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2970A - 전기 전도성 구조체를 구비한 패널 - Google Patents

전기 전도성 구조체를 구비한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2970A
KR20120042970A KR1020127003731A KR20127003731A KR20120042970A KR 20120042970 A KR20120042970 A KR 20120042970A KR 1020127003731 A KR1020127003731 A KR 1020127003731A KR 20127003731 A KR20127003731 A KR 20127003731A KR 20120042970 A KR20120042970 A KR 20120042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ly conductive
conductive structures
pane
galvanic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3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테판 드로스트
베른하르트 레울
안드레아스 쉴라브
군터 포르트메이어
크리스토프 데겐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120042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29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71Supports; Mounting means for mounting on windscreens
    • H01Q1/1278Supports; Mounting means for mounting on windscreens in association with heating wires or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84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02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 H05B2203/005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using multiple resistive elements or resistive zones isolated from each oth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4Heaters using resistive wires or cables not provided for in H05B3/54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6Heaters using particular connec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55Manufacturing circuit on or in base

Landscapes

  • Details Of Aerial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Hall/M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갈바닉 방식으로 분리된 적어도 2개의 전기 전도성 구조체(2a,2b)를 구비한 패널(1), 전기 전도성 구조체들(2a,2b)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성 구조체상의 갈바닉 분리층(5), 및 갈바닉 분리층(5)상의 전기 전도체(4)를 포함하고, 갈바닉 분리층(5)은 전기 전도성 구조체들(2a,2b)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성 구조체로부터 전기 전도체(4)를 갈바닉 방식으로 분리하는, 전기 전도성 구조체를 구비한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패널의 제조 방법 및 패널의 새로운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전도성 구조체를 구비한 패널{PANEL HAVING ELECTRICALLY CONDUCTIVE STRUCTURES}
본 발명은 특히 안테나 및 가열 기능이 있는 새로운 창유리(pane),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 39 10 031 A1에는, 무선 안테나 및 창유리 가열장치를 구비하는 라미네이트형 유리로 제조된 창유리가 알려져 있다. 구역의 최적 활용을 위하여, 가열 전도체는 라미네이트형 유리의 제1 표면상에 위치한다. 안테나 전도체의 부분은 라미네이트형 유리의 제1 및/또는 또 다른 표면상에 위치한다. 복수의 표면을 사용하면 안테나 및 가열 기능을 위하여 상대적으로 큰 구역을 항상 이용할 수 있다. 안테나 이득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테나 전도체와 가열 전도체는 용량 결합한다.
그 점에서, 용량 결합을 위한 전기 전도성 구조체들은 각각의 경우에서 유리 표면상의 개별 가열 요소 바로 맞은 편에 위치해야 한다. 이는, 특히 유리 표면상의 안테나와 가열 요소의 배열에 제한을 초래한다. 용량 결합은 창유리의 수 밀리미터 두께에 걸쳐 높은 신호 손실과 연관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테나 전도체와 가열 전도체의 유효하고 간단한 용량 결합을 갖고, 동시에 안테나 전도체와 가열 전도체의 배열에서 높은 수준의 자유도를 갖는 개선된 창유리를 사용가능하게 하는 데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새로운 창유리의 제조 방법을 이용가능하게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독립 청구항 1, 20, 및 29의 특징으로 달성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양태는 종속 청구항들의 특징으로부터 기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갈바닉 방식으로 분리된 적어도 2개의 전기 전도성 구조체를 구비한 창유리, 전기 전도성 구조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성 구조체상의 갈바닉 분리층, 및 갈바닉 분리층상의 전기 전도체를 포함하고, 갈바닉 분리층은 전기 전도성 구조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성 구조체로부터 전기 전도체를 분리하는, 전기 전도성 구조체를 구비한 창유리의 구조물을 보여준다.
"갈바닉 방식으로 분리된(galvanically separated)"이란 특성은 전기 전도성 구조체들이 전기 전도성 연결부(connection)를 구비하지 않고 DC 전압에 대해 결합해제됨을 의미한다.
창유리는 특히 투명하거나 엷은 빛깔의 소다-석회 유리로 제조된 창유리를 포함한다. 창유리를 열적으로 또는 화학적으로 강화시키거나, 특히 ECE-R 43: 2004에 따른 규칙[Uniform Provisions concerning the Approval of Safety Glazing Materials and Their Installation on Vehicles]을 충족시키는 라미네이트형 유리로서 실시할 수 있다. 창유리는 또한 플라스틱, 예컨대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에너지 전달을 조절하기 위하여, 창유리는 방사선 흡수, 반사, 및/또는 낮은 방출 특성을 갖는 완전하거나 부분적인 표면 코팅을 구비할 수 있다. 창유리를 라미네이트형 창유리로서 실시하는 경우, 폴리비닐 부티랄을 함유하는 플라스틱층으로 2개의 소다-석회 유리를 영구적으로 접합한다.
창유리는 자동차의 윈드실드(windshield), 옆 창문(side window), 유리 지붕(glass roof), 또는 뒷 창문(rear window)을 위한 자동차 산업에서 통상적인 크기, 바람직하게는 100㎠부터 최대 4㎡까지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창유리의 통상적인 두께는 1㎜ 내지 6㎜의 범위이다.
전기 전도성 구조체는 상이한 형태를 갖는다. 가열장치 및/또는 안테나 기능이 있는 창유리는 바람직하게는 라인-형상 구조체 및 육안으로 보이는(macroscopic) 투명성을 동시에 갖는다.
가열 전도체인 가열 기능이 있는 전기 전도성 구조체는 바람직하게는 창유리의 대향 에지에 있는 적어도 모선(busbar)을 경유해 평행하게 연결하는 수많은 평행 라인으로서 구성한다. 모선들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면, 창유리의 구역에 걸쳐 줄 가열(joule heating)이 발생한다. 창유리의 증가한 온도는 창유리의 표면으로부터의 습기 및 착빙(icing)을 방지하거나 제거한다. 전기 전도성 구조체는 바람직하게는 창유리의 실질적으로 전체 구역에 걸쳐 라인-형상 연장된다. 가열 기능이 있는 전기 전도성 구조체는 상이한 형상, 배열, 및 상호접속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원형, 나선-형상, 또는 사행(meander)-형상으로 구성한다. 전기 전도성 구조체는 특히 자동차 글레이징(glazing)의 내부 표면에 걸쳐 이어진다.
안테나 기능이 있는 전기 전도성 구조체는 바람직하게는 라인 형상의 안테나 전도체로서 구성한다. 안테나 전도체의 길이는 목표 안테나 특성에 따라 결정한다. 안테나 전도체는 개방 또는 폐쇄 단부를 구비한 라인으로서 실시할 수 있거나, 상이한 형상, 배열, 및 상호접속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원형, 나선-형상, 또는 사행-형상일 수 있다.
안테나 특성은 수신하거나 송신하는 주파수에 따라 결정한다. 수신 및/또는 송신 전자기 방사선은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0㎓ 주파수 범위의 LF, MF, HF, VHF, UHF, 및/또는 SHF 신호, 특히 바람직하게는 무선 신호, 특히 USW(1m 내지 10m 파장에 대응하는 30㎒ 내지 300㎒), 단파(10m 내지 100m 파장에 대응하는 3㎑ 내지 30㎒), 또는 중파(100m 내지 1000m 파장에 대응하는 300㎑ 내지 3000㎑)뿐만 아니라 요금 징수 신호, 이동 무선 신호, 디지털 무선 신호, TV 신호, 또는 내비게이션 신호이다. 안테나 기능이 있는 전기 전도성 구조체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송신하는 주파수 파장의 배수 또는 분수, 특히 파장의 ½ 또는 ¼이다. 창유리 표면의 더욱 양호한 활용을 위하여, 전기 전도성 구조체는 곡선형, 사행-형상, 또는 나선-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전도성 구조체의 일반적인 선 폭은 0.1㎜ 내지 5㎜이고; 모선 또는 접촉 영역의 일반적인 폭은 3㎜ 내지 30㎜이다. 용량 결합 영역에서 전기 전도성 구조체들 간의 일반적인 거리는 1㎜ 내지 20㎜이다. 전기 전도성 구조체는 자체적으로 불투명할 수 있지만, 육안으로는 창유리는 투명한 것처럼 보인다.
전기 전도성 구조체는 금속선, 바람직하게는 구리, 텅스텐, 금, 은, 또는 알루미늄 선일 수 있다. 이 선은 전기 절연성 코팅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전기 전도성 구조체는 또한 인쇄된 전도성 층으로서 실시할 수 있다. 전기 전도도는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층에 함유된 금속 입자를 통해, 특히 바람직하게는 은 입자를 통해 실현된다. 금속 입자는 유기 및/또는 무기 매트릭스, 예컨대 페이스트 또는 잉크, 바람직하게는 유리 프릿이 있는 소성 스크린 인쇄 페이스트에 위치할 수 있다.
안테나 특성을 개선하고, 특히 안테나 전도체의 길이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가열 전도체는 적어도 하나의 용량 결합 요소를 경유해 안테나 전도체에 완전하게 또는 부분적으로 연결한다. AC 신호의 경우, 가열 전도체는 이와 같이 안테나 전도체의 일부이다. 그러나 창유리를 가열하기 위한 DC 전압의 경우, 가열 전도체는 안테나 전도체로부터 갈바닉 방식으로 분리되어 유지된다. 결합 요소의 영역에서 안테나 전도체 및 가열 전도체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공간적으로 가깝고, 바람직하게는 평행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안테나 전도체와 가열 전도체 간의 거리는 0.5㎜ 내지 10㎜이다. 안테나 전도체 및 가열 전도체는 용량 결합 영역에서 임의의 형태, 예를 들어 빗 또는 사행과 같은 형태로 심지어 서로 맞물리 수 있다.
용량 결합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 전도성 구조체들을 공간적으로 브리지(bridge)하지만 갈바닉 접촉을 형성하지 않는 전기 전도체들을 통해 실현된다. 갈바닉 분리는 전기 전도성 구조체들과 결합 요소에서의 전기 전도체 사이의 갈바닉 분리층을 통해 실현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창유리상의 프레임 형태의 장식 목적을 위하여 창유리와 전기 전도성 구조체 사이에 추가적인 중간층을 적용한다. 블랙 임프린트(imprint)인 중간층은 바람직하게는 유리 프릿 및 흑색 안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용량 결합은 적어도 하나의 결합 요소를 통해 실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용량 결합은 창유리상에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배열되어 있는 적어도 2개의 결합 요소를 통해 실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창유리의 용량 결합 요소는 전기 전도성 구조체의 소구역(subregion)을 덮고, 전기 전도성 구조체의 적어도 두 소구역에 걸쳐 이어진다. 결합 요소는 전기 전도성 구조체 너머로 부분적으로 이어질 수 있고, 창유리에 직접 접착될 수 있다. 이는 강한 기계적 접합을 가능하게 하고, 전기 전도성 구조체에 대한 접착력 요구를 감소시킨다.
그러나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결합 요소는 또한 전기 전도성 구조체의 외부 윤곽과 가지런하게 적응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의 장점은 감소한 구역 및 재료 요건뿐만 아니라 개선된 옵틱스(optics)이다.
결합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필름 층 시스템 및/또는 인쇄된 층 시스템으로서 적용한다. 필름은 특히 자체-접착제일 수 있다. 필름 층 시스템 및 인쇄된 층 시스템은 임의의 윤곽을 가질 수 있지만, 특히 스트립-형상일 수 있고/거나 전기 전도성 구조체의 윤곽과 가지런하게 적응시킬 수 있다.
결합 요소의 임피던스는 결합 요소의 전기 전도체와 전기 전도성 구조체 간의 커패시턴스에 의해 실질적으로 결정된다. 여기서, 커패시턴스는 갈바닉 분리층의 유전율, 전기 전도체와 전기 전도성 구조체의 중첩 영역뿐만 아니라 전기 전도체와 전기 전도성 구조체 간의 거리의 함수이다. 가능한 가장 높은 커패시턴스 및 따라서 가능한 가장 낮은 임피던스는 가능한 가장 작은 개재(intervening) 거리, 큰 중첩 영역 및 높은 유전율로 산출한다. 응용에 필요하지 않은 간섭 주파수 또는 주파수들을 결합 요소를 통해 송신하지 않고, 고역 통과 또는 저역 통과를 얻도록 커패시턴스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창유리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갈바닉 분리층은 폴리아크릴레이트, 시아노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실란 및 실록산 가교 중합체, 에폭시 수지, 폴리우레탄, 폴리클로로프렌, 폴리아미드, 아세테이트, 실리콘 접착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아미드,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뿐만 아니라 이들의 공중합체 및/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갈바닉 분리층은 복수의 층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복수의 층의 장점은 분리층의 기계적 특성과 전기적 특성의 최적화에서 높아진 자유도이다.
인쇄된 결합 요소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창유리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갈바닉 분리층은 높은 파열 강도를 갖는 블랙 임프린트를 포함한다. 분리층은 유기 및 무기 성분, 특히 유리 프릿 및 유색 안료를 함유한다. 인쇄된 결합 요소의 전기 전도체는 바람직하게는 전도성 페이스트, 전도성 접착제,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전도성 프라이머(primer)를 함유한다. 인쇄된 전기 전도체의 전기 비저항은 1㏀*㎝ 미만, 바람직하게는 100Ω*㎝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10Ω*㎝ 미만이다.
갈바닉 분리층의 층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0㎛, 특히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0㎛이다. 갈바닉 분리층의 유전율은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0, 특히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의 범위이다. 갈바닉 분리층에서 단락을 방지하기 위한 파열 강도는 바람직하게는 1㎸/㎜ 초과,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초과이다.
결합 요소의 전기 전도체는 바람직하게는 전도성 카본, 공액형 중합체, 전도성 프라이머, 텅스텐, 구리, 은, 금, 알루미늄, 및/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결합 요소는 전기 전도체상의 추가적인 보호층을 구비하는데, 보호층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또는 폴리메틸 메틸 아크릴레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폴리비닐 부티랄뿐만 아니라 이들의 공중합체 및/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전기 전도체는 보호층을 통해 환경으로부터 보호된다. 안테나 기능이 있고, 특히 결합 요소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창유리의 화학적 및 기계적 안정성은 보호층을 통해 높아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전도성 구조체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창유리의 제조 방법을 통해 또한 달성하는데, 제1 단계에서는 서로 갈바닉 방식으로 분리된 적어도 2개의 전기 전도성 구조체로 창유리를 코팅한다. 제2 단계에서는 전기 전도성 구조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성 구조체상에 갈바닉 분리층을 적용한다. 제3 단계에서는 갈바닉 분리층상에 전기 전도체를 적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용량 결합 요소,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의 용량 결합 요소에서 갈바닉 분리층 및 전기 전도체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성 구조체상에 인쇄되거나, 필름 복합체로서 접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전기 전도성 구조체를 적용하기 전에 바람직하게는 실크스크린 공정으로 추가적인 중간층을 창유리상에 적용한다.
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갈바닉 분리층 및 전기 전도체는 결합 요소로서 필름 복합체 형태로 전기 전도성 구조체상에 접착된다. 필름 복합체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자체-접착제이다. 여기서, "자체-접착제(self-adhesive)"는 결합 요소가 갈바닉 분리층의 접착 작용을 통해 전기 전도성 구조체 및/또는 기재 유리에 영구적으로 접합된다는 점을 의미한다.
본 방법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갈바닉 분리층은 실크스크린 공정으로 전기 전도성 구조체상에 인쇄한다. 이어서 전기 전도체를 바람직하게는 실크스크린 공정으로 갈바닉 분리층에 적용한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양태를 상세하게 기술한다.
도 1은 용량 결합 영역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창유리의 단면이다.
도 2는 용량 결합 영역의 단면에서의 다른 실시양태이다.
도 3은 용량 결합 영역의 단면에서의 또 다른 실시양태이다.
도 4는 용량 결합 영역의 단면에서의 또 다른 실시양태이다.
도 5는 용량 결합 영역의 단면에서의 또 다른 실시양태이다.
도 6은 용량 결합 영역의 단면에서의 또 다른 실시양태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창유리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창유리의 다른 실시양태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창유리의 또 다른 실시양태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순서도 단계들의 예시적인 실시양태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순서도 단계들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양태이다.
도 1은 창유리(1)상의 2개의 전기 전도성 구조체(2a,2b)의 용량 결합 영역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다. 갈바닉 분리층(5)은 전기 전도성 구조체(2a,2b)로부터 전기 전도체(4)를 분리한다. 전기 전도체(4)는 두께가 100㎛인 하나의 전기 전도성 프라이머층으로 이루어졌고, 갈바닉 분리층(5)상에 30㎜의 폭 및 100㎜의 길이로 적용하여 전기 전도성 구조체(2a 및 2b)의 모선을 전체 폭에 걸쳐 덮었다. 유리 프릿과 흑색 안료를 갖는 100㎛ 두께의 에나멜 인쇄물을 갈바닉 분리층(5)으로서 사용하여 직접적인 전기적 접촉을 제공하지 않으면서 전기 전도체(2a 및 2b) 및 전기 전도체(4)를 영구적으로 접합하였다. 갈바닉 분리층(5)은 적어도 10㎸/㎜의 파열 강도를 가졌다. 전기 전도체(4)와 전기 전도성 구조체(2a,2b) 간의 거리(D)는 대략 70㎛이었다. 갈바닉 분리층(5)의 유전율을 대략 6이었다. 이 실시양태에서, 전기 전도성 구조체들(2a,2b) 간의 더욱 개선된 용량 결합을 얻을 수 있었다. 동일한 이용가능한 구역으로, 동시에 최적화된 가열 특성을 갖는 안테나로서의 전기 구조체(2a,2b)의 수신 성능을 개선할 수 있었다.
도 2는 2개의 전기 전도성 구조체(2a,2b)의 용량 결합 요소(3)의 영역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단면을 도시하는데, 이는 장식 목적을 위한 추가적인 중간층(7)으로 도 1의 실시양태를 향상시켰다. 중간층(7)은 프레임 형태로 창유리(1)상의 에지 영역에 적용하였고, 유리 프릿과 흑색 안료를 갖는 100㎛ 두께의 에나멜 인쇄물을 포함하였다.
도 3은 2개의 전기 전도성 구조체(2a,2b)의 용량 결합 요소(3)의 영역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단면을 도시한다. 결합 요소(3)는 대략 45㎛ 두께의 구리 스트립을 전기 전도체(4)로서 포함하였다. 구리 스트립의 폭은 25㎜이었다. 전기 전도체(4)는 폭에서 전기 전도성 구조체(2a,2b)와 가지런하게 마무리하였다. 전기 전도체(4)와 전기 전도성 구조체(2a,2b) 사이의 갈바닉 분리층(5)으로서 유전율이 3인 대략 60㎛ 두께의 규소-기재 접착제층을 적용하였다. 전기 전도성 구조체(2a 및 2b)와 전기 전도체(4) 간의 거리(D)는 대략 60㎛이었다. 파열 강도는 적어도 10㎸/㎜이었다. 환경적인 영향 및 특히 습기에 대한 전기 전도체(4)용 보호층(6)으로서 대략 100㎛ 두께의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층을 전기 전도체(4)상에 추가로 적용하였다. 갈바닉 분리층(5)과 보호층(6)의 폭은 40㎜이었다. 보호층(6)은 갈바닉 분리층(5)과 함께 전기 전도체(4)를 완전히 둘러쌌다.
도 4는 한 창유리(1)상의 2개의 전기 전도성 구조체(2a,2b)의 용량 결합 요소(3)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구조물을 도시한다. 접착제층의 조성에 대한 요구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갈바닉 분리층(5)을 2개의 층으로 구성하였다. 전기 전도성 구조체(2a,2b)에 인접한 하부 분리층(5-1)은 30㎛의 층 두께 및 3의 유전율을 갖는 규소 접착제를 포함하였다. 전기 전도체(4)에 인접한 상부 갈바닉 분리층(5-2)은 4의 유전율 및 30㎛의 층 두께를 갖는 폴리아크릴레이트 접착제를 포함하였다. 2층 구조물(5-1,5-2)로 인해 결합 요소(3)와 전기 전도성 구조체(2a,2b) 간의 커패시턴스는 도 3의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비해 변화없는 거리(D) 및 필적하는 접착제 작용으로 증가할 수 있었다.
도 5는 한 창유리(1)상의 2개의 전기 전도성 구조체(2a,2b)의 용량 결합 영역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구조물을 도시한다. 전기 전도성 구조체(2b)상에는 갈바닉 분리층(5)을 적용하지 않았다. 전기 전도체(4)는 전기 전도성 구조체(2b)에 갈바닉 방식으로 연결하였다. 전기 전도체(4)가 다른 전기 전도성 구조체(2a)로부터 갈바닉 방식으로 분리되어 전체 전기 전도성 구조체(2a,2b)도 서로 여전히 갈바닉 방식으로 분리되었다. 이 실시양태에서, 전기 전도성 구조체들(2a,2b) 간의 개선된 용량 결합을 얻을 수 있었다. 동일한 구역으로, 동시에 종래기술에 비해 최적화된 가열 특성을 갖는 안테나로서의 전기 구조체(2a,2b)의 수신 성능을 실질적으로 개선할 수 있었다.
도 6은 단면에서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를 도시한다. 결합 요소(3)의 길이 및 폭은 결합 요소(3)의 영역에서 전기 전도성 구조체(2a,2b)의 외부 윤곽에 정밀하게 적응시켰다.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결합 요소(3)는 25㎜의 폭을 가졌고, 전기 전도성 구조체(2a,2b)의 외부 윤곽과 가지런하게 마무리할 수 있었다. 이 실시양태로, 용량 결합을 위한 감소한 재료 요건 및 공간 요건을 얻을 수 있었다.
도 7은 평면도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한 예시적인 실시양태를 도시한다. 창유리(1)의 내부 표면에는, 가열 및 안테나 기능이 있는 제1 전기 전도성 구조체(2a) 및 안테나 기능이 있는 사행 형상의 제2 전기 전도성 구조체(2b)뿐만 아니라 용량 결합 요소(3)를 적용하였다. 전기 전도성 구조체(2a,2b)는 대략 30㎛의 층 두께를 갖는 은-함유 스크린 인쇄물에 의해 형성되었다. 스크린 인쇄물의 선 폭은 0.5㎜이었다. 제1 전기 전도성 구조체(2a)는 10㎜의 넓은 모선에 전기적으로 평행하게 연결되어 있는 0.5의 선 폭을 갖는, 서로 평행하게 동작하는 가열 전도체들을 포함하였다. 구조체(2a)의 에지 영역에서, 안테나 전도체인 전기 전도성 구조체(2b)에 대한 용량 결합이 발생하였다. 안테나 전도체(2b)의 한 단부에서, 신호는 추가 처리를 위하여 안테나 연결부(A)를 경유해 전송되었다. 안테나 전도체(2b)의 폭은 0.5㎜이었고, 결합 요소(3)의 영역에서는 10㎜이었다. 결합 요소(3)는 100㎜의 길이 및 30㎜의 폭을 가졌고, 전기 전도성 구조체(2a,2b)를 100㎜의 길이까지 덮었다. 결합 요소(3)의 영역에서 서로 평행하게 동작하는 전기 전도성 구조체(2a,2b)의 모선들은 창유리(1)의 에지상에 인쇄하였다. 결합 요소(3)의 영역에서 전기 전도성 구조체 2a와 2b 간의 거리는 5㎜이었다. 폭에서, 결합 요소는 각 경우에서 양측으로 2.5㎜만큼 전기 전도성 구조체(2a,2b) 너머로 연장되었다.
도 8은 단일-창유리 안전 유리(1)상에 적용한 전기 전도성 구조체(2a,2b) 및 결합 요소의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양태를 도시한다. 제1 전기 전도성 구조체(2a)는 0.5㎜의 선 폭 및 단부에 10㎜의 넓은 접촉 영역을 갖는 사행-형상 가열 전도체를 포함하였다. 제2 전기 전도성 구조체(2b)는 두 결합 요소(3)를 경유해 전기 전도성 구조체(2a)와 용량 결합하여 안테나 전도체를 형성하는, 0.5㎜의 선 폭을 갖는 2개의 라인-형상 전도체를 포함하였다. 가열 전도체(2a)의 한 단부에서, 신호는 안테나 연결부(A)를 경유해 추가 처리를 위한 수신 장치로 전송되었다. 전기 전도성 구조체(2a,2b)의 선 폭은 결합 요소의 영역에서 0.5㎜이었다. 전기 전도성 구조체들(2a,2b) 간의 거리는 5㎜이었다.
도 9는 단일-창유리 안전 유리(1)상에 적용한 전기 전도성 구조체(2a,2b) 및 결합 요소의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양태를 도시한다. 제1 전기 전도성 구조체(2a)는 10㎜의 넓은 모선에 전기적으로 평행하게 연결되어 있는, 0.5㎜의 선 폭을 갖는, 서로 평행하게 동작하는 가열 전도체들을 포함하였다. 제2 전기 전도성 구조체(2b)도 평행하게 연결된 가열 전도체들을 포함하였다. 전기 전도성 구조체(2a,2b)의 연장된 모선들을 경유해, 구조체들은 한쪽에서 결합 요소(3)와 용량 결합하였다. 가열 전도체(2b)의 한 단부에서, 신호는 추가 처리를 위하여 안테나 연결부(A)를 경유해 전송되었다. 전기 전도성 구조체(2a,2b)의 선 폭은 결합 요소(3)의 영역에서 0.5㎜이었다. 전기 전도성 구조체들(2a,2b) 간의 거리는 5㎜이었다.
도 10 및 11은 전기 전도성 구조체(2a,2b) 및 결합 요소(3)를 구비한 창유리(1)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단계들을 상세하게 도시한다.
도 1 내지 9에서 기술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는 종래기술에 비해 개선된, 전기 전도성 구조체 2a와 2b 간의 용량 결합을 얻었다. 용량 결합 요소(3)를 경유해, 전기 전도성 구조체 2a 및 2b는 가열 전압(DC)에 대해서는 갈바닉 방식으로 분리되었고, 안테나 신호(고주파 AC)에 대해서는 용량 결합하였다. 창유리의 한 표면에서는 안테나의 수신 성능이 종래기술에 비해 뚜렷하게 개선되었고, 동시에 가열 특성이 최적화되었다.
1: 창유리
2a, 2b: 전기 전도성 구조체
3: 용량 결합 요소
4: 전기 전도체
5, 5-1, 5-2: 갈바닉 분리층
6: 보호층
7: 중간층
A: 수신 장치를 위한 연결점
D: 전기 전도체와 전기 전도성 구조체 간의 거리

Claims (15)

  1. 전기 전도성 구조체를 구비한 창유리로서,
    - 서로 갈바닉 방식으로(galvanically) 분리된 적어도 2개의 전기 전도성 구조체(2a,2b)를 구비한 창유리(1),
    - 전기 전도성 구조체들(2a,2b)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성 구조체상의 갈바닉 분리층(5), 및
    - 갈바닉 분리층(5)상의 전기 전도체
    를 포함하고,
    갈바닉 분리층(5)은 전기 전도성 구조체들(2a,2b)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성 구조체로부터 전기 전도체(4)를 갈바닉 방식으로 분리하는, 창유리.
  2. 제1항에 있어서,
    전기 전도체(4)는 갈바닉 분리층(5)을 통해 전기 전도성 구조체들(2a,2b)로부터 갈바닉 방식으로 분리되는 창유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기 전도체(4) 및 갈바닉 분리층(5)은 전기 전도성 구조체들(2a,2b) 사이의 용량 결합 요소(3)인 창유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용량 결합 요소(3)가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성 구조체(2a,2b)상에 적용된 창유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갈바닉 분리층(5)은 2 내지 6의 유전율을 갖는 창유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갈바닉 분리층(5)은 적어도 2개의 층(5-1,5-2)을 포함하는 창유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기 전도체(4)는 10㎛ 내지 200㎛의 층 두께를 갖는 창유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기 전도성 구조체들(2a,2b)은 용량 결합 요소의 영역에서 빗(comb)처럼 구성하거나 사행(meander)처럼 서로 맞물리는 창유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기 전도성 구조체들(2a,2b)은 10㎛ 내지 100㎛의 층 두께를 갖는 창유리.
  10. 전기 전도성 층을 구비한 창유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서로 갈바닉 방식으로 분리된 적어도 2개의 전기 전도성 구조체(2a,2b)로 창유리(1)를 코팅하고,
    b. 전기 전도성 구조체들(2a,2b)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성 구조체상에 적어도 하나의 갈바닉 분리층(5)을 적용하고,
    c. 갈바닉 분리층(5)상에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체(4)를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창유리(1)에 중간층(7)을 추가로 적용하는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용량 결합 요소(3)의 갈바닉 분리층(5) 및 전기 전도체(4)를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성 전도체(2a,2b)상에 적용하는 방법.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성 구조체(2a,2b)상에 적어도 하나의 용량 결합 요소(3)를 필름 복합체 형태로 접착하는 방법.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갈바닉 분리층(5) 및/또는 전기 전도체(4)를 스크린인쇄법(screenprinting), 릴리프 인쇄법(relief printing), 그라비어 인쇄법(gravure printing), 플렉소 인쇄법(flexo printing), 또는 닥터-블레이드법(doctor-blading)을 통해 적용하는 방법.
  15. 안테나 및 가열 기능이 있는 자동차 글레이징(glazing)으로서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안테나 기능이 있는 창유리의 용도.
KR1020127003731A 2009-08-14 2010-07-30 전기 전도성 구조체를 구비한 패널 KR201200429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26378A DE102009026378A1 (de) 2009-08-14 2009-08-14 Scheibe mit elektrisch leitfähigen Strukturen
DE102009026378.0 2009-08-14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9567A Division KR101744467B1 (ko) 2009-08-14 2010-07-30 전기 전도성 구조체를 구비한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2970A true KR20120042970A (ko) 2012-05-03

Family

ID=4262944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3731A KR20120042970A (ko) 2009-08-14 2010-07-30 전기 전도성 구조체를 구비한 패널
KR1020167029567A KR101744467B1 (ko) 2009-08-14 2010-07-30 전기 전도성 구조체를 구비한 패널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9567A KR101744467B1 (ko) 2009-08-14 2010-07-30 전기 전도성 구조체를 구비한 패널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9196949B2 (ko)
EP (1) EP2465164B1 (ko)
JP (2) JP2013502122A (ko)
KR (2) KR20120042970A (ko)
CN (1) CN102473995B (ko)
BR (1) BR112012002988B1 (ko)
DE (2) DE102009026378A1 (ko)
EA (1) EA026919B1 (ko)
ES (1) ES2773013T3 (ko)
PL (1) PL2465164T3 (ko)
PT (1) PT2465164T (ko)
WO (1) WO20110183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010658A1 (de) 2012-05-30 2012-12-13 Daimler Ag Fahrzeug mit einer Antennenanordnung
MX352466B (es) * 2012-11-21 2017-11-27 Saint Gobian Glass France Cristal con elemento de conexión eléctrica y puente de conexión.
GB201309549D0 (en) 2013-05-29 2013-07-10 Pilkington Group Ltd Glazing
JP5979085B2 (ja) * 2013-06-06 2016-08-2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ウィンドウ用配線部材およびそれを備える車両用ウィンドウ
DE102014116283B4 (de) 2014-11-07 2016-05-19 Webasto SE Verfahren zum Bearbeiten eines ersten Bauelements und eines zweiten Bauelements sowie Vorrichtung
DE102015119252B4 (de) * 2015-11-09 2024-02-01 Webasto SE Vorrichtung für ein Heizgerät für ein Fahrzeug
JP6743486B2 (ja) * 2016-05-24 2020-08-19 Agc株式会社 車両用窓ガラス
CN112219317B (zh) * 2018-06-05 2022-09-13 Agc株式会社 带端子的车辆用窗玻璃
US11889596B2 (en) * 2020-07-30 2024-01-30 Min Hsiang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for a device with a heating function
US11686966B2 (en) 2021-08-30 2023-06-27 Switchble Llc Busbar anchoring system and method for PDLC film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10031A1 (de) 1988-03-31 1989-10-19 Nippon Sheet Glass Co Ltd Fahrzeug-scheibenantenne
JPH066582Y2 (ja) * 1988-03-31 1994-02-16 日本板硝子株式会社 自動車用窓ガラスアンテナ
DE3914424A1 (de) * 1989-05-01 1990-12-13 Lindenmeier Heinz Antenne mit vertikaler struktur zur ausbildung einer ausgedehnten flaechenhaften kapazitaet
JPH0543608U (ja) * 1991-11-05 1993-06-11 日本板硝子株式会社 窓ガラスアンテナ装置
JPH08186404A (ja) 1994-12-27 1996-07-16 Kyocera Corp 誘電体フィルタ
US5670966A (en) * 1994-12-27 1997-09-23 Ppg Industries, Inc. Glass antenna for vehicle window
JP2000022420A (ja) * 1998-06-30 2000-01-21 Asahi Glass Co Ltd 自動車用ガラスアンテナ装置
JP2002204116A (ja) 2000-06-22 2002-07-19 Asahi Glass Co Ltd 自動車用ガラスアンテナ
TW508865B (en) * 2000-06-22 2002-11-01 Asahi Glass Co Ltd Glass antenna for an automobile
JP2004015534A (ja) 2002-06-07 2004-01-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クロストーク抑制部材及びデジタル信号伝送線路
JP2004193680A (ja) 2002-12-06 2004-07-08 Fujitsu Ten Ltd 車載用アンテナおよびダイバシティ受信装置
EP1830374A1 (en) * 2004-12-21 2007-09-05 Teijin Limited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DE102005039914A1 (de) 2005-08-24 2007-03-08 Robert Bosch Gmbh Mehrbereichs-Antennenanordnung
US8634988B2 (en) * 2006-01-10 2014-01-21 Guardian Industries Corp. Time, space, and/or wavelength multiplexed capacitive light sensor, and related methods
JP2008054032A (ja) * 2006-08-24 2008-03-06 Fujitsu Ten Ltd アンテナ装置
JP4888126B2 (ja) * 2007-01-12 2012-02-29 マツダ株式会社 Am/fm受信用アンテナ
US7463210B2 (en) * 2007-04-05 2008-12-09 Harris Corporation Phased array antenna formed as coupled dipole array segments
JP4692677B2 (ja) * 2007-05-02 2011-06-0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構造およびそれを備えた無線通信装置
CN201174421Y (zh) 2008-03-17 2008-12-31 蒋小平 汽车后窗玻璃印制天线
CN101345334B (zh) 2008-08-25 2012-09-05 蒋小平 汽车后窗玻璃印制天线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773013T3 (es) 2020-07-09
JP2013502122A (ja) 2013-01-17
BR112012002988A2 (pt) 2016-04-19
BR112012002988B1 (pt) 2021-08-17
EP2465164B1 (de) 2020-01-01
CN102473995A (zh) 2012-05-23
US20120086614A1 (en) 2012-04-12
EP2465164A1 (de) 2012-06-20
DE102009026378A1 (de) 2011-02-17
DE202009018455U1 (de) 2011-12-06
JP2015173447A (ja) 2015-10-01
EA201270276A1 (ru) 2012-07-30
PT2465164T (pt) 2020-02-04
EA026919B1 (ru) 2017-05-31
WO2011018361A1 (de) 2011-02-17
PL2465164T3 (pl) 2020-06-01
US9196949B2 (en) 2015-11-24
KR101744467B1 (ko) 2017-06-07
JP6007272B2 (ja) 2016-10-12
KR20160128421A (ko) 2016-11-07
CN102473995B (zh) 2017-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4467B1 (ko) 전기 전도성 구조체를 구비한 패널
US6320276B1 (en) Window with an aerial for motor vehicles
EP2345303B2 (en) Heated vehicle window
KR101975690B1 (ko) 전기 가열가능한 안테나 판유리 및 그를 제조하는 방법
CA2879446C (en) Composite pane with electrical contacting means
CN103329344B (zh) 具有重叠透明层和邻近外区的天线元件的窗户组件
KR20010052871A (ko) 투명 안테나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25428A (ko) 안테나 구조물용 평각 도체 연결 요소
US10694586B2 (en) Transparent pane having a heatable coating
US20190141791A1 (en) Transparent pane with heatable coating
EP2231397A1 (en) Electrically heatable laminated glazing
CN107086366A (zh) 宽带共面波导馈电单级贴片天线
US20170251527A1 (en) Transparent pane with heated coating
CN112020794A (zh) 天线板
CN112004672A (zh) 具有功能性插入元件的复合玻璃板
CN115210074A (zh) 具有可电加热摄像头窗口的复合玻璃板
MXPA99006603A (en) Crystal with antenna for automotive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