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5458A - 화상 판독 장치 및 원고 반송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판독 장치 및 원고 반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5458A
KR20120025458A KR1020117026355A KR20117026355A KR20120025458A KR 20120025458 A KR20120025458 A KR 20120025458A KR 1020117026355 A KR1020117026355 A KR 1020117026355A KR 20117026355 A KR20117026355 A KR 20117026355A KR 20120025458 A KR20120025458 A KR 20120025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reading
path
input
stop i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6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사무 오시마
Original Assignee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25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54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72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with refeeding for double-sided scanning, e.g. using one scanning head for both sides of a sheet
    • H04N1/00575Inverting the sheet prior to refeeding
    • H04N1/00578Inverting the sheet prior to refeeding using at least part of a loop, e.g. using a return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0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 G03G15/602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for transpor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0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 G03G15/607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for detecting size, presence or position of orig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72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with refeeding for double-sided scanning, e.g. using one scanning head for both sides of a she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88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to the scann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99Using specific components
    • H04N1/00602Feed roll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99Using specific components
    • H04N1/00612Path switch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649Control or synchronising different handl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657Compensating for different handling speeds of different 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handling a plurality of sheets simultaneously, e.g. mechanical buff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684Object of the detection
    • H04N1/00687Presence or absence
    • H04N1/00689Pres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684Object of the detection
    • H04N1/00687Presence or absence
    • H04N1/00694Presence or absence in an input tr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684Object of the detection
    • H04N1/00708Size or dimensions
    • H04N1/00713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729Detection means
    • H04N1/00734Optical det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763Action taken as a result of detection
    • H04N1/00774Adjusting or contro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a still pictur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915Assigning priority to, or interrupting, a particular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203Simultaneous scanning of two or more separate pictures, e.g. two sides of the same sheet
    • H04N1/2032Simultaneous scanning of two or more separate pictures, e.g. two sides of the same sheet of two pictures corresponding to two sides of a single mediu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17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ve to the original handling
    • G03G2215/00177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ve to the original handling for scanning
    • G03G2215/0018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ve to the original handling for scanning concerning the original's state of motion
    • G03G2215/00194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ve to the original handling for scanning concerning the original's state of motion original either moving or at rest
    • G03G2215/0020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ve to the original handling for scanning concerning the original's state of motion original either moving or at rest where separate scanning surfaces are u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2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the sheet-feed movement or the medium-advance or the drum-rotation movement as the slow scanning component, e.g. arrangements for the main-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9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 H04N1/191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the array comprising a one-dimensional array, or a combination of one-dimensional arrays, or a substantially one-dimensional array, e.g. an array of staggered elements
    • H04N1/192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 H04N1/193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using electrically scanned linear arrays, e.g. linear CCD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1Image rea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33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 H04N2201/33307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of a particular mode
    • H04N2201/33314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of a particular mode of reading or reproducing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Exposure Or Original Feed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onveyance By Endless Belt Conveyors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Abstract

원고 판독을 중지한 경우에 반송 중인 원고를 배출시키는 배출 처리나, 급지 트레이에 남겨진 원고의 공송 처리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양면 판독 중에 스톱키(212)가 조작되어 판독 중지가 지시된 경우에 반송 제어부(32)는 편면 패스를 선택하기 위한 패스 지정 신호를 출력해서 반송 경로가 양면 패스로부터 편면 패스로 스위칭된다. 이 때문에, 판독 중지시에 반송중이었던 원고를 배출 트레이(12)로 배출시키는 배출 처리나, 급지 트레이(11) 상에 남아 있는 원고를 배출 트레이(12)로 배출시키는 공송 처리가 양면 패스보다 짧은 편면 패스를 이용해서 행해져 배출 처리나 공송 처리에 걸리는 시간을 단출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 판독 장치 및 원고 반송 방법{IMAGE READING DEVICE AND DOCUMENT TRANSFER METHOD}
본 발명은 화상 판독 장치 및 원고 반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매 이상의 원고의 연속 판독 중에 판독을 중지시킬 수 있는 화상 판독 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2매 이상의 원고를 자동 반송하고, 이들 원고를 순차 판독할 수 있는 화상 판독 장치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또한, 자동 반송에 의해 원고의 양면 판독을 행할 수 있는 화상 판독 장치도 널리 보급되어 있다. 양면 판독이 가능한 화상 판독 장치에는 2개의 이미지 센서를 사용해서 원고의 양면 판독을 행하는 1패스(path) 2스캐너 방식이나, 자동 반송 중에 원고의 표리를 반전시켜서 1개의 이미지 센서를 사용해서 원고의 양면 판독을 행하는 2패스 1스캐너 방식이 알려져 있다.
2패스 1스캐너 방식의 양면 판독에는 원고의 반송 중에 반송 방향을 스위칭하는 스위치백을 행함으로써 이미지 센서에 대해서 원고를 동일 방향으로 2회 통과시키는 스위치백 방식과 유턴로를 사용해서 반송로를 교차시켜 이미지 센서에 대해서 원고를 역방향으로 2회 통과시키는 유턴 방식이 고려된다. 유턴 방식을 채용한 경우, 반송 방향의 스위칭을 행할 필요가 없는 점에서 반송 제어가 간단해지고, 또한 판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이러한 자동 반송을 행하는 화상 판독 장치에서는 통상 2매 이상의 원고의 연속 판독 중에 상기 판독 처리를 중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타트키의 조작 후 화상 판독 장치의 설정 미스나 원고의 오판을 알아차린 경우에 유저가 스톱키를 조작함으로써 실행 중의 원고 판독을 중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중지 지시가 입력된 경우, 원고 판독을 행하지 않고 반송 중의 원고를 배지 트레이로 배출하는 배출 처리가 행해진다. 이러한 배출 처리를 행함으로써 판독 처리를 중지한 경우이어도 유저가 반송로로부터 원고를 인출할 필요가 없다.
또한, 중지 지시가 입력된 경우에 급지 트레이 상에 남아 있는 원고를 순서대로 배지 트레이로 배출하는 공송(空送) 처리가 행해지는 화상 처리 장치도 있다. 이러한 공송 처리를 행함으로써 판독 처리를 중지한 경우이어도 모든 원고를 판독 전과 같은 순서로 배지 트레이로 배출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판독 중지 후에 유저 자신이 원고의 순서를 확인하면서 급지 트레이 및 배지 트레이 상의 원고를 중첩할 필요가 없다.
일본 특허 공개 2009-10861
2패스 1스캐너 방식의 화상 판독 장치에서는 양면 판독시에 원고의 스위치백이나 유턴이 행해지므로 편면 판독시에 비해 원고의 반송길이가 길어지고, 원고 간격도 길어진다. 이 때문에, 양면 판독을 중지한 경우, 그 후의 배출 처리나 공송 처리의 시간이 편면 판독을 중지한 경우에 비해 길어져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면, 유턴 방식의 화상 판독 장치의 경우, 통상 반송 경로를 편면 패스 및 양면 패스로 분기시키고, 유턴로를 사용해서 양면 패스만을 교차시키도록 구성된다. 이 때문에, 양면 패스는 편면 패스보다 길고, 또한 양면 판독시에는 원고끼리가 충돌하지 않도록 편면 판독시보다 원고 간격을 길게 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양면 판독을 중지한 경우의 배출 처리나 공송 처리의 시간이 편면 처리를 중지한 경우에 비해 길어져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원고 판독을 중지한 경우에 반송 중의 원고를 배출시키는 배출 처리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화상 판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원고 판독을 중지한 경우에 급지 트레이에 남겨진 원고의 공송 처리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화상 판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의 본 발명에 의한 화상 판독 장치는 원고의 판독 방법으로서 양면 판독 및 편면 판독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판독 지정 수단과, 급지 트레이로부터 원고를 투입하는 원고 투입 수단과, 양면 판독용 제 1 반송로 및 편면 판독용 제 2 반송로의 분기점에 있어서 지정된 상기 판독 방법에 의거해서 원고의 반송 경로를 스위칭하는 경로 스위칭 수단과, 양면 판독의 중지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중지 입력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경로 스위칭 수단은 상기 중지 지시에 의거해서 제 2 반송로를 선택하고, 제 1 반송로는 제 2 반송로보다 길고, 상기 중지 지시의 입력시에 상기 급지 트레이 상에 남아 있는 원고가 상기 중지 지시의 입력 후에 투입되어 제 2 반송로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원고의 양면 판독 중에 중지 지시가 입력된 경우에 원고의 반송 경로가 경로 스위칭 수단에 의해 제 1 반송로로부터 제 2 반송로로 스위칭된다. 이 때문에, 중지 지시의 입력 후에 급지 트레이에 남아 있는 원고를 배지 트레이로 반송하는 공송 처리가 제 1 반송로보다 짧은 제 2 반송로를 통해 행해져서 상기 공송 처리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양면 판독의 중지 지시는 화상 판독 장치에 대한 외부 입력이면 좋고, 예를 들면, 유저에 의한 조작 입력이어도 좋고, 유저 단말로부터의 신호 입력이어도 좋다. 또한, 양면 판독의 중지 지시는 양면 판독 전용의 중지 지시에는 한정되지 않고, 양면 판독 중에 입력된 중지 지시이어도 좋다.
제 2의 본 발명에 의한 화상 판독 장치는 상기 구성에 추가해서 제 1 반송로가 상기 분기점으로부터 판독 위치로 원고를 반송하는 도입로와, 상기 도입로로부터 진입해서 상기 판독 위치를 통과한 원고를 유턴시켜서 다시 상기 판독 위치에 진입시키는 유턴로를 갖고, 제 2 반송로가 상기 판독 위치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유턴로 상의 합류점에서 제 1 반송로와 합류하고, 상기 원고 투입 수단이 상기 중지 지시의 입력시에 급지 트레이 상에 2매 이상의 원고가 남아 있는 경우에 상기 중지 지시의 입력 전의 양면 판독보다 좁은 원고 간격으로 원고를 투입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중지 지시의 입력 후에 급지 트레이에 남아 있는 원고를 배지 트레이로 반송하는 공송 처리가 중지 전에 사용하고 있던 제 1 반송로가 아닌 판독 위치에 있어서 교차하지 않는 제 2 반송로를 통해 행해진다. 이 때문에, 제 1 반송 경로보다 좁은 원고 간격으로 원고를 투입할 수 있어 상기 공송 처리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특히, 급지 트레이에 남아 있는 원고수가 많아질수록 큰 효과가 얻어진다.
제 3의 본 발명에 의한 화상 판독 장치는 상기 구성에 추가해서 상기 급지 트레이로부터 상기 분기점으로 원고를 반송하는 급지로를 구비하고, 상기 중지 지시의 입력시에 상기 급지로를 반송 중의 원고가 제 2 반송로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중지 지시의 입력시에 분기점보다 상류의 급지로를 반송 중의 원고를 제 2 반송로로 반송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원고를 보다 빠르게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그 후의 공송 처리도 빠르게 개시할 수 있다.
제 4의 본 발명에 의한 화상 판독 장치는 상기 구성에 추가해서 상기 원고 투입 수단은 상기 중지 지시의 입력 후에 최초로 투입된 원고의 전단(前端)이 상기 중지 지시의 입력 전에 마지막으로 투입된 원고의 후단(後端)이 상기 합류점을 통과한 후에 상기 합류점에 도달하도록 상기 중지 지시의 입력 후에 원고 투입을 일단 중지하고, 그 후에 재개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중지 지시의 입력 전후에 각각 투입된 원고가 제 1 반송로 및 제 2 반송로의 합류점에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양면 판독의 중지 지시가 입력된 경우에 경로 스위칭 수단이 즉시 제 1 반송로로부터 제 2 반송로로 스위칭되고, 원고 투입 수단이 다음의 원고 투입을 개시하면 제 1 반송로 및 제 2 반송로의 합류점 부근에서 원고가 접촉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중지 지시의 입력 후에 원고 투입을 일단 중지하고, 그 후에 재개시킴으로써 원고끼리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제 5의 본 발명에 의한 화상 판독 장치는 상기 구성에 추가해서 상기 급지 트레이 상의 원고를 검출하는 원고적재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중지 지시의 입력시에 상기 급지 트레이 상에 남아 있는 모든 원고가 제 2 반송로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판독 처리를 중지한 경우에 모든 원고를 판독 전과 같은 순서로 배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판독 중지 후에 유저 자신이 원고의 순서를 확인하면서 급지 트레이 상의 원고와 배출된 원고를 겹칠 필요가 없다.
제 6의 본 발명에 의한 화상 판독 장치는 상기 구성에 추가해서 상기 경로 스위칭 수단이 상기 중지 지시에 의거해서 제 2 반송로를 선택한 경우에 원고끼리의 접촉이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원고접촉 판별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경로 스위칭 수단이 상기 원고접촉 판별수단의 판별 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중지 지시의 입력 전에 마지막으로 투입된 원고의 전단이 상기 분기점에 도달한 후에 제 2 반송로를 선택하고, 상기 원고 투입 수단이 상기 원고접촉 판별수단의 판별 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중지 지시의 입력 후에 원고 투입을 일단 중지하고, 그 후에 재개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중지 지시가 입력되기 전에 투입된 원고를 제 2 반송로로 안내하면 원고끼리의 접촉이 생길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원고의 투입이 일단 중지되고, 투입 재개 후에 원고가 제 2 반송로로 안내된다. 반송 경로의 스위칭을 지연시킬 필요가 있으면 원고의 반송 간격이 좁고, 중지 지시의 입력 전에 마지막으로 투입된 원고와 후속하는 원고 사이에서도 접촉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이 때문에, 중지 지시의 입력 후의 원고의 투입을 일단 중지함으로써 원고끼리의 접촉을 억제하면서, 투입 재개 후에 원고를 제 2 반송로로 안내할 수 있다.
제 7의 본 발명에 의한 화상 판독 장치는 상기 구성에 추가해서 상기 원고접촉 판별수단이 제 1 반송로 상의 원고 간격에 의거해서 원고끼리의 접촉이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원고의 반송 간격에 의거해서 원고끼리의 접촉 가능성을 판별하므로 원고끼리의 접촉을 정밀도 좋게 억제할 수 있다.
제 8의 본 발명에 의한 화상 판독 장치는 상기 구성에 추가해서 상기 급지 트레이로부터 상기 분기점에 원고를 반송하는 급지로와, 양면 판독의 판독방식으로서 상기 유턴로 상에서 2매 이상의 원고를 동시에 반송하지 않는 순차방식을 지정할 수 있는 판독방식 지정수단을 구비하고, 순차방식의 양면 판독 중에 상기 중지 지시가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중지 지시의 입력시에 상기 급지로를 반송 중의 원고가 제 2 반송로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원고 투입 수단이 원고 투입의 일단 중지를 행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원고 간격이 충분히 넓은 순차방식에서는 원고의 투입을 중지하지 않고 제 2 반송로를 통해 원고를 배출하므로, 공송 처리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제 9의 본 발명에 의한 화상 판독 장치는 상기 구성에 추가해서 양면 판독의 판독방식으로서 상기 판독 위치에 대해서 상기 도입로 및 상기 유턴로로부터 교대로 다른 원고를 진입시키는 교대방식을 지정할 수 있는 판독방식 지정수단을 구비하고, 교대방식의 양면 판독 중에 상기 중지 지시가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경로 스위칭 수단이 상기 중지 지시의 입력 전에 마지막으로 투입된 원고의 전단이 상기 분기점에 도달한 후에 제 2 반송로를 선택하고, 상기 원고 투입 수단이 상기 중지 지시의 입력 후에 원고 투입을 일단 중지하고, 그 후에 재개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원고 간격이 좁은 교대방식이어도 원고끼리를 접촉시키지 않고 원고의 공송 처리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제 10의 본 발명에 의한 화상 판독 장치는 상기 구성에 추가해서 양면 판독의 판독방식으로서 상기 판독 위치에 대해서 상기 도입로 및 상기 유턴로의 한쪽으로부터 2매 이상의 원고를 연속해서 진입시키는 배치방식을 지정할 수 있는 판독방식 지정수단을 구비하고, 배치방식의 양면 판독 중에 상기 중지 지시가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경로 스위칭 수단이 상기 중지 지시의 입력 전에 마지막으로 투입된 원고의 전단이 상기 분기점에 도달한 후에 제 2 반송로를 선택하고, 상기 원고 투입 수단이 상기 중지 지시의 입력 후에 원고 투입을 일단 중지하고, 그 후에 재개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원고 간격이 좁은 배치방식이어도 원고끼리를 접촉시키지 않고 원고의 공송 처리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제 11의 본 발명에 의한 화상 판독 장치는 상기 구성에 추가해서 상기 원고 투입 수단이 편면 판독시에는 양면 판독보다 좁은 원고 간격으로 원고를 투입함과 아울러 양면 판독의 상기 중지 지시의 입력시에 상기 급지 트레이 상에 2매 이상의 원고가 남아 있는 경우에 편면 판독과 같은 원고 간격으로 원고를 투입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양면 판독용 원고 간격보다 좁은 편면 판독용 원고 간격으로 원고가 배출되므로 공송 처리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제 12의 본 발명에 의한 원고 반송 방법은 원고의 판독 방법으로서 양면 판독 및 편면 판독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판독 지정 스텝과, 급지 트레이로부터 원고를 투입하는 원고 투입 스텝과, 양면 판독의 중지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중지 입력 스텝과, 양면 판독용 제 1 반송로 및 제 1 반송로보다 짧은 편면 판독용 제 2 반송로의 분기점에 있어서 지정된 상기 판독 방법에 의거해서 원고의 반송 경로를 스위칭함과 아울러 상기 중지 지시에 의거해서 제 2 반송로를 선택하는 경로 스위칭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중지 지시의 입력시에 상기 급지 트레이 상에 남아 있는 원고가 상기 중지 지시의 입력 후에 투입되어 제 2 반송로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제 13의 본 발명에 의한 원고 반송 방법은 상기 구성에 추가해서 제 1 반송로가 상기 분기점으로부터 판독 위치로 원고를 반송하는 도입로와, 상기 도입로로부터 진입해서 상기 판독 위치를 통과한 원고를 유턴시켜서 다시 상기 판독 위치에 진입시키는 유턴로를 갖고, 제 2 반송로가 상기 판독 위치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유턴로 상의 합류점에서 제 1 반송로와 합류하고, 상기 원고 투입 스텝에서는 상기 중지 지시의 입력시에 상기 급지 트레이 상에 2매 이상의 원고가 남아 있는 경우에 상기 중지 지시의 입력 전의 양면 판독보다 좁은 원고 간격으로 원고가 투입되도록 구성된다.
제 14의 본 발명에 의한 원고 반송 방법은 상기 구성에 추가해서 상기 급지 트레이로부터 상기 분기점으로 원고를 반송하는 급지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중지 지시의 입력시에 상기 급지 스텝에 의해 반송 중의 원고가 제 2 반송로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제 15의 본 발명에 의한 원고 반송 방법은 상기 구성에 추가해서 상기 원고 투입 스텝에서는 상기 중지 지시의 입력 후에 최초로 투입된 원고의 전단이 상기 중지 지시의 입력 전에 마지막으로 투입된 원고의 후단이 상기 합류점을 통과한 후에 상기 합류점에 도달하도록 상기 중지 지시의 입력 후에 원고 투입이 일단 중지되고, 그 후에 재개되도록 구성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한 화상 판독 장치는 원고의 양면 판독을 중지한 경우에 급지 트레이 상에 남은 원고를 배지 트레이로 반송하는 공송 처리가 반송 경로를 편면 판독용 제 2 반송로로 스위칭한 후에 행해진다. 이 때문에, 공송 처리에서는 중지 전의 양면 판독보다 짧은 반송로를 사용할 수 있어 공송 처리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 판독 장치는 원고의 양면 판독을 중지한 경우에 반송 경로를 편면 판독용 제 2 반송로로 스위칭함과 아울러 양면 판독시보다 좁은 원고 간격으로 공송 처리가 행해진다. 이 때문에, 공송 처리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 판독 장치는 원고의 양면 판독을 중지한 경우에 반송 경로를 편면 판독용 제 2 반송로로 스위칭하고, 분기점보다 상류를 반송 중이던 원고가 제 2 반송로로 안내된다. 이 때문에, 중지 전의 양면 판독보다 짧은 반송로를 사용해서 배출 처리가 행해져서 배출 처리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화상 판독 장치의 일구성예를 나타낸 외관도이며, 화상 판독 장치의 일례로서 복합기(100)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 2는 도 1의 복합기(100)의 요부의 일구성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주로 ADF장치(10)의 내부구조가 모식적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도 3은 순차방식의 연속 판독에 관한 설명도이며, 반송로(B1?B5) 상에 있어서의 원고(A1,A2)의 반송 상태가 시계열순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도 4는 배치방식의 양면 판독에 관한 설명도이며, 반송로(B1?B5) 상에 있어서의 원고(A1?A4)의 반송 상태가 시계열순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도 5는 교대방식의 양면 판독에 관한 설명도이며, 반송로(B1?B5) 상에 있어서의 원고(A1?A4)의 반송 상태가 시계열순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도 6은 교대방식의 양면 판독에 관한 설명도이며, 반송로(B1?B5) 상에 있어서의 원고(A1?A4)의 반송 상태가 시계열순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도 7은 연속 판독의 각 방식에 대해서 판독순서의 일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1의 복합기(100)의 요부에 대해서 일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판독 중지 처리의 일례를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판독 중지 처리의 일례를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화상 판독 장치의 일구성예를 나타낸 외관도이며, 화상 판독 장치의 일례로서 복합기(100)가 나타내어져 있다. 복합기(MFP:Multifunction Peripheral)(100)는 화상 판독, 인쇄, 팩시밀리 송수신 등을 행하는 MFP 본체부(20)와, 화상 판독시에 원고의 자동 반송을 행하는 ADF(Auto Document Feeder)장치(10)에 의해 구성된다.
MFP 본체부(20)의 조작 패널(21)에는 유저가 조작 입력을 행하기 위한 스타트키, 텐키 등의 조작 입력부(21a)와, 유저에 대해서 동작 상태를 표시 출력하기 위한 액정 표시부(21b)가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유저는 조작 입력부(21a)에의 조작 입력을 행함으로써 원고의 편면 판독 및 양면 판독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원고의 판독 중에 판독 중지를 지시할 수도 있다.
또한, MFP 본체부(20)의 상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콘택트 유리가 형성되고, 이 콘택트 유리 상에 ADF장치(10)가 개폐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즉, 이 복합기(100)는 콘택트 유리 상에 적재된 원고를 판독하는 플랫 베드 방식, ADF장치(10)에 의해 자동 반송 중의 원고를 판독하는 ADF방식 중 어느 방식으로나 원고를 판독할 수 있다.
ADF장치(10)는 급지 트레이(11) 및 배지 트레이(12)를 구비하고, 그 내부에는 반송로가 형성되어 있다. 급지 트레이(11) 내의 원고는 1매씩 분리해서 투입되어 반송로를 따라 반송되고, 배지 트레이(12)로 배출된다. 이 반송로는 MFP 본체부(20)의 콘택트 유리 위를 통과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원고는 콘택트 유리 위를 통과할 때에 MFP 본체부(20)에 의해 판독된다.
원고 판독 중에 판독 중지가 지시된 경우, 급지 트레이(11) 상에 적재되어 있는 원고가 반송로를 통해 배지 트레이(12)로 순차 배출되는 공송 처리가 행해진다. 이 처리에 의해, 급지 트레이(11) 상에 적재되는 원고와 배지 트레이(12)로 배출된 원고를 중첩하는 수고를 생략할 수 있다는 편리성이 있다.
도 2는 도 1의 복합기(100)의 요부의 일구성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주로 ADF장치(10)의 내부구조가 모식적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도면 중의 B1?B5는 원고의 반송로, C1은 반송로(B2) 및 반송로(B5)의 분기점, C2는 원고의 판독 위치, C3은 반송로(B3) 및 반송로(B5)의 합류점이다.
<스캐너 유닛(22)>
스캐너 유닛(22)은 판독 위치(C2)를 통과하는 원고(A)의 화상을 광학적으로 판독하는 이미지 센서이며, 투광기(22a) 및 라인 센서(22b)로 이루어진다. 투광기(22a)로부터의 조사광은 콘택트 유리 상의 원고(A)에 의해 반사되고, 다수의 수광소자가 직선상으로 배치된 라인 센서(22b)에 의해 검출된다. 이 배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원고(A) 및 라인 센서(22b)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면 2차원 화상을 판독할 수 있다. ADF방식으로 화상 판독을 행할 경우, 스캐너 유닛(22)을 정지시켜 반송 중의 원고(A)에 대해서 화상 판독이 행해진다. 또한, 이 스캐너 유닛(22)은 판독 위치(C2)에 대한 원고(A)의 도착 또는 통과를 검출하는 원고 검출 센서로서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복합기(100)에서는 2패스 1스캐너 방식을 채용하고, 1개의 스캐너 유닛(22)을 사용해서 원고의 양면 판독을 행하고 있다. 2패스 1스캐너 방식이란 원고의 표리를 반전시켜 같은 스캐너 유닛(22)으로 원고를 2회 판독시키는 양면 판독의 방법이다. 일반적인 2패스 1스캐너 방식의 화상 판독 장치에서는 원고를 스위치백 시킴으로써 원고(A)의 표리를 반전시키고, 별도의 반송로를 통해 스캐너 유닛(22)의 바로앞에 합류시켜 스캐너 유닛(22)을 같은 방향으로 2회 통과시킨다.
이것에 대해서, 복합기(100)에서는 원고(A)를 유턴시킴으로써 원고(A)의 표리를 반전시켜 스캐너 유닛(22)을 2회 통과시킨다. 이 때, 원고(A)가 스캐너 유닛(22)을 통과하는 방향은 1회째 및 2회째에서 역방향이 된다.
<반송로(B1?B5)>
ADF장치(10) 내에는 반송로(B1?B5)가 형성되고, 편면 판독과 양면 판독의 경우에서 원고(A)의 반송 경로가 다르다. 양면 판독을 행할 경우, 원고는 반송로(B1,B2,B3,B4)의 순으로 반송된다. 이 반송 경로를 양면 패스라고 부르기로 한다. 한편, 편면 판독을 행할 경우, 원고는 반송로(B1,B5,B3,B4)의 순으로 반송된다. 이 반송 경로를 편면 패스라고 부르기로 한다.
반송로(B1)는 급지 트레이(11)로부터 투입된 원고(A)를 분기점(C1)까지 반송하는 급지로이며, 편면 판독 및 양면 판독의 어느 경우에나 사용된다.
반송로(B2)는 양면 판독용 원고(A)를 분기점(C1)으로부터 판독 위치(C2)까지 반송하는 양면 판독 전용의 도입로이며, 유턴하지 않고 거의 직선적으로 판독 위치(C2)로 원고(A)를 반송한다. 반송로(B2)로부터 진입해서 판독 위치(C2)를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통과한 원고는 반송로(B3)로 들어간다.
반송로(B3)는 양면 판독용 원고를 유턴시켜서 표리를 반전시키는 유턴로이다. 판독 위치(C2)를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통과한 원고는 반송로(B3)의 하측으로 들어가고, 시계방향으로 반송되어서 표리가 반전된 상태로 된 후, 반송로(B3)의 상측부터 판독 위치(C2)로 되돌아오고, 판독 위치(C2)를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통과한다. 즉, 반송로(B3)를 통과함으로써 원고의 표리를 반전시킨 상태로 판독 위치(C2)를 2회 통과시킬 수 있다. 이 때, 판독 위치(C2)를 통과하는 방향은 1회째와 2회째에서는 역방향이 된다. 또한, 반송로(B3) 중 합류점(C3)보다 하류측은 편면 판독의 경우에도 사용된다.
반송로(B4)는 판독 위치(C2)를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통과한 원고를 배출구(18)로 반송하고, 배지 트레이(12)로 배출하는 배출로이며, 편면 판독 및 양면 판독의 어느 경우나 사용된다.
반송로(B5)는 편면 판독용 원고(A)를 분기점(C1)으로부터 반송로(B3) 상의 합류점(C3)까지 반송하는 편면 판독 전용의 도입로이며, 반송로(B5) 및 반송로(B3)에 의해 횡방향 U자형상의 반송로가 구성되어 있다. 합류점(C3)으로부터 반송로(B3) 상에 진입한 편면 판독용 원고는 양면 판독용 원고와 완전히 동일하게 해서 판독 위치(C2)를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통과하여 반송로(B4)에 들어가고, 배지 트레이(12)로 배출된다. 분기점(C1)으로부터 합류점(C3)까지의 반송 거리는 반송로(B5)로 반송되는 쪽이 반송로(B2,B3)로 반송되는 것보다 짧아진다. 즉, 분기점(C1)으로부터 원고가 배출될 때까지의 반송 거리는 편면 패스의 쪽이 양면 패스보다 짧다.
<급지 트레이(11)>
급지 트레이(11)는 원고를 겹쳐쌓아 적재하는 원고대(13)와, 이들 원고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원고 스토퍼(14)를 구비하고 있다. 원고대(13)는 스프링 등의 바이어싱 수단에 의해 상방향으로 바이어싱되며, 최상부의 원고를 픽업 롤러(15a)에 접촉시키고 있다. 또한, 원고대(13) 상의 원고는 이송 방향의 전단(도면 중에서는 좌단)이 원고 스토퍼(14)에 의해 위치 결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최상부의 원고는 그 전단이 위치 결정되고, 또한 상기 전단 부근이 픽업 롤러(15a)에 압박된 상태로 되어 있다.
<원고 투입부(15)>
원고 투입부(15)는 급지 트레이(11) 내의 원고(A)를 반송로에 1매씩 투입하는 원고 투입 수단이며, 픽업 롤러(15a), 분리 롤러(15b) 및 리타드 롤러(15c)로 이루어진다. 픽업 롤러(15a) 및 분리 롤러(15b)는 원고의 이송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고, 리타드 롤러(15c)는 리턴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이 때문에, 급지 트레이(11) 내의 원고(A)는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픽업 롤러(15a)에 의해 반송로(B1)에 투입되고, 중송(重送)상태로 투입된 원고(A)는 서로 역회전하고 있는 분리 롤러(15b) 및 리타드 롤러(15c)에 의해 최상부의 원고(A)만이 분리되어 이송 방향으로 반송된다.
<반송 롤러(16)>
반송 롤러(16)는 회전 구동되는 구동 롤러와, 반송로를 사이에 두고 구동 롤러에 대향해서 배치된 종동 롤러로 이루어진다. 반송로(B1?B5)에는 최단의 원고길이보다 짧은 간격으로 다수의 반송 롤러(16)가 배치되고, 이들 반송 롤러(16)에 의해 원고(A)는 반송로 상에서 반송된다. 또한, 반송 롤러(16)는 도시하지 않은 반송 모터(36)에 의해 회전 구동되지만, 일부의 반송 모터(36)를 다른 반송 모터(36)와 비동기로 구동하기 위해서는 전용 클러치 등이 필요하게 되어 구성이 복잡해져 고비용이 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든 반송 롤러(16)가 동일한 스테핑 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서로 동기해서 회전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패스 스위칭부(17)>
패스 스위칭부(17)는 편면 패스 또는 양면 패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반송 경로의 스위칭 수단이며, 반송 경로의 분기점(C1)에 배치되어 있다. 이 패스 스위칭부(17)는 클로형상의 회전 부재(17a)와 도시하지 않은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성되고, 솔레노이드가 회전 부재(17a)를 회동시킴으로써 반송로(B2) 및 반송로(B5)를 스위칭하고 있다. 즉, 양면 패스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 분기점(C1)에 도달한 원고(A)가 반송로(B2)로 반송되고, 편면 패스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 분기점(C1)에 도달한 원고(A)가 반송로(B5)로 반송된다.
급지 트레이(11) 내에 수용된 원고(A)의 하면을 제 1 면, 상면을 제 2 면으로 하면, 양면 패스에서는 제 1 면 및 제 2 면의 순으로 원고(A)가 2회 판독되고, 편면 패스에서는 원고(A)의 제 2 면만이 판독된다. 즉, 양면 패스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 원고(A)는 반송로(B1), 분기점(C1), 반송로(B2)를 순서대로 경유해서 스캐너 유닛(22)의 판독 위치(C2)에 안내되어 그 제 1 면이 판독된다. 그 후, 원고(A)는 반송로(B3)를 거쳐 다시 판독 위치(C2)로 안내되어 그 제 2 면이 판독되고, 반송로(B4)를 거쳐 배출구(18)로부터 배출된다. 한편, 편면 패스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 원고(A)는 반송로(B1), 분기점(C1), 반송로(B5), 합류점(C3), 반송로(B3)의 후반구간을 순서대로 경유해서 스캐너 유닛(22)의 판독 위치(C2)로 안내되어 그 제 2 면이 판독된 후, 반송로(B4)를 거쳐 배출구(18)로부터 배출된다.
<원고 검출 센서(DS1?DS5)>
ADF장치(10)에는 5개의 원고 검출 센서(DS1?DS5)가 설치되어 있다. 원고 검출 센서(DS1,DS2)는 급지 트레이(11)에 설치되어 원고대(13)에 적재된 원고(A)를 검출하고 있다. 한편, 원고 검출 센서(DS3?DS5)는 각각 다른 검출 위치에 있어서 반송 중의 원고(A)의 도착 또는 통과를 검출하고 있다. 또한, 이들 원고 검출 센서(DS1?DS5)에는 광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원고 검출 센서(DS1)는 급지 트레이(11) 상에 원고(A)가 적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원고적재 검출수단이다. 예를 들면, 반사형 광 센서를 원고 스토퍼(14) 부근의 원고대(13)에 매설해서 원고(A)의 전단 부근을 검출하면 원고(A)의 유무를 판별할 수 있다.
원고 검출 센서(DS2)는 원고(A)의 이송 방향의 길이를 검출하는 2개의 원고길이 검출수단이며, 각각 다른 원고길이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고 검출 센서(DS1)보다 후방의 원고대(13)에 광 센서를 매설해 둠으로써 원고길이가 소정 길이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이즈가 다른 2매 이상의 원고(A)가 겹쳐쌓여 적재되어 있으면 최대의 원고길이가 검출된다.
원고 검출 센서(DS3?DS5)는 반송로 상의 미리 정해진 검출 위치를 감시하고, 반송 중의 원고(A)의 위치를 검출하는 반송상태 검출수단이며, 상기 검출 위치에 대한 원고(A)의 도달 또는 통과를 검출하고 있다. 즉, 원고(A)의 전단을 검출하고 있는 경우에는 원고(A)가 검출 위치에 도달한 것을 판별할 수 있고, 원고(A)의 후단을 검출하고 있는 경우에는 원고(A)가 검출 위치를 통과한 것을 판별할 수 있다.
원고 검출 센서(DS3)는 분리 롤러(15b) 및 분기점(C1)에 끼워진 반송로(B1) 상에 배치되어 원고 투입부(15)에 의해 급지 트레이(11)로부터 반송로(B1)에 투입된 원고(A)를 검출하고 있다.
원고 검출 센서(DS4)는 분기점(C1) 및 판독 위치(C2)에 끼워진 반송로(B2) 상에 배치되어 있다. 원고 검출 센서(DS4)는 스캐너 유닛(22)에 의한 제 1 면의 판독 타이밍을 구하기 위한 센서이며, 원고(A)의 전단이 판독 위치(C2)에 도달하기 직전에 통과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원고 검출 센서(DS5)는 합류점(C3) 및 판독 위치(C2)에 끼워진 반송로(B3) 상에 배치되어 있다. 원고 검출 센서(DS5)는 스캐너 유닛(22)에 의한 제 2 면의 판독 타이밍을 구하기 위한 센서이며, 원고(A)의 전단이 판독 위치(C2)에 도달하기 직전에 통과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반송 중의 원고(A)의 검출에는 원고 검출 센서(DS3?DS5)뿐만 아니라, 스캐너 유닛(22)도 사용할 수 있다. 즉, 스캐너 유닛(22)을 원고 검출 센서로서 사용해서 판독 위치(C2)에의 원고(A)의 도착 또는 통과를 검출시킬 수도 있다.
원고의 반송 중에 유저에 의해 판독 중지가 지시되는 경우가 있다. 판독 중지가 지시된 경우, 복합기(100)는 반송로(B1?B5) 및 급지 트레이(11) 상의 원고를 배지 트레이(12)로 배출한다. 이 경우, 패스 스위칭부(17)의 클로형상의 회전 부재(17a)의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반송 경로가 양면 패스로부터 편면 패스로 스위칭된다. 이 때문에, 판독 중지시에 분기점(C1)보다 상류측에서 반송 중이던 원고는 양면 패스보다 짧은 편면 패스로 반송되어 원고의 배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연속 판독 방식>
도 3?도 6은 도 2의 ADF장치(10)를 사용해서 2매 이상의 양면 원고(A1?A4)의 연속 판독을 행하는 경우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일반적으로 ADF장치(10)는 2매 이상의 원고를 동시 반송함으로써 연속 판독시에 있어서의 원고 1매당 판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ADF장치(10)의 경우, 양면 패스가 교차하고 있기 때문에 순서대로 투입되는 양면 원고(A1?A4)가 판독 위치(C2)를 통과하는 순서에 따라 복수의 판독방식이 고려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순차방식, 배치방식 및 교대방식 중 어느 하나가 유저에 의해 선택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급지 트레이(11) 상에서 원고 검출 센서(DS2)에 의해 검출된 원고 사이즈에 의거해서 이들 판독방식이 선택되도록 해도 좋다.
<순차방식의 연속 판독>
도 3의 (a)?(d)는 순차방식의 연속 판독에 관한 설명도이며, 반송로(B1?B5) 상에 있어서의 원고(A1,A2)의 반송 상태가 시계열순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순차방식에서는 유턴용 반송로(B3) 상에서 2매 이상의 원고를 동시에 반송시키지 않고, 후속의 원고(A2)의 판독은 선행하는 원고(A1)의 양면이 판독된 후에 개시된다.
도면 중의 (a)?(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투입된 원고(A1)는 반송로(B1?B3) 상에서 순서대로 반송되어 판독 위치(C2)를 2회 통과한다. 또한, 도면 중의 (c) 및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속의 원고(A2)의 투입은 원고(A1)가 판독 위치(C2)를 2회 통과한 후에 원고(A2)가 판독 위치(C2)에 도달하도록 선행하는 원고(A1)가 배지 트레이(12)로 배출되는 것보다 전에 행해진다.
순차방식은 선행하는 원고(A1)가 배출되기 전에 후속의 원고(A2)의 투입을 개시함으로써 1매당 판독시간을 단축시키는 판독 방법이다. 순차방식은 원고길이가 반송로(B3)의 길이 이하이면 적용할 수 있으므로 비교적 긴 원고의 고속 판독에 적합하다. 그러나, 반송로(B3)의 경로길이 이상의 원고 간격을 둘 필요가 있으므로 편면 판독 및 후술의 2방식에 비해 1매당 반송 시간은 길어진다.
<배치방식의 연속 판독>
도 4의 (a)?(d)는 배치방식의 양면 판독에 관한 설명도이며, 반송로(B1?B5) 상에 있어서의 원고(A1?A4)의 반송 상태가 시계열순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배치방식에서는 유턴용 반송로(B3) 상에 있어서 2매 이상의 원고(A1,A2)를 중복시키지 않고 동시에 반송시켜 이들 원고 그룹을 단위로 해서 양면 판독을 행하고 있다. 즉, 선행하는 원고(A1,A2)는 각각의 제 1 면이 판독된 후에 각각의 제 2 면이 판독되고, 후속의 원고(A3)의 판독은 선행하는 원고(A1,A2)의 양면이 판독된 후에 개시된다.
도면 중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순서대로 투입된 원고(A1,A2)는 반송로(B1?B3) 상에서 순서대로 반송되고, 각각의 제 1 면이 판독된 후 반송로(B3) 상에 있어서 동시에 반송되고 있는 상태로 된다. 그 후, 원고(A1,A2)는 판독 위치(C2)를 통과하여 반송로(B4)로 반송되고, 각각의 제 2 면이 판독된다(도면 중의 (c)). 후속의 원고(A3,A4)의 투입은 원고(A1,A2)가 모두 판독 위치(C2)를 2회 통과한 후에 원고(A3)가 판독 위치(C2)에 도달하도록 선행하는 원고(A2)가 배지 트레이(12)로 배출되기 전에 행해진다.
배치방식은 판독 위치(C2)에 대해서 반송로(B2 및 B3)의 한쪽으로부터 원고를 연속해서 진입시켜 반송로(B3) 상에 있어서 2매 이상의 원고를 동시에 반송시킴으로써 2매 이상의 원고(A1,A2)의 양면 판독을 통합해서 행함과 아울러 이들 원고(A1,A2)가 모두 배출되기 전에 후속의 원고(A3)의 투입을 개시함으로써 1매당 판독시간을 단축시키는 판독 방법이다. 배치방식은 순차방식에 비해서 1매당 판독시간을 보다 단축시킬 수 있지만, 원고길이가 반송로(B3) 길이의 1/2 이하가 아니면 적용할 수 없다. 배치방식에서는 반송로(B3)의 경로길이 이상의 원고 간격을 포함하는 2매 이상의 원고 간격이 반복되고, 이 원고 간격을 평균하면 편면 판독의 원고 간격보다 넓어지므로 편면 판독에 비하면 1매당 반송 시간이 길어진다.
<교대방식의 연속 판독>
도 5 및 도 6의 (a)?(f)는 교대방식의 양면 판독에 관한 설명도이며, 반송로(B1?B5) 상에 있어서의 원고(A1?A4)의 반송 상태가 시계열순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교대방식에서는 유턴용 반송로(B3) 상에 있어서 2매 이상의 원고(A1,A2)가 간격을 두고 동시에 반송되어 판독 위치(C2)에 대해서 반송로(B2 및 B3)로부터 교대로 1매씩 원고가 보내지고 있다.
도면 중의 (a)?(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순서대로 투입된 원고(A1,A2)는 반송로(B1?B3) 상에서 순서대로 반송되어 각각의 제 1 면이 판독된 후 반송로(B3) 상에 있어서 동시에 반송되고 있는 상태로 된다. 도 4의 배치방식에 비하면 2매 이상의 원고가 유턴로인 반송로(B3) 상에서 동시에 반송되는 판독방식인 점에서 공통되지만, 원고(A1,A2)간에 원고 1매분 이상의 간격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다르다. 즉, 교대방식에서는 원고(A1,A2)가 원고 1매분 이상의 간격을 두고 순서대로 투입된다.
이어서, 원고(A1)가 반송로(B3)로부터 판독 위치(C2)에 진입하여 그 제 2 면의 판독이 행해진다(도면 중의 (d)). 이 원고(A1)가 반송로(B4)로 반송되면 원고(A3)가 반송로(B2)로부터 판독 위치(C2)에 진입해서 그 제 1 면이 판독된다(도면 중의 (e)). 그 후, 원고(A3)가 반송로(B3)로 반송되면 원고(A2)가 반송로(B3)로부터 판독 위치(C2)로 진입해서 그 제 2 면이 판독된다(도면 중의 (f)). 즉, 판독 위치(C2)에서는 원고(A1)의 제 2 면, 원고(A3)의 제 1 면, 원고(A2)의 제 2 면의 순으로 판독이 행해지고 있다. 도면 중의 (c) 및 (f)는 원고를 1매분 진행시킨 같은 상태이며, (f)의 상태 이후는 (c)?(e)의 상태를 순서대로 반복함으로써 연속 판독을 행할 수 있다.
교대방식은 반송로(B3) 상에 있어서 2매 이상의 원고를 동시에 반송시킴과 아울러 판독 위치(C2)에 있어서 제 1 면 및 제 2 면의 판독을 교대로 행하는 방법이며, 1매당 판독시간을 단축시키는 판독 방법이다. 이 교대방식에서는 원고길이 이상, 반송로(B3)의 경로길이 미만의 원고 간격으로 3매 이상의 원고가 동시에 반송되고, 판독 위치(C2)에 대해서 반송로(B2) 및 반송로(B3)로부터 교대로 다른 원고를 진입시킨다. 교대방식은 배치방식에 비해 1매당 판독시간을 보다 단축시킬 수 있지만, 원고길이가 반송로(B3)의 길이의 1/3 이하일 필요가 있다. 또한, 교대방식은 원고길이 이상의 원고 간격을 둘 필요가 있으므로 편면 판독에 비하면 원고 간격이 넓고, 반송 시간도 길다.
도 7은 연속 판독의 각 방식에 대해서 판독 위치(C2)에 있어서의 판독순서의 일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면 중의 (a)?(c)는 순서대로 투입되는 원고(A1?A5)에 대해서 순차방식, 배치방식, 교대방식의 경우에 판독되는 원고면의 순서가 각각 나타내어져 있다.
순차방식의 경우, 도면 중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고(A1)의 제 1 면 및 제 2 면이 순서대로 판독된 후에 원고(A2)의 제 1 면 및 제 2 면이 순서대로 판독된다. 같은 원고의 제 1 면의 판독으로부터 제 2 면의 판독까지의 시간(tR)은 원고(A2)가 반송로(B3)를 통과하는 시간에 상당한다.
배치방식의 경우, 도면 중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고(A1 및 A2)의 제 1 면이 순서대로 판독된 후에 원고(A1 및 A2)의 제 2 면이 순서대로 판독된다. 같은 원고(A1)의 제 1 면의 판독부터 제 2 면의 판독까지의 시간(tR)은 순차방식의 경우와 같지만, 그 동안에 원고(A2)의 제 1 면의 판독이 행해지고 있다. 이 때문에, 순차방식의 경우보다 원고 판독의 스루풋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교대방식의 경우, 도면 중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행하는 원고가 존재하지 않는 원고(A1)를 제외하고 같은 원고의 제 1 면의 판독으로부터 제 2 면의 판독까지의 동안에 다른 원고의 판독이 2회 행해진다. 예를 들면, 원고(A2)의 제 1 면의 판독으로부터 제 2 면의 판독까지의 동안에 원고(A1)의 제 2 면과, 원고(A3)의 제 1 면의 판독이 행해지고 있다. 이렇게 해서, 다른 원고의 제 1 면 및 제 2 면을 교대로 판독함으로써 배치방식의 경우보다 더욱 원고 판독의 스루풋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복합기(100)의 요부에 대해서 일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 복합기(100)는 조작 입력부(21a), 원고 검출 센서(DS1?DS3,DS5), 판독 지정부(31), 반송 제어부(32), 패스 스위칭부(17), 원고 투입부(15) 및 반송 모터(36)에 의해 구성된다.
<조작 입력부(21a)>
조작 입력부(21a)에는 스타트키(211), 스톱키(212) 및 판독방법 선택키(213)가 배치되어 있다. 스타트키(211)는 원고 판독의 개시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개시 입력 수단이다. 유저가 급지 트레이(11) 상에 2매 이상의 원고를 세팅하고, 스타트키(211)를 조작하면 이들 원고를 순서대로 판독하는 연속 판독이 개시된다.
스톱키(212)는 원고 판독의 중지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중지 입력 수단이다. 유저가 연속 판독의 실행 중에 스톱키(212)를 조작하면 실행 중의 연속 판독을 중지시킬 수 있다. 종이걸림 등의 에러 검출에 의한 판독 중지와는 달리 유저의 중지 지시에 의해 원고 판독을 중지한 경우에는 판독 완료 전의 원고의 배출 처리 및 공송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도시되지 않은 유저 단말로부터 중지 지시의 신호가 입력된 경우도 스톱키(212)가 조작된 경우와 완전히 동일하다.
판독방법 선택키(213)는 원고의 판독 방법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 수단이다. 유저는 판독 방법으로서 양면 판독 또는 편면 판독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양면 판독을 선택한 경우에는 순차방식, 배치방식 또는 교대방식 중 어느 하나를 더 선택할 수 있다.
<판독 지정부(31)>
판독 지정부(31)는 유저 지정 및 원고길이에 의거해서 원고의 판독 방법을 지정한다. 편면 판독 또는 양면 판독의 지정은 판독방법 선택키(213)에 의한 유저 지정 대로 행해진다. 양면 판독의 판독방식은 원고 센서(DS2)가 검출한 원고길이도 고려해서 순차방식, 배치방식 또는 교대방식 중 어느 하나가 지정된다. 즉, 양면 판독의 판독방식을 유저가 지정한 경우에는 원고길이에 의거해서 상기 판독방식에 의한 판독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별해서, 판독 가능이면 유저 지정의 판독방식을 그대로 채용하고, 판독 불가능이면 유저 지정과는 다른 판독 가능한 판독방식으로 변경한다. 예를 들면, 유저가 교대방식의 양면 판독을 지정하고 있지만, 원고길이가 유턴용 반송 경로(B3)의 1/3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 판독 지정부(31)는 교대방식 대신에 배치방식 또는 순차방식을 지정한다.
<반송 제어부(32)>
반송 제어부(32)는 패스 스위칭부(17), 원고 투입부(15) 및 반송 모터(36)에 제어 신호를 출력해서 원고의 반송 제어를 행하고 있다. 이 반송 제어의 대상은 판독 중지 전의 통상의 반송 처리뿐만 아니라, 판독 중지 후의 배출 처리 및 공송 처리도 포함된다.
반송 제어부(32)는 패스 스위칭부(17)에 대해서 양면 패스 또는 편면 패스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패스 지정 신호를 출력하고, 반송 경로의 스위칭을 제어하고 있다. 통상의 원고 판독시에는 판독 지정부(31)가 지정한 판독 방법에 의거해서 상기 판독 방법에 대응하는 양면 패스 또는 편면 패스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한다. 한편, 양면 판독 중에 스톱키(212)가 조작된 경우에는 그 후의 배출 처리 및 공송 처리가 종료될 때까지 편면 패스를 지정한다. 편면 패스는 양면 패스보다 짧기 때문에 양면 판독의 중지 후에 행해지는 배출 처리 및 공송 처리에 있어서 편면 패스를 지정함으로써 배출 처리 및 공송 처리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반송 제어부(32)는 원고 투입부(15)에 대해서 원고 투입의 타이밍을 나타내는 투입신호를 출력해서 원고 간격을 제어하고 있다. 통상의 원고 판독시에는 판독 지정부(31)가 지정한 판독 방법에 대응하는 원고 간격이 되도록 소정 타이밍으로 원고 투입을 지정한다. 한편, 양면 판독 중에 스톱키(212)가 조작된 경우에는 그 후의 공송 처리가 종료될 때까지 편면 판독용 원고 간격이 되도록 원고 투입의 타이밍을 제어한다. 편면 판독의 원고 간격은 양면 판독의 어느 판독방식에 있어서의 원고 간격보다 좁기 때문에 양면 판독의 중지 후에 행해지는 배출 처리 및 공송 처리에 있어서 편면 판독의 원고 간격을 사용함으로써 배출 처리 및 공송 처리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특히, 공송 처리의 대상이 되는 원고수가 많아질수록 큰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반송 제어부(32)는 반송 모터(36)에 구동 신호를 출력해서 반송 모터(36)의 구동축에 연결된 롤러(16)를 회전시키고 있다. 즉, 스타트키(211)의 조작에 의거해서 반송 모터(36)의 회전을 개시시키고, 원고 검출 센서(DS1)의 검출 결과에 의거해서 급지 트레이(11) 상의 모든 원고가 배지 트레이(12)로 배출된 후에 회전을 정지시킨다. 즉, 스톱키(211)가 조작된 경우이어도 배출 처리 및 공송 처리가 종료될 때까지 반송 모터(36)는 정지되지 않고 회전을 계속하고 있다.
<패스 스위칭부(17)>
패스 스위칭부(17)는 반송 제어부(32)로부터의 패스 지정 신호에 의거해서 클로형상의 회전 부재(17a)의 방향을 변경해서 원고의 반송 경로를 양면 패스 또는 편면 패스로 스위칭하고 있다. 양면 판독 중에 중지 지시가 입력된 경우 패스 스위칭부(17)는 빠르게 반송 경로를 스위칭하여 반송로(B1) 상의 원고를 편면 패스로 안내한다. 따라서, 판독 중지시에 분기점(C1)보다 상류측에서 반송 중이던 원고는 편면 패스를 통해 배출되어 배출 처리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반송 경로의 스위칭시에 분기점(C1)을 통과 중인 원고가 있으면 상기 원고에 회전 부재(17a)가 접촉하는 상태를 거쳐 상기 원고는 반송 경로의 스위칭 전의 반송 경로로 반송된다. 이 때, 회전 부재(17a)의 접촉에 의해 원고에 큰 데미지를 주는 경우는 없다.
<판독 중지 처리>
도 9의 스텝S101?S10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판독 중지 처리의 일례를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이 판독 중지 처리는 원고 판독의 중지 지시가 입력된 경우에 개시된다. 즉, 유저가 스톱키(212)를 조작했을 때, 또는 유저 단말로부터 중지 지시의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 개시된다.
우선, 중지 지시에 의거해서 스캐너 유닛(22)에 의한 원고 판독이 중지된다(스텝S101). 이 때, 반송 제어부(32)는 반송 모터(36)를 정지시키지 않고 회전 구동을 계속한다. 이 때문에, 반송로(B1?B5) 상의 원고는 판독 위치(C2)에 있어서 판독되지 않고 배출구(18)까지 반송되어 배출 트레이(12)로 배출된다.
상기 판독 중지가 양면 판독의 중지였던 경우 패스 스위칭부(17)에 의해 반송 경로가 양면 패스로부터 편면 패스로 스위칭된다(스텝S102, S103). 반송 제어부(32)는 조작 입력부(21a)로부터 중지 지시가 출력되면 편면 패스를 지정하는 패스 지정 신호를 즉시 출력한다. 이 때문에, 양면 판독 중에 중지 지시가 입력되면 반송 경로가 양면 패스로부터 편면 패스로 스위칭된다.
이 반송 경로의 스위칭에 의해 판독 중지시에 반송로(B1) 상에 있던 원고, 즉 중지 지시의 입력 직전에 투입이 개시되어 중지 지시의 입력 시점에서는 그 선단이 분기점(C1)에 도달되고 있지 않은 원고는 편면 패스로 안내된다. 따라서, 판독 중지 전과 마찬가지로 해서 이러한 원고를 양면 패스로 안내하는 종래의 화상 판독 장치에 비해 배출 처리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어서, 급지 트레이(11) 상에 원고가 남아 있으면 공송 처리를 위한 원고 투입이 행해진다(스텝S104, S105). 반송 제어부(32)는 원고 검출 센서(DS1)의 검출 결과에 의거해서 급지 트레이(11) 상의 원고의 유무를 판별하면서 원고 투입부(15)에 대해서 원고가 없어질 때까지 투입신호를 반복해서 출력한다. 이 때, 투입신호는 원고 간격이 편면 판독시의 간격으로 되는 타이밍에 출력된다. 즉, 공송 처리에서는 원고 간격이 양면 판독시보다 좁아지도록 원고가 순서대로 투입되어 간다. 따라서, 양면 판독이 중지된 경우이어도 그 후의 공송 처리에서는 편면 판독시와 마찬가지로 좁은 원고 간격으로 원고가 투입되고, 또한 상기 원고가 편면 패스로 안내됨으로써 공송 처리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그리고, 급지 트레이(11) 상의 모든 원고가 배지 트레이(12)로 배출되면 반송 제어부(32)가 반송 모터(36)를 정지시켜 이 판독 중지 처리를 종료한다(스텝S106).
실시형태 2.
실시형태 1에서는 양면 판독이 중지된 경우에 즉시 반송 경로를 스위칭하는 경우의 예에 대해서 설명했다. 이것에 대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송 경로를 스위칭에 의한 원고끼리의 접촉을 회피하는 동작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의 스텝S201?S20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판독 중지 처리의 일례를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이 판독 중지 처리는 스텝S203 및 S205를 제외하고, 도 9의 스텝S101?S106과 같기 때문에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스텝S203에서는 양면 판독의 중지시에 즉시 반송 경로를 스위칭하면 원고끼리의 접촉이 생긴 경우에 반송 경로의 스위칭 타이밍을 지연시켜 원고끼리의 접촉을 회피하고 있다. 반송 제어부(32)는 반송 경로의 스위칭에 의해 합류점(C3)에 있어서 원고끼리의 접촉이 생기는지의 여부를 판별해서 접촉이 생길 가능성이 있으면 반송 경로의 스위칭 타이밍을 지연시킨다.
중지한 양면 판독이 교대방식 또는 배치방식이었던 경우 반송 경로를 즉시 스위칭하여 반송로(B1) 상의 원고를 편면 패스로 안내하면 합류점(C3)에 있어서 선행하는 원고와 접촉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반송 제어부(32)로부터 패스 스위칭부(17)에 출력되는 패스 지정 신호를 지연시켜 배출 처리 중에 원고끼리가 접촉하는 것을 회피한다. 즉, 교대방식 또는 배치방식의 양면 판독을 중지한 경우에는 그 후의 배출 처리에 있어서 편면 패스를 사용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반송 제어부(32)가 원고 검출 센서(DS3) 또는 원고 검출 센서(DS4)의 검출 결과에 의거해서 반송로(B1) 상의 원고가 분기점(C1)을 통과한 것을 판별하고, 그 후에 패스 지정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또는 반송 제어부(32)가 판독 중지 직전에 투입된 원고가 분기점(C1)을 통과하는데에 충분한 일정시간만큼 지연시켜서 패스 지정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반송 경로의 스위칭시에 분기점(C1)을 이미 통과 중인 원고가 상기 원고와 회전 부재(17a)가 접촉하는 상태를 거쳐 상기 원고가 반송 경로의 스위칭 전의 반송 경로로 반송되는 경우이면 상술한 분기점(C1)의 통과는 원고의 전단을 기준으로 하면 좋다.
한편, 중지한 양면 판독이 순차방식이었던 경우에는 중지 지시에 의거해서 반송 경로가 즉시 스위칭된다. 순차방식에서는 원고 간격이 충분히 넓기 때문에 판독 중지시에 반송 경로를 즉시 스위칭해도 교대방식이나 배치방식의 경우와 같이 합류점(C3)에 있어서 원고끼리가 접촉하는 일은 없다.
스텝S205에서는 판독 중지의 전후에 투입된 원고끼리가 합류점(C3)에 있어서 접촉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서 공송 처리에 있어서의 최초 원고의 투입 타이밍을 조정하고 있다. 양면 판독의 중지 후에 공송 처리를 행할 경우 편면 패스를 통과하는 공송 처리의 최초의 원고가 양면 패스를 통과하는 배출 처리 중의 마지막의 원고에 따라 붙어 양 원고가 합류점(C3)에 있어서 서로 접촉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원고끼리의 접촉을 회피하기 위해서 반송 제어부(32)는 공송 처리를 개시할 때 원고 투입부(15)에 투입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밍을 조정하고 있다. 즉, 중지 지시의 입력 전에 마지막으로 투입된 원고의 후단이 합류점(C3)을 통과한 후에 중지 처리 후에 최초로 투입되는 원고가 합류점(C3)을 통과하도록 판독 중지시에 원고 투입을 일단 중지한 후 원고 투입을 재개시킨다. 이러한 공송 처리의 개시 타이밍의 조정은 교대방식, 배치방식뿐만 아니라, 순차방식의 경우에도 행해진다.
예를 들면, 반송 제어부(32)가 원고 검출 센서(DS4) 또는 원고 검출 센서(DS5)의 검출 결과에 의거해서 중지 지시의 입력 전에 투입된 마지막 원고의 반송 위치를 판별하고, 공송 처리에 있어서의 최초의 원고가 배출 중인 상기 원고와 접촉하지 않는 타이밍으로 투입신호를 출력해서 공송 처리에 있어서의 최초의 원고 투입을 개시하도록 구성된다. 또는 반송 제어부(32)가 판독 중지의 전후에 투입된 원고의 합류점(C3)에 있어서의 접촉을 회피하는데에 충분한 일정 시간만큼 지연시켜서 공송 처리에 있어서의 최초의 투입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교대방식 및 배치방식의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판독 중지시의 투입 중지를 행하고, 순차방식의 경우에는 원고 투입을 중지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양면 판독의 중지시에 즉시 반송 경로를 스위칭하면 원고끼리의 접촉이 생긴다고 판별된 경우에 공송 처리의 개시 타이밍의 조정도 행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즉, 원고의 반송 경로의 스위칭을 지연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중지 지시의 입력 전에 마지막으로 투입된 원고와 후속하는 원고 사이에서도 원고의 접촉이 생길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 때문에, 원고의 투입을 중지해서 투입 재개 후의 원고부터 편면 패스로 반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투입 재개 후의 원고와 선행하는 원고 사이에 원래의 원고 간격보다 긴 원고 간격이 생기므로 반송 경로의 스위칭에 의해 원고끼리의 접촉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양면 판독시에 원고의 제 1 면 및 제 2 면을 순서대로 판독하는 구성의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경우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즉, 양면 판독시에 제 2 면 및 제 1 면을 순서대로 판독하는 화상 판독 장치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화상 판독 장치에 있어서의 편면 판독은 제 2 면을 판독하는 것이어도 좋고, 제 1 면을 판독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공송 처리에 있어서 편면 판독용 원고 간격으로 원고가 반송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경우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즉, 공송 처리에 있어서의 원고 간격은 양면 판독용 원고 간격보다 좁으면 좋고, 편면 판독용 원고 간격과 일치할 필요는 반드시 없다.
10:ADF장치 11:급지 트레이
12:배지 트레이 15:원고 투입부
16:반송 롤러 17:패스 스위칭부
20:본체부 21:조작 패널
21a:조작 입력부 21b:액정 표시부
211:스타트키 212:스톱키
213:판독방법 선택키 22:스캐너 유닛
31:판독 지정부 32:반송 제어부
36:반송 모터 100:복합기
B1?B5:반송로 C1:분기점
C2:판독 위치 C3:합류점
DS1?DS5:원고 검출 센서

Claims (15)

  1. 원고의 판독 방법으로서 양면 판독 및 편면 판독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판독 지정 수단과,
    급지 트레이로부터 상기 원고를 투입하는 원고 투입 수단과,
    양면 판독용 제 1 반송로 및 편면 판독용 제 2 반송로의 분기점에 있어서 지정된 상기 판독 방법에 의거해서 상기 원고의 반송 경로를 스위칭하는 경로 스위칭 수단과,
    상기 양면 판독의 중지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중지 입력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경로 스위칭 수단은 상기 중지 지시에 의거해서 상기 제 2 반송로를 선택하고,
    상기 제 1 반송로는 상기 제 2 반송로보다 길고,
    상기 중지 지시의 입력시에 상기 급지 트레이 상에 남아 있는 원고는 상기 중지 지시의 입력 후에 투입되어 상기 제 2 반송로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송로는 상기 분기점으로부터 판독 위치로 원고를 반송하는 도입로와,
    상기 도입로로부터 진입해서 상기 판독 위치를 통과한 원고를 유턴시켜서 다시 상기 판독 위치로 진입시키는 유턴로를 갖고,
    상기 제 2 반송로는 상기 판독 위치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유턴로 상의 합류점에서 상기 제 1 반송로와 합류하고,
    상기 원고 투입 수단은 상기 중지 지시의 입력시에 상기 급지 트레이 상에 2매 이상의 원고가 남아 있는 경우에 상기 중지 지시의 입력 전의 양면 판독보다 좁은 원고 간격으로 원고를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 트레이로부터 상기 분기점으로 원고를 반송하는 급지로를 구비하고,
    상기 중지 지시의 입력시에 상기 급지로를 반송 중인 원고가 상기 제 2 반송로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 투입 수단은 상기 중지 지시의 입력 후에 최초로 투입된 원고의 전단이 상기 중지 지시의 입력 전에 마지막으로 투입된 원고의 후단이 상기 합류점을 통과한 후에 상기 합류점에 도달하도록 상기 중지 지시의 입력 후에 상기 원고 투입을 일단 중지하고 그 후에 재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 트레이 상의 원고를 검출하는 원고적재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중지 지시의 입력시에 상기 급지 트레이 상에 남아 있는 모든 원고는 상기 제 2 반송로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스위칭 수단은 상기 중지 지시에 의거해서 상기 제 2 반송로를 선택한 경우에 상기 원고끼리의 접촉이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원고접촉 판별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경로 스위칭 수단은 상기 원고접촉 판별수단의 판별 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중지 지시의 입력 전에 마지막으로 투입된 원고의 전단이 상기 분기점에 도달한 후에 상기 제 2 반송로를 선택하고,
    상기 원고 투입 수단은 상기 원고접촉 판별수단의 판별 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중지 지시의 입력 후에 상기 원고 투입을 일단 중지하고 그 후에 재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접촉 판별수단은 상기 제 1 반송로 상의 원고 간격에 의거해서 상기 원고끼리의 접촉이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 트레이로부터 상기 분기점으로 원고를 반송하는 급지로와,
    상기 양면 판독의 판독방식으로서 상기 유턴로 상에서 2매 이상의 원고를 동시에 반송하지 않는 순차방식을 지정할 수 있는 판독방식 지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순차방식의 양면 판독 중에 상기 중지 지시가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중지 지시의 입력시에 상기 급지로를 반송 중인 원고는 상기 제 2 반송로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원고 투입 수단은 상기 원고 투입의 일단 중지를 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 판독의 판독방식으로서 상기 판독 위치에 대해서 상기 도입로 및 상기 유턴로로부터 교대로 다른 원고를 진입시키는 교대방식을 지정할 수 있는 판독방식 지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교대방식의 양면 판독 중에 상기 중지 지시가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경로 스위칭 수단은 상기 중지 지시의 입력 전에 마지막으로 투입된 원고의 전단이 상기 분기점에 도달한 후에 상기 제 2 반송로를 선택하고, 상기 원고 투입 수단은 상기 중지 지시의 입력 후에 상기 원고 투입을 일단 중지하고 그 후에 재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 판독의 판독방식으로서 상기 판독 위치에 대해서 상기 도입로 및 상기 유턴로의 한쪽으로부터 2매 이상의 원고를 연속해서 진입시키는 배치방식을 지정할 수 있는 판독방식 지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배치방식의 양면 판독 중에 상기 중지 지시가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경로 스위칭 수단은 상기 중지 지시의 입력 전에 마지막으로 투입된 원고의 전단이 상기 분기점에 도달한 후에 상기 제 2 반송로를 선택하고, 상기 원고 투입 수단은 상기 중지 지시의 입력 후에 상기 원고 투입을 일단 중지하고 그 후에 재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 투입 수단은 상기 편면 판독시에는 상기 양면 판독보다 좁은 원고 간격으로 원고를 투입함과 아울러 상기 양면 판독의 상기 중지 지시의 입력시에 상기 급지 트레이 상에 2매 이상의 원고가 남아 있는 경우에 상기 편면 판독과 같은 원고 간격으로 원고를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12. 원고의 판독 방법으로서 양면 판독 및 편면 판독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판독 지정 스텝과,
    급지 트레이로부터 상기 원고를 투입하는 원고 투입 스텝과,
    상기 양면 판독의 중지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중지 입력 스텝과,
    양면 판독용 제 1 반송로 및 제 1 반송로보다 짧은 편면 판독용 제 2 반송로의 분기점에 있어서 지정된 상기 판독 방법에 의거해서 상기 원고의 반송 경로를 스위칭함과 아울러 상기 중지 지시에 의거해서 상기 제 2 반송로를 선택하는 경로 스위칭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중지 지시의 입력시에 상기 급지 트레이 상에 남아 있는 원고는 상기 중지 지시의 입력 후에 투입되어 상기 제 2 반송로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반송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송로는 상기 분기점으로부터 판독 위치로 상기 원고를 반송하는 도입로와,
    상기 도입로로부터 진입해서 상기 판독 위치를 통과한 원고를 유턴시켜서 다시 상기 판독 위치에 진입시키는 유턴로를 갖고,
    상기 제 2 반송로는 상기 판독 위치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유턴로 상의 합류점에서 상기 제 1 반송로와 합류하고,
    상기 원고 투입 스텝에서는 상기 중지 지시의 입력시에 상기 급지 트레이 상에 2매 이상의 원고가 남아 있는 경우에 상기 중지 지시의 입력 전의 상기 양면 판독보다 좁은 원고 간격으로 원고가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반송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 트레이로부터 상기 분기점으로 상기 원고를 반송하는 급지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중지 지시의 입력시에 상기 급지 스텝에 의해 반송 중인 원고는 상기 제 2 반송로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반송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 투입 스텝에서는 상기 중지 지시의 입력 후에 최초로 투입된 원고의 전단은 상기 중지 지시의 입력 전에 마지막으로 투입된 원고의 후단이 상기 합류점을 통과한 후에 상기 합류점에 도달하도록 상기 중지 지시의 입력 후에 상기 원고 투입이 일단 중지되고 그 후에 재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반송 방법.
KR1020117026355A 2009-09-18 2010-09-07 화상 판독 장치 및 원고 반송 방법 KR201200254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18065 2009-09-18
JP2009218065A JP5223829B2 (ja) 2009-09-18 2009-09-18 画像読取装置及び原稿搬送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5458A true KR20120025458A (ko) 2012-03-15

Family

ID=43758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6355A KR20120025458A (ko) 2009-09-18 2010-09-07 화상 판독 장치 및 원고 반송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82184B2 (ko)
JP (1) JP5223829B2 (ko)
KR (1) KR20120025458A (ko)
CN (1) CN102726035A (ko)
WO (1) WO20110339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54625B2 (ja) * 2011-03-18 2015-07-2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2222448A (ja) * 2011-04-05 2012-11-12 Canon Inc 画像読取装置、画像読取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439186B1 (ko) * 2011-11-09 2014-09-12 교세라 도큐멘트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원고 반송부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JP5917281B2 (ja) * 2012-05-07 2016-05-1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047958B2 (ja) * 2012-07-06 2016-12-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2015126433A (ja) * 2013-12-26 2015-07-06 村田機械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及び原稿搬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2313B2 (ja) * 1991-07-31 2001-03-07 株式会社東芝 自動原稿搬送装置
US5313258A (en) * 1991-09-30 1994-05-17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for performing a double-sided copying operation
JPH05336305A (ja) * 1992-05-28 1993-12-17 Ricoh Co Ltd 両面読取式スキャナ装置
JP3081500B2 (ja) * 1995-04-18 2000-08-28 キヤノン株式会社 自動原稿送り装置、原稿自動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219707B2 (ja) * 1996-12-24 2001-10-15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材搬送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JPH11215297A (ja) * 1998-01-27 1999-08-06 Minolta Co Ltd 画像読取システム及び画像読取装置
US6563598B1 (en) * 1999-09-07 2003-05-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document control
JP2003158605A (ja) * 2001-11-22 2003-05-30 Canon Inc 原稿搬送装置
JP3710437B2 (ja) * 2002-07-01 2005-10-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み取り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4867294B2 (ja) * 2005-11-04 2012-02-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5014838B2 (ja) * 2007-03-02 2012-08-2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09010861A (ja) * 2007-06-29 2009-01-15 Sharp Corp 原稿読取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223829B2 (ja) 2013-06-26
WO2011033963A1 (ja) 2011-03-24
CN102726035A (zh) 2012-10-10
US8582184B2 (en) 2013-11-12
US20120170086A1 (en) 2012-07-05
JP2011066856A (ja) 201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27539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原稿搬送方法
JP5211003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516894B2 (ja) 自動原稿搬送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並びに画像読取装置
KR20120025458A (ko) 화상 판독 장치 및 원고 반송 방법
JP2011079644A (ja) 画像読取装置及び原稿搬送方法
JPH11157756A (ja) 原稿読取装置
JP2000143104A (ja) 自動原稿搬送装置
JP2010001105A (ja) 自動原稿搬送装置
JP4397919B2 (ja) 自動原稿搬送装置
WO2011021434A1 (ja) 画像読取装置
JP2000332953A (ja) 画像読取装置
JP2011087085A (ja) 画像読取装置及び原稿搬送方法
WO2011024544A1 (ja) 画像読取装置及び原稿搬送方法
JP6008179B2 (ja) 原稿搬送装置、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原稿搬送装置の制御方法
JP2013074545A (ja) 原稿読取装置
JPH10181955A (ja) シート処理装置
JP2010215358A (ja) 画像読取装置
JP3361393B2 (ja) スキャナ装置
JP5563540B2 (ja) 自動原稿搬送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JP5300338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3074544A (ja) 原稿読取装置
JPH11263499A (ja) 原稿読取り装置
JP2013082520A (ja) 原稿読取装置
JP2000191205A (ja) 自動原稿送り装置
JP2012085281A (ja) 自動原稿搬送装置および原稿搬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