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0100A - 충전물 용기 반전장치 - Google Patents

충전물 용기 반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0100A
KR20120040100A KR1020110096747A KR20110096747A KR20120040100A KR 20120040100 A KR20120040100 A KR 20120040100A KR 1020110096747 A KR1020110096747 A KR 1020110096747A KR 20110096747 A KR20110096747 A KR 20110096747A KR 20120040100 A KR20120040100 A KR 20120040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act
holding member
filling
discharge ch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6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0988B1 (ko
Inventor
나미요시 다나카
Original Assignee
도요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40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0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9/00Unpacking of articles 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65G47/248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by turning over or inverting th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23Devices for tilting and emptying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비워진 용기의 방출을 확실하고 또한 원활하며 효율 좋게 실시할 수 있고, 소음, 용기의 마모 손상을 감소시키며, 포장봉지로의 이물질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충전물 용기 반전장치를 제공한다.
충전물을 수용한 복수의 용기(C)를 일렬로 하여 공급 컨베이어(3)로 반송하고 선두의 용기를 위치결정 스토퍼(21)로 위치결정한다. 한편, 분리 스토퍼(13)로 2번째 이후의 용기를 한 단(端) 다시 밀어 선두의 용기로부터 분리한다.
반전축(27)을 180도 회전시켜 용기를 반전시키고 충전물을 방출한다. 이어서, 용기를 해방하고 바로 아래의 전도부재(47)에 닿아 측방을 향한 상태로 하여 방출슈트(57) 위로 쓰러져 들어가도록 한다. 용기는 방출슈트 위를 굴러서 떨어진다.

Description

충전물 용기 반전장치{APPARATUS FOR INVERTING CONTAINER CONTAINING MATERIAL TO BE PACKAGED}
본원 발명은 식품 등의 자동 봉지충전 포장기에 사용되는 충전물 용기 반전(反轉)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말하면, 식품 등을 포장봉지 등 포장 용기에 충전할 때, 충전물을 수용한 용기를 정립(正立) 상태에서 도립(倒立) 상태로 반전시키고 충전물을 낙하시켜 하방에 배치된 포장용기에 충전하고, 그 후 비워진 용기를 용기 회수 라인으로 방출하는, 충전물 용기 반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3517009호(특허문헌 1) 또는 일본 특허 제4473060호(특허문헌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식품 등의 자동 봉지충전 포장기에 사용되는 충전물 용기 반전장치가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들 공보에 기재된 반전장치에서는 충전물을 수용한 용기를 반전시켜 충전물을 용기로부터 방출한 후, 그 비워진 용기를 반전된 상태 그대로 용기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방출하고 있다(특허문헌 1의 도 1의 가이드통(84) 및 회수슈트(60), 특허문헌 2의 도 1의 용기회수가이드(63) 참조). 이들 장치에서는, 용기가 용기의 방출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 위를 미끄러져 가는 형태가 되어 용기와 가이드 부재 사이의 마찰저항이 크고, 따라서 용기가 원활하게 이동되지 않고, 가이드 부재 내부가 용기에 의해 막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경우에는, 가이드통의 내면에 낙하되는 충전물의 일부가 부착되고 그것이 점차 성장하므로, 이것 또한 가이드통이 막히는 원인이 된다.
한편, 일본 특허공고 평3-56974호(특허문헌 3), 일본 특허공개 제2003-200902호(특허문헌 4)에 기재되어 있는 충전물 용기 반전장치와 같이 빈 용기를 축방향으로 미끄러져 가게 하는 것이 아니라 용기를 측방으로 쓰러뜨려 가이드 부재 위를 용기가 굴러가도록 하여 방출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진 것도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3의 경우 용기를 방출하기 위한 용기 압출 장치(11)가 필요해지므로, 구조의 복잡화 및 제품의 비용 상승을 피할 수 없다. 또한, 용기의 반전은 로터(12)의 회전에 의해 수행되지만, 그 때 용기는 로터의 중심위치(B)로부터 외주측으로 이동하면서 반전된다. 그리고, 그 비워진 용기를 방출하기 위해 로터가 또한 180도 회전하여 용기를 다시 반전시켜 정립 상태로 되돌리면서 빈 용기를 원래의 로터의 중심위치(B)로 되돌리고, 이어서 다음 충전물을 수용한 용기를 용기 압출 장치(11)에서 로터의 위치(B)로 송출하고 또한 빈 용기를 배출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매우 작업 효율이 나쁘다.
또한, 특허문헌 4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는 빈 용기를 측방으로 쓰러뜨리지만, 그 앞에서는 특허문헌 1과 동일하게 통형상 가이드(15)에서 빈 용기를 그 축방향으로 미끄러져 가게 하여 방출하므로, 통형상 가이드 내부가 용기에 의해 막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빈 용기를 측방으로 쓰러뜨리기 위해서는 용기 전체가 통형상 가이드로부터 빠지지 않으면 안된다. 즉, 통형상 가이드의 하단의 방출구와 빈 용기를 측방으로 쓰러뜨리는 전도(轉倒)부재 사이의 거리는 적어도 용기의 길이 이상이 필요하여 낙차가 커진다. 따라서, 용기가 전도부재에 심하게 충돌하여 그 때 발생하는 소음, 또는 용기의 손상, 용기 파편의 포장봉지 내로의 혼입 등의 문제가 있다.
일본 특허 제3517009호 일본 특허 제4473060호 일본 특허공고 평3-56974호 일본 특허공개 제2003-200902호
본원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간단한 구성이면서 비워진 용기의 방출을 확실하고 원활하며 효율 좋게 실시할 수 있고, 또한 종래에 비해 소음, 용기의 손상을 감소시키며, 포장봉지로 이물질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충전물 용기 반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원 발명은, 공급 컨베이어, 분리 스토퍼, 위치결정 스토퍼, 반전수단, 전도부재 및 방출슈트(discharge chute)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충전물 용기 반전장치를 제공한다.
공급 컨베이어는 충전물을 수용한 복수의 용기를 일렬로 하여 한쪽 종단(終端)으로 반송한다.
분리 스토퍼는 공급 컨베이어 상의 선두에서 2번째의 용기에 접촉되어 상기 2번째 이후의 용기의 이동을 저지하는 접촉 위치와, 상기 접촉 위치로부터 후퇴하여 상기 2번째 이후의 용기의 이동을 허용하는 후퇴 위치 사이에서 이동한다.
위치결정 스토퍼는 공급 컨베이어의 한쪽 종단 근방에 설치되고 공급 컨베이어 상의 선두 용기에 접촉되어, 상기 선두 용기의 이동을 저지하여 위치결정한다.
반전수단은 공급 컨베이어의 한쪽 종단 근방에 배치되어 용기를 유지하는 유지부재와, 유지부재를 수직면 내에서 약 180도의 각도 범위에서 왕복운동시키는 반전기구를 구비한다.
전도부재는 반전된 용기의 하단에 근접하여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유지부재로부터 해방된 용기의 하단의 한쪽 부분만이 접촉된다.
방출슈트는 전도부재에 의해 측방으로 전도된 용기를 측방으로 쓰러진 상태 그대로 받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용기를 측방으로 쓰러진 상태 그대로 상기 용기의 축심 둘레로 회전시키면서 방출한다.
반전수단의 유지부재는 위치결정 스토퍼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유지부재는 용기의 한쪽에서 용기의 외주에 접촉되는 본체부와, 본체부측을 향하여 진퇴 자유롭고 진출했을 때 용기의 외주에 본체부와 반대측에서 접촉되며 본체부와 협동하여 용기를 유지하는 억압부로 구성할 수 있다.
유지부재의 본체부는 용기의 외주면을 따라 평면으로 보았을 때 원호상의 형상을 갖추고 있고 용기의 반송방향 전방측 외주면에 접촉되며, 억압부는 각각 진퇴 자유롭고 진출했을 때 용기의 반송방향 후방측 외주면에 접촉되어 억압하는 2개의 억압편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전도부재는 두 갈래로 갈라진 형상의 수평한 판 형상 부재로 구성하고, 두 갈래로 갈라진 부분의 선단 상면에 계단부(段部)가 형성되며, 그 계단부에 반전수단에 의해 반전된 용기의 하단의 일부가 끼워지도록 할 수 있다.
방출슈트의 수용부는 용기가 방출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면 내에서 방출방향 전방측이 후방측보다 낮아지는 원호상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원호의 직경이 용기의 반경보다 커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반전된 용기의 바로 아래에 전도부재를, 그리고 전도부재에 인접시켜 약간 하방의 위치에 방출슈트를 배치하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반전 후의 용기가 측방을 향한 상태로 방출슈트의 위로 쓰러지고, 그대로 슈트 위를 굴러 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가 방출슈트 위를 슬라이딩하는 경우와 달리, 용기의 방출이 확실하고 원활하며 효율적으로 수행된다. 또한, 반전 후의 용기와 전도부재 사이의 낙차, 전도부재와 방출슈트의 낙차를 작은 것으로 할 수 있으므로, 용기가 전도부재에 접촉되었을 때, 또는 방출슈트 위로 쓰러져 들어갈 때의 충격은 매우 작아, 종래에 비해 소음을 감소시키고, 용기의 손상, 포장용기 내로의 이물질 혼입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반전수단의 유지부재를 상기와 같이 본체부와 억압부로 구성하고, 용기를 억압부에서 본체부를 향하여 억누르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확실하게 용기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유지부재의 본체부에 용기의 외주면을 따라서 접촉되는 접촉면을 설치함으로써, 용기를 외주가 면접촉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유지가 매우 확실한 것이 되어, 용기를 반전시킬 때 용기가 유지부재로부터 떨어지거나 또는 위치가 어긋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전도부재를 두 갈래로 갈라진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두 갈래로 갈라진 부분의 선단부에 계단부를 설치하며, 그 계단부에 반전된 용기의 하단의 일부가 끼워지도록 하면, 용기의 전도방향의 어긋남을 방지하고 전도될 때의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방출슈트의 수용부를 용기가 방출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면 내에서 방출방향 전방측이 후방측보다 낮아지는 원호상의 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원호의 직경을 용기의 반경보다 크게 함으로써, 용기가 방출슈트 위를 빠르게 굴러 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관한 충전물 용기 반전장치를 도시한 정면도로, 충전물을 수용한 선두의 용기를 유지부재로 유지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충전물 용기 반전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충전물 용기 반전장치의 좌측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충전물 용기 반전장치(이하, 「반전장치」라고 함)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반전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평면도, 도 3은 좌측면도이다.
반전장치(1)는 포장봉지 등 포장용기에 충전되는 충전물을 수용한 용기(C)를 차례로 반송하는 공급 컨베이어(3)(이하, 간단히 「컨베이어(3)」라고 함)를 구비하고 있다. 컨베이어(3) 상에는 도시하지 않은 앞 공정에서 충전물을 내부에 수용한 용기(C)가 일렬로 연속하여 배치되고, 컨베이어(3)의 한쪽(도 1, 2에서 좌측) 종단을 향하여 반송된다. 부호 "5"는 컨베이어(3)보다 상측에서 컨베이어(3)를 따라서 소정의 범위에서 뻗어, 용기(C)를 양측으로부터 안내하는 가이드봉이다.
부호 "7"은 반전부 프레임이고 도시하지 않은 반전장치의 메인 프레임에 부착되어 있다. 반전부 프레임(7)은 천판(8)과, 천판(8)의 좌우(도 2에서 상하)의 가장자리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좌우측판(9L, 9R)과, 천판(8)의 전방측(도 2에서 좌측) 가장자리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전방판(10)을 구비하고, 천판(8)은 컨베이어(3)의 종단측이 들어가도록 후방측 가장자리부로부터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절개부(11)가 형성되어 있다.
부호 "13"은 컨베이어(3) 상의 선두에서 2번째 이후의 용기(C)의 이동을 제한하는 분리 스토퍼이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3)를 사이에 두고 좌우(도 2에서 상하)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분리 스토퍼(13)는 반전부 프레임(7)의 천판(8) 상에 고정된 부착 블럭(14) 상에, 용기(C)의 이동방향에 대해서 평면에서 보아 대각선으로 기울어져 부착된 에어실린더(15)와, 각각의 에어실린더(15)의 로드(16)의 선단에 부착되는 접촉편(17)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분리 스토퍼(13)는 컨베이어(3) 상의 선두에서 2번째 이후의 용기(C)의 이동을 제한한다. 즉, 컨베이어(3) 상의 용기(C)는 일렬로 연속하여 반송되어 있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선두의 용기(C)가 위치결정 스토퍼(21)에 접촉될 때까지는, 에어실린더(15)의 로드(16)는 후퇴하고 접촉편(17)이 후퇴 위치에 위치하여 용기(C)의 이동 경로 밖에 위치하게 되므로, 용기(C)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그러나, 선두의 용기(C)가 후술하는 위치결정 스토퍼(21)에 접촉되어 그 이상의 전진을 방해받으면, 로드(16)가 뻗어나가고 접촉편(17)이 전진하여 접촉 위치로 이동하여, 선두의 용기(C)에 거의 접하는 형태로 도 2에 2점 쇄선으로 도시한 위치까지 전진해 온 2번째의 용기(C)에 접촉되고, 이를 실선으로 도시한 위치까지 되밀어, 그 이상의 전진을 저지한다. 3번째 이후의 용기(C)도 동시에 되밀려 정지된다. 이 동작은 2번째의 용기(C)를 선두의 용기(C)로부터 떨어뜨려, 후술하는 용기(C)의 반전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선두의 용기(C)의 반전동작이 실시되면 로드(16)는 격납되고 접촉편(17)이 후퇴하며, 2번째 이후의 용기(C)는 다시 컨베이어(3)에 의해 전방으로 반송된다.
부호 "21"은 선두의 용기(C)를 소정의 위치에 위치결정하여 정지시키는 위치결정 스토퍼이다. 위치결정 스토퍼(21)는 반전부 프레임(7)의 천판(8) 상에 절개부(11)를 사이에 두고 좌우(도 2에서 상하)에 부착된 다리부(22)와, 그 위에 부착된 접촉편(23)을 구비하고 있다. 접촉편(23)은 용기(C)와 마주하는 측에 용기(C)의 외주에 접촉되는 접촉면(24)을 구비하고, 상기 접촉면(24)이 컨베이어(3) 상에 배치되어 진행되어 오는 선두의 용기(C)에 그 하부 외주면에서 접촉되고 용기(C)의 이동을 저지하여 그 위치에 위치결정한다. 접촉면(24)은 용기(C)의 반경에 거의 동등한 직경의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정지된 선두의 용기(C)는 전후방향만이 아니라 좌우방향에서도 위치가 어긋나지 않는다.
부호 "27"은 반전축이며, 일단 측(도 2에서 하단측)에서 반전부 프레임(7)의 좌측판(9L)의 외측면에 부착된 축 지지판(28)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천판(8)의 상측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된다. 반전부 프레임(7)의 우측판(9R)의 외측면에는 모터 부착판(29)이 부착되고, 상기 부착판(29)에 서보모터(30)가 부착되며, 그 출력축(31)은 모터 부착판(29)을 관통하여 연장되고, 커플링(32)을 통하여 반전축(27)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다.
부호 "35"는 용기(C)를 유지하는 유지부재이다. 유지부재(35)는 본체부(36)를 구비하고, 본체부(36)는 반전축(27)에 일체 회전하도록 부착된 기부(基部)(37)와, 기부(37)로부터 도 2에서 우측으로 연장되는 두 갈래로 갈라진 부분(38)을 구비하고 있다. 두 갈래로 갈라진 부분(38)의 근원 내면측에는 위치결정 위치에 위치결정된 용기(C)의 반송방향 전방측 외주에 접촉되는 접촉면(39)이 형성되고, 그 형상은 용기(C)의 외주를 따르는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두 갈래로 갈라진 부분(38)의 선단부 측은 접촉면(39)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으로부터 더욱 도 2에서 우측으로 연장되고, 선두의 용기(C)로부터는 떨어져 있다. 그 2개의 선단부는 각각 에어실린더 부착부(44)로 이루어져 있다.
에어실린더 부착부(44)에는 각각 유지부재의 억압부(40)를 형성하는 에어실린더(41)가, 그 로드(42)가 용기(C)의 반송방향에 대해서 평면에서 보아 기울어지게 부착되어 있다. 로드(42)의 선단에는 억압편(43)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 선두의 용기(C)가 위치결정 스토퍼(21)에 접촉되어 위치결정되고, 또한 본체부의 접촉면(39)이 용기(C)에 접촉되면 에어실린더(41)의 로드(42)가 신장되고, 억압편(43)이 접촉면(39)의 대략 반대측에서 용기(C)의 외주면에 접촉, 억압되고, 본체부(36)와 협동하여 용기(C)를 확실하게 유지한다. 그리고 후술한 바와 같이 반전축(27)이 도 1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약 180도 회전하여 정지한다. 이 때 용기(C) 중의 충전물은 하방으로 방출된다. 이 상태의 용기(C)는 도 1, 2에서 2점 쇄선으로 도시되고 부호 "C1"으로 표시되어 부착되어 있다. 이어서 로드(42)가 수축되어 용기(C1)를 해방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부호 "47"은 반전부 프레임(7)의 전방판(10)의 외면에 부착된 전도부재이고, 반전하여 유지부재(35)로부터 해방된 내부가 비워진 용기(C)를 측방으로 전도시키는 부재이다. 전도부재(47)는 반전 정지한 용기의 하단(개구측)보다 약간 하방에, 근접하여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상기 전도부재는 용기(C)를 측방으로 쓰러진 상태로 하기 위해서 설치하는 것이므로, 반전하여 정지되는 용기(C)가 충돌하지 않을 정도로 떨어져 있으면 충분하고, 그 거리는 예를 들어 1~2㎜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도부재(47)는 전방판(10)에 부착되는 부착부(48)와, 상기 부착부로부터 평평하게 연장되는 두 갈래로 갈라진 부분(49)을 구비하고, 두 갈래로 갈라진 부분(49)의 각각의 선단부에서 상면측을 절단한 계단부(50)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전하여 정지된 용기(C)의 개구부의 일부분이 두 갈래로 갈라진 부분(49)의 양쪽 팔(arm)의 내측 빈 공간(51) 내에 위치하고, 그 부분의 양단 부분이 계단부(50)에 얕게 끼워져 있다. 단, 이 상태에서는 용기(C)의 하단은 계단부(50)의 바닥에 닿지는 않는다. 또한, 계단부(50)는 용기(C)의 하단을 수용하여 용기(C)가 소정 방향으로 쓰러지도록 가이드하는 것이므로, 그 깊이는 용기(C)의 하단측의 얼마 안되는 길이 부분만큼 수용되는 치수로 충분하다. 또한, 빈 공간(51)은 충분히 넓고 용기(C)로부터 하방으로 방출되는 충전물의 낙하를 방해하지 않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시한 반전 정지된 "C1"의 상태에서 유지부재(35)의 접촉편(43)이 후퇴하면, 용기(C)가 해방되어 약간 하방으로 낙하하고,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개구부의 한쪽 부분에서 계단부(50)의 바닥에 닿는다. 그러면 용기(C)는 도 1에서 부호 "C2"의 상태를 거쳐 "C3"의 상태가 되어 측방으로 쓰러지고 후술하는 방출슈트(57)의 수용부(59)의 위로 측방을 향한 상태가 되어 쓰러져 들어가게 된다.
부호 "53"는 반전된 용기(C)의 하방에 위치하고 용기(C)로부터 방출되는 충전물을 가이드하여, 더욱 하방에 유지되어 있는 포장용기에 들어가도록 하는 가이드용 호퍼이다.
부호 "57"은 방출슈트이고, 도시하지 않은 브라켓을 통하여 반전부 프레임(7)에 부착되어 있다. 방출슈트(57)는 도 3에서 우측의 수평으로 연장되는 상부 평탄부(58), 그것에 계속되는 좌측으로 내려가는 원호상으로 형성된 수용부(59), 또한 그것에 계속되는 하부 평탄부(60)를 구비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59)의 상부 평탄부(58)에 가까운 부분이 전도부재(47)의 바로 이웃에 위치하고, 반전된 용기(C)가 그 수용부(59)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전도부재(47)에 의해 쓰러진 용기(C)는 측방을 향한 상태로 수용부(59) 상에 쓰러져 들어가고, 용기(C)는 그대로 회전하면서 수용부(59)로부터 하부 평탄부(60) 위를 이동하여 도시하지 않은 용기 회수 라인으로 방출된다. 또한 수용부(59)의 상부 평탄부(58)에 가까운 부분은, 전도부재(47)에 의해 측방을 향한 상태로 쓰러지는 용기(C)가 도 1에서 부호 "C3"으로 표시되는 상태가 되었을 때 용기(C)를 받는 높이 위치가 되어 있으므로, 용기(C)를 받을 때의 충격이 매우 적다. 또한, 수용부(59)에는 반전된 용기(C)의 하측에 절개부(61)가 설치되어 있고 용기(C)로부터 방출되는 충전물의 낙하를 방해하지 않도록 이루어져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을 구비한 충전물 용기 반전장치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충전물을 수용한 복수의 용기(C)가 일렬로 연속된 상태로 컨베이어(3)에 의해 컨베이어(3)의 한쪽 종단을 향하여 반송된다. 이 때, 분리 스토퍼(13)의 접촉편(17)은 후퇴하고 있고, 용기(C)의 이동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그리고, 선두의 용기(C)가 위치결정 스토퍼(21)에 접촉되어 위치결정되면 분리 스토퍼(13)가 작동하고, 로드(16)가 신장되어 접촉편(17)이 2번째의 용기(C)에 접촉되고, 2번째 이후의 용기(C)를 약간의 거리만큼 다시 민다. 이에 의해 2번째의 용기(C)는 선두의 용기(C)로부터 분리된다. 한편, 유지부재(35)의 본체부(36)의 접촉면(39)이 선두의 용기(C)에 접촉되고, 이어서 억압부(40)의 에어실린더(41)가 작동하며, 억압편(43)이 전진하여 용기(C)에 접촉, 억압되고, 본체부(36)와 협동하여 용기(C)를 붙잡는다.
다음에 서보모터(30)가 작동함으로써 반전축(27)이 도 1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약 180도 회전되어 정지된다. 용기(C)는 도립하고 도 2에서 부호 "C1"로 표시된 2점 쇄선의 상태가 된다. 상기 반전동작에 의해 용기(C)에 수용되어 있던 충전물은 하방으로 방출되고, 호퍼(53)에 가이드되어 도시하지 않은 포장용기에 충전된다. 한편, 용기의 반전동작이 개시되면, 적절한 타이밍으로 분리 스토퍼(13)의 로드(16)가 수축되어 2번째 이후의 용기(C)가 이동을 재개하고, 여기에서 선두가 되었던 용기(C)가 위치결정 스토퍼(21)에 접촉되면, 분리 스토퍼가 다시 작동하여 상술한 동작을 실시한다.
용기(C)가 반전되고 순간 정지된 후, 유지부재(35)의 억압부(40)의 에어실린더(41)가 작동하여 억압편(43)을 후퇴시키고 용기(C)를 해방한다. 유지부재(35)는 반전축(27)이 이번에는 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함으로써,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고, 위치결정 스토퍼(21)에 의해 위치결정되어 있는 다음 용기(C)의 외주에 본체부(36)의 접촉면(39)이 접촉되며, 억압부(40)가 작동하여 그 용기(C)를 붙잡는다.
한편, 유지부재(35)로부터 해방된 용기(C)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약간 낙하하여 전도부재(47)에 접촉되고 측방으로 전도되어 방출슈트(57)의 수용부(59)의 위로 측방을 향한 상태로 쓰러져 들어가고, 그 측방으로 쓰러진 상태 그대로 방출슈트 위를 굴러서 떨어져, 용기 회수 라인으로 인도된다.
1: 반전장치 3: 공급 컨베이어
C: 용기 7: 반전부 프레임
11: 절개부 13: 분리 스토퍼
14: 부착 블럭 15: 에어실린더
16: 로즈 17: 접촉편
21: 위치결정 스토퍼 28: 축 지지판
29: 모터 부착판 30: 서보모터
35: 유지부재 47: 전도부재
53: 가이드용 호퍼 57: 방출슈트

Claims (6)

  1. 충전물을 수용한 복수의 용기를 일렬로 하여 한쪽 종단으로 반송하는 공급 컨베이어,
    공급 컨베이어 상의 선두에서 2번째 용기에 접촉되어 상기 2번째 이후의 용기의 이동을 저지하는 접촉 위치와, 상기 접촉 위치로부터 후퇴하여 상기 2번째 이후의 용기의 이동을 허용하는 후퇴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분리 스토퍼,
    상기 공급 컨베이어의 상기 한쪽 종단 근방에 설치되고, 상기 공급 컨베이어상의 선두의 용기에 접촉되어, 상기 선두의 용기의 이동을 저지하여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 스토퍼,
    상기 공급 컨베이어의 상기 한쪽 종단 근방에 배치되고 상기 용기를 유지하는 유지부재와, 상기 유지부재를 수직면내에서 약 180도의 각도 범위에서 왕복운동시키는 반전기구를 구비하는 반전수단,
    반전된 용기의 하단에 근접하여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유지부재로부터 해방된 용기의 하단의 한쪽 부분만이 접촉되는 전도부재, 및
    상기 전도부재에 의해 측방으로 전도된 용기를 측방으로 쓰러진 상태 그대로 받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를 측방으로 쓰러진 상태 그대로 상기 용기의 축심 둘레로 회전시키면서 방출하는 방출슈트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물 용기 반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수단의 상기 유지부재는 상기 위치결정 스토퍼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유지부재는 상기 용기의 한쪽에서 상기 용기의 외주에 접촉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측을 향하여 진퇴 자유롭고 진출했을 때 상기 용기의 외주에 상기 본체부와 반대측에서 접촉되며 상기 본체부와 협동하여 상기 용기를 유지하는 억압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물 용기 반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용기의 외주면을 따라 평면으로 보았을 때 원호상의 형태를 갖추고 있고, 상기 용기의 반송방향 전방측 외주면에 접촉되며, 상기 억압부는 각각 진퇴 자유롭고 진출했을 때 상기 용기의 반송방향 후방측 외주면에 접촉되어 억압하는 2개의 억압편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물 용기 반전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부재는 두 갈래로 갈라진 형상의 수평인 판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고, 두 갈래로 갈라진 부분의 선단 상면에 계단부가 형성되며, 상기 반전수단에 의해 반전된 용기의 하단의 일부가 상기 계단부에 끼워지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물 용기 반전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슈트의 수용부는 상기 용기가 방출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면내에서 방출방향 전방측이 후방측보다 낮아지는 원호상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원호의 직경이 상기 용기의 반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물 용기 반전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슈트의 수용부는 상기 용기가 방출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면내에서 방출방향 전방측이 후방측보다 낮아지는 원호상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원호의 직경이 상기 용기의 반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물 용기 반전장치.

KR1020110096747A 2010-10-18 2011-09-26 충전물 용기 반전장치 KR1018709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33265 2010-10-18
JP2010233265A JP5616192B2 (ja) 2010-10-18 2010-10-18 充填物容器反転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0100A true KR20120040100A (ko) 2012-04-26
KR101870988B1 KR101870988B1 (ko) 2018-06-25

Family

ID=44675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6747A KR101870988B1 (ko) 2010-10-18 2011-09-26 충전물 용기 반전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441691B1 (ko)
JP (1) JP5616192B2 (ko)
KR (1) KR101870988B1 (ko)
CN (1) CN102530276B (ko)
ES (1) ES2404896T3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336B1 (ko) 2020-07-02 2020-11-16 이래용 자동 포장시스템용 두부 포장용기 반전장치
KR102179337B1 (ko) 2020-07-02 2020-11-16 이래용 두부용 낱개 포장용기의 자동 포장시스템
KR20210071430A (ko) 2019-12-06 2021-06-16 정진석 포장용기의 업사이드 다운장치
KR20210071433A (ko) 2019-12-06 2021-06-16 정진석 포장용기의 정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21977B (zh) * 2013-12-17 2016-06-29 中山环亚塑料包装有限公司 空塑料瓶自动封薄膜包装机配套排瓶送瓶防止瓶翻倒装置
ES2700657T3 (es) * 2015-06-19 2019-02-18 Handtmann Albert Maschf Cesto de alojamiento para un dispositivo elevador y procedimiento para cargar una máquina procesadora de alimentos
CN105731092B (zh) * 2016-05-09 2018-03-27 安徽华菱汽车有限公司 一种翻转式倾倒箱
JP6783186B2 (ja) 2016-12-12 2020-11-11 東洋自動機株式会社 投入機
CN107445129A (zh) * 2017-06-21 2017-12-08 苏州首达机械有限公司 倒瓶机构
CN108392421B (zh) * 2018-01-29 2020-10-27 浙江厚达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负重回流机构及负重回流方法
CN110812959B (zh) * 2019-04-22 2021-08-17 佛山市顺德区阿波罗环保器材有限公司 一种颗粒物的填充方法
CN112278643B (zh) * 2020-10-16 2022-07-12 东北农业大学 摆动压杆式废弃物倾倒收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5447A (en) * 1923-05-02 1923-10-18 Samuel Murrell Heulings Improvements in case emptying machines
GB900058A (en) * 1959-11-19 1962-07-04 Samuel John Young Apparatus for inverting crates and like containers
JPS5638966Y2 (ko) * 1977-01-12 1981-09-11
JPS5899335A (ja) 1981-12-03 1983-06-1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固形材料投入装置
JPS60154212U (ja) * 1984-03-22 1985-10-15 東洋自動機株式会社 充填物の自動反転排出装置
JPS60169105U (ja) * 1984-04-14 1985-11-09 東洋自動機株式会社 充填物の自動反転排出装置
JPH0720007Y2 (ja) * 1990-05-31 1995-05-10 東洋自動機株式会社 充填物の自動反転排出装置
DE4109461C1 (en) * 1991-03-22 1992-07-09 B.A.T. Cigarettenfabriken Gmbh, 2000 Hamburg, De Transferring compact, compressed tobacco blocks to processor - involves swivelling block container through 120-135 deg. in feed direction
JPH07185987A (ja) * 1993-12-28 1995-07-25 Sony Magnescale Inc ワーク把持測定装置
JP3517009B2 (ja) * 1994-12-14 2004-04-05 東洋自動機株式会社 充填物の自動反転排出装置
FR2829477B1 (fr) * 2001-09-10 2003-11-28 Francois Mecaviti Dispositif automatique de vidage en continu de caisses ou analogue
JP2003200902A (ja) 2002-01-04 2003-07-15 Furukawa Mfg Co Ltd 計量被包装物を包袋に充填する装置
CN1465503A (zh) * 2002-07-04 2004-01-07 深圳三九药业有限公司 一种药品出药装置
US6988865B2 (en) * 2003-04-11 2006-01-24 Cardwell Steven A Barrel handling system
JP4473060B2 (ja) 2004-07-15 2010-06-02 東洋自動機株式会社 充填物容器反転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1430A (ko) 2019-12-06 2021-06-16 정진석 포장용기의 업사이드 다운장치
KR20210071433A (ko) 2019-12-06 2021-06-16 정진석 포장용기의 정렬 시스템
KR102179336B1 (ko) 2020-07-02 2020-11-16 이래용 자동 포장시스템용 두부 포장용기 반전장치
KR102179337B1 (ko) 2020-07-02 2020-11-16 이래용 두부용 낱개 포장용기의 자동 포장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41691B1 (en) 2013-04-03
JP2012086918A (ja) 2012-05-10
CN102530276B (zh) 2014-11-12
EP2441691A1 (en) 2012-04-18
KR101870988B1 (ko) 2018-06-25
ES2404896T3 (es) 2013-05-29
CN102530276A (zh) 2012-07-04
JP5616192B2 (ja) 2014-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40100A (ko) 충전물 용기 반전장치
JP4160606B2 (ja) 袋詰め包装装置
CN1724310A (zh) 药品供给装置
US4285187A (en) Intermittent feed mechanism for stacked containers
JP4830396B2 (ja) 容器収容装置および容器グリッパ
CN113353390A (zh) 一种给药器生产系统
US3550799A (en) Automatic tray feeder for cigarette packer
US4640656A (en) Device for supplying rod-shaped articles, for example cigarettes, to a processing machine
KR100831611B1 (ko) 하드 젤라틴 캡슐을 캡핑 머신에 공급하는 장치
CN103241416B (zh) 一种吸管自动喂入机构
JP4341974B2 (ja) 容器搬出装置
CN111776274B (zh) 一种枸杞自动装盒机
JP2002306952A (ja) 定量供給装置
US4143779A (en) Can end feeder
US11225043B2 (en) Apparatus for the manual or machine-made production of a tube-like packaging material and packing station
CN213566657U (zh) 一种组合式气雾剂灌装设备
CN214165437U (zh) 一种肠衣包装机下料机构
CN117063959B (zh) 一种自动套肠衣装置和高速扭结成型机
JP5954222B2 (ja) 錠剤供給装置
CN211254103U (zh) 一种饼干自动包装机的瓶盖上料装置
CN217146646U (zh) 一种给药器生产系统
CN212606083U (zh) 一种枸杞自动装盒机
CN219339869U (zh) 盒片搬运设备、盒片供应系统和卷烟包装系统
CN110329572B (zh) 食品装盒设备
JP2005153990A (ja) 長尺根菜類の箱詰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