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2321A - 메탈코어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 - Google Patents

메탈코어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2321A
KR20120042321A KR1020100103973A KR20100103973A KR20120042321A KR 20120042321 A KR20120042321 A KR 20120042321A KR 1020100103973 A KR1020100103973 A KR 1020100103973A KR 20100103973 A KR20100103973 A KR 20100103973A KR 20120042321 A KR20120042321 A KR 201200423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core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insulating layer
circuit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3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7418B1 (ko
Inventor
방익종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3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7418B1/ko
Priority to DE112011103607T priority patent/DE112011103607T5/de
Priority to US13/879,208 priority patent/US9320130B2/en
Priority to PCT/KR2011/004159 priority patent/WO2012057428A1/ko
Publication of KR20120042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2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7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7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5Insulated conductive substrates, e.g. insulated metal substra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5Via connections; Lands around holes or via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0Forming 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3/42Plated through-holes or plated via connections
    • H05K3/429Plated through-holes specially for multilayer circuits, e.g. having connections to inner circuit lay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05K3/4602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characterized by a special circuit board as base or central core whereon additional circuit layers are built or additional circuit boards are lamin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sulated Metal Substrates For Printed Circuits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탈코어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금속판인 메탈코어(16)가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메탈코어(16)의 양측 가장자리와 그 사이의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노출부(14)가 구성된다. 상기 노출부(14)는 절곡되어 그 양측의 제1 및 제2 회로영역(11,12)이 각각 그 가상의 연장면이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만나도록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메탈코어(16)의 양측 표면에는 절연층(18)이 형성되고, 상기 절연층(18) 상에는 회로패턴(20)이 형성된다. 상기 회로패턴(20)의 일부와 절연층(18)의 표면은 솔더레지스트(24)에 의해 덮여진다. 상기 절연층(18), 또는 절연층(18)와 메탈코어(16)를 관통하여서는 통홀(22,22')이 형성되는데, 이들의 내면에는 도금층이 형성된다. 상기 노출부(14)는 그 양측 가장자리 사이를 연결하는 부분이 일직선으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양측 회로영역(11,12) 사이가 소정의 각도를 가상의 연장면이 만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인쇄회로기판(10)을 일체로 형성하면서 각각의 영역(11,11',12)을 다른 평면상에 있도록 할 수 있어, 제품에 사용될 때, 부품수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메탈코어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having metal core}
본 발명은 메탈코어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쇄회로기판의 내부에 판형상의 메탈코어를 위치시키고 상기 메탈코어가 노출된 부분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제1회로영역과 제2회로영역이 서로 직교하게 상기 메탈코어가 절곡되는 메탈코어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에 관한 것이다.
인쇄회로기판은 일반적으로 합성수지인 절연층에 회로패턴이 형성되어 만들어지는 것이다. 인쇄회로기판은 절연층상에 형성된 회로패턴을 덮도록 별도의 절연층을 형성하고 그 표면에 다시 회로패턴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인쇄회로기판을 다층 인쇄회로기판이라고 한다. 물론, 하나의 절연층의 양측 표면에 회로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회로패턴과 절연층의 표면에 솔더레지스터를 도포하여 인쇄회로기판을 만들수 도 있다.
이와 같이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절연층을 가지는 인쇄회로기판은 절곡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는 상기 회로패턴이나 절연층이 거의 90도까지 절곡될 수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는 상기 절연층이 그 정도까지 절곡되면 파손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하지만,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사용되는 제품의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은 제품의 경박단소화를 위해 다양한 형상을 가지도록 된다. 이와 같이 경박단소화를 위한 구조를 가지는 하우징의 내면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인쇄회로기판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다수개의 인쇄회로기판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서로 대략 직교하는 하우징의 내면에는 각각 별도의 인쇄회로기판을 설치하게 되는데, 이들 인쇄회로기판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점퍼핀을 사용하는 등의 번거로운 점이 있다.
그리고, 하우징 내의 좁은 공간에 인쇄회로기판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 인쇄회로기판에서는 많은 열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발생되는 열을 인쇄회로기판 전체로 보다 효과적으로 분산시키지 않으면, 발열이 특정한 위치에 집중되어 그 위치의 인쇄회로기판이 열에 의해 손상되거나 그 위치에 설치된 부품이 열에 의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인쇄회로기판의 내부에 설치되는 메탈코어를 외부로 노출시키고 절곡하여 인쇄회로기판을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간상에서 소정의 각도로 만나는 하우징의 각각의 내면에 소정의 틈새를 두고 설치될 수 있는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쇄회로기판의 절곡을 위해 외부로 노출된 메탈코어 부분의 부식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금속재질로 된 메탈코어가 구비되고, 상기 메탈코어의 양측 표면에 절연층이 형성되며 상기 절연층상에 회로패턴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메탈코어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에 있어서, 상기 메탈코어의 양측 가장자리와 그 사이의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구성되는 노출부와, 상기 노출부의 일측에 상기 메탈코어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메탈코어의 양측 표면에 절연층과 회로패턴이 구비되어 형성되는 제1회로영역과, 상기 노출부의 타측에 상기 메탈코어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메탈코어의 양측 표면에 절연층과 회로패턴이 구비되어 형성되는 제2회로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노출부의 메탈코어가 절곡되어 상기 제1회로영역과 제2회로영역을 연장한 가상의 평면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된다.
상기 제1회로영역과 제2회로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의 가장자리의 일부 구간을 따라 별도의 노출부가 형성되고 이에 또 다른 회로영역이 상기 제1 및 제2 회로영역의 가상의 연장면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구비된다.
상기 노출부에서 양측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부분은 일직선으로 된다.
상기 메탈코어에는 상기 제1 및 제2회로영역에 해당되는 부분에 관통부가 형성되어 상기 절연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에 구비된 절연층을 관통하여 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통홀 내면에 형성된 도금층에 의해 절연층의 양측 표면에 형성된 회로패턴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메탈코어와 상기 메탈코어를 둘러싸는 절연층을 동시에 관통하여 통홀이 더 형성되고, 상기 통홀의 내면에 도금층이 형성되어 상기 메탈코어와 도금층이 일체로 된다.
상기 노출부의 표면에는 차폐필름이 부착되거나 방습제가 도포된다.
본 발명에 의한 메탈코어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제1회로영역과 제2회로영역의 사이에 위치되는 메탈코어가 노출된 노출부가 원하는 각도로 절곡가능하므로 제1회로영역과 제2회로영역 사이의 각도를 다양하게 형성하여 다양한 형상의 하우징내면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되어 제품의 외관을 보다 다양하게 하면서도 제품을 소형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서로가 소정의 각도로 만나도록 된 제1회로영역과 제2회로영역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에 구비하므로 이들 사이에 별도로 전기적 연결을 위한 구성을 두지 않아도 되므로, 예를 들면 두개로 나누어 만들어져 사용되던 인쇄회로기판을 하나로 만들 수 있어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구성이 필요없게 되어 제품이 보다 간소화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외부로 노출된 메탈코어에 해당되는 노출부의 표면에 차폐필름을 부착하거나 방습제를 도포하였으므로 외부 환경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의 외부로 노출된 메탈코어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메탈코어를 사용한 인쇄회로기판의 내구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특히, 노출부에 두께가 얇은 차폐필름을 부착하거나 방습제를 도포하므로 인쇄회로기판의 전체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되는 효과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메탈코어를 가진 인쇄회로기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외면에 일부의 부품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메탈코어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인쇄회로기판(10)은 제1회로영역(11)과 제2회로영역(12) 그리고 상기 제1회로영역(11)과 제2회로영역(12)의 사이에 구비되는 노출부(14)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제1회로영역(11), 제2회로영역(12) 및 노출부(14)는 각각 다수 곳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회로영역(11)과 제2회로영역(12)은 각각 내부에 아래에서 설명될 절연층(18), 회로패턴(20) 및 솔더레지스트(24) 등으로 구성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노출부(14)는 금속재질로 된 메탈코어(16)로만 구성된 부분이다. 상기 노출부(14)를 구성하는 메탈코어(16)는 상기 제1 및 제2 회로영역(11,12)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과 일체이다. 상기 메탈코어(16)는 금속판으로서, 예를 들면 동으로 만들어진 판이다. 상기 메탈코어(16)에는 다수 곳에 관통부(17)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부(17)는 소정의 형상으로 관통된 것으로, 이 부분에 아래에서 설명될 통홀(22)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노출부(14)에서는 상기 메탈코어(16)의 양측 가장자리와 그 사이 부분이 모두 외부로 드러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노출부(14)에서 메탈코어(16)의 양측 가장자리와 그 사이 부분 모두 외부로 드러나야 노출부(14)의 절곡이 가능하게 된다. 즉 노출부(14)를 구성하는 메탈코어(16)의 일측 가장자리와 이에서 연장된 표면 일부만이 노출되어 있으면 절곡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노출부(14)는 상기 양측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이 일직선으로 되는 것이 좋다. 이는 노출부(14)의 절곡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회로영역(11)과 제2회로영역(12)의 내부 구성을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인쇄회로기판(10)의 골격을 상기 메탈코어(16)가 형성하고, 상기 메탈코어(16)의 표면에는 절연층(18)이 형성된다. 상기 절연층(18)은 전기적으로 절연성을 가지는 물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절연층(18)을 형성하는 물질은 인쇄회로기판(10)의 제작시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그 구체적인 재질은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절연층(18)의 표면에는 회로패턴(20)이 형성된다. 상기 회로패턴(20)은 동박을 선택적으로 제거하고, 또한 도금공정을 거쳐 만들어지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금은 상기 남아 있는 동박부분과 아래에서 설명될 통홀(22) 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회로패턴(20)중 일부는 외부로 노출되고, 나머지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외부로 노출된 회로패턴(20)은 예를 들면 부품(30)의 리드(32)가 실장되는 부분이 된다.
상기 회로패턴(20)은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양측 표면의 것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절연층(18)을 관통하여서는 통홀(22)이 형성되는데, 상기 통홀(22)의 내면에 도금층이 형성되어 양측 표면에 형성된 상기 회로패턴(20)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양측 표면의 회로패턴(20)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양측 표면의 회로패턴(20)을 연결하기 위한 통홀(22)은 상기 메탈코어(1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아야 하므로 상기 메탈코어(16)에 형성된 관통부(17)에 구비되는 절연층(18)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한편, 상기 통홀(22)과 달리 상기 메탈코어(16)와 절연층(18)을 관통하는 통홀(22')도 있다. 상기 통홀(22')의 내면에도 도금층이 형성되어 메탈코어(16)와 전기적, 열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통홀(22')에 형성된 도금층은 메탈코어(1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예를 들면 접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물론, 신호전달을 위한 전기적 역할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통홀(22')에 형성된 도금층은 메탈코어(16)와 일체로 연결되면서 열을 메탈코어(16)로 전달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표면에는 솔더레지스트(24)가 도포된다. 상기 솔더레지스트(24)는 상기 절연층(18)의 표면과 회로패턴(20)을 덮도록 도포된다. 상기 솔더레지스트(24)는 상기 절연층(18)과 회로패턴(20)을 보호하는 역할과 솔더링이 특정 부분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노출부(14)는 상기 메탈코어(16)가 외부로 그대로 드러나 있다. 이와 같은 노출부(14)는 외부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차폐필름(26)을 사용하여 외부 환경과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차폐필름(26)은 상기 노출부(14)의 양측 표면에 밀착되어 설치된다. 상기 차폐필름(26)은 그 두께가 매우 얇아 상기 제1 및 제2회로영역(11,12)의 표면보다 상기 노출부(14)의 두께(차폐필름(26)을 포함하여)가 두껍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차폐필름(26) 대신에 상기 노출부(14)의 표면에는 방습제를 도포할 수도 있다. 상기 방습제는 상기 노출부(14)의 표면에 도포되어 노출부(14)에서 노출된 메탈코어(16)가 부식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제1 및 제2 회로영역(11,12)에는 부품(30)이 실장된다. 상기 부품(30)은 예를 들면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반도체패키지일 수도 있다. 상기 부품(30)은 그 외면으로 돌출된 리드(32)가 상기 솔더레지스트(24) 외부로 노출된 회로패턴(20)에 솔더링됨에 의해 회로패턴(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부품(30)이 통홀(22')의 도금층과 밀착되어 상기 메탈코어(16)로 열을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통홀(22')의 도금층을 통해 접지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회로영역(11,12)에는 또한 단자(34,34')들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단자(34,34')들은 퓨즈와 같은 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외부의 커넥터의 터미널과 연결되는 커넥터를 구성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인쇄회로기판(10)은 제1회로영역(11)과 제2회로영역(12)이 상기 노출부(14)를 중심으로 연결되고, 그 가상의 연장 평면이 서로 직교하게 되어 있고, 제1회로영역(11)과 제2회로영역(12)의 크기와 표면적이 거의 같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제1회로영역(11)과 제2회로영역(12)의 크기, 표면적 그리고 서로가 형성하는 각도는 다양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먼저, 상기 제1회로영역(11)과 제2회로영역(12)의 면적과 크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달리될 수 있다. 도 4에 따르면, 제1회로영역(11)은 제2회로영역(12)에 비해 크기 및 표면적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있다. 즉, 제1회로영역(11)의 크기가 제2회로영역(12)의 절반정도이다.
또한, 도 5에서는 제1회로영역(11,11')이 두 부분으로 분리되어 있고, 제1회로영역(11,11')중 하나가 제2회로영역(12)에 대해 절곡된 각도가 달리되어 있다. 즉, 제1회로영역(11)은 제2회로영역(12)과 가상의 연장면이 직교하게 되어 있고 다른 제1회로영역(11')은 제2회로영역(12)과 가상의 연장면이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에서는 제1회로영역(11)의 가장자리 중 상기 노출부(14)와 연결된 반대쪽이 아닌 측방의 가장자리에 또 다른 노출부(14')가 형성되어 또 다른 제1회로영역(11')이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회로영역(11), 제2회로영역(12) 및 노출부(14) 등 기본적인 구성 외에 더 많은 회로영역들과 노출부들이 구비되면서 다양한 형태로 인쇄회로기판(10)이 절곡되어 만들어 질 수 있다.
한편,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노출부(14)가 절곡되는 각도는 다양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이는 인쇄회로기판(10)이 사용되는 제품의 하우징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되어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메탈코어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이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인쇄회로기판(10)은 상기 제1회로영역(11)과 제2회로영역(12)의 가상의 연장면이 서로 직교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인쇄회로기판(10)이 구성되면, 인쇄회로기판(10)이 사용되는 제품의 하우징의 내면에 제1회로영역(11)과 제2회로영역(12)이 인접하게 배치될 때, 상기 하우징의 내면도 서로 직교하도록 된다.
그리고, 상기 노출부(14)가 절곡되는 각도는 작업자가 자유롭게 만들 수 있어, 하우징의 설계자유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즉, 하우징의 내면이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지더라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10)을 사용하면서 노출부(14)의 절곡 각도를 하우징의 내면 사이의 각도와 맞춰주면 된다. 참고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1회로영역(11)과 제2회로영역(12)의 사이에만 노출부(14)가 있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예를 들면 제2회로영역(12)의 노출부(14) 반대쪽 단부 가장자리에 또 다른 노출부를 두고 이를 또 다른 회로영역과 연결시키는 것이다. 즉, 제1회로영역(11), 노출부(13), 제2회로영역(12), 노출부(13) 및 또 다른 회로영역의 차례로 인쇄회로기판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다양한 형태로 하우징을 설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인쇄회로기판(10)에서는 사용중에 많은 열이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열은 부품(30)에서 발생하는데, 상기 단자(3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퓨즈(도시되지 않음) 등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열을 상기 메탈코어(16)로 전달됨에 의해 보다 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메탈코어(16)가 상대적으로 넓은 영역에 걸쳐 구비되어 있어, 발생하는 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통홀(22')의 내면에 형성된 도금층이 인쇄회로기판(10)의 표면으로 노출되어 있고, 내부에서는 상기 메탈코어(16)와 일체로 되어 있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품(30)에서 발생된 열이 통홀(22')의 도금층으로 전달되고, 다시 메탈코어(16)로 전달된다.
또한, 상기 단자(34)에서는 결합되어 있는 상대 부품에서 발생된 열을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열도 상기 회로패턴(20) 및 절연층(18)을 통해 상기 메탈코어(16)로 전달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관통부(17)나 통홀(22')부분을 제외한 인쇄회로기판(10)의 거의 전체 영역에 걸쳐 메탈코어(16)가 위치되므로 메탈코어(16)가 열을 흡수하여 발산시키는 능력이 상대적으로 우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인쇄회로기판(10)의 특정 위치에 열이 축적되지 않고 전체 메탈코어(16)로 전달되므로, 특정 부분의 온도가 높아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참고로, 만약,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영역(11,11',12)이 3개로 나누어지는 경우, 일반적인 경우에는 3개의 별도의 인쇄회로기판이 사용되어야 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를 일체로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체 인쇄회로기판(10)이 일체로 만들어지게 되면, 인쇄회로기판(10)이 사용되는 제품의 부품수를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즉, 인쇄회로기판(10)이 일체로 되어 그 갯수가 줄어들고 인쇄회로기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 또한 삭제되어 전체 부품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 절곡이 이루어지는 노출부(14)는 절연층(18)이나 회로패턴(20)이 없이 메탈코어(16)만이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금속인 메탈코어(16)가 외부환경에 노출되면, 쉽게 부식이 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차폐필름(26)을 부착하거나 방습제를 도포하여 외부환경과의 접촉을 차단하고 있다. 따라서, 노출부(14)로 되는 메탈코어(16) 부분은 절곡특성이 충분히 발휘되면서도 차폐필름(26)이나 방습제에 의해 외부환경과 차폐되어 원래의 특성을 오랜동안 유지할 수 있게 되어 내구성을 늘릴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회로영역(11,11',12)이 각각 사각형으로 되어 있으나, 삼각형으로 될 수도 있다. 즉, 예를 들면 제1 회로영역(11)의 일측 모서리 부분에 서로 인접하는 가장자리를 연결하도록 노출부(14)를 형성하면 회로영역이 삼각형으로 될 수도 있다. 또한, 회로영역(11,11'12)은 노출부(14)를 제외한 나머지 가장자리를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사각형상으로만 되어 있으나, 반원형 곡선, 다각형의 일부 등등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 질 수 있다.
10: 인쇄회로기판 11: 제1회로영역
12: 제2회로영역 14: 노출부
16: 메탈코어 18: 절연층
20: 회로패턴 22,22': 통홀
24: 솔더레지스트 26: 차폐필름
30: 부품 32: 리드
34,34': 단자

Claims (6)

  1. 내부에 금속재질로 된 메탈코어가 구비되고, 상기 메탈코어의 양측 표면에 절연층이 형성되며 상기 절연층상에 회로패턴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메탈코어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에 있어서,
    상기 메탈코어의 양측 가장자리와 그 사이의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구성되는 노출부와,
    상기 노출부의 일측에 상기 메탈코어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메탈코어의 양측 표면에 절연층과 회로패턴이 구비되어 형성되는 제1회로영역과,
    상기 노출부의 타측에 상기 메탈코어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메탈코어의 양측 표면에 절연층과 회로패턴이 구비되어 형성되는 제2회로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노출부의 메탈코어가 절곡되어 상기 제1회로영역과 제2회로영역을 연장한 가상의 평면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되는 메탈코어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로영역과 제2회로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의 가장자리의 일부 구간을 따라 별도의 노출부가 형성되고 이에 또 다른 회로영역이 상기 제1 및 제2 회로영역의 가상의 연장면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코어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부에서 양측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부분은 일직선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코어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코어에는 상기 제1 및 제2회로영역에 해당되는 부분에 관통부가 형성되어 상기 절연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에 구비된 절연층을 관통하여 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통홀 내면에 형성된 도금층에 의해 절연층의 양측 표면에 형성된 회로패턴이 전기적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코어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코어와 상기 메탈코어를 둘러싸는 절연층을 동시에 관통하여 통홀이 더 형성되고, 상기 통홀의 내면에 도금층이 형성되어 상기 메탈코어와 도금층이 일체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코어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부의 표면에는 차폐필름이 부착되거나 방습제가 도포됨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코어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
KR1020100103973A 2010-10-25 2010-10-25 메탈코어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 KR101157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973A KR101157418B1 (ko) 2010-10-25 2010-10-25 메탈코어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
DE112011103607T DE112011103607T5 (de) 2010-10-25 2011-06-07 Leiterplatte und Leiterplattenblock für Fahrzeuge unter Verwendung der Leiterplatte
US13/879,208 US9320130B2 (en) 2010-10-25 2011-06-07 Printed circuit board, and board block for vehicles using the same
PCT/KR2011/004159 WO2012057428A1 (ko) 2010-10-25 2011-06-07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사용한 차량용 기판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973A KR101157418B1 (ko) 2010-10-25 2010-10-25 메탈코어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2321A true KR20120042321A (ko) 2012-05-03
KR101157418B1 KR101157418B1 (ko) 2012-06-22

Family

ID=46263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3973A KR101157418B1 (ko) 2010-10-25 2010-10-25 메탈코어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74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8559A (ko) * 2016-11-24 2018-06-01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차량용 전자 제어 장치
SE2151443A1 (en) * 2021-11-26 2023-05-27 Wivid Ab A printed circuit board with improved cooling properties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8191A (ja) * 1983-04-08 1984-10-25 日本電気株式会社 メタルコア配線基板
JPH03157986A (ja) * 1989-11-15 1991-07-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部品実装用金属基板
JPH03157984A (ja) * 1989-11-15 1991-07-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部品実装用金属基板
JP2899217B2 (ja) * 1994-07-28 1999-06-02 田中貴金属工業株式会社 メタルコア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8559A (ko) * 2016-11-24 2018-06-01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차량용 전자 제어 장치
SE2151443A1 (en) * 2021-11-26 2023-05-27 Wivid Ab A printed circuit board with improved cooling properties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7418B1 (ko) 201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020537A1 (en) Shielding connector
US7762819B2 (en) Substrate connecting member and connecting structure
WO2017143941A1 (zh) 散热组件
TWM468799U (zh) 電連接器
JP4348725B2 (ja) 電子部品取付用ソケット
JP2009110954A (ja) 電気コネクタ
JP6278586B2 (ja) 同軸コネクタ
JP7210186B2 (ja) 回路基板組立体
KR101157418B1 (ko) 메탈코어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
JP2009272499A (ja) 電子制御ユニット
TWI259624B (en) Connector having a shell which can readily be fixed to a connector housing
JPH11297435A (ja) コネクタ装置、コネクタ装置を有する回路モジュールおよび回路モジュールを搭載した電子機器
JPH10106684A (ja) コネクタ
JP2000195619A (ja) ケ―ブル組立体
TWI754925B (zh) 連接器
JP2018041533A (ja) 基板用コネクタ
TW200427385A (en) Electronic circuit unit with mounting structure having high soldering reliability
US9320130B2 (en) Printed circuit board, and board block for vehicles using the same
JP2013125581A (ja) 電気コネクタ
KR200473302Y1 (ko) 커넥터
JP2012129495A (ja) 通信機器のプリント回路基板の接地構造
KR101133630B1 (ko) 실장 구조가 개선된 리셉터클 커넥터
CN106900136B (zh) 一种光模块的印刷电路板
JP2005268018A (ja) コネクタのシールド構造
TWI467866B (zh) 防電磁干擾之電連接器及其端子總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