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6500A - 코로나 팁 절연기 - Google Patents

코로나 팁 절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6500A
KR20120026500A KR1020117027632A KR20117027632A KR20120026500A KR 20120026500 A KR20120026500 A KR 20120026500A KR 1020117027632 A KR1020117027632 A KR 1020117027632A KR 20117027632 A KR20117027632 A KR 20117027632A KR 20120026500 A KR20120026500 A KR 20120026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ona
ceramic insulator
igniter
forming
forming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7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2193B1 (ko
Inventor
키쓰 햄프턴
알프레드 퍼무이
Original Assignee
페더럴-모굴 이그니션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더럴-모굴 이그니션 컴퍼니 filed Critical 페더럴-모굴 이그니션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120026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6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2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2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9/00Devices providing for corona discharge
    • H01T19/04Devices providing for corona discharge having point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3/00Sparking plugs
    • H01T13/50Sparking plugs having means for ionisation of ga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Spark Plugs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체로 자동차 등에서 공기/연료 혼합물을 점화시키는데 사용되는 코로나 방전 점화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코로나 방전 점화기에 전압이 가해질 때 아크가 형성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코로나 방전 점화기는 절연기의 팁에 경사진 오목부 또는 그루브와 같은, 다양한 형상과 구성을 가지고 있다. 팁의 형상 및 구성은 보다 강화된 전계를 생성하는 작은 반경을 제공하고 보다 우수한 연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코로나 팁 절연기{CORONA TIP INSULATOR}
본 발명은 대체로 자동차 등에서 공기/연료 혼합물을 점화시키는데 사용되는 코로나 방전 점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절연기의 팁에 경사진 오목부 또는 그루브를 가지고 있는 코로나 방전 점화기에 관한 것이다.
대체로 종래의 점화 플러그는 부분적으로 금속 셸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말단부를 향해서 축방향으로 뻗어 있는 세라믹 절연기를 이용한다. 전도성 단자는 말단부에서 중심 보어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전도성 단자는 중심 보어 내에 배치되어 있는 중심 전극 조립체의 일부분이다. 반대쪽/코로나 형성 단부에는, 중심 전극이 절연기 내에 배치되어 있고 셸에 배치된 접지 전극과 함께 불꽃 간격(spark gap)을 한정하는 노출된 불꽃점화 표면을 가지고 있다. 광범위하게 다양한 단자, 셸 및 전극 구성을 수용하기 위해 다양한 상이한 절연기 구성이 사용된다.
미국 특허 제6,883,507호는 코로나 방전 공기/연료 점화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점화기를 개시하고 있다. 전형적인 내연엔진에서는, 점화 플러그 소켓에 의해 점화 플러그의 전극이 연소실과 연통하도록 점화 플러그가 내연엔진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피드스루(feed-through) 절연기(71a)는, 피드스루 절연기(71a)가 실린더 헤드(51)를 통과하여 연소실(50)로 뻗어나가면서 전극(40)을 둘러싸고 있다. 피드스루 절연기(71a)는 금속 실린더로 될 수 있는 전극 하우징(72)에 고정되어 있다. 전극 하우징(72)과 전극(40) 사이의 공간(73)은 유전성 기체(dielectric gas) 또는 압축 공기로 채워질 수 있다. 제어 전자장치 및 1차 코일 유닛(60), 2차 코일 유닛(70), 전극 하우징(72), 전극(40) 그리고 피드스루 절연기(71a)는 함께 공간(52) 속으로 삽입될 수 있는 점화기(88)를 형성한다. 점화기(88)는 작동하는 동안 실린더 헤드(51)속에 끼워질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전극(40)은 연소실(50) 내의 연료-공기 혼합물 속에 직접 배치된다. 다시 말해서, 전극(40)이 피드스루 절연기(71a)를 통해서 뻗어나와 연료-공기 혼합물에 직접 노출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극(40)이, 연료-공기 혼합물에 직접 노출되도록 피드스루 절연기의 둘러싸는 절연 물질 바깥으로 뻗어나오지 않는다. 오히려, 전극(40)은 피드스루 절연기에 의해 덮혀있는 채로 남아있으며 피드스루 절연기의 전극 통과 부분의 전계에 따라 연소실(50) 내에 전계를 발생시킨다.
상기 점화기에 있어서, 피드스루 절연기는 질화붕소(BN)로 제작되어 있다. 질화붕소(BN)는 상기 사용처에 매우 바람직한 특성인 우수한 절연파괴강도(dielectric breakdown strength) 및 매우 작은 유전 상수를 가지고 있지만, 매우 연질의 재료이므로, 자동차 엔진 및 산업용 엔진에 실용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내구성이 불충분하다. 또한 질화붕소(BN)는 매우 비싼 재료이며 대량 생산을 위해 효율적인 방식으로 원하는 기하학적 구조의 절연기로 가공하기가 곤란하다.
렐바 씨 부카난(Relva C. Buchanan)이 저술한 출판물 "전자장치용 세라믹 재료(Ceramic Materials for Electronics)" 제3 판, 개정 확장본은 전기 회로를 절연시키고 전도체들을 물리적으로 분리시키며 전도체들 사이에 전류가 흐르는 것을 제한하거나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세라믹 절연기를 개시하고 있다. 절연체로서 세라믹의 주된 장점은 화학적 특성, 기계적 특성, 또는 유전적 특성(dielectric property)에 있어서 심각한 저하를 나타내지 않고서 고온에서 작동하는 능력이다. 특히, 상기 출판물에 개시된 재료의 종류는 선형 유전체(linear dielectrics)로 알려져 있고, 이 선형 유전체에서는 전기 변위(electrical displacement)(D)가 전계(electric field)(E)에 정비례하여 증가하는데, 여기서 비례상수는 물질의 비유전율(relative permittivity)(εr)과 진공의 비유전율(ε0)이다. 이것은 다음식 D = ε0εrE 로 표현되고, 상기 식에서 D = 전기 변위(V/m), E = 전계(V/m), ε0= 진공의 비유전율, 및 εr = 물질의 비유전율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사용예 등과 같은 사용예에서 공기/연료 혼합물을 점화시키는데 사용되는 코로나 방전 점화기, 특히 절연기의 팁부분에 경사진 오목부 또는 그루브를 가지고 있는 코로나 방전 점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폐쇄 단부 세라믹 절연기를 포함하고 있다. 절연기의 단부에는, 경사진 오목부 또는 그루브가 서로 직각으로 배향되어 있다. 경사진 오목부 또는 그루브로 인해, 그 주위 구역에서 전계 강도가 상승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는, 말단부 및 코로나 형성 단부를 가지고 있는 세라믹 절연기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세라믹 절연기의 코로나 형성 단부는 코로나 형성 단부의 구역에서 전계 강도를 증가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는 코로나 방전 연료/공기 점화 시스템의 점화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부 표면과 연소실 사이에서 반경방향으로 뻗어 있는 상부 쇼울더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상부 표면으로부터 상기 연소실까지 뻗어 있는 점화기 개구를 가지고 있는 실린더 헤드와, 코로나 점화기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코로나 점화기는 말단부 및 코로나 형성 단부를 가지고 있는 세라믹 절연기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세라믹 절연기의 코로나 형성 단부는 코로나 형성 단부의 구역에서 전계 강도를 증가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는 내연엔진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셸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인 세라믹 절연기를 가진 코로나 점화기를 제공하는 단계; 그리고 코로나 형성 단부의 구역에서 전계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점화기의 코로나 형성 단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로나 방전 연료/공기 점화 시스템의 점화기를 형성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세라믹 절연기가 코로나 형성 단부에서 폐쇄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제1항에 있어서, 세라믹 절연기의 코로나 형성 단부는, 서로 직각으로 배향되어 있는 한 쌍의 경사진 오목부 또는 그루브; 편평한 원형 정상부; V자 형상으로 된 하나의 경사진 오목부 또는 그루브; 둥근 정상부; 별모양을 형성하는 오목부 또는 그루브를 가진 편평한 원형 정상부; 및 편평한 원형 정상부를 가진 원뿔 형상 중의 하나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세라믹 절연기가 말단부로부터 코로나 형성 단부까지 길이방향의 보어 축을 따라서 뻗어 있는 내측 보어; 및 상기 내측 보어 내에 수용되어 있으며 코로나 형성 단부에서 세라믹 절연기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전극을 더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특징 및 장점과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참고하면 당해 기술분야의 전문가가 보다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면이 상세한 설명을 수반하여 아래에 설명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서 알려져 있는 내연엔진의 코로나 방전 연소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을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코로나 팁 절연기를 나타내고 있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진 오목부를 가진 예시적인 코로나 팁 절연기를 타나내고 있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절연기의 코로나 팁의 예시적인 평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A에 도시된 코로나 팁 절연기의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코로나 팁 절연기의 예시적인 평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F는 폐쇄된 단부 팁이 다양한 형상으로 바깥쪽으로 뻗어 있는, 다양한 실시예의 경사진 오목부 또는 그루브를 가진 본 발명의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6A 내지 도 6F는 도 5A 내지 도 5F의 실시예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코로나 점화 시스템에서는, 전자 회로에서 라디오 주파수 신호가 발생되어 동축 케이블을 통하여 점화기로 전송된다. 전압이 지나치게 높으면, 원치 않는 아크(arc)가 전극 팁으로부터 헤드로 형성될 수 있다. 대체로, 아크 발생을 방지하는 것은 아크를 검출하여 중단시키는 회로나, 전극 둘레에 배치되어 있는 기계적인 장벽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기계적인 장벽은 점화를 일으키는데 필요한 전계 강도를 감소시키는데 기여한다. 본 발명은 아크 발생없이 또는 이러한 아크 발생을 검출하는 데 필요한 장치없이 점화를 일으키기에 충분히 큰 전계 강도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대체로 세라믹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비전도성인 절연기(5)가 코로나 형성 단부(10)와 말단부(15) 사이에 뻗어 있다. 말단부(15)로부터 코로나 형성 단부(10)로 뻗어 있는, 코로나 형성 단부 조립체 절연기(5)는 말단 부분(20), 큰 쇼울더(25), 작은 쇼울더(30), 그리고 코로나 형성 단부 부분(35)을 포함하고 있다. 코로나 형성 단부(10)에는, 아래에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절연기가 다양한 형상, 구성 및 실시예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며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는 세라믹 절연기는 자동차 엔진에 사용하기 위한 것과 같은 내연엔진에 사용되는 전형적인 점화 플러그에서 볼 수 있는 것과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당해 기술분야의 전문가는 상기 절연기가 원하는 사용처에 따라 다양한 형상, 크기 및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수의 실시예에서는, 큰 쇼울더(25)가 생략될 수 있다.
전극(40)은 절연기(5) 내에 수용되어 있으며 코로나 형성 단부(10)에서 전극 팁(40a)을 형성하고 있다. 전극 팁(40a)도 절연기(5) 내측에 자리잡고 있으며, 상기 절연기는 금속 입자를 내장하고 있다. 전극 팁(40a)은 절연기의 금속 입자 주위에 전계를 발생시킨다. 유도된 전계는 코로나를 형성하게 하는 가스에 비열성 플라즈마(non-thermal plasma)를 발생시킨다. 그러나, 고밀도 플라즈마가 형성되면, 아크가 전극 팁과 금속 입자 사이에 높은 임피던스(impedance)를 형성할 수 없게 된다.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코로나 팁 절연기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폐쇄 단부 세라믹 절연기가 코로나 형성 단부로 형성된 경사진 오목부 또는 그루브(50)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에서는, 서로 직교하게 배향된 한 쌍의 경사진 오목부가 절연기의 코로나 형성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는 절연기의 단부를 4개의 뿔(horn)로 형성되게 하고, 이 4개의 뿔은 자신의 구역에서 전계 강도를 증가시키는데 기여한다. 이러한 전계 강도의 증가는, 윤곽이 뚜렷한 강력한 코로나를 제공함과 동시에 발생을 검출하는 회로에 대한 필요성을 배제시킨다. 경사진 오목부 및 그루브는 당해 기술 분야의 전문가 알고 있는 기계가공 또는 임의의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절연기의 코로나 팁의 예시적인 평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A의 코로나 팁 절연기의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절연기 재료는 전극이 수용되는 캐버티를 가지고 있다. 절연기의 코로나 형성 단부에는, 팁이 경사진 오목부 또는 그루브(50)로 형성되어 있다. 경사진 오목부 또는 그루브(50)는 각도 a 및 깊이 d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도 a 및 깊이 d는 다양한 작동 조건 및 특정 엔진의 요구사항을 수용하기 위해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절연기 팁의 형상, 크기 및 구성은, 예를 들면 도 5A 내지 도 5F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를 만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A는 절연기 팁이 편평한 원형 정상부(top)로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B는 절연기 팁이 V자 형상으로 된 하나의 경사진 오목부 또는 그루브로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C는 절연기 팁이 둥근 정상부로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D는 절연기 팁이 도 5A와 유사한 편평한 원형 정상부로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 5D에서는 정상부에 오목부 또는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서는, 오목부 또는 그루브가 별모양을 형성하고 있다. 도 5E는 절연기 팁이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팁이 뾰족하게 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F는 절연기 팁이 도 5E와 유사한 원뿔 형상으로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 5F에서는 절연기의 팁이 편평한 원형 정상부로 되어 있다. 도 6A 내지 도 6F는 각각 도 5A 내지 도 5F에 도시된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작동한다. 세라믹 절연기(5)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심부에 있는 금속 전도체(전극)(40)를 가지고 있다. 전압이 전극(40)에 가해지는데, 이때 전압은 대체로 사인곡선 형태(sinusoidal fashion)로 가해진다. 절연기(5)가 세라믹이므로, 본질적으로 전기적으로 저항성을 가지고, 이는 전하를 보유할 수 있는 유전율을 제공한다. 전압에 대한 저항성은 절연파괴 전압 레벨에 도달할 때까지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가해진 전압으로 인해 코로나가 형성된다. 일단 절연파괴 전압 레벨에 도달하면, 전류가 흐르고 절연기(5)의 코로나 형성 단부(10)에서는 코로나가 형성된다.
당해 기술분야에서 알고 있는 바와 같이, 절연파괴가 발생하기 전에는, 전계가 전극(40) 주위에 형성된다. 전계는 세라믹 절연기(5)를 둘러싸고 전극과 유사한 전압 레벨에서 변한다. 따라서 전극이 연소실 속으로 뻗어 있을 필요가 없도록 코로나가 세라믹에서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전극(40)은 연소실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으며 코로나를 형성하기 위해 절연체(세라믹)를 이용한다. 도 3A 내지 도 3B 및 도 4A 내지 도 4B의 실시예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경사진 오목부 또는 그루브가 절연기 팁의 근처에서 작은 반경을 이루는 뽀족한 끝부분(point) 또는 뿔(horn)을 형성한다. 보다 작은 반경은 보다 양호한 이온화를 제공하는 보다 강한 전계를 발생시킨다. 부가적으로, 도 5A 내지 도 5F 및 도 6A 내지 도 6F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 3A 내지 도 3B 및 도 4A 내지 도 4B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팁은 다양한 각도로 형성될 수 있고, 오목부 및 그루브는 절연기 팁 근처에서 보다 작은 반경을 형성함으로써 강한 전계로 코로나를 제공하는 팁을 형성한다. 본 발명은 도시된 실시예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코로나를 형성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 또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발명은 관련된 법적 기준에 따라 설명되어 있으므로, 상기 설명은 본질적으로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에 대한 여러가지 변형 및 수정은 당해 기술분야의 전문가에게 자명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영역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제공되는 법적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항들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Claims (12)

  1. 코로나 방전 연료/공기 점화 시스템의 점화기로서,
    말단부 및 코로나 형성 단부를 가지고 있는 세라믹 절연기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세라믹 절연기의 코로나 형성 단부는 코로나 형성 단부의 구역에서 전계 강도를 증가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로나 방전 연료/공기 점화 시스템의 점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세라믹 절연기가 코로나 형성 단부에서 폐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로나 방전 연료/공기 점화 시스템의 점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세라믹 절연기의 코로나 형성 단부는,
    서로 직각으로 배향되어 있는 한 쌍의 경사진 오목부 또는 그루브;
    편평한 원형 정상부;
    V자 형상으로 된 하나의 경사진 오목부 또는 그루브;
    둥근 정상부;
    별모양을 형성하는 오목부 또는 그루브를 가진 편평한 원형 정상부; 및
    편평한 원형 정상부를 가진 원뿔 형상;
    중의 하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로나 방전 연료/공기 점화 시스템의 점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세라믹 절연기가
    말단부로부터 코로나 형성 단부까지 길이방향의 보어 축을 따라서 뻗어 있는 내측 보어; 및
    상기 내측 보어 내에 수용되어 있으며 코로나 형성 단부에서 세라믹 절연기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전극;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로나 방전 연료/공기 점화 시스템의 점화기.
  5. 내연엔진으로서,
    상부 표면과 연소실 사이에서 반경방향으로 뻗어 있는 상부 쇼울더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상부 표면으로부터 상기 연소실까지 뻗어 있는 점화기 개구를 가지고 있는 실린더 헤드와, 코로나 점화기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코로나 점화기는 말단부 및 코로나 형성 단부를 가지고 있는 세라믹 절연기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세라믹 절연기의 코로나 형성 단부는 코로나 형성 단부의 구역에서 전계 강도를 증가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엔진.
  6. 제5항에 있어서, 세라믹 절연기가 코로나 형성 단부에서 폐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엔진.
  7. 제5항에 있어서, 세라믹 절연기의 코로나 형성 단부는,
    서로 직각으로 배향되어 있는 한 쌍의 경사진 오목부 또는 그루브;
    편평한 원형 정상부;
    V자 형상으로 된 하나의 경사진 오목부 또는 그루브;
    둥근 정상부;
    별모양을 형성하는 오목부 또는 그루브를 가진 편평한 원형 정상부; 및
    편평한 원형 정상부를 가진 원뿔 형상;
    중의 하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엔진.
  8. 제5항에 있어서, 세라믹 절연기가
    말단부로부터 코로나 형성 단부까지 길이방향의 보어 축을 따라서 뻗어 있는 내측 보어; 및
    상기 내측 보어 내에 수용되어 있으며 코로나 형성 단부에서 세라믹 절연기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전극;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엔진.
  9. 코로나 방전 연료/공기 점화 시스템의 점화기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셸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인 세라믹 절연기를 가진 코로나 점화기를 제공하는 단계; 그리고
    코로나 형성 단부의 구역에서 전계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점화기의 코로나 형성 단부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로나 방전 연료/공기 점화 시스템의 점화기를 형성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세라믹 절연기가 코로나 형성 단부에서 폐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로나 방전 연료/공기 점화 시스템의 점화기를 형성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세라믹 절연기의 코로나 형성 단부는,
    서로 직각으로 배향되어 있는 한 쌍의 경사진 오목부 또는 그루브;
    편평한 원형 정상부;
    V자 형상으로 된 하나의 경사진 오목부 또는 그루브;
    둥근 정상부;
    별모양을 형성하는 오목부 또는 그루브를 가진 편평한 원형 정상부; 및
    편평한 원형 정상부를 가진 원뿔 형상;
    중의 하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로나 방전 연료/공기 점화 시스템의 점화기를 형성하는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세라믹 절연기가
    말단부로부터 코로나 형성 단부까지 길이방향의 보어 축을 따라서 뻗어 있는 내측 보어; 및
    상기 내측 보어 내에 수용되어 있으며 코로나 형성 단부에서 세라믹 절연기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전극;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로나 방전 연료/공기 점화 시스템의 점화기를 형성하는 방법.
KR1020117027632A 2009-05-04 2010-05-04 코로나 팁 절연기 KR1017521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511109P 2009-05-04 2009-05-04
US61/175,111 2009-05-04
PCT/US2010/033526 WO2010129535A2 (en) 2009-05-04 2010-05-04 Corona tip insul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6500A true KR20120026500A (ko) 2012-03-19
KR101752193B1 KR101752193B1 (ko) 2017-06-29

Family

ID=43050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7632A KR101752193B1 (ko) 2009-05-04 2010-05-04 코로나 팁 절연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464679B2 (ko)
EP (1) EP2427938A4 (ko)
JP (2) JP5894526B2 (ko)
KR (1) KR101752193B1 (ko)
CN (1) CN102460868B (ko)
BR (1) BRPI1014115B1 (ko)
WO (1) WO201012953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87683B2 (en) * 2008-01-31 2014-11-18 Plasma Igniter LLC Compact electromagnetic plasma ignition device
US8783220B2 (en) 2008-01-31 2014-07-22 West Virginia University Quarter wave coaxial cavity igniter for combustion engines
WO2010129952A2 (en) * 2009-05-08 2010-11-11 Federal-Mogul Ignition Company Corona ignition with self-turning power amplifier
JP5926283B2 (ja) 2010-12-14 2016-05-25 フェデラル−モーグル・イグニション・カンパニーFederal−Mogul Ignition Company 形状化された絶縁体を有するコロナ点火器
WO2013089732A2 (en) 2010-12-15 2013-06-20 Federal-Mogul Ignition Company Corona igniter including ignition coil with improved isolation
US8839753B2 (en) 2010-12-29 2014-09-23 Federal-Mogul Ignition Company Corona igniter having improved gap control
JP6014609B2 (ja) 2011-02-22 2016-10-25 フェデラル−モーグル・イグニション・カンパニーFederal−Mogul Ignition Company エネルギ効率が改善されたコロナ点火器
JP2012256489A (ja) * 2011-06-08 2012-12-27 Ngk Insulators Ltd 点火部品
DE102012108251B4 (de) * 2011-10-21 2017-12-07 Borgwarner Ludwigsburg Gmbh Korona-Zündeinrichtung
US8673795B2 (en) 2011-12-16 2014-03-18 Ceradyne, Inc. Si3N4 insulator material for corona discharge igniter systems
US10056738B2 (en) * 2012-03-23 2018-08-21 Federal-Mogul Llc Corona ignition device with improved electrical performance
US9088136B2 (en) * 2012-03-23 2015-07-21 Federal-Mogul Ignition Company Corona ignition device with improved electrical performance
DE102012110362B4 (de) * 2012-10-30 2015-10-15 Borgwarner Ludwigsburg Gmbh Koronazünd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Zündkopfes für eine Koronazündeinrichtung
DE102012110657B3 (de) * 2012-11-07 2014-02-06 Borgwarner Beru Systems Gmbh Koronazündeinrichtung
PE20170722A1 (es) 2014-04-08 2017-07-04 Plasma Igniter Inc Generacion de plasma de resonador de cavidad coaxial de senal doble
EP2977603A1 (en) * 2014-07-21 2016-01-27 Apojee Ignition unit and system
US9735553B1 (en) * 2014-07-30 2017-08-15 Fram Group Ip Llc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breakdown voltage/dielectric strength of spark plug insulators
US9775227B2 (en) * 2014-12-01 2017-09-26 Ngk Spark Plug Co., Ltd. Non-thermal equilibrium plasma ignition plug and non-thermal equilibrium plasma ignition device
US20180340507A1 (en) * 2015-12-03 2018-11-2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10179678B2 (en) 2017-04-26 2019-01-15 The Hartz Mountain Corporation Applicator with breakaway cap
US20190186369A1 (en) 2017-12-20 2019-06-20 Plasma Igniter, LLC Jet Engine with Plasma-assisted Combustion
DE102019126831A1 (de) 2018-10-11 2020-04-16 Federal-Mogul Ignition Llc Zündkerze
US11022086B2 (en) * 2018-10-19 2021-06-01 Tenneco Inc. Optimized barrier discharge device for corona ignition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33369A (en) * 1956-01-31 Low tension ignition system
US3014151A (en) * 1955-09-29 1961-12-19 Bendix Corp Electrical apparatus
JPS5512275A (en) * 1978-07-13 1980-01-28 Tokai T R W Kk Attraction method and attraction electrode plug for lean mixture in engine
US4284054A (en) * 1979-07-23 1981-08-18 Tokai Trw & Co. Ltd. Lean air-fuel mixture attraction method and attraction electrode plug in engine
US4910428A (en) * 1986-04-01 1990-03-20 Strumbos William P Electrical-erosion resistant electrode
US5264754A (en) * 1992-01-24 1993-11-23 Santoso Hanitijo Spark plug
US5469013A (en) 1993-03-31 1995-11-2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Large discharge-volume, silent discharge spark plug
DE4331269C2 (de) * 1993-09-15 1995-07-13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Zündkerze mit Gleitfunkenstrecke und nach den Verfahren hergestellte Zündkerzen
US5734222A (en) 1994-07-01 1998-03-31 Sixes And Sevens Pty Ltd Spark plug system
US5821676A (en) * 1994-09-12 1998-10-13 General Motors Corporation Spark plug with grooved, tapered center electrode
DE19629344C2 (de) * 1996-07-20 2000-05-04 Bremicker Auto Elektrik Gleitfunkenzündkerze zum Zünden eines Brennstoff-Luft-Gemisches
DE19747700C2 (de) * 1997-10-29 2000-06-29 Volkswagen Ag Zündeinrichtung mit einer Zündelektrode
JP2000048931A (ja) * 1998-05-22 2000-02-18 Ngk Spark Plug Co Ltd スパ―クプラグ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93476Y1 (ko) * 2000-03-03 2000-08-16 파렌 인터내셔널 캄퍼니 리미티드 스파크 플러그 구조체
US6883507B2 (en) * 2003-01-06 2005-04-26 Etatech, Inc.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sustaining a corona electric discharge for igniting a combustible gaseous mixture
DE10331418A1 (de) * 2003-07-10 2005-01-27 Bayerische Motoren Werke Ag Plasmastrahl-Zündkerze
FR2859830B1 (fr) * 2003-09-12 2014-02-21 Renault Sas Bougie de generation de plasma a inductance integree.
FR2859831B1 (fr) 2003-09-12 2009-01-16 Renault Sa Bougie de generation de plasma.
DE102006037037A1 (de) * 2006-08-08 2008-02-14 Siemens Ag Zündvorrichtung für Hochfrequenzplasmazündung
JP2008166252A (ja) * 2006-12-08 2008-07-17 Denso Corp 内燃機関用のスパークプラグ
JP4924275B2 (ja) * 2007-08-02 2012-04-2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非平衡プラズマ放電式の点火装置
CN103291522B (zh) * 2009-01-12 2015-12-02 费德罗-莫格尔点火公司 一种用于点燃内燃机中的燃料的方法
EP2633593A2 (en) * 2010-10-28 2013-09-04 Federal-Mogul Ignition Company Non-thermal plasma ignition arc suppre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82197A1 (en) 2010-11-11
JP6095700B2 (ja) 2017-03-15
CN102460868A (zh) 2012-05-16
EP2427938A2 (en) 2012-03-14
EP2427938A4 (en) 2013-07-24
JP2015122319A (ja) 2015-07-02
BRPI1014115B1 (pt) 2020-02-27
BRPI1014115A2 (pt) 2016-04-12
JP5894526B2 (ja) 2016-03-30
JP2012526239A (ja) 2012-10-25
KR101752193B1 (ko) 2017-06-29
US8464679B2 (en) 2013-06-18
WO2010129535A2 (en) 2010-11-11
CN102460868B (zh) 2013-09-25
WO2010129535A3 (en) 2011-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2193B1 (ko) 코로나 팁 절연기
JP5715705B2 (ja) 非熱プラズマ点火アークの抑制
US5619959A (en) Spark plug including magnetic field producing means for generating a variable length arc
US5555862A (en) Spark plug including magnetic field producing means for generating a variable length arc
JP5860478B2 (ja) コロナ点火装置、コロナ点火システムおよびコロナ点火装置の形成方法
US7741761B2 (en) Radiofrequency plasma spark plug
JP5963775B2 (ja) コロナ形成の位置が制御されたコロナ点火器
US10971902B2 (en) Spark plug for a high frequency ignition system
KR101904517B1 (ko) 온도 제어 특성을 가진 코로나 점화기
US20160049773A1 (en) Corona ignition device
EP1320159A1 (en) Current peaking spark plug
JP5820313B2 (ja) 点火プラグ及び点火システム
JP2005180435A (ja) 内燃機関において空気燃料混合物を点火するための装置
CN111492547B (zh) 火花塞
JP2022178364A (ja) スパークプラグ
JP2005180446A (ja) 内燃機関内の空気・燃料混合気に点火するための装置
US1308872A (en) Albert schmid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