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4089A - 넘침 방지 뚜껑 - Google Patents

넘침 방지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4089A
KR20120034089A KR1020120020039A KR20120020039A KR20120034089A KR 20120034089 A KR20120034089 A KR 20120034089A KR 1020120020039 A KR1020120020039 A KR 1020120020039A KR 20120020039 A KR20120020039 A KR 20120020039A KR 20120034089 A KR20120034089 A KR 20120034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opened
plate
lid
low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0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경식
Original Assignee
우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경식 filed Critical 우경식
Priority to KR1020120020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4089A/ko
Publication of KR20120034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40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3Knobs, e.g. for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넘침 방지 뚜껑의 증기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냄비나 솥, 프라이팬, 주전자 등의 조리 용기에서 조리할 때 용기 내부의 온도에 따라 자동으로 증기가 배출되도록 한 증기 배출 장치에 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일부 제품들은 구조가 복잡하거나 동작이 불량하여 사용하기 불편한 제품도 많다. 구조가 복잡한 제품은 이물질이 끼이기 쉬워서 비위생적이고 생산단가가 높아져서 널리 사용되지 않고 있다.
증기압에 의하여 유동판이 움직이는 것은 편심에 의하여 동작이 불량하게 되기도 하고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온도에 따라 일정온도에 이르면 바이메탈이 휘어지면서 증기 배출구를 개폐 되도록 하고, 가장 간단한 구조로 만들어 청소가 용이하면서도, 온도가 낮을 때는 닫혀 있게 하여 열손실을 최소화 하고 끓어 넘치지 않는 뚜껑을 만들었다.
또한, 바이메탈과 달리 증기압에 의하여 열리는 간단한 구조의 열림판을 만들어서 바이메탈보다 저렴하게 생산이 가능한 제품을 개발하여 저렴하게 보급할 수 있도록 하여 쾌적한 조리문화에 일익이 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넘침 방지 뚜껑{Lid to prevent overflow}
본 발명은 증기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냄비나 솥, 프라이팬, 주전자 등의 조리 용기에서 조리할 때 용기 내부의 온도에 따라 자동으로 증기가 배출되도록 한 넘침방지용 증기 배출 장치에 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냄비, 솥, 프라이팬, 주전자 등의 조리 용기는 내부에 투입된 음식물 재료를 열로 가열하여 조리를 행하게 되는데, 조리 중에 음식물이 소정의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면 음식물에서 증기가 발생되는데, 이 증기는 용기 내부의 압력을 상승시키게 된다.
그리고, 용기 내부의 압력이 상승되면 그 압력에 의해 뚜껑이 열리면서 국물을 넘치게 하여 렌지 등을 오염시켜 비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넘치는 국물은 용기를 가열하는 열원, 즉 불꽃이 꺼지게 하여 가스의 누출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내재되어 있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넘침 방지용 뚜껑들이 그동안 수십 가지가 연구되고 개발되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일부 제품들은 구조가 복잡하거나 동작이 불량하여 사용되지 않는 제품도 많다. 구조가 복잡한 제품은 이물질이 끼이기 쉬워서 비위생적이고 생산단가가 높아져서 널리 사용되지 않고 있다.
증기압에 의하여 유동판이 움직이는 것은 편심에 의하여 동작이 불량하게 되기도 하고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제품을 유형별로 크게 분류하면,
1. 처음부터 구멍을 크게 뚫어 놓은 제품.
2. 바이메탈이나 형상기억합금을 사용하여, 온도변화에 따라 작동하는 제품.
3. 증기압에 의하여 개폐되는 제품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등록특허 10-0399610 (이한 인용특허 1) 등록특허 10-0740676 (이하 인용특허 2) 등록특허 10-1020601 (이하 인용특허 3)
본 발명에서는 간단한 구조이면서도 확실한 증기 배출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구조와,
이물질이 끼이지 않도록 하는 간단한 구조로 만들어서 위생적이고, 저렴하게 제작이 가능하게 하여 모든 조리 용기에 널리 사용이 가능 하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는 온도에 따라 일정온도에 이르면 바이메탈이 휘어지면서 증기 배출구를 개폐 되도록, 가장 간단한 구조로 만들고 청소가 용이하면서도,
온도가 낮을 때는 닫혀 있게 하여 열손실을 최소화 하고 끓어 넘치지 않는 뚜껑을 만들고자 한다.(인용특허: 1의 경우에는 중간의 지지판(41) 등으로 인하여 구조가 복잡하여 이물질이 끼이기 쉽고 청소가 용이하지 않으며, 위로 배출 통로가 개방되어 있어서 뜨거운 증기에 위해를 당하기 쉬우며 상부로 부터의 이물질의 유입도 염려된다.)
또한, 바이메탈과 달리 증기압에 의하여 열리는 구조의 열림 판을 만들어서 바이메탈보다 저렴하게 생산이 가능한 제품을 개발하여 저렴하게 보급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인용특허: 2는 증기압 조절판(770)이 고정되어 있지 않아 편심이 작용하면 고르게 열리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인용특허 3은 승강판(40)의 유동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넘침 방지 뚜껑은 구조상 이물질이 끼일 수 있는 복잡한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최대한 생산원가를 절감하고,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저렴하게 보급이 가능하게 하여 조리환경을 쾌적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측 단면도이다.
도 2는 상부재 단면도 및 하단면도이다.
도 3은 바이메탈 측면도와 상단면도이다.
도 4는 하부재와 바이메탈의 접속위치 및 하부재의 하단면도이다.
도 5는 바이메탈의 온도변화에 의하여 증기 통로가 개방된 변화도 및 뚜껑헤드의 변화 예시도이다.
도 6은 바이메탈이 아닌 증기압에 의하여 열리는 열림판의 구조도이다.
도 7은 상부재와 하부재의 결합 구조도로 피스조립 구조와 볼트 너트식 조립구조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상부재(100)와 하부재(300)를 사출금형으로 제작한다. 상부재(100)에는 증기배출구(101)를 최대한 넓게 만들어서 증기배출이 원활하게 한다.
손잡이 밑으로는 작은 공기 순환구(102)를 만들어서 증기가 배출구(101)로 배출될 때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증기의 배출을 돕도록 한다.
하부 쪽 으로는 조립을 위한 피스홈(103)을 만들어서, 뚜껑을 냄비 뚜껑(400)과의 조립을 쉽게 하고 배출구(101)의 위치를 정확히 맞추도록 한다. 피스홈(103)은 그 개수를 필요에 의하여 2?4개로 임의로 만든다.
하부재(300)는 사출금형으로 만들고, 조립을 위한 피스홈(301)을 임의의 개수로 만든다. 상부 쪽 으로는 바이메탈판(200)의 고정을 위한 피스홈(302)을 도 4와같이 만들어서 바이메탈판(200)을 피스(201)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3의 바이메탈판(200)은 온도변화에 의하여 최대의 각도로 열리고 닫히는 재료를 선정하고, 90℃정도에서 열리고 80℃정도에 닫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바이메탈은 금속의 특성상 ±5℃정도의 편차가 있으므로 재료선정에 유의 하여야 한다.
바이메탈판(200)은 온도에 의하여 개폐가 이루어지므로 증기압으로 개폐되는 것보다는 부하를 덜 받는 장점이 있으나 소재의 가격 때문에 단가가 올라가는 단점이 있다.
바이메탈판(200)에는 피스홈(202)과 증기 유도구(203)을 만든다. 피스홈(202)은 하부재(300) 피스홈(302)과 조립하기 위한 구멍으로 피스(201)로 고정하여 개폐시에 앞부분만 최대한 개폐가 되도록 한다.
증기 유도구(203)는 미세한 증기 배출을 유도하여 온도변화에 신속히 적응 하도록 하고 바이메탈판(200)이 손쉽게 열리도록 하며, 증기의 배출방향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바이메탈판(200)은 도 5와 같이 앞부분만 경사지게 열리면서 자연스럽게 증기의 배출을 배출구(101)로 유도 하게 된다. 뚜껑의 헤드 부분은 손잡이가 있거나, 둥그렇게 필요에 의하여 만들 수 있다.
바이메탈을 쓰지 않고 증기압에 의하여 개폐되도록 열림판을 만들기 위하여 열림판(500)을 도 6과 같이, 강하고 얇은 알루미늄 판이나 스테인리스 판으로 만드는데, 증기압에 의하여 쉽게 열리고 닫히도록 하기 위하여 경첩을 (501)둥그렇게 말아서 개폐가 쉽게 만든다.
하부재(300)에는 열림판(500)을 결합하기 위하여 고정턱(300-1)을 돌출되게 만들고, 핀 고정홀(300-2)을 뚫어서 열림판(500)을 경첩(501)부분과 고정턱(300-1)에 고정핀(300-3)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상부재(100)와 하부재(300)를 결합하기 위한 실시 예시도로 피스조립과 볼트 너트식의 조립도 가능하며, 헤드 부분은 손잡이를 만들거나 둥그렇게 임의 디자인의 제작이 가능하다.
100:상부재. 101:증기배출구. 102:공기 순환구. 103:피스홈.
200:바이메탈판. 201:피스. 202:피스홈. 203:증기 유도구.
300:하부재. 301:피스홈. 302: 피스홈. 300-1:고정턱. 300-2:핀고정 홀.
300-3:고정핀.
400:냄비 뚜껑.
500:열림판. 501:경첩.

Claims (3)

  1. 넘침 방지 뚜껑에 있어서 상부재(100)에 증기배출구(101)가 옆으로 개방되어 있고, 바이메탈판(200)이 하부재(300)에 피스(201)에 의해 고정되어 온도변화에 의하여 바이메탈판(200)이 개폐 되도록 하고, 상부재(100)와 하부재(300)의 조립은 하부재(300)에서 위로 피스홈(301)을 통하여 상부재(100) 피스홈(103)에 피스로 간단히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침 방지 뚜껑.
  2. 열림판(500)을 알루미늄 판이나 스테인리스 판으로 만들고 경첩(501)부분을 둥그렇게 말아서 고정핀(300-3)으로 고정턱(300-1)에 결합하여 증기압으로 개폐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침 방지 뚜껑.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부재(100)와 하부재(300)의 조립에 있어서 피스홈(103. 301)을 통하여 피스로 조립 하거나 볼트 너트와 같이 돌려서 조립 할 수도 있으며, 헤드부분을 손잡이가 있거나 둥그렇게 만들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침 방지 뚜껑.
KR1020120020039A 2012-02-28 2012-02-28 넘침 방지 뚜껑 KR201200340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039A KR20120034089A (ko) 2012-02-28 2012-02-28 넘침 방지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039A KR20120034089A (ko) 2012-02-28 2012-02-28 넘침 방지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4089A true KR20120034089A (ko) 2012-04-09

Family

ID=46136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0039A KR20120034089A (ko) 2012-02-28 2012-02-28 넘침 방지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408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986B1 (ko) * 2014-01-27 2014-11-07 김성헌 냄비 뚜껑을 쉽게 내려놓거나 들어올리기 위한 냄비 뚜껑 손잡이, 이를 이용한 냄비 뚜껑 및 냄비
CN112021914A (zh) * 2020-09-03 2020-12-04 宁波卡特马克智能厨具股份有限公司 一种防溢锅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986B1 (ko) * 2014-01-27 2014-11-07 김성헌 냄비 뚜껑을 쉽게 내려놓거나 들어올리기 위한 냄비 뚜껑 손잡이, 이를 이용한 냄비 뚜껑 및 냄비
CN112021914A (zh) * 2020-09-03 2020-12-04 宁波卡特马克智能厨具股份有限公司 一种防溢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174747A1 (en) Device for cooking and heating and/or reviving of portions of fresh and/or frozen pre-cooked pasta and other food preparations
US100863A (en) Cooper e
KR20120034089A (ko) 넘침 방지 뚜껑
CN203122076U (zh) 一种电蒸锅
US2590942A (en) Cooking stove
KR101214728B1 (ko) 다기능 구이기
CN103070604A (zh) 一种电蒸锅
KR101445747B1 (ko) 다기능 조리기
KR20200123629A (ko) 당질 저감 밥솥
US8336450B1 (en) Ice jacketed cooking pot
US176524A (en) Improvement in steam-cookers
CN105662165B (zh) 一种防溅蒸屉
KR200391164Y1 (ko) 찜 및 직화구이 겸용냄비
US10765250B1 (en) Steam cooking apparatuses with invertible steaming insert baskets and controlled venting lids
RU2532149C1 (ru) Мультиварка с подъемным нагревательным элементом
KR200318987Y1 (ko) 조리용기
JP3224257U (ja) 加熱調理器具の蓋体
KR20200118560A (ko) 당질 저감 밥솥
JP3678214B2 (ja) 電気調理器
KR102547837B1 (ko) 다기능 후라이팬
US167106A (en) Improvement in culinary vessels
KR101597454B1 (ko) 스팀찜기 판매대
JP2013202397A (ja) 差し水注ぎ口付きフライパン
RU2655870C2 (ru) Кухонная утварь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утечки кипящего молока - универсальная кастрюля
KR20110082343A (ko) 덮개용기를 구비한 직화오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