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6750A - 진공창 및 진공창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진공창 및 진공창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6750A
KR20120026750A KR1020100088848A KR20100088848A KR20120026750A KR 20120026750 A KR20120026750 A KR 20120026750A KR 1020100088848 A KR1020100088848 A KR 1020100088848A KR 20100088848 A KR20100088848 A KR 20100088848A KR 20120026750 A KR20120026750 A KR 20120026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ant
plate glass
spacer
pair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8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9946B1 (ko
Inventor
강재식
최경석
이승언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88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9946B1/ko
Publication of KR20120026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6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9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9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7Evacuating or filling the gap between the panes ; Equilibration of inside and outside pressure; Preventing condensation in the gap between the panes; Cleaning the gap between the p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20Uniting glass pieces by fusing without substantial reshap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6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12Evacuated glazing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4Discrete spacing elements, e.g. for evacuated glazing un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9Glazing, e.g. vacuum glaz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22Glazing, e.g. vaccum gla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창은 중공의 공간부를 형성하는 2장의 판유리와, 상기 판유리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를 밀봉하는 실링부와, 상기 2장의 판유리 사이에 게재되어 2장의 판유리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스페이서를 구비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2장의 판유리 사이에 게재되는 실런트와, 상기 판유리와 상기 실런트 사이에 게재되는 한쌍의 게재부와 상기 게재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연장부가 상기 판유리의 단부를 감싸며 상기 판유리의 외측면에 접착되어 형성되는 제1접착부를 구비하는 필름재를 구비함으로써 실링부에서 진공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공창 및 진공창의 제조방법{A Vacuum Window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 Vacuum Window}
본 발명은 진공창 및 진공창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공창의 진공구조를 형성할 때 진공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진공창을 통한 열손실을 줄일 수 있는 진공창 및 진공창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서 유리창은 열적으로 가장 취약한 부분이다. 특히 최근에는 유리창의 면적이 넓은 건물들이 많이 지어지고 있다. 최근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열적으로 취약한 부위인 유리창을 통해 발생되는 열손실은 건물 전체 연손실의 1/3 이상에 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유리창으로 사용되는 판유리는 열전도도가 높아서 건물의 냉방 또는 난방 시에 유리창을 통해 열이 많이 손실되어 건물에 사용되는 에너지를 절약하는데 있어 많은 제약을 주고 있다.
따라서 건물의 유리창을 통한 열손실을 줄이기 위해 열전도가 높은 유리창의 열전도도를 낮추기 위한 연구들이 많이 행해지고 있다.
냉방 또는 난방 시에 건물에 발생하는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리창 중에서 대표적인 것으로 2장의 판유리 사이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시킨 이중창이 있다.
이중창은 2장의 판유리를 이격시키고 그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이중창은 판유리와 판유리 사이의 공간부에 단순히 공기가 존재하는 것, 열전도도가 낮은 불활성 가스가 존재하는 것, 진공 상태를 유지하는 것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이중에서 판유리와 판유리 사이의 공간부를 진공(10-4torr) 상태로 유지하는 진공창이 그 성능이 가장 우수하지만 많은 기술의 집적도를 요한다.
진공창을 제작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2장의 판유리가 이격되도록 판유리 사이에 실린더 형상 등으로 생긴 스페이서를 두고 판유리의 모서리를 실링(sealing)한 후 판유리에 형성된 공기 유출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2장의 판유리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가 진공이 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상기 공기 유출구를 다시 실링(sealing)함으로써 2장의 판유리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가 진공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하지만 2장의 판유리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가 진공상태로 되면 판유리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는 음압이 걸리기 때문에 판유리의 모서리에 형성된 실링(sealing)이 파괴되어 진공상태가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2장의 판유리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서는 일정한 간격으로 촘촘히 설치되는데, 상기 스페이서가 열이 전달되는 가교 역할을 하기 때문에 상기 2장의 판유리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가 진공상태가 되더라도 상기 스페이서를 통해 열이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2장의 판유리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를 진공상태로 계속해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진공구조를 가지는 진공창 및 진공창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2장의 판유리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서를 통한 열전달을 최소로 할 수 있는 진공창 및 진공창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창은 중공의 공간부를 형성하는 2장의 판유리와, 상기 판유리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를 밀봉하는 실링부와, 상기 2장의 판유리 사이에 게재되어 2장의 판유리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스페이서를 구비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2장의 판유리 사이에 게재되는 실런트와, 상기 판유리와 상기 실런트 사이에 게재되는 한쌍의 게재부와 상기 게재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연장부가 상기 판유리의 단부를 감싸며 상기 판유리의 외측면에 접착되어 형성되는 제1접착부를 구비하는 필름재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실링부는 상기 각 게재부로부터 연장되는 한쌍의 제2연장부가 상기 실런트를 감싸도록 서로 열융착되어 형성되는 제2접착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페이서는 중앙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스페이서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기둥 형상이며, 상기 스페이서의 외주면에는 상기 중공부와 연통하는 연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창의 제조방법은 2장의 판유리 사이에 실런트를 게재시키는 단계와, 상기 각 판유리와 상기 실런트 사이에 필름재의 게재부를 게재시키는 단계와, 상기 게재부로부터 연장된 제1연장부가 상기 판유리의 단부를 감싸도록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각 게재부로부터 연장된 한쌍의 제2연장부가 상기 실런트를 감싸도록 서로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필름재에 열을 가함으로써 상기 게재부 및 상기 제1연장부가 상기 판유리 및 상기 실런트와 서로 융착되도록 하고, 상기 한쌍의 제2연장부끼리 서로 융착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각 판유리와 상기 실런트 사이에 필름재의 게재부를 게재시키는 단계이전에 2장의 필름재의 일부분을 서로 접착하여 게재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구조를 가지는 진공창 및 진공창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상기 판유리와 상기 실런트 사이에 게재되는 한쌍의 게재부와 상기 게재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연장부가 상기 판유리의 단부를 감싸며 상기 판유리의 외측면에 접착되어 형성되는 제1접착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2장의 판유리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가 진공상태로 되어 음압이 발생하더라도 판유리의 모서리에 형성된 실링(sealing)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2장의 판유리가 이격되도록 판유리 사이에 실린더 형상 등으로 생긴 스페이서의 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상기 스페이서를 통한 열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창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창에 사용되는 스페이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창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창 및 진공창의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창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창은 중공의 공간부(111)를 형성하는 2장의 판유리(110)와, 상기 판유리(110)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111)를 밀봉하는 실링부(120)와, 상기 2장의 판유리(110) 사이에 게재되어 2장의 판유리(110)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스페이서(150)를 구비한다.
상기 판유리(110)는 플로트 판유리로 구성되고, 그 두께는 2?8mm, 바람직하게는 2.5?6mm 사이에서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120)는 상기 2장의 판유리(110) 사이에 게재되는 실런트(130)와, 상기 판유리(110)와 실런트(130)를 서로 접착시키는 필름재(140)를 구비한다.
상기 실런트(130)는 폴리우레아, 폴리우레탄과 같이 소정의 탄성을 가져 판유리(110)와 밀착되었을 때 공기가 새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상기 필름재(140)는 상기 판유리(110)와 상기 실런트(130) 사이에 게재되는 한쌍의 게재부(141)와 상기 게재부(141)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1연장부(142) 및 제2연장부(143)를 구비한다.
상기 게재부(141)로부터 연장되는 제1연장부(142)는 상기 판유리(110)의 단부를 감싸며 상기 판유리(110)의 외측면에 접착되어 형성되는 제1접착부(145)를 형성하고, 상기 게재부(141)로부터 연장되는 한쌍의 제2연장부(143)는 실런트(130)를 감싸도록 서로 열융착되어 제2접착부(146)를 형성한다.
상기 2장의 판유리(11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111)가 진공으로 되면, 상기 공간부(111) 내부에는 음압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링부(120)는 상기 공간부(111)의 중심으로 향하는 힘을 받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창에서는 상기 게재부(141)로부터 연장되는 제1연장부(142)가 상기 판유리(110)의 단부를 감싸며 상기 판유리(110)의 외측면에 접착되도록 하여 제1접착부(145)를 형성함으로써 공간부(111)의 중심으로 당기는 힘에 실링부(120)가 대항하도록 할 수 있어 실링부(120)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게재부(141)로부터 연장되는 한쌍의 제2연장부(143)가 실런트(130)를 감싸도록 서로 열융착되어 제2접착부(146)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실런트(130)가 파손되더라도 상기 제2접착부(146)에 의해 상기 공간부(111) 내부는 진공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한쌍의 판유리(11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111) 내부를 진공으로 유지하게 되면 상기 공간부(111)에는 음압이 발생하게 되므로 상기 판유리(11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질 수 있는데, 이와 같이 한쌍의 판유리(11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판유리(11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스페이서(150)가 구비된다.
도 2는 도 1의 진공창에 구비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의 사시도이다.
상기 스페이서(150)는 소정의 간격으로 매트릭스형으로 공간부(111) 내에 설치되어 있고, 판유리(110)와의 접촉면의 직경이 0.5mm, 높이가 약 0.2mm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150)는 중앙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기둥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스페이서(150)가 중앙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기둥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스페이서(150)를 통한 열전달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진공창에 구비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160)는 내부에 중공부(161)가 형성된 기둥 형상이며, 상기 스페이서(160)의 외주면에는 상기 중공부(161)와 연통하는 연통홀(162)이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160)가 내부에 중공부(161)가 형성된 기둥 형상이므로 스페이서(160)의 강도를 약하게 하지 않으면서 상기 스페이서(160)의 단면적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연통홀(162)을 통해 상기 중공부(161) 내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으므로 중공부(161) 내부를 진공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페이서(160)를 통한 열전달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창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창의 제조방법은 2장의 판유리(110) 사이에 실런트(130)를 게재시키는 단계(S110)와, 상기 각 판유리(110)와 상기 실런트(130) 사이에 필름재(140)의 게재부(141)를 게재시키는 단계(S120)와, 상기 게재부(141)로부터 연장된 제1연장부(142)가 상기 판유리(110)의 단부를 감싸도록 위치시키는 단계(S130)와, 상기 각 게재부(141)로부터 연장된 한쌍의 제2연장부(143)가 상기 실런트(130)를 감싸도록 서로 위치시키는 단계(S140)와, 상기 필름재(140)에 열을 가함으로써 상기 게재부(141) 및 상기 제1연장부(142)가 상기 판유리(110) 및 상기 실런트(130)와 서로 융착되도록 하고, 상기 한쌍의 제2연장부(143)끼리 서로 융착되도록 하는 단계(S15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필름재(140)의 게재부(141), 제1연장부(142) 및 제2연장부(143)를 각 위치에 맞게 위치시킨 후에 필름재(140)에 열을 가함으로써 상기 게재부(141)가 판유리(110)와 실런트(130) 사이에서 접착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제1연장부(142) 및 제2연장부(143)가 각각 제1접착부(145) 및 제2접착부(146)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판유리(110)와 상기 실런트(130) 사이에 필름재(140)의 게재부(141)를 게재시키는 단계(S110) 이전에 2장의 필름재(140)의 일부분을 서로 접착하여 판유리(110)와 실런트(130) 사이에 게재되는 게재부(141)를 형성할 수 있다.
물론 2장의 필름재(140)를 겹쳐 판유리(110)와 실런트(130) 사이에 게재한 후 필름재(140)에 열을 가하여 게재부(141)를 형성할 수도 있지만 이와 같이 2장의 필름재(140) 중 일부분을 미리 접착한 필름재(140)를 미리 제작함으로써 게재부(141)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게재부(141), 제1접착부(145) 및 제2접착부(146)를 형성하기 위해 필름재(140)를 고정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창 및 진공창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판유리 120: 실링부
130: 실런트 140: 필름재
141: 게재부 142: 제1연장부
143: 제2연장부

Claims (6)

  1. 중공의 공간부를 형성하는 2장의 판유리와,
    상기 판유리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를 밀봉하는 실링부와,
    상기 2장의 판유리 사이에 게재되어 2장의 판유리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스페이서를 구비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2장의 판유리 사이에 게재되는 실런트와,
    상기 판유리와 상기 실런트 사이에 게재되는 한쌍의 게재부와 상기 게재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연장부가 상기 판유리의 단부를 감싸며 상기 판유리의 외측면에 접착되어 형성되는 제1접착부를 구비하는 필름재를 포함하는 진공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각 게재부로부터 연장되는 한쌍의 제2연장부가 상기 실런트를 감싸도록 서로 열융착되어 형성되는 제2접착부를 더 구비하는 진공창.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중앙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기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창.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기둥 형상이며, 상기 스페이서의 외주면에는 상기 중공부와 연통하는 연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창.
  5. 2장의 판유리 사이에 실런트를 게재시키는 단계와,
    상기 각 판유리와 상기 실런트 사이에 필름재의 게재부를 게재시키는 단계와,
    상기 게재부로부터 연장된 제1연장부가 상기 판유리의 단부를 감싸도록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각 게재부로부터 연장된 한쌍의 제2연장부가 상기 실런트를 감싸도록 서로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필름재에 열을 가함으로써 상기 게재부 및 상기 제1연장부가 상기 판유리 및 상기 실런트와 서로 융착되도록 하고, 상기 한쌍의 제2연장부끼리 서로 융착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공창의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각 판유리와 상기 실런트 사이에 필름재의 게재부를 게재시키는 단계이전에 2장의 필름재의 일부분을 서로 접착하여 게재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진공창의 제조방법.
KR1020100088848A 2010-09-10 2010-09-10 진공창 및 진공창의 제조방법 KR101209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848A KR101209946B1 (ko) 2010-09-10 2010-09-10 진공창 및 진공창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848A KR101209946B1 (ko) 2010-09-10 2010-09-10 진공창 및 진공창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6750A true KR20120026750A (ko) 2012-03-20
KR101209946B1 KR101209946B1 (ko) 2012-12-10

Family

ID=46132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8848A KR101209946B1 (ko) 2010-09-10 2010-09-10 진공창 및 진공창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99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22573A (zh) * 2014-03-17 2014-07-16 大连交通大学 真空玻璃及其加工过程
KR20190115797A (ko) 2018-04-04 2019-10-14 김관호 이중 창호용 감압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39384A (en) * 1980-03-31 1981-10-30 Aisin Seiki Vacuum insulated sash and production thereof
JP2005320229A (ja) * 2004-04-08 2005-11-17 Nippon Sheet Glass Co Ltd 減圧ガラス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ES2588000T3 (es) 2007-04-05 2016-10-28 Grenzebach Maschinenbau Gmbh Elemento constructivo de vidrio de aislamiento por vacío así como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su producción
DE102007030031B3 (de) 2007-06-29 2009-02-26 Futech Gmbh Wärmedämmendes Verglasungselement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22573A (zh) * 2014-03-17 2014-07-16 大连交通大学 真空玻璃及其加工过程
KR20190115797A (ko) 2018-04-04 2019-10-14 김관호 이중 창호용 감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9946B1 (ko) 2012-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55438B1 (en) Improvements to thermally insulating glass panels
KR101688297B1 (ko)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
KR102120087B1 (ko) 두꺼운 단열 유리 윈도우 유닛을 수용하도록 설계된 윈도우 프레임 내에 진공 단열 유리 윈도우 유닛을 설치하기 위한 스페이서 시스템
JP6635386B2 (ja) 真空ガラスパネルの製造方法
EP2966047B1 (en) Method for producing multiple pane glass
KR20040074057A (ko) 복층 유리
KR101733835B1 (ko) 마감 부재용 프릿 성형체
JP6775190B2 (ja) ガラスパネルユニットおよびガラス窓
JPH09268035A (ja) 複層ガラス
KR101209946B1 (ko) 진공창 및 진공창의 제조방법
KR101453307B1 (ko) 진공 유리 패널 모듈
KR101708530B1 (ko) 진공유리 패널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진공유리 패널
KR100925216B1 (ko) 진공 복층유리
JP2011220029A (ja) 複層ガラスユニット又は複層ガラス
KR101322585B1 (ko) 진공유리 및 그 제조방법
JP2007024298A (ja) 二重ガラス板式真空断熱板
KR101581996B1 (ko) 분리 영역을 형성하는 실링재를 포함하는 진공유리 및 이를 이용하여 복수의 진공유리를 제조하는 방법
KR101407318B1 (ko) 진공 유리 패널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102068335B1 (ko) 진공유리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28659A (ko) 진공다층 유리
KR101082020B1 (ko) 진공창의 제조방법
CA2966027C (en) Energy-saving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034489B1 (ko) 저진공 복층 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04638B1 (ko) 진공유리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EP3604245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panel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wind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