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6416A - 핸들커버 제조용 금형 - Google Patents

핸들커버 제조용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6416A
KR20120026416A KR1020100088620A KR20100088620A KR20120026416A KR 20120026416 A KR20120026416 A KR 20120026416A KR 1020100088620 A KR1020100088620 A KR 1020100088620A KR 20100088620 A KR20100088620 A KR 20100088620A KR 20120026416 A KR20120026416 A KR 20120026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movable
core
fixed
handl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8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현종
Original Assignee
문현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현종 filed Critical 문현종
Priority to KR1020100088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6416A/ko
Publication of KR20120026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64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16Moulds having annular mould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005Ejector constructions; Ejector operat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29C2045/363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using a movable core or cor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47Steering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들커버 제조용 금형에 관한 것이다. 가동금형에 코어금형 연동공간을 구비하고 코어금형에 상기 연동공간 내에서 상기 가동금형에 연동하는 코어금형 연동대를 구비함으로써 코어금형의 지지상태가 항상 안정된 자세로 유지되며, 코어금형에 코어금형 몸체와 코어금형 연동대를 연결하여 코어금형이 가동금형에 가이드되도록 함과 아울러 코어금형 몸체가 장착되는 코어금형 가이드 겸 마운트 봉을 구비함으로써 코어금형을 가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요소가 휘어지는 등의 변형을 일으키지 않게 되어 코어금형의 가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고정금형을 우측에 고정, 설치하고 가동금형을 좌측에 가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수평형으로 설치하였을 때 금형열림 상태에서 고정금형 몸체와 코어금형 몸체 사이에 방해요소가 없으므로 작업자가 오른손을 이용하여 핸들커버 성형물을 탈거할 수 있어 작업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오른손 사용자가 탈거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고정금형을 상부에 고정, 설치하고 가동금형을 하부에 가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수직형으로 설치하였을 때에도 코어금형의 지지상태가 항상 안정되게 유지됨과 아울러 코어금형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금형열림 상태에서 상부의 고정금형 몸체와 하부의 코어금형 몸체 사이에 아무런 방해요소도 없게 되어 핸들커버 성형물을 코어금형의 상부로 탈거할 수 있게 되므로 핸들제품 성형물의 탈거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합성수지 사출성형에 적합한 구조를 채용하고 있어 핸들커버의 성형재료로서 우레탄을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핸들커버 제조용 금형{Mold for manufacturing handle cover}
본 발명은 핸들커버 제조용 금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코어금형의 지지상태가 항상 안정된 자세로 유지되며, 코어금형의 가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작업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오른손 사용자가 핸들커버 성형물의 탈거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핸들커버 제조용 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핸들커버는 차량의 안전운전에 중요한 요소로서 운전자의 조향조작시 미끄럼이 생기지 않고 원하는 조향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종래 핸들커버는 가죽이나 천 또는 모피 등으로 제조한 핸들커버는 그 표면이 미끄러워 운전자의 조향조작시 미끄럼이 발생하면서 예기치 못한 사고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합성수지로 제조한 핸들커버가 개발되었다.
일반적으로 핸들커버는 단면 형상("C"자형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고정금형과 가동금형으로 구성되는 2단 금형으로서는 성형할 수 없다.
따라서 핸들커버 제조용 금형은 고정금형과 가동금형 사이에 코어금형을 구비한 3단 금형으로 구성된다.
종래 핸들커버 제조용 금형으로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939546호와 같이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및 코어금형을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 등록특허의 핸들커버 제조용 금형은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상부금형과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금형 및 상기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 설치되는 코어금형을 포함한 것이다.
상기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에는 각각 핸들커버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하는 캐비티가 구비되고, 상기 코어금형에는 금형닫힘시에는 상기 캐비티 내에 삽입되고 금형열림시에는 상기 캐비티에서 빠져나오는 코어부가 구비된다.
이러한 등록특허의 핸들커버 제조용 금형의 작동을 살펴보면, 금형닫힘시에는 하부금형이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1차로 코어금형의 하부와 하부금형 사이가 닫히게 되며, 하부금형이 계속하여 상승하게 되면 코어금형이 함께 상승하여 코어금형의 상부와 상부금형 사이가 닫히게 된다.
금형열림시에는 하부금형이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1차로 코어금형이 자중에 의해 하부금형과 함께 하강하여 코어금형의 상부와 상부금형 사이가 열리게 됨과 아울러 코어금형은 지지핀에 의해 상부금형에 지지된 상태로 유지되며, 하부금형이 하강하게 되면 코어금형의 하부와 하부금형 사이가 열리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등록특허의 핸들커버 제조용 금형은 금형열림 상태에서 코어금형이 단지 두 개의 지지핀에 의해 상부금형에 매달린 상태로 지지되는 것이기 때문에 코어금형의 지지상태가 매우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등록특허의 핸들커버 제조용 금형은 금형열림시 코어금형의 하강작동이 자중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그 작동이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금형열림 상태에서 핸들커버 성형물은 코어금형에 붙어있게 되는데 이 핸들커버 성형물을 코어금형에서 탈거함에 있어서, 코어금형의 상부로는 코어금형을 상부금형에 지지하는 지지핀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핸들커버 성형물을 상부쪽으로는 탈거할 수 없어 부득이 핸들커버 성형물을 코어금형의 하부쪽으로 탈거해야 하므로 핸들커버 성형물의 탈거작업이 매우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사출금형은 고정금형이 우측에 위치하고 가동금형이 좌측에 위치하는 수평형으로 설치되어 사용되는 바, 상기 종래의 핸들커버 제조용 금형을 수평형으로 설치하였을 경우, 상기 상부금형에 대하여 코어금형을 가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핀이 수평으로 놓이게 되면서 상기 코어금형의 중량이 상기 지지핀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직각방향 하중으로 작용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 지지핀이 휘어지는 등 변형을 일으켜 상기 코어금형의 가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합성수지 사출성형을 위한 금형은 수평형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금형을 고정금형으로서 우측에 설치하고, 상기 하부금형을 가동금형으로서 좌측에 설치하는 것이 통례인 바, 상기 등록특허의 핸들커버 제조용 금형은 수평형으로 설치할 경우, 코어금형의 닫힘작동은 이루어질 수 있으나, 코어금형의 열림작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통상적인 수평형으로는 설치할 수 없다.
또한 등록특허의 핸들커버 제조용 금형은 핸들커버 성형재료로서 실리콘 재질을 사용하는 것으로, 실질적으로 핸들커버 성형재료인 실리콘의 특성상 금형에 열을 가해야 하는 고무성형 금형에 상당하는 것으로서 우레탄 수지 등의 합성수지로 핸들커버를 성형하는 데에는 사용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코어금형의 지지상태가 항상 안정된 자세로 유지되도록 한 핸들커버 제조용 금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코어금형을 가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요소가 휘어지는 등의 변형을 일으키는 일이 없을 뿐만 아니라 코어금형의 작동이 가동금형에 연동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코어금형의 가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핸들커버 제조용 금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금형열림 상태에서 작업자가 오른손을 이용하여 핸들커버 성형물을 탈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오른손 사용자가 탈거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핸들커버 제조용 금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코어금형의 작동이 가동금형에 연동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수평형은 물론 수직형으로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핸들커버 제조용 금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수평형과 수직형 중 어떤 형태로 설치하더라도 코어금형의 지지상태가 항상 안정되게 유지됨과 아울러 코어금형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핸들제품 성형물의 탈거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핸들커버 제조용 금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핸들커버의 성형재료로서 우레탄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핸들커버 제조용 금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핸들커버의 외주면 상반부 형상에 대응하는 캐비티(C1)와 상기 캐비티(C1)에 연결되는 런너(R1)를 가지는 고정금형 몸체(11)와, 상기 고정금형 몸체(11)를 금형 프레임에 고정, 결합하는 고정금형 고정대(12) 및, 상기 고정금형 고정대(12)에 설치되는 스프루(15)를 구비하는 고정금형(10)과;
상기 핸들커버의 외주면 하반부 형상에 대응하는 캐비티(C2)를 가지는 가동금형 몸체(21)와, 상기 고정금형(11)에서 하부로 이격된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가동금형 가동대(22) 및 상기 가동금형 가동대(22)에 형성되는 코어금형 연동공간(O)을 구비하는 가동금형(20)과;
상기 고정금형 몸체(11)와 가동금형 몸체(21)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금형(10)의 캐비티(C1)와 가동금형(20)의 캐비티(C2)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성형공간(S)을 형성하는 코어부(C)를 가지는 코어금형 몸체(31)와, 상기 연동공간(O) 내에 위치하여 상기 가동금형 가동대(22)의 가동에 연동하는 코어금형 연동대(32) 및, 상기 가동금형의 가동대(22)를 관통하며 상기 가동금형 몸체(21)와 가동금형 가동대(22)를 연결하는 코어금형 가이드 겸 마운트 봉(33)을 구비하는 코어금형(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핸들커버 제조용 금형을 제공한다.
상기 고정금형 몸체(11)는 고정금형 마운트(13)를 통해 상기 고정금형 고정대(12)에 고정,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동금형 몸체(21)는 고정금형 마운트(23)에 장착되며, 상기 고정금형 마운트(23)는 스페이서(24)를 통해 상기 가동금형 가동대(22)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코어금형 연동공간(O)이 상기 고정금형 가동대(22)와 가동금형 마운트(23) 사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동금형(20)에 형성되는 코어금형 연동공간(O)의 간격(W)은 상기 가동금형(20)의 스트로크를 'St'라 하고, 상기 제 1 연동판(32a)과 제 2 연동판(32b)으로 구성되는 코어금형 연동대(32)의 두께를 'T'라고 할 때,
W = St/2 + T를 만족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어금형 연동대(32)는 상기 가동금형 가동대(22)측에 위치하는 제 1 연동판(32a)과 상기 가동금형 마운트(23)측에 위치하는 제 2 연동판(32b)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동금형(20)에 일단이 고정되며, 상기 코어금형 몸체(21)를 관통하여 금형닫힘 상태에서 그 타단이 상기 런너(R1)(R2) 내에 위치하고 금형열림 상태에서 상기 런너(R2)에서 상기 가동금형(20) 측으로 이격 위치하는 이젝터(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젝터(40)는 상기 가동금형 마운트(23)에 고정되며, 상기 코어금형 몸체(21)를 관통하여 상기 가동금형 마운트(23)와 가동금형 몸체(21)를 관통하는 봉모양의 이젝터 몸체(41)와, 상기 이젝터 몸체(41)의 일단에 형성된 머리부(42)와, 상기 이젝터 몸체(41)의 타단에 형성되는 요철부(43)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비티(C1)와 런너(R1) 사이에는 그 단면적이 상기 런너(R1)의 단면적보다 작은 게이트(G)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가동금형에 코어금형 연동공간을 구비하고 코어금형에 상기 연동공간 내에서 상기 가동금형에 연동하는 코어금형 연동대를 구비한 것이므로 코어금형의 지지상태가 항상 안정된 자세로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코어금형에 코어금형 몸체와 코어금형 연동대를 연결하여 코어금형이 가동금형에 가이드되도록 함과 아울러 코어금형 몸체가 장착되는 코어금형 가이드 겸 마운트 봉을 구비한 것으로서 코어금형을 가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요소가 휘어지는 등의 변형을 일으키는 일이 없을 뿐만 아니라 코어금형의 작동이 가동금형에 연동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코어금형의 가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금형을 우측에 고정, 설치하고 가동금형을 좌측에 가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수평형으로 설치하였을 때 금형열림 상태에서 고정금형 몸체와 코어금형 몸체 사이에 핸들커버 성형물의 탈거를 방해하는 방해요소가 없으므로 작업자가 오른손을 이용하여 핸들커버 성형물을 탈거할 수 있어 작업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오른손 사용자가 탈거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고정금형을 상부에 고정, 설치하고 가동금형을 하부에 가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수직형으로 설치하였을 때에도 코어금형의 지지상태가 항상 안정되게 유지됨과 아울러 코어금형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금형열림 상태에서 상부의 고정금형 몸체와 하부의 코어금형 몸체 사이에 핸들커버 성형물의 탈거를 방해하는 아무런 방해요소도 없게 되어 핸들커버 성형물을 코어금형의 상부로 탈거할 수 있게 되므로 핸들제품 성형물의 탈거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 사출성형에 적합한 구조를 채용하고 있어 핸들커버의 성형재료로서 우레탄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핸들커버 제조용 금형의 분해 단면도,
도 2는 금형 열린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가동금형과 코어금형이 닫히고 고정금형과 코어금형이 열린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고정금형과 코어금형, 가동금형과 코어금형이 모두 닫힌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5는 성형공간에 용융된 핸들커버 성형재료를 주입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6은 고정금형과 코어금형 사이가 열린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7은 고정금형과 코어금형 사이 및 가동금형과 코어금형 사이가 열린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핸들커버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핸들커버의 부분 파단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다.
본 발명에 의한 핸들커버 제조용 금형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커버의 외주면 일측(도면에서는 우측) 절반 형상을 성형하기 위한 고정금형(10)과; 상기 고정금형(100의 측방에 위치하며 핸들커버의 외주면 일측(도면에서는 좌측) 절반 형상을 성형하기 위한 가동금형(20); 및 상기 고정금형(10)과 가동금형(20) 사이에 설치되어 핸들커버의 내주면 형상을 성형하기 위한 코어금형(30) 및 상기 코어금형(30)의 열림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코어금형 가동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시 에에서는 상기 고정금형(10)이 우측에 위치하고, 상기 가동금형(20)이 좌측에 위치하는 예를 예시하였으나, 상기 고정금형(10)이 좌측에 위치하고, 상기 가동금형(20)이 우측에 위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만, 사출성형 작업자 중 오른손 사용자가 많은 현실을 감안하여 상기 고정금형(10)이 우측에 위치하고, 상기 가동금형(20)이 좌측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금형(10)이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가동금형(20)이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수직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금형(10)은 핸들커버의 외주면 상반부 형상에 대응하는 캐비티(C1)와 상기 캐비티(C1)에 연결되는 복수개(도시 예에서는 3개)의 방사상 런너(R1)를 가지는 고정금형 몸체(11)와, 상기 고정금형 몸체(11)를 금형 프레임(미도시)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금형 고정대(12)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금형 몸체(11)는 상기 고정금형 고정대(12)에 직접 고정, 결합할 수 있으나, 도시 예와 같이, 고정금형 마운트(13)를 통해 상기 고정금형 고정대(12)에 고정,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금형 몸체(11)와 고정금형 마운트(13)는 볼트(14)에 의해 고정, 결합되며, 상기 고정금형 고정대(12)와 고정금형 마운트(13)는 볼트(15)에 의해 고정, 결합된다.
상기 볼트(14)는 상기 고정금형 마운트(13)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금형 몸체(11)에 체결되며, 상기 볼트(15)는 상기 고정금형 고정대(12)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금형 마운트(13)에 체결된다.
상기 볼트(14)에는 머리부(도면부호 생략)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금형 마운트(13)에는 상기 볼트(14)의 머리부에 대응하는 카운터 보어(counter bore)형 볼트관통공(도면부호 생략)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15)에는 머리부(도면부호 생략)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금형 고정대(12)에는 상기 볼트(15)의 머리부에 대응하는 카운터 보어형 볼트관통공(도면부호 생략)이 형성된다.
도시 예에서는 2개의 볼트(14)(15)를 도시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4개 또는 그 이상의 볼트(14)(15)가 체결된다.
여기서 볼트(14)(15)에 머리부를 형성하고 볼트관통공을 카운터 보어형으로 형성하는 것은 볼트(14)(15)의 머리부가 상기 고정금형 마운트(13)와 고정금형 고정대(12)에서 돌출되지 않고 함몰된 상태로 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적인 금형 부품의 결합방식이므로 머리부와 카운터 보어형 볼트관통공에 대해서는 도면부호를 생략하였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상기 가동금형(20)과 코어금형(30)에 대해서도 볼트의 머리부와 볼트관통공에 대하여는 도면부호를 생략한다.
상기 고정대(12)에는 용융된 핸들커버 성형재료를 주입하기 위한 스프루(16)가 구비된다. 상기 스프루(16)는 주입관(16a)을 가지며, 이 주입관(16a)은 상기 고정금형 몸체(11)와 고정금형 마운트(12b)를 관통하여 상기 런너(R1)에 연결된다.
상기 고정금형 몸체(11)에는 상기 캐비티(C1)와 런너(R1)를 연결하는 게이트(G)가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G)는 핸들커버를 성형할 때 용융된 핸들커버 성형재료가 최종적으로 캐비티(C1)로 주입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게이트(G)는 핸들커버를 성형하였을 때 런너(R1)에 따른 런너 모양 부수성형부(2)와 핸들커버 사이에 상기 게이트(G)에 따른 게이트 모양 부수성형부(3)가 형성되도록 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상기 게이트(G)는 그 단면적을 상기 런너(R1)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하여 핸들커버 성형 과정에서 상기 게이트(G)에 따라 형성되는 게이트 모양 부수성형부(3)의 단면적이 상기 런너(R1)에 따라 형성되는 런너 모양 부수성형부(2)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하여 핸들커버의 성형 후 핸들커버 성형물(1)과 런너 모양 부수성형부(2)를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게이트(G)의 단면적은 상기 스프루(16)로부터 런너(R1)를 통해 주입되는 용융된 핸들커버 성형재료가 상기 캐비티(C1) 내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캐비티(C1)에 대한 용융된 핸들커버 성형재료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가동금형(20)은 상기 핸들커버의 외주면 하반부 형상에 대응하는 캐비티(C2)를 가지는 가동금형 몸체(21)와, 상기 가동금형 몸체(21)에서 측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고정, 결합되는 가동금형 가동대(22)를 포함한다.
상기 가동금형 몸체(21)는 상기 가동금형 가동대(22)에 직접 고정, 결합할 수도 있으나, 도시 예와 같이, 상기 가동금형 마운트(23)를 통해 상기 가동금형 가동대(22)에 고정,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동금형 가동대(22)는 금형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에 장착된 구동부(유압실린더 등)에 의해 가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동금형(20)에는 일정한 간격(W)을 가지는 코어금형 연동공간(O)이 형성된다. 상기 간격(W)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가동금형 몸체(21)와 가동금형 마운트(23)는 고정볼트(25)에 의해 고정, 결합되며, 상기 가동금형 가동대(22)와 가동금형 마운트(23) 및 스페이서(24)는 볼트(26)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볼트(25)는 가동금형 마운트(23)를 관통하여 상기 가동금형 몸체(21)에 체결되며, 상기 볼트(26)는 상기 가동금형 가동대(22)와 스페이서(24)를 관통하여 상기 가동금형 마운트(23)에 체결된다.
상기 볼트(25)에는 머리부(도면부호 생략)가 형성되며, 상기 가동금형 마운트(23)에는 상기 볼트(25)의 머리부에 대응하는 카운터 보어형 볼트관통공(도면부호 생략)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26)에는 머리부(도면부호 생략)가 형성되며, 상기 가동금형 가동대(22)에는 상기 볼트(26)의 머리부에 대응하는 카운터 보어형 볼트관통공(도면부호 생략)이 천공된다.
도시 예에서는 2개의 볼트(25)(26)를 도시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4개 또는 그 이상이 볼트(25)(26)가 체결된다.
상기 고정금형 마운트(12b)에는 가이드 부시(17)가 구비되며, 상기 가동금형 마운트(23)에는 상기 고정금형(10)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부시(17)에 안내되는 가이드 봉(27)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부시(17)는 상기 고정금형 마운트(13)에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금형 마운트(13)에 고정금형 고정대(12)를 덧대어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 봉(27)은 상기 가동금형 마운트(23)에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가동금형 마운트(23)에 상기 스페이서(24)를 덧대어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 부시(17)에는 머리부(도면부호 생략)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금형 마운트(13)에는 상기 머리부에 대응하는 카운터 보어형 관통공(도면부호 생략)이 천공된다.
상기 가이드 봉(27)에는 머리부(도면부호 생략)가 형성되며, 상기 가동금형 마운트(23)에는 상기 머리부에 대응하는 카운터 보어형 관통공(도면부호 생략)이 천공된다.
도시 예에서는 2개의 가이드 부시(17)와 가이드 봉(27)을 설치되는 도시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4개 또는 그 이상 설치된다.
상기 코어금형(30)은 상기 고정금형(10)과 가동금형(2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금형(10)의 캐비티(C1)와 가동금형(20)의 캐비티(C2)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성형공간(S)을 형성하는 코어부(C)를 가지는 코어금형 몸체(31)와; 상기 가동금형 가동대(22)와 가동금형 몸체(21)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가동공간(O)에 가동 가능하게 위치하며 상기 코어금형 몸체(31)를 지지하는 코어금형 연동대(32); 및 상기 코어금형 연동대(32)에 고정되어 상기 가동금형 몸체(21)와 가동금형 마운트(23)를 관통하는 코어금형 가이드 겸 마운트 봉(33)을 포함한다.
상기 코어금형 연동대(32)는 단일 부품으로 구성하여 상기 코어금형 가이드 겸 마운트 봉(33)을 직접 고정, 결합할 수 있으나, 도시 예와 같이, 상기 코어금형 연동대(32)를 상기 가동금형(20)의 가동금형 가동대(22)와 가동금형 마운트(23) 사이의 코어금형 연동공간(O)에 삽입, 설치되는 제 1 연동판(32a)과 제 2 연동판(32b)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연동판(32a)과 제 2 연동판(32b)은 볼트(34)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볼트(34)는 상기 제 1 연동판(32a)을 관통하여 상기 제 2 연동판(32b)에 체결된다.
상기 볼트(34)에는 머리부(도면부호 생략)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연동판(32a)에는 상기 볼트(34)의 머리부에 대응하는 카운터 보어형 볼트관통공(도면부호 생략)이 천공된다.
도시 예에서는 2개의 볼트(34)를 도시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4개 또는 그 이상의 볼트(34)가 체결된다.
상기 코어금형 가이드 겸 마운트 봉(33)은 그 일단이 상기 연동대(32)에 고정되며, 그 타단은 상기 코어금형 몸체(31)에 고정된다.
상기 코어금형 가이드 겸 마운트 봉(33)은 상기 제 2 연동판(32a)에 관통되며, 상기 제 2 연동판(32b)에 제 1 연동판(32a)을 덧대어 고정하는 것에 의해 코어금형 연동대(32)에 고정된다.
상기 코어금형 가이드 겸 마운트 봉(33)의 일단에는 머리부(도면부호 생략)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연동판(32b)에는 형성되는 상기 코어금형 가이드 겸 마운트 봉(33)의 머리부에 대응하는 카운터 보어형 관통공(도면부호 생략)이 천공된다.
상기 코어금형 몸체(31)는 볼트(35)에 의하여 상기 코어금형 가이드 겸 마운트 봉(33)의 타단에 고정된다.
상기 볼트(35)에는 머리부(도면부호 생략)가 형성되며, 상기 코어금형 가이드 겸 마운트 봉(33)의 타단에는 상기 머리부에 대응하는 카운터 보어형 나사홈(도면부호 생략)이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상기 볼트(35)가 코어금형 몸체(31)에 형성된 런너(R2)와 겹치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상기 볼트(35)는 코어금형 몸체(31)의 런너(R2)를 벗어난 위치에 체결되는 것이다.
상기 가동금형 마운트(23)에는 상기 코어금형 가이드 겸 마운트 봉(33)이 관통되어 안내되는 가이드 부시(28)가 구비된다.
상기 가동금형 몸체(21)에는 안착홈(29)이 구비되고, 상기 코어금형 몸체(31)에는 상기 안착홈(29)에 삽입, 안착되는 안착부(36)가 구비된다.
상기 안착홈(29)의 내주면과 상기 안착부(36)의 외주면은 가동금형(20)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동금형 몸체(21)와 코어금형 몸체(31)가 닫힘상태로 진행될 때 상기 안착부(36)의 테이퍼형 외주면이 상기 안착홈(29)의 테이퍼형 내주면에 안내되어 상기 가동금형 몸체(21)와 코어금형 몸체(31)가 정확하게 닫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금형 몸체(11)의 캐비티(C1)와 가동금형 몸체(21)의 캐비티(C2)에 연결되는 런너는 상기 고정금형 몸체(11)에 형성되는 런너(R1)만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용융된 핸들커버 성형재료(M)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코어금형 몸체(31)에도 런너(R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동금형(20)에 형성되는 코어금형 연동공간(O)의 간격(W)은 가동금형(20)의 스트로크(St)의 절반(St/2)과 상기 제 1 연동판(32a)과 제 2 연동판(32b)으로 구성되는 코어금형 연동대(32)의 두께(T)를 합한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코어금형 연동공간(O)은 상기 가동금형 가동대(22)와 가동금형 마운트(23)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이젝터(40)는 상기 가동금형(20)에 고정되며 상기 코어금형 몸체(21)를 관통하여 금형닫힘 상태에서는 상기 캐비티(C1)(C2) 내에 위치하며, 금형열림 상태에서는 상기 캐비티(C1)(C2)에서 빠져나오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젝터(40)는 상기 가동금형 마운트(23)에 고정되어 상기 가동금형 마운트(23)와 가동금형 몸체(21)를 관통하는 봉모양의 이젝터 몸체(41)와, 상기 이젝터 몸체(41)의 일단에 형성된 머리부(42)와, 상기 이젝터 몸체(41)의 타단에 형성되는 요철부(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젝터 몸체(41)에는 수나사부(도면부호 없음)를 형성하고 상기 가동금형 마운트(23)에는 상기 수나사에 대응하는 나사공(44)을 형성하여 이들 수나사부를 나사공(44)에 나사 체결하는 것에 의해 이젝터(40)를 상기 가동금형 마운트(23)에 고정, 결합할 수 있다.
도시 예에서는 중심부에 하나의 이젝터(40)를 구비한 예를 예시하였으나, 상기 런너(R1)(R2)를 3개의 방사상 런너로 구성하였을 경우 각 런너에 대응하여구비할 수 있다.
상기 코어금형 몸체(31)에는 상기 이젝터(40)가 관통하는 이젝터 관통공(45)이 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핸들커버 제조용 금형에 의하여 핸들커버를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금형열림 상태]
도 2는 상기 고정금형(10)과 가동금형(20) 및 코어금형(30)이 모두 열려서 캐비티(C1)(C2)가 열리고 코어부(C)가 캐비티(C1)(C2)에서 빠져나온 금형열림 상태를 보인 것이다.
금형열림 상태에서 상기 코어금형(30)의 제 1 연동판(32a)은 상기 가동금형(20)의 가동금형 가동대(22)에서 이격되고, 상기 코어금형(30)의 제 2 연동판(32b)은 상기 가동금형(20)의 가동금형 마운트(23)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금형닫힘 과정]
도 2에 도시한 금형열림 상태에서, 작업자가 금형닫힘 조작을 하면, 상기 가동금형(20)이 금형닫힘 방향으로 가동한다.
상기 가동금형(20)이 닫히기 시작하는 금형닫힘 초기에는 상기 코어금형(30)의 제 1 연동판(32a)은 상기 가동금형(20)의 가동금형 가동대(22)에서 이격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동금형(20), 즉 가동금형 가동대(22), 스페이서(24), 가동금형 마운트(23) 및 가동금형 몸체(21)만 가동하게 되어 상기 코어금형(30)은 금형열림 상태로 유지되면서 상기 가동금형 몸체(21)와 코어금형 몸체(31) 사이가 열리기 시작한다.
상기 가동금형(20)이 계속 가동하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동금형 몸체(21)의 캐비티(C2)에 코어금형 몸체(31)의 코어부(C)의 일측 절반 부위가 삽입되어 상기 가동금형 몸체(21)와 코어금형 몸체(31) 사이가 닫히게 된다.
이때, 상기 코어금형(30)의 제 2 연동판(32b)이 가동금형 마운트(23)에서 이격됨과 아울러 상기 코어금형(30)의 제 1 연동판(32a)이 가동금형 가동대(22)에 밀착하게 된다.
즉, 가동금형(20)과 코어금형(30)의 닫힘 시점과 가동금형 가동대(22)와 코어금형(20)의 제 1 연동판(32a)의 밀착 시점이 일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가동금형(20)이 금형닫힘 방향으로 계속 가동하면, 상기 가동금형 가동대(22)에 제 1 연동판(32a)이 밀착되어 있는 코어금형(30)이 가동금형(20)과 함께 금형닫힘 방향으로 가동하게 되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동금형 몸체(21)의 캐비티(C2)와 고정금형 몸체(11)의 캐비티(C1)가 닫히고 상기 코어금형 몸체(31)의 코어부(C)가 상기 캐비티(C1)(C2)에 삽입된 상태, 즉 상기 고정금형(10)과 가동금형(20) 및 코어금형(30)이 모두 닫힌 금형닫힘 상태로 된다.
상술한 금형닫힘 과정에서 상기 가동금형(10)의 가이드 봉(27)이 상기 고정금형(10)의 가이드 부시(17)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고정금형(10)과 가동금형(20) 간의 금형닫힘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금형닫힘 과정에서 상기 코어금형(30)의 코어금형 몸체(31)에 형성된 안착부(36)가 상기 가동금형(20)의 가동금형 몸체(21)에 형성된 안착홈(29)에 끼워진 상태로 안착되므로 상기 가동금형(20)과 코어금형(30) 간의 금형닫힘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술한 가이드 부시(17)와 가이드 봉(27)에 의한 가이드 동작과 안착홈()과 안착부()에 의한 가이드 동작에 의하여 상기 고정금형(10)의 캐비티(C1)와 가동금형(20)의 캐비티(C2) 및 코어금형(30)의 코어부(C)가 정확한 동심을 이루는 상태로 금형닫힘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핸들커버 성형 과정]
상술한 바와 같이 금형닫힘이 완료되면, 사출성형기의 인젝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상기 고정금형(10)의 스프루(16)에 핸들커버 성형재료(M)가 주입되고, 이 핸들커버 성형재료(M)는 주입관(16a)과 런너(R1)(R2) 및 게이트(G)를 통해 상기 캐비티(C1)(C2)와 코어부(C) 사이에 형성된 성형공간(S)에 주입된다(도 5 참조).
이에 따라 상기 성형공간(S)에는 핸들커버 성형물(1)이 형성되고, 상기 런너(R1)(R2)에는 런너 모양 부수성형부(2)가 형성되며, 상기 게이트(G)에는 게이트 모양 부수성형부(3)가 형성된다.
상기 런너 모양 부수성형부(2)에는 상기 이젝터(40)의 요철부(43)가 매설된 상태로 된다.
[금형열림 과정]
핸들커버 성형재료(M)의 주입이 완료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작업자가 금형열림 조작을 하면, 상기 가동금형(20)이 금형열림 방향으로 가동된다.
상기 가동금형(20)이 열리기 시작하는 금형열림 초기에는 상기 코어금형(30)의 제 2 연동판(32b)이 가동금형(20)의 가동금형 마운트(23)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므로(도 5 참조) 상기 가동금형(20), 즉 가동금형 가동대(22), 스페이서(24), 가동금형 마운트(23) 및 가동금형 몸체(21)만 가동하게 되어 상기 고정금형(20)과 코어금형(30) 사이는 금형닫힘 상태로 유지되면서 상기 가동금형 몸체(21)와 코어금형 몸체(31) 사이가 열리기 시작한다.
상기 가동금형(20)이 금형열림 방향으로 가동하기 시작하면, 상기 가동금형(20)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이젝터(40)가 가동금형(20)과 함께 금형열림 방향으로 가동하게 되는 바, 상기 이젝터(40)의 요철부(43)가 상기 런너 모양 부수성형부(2)에 매설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런너 모양 부수성형부(3)가 상기 이젝터(40)에 의해 금형열림 방향으로 당겨지게 되어 상기 런너 모양 부수성형부(2)가 상기 고정금형 몸체(11)의 런너(R1)로부터 빠져나오게 되며, 상기 런너 모양 부수성형부(2)에 연결되어 있는 게이트 모양 부수성형부(3)가 상기 게이트(G)로부터 빠져나오게 됨과 아울러 상기 게이트 모양 부수성형부(3)를 통해 상기 런너 모양 부수성형부(2)에 연결되어 있는 핸들커버 성형물(1)이 고정금형 몸쳬(11)의 캐비티(C1)로부터 쉽게 빠져나오게 된다.
상기 가동금형(20)이 계속 가동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동금형 몸체(21)의 캐비티(C2)와 코어금형(30)의 코어부(C) 사이가 완전히 열리게 된다.
이때, 상기 코어금형(30)의 제 1 연동판(32a)이 가동금형 가동대(22)가 이격됨과 아울러 상기 코어금형(30)의 제 2 연동판(32b)이 가동금형 마운트(23)에 밀착된다.
즉, 가동금형(20)과 코어금형(30)의 열림 시점과 가동금형 마운트(23)와 코어금형(20)의 제 2 연동판(32b)의 밀착 시점이 일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가동금형(20)이 금형열림 방향으로 계속 가동하면, 상기 가동금형 마운트(23)에 제 2 연동판(32b)이 밀착되어 있는 코어금형(30)이 가동금형(20)과 함께 금형열림 방향으로 가동하게 되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금형 몸체(11)의 캐비티(C1)와 코어금형 몸체(31의 코어부(C) 사이가 열려 상기 고정금형(10)과 가동금형(20) 및 코어금형(30)이 모두 열린 금형열림 상태로 된다.
상술한 금형열림 과정에서 상기 가동금형(10)의 가이드 봉(27)이 상기 고정금형(10)의 가이드 부시(17)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고정금형(10)과 가동금형(20) 간의 금형열림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금형열림 상태에서 상기 고정금형 몸체(11)의 캐비티(C1)와 가동금형 몸체(21)의 캐비티(C2) 및 코어금형 몸체(31)의 코어부(C) 사이에 형성된 성형공간(S)에 주입되어 성형된 핸들커버 성형물(1)은 상기 코어금형 몸체(21)의 코어부(C)에 씌워진 상태로 된다. 또한 상기 핸들커버 성형물(1)에는 상기 런너(R1)(R2)에 의해 형성된 런너 모양 부수성형물(2)과 상기 게이트(G)에 의해 형성된 게이트 모양 부수성형물(3)이 붙어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코어금형(30)의 코어부(C)에 씌워져 있는 핸들커버 성형물(1)을 탈거해낸다. 이때 상기 핸들커버 성형물(1)에 붙어 있는 런너 모양 부수성형물(2)과 게이트 모양 부수성형물(3)도 함께 탈거된다.
이때, 상기 핸들커버 성형물(1)은 상기 코어금형 몸체(31)의 코어부(C)에 씌워져 있는 상태이고, 상기 고정금형 몸체(11)와 코어금형 몸체(31) 사이가 개방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고정금형 몸체(11)와 코어금형 몸체(31) 사이에는 핸들커버 성형물의 탈거를 방해하는 방해요소가 전혀 없으므로 작업자가 상기 고정금형 몸체(11)와 코어금형 몸체(31) 사이를 통해 상기 핸들커버 성형물(1)을 탈거해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금형(10)은 우측에 고정, 설치되어 있고 코어금형(30)은 좌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작업자가 오른손을 사용하여 상기 핸들커버 성형물(1)을 탈거해낼 수 있다. 따라서 사출성형 작업자 중 오른손 사용자가 훨씬 많은 현실에서 볼 때 상기 핸들커버 성형물(1)의 탈거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게이트(G)는 그 단면적이 상기 런너(R1)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어 핸들커버 성형 과정에서 상기 게이트(G)에 따라 형성되는 게이트 모양 부수성형부(3)의 단면적이 상기 런너(R1)에 따라 형성되는 런너 모양 부수성형부(2)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핸들커버의 성형 후 핸들커버 성형물(1)과 런너 모양 부수성형부(2)를 상기 게이트 모양 부수성형부(3) 부분에서 분리함으로써 핸들커버 성형물(1)과 런너 모양 부수성형부(2)의 분리가 쉽게 이루어진다.
탈거된 핸들커버 성형물(1)에서 런너 모양 부수성형물(2)과 게이트 모양 부수성형물(3)을 떼어내었을 때, 핸들커버 성형물(1)에는 게이트 모양 부수성형물(3)이 일부 붙어 있는 상태로 되는 바, 이를 마무리 처리하면 핸들커버가 완성된다.
상술한 코어금형(30)의 열림 작동과 닫힘 작동이 코어금형(30)의 가동금형(20)에 연동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금형열림 작동과 금형닫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는 상기 고정금형(10)을 우측에 고정, 설치하고 가동금형(20)을 우측에 가동 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고정금형(10)과 가동금형(20) 사이에 코어금형(30)을 설치한 수평형 금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고정금형(10)을 상부에 고정, 설치하고 가동금형(20)을 하부에 가동 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고정금형(10)과 가동금형(20) 사이에 코어금형(30)을 설치하는 수직형 금형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핸들커버 제조용 금형을 수직형으로 적용하였을 경우에도 코어금형 가이드 겸 마운트 봉(33)이 코어금형(10)을 가동금형(20)에 대하여 가이드되므로 코어금형의 지지상태가 항상 안정된 자세로 유지되며, 코어금형을 가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요소가 휘어지는 등의 변형을 일으키지 않게 되어 코어금형의 가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고정금형 몸체의 하부와 코어금형 몸체의 상부 사이에 핸들커버 성형물의 탈거를 방해하는 아무런 방해요소도 없게 되어 핸들커버 성형물을 코어금형의 상부로 탈거할 수 있게 되므로 핸들제품 성형물의 탈거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고유사상의 범위 내에서 해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고정금형 11 : 고정금형 몸체
20 : 가동금형 21 : 가동금형 몸체
22 : 가동금형 가동대 23 : 가동금형 마운트
30 : 코어금형 31 : 코어금형 몸체
32 : 코어금형 연동대 33 : 코어금형 가이드 겸 마운트 봉
40 : 이젝터 O : 연동공간
C1, C2 : 캐비티 R1, R2 : 런너
G : 게이트 S : 성형공간

Claims (8)

  1. 핸들커버의 외주면 상반부 형상에 대응하는 캐비티(C1)와 상기 캐비티(C1)에 연결되는 런너(R1)를 가지는 고정금형 몸체(11)와, 상기 고정금형 몸체(11)를 금형 프레임에 고정, 결합하는 고정금형 고정대(12) 및, 상기 고정금형 고정대(12)에 설치되는 스프루(15)를 구비하는 고정금형(10)과;
    상기 핸들커버의 외주면 하반부 형상에 대응하는 캐비티(C2)를 가지는 가동금형 몸체(21)와, 상기 고정금형(11)에서 하부로 이격된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가동금형 가동대(22) 및 상기 가동금형 가동대(22)에 형성되는 코어금형 연동공간(O)을 구비하는 가동금형(20)과;
    상기 고정금형 몸체(11)와 가동금형 몸체(21)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금형(10)의 캐비티(C1)와 가동금형(20)의 캐비티(C2)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성형공간(S)을 형성하는 코어부(C)를 가지는 코어금형 몸체(31)와, 상기 연동공간(O) 내에 위치하여 상기 가동금형 가동대(22)의 가동에 연동하는 코어금형 연동대(32) 및, 상기 가동금형의 가동대(22)를 관통하며 상기 가동금형 몸체(21)와 가동금형 가동대(22)를 연결하는 코어금형 가이드 겸 마운트 봉(33)을 구비하는 코어금형(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핸들커버 제조용 금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금형 몸체(11)는 고정금형 마운트(13)를 통해 상기 고정금형 고정대(12)에 고정,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커버 제조용 금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금형 몸체(21)는 고정금형 마운트(23)에 장착되며, 상기 고정금형 마운트(23)는 스페이서(24)를 통해 상기 가동금형 가동대(22)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코어금형 연동공간(O)이 상기 고정금형 가동대(22)와 가동금형 마운트(23) 사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커버 제조용 금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금형(20)에 형성되는 코어금형 연동공간(O)의 간격(W)은 상기 가동금형(20)의 스트로크를 'St'라 하고, 상기 제 1 연동판(32a)과 제 2 연동판(32b)으로 구성되는 코어금형 연동대(32)의 두께를 'T'라고 할 때,
    W = St/2 + T를 만족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커버 제조용 금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금형 연동대(32)는 상기 가동금형 가동대(22)측에 위치하는 제 1 연동판(32a)과 상기 가동금형 마운트(23)측에 위치하는 제 2 연동판(32b)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커버 제조용 금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금형(20)에 일단이 고정되며, 상기 코어금형 몸체(21)를 관통하여 금형닫힘 상태에서 그 타단이 상기 런너(R1)(R2) 내에 위치하고 금형열림 상태에서 상기 런너(R2)에서 상기 가동금형(20) 측으로 이격 위치하는 이젝터(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커버 제조용 금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40)는 상기 가동금형 마운트(23)에 고정되어 상기 가동금형 마운트(23)와 가동금형 몸체(21)를 관통하는 봉모양의 이젝터 몸체(41)와, 상기 이젝터 몸체(41)의 일단에 형성된 머리부(42)와, 상기 이젝터 몸체(41)의 타단에 형성되는 요철부(43)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커버 제조용 금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C1)와 런너(R1) 사이에는 그 단면적이 상기 런너(R1)의 단면적보다 작은 게이트(G)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커버 제조용 금형.
KR1020100088620A 2010-09-09 2010-09-09 핸들커버 제조용 금형 KR201200264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620A KR20120026416A (ko) 2010-09-09 2010-09-09 핸들커버 제조용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620A KR20120026416A (ko) 2010-09-09 2010-09-09 핸들커버 제조용 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6416A true KR20120026416A (ko) 2012-03-19

Family

ID=46132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8620A KR20120026416A (ko) 2010-09-09 2010-09-09 핸들커버 제조용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641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56401A (zh) * 2017-04-24 2017-07-18 福建省华科模具科技有限公司 一种塑胶方向盘套注塑模具及其脱模方法
CN109109277A (zh) * 2018-09-11 2019-01-01 嘉善蓝创塑胶有限公司 汽车用驻车制动手柄套模具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56401A (zh) * 2017-04-24 2017-07-18 福建省华科模具科技有限公司 一种塑胶方向盘套注塑模具及其脱模方法
CN106956401B (zh) * 2017-04-24 2023-12-29 福建省华科模具科技有限公司 一种塑胶方向盘套注塑模具及其脱模方法
CN109109277A (zh) * 2018-09-11 2019-01-01 嘉善蓝创塑胶有限公司 汽车用驻车制动手柄套模具
CN109109277B (zh) * 2018-09-11 2023-10-24 嘉善蓝创塑胶有限公司 汽车用驻车制动手柄套模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53445B1 (en) Injection mold and injection molding method using the same
US6267576B1 (en) Mold assembly for making multilayer molded article
KR100879278B1 (ko) 코어 교체용 사출금형
CN205343683U (zh) 斜滑块内侧抽芯模具机构
KR20120026416A (ko) 핸들커버 제조용 금형
CN102310526A (zh) 一种汽车锁扣盖注塑模具
KR20070002349A (ko) 자동차용 도어트림의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JP5648565B2 (ja) 多色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成形型
KR101465475B1 (ko) 수직사출성형기의 형체결 장치
CN217573899U (zh) 一种具有交叉角度脱模结构的模具
US5962042A (en) Injection mold
KR20070113011A (ko) 차량 등받이 제조용의 사출금형
CN215969894U (zh) 橡胶件成型模具及硫化机
KR100787196B1 (ko) 금형조립체의 내측 언더컷 성형장치 및 그 방법
CN215396622U (zh) 显示屏胶框注塑模具
KR101252574B1 (ko) 사출성형 금형의 핫 런너 시스템용 이중밸브핀 노즐장치
JP3304832B2 (ja) 中空成形品の多段成形方法および射出成形機
US10974425B2 (en) Mold apparatus
JP5207623B2 (ja) 成形装置
JP6289129B2 (ja) 横型の射出成形型とそれを用いた製造方法
CN219294601U (zh) 一种视窗筒的注塑模具
KR100391574B1 (ko) 사출성형용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출성형방법
JPH0478513A (ja) 異色成形品の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CN218462732U (zh) 一种医疗零件生产用的注塑设备
CN211031066U (zh) 一种模具加工用防碰撞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