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6699A - 양방향 사출금형 - Google Patents

양방향 사출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6699A
KR20120026699A KR1020100088733A KR20100088733A KR20120026699A KR 20120026699 A KR20120026699 A KR 20120026699A KR 1020100088733 A KR1020100088733 A KR 1020100088733A KR 20100088733 A KR20100088733 A KR 20100088733A KR 20120026699 A KR20120026699 A KR 20120026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raw material
injection
injection mold
material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8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7431B1 (ko
Inventor
전태기
Original Assignee
화남정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남정밀(주) filed Critical 화남정밀(주)
Priority to KR1020100088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7431B1/ko
Publication of KR20120026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6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7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7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005Ejector constructions; Ejector operat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3Injection moulding apparatus
    • B29C45/13Injection moulding apparatus using two or more injection units co-operating with a singl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3Injection moulding apparatus
    • B29C45/13Injection moulding apparatus using two or more injection units co-operating with a single mould
    • B29C2045/135Injection moulding apparatus using two or more injection units co-operating with a single mould selectively injecting different materials in the same mould for making different articles in the same mould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 금형에 관한것으로서, 상부면에 제1원료 주입구가 구비된 제1금형와, 하부면에 제2원료 주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제1금형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제2금형을 포함하되, 상기 제1금형과 제2금형의 내부에는 이형의 캐비티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방향 사출금형{two-way injection mold}
본 발명은 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금형으로 이형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양방으로 소재 주입구가 형성된 양방향 금형에 관한 것이다.
사출 금형은 분리가능한 금형 내부에 형성된 제품 형상의 캐비티에 용융된 소재를 주입시켜서 제품을 생산하는데 이동되는 금형이며,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제품을 생산하는 데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사출 금형을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사출 금형은 사출성형기에 장착될 때 중심부에 일치시키기 편하도록 노즐과 접촉되는 부위에 로케이팅 링(4:rocating ring)이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고, 수직이동가능한 상부 금형(1)과 공작대(6)에 고정된 하부 금형(2)을 통해서 형성된 캐비티(5:cavity)에 용융된 소재를 주입시켜서 원하는 제품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하부 금형에는 성형된 제품을 취출하기 위한 이젝터(3)가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사출 금형은 생산 제품이 변경되는 경우 다른 사출 금형으로 교체하여야 하며, 이러한 교체 작업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며, 각 제품마다 별도의 금형을 제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사출금형을 통해서 다른 종류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각각의 캐비티가 구비된 양방향 사출 금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사출 금형은 상부면에 제1원료 주입구가 구비된 제1금형와, 하부면에 제2원료 주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제1금형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제2금형을 포함하되, 상기 제1금형과 제2금형의 내부에는 이형의 캐비티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금형과 제2금형 사이에 제품 취출용 이젝터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금형의 상부면과 제2금형의 하부면에 각각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원료 주입구 및 제2원료 주입구의 단부가 상기 함몰부의 중심부에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1원료 주입구 및 제2원료 주입구의 단부에는 노즐 연결용 로케이팅 링이 수직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로케이팅 링을 수직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이 상기 함몰부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사출 금형은 다른 종류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각각의 캐비티가 구비된 하나의 사출 금형을 통해서 제품 변경으로 인한 금형 교체 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으며, 생산 수량이 작은 제품의 경우 금형개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사출 금형을 도시하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사출 금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부분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사출 금형의 사용예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사출 금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사출 금형은 상부면에 제1원료 주입구(12)가 구비된 제1금형(10)와, 하부면에 제2원료 주입구(22)가 구비되며 상기 제1금형(10)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제2금형(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금형(10)과 제2금형(20)의 내부에는 이형의 캐비티(16,26)가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제1금형을 이용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상태로 사용하며, 제2금형을 이용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경우에는 도시된 금형을 180회전시켜서 사용하게 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사출 금형을 회전시키는 경우 돌출된 로케이팅 링(22,12)때문에 공작대에 설치하기 어렵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금형의 상부면과 제2금형의 하부면에 각각 함몰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제1원료 주입구(12) 및 제2원료 주입구의 단부가 상기 함몰부(11)의 중심부에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1원료 주입구(12) 및 제2원료 주입구의 단부에는 노즐 연결용 로케이팅 링(14)이 수직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로케이팅 링(14)을 수직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30)이 상기 함몰부(11)에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30)은 로케이팅 링(14)의 형상이나 함몰부(11)의 형상에 따라서 종류와 갯수를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금형(10)과 제2금형(20) 사이에 제품 취출용 이젝터(40a,40b)가 설치된다.
상기 이젝터는 유압작동부(42)와 상기 유압작동부(42)를 통해서 수직으로 이동되는 이젝터 플레이트(44)와 상기 이젝터 플레이트(44)의 수직이동에 따라서 성형된 제품을 취출시키는 이젝터(46)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이젝터는 종래의 사출 금형에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금형(10)과 제2금형(20) 각각의 제품을 취출하기 위한 이젝터(40a, 40b)가 설치될 수도 있고, 하나의 이젝터를 통해서 금형의 위치에 따라서 작동되는 이젝터 핀을 조정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사출 금형의 사용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사출 금형의 사용예시도이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금형(10)을 이용하여 제품을 성형하는 경우에는 제1금형(10)이 제2금형의 상측에 올려진 상태로 공작대(6)에 설치한다.
이때 제2금형(20)의 로케이팅 링(24)은 함몰부(21) 내부로 밀려진 상태에서 공작대에 올려지게 되고, 제1금형(10)의 로케이팅 링(14)은 스프링은 통해서 제1금형(10)의 상부면에 돌출된 상태가 되어 사출기의 노즐과 연결된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금형(20)을 통해서 제품을 성형하는 경우 사출 금형을 180도 회전시켜서 제2금형(20)이 상측으로 올려진 상태에서 공작대(6)에 올려지게 된다.
이때 제1금형(10)의 로케이팅 링(14)은 함몰부(11)에 밀려진 상태가 되어 공작대(6)와 간섭을 피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다른 제품을 성형할 수 있는 양방향 사출 금형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한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으며, 도면을 참고하여 상술한 실시 예는 단지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제1금형
11: 함몰부
12: 제1원료 주입구
14: 로케이팅 링
16: 캐비티
20: 제2금형
22: 제2원료 주입구
24: 로케이팅 링
26: 캐비티
30: 스프링
40a,40b: 이젝터
42: 유압 작동부
44: 이젝터 플레이트
46: 이젝터 핀

Claims (3)

  1. 상부면에 제1원료 주입구가 구비된 제1금형와;
    하부면에 제2원료 주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제1금형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제2금형;을 포함하되,
    상기 제1금형과 제2금형의 내부에는 이형의 캐비티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사출금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금형과 제2금형 사이에 제품 취출용 이젝터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사출금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금형의 상부면과 제2금형의 하부면에 각각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원료 주입구 및 제2원료 주입구의 단부가 상기 함몰부의 중심부에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1원료 주입구 및 제2원료 주입구의 단부에는 노즐 연결용 로케이팅 링이 수직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로케이팅 링을 수직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이 상기 함몰부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사출금형.
KR1020100088733A 2010-09-10 2010-09-10 양방향 사출금형 KR101177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733A KR101177431B1 (ko) 2010-09-10 2010-09-10 양방향 사출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733A KR101177431B1 (ko) 2010-09-10 2010-09-10 양방향 사출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6699A true KR20120026699A (ko) 2012-03-20
KR101177431B1 KR101177431B1 (ko) 2012-08-27

Family

ID=46132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8733A KR101177431B1 (ko) 2010-09-10 2010-09-10 양방향 사출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74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0987A (ko) * 2015-04-09 2016-10-19 박재성 다수 개의 파팅라인을 갖는 다중 금형
CN109514801A (zh) * 2017-09-20 2019-03-26 富强鑫精密工业股份有限公司 用于射出成型机的双向顶出机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8639B1 (ko) * 2021-12-02 2022-07-08 평화산업주식회사 다단식 금형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81324B2 (ja) * 2007-07-20 2011-09-28 三菱重工プラスチック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二材成形用射出成形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0987A (ko) * 2015-04-09 2016-10-19 박재성 다수 개의 파팅라인을 갖는 다중 금형
CN109514801A (zh) * 2017-09-20 2019-03-26 富强鑫精密工业股份有限公司 用于射出成型机的双向顶出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7431B1 (ko) 2012-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7431B1 (ko) 양방향 사출금형
CN103895187A (zh) 电源插座插孔塑料面板模具
CN210082294U (zh) 一种保护套注塑模具
CN210758344U (zh) 一种便于脱模的陶瓷微孔注塑成型模具
CN103009570B (zh) 花架中心连接头塑料模具
CN208410513U (zh) 一种双色注塑成型机构
KR100863353B1 (ko) 멀티 사출금형 조립체
CN211389983U (zh) 一种分体式组合模具
CN209851469U (zh) 一种加工具有复杂结构冰箱抽屉面罩的注塑模具
CN211389852U (zh) 一种游戏摇杆双色模具
CN202985961U (zh) 花架中心连接头塑料模具
CN202213141U (zh) 一种手麦盒模具装置
KR101373212B1 (ko) 사출금형의 멀티코어구조
KR200489207Y1 (ko) 사출금형의 언더컷성형용 슬라이드
CN215703796U (zh) 一种上盖的成型模具
CN210705824U (zh) 一种解决简化模具结构的新型脱动模倒扣机构
CN218256557U (zh) 一种脱模机构及注塑模具
CN216708168U (zh) 一种顶针快速出料的注塑模具
CN103009571A (zh) 带螺栓的花架中心连接头塑料模具
CN220447078U (zh) 一种便于脱模的模具
CN211251159U (zh) 一种医药盒盖子注塑模具
CN211591111U (zh) 一种灯具注塑成型模
CN208133488U (zh) 模块式快速互换塑料椅专用模具
CN218803730U (zh) 一种新型模具
CN212219161U (zh) 一种可快速脱模的注塑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