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5955A - 차량의 가속 페달 조립체 - Google Patents

차량의 가속 페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5955A
KR20120035955A KR1020100097565A KR20100097565A KR20120035955A KR 20120035955 A KR20120035955 A KR 20120035955A KR 1020100097565 A KR1020100097565 A KR 1020100097565A KR 20100097565 A KR20100097565 A KR 20100097565A KR 20120035955 A KR20120035955 A KR 20120035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lerator pedal
pedal assembly
bracket
press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7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7367B1 (ko
Inventor
변성일
Original Assignee
경창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창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창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7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7367B1/ko
Publication of KR20120035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5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가속 페달 조립체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제1 축에 대해서 소정 범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제1 단부에는 사용자가 밟아 답력을 가하게 되어 있는 페달부가, 제2 단부에는 누름부가 제공되는 가속 페달 암과, 상기 누름부상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와, 상기 브라켓의 제2 축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탄성 부재에 접촉하는 제1 부와, 상기 누름부의 단부에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부를 포함하는 마찰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가속 페달 암이 가속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누름부가 상기 탄성 부재를 상기 제1 부 쪽으로 누르고, 상기 누름부의 단부와 상기 제2 부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가속 페달 조립체{Accelerator Pedal Assembly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가속 페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자식 가속 페달에 있어서 페달을 밟는 힘과 페달의 복원력간의 히스테리시스가 발생하도록 되어 있는 가속 페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가속기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는 전자식 제어 쓰로틀 시스템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전자식 제어 쓰로틀 시스템에는 가속기 페달의 작동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밟는 힘과 페달의 복원력간에 히스테리시스를 발생하도록 하는 가속 페달 조립체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한 가속 페달 조립체의 예로서 미국특허 제7,051,616호에 개시된 구조가 있다. 그러나 이 가속 페달 조립체는 히스테리시스를 발생시키기 위해 너무 복잡하며, 많은 부품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부품 배치성이 나쁘며, 원가 상승의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정비에 있어서도 유리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간단한 구조로 가속 페달 조립체에 히스테리시스를 발생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가속 페달 조립체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제1 축에 대해서 소정 범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제1 단부에는 사용자가 밟아 답력을 가하게 되어 있는 페달부가, 제2 단부에는 누름부가 제공되는 가속 페달 암과, 상기 누름부상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와, 상기 브라켓의 제2 축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탄성 부재에 접촉하는 제1 부와, 상기 누름부의 단부에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부를 포함하는 마찰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가속 페달 암이 가속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누름부가 상기 탄성 부재를 상기 제1 부 쪽으로 누르고, 상기 누름부의 단부와 상기 제2 부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1 부와 제2 부는 서로에 대해 직각을 이루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누름부의 단부는 곡면이고, 상기 제2 부의 단부는 평면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매우 간단한 구조로, 히스테리시스 발생이 가능한 차량용 가속 페달 조립체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으며, 히스테리시스 정도를 마찰면 형상의 조정에 의해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가속 페달 조립체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가속 페달 조립체의 히스테리시스 그래프.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가속 페달 조립체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속 페달 조립체(1)는, 베이스(10)와 하우징(15)으로 구성되어 있는 브라켓과, 가속 페달 암(20)과, 탄성 부재(50)와, 마찰 플레이트(100)를 포함한다.
가속 페달 암(20)은, 사용자가 밟아 답력을 가하게 되어 있는 페달부(21)가 제1 단부에 제공되며, 제2 단부에는 누름부(25)가 제공된다. 가속 페달 암(20)은 도중(途中)에서 브라켓의 제1 축(30)에 대해 소정 범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탄성 부재(50)는 누름부(25) 상에 배치되는데, 탄성 부재(50)의 아래쪽 단부가 누름부(25)의 움직임에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탄성 부재(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찰 플레이트(100)는 브라켓의 제2 축(6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탄성 부재(50)에 접촉하는 제1 부(110)와, 누름부(25)의 단부(27)에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부(130)를 포함한다. 제1 부(110)는 누름부(25)가 접촉하는 탄성 부재(50)의 쪽과 반대쪽에서 탄성 부재(50)에 접촉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가속 페달 조립체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가속을 위해 사용자가 페달부(21)를 밟으면, 페달 암(20)은 제1 축(30)에 대해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페달 암(20)이 회전하면 그에 따라 누름부(25)도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그에 따라서 탄성 부재(50)를 위로 밀게 된다. 위로 밀린 탄성 부재(50)는 제1 부(110)를 밀어서 제1 부(110)를 제2 축(60)에 대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제1 부(110)와 제2 부(130)는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제2 축(60)에 대한 회전 운동은 같은 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제1 부(110)가 제2 축(60)에 대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부(130) 역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이 때 제2 부(130)의 단부(140)가 누름부(25)의 단부(27)에 접촉하여 마찰력이 생기게 된다. 페달부(21)를 밟으면 더 밟을수록 마찰 플레이트(100)의 제2 부(130)의 단부(140)와 누름부(25)의 단부(27) 사이의 마찰력은 더 커지게 된다.
페달부(21)를 밟는 발을 놓게 되면, 페달 암(20)은 원래 위치로 복원되는데 페달부(21)를 밟을 때와 반대 방향으로 페달 암(20) 및 마찰 플레이트(100)가 회전하면서 마찰력이 감소한다. 그러나 밟은 힘이 없기 때문에 반력은 페달부(21)를 밟을 때보다 감소한 상태에서 복원되기 때문에 도 2에서와 같이 히스테리시스가 발생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도 1에 도시된 구조에 의한 페달 암 조립체에서 작동시킬 때의 페달 암 및 마찰 플레이트 회전 방향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그러한 회전 방향은 페달 암 조립체의 다양한 구성에 따라 변화할 수 있으며, 전술한 회전 방향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가속 페달 조립체의 히스테리시스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누름부(25)의 단부(27)와 제2 부(130)의 단부(140)의 형상을 조정하여 마찰 계수를 조정함으로써 가능해지며, 이러한 간단한 조정만으로 히스테리시스 조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 비해 훨씬 간단한 구조의 가속 페달 조립체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제1 축(30)에 대한 페달 암(2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것도 중요하기 때문에 누름부(25)의 단부(27)는 곡면으로 형성하고, 제2 부(130)의 단부(140)는 평면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설계 조건에 따라서, 누름부의 단부(27)와 제2 부(130)의 단부(140)의 형상은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며, 전술한 형상으로 단부 형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며 전술한 실시예 및/또는 첨부 도면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개량, 변경 및/또는 수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이 명백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1: 가속 페달 조립체
10: 베이스
20: 페달 암
100: 마찰 플레이트

Claims (3)

  1. 차량 가속 페달 조립체에 있어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제1 축에 대해서 소정 범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제1 단부에는 사용자가 밟아 답력을 가하게 되어 있는 페달부가, 제2 단부에는 누름부가 제공되는 가속 페달 암과,
    상기 누름부상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와,
    상기 브라켓의 제2 축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탄성 부재에 접촉하는 제1 부와, 상기 누름부의 단부에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부를 포함하는 마찰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가속 페달 암이 가속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누름부가 상기 탄성 부재를 상기 제1 부 쪽으로 누르고, 상기 누름부의 단부와 상기 제2 부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하도록 되어 있는,
    차량 가속 페달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와 제2 부는 서로에 대해 직각을 이루도록 되어 있는,
    차량 가속 페달 조립체.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의 단부는 곡면이고, 상기 제2 부의 단부는 평면으로 되어 있는,
    차량 가속 페달 조립체.
KR1020100097565A 2010-10-07 2010-10-07 차량의 가속 페달 조립체 KR101227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565A KR101227367B1 (ko) 2010-10-07 2010-10-07 차량의 가속 페달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565A KR101227367B1 (ko) 2010-10-07 2010-10-07 차량의 가속 페달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955A true KR20120035955A (ko) 2012-04-17
KR101227367B1 KR101227367B1 (ko) 2013-01-29

Family

ID=46137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7565A KR101227367B1 (ko) 2010-10-07 2010-10-07 차량의 가속 페달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736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64370A (zh) * 2015-07-31 2017-04-19 罗伯特·博世有限公司 用于车辆的油门踏板模块
KR102003718B1 (ko) * 2018-04-23 2019-07-25 경창산업주식회사 히스테리시스 발생 구조를 갖는 차량용 가속 페달
KR102054470B1 (ko) * 2019-02-08 2019-12-10 경창산업주식회사 이중 히스테리시스 생성 구조를 갖는 차량용 가속 페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6904A (ja) 2000-07-24 2002-02-06 Mikuni Corp アクセルペダル装置
JP2007253869A (ja) 2006-03-24 2007-10-04 Denso Corp アクセルペダル装置
KR100724700B1 (ko) 2006-06-15 2007-06-04 주식회사 동희산업 차량용 전자식 가속페달 장치
KR100841924B1 (ko) * 2006-07-19 2008-06-27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자동차용 엑셀레이터 페달 모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64370A (zh) * 2015-07-31 2017-04-19 罗伯特·博世有限公司 用于车辆的油门踏板模块
KR102003718B1 (ko) * 2018-04-23 2019-07-25 경창산업주식회사 히스테리시스 발생 구조를 갖는 차량용 가속 페달
KR102054470B1 (ko) * 2019-02-08 2019-12-10 경창산업주식회사 이중 히스테리시스 생성 구조를 갖는 차량용 가속 페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7367B1 (ko) 2013-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1403B1 (ko) 히스테리시스 발생 페달 장치
US20060185469A1 (en) Pedal for motorized vehicle
US7404342B2 (en) Accelerator pedal for motorized vehicle
EP1857909A2 (en) Pedal assembly and method
ATE429671T1 (de) Elektronisches drosselklappensteuersystem für ein fahrpedalmodul mit hysteresis- anbieter
JP5838568B2 (ja) 電子打楽器用のペダル装置
KR101227367B1 (ko) 차량의 가속 페달 조립체
JP2009169812A (ja) アクセル装置
KR101691035B1 (ko) 전자식 가속 페달
JP2006176001A (ja) ペダル反力制御装置
KR102007756B1 (ko) 차량용 가속 페달
KR20100094778A (ko) 차량용 전자식 가속페달 장치
WO2011085390A2 (en) Kickdown device for electronic pedal assembly
US20190359055A1 (en) Accelerator pedal for vehicle
JP2004169656A (ja) アクセルペダル装置
JP6361154B2 (ja) 操作検出装置
KR102003718B1 (ko) 히스테리시스 발생 구조를 갖는 차량용 가속 페달
KR101316145B1 (ko) 오르간 타입 가속 페달
JP3657645B2 (ja)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JP2004114884A (ja) 電子式アクセルペダル装置
KR20190081759A (ko) 차량용 페달 장치
JP5861500B2 (ja) 鍵盤装置
JPH0326556Y2 (ko)
KR102077687B1 (ko) 답력 가변형 페달 장치
JP5844592B2 (ja) ペダ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