양하여야 하며, 파일을 인양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과 다양한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파일 인양 방법을 살펴보면, 파일의 상단이 지면에서 노출되는 경우에는 파일의 상단에 인양 러그를 활용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구체적으로, 파일의 상단에 인양 러그를 설치하고, 인양기를 통해 파일을 인양한 후, 인양 러그를 분리하는 방법으로 파일을 인양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파일의 상단이 지면에 노출되어 있으면, 인양 러그의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기 때문에 인양 러그를 통해 파일을 인양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지면으로 파일의 상단이 노출되지 않고, 지중으로 파일을 시공할 경우에는 인양 러그를 사용하여 파일을 인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지중으로 파일을 인양할 때는 공삭공이라는 인양 방법을 사용하게 되는데, 여기서 공삭공이랑 파일이 지하로 떨어지는 거리를 말한다. 가령, 천공홀의 깊이가 40m이고, 파일의 길이가 30m라면, 파일은 천공홀의 바닥에 도달하기 위해 10m 지하로 떨어져야 하며, 공삭공은 10m가 된다. 일반적인 공삭공은 1 내지 10m이며, 길게는 15m의 공삭공이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공삭공의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파일의 상단이 지면에 노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인양 러그를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파일이 천공홀 내부로 들어가면, 파일에 결합되어 있는 인양 러그를 천공홀 내부에서 분리할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파일의 천공홀 내부에 있을 경우에는 인양 러그를 사용하기 어렵게 되며, 이 경우에는 홀치기 방법이 사용된다.
홀치기 방법은 파일의 상단에 와이어를 올가미 형식으로 묶은 다음, 와이어를 인양기에 연결하여 파일을 인양한다. 파일이 원하는 위치에 인양되면, 인양기를 통해 올가미 형태로 묶인 와이어를 풀면서 파일을 천공홀 내부로 자유 낙하시키게 된다. (와이어는 파일에 완전 결합된 것이 아닌 가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인양기를 통해 와이어를 회전시키거나 진동을 주면, 와이어가 풀리면서 파일이 자유 낙하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파일을 낙하시키게 되면, 공삭공에 의해 파일에 손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특히, 파일의 무게와 공삭공의 길이에 따라 파일의 선단부가 파손 또는 중파 되며, 이는 파일의 지지력을 하강시키게 되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또한, 공삭공의 길이가 매운 긴 경우에는 홀치기 방법을 사용하기 부적절하며, 와이어가 묶여 있는 파일부위가 변형되는 등 국부적으로 파일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사부가 형성된 삽입홈이 마련된 원판형 러그와 원판형 러그에 연결되는 인양 러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경사부가 형성된 삽입홈을 통해 파일 인양 후 인양 러그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할 수 있는 파일 인양 장치 및 파일 인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파일 인양 장치는, PHC 파일 또는 강관 파일에 결합되는 원판형 러그와, 상기 원판형 러그에 연결되는 인양 러그를 포함하며, 상기 원판형 러그는, 내부에 러그홀이 형성되는 링 형상의 판으로 이루어진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서부터 상기 러그홀을 향하여 돌출되며, 하부를 향하여 열려있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1측부와, 상기 제1측부에서부터 연장되는 제1상부와, 상기 제1상부에서부터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2측부와, 상기 제2측부에서부터 하부를 향하여 경사를 형성하며 연장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측부의 측면에는, 상기 제1측부의 하부로 연장되면서 상, 하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상기 삽입홈을 열고 닫을 수 있는 개폐부가 마련되며, 상기 개폐부의 중단부에는 힌지가 마련되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삽입홈의 외부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며, 상기 삽입홈의 내부 방향으로는 회전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파일 인양 장치의 상기 원판형 러그는 상기 강관에 용접되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본체부를 관통하며,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 개의 볼트홀이 마련되며, 상기 볼트홀은, 제1볼트홀과 상기 제1볼트홀 보다 직경이 크며, 상기 볼트의 머리부보다 직경이 크게 이루어진 제2볼트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볼트의 머리부는 상기 본체부 내부 안쪽에 매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파일 인양 장치의 상기 제1측부의 측면에는, 상기 제1측부의 하부로 연장되면서 상기 삽입홈을 열고 닫을 수 있는 개폐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개폐부의 중단부에는 힌지가 마련되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삽입홈의 외부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며, 상기 삽입홈의 내부 방향으로는 회전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파일 인양 장치의 상기 원판형 러그의 상기 결합부는, 3개 또는 4개 또는 5개 또는 6개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원판형 러그는, 3개 또는 4개 또는 5개 또는 6개로 분할되어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인양 러그는, 상기 PHC 파일 또는 강관 파일을 들어올릴 수 있는 인양기가 결합될 수 있는 인양홀이 마련되는 인양부와, 상기 인양부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결합부의 상기 삽입홈에 끼워질 수 있는 복수 개의 돌출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파일 인양 장치의 상기 돌출부의 단면은, 상기 삽입홈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출부의 측면에는 상기 경사부의 경사에 대응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이 바람직하며, 상기 인양 러그의 상기 인양부 측면에는 운반용 고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파일 인양 장치의 상기 원판형 러그의 상기 본체부 측면에는 측면볼트홀이 마련되며,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서 연장되며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볼트홀에 삽입되는 볼트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아이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파일 인양 방법은, PHC 파일 또는 강관 파일에 결합되는 원판형 러그와, 상기 원판형 러그에 연결되는 인양 러그를 포함하며, 상기 원판형 러그는, 내부에 러그홀이 형성되는 링 형상의 판으로 이루어진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서부터 상기 러그홀을 향하여 돌출되며, 하부를 향하여 열려있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1측부와, 상기 제1측부에서부터 연장되는 제1상부와, 상기 제1상부에서부터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2측부와, 상기 제2측부에서부터 하부를 향하여 경사를 형성하며 연장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양 러그는, 상기 PHC 파일 또는 강관 파일을 들어올릴 수 있는 인양기가 결합될 수 있는 인양홀이 마련되는 인양부와, 상기 인양부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결합부의 상기 삽입홈에 끼워질 수 있는 복수 개의 돌출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측부의 측면에는, 상기 제1측부의 하부로 연장되면서 상, 하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상기 삽입홈을 열고 닫을 수 있는 개폐부가 마련되며, 상기 개폐부의 중단부에는 힌지가 마련되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삽입홈의 외부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며, 상기 삽입홈의 내부 방향으로는 회전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인양 장치를 사용하는 파일 인양 방법으로서, 상기 원판형 러그를 상기 PHC 파일 또는 상기 강관 파일에 결합하는 단계; 상기 원판형 러그의 상기 삽입홈에 상기 인양 러그의 상기 돌출부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인양홀에 상기 인양기를 결합하고, 상기 PHC 파일 또는 상기 강관 파일을 인양하여, 천공홀에 상기 PHC 파일 또는 상기 강관 파일을 인양하는 단계; 상기 천공홀로 상기 PHC 파일 또는 상기 강관 파일이 인양되면, 상기 인양 러그의 상기 돌출부를 상기 삽입홈의 상기 경사부를 따라 하강시키면서 회전시켜, 상기 원판형 러그에서 상기 인양 러그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경사부가 형성된 삽입홈이 마련된 원판형 러그와 원판형 러그에 연결되는 인양 러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삽입홈의 경사부를 따라 인양 러그를 하강시키면서 분리함에 따라, 파일 인양 후 인양 러그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중에 파일을 시공할 때 파일을 자유 낙하시키지 않고 파일을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원판형 러그에 마련되어 있으며, 일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한 개폐부를 통해, 삽입홈의 경사부를 하강하면서 분리된 인양 러그가 원판형 러그에 다시 끼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판형 러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양 러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판형 러그가 분할되어 제작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양 러그의 돌출부가 원판형 러그의 삽입홈에 끼워지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합부의 제1측부에 개폐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폐부가 힌지를 통해 일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일 인양 방법의 공정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양 러그 삽입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 도 9b, 도 9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일 인양 단계 및 인양 러그 분리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경사부가 형성된 삽입홈이 마련된 원판형 러그와 삽입홈에 끼워져 원판형 러그와 연결되는 인양 러그를 통해 파일 인양 후 인양 러그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파일 인양 장치 및 파일 인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도 1b 및 도 2a,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일 인양 장치는 원판형 러그(100)와 인양 러그(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원판형 러그(100)는 본체부(110)와 결합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원판형 러그(100)는 파일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원판형 러그(100)는 PHC 파일 또는 강관 파일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파일이 PHC 파일인 경우 상기 원판형 러그(100)는 볼트 결합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파일이 강관 파일인 경우 상기 원판형 러그(100)는 강관 파일에 용접되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원판형 러그(100)의 상기 본체부(110)는 내부에 러그홀(111)이 형성되는 링 형상의 판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본체부(110)는 파일에 직접 결합되는 부분으로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판이 PHC 파일 또는 강관 파일의 상단에 결합된다. 상기 러그홀(111)은 후술할 상기 인양 러그(200)가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이 되는 것으로, 상기 인양 러그(200)는 상기 러그홀(111)을 통해 상기 원판형 러그(100) 내부로 삽입된다.
사용되는 파일이 강관 파일인 경우, 상기 원판형 러그(100)는 강관 파일에 용접되며, 상기 원판형 러그(100)의 상기 본체부(110) 하면이 강관 파일에 용접되어 상기 원판형 러그(100)가 상기 파일에 결합될 수 있다. 사용되는 파일이 PHC 파일인 경우, 상기 원판형 러그(100)는 PHC 파일에 볼트를 통해 결합되며, 상기 원판형 러그(100)의 상기 본체부(110)에 볼트홀(130)이 마련될 수 있다. 볼트는 머리부와 나사산을 갖는 볼트를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볼트는 공지된 기술인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볼트홀(130)은 상기 본체부(110)를 관통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부(110)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볼트의 나사산이 마련되어 있는 부분은 상기 볼트홀(130)을 관통하면서 PHC 파일에 연결되고, 상기 볼트의 머리부는 상기 본체부(110) 내부에 걸리면서 PHC 파일과 상기 원판형 러그(100)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볼트홀(130)은 제1볼트홀(131)과 상기 제1볼트홀(131) 보다 직경이 크며, 상기 볼트의 머리부보다 직경이 크게 이루어진 제2볼트홀(132)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볼트의 나사산이 마련되어 있는 부분은 상기 제2볼트홀(132)과 상기 제1볼트홀(131)을 통과하면서 PHC 파일의 상단까지 연결되고, PHC 파일의 상단에는 나사홈이 마련되면서 상기 볼트는 PHC 파일에 상단에 결합된다.
상기 제2볼트홀(132)은 상기 볼트의 머리부보다 직경이 크기 때문에, 상기 볼트의 머리부는 상기 제2볼트홀(132)을 통과하지만, 상기 볼트의 머리부는 상기 제1볼트홀(131) 보다 직경이 크기 때문에, 상기 볼트의 머리부는 상기 제1볼트홀(131)을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즉, 상기 볼트의 머리부는 상기 제1볼트홀(131)과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110) 내부 안쪽에 매립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볼트가 상기 본체부(110)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부(120)는 상기 본체부(110)에서부터 상기 러그홀(111)을 향하여 돌출되는 것으로, 하부를 향하여 열려있는 삽입홈(12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부(120)는 링 형상의 판으로 이루어진 상기 본체부(110)의 내주면에서부터 상기 러그홀(111)을 향하여 돌출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부(120)의 상기 삽입홈(121)은 하부를 향하여 열려 있는 것으로, 후술할 상기 인양 러그(200)의 돌출부(220)가 끼워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결합부(120)는 상기 삽입홈(121)을 형성하기 위해 제1측부(122), 제1상부(123), 제2측부(124), 경사부(1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측부(122)는 상기 본체부(110)의 내주면에서부터 돌출되면서,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것이다. 여기서,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방향은 상기 본체부(110)가 형성하는 평면에 대하여 하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러그홀(111)을 하부로 관통하는 방향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부(122)는 판형상을 이루면서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삽입홈(121)의 일측부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상부(123)는 상기 제1측부(122)에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부(110)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면서 상기 제1측부(122)의 상단에서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제1상부(123)는 상기 본체부(110)가 형성하는 평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삽입홈(111)의 상부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2측부(124)는 상기 제1상부(123)에서부터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제2측부(124)는 상기 제1측부(122)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2측부(124)는 상기 본체부(110)의 내주면에서부터 돌출되면서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제1상부(123)에서부터 연장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제1상부(123)의 일측에서는 상기 제1측부(122)가 하부로 연장되는 것이며, 상기 제1상부(123)의 타측에서는 상기 제2측부(124)가 하부로 연장되면서 'ㄷ'자 형상의 상기 삽입홈(121)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경사부(125)는 상기 제2측부(124)에서부터 하부를 향하여 경사를 형성하면서 연장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경사부(125)는 상기 제2측부(124)에서부터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되, 도 1a 및 도 1b와 같이 상기 삽입홈(121)이 형성되어 있는 방향으로 하부 경사를 형성하면서 연장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2측부(124)가 하부로 연장되는 길이는 상기 제1측부(122)가 하부로 연장되는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할 상기 인양 러그(200)가 상기 삽입홈(121)에 끼워질 때, 상기 제1측부(122)와 상기 경사부(125)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는데, 상기 제2측부(124)가 하부로 연장되는 길이가 상기 제1측부(122)가 하부로 연장되는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야 상기 제1측부(122)와 상기 경사부(125) 사이의 공간이 충분히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측부(122)와 상기 제2측부(124)는 서로 반대의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상부(123)를 중심으로 일측에 상기 제1측부(122)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제2측부(124)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1상부(123)를 중심으로 타측에 상기 제1측부(122)가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제2측부(124)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원판형 러그(100)에 형성되는 상기 결합부(120)는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는 것으로, 2개 내지 6개가 마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개 또는 4개 또는 5개 또는 6개가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원판형 러그(100)는 복수 개로 분할되어 제작될 수도 있으며, 2개 내지 6개로 분할되어 제작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개 또는 4개 또는 5개 또는 6개로 분할되어 제작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원판형 러그(100)가 분할되어 제작될 때, 분할된 상기 원판형 러그(100)의 한 조각에는 하나의 상기 결합부(12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120)의 개수에 따라 상기 원판형 러그(100)가 분할되는 개수가 정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원판형 러그(100)를 분할하여 제작하면, 제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며 상기 원판형 러그(100)의 운반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분할된 상기 원판형 러그(100)는 사용하기 전에 분할된 조각이 결합되면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도 3a 및 도 3b를 참고하면, 분할된 조각이 결합되는 분할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인양 러그(200)는 PHC 파일 또는 강관 파일을 들어올릴 수 있는 인양기(240)가 결합될 수 있는 인양홀(211)이 마련되어 있는 인양부(210)와 상기 인양부(21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결합부(120)의 상기 삽입홈(121)에 끼워질 수 있는 복수 개의 돌출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인양부(210)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인양홀(211)에 상기 인양기(240)가 결합되어 상기 인양부(210)가 들어올려질 수 있다. 상기 인양홀(211)은 상기 인양부(210)를 관통하는 구멍으로, 상기 인양홀(211)에 상기 인양기(240)의 와이어 또는 갈고리 형상의 연결장치가 끼워지면서 상기 인양기(240)에 상기 인양부(210)가 결합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원판형 러그(100)가 PHC 파일 또는 강관 파일에 결합되고, 상기 원판형 러그(100)의 상기 결합부(120)의 상기 삽입홈(121)에 상기 인양 러그(200)가 끼워지면서 결합되고, 상기 인양 러그(200)의 상기 인양홀(211)에 상기 인양기(240)가 결합되면서, PHC 파일 또는 강관 파일을 상기 인양기(240)로 인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돌출부(220)는 상기 인양부(210)에서부터 복수 개가 돌출되는 것으로, 상기 돌출부(220)의 개수는 상기 원판형 러그(100)의 상기 결합부(120)에 개수에 대응되어 형성된다. 가령, 상기 결합부(120)의 개수가 3개이면, 상기 돌출부(220)의 개수도 3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120)의 개수가 4개이면, 상기 돌출부(220)의 개수도 4개가 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20)는 상기 결합부(120)의 상기 삽입홈(121)에 끼워질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돌출부(220)의 단면은 상기 삽입홈(121)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삽입홈(121)은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 상기 돌출부(220)의 단면은 상기 삽입홈(121)의 'ㄷ'자 형상에 끼워지도록 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120)는 상기 경사부(125)가 마련되면서 상기 삽입홈(121)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돌출부(220)의 측면에는 상기 경사부(125)의 경사에 대응되는 경사면(22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돌출부(220)의 하부 측면에 상기 경사면(22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돌출부(220)에서 상기 제2측부(124) 및 상기 경사부(125)와 접촉되는 곳에 상기 경사면(22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결합부(120)에 상기 경사부(125)가 마련되고, 상기 돌출부(220)에 상기 경사면(221)이 마련됨에 따라, 상기 인양 러그(200)를 상기 원판형 러그(100)의 상기 삽입홈(121)에서 분리되도록 하강시키면, 상기 인양 러그(200)는 상기 경사부(125)를 따라 미끄러지면서 상기 삽입홈(121)에서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즉, 별도로 상기 인양 러그(200)를 상기 삽입홈(121)에서 분리하기 위한 작업이 필요하지 않은 채, 상기 인양 러그(200)를 하강시키기만 하면, 상기 인양 러그(200)의 상기 경사면(221)이 상기 경사부(125)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인양 러그(200)가 상기 삽입홈(121)에서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돌출부(220)의 상기 경사면(221)은 상기 인양 러그(200)가 상기 경사부(125)를 따라 쉽게 내려올 수 있게 안내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가령, 상기 돌출부(220)의 상기 경사면(221)이 형성되지 않은 채 직선으로 이루어져 있으면, 상기 인양 러그(200)가 상기 경사부(125)를 따라 쉽게 미끄러지지 않으면서 상기 경사부(125)에 걸릴 위험이 있다.
상기 인양 러그(200)의 상기 인양부(210) 측면에는 운반용 고리(230)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운반용 고리(230)는 상기 인양 러그(200)를 수평에서 수직으로 들거나, 수직에서 수평으로 놓을 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파일은 지면에 수평 상태로 야적될 수 있는데, 상기 운반용 고리(230)를 통해 수평 상태로 야적되어 있는 파일을 쉽게 수직으로 세울 수 있게 된다.
(상기 운반용 고리(230)는 상기 인양부(210)의 측면에 결합되는 것이다. 즉, 상기 운반용 고리(230)는 상기 인양부(210)의 무게 중심에서 벗어나 결합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운반용 고리(230)에 힘을 가하면 모멘트가 발생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인양 러그(200)를 수평에서 수직으로 세우거나, 수직에서 수평으로 놓을 때 상기 운반용 고리(230)가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원판형 러그(100)의 상기 결합부(120)에는 상기 삽입홈(121)을 열고 닫을 수 있는 개폐부(140)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측부(122)의 측면에, 상기 제1측부(122)의 하부로 연장되면서 상기 삽입홈(121)을 열고 닫을 수 있는 상기 개폐부(14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121)은 하부를 향하여 열려있되, 상기 결합부(120)에는 상기 경사부(12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삽입홈(121)에 상기 인양 러그(200)가 끼워질 수 있는 입구는 상기 제1측부(122)와 상기 경사부(125) 사이에 형성된다. (즉, 상기 삽입홈(121)은 하부를 향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열려 있으면서, 상기 제1측부(122)와 상기 경사부(125) 사이에서 입구가 형성된다.)
상기 개폐부(140)는 이와 같은 상기 삽입홈(121)의 입구를 열고 닫을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삽입홈(121)의 입구를 열고 닫을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개폐부(140)는 상기 제1측부(122)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140)를 상기 제1측부(122)에 대하여 하부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상기 삽입홈(121)의 입구를 닫을 수 있게 되고, 상기 개폐부(140)를 상기 제1측부(122)에 대하여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 시키면, 상기 삽입홈(121)의 입구를 열 수 있게 된다.
상기 개폐부(140)를 통해 상기 인양 러그(200)의 상기 돌출부(220)가 상기 삽입홈(121)에 끼워졌을 때, 상기 돌출부(220)가 상기 삽입홈(121)에서 분리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상기 인양 러그(200)의 상기 돌출부(220)를 상기 삽입홈(121)에 끼울때는 상기 개폐부(140)를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상기 삽입홈(121)의 입구를 열고, 상기 인양 러그(200)의 상기 돌출부(220)가 상기 삽입홈(121)에 끼워지면, 상기 개폐부(140)를 하부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상기 삽입홈(121)의 입구를 닫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개폐부(140)의 중단부에는 힌지(141)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개폐부(140)는 상기 힌지(141)를 중심으로 상기 삽입홈(121)의 외부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며, 상기 삽입홈(121)의 내부 방향으로는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인양 러그(200)를 통해 파일을 인양하고 난 이후에는, 상기 인양 러그(200)를 상기 원판형 러그(100)의 상기 삽입홈(121)으로부터 분리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인양 러그(200)를 하강시키면 상기 경사부(125)를 따라 상기 인양 러그(200)가 분리될 수 있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인양 러그(200)가 상기 개폐부(140)에 걸리면서 상기 인양 러그(200)가 분리되지 못할 위험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개폐부(140)의 중단부에는 상기 힌지(141)를 마련한다. 상기 힌지(141)는 상기 개폐부(140)를 상기 삽입홈(121)이 형성되어 있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인양 러그(200)가 상기 개폐부(140)를 밀면, 상기 개폐부(140) 회전되면서 상기 삽입홈(121)의 입구가 열리면서 상기 인양 러그(200)가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인양 러그(200)가 분리된 이후에는, 상기 삽입홈(121)에 다시 끼워지지 않은채 상기 러그홀(111)을 통해 빠져나와야 한다. 상기 개폐부(140)의 상기 힌지(141)는 상기 삽입홈(121)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인양 러그(200)가 다시 상기 삽입홈(121)에 끼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힌지(141)를 통해 상기 개폐부(140)는 상기 삽입홈(121)이 형성되어 있는 방향으로 회전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삽입홈(121)에서 분리된 상기 인양 러그(200)는 상기 삽입홈(121) 내부로 들어갈 수 없게 된다. 즉, 상기 개폐부(140)는 상기 인양 러그(200)가 상기 삽입홈(121)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삽입홈(121)으로 끼워지는 방향으로는 회전이 불가능하므로, 상기 인양 러그(200)가 상기 삽입홈(121)으로부터 분리된 이후, 상기 개폐부(140)에 의해 다시 상기 삽입홈(121)으로 끼워지지 않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일 인양 장치를 사용하여 파일 인양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후술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일 인양 방법에 사용되는 파일 인양 장치는 상술한 파일 인양 장치와 동일한 것이기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일 인양 방법은 원판형 러그 결합단계(S100), 인양 러그 삽입단계(S200), 파일 인양 단계(S300), 인양 러그 분리단계(S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파일(160)은 PHC 파일 또는 강관 파일이 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 상기 파일(160)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원판형 러그 결합단계(S100)는 상기 원판형 러그(100)를 상기 파일(160)에 결합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파일(160)은 PHC 파일일 수도 있으며, 강관 파일일 수 있다. 상기 파일(160)이 PHC 파일인 경우, 상기 볼트와 상기 볼트홀(130)을 통해 상기 원판형 러그(100)가 상기 파일(16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볼트는 상기 제1볼트홀(131)과 상기 제2볼트홀(132)을 통해 상기 본체부(110) 내부 안쪽에 매립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파일(160)이 강관 파일인 경우, 상기 원판형 러그(100)는 용접을 통해 상기 파일(16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인양 러그 삽입단계(S200)는 상기 원판형 러그(100)에 상기 인양 러그(200)를 연결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양 러그(200)의 상기 돌출부(220)를 상기 원판형 러그(100)의 상기 결합부(120)의 상기 삽입홈(121)에 끼움으로써 상기 인양 러그(200)를 상기 원판형 러그(100)에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먼저, 도 8(a)를 참조하면, 상기 인양 러그(200)를 상기 원판형 러그(100)의 상기 러그홀(111)을 통과시키면서 상기 원판형 러그(100) 하부로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인양 러그(200)의 상기 돌출부(220)가 상기 결합부(120)에 부딪히지 않도록, 상기 인양 러그(200)를 회전시켜 넣는다.
이후, 도 8(b), 도 8(c)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인양 러그(200)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돌출부(220)가 상기 삽입홈(121)에 끼워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결합부(120)의 상기 제1측부(122)에 상기 개폐부(140)가 마련되어 있다면, 상기 개폐부(140)를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서 상기 삽입홈(121)을 열고, 그 이후에 상기 인양 러그(200)의 상기 돌출부(220)를 상기 삽입홈(121)에 끼워지도록 한다.
상기 돌출부(220)가 상기 삽입홈(121)에 끼워지고 나면, 상기 개폐부(140)를 하부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서 상기 삽입홈(121)이 입구를 닫아, 상기 인양 러그(200)가 상기 원판형 러그(10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원판형 러그 결합단계(S100)와 인양 러그 삽입단계(S200)는 상기 파일(160)이 지면에 야적된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운반용 고리(230)를 이용하여 상기 파일(160)을 지면에 야적시킬 수 있다.) 상기 원판형 러그 결합단계(S100)와 인양 러그 삽입단계(S200)는 상기 파일(160)이 수평상태로 야적된 상태로 놓여 있는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작업의 편의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도 9a를 참조하면, 상기 파일 인양 단계(S300)는 상기 인양홀(211)에 상기 인양기(240)를 결합하고, 상기 인양기(240)를 통해 상기 파일(160)을 인양하여, 천공홀(250)에 상기 파일(160)을 인양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천공홀(250)의 깊이는 상기 파일(160)의 길이보다 깊게 형성되는 것으로, 공삭공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천공홀(250)에는 상기 천공홀(250)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케이싱(251) 등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천공홀(250)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파일(160)은 PHC 파일 또는 강관 파일일 수 있다. 상기 천공홀(250)의 위치는 상기 파일(160)이 설치되며, 상기 파일(160)이 인양되어야 하는 위치이다.)
상기 인양 러그 분리단계(S400)는 상기 천공홀(250)로 상기 파일(160)이 인양되면, 상기 인양 러그(200)의 상기 돌출부(220)를 상기 삽입홈(121)의 상기 경사부(125)를 따라 하강시키면서 회전시켜, 상기 원판형 러그(100)에서 상기 인양 러그(200)를 분리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파일(160)이 상기 천공홀(250) 바닥까지 인양되면, 도 9b와 같이 상기 인양 러그(200)를 조금 더 하강시킨다. 상기 파일(160)이 상기 천공홀(250) 바닥에 맞닿아 있기 때문에, 상기 인양 러그(200)를 하강시키면, 상기 인양 러그(200)의 상기 돌출부(220)는 상기 결합부(120)의 상기 경사부(125)를 따라서 하강하게 되면서, 회전하여 상기 삽입홈(121)에서 분리된다. 이때,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돌출부(220)의 상기 경사면(221)이 상기 경사부(125)를 따라서 미끄러지면서 상기 돌출부(220)는 상기 삽입홈(121)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결합부(120)의 상기 제1측부(122)에 상기 개폐부(140)가 마련되어도, 상기 개폐부(140)는 상기 삽입홈(121)이 형성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인양 러그(200)의 상기 돌출부(220)는 상기 개폐부(140)를 밀면서(회전시키면서) 상기 삽입홈(121)에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인양 러그(200)의 상기 돌출부(220)가 상기 원판형 러그(100)의 상기 삽입홈(121)에서 분리되면, 도 9c와 같이 상기 인양기(240)를 통해 상기 인양 러그(200)를 끌어올린다. 이때, 상기 개폐부(140)가 없다면, 상기 인양 러그(200)의 상기 돌출부(220)가 상기 삽입홈(121)에 다시 삽입되거나, 상기 결합부(120)에 걸릴 위험이 있다. 그러나 상기 결합부(120)의 상기 제1측부(122)에는 상기 삽입홈(121)이 형성된 방향으로 회전이 불가능한 상기 개폐부(140)가 마련되었기 때문에, 상기 인양기(240)로 상기 인양 러그(200)를 끌어 올릴 때 상기 돌출부(220)가 상기 삽입홈(121)에 다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개폐부(140)는 상기 삽입홈(121)이 형성된 방향으로 회전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돌출부(220)가 상기 개폐부(140)를 밀면서 상기 삽입홈(121)에 끼워질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인양기(240)를 통해 상기 인양 러그(200)를 끌어올리면, 공삭공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천공홀(250)에 상기 파일(160)을 자유 낙하시키지 않고 상기 파일(160)을 시공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상기 파일(160)의 자유 낙하에 의해 상기 파일(16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일 인양 장치 및 파일 인양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종래에는 지면으로 파일의 상단이 노출되지 않고, 천공홀 내부인 지중으로 파일을 시공하는 경우에 파일을 자유 낙하시켜 시공함에 따라 파일의 선단부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일 인양 장치 및 파일 인양 방법은 상기 원판형 러그(100)의 상기 결합부(120)에 상기 경사부(125)를 마련함에 따라, 상기 인양 러그(200)를 상기 삽입홈(121)에 끼워서 상기 파일을 인양할 수 있고, 상기 인양 러그(200)를 상기 삽입홈(121)에서 분리할 때는, 상기 경사부(125)를 따라 상기 인양 러그(200)는 하강시키면서, 상기 인양 러그(200)를 상기 삽입홈(121)에서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천공홀 내부인 지중에 파일을 시공할 경우 파일을 자유 낙하시키지 않아도 됨에 따라 파일의 선단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파일 시공 현장에서의 소음, 진동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파일의 선단부의 손상이 없어짐에 따라 파일의 선단부 손상 여부를 추가적으로 검사하는 작업이 생략되어, 작업 공정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원판형 러그(100)의 상기 결합부(120)의 상기 제1측부(122)에 마련되어 있으며, 일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한 상기 개폐부(140)를 통해, 상기 삽입홈(121)의 상기 경사부(125)를 하강하면서 분리된 상기 인양 러그(200)가 상기 삽입홈(121)에 다시 끼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일 인양 장치는 다음과 같이 변형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일 인양 장치는 아이볼트(18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원판형 러그(100)의 상기 본체부(110) 측면에는 측면볼트홀(17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아이볼트(180)는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결부(181)와 상기 연결부(181)에서부터 연장되며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볼트홀(170)에 삽입되는 볼트부(18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180)의 측면에는 외부를 향하여 열려 있는 상기 측면볼트홀(170)이 마련될 수 있고, 상기 볼트부(182)가 상기 측면볼트홀(170)에 결합되면서 상기 아이볼트(180)가 상기 본체부(18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아이볼트(180)는 상기 원판형 러그(100)의 무게로 인하여 상기 원판형 러그(100)를 이동시키지 못할 때, 중장비를 이용하여 상기 원판형 러그(100)를 이동시키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볼트부(182)를 통해 상기 아이볼트(180)를 상기 측면볼트홀(170)에 결합시키고,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아이볼트(180)의 상기 연결부(181)에 중장비를 체결하면, 중장비를 통해 상기 원판형 러그(10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원판형 러그 110...본체부
111...러그홀 120...결합부
121...삽입홈 122...제1측부
123...제1상부 124...제2측부
125...경사부 130...볼트홀
131...제1볼트홀 132...제2볼트홀
140...개폐부 150...분할부
160...파일 170...측면볼트홀
180...아이볼트 181...연결부
182...볼트부 200...인양 러그
210...인양부 211...인양홀
220...돌출부 221...경사면
230...운반용 고리 240...인양기
250...천공홀 251...케이싱
S100...원판형 러그 결합단계
S200...인양 러그 삽입단계
S300...파일 인양 단계
S400...인양 러그 분리단계

Claims (11)

  1. PHC 파일 또는 강관 파일을 인양하기 위한 인양 장치에 있어서,
    PHC 파일 또는 강관 파일에 결합되는 원판형 러그와, 상기 원판형 러그에 연결되는 인양 러그를 포함하며,
    상기 원판형 러그는,
    내부에 러그홀이 형성되는 링 형상의 판으로 이루어진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서부터 상기 러그홀을 향하여 돌출되며, 하부를 향하여 열려있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1측부와, 상기 제1측부에서부터 연장되는 제1상부와, 상기 제1상부에서부터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2측부와, 상기 제2측부에서부터 하부를 향하여 경사를 형성하며 연장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측부의 측면에는,
    상기 제1측부의 하부로 연장되면서 상, 하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상기 삽입홈을 열고 닫을 수 있는 개폐부가 마련되며,
    상기 개폐부의 중단부에는 힌지가 마련되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삽입홈의 외부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며, 상기 삽입홈의 내부 방향으로는 회전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인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형 러그는 상기 강관에 용접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인양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본체부를 관통하며,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 개의 볼트홀이 마련되며,
    상기 볼트홀은, 제1볼트홀과 상기 제1볼트홀 보다 직경이 크며, 상기 볼트의 머리부보다 직경이 크게 이루어진 제2볼트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볼트의 머리부는 상기 본체부 내부 안쪽에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인양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형 러그의 상기 결합부는, 3개 또는 4개 또는 5개 또는 6개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원판형 러그는, 3개 또는 4개 또는 5개 또는 6개로 분할되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인양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 러그는,
    상기 PHC 파일 또는 강관 파일을 들어올릴 수 있는 인양기가 결합될 수 있는 인양홀이 마련되는 인양부와,
    상기 인양부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결합부의 상기 삽입홈에 끼워질 수 있는 복수 개의 돌출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인양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단면은, 상기 삽입홈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출부의 측면에는 상기 경사부의 경사에 대응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인양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 러그의 상기 인양부 측면에는 운반용 고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인양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형 러그의 상기 본체부 측면에는 측면볼트홀이 마련되며,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서 연장되며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볼트홀에 삽입되는 볼트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아이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인양 장치.
  11. PHC 파일 또는 강관 파일에 결합되는 원판형 러그와, 상기 원판형 러그에 연결되는 인양 러그를 포함하며,
    상기 원판형 러그는, 내부에 러그홀이 형성되는 링 형상의 판으로 이루어진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서부터 상기 러그홀을 향하여 돌출되며, 하부를 향하여 열려있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1측부와, 상기 제1측부에서부터 연장되는 제1상부와, 상기 제1상부에서부터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2측부와, 상기 제2측부에서부터 하부를 향하여 경사를 형성하며 연장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양 러그는, 상기 PHC 파일 또는 강관 파일을 들어올릴 수 있는 인양기가 결합될 수 있는 인양홀이 마련되는 인양부와, 상기 인양부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결합부의 상기 삽입홈에 끼워질 수 있는 복수 개의 돌출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측부의 측면에는,
    상기 제1측부의 하부로 연장되면서 상, 하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상기 삽입홈을 열고 닫을 수 있는 개폐부가 마련되며,
    상기 개폐부의 중단부에는 힌지가 마련되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삽입홈의 외부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며, 상기 삽입홈의 내부 방향으로는 회전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인양 장치를 사용하는 파일 인양 방법으로서,
    상기 원판형 러그를 상기 PHC 파일 또는 상기 강관 파일에 결합하는 단계;
    상기 원판형 러그의 상기 삽입홈에 상기 인양 러그의 상기 돌출부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인양홀에 상기 인양기를 결합하고, 상기 PHC 파일 또는 상기 강관 파일을 인양하여, 천공홀에 상기 PHC 파일 또는 상기 강관 파일을 인양하는 단계;
    상기 천공홀로 상기 PHC 파일 또는 상기 강관 파일이 인양되면, 상기 인양 러그의 상기 돌출부를 상기 삽입홈의 상기 경사부를 따라 하강시키면서 회전시켜, 상기 원판형 러그에서 상기 인양 러그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인양 방법.
KR1020180037463A 2018-03-30 2018-03-30 파일 인양 장치 및 파일 인양 방법 KR102131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463A KR102131267B1 (ko) 2018-03-30 2018-03-30 파일 인양 장치 및 파일 인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463A KR102131267B1 (ko) 2018-03-30 2018-03-30 파일 인양 장치 및 파일 인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558A KR20190114558A (ko) 2019-10-10
KR102131267B1 true KR102131267B1 (ko) 2020-07-07

Family

ID=68206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7463A KR102131267B1 (ko) 2018-03-30 2018-03-30 파일 인양 장치 및 파일 인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12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1658A (ko) 2020-10-19 2022-04-26 김형민 파일 인양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1094B1 (ko) * 2019-11-29 2022-07-13 (주)삼일씨엔에스 인양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399545B1 (ko) * 2021-11-25 2022-05-18 주식회사 특허기술하림엔지니어링 파일용 인양 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2399A (ja) * 2000-03-30 2009-03-12 Kubota Corp 鋼管建込み用治具および鋼管沈設方法
KR101215356B1 (ko) * 2011-03-28 2012-12-26 이규철 파일 인양용 기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6017B2 (ja) * 1992-11-20 2001-04-16 株式会社竹中工務店 高耐力場所打ちコンクリート杭等の締固め杭の貫入方法
JPH07279173A (ja) * 1994-04-06 1995-10-24 Norimitsu Okumura 鋼管回転式圧入杭工法の補助具
KR100352982B1 (ko) * 1999-12-23 2002-09-18 이기홍 비틀림 방지 기능 및 소음방지 기능을 갖는 항타기용 말뚝캡
KR101311803B1 (ko) * 2012-02-07 2013-09-25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요철면이 구비된 언디피닝용 원심성형 콘크리트 튜브를 이용한 슬러리월 언더피닝 공법
KR101800327B1 (ko) * 2015-12-24 2017-11-22 이미정 파일 인양용 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2399A (ja) * 2000-03-30 2009-03-12 Kubota Corp 鋼管建込み用治具および鋼管沈設方法
KR101215356B1 (ko) * 2011-03-28 2012-12-26 이규철 파일 인양용 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1658A (ko) 2020-10-19 2022-04-26 김형민 파일 인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558A (ko) 2019-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1267B1 (ko) 파일 인양 장치 및 파일 인양 방법
JP5994035B1 (ja) 杭孔用貫入試験装置及び杭施工管理方法
JP6329590B2 (ja) 杭施工管理方法
US11713628B2 (en) Wheel assembly
WO2017110314A1 (ja) 杭施工管理方法
US7497268B1 (en) Drill pipe elevators and methods of moving drill pipe
US7677322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low drag flotation system
KR101672359B1 (ko) 지반 보강용 앙카 파일 시공방법
US8496058B2 (en) Well fishing method and system
CA2697838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otary mining
US330133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ep sea bottom core sampling
US4637757A (en) Barbed anchor pile
KR101263944B1 (ko) 천공장비
JP6588585B2 (ja) 杭施工管理方法
KR102407138B1 (ko) 파일 인양장치
JP6047257B1 (ja) 杭孔用貫入試験機及び杭施工管理方法
JPS5824594B2 (ja) 掘削機
JP6932022B2 (ja) 熱交換パイプの埋設装置、熱交換パイプの埋設方法および熱交換パイプの埋設用治具
NL201820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abilizing a foundation of a building
KR101599381B1 (ko) 강관말뚝 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292752B1 (ko) 이중관 멀티 케이싱 및 시공방법
KR102602249B1 (ko) 케이싱용 phc파일 근입 가이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JP2015113876A (ja) 地中埋設資材埋設工法
US1042861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ithdrawing cores from drilled holes
JP2019094742A (ja) 杭の撤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