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9374A -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원료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원료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9374A
KR20120039374A KR1020100101053A KR20100101053A KR20120039374A KR 20120039374 A KR20120039374 A KR 20120039374A KR 1020100101053 A KR1020100101053 A KR 1020100101053A KR 20100101053 A KR20100101053 A KR 20100101053A KR 20120039374 A KR20120039374 A KR 20120039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s
barley
wheat
functional food
s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1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7935B1 (ko
Inventor
이규길
Original Assignee
이규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길 filed Critical 이규길
Priority to KR1020100101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7935B1/ko
Publication of KR20120039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9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7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79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52Cereal germ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춘화처리된 최아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나 춘화처리된 최아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를 재배하여 얻은 유아, 또는 춘화처리된 최아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의 유산균에 의한 발효물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 원료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원료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eparing Raw Material for Functional Food}
본 발명은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원료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를 춘화처리하거나, 또는 춘화처리한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를 유산균에 의해 발효시킴으로써 항산화 기능, 항당뇨 기능, 항비만 기능 등 기능성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원료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온도는 여러 작물이나 품종의 일장 효과를 변경시키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일년생 겨울 작물 및 이년생 작물에서 꽃의 분화와 발육에 대한 온도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봄철의 장일에서 개화하는 데는 2~6주간의 저온 또는 냉온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추파품종(예컨대 보리, 밀 등의 맥류)을 봄에 뿌리면 출수(出穗)가 늦어지거나, 전혀 출수가 되지 않는다.
러시아의 T.D.리센코(Trofim Deni-sovich Lysenko)는 식물의 영양생장기의 길이는 품종의 유전적 성질과 그것이 생육할 때의 외적 환경 조건에 의해 결정되는 거라 생각하고 추파품종을 봄에 뿌리면 출수가 잘 안 되는 원인은 파종 후의 온도조건이 너무 높기 때문이므로, 종자를 미리 일정기간 저온에 두었다가 뿌리면 춘파품종과 똑같이 순조롭게 출수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추파품종의 종자를 봄에 파종할 수 있도록 인위적인 처리를 한다는 의미에서 이러한 저온처리를 춘화처리(vernalization)라 하며, 저온처리는 0~10℃가 효과적이다.
저온 노출에 대한 반응은 일장 효과와 같이 질적 반응 또는 양적 반응으로 구분될 수 있다. 질적 반응을 보이는 품종은 일정 기간의 저온을 경험하지 않으면 영양생장만 계속하고 화아가 분화되지 않는 좌지현상(hibernalism)을 보이지만, 양적 반응을 보이는 품종은 저온에 노출되지 않으면 개화가 지연된다.
춘화처리는 처리 온도에 따라 저온춘화처리(0?10℃의 저온에서 처리)와 고온춘화처리(10?30℃의 고온에서 처리)로 구분할 수 있고, 춘화처리를 하는 시기에 따라서 최아 종자를 춘화처리하는 종자춘화처리와, 일정한 크기로 자란 식물체에 춘화처리하는 녹체춘화처리로 구분한다.
보리, 밀 등 추파맥류는 대표적인 종자춘화처리 식물이며, 양배추, 유채 등에서는 녹체춘화처리 식물이다.
한편, 유산균은 포도당 등 당류를 에너지원으로 이용하여 유산을 생성하는 균의 총칭으로, 유해균의 증식 억제 작용, 정장 작용, 혈중 콜레스테롤의 저하 작용, 항암 작용, 면역 증강 작용, 설사, 변비 등의 개선 작용을 가지며, 크게 다섯 종류로 대별되는데, 구체적으로 스트렙토코쿠스속 유산균(Streptococcus sp .), 페디오코쿠스속 유산균(Pediococcus sp .), 류코노스톡속 유산균(Leuconostoc sp .), 락토바실루스속 유산균(Lactobacillus sp .) 및 비피도박테리움속 유산균(Bifidobacterium sp .)이 그것이다.
식품 가공에 유산균을 이용하는 목적은 일반적으로 식품의 보존성 향상, 식품의 풍미 향상 및/또는 식품의 기능성 향상을 위한 것이다.
예컨대 국내 공개특허 제2010-0092786호는 영지버섯, 메밀 등의 혼합 추출물을 유산균 배양액을 주입하여 발효시킨 발효물의 향상된 항당뇨 활성을 개시하고 있고, 국내 공개특허 제2010-0059278는 차 잎에 유산균을 처리하여 풍미가 향상된 차의 제조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국내 공개특허 제2010-0020123호는 대두의 김치 복합 유산균에 의한 발효물의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개시하고 있다. 국내 공개특허 제2008-0074290호는 자작나무 수액을 유산균으로 발효시켜 얻어진 저장성이 향상된 발효 음료를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보리와 밀을 종자춘화처리하여 얻어진 것과 종자춘화처리된 보리와 밀을 유산균으로 발효시켜 얻어진 것이 항산화 기능, 항당뇨 기능, 항비만 기능 등의 기능성이 발아 종자 등의 기능성보다 우수함을 확인함으로써 완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를 춘화처리시켜 기능성 식품 원료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를 춘화처리하고 유산균에 의해 발효시켜 기능성 식품 원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기타의 목적이나 구체적인 양태는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은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최아(催芽) 보리 종자 및 밀 종자를 춘화처리하고 얻어진 분말이나 춘화처리한 최아 종자를 재배하여 얻어진 유아(幼芽)의 분말, 그리고 춘화처리한 최아 보리 종자 및 밀 종자를 유산균에 의해 발효시켜 얻은 발효물이 발아 종자의 분말이나 이 발아 종자를 재배하여 얻어진 유아 분말에 비하여 기능성(특히 대표적으로 항산화 활성, 항당뇨 활성 또는 항비만 활성)이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함으로써 완성된 것이다.
특히 춘화처리한 보리 종자 및 밀 종자를 유산균에 의해 발효시켜 얻은 발효물은 춘화처리한 보리 종자 및 밀 종자에 비하여 상기 기능성이 훨씬 향상되었다.
본 발명자는 춘화처리한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와 이들을 재배하여 얻은 유아, 그리고 춘화처리한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의 유산균에 의한 발효물이 발아 종자에 비하여 우수한 기능성을 가지는 이유를 춘화처리 과정과 유산균에 의한 발효 과정에서 여러 기능성 물질들의 생성이 증가하였거나 여러 기능성 물질들이 새로 생성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를 춘화처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원료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춘화처리시킨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원료의 제조 방법은, 두 가지의 구체적인 양태로 파악될 수 있는데, 하나는 (a)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를 최아시키는 단계, (b) 최아시킨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를 춘화처리하는 단계, 및 (c) 춘화처리시한 최아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를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다른 하나는 (a)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를 최아시키는 단계, (b) 최아시키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를 춘화처리하는 단계, (c) 춘화처한 최아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를 재배하여 보리 유아 또는 밀 유아를 얻는 단계, 및 (d) 그 보리 유아 또는 그 밀 유아를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기능성"란 인체의 생리학적 작용에 있어서의 유용한 효과를 말한다. 이러한 기능성으로서, 아래의 실험예에서 활성을 확인한 항산화 활성, 항당뇨 활성, 항비만 활성 이외에, 예컨대 항콜레스테롤 활성, 고지혈증 개선 활성, 숙취해소 활성, 간 기능 개선 활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최아"란 종자가 싹을 틔우는 것을 말한다(즉 유근의 시원체인 백체가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보리와 밀의 적절한 최아 온도 및 기간은 당업계에서 공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최아 온도가 높으면 최아 기간이 짧고 최아 온도가 낮으면 최아 기간이 길다. 예컨대 종자가 물을 충분히 흡수하도록 하고 최아시킬 때, 10~25℃에서는 10시간 내지 50시간 정도이며, 5~10℃일 때는 40시간 내지 75시간 정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보리 또는 밀의 종자를 물에 침지시켜 수분을 충분히 흡수하도록 하고 10~25℃의 온도에서 10~24시간 보관(방치)하여 총 종자수의 3~5% 최아시켰다. 싹을 틔운(즉 최아시킨) 종자의 수는 총 종자수의 0.1% 내지 100%의 범위 중 임의의 범위일 수 있으나, 총 종자수의 3~5%를 최아시키는 것이 다음 단계인 춘화처리 단계에서 춘화효과가 높다는 점에서 총 종자수의 3~5%를 최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최아"란 실질적으로 발아와 동일한 의미이다. 다만 춘화처리는 거칠 경우에는 통상 발아를 최아라 하므로 춘화처리를 거칠 경우에는 최아로 표현하였다.
또 본 명세서에서, "춘화처리"란 최아시킨 보리와 밀의 종자를 일정 기간 저온처리하는 것을 말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특정 작물은 그것의 특정 파종 시기가 있어서 다른 시기에 파종할 경우 외부 환경의 온도와 맞지 않아 개화가 되지 않거나 개화가 지연된다. 그것은 개화를 위해서는 그 작물에 맞는 온도가 일정 기간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적절한 춘화처리는 온도 및 시간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보리 및 밀의 경우는 적절한 춘화처리 온도는 0~15℃, 바람직하게는 0~7℃, 특히 바람직하게는 아래의 실시예의 춘화처리 온도인 0~3℃이다. 0℃ 이하에서는 춘화처리 효과가 감소하고, 7℃ 이상에서는 춘화처리 효과가 점차 감소하여 15℃를 넘어서면 아예 춘화처리가 되지 않는다. 한편 춘화처리 기간은 하한에서는 20일 이상 바람직하게는 30일 이상 또는 40일 이상이며, 상한에 있어서는 120일 이하 바람직하게는 110일 이하, 100일 이하, 90일 이하, 80일 이하, 70일 이하, 60일 이하 또는 50일 이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보리 및 밀의 경우는 0~3℃의 온도에서 40~50일 동안 춘화처리시켰다. 상기 춘화처리 온도의 선택과 춘화 처리 기간의 선택은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 범위에서 적절한 선택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가공"이란 춘화처리한 종자 또는 유아를 건조?분쇄하거나, 착즙하거나, 또 메탄올, 증류수, 에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5의 저급 알콜,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포화노말부탄올,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추출용매로 추출하는 경우, 그 추출물은 조추출물과 그 조추출물을 상기 열거된 용매로 분획하여 얻어진 추출물일 수 있으며, 또 추출용매가 제거된 액상의 추출물이거나 고형상의 추출물일 수 있다. 또한 추출 방법으로서는 추출 대상을 추출 용매에 침지시키는 단계를 통하여 추출되는 한, 냉침, 환류, 가온, 초음파 방사 등 임의의 방식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유아"는 첫 마디가 생기기 전인 어린 식물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정의되지 않은 용어는 당업계에서 받아들여지고 있는 의미를 따른다.
한편 본 발명의 춘화처리한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원료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춘화처리한 최아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를 곧바로 가공할 수 있으나 이를 재배하여 얻은 유아를 가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식물체는 춘화처리시킨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를 10~25℃의 온도에서 15 내지 20일 정도 재배하여 얻는다. 이렇게 재배하여 얻은 유아의 크기는 통상 20 내지 30cm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이러한 유아는 건조?분쇄에 의해 분말로 가공하거나 착즙에 의해 녹즙으로 가공하는 데 특히 유용하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최아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를 춘화처리하고 유산균에 의해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원료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춘화처리하고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최아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원료의 제조 방법은 (a)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를 최아시키는 단계, (b) 최아시킨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를 춘화처리하는 단계, 및 (c) 춘화처리한 최아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를 유산균에 의해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단계 (c)의 춘화처리한 최아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의 유산균에 의한 발효는, 최아 과정 중에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가 생성한 α-아밀라아제, 말타아제 등의 당화 효소에 의해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에 함유되었던 녹말 등의 다당류가 유산균이 에너지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포도당, 맥아당으로 전환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유산균"이란 전술한 바와 같이 포도당 등 당류를 분해하여 젖산을 생성하는 세균으로서 스트렙토코쿠스속 유산균(Streptococcus sp .), 페디오코쿠스속 유산균(Pediococcus sp .), 류코노스톡속 유산균(Leuconostoc sp .), 락토바실루스속 유산균(Lactobacillus sp .) 및 비피도박테리움속 유산균(Bifidobacterium sp.)를 포함하는 의미이며,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루스속 젖산균을 의미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루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및/또는 락토바실루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단계 (c)의 춘화처리한 최아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의 유산균에 의한 발효 단계 전에, 최아 과정 중에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가 생성한 α-아밀라아제, 말타아제 등의 당화 효소에 의해 유산균이 에너지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포도당, 맥아당 등의 생성을 유도하거나 높이기 위하여 당화 단계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당화 단계는 발효 시간을 줄이거나 발효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상기 당화 단계는 춘화처리한 최아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를 α-아밀라아제, 말타아제 등의 당화 효소가 최적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온도를 적정 시간 유지하거나, 이와 함께 α-아밀라아제, 말타아제 등의 당화 효소를 첨가함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자는 아래의 실시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α-아밀라아제, 말타아제 등의 당화 효소를 첨가하지 않고 춘화처리한 최아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를 60~63℃의 온도 범위에서 4~5시간 동안 방치하여 당화시켰다. 여기서 적절한 당화 온도 범위 선택, 당화 시간의 선택, α-아밀라아제, 말타아제 등의 당화 효소의 첨가 여부는 당업자가 자신의 통상의 능력 범위내에서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당화 단계에는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원료의 제조 방법에 의해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발효물의 기능성을 보강?상승시키기 위하여 곡물의 정미 과정에서 얻어지는 부산물을 첨가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곡물의 생리활성 물질이 미강, 밀겨, 보리 등겨 등 곡물의 부산물에 집중되어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러한 곡류의 부산물은 춘화처리한 최아 보리 또는 밀 종자의 100 중량부 기준 10 중량부 내지 150 중량부의 범위로 첨가되어 당화될 수 있다. 곡물의 부산물에 함유된 녹말 등의 다당류는 춘화처리한 최아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가 가지는 α-아밀라아제, 말타아제 등의 당화 효소에 의해서 당화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원료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단계 (c)의 춘화처리한 최아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의 유산균에 의한 발효 단계 전에, 당화 효소를 불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춘화처리한 최아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를 고온에서 건조시키는 단계가 추가될 수 있으며, 또한 발효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춘화처리한 최아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를 분쇄하는 단계가 추가될 수 있다. 당화 효소의 효소의 불활성화를 위해서 어느 정도의 고온에서 건조시키는가 그리고 발효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어느 정도의 입도로 분쇄하는가는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선택가능한데, 아래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는 80~85℃의 온도 범위에서 수분 함량이 8~12%가 되도록 건조시켰으며, 분쇄 후의 입도는 80~100 메쉬가 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당화 효소의 불활성화 단계와 춘화처리한 최아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의 분쇄 단계는 유산균에 의한 발효 효율을 높이는데 유용하다.
또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원료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단계 (c)의 춘화처리한 최아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의 유산균에 의한 발효 단계 전에, 잡균에 의한 원치 않는 발효를 방지하기 위해서 춘화처리한 최아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를 멸균시키는 단계가 추가될 수 있다. 여기서 멸균 단계의 수행은 자외선 조사, 고압?고온 처리 등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원료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단계 (c)의 춘화처리한 최아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의 유산균에 의한 발효 단계는 충분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충분히"란 유산균이 이미 최대로 증식함으로써 더 이상 증식하지 않는 단계로서 이해될 수 있다. 어느 정도의 기간 동안 발효 단계를 수행하여야 충분히 발효된 것이냐는 전술한 바의 당화 단계를 거쳤는가 등을 고려하여 발효 시간, 발효 온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것인데, 충분한 발효를 위한 발효 시간, 발효 온도 등의 결정은 당업자의 그의 통상의 능력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아래의 실시예에서는 38~40℃에서 2일 정도 발효를 수행하였다.
또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원료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단계 (c)의 춘화처리시킨 최아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의 유산균에 의한 발효 단계에서는 유산균의 증식을 촉진시키기 위해서 탈지 분유, 우유, 포도당, 올리고당(유산균으로 비피더스균을 이용할 경우) 등의 유기물을 첨가할 수 있으며, 또한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발효물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인삼, 대추, 은행, 영지, 운지, 두충, 당귀, 치커리, 컴프리, 오가피, 쑥, 질경이, 둥굴레, 삽주, 칡 등의 생약재 분말 또는 추출물, 토마토, 신선초, 당근 등의 야채 분말 또는 추출물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탈지 분유 등의 유기물은 춘화처리한 최아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 100 중량부 기준 2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의 범위로 첨가될 수 있으며, 상기 생약재 또는 야채의 분말/추출물은 춘화처리한 최아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 100 중량부 기준 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의 범위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에서 추출물의 의미는 압착하여 얻은 착즙액과, 또 메탄올, 증류수, 에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포화노말부탄올,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추출 용매로 추출하는 경우 상기 "가공"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가 그대로 유효하다.
또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원료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단계 (c)의 춘화처리한 최아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의 유산균에 의한 발효 단계에서는 유산균과 함께 효모를 접종하여 발효시킬 수도 있다. 사용가능한 효모는 사카로마이세스 속 효모로서, 예컨대 사카로마이세스 루시(Saccharomyces rouxii),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아에(Saccharomyces cereviciae), 사카로마이세스 오비폴미스(Saccharomyces oviformis), 사카로마이세스 스테이네리(Saccharomyces steineri)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아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효모를 추가로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것은 발효물의 기능성의 보강?상승을 위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원료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단계 (c)의 발효 단계 후에 그 발효물의 가공 단계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가공 단계는 발효물이 기능성 식품의 원료로 사용되기 위해 적절한 형태(성상)을 갖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여과, 고온 건조 방식, 감압 농축 방식 및/또는 동결 건조 방식 등을 통하여 농축된 액상의 발효물을 얻거나 고형상의 발효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른 측면에 있어서, (i) 전술한 바의 춘화처리한 최아 보리 종자 또는 최아 밀 종자의 가공물, (ii) 전술한 바의 춘화처리한 최아 보리 종자 또는 최아 밀 종자를 재배하여 얻은 유아의 가공물, 및 (iii) 전술한 바의 춘화처리한 최아 보리 종자 또는 최아 밀 종자의 유산균에 의한 발효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발효물은 고온 건조 방식, 감압 농축 방식 및/또는 동결 건조 방식 등을 통하여 가공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기능성"의 의미는 전술한 바와 같으나, 특히 아래의 실험예에서 그 활성이 확인된 항산화 활성, 항당뇨 활성, 항비만 활성 또는 항비만으로부터 유래될 수 있는 다이어트 활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의 의미에는 특히 항산화 식품 조성물, 항당뇨 식품 조성물, 항비만 식품 조성물 및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이 포함되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에서 "다이어트"란 체중 상태가 비만이나 과체중은 아니지만 미용이나 건강 목적으로 체중/체지방의 감소가 바람직하거나 필요한 상태로서 정의된다. 통상 본 발명의 다이어트용 조성물은 정상인의 미용이나 건강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 상기에서 "유효성분"이란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그 유효성분 이외에 감미제, 풍미제, 생리활성 성분, 미네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감미제는 식품이 적당한 단맛을 나게 하는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천연의 것이거나 합성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 감미제를 사용하는 경우인데, 천연 감미제로서는 옥수수 시럽 고형물, 꿀,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등의 당 감미제를 들 수 있다.
풍미제는 맛이나 향을 좋게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천연의 것과 합성된 것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천연의 것을 사용할 경우에 풍미 이외에 영양 강화의 목적도 병행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로서는 사과, 레몬, 감귤, 포도, 딸기, 복숭아 등에서 얻어진 것이거나 녹차잎, 둥굴레, 대잎, 계피, 국화 잎, 자스민 등에서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또 인삼(홍삼), 죽순, 알로에 베라, 은행 등에서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는 액상의 농축액이나 고형상의 추출물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합성 풍미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합성 풍미제는 에스테르, 알콜, 알데하이드, 테르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생리 활성 물질로서는 카테킨, 에피카테킨, 갈로가테킨, 에피갈로카테킨 등의 카테킨류나, 레티놀, 아스코르브산, 토코페롤, 칼시페롤, 티아민, 리보플라빈 등의 비타민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미네랄로서는 칼슘, 마그네슘, 크롬, 코발트, 구리, 불소화물, 게르마늄, 요오드, 철, 리튬, 마그네슘, 망간, 몰리브덴, 인, 칼륨, 셀레늄, 규소, 나트륨, 황, 바나듐, 아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감미제 등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보존제, 유화제, 산미료, 점증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존제, 유화제 등은 그것이 첨가되는 용도를 달성할 수 있는 한 극미량으로 첨가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극미량이란 수치적으로 표현할 때 식품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05중량% 내지 약 0.5중량% 범위를 의미한다.
사용될 수 있는 보존제로서는 소듐 소르브산칼슘, 소르브산나트륨, 소르브산칼륨, 벤조산칼슘, 벤조산나트륨, 벤조산칼륨, EDTA(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유화제로서는 아카시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잔탄검, 펙틴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산미료로서는 연산, 말산, 푸마르산, 아디프산, 인산, 글루콘산, 타르타르산, 아스코르브산, 아세트산, 인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산미료는 맛을 증진시키는 목적 이외에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목적으로 식품 조성물이 적정 산도로 되도록 첨가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점증제로서는 현탁화 구현제, 침강제, 겔형성제, 팽화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분말 자체, 착즙액 자체, 음료, 정제, 현탁액, 과립, 에멀젼, 캡슐, 시럽 등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보리 종자와 밀 종자를 종자춘화처리하여 얻어진 것이나 이 춘화처리된 종자를 재배하여 얻은 유아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원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춘화처리한 최아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의 발효물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 원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성 식품 원료는 기능성 식품에 사용되어 분말, 착즙액, 음료, 정제, 과립, 시럽 등의 제형으로 제품화 될 수 있다.
춘화처리된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나 그것을 재배하여 얻은 유아 그리고 춘화처리된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의 유산균에 의한 발효물은 발아 종자보다 생리학적 활성이 우수한데, 이것은 춘화처리 과정 또는 발효 과정에서 여러 기능성 물질들이 새로 생성되거나 그러한 물질들의 생성이 증가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춘화처리된 보리 종자와 밀 종자의 제조 및 춘화처리한 보리 종자와 밀 종자를 이용한 유아의 제조
<실시예 1-1> 춘화처리된 보리 종자의 제조
정선한 보리 종자 10kg을 물 20ℓ에 침지시키고 10~15℃에서 7~8시간 방치하여 종자가 충분히 수분을 흡수하도록 하였다. 충분히 수분을 흡수한 보리 종자를 채반에 담아 수분을 제거하고 천을 덮고 10~25℃에서 10~24 시간을 방치시켜 전체 종자수의 3~5%를 최아시킨 후, 0~3℃에서 40~50일 보관하여 춘화처리된 보리 종자를 얻었다.
<실시예 1-2> 춘화처리된 보리 종자를 이용한 보리 유아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춘화처리된 보리 종자를 인공재배실에서 토양에 뿌리고 상온(10~25℃)에서 15~20일 정도 재배하여 최초의 마디가 형성되기 전까지 20 내지 30cm 크기의 보리 유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춘화처리된 밀 종자의 제조
정선한 밀 종자 10kg에 물 20ℓ에 침지시키고 10~15℃에서 9~10시간 방치하여 씨앗이 충분히 수분을 흡수하도록 하였다. 충분히 수분을 흡수한 밀 종자를 채반에 담아 수분을 제거하고 천을 덮고 10~25℃에서 10~24 시간을 방치시켜 전체 종자수의 3~5%를 최아시킨 후, 0~3℃에서 40~50일 보관하여 춘화처리된 밀 종자를 얻었다.
<실시예 1-4> 춘화처리된 밀 종자를 이용한 밀 유아의 제조
상기 <실시예 3>에서 얻어진 춘화처리된 밀 종자를 인공재배실에서 토양에 뿌리고 상온(10~25℃)에서 15~20일 정도 재배하여 최초의 마디가 형성되기 전까지 20 내지 30cm 크기의 밀 유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춘화처리한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의 유산균에 의한 발효물의 제조
<실시예 2-1> 춘화처리한 보리 종자의 유산균에 의한 발효물의 제조
발효물의 제조를 위해서, 먼저 상기 <실시예 1-1>에서 제조된 춘화처리된 보리 종자를 60~63℃ 온도 및 80~100%의 습도에서 4~5시간 당화시켰다. 이 당화 공정은 춘화처리 전 보리 종자를 발아시키는 데, 보리 종자의 발아시에 생성된 아밀라아제, 말타아제 등에 의해서 수행되게 된다. 당화 공정이 종료된 보리 종자를, 수분 함량이 8~12% 정도가 되도록 80~85℃의 범위에서 건조시키고, 80~100 메쉬의 입도가 되도록 분쇄하였다. 상기 건조 공정에 의해서 아밀라아제, 말타아제 등은 불활성화 되게 된다.
상기 건조?분쇄된 보리 종자 100 중량부 기준 물 80 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여기에 건조?분쇄된 보리 종자 100 중량부 기준 복합 유산균(L. bularicusL. plantarum)을 2 중량부 첨가하여 38~40℃에서 2~3일 발효시켜 춘화처리한 보리 종자의 유산균에 의한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2> 춘화처리한 밀 종자의 유산균에 의한 발효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2-1>과 마찬가지로, 먼저 상기 <실시예 1-3>에서 제조된 춘화처리된 밀 종자를 60~63℃ 온도 및 80~100%의 습도에서 4~5시간 당화시켰다. 당화 공정이 종료된 밀 종자를, 수분 함량이 8~12% 정도가 되도록 80~85℃의 범위에서 건조시키고, 80~100 메쉬의 입도가 되도록 분쇄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건조?분쇄된 밀 종자 100 중량부 기준 물 80 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여기에 건조?분쇄된 보리 종자 100 중량부 기준 복합 유산균(L. bularicusL. plantarum)을 2 중량부 첨가하여 38~40℃에서 2~ 3일 발효시켜 춘화처리한 밀 종자의 유산균에 의한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 발아 보리 종자와 밀 종자의 제조 및 발아 보리 종자와 밀 종자를 이용한 유아의 제조
<비교예 1> 발아 보리 종자의 제조
정선한 보리 종자 10kg을 물 20ℓ에 침지시키고 10~15℃에서 7~8시간 방치하여 종자가 충분히 수분을 흡수하도록 하였다. 충분히 수분을 흡수한 보리 종자를 채반에 담아 수분을 제거하고 천을 덮고 10~25℃에서 10~24 시간을 방치시켜 전체 종자수의 3~5%를 발아시켜 발아 보리 종자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발아 보리 종자를 이용한 보리 유아의 제조
상기 <비교예 1>에서 얻어진 발아 보리 종자를 인공재배실에서 토양에 뿌리고 상온(10~25℃)에서 15~20일 정도 재배하여 최초의 마디가 형성되기 전까지 20 내지 30cm 크기의 보리 유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발아 밀 종자의 제조
정선한 밀 종자 10kg에 물 20ℓ에 침지시키고 10~15℃에서 9~10시간 방치하여 씨앗이 충분히 수분을 흡수하도록 하였다. 충분히 수분을 흡수한 밀 종자를 채반에 담아 수분을 제거하고 천을 덮고 10~25℃에서 10~24 시간을 방치시켜 전체 종자수의 3~5% 발아시켜 발아 밀 종자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발아 밀 종자를 이용한 밀 유아의 제조
상기 <비교예 3>에서 얻어진 발아 밀 종자를 인공재배실에서 토양에 뿌리고 상온(10~25℃)에서 15~20일 정도 재배하여 최초의 마디가 형성되기 전까지 20 내지 30cm 크기의 밀 유아를 제조하였다.
< 실험예 > 항산화 활성, 항당뇨 항비만 활성 실험
<실험예 1> 항산화 활성의 측정
<실험예 1-1>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는 동결건조 및/또는 건조?분쇄하여 분말로 만든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Brand-Williams 등의 방법(Brand-Williams et al., Use of a free radical method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y. Food Sci. Technol. 28(1): 25-30, (1995))에 따라, 여러 농도의 시료에 동량의 0.4mM DPPH 용액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10분간 방치한 후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IC50(50% DPPH 라디칼 소거능을 가지는 농도)으로 아래의 [표 1]에 3회 반복 실험을 통한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표 1]에서 상용화 항산화제인 BHA(ascorbic acid, butylated hydroxy anisole)는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되었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구분 IC50(mg/ml)
<실시예 1-1>의 시료 1.42±0.24
<실시예 1-2>의 시료 1.64±0.16
<실시예 1-3>의 시료 2.26±0.15
<실시예 1-4>의 시료 2.47±0.18
<실시예 2-1>의 시료 0.53±0.07
<실시예 2-2>의 시료 0.66±0.13
<비교예 1>의 시료 2.23±0.16
<비교예 2>의 시료 2.85±0.21
<비교예 3>의 시료 3.25±0.24
<비교예 4>의 시료 3.74±0.17
BHA 0.62±0.11
상기 [표 1]의 결과를 참조하여 보면, 비교예의 발아 보리 또는 밀 종자/유아, <실시예 1>의 춘화처리 보리 또는 밀 종자/유아, <실시예 2>의 춘화처리 보리 또는 밀 종자의 유산균에 의한 발효물 순으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이 높음을 보여준다. 특히 춘화처리 보리 또는 밀 종자의 발효물의 항산화 활성은 BHA보다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1-2> Superoxide Anion 라디칼 소거 활성 실험
Superoxide anion 라디칼 소거 활성은 xanthine/xanthine oxydase system을 이용하여 생성된 Superoxide anion의 양을 NBT(nitro blue tetrazolium) 환원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50 mM potassium phosphate buffer(pH 7.8), 0.05 mM xanthine, 0.6 mM NBT를 포함하는 반응액 1.5 ㎖에 시료를 농도별로 첨가함과 함께 25 mU/㎖ xanthine oxidase를 첨가하여 25 ℃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56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Superoxide anion 라디칼 소거 활성을 IC50(50% Superoxide anion 라디칼을 가지는 농도)으로 아래의 [표 2]에 3회 반복 실험을 통한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표 2]에서 상용화 항산화제인 BHA(ascorbic acid, butylated hydroxy anisole)는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되었다.
Superoxide anion 라디칼 소거 활성
구분 IC50(mg/ml)
<실시예 1-1>의 시료 2.26±0.25
<실시예 1-2>의 시료 2.42±0.17
<실시예 1-3>의 시료 2.75±0.14
<실시예 1-4>의 시료 2.87±0.23
<실시예 2-1>의 시료 0.64±0.18
<실시예 2-2>의 시료 0.67±0.21
<비교예 1>의 시료 3.27±0.12
<비교예 2>의 시료 3.64±0.19
<비교예 3>의 시료 3.93±0.21
<비교예 4>의 시료 4.16±0.13
BHA 1.12±0.24
상기 [표 2]도 결과도 상기 [표 1]의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이며, 비교예의 발아 보리 또는 밀 종자/유아, <실시예 1>의 춘화처리 보리 또는 밀 종자/유아, <실시예 2>의 춘화처리 보리 또는 밀 종자의 유산균에 의한 발효물 순으로Superoxide anion 라디칼 소거 활성이 높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춘화처리 보리 또는 밀 종자의 유산균에 의한 발효물의 경우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 BHA보다도 Superoxide anion 라디칼 소거 활성이 높다.
<실험예 1-3> Xanthine oxidase 억제 활성 실험
Xanthine oxidase 억제 활성은 Xanthine/xanthine oxidase에 의해 생성된 uric acid의 양을 2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0.5 mM xanthine와 1 mM EDTA를 포함하는 200mM phosphate buffer(pH 7.5) 100㎕를 실시예의 시료(1mg/mL)100㎕와 혼합하고 여기에 50 mU/㎖ xanthine oxidase를 첨가하여 uric acid의 생성을 유도하고 생성된 uric acid를 290nm에서 측정하였다.
결과를 3회 반복 실험을 통한 평균±표준편차로 아래의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에서 체내 요산 배출을 촉진하는 항통풍 치료제인 Allopurinol을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되었다.
Xanthine oxidase 억제 활성
구분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실시예 1-1>의 시료 11.5±3.1
<실시예 1-2>의 시료 10.7±2.9
<실시예 1-3>의 시료 7.7±2.5
<실시예 1-4>의 시료 6.2±2.1
<실시예 2-1>의 시료 28.4±2.7
<실시예 2-2>의 시료 19.7±3.2
<비교예 1>의 시료 3.1±2.5
<비교예 2>의 시료 2.1±1.8
<비교예 3>의 시료 2.4±2.2
<비교예 4>의 시료 2.6±1.7
Allopurinol 88.2±2.1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실시예 2>의 춘화처리 보리 또는 밀 종자의 발효물의 경우 양성대조군인 Allopurinol보다 Xanthine oxidase 억제 활성이 훨씬 낮았으나, 상기 [표 1] 및 [표 2]의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이며 춘화처리한 경우와 춘화처리 후 발효시킨 경우가 Xanthine oxidase 억제 활성에 있어서 보리 또는 밀 발아 종자/유아보다는 훨씬 높았다.
<실험예 2> 항당뇨 활성의 측정
체중이 약 250g 내외인 생쥐(ICR strain)에 스트렙토조토신(N-[methylnitrosocarbamoyl]-D-glucosamine 이하 "STZ",) 50㎎/㎏을 24 시간 간격으로 2회 복강 투여하고 고혈당이 유발된 지 여부를 확인한 후 고혈당이 유발된 실험동물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에 시료(동결건조 및/또는 건조?분쇄하여 얻은 분말) 100mg/kg을 1% Tween 80 (v/v in water)에 녹여 1일 1회씩 30일간 투여하였다. 사육실의 사육 조건은 온도 18±2℃, 습도 60±5%, 조명주기 12L/12D cycle를 유지하였으며, 물과 식이는 자유급이하였다.
30일 후 실험동물 꼬리정맥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글루코미터(Bayer Co., USA)로 혈당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혈당(mg/dL)의 변화
구분 30일 후
정상군 73.3±6.72
대조군(당뇨 유발군) 264.5±11.64
당뇨 유발 + 실시예 1-1 시료 투여 145.3±9.41**
당뇨 유발 + 실시예 1-2 시료 투여 166.8±13.53**
당뇨 유발 + 실시예 1-3 시료 투여 154.9±10.17**
당뇨 유발 + 실시예 1-4 시료 투여 172.8±8.65**
당뇨 유발 + 실시예 2-1 시료 투여 117.6±7.32**
당뇨 유발 + 실시예 2-2 시료 투여 128.5±9.21**
당뇨 유발 + 비교예 1 시료 투여 224.7±12.16**
당뇨 유발 + 비교예 2 시료 투여 232.8±11.38*
당뇨 유발 + 비교예 3 시료 투여 245.2±14.92
당뇨 유발 + 비교예 4 시료 투여 238.5±9.48*
* p<0.5, ** p<0.01
실험 전후의 유의성 검증은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5% 및 1% 수준에서 실시하였다.
상기 [표 4]의 결과도 상기 실험예의 결과들과 유사하게 춘화처리한 경우 그리고 춘화처리 후 유산균 발효시킨 경우 모두 혈당 강하 효과를 향상시킴을 보여준다.
<실험예 3> 항비만 활성의 측정
체중이 약 210g인 6주령의 Sprague-Dawley계 수컷 쥐를 구입하여, 대조군에는 고지방식이를 급여하고 실험군에는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밀 및 보리의 종자 또는 유아 분말을 고지방식이 함께 급여하였다.
대조군의 고지방식이는 일반사료(AIN-93G, (주)피드랩) 100 중량부 기준 전지 분유 10 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고, 실험군의 식이는 일반사료에 일반사료 100 중량부 기준 전지 분유 10 중량부와 실시예 또는 비교예의 분말(동결건조 및/또는 건조?분쇄하여 분말) 10 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사육실의 사육 조건은 온도 18±2℃, 습도 60±5%, 조명주기 12L/12D cycle를 유지하였으며, 물과 식이는 자유급이하였다.
6주간 사육이 종료된 후 각 군의 수컷 쥐의 몸무게 변화량을(MEAN±SD)를 측정하여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체중 변화량(단위: g)
구분 체중 변화량
대조군(고지방식이군) 212.9±14.73
실시예 1-1의 시료 투여군 110.4±16.72**
실시예 1-2의 시료 투여군 126.5±12.16**
실시예 1-3의 시료 투여군 117.9±19.41**
실시예 1-4의 시료 투여군 131.4±14.27**
실시예 2-1 시료 투여군 95.7±12.14**
실시예 2-2 시료 투여군 104.6±14.5**
비교예 1의 시료 투여군 189.4±12.48**
비교예 2의 시료 투여군 193.5±15.82**
비교예 3의 시료 투여군 172.1±18.67**
비교예 4의 시료 투여군 169.2±11.36**
*는 p<0.05이고 **는 p<0.01임
실험 전후의 유의성 검증은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5% 및 1% 수준에서 실시하였다.
상기 [표 5]의 결과도 상기 [표 4]의 결과와 유사하게 춘화처리한 경우 그리고 춘화처리 후 유산균 발효시킨 경우 모두 항비만 효과를 향상시킴을 보여준다.

Claims (14)

  1. (a)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를 최아시키는 단계,
    (b) 최아시킨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를 춘화처리하는 단계, 및
    (c) 춘화처리한 최아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를 유산균에 의해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원료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스트렙토코쿠스속 유산균(Streptococcus sp .), 페디오코쿠스속 유산균(Pediococcus sp .), 류코노스톡속 유산균(Leuconostoc sp .), 락토바실루스속 유산균(Lactobacillus sp .) 및 비피도박테리움속 유산균(Bifidobacterium sp.)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유산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원료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루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및 락토바실루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산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원료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의 춘화처리한 최아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의 유산균에 의한 발효 단계 전에, 춘화처리한 최아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를 당화시키는 단계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원료의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당화 단계는 춘화처리한 최아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에 곡물의 정미 과정에서 얻어지는 부산물을 첨가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원료의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의 춘화처리한 최아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의 유산균에 의한 발효 단계 전에, 춘화처리한 최아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가 가지고 있는 당화 효소를 불활성화시키고 분쇄하는 단계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원료의 제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의 춘화처리한 최아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의 유산균에 의한 발효 단계 전에, 잡균에 의한 원치 않는 발효를 방지하기 위해서 춘화처리한 최아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를 멸균시키는 단계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원료의 제조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의 춘화처리시킨 최아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의 유산균에 의한 발효 단계에서, 유산균의 증식을 촉진시키기 위해서 탈지 분유, 우유, 포도당, 올리고당, 인삼 분말 또는 추출물, 대추 분말 또는 추출물, 은행 분말 또는 추출물, 영지 분말 또는 추출물, 운지 분말 또는 추출물, 두충 분말 또는 추출물, 당귀 분말 또는 추출물, 치커리 분말 또는 추출물, 컴프리 분말 또는 추출물, 오가피 분말 또는 추출물, 쑥 분말 또는 추출물, 질경이 분말 또는 추출물, 둥굴레 분말 또는 추출물, 삽주 분말 또는 추출물, 칡 분말 또는 추출물, 토마토 분말 또는 추출물, 신선초 분말 또는 추출물 및 당근 분말 또는 추출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이 첨가되어 발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원료의 제조 방법.
  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의 춘화처리한 최아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의 유산균에 의한 발효 단계에서는 유산균과 함께 효모를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원료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효모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아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원료의 제조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의 발효 단계 후에, 그 발효물의 가공 단계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원료의 제조 방법.
  12. (i) 춘화처리된 최아 보리 종자 또는 최아 밀 종자의 가공물, (ii) 춘화처리된 최아 보리 종자 또는 최아 밀 종자를 재배하여 얻은 유아의 가공물, (iii) (iii) 춘화처리한 최아 보리 종자 또는 최아 밀 종자의 유산균에 의한 발효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항산화 식품 조성물, 항당뇨 식품 조성물, 항비만 식품 조성물 또는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그 제형이 분말, 착즙액, 음료, 정제, 현탁액, 과립, 에멀젼, 캡슐 또는 시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20100101053A 2010-10-15 2010-10-15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원료의 제조 방법 KR101247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1053A KR101247935B1 (ko) 2010-10-15 2010-10-15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원료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1053A KR101247935B1 (ko) 2010-10-15 2010-10-15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원료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9374A true KR20120039374A (ko) 2012-04-25
KR101247935B1 KR101247935B1 (ko) 2013-03-29

Family

ID=46139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1053A KR101247935B1 (ko) 2010-10-15 2010-10-15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원료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793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48023A (zh) * 2014-04-04 2014-07-30 浙江省医学科学院 一种增强免疫力及改善睡眠的保健食品及其二步发酵制备方法
WO2015076436A1 (ko) * 2013-11-22 2015-05-28 농업회사법인 제주홍암가 주식회사 도정하지 않은 현맥을 이용한 취반용 압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취반용 압맥
KR101713176B1 (ko) * 2015-10-12 2017-03-0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항산화 활성을 갖는 한방발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64222A (ko) * 2016-12-05 2018-06-14 농업회사법인 제주홍암가 주식회사 현맥 과립 제조방법
KR20190143755A (ko) * 2018-06-21 2019-12-3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쌀음료 제조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06227A (ko) * 2020-07-08 2022-01-17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이취가 감소된 밀싹의 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된 밀싹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식품
CN118415297A (zh) * 2024-07-03 2024-08-02 天赋能(天津)功能食品研究发展有限公司 后生元营养液在提升白细胞、血小板数量、改善化疗药物引起的免疫抑制、肠道损伤方面的应用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0525B1 (ko) * 2020-09-25 2021-05-10 이상운 건강기능성 보리분말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92950A4 (en) * 2003-12-11 2009-08-05 Sapporo Breweries WHEAT PROCESSING PRODUCT CONTAINING INCREASED QUANTITIES OF FUNCTIONAL INGREDIENTS, AND PROCESSING METHOD THEREFOR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76436A1 (ko) * 2013-11-22 2015-05-28 농업회사법인 제주홍암가 주식회사 도정하지 않은 현맥을 이용한 취반용 압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취반용 압맥
CN103948023A (zh) * 2014-04-04 2014-07-30 浙江省医学科学院 一种增强免疫力及改善睡眠的保健食品及其二步发酵制备方法
KR101713176B1 (ko) * 2015-10-12 2017-03-0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항산화 활성을 갖는 한방발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64222A (ko) * 2016-12-05 2018-06-14 농업회사법인 제주홍암가 주식회사 현맥 과립 제조방법
KR20190143755A (ko) * 2018-06-21 2019-12-3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쌀음료 제조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06227A (ko) * 2020-07-08 2022-01-17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이취가 감소된 밀싹의 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된 밀싹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식품
CN118415297A (zh) * 2024-07-03 2024-08-02 天赋能(天津)功能食品研究发展有限公司 后生元营养液在提升白细胞、血小板数量、改善化疗药物引起的免疫抑制、肠道损伤方面的应用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7935B1 (ko) 2013-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77462B2 (ja) 麦種子または小麦種子を用いた機能性食品原料の製造方法
KR101247935B1 (ko)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원료의 제조 방법
KR101864031B1 (ko) 기능성 식초의 제조방법
US9161495B2 (en) Method for preparing raw material for functional foods from barley or wheat seeds
KR101831131B1 (ko) 갈변 방지용 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과일 또는 채소 재배 방법
KR100907037B1 (ko) 녹차성분을 함유하는 영지버섯 또는 표고버섯 균사체의 재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식품
KR102614938B1 (ko) 유산균으로 발효된 미강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59600B1 (ko) 발아현미를 이용한 기능성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96241B1 (ko) 녹차성분을 함유하는 느타리버섯 또는 팽이버섯 재배용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느타리버섯 또는 팽이버섯의재배방법
KR101913277B1 (ko) 매실발효식초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54623A (ko) 홉 대체로 쑥을 이용한 맥주의 제조방법
JPH0653029B2 (ja) きのこ類の栽培方法
KR20180121201A (ko) 플라즈마 살균 우리밀 엿기름을 이용한 배즙식혜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TWI679983B (zh) 茯苓發酵產物及其製法
KR101926684B1 (ko) 현맥 과립 제조방법
KR20170061337A (ko) 갈화 추출물을 이용하여 배양, 숙성시킨 청국장 및 이를 이용한 갈화고추장 제조방법
KR101188557B1 (ko) 춘화처리된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원료의 제조 방법
KR102593227B1 (ko) 메밀 새싹을 이용한 항비만용 다이어트 음료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81795B1 (ko) 발효 원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발효 원두
KR101433577B1 (ko) 여주 추출물을 포함하는 저장성이 향상된 막걸리
KR20180070037A (ko) 땅콩새싹의 천연성분을 함유하는 발효 커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244411A (zh) 一种竹荪保健醋的制备方法
KR101371188B1 (ko) 변비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20230169544A (ko) 항산화 기능성 발효 액상 식품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036412B1 (ko) 율무의 발아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아 율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