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7454A - 가상 방-기반 조명 기구 및 디바이스 제어 - Google Patents

가상 방-기반 조명 기구 및 디바이스 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7454A
KR20120027454A KR1020127000059A KR20127000059A KR20120027454A KR 20120027454 A KR20120027454 A KR 20120027454A KR 1020127000059 A KR1020127000059 A KR 1020127000059A KR 20127000059 A KR20127000059 A KR 20127000059A KR 20120027454 A KR20120027454 A KR 20120027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m
virtual room
depiction
virtual
substantially photoreali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0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9842B1 (ko
Inventor
로버트 피. 마돈나
니콜라스 제이. 씨폴로
Original Assignee
사반트 시스템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반트 시스템즈 엘엘씨 filed Critical 사반트 시스템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20027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7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20Processor architectures; Processor configuration, e.g. pipelin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55Coordinated control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00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28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involving image processing hardwa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서, 구조물의 물리적 방 내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기술이 제공된다. 구조물 내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는, 구현될 때, 디바이스의 상태를 변경하는 제어 명령을 발행하도록 구성된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된다.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가상 방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가상 방은 구조물의 일부분의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묘사 및 구조물의 일부분 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묘사를 포함한다. 특정한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시각적 묘사의 선택에 응답하여,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는, 구현될 때, 특정한 디바이스의 상태를 변경하는 제어 명령을 발행할 수 있다. 특정한 가상 방의 외관은 변경된 상태를 반영하도록 업데이트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상 방-기반 조명 기구 및 디바이스 제어{VIRTUAL ROOM-BASED LIGHT FIXTURE AND DEVICE CONTROL}
<관련 출원>
본 출원은 참조 문헌으로서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포함된, 2009년 6월 3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Virtual Room-Based Light Fixture and Device Control(가상 방-기반 조명 기구 및 디바이스 제어)"인 Robert P. Madonna의 미국 가특허 출원 제61/183,825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개시 내용은 일반적으로 조명 기구 및 디바이스 제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상 방-기반 조명 기구 및 디바이스 제어 기술에 관한 것이다.
주택 및 기타 구조물이 보다 커지고 보다 많은 전기 및 전자 디바이스로 채워짐에 따라, 이들 전기 및 전자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부담도 역시 증가되었다. 이 문제가 나타나는 한 특정한 분야는 조명 제어의 분야이다.
종래에, 주택이나 기타 구조물에 있는 조명 기구는 대체로, 기계적 토글 스위치, 로커 스위치, 푸시 버튼 스위치 등을 포함하는 벽에 설치된 기계적 조명 스위치에 의해 제어되었다. 이러한 기계적 스위치는 2로(2-way) 스위치(조명 기구가 단일 스위치 위치로부터 제어됨), 3로 스위치(조명 기구가 2개의 스위치 위치로부터 제어됨), 4로 스위치(조명 기구가 3개의 스위치 위치로부터 제어됨) 등의 형태를 가졌다. 일부 경우에, 기계적 스위치가, 예를 들어, 조명 기구에 직렬로 있는 가변 저항기를 조정하는 노브(knob)를 회전시킴으로써, 조명 기구를 어둡게 하거나 밝게 할 수 있는 기계적 조광기(dimmer)에 의해 보강되었다.
기계적 스위치 및 조광기가 믿을 수 있고 비용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지만, 대형 주택 및 기타 구조물에서 점점 그의 한계를 나타내었다. 대형 주택 또는 기타 구조물 내의 하나의 방이 많은 수의 개별 조명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큰 방은 작업 조명을 제공하는 램프와 같은 몇개의 독립형 조명 기구, 일반 조명을 제공하는 리세스 캔(recessed can) 및/또는 월 스콘스(wall sconce)와 같은 몇개의 고정식 조명 기구는 물론, 방의 아트워크, 건축 특징 또는 기타 요소에 조명을 제공하는 액센트 스폿(accent spot)과 같은 몇개의 특수 목적 조명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기계적 조명 스위치 및 조광기를 사용하여 큰 방에 있는 모든 조명 기구를 제어하기 위해, 종래에는 각종의 "갱형(ganged)" 스위치 패널이 이용되었다. 도 1은 각각이 하나 이상의 조명 기구를 제어할 수 있는 6개의 개별적인 기계적 스위치(110, 120, 130, 140, 150, 160)를 갖는 종래의 6-갱(6-gang) 기계적 스위치 패널(100)을 나타낸 것이다. 많은 조명 기구를 갖는 큰 방은, 방에 있는 모든 조명 기구를 제어하는 적절한 수단을 제공하기 위해, 방 내의 몇개의 장소, 예를 들어, 상이한 입구 근처에 위치하는 몇개의 이들 패널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명백한 바와 같이, 이러한 유형의 제어 방식이 큰 방에서 기능적이지만, 통상적으로 사용자에게 친숙한 것은 아니다. 사용자는 많은 기계적 스위치 중 어느 것이 어느 개별 조명 기구 또는 조명 기구들을 제어하는지를 기억하고 있어야만 한다. 이러한 관계를 기억하고 있지 않은 방 내의 새로운 손님은 통상적으로, 원하는 결과를 우연히 발견할 때까지 각각의 스위치를 눌러보면서, 시행 착오를 거쳐 어느 기계적 스위치가 어느 조명 기구 또는 조명 기구들을 제어하는지를 판정하려고 시도해야만 한다. 이것은 금방 좌절하게 할 수 있다.
보다 최근에, 종래의 조명 제어 경험을 개선하려고 시도하는 다양한 유형의 전자 조명 제어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전자 조명 제어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각각의 개별 조명 기구와 인라인으로 배선(wired inline)되어 있는 릴레이 및/또는 조광기 유닛에 제어 배선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가능 전자 조명 제어기를 포함한다. 전자 조명 제어기는 또한 유선 또는 무선 링크에 의해 다수의 벽 설치형, 탁상용 또는 휴대용 제어 패널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전자 조명 제어 시스템은 단일 제어 섹션, 예를 들어, 단일 버튼 누름에 응답하여, 다수의 조명이 함께 활성화, 비활성화 및/또는 조광될 수 있도록, 다양한 조명 "상황들(scenes)"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방에서의 특정한 조명 상황은 읽는 일에 적절한 고휘도로 특정한 작업 조명 및 고정 조명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반면, 방에서의 다른 조명 상황은 아주 낮은 레벨로 단지 특정한 액센트 조명만을 활성화시켜, 영화 시청에 적합한 환경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종래의 전자 조명 제어 시스템은 이들이 대체하는 기계적 스위치 및 조광기를 연상케하는 버튼-중심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여전히 이용하고 있다. 도 2는 종래의 전자 조명 제어 시스템에 대한 종래의 벽 설치형 제어 패널(200)을 나타낸 것이다. 패널(200)은 텍스트 라벨로 표시된 복수의 물리적 푸시 버튼을 포함한다. 조명 상황 선택 버튼(205, 210, 215, 220)은 다양한 조명 장면의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반면, 밝기를 조정하기 위해 조광기 컨트롤(230)이 제공되어 있다. 게다가, 제어 패널(200)은 주택 또는 구조물의 다른 방에 있는 조명 기구를 선택하는 버튼(240)은 물론, 전역 제어를 위한 "모두 켬(All On)" 및 "모두 끔(All Off)" 버튼(250, 255)을 포함한다.
종래의 버튼-중심의 제어 패널(200)을 이용하는 종래의 전자 조명 제어 시스템이 종래의 갱형 기계적 스위치 및 조광기에 비해 일부 개선을 제공할 수 있지만, 조명 제어 경험이 여전히 상당히 사용자에게 친숙하지 않을 수 있다. 컨트롤의 총 수가 감소될 수 있지만, 어느 푸시-버튼이 큰 방에 있는 어느 조명 기구 또는 조명 기구 그룹을 동작시키는지를 여전히 판정해야만 한다. 전형적으로, 단지 짧은 암호같은 이름만이 안내 표시로서 각각의 푸시-버튼의 표면 상에 제공되어 있다. 게다가, 사용자가 제공된 상황으로부터 벗어나서 특정한 조명 기구를 활성화, 비활성화 및/또는 조광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오버라이드 및 수동 제어의 혼란스러운 어레이를 탐색해야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체적인 사용자 경험이 여전히 오히려 실망스러울 수 있다.
물리적 푸시 버튼을 이용하는 종래의 버튼-중심적 제어 패널에 부가하여, 일부 종래의 전자 조명 제어 시스템은 메뉴-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터치 스크린 제어 유닛과 함께 동작한다. 물리적 푸시 버튼을 조작하기 보다는, 사용자는, 터치를 통해, 터치 스크린 상의 버튼의 표현을 선택할 수 있다. 도 3은 터치 스크린 제어 유닛(300) 상의 종래의 전자 조명 제어 시스템에 대한 종래의 터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310)를 나타낸 것이다. 전술한 버튼-중심의 제어 패널(200)과 유사하게, 사용자 인터페이스(310)는 다양한 조명 상황을 선택하는 복수의 버튼(320, 330, 340, 350)을 디스플레이한다. 게다가, 사용자 인터페이스(310)는 밝기를 조정하는 조광기 컨트롤(360)은 물론, 주택 또는 구조물에서의 다른 방에 대한 인터페이스에 액세스하는 메뉴 컨트롤(370)을 포함한다. 명백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더 이상 물리적 푸시 버튼을 작동시키지 않는 반면, 종래의 터치 스크린 제어 유닛(300)에 의해 제공되는 전체적인 사용자 경험은 종종 종래의 버튼-중심의 제어 패널(200)에 의해 제공되는 것과 거의 다르지 않다. 물리적 버튼을 이용하기 보다는, 사용자는 단순히 디지털 버튼을 이용하고 있다. 사용자는 어느 버튼이 어느 조명 기구 또는 조명 기구 그룹을 작동시키는지를 여전히 기억하고 있어야만 하고, 각각의 버튼이 무엇을 하는지를 정확히 확인하기 위해 여전히 시행 착오에 의존해야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체적인 사용자 경험이 종래의 버튼-중심의 제어 패널(200)에서와 같이 실망스러울 수 있다.
게다가, 종래의 제어 시스템의 전술한 한계가 조명 제어의 분야로 제한되지 않는다. 각종의 기타 유형의 전기 및 전자 디바이스가 통상적으로 주택 및 기타 구조물에 존재하고, 통상적으로 유사한 제어 단점을 겪는다. 예를 들어, 주택 또는 기타 구조물에 있는 큰 방은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조작 및 조정하고자 할 수 있는 다수의 모터 작동 디바이스, 예컨대 자동 윈도우 셰이드(automatic window shade) 또는 천장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주택 또는 기타 구조물에 있는 큰 방은 사용자가 선택 및 제어하고자 할 수 있는 다수의 오디오/비디오(A/V) 컴포넌트는 물론, 사용자가 제어된 방식으로 조작하고자 할 수 있는 기타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주택 또는 기타 구조물에 있는 방은 사용자가 관리하고자 할 수 있는 다양한 난방, 환기, 그리고 공조 및/또는 에너지 관리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 기구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어느 기계적 스위치, 물리적 푸시 버튼 또는 디지털 버튼이 각각의 디바이스 및/또는 디바이스의 각각의 기능과 연관되어 있는지를 기억해야만 할 수도 있고, 단순히 디바이스를 켜거나 끄는 것 또는 다른 방식으로 디바이스의 상태를 변경하는 것이 복잡한 일이 될 때, 좌절하게 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주택 또는 기타 구조물에 있는 조명 기구 및 기타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개선된 기술이 필요하다.
종래 기술의 단점이 새로운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에 의해 부분적으로 해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가상 방 인터페이스 환경(이후부터, "가상 방"이라고 함)을 포함한다. 각각의 가상 방은 주택 또는 기타 구조물 내의 상이한 물리적 방(또는 물리적 방의 일부분)에 대응한다. 일부 경우에, 몇개의 가상 방은, 예컨대, 물리적 방 전체를 커버하기 위해 하나의 물리적 방의 상이한 부분에 대응할 수 있다. 각각의 가상 방은 물리적 방(또는 물리적 방의 일부분)의 경계의, 예를 들어, 방을 정의하는 벽, 천장, 바닥 등의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photo-realistic)한 묘사를 포함할 수 있고, 물리적 방(또는 물리적 방의 일부분)에 존재하는 가구, 예를 들어, 물리적 방에 존재하는 소파, 의자, 침대, 장식용 벽걸이 등의 적어도 일부분을 보여줄 수 있으며, 물리적 방(또는 물리적 방의 일부분) 내에 존재하는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의 (직접적인 또는 간접적인) 제어 하에서, 디바이스, 예를 들어, 조명 기구를 보여줄 수 있다.
제어 하의 디바이스의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묘사가 바람직하게는 물리적 방 내의 디바이스의 실제 위치에 대응하는 가상 방 내의 위치에 보여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방 및 디바이스의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묘사는 사전 결정된 위치로부터 캡처되고 상이한 상태에 있는 방을 보여주는 제한된 수의 사전 녹화된 이미지, 예를 들어, 물리적 방의 제한된 수의 정지 디지털 사진으로부터 도출된다. 그러나, 방 및 디바이스의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묘사를 생성하는 각종의 기타 기법이 명확히 생각되고 있으며 이하에서 기술된다.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사용자는 가상 방 내의 디바이스의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시각적 묘사를 조작함으로써,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서 가상 방 내의 디바이스의 시각적 묘사를 선택함으로써 물리적 방 내의 디바이스, 예를 들어, 조명 기구를 선택, 제어하고 다른 방식으로 그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가상 방 내에서의 사용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가상 방의 외관이 동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게다가, 물리적 방 내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응답하여 및/또는 환경 변화에 응답하여, 가상 방의 외관이 동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대응하는 물리적 방의 적어도 일부분의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묘사를 보여주기 위해 가상 방이 연속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가 가상 방 내에서 보는 것이 주어진 시간에 대응하는 물리적 방 내에서의 사용자의 경험을 반영하거나 적어도 그와 비슷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은 예시적인 실시예의 첨부 도면에 대해 기술한다.
도 1은 6개의 개별적인 기계적 스위치를 갖는 종래의 6-갱 기계적 스위치 패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전자 조명 제어 시스템에 대한 종래의 벽 설치형 제어 패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전자 조명 제어 시스템에 대한 종래의 터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다수의 디바이스에 상호연결된 예시적인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예시적인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의 예시적인 하드웨어 아키텍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예시적인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활성화된 특정한 조명 기구를 보여주기 위해 가상 방이 업데이트되어 있는 예시적인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스와이프에 응답하여, 2개의 가상 방의 일부분을 미리 보여주는 예시적인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b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스와이프(swipe)에 응답하여, 동일한 물리적 방에 대응하는 2개의 가상 방의 일부분을 미리 보여주는 대안의 예시적인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c는 가상 방의 트리 구조의 하위 레벨에 대응하는 가상 방을 보여주는 대안의 예시적인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d는 제스처의 부가적인 사용을 나타내는 가상 방의 트리 구조의 하위 레벨에 대응하는 가상 방을 보여주는 대안의 예시적인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e는 가상 방의 트리 구조 내에 그룹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가상 방을 보여주는 대안의 예시적인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Lighting 탭이 선택된 예시적인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A/V 탭이 디스플레이된 예시적인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물리적 방 내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단계들의 예시적인 시퀀스의 흐름도이다.
도 12는 상이한 상태에 있는 물리적 방의 제한된 수의 사전 녹화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가상 방을 렌더링하는 예시적인 기법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다수의 디바이스에 상호연결된 예시적인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400)의 블록도이다.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라는 용어는 광의적으로 각종의 전기 및 전자 디바이스, 예컨대 오디오, 비디오, 전화, 데이터, 보안, 모터-작동, 릴레이-작동, HVAC(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에너지 관리, 및/또는 기타 유형의 디바이스를 제어하고, 이들 사이에서 데이터를 스위칭하며 및/또는 다른 방식으로 이들과 상호 연동할 수 있는 디바이스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400)는 컴팩트 디스크(CD) 플레이어,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플레이어, 마이크,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VR), 케이블 박스, 오디오/비디오 수신기, 개인 미디어 플레이어, 및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기타 디바이스와 같은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410)를 비롯한 각종의 A/V 디바이스에 결합될 수 있고,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플레이어,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VR), 케이블 박스, 오디오/비디오 수신기, 개인 미디어 플레이어, 및 비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기타 디바이스와 같은 각종의 비디오 소스 디바이스(42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스피커, 스피커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및 오디오를 출력하는 기타 디바이스와 같은 각종의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430)에 결합될 수 있고, 텔레비전, 모니터, 및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타 디바이스와 같은 각종의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440)에 결합될 수 있다.
게다가,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400)는, 직접적으로 또는 하나 이상의 중간 제어기를 통해, 각종의 기타 유형의 디바이스에 결합되고, 이들을 제어하며, 다른 방식으로 이들과 상호 연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400)는 주택 또는 기타 구조물 주변에 위치된 카메라의 시스템을 관리하는 CCTV(closed-circuit television) 제어 시스템(470), 주택 또는 기타 구조물에 있는 환경 기능 및/또는 에너지 관리 디바이스를 조절하기 위해 HVAC 디바이스를 관리하는 HVAC 제어 및/또는 에너지 관리 시스템(475), 및/또는 주택 또는 기타 구조물에 있는 복수의 개별 보안 센서를 관리하는 보안 시스템(480)에 결합될 수 있다.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400)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CCTV 제어 시스템(470), HVAC 제어 시스템 및/또는 에너지 관리 시스템(475), 및 보안 시스템(480)은 그 각자의 즉각적인 제어 하에서 디바이스를 관리할 수 있다.
게다가,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400)는 하나 이상의 전자 조명 제어기(490)에 결합되고, 이들을 제어하며, 다른 방식으로 이들과 상호 연동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전자 조명 제어기(490)는, 예를 들어, 유선 또는 무선 링크를 통해, 주택 또는 기타 구조물에 걸쳐 분산되어 있는 복수의 릴레이(492) 및/또는 조광기 유닛(493)에 결합될 수 있고, 주택 또는 기타 구조물 내에 위치하는 개별 조명 기구로의 전기 피드(electrical feed)와 인라인으로 배선되어 있을 수 있다.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400)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전자 조명 제어기(490)는 주택 또는 기타 구조물의 상이한 방에서 원하는 레벨의 조도 또는 어두움을 생성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릴레이(492)를 트리거링하고 및/또는 특정한 조명 기구(도시 생략)와 인라인으로 배선된 조광기 유닛(493)을 조정할 수 있다.
유사하게,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400)는 하나 이상의 모터-작동 디바이스 제어기(495),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자동 윈도우 셰이드 제어기 또는 기타 유형의 제어기에 결합되고, 이들을 제어하며, 다른 방식으로 이들과 상호 연동할 수 있다. 조명 제어에서와 같이,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400)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모터-작동 디바이스 제어기(495)는 원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주택 또는 기타 구조물의 다양한 방에 있는 모터-작동 디바이스(도시 생략)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400)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어 유닛(450), 예를 들어, 벽 설치형 제어 유닛, 탁상형 제어 유닛, 핸드-헬드 휴대형 제어 유닛 등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어 유닛(450)은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 마우스 및 포인터 인터페이스, 또는 기타 유형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유닛(450)은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400)와 함께 동작하도록 전용된 특수 목적 유닛, 또는 이하에서 기술되는 기술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위해 소프트웨어로 구성된 범용 디바이스, 예를 들어, 랩톱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등일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제어 유닛(450)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 또는 네트워크를 거쳐 중간 디바이스(453), 예컨대 컴퓨터를 통해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400)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제어 유닛(450)은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400)와 직접 통신할 수 있다.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400)는 또한 하나 이상의 핸드헬드 버튼-중심의 원격 제어 유닛 및/또는 벽 설치형 버튼-중심의 제어 유닛(455)을 통해 또는 환상(annular) 터치 센서(457)를 비롯한 하나 이상의 핸드헬드 원격 제어 유닛으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환상 터치 센서(457)를 비롯한 원격 제어 유닛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된 온-스크린 메뉴 시스템을 조작하고 이 메뉴 시스템을 사용하여 제어 선택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환상 터치 센서를 비롯한 원격 제어 유닛에 관한 추가의 상세는 참조 문헌으로서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포함된, 2006년 9월 13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Remote Control Unit for a Programmable Multimedia Controller(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의 원격 제어 유닛)"인 Madonna 등의 미국 특허 출원 제11/520,328호에서 찾아볼 수 있다.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400)는 또한 하나 이상의 모바일 디바이스(46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라는 용어는 Apple Inc.로부터 입수가능한 iPhone(R) 멀티미디어폰 및 Research In Motion Limited으로부터 입수가능한 Blackberry? 디바이스와 같은 멀티미디어 스마트폰, Apple Inc.로부터 입수가능한 iPad? 태블릿과 같은 다목적 태블릿 컴퓨팅 디바이스, Apple Inc.로부터 입수가능한 iPod? 터치와 같은 향상된 기능을 갖는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전자책 리더 등을 비롯한 사람이 몸에 지니고 다니도록 구성된 전자 디바이스를 말한다. 이러한 모바일 디바이스는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400)와 직접적으로 또는 다양한 무선, 셀룰러 및/또는 유선 네트워크(도시 생략)를 통해 간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게다가,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400)는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400) 자체 내에 통합된 터치 스크린 또는 기타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400)의 전면 패널(465) 상에 제시되는 터치 스크린 또는 기타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400)는 텔레비전과 같은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440) 내에 통합된 터치 스크린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유닛(450), 버튼-중심의 원격 제어 유닛 및/또는 벽 설치형 버튼-중심의 제어 유닛(455), 환상 터치 센서(457)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유닛, 모바일 디바이스(460), 전면 패널(465) 및/또는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440) 중 하나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400)는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410), 비디오 소스 디바이스(420),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430) 및/또는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440) 사이에서 데이터를 스위칭하고, 이들에 대한 제어 명령을 발행하며, 및/또는 다른 방식으로 이들과 상호 연동할 수 있다. 게다가,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400)는 CCTV 제어 시스템(470), HVAC 제어 및/또는 에너지 관리 시스템(475), 보안 시스템(480), 전자 조명 제어기(490)는 물론 모터 작동 디바이스 제어기(495)에 대한 제어 명령을 발행하고 다른 방식으로 이들과 상호 연동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지시하는 사용자 입력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새로운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에서 수신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더 설명할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새로운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어 유닛(450), 모바일 디바이스(460), 전면 패널 디스플레이(465) 또는 터치 스크린을 갖는 기타 디바이스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는 자신의 손가락, 스타일러스 또는 유사한 수단을 사용하여 인터페이스의 선택된 부분을 터치함으로써 그 화면에서 선택을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터치 인식 기능이 없는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는 일부 다른 유형의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마우스를 사용하여 인터페이스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일 구성에서, 사용자는 핸드헬드 버튼-중심의 원격 제어 유닛 및/또는 벽 설치형 버튼-중심의 제어 유닛(455), 환상 터치 센서(457)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유닛, 또는 기타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선택을 할 수 있다.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자 선택에 응답하여,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400)는 그에 결합된 디바이스에 대해 특정한 제어 명령을 발생할 수 있다.
도 5는 예시적인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400)의 예시적인 하드웨어 아키텍처(500)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시된 다양한 컴포넌트는 제어기(400)의 "마더보드" 상에 또는 백플레인(도시 생략)에 의해 상호연결된 복수의 회로 카드 상에 배열될 수 있다. 마이크로컨트롤러(510)는 제어기(400)의 일반적인 동작을 관리한다. 마이크로컨트롤러(510)는 버스(518)를 통해 오디오 스위치(515) 및 비디오 스위치(520)에 결합되어 있다. 오디오 스위치(515) 및 비디오 스위치(520)는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연결을 동시에 스위칭할 수 있는 크로스포인트 스위치(crosspoint switch)이다. 그러나, 디지털 신호를 스위칭할 수 있는 많은 다른 유형의 스위치, 예를 들어,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스위치 또는 기타 디바이스가 이용될 수 있다. 게다가, 2개의 개별 스위치(515, 520)가 도시되어 있지만, 오디오 및 비디오 스위칭이 양쪽 유형의 데이터의 스위칭을 지원하는 단일 스위치로 통합될 수 있다.
중간 플레인(535)은 오디오 및 비디오 스위치(515, 520)를 각종의 입력 및 출력 모듈,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비디오 입력/출력 모듈(587), 하나 이상의 오디오 입력/출력 모듈(590), 및/또는 하나 이상의 기타 모듈(595)에 상호 연결시킨다. 이러한 모듈은 A/V 디바이스에 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연결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비디오 입력/출력 모듈(587), 하나 이상의 오디오 입력/출력 모듈(590), 및/또는 하나 이상의 기타 모듈(595)의 동작에 관한 추가의 상세는 참조 문헌으로서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포함된, 2005년 12월 20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System and Method for a Programmable Multimedia Controller(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의 시스템 및 방법)"인 Madonna 등의 미국 특허 출원 제11/314,664호에서 찾아볼 수 있다.
중간 플레인(535)은 또한 이더넷 포트(532) 및 처리 서브시스템(540)을 마이크로컨트롤러(210)에 상호 연결시키는 이더넷 스위치(530)에 결합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처리 서브시스템(540)은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545)를 포함한다. 범용 컴퓨터(545)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일련의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를 말하고, 실행되는 특정한 명령어에 따라, 각종의 상이한 기능 또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항상 그렇지는 않지만, 통상적으로 범용 컴퓨터(545)는 범용 운영 체제, 예컨대 Microsoft Corporation로부터 입수가능한 Windows? 운영 체제, 다양한 제조업체로부터 입수가능한 Linux? 운영 체제, Apple Inc.로부터 입수가능한 OSX? 운영 체제, 또는 기타 운영 체제를 실행한다. 범용 컴퓨터(545)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예를 들어, 하드 드라이브, CDROM(Compact Disc read-only memory) 드라이브, 플래시 메모리, 또는 기타 유형의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및/또는 처리 서브시스템(540) 내의 다른 곳에 제공된 저장 디바이스에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처리 서브시스템(540)은 바람직하게는 그래픽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그래픽 출력(541, 542), 예컨대 아날로그 VGA(Video Graphics Array) 커넥터, DVI(Digital Visual Interface) 커넥터, ADC(Apple Display Connector) 커넥터, 또는 기타 유형의 커넥터를 가진다. 이러한 그래픽 출력(541, 542)은, 예를 들어, 처리 서브시스템(240)의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545)로부터 직접 공급될 수 있다.
예시적인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400)는 또한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 및 USB 허브(543)에 상호 연결된 다수의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5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USB 포트(542)는 외부 디바이스에 결합될 수 있다. USB 스위치(544)는 허브에서 수신되는 USB 신호를 처리 서브시스템(540)으로 스위칭하는 데 이용된다. 유사한 방식으로, 다수의 IEEE 1394(FireWire™) 포트(546)는 외부 디바이스에 결합되고, 처리 서브시스템(540)으로 스위칭하기 위해, 데이터를 IEEE 1394 허브(547) 및 IEEE 1394 스위치(548)로 전달할 수 있다.
마이크로컨트롤러(510)는 또한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를 비교적 낮은 데이터 전송 레이트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및 I2C(Inter-Integrated Circuit) 분배 회로(550)에 연결되어 있다. SPI/ I2C 제어기(550)는 중간 플레인(535)에 연결되고, 이에 의해 마이크로컨트롤러(510)로부터의 제어 명령을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400)의 모듈(587, 590, 595)에 제공한다. 게다가, SPI/ I2C 제어기(550)로부터의 연결은,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400)의 열 특성을 집합적으로 관리하는 팬 제어기(551), 온도 센서(552) 및 전력 관리자 회로(553)와 같은 컴포넌트에 제공된다.
마이크로컨트롤러(510)는 또한 CCTV 제어 시스템(470), HVAC 제어 및/또는 에너지 관리 시스템(475), 보안 시스템(480), 하나 이상의 전자 조명 제어기(490)는 물론, 하나 이상의 모터 작동 디바이스 제어기(495)와 통신할 수 있는 디바이스 제어 인터페이스(575)에 연결되어 있다. 게다가, 전화 네트워크 및/또는 전화 핸드셋에 연결하기 위해 전화 인터페이스(570)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확장된 시스템을 형성하기 위해 몇개의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400)를 서로 연결시키는 확장 포트(580)가 제공될 수 있는 반면, 상태, 구성 및/또는 기타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물론,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전면 패널 디스플레이(465),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가 제공된다.
이러한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400) 또는 기타 플랫폼은 새로운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가상 방 인터페이스 환경(이후부터, "가상 방"이라고 함)을 포함한다. 각각의 가상 방은 주택 또는 기타 구조물 내의 상이한 물리적 방(또는 물리적 방의 일부분)에 대응한다. 일부 경우에, 몇개의 가상 방은, 예컨대, 물리적 방 전체를 커버하기 위해 하나의 물리적 방의 상이한 부분에 대응할 수 있다. 각각의 가상 방은 물리적 방(또는 물리적 방의 일부분)의 경계의, 예를 들어, 방을 정의하는 벽, 천장, 바닥 등의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묘사를 포함할 수 있고, 물리적 방(또는 물리적 방의 일부분)에 존재하는 가구, 예를 들어, 물리적 방에 존재하는 소파, 의자, 침대, 장식용 벽걸이 등의 적어도 일부분을 보여줄 수 있으며, 물리적 방(또는 물리적 방의 일부분) 내에 존재하는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의 (직접적인 또는 간접적인) 제어 하에서, 디바이스, 예를 들어, 조명 기구를 보여줄 수 있다.
제어 하의 디바이스의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묘사가 바람직하게는 물리적 방 내의 디바이스의 실제 위치에 대응하는 가상 방 내의 위치에 보여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방 및 디바이스의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묘사는 사전 결정된 위치로부터 캡처되고 상이한 상태에 있는 방을 보여주는 제한된 수의 사전 녹화된 이미지, 예를 들어, 물리적 방의 제한된 수의 정지 디지털 사진으로부터 도출된다. 그러나, 방 및 디바이스의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묘사를 생성하는 각종의 기타 기법이 명확히 생각되고 있으며 이하에서 기술된다.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사용자는 가상 방 내의 디바이스의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시각적 묘사를 조작함으로써, 예를 들어, 가상 방 내의 디바이스의 시각적 묘사를 선택함으로써 디바이스, 예를 들어, 조명 기구를 선택, 제어하고 다른 방식으로 그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가상 방 내에서의 사용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가상 방의 외관이 동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물리적 방 내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및/또는 환경 변화, 예를 들어, 하루 중 시간에 응답하여, 가상 방의 외관이 또한 동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대응하는 물리적 방의 적어도 일부분의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묘사를 보여주기 위해 가상 방이 연속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가 가상 방 내에서 보는 것이 주어진 시간에 대응하는 물리적 방 내에서의 사용자의 경험을 반영하거나 적어도 그와 비슷할 것이다.
도 6은 예시적인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6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예시적인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600)는 대응하는 물리적 방 내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가상 방을 제공하는 주 부분(610)을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600)는 상이한 유형의 기능에 대응하는 선택가능 메뉴 탭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메뉴 부분(620), 및 선택된 메뉴 탭에 특정된 옵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기능 특정(function specific) 부분(6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600)에서, "큰 방"의 일부분에 대응하는 가상 방이 보여진다. 물리적 방의 경계, 방의 가구, 및 방의 일부분 내에 있는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400)의 제어 하의 디바이스를 비롯한 "큰 방"의 일부분의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묘사가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어, 예시적인 가상 방은 램프(640, 642)와 같은 독립형 조명 기구, 월 스콘스(645, 647, 650) 및 샹들리에(chandelier)(662)와 같은 고정식 조명 기구, 및 액센트 조명(665, 667, 670)과 같은 특수 목적 조명 기구의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묘사를 보여준다. 게다가, 예시적인 가상 방은 역시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400)의 제어 하에 있는 평판 스크린 텔레비전(672) 및 자동 윈도우 셰이드(675)의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시각적 묘사를 보여준다. 사용자는 물리적 방 내의 디바이스를 선택, 제어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이들과 상호 연동하기 위해, 가상 방 내의 디바이스의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시각적 묘사를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가상 방 내의 조명 기구의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시각적 묘사를 선택, 예를 들어, 터치 또는 클릭함으로써 활성화시킬 특정한 조명 기구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램프(640) 및 샹들리에(662)의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시각적 묘사를 선택, 예를 들어, 터치 또는 클릭할 수 있다. 그에 응답하여,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400)는 하나 이상의 전자 조명 제어기(490)로 하여금 램프(640) 및 샹들리에(662)로의 전기 피드와 인라인으로 배선된 릴레이를 활성화시키게 하기 위해 이러한 전자 조명 제어기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게다가,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400)는, 가상 방이 특정한 조명 기구가 발광하고 있는 물리적 방의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묘사를 보여주도록, 가상 방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 7은 활성화된 특정한 조명 기구를 보여주기 위해 가상 방이 업데이트되어 있는 예시적인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700)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램프(640) 및 샹들리에(662)의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시각적 묘사는 발광된 조명 기구를 표현하도록 변경되었다. 게다가, 구조물 및 가구가 램프(640) 및 샹들리에(662)에 의해 제공되는 조명의 효과를 보여주도록 이러한 발광의 효과가 가상 방에 표현된다. 예를 들어, 실제적인 반사가 반사 표면 상에 보여지고, 조명의 방향이 주어진 경우 적절한 음영이 보여지는 등이다.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기술하는 바와 같이, 실제적인 조명 효과를 포함한 가상 방의 업데이트된 외관이 사전 결정된 위치로부터 캡처되고 상이한 상태에 있는 방을 보여주는 제한된 수의 사전 녹화된 이미지, 예를 들어, 물리적 방의 제한된 수의 정지 디지털 사진에 기초하여 렌더링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상이한 상태에 있는 방 및 그 안에 있는 디바이스의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묘사를 생성하는 각종의 기타 기법이 이용될 수 있다.
게다가, 사용자는 가상 방 내의 디바이스의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시각적 묘사를 선택, 예컨대 터치 또는 클릭함으로써 활성화 및/또는 제어할 물리적 방에 있는 조명 기구 이외의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가상 방 내의 평판 스크린 텔레비전(672)의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시각적 묘사를 선택, 예를 들어, 터치 또는 클릭할 수 있다. 그에 응답하여,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400)는 평판 스크린 텔레비전을 활성화시키는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게다가,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400)는, 가상 방이 텔레비전이 활성화되어 있는 물리적 방의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묘사를 보여주도록, 가상 방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 상에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소형 묘사가 가상 방 내의 평판 스크린 텔레비전(672)의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묘사 상에 보여질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물리적 방과 연관된 다양한 기타 유형의 A/V 디바이스가 제어될 수 있다.
유사하게, 사용자는 가상 방 내의 특정한 윈도우 셰이드(675) 세트의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시각적 묘사를 선택, 예를 들어, 터치 또는 클릭할 수 있다. 그에 응답하여,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400)는, 적절한 경우, 선택된 셰이드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모터-작동 디바이스 제어기(495)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게다가,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400)는, 가상 방이 상승 또는 하강되어 있는 셰이드(675)의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묘사를 보여주도록, 가상 방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가 가상 방 내에서 보는 것이 대응하는 물리적 방 내에서의 사용자의 경험을 반영하거나 적어도 그와 비슷할 수 있다.
가상 방 내에서의 이진(예컨대, 오프/온) 선택을 지원하는 것에 부가하여,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보다 진보된 유형의 제어 입력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보다 진보된 제어가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메뉴 부분(620) 및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능 특정 부분(630)을 통해 지원될 수 있다. 이는 대안으로서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주 부분(610)에서의 제스처 인식에 의해 지원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의 메뉴 부분(620)은 복수의 기능 탭, 예를 들어, CCTV 시스템 및/또는 보안 시스템에 관련된 특정한 부가 기능이 액세스될 수 있는 Security 탭(677), 특정한 부가 오디오 및 비디오 관련 기능이 액세스될 수 있는 A/V 탭(680), HVAC 시스템 및/또는 자동 윈도우 셰이드 시스템에 관련된 특정한 부가 기능이 액세스될 수 있는 HVAC/Shades 탭(682), 조명 기구 제어에 관련된 특정한 부가 기능이 액세스될 수 있는 Lighting 탭(685), 프로그램가능 서비스에 관련된 특정한 기능이 액세스될 수 있는 Services 탭(687), 및 화면의 주 부분(610)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이한 가상 방이 선택될 수 있는 Zones 탭(690)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탭을 선택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능 특정 부분(630)은 이러한 기능에 관련된 선택가능 아이콘, 버튼, 텍스트 등을 보여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예시적인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600)는 Zones 탭(690)이 선택된 것을 나타낸 것이며, 기능 특정 부분(630)은 상이한 이용가능한 가상 방 - 각각의 가상 방은 주택 또는 기타 구조물 내의 상이한 물리적 방(또는 물리적 방의 일부분)에 대응함 - 에 대응하는 복수의 선택가능 이미지(691, 692, 693, 694, 695, 696)를 보여준다. 상이한 방의 특정한 이미지(691, 692, 693, 694, 695, 696)의 선택, 예컨대, 터치에 응답하여,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주 부분(610)이 대응하는 상이한 가상 방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업데이트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제스처, 예를 들어, 터치-기반 제스처를 통해, 상이한 가상 방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방은 논리적으로 선형 또는 원형 어레이로 배열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 상에서, 예를 들어, 한 가상 방으로부터 그 다음 가상 방으로 전진하기 위해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주 부분(610)에서, 예를 들어, 자신의 손가락, 스타일러스 또는 유사한 수단을 사용하여 "스와이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스와이프"라는 용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의 빠르고 연속적이며 실질적으로 선형인 움직임을 말한다. 그에 응답하여,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주 부분(610)에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방이 전진될 수 있다. 도 8a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스와이프에 응답하여, 상이한 물리적 방에 대응하는 2개의 가상 방(810, 810)의 일부분을 미리 보여주는 예시적인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800)를 나타낸 것이다. 가상 방이 또한 물리적 방의 일부분에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스와이프는 대안으로서 동일한 물리적 방의 일부분에 대응하는 가상 방 사이에서 전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8b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스와이프에 응답하여, 동일한 물리적 방에 대응하는 2개의 가상 방(835, 840)의 일부분을 미리 보여주는 대안의 예시적인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830)를 나타낸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가상 방이 보다 복잡한 배열로 논리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구성에서, 가상 방 및/또는 가상 방 그룹이 트리 구조로 배열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호작용하고 있는 트리 구조의 현재 레벨에 따라, 다양한 제스처가 상이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이 "다중-터치" 제스처,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의 2개의 이상의 점의 선택을 수반하는 제스처를 비롯한 다양한 유형의 제스처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이러한 배열은 다른 유형의 제어와 함께, 예를 들어, 포인터 및 마우스 제어 방식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 8c는 가상 방의 트리 구조의 하위 레벨에 대응하는 가상 방을 보여주는 대안의 예시적인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845)를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가 이 레벨에서 가상 방을 보고 있는 동안, 사용자는 다중-터치 "축소 제스처"(850)를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축소 제스처"라는 용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2개의 점을 선택하는 것 및 이러한 점들을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움직임으로 서로를 향하여 드래그하는 것을 말한다. 그에 응답하여, 인터페이스는 제스처가 행해진 위치 부근의 가상 방의 일부분 상에서 "줌인"할 수 있다. 유사하게, 사용자는 다중-터치 "확장 제스처"(855)를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확장 제스처"라는 용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2개의 점을 선택하는 것 및 이러한 점들을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움직임으로 서로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드래그하는 것을 말한다. 그에 응답하여, 인터페이스는 가상 방의 더 큰 부분을 보여주기 위해 "줌아웃"할 수 있다.
도 8d는 제스처의 부가적인 사용을 나타내는 가상 방의 트리 구조의 하위 레벨에 대응하는 가상 방을 보여주는 대안의 예시적인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860)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대안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몇개의 방향, 예를 들어, 위, 아래, 좌측 또는 우측 중 하나의 방향으로 "드래그 제스처"(865)를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드래그 제스처"라는 용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의 연속적이고 실질적으로 선형인 움직임을 말한다. 드래그 제스처에 응답하여,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의 가시 영역 내에 현재 보이지 않는 가상 방의 부분이 있는 경우, 가상 방 내에서 대응하는 방향으로 패닝(pan)할 수 있다.
이러한 대안의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충분한 양만큼 "줌아웃"하는 경우, 사용자는 트리 구조의 상위 레벨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8e는 가상 방의 트리 구조 내에 그룹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가상 방을 보여주는 대안의 예시적인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870)를 나타낸 것이다. 일 구성에서, 제1 그룹(890)은 구조물의 "1층"에 대응할 수 있고, 그 층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가상 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그룹(885)은 구조물의 "2층"에 대응할 수 있고, 그 층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가상 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그룹(880)은 구조물의 "3층"에 대응할 수 있고, 그 층과 연관된 가상 방을 포함할 수 있는 반면, 부가의 그룹(895)은 구조물의 외부에 대응할 수 있고, 그와 연관된 가상 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그룹이 예에 불과하며 광범위한 다른 구성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가상 방의 트리 구조의 하위 레벨을 재방문하기 위해, 사용자는 인터페이스(870)에 보여지는 가상 방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도 6으로 되돌아가서, Zones 탭(690)의 선택과 유사하게, Lighting 탭(685)의 선택은, 이 경우에, 조명 제어에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능 특정 부분(630)에서 선택가능 아이콘, 버튼, 텍스트 등에의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Lighting 탭(685)이 선택된 예시적인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900)를 나타낸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900)의 기능 특정 부분(630)은 다양한 조명 "상황"에 대응하는 복수의 버튼(910, 920, 930, 940)을 포함할 수 있고, 이 버튼의 선택은 방에 있는 복수의 조명 기구를 활성화, 비활성화하고 및/또는 그것들을 어둡게/밝게 할 수 있을 것이다. 게다가, 예시적인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900)의 기능 특정 부분(630)은, 조작될 때,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400)로 하여금 하나 이상의 전자 조명 제어기(490)로 명령을 발행하게 하고, 이러한 전자 조명 제어기로 하여금 개개의 조명 기구 또는 조명 기구 그룹으로의 전기 피드와 인라인으로 배선된 조광기 유닛(493)을 조정하게 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광 슬라이더(950)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제스처, 예를 들어, 터치-기반 제스처는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400)로 하여금 하나 이상의 전자 조명 제어기(490)로 명령을 발행하게 하고, 이러한 전자 조명 제어기로 하여금 개개의 조명 기구 또는 조명 기구 그룹으로의 전기 피드와 인라인으로 배선된 조광기 유닛(493)을 조정하게 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특정한 조명 기구 또는 조명 기구의 그룹의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묘사 상에서 또는 그 주변에서 제스처, 예를 들어, 터치-기반 제스처를 할 수 있다. 이러한 제스처는 밝게 하거나 어둡게 하는 제어 명령으로 변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대응하는 조명 기구가 밝게 되어야만 한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특정한 조명 기구의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묘사 상에서 또는 그 주변에서 다중-터치 "확장" 제스처를 하여 이러한 점을 반대쪽 방향으로 드래그할 수 있다. 유사하게, 사용자는 대응하는 조명 기구가 어둡게 되어야만 한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특정한 조명 기구의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묘사 상에서 또는 그 주변에서 다중-터치 "축소" 제스처를 할 수 있다. "확장" 및 "축소" 제스처에 부가하여, 조명 기구의 밝기 또는 기타 디바이스의 설정을 제어하는 데 사용하기 위해 다양한 기타 제스처에 대한 지원이 명백히 생각되고 있다.
게다가, A/V 탭(680)은 A/V 디바이스 제어를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능 특정 부분(630)에서 선택가능 아이콘, 버튼, 텍스트 등에의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주 부분(610)에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방에서 디바이스의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묘사를 선택, 예컨대, 터치함으로써,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400)의 제어 하의 A/V 디바이스, 예를 들어, 텔레비전을 선택할 수 있다. 그 후에, 사용자는 디바이스-특정 제어 아이콘, 버튼, 텍스트 등을 제시받을 수 있고, 그의 조작은 선택된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A/V 탭(685)이 디스플레이된 예시적인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1000)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1000)의 기능 특정 부분(630)은 복수의 A/V 관련 버튼, 예를 들어, 볼륨 버튼(1010, 1020), 무음 버튼(1030), 재생 제어 버튼(1040), 전원 버튼(1050) 및/또는 채널 선택 버튼(1060, 107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물리적 방 내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단계들(1100)의 예시적인 시퀀스의 흐름도이다. 단계(1110)에서,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400)는, 물리적 방(또는 물리적 방의 일부분)의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묘사 및 물리적 방 내의 디바이스, 예를 들어, 조명 기구의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묘사를 포함한 가상 방을 렌더링한다. 단계(1120)에서, 렌더링된 가상 방이 제어 유닛(450), 모바일 디바이스(460),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400)의 전면 패널 디스플레이(465), 텔레비전(440)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또는, 대안으로서, 다른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단계(1130)에서, 멀티미디어 제어기(400)는 사용자로부터의 선택, 예를 들어, 터치 선택, 버튼-누름, 환상 터치 센서 입력 등을 수신한다. 이 선택은 가상 방 내의 디바이스의, 예를 들어, 특정한 조명 기구의 특정한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시각적 묘사를 나타낸다.
단계(1140)에서,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400)는 디바이스의 상태를 변경하기 위해 물리적 방 내의 디바이스로 또는 디바이스에 결합된 중간 제어기로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400)는 하나 이상의 전자 조명 제어기(490)로 하여금 선택된 조명 기구로의 전기 피드와 인라인으로 배선된 릴레이(492)를 활성화시키게 하기 위해 이러한 전자 조명 제어기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1150)에서,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400)는 가상 방의 외관을 업데이트하고, 가상 방 및 가상 방 내의 디바이스의 시각적 묘사를 렌더링하여 업데이트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해, 예를 들어, 활성화된 조명 기구를 보여주기 위해 단계(1010)로 루프한다.
물리적 방의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묘사 및 물리적 방 내의 디바이스의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묘사를 포함한 가상 방이 각종의 상이한 방식 중 임의의 방식으로 도 11의 단계(1110)에서 렌더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시스템 구성 동안 설치자는 소정의 위치로부터 물리적 방의 이미지를 캡처, 예를 들어, 정지 디지털 사진을 찍을 수 있고, 상이한 잠재적인 상태에 있는 동안 방의 각각의 이미지가 캡처된다. 예를 들어, 조명 기구가 활성화되지 않은 물리적 방의 제1 이미지가 캡처될 수 있고, 제1 조명 기구가 활성화되어 있는 물리적 방의 제2 이미지가 캡처될 수 있으며, 제2 조명 기구가 활성화되어 있는 물리적 방의 제3 이미지가 캡처될 수 있고, 제1 조명 기구 및 제2 조명 기구가 활성화되어 있는 물리적 방의 제4 이미지가 캡처될 수 있으며, 모든 가능한 조합이 캡처되도록 이하 마찬가지로 행해진다. 이미지 사이의 위치에서 특징들이 일치하도록 이들 이미지가 상관되고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400) 상의 또는 다른 디바이스 상의 라이브러리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렌더링 단계(1110)는 단순히 적절한 상태에 있는 디바이스를 갖는 방을 보여주는 물리적 방의 적절한 저장된 이미지에 액세스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이 특정 응용에서 실시가능할 수 있지만, 방에 있는 디바이스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각각의 잠재적인 상태에 있는 방을 묘사하는 데 필요한 사전 녹화된 이미지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n개의 디바이스를 갖는 방은, 각각의 디바이스가 이진 상태(예컨대, 온 또는 오프)만을 갖는 것으로 가정하면, 모든 가능한 디바이스 조합을 표현하기 위해 2n개의 사전 녹화된 이미지를 필요로 할 수 있다. 3개 이상의 가능한 상태, 예를 들어, 조광기 설정의 범위를 갖는 디바이스들의 도입은 필요한 사전 녹화된 이미지의 수를 추가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적은 수의 사전 녹화된 이미지로부터 방의 부가의 상태를 도출할 수 있는 기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물리적 방의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묘사 및 물리적 방 내의 디바이스의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묘사를 포함하는 가상 방이 도 11의 단계(1110)에서 제한된 수의 사전 녹화된 이미지, 예를 들어, 물리적 방의 제한된 수의 디지털 정지 사진으로부터 렌더링된다. 시스템 구성 동안, 설치자는 디바이스가 활성화되지 않은 방의 이미지는 물론, 방에 있는 각각의 디바이스가 단독으로 활성화되어 있는 방(즉, 방에 있는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활성화되어 있는 방)의 이미지를 소정의 위치로부터 캡처한다. 예를 들어, 조명 기구가 활성화되지 않은 물리적 방의 제1 이미지가 캡처될 수 있고, 단지 제1 조명 기구만이 활성화되어 있는 물리적 방의 제2 이미지가 (바람직하게는 최대 밝기에서) 캡처될 수 있으며, 단지 제2 조명 기구만이 활성화되어 있는 물리적 방의 제3 이미지가 (바람직하게는 최대 밝기에서) 캡처될 수 있고, 단지 제3 조명 기구만이 활성화되어 있는 물리적 방의 제4 이미지가 (바람직하게는 최대 밝기에서) 캡처될 수 있고, 이하 마찬가지이다. n개의 디바이스를 갖는 방의 경우, n+1개의 이미지가 캡처될 수 있다. 이미지 사이의 위치에서 특징들이 일치하도록 n+1개의 이미지가 상관될 수 있고, 이들 이미지가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400) 상의 또는 다른 디바이스 상의 라이브러리에 저장될 수 있다. 이어서, 새로운 믹싱 기술에 따라, 모든 가능한 방의 상태가 디스플레이 시에 n+1개의 사전 녹화된 이미지로부터 발생될 수 있다.
도 12는 상이한 상태에 있는 물리적 방의 제한된 수의 사전 녹화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가상 방을 렌더링하는 예시적인 기법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1200)이다. 제한된 수의 이미지가 이미지 저장소에, 예를 들어,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400) 또는 기타 디바이스의 메모리(1202)에 저장될 수 있다. 이미지는 활성화된 디바이스, 예를 들어, 조명 기구가 없는 물리적 방의 제1 이미지(1210), 단지 제1 디바이스만이 활성화되어 있는, 예를 들어, 제1 조명 기구가 (바람직하게는 최대 밝기로) 활성화되어 있는 물리적 방의 제2 이미지(1230), 단지 제2 디바이스만이 활성화되어 있는, 예를 들어, 제2 조명 기구가 (바람직하게는 최대 밝기로) 활성화되어 있는 물리적 방의 제3 이미지(1250), 단지 제3 디바이스만이 활성화되어 있는, 예를 들어, 제3 조명 기구가 (바람직하게는 최대 밝기로) 활성화되어 있는 물리적 방의 제4 이미지(1270), 단지 제n 디바이스만이 활성화되어 있는, 예를 들어, 제n 조명 기구가 (바람직하게는 최대 밝기로) 활성화되어 있는 물리적 방의 제n 이미지(1290)까지 포함한다.
이미지(1210, 1230, 1250, 1270, 1290)가, 예를 들어, 이진 가상 제어(1232, 1252, 1272, 1292)를 구현하는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400) 또는 다른 디바이스의 프로세서(1204)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다. 이진 가상 제어는,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디바이스의 시각적 묘사의 사용자 선택에 응답하여, 활성화된 디바이스를 보여주는 대응하는 이미지를 전달하거나 이미지를 차단하는 소프트웨어 루틴일 수 있다. 전달될 때, 이미지가, 예를 들어,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400) 또는 다른 디바이스의 그래픽 처리 디바이스(GPU)(1206)에 수신된다.
GPU(1206)는 바람직하게는 이미지(1230, 1250, 1270, 1290)의 특성을 조정하는 복수의 조정 루틴(1234, 1254, 1274, 1294)을 구현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들 각각이 조명 기구인 구현에서,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에 의해 행해진 조광기 선택에 응답하여, 조정 루틴(1234, 1254, 1274, 1294)이 이미지(1230, 1250, 1270, 1290)의 밝기, 예를 들어, 0% 내지 100%를 조정하는 조광기 루틴일 수 있다.
게다가, GPU(1206)는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의 이미지를 수신하고 픽셀별로 이미지를 필터링하여 출력 이미지(1238, 1258, 1278, 1298)를 생성하는 복수의 필터 루틴(1236, 1256, 1276, 1296)을 구현한다. 수신된 이미지는 조정 루틴(1234, 1254, 1274, 1294)에 의해 제공된 조정된 이미지는 물론, 경로(1237, 1257, 1277)를 통해 이전의 필터 루틴(1236, 1256, 1276)에 의해 제공되는 출력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각각이 조명 기구인 구현에서, 필터 루틴(1236, 1256, 1276, 1296)은 각각의 수신된 이미지 내의 대응하는 픽셀 중에서 최대 픽셀 값(예컨대, 최대 밝기)을 갖는 픽셀을 선택하고, 이러한 픽셀로부터 출력 이미지(1238, 1258, 1278, 1298)를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양한 조명 기구의 발광 효과가 효과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게다가, 출력 이미지를 필터 루틴으로부터 그 다음의 연속적인 필터 루틴으로 피드함으로써, 한번에 활성화된 복수의 상이한 조명 기구로부터의 누적된 발광 효과가 근사화될 수 있다.
GPU(1206)의 선택기(1240)는 방에 있는 활성화된 디바이스의 조합을 표현하는 적절한 출력 이미지(1238, 1258, 1278, 1298)를 선택한다. 이어서,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이러한 출력 이미지가 제공되는데, 예를 들어, 도 11의 디스플레이 단계(1120)에서 이미지가 사용된다.
이상의 설명이 특정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해 기술하고 있지만, 다수의 수정 및/또는 추가가 그에 대해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되는 디바이스가 주택 또는 기타 구조물의 방, 예컨대 큰 방 또는 주방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이상에 논의되어 있지만, 상이한 유형의 구조물에서 발견되는 각종의 다른 유형의 방에 대해 이들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가상 방은 회의실(conference room), 회의장(board room), 전시실(show room), 교실, 레스토랑 또는 바 다이닝 룸(bar dining room), 공장 작업장, 창고 공간 등(또는 그의 일부분)에 대응할 수 있다. 게다가, 디바이스가 임의의 유형의 "방" 내에 위치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주택 또는 구조 외부에 위치하는 디바이스, 예컨대 외부 조명 기구는 또한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에서, 옥외 공간에 대해 하나 이상의 가상 방이 정의될 수 있고, 각각의 가상 방은 옥외 공간의 특정한 부분의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묘사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다수의 주택 또는 기타 구조물에 위치하는 디바이스가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에서, 각각의 상이한 구조물에 대해 하나 이상의 가상 방이 정의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각각의 구조물이 디바이스 및 중간 제어기, 예를 들어, 전자 조명 제어기(490), 모터-작동 디바이스 제어기(495) 등에 결합된 그 자신의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40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예를 들어, WAN(wide area network)은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400)를 상호 연결하고 제어 명령이 이들 사이에 전달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제1 구조물에서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하는 사용자가 제1 구조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제2 구조물에 위치하는 디바이스의 동작을 활성화, 비활성화 및/또는 조정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각각의 가상 방을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방 및 디바이스의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묘사가 이미지, 예를 들어, 디지털 정지 사진으로부터 렌더링될 수 있는 것으로 이상에 논의되어 있지만,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묘사는 다른 방식으로 렌더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묘사는 정지 사진보다는 완전 동영상 비디오로부터 렌더링될 수 있다. 이러한 대안의 구현에서, 완전 동영상 비디오가 시스템 구성 동안 사전에 캡처되어 저장될 수 있거나, 예를 들어, CCTV 제어 시스템(470)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에 의해 라이브로 캡처되는 주택 또는 기타 구조물의 물리적 방(또는 그의 일부분)의 적어도 일부 라이브 완전 동영상 비디오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묘사는 주택 또는 기타 구조물의 방의 고선명 3차원(3-D) 레이저 스캔 또는 기타 유형의 고선명 측량으로부터 렌더링될 수 있다. 이러한 대안의 구현에서, 3-D 레이저 스캔 또는 기타 유형의 측량에서 캡처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각의 방에 대해 고선명 CAD(computer aided design) 모델이 구축될 수 있고, 이러한 모델이 렌더링에서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400)에 결합되어 있는 제어 유닛(450), 버튼-중심의 원격 제어 디바이스 및/또는 벽 설치형 버튼-중심의 제어 유닛(455), 환상 터치 센서(457)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유닛, 모바일 디바이스(460), 전면 패널(465) 및/또는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440)가 주택 또는 기타 구조물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이상에서 암시될 수 있는 반면, 이들 디바이스 중 적어도 일부가 원격지에 위치될 수 있고 사용자가 시스템과 원격적으로,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해 상호작용할 수 있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4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도시 생략)를 통해 인터넷에 결합될 수 있다.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주택 또는 구조물로부터 아주 멀리 떨어져 위치해 있는 디바이스 상의 웹 브라우저 또는 기타 응용 프로그램 내에서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 선택이 인터넷을 통해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40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주택 또는 구조물 내의 디바이스를 먼 거리에 걸쳐 원격적으로 제어하고 이들의 제어 선택의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논의된 절차 또는 프로세스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서 구현됨), 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와 같은 메모리, CD-ROM과 같은 디스크, 또는 기타 유형의(tangible) 저장 매체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설명이 단지 예로서 기술된 것에 불과하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20)

  1. 구조물의 물리적 방 내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구조물 내의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를, 구현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상태를 변경하는 제어 명령들을 발행하도록 구성된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시키는 단계;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 상기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가상 방을 포함하고, 각각의 가상 방은 상기 구조물의 일부분의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묘사(photo-realistic depiction)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물의 일부분의 상기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묘사는 상기 구조물의 상기 일부분 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묘사를 포함함 -;
    특정한 가상 방 내의 특정한 디바이스의 특정한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시각적 묘사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디바이스의 상기 특정한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시각적 묘사의 선택에 응답하여, 구현될 때 상기 특정한 디바이스의 상태를 변경하는 제어 명령들을, 상기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에 의해 발행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한 디바이스의 상기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시각적 묘사가 상기 특정한 디바이스의 변경된 상태를 반영하도록, 상기 특정한 가상 방의 외관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조명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한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시각적 묘사의 선택은 특정한 조명 기구의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시각적 묘사에 대응하며, 상기 제어 명령들은, 구현될 때, 상기 특정한 조명 기구의 발광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특정한 조명 기구의 상태를 변경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조명 기구의 발광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한 조명 기구를 켜거나 끄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가상 방의 외관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한 조명 기구가 발광되고 있는 상기 물리적 방의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묘사를 보여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A/V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한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시각적 묘사의 선택은 특정한 A/V 디바이스의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시각적 묘사에 대응하며, 상기 제어 명령들은, 구현될 때, 상기 특정한 A/V 디바이스의 상태를 변경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자동 윈도우 셰이드(automatic window shades)을 포함하고, 상기 특정한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시각적 묘사의 선택은 특정한 자동 윈도우 셰이드의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시각적 묘사에 대응하며, 상기 제어 명령들은, 구현될 때, 상기 특정한 자동 윈도우 셰이드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가상 방 각각은 상기 구조물의 물리적 방의 일부분에 대응하고, 상기 포함된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묘사는 상기 물리적 방의 경계들의 적어도 일부분 및 상기 물리적 방에 존재하는 가구들의 적어도 일부분을 묘사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가상 방을 포함하고, 각각의 부가적인 가상 방은 야외 공간의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묘사 및 상기 야외 공간 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묘사들을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제어 유닛을 상기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어 유닛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며, 특정한 디바이스의 특정한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시각적 묘사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유닛 상에서 상기 선택을 수신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의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이고, 특정한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시각적 묘사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한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시각적 묘사에 관한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터치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며, 특정한 디바이스의 특정한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시각적 묘사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서 상기 선택을 수신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멀티미디어 스마트폰, 다목적 태블릿 컴퓨팅 디바이스, 및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 중 하나인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텔레비전을 상기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하는 단계; 및
    원격 제어 유닛을 상기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텔레비전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며, 특정한 디바이스의 특정한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시각적 묘사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원격 제어 유닛 상에서 상기 선택을 수신하는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의 일부분에 대한 제1 수의 사진을 캡처하는 단계; 및
    제2 수의 상태 각각에서 상기 구조물의 일부분의 포토리얼리스틱한 묘사를 도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수는 상기 제1 수보다 큰 방법.
  15. 구조물의 물리적 방 내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장치로서,
    디스플레이 화면;
    상기 구조물 내의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에 결합되고, 구현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상태를 변경하는 제어 명령들을 발행하도록 구성되는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 - 상기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는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시키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가상 방을 포함하며, 각각의 가상 방은 상기 구조물의 일부분의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묘사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물의 일부분의 상기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묘사는 상기 구조물의 상기 일부분 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묘사를 포함함 -; 및
    특정한 가상 방 내의 특정한 디바이스의 특정한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시각적 묘사의 선택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는 디바이스의 상기 특정한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시각적 묘사의 선택에 응답하여, 구현될 때, 상기 특정한 디바이스의 상태를 변경하는 제어 명령들을 발행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는 상기 특정한 디바이스의 상기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시각적 묘사가 상기 특정한 디바이스의 변경된 상태를 반영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의 상기 특정한 가상 방의 외관을 업데이트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조명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한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시각적 묘사의 선택은 특정한 조명 기구의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시각적 묘사에 대응하며, 상기 제어 명령들은, 구현될 때, 상기 특정한 조명 기구의 발광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특정한 조명 기구의 상태를 변경하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는 상기 특정한 가상 방의 외관을 업데이트하여 상기 특정한 조명 기구가 발광되고 있는 상기 물리적 방의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묘사를 보여주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및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 제어기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된 터치 스크린 제어 유닛의 일부인 장치.
  20. 구조물의 물리적 방 내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장치로서,
    구현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상태를 변경하는 제어 명령들을 발행하는 수단;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수단 - 상기 가상 방-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가상 방을 포함하고, 각각의 가상 방은 상기 구조물의 일부분의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묘사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물의 일부분의 상기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묘사는 상기 구조물의 상기 일부분 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묘사를 포함함 -;
    특정한 가상 방 내의 특정한 디바이스의 특정한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시각적 묘사의 선택을 수신하는 수단;
    디바이스의 상기 특정한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시각적 묘사의 선택에 응답하여, 구현될 때 상기 특정한 디바이스의 상태를 변경하는 제어 명령들을 발행하는 수단; 및
    상기 특정한 디바이스의 상기 실질적으로 포토리얼리스틱한 시각적 묘사가 상기 특정한 디바이스의 변경된 상태를 반영하도록, 상기 특정한 가상 방의 외관을 업데이트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장치.
KR1020127000059A 2009-06-03 2010-06-02 가상 방-기반 조명 기구 및 디바이스 제어 KR1017198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382509P 2009-06-03 2009-06-03
US61/183,825 2009-06-03
PCT/US2010/001600 WO2010141076A1 (en) 2009-06-03 2010-06-02 Virtual room-based light fixture and device contr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7454A true KR20120027454A (ko) 2012-03-21
KR101719842B1 KR101719842B1 (ko) 2017-03-24

Family

ID=42549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0059A KR101719842B1 (ko) 2009-06-03 2010-06-02 가상 방-기반 조명 기구 및 디바이스 제어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3) US8296669B2 (ko)
EP (1) EP2438800B1 (ko)
JP (1) JP5782433B2 (ko)
KR (1) KR101719842B1 (ko)
CN (1) CN102461344B (ko)
AU (1) AU2010257154B2 (ko)
BR (1) BRPI1011140B1 (ko)
CA (1) CA2764240C (ko)
ES (1) ES2530679T3 (ko)
IL (1) IL216756A0 (ko)
MX (1) MX2011012905A (ko)
NZ (1) NZ596852A (ko)
RU (1) RU2528016C2 (ko)
WO (1) WO201014107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6042A (ko) * 2017-09-06 2020-05-06 사반트 시스템즈 엘엘씨 소형 스크린 가상 룸-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26116B2 (en) 2007-09-05 2015-09-08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Ranking of user-generated game play advice
US9108108B2 (en) * 2007-09-05 2015-08-18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Real-time, contextual display of ranked, user-generated game play advice
US8074581B2 (en) 2007-10-12 2011-12-13 Steelcase Inc. Conference table assembly
US20140361954A1 (en) 2013-06-07 2014-12-11 Lewis Epstein Personal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information in a collaboration workspace
US10631632B2 (en) 2008-10-13 2020-04-28 Steelcase Inc. Egalitaria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information in a collaborative workspace
US10884607B1 (en) 2009-05-29 2021-01-05 Steelcase Inc. Personal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information in a collaborative workspace
CN102461344B (zh) 2009-06-03 2014-12-17 萨万特系统有限责任公司 控制结构的物理房间内的一个或者多个设备的方法和装置
US10775960B2 (en) 2009-06-03 2020-09-15 Savant Systems, Inc. User generated virtual room-based user interface
US10613704B2 (en) 2009-06-03 2020-04-07 Savant Systems, Llc Small screen virtual room-based user interface
US8955022B2 (en) 2010-09-15 2015-02-10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Securing property
FR2969778B1 (fr) * 2010-12-22 2013-01-11 Somfy Sas Molette souris
WO2012103167A2 (en) * 2011-01-28 2012-08-02 Interactive Control Solutions,Llc Design and authorization system for wireless control
KR101069269B1 (ko) 2011-03-21 2011-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앙 제어기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WO2012131544A1 (en) * 2011-03-29 2012-10-0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vice for communicating light effect possibilities
US8914724B2 (en) * 2011-04-06 2014-12-16 Savant System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nd modifying graphical schedules
US9329773B2 (en) * 2011-05-19 2016-05-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calable gesture-based device control
EP2754008A4 (en) * 2011-06-21 2015-04-22 Univ Northwestern TOUCHING INTERFACE DEVICE AND METHOD FOR USING CROSS-HOLLOWS ON HUMAN LIMBS
TW201308933A (zh) * 2011-08-11 2013-02-16 Hon Hai Prec Ind Co Ltd 電器遠端控制系統及方法
US20130049633A1 (en) * 2011-08-24 2013-02-28 Fsp-Powerland Technology Inc. Illumination system relating to light-emitting-diode lamps
US20130076651A1 (en) 2011-09-28 2013-03-28 Robert Reimann Methods and apparatus to change control centexts of controllers
US9101003B2 (en) * 2011-09-29 2015-08-04 Lite-On Electronics (Guangzhou) Limited Wireless intelligent lamp control method and system, wall switch base, and remote switch handset
CN109041372B (zh) 2011-12-14 2021-01-05 飞利浦灯具控股公司 用于控制照明的方法和装置
US9060409B2 (en) * 2012-02-13 2015-06-16 Lumenetix, Inc. Mobile device application for remotely controlling an LED-based lamp
CN103313460B (zh) * 2012-03-15 2017-04-12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照明设备控制系统及方法
US9115880B2 (en) 2012-05-04 2015-08-25 Abl Ip Holding, Llc Lighting system reconfigurable by gestural control
EP2856845B2 (en) 2012-06-04 2022-04-20 Signify Holding B.V. A method for providing privacy protection in networked lighting control systems
WO2013186684A2 (en) * 2012-06-11 2013-12-19 Koninklijke Philips N.V.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 lighting fixture in a virtual environment
JP6310457B2 (ja) * 2012-08-16 2018-04-11 フィリップス ライティング ホールディング ビー ヴィ 1又は複数の制御可能な装置を有するシステムの制御
US9833707B2 (en) 2012-10-29 2017-12-05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Ambient light control and calibration via a console
US10078371B1 (en) 2012-12-07 2018-09-18 American Megatrends, Inc. Touchless controller with configurable output pins
USD734766S1 (en) * 2013-01-15 2015-07-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MY171219A (en) 2013-02-20 2019-10-03 Panasonic Ip Corp America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N104350335B (zh) * 2013-02-20 2017-10-20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便携信息终端、便携信息终端的控制方法以及记录介质
WO2014128768A1 (ja) 2013-02-20 2014-08-28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携帯情報端末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558644B1 (ja) * 2013-02-20 2014-07-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SG11201404877QA (en) * 2013-02-20 2014-10-30 Panasonic Ip Corp America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apparatus and program
MY181880A (en) * 2013-02-20 2021-01-12 Panasonic Ip Corp America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apparatus and program
US9766799B2 (en) 2013-02-20 2017-09-1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9198259B2 (en) 2013-02-27 2015-11-24 Nguyen Hoan Hoang Programmable touchscreen dimmer with interchangeable electronic faceplate
US9806712B2 (en) * 2013-03-14 2017-10-31 Control4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gesture-based lighting control
TWI505175B (zh) * 2013-04-29 2015-10-21 Hon Hai Prec Ind Co Ltd 具有三維用戶介面的遠端控制裝置及其介面生成方法
KR20140133362A (ko) 2013-05-10 2014-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ui 화면 제공 방법
EP2997798A1 (en) * 2013-05-13 2016-03-23 Koninklijke Philips N.V. Device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lighting properties
JP5474238B1 (ja) * 2013-06-05 2014-04-16 三菱電機株式会社 レイアウト生成システム、エネルギーマネジメントシステム、端末装置、レイアウト作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568179B2 (en) * 2013-09-20 2020-02-18 Osram Sylvania Inc. Techniques and photo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solid-state luminaire with electronically adjustable light beam distribution
US10939155B2 (en) 2013-11-19 2021-03-02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Premises automation control
JP6259368B2 (ja) * 2013-11-28 2018-01-10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携帯端末の制御方法
JP2015130168A (ja) * 2013-12-31 2015-07-16 イマージョン コーポレーションImmersion Corporation 摩擦拡張制御、及び、タッチコントロールパネルのボタンを摩擦拡張制御部へと変換する方法
KR20150079106A (ko) * 2013-12-31 2015-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300647B2 (en) 2014-01-15 2016-03-29 Sonos, Inc. Software application and zones
CA3158967A1 (en) * 2014-02-26 2015-09-03 Savant Systems, Inc. A user generated virtual room-based user interface
US20180285312A1 (en) * 2014-03-04 2018-10-04 Google Inc.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a level of conversation and shared interests during a social event
US9716861B1 (en) 2014-03-07 2017-07-25 Steelcase Inc.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collaboration sessions
US10664772B1 (en) 2014-03-07 2020-05-26 Steelcase Inc.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collaboration sessions
CN104936339B (zh) * 2014-03-21 2019-07-26 奥斯兰姆施尔凡尼亚公司 控制可调整光束分布的固态泛光灯的方法和图形用户接口
EP2922371B1 (en) * 2014-03-21 2020-10-28 Osram Sylvania Inc. Techniques and photo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solid-state luminaire with electronically adjustable light beam distribution
CN105025611B (zh) * 2014-04-16 2018-03-20 东林科技股份有限公司 无线灯具的控制界面显示方法
KR20150123374A (ko) * 2014-04-24 2015-11-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상홈 서비스 장치 및 방법
US9918180B2 (en) 2014-04-28 2018-03-13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using occupant location in a building management system
US9380682B2 (en) 2014-06-05 2016-06-28 Steelcase Inc. Environment optimization for space based on presence and activities
US9766079B1 (en) 2014-10-03 2017-09-19 Steelcase Inc. Method and system for locating resources and communicating within an enterprise
US9955318B1 (en) 2014-06-05 2018-04-24 Steelcase Inc. Space guidance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11744376B2 (en) 2014-06-06 2023-09-05 Steelcase Inc. Microclimat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US10433646B1 (en) 2014-06-06 2019-10-08 Steelcaase Inc. Microclimat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GB2529295B (en) * 2014-06-13 2018-02-28 Harman Int Ind Media system controllers
KR20160021576A (ko) * 2014-08-18 2016-02-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제어 장치 및 이의 조명 제어 방법
CN106664783B (zh) * 2014-09-01 2019-10-18 飞利浦灯具控股公司 照明系统控制方法,计算机程序产品,可穿戴计算设备和照明系统套件
USD783632S1 (en) * 2014-09-04 2017-04-11 Flir Systems Ab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0042336B2 (en) * 2014-09-09 2018-08-07 Savant Systems, Llc User-defined scenes for home automation
US10310704B2 (en) * 2014-09-18 2019-06-04 Ademco Inc. System and method to have location based personalized UI updates on mobile app for connected users in security, video and home automation applications
KR102288777B1 (ko) * 2014-09-22 2021-08-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제어 장치 및 이의 조명 제어 방법
US9852388B1 (en) 2014-10-03 2017-12-26 Steelcase, Inc. Method and system for locating resources and communicating within an enterprise
TWD180105S (zh) * 2014-11-14 2016-12-11 愛斯佩克股份有限公司 顯示面板之操作介面之部分
US20180017949A1 (en) * 2015-01-16 2018-01-18 Giva Audiovisual Technologies Bvba Audio, video and light control system encapsulated in a single housing
US10982868B2 (en) 2015-05-04 2021-04-20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HVAC equipment having locating systems and methods
US10733371B1 (en) 2015-06-02 2020-08-04 Steelcase Inc. Template based content preparation system for use with a plurality of space types
JP6300112B2 (ja) * 2015-06-05 2018-03-28 株式会社ダイフク 機械設備の手動操作用タッチパネル
US20170139582A1 (en) * 2015-11-13 2017-05-18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n illumination device and related lighting system
CN107295502B (zh) * 2016-04-05 2020-06-30 北京京东尚科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传输装置的标识系统及方法
USD823882S1 (en) * 2016-04-20 2018-07-24 Sorenson Ip Holdings,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10190791B2 (en) 2016-04-27 2019-01-29 Crestron Electronics, Inc. Three-dimensional building management system visualization
DE102016005255B4 (de) * 2016-04-29 2023-01-26 Mercedes-Benz Group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Innenraumbeleuchtung eines Fahrzeugs
US10481574B2 (en) 2016-05-04 2019-11-19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Building alarm management system with mobile device notifications
US9921726B1 (en) 2016-06-03 2018-03-20 Steelcase Inc. Smart workstation method and system
EP3482608A1 (en) 2016-07-08 2019-05-15 Signify Holding B.V. Programming rules for controlling lighting
US10621836B2 (en) 2016-09-14 2020-04-14 Lutron Ketra, Llc Global keypad for linking the control of shows and brightness among multiple zones illuminated by light emitting diodes arranged among a structure
US10582596B2 (en) 2016-09-14 2020-03-03 Lutron Ketra, Llc Illumin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manually adjusting automated fading of color temperature changes to emulate exterior daylight
WO2018052571A1 (en) 2016-09-14 2018-03-22 Ketra, Inc. Illumination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periodic changes in emulation output
US11202354B2 (en) 2016-09-14 2021-12-14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Illumination system and method that presents a natural show to emulate daylight conditions with smoothing dimcurve modification thereof
CN117676955A (zh) * 2016-09-14 2024-03-08 路创技术有限责任公司 用于控制作为亮度的函数的色温的照明系统
US9930742B1 (en) 2016-09-14 2018-03-27 Ketra, Inc. Keypad with color temperature control as a function of brightness among scenes and the momentary or persistent override and reprogram of a natural show and method thereof
US10237945B2 (en) 2016-09-14 2019-03-19 Lutron Ketra, Llc Illumin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manually adjusting automated periodic changes in emulation output
US9795000B1 (en) 2016-09-14 2017-10-17 Ketra, Inc. Illumin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manually adjusting automated changes in exterior daylight among select groups of illumination devices placed in various rooms of a structure
GB2554914B (en) * 2016-10-14 2022-07-20 Vr Chitect Ltd Virtual reality system and method
MX2019006160A (es) * 2016-11-29 2020-02-07 Walmart Apollo Llc Representacion virtual de la actividad dentro de un entorno.
US10264213B1 (en) 2016-12-15 2019-04-16 Steelcase Inc. Content amplification system and method
GB2559321B (en) * 2017-01-10 2022-09-21 Hoare Lea Llp Graphical lighting control system
CN106817827A (zh) * 2017-02-13 2017-06-09 杭州睿者智能工程有限公司 实景反馈灯具控制方法和控制系统
CN106982499B (zh) * 2017-03-10 2019-04-30 北京工业大学 一种基于多点光源的体感智能照明系统和方法
US20180284953A1 (en) * 2017-03-28 2018-10-04 Osram Sylvania Inc. Image-Based Lighting Controller
US10561942B2 (en) 2017-05-15 2020-02-18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America Llc Metronome for competitive gaming headset
US10128914B1 (en) 2017-09-06 2018-11-13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LLC Smart tags with multiple interactions
US20190215460A1 (en) * 2018-01-09 2019-07-11 Osram Sylvania Inc. User Interface for Control of Building System Components
US10972360B2 (en) 2018-05-08 2021-04-06 Lexi Devices, Inc. Dynamic design of a lighting configuration
CN108846220A (zh) * 2018-06-23 2018-11-20 广东启源建筑工程设计院有限公司 一种可视化建筑光照设计方法及其系统
CN109286545A (zh) * 2018-09-11 2019-01-29 青岛海信智慧家居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设备管理方法及装置
US11863343B2 (en) 2019-02-14 2024-01-02 Savant Systems, Inc. Multi-role devices for automation environments
US11120682B2 (en) * 2019-02-20 2021-09-14 Robert Bosch Gmbh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physical entities based on a virtual representation of the physical entities
US11626010B2 (en) * 2019-02-28 2023-04-11 Nortek Security & Control Llc Dynamic partition of a security system
US11189061B2 (en) 2019-06-25 2021-11-30 Universal City Studio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virtual feature development
CN110374486A (zh) * 2019-07-08 2019-10-25 武汉诚信卓远科技发展有限公司 窗帘控制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968268B2 (en) 2019-07-30 2024-04-23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Coordination of audio devices
JP2022547319A (ja) * 2019-09-11 2022-11-11 サバント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ホームオートメーションシステムのための3次元仮想ルームに基づく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イス
CN111487892B (zh) * 2020-03-31 2023-03-21 北京中庆现代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多功能可编程集成控制装置
US20210358294A1 (en) * 2020-05-15 2021-11-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olographic device control
CA3186232A1 (en) * 2020-07-14 2022-01-20 Horace C. Ho Lighting control system with light show overrides
CN111818705A (zh) * 2020-07-17 2020-10-23 广州彩熠灯光股份有限公司 基于3d仿真的灯具选择方法、系统、存储介质、灯光控制台
US11984739B1 (en) 2020-07-31 2024-05-14 Steelcase Inc. Remote power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CN112074056A (zh) * 2020-09-16 2020-12-11 陈漱文 一种灯光互动仿真系统
CN112732460A (zh) * 2021-01-05 2021-04-30 卓望数码技术(深圳)有限公司 数据状态管理方法、系统及存储介质
USD1018580S1 (en) * 2021-10-13 2024-03-19 Degussa Bank AG Display screen with financial institution graphical user interface
USD1021940S1 (en) * 2021-10-13 2024-04-09 Degussa Bank AG Display screen with financial institution communication interface
USD1021939S1 (en) * 2021-10-13 2024-04-09 Degussa Bank AG Display screen with financial institution navigation interfa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3978A (ja) * 1993-08-31 1995-03-17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照明演出装置
JP2002245102A (ja) * 2001-02-14 2002-08-3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建物の環境制御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JP2004534355A (ja) * 2001-06-06 2004-11-11 カラー・キネティック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制御信号を発生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EP1986474A2 (en) * 2007-04-26 2008-10-29 Everbright Optech Inc. Method and system of controlling a color ligh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07352A1 (en) * 1995-01-31 1997-11-19 Transcenic, Inc Spatial referenced photography
US6160359A (en) * 1998-01-30 2000-12-12 Hewlett-Packard Company Apparatus for communicating with a remote computer to control an assigned lighting load
US6362822B1 (en) 1999-03-12 2002-03-26 Terminal Reality, Inc. Lighting and shadowing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use in computer graphic simulations
US6463343B1 (en) * 1999-08-10 2002-10-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mote devices from a client computer using digital images
US7159022B2 (en) * 2001-01-26 2007-01-02 American Power Conversion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 set of network appliances which can be connected to provide enhanced collaboration, scalability, and reliability
DE10012508A1 (de) * 2000-03-15 2001-09-20 Luxmate Controls Gmbh Dornbirn System und Steuereinrichtung zum Steuern mehrerer Aktoren eines Raumes
US7202613B2 (en) 2001-05-30 2007-04-10 Color Kinetics Incorporated Controlled lighting methods and apparatus
US6756998B1 (en) * 2000-10-19 2004-06-29 Destiny Networks, Inc.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home automation system
KR100359332B1 (ko) 2001-06-14 2002-10-31 박찬구 주파수 스캐닝 효과를 이용한 위성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DE10314134A1 (de) * 2002-03-27 2003-10-23 Siemens Gebaeudeman & Services System und Verfahren zur Bereitstellung, Parametrierung und Steuerung von Gebäudediensten
US8042049B2 (en) * 2003-11-03 2011-10-18 Openpeak Inc. User interface for multi-device control
US7047092B2 (en) * 2003-04-08 2006-05-16 Coraccess Systems Home automation contextual user interface
JP2005098043A (ja) * 2003-08-21 2005-04-14 Misawa Homes Co Ltd 居室環境演出装置
US7167777B2 (en) * 2003-11-04 2007-01-23 Powerweb Technologies Wireless internet lighting control system
US7782384B2 (en) 2004-11-05 2010-08-24 Kelly Douglas J Digital camera having system for digital image composition and related method
FR2882843B1 (fr) * 2005-03-01 2009-08-21 Somfy Sas Interface de commande d'un systeme domotique et procedes pour son fonctionnement
US8122131B2 (en) * 2005-03-16 2012-02-21 Icontrol Networks, Inc. Takeover processes in security network integrated with premise security system
RU53510U1 (ru) * 2005-10-24 2006-05-10 Серге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Шестаков Микропроцессорная информационно-управляющая система "умный дом"
US8271881B2 (en) * 2006-04-20 2012-09-18 Exceptional Innovation, Llc Touch screen for convergence and automation system
US20070265121A1 (en) 2006-05-09 2007-11-15 Jimmy Gross Drive chain motion stabilizer
US20070268121A1 (en) * 2006-05-18 2007-11-22 Daryush Vasefi On-line portal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devices and services
US7830417B2 (en) 2006-08-15 2010-11-09 Fuji Xerox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ng with objects via a camera enhanced mobile device
US7930644B2 (en) * 2006-09-13 2011-04-19 Savant Systems, Llc Programming environment and metadata management for programmable multimedia controller
KR101649577B1 (ko) * 2007-05-22 2016-08-19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원격 조명 제어
US8605133B2 (en) * 2007-06-27 2013-12-10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Display-based interactive simulation with dynamic panorama
WO2009004531A1 (en) * 2007-06-29 2009-01-08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Standards Gmbh Light control system with a user interface for interactively changing settings in a lighting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ly changing settings in a lighting system with a user interface
US8237625B2 (en) * 2007-09-05 2012-08-07 Savant Systems, Llc Multimedia control and distribution architecture
US8310335B2 (en) 2007-09-07 2012-11-13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Network-based access and control of home automation systems
US7760107B1 (en) * 2007-10-24 2010-07-20 Inteltech Corporation Method for programming a network of control points
TW200935972A (en) 2007-11-06 2009-08-16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Light management system with automatic identification of light effects available for a home entertainment system
KR100963200B1 (ko) 2007-11-07 2010-06-10 위월드 주식회사 추적 특성이 향상된 위성 추적 안테나 시스템 및 그동작방법
US8373366B2 (en) * 2008-01-16 2013-02-1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User interface for scene setting control with light balance
US8884886B2 (en) * 2008-05-02 2014-11-11 Savant Systems, Llc Touch sensitive video signal display for a programmable multimedia controller
US8140989B2 (en) 2009-02-19 2012-03-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Virtual room use simulator and room planning system
CN102461344B (zh) 2009-06-03 2014-12-17 萨万特系统有限责任公司 控制结构的物理房间内的一个或者多个设备的方法和装置
CN102034341B (zh) 2009-09-30 2012-12-12 金宝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控制系统及其控制画面的产生方法
US8719581B2 (en) * 2010-09-22 2014-05-06 Savant Systems, Llc Programmable multimedia controller with flexible user access and shared device configurations
EP2827605B1 (en) 2012-03-12 2016-09-28 NTT DoCoMo, Inc. Remote control system, remote control method, communication device and progra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3978A (ja) * 1993-08-31 1995-03-17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照明演出装置
JP2002245102A (ja) * 2001-02-14 2002-08-3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建物の環境制御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JP2004534355A (ja) * 2001-06-06 2004-11-11 カラー・キネティック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制御信号を発生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EP1986474A2 (en) * 2007-04-26 2008-10-29 Everbright Optech Inc. Method and system of controlling a color light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6042A (ko) * 2017-09-06 2020-05-06 사반트 시스템즈 엘엘씨 소형 스크린 가상 룸-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1011140B1 (pt) 2020-04-14
JP5782433B2 (ja) 2015-09-24
AU2010257154A1 (en) 2012-01-12
US9055627B2 (en) 2015-06-09
CN102461344B (zh) 2014-12-17
AU2010257154B2 (en) 2014-02-20
MX2011012905A (es) 2012-03-29
IL216756A0 (en) 2012-03-01
RU2011152270A (ru) 2013-07-20
BRPI1011140A2 (pt) 2018-02-14
RU2528016C2 (ru) 2014-09-10
CA2764240A1 (en) 2010-12-09
EP2438800B1 (en) 2014-11-19
CN102461344A (zh) 2012-05-16
US10146398B2 (en) 2018-12-04
US20100312366A1 (en) 2010-12-09
NZ596852A (en) 2013-03-28
EP2438800A1 (en) 2012-04-11
WO2010141076A1 (en) 2010-12-09
US20150301716A1 (en) 2015-10-22
ES2530679T3 (es) 2015-03-04
US8296669B2 (en) 2012-10-23
US20120284672A1 (en) 2012-11-08
JP2012529147A (ja) 2012-11-15
KR101719842B1 (ko) 2017-03-24
CA2764240C (en) 2017-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9842B1 (ko) 가상 방-기반 조명 기구 및 디바이스 제어
US11688140B2 (en) Three dimensional virtual room-based user interface for a home automation system
US9226370B2 (en) Lighting control device
US10802668B2 (en) Small screen virtual room-based user interface
US201202602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nd modifying graphical schedules in conjunction with historical data
US89147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nd modifying graphical schedules
JP7312162B2 (ja) 小画面の仮想部屋ベースのユーザインタフェイス
EP1717666A1 (en) Electric device control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