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9117A - 니코틴 분해 촉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니코틴 분해 촉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9117A
KR20120029117A KR1020100091000A KR20100091000A KR20120029117A KR 20120029117 A KR20120029117 A KR 20120029117A KR 1020100091000 A KR1020100091000 A KR 1020100091000A KR 20100091000 A KR20100091000 A KR 20100091000A KR 20120029117 A KR20120029117 A KR 20120029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nicotine
promoting
fermentation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1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연
Original Assignee
김도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연 filed Critical 김도연
Priority to KR1020100091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9117A/ko
Publication of KR20120029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911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Smilacaceae (Catbrier family), e.g. greenbrier or sarsaparill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니코틴 분해 촉진용 조성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니코틴 분해 촉진용 조성물은 니코틴 분해 촉진 활성을 가지는 청미래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이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니코틴 분해 촉진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omoting Nicotine Degradation}
본 발명은 니코틴 분해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재 흡연은 전 세계 주요 사망원인 8개 중 6개의 질병 위험 요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2030년에는 흡연에 의한 전체 사망이 한 해 당 8백만 명을 넘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Mpower, 2008, WHO report on the global tobacco epidemic, WHO).
우리나라의 흡연율, 특히 성인 남성의 흡연율은 전 세계와 비교해도 높은 수준으로 2005년 한국의 성인 남성 중 현재 흡연자는 52.3%이다. 이는 WHO 회원국 중 자료가 있는 132개국 중 13위에 해당되는 수치이고(Mpower, 2008, WHO report on the global tobacco epidemic, WHO),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국가 중 최고 수준이다(OECD health data, 2006).
흡연이 일으키는 주요 질병으로서는 폐암,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관상동맥질환, 뇌졸중(뇌혈관질환), 심장마비, 대동맥류, 순환계 질환(말초혈관질환 등), 인후암, 구강암 등을 들 수 있다(윤석준 등, 2001, 우리 나라 흡연으로 인한 조기사망의 질병부담, 예방의학회지, 제34권 제3호).
담배 연기에는 수천 가지의 유해물질이 존재하는데, 그 중 니코틴은 담배 중독의 원인 물질이며, 발망 물질인 니코틴 유래 나이트로사민(nicotine-derived nitrosamine)의 전구물질이다.
니코틴 흡입은 급성적으로는 동공축소, 시야 혼탁, 구토, 호흡곤란, 타액과 호흡기관에서의 분비물 증가, 심장 박동수 감소 등 증상을 유발하며, 만성적으로는 동맥경화, 고혈압 각종 순환계 질환을 유발한다(Brunneman, K. D. et al., J. Natl. Cancer Inst. 89: 868-73 (1996); Carmella, S. G. et al., Cancer Epidemiol Biomarkers Prev. 6 : 113-20 (1997); Wynder, E. L. et al., Environ Health Perspect.103 Suppl 8:143-148(1995)).
담배 한 개비에는 10mg 정도의 니코틴이 들어있는데, 이 중 흡수되는 니코틴 양은 1mg 정도이나, 흡연 양상에 따라 3mg을 넘을 수도 있다. 니코틴의 80~90% 정도는 C-산화에 의해 코티닌(cotinine)으로 대사되고 나머지는 케토산으로 대사되는데, 코티닌은 19-24시간 정도의 긴 반감기를 가지고 있어 니코틴 섭취의 표지인자로 사용된다.
니코틴의 독성을 완화?해독시킬 수 있는 물질로서는 굼벵이 추출물(국내 특허 제0581329호), 당귀 추출물(국내 특허 제057185호), 삼백초, 결명자 및 감초의 혼합 추출물(국내 특허 제052676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청미래 추출물 또는 발효물의 니코틴 독성의 완화?해독 활성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미래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이용한 니코틴 분해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되듯이, 본 발명은 청미래 추출물과 발효물이 실험관 실험과 동물실험을 통해서 니코틴의 분해 촉진 활성을 가짐을 확인함으로써 완성된 것이다. 실험에 사용한 청미래 추출물은 청미래 잎, 과실, 줄기 및 뿌리 세절물의 혼합물의 70% 에탄올(7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이고, 청미래 발효물은 청미래 잎, 과실, 줄기 및 뿌리 세절물의 혼합물을 30% 에탄올과 혼합하고 이를 밀봉하여 상온에서 60일 동안 상온(20~30℃)에서 발효시켜 얻은 것과 이 발효액을 밀봉 상태 그대로 저온(3~10℃)에서 45일 동안 숙성시켜 얻은 것이다.
본 발명의 니코틴 분해 촉진용 조성물은 이러한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것으로서, (Ⅰ) 청미래 추출물, (Ⅱ) 청미래와 에탄올 수용액 혼합물을 밀봉시켜 50~70일 동안 상온(20~30℃)에서 발효시켜 얻어진 발효물, 또는 (Ⅲ) 청미래와 에탄올 수용액 혼합물을 밀봉시켜 50~70일 동안 상온(20~30℃)에서 발효시키고 그 후 밀봉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며 저온(3~10℃)에서 40~50일 동안 숙성시켜 얻어진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청미래 추출물"이란 추출 방법을 불문하고 추출 대상인 청미래(청미래 덩굴, Smilax china) 잎, 과실, 줄기, 뿌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포화노말부탄올,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과 그 추출물에서 상기 열거된 용매로 분획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된다. 추출 방법을 불문하므로, 추출 대상인 청미래 잎 등을 추출 용매에 침지시키는 단계를 통하여 추출되는 한, 추출 방법은 냉침, 환류, 가온, 초음파 등 임의의 방식이 모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상기 "청미래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추출 대상인 청미래 잎 등을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고 얻어진 것으로서, 추출 용매가 제거된 농축된 액상의 추출물 또는 고형상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 본 명세서에서, "유효성분"이란 단독으로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보조제(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내는 성분을 말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발효물"이란 발효 또는 발효?숙성 종료 후의 발효 원액, 그 발효 원액의 여과액, 그 여과액의 농축시켜 얻어진 액상 또는 고형상의 농축물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니코틴 분해 촉진제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청미래 발효액은 청미래(청미래 덩굴, Smilax china) 잎, 과실, 줄기, 뿌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에탄올 수용액과 혼합한 후 밀봉하고 발효시키는데, 여기서 에탄올 수용액은 에탄올과 물의 혼합물로서 바람직한 에탄올 함량 범위 20~40%(v/v, 본 명세서에서 %는 부피 백분율을 의미한다. 이하 같다)의 범위이다. 그것은 20% 미만일 경우 잡균에 의하여 의도하지 않은 발효가 진행될 수 있고, 또 40% 초과일 경우 발효가 되지 않거나 발효가 매우 더디게 진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제시되어 있지 않지만 50%의 에탄올 수용액으로 발효시켰을 때 니코틴 분해 촉진 활성이 매우 미미하였고, 13% 에탄올 수용액으로 발효시켰을 때는 발효액의 냄새에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은 냄새를 유발하였다.
또 본 발명의 니코틴 분해 촉진용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청미래의 발효액의 제조에 있어서, 발효?숙성 기간은 발효?숙성 온도와의 관계에서 결정되는데, 발효 온도가 20℃일 경우는 발효 기간은 70일 정도가 바람직하며, 발효 온도가 30℃일 경우 발효 기간은 50일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 숙성 기간도 숙성 온도 3℃일 경우 숙성 기간은 50일 정도가 바람직하며, 숙성 온도가 10℃일 경우 숙성 기간은 40일 정도가 바람직하다. 발효 온도와 발효 기간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의도하지 않은 발효?숙성이 진행되거나 발효?숙성 정도가 낮아 발효?숙성에 따른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다.
한편 본 발명의 니코틴 분해 촉진용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인 청미래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니코틴 분해 촉진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한 용도, 제형, 배합 목적 등에 따라 임의의 양(유효량)으로 포함할 수 있는데, 통상적인 유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1 중량 % 내지 99.900 중량 % 범위 내에서 결정될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약제학적 조성물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등을 포함하여, 경구용 제형(정제, 현탁액, 과립, 에멀젼, 캡슐, 시럽 등), 비경구형 제형(멸균 주사용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 국소형 제형(크림, 로션, 연고(반고형의 외용약), 마이크로로에멀젼, 젤, 페이스트, 경피제제(TTS)(예컨대 패치제, 붕대 등)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의미는 유효성분의 활성을 억제하지 않으면서 적용(처방) 대상이 적응가능한 이상의 독성을 지니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의 예로서는 락토스, 글루코스, 슈크로스, 전분(예컨대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등), 셀룰로오스, 그것의 유도체(예컨대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등), 맥아, 젤라틴, 탈크, 고체 윤활제(예컨대 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등), 황산 칼슘, 식물성 기름(예컨대 땅콩 기름, 면실유, 참기름, 올리브유 등), 폴리올(예컨대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등), 알긴산, 유화제(예컨대 TWEENS), 습윤제(예컨대 라우릴 황산 나트륨), 착색제, 풍미제, 정제화제, 안정화제, 항산화제, 보존제, 물, 식염수, 인산염 완충 용액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담체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적당한 것을 하나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부형제도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적합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수성 현탁제로 제조될 경우에 적합한 부형제로서는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알긴산 나트륨,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현탁제나 분산제 등을 들 수 있다. 주사액으로 제조되는 경우 적합한 부형제로서는 링거액, 등장 염화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국소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그 1일 투여량이 통상 0.001 ~ 150 mg/kg 체중 범위이고,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는 것이므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기능성 음료 등의 식품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그 유효성분 이외에 감미제, 풍미제, 생리활성 성분, 미네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감미제는 식품이 적당한 단맛을 나게 하는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천연의 것이거나 합성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 감미제를 사용하는 경우인데, 천연 감미제로서는 옥수수 시럽 고형물, 꿀,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등의 당 감미제를 들 수 있다.
풍미제는 맛이나 향을 좋게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천연의 것과 합성된 것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천연의 것을 사용할 경우에 풍미 이외에 영양 강화의 목적도 병행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로서는 사과, 레몬, 감귤, 포도, 딸기, 복숭아 등에서 얻어진 것이거나 녹차잎, 둥굴레, 대잎, 계피, 국화 잎, 자스민 등에서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또 인삼(홍삼), 죽순, 알로에 베라, 은행 등에서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는 액상의 농축액이나 고형상의 추출물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합성 풍미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합성 풍미제는 에스테르, 알콜, 알데하이드, 테르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생리 활성 물질로서는 카테킨, 에피카테킨, 갈로가테킨, 에피갈로카테킨 등의 카테킨류나, 레티놀, 아스코르브산, 토코페롤, 칼시페롤, 티아민, 리보플라빈 등의 비타민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미네랄로서는 칼슘, 마그네슘, 크롬, 코발트, 구리, 불소화물, 게르마늄, 요오드, 철, 리튬, 마그네슘, 망간, 몰리브덴, 인, 칼륨, 셀레늄, 규소, 나트륨, 황, 바나듐, 아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감미제 등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보존제, 유화제, 산미료, 점증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존제, 유화제 등은 그것이 첨가되는 용도를 달성할 수 있는 한 극미량으로 첨가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극미량이란 수치적으로 표현할 때 식품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05중량% 내지 약 0.5중량% 범위를 의미한다.
사용될 수 있는 보존제로서는 소듐 소르브산칼슘, 소르브산나트륨, 소르브산칼륨, 벤조산칼슘, 벤조산나트륨, 벤조산칼륨, EDTA(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유화제로서는 아카시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잔탄검, 펙틴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산미료로서는 연산, 말산, 푸마르산, 아디프산, 인산, 글루콘산, 타르타르산, 아스코르브산, 아세트산, 인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산미료는 맛을 증진시키는 목적 이외에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목적으로 식품 조성물이 적정 산도로 되도록 첨가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점증제로서는 현탁화 구현제, 침강제, 겔형성제, 팽화제 등을 들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청미래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이용한 니코틴 분해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니코틴 분해 촉진용 조성물은 약품 또는 식품으로 제품화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청미래 추출물 및 발효물의 제조
<실시예 1> 청미래 추출물의 제조
청미래 잎, 과실, 줄기 및 뿌리 세절물의 혼합물 500g을 70% 에탄올(70% 에탄올 수용액) 1.5ℓ에 침지시켜 24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추출하였다. 추출 후 그 추출액을 2 ㎛ 여과지로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고형상의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 청미래 발효물의 제조예 1
청미래 잎, 과실, 줄기 및 뿌리 세절물의 혼합물 500g을 30% 에탄올(30% 에탄올 수용액임; 이하 같음) 1.5ℓ와 혼합하고 용기에 넣어 밀봉한 다음 상온(20~30℃)에서 60일 동안 발효시켜 청미래 발효액을 얻었다. 발효액을 2 ㎛ 여과지로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고형상의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3> 청미래 발효물의 제조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청미래 발효액을 밀봉 상태를 유지하며 저온(3~10℃)에서 45일 동안 숙성시켜 숙성된 청미래 발효액을 제조하였다. 그 발효액을 2 ㎛ 여과지로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고형상의 추출물을 얻었다.
< 실험예 > 니코틴 분해 촉진 활성 실험
<실험예 1> 니코틴 분해 촉진 활성에 대한 실험관 ( In vitor ) 실험
상기 실시예의 추출물과 발효물을 니코틴과 혼합하여 코티닌의 양을 정량하여 니코틴 분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은 Barlow 등이 제시한 방법[Barlow R. D, Stone R. B., Clin. Chim. Acta., 165, pp45, 1987]을 변형하여 실시하였다.
에펜도르프 튜브(Eppendorftube, 1.5 ㎖)에 1 mM의 니코틴 (Sigma Co., USA) 200 ㎕과 200 ㎕의 증류수에 용해시킨 10%(w/v) 각 실시예의 추출물을 혼합하고 25℃에서 경시적으로(0, 10, 20, 30, 60 및 90분) 니코틴의 분해 생성물인 코티닌의 양을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실시예의 추출물 대신에 200 ㎕의 증류수를 1 mM의 니코틴 200 ㎕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코티닌의 정량은 4M 소디움 아세테이트 완충액(sodium acetate buffer)(pH4.7) 100㎕, 1.5M 시안화칼륨(potassium cyanate) 40㎕, 0.4 M 클로라민-T(chloramine-T) 40㎕, 50%(v/v)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 수용액에 용해한 78mM 바비튜레이트산(barbituric acid) 200㎕를 순서대로 첨가한 후 10 초 동안 혼합하고, 그 혼합물을 25℃에서 15 분간 반응시킨 후, 1M 소디움 메타바이설파이트(sodium metabisulphite) 40㎕로 반응을 중지시키고,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코티닌의 변화량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코티닌 생성량(O.D. 490nm)
구분 0분 10분 20분 30분 60분 120분
<실시예 1> 0.8 1.2 1.4 1.8 2.1 2.4
<실시예 2> 0.8 1.4 2.2 2.6 3.1 3.3
<실시예 3> 0.7 1.7 2.6 3.2 3.6 3.8
증류수 0.7 0.8 0.9 0.9 1.1 1.2
상기 [표 1]의 결과는 청미래 추출물과 발효물이 니코틴 분해 촉진 효과를 가짐을 보여준다. 특히 청미래 발효물 중에서 <실시예 3>의 숙성된 청미래 발효물의 니코틴 분해 촉진 효과가 가장 높았다.
<실험예 1-2> 니코틴 분해 촉진 활성에 대한 동물실험
실험동물은 체중 260-280g 6주령의 Sprague-Dawley계 특정 병원균 부재 랫드 {(주)중앙실험동물, 대한민국}을 구입하여 동물사육실에서 온도 21±2℃, 조명시간 12L/12D 명암주기로 실험시작 전까지 물과 고체사료를 충분히 제공하며 1주간 시험실 환경에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을 4개의 그룹(n=5)으로 나누어 대조군에는 물을 투여하고 3개의 실험군에는 상기 실시예의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2.5g/kg 양으로 경구투여하였다. 경구 투여 2주 후 니코틴을 3mg/kg로 복강 투여하고 니코틴 투여 90분 후 안와정맥을 통해 혈액을 채취한 후 가스크로마토그래피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 er, FISONS Instruments Co.)를 이용하여 혈중 니코틴 농도를 측정하였다.
혈중 니코틴 농도를 MEAN±SD로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혈중 니코틴 농도
구분 혈중 니코틴 농도 (㎎/ℓ)
실시예 1의 추출물 투여군 2.17±0.23
실시예 2의 추출물 투여군 1.82±0.18
실시예 3의 추출물 투여군 1.45±0.14
대조군 2.38±0.26
상기 [표 2]의 결과도 청미래 추출물과 발효물이 니코틴 분해 촉진 효과를 가짐을 보여준다. 전체적으로 상기 [표 1]의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Claims (6)

  1. (Ⅰ) 청미래 추출물,
    (Ⅱ) 청미래와 에탄올 수용액 혼합물을 밀봉시켜 50~70일 동안 상온(20~30℃)에서 발효시켜 얻어진 발효물, 또는
    (Ⅲ) 청미래와 에탄올 수용액 혼합물을 밀봉시켜 50~70일 동안 상온(20~30℃)에서 발효시키고 그 후 밀봉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며 저온(3~10℃)에서 40~50일 동안 숙성시켜 얻어진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니코틴 분해 촉진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미래 추출물은 청미래 잎, 과실, 줄기, 뿌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고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코틴 분해 촉진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 수용액은 에탄올 함량 20%(v/v) 내지 40(v/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코틴 분해 촉진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코틴 분해 촉진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코틴 분해 촉진용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음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코틴 분해 촉진용 조성물.
KR1020100091000A 2010-09-16 2010-09-16 니코틴 분해 촉진용 조성물 KR201200291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000A KR20120029117A (ko) 2010-09-16 2010-09-16 니코틴 분해 촉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000A KR20120029117A (ko) 2010-09-16 2010-09-16 니코틴 분해 촉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9117A true KR20120029117A (ko) 2012-03-26

Family

ID=46133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1000A KR20120029117A (ko) 2010-09-16 2010-09-16 니코틴 분해 촉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91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466B1 (ko) * 2012-09-26 2014-08-29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발효 청미래덩굴 잎,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466B1 (ko) * 2012-09-26 2014-08-29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발효 청미래덩굴 잎,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094B1 (ko) 숙취해소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JP5459644B2 (ja) 肝機能改善剤組成物
JP2008255075A (ja) 血管内皮機能の改善剤および健康食品
KR102270028B1 (ko) 패 추출물 또는 아이소플로로글루신 a를 이용한 근력 개선 또는 근위축 개선용 조성물
KR20160144791A (ko)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용 조성물
KR20130022043A (ko) 매실감식초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매실감식초
KR101324431B1 (ko) 숙취해소용 조성물
JP5459643B2 (ja) 喫煙毒性解毒用組成物
KR20170024877A (ko) 발효 숙성 야콘 잎차 추출물을 이용한 혈당 강하용 조성물
KR102317113B1 (ko) 패 추출물 또는 디플로르에토하이드록시카르마롤을 이용한 근력 개선 또는 근위축 개선용 조성물
KR20120029117A (ko) 니코틴 분해 촉진용 조성물
KR101076482B1 (ko) 마가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흡연독성 해독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076127B1 (ko) 오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흡연독성 해독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694617B1 (ko) 오미자 추출 원액의 제조 방법 또는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오미자 추출 원액
KR101076515B1 (ko) 지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흡연독성 해독용 약제학적 조성물
US20100093852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shikonin derivatives from lithospermum erythrorhiz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diabetes mellitus and the use thereof
KR101134200B1 (ko) 백화사설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흡연독성 해독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269040B1 (ko) 중금속 해독제 조성물
JP5969308B2 (ja) 血管内皮細胞の一酸化窒素分泌促進剤又は分泌誘導剤
KR102296975B1 (ko) 패 추출물 또는 디플로르에토하이드록시카르마롤을 이용한 노화로 인한 근감소증 개선용 조성물
KR20110059581A (ko) 지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흡연독성 해독용 식품조성물
KR20110059582A (ko) 오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흡연독성 해독용 식품조성물
KR20110059579A (ko) 백화사설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흡연독성 해독용 식품조성물
KR101743521B1 (ko) 애기땅빈대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059580A (ko) 마가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흡연독성 해독용 식품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