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9177A - 위치 안내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 안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9177A
KR20120039177A KR1020100100723A KR20100100723A KR20120039177A KR 20120039177 A KR20120039177 A KR 20120039177A KR 1020100100723 A KR1020100100723 A KR 1020100100723A KR 20100100723 A KR20100100723 A KR 20100100723A KR 20120039177 A KR20120039177 A KR 20120039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0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7316B1 (ko
Inventor
변희준
박희건
이상준
조규성
Original Assignee
변희준
이상준
조규성
박희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희준, 이상준, 조규성, 박희건 filed Critical 변희준
Priority to KR1020100100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7316B1/ko
Publication of KR20120039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9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7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7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01C21/3623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using a camera or code reader, e.g. for optical or magnetic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Abstract

본 개시는 단말기가 제1 위치에 대응하는 제1 코드를 읽어 제1 코드를 인식하는 단계와, 단말기가 제2 위치에 대응하는 제2 코드를 읽어 제2 코드를 인식하는 단계와, 제어부가 인식된 제1 코드 및 인식된 제2 코드를 기초로 단말기를 통해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하는 경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안내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위치 안내 방법{LOCATION GUIDING METHOD}
본 개시는 전체적으로 위치 안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단말기로 경로를 출력하여 간편하게 위치를 안내해 주는 위치 안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개시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일반적으로, 백화점, 공항, 경기장, 관공서, 쇼핑몰, 주거공간, 지역축제, 대형마트 등의 대형 시설에서 주차한 위치, 항공기 탑승을 위한 게이트, 또는 경기장 좌석을 찾기 위해 노력이 필요하고 쉽게 찾을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백화점에서 쇼핑 후 주차장에서 자신의 차를 주차한 곳을 잃어 버리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는데, 주차 위치를 찾는 동안, 특히 여름에는, 지하 주차장은 불쾌감을 유발하여 백화점 등 기업의 서비스 인상을 저해하게 된다. 또한 주차위치를 찾는 사람들이 주차안내 요원에게 문의하는 양이 증가하여 주업무인 차량유도에 부실하게 되어 차량동선의 혼선이 일어나는 문제가 있고, 스마트 키를 활용 시 소음발생 및 다량의 시간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응하여 주차한 위치를 휴대폰으로 사진 촬영하거나, GPS를 이용하는 방법,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를 이용한 방법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단순한 사진 촬영만으로는 정확한 위치를 찾기에는 미흡하며, GPS는 지하에서 사용이 불가능하며, RFID 시스템은 관련 설비가 복잡하고 설치 및 대체 비용이 커서 부담이 된다.
이에 대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후단에 기술한다.
여기서는, 본 개시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개시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본 개시에 따른 일 태양에 의하면(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단말기가 제1 위치에 대응하는 제1 코드를 읽어 제1 코드를 인식하는 단계와, 단말기가 제2 위치에 대응하는 제2 코드를 읽어 제2 코드를 인식하는 단계와, 제어부가 인식된 제1 코드 및 인식된 제2 코드를 기초로 단말기를 통해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하는 경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안내 방법이 제공된다.
이에 대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후단에 기술한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위치 안내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는 순서도,
도 2는 도 1에서 설명된 제1 코드 및 제2 코드와 단말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그림,
도 3은 도 1에서 설명된 위치 안내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위치 안내 방법에 의해 단말기에 경로가 표시된 예를 나타내는 그림,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위치 안내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위치 안내 방법에 의하여 주차 위치를 안내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위치 안내 방법에 의하여 항공기 탑승을 위한 게이트 위치를 안내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위치 안내 방법에 의하여 경기장 좌석 위치를 안내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위치 안내 방법에 의하여 환승 경로를 안내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위치 안내 방법에 의하여 행사 장소를 안내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 본 개시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The present disclosure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위치 안내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위치 안내 방법은 주차 위치 안내, 공항 게이트 안내, 경기장 좌석 안내, 지하철 환승 경로 안내, 행사장 안내 등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위치 안내 방법에서, 먼저 단말기가 제1 위치에 대응하는 제1 코드를 읽어 제1 코드를 인식한다(S10). 이후, 단말기가 제2 위치에 대응하는 제2 코드를 읽어 제2 코드를 인식한다(S60). 제어부가 인식된 제1 코드 및 제2 코드를 기초로 단말기를 통해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하는 경로를 출력한다(S70). 단말기 사용자는 단말기로 출력된 경로를 참조하여 차량이 주차된 위치, 탑승하기 위한 공항 게이트, 경기장 좌석, 지하철 환승 경로, 행사장 등을 용이하게 찾아갈 수 있다. 이하 상기 위치 안내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서 설명된 제1 코드 및 제2 코드와 단말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3은 도 1에서 설명된 위치 안내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담을 수 있는 정보량과 실용성 및 활용성 면에서 제1 코드(21) 및 제2 코드(25)는 2차원 바코드, 예를 들어, QR(Quick Response)코드일 수 있다. 단말기(10)는 QR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인식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다. 단말기(10)는 스마트폰인 경우 그 성능면에서 위치 안내 방법에 잘 활용될 수 있다. 단말기(10)에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위치 안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설치될 수 있다.
위치 안내 방법에서, 먼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단말기(10)가 제1 위치에 대응하는 제1 코드(21)를 읽어 제1 코드(21)를 인식한다(S10).
예를 들어 제1 코드(21)는 단말기(10)의 촬영장치에 의해 촬영되어 단말기(10)에는 제1 코드(21)의 이미지(11)가 입력될 수 있다. 위치 안내 방법이 적용되는 예에 따라 제1 코드(21)에 대응하는 제1 위치는 제1 코드(21)가 있는 위치와 일치할 수 도 있고, 제1 코드(21)가 있는 위치와는 다른 위치일 수도 있다.
단말기(10)가 제1 코드(21)를 인식한 후, 단말기(10)는 제1 코드(21)와 관련된 URL 정보, 시설물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S20).
예를 들어, 제1 코드(21) 디코딩 값의 상위 바이트가 미리 저장된 값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상위 바이트를 제외한 나머지를 미리 정해진 길이마다 URL 정보필드, 시설물 정보필드, 위치 정보필드로 나누어 URL 정보, 시설물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얻는다.
계속해서,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단말기(10)가 URL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50)에 접속한다(S30).
예를 들어, 단말기(10)에는 미리 서버(50)의 URL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단말기(10)는 URL 정보필드 값을 읽어 CDMA 또는 Wi-Fi 통신을 통해 서버(50)에 접속한다.
이후, 단말기(10)가 시설물 정보를 서버(50)로 전송(31)한다. 서버(50)는 서버(50)의 데이터베이스와 전송된 시설물 정보를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다. 서버(50)에는 해당 시설물의 구조에 관한 시설물 정보와 시설물에 설치된 코드들의 위치에 관한 위치 정보 등이 미리 등록되어 있을 수 있다.
계속해서, 서버(50)가 애플리케이션을 단말기(10)로 전송(33)하여 단말기(10)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또는 업데이트 한다(S50).
예를 들어, 단말기(10)가 서버(50)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획득하며, 단말기(10)에 해당 시설물 정보를 갖는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유무를 판정한다. 단말기(10)에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때에는 서버(50)가 애플리케이션을 전송하여 단말기(10)에 설치한다. 단말기(10)에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때에는 서버(50)가 단말기(1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지도 정보의 최신 버전 여부를 확인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후, 단말기(10)가 제2 위치에 대응하는 제2 코드(25)를 읽어 제2 코드를 인식한다(S60).
단말기(10)가 제2 코드(25)를 인식하기 전에, 시설물 내에서 백화점 섹션이나 행사장에 구비된 제3 코드를 단말기(10)로 인식하고 디코딩하여, 제3 코드가 있는 위치 정보, 섹션이나 행사장 정보를 서버(5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50)는 전송된 제3 코드와 관련된 위치 정보, 섹션이나 행사장 정보를 기초로 단말기(10) 사용자에게 해당 섹션이나 행사장에 관련된 필요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3 코드와 관련된 정보가 애플리케이션의 설치와 동시에 단말기(10)에 저장되거나 업데이트될 수도 있다.
단말기(10) 사용자는 제1 위치로부터 이동하여 자신의 필요한 일을 처리한 후 다시 제1 위치로 돌아오려고 하는 경우, 제1 위치로 돌아오는 경로 중에 편리한 곳에 부착된 제2 코드(25)를 단말기(10)로 촬영(13)하여 단말기(10)가 제2 코드(25)를 인식한다.
도 4는 위치 안내 방법에 의해 단말기에 경로가 표시된 예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이후,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가 인식된 제1 코드(21) 및 제2 코드(25)를 기초로 단말기(10)를 통해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하는 경로를 출력한다(S70).
제어부는, 예를 들어, 도 2에서 전술된 것과 같이 단말기(1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다. 예를 들어, 백화점 등 시설물에는 위치 안내 방법의 적용을 위해 전술된 QR코드와 같은 코드가 주차장, 입출구, 상품별 섹션 표지부, 안내표시판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시설물 구조에 관한 시설물 정보와 다수의 코드의 위치 정보 등이 애플리케이션에 입력되어 있을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은 시설물의 구조에 따라 코드들 간이 이동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동 경로는 최단 거리일 수도 있고, 시설물의 특성에 따른 적합한 이동 경로일 수도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범용 프로그램인 것이 바람직하며, 시설물 정보와 코드의 위치 정보 등이 입력되면 코드들 간의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시설물에 따라 시설물 정보 및 코드의 위치 정보 등을 서버(50)에 등록하여 두고 필요한 경우 업데이트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이 경로를 단말기(10)를 통해 출력하기 위해, 예를 들어, 먼저 단말기(10)가 애플리케이션에 제1 코드(21) 및 제2 코드(25)의 시설물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입력한다(S71). 이와 다르게, 제1 코드(21)의 시설물 정보 및 위치 정보는 단말기(10)가 제1 코드(21)를 인식하고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때 자동적으로 애플리케이션에 입력되어 있을 수 있다.
이후, 애플리케이션이 제1 코드(21)의 및 제2 코드(25)의 시설물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가는 경로를 생성한다(S75).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은 입력된 제1 코드(21)의 위치 정보 및 제2 코드(25)의 위치 정보를 경로를 보여줄 지도 상의 좌표에 각각 대입하여 경로를 생성한다.
이후, 애플리케이션이 생성된 경로를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S77).
단말기(10)로 출력되는 형태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조작하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코드(25)에 대응하는 제2 위치로부터 제1 코드(21)에 대응하는 제1 위치로 경로를 안내하는 지도가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지도에 더하여 안내하는 음성이 단말기(10)로 함께 출력될 수도 있다.
단말기(10) 사용자는 단말기(10)로 출력된 경로를 참조하여 제1 위치로 쉽게 갈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위치 안내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위치 안내 방법은 제어부가 서버(250)인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된 위치 안내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위치 안내 방법에서, 단말기(210)가 제1 코드(221)를 인식한 후, 시설물 정보 및 제1 코드(221)의 위치 정보를 서버(250)로 전송(231)한다. 서버(250)는 데이터베이스와 전송된 시설물 정보를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다. 서버(250)에는 해당 시설물의 시설물 정보 및 코드들의 위치 정보 등이 미리 등록되어 있고 코드들 간의 경로를 생성하는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다.
위치를 이동하여 단말기(210)가 제2 코드(225)를 인식한 후 제2 코드(225)의 위치 정보를 서버(250)로 전송한다(235).
서버(250)는 제1 코드(221) 및 제2 코드(225)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하는 경로를 생성한다. 서버(250)는 생성된 경로를 단말기(210)로 전송(237)한다. 단말기(210)는 경로를 지도 형식으로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위치 안내 방법에 의하여 주차 위치를 안내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사용자는 백화점과 같은 시설물에서 주차장에 주차한 후에 주차장 기둥이나 안내표시판에 있는 제1 코드를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로 촬영하여 인식한다(S210). 이후, 제1 코드가 디코딩되어(S220) 단말기가 서버에 접속되고(S230), 서버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이 단말기로 다운로드 되거나 업데이트 된다(S250).
사용자는 백화점 내에서 쇼핑을 하고 다시 주차장으로 가기 위해 게이트 또는 다른 안내표시판에 있는 제2 코드를 단말기로 촬영하여 단말기가 제2 코드를 인식한다(S260). 제1 코드 및 제2 코드의 시설물 정보 및 위치 정보가 단말기에 입력되고(S271), 애플리케이션이 제2 코드가 있는 게이트나 안내표시판으로부터 제1 코드가 있는 주차위치로 가는 경로를 생성(S275)한다. 단말기는 디스플레이에 경로를 표시(S277)한다. 사용자는 단말기에 표시된 경로를 참조하여 주차된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위치 안내 방법에 의하여 항공기 탑승을 위한 게이트 위치를 안내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위치 안내 방법에서, 제1 코드가 지시하는 위치는 제1 코드가 구비된 위치에 대응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코드는 항공기 티켓에 인쇄되어 항공기 좌석을 지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공항과 같은 시설물에서 항공기 티켓에 인쇄된 제1 코드를 단말기로 촬영하여 인식한다(S310). 이후, 제1 코드가 디코딩되어(S320) 단말기가 서버에 접속되고(S330), 서버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이 단말기로 다운로드 되거나 업데이트 된다(S350).
사용자는 공항의 안내표시판, 기둥, 문 등에 다수 설치된 제2 코드 중 하나를 단말기로 촬영하여 단말기가 제2 코드를 인식한다(S360). 제1 코드 및 제2 코드의 시설물 정보 및 위치 정보가 단말기에 입력되고(S371), 애플리케이션이 제2 코드가 있는 공항 내의 위치로부터 제1 코드에 대응하는 좌석이 있는 항공기에 탑승하기 위한 탑승 경로를 생성(S375)한다. 단말기는 디스플레이에 경로를 표시(S377)한다. 사용자는 단말기에 표시된 탑승 경로를 참조하여 쉽게 항공기에 탑승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위치 안내 방법에 의하여 경기장 좌석 위치를 안내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에는 제1 코드가 있는 위치가 제1 위치와 다른 또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경기장과 같은 시설물에서 경기장 티켓에 인쇄되어 경기장의 좌석을 지시하는 제1 코드를 단말기로 촬영하여 인식한다(S410). 이후, 제1 코드가 디코딩되어(S420) 단말기가 서버에 접속되고(S430), 서버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이 단말기로 다운로드 되거나 업데이트 된다(S450).
사용자는 경기장의 안내표시판, 기둥, 문 등에 다수 설치된 제2 코드 중 하나를 단말기로 촬영하여 단말기가 제2 코드를 인식한다(S460). 제1 코드 및 제2 코드의 시설물 정보 및 위치 정보가 단말기에 입력되고(S471), 애플리케이션이 제2 코드가 있는 경기장 내의 위치로부터 제1 코드에 대응하는 좌석으로 가는 경로를 생성(S475)한다. 단말기는 디스플레이에 경로를 표시(S477)한다. 사용자는 단말기에 표시된 경로를 참조하여 자신의 좌석을 쉽게 찾을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위치 안내 방법에 의하여 환승 경로를 안내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예를 들어, 단말기 사용자는 지하철에서 노선도 또는 안내표시판에 있는 제1 코드를 단말기로 촬영하여 인식한다(S510). 이후, 제1 코드가 디코딩되어(S520) 단말기가 서버에 접속되고(S530), 서버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이 단말기로 다운로드 되거나 업데이트 된다(S550).
사용자는 동일한 노선도 또는 안내표시판에 있는 제2 코드를 단말기로 촬영하여 단말기가 제2 코드를 인식한다(S560). 제1 코드 및 제2 코드의 시설물 정보 및 위치 정보가 단말기에 입력되고(S571), 애플리케이션이 제2 코드가 있는 출발역으로부터 제1 코드가 지시하는 도착역으로 가는 환승 경로를 생성(S575)한다. 단말기는 디스플레이에 환승 경로를 표시(S577)한다. 사용자는 단말기에 표시된 환승 경로를 참조하여 환승역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단말기가 환승역에 있는 제3 코드를 촬영하여 단말기가 제3 코드를 인식하면 환승역에서 실제 환승을 위하여 지하철 시설물 내에서 이동 경로가 보다 상세화되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위치 안내 방법에 의하여 행사 장소를 안내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위치 안내 방법에서,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이동하는 경로를 생성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이 단말기에 설치되지 않고 서버에서 직접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안내 방법을 이용하여 단말기 사용자가 박람회나 행사가 열리는 시설물에서 이벤트가 있는 부스(booth)나 방(room) 등을 찾아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코드 및 제2 코드는 동일한 안내표시판에 있고, 제2 위치는 안내표시판이 있는 곳에 대응하고, 제1 위치는 부스(booth)나 방(room) 등 찾아 가고자 하는 위치에 대응한다. 이 경우 제1 코드 및 제2 코드가 순차로 안내표시판에서 단말기에 의해 촬영되어 인식된다. 또는 순서에 무관하게 제2 코드는 현재의 안내표시판에 대응하므로 출발지로 인식되고 제1 코드는 목적지로 인식될 수 있다.
사용자는 부스(booth)나 방(room) 등을 지시하는 제1 코드를 단말기로 촬영하여 인식한다(S610). 이후, 제1 코드가 디코딩되어(S620) 단말기가 서버에 접속되고(S630) 시설물 정보 및 제1 코드의 위치 정보가 서버에 전송된다(S640).
사용자는 동일한 안내표시판에 있는 제2 코드를 단말기로 촬영하여 단말기가 제2 코드를 인식하고(S660), 제2 코드의 위치 정보가 서버로 전송된다(S671). 서버가 제2 코드가 있는 위치로부터 제1 코드에 대응하는 부스(booth)나 방(room) 등으로 가는 경로를 생성(S673)하여 단말기로 전송하며(S675), 단말기는 디스플레이에 경로를 표시(S677)한다. 부스(booth)나 방(room) 등 행사장에 도착하면, 그 곳에 있는 제3 코드를 단말기로 인식하여 행사에 관한 정보 등을 서버로부터 전송 받을 수 있다.
이외에도 위치 안내 방법은 관공서, 쇼핑몰, 주거공간, 지역축제, 대형마트 등의 대형 시설에 전술된 실시예들과 실질적으로 동일유사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제어부는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안내 방법.
애플리케이션은 단말기가 코드를 인식하는 것과 무관하게 언제든지 편리한 때에 서버에 접속하여 다운받을 수 있다.
(2) 제1 코드 및 제2 코드는 2차원 바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안내 방법.
(3) 제1 코드 및 제2 코드는 QR(Quick Response) 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안내 방법.
제1 코드 및 제2 코드는 단말기가 인식 가능하고 위치 안내를 위한 정보를 충분히 담을 수 있는 코드이면 그 코드의 구체적인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4) 단말기가 인식된 제1 코드로부터 제1 코드와 관련된 URL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그리고, 단말기가 URL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안내 방법.
제1 코드에 위치 안내를 위한 정보를 코딩하는 방법과 이를 디코딩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5) 서버가 애플리케이션을 단말기로 전송하여 단말기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또는 업데이트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안내 방법.
(6) 애플리케이션을 단말기에 설치 또는 업데이트 하는 단계는 단말기가 서버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단말기에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때에 서버가 애플리케이션을 전송하여 단말기에 설치하는 단계; 그리고, 단말기에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때에는 서버가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안내 방법.
(7) 단말기를 통해 경로를 출력하는 단계는 단말기가 애플리케이션에 제1 코드 및 제2 코드의 시설물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이 제1 코드 및 제2 코드의 시설물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가는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단말기가 경로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안내 방법.
(8) 애플리케이션은 GPS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시설물에 위치하는 다수의 코드들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코드들 간의 경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안내 방법.
(9) 애플리케이션은 입력된 제1 코드의 위치 정보 및 제2 코드의 위치 정보를 경로를 보여줄 지도 상의 좌표에 각각 대입하여 경로를 생성하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경로가 나타난 지도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안내 방법.
(10) 제1 코드는 시설물의 주차장에 위치하며, 제2 코드는 시설물의 주차장 이외의 곳에 위치하여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주차위치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안내 방법.
(11) 제1 코드는 항공기 티켓에 인쇄되어 항공기 좌석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며, 제2 코드는 공항의 시설에 위치하여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에 대응하는 게이트로 항공기 탑승 경로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안내 방법.
(12) 제1 코드는 경기장 티켓에 인쇄되어 경기장 좌석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며, 제2 코드는 경기장의 시설에 위치하여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에 대응하는 좌석으로 경기장 좌석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안내 방법.
(13) 제1 코드는 출발역에 대응하고, 제2 코드는 도착역에 대응하여 지하철 환승시 환승 동선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안내 방법.
(14) 제1 코드 및 제2 코드는 하나의 안내표시판에 위치하며, 제2 코드에 대응하는 제2 위치로부터 제1 코드에 대응하는 제1 위치로 위치를 안내하는 방법.
(15) 제2 위치는 안내표시판에 대응하고, 제1 위치는 행사가 이루어지는 장소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안내 방법.
(16) 제어부는 단말기와 통신을 하는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안내 방법.
전술된 것과 같이, 제어부로서 애플리케이션은 반드시 단말기에 설치될 필요는 없으며, 서버가 제어부로서 경로를 생성하여 직접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17) 단말기가 인식된 제1 코드 또는 제2 코드로부터 제1 코드 또는 제2 코드와 관련된 URL 정보와, 제1 코드 또는 제2 코드가 위치하는 시설물 정보와, 제1 코드 및 제2 코드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단말기가 URL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그리고, 단말기가 시설물 정보, 제1 코드 및 제2 코드의 위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안내 방법.
(18) 단말기를 통해 경로를 출력하는 단계는 서버가 제1 코드의 위치 정보 및 제2 코드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가는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서버가 경로가 나타난 지도를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단말기가 경로가 나타난 지도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안내 방법.
(19) 단말기가 제1 코드, 제2 코드 또는 이와 다른 제3 코드를 인식한 후, 제어부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하는 경로 이외에 제1코드, 제2 코드 또는 제3 코드와 관련된 정보를 단말기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안내 방법.
본 개시에 따른 하나의 위치 안내 방법에 의하면, 지하 또는 시설물 내라서 GPS를 사용할 수 없는 환경에서 필요한 위치를 찾아가는 데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다른 하나의 위치 안내 방법에 의하면, 시설물에 코드를 설치하고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사용하므로, 위치 안내에 복잡한 설비가 필요 없고 저렴하면서 간편하고 편리한 위치 안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또 다른 하나의 위치 안내 방법에 의하면, 위치 안내에 더하여 시설물 내에서 유용한 정보들을 함께 전송 받아 사용할 수 있어서 서비스의 질이 향상되고 복합적인 안내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10 : 단말기 21 : 제1 코드
25 : 제2 코드 50 : 서버

Claims (20)

  1. 단말기가 제1 위치에 대응하는 제1 코드를 읽어 제1 코드를 인식하는 단계;
    단말기가 제2 위치에 대응하는 제2 코드를 읽어 제2 코드를 인식하는 단계; 그리고,
    제어부가 인식된 제1 코드 및 인식된 제2 코드를 기초로 단말기를 통해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하는 경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안내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어부는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안내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코드 및 제2 코드는 2차원 바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안내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제1 코드 및 제2 코드는 QR(Quick Response)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안내 방법.
  5. 청구항 2에 있어서,
    단말기가 인식된 제1 코드로부터 제1 코드와 관련된 URL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그리고,
    단말기가 URL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안내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서버가 애플리케이션을 단말기로 전송하여 단말기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또는 업데이트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안내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을 단말기에 설치 또는 업데이트 하는 단계는
    단말기가 서버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단말기에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때에 서버가 애플리케이션을 전송하여 단말기에 설치하는 단계; 그리고,
    단말기에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때에는 서버가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안내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단말기를 통해 경로를 출력하는 단계는
    단말기가 애플리케이션에 제1 코드 및 제2 코드의 시설물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이 제1 코드 및 제2 코드의 시설물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가는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단말기가 경로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안내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은 GPS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시설물에 위치하는 다수의 코드들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코드들 간의 경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안내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은 입력된 제1 코드의 위치 정보 및 제2 코드의 위치 정보를 경로를 보여줄 지도 상의 좌표에 각각 대입하여 경로를 생성하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경로가 나타난 지도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안내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제1 코드는 시설물의 주차장에 위치하며, 제2 코드는 시설물의 주차장 이외의 곳에 위치하여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주차위치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안내 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제1 코드는 항공기 티켓에 인쇄되어 항공기 좌석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며, 제2 코드는 공항의 시설에 위치하여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에 대응하는 게이트로 항공기 탑승 경로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안내 방법.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제1 코드는 경기장 티켓에 인쇄되어 경기장 좌석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며, 제2 코드는 경기장의 시설에 위치하여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에 대응하는 좌석으로 경기장 좌석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안내 방법.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제1 코드는 출발역에 대응하고, 제2 코드는 도착역에 대응하여 지하철 환승시 환승동선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안내 방법.
  15. 청구항 9에 있어서,
    제1 코드 및 제2 코드는 하나의 안내표시판에 위치하며, 제2 코드에 대응하는 제2 위치로부터 제1 코드에 대응하는 제1 위치로 위치를 안내하는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제2 위치는 안내표시판에 대응하고, 제1 위치는 행사가 이루어지는 장소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안내 방법.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제어부는 단말기와 통신을 하는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안내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단말기가 인식된 제1 코드 또는 제2 코드로부터 제1 코드 또는 제2 코드와 관련된 URL 정보와, 제1 코드 또는 제2 코드가 위치하는 시설물 정보와, 제1 코드 및 제2 코드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단말기가 URL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그리고,
    단말기가 시설물 정보, 제1 코드 및 제2 코드의 위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안내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단말기를 통해 경로를 출력하는 단계는
    서버가 제1 코드의 위치 정보 및 제2 코드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가는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서버가 경로가 나타난 지도를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단말기가 경로가 나타난 지도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안내 방법.
  20. 청구항 1에 있어서,
    단말기가 제1 코드, 제2 코드 또는 이와 다른 제3 코드를 인식한 후, 제어부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하는 경로 이외에 제1코드, 제2 코드 또는 제3 코드와 관련된 다른 정보를 단말기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안내 방법.











KR1020100100723A 2010-10-15 2010-10-15 위치 안내 방법 KR101187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723A KR101187316B1 (ko) 2010-10-15 2010-10-15 위치 안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723A KR101187316B1 (ko) 2010-10-15 2010-10-15 위치 안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9177A true KR20120039177A (ko) 2012-04-25
KR101187316B1 KR101187316B1 (ko) 2012-10-02

Family

ID=46139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0723A KR101187316B1 (ko) 2010-10-15 2010-10-15 위치 안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731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642B1 (ko) * 2012-11-12 2014-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43292B1 (ko) * 2016-05-30 2016-07-27 (주) 맑은생각 주차 위치 확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차 위치 확인 방법
KR20200037587A (ko) * 2018-10-01 2020-04-09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개인 단말을 이용하여 주차 위치 및 주차장 평가를 기록하고 기록된 정보를 활용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20190041A1 (ko) * 2019-03-20 2020-09-24 주식회사 대한항공 탑승권 확인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탑승권을 확인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871B1 (ko) * 2014-06-20 2015-03-25 (주) 맑은생각 주차 위치 확인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차 위치 확인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8605A (ja) 2005-03-17 2006-09-28 Mitsubishi Electric Corp 経路情報案内システム
JP2007018472A (ja) 2005-07-07 2007-01-25 Sigmix Corp 携帯通信情報端末機器を利用した施設内案内システム
JP2008077476A (ja) 2006-09-22 2008-04-03 Keiichi Kurimura 二次元バーコード連携サービス方法およびシステム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642B1 (ko) * 2012-11-12 2014-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43292B1 (ko) * 2016-05-30 2016-07-27 (주) 맑은생각 주차 위치 확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차 위치 확인 방법
KR20200037587A (ko) * 2018-10-01 2020-04-09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개인 단말을 이용하여 주차 위치 및 주차장 평가를 기록하고 기록된 정보를 활용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20190041A1 (ko) * 2019-03-20 2020-09-24 주식회사 대한항공 탑승권 확인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탑승권을 확인하는 방법
KR20200112038A (ko) * 2019-03-20 2020-10-05 주식회사 대한항공 탑승권 확인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탑승권을 확인하는 방법
CN113767411A (zh) * 2019-03-20 2021-12-07 株式会社大韩航空 搭乘券确认装置及利用该装置确认搭乘券的方法
US11823516B2 (en) 2019-03-20 2023-11-21 Korean Air Lines Co., Ltd. Boarding pass checking device, and method for checking boarding pass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7316B1 (ko) 2012-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307612B2 (en) Guiding users in an area
KR102061916B1 (ko) 모바일 전자 장치들을 이용한 사용자 안내
KR102207975B1 (ko) 노선 버스 예약 시스템 및 예약 좌석변경 알림서비스 제공방법
KR101643292B1 (ko) 주차 위치 확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차 위치 확인 방법
CN104574623A (zh) 使用数字位置来进行来访者引导和登记的系统与方法
KR101187316B1 (ko) 위치 안내 방법
KR101603873B1 (ko) 모바일 단말에 대한 공항 내 이동 경로 안내 방법 및 서버 및 모바일 단말
KR101250814B1 (ko) 코드 인식을 이용한 경로안내 시스템 및 방법
JP2014182027A (ja) 案内サーバ、案内方法および案内プログラム
JP2008145719A (ja) 旅客輸送手段で用いられる広告システム
KR20170035362A (ko)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문화재 안내 시스템
JP6611747B2 (ja) バス検索システム
KR20170030210A (ko) 미디어보드를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시스템 및 교통정보 제공방법
JP2005216155A (ja) タクシー配車予約システム及びタクシー配車予約システム用サーバ
JP4694428B2 (ja) 生体認証に基づく認証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情報配信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生体認証サーバおよび情報配信サーバ、ならびに認証情報提供方法および情報配信方法
JP2016057354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誘導情報出力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1620817B1 (ko) 교통 탑승 정보 제공 장치
JP2008191115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経路探索方法ならびに端末装置
JP2013061173A (ja) 端末装置、探索条件設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20062337A (ko) Qr코드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38642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보제공시스템 및 방법
JP3735301B2 (ja) 案内システム
JP2017003444A (ja) 案内情報表示装置、案内情報表示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0256106A (ja) 道案内システム
JP2021018631A (ja) 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