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8159B1 - 초소형 식별표지를 이용한 물품의 정보 확인방법 - Google Patents

초소형 식별표지를 이용한 물품의 정보 확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8159B1
KR101538159B1 KR1020140093963A KR20140093963A KR101538159B1 KR 101538159 B1 KR101538159 B1 KR 101538159B1 KR 1020140093963 A KR1020140093963 A KR 1020140093963A KR 20140093963 A KR20140093963 A KR 20140093963A KR 101538159 B1 KR101538159 B1 KR 101538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temperature
identification mark
information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3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우
정윤준
Original Assignee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93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81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8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8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품의 정보 확인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이크로미터 또는 나노미터 크기의 초소형 식별표지를 물품에 형성하여 물품의 정보 또는 물품의 소유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초소형 식별표지를 이용한 물품의 정보 확인방법은 물품의 표면에 물품의 정보 또는 상기 물품의 소유자 정보가 담긴 식별표지를 형성하는 표지형성단계와, 식별표지를 스캔하여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표지형성단계에서 상기 식별표지는 육안으로 관찰이 어렵도록 마이크로미터 또는 나노미터 크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초소형 식별표지를 이용한 물품의 정보 확인방법{method for identfying information of goods using identification code}
본 발명은 물품의 정보 확인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이크로미터 또는 나노미터 크기의 초소형 식별표지를 물품에 형성하여 물품의 정보 또는 물품의 소유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코드(barcode)나 큐알코드(QR code)와 같은 식별표지는 백화점, 편의점, 슈퍼마켓 등 유통 분야에서 판매 관리와 자동 수발주 관리 업무로 우리의 일상 생활과 매우 밀접하고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공장에서는 생산 관리, 품질 관리, 자재 및 완제품 입출고 관리 등에 적용되어 생산성 향상은 물론 원가 절감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또한, 사무 자동화 분야에서는 출퇴근 관리, 자산 관리, 자료 관리 등에 적용되어 산업 발전에 큰 효과를 보고 있다. 이와 같이 바코드는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데이터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집할 수 있는 수단으로 인정되고 있다.
최근에 잡지,신문,광고지 등의 인쇄물에 큐알코드를 삽입하여 한정된 지면을 극복하는 한편, 이미지, 동영상 등 다양한 형태로 소비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큐알코드는 흑백 격자무늬 패턴으로 정보를 나타내는 매트릭스 형식의 2차원 바코드로서, 1994년 일본 도요타의 자회사 덴소 웨이브가 물류 관리를 위해 개발되었다.
기존의 세로줄 무늬 바코드는 숫자만 저장할 수 있어 담을 수 있는 정보의 양에 제약이 있었던 반면에 큐알코드는 이와 달리 문자저장도 가능해 정보의 양이 무한대로 늘어나고 인터넷에 연결해 상세한 제품정보와 이미지, 동영상 등을 보여 주는 진일보한 기술로서, 작은 정사각형의 점을 가로, 세로 같은 수만큼 병렬시킨 매트릭스형 2차원 코드이며, 바코드와 달리 코너의 모서리에는 파인더 패턴이 배치되어 있어서 360도 어느 방향에서도 인식 가능하다.
통상적으로 바코드나 큐알코드는 물품이 담긴 포장지나 포장케이스에 인쇄되어 각 물품의 다양한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안경이나 반지, 시계, 장신구와 같이 소유자가 휴대하는 물품에는 통상적인 바코드나 큐알코드와 같은 식별표지를 직접적으로 인쇄하기 어렵다. 이는 식별표지를 물품에 직접 인쇄할 경우 물품의 외관을 해치기 때문이다. 또한, 안경의 구성품인 렌즈와 같이 투명한 소재에 식별표지를 인쇄할 경우 시야를 방해하여 안경의 제 기능을 발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874188호에는 코팅층에 렌즈정보가 표시된 광학렌즈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상기 특허는 광학렌즈의 표면보호를 위해 렌즈의 상면 및/또는 저면에 적층된 보호 코팅층에 렌즈 굴절율, 도수, 렌즈중심, 중심축, 제조회사, 제조일, 제조국가, 바코드, 제품명, 제조회사주소, 연락처와 같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광학렌즈를 제공한다.
하지만, 유통 후 렌즈를 안경테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보호 코팅층을 렌즈로부터 박리시키므로 이 이후에는 렌즈의 정보를 파악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식별표지를 육안관찰이 어려운 마이크로미터 또는 나노미터 크기로 물품의 표면에 형성하여 물품의 정보 또는 물품의 소유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초소형 식별표지를 이용한 물품의 정보 확인방법을 제공하는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초소형 식별표지를 이용한 물품의 정보 확인방법은 물품의 표면에 물품의 정보 또는 상기 물품의 소유자 정보가 담긴 식별표지를 형성하는 표지형성단계와; 상기 식별표지를 스캔하여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표지형성단계에서 상기 식별표지는 육안으로 관찰이 어렵도록 마이크로미터 또는 나노미터 크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품은 안경, 시계, 반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품의 표면은 상기 물품의 투명부위 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별표지는 큐알코드 또는 바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큐알코드 또는 상기 바코드는 온도에 따라 색상이 가변되는 잉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지형성단계는 상기 식별표지를 상기 물품의 표면에 음각으로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표지형성단계는 a)베이스스테이지 위에 설치된 온도조정스테이지의 상면에 상기 물품을 안착시킨 후 온도조정부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온도조정스테이지를 설정된 온도로 유지하는 단계와, b)상기 온도조정스테이지에 의해 온도가 조절된 상기 물품의 표면에 설정된 패턴으로 음각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식별표지를 물품의 표면에 형성하여 물품의 정보 또는 물품의 소유자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식별표지를 육안관찰이 어려운 마이크로미터 또는 나노미터 크기로 초소형화시켜 물품의 표면에 형성하므로 물품의 외관을 해치지 않을뿐더러 물품 본연의 기능을 방해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안경 렌즈에 식별표지를 형성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시계의 유리부위에 식별표지를 형성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식별표지를 기계적 방법으로 형성하기 위한 미세 가공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구성도이고,
도 4는 실리콘 웨이퍼에 대해 20℃에서 4mN의 압력을 인가하였을 때 형성되는 라인 홈을 촬상한 사진이고,
도 5는 도 4의 라인 홈의 깊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도식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실리콘 웨이퍼에 대해 -6℃에서 4mN의 압력을 인가하였을 때 형성되는 라인 홈을 촬상한 사진이고,
도 7은 도 6의 라인홈의 깊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도식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초소형 식별표지를 이용한 물품의 정보 확인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초소형 식별표지를 이용한 물품의 정보 확인방법은 표지형성단계와 판독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 단계별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표지형성단계에서 물품의 표면에 물품의 정보 또는 상기 물품의 소유자 정보가 담긴 식별표지를 형성한다.
물품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물품의 일 예로 휴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휴대는 신체의 일 부위에 착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가령, 휴대할 수 있는 물품의 예로 안경, 시계, 반지를 예로 들 수 있다.
식별표지는 물품의 표면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10)의 경우 렌즈(15)의 전면 또는 후면에 식별표지(17)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20)의 경우 전면을 이루는 투명유리(25)에 식별표지(27)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식별표지에는 물품의 정보 또는 물품을 소유하는 소유자 정보가 담긴다. 물품의 정보는 일 예로 안경의 경우 렌즈 굴절율, 도수, 렌즈중심, 중심축, 제조회사, 제조일, 제조국가, 제품명 등과 같은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시계의 경우 제조회사, 제조일, 제조국가, 제품명, 제품의 특징 등과 같은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반지의 경우 보증서, 진품 여부, 가공일, 보석의 종류 등과 같은 정보일 수 있다.
물품을 소유하는 소유자 정보의 일 예로 이름, 나이, 성별, 주소, 연락처 등일 수 있다.
또한, 물품으로 상술한 안경, 시계, 반지 외에도 귀중품, 문화재, 군사용 소재나 무기 등을 적용할 수 있다. 귀중품이나 문화재의 경우 진위 여부를 판별하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으며, 군사용 소재나 무기의 경우 보안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식별표지의 종류는 크게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 바코드 또는 큐알코드이다.
바코드(barcode)는 일차원 구조의 식별표지로서, 다양한 폭을 가진 바(Bar, 검은 막대)와 스페이스(Space, 흰 막대)의 배열패턴으로 정보를 표현하는 부호 또는 부호체계이다. 바와 스페이스는 그 폭에 따라 1개 또는 복수개의 이진수 비트로 바뀌게 되고, 이들의 조합으로 아스키(ASCII)문자를 표현한다.
그리고 큐알코드(QR code)는 흑백 격자무늬 패턴으로 정보를 나타내는 매트릭스 형식의 2차원 바코드이다. 1차원 바코드는 숫자만 저장할 수 있어 담을 수 있는 정보의 양에 제약이 있었던 반면에 큐알코드는 문자와 그림의 저장도 가능해 대용량의 데이터를 담을 수 있다.
2차원 바코드로서 큐알코드 외에도 미국의 심볼 테크놀로지스사의 코드명PDF-417, 인터네셔널 데이터매트릭스사의 코드명 data matrix, UPS사의 코드명 maxi code 등도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에 큐알코드로 이루어진 식별표지(17)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 바코드로 이루어진 식별표지(27)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식별표지는 육안으로 관찰이 어렵도록 마이크로미터 또는 나노미터 크기로 형성한다. 통상적인 식별표지는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수cm 크기로 이루어지므로 물품의 표면에 형성할 경우 외관을 해친다. 또한, 안경의 구성품인 렌즈와 같이 투명한 소재에는 식별표지를 형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적용된 식별표지는 육안으로 식별이 어려운 초소형 크기이므로 물품의 표면 어디에라도 식별표지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물품의 투명부위 표면에도 식별표지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물품의 외관을 해치지 않을뿐더러 물품 본연의 기능을 방해하지 않는다. 물품의 투명부위로 안경의 렌즈나 시계의 유리부위를 들 수 있다.
마이크로미터 또는 나노미터 크기로 초소형화된 식별표지는 육안으로는 이를 쉽게 구별할 수 없어 복제하는 것이 어려워 귀중품이나 고가의 장신구, 보석 등의 진위여부를 확인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식별표지는 일 예로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수 내지 수십 마이크로 미터이고, 나노미터 크기의 식별표지는 수 내지 수백 나노미터일 수 있다.
마이크로미터 또는 나노미터 크기의 초소형 식별표지는 다양한 기술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가령, 물품의 표면에 잉크로 인쇄된 패턴으로 형성되거나, 화학적 방법으로 물품의 표면에 형성된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TNL(tribo nanolithography)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FIB(focus ion beam), 전자빔, 포토리소그래피 기술을 적용하여 식별표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기계적 방법에 의해 식별표지를 형성할 수 있다. 기계적 방법에 의한 예로서 물품의 표면을 음각하여 식별표지를 형성할 수 있다. 음각에 의한 식별표지형성은 후술한다.
다음으로, 식별표지를 스캔하여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단계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이미지 촬영을 위한 카메라 모듈과, 촬영된 식별표지를 판독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인 어플리케이션 모듈과, 판독된 정보를 해당 인증서버로 연결하기 위한 무선송수신 모듈과, 판독 및 처리과정과 결과를 화면 및 음향으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모듈을 필요로 한다. 이는 식별표지를 스캔하여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통상적인 구성으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마이크로미터 또는 나노미터 크기의 초소형 식별표지를 스캔하기 위하여 형광 스캐너나 전자현미경 등과 같이 초소형 이미지를 관찰할 수 있는 기기가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형광 스캐너나 전자현미경 등과 연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판독단계를 통해 물품의 정보나 물품 소유자의 정보, 물품의 진위 여부를 판독하여 필요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물품의 표면에 형성된 식별표지는 온도에 따라 색상이 가변되는 잉크로 형성될 수 있다. 가령, 시온잉크를 이용하여 바코드나 큐알코드를 형성한다.
이러한 식별표지는 마이크로미터 이상의 크기로 형성하여도 육안관찰이 되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 가령, 물품이 사용되는 온도에서는 투명한 시온 잉크로 형성되어 평상시에는 식별표지의 육안관찰이 불가능하나 식별표지를 특정의 온도도 가열하거나 냉각시키면 색상을 갖게 되어 육안으로 관찰이 가능하다. 따라서 식별표지를 스캔하기 위해서 식별표지의 온도를 변화시킨 다음 이미지를 촬영하여 판독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시온 잉크에 사용되는 시온 안료는 다양한 종류가 공지되어 있으므로 가변 온도에 따라 적절한 시온 안료를 선택하여 식별표지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 음각에 의한 식별표지형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식별표지를 형성하기 위한 미세 가공장치를 도 3에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미세 가공장치를 먼저 살펴보면, 도시된 미세 가공장치(100)는 베이스 스테이지(120), 온도 조정스테이지, 온도 조정부(135), 가공기(150), 제어부(180)를 구비한다.
베이스 스테이지(120)는 프레임(111)에 수평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 스테이지(120)는 프레임(111)에 고정된 메인 베이스 스테이지(121)와, 메인 베이스 스테이지(121) 위에 설치되어 압전소자(piezoelectric element)로 형성된 진퇴스테이지(122)로 되어 있다. 여기서 진퇴스테이지(122)는 메인 베이스 스테이지(121)에 형성된 지지홀더(124)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자유단이 되게 메인 베이스 스테이지(121)에 안착되어 일측과 타측에 형성된 전극단자를 통해 전압 인가 유무에 따라 신축되고, 이러한 신축에 의해 메인 베이스 스테이지(121)에 대해 수평상으로 진퇴된다.
스테이지 구동부(128)는 제어부(180)에 제어되어 진퇴 스테이지(122)에 전압을 공급 또는 차단한다.
온도 조정 스테이지는 진퇴 스테이지(122) 위에 설치되며 상면(131a)의 온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온도 조정 스테이지는 인가된 전압의 극성에 따라 상면(131c)이 발열 또는 흡열되는 열전소자(thermoelectric element)로 형성된 열전모듈(131)과, 열전모듈(131)의 저부에 설치되어 알루미늄과 같이 방열효율이 높은 금속소재로 형성된 방열판(133)과, 수조(142)에 저수된 냉각수를 방열판(133)을 경유하여 순환시킬 수 있도록 된 냉각수 공급 유니트(140)로 되어 있다.
열전모듈(131)은 상면(131c)이 흡열되게 구성된 경우 저면에서는 발열되며, 저면에 접속된 방열판(133)을 통해 열이 방출된다.
냉각수 공급유니트(140)는 방열판(133)을 에워싸면서 베이스 스테이지(120)에 안착된 열교환 하우징(141)과, 열교환 하우징(141)의 양단과 수조(142)의 양단에 각각 접속되어 수조(142)에 저수된 냉각수를 순환시킬 수 있게 하는 순환관(144) 및 순환관(144)에 설치된 펌프(P)로 되어 있다.
펌프(P)는 냉각수의 순환경로 즉, 순환관(144)상에 설치되어 냉각수가 순환되게 펌핑하며 제어부(180)에 의해 구동이 제어된다.
온도 조정부(135)는 온도 조정 스테이지의 열전모듈(131)의 제1 및 제2전극(131a)(131b)을 통해 인가되는 전위 및 극성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열전모듈(131)의 표면 온도를 제어한다.
온도 조정부(135)는 제어부(180)에 의해 제어된다.
가공기(150)는 열전모듈(131)의 상면(131a)에 안착된 물품(200)의 표면을 기계적 방법에 의해 가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가공기(150)는 선단 저부에 가공팁(152)이 형성되어 있고 일단이 지지블록(154)에 결합된 컨틸레버(153)와, 컨틸레버(153)의 가공 위치를 제어부(180)에 제어되어 조정하는 가공구동부(158)을 구비한다.
가공팁(152)은 천연 또는 인조 다이아몬드 소재 또는 Si3N4 소재 등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가공팁은 물품의 표면에 음각된 패턴을 형성한다.
지지블록(154)은 프레임(111)에 지지되게 설치된 가이드봉(162)에 대해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가이드봉(162)에서 위치를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있고, 가공구동부(158)로부터 인가된 신호에 따라 컨틸레버(153)의 휨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축될 수 있다. 이 경우, 컨틸레버(153)의 일단이 지지되는 지지블록(154) 부분은 인가된 전위에 따라 신축되어 컨틸레버(153)의 구부림 각도가 조정되게 압전소자로 형성될 수 있다.
광원(171)은 제어부(180)에 제어되어 구동되며 컨틸레버(153)의 상면에 광을 조사하며 레이저 광원이 적용된다. 광검출부(174)는 광원(171)에서 조사되어 컨틸레버(153)로부터 반사된 후 광경로를 변환하는 미러(172)를 거쳐 진행되는 광을 검출하고, 검출된 광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180)에 출력한다.
광검출부(174)는 4개의 광검출기(174a 내지 174d)가 상호 밀접되게 어레이되어 컨틸레버(153)부터 반사된 광빔의 수광 위치 변동에 대응되는 신호를 제어부(180)에 출력하도록 구축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4개의 광검출기(174a 내지 174d)에서 입사된 광량에 대응되어 출력되는 신호를 상호 비교하면 컨틸레버(153)가 물품(200)에 대한 진입깊이 변화 정보를 알 수 있다.
또한, 광원(171)에서 출사된 광이 광검출기(174a 내지 174d)에 도달한 시간을 측정하여 컨틸레버(153)가 물품(200)에 대한 진입깊이 변화 정보를 측정하도록 구축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설정된 가공 프로세스에 의해 온도 조정 스테이지의 표면(131a) 온도가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온도 조정부(135) 및 펌프(P)의 구동을 제어하고, 가공기(150)의 구동을 제어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수조의 냉각수 또는 온도 조정 스테이지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가 더 마련되고, 제어부(180)는 온도센서로부터 검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펌프(P)의 가동 여부 또는 온도 조정부(135)의 제어조건을 조정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조작부(182)는 열전모듈의 상면(131a) 온도 설정 등 지원되는 기능을 제어부(180)의 지원하에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표시부(184)는 제어부(180)에 제어되어 표시정보를 표시한다.
한편, 컨틸레버(153)의 위치는 정지한 상태에서 미세하게 온도 조정 스테스테이지를 이동하면서 물품(200)을 가공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스테이지 구동부(128)를 제어한다.
이와는 다르게 컨틸레버(153)를 수평상으로 이동하면서 물품(200)을 가공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가이드봉(162)을 수평상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이동 구동부(미도시)를 제어하면서 가공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미세 가공장치에 의하면, 가공 대상물이 안착되는 스테이지의 온도를 조정하여 물품의 물성을 조정하여 원하는 가공조건에서 가공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상술한 미세 가공장치를 이용하여 물품의 식별표지를 형성하기 위한 표지형성단계는 온도조정스테이지의 상면에 물품을 안착시킨 후 온도조정부의 구동을 제어하여 온도조정스테이지를 설정된 온도로 유지하는 단계와, 온도조정스테이지에 의해 온도가 조절된 물품의 표면에 설정된 패턴으로 음각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온도조정스테이지의 열전모듈(131) 상면에 물품(200)을 안착시킨 후 온도조정부(135)의 구동을 제어하면 열전모듈(131)의 온도를 설정된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온도조절에 의해 열전모듈(131) 위에 장착된 물품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물품의 온도에 따라 물품을 이루는 소재의 물성 즉, 연성 또는 취성을 변화시켜 원하는 식별표지의 형성을 더욱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가공구동부(158)의 구동을 제어하여 가공팁(152)의 위치를 변화시켜 가면서 가공팁(152)으로 물품(200)의 표면을 설정된 패턴으로 음각하여 식별표지를 형성한다.
식별표지의 형성 후 홈에 안료를 채워 넣어 식별표지를 특정 색상으로 발현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미세 가공장치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일면에 구리 박막층이 형성된 실리콘 웨이퍼를 온도 조정스테이지에 안착시킨 후 온도를 달리 적용하여 가공팁으로 구리 박막층에 라인 홈을 형성하였다.
라인 홈의 변화를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20℃에서 4mN의 압력을 인가하였을 때 형성되는 라인 홈을 촬상한 사진이고, 도 5는 도 4의 라인 홈의 깊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도식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6℃에서 4mN의 압력을 인가하였을 때 형성되는 라인 홈을 촬상한 사진이고, 도 7은 도 6의 라인홈의 깊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도식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참고로 도 4는 5800배율로 촬상한 사진이고, 도 6은 25000배율로 촬상한 사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동일한 압력에 대해 20℃ 보다 -6℃에서 라인 홈이 더 깊게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차이를 통해 식별표지 형성시 물품의 온도에 따라 물품 소재의 물성 즉, 연성 또는 취성을 변화시켜 패턴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안경 15: 렌즈
17: 식별표지 20: 시계
25: 유리 27: 식별표지
120: 베이스 스테이지 135: 온도 조정부 150: 가공기
180: 제어부

Claims (7)

  1. 물품의 표면에 물품의 정보 또는 상기 물품의 소유자 정보가 담긴 식별표지를 형성하는 표지형성단계와;
    상기 식별표지를 스캔하여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표지형성단계에서 상기 식별표지는 육안으로 관찰이 어렵도록 마이크로미터 또는 나노미터 크기로 형성하며,
    상기 표지형성단계는 미세가공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식별표지를 상기 물품의 표면에 음각으로 형성시키고,
    상기 미세가공장치는 프레임에 수평상으로 설치된 베이스 스테이지와, 상기 베이스 스테이지 위에 설치되며 상면의 표면 온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된 온도 조정 스테이지와, 상기 온도 조정 스테이지의 표면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조정부와, 상기 온도 조정 스테이지의 상면에 안착된 상기 물품의 표면을 가공하는 가공기와, 상기 온도 조정 스테이지의 표면온도가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온도 조정부 및 상기 가공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지형성단계는 a)상기 온도조정스테이지의 상면에 상기 물품을 안착시킨 후 상기 온도조정부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온도조정스테이지를 설정된 온도로 유지시켜 상기 물품의 물성을 변화시키는 단계와, b)상기 온도조정스테이지에 의해 온도가 조절된 상기 물품의 표면에 설정된 패턴으로 음각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식별표지를 이용한 물품의 정보 확인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안경, 시계, 반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식별표지를 이용한 물품의 정보 확인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의 표면은 상기 물품의 투명부위 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식별표지를 이용한 물품의 정보 확인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표지는 큐알코드 또는 바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식별표지를 이용한 물품의 정보 확인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큐알코드 또는 상기 바코드는 온도에 따라 색상이 가변되는 잉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식별표지를 이용한 물품의 정보 확인방법.
  6. 삭제
  7. 삭제
KR1020140093963A 2014-07-24 2014-07-24 초소형 식별표지를 이용한 물품의 정보 확인방법 KR101538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963A KR101538159B1 (ko) 2014-07-24 2014-07-24 초소형 식별표지를 이용한 물품의 정보 확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963A KR101538159B1 (ko) 2014-07-24 2014-07-24 초소형 식별표지를 이용한 물품의 정보 확인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8159B1 true KR101538159B1 (ko) 2015-07-22

Family

ID=53874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3963A KR101538159B1 (ko) 2014-07-24 2014-07-24 초소형 식별표지를 이용한 물품의 정보 확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815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6828A (ja) * 2002-08-27 2004-03-18 Kazumi Ouchi 宝石の品質保証と盗難防止システムのビジネスモデル
KR20120025863A (ko) * 2010-09-08 2012-03-16 김재호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제품 이력 관리 시스템 및 휴대형 장치에서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제품 이력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6828A (ja) * 2002-08-27 2004-03-18 Kazumi Ouchi 宝石の品質保証と盗難防止システムのビジネスモデル
KR20120025863A (ko) * 2010-09-08 2012-03-16 김재호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제품 이력 관리 시스템 및 휴대형 장치에서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제품 이력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L288650A (en) Methods and equipment for identifying, registering, tracking and commercializing assets
CN107479209B (zh) 用于在眼镜透镜、眼镜透镜毛坯或眼镜透镜半成品上存储信息的方法
US10650206B2 (en) Tool, device, apparatus and method
EP2761538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henticating and tracking objects
US9950553B2 (en) Process of forming an identification marking, and an identification marking formed by way of such a process
US8893973B2 (en) Coded articles and systems and methods of identification of the same
KR101374520B1 (ko) 숨겨진 이미지의 식별 시스템, 제품, 식별 수단 및 제조 방법
CN110626086A (zh) 一种玻璃激光内雕微型二维码的方法
US10192155B2 (en) Multi-dimensional barcode and method of, and system for, electro-optically reading the barcode by image capture
CN101715589A (zh) 标记文档或物品的方法;用于标识所标记的文档或物品的方法和设备;圆偏振粒子的使用
WO2012023363A1 (ja) 印字された微小識別マークによる一般人が容易に出来る真贋判定方法
TWI659363B (zh) 修改之二維碼及用於產生此等碼之雷射系統及方法
CN114662515A (zh) 用于采用立体成像来解码可解码标记的标记读取设备和方法
KR101538159B1 (ko) 초소형 식별표지를 이용한 물품의 정보 확인방법
EP2572315B1 (en) Focus adjustment with liquid crystal device in imaging scanner
Wlodarczyk et al. Efficient speckle-free laser marking using a spatial light modulator
JP2004259004A (ja) 三次元コードを用いたデータ処理装置、三次元コードを用いたデータ処理方法、三次元コードを用いた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三次元コードを有する物品、タグ及び包装物
JP2008052177A (ja) 共焦点光学系
Lu et al. Fabrication of a multifaceted mapping mirror using two-photon polymerization for a snapshot image mapping spectrometer
KR20240005738A (ko) 자산 검증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
US2020036442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micro scale optical codes on jewelry and gemstones and scanning micro scale optical codes thereof for digital personalization
US11886947B2 (en) Method for uniquely marking objects
Cianfanelli et al. TXD. From Traceability to Experience Design in Fashion Accessories Production.
JP2018169946A (ja) 情報形成シート及び情報形成シートの製造方法
CN104134056A (zh) 一种编码采集装置及编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