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1094B1 - 인양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인양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11094B1 KR102411094B1 KR1020190157135A KR20190157135A KR102411094B1 KR 102411094 B1 KR102411094 B1 KR 102411094B1 KR 1020190157135 A KR1020190157135 A KR 1020190157135A KR 20190157135 A KR20190157135 A KR 20190157135A KR 102411094 B1 KR102411094 B1 KR 1024110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fting structure
- pile
- inclined surface
- lifting
- support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66C1/42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ctuated by lifting for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66C1/44—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nd applying frictional forces
- B66C1/4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nd applying frictional forces actuated by lifting fo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양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인양구조체는 견인장치의 훅과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단부로부터 지름방향으로 대향되어 연장 형성되며 상부에 형성된 제1 경사면을 포함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경사면에 대응하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상부로 전달되는 힘을 매개하는 고리 형상의 제2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양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파일은 토목 기초공사 단계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지면에 복수 개가 설치되어 구조물이나 건축물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구조물 또는 건축물의 구성요소이다.
파일은 그 길이와 무게로 인하여 견인장치에 의하여 이를 인양하여 정해진 홀에 삽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파일의 인양에 있어서는 시공성과 안정성이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상기 파일의 인양을 위해서 다양한 방법이나 장치 등이 제시되어 있으며, 그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방법으로 홀치기 방법이 있다. 홀치기 방법은 지면에 고정된 파일의 상부를 와이어를 이용하여 올가미 형식으로 묶은 후, 와이어를 기중기의 훅에 연결하여 인양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홀치기 방법은 파일의 직경이 대형이거나 파일의 길이가 길 경우 설치하기 매우 곤란하여 사용이 불가능하고, 와이어가 묶여 있는 파일부위가 변형되는 등 국부적으로 파일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으며, 파일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도포한 방청제가 와이어에 의해 벗겨지면서 표면 산화 등으로 인해 파일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작업자의 부주의나 과실에 의해 와이어의 매듭이 풀어지는 경우가 빈번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다.
이 외에 파일을 인양하기 위한 장치는 파일의 직경보다 크게 구비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파일의 직경에 맞게 형성된 지반의 구멍에 안정적으로 삽입하기 어렵다. 뿐만 아니라 위와 같은 경우, 지반의 구멍에 파일의 연속된 삽입에 있어서 파일 간 부딪힘으로 인해 파일이 손상될 위험성이 매우 큰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파일의 지지판의 변형 등 시공조건이 변하여도 파일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인양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양구조체는 견인장치의 훅과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단부로부터 지름방향으로 대향되어 연장 형성되며 상부에 형성된 제1 경사면을 포함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경사면에 대응하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상부로 전달되는 힘을 매개하는 고리 형상의 제2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부에 형상된 제1 경사면과 상기 제1 경사면에 인접한 상기 몸체의 측면은 예각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인양시 요동이 가능하도록 그 내경이 동일 높이에서의 몸체의 폭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부와는 다른 각도의 지름방향으로 대향되어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와 상부에 형성된 제3경사면을 포함하는 보조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체결부와 상기 하단부 사이에 형성된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보조몸체는 상기 삽입홈을 통하여 상기 몸체와 결합하되 상기 몸체의 하단부에 대하여 하부가 개방된 갈고리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보조몸체가 상기 보조몸체의 연장부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요동이 가능하도록 하부보다 상부가 넓은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양구조체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상기 인양구조체의 체결부에 인장스프링의 일단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인장스프링을 상기 파일의 길이방향을 관통하는 형태로 배치한 후 상기 인장스프링의 타단을 파일의 선단으로 인출하는 단계; 상기 인장스프링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지지부가 상기 파일 선단의 지지부와 인접하도록 상기 인양구조체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인장스프링을 상기 인양구조체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인양구조체에 견인장치의 훅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양구조체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인장스프링의 일단과 타단을 각각 미리 정해진 길이의 인장되지 않는 선과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인양구조체에 견인장치의 훅의 결합은 반자동 샤클을 매개로 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반자동 샤클에는 반자동 샤클의 결속이 해제하기 위한 결속해제선이 결합되며, 상기 견인장치가 파일을 인양하여 시공홀로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결속해제선에 힘을 인가하여 반자동 샤클의 결속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결속해제선은 반자동 샤클에 구비된 삽입피스톤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양구조체는, 파일의 지지판의 변형을 최소화함으로써, 국부적 파일의 손상을 최소화함으로써 설치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공레벨과 기초저면의 고저차와 좁은 시공홀이 형성되는 시공조건에서도 파일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일 설치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의 위험성과, 파일의 설치시간 및 시공난이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상술한 내용과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인양구조체와 파일의 단면을 함께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양구조체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양구조체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기술에 의한 인양구조체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양구조체를 비교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인양구조체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양구조체의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양구조체의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인양구조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인양구조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양구조체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양구조체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기술에 의한 인양구조체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양구조체를 비교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인양구조체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양구조체의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양구조체의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인양구조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인양구조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일반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나 단어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이 실현되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전부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및 응용 가능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인양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인양구조체와 파일의 단면을 함께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파일(10)은 원통형상으로 길게 형성되며 그 상부에는 파일지지부(12)가 결합되어 있다.
파일지지부(12)는 파일(10)의 내측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파일지지부(12)는 파일(10)의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인양구조체(100)가 파일지지부(12)를 통하여 파일(10)을 인양할 때에 인양구조체(10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하여 파일지지부(12)가 변형되더라도 인양구조체(100)가 파일(10) 선단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면에 명확히 표시되지는 않았으나, 파일(10)의 양단에는 각각의 파일지지부가 파일(10)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각각의 파일지지부의 중앙에 형성된 홀의 지름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파일(10)의 선단에 위치한 파일지지부(12)는 인양구조체(100)의 몸체(110)와는 간섭하지 않는 정도의 지름으로 형성된 중앙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인양구조체(100)에 인가되는 외력은 와이어(320)에 의하여 전달되며 와이어(320)는 인양구조체(100)에 형성된 체결부(112)를 통하여 인양구조체(100)와 결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양구조체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양구조체(100)는 몸체(110), 제1 지지부(120) 및 제2 지지부(130)를 포함한다.
몸체(110)는 납작한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110)의 상부에는 견인장치(300)의 훅과 결합되는 체결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112)는 훅이 통과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의 원형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몸체(110)의 하단부(114)는 외측, 즉, 지름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지지부(120)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지지부(120)는 몸체(110)의 하단부(114)로부터 지름방향으로 대향되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부(120)는 상부에 제1 경사면(122)을 포함한다. 제1 경사면(122)은 파일지지부(12)의 경사에 대응하는 경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경사면(122)은 제2 지지부(130)를 통하여 파일지지부(12)와 접촉되는 면을 최대한 넓게하여 안정적인 인양작업을 유도할 수 있다.
제2 지지부(130)는 몸체(110)를 일부 관통하여 상기 몸체(110)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지지부(130)는 제1 지지부(120)의 상부, 그리고 몸체(110)의 외측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지지부(130)는 고리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으로부터 외주면에 이르는 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부(130)의 경사는 제1 지지부(120)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경사면(122), 제2 경사면(132), 파일지지부(12)의 경사는 모두 동일한 정도의 경사일 수 있다. 그 결과 제1 경사면(122)과 제2 경사면(132) 또는 제2 경사면(132)과 파일지지부(12)가 접촉하는 면적이 크게 늘어나게 되어 견인장치(300)에 기인한 하중이 고르게 분산될 수 있다.
제2 지지부(130)는 제1 지지부(120)로부터 상부로 전달되는 힘을 매개한다. 견인장치(300)로부터 와이어(320)를 통하여 전달된 힘은 체결부(112)를 통하여 몸체(110)에 전달된다. 이 힘은 다시 제1 지지부(120)에 전달되고, 제2 지지부(130)를 통하여 파일지지부(12)로 전달됨으로써 결과적으로 파일(10)을 인양할 수 있게 된다.
제2 지지부(130)는 그 내경이 동일 높이에서의 몸체(110)의 폭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2 지지부(130)의 내측과 몸체(110) 사이에 어느 정도 여백을 두는 것인데, 이는 인양시 파일(10)을 수평방향으로부터 수직하게 세우는 과정에서 지나치게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제2 지지부(130)가 몸체(110)에 대하여 어느 정도 요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양구조체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기술에 의한 인양구조체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양구조체를 비교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양구조체(100)는 몸체(110)의 측면과 제1 지지부(120)의 상부에 형성된 제1 경사면(122)이 예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 지지부(130)는 수평면에 대하여 상기 예각과 동일한 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은 파일지지부(12)의 구조적 변형에 대하여 유연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4의 (가)는 종래기술에 의한 인양구조체와 변형되지 않거나(a), 변형된(b, c) 파일지지부(12)의 체결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양구조체(100)와 변형되지 않거나(a’) 변형된(b’, c’) 파일지지부(12)의 체결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종래기술에 의한 인양구조체에 의하면 파일지지부(12)가 변형되지 않거나(a), 균일하게 변형된 경우(c)에는 적용되는 하중이 고르게 분산되는 반면, 파일지지부(12)가 비대칭적으로 변형된 경우(b) 에는 적용되는 하중이 고르지 않게 인가된다. 이에 따라, 구조적 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할 가능성이 존재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양구조체(100)를 이용하는 경우, 종래기술에 비하여, 파일지지부(12)가 변형되지 않거나(a’), 균일하게(c’) 혹은 비대칭적으로 변형된 경우(b’)에도 하중이 비교적 고르게 분산되어 안정적인 인양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인양구조체(100)의 제2 지지부(130)는 파일지지부(12)와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어, 파일지지부(12)의 일면과 넓은 접촉면을 갖는다. 이 경우, 실질적으로 파일지지부(12)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는 것과 같은 효과가 발생되므로, 인양구조체(100)의 하중이 편중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파일지지부(12)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인양구조체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양구조체의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양구조체(100)는 몸체(110), 제1 지지부(120), 제2 지지부(130) 및 보조몸체(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지지부(120)와 제2 지지부(130)는 상술한 설명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실시에에서 몸체(110)는 삽입홈(116)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홈(116)은 체결부(112)와 하단부(114)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도 5 및 도 6에서는 직사각형의 홈으로 도시되었다.
보조몸체(140)는 개방부위가 하부를 바라보는 ‘ㄷ’자 형태로 형성되며 양측 지름방향으로는 대향되어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150)가 형성된다.
보조몸체(140)는 삽입홈(116)을 통하여 몸체(110)와 결합되며, 몸체(110)의 하단부(114)에 대하여 하부가 개방된 갈고리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방식에 따라 보조몸체(140)는 몸체(110)와 직교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보조몸체(140)에 형성된 연장부(150)의 상부에는 제3경사면(152)이 형성될 수 있다. 제3경사면(152)의 구조 및 역할은 제1 경사면(122)과 동일한 것이며, 단지 다른 각도에서 제2 지지부(130)를 지지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것이다.
보조몸체(140)가 도입된 인양구조체(100)는 인양시 가해지는 하중을 더욱 안정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양구조체의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에 도시된 인양구조체(100)와 도 4에 도시된 인양구조체(100)의 차이점은 삽입홈(116)의 형상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양구조체(100)에서, 삽입홈(116)은 보조몸체(140)가 보조몸체(140)의 연장부(150)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요동이 가능하도록 하부가 상부보다 넓은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삽입홈(116)은 보조몸체(140)에 대하여 어느 정도 기울어짐을 허용하여 인양시 파일(10)을 수평방향으로부터 수직하게 세우는 과정에서 지나치게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보조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인양구조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인양구조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인양구조체(100)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S210단계에서, 사용자는 파일(10)의 선단을 통하여 가이드선을 인입시킨 뒤, 가이드선이 파일(10)의 길이방향을 관통하는 형태로 배치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인양구조체(100)의 체결부(112)를 가이드선의 일단이 결합한다. 이때, 가이드선은 파일(1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탄성을 가진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인장스프링은 그 자체의 인장력을 이용하기보다 그 구조적 안정성을 이용하여 인장스프링의 타단이 파일(10)을 관통하여 선단으로 안정적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입되었다.
다만, 인장스프링은 가이드선에 대한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이드선이 인장스프링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시공방법에서, 인장스프링의 일단 및 타단에는 미리 정해진 길이의 인장되지 않는 선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인장되지 않는 선은 예를 들어 금속성분이 포함된 강선일 수 있다. 미리 정해진 길이는 예를 들어, 파일(10)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 또는 그와 대등한 정도의 길이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인장스프링의 최대인장길이는 한정되어, 인장스프링이 늘어나지 않거나 또는 늘어나더라도 지나치게 늘어나지 않을 수 있다.
이어서, S220단계에서, 사용자는 인장스프링을 잡아당겨, 인양구조체(100)를 파일(10)의 선단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파일(10)의 선단은 파일지지부(12)가 결합된 파일(10)의 일단이며 인양구조체(100)가 파일(10)을 인양하기 위하여 힘을 전달하는 위치이다. 인양구조체(100)는 그 너비가 파일지지부(12)의 내경보다 크기 때문에 이러한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인양구조체(100)의 제2 지지부(130)의 상부면은 파일지지부(12)의 하부면과 맞닿을 수 있다.
이어서, S230단계에서, 사용자는 인장스프링을 인양구조체(100)로부터 분리한다. 인장스프링은 인양구조체(100)를 파일(10) 내부로 삽입하여 적절한 위치로 배치시킴으로써 그 역할을 마친다.
이어서, S240단계에서, 사용자는 인양구조체(100)에 견인장치(300)의 훅을 결합한다. 인양구조체(100)와 견인장치(300)는 반자동 샤클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결합을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양구조체(100)의 체결부(112)는 반자동 샤클을 매개로 하여 와이어(320) 일단의 훅과 결합할 수 있다. 즉, 반자동 샤클을 구성하는 삽입피스톤의 전진 후퇴에 따라 체결부 및 견인장치(300)의 훅과 결속되거나 해제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파일(10)은 시공홀을 통하여 시공레벨(A)로부터 기초저면(B)을 거쳐 굴착저면(C)까지 삽입될 수 있다. 파일(10)이 안정적으로 삽입되면, 사용자는 견인장치(300)와 인양구조체(100)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이때, 견인장치(300)와 인양구조체(100)의 결합은 반자동 샤클의 결속해제장치를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게 해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양구조체(100)와 와이어(320)는 반자동 샤클(330)에 의하여 그 결합이 매개될 수 있다. 이때, 반자동 샤클(330)에는 결속해제선(340)이 결합될 수 있다. 결속해제선(340)은 반자동 샤클(330)의 피스톤을 후퇴방향으로 끌어당기기 위한 것으로 일정 수준 이상의 힘이 가하여 지면 피스톤이 후퇴하여 결속이 해제될 수 있다. 즉, 파일을 굴착저면(C)까지 인양한 후 결속해제선(340)을 일정 수준 이상의 힘으로 잡아당기기만 하면 와이어(320)와 인양구조체(100)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시공방법은 결속해제선(340)을 끌어당겨 반자동 샤클(330)의 결속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특히 기초저면이 아닌 시공레벨에서 작업해야 하는 상황에서 유리하게 작용한다.
이에 대하여 설명하면, 시공레벨(A)에서 인양작업을 수행할 경우 파일(10) 삽입 후 인양구조체(100)는 대략 기초저면(B)에 위치되는데 시공레벨(A)과 기초저면(B)의 고저차와 좁은 시공홀의 너비로 인하여 인양구조체(100)와 와이어(320)의 결속의 해제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결속해제선(340)을 끌어당기는 작업만으로도 상기 결속을 쉽게 해제할 수 있어 시공작업을 매우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인양구조체 110: 몸체
112: 체결부 114: 하단부
116: 삽입홈 120: 제1 지지부
122: 제1 경사면 130: 제2 지지부
132: 제2 경사면 140: 보조몸체
142: 결합부 150: 연장부
152: 제3경사면
112: 체결부 114: 하단부
116: 삽입홈 120: 제1 지지부
122: 제1 경사면 130: 제2 지지부
132: 제2 경사면 140: 보조몸체
142: 결합부 150: 연장부
152: 제3경사면
Claims (10)
- 견인장치의 훅이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단부로부터 지름방향으로 대향되어 연장 형성되며 상부에 형성된 제1 경사면을 포함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경사면에 대응하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상부로 전달되는 힘을 매개하는 고리 형상의 제2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지지부는 인양시 요동이 가능하도록 그 내경이 동일 높이에서의 몸체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 인양구조체.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에 형성된 제1 경사면과 상기 제1 경사면에 인접한 상기 몸체의 측면은 예각을 이루는 인양구조체.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와는 다른 각도의 지름방향으로 대향되어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와 상부에 형성된 제3경사면을 포함하는 보조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체결부와 상기 하단부 사이에 형성된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보조몸체는 상기 삽입홈을 통하여 상기 몸체와 결합하되 상기 몸체의 하단부에 대하여 하부가 개방된 갈고리 형태로 결합되는 인양구조체.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보조몸체가 상기 보조몸체의 연장부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요동이 가능하도록 하부보다 상부가 넓은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된 인양구조체.
- 제1 항, 제2 항, 제4 항 및 제5 항 중 어느 하나의 인양구조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있어서,
가이드선을 파일의 길이방향을 관통하는 형태로 배치한 후, 상기 인양구조체의 체결부에 상기 가이드선의 일단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가이드선을 끌어당겨, 상기 인양구조체를 상기 파일의 선단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가이드선을 이용하여 상기 인양구조체의 상기 제2 지지부가 상기 파일 선단의 지지부와 인접하도록 상기 인양구조체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가이드선을 상기 인양구조체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인양구조체에 견인장치의 훅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양구조체를 이용한 시공방법.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선은,
인장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인장스프링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연결되는 미리 정해진 길이의 인장되지 않는 선을 더 포함하는, 인양구조체를 이용한 시공방법.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구조체에 견인장치의 훅을 결합하는 단계에서,
상기 인양구조체에 견인장치의 훅의 결합은 반자동 샤클을 매개로 하여 이루어지는, 인양구조체를 이용한 시공방법.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장치가 상기 파일을 인양하여 시공홀로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반자동 샤클의 결속을 해제하기 위한 결속해제선에 힘을 인가하여 상기 반자동 샤클의 결속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양구조체를 이용한 시공방법.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반자동 샤클은, 상기 인양구조체와 결합되는 피스톤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해제선의 장력에 의해 상기 피스톤부에 미리 정해진 크기 이상의 힘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피스톤부는 후퇴되어 상기 인양구조체와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인양구조체를 이용한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57135A KR102411094B1 (ko) | 2019-11-29 | 2019-11-29 | 인양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57135A KR102411094B1 (ko) | 2019-11-29 | 2019-11-29 | 인양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67475A KR20210067475A (ko) | 2021-06-08 |
KR102411094B1 true KR102411094B1 (ko) | 2022-07-13 |
Family
ID=76399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57135A KR102411094B1 (ko) | 2019-11-29 | 2019-11-29 | 인양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1109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88315B1 (ko) * | 2022-08-10 | 2023-10-11 | 장대수 | 콘크리트 파일 슬러지 차단용 고무마개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162485U (ko) * | 1988-04-30 | 1989-11-13 | ||
KR102131267B1 (ko) * | 2018-03-30 | 2020-07-07 | 김민규 | 파일 인양 장치 및 파일 인양 방법 |
-
2019
- 2019-11-29 KR KR1020190157135A patent/KR102411094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67475A (ko) | 2021-06-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291649B2 (en) | Double anchor and lifting shackle for concrete slabs | |
KR102411094B1 (ko) | 인양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US5732991A (en) | Cast artifact handling assembly | |
KR20170076033A (ko) | 파일 인양용 기구 | |
US20190031473A1 (en) | Lifting fastener | |
KR20120046667A (ko) | 파일 인양용 기구 | |
KR102155651B1 (ko) | 파일 인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KR101743358B1 (ko) | 파일 인양기구 | |
KR102100387B1 (ko) | 앵커 재긴장 방법 | |
JP6539890B2 (ja) | 埋設杭の引き抜き方法及びその装置 | |
KR102007935B1 (ko) | 앵커 재긴장 장치 | |
US3990207A (en) | Tiedown device | |
KR102437980B1 (ko) | 파일 인양 장치 | |
FI76189B (fi) | Anordning foer foerankring i betong. | |
WO2019148751A1 (zh) | 用于预制混凝土支护墙的拔出装置 | |
KR102125243B1 (ko) | 기시공된 앵커의 재인장 및 인장력 육안확인 장치 시공 방법 | |
KR100447967B1 (ko) | 앵커공법용 인장부재 해체장치 | |
KR200283330Y1 (ko) | 말뚝 인양용 장치 | |
KR200344958Y1 (ko) | 웨찌콘 스프링과 웨찌 인발 스프링을 이용한 인장재제거식 앵커 해드 | |
KR102198839B1 (ko) | 재긴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긴장 시공방법 | |
US4402119A (en) | Filter bag hooks | |
KR20070102385A (ko) | 영구앵커체 | |
JP4437234B2 (ja) | 既製杭の埋設方法 | |
JP3220551U (ja) | 外灯ポールの吊り上げ用係止治具 | |
CN109230999B (zh) | 一种建筑工程用钢筋吊运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