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5863A -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제품 이력 관리 시스템 및 휴대형 장치에서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제품 이력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제품 이력 관리 시스템 및 휴대형 장치에서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제품 이력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5863A
KR20120025863A KR1020100088031A KR20100088031A KR20120025863A KR 20120025863 A KR20120025863 A KR 20120025863A KR 1020100088031 A KR1020100088031 A KR 1020100088031A KR 20100088031 A KR20100088031 A KR 20100088031A KR 20120025863 A KR20120025863 A KR 20120025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image code
information
history
product his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8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호
Original Assignee
김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호 filed Critical 김재호
Priority to KR1020100088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5863A/ko
Publication of KR20120025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58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리 정보와 같은 제품의 갱신 정보와 제품의 소유자 등에게 연락할 수 있는 연락처 등이 저장되고 변경될 수 있는 이미지 코드를 사용하여, 이미지 코드가 부착된 제품의 제품 정보와 제품의 소유자 변경 등과 같은 과거 이력을 확인할 수 있고, 제품의 도난 또는 분실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제품 이력 관리 시스템 및 휴대형 장치에서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제품 이력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체계적으로 제품의 이력 정보를 관리할 수 있고 변경된 이력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제품의 도난 또는 분실을 방지하고 도난 또는 분실된 제품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가진다.

Description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제품 이력 관리 시스템 및 휴대형 장치에서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제품 이력 관리 방법{SYSTEM FOR MANAGING HISTORY OF PRODUCTS USING IMAGE CODE AND METHOD FOR MANAGING HISTORY IN PORTABLE DEVICE USING IMAGE CODE}
본 발명은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제품 이력 관리 시스템 및 휴대형 장치에서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제품 이력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리 정보와 같은 제품의 갱신 정보와 제품의 소유자 등에게 연락할 수 있는 연락처 등이 저장되고 변경될 수 있는 이미지 코드를 사용하여, 이미지 코드가 부착된 제품의 정보와 이력을 확인할 수 있고, 제품의 도난 또는 분실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제품 이력 관리 시스템 및 휴대형 장치에서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제품 이력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은 수많은 제품을 구매하여 사용하고, 개인의 취향의 변화 또는 다른 필요성에 따라서는 구매한 제품을 다시 중고 제품으로 판매한다. 이러한 제품의 예에는 게임기, 카메라, 스마트폰, 자동차, 오토바이, 자전거 또는 가구 등이 있을 수 있다.
중고 제품은 동일한 모델 또는 동일한 연식의 제품이라도 제품의 상태에 따라 그 가치는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노트북, 게임기, 카메라, 오디오 ,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 같은 제품은 수리된 과거 이력이나 추가된 부품이나 옵션 품목에 따라서는 더 높은 가치를 인정받아 가격이 높게 책정될 수 있다. 또한 자동차의 경우에도 수리가 많이 된 자동차일수록 동일한 연식의 자동차에 비해서 더 낮은 가격으로 책정될 수 있고 또한 가구 등의 경우에는 원형을 그대로 유지하기 위하여, 도료나 광택제를 입힌 가구가 더 높은 가격으로 책정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중고 제품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일반 중고 구매자는 단지 중고 제품의 외관과 판매자의 견해에 따라 판단하거나 혹은 자칭 전문가에게 중고 제품의 상태를 확인하여 중고 제품의 상대적인 가치를 판단한다.
한편 가전 제품의 AS 센터에서는 제조사의 특정 제품의 불량 비율, 특정 부품의 불량 빈도 등의 통계적 목적으로 사용자의 가전 제품을 통합 관리한다. 관리 방법은 가전 제품에 부착된 바코드나 시리얼 넘버 등을 기재하여, AS 센터에 통합된 서버에 해당 제품의 수리 이력을 기록하고 이러한 기록은 사용자에게 공개되지 않고, 다만 제조사의 개발과 AS를 위한 용도로 사용되어 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는 자동차 정비소에서는 자동차의 차량 넘버로 자동차의 소유주에게 차량의 정비 기록과 예상 정비 항목을 기재한 차계부를 제공하기도 한다.
이러한 AS 센터나 자동차 정비소 등에서 접근할 수 있는 정보는 단지 제조사만을 위한 정보이거나 구매자가 쉽게 접근하여 수리 또는 정비 항목을 알기 어려울 뿐더러, 구매자 또는 판매자가 서버의 접속 또는 프린터 된 정보를 통해 이루어지게 되는 매우 제한적인 정보만을 포함하고 있다는 문제가 있고 또한 제품을 소지한 개인은 해당 제품의 수리 이력, 제품의 특성 등 개인에 의하여 체계적으로 관리될 필요성도 있다.
또한 수많은 제품이 소형화 경량화됨에 따라 많은 제품이 휴대형 제품으로 개발되어, 개인은 휴대형 제품을 소지하고 사용한다. 하지만 휴대형 제품은 개인의 부주의 등으로 인하여 도난 또는 분실할 우려가 많이 있고, 만약 도난 또는 분실한 경우에는 해당 휴대형 제품을 찾는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즉 도난 또는 분실한 해당 휴대형 제품을 소지하고 있는 사람이 누구인지 혹은 해당 휴대형 제품이 있는 위치가 어디인지 알지 못하여 구매한 휴대형 제품을 다시 찾지 못하고 새롭게 제품을 구매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개인이 소지한 제품의 과거 이력을 쉽게 관리할 수 있고 구매자나 다른 제 3자가 편리하게 접근하여 해당 제품의 과거 이력을 확인할 필요성과 개인이 소지한 제품이 도난 또는 분실한 경우에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의 필요성이 인정된다.
상기와 같은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 본 발명의 과제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이력을 관리하고자 하는 제품에 이미지 코드를 생성하여 이미지 코드를 부착하거나 저장하고, 또한 이미지 코드를 갱신할 수 있도록 하고, 이미지 센서가 부착된 조회 단말기로 이미지 코드를 읽어 이미지 코드에 저장된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제품의 구매에서부터 수리 또는 판매에 이르기까지의 제품의 이력을 용이하게 관리하고, 제품의 이력을 변경할 수 있고, 신뢰성 있는 제품의 이력을 제공하는,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제품 이력 관리 시스템 및 휴대형 장치에서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제품 이력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미지 코드가 부착되거나 저장된 제품의 위치 정보 나 연락처 또는 이미지 코드를 이미지 센서로 인식한 조회 단말기의 위치 정보나 연락처를 제공함으로써, 이미지 코드가 부착된 제품의 소유주가 해당 제품을 도난 또는 분실의 가능성이 있거나 도난 또는 분실한 경우에, 도난 또는 분실을 미연에 방지하고 도난 또는 분실된 제품을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제품 이력 관리 시스템 및 휴대형 장치에서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제품 이력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더욱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품의 이력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이미지 코드를 생성하는 제품 이력 관리 서버와 제 1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기 제품 이력 관리 서버에 이미지 코드 제품과 관련된 제품 정보 또는 제품 갱신 정보를 송신하거나 상기 생성된 이미지 코드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품 이력 생성 및 유통 단말과 상기 이미지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이미지 코드에 저장된 제품의 이력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를 포함하는,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제품 이력 관리 시스템으로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 휴대형 장치에 관련된 제품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제품 이력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제품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이미지 코드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상기 이미지 코드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 코드를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형 장치에서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제품 이력 관리 방법으로 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이미지 코드가 부착된 제품의 사용자는 단지 이미지 코드 내에 저장된 정보를 읽음으로써 제품의 과거 이력 및 개인 또는 단체간 유통되었던 경로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이미지 코드가 부착된 제품에 대해 서버에서 체계적으로 제품의 이력 정보를 관리할 수 있고 변경된 이력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이미지 코드가 부착된 제품의 도난 또는 분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도난 또는 분실한 경우라도 다른 사용자가 이미지 코드를 확인하여 이미지 코드가 부착된 제품의 사용자에게 연락처나 위치 정보를 제공하여 용이하게 도난 또는 분실된 제품을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중고 제품을 판매하는 경우에는, 판매자는 신뢰할 수 있는 제품의 이력을 구매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구매자는 해당 제품의 이력을 바로 확인할 수 있고 바로 중고 제품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중고 매매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장점 등을 가진다.
또한 유선 네트워크 환경뿐 아니라, 모바일 인터넷 환경(무선 네트워크)하에서도 언제 어디서나 이미지 코드 파일을 전송 및 수신하고, 수신된 이미지 코드 파일을 즉시 스마트폰 등에서 디코딩하여 이력을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제품 이력 관리 시스템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제품 이력 관리 시스템의 제품 이력 관리 서버의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제어부의 제품 이력 관리 프로그램과 제품 이력 관리 프로그램과 연동되는 데이터 베이스의 관계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품 이력 생성 및 유통 단말과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휴대형 장치와 제품 이력 관리 서버 간의 정보 흐름을 시계열적으로 도시한 일 실시예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제품 이력 관리 시스템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제품 이력 관리 시스템은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 제품 이력 생성 및 유통 단말(200), 이미지 코드 제품(300),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400) 및 제 1 네트워크(600)를 포함하고 제조사 서버(500), 제 2 네트워크(700) 및 프린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코드란 2차원의 혹은 3차원의 이미지로 이미지 내에 정보를 저장하고 있어 핸드폰, 스마트폰 또는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읽어 이미지 내에 저장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의미한다. 이러한 이미지 코드의 예에는 2차원 바코드 형태인 QR 코드, 3 차원 바코드인 MS-Tag 및 Wi-Mo 등이 있고, 이 외에도 이미지 내에 정보를 저장하고, 추출할 수 있는 형식의 정형화된 이미지 포맷을 이미지 코드는 포함한다. 이미지 코드는 일반적으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테두리 내에, 정보를 약속된 포맷으로 배열하며, 이미지 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리더(Reader)는 이미지 코드의 특정 기준점을 인식하고, 상기 특정 기준점으로부터의 약속된 지점에서 시작하여 약속된 순서나 포맷으로 정보를 읽어 들일 수 있으며, 적게는 수천 바이트를 이미지 코드에 저장할 수 있다.
제품 이력 관리 시스템의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는 제조사 서버(500), 제품 이력 생성 및 유통 단말(200) 및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400)와 제 1 네트워크(600)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이미지 코드를 부착하거나 저장할 제품(이하 '이미지 코드 제품'이라 한다)의 모델명이나 제품 식별자 등과 같은 이미지 코드 제품(300)에 관련된 제품 정보와 수리 정보 등과 같은 제품 갱신 정보를 제품 이력 생성 및 유통 단말(200)로부터 수신하여, 사용자별로 분류된 데이터 베이스(140)의 레코더에 기록하고, 기록된 제품별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이미지 코드를 생성하여 생성된 이미지 코드를 제품 이력 생성 및 유통 단말(200)에 전달한다.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대해서는 아래와 같이 도 2와 도 3을 기초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품 이력 관리 시스템의 제품 이력 생성 및 유통 단말(200)은 개인용 PC, 노트북, 핸드폰, 스마트폰 또는 PDA 등이 하나의 예로서, 제 1 네트워크(600)에 연결되어 이미지 코드 제품(300)을 사용 또는 소유하는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사용자로서 등록하고, 사용자의 이미지 코드 제품(300)의 제품 정보와 이미지 코드 제품(300)의 제품 갱신 정보를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전달하고,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 코드를 프린터 후에 이미지 코드 제품(300)의 표면 등에 직접 부착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700)를 통해 이미지 코드를 전달한다. 사용자 정보와 제품 정보와 제품 갱신 정보를 각각 전송하는 제품 이력 생성 및 유통 단말(200)은 반드시 동일한 단말일 필요는 없으며, 각각이 다른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정보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단말은 특정 개인용 PC, 특정 노트북, 모바일 웹 환경을 지원하는 핸드폰, 스마트폰 또는 PDA 등일 수 있고, 제품 정보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단말은 다른 개인용 PC나 다른 노트북, 다른 핸드폰, 다른 스마트폰 또는 다른 PDA 등일 수 있고, 제품 갱신 정보를 생성하는 단말은 또 다른, 예를 들어 AS 센터의 PC 또는 자동차 정비소의 PC 또는 자전거 수리점의 PC 등일 수 있다. 또한 제품 이력 생성 및 유통 단말(200)의 예로서 도 1에서는 개인용 PC, 노트북, 핸드폰, PDA를 예로서 기재되어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품 이력 생성 및 유통 단말(200)에 대해서는 아래와 같이, 도 4를 기초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품 이력 관리 시스템의 이미지 코드 제품(300)은 사용자가 제품의 이력을 관리하기 위한 대상 제품으로서, 그 예로서 PDA, MP3, MP4 재생기, 휴대형 게임기 또는 카메라 등과 같은 휴대형 제품, VTR, TV, 게임기 또는 오디오 등과 같은 가전 제품, 핸드폰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형 통신 제품, 가구,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 또는 자동차 등의 이동 수단 또는 파, 양파, 닭, 소, 돼지, 어패류 등의 농수산물 등이 하나의 예이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은 비록 이미지 코드 제품(300)과 제품 이력 생성 및 유통 단말(200)을 명시적으로 분리하여 지칭하였으나, 특정 제품은 제품 이력 생성 및 유통 단말(200)로서의 기능과 이미지 코드 제품(300)으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품의 예로서는 제 1 네트워크(600)에 연결하여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고,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PDA 또는 핸드폰 또는 스마트폰 등이 그 하나의 예가 될 것이다. 또한 이미지 코드 제품(300)은 제품 식별자 등과 같은 제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품 식별자는 해당 이미지 코드 제품(300)을 제조사에 의하여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는 코드로서 이러한 예로서 바코드나 시리얼 넘버 등이 있을 수 있고, 이러한 제품 식별자는 이미지 코드 제품(300)의 케이스나 매뉴얼 등에 기재되어 있을 수 있고 혹은 이미지 코드 제품(300)이 메모리를 포함한 경우, 특정 메모리(예를 들어 NAND-FLASH 또는 NOR-FLASH)의 특정 위치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조사, 제품의 모델명, 제조 연월일, 제조 색상 등과 같은 제품의 구체적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어, 제품의 구체적인 정보 또는 제품의 구체적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제품 식별자를 사용자에게 화면으로 표시하거나 혹은 제 2 네트워크(70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품 이력 생성 및 유통 단말(200)을 통해 수신된 이미지 코드를 프린터하여 이미지 코드를 이미지 코드 제품(300)의 케이스나 박스 또는 포장재 등에 부착할 수도 있고, 혹은 제 2 네트워크(700)를 통해 이미지 코드 제품(300)의 저장 메모리에 전달할 수 있다.
제품 이력 관리 시스템의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400)는 PDA, 핸드폰, 스마트폰 또는 카메라 등과 같이, 이미지를 센싱할 수 있는 이미지 센서와 이미지 코드 내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예를 들어 LCD 화면을 포함하고, 이미지 코드를 디코딩할 수 있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단말기이다.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400)는 이미지 코드 제품(300)에 부착된 이미지 코드를, 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 코드인 경우, 해당 이미지 코드 제품(300)의 LCD 화면 등과 같은 표시부에 표시된 이미지 코드를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400)의 CCD 센서 등과 같은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이미지 코드를 읽어 들이고, 읽어 들인 이미지 코드에 저장된 정보를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400)의 LCD 화면 등과 같은 표시부에 표시한다. 또는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400)는 제 1 네트워크 또는 그 외 통신 가능한 네트워크(예를 들어 무선 인터넷 등)를 이용하여 이미지 코드를 사용자 또는 소유자의 지시에 따라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 또는 제품 이력 생성 및 유통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이미지 코드는 파일 형태의 그래픽 포맷으로 압축될 수 있다. 이미지 코드에 포함된 정보에는 사용자 정보, 제품의 구체적인 정보 및 제품 갱신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의 주소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코드에 포함된 정보 중 일부는 암호화되어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400)에서 표시되지 않도록 하거나 혹은 알아볼 수 없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400)는 제 1 네트워크(600)에 연결되어,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400)에서 읽어 들인 대상 이미지 코드 제품(300)에 대한 접근 정보(예를 들어 이미지 코드 제품(300)의 제품별 이력 정보 식별자, 접근 시간, 연락처 등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고, 또는 만약 이미지 코드에 저장된 내용이 공개되지 않은 내용이 있거나 혹은 일부의 정보만이 이미지 코드에 저장된 경우 나머지 정보를 요청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400)의 현재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위치 정보와 연락처를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렇게 위치 정보와 연락처를 수신받음으로써, 이미지 코드 제품(300)을 도난 또는 분실한 경우에, 다른 사람의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400)가 해당 이미지 코드에 접근하여 읽은 장소의 위치 정보를 이미지 코드의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연락처 또는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전달할 수 있어 이미지 코드 제품(300)을 도난 또는 분실한 경우라도 다른 사람의 핸드폰 등을 이용하여 쉽게 찾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400)는 입력된 이미지 코드의 포맷을 예를 들어 QR 코드인지 MS-Tag 인지 혹은 Wi-Mo 코드인지를 식별하고 혹은 제 1 네트워크 등을 통해 수신된 경우에는 그래픽 포맷을 식별하여, 식별된 이미지 코드의 포맷에 따라, 이미지 코드의 정보를 추출한다. 이미지 코드는 XML 또는 HTML 등과 같은 구조화된 포맷으로 구성할 수 있어,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400)는 해당 포맷팅 정보에 따라 LCD 등에 표시할 수 있다.
제품 이력 관리 시스템의 제조사 서버(500)는 제 1 네트워크(600)를 통해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와 연결된다. 제조사 서버(500)는 제품 식별자로부터 구체적인 제품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여,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제품 식별자로부터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되는 구체적인 제품 정보를 추출하고, 구체적인 제품 정보를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전달한다. 구체적인 제품 정보에는 제조사, 제품명, 제품 모델명, 제조 연월일, 제품 색상 정보, 및 가격 등을 포함하고, 부가적으로 제조사 서버(500)에 저장된 AS 정보를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조사 서버(500)의 구조는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의 구조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품 이력 관리 시스템의 제 1 네트워크(600)는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와 제품 이력 생성 및 유통 단말(200) 간의 정보를 송 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이며, 부가적으로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400)와 제조사 서버(500)가 제 1 네트워크(600)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네트워크(600)는 적어도 하나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유선과 무선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 1 네트워크(600)는 바람직하게는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망일 수 있으며, 제품 이력 생성 및 유통 단말(200)과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400)가 인터넷 망과는 다른, 예를 들어 핸드폰에 사용되는 망인 경우, 인터넷 망과 연동하기 위한 허브(Hu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품 이력 관리 시스템의 제 2 네트워크(700)는 제품 이력 생성 및 유통 단말(200)과 이미지 코드 제품(300) 간 정보를 송 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이다. 제 2 네트워크(700)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유선 네트워크의 예로서는 USB, UART, RS232, 유선 랜 등이 그 하나의 예일 수 있고, 무선 네트워크의 예로서는 무선 랜, 지그비, 블루투스, 바이너리-CDMA 등이 그 하나의 예가 될 것이다.
제품 이력 관리 시스템에는 부가적으로 프린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린터는 제품 이력 생성 및 유통 단말(200)에 연결되어, 제품 이력 생성 및 유통 단말(200)에서 수신된 이미지 코드를 출력하도록 한다. 출력된 이미지 코드는 사용자에 의하여 이미지 코드 제품(300)에 부착할 수 있고, 부착된 이미지 코드를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400)로 이미지 코드의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도 2는 제품 이력 관리 시스템의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의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는 데이터 버스/제어버스에 연결된 통신부(110), 메모리(120), 하드 디스크(130), 데이터 베이스(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의 통신부(110)는 제 1 네트워크(600)에 연결되어 제 1 네트워크(600)로부터 수신된 네트워크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된 네트워크 패킷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메모리(120) 또는 제어부(150)에 전달한다. 네트워크 패킷의 데이터에는 제품 이력 생성 및 유통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보, 제품 정보 및 제품 갱신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통신부(11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 베이스(140)에 저장된 이미지 코드를 네트워크 패킷으로 구성하여 제품 이력 생성 및 유통 단말(200)로 전달하고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400)로부터 네트워크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의 메모리(120)는 제어부(150)에서 구동되는 프로그램의 임시 저장, 임시 저장 파일, 통신부(110)에 송 수신되는 데이터 또는 데이터 베이스(140) 접근에 필요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할 수 있는 저장 공간이다. 메모리(120)는 D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또는 낸드 플래쉬 또는 노어 플래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혹은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의 하드 디스크(130)는 3.5 인치 또는 2.5 인치의 기계적 구동 모터를 갖는 하드 디스크 또는 SSD 타입과 같은 낸드 플래쉬를 이용한 하드 디스크 일 수 있다. 하드 디스크(130)는 제어부(150)에서 구동되는 프로그램, 데이터 베이스(140)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이다.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의 데이터 베이스(140)는 사용자별로 분리된 제품의 이력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데이터 베이스(140)는 사용자별로 별도의 사용자 레코더를 포함하고, 사용자별로 접근 가능한 제품별 이력 정보 레코더를 포함한다. 데이터 베이스(140)는 사용자별로, 그리고 제품별로 접근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접근이 허용된 사용자에게 제품 정보의 삽입, 변경 및 제품 갱신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베이스(140)는 비록 도 2에 제어부(150)와 하드 디스크(130)와 분리된 별도의 구성 블록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어부(150)의 하나의 프로그램(예를 들어 미들웨어)의 형태로 구성되어 하드 디스크(130)에 데이터 베이스(140)를 구성하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추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140)의 구체적인 구성은 아래와 같이, 도 3에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의 제어부(150)는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데이터 베이스(140)와 연동하여 사용자 등록, 제품 정보 등록, 제품 정보 갱신 및 이미지 코드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역할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생성된 이미지 코드를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400)로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제어부(150)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컴파일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와 프로세서 위에서 실행되는 제품 이력 관리 프로그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50)의 제품 이력 관리 프로그램은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제어부(150)의 제품 이력 관리 프로그램의 구체적 구성과 제품 이력 관리 프로그램과 연동하는 데이터 베이스(140)의 관계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따르면 제품 이력 관리 프로그램은 사용자 등록 모듈(151), 제품 정보 등록 모듈(152), 제품 정보 갱신 모듈(153), 이미지 코드 생성 모듈(154), 이미지 코드 전송 모듈(155) 및 이미지 코드 접근 수신 모듈(156)을 포함한다.
제품 이력 관리 프로그램의 사용자 등록 모듈(151)은 사용자를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등록하기 위한 모듈로서, 제품 이력 생성 및 유통 단말(200)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기초하여 데이터 베이스(140) 상의 새로운 사용자 레코더를 생성한다. 수신된 사용자 정보에는 사용자의 이름/주소/연락처/메일 주소/ 핸드폰 번호 등을 포함하며, 또한 사용자 계정을 위해서 필요한 로그인 ID 와 암호를 포함한다. 또한 수신된 사용자 정보에는 특정 정보의 공지를 위한 디폴트 연락처를 수신한다. 디폴트 연락처는 앞서 살펴본 연락처/메일 주소/핸드폰 번호와 동일할 수도 있고 혹은 다른 연락처 일수도 있다.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사용자 등록 모듈(151)은 HTML 서버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HTML 페이지를 네비게이션 하도록 구성할 수 있도록 하거나, 혹은 JAVA Applet을 사용하여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등록을 위해 수신된 사용자 정보는 데이터 베이스(140)의 사용자 레코더를 구성하는데, 사용자 레코더에는 사용자 레코더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레코더 식별자를 포함하고, 사용자 레코더 식별자는 로그인 ID와 패스워드의 조합, 메일 주소, 핸드폰 주소 또는 사용자를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생성된 식별 코드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로그인을 한 경우에는 로그인 ID와 연계되어 내부적으로 저장된 사용자 레코더 식별자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레코더는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며, 사용자 정보 중 디폴트 연락처를 설정하고, 사용자 정보의 공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의 공개 여부에 따라,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이름과 디폴트 연락처를 이미지 코드에서 공개하여 다른 사용자 예를 들어 중고 제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해당 연락처를 알 수 있도록 공개할 수 있다.
제품 이력 관리 프로그램의 제품 정보 등록 모듈(152)은 사용자의 이미지 코드를 생성하여 부착 혹은 저장할 신규의 이미지 코드 제품(300)을 데이터 베이스(140)에 등록하기 위한 모듈이다. 제품을 등록하기 위해, 사용자로 등록된 사용자가 로그인 과정을 통해,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접속하고, 제품 정보 등록 모듈(152)은 로그인 과정을 통해 사용자의 사용자 레코더 식별자를 획득한다. 제품을 등록하기 위해서 HTML 또는 Java Applet 또는 기타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등록할 이미지 코드 제품(300)과 관련된 제품 정보를 제품 이력 생성 및 유통 단말(200)로부터 수신한다. 수신되는 제품 정보에는 제품명/모델명/제조사/생산연도/색상/구매가격 등의 제품의 구체적 정보를 포함한다. 혹은 제품 정보에는 제품 식별자를 포함하거나 혹은 제품 식별자에 제조사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제품 식별자를 제품 이력 생성 및 유통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경우엔 제품 정보 등록 모듈(152)은 데이터 베이스(140) 등에 미리 저장된 주소로 제조사 서버(500)에 접속하고, 해당 제품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품의 구체적인 정보를 수신한다. 수신된 제품의 구체적인 정보를 획득된 사용자 레코더 식별자를 이용하여 새로운 제품별 이력 정보 레코더를 생성한다. 생성된 제품별 이력 정보 레코더에는 해당 레코더를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는 제품별 이력 정보 식별자를 포함한다. 제품별 이력 정보 식별자는 데이터 베이스(140) 내에서 제품별 이력 정보 레코더를 유일하게 식별하고 접근하여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식별자로서, 데이터 베이스(140) 내에서 자동으로 생성하거나 혹은 제품의 구체적 정보와 사용자 레코더 식별자의 조합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품별 이력 정보 레코더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사용자 레코더 식별자를 필드로서 가지고 있어, 해당 제품의 사용자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제품별 이력 정보 레코더 각각에도 사용자 레코더와 유사하게 이미지 코드의 정보 중 공개의 범위를 결정하는 필드와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400)가 접근할 수 있는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의 주소 및 제품별 이력 정보 레코드의 갱신 정보를 나타내는 버전(Vers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공개의 범위는 사용자 레코더의 공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필드와 동일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미지 코드에 포함될 정보의 양과 대상(예를 들어 제품의 구체적 정보와 제품 갱신 정보 중 최근 1년의 정보)을 설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생성된 제품별 이력 정보 레코더는 제품의 구체적 정보, 0개 또는 하나 이상의 제품 갱신 정보, 이미지 코드 정보 및 제품 상태 정보를 필드로 가질 수 있으며, 각각의 필드는 다시 서브 필드로 구성될 수 있다. 위의 예와 같이, 제품 정보 등록 모듈(152)은 제품별 이력 정보 레코드를 생성하고, 수신된 제품의 구체적 정보를 제품의 구체적 정보 필드로 제품별 이력 정보 레코드에 삽입한다. 그리고 만약 제품 정보 등록 모듈(152)이 다른 이미지 코드 제품(300)을 등록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동일한 과정을 거쳐 새로운 제품별 이력 정보 레코드를 생성한다.
제품 이력 관리 프로그램의 제품 정보 갱신 모듈(153)은 제품 이력 생성 및 유통 단말(200)로부터 이미지 코드 제품(300)의 수리, 튜닝, 변경, 부품의 추가, 옵션 추가, 또는 이미지 코드 제품이 농수산물인 경우에는 생산 이력(예 : 파종시기, 제초 시기, 농약 사용 시기, 출하시기 등) 등과 같은 제품 갱신 정보를 수신한다. 제품 갱신 정보를 송신하는 제품 이력 생성 및 유통 단말(200)은 사용자 등록시의 단말 또는 제품별 이력 정보 생성시의 단말과는 동일할 수도 있고 혹은 다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코드 제품(300)이 수리를 하고 있는 경우에는 수리점(AS 센터나 정비소 등)의 개인용 PC를 사용해서 제품 갱신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만약 다른 단말을 사용하여 갱신되는 경우라면, 다른 단말이 이미지 코드 제품(300)의 이미지 코드로부터 제품별 이력 정보 식별자를 획득하고, 제품별 이력 정보 식별자와 함께, 제품의 변경 사항 예를 들어 수리 내용 등을 포함하는, 제품 갱신 정보를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전달하고, 제품 정보 갱신 모듈(153)은 수신된 제품 갱신 정보를 제품 갱신 정보 필드로 생성하고, 수신된 제품별 이력 정보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품별 이력 정보 필드에 삽입한다.
제품 갱신 정보 필드에 포함되는 사항은 예를 들어 수리점 명칭, 수리점 연락처, 수리 내용, 수리 시간 등이 있을 수 있다. 제품 정보 갱신 모듈(153)은 제품 갱신 정보 필드를 삽입할 수 있는 유효한 제품 이력 생성 및 유통 단말(200)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자 인증을 요구할 수도 있고, 혹은 데이터 베이스(140)에 미리 설정된 웹 주소 혹은 IP 주소를 사용자 인증을 통해 등록하여 유효한 제품 이력 생성 및 유통 단말(200)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품 정보 갱신 모듈(153)은 이미지 코드 제품(300)의 특정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품의 상태, 예를 들어 분실/도난/임대/판매/소유 등의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하여, 제품별 이력 정보의 하나의 필드로서 삽입할 수 있다.
제품 이력 관리 프로그램의 이미지 코드 생성 모듈(154)은 제품의 구체적 정보와 제품 갱신 정보와 사용자 정보 등을 이용하여 이미지 코드를 생성하여 데이터 베이스(140)에 저장한다. 이미지 코드는 PNG, JPG, GIF 등과 같은 제품 이력 생성 및 유통 단말(200)에서 이용할 수 있는 그래픽 포맷으로 이미지 코드의 포맷(예를 들어 QR 코드인지 MS-Tag 인지 혹은 Wi-Mo 코드)에 따라 정보를 인코딩하며, 이미지 코드에는 이미지 코드의 포맷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코드에 포함되는 정보에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디폴트 연락처와 제품별 이력 정보 식별자와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의 주소를 포함할 수 있고 이미지 코드의 저장 용량이 제품의 구체적 정보와 제품 갱신 정보를 모두 수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그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만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이미지 코드를 인식한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400)의 요청에 따라 공개할 수 있는 정보 예를 들어 공개 범위에 따라 공개할 수 있는 제품의 구체적 정보와 제품 갱신 정보를 전달하고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400)는 나머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미지 코드에 포함되는 정보 중 일부는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400)에서 바로 해석되지 못하도록 암호화될 수 있다. 암호화와 복호화 키는 제품 이력 관리 서버별로 저장할 수도 있고, 제품별 이력 정보 레코더 별로 저장할 수도 있고, 혹은 사용자 정보 레코더에 사용자별로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이미지 코드는 Markup 언어(Language)를 사용해서 포맷팅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XML 을 사용해서, 각각의 필드의 이름과 각 필드에 대응하는 내용을 구별할 수 있도록 구성한 이미지 코드를 제공하여,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400)는 구조화된 형식의 이미지 코드의 정보를 확인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미지 코드 생성 모듈(154)은 또한, 제품 정보 등록 모듈(152)에 의하여 제품별 이력 정보 레코더를 생성하는 경우나 신규의 제품 갱신 정보 필드가 추가되는 경우 또는 변경되는 경우에, 이미지 코드를 새로이 생성하여 생성된 이미지 코드에 생성된 이미지 코드의 이력을 확인할 수 있는 날짜와 시간 또는 버전 정보를 추가 저장할 수 있다.
제품 이력 관리 프로그램의 이미지 코드 전송 모듈(155)은 제품별 이력 정보 레코더에 생성된 이미지 코드를 제품 이력 생성 및 유통 단말(200) 또는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400)에 전송한다. 이미지 코드의 전송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이루어지거나, 제품 갱신 정보가 변경됨에 따라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동으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이미지 코드와 함께, 제품명 등과 같은 사용자가 어떤 이미지 코드의 변경인지를 알 수 있도록 하는 정보와 함께 사용자 정보 레코더의 디폴트 연락처나 메일 주소 또는 핸드폰 번호를 목적지로 하여 전달할 수 있다.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400)에 전송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 코드 제품의 제품별 이력 정보 레코더를 식별하고 해당 이미지 코드를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400)의 주소로 전달한다.
제품 이력 관리 프로그램의 이미지 코드 접근 수신 모듈(156)은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400)가 이미지 코드에 접근하여, 이미지 코드의 정보를 읽은 경우에, 이미지 코드에 포함된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의 주소를 이용하여,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400)로부터 이미지 코드에 저장된 제품별 이력 정보 식별자와 함께,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400)의 연락처(예를 들어 전화 번호 또는 IP 주소 등)와 위치 정보와 접근 시간 등의 정보를 수신한다. 수신된 정보는 제품별 이력 정보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품별 이력 정보 레코더에 접근 정보 필드로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품별 이력 정보 레코더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 식별자를 사용해서, 사용자 정보 레코더의 디폴트 연락처 또는 다른 주소 등으로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으며, 특히 제품별 이력 정보 레코더에 제품의 상태가 도난 또는 분실 상태인 경우에는 연락처와 함께 위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도 4는 제품 이력 생성 및 유통 단말(200)과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400)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품 이력 생성 및 유통 단말(200)과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400)는 하나의 단말기 예를 들어 핸드폰, 스마트폰 또는 PDA 등에서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제품 이력 생성 및 유통 단말(200)과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400) 각각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제품 이력 생성 및 유통 단말(200)은 데이터 버스/제어 버스에 연결된 통신부(210), 입력부(220), 출력부(230), I/O 통신부(240), 메모리(26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할 수 있고 하드 디스크(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품 이력 생성 및 유통 단말(200)의 통신부(210)는 제 1 네트워크(600)를 통해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와 연결되어, 사용자 정보, 제품 정보, 제품 갱신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제 1 네트워크(600)의 패킷 포맷으로 변환하여 전송하거나,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로부터 네트워크 패킷을 수신하여, 네트워크 패킷 내의 데이터를 추출한다. 통신부(210)는 송수신할 데이터를 제어부(270)의 제어에 따라 제어부(270)로부터 직접 수신하여 송신하거나 혹은 메모리(260)를 통해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제품 이력 생성 및 유통 단말(200)이 복수의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 예를 들어 CDMA 통신과 무선 랜 통신을 할 수 있는 스마트폰 등의 경우, 통신부(210)는 복수의 통신 네트워크 중 하나를 사용해서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와 통신할 수 있다.
제품 이력 생성 및 유통 단말(200)의 입력부(220)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을 제어부(270)의 제어에 따라 제어부(270)나 메모리(260)에 전달한다. 입력부(220)의 구성은 키패드, 키보드, 마우스, 리모콘, 음성 입력 등과 같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입력 수단을 포함한다.
제품 이력 생성 및 유통 단말(200)의 출력부(230)는 LCD 모니터, LCD 화면 등과 같이 사용자에게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화면 출력 장치를 포함하고, 제어부(270)에서 생성된 예를 들어 이미지 화면을 메모리(260)로부터 읽어 들여서 화면 출력 장치의 포맷으로 변환하여 이미지로 출력한다. 출력부(230)와 입력부(220)를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이미지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230)에 출력된 사용자 등록 화면 또는 제품 등록 화면 또는 제품 이력 갱신 화면으로부터 사용자 ID/패스워드 및 기타 사용자 정보 또는 제품의 구체적인 정보 또는 수정된 내용 등을 입력부(220)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제어부(270)는 수신된 데이터를 통신부(210)를 통해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전달할 수 있다.
제품 이력 생성 및 유통 단말(200)의 I/O 통신부(240)는 제 2 네트워크(700)와 연결되어 수신된 이미지 코드를 이미지 코드 제품(300)에 전달하거나, 이미지 코드 제품(300)으로부터 제품 식별자나 구체적인 제품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정보들은 제어부(270)의 제어에 따라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통신부(210)를 통해 전달할 수 있다. I/O 통신부(240)는 제 2 네트워크(700)의 형태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품 이력 생성 및 유통 단말(200)의 하드 디스크(250)는 제어부(270)에서 수행될 프로그램들과 이미지 등과 같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하드 디스크(250)에서 프로그램을 읽어 들인 후에, 메모리(260)에 저장하고, 메모리(26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제품 이력 생성 및 유통 단말(200)의 각 블록들을 제어한다.
제품 이력 생성 및 유통 단말(200)의 메모리(26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으며, 메모리(260)는 제어부(270)에서 수행될 프로그램 전체 혹은 단편을 저장할 수 있고, 통신부(210)를 통해 송 수신되는 데이터 또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품 이력 생성 및 유통 단말(200)의 제어부(270)는 제품 이력 생성 및 유통 단말(200)의 각 블럭을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제어부(270)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성할 수 있어, 예를 들어 제어부(270)는 프로세서와 프로세서에 탑재되어 수행되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예를 들어 출력부(230)를 통해 사용자에게 사용자 입력을 유도하기 위해 사용자 등록 화면 또는 제품 등록 화면 또는 제품 이력 갱신 화면을 생성하고 출력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부(220)를 통해 수신된 입력 데이터를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로 전달한다. 각각의 화면은 HTML, Java Applet 또는 기타 응용 프로그램으로부터 구성할 수 있다.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400)는 데이터 버스/제어 버스에 연결된 통신부(410), 입력부(420), 출력부(430), 메모리(450), 이미지 센서 수신부(460), 및 제어부(470)를 포함할 수 있고 GPS 수신부(440)를 더 포함할 있다.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400)의 통신부(410)는 제 1 네트워크(600)를 통해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와 연결되어,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400)에서 인식한 이미지 코드와 관련된 정보를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와 네트워크 패킷으로 송수신할 수 있고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 또는 제품 이력 생성 및 유통 단말(200) 또는 이미지 코드 제품(300)으로부터 이미지 코드를 수신할 수도 있다. 송신되는 데이터에는 이미지 코드의 제품별 이력 정보 식별자,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400)의 위치 정보와 연락처, 이미지 코드에 접근한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하고, 또한 이미지 코드의 버전 정보 또는 갱신된 날짜 정보를 전달할 수 있으며, 또는 이미지 코드 제품(300)에 대한 추가적 정보 요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신되는 데이터에는 추가적 정보 요청에 따른 이미지 코드 제품(300)의 전체 정보나 이미지 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할 데이터는 제어부(470)의 제어에 따라 제어부(470)로부터 직접 수신하고 송신하거나 혹은 메모리(450)를 통해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410)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400)의 입력부(420)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을 제어부(470)의 제어에 따라 제어부(470)나 메모리(450)에 전달한다. 입력부(420)의 구성은 키패드, 터치 패널,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입력 수단을 포함한다.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400)의 출력부(430)는 3.5 인치 LCD 화면 등과 같이 사용자에게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화면 출력 장치를 포함하고, 제어부(470)에서 이미지 코드를 디코딩하여 생성된 정보를 화면 출력 장치의 포맷으로 변환하여 이미지로 출력한다.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400)의 GPS 수신부(440)는 3개 또는 4개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로부터 GPS 위성에서 전송된 시간 스탬프와 지연 시간 등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생성된 위치 정보는 제어부(470)의 제어에 따라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로 전달될 수 있다.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400)의 메모리(45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으며, 메모리(450)는 제어부(470)에서 수행될 프로그램 전체 혹은 단편을 저장할 수 있고, 통신부(410)를 통해 송 수신되는 데이터 또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400)의 이미지 센서 수신부(460)는 CCD 센서 등과 같은 카메라 센서를 포함하여, 수신된 이미지를 제어부(470)나 메모리(450)에 전달한다. 이미지 센서는 이미지 코드 제품(300)의 이미지 코드를 인식하게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400)의 제어부(470)는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400)의 각 블럭을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제어부(470)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성할 수 있어, 예를 들어 제어부(470)는 프로세서와 프로세서에 탑재되어 수행되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470)는 예를 들어 이미지 코드 제품(300)에 부착 또는 저장된 이미지 코드를 이미지 센서 수신부(460)를 통해 수신하거나 통신부(410)를 통해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 또는 제품 이력 생성 및 유통 단말(200)로부터 받고, 입력받은 이미지를 분석하여 이미지 코드에 저장된 정보를 추출한다. 이미지 코드의 포맷은 예를 들어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와 약속된 하나의 포맷일 수도 있다. 혹은 하나의 이상의 포맷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나의 동일한 포맷이라면 해당되는 이미지 코드 리더(Reader)를 사용하여 이미지 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추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 않고 하나 이상의 포맷을 사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제어부(470)는 복수의 대응하는 이미지 코드 리더를 사용해서 이미지 특정 포맷에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고 일치하는 특정 포맷으로 이미지 코드에 저장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특정 포맷의 이미지 코드 리더는 약속된 외형(예를 들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내의 기준점(예를 들어 특정 테두리 중 특정 한점)을 인식하고, 해당 기준점으로부터 정보(ASCII data 등)를 특정 이미지 포맷의 순서에 따라서 이미지를 판독하여 읽어 들인다. 판독된 이미지 코드의 정보는 제어부(470)의 제어에 따라 출력부(430)에 출력된다. 출력부(430)에 출력되는 형식은 임의의 형식을 취할 수 있으며, 판독된 이미지 코드의 정보가 HTML 또는 XML과 같은 정형화된 포맷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판독된 이미지 코드의 정보를 정형화된 포맷으로 출력하도록 구성한다. 물론 이미지 코드에 저장된 내용이 제품별 이력 정보 레코드 중 일부의 내용인 경우 혹은 더 자세한 정보를 수신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이미지 코드에 포함된 제품별 이력 정보 식별자를 포함하여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로 전달하고 전체 정보를 수신하고 출력부(430)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70)는 이미지 코드를 이미지 센서 수신부(460)를 통해 인식한 경우에, 이미지 코드를 인식한 날짜와 시간을 나타내는 접근 시간과 연락처(예를 들어 핸드폰의 전화번호 또는 IP 주소등) 또는 위치 정보와 제품별 이력 정보 식별자를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전달할 수 있고,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는 만약 제품별 이력 정보 식별자로 식별된 해당 이미지 코드 제품(300)이 도난 또는 분실 상태인 경우,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의 데이터 베이스(140)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 레코더의 디폴트 연락처 등에 수신된 접근 시간과 연락처 또는 위치 정보를 전달하거나 또는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400)에 도난 또는 분실 상태임을 알리고, 이미지 코드 제품(300)의 사용자의 디폴트 연락처를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5는 휴대형 장치와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 간의 정보 흐름을 시계열적로 도시한 일 실시예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휴대형 장치는 핸드폰, 스마트폰 또는 PDA 일 수 있다. 휴대형 장치는 제품 이력 생성 및 유통 단말(200)로서, 사용자 등록, 제품 정보, 제품 갱신 정보를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송신할 수 있고, 이미지 코드 제품(300)으로 사용자가 이력을 관리할 대상 제품으로 이미지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도 5를 살펴보면 먼저 휴대형 장치는 ①사용자 등록을 위해 사용자 정보를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전달하고, 이미지 코드 제품(300)으로서 제품별 이력 정보로 등록하기 위해, 제품 정보를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전달한다. 사용자 정보는 휴대형 장치의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으로부터 수신받고, 휴대형 장치에 저장된 제품 식별자 또는 제품의 구체적인 정보를 자동으로 검색하거나 혹은 사용자의 입력으로부터 제품 식별자 또는 제품의 구체적인 정보를 수신한다.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는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베이스(140)상의 사용자 정보 레코더를 새롭게 생성하고, 마찬가지로 제품 정보를 이용하여 이미지 코드를 포함하는 제품별 이력 정보 레코더를 생성한다.
②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는 생성된 이미지 코드를 휴대형 장치로 전달한다. 전달되는 이미지 코드의 정보에는 제품별 이력 정보 식별자와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의 주소(예를 들어 IP 주소) 등을 포함하고, 또한 사용자 정보, 그리고 제품의 구체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③ 별도의 이미지 센서를 구비한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400)는 휴대형 장치의 이력을 확인하기 위해 휴대형 장치의 이미지 코드를 인식한다.
④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400)는 인식된 이미지 코드의 정보를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400)의 출력부(430)를 통해 출력한다. 물론 이미지 코드가 저장된 휴대형 장치가 바로 저장된 이미지 코드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⑤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400)는 이미지 코드를 인식함으로써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400)의 연락처(예를 들어 전화 번호 또는 IP 주소 )와 이미지 코드의 제품별 이력 정보 식별자와 이미지 코드의 접근 시간과 추가로 이미지 코드의 버전 정보과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400)의 위치 정보 등과 같은 접근 정보를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에 전달한다.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는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400)로부터 수신된 접근 정보를 제품별 이력 정보 식별자에 대응하는 레코더에 저장한다.
⑥ 만약 휴대형 장치가 도난 또는 분실 상태인 경우, 수신된 접근 정보에 기초하여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의 사용자 정보에 저장된 연락처 특히 디폴트 연락처로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400)의 연락처 또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전달한다. 그러면 휴대형 장치의 소유자 또는 정당한 권리자는 전달된 연락처를 사용하여 휴대형 장치를 찾을 수 있고, 혹은 연락처 외에 위치 정보를 포함한 경우라면,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형 장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⑦ 휴대형 장치는 또한 휴대형 장치의 제품 갱신 정보를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로 전달한다. 제품 갱신 정보는 휴대형 장치의 입력부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직접적인 입력으로 할 수 있다. 물론 휴대형 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 이력 생성 및 유통 단말(200)로부터 입력받을 수도 있다. AS 센터나 수리점 등에 있는 PC가 그 예일 것이다.
⑧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는 수신된 제품 갱신 정보를 바탕으로 제품별 이력 정보 레코더 내에 새로운 제품 갱신 정보 필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품 갱신 정보 필드를 반영한 이미지 코드를 생성하고 이미지 코드를 휴대형 장치로 전달한다. 물론 갱신된 이미지 코드의 정보를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400) 등에서 읽어서 확인할 수 있다.
⑨ 휴대형 장치가 설정된 일정 시간(예를 들어 1일 등) 이상 사용을 하지 않는 경우 혹은 휴대형 장치의 전원의 용량이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에 휴대형 장치는 이미지 코드에 저장된 제품별 이력 정보 식별자와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의 주소로 휴대형 장치의 위치 정보와 휴대형 장치의 상태(예를 들어 방전 상태 혹은 사용되지 않는 상태)를 전달할 수 있다.
⑩ 제품 이력 관리 서버(100)는 수신된 제품별 이력 정보 식별자를 사용해서 제품별 이력 정보 레코더를 찾고, 제품별 이력 정보 레코더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 레코더를 찾아, 사용자 정보 중 연락처 등을 사용해서 사용자에게 휴대형 장치의 상태 정보와 위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휴대형 장치의 상태 정보와 위치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사용자는 휴대형 장치의 도난 또는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⑪ 또한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400)는 휴대형 장치의 사용자의 입력 등에 의한 지시에 따라 휴대형 장치나 제품 이력 관리 서버로부터 이미지 코드(갱신된 이미지 코드를 포함하여)를 제 1 네트워크(600) 또는 그 외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이미지 코드는 JPEG 등과 같은 그래픽 포맷의 파일로 인코딩되어,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는 수신된 파일의 해당 그래픽 포맷을 디코딩한다.
⑫그래픽 포맷으로 된 파일을 디코딩한 후에, 생성된 이미지로부터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는 이미지 코드의 정보를 추출하여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400)는 이미지 코드의 정보를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400)의 출력부(430)를 통해 출력한다.
도 5에서는 휴대형 장치를 제품 이력 생성 및 유통 단말(200)로서, 그리고 이미지 코드 제품(300)으로서 설명을 하였다. 휴대형 장치는 이미지 코드의 파일을 읽은 후에 해당되는 이미지 코드의 정보를 추출하고 출력부에 출력하는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400)로서도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자명히 이해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제품 이력 관리 서버
110 : 통신부 120 : 메모리
130 : 하드 디스크 140 : 데이터 베이스
150 : 제어부
151 : 사용자 등록 모듈 152 : 제품 정보 등록 모듈
153 : 제품 정보 갱신 모듈 154 : 이미지 코드 생성 모듈
155 : 이미지 코드 전송 모듈 156 : 이미지 코드 접근 수신 모듈
200 : 제품 이력 생성 및 유통 단말
210 : 통신부 220 : 입력부
230 : 출력부 240 : I/O 통신부
250 : 하드 디스크 260 : 메모리
270 : 제어부
300 : 이미지 코드 제품 400 :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
410 : 통신부 420 : 입력부
430 : 출력부 440 : GPS 수신부
450 : 메모리 460 : 이미지 센서 수신부
470 : 제어부
500 : 제조사 서버 600 : 제 1 네트워크
700 : 제 2 네트워크

Claims (9)

  1.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제품 이력 관리 시스템으로서,
    제품의 이력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이미지 코드를 생성하는 제품 이력 관리 서버;
    제 1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기 제품 이력 관리 서버에 이미지 코드 제품과 관련된 제품 정보 또는 제품 갱신 정보를 송신하거나 상기 생성된 이미지 코드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품 이력 생성 및 유통 단말; 및
    상기 이미지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이미지 코드에 저장된 제품의 이력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를 포함하는,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제품 이력 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코드 제품의 제품 식별자를 상기 제품 이력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품 식별자에 따른 제품의 구체적 정보를 상기 제품 이력 관리 서버에 전달하는 제조사 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품 이력 생성 및 유통 단말은 상기 제품 식별자를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입력으로부터 또는 상기 이미지 코드 제품으로부터 전달받고, 상기 제품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제품 정보를 상기 제품 이력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제품 이력 관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는 상기 제품 이력 생성 및 유통 단말 또는 상기 제품 이력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이미지 코드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제품 이력 관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이력 생성 및 유통 단말은 상기 이미지 코드 제품의 제품 갱신 정보를 제 1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기 제품 이력 관리 서버에 더 송신할 수 있고,
    상기 제품 이력 관리 서버는 상기 제품 갱신 정보를 포함하는 갱신된 이미지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제품 이력 생성 및 유통 단말에 전달하며,
    상기 이미지 코드 제품은 상기 갱신된 이미지 코드로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제품 이력 관리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이력 생성 및 유통 단말은, 상기 이미지 코드 제품의 도난 또는 분실 여부를 결정하는 제품 상태 정보를 제 1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기 제품 이력 관리 서버에 더 송신할 수 있고,
    상기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가 상기 이미지 코드 제품의 상기 이미지 코드를 인식한 경우에, 상기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는 상기 제품 이력 관리 서버에 연락처 또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전달하고,
    상기 이미지 코드 제품이 도난 또는 분실된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의 연락처 또는 위치 정보를 상기 이미지 코드 제품의 등록된 사용자의 연락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제품 이력 관리 시스템.
  6. 휴대형 장치에서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제품 이력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휴대형 장치에 관련된 제품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제품 이력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제품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이미지 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이미지 코드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 코드를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형 장치에서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제품 이력 관리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장치에 관련된 제품 갱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품 이력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제품 갱신 정보에 기초하여 갱신된 이미지 코드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형 장치에서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제품 이력 관리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장치의 제품 상태가 도난 또는 분실 상태인 경우에, 상기 휴대형 장치의 이미지 코드를 인식한 제품 이력 조회 단말기의 연락처 또는 위치 정보를 상기 제품 이력 관리 서버에 등록된 상기 휴대형 장치의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장치에서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제품 이력 관리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장치가 일정 기간 이상 대기 상태인 경우 또는 상기 휴대형 장치의 전원 용량이 일정 용량 이하인 경우, 상기 휴대형 장치의 연락처 또는 위치 정보를 상기 제품 이력 관리 서버에 등록된 상기 휴대형 장치의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장치에서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제품 이력 관리 방법.
KR1020100088031A 2010-09-08 2010-09-08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제품 이력 관리 시스템 및 휴대형 장치에서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제품 이력 관리 방법 KR201200258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031A KR20120025863A (ko) 2010-09-08 2010-09-08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제품 이력 관리 시스템 및 휴대형 장치에서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제품 이력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031A KR20120025863A (ko) 2010-09-08 2010-09-08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제품 이력 관리 시스템 및 휴대형 장치에서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제품 이력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5863A true KR20120025863A (ko) 2012-03-16

Family

ID=46132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8031A KR20120025863A (ko) 2010-09-08 2010-09-08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제품 이력 관리 시스템 및 휴대형 장치에서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제품 이력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5863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597B1 (ko) * 2012-08-13 2014-07-0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말 건강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CN104537463A (zh) * 2014-12-11 2015-04-22 重庆广建装饰股份有限公司 基于条形码的定制产品信息管理方法
CN104574242A (zh) * 2013-10-28 2015-04-29 吴洪贵 药品智能追溯系统
KR101538159B1 (ko) * 2014-07-24 2015-07-22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초소형 식별표지를 이용한 물품의 정보 확인방법
KR20150106468A (ko) * 2014-03-11 2015-09-22 김지훈 중고 휴대폰의 유통 정보 관리 방법
KR20150122045A (ko) * 2014-04-18 2015-10-30 임영덕 시장 유통 재화 기반의 sns 시스템 및 방법
WO2017188505A1 (ko) * 2016-04-26 2017-11-02 (특수법인)한국전파진흥협회 중고휴대폰 인증코드 부여 장치, 중고휴대폰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고휴대폰 인증 방법
KR20200067989A (ko) * 2018-03-16 2020-06-15 이브이지에이 코포레이션 제품에 대한 평가가 가능한 탈중심화 데이터 구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15592B1 (ko) * 2021-04-01 2021-10-21 (주)테온 사용자 접근성이 개선된 전자 장비의 유지 보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597B1 (ko) * 2012-08-13 2014-07-0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말 건강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CN104574242A (zh) * 2013-10-28 2015-04-29 吴洪贵 药品智能追溯系统
KR20150106468A (ko) * 2014-03-11 2015-09-22 김지훈 중고 휴대폰의 유통 정보 관리 방법
KR20150122045A (ko) * 2014-04-18 2015-10-30 임영덕 시장 유통 재화 기반의 sns 시스템 및 방법
KR101538159B1 (ko) * 2014-07-24 2015-07-22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초소형 식별표지를 이용한 물품의 정보 확인방법
CN104537463A (zh) * 2014-12-11 2015-04-22 重庆广建装饰股份有限公司 基于条形码的定制产品信息管理方法
WO2017188505A1 (ko) * 2016-04-26 2017-11-02 (특수법인)한국전파진흥협회 중고휴대폰 인증코드 부여 장치, 중고휴대폰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고휴대폰 인증 방법
KR20200067989A (ko) * 2018-03-16 2020-06-15 이브이지에이 코포레이션 제품에 대한 평가가 가능한 탈중심화 데이터 구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15592B1 (ko) * 2021-04-01 2021-10-21 (주)테온 사용자 접근성이 개선된 전자 장비의 유지 보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25863A (ko)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제품 이력 관리 시스템 및 휴대형 장치에서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제품 이력 관리 방법
US8833652B2 (en) Product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 tag and mobile device
JP6456586B2 (ja) 決済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5634430B2 (ja) 商品販売システム
KR101249059B1 (ko) 정보 교환 장치,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관리 시스템
KR101487430B1 (ko) 병행수입품 a/s 관리시스템
US20140006207A1 (en) Two-Dimensional Code Reader with Location Identifier
CN101923693A (zh) 用于出售游戏内容的系统及其方法
CN104036412A (zh) 导购系统、导购管理装置及方法
CN103250170A (zh) 电子交易方法和系统
US201500325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customer loyalty
JP2016024479A (ja) 販売支援システム
KR20190034185A (ko) 폐자동차 해체 탈거 부품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판매방법
JP6201420B2 (ja) レシート情報管理システム
JP201424102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2008225701A (ja) 保証書提供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仲介サーバ、保証書提供方法、保証書提供プログラム
JP5679291B2 (ja) 電子保証書管理システム、電子保証書管理サーバ、及び電子保証書管理方法
US20140358683A1 (en) Method of generating revenue from promoters utilizing wireless technology
JP4083095B2 (ja) カタログ商品注文方法、カタログ商品受注方法、及び、受注システム
KR20060024301A (ko) 이미지패턴코드 인식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를이용한 정품인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2002245141A (ja) 商品情報配信方法、その商品自動販売機、商品コード読取装置、商品情報検索端末および商品情報配信サーバ
KR20180108018A (ko) 온라인 쇼핑을 위한 상품 관리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54938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제품 등록 방법
JP7246600B1 (ja) ノンファンジブルトークンの生産方法及び生産システム、固有識別子の登録方法及びシステム、並びに組み合わせ製品の生産方法
KR20140058213A (ko) 센서 자동 판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