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4723A - 태양 전지 모듈 - Google Patents

태양 전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4723A
KR20120044723A KR1020100106180A KR20100106180A KR20120044723A KR 20120044723 A KR20120044723 A KR 20120044723A KR 1020100106180 A KR1020100106180 A KR 1020100106180A KR 20100106180 A KR20100106180 A KR 20100106180A KR 20120044723 A KR20120044723 A KR 20120044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solar cell
frame
reinforcing beam
cel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6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3235B1 (ko
Inventor
문현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6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3235B1/ko
Priority to US13/155,914 priority patent/US8418417B2/en
Priority to EP20110006037 priority patent/EP2448009A1/en
Publication of KR20120044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4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3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3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5/00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025/80Special profiles
    • F24S2025/801Special profiles having hollow parts with closed cross-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80/00Details, accessories or component parts of solar heat coll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24S10/00-F24S70/00
    • F24S2080/09Arrangements for reinforcement of solar collector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20Solar therm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도 보강을 위한 보강 빔이 포함된 태양 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은, 복수의 태양 전지가 배열되는 태양 전지 패널과, 상기 태양 전지 패널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며 실질적으로 사각형의 테두리인 프레임과, 상기 태양 전지 패널의 후면에서 상기 프레임의 대향된 두 변을 연결하며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Ⅱ 형태의 보강 빔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태양 전지 모듈 {Photovoltaic module}
본 발명은 태양 전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도 보강을 위한 보강 빔이 포함된 태양 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석유나 석탄과 같은 기존 에너지 자원의 고갈이 예상되면서 이들을 대체할 대체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태양 전지는 반도체 소자를 이용하여 태양광 에너지를 직접 전기 에너지로 변화시키는 차세대 전지로서 각광받고 있다.
태양 전지란 광기전력 효과(Photovoltaic Effect)를 이용하여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로서, 결정형 실리콘 태양 전지, 박막 태양 전지, 염료감응 태양 전지 및 유기 태양 전지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태양 전지를 실외에 설치할 수 있도록 모듈화한 태양 전지 모듈은 강도를 보강하는 구조물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구조물의 최적의 설계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 빔이 포함된 태양 전지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편의성, 안전성 및 조립성을 고려한 최적의 설계가 이루진 보강 빔이 포함된 태양 전지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은, 복수의 태양 전지가 배열되는 태양 전지 패널과, 상기 태양 전지 패널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며 실질적으로 사각형의 테두리인 프레임과, 상기 태양 전지 패널의 후면에서 상기 프레임의 대향된 두 변을 연결하며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Ⅱ 형태의 보강 빔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태양 전지 모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복수의 웨브가 보강 빔의 처짐을 최소화하여 태양 전지 모듈의 강도를 보강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프레임과 보강 빔이 안전하고 간편하게 체결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셋째, 태양 전지 모듈에 대한 조립 또는 작업시 작업자 또는 사용자가 보강 빔을 편하게 파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의 보강 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보강 빔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에 대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에 대한 일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태양 전지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은, 복수의 태양 전지(119)가 배열되는 태양 전지 패널(110)과, 태양 전지 패널(110)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며 실질적으로 사각형의 테두리인 프레임(150)과, 태양 전지 패널(110)의 후면에서 프레임(150)의 대향된 두 변을 연결하며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Ⅱ 형태의 보강 빔(130)을 포함한다.
태양 전지 패널(110)은 태양광이 입사되어 입사된 태양광으로부터 광기전력을 발생하는 복수의 태양 전지(119)가 배열된 것이다. 태양 전지 패널(110)은 실질적으로 사각형 형태이며, 실시예에 따라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태양 전지 패널(110)의 상세한 구조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태양 전지 패널(110)은 태양광이 입사하는 수광면과 수광면의 반대측인 후면으로 형성된다. 태양 전지 패널(110)은 수광면이 태양광에 수직하도록 태양을 향하여 경사지게 세워서 설치되며, 실시예에 따라 태양의 위치에 따라 태양 전지 패널(110)의 수광면이 태양을 향하도록 자세가 조정될 수 있다.
태양 전지 패널(110)의 후면에는 태양 전지(119)가 생산한 광기전력을 모으는 정션 박스(120)가 구비될 수 있다. 정션 박스(120)는 전기 에너지를 충전 및 방전시키는 콘덴서와 전기 역류를 방지하는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프레임(150)은 사각형의 테두리로서 태양 전지 패널(110)이 가장자리를 둘러싼다. 프레임(150)은 태양 전지 패널(110)의 형상에 따라 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테두리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50)이 직사각형 형태인 경우, 프레임(150)은 긴 변을 이루는 두 개의 장변(153)과 짧은 변을 이루는 두 개의 단변(151)을 포함한다.
프레임(150)은 태양 전지 패널(110)이 가장자리를 둘러싼다. 태양 전지 패널(110)의 형상에 따라 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테두리가 될 수 있으며, 태양 전지 패널(110)이 실질적으로 사각형인 경우 프레임(150)은 실질적으로 사각형의 테두리이다.
프레임(150)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태인 경우, 프레임(150)은 긴 변을 이루는 두 개의 장변(153)과 짧은 변을 이루는 두 개의 단변(151)을 포함한다.
프레임(150)은 태양 전지 패널(110)의 수광면 및/또는 후면의 가장자리를 덮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보강 빔(130)은 태양 전지 패널(110)의 후면에 배치된다. 보강 빔(130)은 태양 전지 패널(110)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 빔(130)은 태양 전지 패널(110)의 후면에서 프레임(150)의 이격된 두 변을 연결한다. 프레임(150)이 실질적으로 사각형인 테두리인 경우 보강 빔(130)은 프레임(150)의 대향된 두 변을 연결한다. 바람직하게는 프레임(150)이 직사각형 형태인 경우 보강 빔(130)은 프레임(150)의 두 장변(153)을 연결한다. 보강 빔(130)이 단수로 구비되는 경우, 보강 빔(130)은 두 장변(153)의 가운데 부분을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보강 빔(130)은 두 단변(151)의 가운데에 배치될 수 있다.
보강 빔(130)은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Ⅱ 형태이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하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의 보강 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보강 빔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빔(130)은, 태양 전지 패널(110)과 수평하도록 태양 전지 패널(110) 측에 배치되는 제 1 플랜지(131)와, 제 1 플랜지(131)에 이격하여 제 1 플랜지(131)와 수평하도록 배치되는 제 2 플랜지(132)와, 제 1 플랜지(131) 및 제 2 플랜지(132)에 수직하며 제 1 플랜지(131) 및 제 2 플랜지(132)를 연결하며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웨브(133)를 포함한다.
제 1 플랜지(131) 및 제 2 플랜지(132)는 태양 전지 패널(110)과 수평을 이루도록 태양 전지 패널(110)의 후면에 배치된다. 제 1 플랜지(131)가 제 2 플랜지(132)보다 태양 전지 패널(110)의 후면에 가깝도록 배치된다. 제 1 플랜지(131)와 태양 전지 패널(110)의 후면 사이는 약 6mm 정도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플랜지(132)의 양단에는 후술할 체결 부재(154)가 관통되는 제 2 플랜지 홀(132a)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플랜지 홀(132a)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플랜지(132)의 양단 각각에 복수로 형성되어, 복수의 체결 부재(154)가 관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제 2 플랜지 홀(132a)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플랜지(132)의 양단 각각에 2개씩 병렬로 형성되어, 각각 2개의 체결 부재(154)가 관통한다.
복수의 웨브(133)는 제 1 플랜지(131) 및 제 2 플랜지(132)를 연결한다. 복수의 웨브(133)는 제 1 플랜지(131) 및 제 2 플랜지(132)의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인입되어 배치된다. 제 1 플랜지(131) 및 제 2 플랜지(132)의 측면 가장자리가 돌출되어 작업자 또는 사용자가 보강 빔(130)을 편하게 파지 할 수 있도록 복수의 웨브(133)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웨브(133)는 복수로 이격하여 배치됨으로써 보강 빔(130)의 처짐시 발생하는 전단 응력을 분담하여 효율적으로 감쇄한다. 복수의 웨브(133)가 이격하여 배치됨에 따라 보강 빔(130)의 내부에 빈 공간(130a)이 형성된다. 빈 공간(130a)이 형성됨에 따라 보강 빔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빈 공간(130a)으로 후술할 체결 부재(154)가 돌출되어 작업자 또는 사용자의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빈 공간(130a)으로 후술할 프레임(150)의 체결 돌기(153-6, 153-7)가 돌출되어 프레임(150)과 보강 빔(130)이 결합될 수 있다.
제 2 플랜지(132)의 두께(t2)는 제 1 플랜지(131)의 두께(t1) 보다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t2 = 1.1 * t1 이다.
복수의 웨브(133)의 두께(t3)는 제 1 플랜지(131)의 두께(t1) 보다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t3 = 0.6 * t1 이다.
복수의 웨브(133)가 제 1 플랜지(131) 및 제 2 플랜지(132)의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인입되는 거리(t4)는 제 1 플랜지(131)의 두께(t1)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t4 = 0.8 * t1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에 대한 일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150)의 장변(153)은, 보강 빔(130)의 제 1 플랜지(131) 및 태양 전지 패널(110)의 후면과 접촉하여 지지하는 제 1 장변 수평부(153-1)와, 보강 빔(130)의 제 2 플랜지(132) 접촉하여 지지하는 제 2 장변 수평부(153-2)와, 태양 전지 패널(110)의 수광면과 접촉하여 지지하는 제 3 장변 수평부(153-5)와, 프레임(150)의 외측면을 형성하며 태양 전지 패널(110)의 측면과 접촉하는 제 1 장변 수직부(153-3)와, 보강 빔(130)의 측면과 접촉하는 제 2 장변 수직부(153-4)를 포함한다.
도 4와 같이, 보강 빔(130)은 제 1 장변 수평부(153-1)와 제 2 장변 수평부(153-2) 사이에 끼워져 프레임(150)에 결합되며, 태양 전지 패널(110)은 제 1 장변 수평부(153-1)와 제 3 장변 수평부(153-5) 사이에 끼워져 프레임(150)에 결합된다.
체결 부재(154)는 프레임(150)의 제 2 장변 수평부(153-2)와 보강 빔(130)의 제 2 플랜지(132)를 관통하여 프레임(150) 및 보강 빔(130)을 결합한다. 체결 부재(154)는 제 2 장변 수평부(153-2)에 형성된 홀(미도시) 및 제 2 플랜지(132)의 제 2 플랜지 홀(132a)을 관통하여 보강 빔(130)의 빈 공간(130a)으로 돌출된다.
체결 부재(154)는 복수로 구비되어 복수로 형성된 제 2 플랜지 홀(132a) 및 복수로 형성되는 제 2 장변 수평부(153-2)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체결 부재(154)는 복수로 구비되어 프레임(150) 및 보강 빔(130)을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체결 부재(154)는 도 4에 도면에서 도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병렬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 부재(154)는 부재 간을 결합하는 볼트, 수나사, 핀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볼트인 경우이며, 볼트와 대응되는 너트가 구비될 수 있다. 체결 부재(154)가 수나사인 경우, 제 2 플랜지 홀(132a) 및 제 2 장변 수평부(153-2)에 형성된 홀에는 암나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110)은, 태양광이 입사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전면 기판(112)과, 전면 기판(112)에 적층되며 전면 기판(112)으로 입사되는 태양광으로부터 광기전력을 발생하는 태양 전지(119)와, 태양 전지(119)에 적층되며 전면 기판(112)에 대응한 직사각형 형상의 후면 기판(111)을 포함할 수 있다.
태양 전지(119)는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화하는 반도체 소자로써, 결정형 실리콘 태양 전지이다. 태양 전지(119)는 전면 기판(112)과 후면 기판(111) 사이에 복수로 배열된다.
전면 기판(112)은 태양광을 효율적으로 입사시키고 태양 전지(119)를 보호하는 층이다. 전면 기판(112)은 태양광의 입사율이 높으며 태양 전지(119)를 보호할 수 있는 저철분(Low-Iron) 강화 유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면 기판(112)은 광투과도가 높고, 표면 광반사 손실을 낮추기 위한 처리가 될 수 있다. 전면 기판(112)의 일면은 태양 전지 패널(110)의 수광면에 해당한다.
후면 기판(111)은 전면 기판(112)의 반대면에서 태양 전지(119)를 보호하는 층으로서, 수증기의 차단성, 절연성이 요구된다. 후면 기판(111)은 전면 기판(112) 측으로부터 입사된 태양광을 반사하여 재이용될 수 있도록 반사율이 우수한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후면 기판(111)은 태양광이 입사될 수 있는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후면 기판(111)의 일면은 태양 전지 패널(110)의 후면에 해당한다.
밀봉 필름(113, 114)은 전면 기판(112)과 후면 기판(111) 사이에 태양 전지(119)를 배치하고 밀봉하기 위한 접착 및 충전을 목적으로 한 층이다. 밀봉 필름(113, 114)은 태양 전지(119)에 악영향을 주는 수분이나 산소를 차단한다. 밀봉 필름(113, 114)은 가수분해 또는 자외선에 의한 열화 방지가 우수하고, 태양광의 입사율이 높은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밀봉 필름(113, 114)은 내가수분해성, 투명성, 내후성, 온도저항성, 경량화가 우수하고 열 치수 변화율이 최소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봉 필름(113, 114)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수지(EVA), 폴리비닐부티랄, 에틸렌초산비닐 부분 산화물, 규소 수지, 에스테르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EVA 필름이 사용된다.
밀봉 필름(113, 114)은 태양 전지(119)의 양면을 밀봉하도록 복수로 구비된다. 제 1 밀봉 필름(113)은 태양 전지(119)와 전면 기판(112) 사이에 적층되고, 제 2 밀봉 필름(114)은 태양 전지(119)와 후면 기판(111) 사이에 적층된다.
상술한 내용에서 태양 전지 패널(110)은 태양 전지(119)가 결정형 실리콘인 경우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비정질 실리콘(a-Si), 미세결정 실리콘(c-Si), 화합물 반도체(compound semiconductor), 적층형(tandem), 구리인듐갈륨셀레늄(CIGS), 카드뮴 텔룰라이드(CdTe), 염료감응(dye-sensitized), 유기(organic) 태양전지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은, 태양 전지 패널(110)의 후면 및 보강 빔(130) 사이에 구비되는 완충재(141)를 더 포함한다.
완충재(141)는 태양 전지 패널(110)의 후면 기판(111)과 보강 빔(130)의 제 1 플랜지(131) 사이에 적층되어 구비된다. 완충재(141)는 태양 전지 패널(110)의 처짐시 보강 빔(130)이 태양 전지 패널(110)에 닿아 태양 전지 패널(11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완충재(141)는 알루미늄 또는 경질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완충재(141)는 경질 플라스틱 중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완충재(141)는 보강 빔(130)의 처짐이 가장 크게 발생하는 보강 빔(130)의 가운데 부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의 완충재(142)는 보강 빔(130)의 가운데를 중심으로 이격하여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보강 빔(130)이 길게 형성되는 경우 완충재(142)와 프레임(150) 사이에서도 보강 빔(130)의 처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곳에도 완충재(142)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의 완충재(145)는 보강 빔(130)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완충재(145)는 보강 빔(130)을 감싸, 조립시 완충재(145)의 위치가 흩뜨려지지 않도록 하며, 작업자 또는 사용자가 쿠션감 있게 파지할 수 있는 부분을 제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의 완충재(144)는 보강 빔(130)을 감싸며 일부가 개구(144a)될 수 있다. 완충재(144)는 일부가 개구(144a)되도록 보강 빔(130)을 감싸, 조립의 편의성을 도모한다. 완충재(144)는 제 2 플랜지 상에서 개구(144a)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에 대한 일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150)의 제 2 장변 수직부(153-4)에는 보강 빔(130) 내부의 빈 공간(130a)으로 돌출되는 체결 돌기(153-6, 153-7)가 형성된다. 체결 돌기(153-6, 153-7)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 1 체결 돌기(153-6)는 보강 빔(130) 내부의 빈 공간(130a)에서 제 1 플랜지(131)와 접촉되며, 제 2 체결 돌기(153-7)는 보강 빔(130) 내부의 빈 공간(130a)에서 제 2 플랜지(132)와 접촉된다.
도 9와 같이 제 1 플랜지(131)는 제 1 장변 수평부(153-1)와 제 1 체결 돌기(153-6) 사이에 끼워지며, 제 2 플랜지(132)는 제 2 장변 수평부(153-2)와 제 2 체결 돌기(153-7) 사이에 끼워진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보강 빔(130)은 별도의 체결 부재 없이 결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의 보강 빔(130a, 130b)은 복수로 구비되어, 보강 빔(130a, 130b)은 두 단변(151) 사이에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두 장변(153)을 연결할 수 있다. 보강 빔(130a, 130b)은 두 단변(151) 사이에서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0과 같이 보강 빔(130a, 130b)이 2개가 구비되는 경우 두 단변(151) 사이를 3등분한 지점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보강 빔(130a, 130b)과 태양 전지 패널(110)의 후면 사이에는 완충재(141)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의 보강 빔(130b)은 두 단변(151)을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보강 빔(130b)은 두 단변(151)의 가운데 부분을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시예에 따라 보강 빔(130b)이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보강 빔(130b)은 두 장변(153)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두 단변(151)을 연결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두 단변(151)을 연결하는 보강 빔(130b) 외에, 두 장변(153)을 연결하는 보강 빔(130a)이 추가될 수 있다. 이 때, 보강 빔(130a)은 두 장변(153)의 가운데 부분을 연결하거나, 두 단변(151) 사이에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두 장변(153)을 연결할 수 있다.
각각의 보강 빔(130a, 130b)과 태양 전지 패널(110)의 후면 사이에는 완충재(14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10: 태양 전지 패널 119: 태양 전지
130: 보강 빔 131: 제 1 플랜지
132: 제 2 플랜지 133: 웨브
141~145: 완충재 150: 프레임
151: 단변 153: 장변

Claims (15)

  1. 복수의 태양 전지가 배열되는 태양 전지 패널;
    상기 태양 전지 패널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프레임; 및
    상기 태양 전지 패널의 태양광이 입사하는 수광면의 반대측인 후면에서 상기 프레임의 이격된 두 변을 연결하며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Ⅱ 형태의 보강 빔을 포함하는 태양 전지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빔은,
    상기 태양 전지 패널과 수평하도록 상기 태양 전지 패널 측에 배치되는 제 1 플랜지;
    상기 제 1 플랜지에 이격하여 상기 제 1 플랜지와 수평하도록 배치되는 제 2 플랜지; 및
    상기 제 1 플랜지 및 상기 제 2 플랜지에 수직하며 상기 제 1 플랜지 및 상기 제 2 플랜지를 연결하며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웨브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웨브는 상기 제 1 플랜지 및 상기 제 2 플랜지의 측면 가장자리가 돌출되도록 상기 제 1 플랜지 및 상기 제 2 플랜지의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인입하여 배치되는 태양 전지 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웨브가 상기 제 1 플랜지 및 상기 제 2 플랜지의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인입되는 거리는 상기 제 1 플랜지의 두께보다 작은 태양 전지 모듈.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플랜지의 두께는 상기 제 1 플랜지의 두께보다 두꺼운 태양 전지 모듈.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웨브의 두께는 상기 제 1 플랜지의 두께보다 얇은 태양 전지 모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 전지 패널의 후면 방향에서 상기 프레임 및 상기 보강 빔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 및 상기 보강 빔을 결합하는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보강 빔 내부의 상기 빈 공간으로 돌출되는 태양 전지 모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보강 빔 내부의 상기 빈 공간으로 돌출되는 체결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 돌기는 상기 보강 빔 내부의 상기 빈 공간에서 상기 보강 빔과 접촉되어 상기 프레임과 상기 보강 빔을 결합하는 태양 전지 모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 전지 패널의 후면 및 상기 보강 빔 사이에 구비되는 완충재를 더 포함하는 태양 전지 모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재는 상기 보강 빔의 가운데 부분에 배치되는 태양 전지 모듈.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재는 상기 보강 빔의 가운데를 중심으로 이격하여 복수로 배치되는 태양 전지 모듈.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재는 상기 보강 빔을 감싸는 태양 전지 모듈.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재는 일부가 개구되도록 상기 보강 빔을 감싸는 태양 전지 모듈.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실질적으로 사각형의 테두리이고,
    상기 보강 빔은 상기 프레임의 대향된 두 변을 연결하는 태양 전지 모듈.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복수로 구비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의 대향된 두 변을 연결하는 태양 전지 모듈.
KR1020100106180A 2010-10-28 2010-10-28 태양 전지 모듈 KR101303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180A KR101303235B1 (ko) 2010-10-28 2010-10-28 태양 전지 모듈
US13/155,914 US8418417B2 (en) 2010-10-28 2011-06-08 Photovoltaic module
EP20110006037 EP2448009A1 (en) 2010-10-28 2011-07-22 Photovoltaic module frame with reinforcement bea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180A KR101303235B1 (ko) 2010-10-28 2010-10-28 태양 전지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4723A true KR20120044723A (ko) 2012-05-08
KR101303235B1 KR101303235B1 (ko) 2013-09-04

Family

ID=44653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6180A KR101303235B1 (ko) 2010-10-28 2010-10-28 태양 전지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418417B2 (ko)
EP (1) EP2448009A1 (ko)
KR (1) KR1013032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31471A1 (en) * 2010-08-09 2012-02-09 Du Pont Apollo Limited Solar panel module
KR101248597B1 (ko) * 2011-11-07 2013-03-28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태양광발전모듈의 적층시스템
CN102569465B (zh) * 2012-02-27 2014-12-03 杭州帷盛科技有限公司 太阳能板边框
KR101393219B1 (ko) * 2012-04-17 2014-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전지 패널 및 이의 설치 구조
DE112013002159T5 (de) * 2012-04-23 2015-01-1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Verstärkungsrahmen und Solarbatteriemodul
KR101969033B1 (ko) * 2012-11-20 2019-04-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장치
WO2014099276A1 (en) 2012-12-18 2014-06-26 Dow Global Technologies Llc Reinforcement pv laminate
JP6250932B2 (ja) * 2013-01-11 2017-12-20 シャープ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架台取付け構造
CN103236460B (zh) * 2013-03-27 2016-03-09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框体结构与具有框体结构的太阳能模块
DE102013211167A1 (de) 2013-06-14 2014-12-18 SolarWorld Industries Thüringen GmbH Solarmodulrahmen mit einer Stabilisierungsschiene, Solarmodul mit einem Solarmodulrahmen mit einer Stabilisierungsschiene und Anschlusseinheit für einen Solarmodulrahmen
DE202013005357U1 (de) 2013-06-14 2014-09-15 SolarWorld Industries Thüringen GmbH Solarmodulrahmen mit einer Stabilisierungsschiene, Solarmodul mit einem Solarmodulrahmen mit einer Stabilisierungsschiene und Anschlusseinheit für einen Solarmodulrahmen
JP6260765B2 (ja) * 2013-09-27 2018-01-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
DE102013018754A1 (de) * 2013-11-08 2015-05-28 Anton Naebauer PV-Modul bei dem Brüche von Zellen verrneiden werden und dessen Anwendung in PV-Kraftwerken
JP6350859B2 (ja) * 2014-05-30 2018-07-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太陽光発電装置
CN104362966A (zh) * 2014-11-19 2015-02-18 苏州东润太阳能科技有限公司 一种太阳能电池边框
CN104362965A (zh) * 2014-11-19 2015-02-18 苏州东润太阳能科技有限公司 一种太阳能电池边框
JP2016119781A (ja) * 2014-12-22 2016-06-30 株式会社東芝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支持体
CN104935247B (zh) * 2015-06-19 2018-02-27 苏州腾晖光伏技术有限公司 一种高抗机械载荷轻量化太阳能电池组件
JP6643666B2 (ja) * 2015-12-15 2020-02-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補強部材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6869014B2 (ja) * 2016-11-25 2021-05-12 シャープ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GB2563046A (en) * 2017-06-01 2018-12-05 Rec Solar Pte Ltd Cost effective frame design for thinner wafer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054B2 (ja) * 1989-03-30 1996-03-29 株式会社平井技研 屋根装置
CA2001136C (en) * 1989-10-23 1995-02-07 Takashi Hirai Roof
AU669399B2 (en) * 1992-11-19 1996-06-06 Hirai Engineering Corporation Roof system utilizing a solar cell
JP3457783B2 (ja) 1995-11-28 2003-10-20 シャープ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架台取付構造
KR20000010898A (ko) * 1996-05-10 2000-02-25 헨켈 코포레이션 중공의 구조물을 위한 내부 보강재
JP3674234B2 (ja) 1997-04-18 2005-07-20 株式会社カネカ 大型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00345675A (ja) * 1999-03-26 2000-12-12 Canon Inc 太陽電池モジュール、太陽電池付き屋根、及び太陽電池発電システム
US6201180B1 (en) * 1999-04-16 2001-03-13 Omnion Power Engineering Corp. Integrated photovoltaic system
JP2004165556A (ja) 2002-11-15 2004-06-10 Mitsubishi Heavy Ind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これに備わる支持構造体
CN101138097B (zh) * 2005-03-18 2010-10-13 京瓷株式会社 太阳电池模块及太阳电池阵列
DE102005026132A1 (de) * 2005-06-01 2006-12-28 Sulfurcell Solartechnik Gmbh Verfahren zur Führung von Kontaktbändern bei Solarmodulen und Solarmodul
WO2007008935A2 (en) * 2005-07-11 2007-01-18 Ready Solar, Inc. Solar panel and frame and related methods
US20080276983A1 (en) * 2005-11-04 2008-11-13 Robert Andrew Drake Encapsulation of Photovoltaic Cells
EP2228829B1 (en) 2007-05-14 2016-08-2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Solar battery module device
JP4722164B2 (ja) * 2008-06-17 2011-07-13 シャープ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架台
US20090314335A1 (en) * 2008-06-20 2009-12-24 Mcclintock Meredith Integral photovoltaic unit
EP2187147A1 (de) * 2008-11-14 2010-05-19 Energiebüro AG Dachaufbau mit einer Anordnung von Solarpanelen
JP2010223715A (ja) 2009-03-23 2010-10-07 Shiro Sakai 光検出器及びスペクトル検出器
US8397447B2 (en) * 2010-04-15 2013-03-19 Eco Solar Generation Llc Roof truss compatible for solar panels
US8191321B2 (en) * 2010-06-10 2012-06-05 Mcclellan Vncent Jack Building integrated solar array support structure device, system, and method
JP5159832B2 (ja) * 2010-06-21 2013-03-13 三菱電機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32728A1 (en) 2011-09-29
US8418417B2 (en) 2013-04-16
KR101303235B1 (ko) 2013-09-04
EP2448009A1 (en) 201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3235B1 (ko) 태양 전지 모듈
KR101299504B1 (ko) 태양 전지 모듈
US6465724B1 (en) Photovoltaic module framing system with integral electrical raceways
AU2005224794B2 (en) Electric energy generating modules with a two-dimensional profil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9735302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hotovoltaic cells with multiple junctions and multiple electrodes
US20120174981A1 (en) Photovoltaic module mounting system
JP2013516065A (ja) 太陽光発電装置
US20140014166A1 (en) Solar cell panel, solar cell module, and method for producing solar cell module
KR100921658B1 (ko) 태양전지 모듈
JP6501072B2 (ja) 太陽電池システム
KR20190000859U (ko) 태양광 모듈
KR20120050816A (ko) 태양 전지 모듈
KR20120033026A (ko) 태양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141763A (ko) 태양광 발전용 건축 패널을 이용한 벽체 구조
JP2014075426A (ja) 太陽光発電装置および太陽光発電システム
CN210073875U (zh) 太阳能幕墙组件及太阳能幕墙
CN209729921U (zh) 太阳能电池模块
KR20120051972A (ko) 태양 전지 모듈
KR20220166520A (ko) 태양광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20100110A (ko) 태양 전지 모듈
CN216163028U (zh) 一种具有防护功能的光伏发电箱
KR20150084554A (ko) 태양 전지 모듈
US9685574B2 (en) Solar cell module
KR20120000923A (ko) 태양광 모듈
US20230387340A1 (en) Structure and process of easily expandable assembled solar modules and assembl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