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8140A - 수전 금구 - Google Patents

수전 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8140A
KR20120038140A KR1020100099734A KR20100099734A KR20120038140A KR 20120038140 A KR20120038140 A KR 20120038140A KR 1020100099734 A KR1020100099734 A KR 1020100099734A KR 20100099734 A KR20100099734 A KR 20100099734A KR 20120038140 A KR20120038140 A KR 20120038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body
case
water
cartridge
h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9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5297B1 (ko
Inventor
박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도
Priority to KR1020100099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5297B1/ko
Publication of KR20120038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8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5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5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2Arrangements on taps for wash-basins or baths for connecting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9/00Arrangements of valves and flow lines specially adapted for mixing fluids
    • F16K19/006Specially adapted for fauc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16K31/602Pivoting levers, e.g. single-sid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전 금구에 관한 것으로; 세면대나 욕조에 고정설치되며 냉수 및 온수배관으로부터 냉수 또는 온수를 공급받는 냉수 및 온수이동관이 연결되고 냉수 또는 온수를 혼합하여 배출하는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수납부가 형성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의 상단에 체결되어 상기 수납부에 끼워진 카트리지를 고정하는 체결부재와, 상기 고정몸체의 외부를 감싸도록 상기 고정몸체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카트리지에서 혼합된 혼합수를 토출하도록 상기 안착부와 연통되는 물토출부와 상기 카트리지의 레버가 돌출하는 통공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고정몸체에 케이스를 끼운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와 체결되어 상기 통공 가장자리를 가압하여 케이스를 고정몸체에 고정하는 너트부재와, 상기 카트리지의 레버에 결합되는 핸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전 금구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의 파손이나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수전 금구를 통째로 분리하지 않고 간단히 너트부재만을 분리하면 케이스를 교체할 수 있어 초보자도 간단히 교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스의 내부에 내장되는 카트리지 등의 내부 부속품들은 그대로 재사용하고 부분적으로 케이스만 간단히 교체할 수 있어 교체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전 금구 { faucet }
본 발명은 수전 금구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세면대나 욕조 등에 설치되는 수전금구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의 고장이나 파손으로 인한 교체가 요구되는 경우 수도배관 등에 연결되는 내부 부속은 설치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며 케이스만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는 수전 금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전금구는 세면대나 욕조에 설치되어 냉수 또는 온수를 선택적으로 배출하거나 또는 혼합하여 배출한다.
이와 같은 수전 금구는 주물방식으로 제조되거나 또는 사출성형이나 다이캐스팅 등의 방식으로 제조되는 본체의 내부에 냉수 및 온수가 이동할 수 있는 냉수 및 온수이동관을 구비하는 방식이 있다.
먼저 주물방식의 수전 금구의 경우 본체의 내부에 냉수 및 온수가 이동할 수 있는 냉수 및 온수 유로가 형성되어 수전 금구가 무겁고 제조원가가 높고, 본체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수전 금구를 통째로 교체해야 하므로 교체비용에 대한 부담이 큰 문제점이 있다.
한편, 냉수 및 온수가 이동할 수 있는 냉수 및 온수이동관을 본체의 내부에 조립하여 만드는 사출성형이나 다이캐스팅 방식의 수전 금구의 경우 주물방식의 수전금구에 비해 제조원가가 저렴하다.
이와 같은 사출방식 수전 금구의 일 예로 본 출원인은 공개특허 제2009-0039929호를 제시한 바 있다. 이는 각각의 부속을 분할 제작하여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위생적인 구조를 가지는 수전 금구에 관한 것으로,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서로 분리가 가능하며, 또한 주물 제작하지 않고 다이캐스팅을 통해 제조함으로 인해 온수나 냉수가 이동하는 공간의 표면처리를 매끄럽게 가공이 가능하여 물이끼 등의 이물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여서, 특히 화장실의 욕조 벽면 등에 용이하게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중에 특정 부속의 고장으로 인한 교체 또는 세척이 필요한 경우 용이하게 분해 및 조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상기 공개특허에 제시된 바와 같은 종래 수전 금구의 경우 외관을 형성하는 상/하부 몸체인 케이스의 파손이나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냉온수 배관으로부터 수전 금구를 통째로 분리하고 케이스를 교체해야 함에 따라 교체작업이 번거롭고 숙련된 기술자가 아닌 경우 교체가 쉽지 않다.
또한, 케이스의 내부에 내장되는 카트리지나 메니폴드 등의 내부 부속품의 손상이 없는 경우 재사용시에 케이스로부터 분리하고 새로운 케이스에 삽입 고정한 상태로 화장실이나 욕조 등에 설치해야 하므로 그 교체 공정이 복잡하다.
그리고, 종래의 수전 금구는 케이스의 내부에 직접 내장됨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갖는 케이스를 디자인하는데 한계가 있고, 내부 부속품을 그대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동일 모델의 수전 금구의 케이스로 교체해야 하므로 사용자 입장에서는 새로운 디자인에 대한 갈망을 충족시켜 주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세면대나 욕조 등에 설치되는 수전 금구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의 고장이나 파손이 발생하는 경우 내부의 수도용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혼합하는 카트리지 부분 등의 내부부속은 설치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며 케이스만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는 수전 금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디자인을 갖는 케이스로 쉽게 교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교체 비용 역시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의 수전 금구를 제공하는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세면대나 욕조에 고정설치되며 냉수 및 온수배관으로부터 냉수 또는 온수를 공급받는 냉수 및 온수이동관이 연결되고 냉수 또는 온수를 혼합하여 배출하는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수납부가 형성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의 상단에 체결되어 상기 수납부에 끼워진 카트리지를 고정하는 체결부재와, 상기 고정몸체의 외부를 감싸도록 상기 고정몸체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카트리지에서 혼합된 혼합수를 토출하도록 상기 안착부와 연통되는 물토출부와 상기 카트리지의 레버가 돌출하는 통공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고정몸체에 케이스를 끼운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와 체결되어 상기 통공 가장자리를 가압하여 케이스를 고정몸체에 고정하는 너트부재와, 상기 카트리지의 레버에 결합되는 핸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금구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고정몸체는 격벽에 의해 구분되어 상측에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수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격벽에는 냉수 및 온수유입공이 형성되어 냉수 및 온수를 공급하는 냉수 및 온수이동관이 연결되고, 상기 수납부에서 머물던 혼합수를 고정몸체의 외측으로 배출해 주기 위한 배출공이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몸체의 외부면에는 상기 케이스의 안착부에 밀착되는 제1 및 제2오링이 지지되는 제1 및 제2오링지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고정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오링지지홈의 사이에는 제3오링지지홈이 더 형성되어 제3오링이 끼워지고, 상기 제1 및 제3오링지지홈의 사이에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상하로 제1 및 제2이동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는 상기 제2이동공를 통해 유입되는 혼합수를 상기 제1이동공을 통한 물토출부 또는 샤워이동부로 선택적으로 배출시키는 전환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몸체의 수납부 상단 내측에는 제2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카트리지의 레버가 관통되며 내주면에 지지턱을 갖는 관통공이 중앙에 형성되고 외주연에는 상기 제2암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제2수나사산와 상기 너트부재가 체결되는 제3수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전 금구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의 파손이나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수전 금구를 통째로 분리하지 않고 간단히 너트부재만을 분리하면 케이스를 교체할 수 있어 초보자도 간단히 교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스의 내부에 내장되는 카트리지 등의 내부 부속품들은 그대로 재사용하고 부분적으로 케이스만 간단히 교체할 수 있어 교체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케이스로 교체할 수 있어 사용자 입장에서는 새로운 디자인에 대한 갈망을 충족시켜 줌은 물론, 다양한 형상의 케이스 디자인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전 금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전 금구를 도시한 수전금구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전 금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수전 금구를 도시한 수전금구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전 금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수전 금구를 도시한 수전금구의 결합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전 금구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전 금구는 세면대(1)나 욕조 등에 고정설치되며 냉수 및 온수배관으로부터 냉수 또는 온수를 공급받는 냉수 및 온수이동관(10,20)이 연결되고 냉수 또는 온수를 혼합한 혼합수를 배출하는 카트리지(110)가 삽입되는 수납부(122)가 형성되는 고정몸체(120)와, 상기 고정몸체(120)의 외부를 감싸며 일측에는 상기 카트리지(110)에서 혼합된 혼합수를 토출하는 물토출부(131)가 형성되는 케이스(130)와, 상기 케이스(130)의 상부에 구비되어 혼합수의 배출량 및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핸들(14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케이스(130)는 사출 또는 다이케스팅 방법에 의해 제조되며, 다수개로 분할 제작되어 접착제 등을 이용해 일체로 접합하여서 이루어진다.
이하,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고정몸체(120)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간에 격벽(124)이 형성되어 상측으로 카트리지(110)가 삽입되는 수납부(122)가 형성되고, 상기 격벽(124)에는 냉수 및 온수유입공(124a,124b)이 형성되어 냉수 및 온수를 공급하는 냉수 및 온수배관(미도시됨)에 연결되는 냉수 및 온수이동관(10,20)이 연결된다.
이때, 상기 고정몸체(120)는 온수 및 냉수를 안내하는 별도의 메니폴드가 필요없는 매니폴드 일체형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고정몸체(120)의 하단에는 세면대나 욕조 등에 설치하기 위한 고정돌부(126)가 하부로 연장 돌출되며 그 외주면에는 제1수나사산(126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몸체(120)를 설치하는 경우 세면대(1)에 형성된 고정공(1a)에 상기 고정돌부(126)를 상측에서 끼우고 상기 제1수나사산(126a)과 치합되는 제1암나사산(127a)이 형성되는 체결너트(127)를 상기 고정돌부(126)에 끼워 나사결합 함으로서 견고하게 세면대 등에 고정시켜 준다.
또한, 상기 고정몸체(120)는 상기 수납부(122)의 격벽에는 상기 카트리지(110)를 삽입시 헛도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공(124c)이 형성되어 카트리지(1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지지돌기(110a)가 끼워진다.
한편, 상기 고정몸체(120)의 수납부(122)에는 상기 냉수 및 온수유입공(124a,124b)을 통해 유입되는 냉수 및 온수가 카트리지(110)에서 혼합된 혼합수가 머물게 되는데, 상기 수납부(122)에서 머물던 혼합수를 고정몸체(120)의 외측으로 배출해 주기 위한 배출공(121)이 측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몸체(120)의 상단에는 수납부(122)에 끼워진 카트리지(11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견고한 수납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체결부재(150)가 체결된다.
이때, 상기 고정몸체(120)의 수납부(122) 상단 내측에는 제2암나사산(122a)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150)는 카트리지(110)의 레버(112)가 관통되며 내주면에 지지턱(152a)을 갖는 관통공(152)이 중앙에 형성되고 외주연에는 제2수나사산(154) 및 제3수나사산(155)이 단차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몸체(120)의 수납부(122)에 카트리지(110)를 끼운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150)를 결합하면 상기 제2수나사산(154)이 수납부(122) 상단 내측의 제2암나사산(122a)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카트리지(110)의 상단 테두리부분을 체결부재(150)의 지지턱(152a)이 가압하게 되어 카트리지(110)를 상기 고정몸체(120)의 수납부(122)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몸체(120)의 외부면에는 제1 및 제2오링(160,161)이 지지되는 제1 및 제2오링지지홈(160,16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몸체(120)의 외부에 케이스(130)를 끼우는 경우 케이스(130)의 안착부(132a) 내부면에 상기 제1 및 제2오링(160,161)이 밀착되어 혼합수가 상기 고정몸체(120)의 측면에 형성된 배출공(121)을 통해 배출되는 경우 케이스(130)의 상하측으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고정몸체(120)가 케이스(130)의 안착부(132a) 중앙에 안정적으로 위치하도록 고정몸체(120)의 외부면에는 다수의 지지돌기(125)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130)는 상기 고정몸체(120)의 외부를 감싸며 일측에는 상기 카트리지(110)에서 혼합된 혼합수를 토출하는 물토출부(131)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는 상기 고정몸체(120)가 끼워지도록 하부가 개구되고 상기 고정몸체(120)가 안착되는 안착부(132a)가 형성되는 몸체부(132)와, 상기 몸체부(132)의 상측에 일체로 결합되는 물토출부(131)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물토출부(131)는 장방형으로 이루어지며,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2개의 분할된 상부 및 하부 커버(131b,131c)가 접착제 등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케이스(130)는 상기 고정몸체(120)가 안착되는 안착부(132a)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132a)는 상기 물토출부(131)와 연통된다. 또한, 상기 물토출부(131)의 상측에는 상기 카트리지(110) 상단의 레버(112)가 돌출하는 통공(131a)이 형성된다.
따라서, 세면대 등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고무재질의 제1 및 제2오링(160,161)이 끼워진 고정몸체(120)에 케이스(130)를 끼워 케이스(130)의 안착부(132a)에 체결부재(150)를 결합한 상태의 고정몸체(120)를 안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150)에 너트부재(170)를 체결해준다. 이와 같은 너트부재(170)는 제3암나사산(172)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재(150)의 제3수나사산(155)에 나사결합되는 경우 너트부재(170)의 테두리가 상기 물토출부(131)의 통공(131a) 가장자리를 가압하게 되어 케이스(130)를 고정몸체(120)에 견고하게 결합시켜 주게 된다.
한편, 상기 너트부재(170)의 중앙으로 돌출되는 카트리지(110)의 레버(112)에는 핸들(140)이 결합되어 상기 핸들(140)을 상/하/좌/우로 회동시키면서 온수 및 냉수의 혼합비에 따른 혼합수의 온도 조절 및 배출량을 조절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전 금구의 케이스 교체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케이스(130)가 물리적인 충격에 의해 파손되거나 식상하여 교체가 요구되는 경우 사용자는 카트리지(110)의 레버(112)에 결합된 핸들(140)을 분리하고, 너트부재(170)를 돌려 카트리지를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고정몸체(120)의 상측에 체결되는 체결부재(150)로부터 분리한다.
상기 너트부재(170)를 분리하면 상기 케이스(130)는 고정몸체(120)와 분리 가능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130)를 간단히 들어올려 간단하게 고정몸체(120)로부터 분리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몸체(120)는 세면대 등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새로운 디자인을 갖는 케이스(130) 또는 이전 모델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케이스(130)를 상기 고정몸체(120)에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상기 케이스(130)의 몸체부(132)에 형성된 안착부(132a)에 고정몸체(120)를 끼우고, 고정몸체(120)의 상측에 체결되는 체결부재(150)에 너트부재(170)를 체결하면 새로운 케이스(130)는 견고하게 고정몸체(120)에 고정된다.
그리고, 카트리지(110)의 레버(112)에 결합된 핸들(140)을 결합함으로서 간단히 케이스(130)를 교체하게 된다.
그리고, 핸들(140)을 조작하면 키트리지(110)를 통해 혼합된 혼합수가 고정몸체(120)의 수납부(122)에서 머물던 혼합수가 배출공(121)을 통해 고정몸체(120)와 케이스(130)의 안착부(132a) 사이의 공간을 통해 물토출부(131)로 이동하여 토출된다.
한편,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전 금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는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수전 금구의 변형된 실시 예로서, 세면대에 고정설치되며 카트리지(110)가 삽입되는 고정몸체(120)가 전체적으로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양측에 날개부(128,129)가 더 형성되는 것으로 온수 배관과 냉수배관이 연결되는 냉수 및 온수이동관(10,20)이 좌측과 우측에 각각 연결되고 세면대 등에 일체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고정몸체(120)를 감싸는 케이스(130) 역시 상기 고정몸체(120)의 날개부(128,129)를 감싸도록 몸체부(132)의 양측에 날개커버부(132b,132c)가 더 형성된다.
이와 같은 수전 금구의 케이스(130) 역시 핸들(140)을 카트리지(110)의 레버(112)로부터 분리하고, 체결부재(150)로부터 너트부재(170)를 해제하면 상기 케이스(130)를 간단히 분리할 수 있고, 새로운 케이스(130)를 끼운 후 고정몸체(120)에 체결되는 체결부재(150)에 너트부재(170)를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전 금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는 상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수전 금구의 변형된 실시 예로서, 욕조에 설치되는 수전 금구이다, 이는 고정몸체(12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오링지지홈(128a,128b)의 사이에는 제3오링지지홈(128c)이 더 형성되어 제3오링(162)이 끼워지고, 상기 제1 및 제3오링지지홈(128a,128c)의 사이에 배출공(1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몸체(120)의 일측에는 냉수 및 온수배관이 연결되는 냉수 및 온수 유입부재(180,181)가 고정되며 상기 냉수 및 온수 유입부재(180,181)에는 냉수 및 온수이동관(10,20)이 각각 연결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130)의 일측에는 상하로 제1 및 제2이동공(133,134)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고정몸체(120)의 날개부(128,129) 전체를 감싸기 위해 상기 몸체부(132)의 양측에는 상기 고정몸체(120)의 날개부(128,129) 상측을 감싸는 날개커버부(132b,132c)가 더 형성되고, 상기 고정몸체(120)의 날개부(128,129) 하측을 감싸는 하측 커버부(135)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이동공(133)과 제2이동공(134)이 형성되는 케이스(130)의 외측에는 상기 카트리지(110)에서 배출되는 혼합수를 샤워이동부(182) 또는 물토출부(131)로 선택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유로(183)가 형성되는 하우징(181)의 내부에 고무패킹(185)이 구비되며, 그 상부에는 상기 고무패킹(185)을 승강시키는 버튼부재(186)가 구비되어 상기 샤워이동부(182)로의 혼합수 배출을 개폐하는 공지(公知)의 전환수단(180)이 체결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버튼부재(186)의 조작에 따라 샤워헤드(190)가 연결되는 샤워이동부(182) 또는 물토출부(131)와 연통되는 메인이동부(184)로의 혼합수 배출을 선택하게 된다.
즉, 핸들(140)을 조작하여 물토출부(131)로 혼합수가 토출되도록 선택하는 경우 상기 카트리지(110)에서 혼합된 혼합수는 상기 고정몸체(120)와 케이스(130) 사이의 공간인 제1 및 제3오링(160,162)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하고 제2이동공(134)을 통해 전환수단(180)의 유로(183)를 통해 제2 및 제3오링(161,162)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하여 물토출부(131)로 이동한다.
물론, 핸들(140)을 조작하여 샤워헤드(190)로 혼합수가 토출되도록 선택하는 경우 상기 카트리지(110)에서 혼합된 혼합수는 상기 고정몸체(120)와 케이스(130) 사이의 공간인 제1 및 제3오링(160,162)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하고 제2이동공(134)을 통해 전환수단(180)의 유로(183)를 통해 샤워이동부(182)로 이동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과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1: 세면대 10: 냉수이동관
20: 온수이동관 110: 카트리지
120: 고정몸체 130: 케이스
140: 핸들 150: 체결부재
170: 너트부재 180: 전환수단

Claims (4)

  1. 세면대(1)나 욕조에 고정설치되며 냉수 및 온수배관으로부터 냉수 또는 온수를 공급받는 냉수 및 온수이동관(10,20)이 연결되고 냉수 또는 온수를 혼합하여 배출하는 카트리지(110)가 삽입되는 수납부(122)가 형성되는 고정몸체(120)와,
    상기 고정몸체(120)의 상단에 체결되어 상기 수납부(122)에 끼워진 카트리지(110)를 고정하는 체결부재(150)와,
    상기 고정몸체(120)의 외부를 감싸도록 상기 고정몸체(120)가 안착되는 안착부(132a)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카트리지(110)에서 혼합된 혼합수를 토출하도록 상기 안착부(132a)와 연통되는 물토출부(131)와 상기 카트리지(110)의 레버(112)가 돌출하는 통공(131a)이 형성되는 케이스(130)와,
    상기 고정몸체(120)에 케이스(130)를 끼운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150)와 체결되어 상기 통공(131a) 가장자리를 가압하여 케이스(130)를 고정몸체(120)에 고정하는 너트부재(170)와,
    상기 카트리지(110)의 레버(112)에 결합되는 핸들(1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금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120)는, 격벽(124)에 의해 구분되어 상측에 카트리지(110)가 삽입되는 수납부(122)가 형성되고, 상기 격벽(124)에는 냉수 및 온수유입공(124a,124b)이 형성되어 냉수 및 온수를 공급하는 냉수 및 온수이동관(10,20)이 연결되고, 상기 수납부(122)에서 머물던 혼합수를 고정몸체(120)의 외측으로 배출해 주기 위한 배출공(121)이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몸체(120)의 외부면에는 상기 케이스(130)의 안착부(132a)에 밀착되는 제1 및 제2오링(160,161)이 지지되는 제1 및 제2오링지지홈(160,16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금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12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오링지지홈(128a,128b)의 사이에는 제3오링지지홈(128c)이 더 형성되어 제3오링(162)이 끼워지고, 상기 제1 및 제3오링지지홈(128a,128c)의 사이에 배출공(121)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30)의 일측에는 상하로 제1 및 제2이동공(133,134)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30)의 외측에는 상기 제2이동공(134)를 통해 유입되는 혼합수를 상기 제1이동공(133)을 통한 물토출부(131) 또는 샤워이동부(182)로 선택적으로 배출시키는 전환수단(18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금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120)의 수납부(122) 상단 내측에는 제2암나사산(122a)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150)는 카트리지(110)의 레버(112)가 관통되며 내주면에 지지턱(152a)을 갖는 관통공(152)이 중앙에 형성되고 외주연에는 상기 제2암나사산(122a)과 나사결합되는 제2수나사산(154)와 상기 너트부재(170)가 체결되는 제3수나사산(15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금구.
KR1020100099734A 2010-10-13 2010-10-13 수전 금구 KR101205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734A KR101205297B1 (ko) 2010-10-13 2010-10-13 수전 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734A KR101205297B1 (ko) 2010-10-13 2010-10-13 수전 금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8140A true KR20120038140A (ko) 2012-04-23
KR101205297B1 KR101205297B1 (ko) 2012-11-27

Family

ID=46139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9734A KR101205297B1 (ko) 2010-10-13 2010-10-13 수전 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52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683B1 (ko) * 2020-12-08 2021-05-17 대림통상 주식회사 수전 내 카트리지 결합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610Y1 (ko) 2013-08-06 2015-10-26 김용문 냉온수 혼합수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2793A (ja) 1997-08-30 1999-03-26 San-Ei Faucet Mfg Co Ltd 湯水混合水栓
JP2008169581A (ja) 2007-01-10 2008-07-24 Hocheng Corp 組み合わせ式蛇口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683B1 (ko) * 2020-12-08 2021-05-17 대림통상 주식회사 수전 내 카트리지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5297B1 (ko) 2012-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108751T3 (en) Drain faucet for bathtubs and shower cubicles with flooring
KR101205297B1 (ko) 수전 금구
KR101102126B1 (ko) 플라스틱 수도꼭지
DK2639364T3 (en) Base body for a sanitary fixture
JP5991707B2 (ja) クランク脚付きのカバー付き水栓
KR101323625B1 (ko) 토출구 교체기능을 갖는 수전금구
KR100856380B1 (ko) 수전 금구
KR101145109B1 (ko) 벽면설치용 수전
KR20190056651A (ko) 개선된 수전금구 본체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전금구 본체
KR200313962Y1 (ko) 온냉수 혼합수전
JP5018259B2 (ja) 浴室ユニット
KR100710423B1 (ko) 측면필터부착이 가능한 선반 일체형 샤워기
KR101937484B1 (ko) 벽붙이 수전
US20160138253A1 (en) Quick Assembly Structure of Faucet Handle Base
WO2020182084A1 (zh) 一种浴缸
KR101737402B1 (ko) 수도전
JP2004251050A (ja) 水栓におけるカートリッジの固定構造
RU2685788C1 (ru) Водопроводный кран-смеситель
KR200413501Y1 (ko) 디자인된 배수구멍을 갖춘 세면기
KR102341283B1 (ko) 경량 구조를 갖는 수전
JP6948593B2 (ja) 水栓
CN217815114U (zh) 一种冷热二联龙头
KR102452264B1 (ko) 샤워바 수전장치
JP6975947B2 (ja) 水栓
KR101080121B1 (ko) 수전금구용 냉수 및 온수이동관의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