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7086A - 전선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선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7086A
KR20120027086A KR1020107029794A KR20107029794A KR20120027086A KR 20120027086 A KR20120027086 A KR 20120027086A KR 1020107029794 A KR1020107029794 A KR 1020107029794A KR 20107029794 A KR20107029794 A KR 20107029794A KR 20120027086 A KR20120027086 A KR 20120027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insulator
point
electric wire
ex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9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츠노리 하야시시타
히로카즈 다카하시
마사미치 니와타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27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70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6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14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by extrusion
    • H01B13/143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by extrusion with a special opening of the extrusion 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abl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 Cables (AREA)

Abstract

도체를 피복하는 절연체에 대해서 안정적으로 공극부가 형성된 전송 효율이 좋은 전선을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전선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절두원추형의 내주면(32)을 가지는 다이(31)와 절두원추형의 외주면(42)을 가지는 포인트(41)의 간극으로 이루어진 환상의 압출 유로(51, 52)에 수지(R)를 압출함으로써, 포인트(41)의 중심에 형성된 삽통 구멍(44)으로부터 인출되는 중심 도체(12)의 주위에 수지(R)로 이루어진 절연체(13)가 피복된 전선(11)을 제조한다. 압출 방향을 따라서 압출 유로(51, 52)내에 연장되는 3개 이상의 통체(45)를 포인트(41)의 외주면(42)에 둘레방향에 등간격으로 마련해 두고, 수지(R)를 압출 유로(51, 52)에 압출함으로써, 통체(45)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서 수지(R)에 길이방향으로 연속하는 복수의 공극부(14)를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한다.

Description

전선의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IC WIRE}
본 발명은 도체의 외주가 수지로 이루어지는 절연체에 의해서 피복된 전선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선의 사용 주파수대역은, 수 GHz 대역까지 확대되고 있고, 전선의 절연체 부분의 유전율이 작은 것이 요구되고 있다. 유전율을 저감시키기 위해, 절연체에 중공부를 형성하는 기술로서는, 종축의 주위에 대칭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동일한 개구를 포함하는 다이이며, 그러한 개구의 각각의 횡단면은 거의 T자형을 나타내고, 그 T의 각 횡봉은 종축의 주위로 굴곡되어, 모두 동일한 원통에 속하며, 각 종봉의 연장선은 종축에 대해 서로 교차하는 다이를 이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그리고, 이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성형된 절연성 재료가 도체 상에 겹쳐지기 전에 잡아 늘이는 경우에는, 이 재료는 다이의 출구에서, T의 횡봉을 서로 접촉시키도록 인장 압력을 받아서, 이것에 의해서 도체의 주위에 복수의 소포(小胞)를 갖는 시스가 형성된다.
또한, 내부 도체의 삽통용 중심구멍과, 중심구멍의 외주에 인접 설치되는 내부 환상구멍과, 내부 환상구멍의 외주로부터 방사상에 연장되는 복수의 직선형 구멍과, 직선형 구멍의 외측 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외부 환상구멍을 가지는 다이를 이용하여, 중심구멍내에 내부 도체를 삽통시키면서, 각 구멍으로부터 용융된 수지를 대략 수직 하부에 압출하고, 내부 도체를 피복하는 내부 환상구멍과, 내부 환상구멍으로부터 방사상에 연장되는 복수의 리브부와, 리브부의 외측 단부를 연결하는 외부 환상구멍과, 내부 및 외부 환상구멍과 리브부로 둘러싸인 복수의 중공부을 구비한 절연 피복층을 형성하는 제조 방법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1998-11652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43720호 공보
특허문헌 1의 제법에서는, 절연성 재료끼리가 T의 횡봉의 단부면에서 겹쳐짐으로써 소포가 형성되므로, 절연성 재료의 점도 등의 조건이 변동하면, 단부면의 서로 겹쳐져 불편이 생기고, 안정된 소포로 이루어지는 공극부가 형성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특허문헌 2의 제법에서는, 내부 도체의 삽통용 중심구멍의 외주에 인접 설치되는 내부 환상구멍, 내부 환상구멍의 외주로부터 방사상에 연장되는 복수의 직선형 구멍, 및 직선형 구멍의 외측 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외부 환상구멍을 가지는 극히 복잡한 구조의 다이가 필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다이를 정밀도 좋게 형성하는 것은 극히 곤란하고, 또한 성형된 공극부도 불안정하게 되어 크기에 격차가 생겨 버린다.
상기 특허문헌 1. 2의 제법에서는, 절연체의 외경이나 공극부의 크기 등이 상이한 전선의 제조마다 복잡한 형상의 다이가 필요하다. 이러한 다이를 제조할 수 있다 하여도, 그 가공비는 높아져 코스트가 커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체를 피복하는 절연체에 대해서 길이방향으로 공극부가 안정되게 형성된 전송 효율의 좋은 전선을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전선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전선의 제조 방법은, 절두원추부에 원통이 연결된 형상의 내주면을 가지는 다이와 절두원추부에 원통이 연결된 형상의 외주면을 가지는 포인트와의 간극으로 이루어진 환상의 압출 유로에 수지를 압출하여 잡아 당겨서, 상기 포인트의 중심에 형성된 삽통 구멍으로부터 인출되는 도체의 주위에 상기 수지를 피복하는 전선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압출 방향을 따라서 상기 압출 유로내에 연장되는 3개 이상의 통체를 상기 포인트의 절두원추부의 외주면에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에 마련하고, 상기 통체의 주위에 상기 수지를 흘려서 길이방향으로 연속하는 복수의 공극부를 상기 수지에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통체의 수는 6개 이상 9개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전선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체에 상기 통체 및 상기 포인트의 절두원추부를 관통하는 연통 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연통 구멍을 통해서 상기 포인트내로부터 공기가 자연적으로 유입되면서 상기 수지를 압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연통 구멍에 기체를 공급하면서 상기 수지를 압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전선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연신비를 400 이상 2000 이하로서 상기 수지를 압출 피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선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압출 방향을 따라서 상기 압출 유로 내로 연장되는 3개 이상의 통체를 상기 포인트의 외주면에 둘레방향에 등간격으로 마련하고, 수지를 압출 유로에 압출함으로써, 통체로부터 유입되는 기체에 의해서 길이방향으로 연속하는 복수의 공극부를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수지에 형성한다. 이것에 의해, 도체를 피복하는 절연체에 복수의 공극부가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안정적으로 형성되어 유전율이 저감된 전송 효율의 좋은 전선을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전선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전선의 실시형태 예의 단면도,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전선의 제조 방법에 이용되는 다이와 포인트의 일부의 단면도,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전선의 제조 방법에 이용되는 포인트의 일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전선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압출 피복 공정을 나타내는 다이와 포인트의 조합의 단면도,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전선의 제조 방법에 이용되는 압출기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전선의 제조 방법의 실시형태의 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형태의 전선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전선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서는 동축 전선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전선(11)은, 중심 도체(12)를 절연체(13)로 피복하고, 절연체(13)의 외주에 외부 도체(15)를 배치하며, 그 외측을 외피(16)로 보호한 형상으로, 절연체(13)는 길이방향으로 연속하는 복수 개의 공극부(14)를 가지고 있다. 또한, 중심 도체(12)와 절연체(13)의 사이 및 중심 도체(12)와 외부 도체(15)의 사이에는 설계 상의 공극이 없다.
중심 도체(12)는, 은도금 또는 주석 도금된 연성 동선 또는 동합금선으로 이루어진 단선 또는 꼬은선으로 형성된다. 꼬은선의 경우는, 예를 들면 소선도체 직경이 0.025mm의 것을 7개 꼬은 외경 0.075mm(AWG#42 상당)의 것이나, 소선도체 직경이 0.127mm의 것을 7개 꼬은 외경 0.38mm(AWG#28 상당)로 한 것이 이용된다.
또한, 외부 도체(15)는 중심 도체(12)에 이용한 소선 도체와 동일한 정도의 굵기의 은도금 또는 주석 도금된 연성 동선 또는 동합금선을, 절연체(13)의 외주에 횡으로 감거나 또는 편조 구조로 배치하여 형성된다. 더욱이, 쉴드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금속박 테이프를 병설하는 구조로 해도 좋다. 외피(16)는 불소 수지나 폴리오레핀계 수지나 염화 비닐 등의 수지재를 압출 성형하거나, 또는 폴리에스테르 테이프 등의 수지 테이프를 감아 형성된다.
절연체(13)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혹은 불소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여, 압출 성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불소 수지재로서는, 예를 들면 PFA(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 FEP(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ETFE(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 등이 이용된다. 또한, 폴리페닐렌술파이드 수지(PPS)도 사용 가능하다.
절연체(13)의 외경 D1은 중심 도체(12)의 도체 직경을 D2로 했을 때, D2 * (2.2 ~ 3.0)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의 중심 도체(12)의 도체직경이 0.38mm(AWG#28)의 경우는, 절연체(13)의 외경을 0.84mm 내지 1.1mm로 한다. 중심 도체(12)의 도체 직경이 AWG#42보다 가는 선에서는, 용도에 따라 절연체(13)의 정전 용량을 저용량으로 할 필요가 있지만, 그 경우는 절연체(13)의 외경 D1을 D2 * (2.2 ~ 3.6)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중심 도체(12)의 도체직경이 0.075mm의 경우는, 절연체(13)의 외경을 0.17mm 내지 0.27 mm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절연체(13)의 외경이 1.1 mm 이하로 형성되는 전선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 치수의 전선(11)은 휴대 전화나 노트북 컴퓨터에서, 안테나 배선이나 LCD와 CPU를 연결하는 배선에 사용되는 것이나 센서와 기기를 연결하는 다심 전선으로서 사용되는 것이 많고, 이러한 단말장치의 소형화, 박형화에 의해 동축 전선의 세경화가 요구된다. 동축 전선은, 소정의 임피던스(50Ω, 75Ω 또는 80Ω 내지 90Ω)로 할 필요가 있고, 그것을 실현하는 한에 있어서 가능한한 세경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는, 중심 도체(12)와 외부 도체(15)의 사이의 절연체(13)의 유전율을 작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절연체(13)에 공극부(14)를 마련하고, 전부의 공극부(14)를 합친 전체의 공극율( = {공극부(14)의 단면적의 합}/[{절연체(13)의 단면적} + {공극부(14)의 단면적의 합}]을 43% 이상으로 함으로써, 상기의 범위의 치수에 대해 세경화를 실현한다.
전선(11)은 세경으로 절연체(13)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전선(11)에 가해지는 외압이나 굴곡에 대해 견딜 수 없게 되는 일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가 대상이 되는 가는 전선(11)에서는 절연체(13)내에 마련된 공극부(14)의 1개 당의 크기가 문제가 된다. 이것은 그것보다 대경의 전선에는 없는 과제이다.
중심 도체(12)의 직경에 대한 절연체(13)의 직경의 비가 2.4 내지 2.7배인 경우에는, 공극부(14)를 7개 내지 9개 배치하고, 하나의 공극부(14)의 공극율을 6.8%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공극부(14)가 8개에서 절연체(13)의 공극율이 43% 내지 54%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심 도체(12)의 직경에 대한 절연체(13)의 직경의 비가 3.2배 내지 4.0배인 경우는, 공극부(14)가 6개로, 하나의 공극부(14)의 공극율을 9.0% 내지 1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1개 당의 공극율을 상기의 크기로 하기 때문에, 이 치수의 전선으로 충분한 내구성을 실현한다. 공극부(14)는 단면 원형상(진원, 타원)으로 형성되고, 중심 도체(12)의 주위에 균등하게 배치된다. 공극부(14)를 예를 들면 진원으로 형성하고, 그 내경을 D3로 하면, 1개의 공극부(14)의 절연체(13)에 대한 비율은 아래의 식으로 표현된다.
{(D3/2)2 x π}/{(D1/2)2 x π - (D2/2)2 x π}
중심 도체(12)의 직경에 대한 절연체(13)의 직경의 비가 4배보다 큰 경우에는, 추가로 공극부(14)의 수를 줄여 3개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전선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선(11)의 제조에 이용되는 압출기(30)는 다이(31)와 포인트(41)를 구비하고 있다.
다이(31)는 내주면이 절두원추형의 절두원추부(32)를 가지고 있고, 그 중심에 원통형의 압출구멍(33)이 형성되어 있다. 압출구멍(33)의 직경은 길이방향으로 일정하다. 다이(31)의 내주면은 절두원추부에 원통을 연결한 형상이다.
포인트(41)는 외주면이 절두원추형의 절두원추부(42)를 가지고 있고, 그 선단에는 원통부(4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포인트(41)에는 그 중심에 삽통 구멍(44)이 형성되어 있고, 이 삽통 구멍(44)에, 중심 도체(12)가 삽통되어 전방을 향해서 인출된다.
이들 다이(31) 및 포인트(41)는, 그 절두원추부(32)와 절두원추부(42)가 소정의 환상의 간극을 형성하도록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다이(31)의 절두원추부(32)와 포인트(41)의 절두원추부(42)와의 간극 및 다이(31)의 압출구멍(33)과 포인트(41)의 원통부(43)의 간극이 서로 연통하는 압출 유로(51, 52)로 되어 있다. 그리고, 압출 유로(51)에 절연체(13)를 형성하는 용융 수지(R)가 후방측으로부터 도입되고, 압출 유로(52)에 이송되어 압출구멍(33)으로부터 압출된다.
또한, 포인트(41)의 원통부(43)에는, 동심원상에 원통 형상의 복수의 통체(45)가 둘레방향에 등간격으로 배설되어 있고, 수지(R)의 압출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며, 원통부(43)와 함께 다이(31)의 압출구멍(32)에 삽통되어 있다. 통체(45)의 선단은 원통부(43)의 선단과 동일한 면 또는 그 근방에 있다. 압출 유로(51, 52)내에 통체(45)가 존재하고, 그 부분에는 용융된 수지(R)가 흐르지 않는다.
이들 통체(45)는 연통 구멍(46)을 가지고 있고, 이 연통 구멍(46)은 원통부(42)를 관통해 포인트(41)의 내면에 개구되어 있다. 포인트(41)의 내면은 폐쇄된 공간으로는 되지 않고 압출기(30)의 외부와 통하고 있다.
상기의 압출기(30)를 이용해 중심 도체(12)에 절연체(13)를 피복시키는 경우,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심 도체(12)를 포인트(41)의 삽통 구멍(44)에 삽통시킨다.
그리고, 중심 도체(12)를 압출기(30)로부터 인출하면서, 압출 유로(51)에 그 후방측으로부터 용융 수지(R)를 압출한다. 수지(R)는 압출 유로(51, 52)를 통해 압출구멍(33)으로부터 압출되고, 잡아 당겨진 그 직경이 서서히 작아져, 압출구멍(33)의 출구로부터 일정한 거리 이격된 개소에서 중심 도체(12) 상에 놓여 중심 도체(12)를 피복한다. 즉, 연신에 의해서 중심 도체(12)의 외주에 수지(R)가 절연체(13)로서 피복된다. 이 때, 연신비는 400 이상 2000 이하로 한다.
여기서, 이 연신비는 다이(31)의 압출구멍(33)의 내경을 Dd, 포인트(41)의 원통부(43)의 외경을 Dp로 하면, 절연체(13)의 마무리 외경 D1 및 중심 도체(12)의 직경 D2와의 관계로부터 아래의 식으로 표현된다.
(Dd2 - Dp2)/(D12 - D22)
이 때, 절연체(13)를 형성하는 수지(R)는 통체를 둘러싸는 흐름이 되어 공극부(14)가 형성된다. 포인트(41)로부터 압출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복수의 통체(45)의 연통 구멍(46)은 포인트 외부의 대기에 연통하고 있는 연통 구멍(46)으로부터 공극부(14)에 공기가 인입된다. 이것에 의해, 절연체(13)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속하는 복수의 공극부(14)가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다음에, 절연체(13)의 외주에, 도전성 금속의 복수 개의 세경선재를 편조 혹은 횡방향 감기로 외부 도체(15)를 마련한다. 금속박을 절연체(13)에 감거나, 또는 종방향으로 인가하여 외부 도체로 해도 좋다. 혹은 2매의 금속박으로 절연체를 사이에 끼워 라미네이트 하여 외부 도체로 해도 좋다.
그 후, 외부 도체(15)의 외주에 외피(16)로 이루어진 수지를 압출 피복하여 되는 절연 테이프를 감아 외피(16)를 형성하여, 전선(11)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된 전선(11)에 의하면, 절연체(13)에 형성된 공극부(14)를 7개 내지 9개(본 실시형태에서는 8개)로서 1개의 공극부(14)의 공극율을 6.8% 이하로 함으로써, 전부의 공극부(14)를 합친 공극율을 43% 이상으로 해도, 외압이나 굴곡에 대해서 찌부러지기 어렵고, 안정된 전송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공극부(14)가 6개의 경우는 1개의 공극부(14)의 공극율을 9.0% 내지 10%로 함으로써, 전부의 공극부(14)를 합친 공극율을 54%이상으로 하여, 외압이나 굴곡에 대해서 찌부러지기 어렵고, 안정된 전송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제조한 전선(11)은 전선(11) 상태로 사용되거나, 혹은 복수 개 묶거나 병렬로 하거나 하여 테이프 형상으로 한 다심 전선으로서 사용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전선의 제조 방법에서는, 압출 방향을 따라서 압출 유로(51, 52)내에 연장되는 3개 이상(본 실시형태에서는 8개)의 통체(45)를 포인트(41)의 외주면(42)에 둘레방향에 등간격으로 마련해 두고, 수지(R)를 압출 유로(51, 52)에 압출하는 것에 의해, 통체(45)의 주위에 수지(R)의 흐름을 만들어 통체(45)보다 하류의 부분에 길이방향으로 연속하는 공극부(14)를 형성한다. 공극부(14)는 통체(45)가 있는 장소에 따라서, 절연체(13)의 길이방향으로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 둘레방향으로 거의 균등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절연체에 복수의 공극부(14)가 형성되므로 절연체(13)의 유전율이 저감된다.
이렇게 하여 절연체(13)의 유전율이 저감된 전선(11)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절두원추형의 내주면(32)을 갖는 일반적인 다이(31)와, 외주면(42)로부터 복수의 통체(45)를 연장시킨 단순 구조의 포인트(41)로 이루어진 압출기(30)를 이용한다. 공극부를 형성하기 위해서 압출구멍을 복잡한 형상으로 형성한 다이를 이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포인트(41)는 정밀도 좋게 가공할 수 있으므로, 성형되는 공극부가 안정된 크기이며 격차가 생기지 않는다. 또한, 가공이 용이하기 때문에 설비비를 억제할 수 있다. 즉, 절연체(13)에 공극부(14)가 형성된 저용량의 전선(11)을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다이(31)와 포인트(41)의 조합을 변경함으로써, 공극부(14)의 수나 크기 혹은 각종의 직경의 전선(11)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절연체(13)에 있어서의 공극부(14)의 비율이나 절연체(13)의 두께를 희망의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수지(R)를 중심 도체(12)에 압출 피복할 때의 연신비를 400 이상 2000 이하로 상당히 큰 연신비로 함으로써, 절연체(13)의 외경이 1.1mm 이하인 세경의 전선에 있어서, 중심 도체(12)의 외주에 공극부(14)를 가지는 절연체(13)를 양호하게 피복할 수 있다.
또한, 통체(45)는 원통에 한정되지 않고, 단면 타원형이나 각형이어도 좋다.이 경우, 형성되는 공극부의 단면은 타원형이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중심 도체(12)에의 수지(R)의 압출 피복시에, 포인트(41)의 통체(45)의 연통 구멍(46)을 통해서 포인트(41)내로부터 공기가 자연적으로 유입되어 공극부(14)가 무너지지 않게 형성되도록 했지만, 연통 구멍(46)에 공기 등의 기체를 공급하면서 수지(R)를 압출해도 좋다. 공극부(14)에 기체를 보내 공극부(14)의 형상을 유지하여 수지(R)를 당기고 절연체(13)을 형성할 수 있다. 공극부(14)의 압력을 과도하게 양압으로 하면, 오히려 절연체(13)가 변형되어 의도한 형상으로부터 어긋나버리므로, 공극부(14) 내의 기압이 외부에 비해 1 Pa 내지 100 Pa 크도록 한다.
도 5에, 공극부(14)에 기체를 보내 가압하는 경우의 압출기의 구성을 나타낸다.
이 압출기(30a)는, 포인트(41)의 후단에 가압용 노즐(55)이 접속되어 있다. 가압용 노즐(55)에는, 기체 공급관(56)이 접속되어 있다. 이 기체 공급관(56)으로부터 가압용 노즐(55)를 거쳐 가압된 기체(공기 등)를 포인트(14)내로 보내고, 포인트(14)내를 주위의 기압(대기압)에 대해서 1 Pa 내지 100 Pa 양압으로 한다.
아래와 나타내는 각 조건에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구조의 전선을 제조하여, 절연체의 외경 변동 및 정전 용량을 조사했다.
(실시예 1)
내부 도체 : 직경 0.025mm의 은도금 은동합금(은함유율 0.6%)를 7개 서로 꼬아합친 꼬은선(AWG42에 상당)
절연체 : PFA, 외경 0.25mm(두께 0.087mm)
연신율 : 1310
포인트내의 가압(대기압과의 차이) : 4Pa
절연체의 정전 용량 : 60.5pF
절연체의 외경 변동 : ±0.006 mm의 변동
(실시예 2)
포인트내를 가압하지 않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
절연체의 정전 용량 : 61.2pF
절연체의 외경 변동 : ±0.026 mm의 변동
실시예 1과 2를 비교하여, 가압함으로써 절연체의 외경이 안정되고, 또한 절연체의 정전 용량이 저하하는 효과가 확인되었다. 공극부가 조금 팽창됨으로써 절연체내의 공간이 늘어나, 정전 용량이 저하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수지를 인출할 때에 공극부가 조금 양압으로 됨으로써 수지의 연신 형상이 안정되어 절연체의 외경이 길이방향으로 안정되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실시예 3)
내부 도체 : 직경 0.079 mm의 은도금 연성 동선을 7개 서로 꼬은 꼬은선(AW G32에 상당)
절연체 : PFA, 외경 0.61mm (두께 0.185mm)
연신율 : 460
포인트내의 가압(대기압과의 차이) : 75Pa
절연체의 정전 용량 : 79.0pF
절연체의 외경 변동 : ±0.014 mm의 변동
(실시예 4)
포인트내를 가압하지 않는 이외는 실시예 3과 동일
절연체의 정전 용량 : 84.0pF
절연체의 외경 변동 : ±0.014 mm의 변동
실시예 3과 실시예 4를 비교하여, 가압함으로써 정전 용량이 저하하는 효과가 확인된다. 절연체의 외경 변동은 가압해도 하지 않아도 거의 동일한 정도이다. 실시예 3 및 실시예 4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보다 전선의 직경이 굵고, 대기압과의 차압을 크게 한다. 이 경우, 절연체의 외경 변동을 동일한 정도로서 정전 용량을 작게 하는 효과가 큰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포인트(41)에 형성한 통체(45)의 개수는 8개로 한정될 것은 없지만, 3개 이상이면 양 호하고, 7개 내지 9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중심 도체(12), 절연체(13), 외부 도체(15) 및 외피(16)가 동축에 순차 적층된 구조를 가지는 동축 전선으로 이루어진 전선(11)을 예시해 설명했지만, 도체의 주위를 절연체로 덮은 전선이면 동축 전선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또한 특정의 실시형태를 참조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는 일 없이 여러가지 변경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본 출원은 2009년 5월 29일 출원의 일본 특허 출원(제2009-130088호)에 근거하는 것이고,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받아들여진다.
11 : 전선 12 : 중심 도체(도체)
13 : 절연체 14 : 공극부
31 : 다이 32 : 내주면
41 : 포인트 42 : 외주면
44 : 삽통 구멍 45 : 통체
51, 52 : 압출 유로 R :수지

Claims (4)

  1. 절두원추부에 원통이 연결된 형상의 내주면을 갖는 다이와 절두원추부에 원통이 연결된 형상의 외주면을 갖는 포인트와의 간극으로 이루어진 환상의 압출 유로에 수지를 압출하여 잡아 당기고, 상기 포인트의 중심에 형성된 삽통 구멍으로부터 인출되는 도체의 주위에 상기 수지를 피복하는 전선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압출 방향을 따라서 상기 압출 유로 내로 연장되는 3개 이상의 통체를 상기 포인트의 절두원추부의 외주면에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마련하고, 상기 통체의 주위에 상기 수지를 흘려서 길이방향으로 연속하는 복수의 공극부를 상기 수지에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체에 상기 통체 및 상기 포인트의 절두원추부를 관통하는 연통 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연통 구멍을 통해서 상기 포인트내로부터 공기가 자연적으로 유입되면서 상기 수지를 압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체에 상기 통체 및 상기 포인트의 절두원추부를 관통하는 연통 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연통 구멍에 기체를 공급하면서 상기 수지를 압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제조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신비(draw-down ratio)를 400 이상 2000 이하로서 상기 수지를 압출 피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제조 방법.
KR1020107029794A 2009-05-29 2010-05-28 전선의 제조 방법 KR201200270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30088 2009-05-29
JP2009130088 2009-05-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7086A true KR20120027086A (ko) 2012-03-21

Family

ID=43222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9794A KR20120027086A (ko) 2009-05-29 2010-05-28 전선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533672B2 (ko)
KR (1) KR20120027086A (ko)
CN (1) CN102084437B (ko)
WO (1) WO201013770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7484A (ko) * 2015-06-15 2016-12-23 (주) 화승엑스윌 소나 체계 선배열 예인센서용 보호커버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99233B2 (ja) * 2014-01-22 2018-03-2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絶縁電線及び同軸ケーブル
CN103871688A (zh) * 2014-03-13 2014-06-18 苏州科茂电子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高性能极细同轴电缆的制备方法
DE102014004431B4 (de) * 2014-03-27 2016-02-11 Alanod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Ummantelung von Profilen mit seitlichen Abgängen sowie Profil
CN109952185B (zh) * 2016-11-29 2022-06-10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微毛细管线材涂布模具组件
CN108840167A (zh) * 2018-08-15 2018-11-20 广东朝阳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线自动落桶包装工艺及其设备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02527B2 (ja) * 1992-10-30 1999-06-07 日立電線株式会社 管路内布設用ケーブルの製造方法
FR2747832B1 (fr) * 1996-04-23 1998-05-22 Filotex Sa Procede et dispositif de fabrication d'une gaine aeree en un materiau isolant autour d'un conducteur, et cable coaxial muni d'une telle gaine
CN2634605Y (zh) * 2003-08-01 2004-08-18 富港电子(东莞)有限公司 押出线缆被覆用的模具
US7993568B2 (en) * 2005-10-27 2011-08-09 Nexans Profiled insulation LAN cables
CN1822245A (zh) * 2005-12-29 2006-08-23 江苏亨鑫科技有限公司 信号传输用同轴电缆及物理发泡绝缘层制备和模具
JP5252821B2 (ja) * 2007-03-28 2013-07-31 宇部日東化成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用中空コア体の製造方法
JP5259529B2 (ja) * 2008-09-02 2013-08-07 宇部日東化成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用中空コア体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7484A (ko) * 2015-06-15 2016-12-23 (주) 화승엑스윌 소나 체계 선배열 예인센서용 보호커버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37700A1 (ja) 2010-12-02
CN102084437B (zh) 2013-07-17
JP5533672B2 (ja) 2014-06-25
CN102084437A (zh) 2011-06-01
JPWO2010137700A1 (ja) 2012-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5761B2 (en) Coaxial cable and multicoaxial cable
KR20120027086A (ko) 전선의 제조 방법
JP4493595B2 (ja) 発泡同軸ケーブ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870846B2 (en) Telecommunications wire having a channeled dielectric insulator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1605480B2 (en) Electrical cable with dielectric foam
EP1998341A1 (en) Improved profiled insulation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TW201108258A (en) Electrical wi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6750325B2 (ja) 発泡同軸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多芯ケーブル
KR20140001728A (ko) 절연 전선, 동축 케이블 및 다심 케이블
JP5464080B2 (ja) 同軸ケーブルおよび多心同軸ケーブル
JP5304608B2 (ja) 電線の製造方法
JP2011228298A (ja) 多心ケーブル
JP4262555B2 (ja) 細径同軸ケーブ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551763B2 (ja) 同軸ケーブル及びそれを用いたケーブル
JP5387512B2 (ja) 電線の製造方法
JP2008192480A (ja) 異型押出ダイ及び電線
JP2021190403A (ja) 同軸ケーブル
KR200467508Y1 (ko) 다심 케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