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5597B1 - 말 건강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말 건강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5597B1
KR101415597B1 KR1020120088470A KR20120088470A KR101415597B1 KR 101415597 B1 KR101415597 B1 KR 101415597B1 KR 1020120088470 A KR1020120088470 A KR 1020120088470A KR 20120088470 A KR20120088470 A KR 20120088470A KR 101415597 B1 KR101415597 B1 KR 101415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se
information
unit
central server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8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2201A (ko
Inventor
차재상
이선희
Original Assigne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88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5597B1/ko
Publication of KR20140022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2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5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5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말의 상태정보, 영상정보를 토대로 말의 건강정보를 생성해 중앙서버부가 관리하고 말의 상태를 관리자가 파악하기 용이하도록 QR코드를 통해 손쉽게 스마트폰으로 접속해 각종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말 건강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이 개시된다. 체온 및 맥박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여 상기 말의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상태측정부와, 상기 상태측정부에서 생성되는 상태정보를 무선 통신 방식으로 수신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신호수신부와 상기 신호수신부로부터 상기 상태정보를 인가받고, 상기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말의 건강정보를 생성하는 중앙서버부와, 상기 중앙서버부에서 상기 말에 대한 정보를 습득하기 위한 접속 경로를 포함하는 QR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표시부 및, 상기 QR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중앙서버부와 접속하고, 상기 중앙서버부로부터 상기 상태정보 및 상기 건강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스마트폰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으로 특정 말의 QR코드를 인식 하는 것만으로, 해당 말의 상태정보, 영상정보 및 건강정보를 중앙서버부에서 제공 받을 수 있어 말의 상태를 파악하기 용이하고 그에 따라 다수의 말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말 건강관리 모니터링 시스템{Horse Health Management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말 건강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말의 상태정보를 파악해 말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고 이를 모니터링 하는 말 건강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은 오래전부터 인간에게 많은 즐거움을 주는 동물이다. 과거에는 운송수단으로 큰 각광을 받았고, 현재는 취미생활과 레포츠 등의 여가에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수요도 점점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더불어, 말을 이용한 사업 등이 많아지고 그에 따른 말의 개체 증가에 따라 말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필요로 하고 있다.
더불어, 말과 사람과의 접촉이 많아지므로 질병 등의 건강관리에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말의 건강을 관리하는 시설에서는 사육사나 수의사의 수기를 통해 말의 상태를 관리 하였다. 이러한 관리 방법은 사육사 또는 수의사의 개인적인 주관에 의존할 가능성이 높아 체계적이고 객관적으로 말의 건강을 관리하기에는 문제점이 따른다.
또한, 또한 이러한 말의 수요가 높아지며 말을 수용하는 시설이 점점 대형화 되는 추세에 사육사나 수의사를 통해 말을 관리하기에는 인력이 많이 투입되어 비용발생을 초래한다.
또한, 말이 질병에 걸렸는지 사육사 또는 수의사가 수시로 체크해야 하는데, 다수의 말을 관리해야 하는 사육사 또는 수의사가 질병에 걸린 말을 찾아내고 이를 치료하기 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하는 과제는 말의 상태정보, 영상정보를 토대로 말의 건강정보를 생성해 중앙서버부가 관리하고 말의 상태를 관리자가 파악하기 용이하도록 QR 코드를 통해 손쉽게 스마트폰으로 접속해 각종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말 건강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말 건강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은 체온 및 맥박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여 상기 말의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상태측정부와, 상기 상태측정부에서 생성되는 상태정보를 무선 통신 방식으로 수신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신호수신부와 상기 신호수신부로부터 상기 상태정보를 인가받고, 상기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말의 건강정보를 생성하는 중앙서버부와, 상기 중앙서버부에서 상기 말에 대한 정보를 습득하기 위한 접속 경로를 포함하는 QR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표시부 및, 상기 QR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중앙서버부와 접속하고, 상기 중앙서버부로부터 상기 상태정보 및 상기 건강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스마트폰을 포함한다.
상기 말 건강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말을 촬영하여 상기 말의 영상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중앙서버부로 제공하는 촬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촬영부로부터 상기 영상정보를 더 인가받고, 상기 상태정보 및 상기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말의 건강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중앙서버부로부터 상기 상태정보, 상기 건강정보 및 상기 영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상태측정부는 상기 체온 및 맥박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여 상기 말의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상태 측정센서, 및 상기 상태 측정센서에서 생성된 상기 상태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RFID 태그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수신부는 상기 RFID 태그와 접속되어 상기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태정보를 상기 중앙서버부로 제공하는 RFID 리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드표시부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QR 코드를 표시할 수 있는 복수의 발광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소자들 각각은 발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드표시부는 상기 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텍스트 정보를 더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텍스트 정보는 상기 QR 코드 내에 포함되어 표시되거나, 상기 QR 코드와 분할되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코드표시부는 상기 말을 수용하는 마방의 일측에 부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코드표시부는 상기 말의 신체 일부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말 건강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하면, 스마트폰으로 특정 말의 QR코드를 인식 하는 것만으로, 해당 말의 상태정보, 영상정보 및 건강정보를 중앙서버부에서 제공 받을 수 있어 말의 상태를 파악하기 용이하고 그에 따라 다수의 말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말 건강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말 개체의 다양한 상태정보를 축적할 수 있어 말의 이상 여부나 말의 개개별 특성을 고려해 사육할 수 있어 체계적인 사육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상이 있는 말이 제어부에 의해 분석되어 감지되면 사육사 또는 수의사에게 바로 알릴 수 있어 말의 이상에 빠른 대응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와 달리 다수의 마방을 관리하기 위한 인력이 적게 들어 비용절감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말 건강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말 건강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말 건강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코드표시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말 건강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코드표시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말 건강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코드표시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말 건강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코드표시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말 건강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말 건강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말 건강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코드표시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 부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말 건강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코드표시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도 2, 도 3, 도 4, 도 5,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말 건강관리 모니터링 시스템(1000)은, 상태측정부(100), 신호수신부(200), 중앙서버부(300), 코드표시부(400), 스마트폰(500), 촬영부(600)를 포함한다.
상기 상태측정부(100)는 상기 말의 체온 및 맥박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여 상기 말의 상태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상태측정부(100)는 상기 체온 및 맥박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여 상기 말의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상태 측정센서(110)와 상기 상태 측정센서(110)에서 생성된 상기 상태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RFID 태그(120)를 포함한다.
상기 측정센서(110)는 상기 말의 피부 밑에 이식되어 설치된다. 상기 측정센서(110)는 상기 말의 엉덩이나 귀 부분에 이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말이 움직일 때 영향을 받지 않는 부분에 이식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측정센서(110)는 상기 말의 일측에 부착되거나 관통되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측정센서(110)는 말의 귀에 부착되거나 귀에 구멍을 뚫어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측정센서(110)는 말의 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온도측정센서(110)(도시되지 않음)와 맥박을 측정하기 위한 맥박측정센서(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측정센서(110)와 상기 맥박측정센서는 작은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체로 결합되거나 패키징 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측정센서(110)에는 말의 혈압을 측정하기 위한 혈압측정센서(도시되지 않음)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혈압측정센서(도시되지 않음)는 상기 온도측정센서(110)(도시되지 않음)와 상기 맥박측정센서(도시되지 않음)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RFID 태그(120)는 상기 측정센서(110)에서 측정되어 생성된 상태정보를 외부로 전송 할 수 있다. 상기 RFID 태그(120)는 상기 측정센서(110)와 일체로 형성되고, 작은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RFID 태그(120)는 상기 측정센서(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RFID 태그(120)에는 상기 신호수신부에서 식별하기 용이하도록 고유 식별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말의 개별정보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신호수신부에서 신호를 감지할 때 상기 발의 개별정보를 분류해 중앙서버부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태측정부(100)에는 상기 말에 부착되거나 이식되어 설치되는 측정센서(110) 외에 상기 말의 체중을 측정하는 체중측정센서(도시되지 않음)와 상기 말의 식사량을 측정하는 식사량측정센서(도시되지 않음)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체중측정센서(도시되지 않음)는 마방의 바닥에 배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체중측정센서(도시되지 않음)은 로드셀로 이뤄질 수 있다. 상기 체중측정센서(도시되지 않음)은 넓은 판 형상으로 이뤄 질 수 있다. 상기 체중측정센서(도시되지 않음)은 상기 말이 상기 체중측정센서(도시되지 않음)에 올라선 후에 상기 말의 체중을 측정한다. 상기 말의 정확한 체중을 측정하기 위해선 말의 배설물 또는 기타 오물들이 체중측정센서(도시되지 않음)에 상부에 위치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상기 말이 내려간 순간과 상기 말이 올라간 순간의 무게를 측정해 이 차이를 말의 무게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식사량측정센서(도시되지 않음)은 상기 마방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식사량측정센서(도시되지 않음)은 말의 식사량을 측정한다. 측정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상기 말에게 제공되는 먹이가 용기에 담긴다. 상기 용기의 바닥에는 상기 먹이의 무게를 측정하는 수단이 배치된다. 상기 먹이가 담긴 용기를 1차로 측정하고 일정시간 후에 먹이가 담긴 용기를 2차로 측정해 그 차이를 상기 말이 먹은 먹이의 양으로 환산한다.
상기 신호수신부(200)는 상기 상태측정부(100)에서 생성되는 상기 말의 상태정보를 무선 통신 방식으로 수신하여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수신부는 상기 RFID 태그(120)와 접속되어 상기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태정보를 상기 중앙서버부(300)로 제공하는 RFID 리더(210)를 포함한다.
상기 RFID 리더(210)는 상기 마방에 설치된다. 상기 RFID 리더(210)는 상기 RFID 태그(120)를 감지하고 RFID 태그(120)에 저장된 정보를 읽을 수 있다. 상기 RFID 리더(210)는 자기장을 통해 RFID 태그(120)에 저장된 정보를 읽는다. 상기 RFID 리더(210)는 상기 RFID 태그(120)에서 읽어낸 상기 말의 상태정보들을 상기 중앙서버부(300)로 전송한다. 상기 RFID 리더(210)와 상기 중앙서버부(300)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 한다.
상기 중앙서버부(300)는 상기 신호수신부(200)로부터 상기 상태정보를 인가받고, 상기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말의 건강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중앙서버부(300)는 상기 RFID 리더(2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말의 상태정보를 제공 받는다. 상기 중앙서버부(300)는 상기 RFID 리더(210)에서 제공받은 상기 말의 상태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수단(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된다. 상기 중앙서버부(300)는 상기 메모리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저장된 상기 말의 상태정보를 토대로 상기 말의 건강상태를 분석하는 분석수단(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된다. 예를 들면, 상기 분석수단(도시되지 않음)은 다수의 말들을 분석해 정상 범위의 정상상태정보와 질병에 걸린 상태나 질병에 걸리기 전의 상태를 데이터화한 비정상상태정보가 내부에 저장된다. 상기 분석수단(도시되지 않음)은 상기 메모리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저장된 말의 상태정보와 상기 분석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저장된 상기 정상상태정보 및 상기 비정상상태정보를 비교해 상기 메모리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저장된 상기 말의 건강상태를 판단한다. 상기 분석수단(도시되지 않음)은 상기 말의 건강상태를 토대로 건강상태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메모리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상기 건강상태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분석수단(도시되지 않음)은 프로그램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중앙서버부(300)는 상기 메모리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저장된 상기 말의 상태정보를 순차적으로 저장하고 이를 토대로 상기 말의 표준상태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는 위에 설명한 상기 정상상태정보나 상기 비정상상태정보와 달리 상기 말의 상태정보를 토대로 생성한다. 때문에 다수의 말을 토대로 만든 상기 정상상태정보나 상기 비정상상태정보보다 좀 더 정확하게 상기 말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말 개체마다 특성이 조금씩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상기 중앙서버부(300)는 상기 말의 건강상태를 판단하는 기준 데이터를 상기 표준상태정보 뿐만 아니라 상기 정상상태정보와 상기 비정상상태정보를 함께 고려해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말 건강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코드표시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 부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말 건강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코드표시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도 4, 도 5,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코드표시부를 설명한다.
상기 코드표시부(400)는 상기 중앙서버부(300)에서 상기 말에 대한 정보를 습득하기 위한 접속 경로를 포함하는 QR 코드(410)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상기 코드표시부(400)는 상기 QR 코드(410)를 표시할 수 있도록 일정 면적을 가지는 판 형태로 이뤄질 수 있다. 상기 코드표시부(400)는 상기 말을 수용하는 마방의 일측에 부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말의 신체 일부에 부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말의 허벅지나 엉덩이 등의 급한 굴곡이 형성되지 않은 부위에 염료 등으로 인쇄될 수 있다. 상기 코드표시부(400)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QR 코드(410)를 표시할 수 있는 복수의 발광소자(411)들로 이뤄질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411)는 발광 다이오드(LED)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들(411) 각각은 미세한 크기, 예를 들어 문자를 표시하기에 적당한 도트 크기를 갖는 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드표시부(400)는 상기 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텍스트 정보(412)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QR 코드(410)가 일정시간 상기 발광소자(411)들에 의해 디스플레이되고 일정시간이 지나면 상기 말의 이름이나 관리번호가 일정시간 디스플레이되고 다시 QR 코드(410)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텍스트 정보(412)는 상기 QR 코드(410) 내에 포함되어 표시되거나, 상기 QR 코드(410)와 분할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QR 코드(410)에는 다양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QR 코드(410)에는 상기 중앙서버부(300)에 저장된 상기 말의 상태정보 및 건강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경로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넷 URL이 표시될 수 있다. 더물어 상기 QR 코드(410)에는 상기 말의 이름나 관리번호 또는 식별번호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500)은 상기 QR 코드(410)를 인식하여 상기 중앙서버부(300)와 접속하고, 상기 중앙서버부(300)로부터 상기 상태정보 및 상기 건강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상기 스마트폰(500)에는 중앙서버부(300)에 접속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51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510)에는 상기 QR 코드(410)를 스캔해 QR 코드(410)에 저장된 정보를 읽어낸다. 예를 들면, 상기 스마트폰(500)에 구비된 카메라(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해 상기 QR 코드(410)를 촬영하고 이를 해석해 상기 QR 코드(410)에 저장된 정보를 읽어낸다. 그리고 상기 QR 코드(410)에서 읽어낸 정보를 통해 상기 말의 각종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해 중앙서버부(300)로 접속한다. 이때, 상기 스마트폰(500)과 중앙서버부(300)와의 접속수단은 인터넷망을 이용할 수 있다. 또는 인터넷이 지원되는 이동통신사의 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510)은 상기 중앙서버부(300)로 접속해 상기 말의 체온, 맥박, 체중, 식사량 및 이를 토대로 분석된 건강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어플리케이션(510)은 한번 스캔한 QR 코드(410)를 저장할 수 있어 필요시엔 QR 코드(410)를 다시 스캔할 필요없이 저장된 QR 코드(410)를 선택하는 행위만으로 상기 말의 정보를 중앙서버부(300)에 접속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앙서버부(300)에서는 상기 말의 상태정보에 이상이 생긴 것은 분석수단(도시되지 않음)이 감지하면 상기 스마트폰(5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510)을 통해 사용자에게 경고를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동시에 병원에도 말의 위급한 상황을 알려 말의 건강 이상에 신속하게 대응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말 건강관리 모니터링 시스템(1000)은 상기 말을 촬영하여 상기 말의 영상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중앙서버부로 제공하는 촬영부(6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촬영부(600)는 상기 마방에 설치되어 말의 상태를 영상화 한다. 상기 촬영부(600)은 상기 마방에 설치되어 말의 실시간 모습을 촬영한다. 상기 촬영부(600)는 일종의 CCTV와 같은 구성으로 이뤄질 수 있다. 상기 촬영부(600)에는 상기 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상기 촬영부(600)는 상기 말의 움직임을 감지해 말이 촬영부(600)가 촬영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말을 따라 이동되며 말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촬영부(600)는 말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일측에 엑추에이터(도시되지 않음)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엑추에이터(도시되지 않음)은 모터(도시되지 않음)로 이뤄질 수 있다.
상기 촬영부(600)에서 촬영된 영상정보는 상기 중앙서버로 제공된다. 상기 중앙서버에서는 상기 촬영부(600)에서 공급된 영상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상태정보 및 상기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말의 건강정보를 생성한다.
한편,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중앙서버부로부터 상기 상태정보, 상기 건강정보 및 상기 영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상태측정부 (110) : 측정센서
(120) : RFID 태그 (200) : 신호수신부
(210) : RFID 리더 (300) : 중앙서버부
(400) : 코드표시부 (500) : 스마트폰
(600) : 촬영부

Claims (9)

  1. 체온 및 맥박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여 말의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상태측정부;
    상기 상태측정부에서 생성되는 상태정보를 무선 통신 방식으로 수신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신호수신부;
    상기 신호수신부로부터 상기 상태정보를 인가받고, 상기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말의 건강정보를 생성하는 중앙서버부;
    다수개의 발광 다이오드(LED)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중앙서버부로부터 전송받은 말에 대한 정보를 QR 코드 및 텍스트로 표시하는 코드표시부;
    상기 QR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중앙서버부와 접속하고, 상기 중앙서버부로부터 해당 말에 대한 상기 상태정보 및 상기 건강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말 건강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말을 촬영하여 상기 말의 영상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중앙서버부로 제공하는 촬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촬영부로부터 상기 영상정보를 더 인가받고, 상기 상태정보 및 상기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말의 건강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중앙서버부로부터 상기 상태정보, 상기 건강정보 및 상기 영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 건강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측정부는 상기 체온 및 맥박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여 상기 말의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상태 측정센서, 및 상기 상태 측정센서에서 생성된 상기 상태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RFID 태그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수신부는 상기 RFID 태그와 접속되어 상기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태정보를 상기 중앙서버부로 제공하는 RFID 리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 건강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표시부는,
    상기 텍스트를 상기 QR 코드 내에 포함하여 표시하거나, 상기 QR 코드와 분할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 건강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표시부는
    상기 말을 수용하는 마방의 일측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 건강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표시부는
    상기 말의 신체 일부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 건강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20088470A 2012-08-13 2012-08-13 말 건강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KR101415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470A KR101415597B1 (ko) 2012-08-13 2012-08-13 말 건강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470A KR101415597B1 (ko) 2012-08-13 2012-08-13 말 건강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2201A KR20140022201A (ko) 2014-02-24
KR101415597B1 true KR101415597B1 (ko) 2014-07-04

Family

ID=50268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8470A KR101415597B1 (ko) 2012-08-13 2012-08-13 말 건강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559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1069A (ko) * 2007-07-25 2009-02-02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센서 및 지피에스를 이용한 소 건강관리시스템
KR20120025863A (ko) * 2010-09-08 2012-03-16 김재호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제품 이력 관리 시스템 및 휴대형 장치에서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제품 이력 관리 방법
KR20120077332A (ko) * 2010-12-30 2012-07-10 주식회사 알에프링크 피측정물의 상태 및 이력을 측정하고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87284A (ko) * 2010-12-27 2012-08-0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Led 정보코드에 의한 데이터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1069A (ko) * 2007-07-25 2009-02-02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센서 및 지피에스를 이용한 소 건강관리시스템
KR20120025863A (ko) * 2010-09-08 2012-03-16 김재호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제품 이력 관리 시스템 및 휴대형 장치에서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제품 이력 관리 방법
KR20120087284A (ko) * 2010-12-27 2012-08-0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Led 정보코드에 의한 데이터 제공 시스템
KR20120077332A (ko) * 2010-12-30 2012-07-10 주식회사 알에프링크 피측정물의 상태 및 이력을 측정하고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2201A (ko) 2014-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51374C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imal health, nutrition, and/or wellness recommendations
US10448618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nimal health conditions
US20200214266A1 (en) Domestic anim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domestic animal barn, domestic animal information management program, and domestic anim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US20190082654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nimal health conditions
KR101961311B1 (ko) 가축용 질병 예측 및 알림 시스템
KR101218368B1 (ko) 가축의 육질 향상 및 질병 예찰 시스템
CN115039713A (zh) 用于追踪动物群体的健康的方法和系统
US10600303B2 (en) Pet owner evaluation system
KR20160139229A (ko) 사물 인터넷 기반 반려 동물 생애 주기 관리 시스템
WO2019046216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NIMAL HEALTH CONDITIONS
JP2017112857A (ja) 畜産管理システム
CN111246730A (zh) 用于追踪动物群体的健康的方法和系统
US20210076644A1 (en) Animal health, behavior, and inventory monitoring
KR20100011278A (ko) 전자이표를 이용한 돼지 개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83474B1 (ko) 그룹별 축산물 생애 정보 관리 시스템
JP201614607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20150029057A (ko) 반려 동물 관리 시스템
KR20180066561A (ko) 애완동물 관리 및 구조 시스템
JP2006262848A (ja) 家畜監視システム
KR20150098024A (ko) 영상정보 및 생체신호정보를 이용한 동물의 사육환경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20190059336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nimal health conditions
KR101415597B1 (ko) 말 건강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KR20080000266A (ko) 가축관리신호 발신장치 및 그 발신장치를 이용한 무인가축관리 시스템.
KR20210114750A (ko) Iot 기반의 반려동물 스마트 건강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Rashika et al. A Wi-Fi based animal health monitor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7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