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5411A - 정보 처리 장치, 프로그램, 및 정보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프로그램, 및 정보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5411A
KR20120025411A KR1020110086991A KR20110086991A KR20120025411A KR 20120025411 A KR20120025411 A KR 20120025411A KR 1020110086991 A KR1020110086991 A KR 1020110086991A KR 20110086991 A KR20110086991 A KR 20110086991A KR 20120025411 A KR20120025411 A KR 20120025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ing
dimensional space
pointing position
display
display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6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끼 모리
유스께 구도
다까시 기따오
료 후까자와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25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54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Abstract

오브젝트가 배치된 3차원 공간을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와, 3차원 공간에 있어서의 포인팅 조작을 취득하는 취득부와, 포인팅 조작에 기초하여 3차원 공간에 포인팅 위치를 설정하는 위치 설정부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표시 제어부는, 오브젝트의 위치로부터 포인팅 위치의, 표시 화면의 깊이 방향의 차이가 보정된, 포인팅 위치를 3차원 공간에 표시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프로그램, 및 정보 처리 방법{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본 발명은 정보 처리 장치, 프로그램, 및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표시 화면을 통해 유저에게 제공되는 GUIs(Graphical User Interfaces)가, 가상적인 3차원 공간으로서 표시되는 것이 보다 일반화되고 있다. 3차원 공간에 배치되는 오브젝트의 위치는, 예를 들면, 2차원 좌표에 깊이 방향을 추가해서 구한 3차원 좌표에 의해 정의된다. 이러한 3차원 공간의 GUI에 이용되는 기술로서,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4-70920A호에는, 터치 패널과 감압 소자를 이용하여,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해 구성된 커서 오브젝트의 위치를 3차원 좌표로 지정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커서 오브젝트의 위치를 지정하는 포인팅 디바이스는, 2차원 좌표를 지정하도록 구성된 것이 여전히 대다수이다. 따라서, 3차원 공간의 GUI에 대하여도, 2차원 좌표를 지정하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그러한 경우, 커서 오브젝트는, 예를 들면, 깊이 방향의 좌표가 고정된 상태로 표시된다. 따라서, 커서 오브젝트와 3차원 공간에 배치된 오브젝트들의 표시가 위화감을 유발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전술한 사항을 고려하여, 3차원 공간에 있어서의 포인팅 표시에 의해 유발되는 위화감을 저감시킬 수 있는, 신규하고 개량된 정보 처리 장치, 프로그램, 및 정보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브젝트가 배치된 3차원 공간을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 상기 3차원 공간에 있어서의 포인팅 조작을 취득하는 취득부, 및 상기 포인팅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3차원 공간에 포인팅 위치를 설정하는 위치 설정부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포인팅 위치와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 간의 상기 표시 화면의 깊이 방향의 차이가 보정된, 상기 포인팅 위치를 상기 3차원 공간에 표시시킨다.
상기 위치 설정부는 상기 포인팅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3차원 공간에 가상의 포인팅 위치를 설정할 수 있고, 상기 가상의 포인팅 위치와, 상기 3차원 공간에 설정된 기준점을 지나는 기준선 상에 상기 포인팅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포인팅 위치를 지나는 포인팅 선을 상기 기준선 상에 표시시킬 수 있다.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포인팅 선을, 상기 기준점에서 시작하여 상기 포인팅 위치에서 끝나는 선분으로서 표시시킬 수 있다.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포인팅 위치에 커서 오브젝트를 표시시킬 수 있다.
상기 위치 설정부는 상기 오브젝트와 상기 기준선 간의 교점에 상기 포인팅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설정부는, 상기 기준선과의 교점을 각각 갖는 복수의 오브젝트 중에서 상기 오브젝트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상기 오브젝트와 상기 기준선 간의 교점에 상기 포인팅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취득부는 상기 오브젝트의 선택 전환 조작을 취득할 수 있고, 상기 위치 설정부는 상기 오브젝트의 상기 선택 전환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를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설정부는, 상기 오브젝트와 상기 기준선 간의 교점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기준선의 근방에 위치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오브젝트의 위치(들)에 기초하여 상기 포인팅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취득부는 상기 기준점의 이동 조작을 취득할 수 있고, 상기 위치 설정부는 상기 기준점의 상기 이동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점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포인팅 위치에, 윤곽이 흐려져서 상기 깊이 방향의 차이를 시각적으로 보정하는 커서 오브젝트를 표시시킬 수 있다.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3차원 공간을 입체 화상으로서 상기 표시 화면에 표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오브젝트가 배치된 3차원 공간을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는 처리, 상기 3차원 공간에 있어서의 포인팅 조작을 취득하는 처리, 상기 포인팅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3차원 공간에 포인팅 위치를 설정하는 처리, 및 상기 포인팅 위치와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 간의 상기 표시 화면의 깊이 방향의 차이가 보정된, 상기 포인팅 위치를 상기 3차원 공간에 표시시키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오브젝트가 배치된 3차원 공간을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는 단계, 상기 3차원 공간에 있어서의 포인팅 조작을 취득하는 단계, 상기 포인팅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3차원 공간에 포인팅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포인팅 위치와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 간의 상기 표시 화면의 깊이 방향의 차이가 보정된, 상기 포인팅 위치를 상기 3차원 공간에 표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3차원 공간에 있어서의 포인팅 표시에 의해 유발되는 위화감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입체 화상 표시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2는 입체 화상 표시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3은 입체 화상 표시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4는 입체 화상 표시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5는 3차원 공간에 있어서의 포인팅 위치의 표시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기능 및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포인팅 위치의 설정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포인팅 위치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포인팅 위치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포인팅 위치의 깊이의 표시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포인팅 위치의 설정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12는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포인팅 위치의 깊이의 표시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있어서의 포인팅 위치의 설정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14는 제4 실시예에 있어서의 포인팅 위치의 설정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15는 제4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준점의 이동 조작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있어서의 포인팅 위치의 설정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있어서의 포인팅 위치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및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하고, 이 구성 요소들에 대한 중복적인 설명을 생략한다는 것을 유의한다.
또한, 설명은 다음의 순서로 행한다.
1. 3차원 공간의 GUI
2. 제1 실시예
3. 제2 실시예
4. 제3 실시예
5. 제4 실시예
6. 제5 실시예
7. 제6 실시예
8. 정리
1. 3차원 공간의 GUI
우선, 하기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되는 3차원 공간의 GUI에 관하여 설명한다. 3차원 공간의 GUI는 표시 화면에 가상적인 3차원 공간을 표시한다. 3차원 공간에, 예를 들면, 음악이나 영화 등의 콘텐츠, 조작 버튼 등의 아이콘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들이 배치된다. 유저는, 예를 들면,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한 포인팅 조작을 통해, 표시된 오브젝트 중에서 원하는 오브젝트를 선택한다. 그러한 경우, 유저는, 포인팅 조작을 통해 3차원 공간에 있어서의 포인팅 위치를 이동시키고, 포인팅 위치가 원하는 오브젝트에 중첩된 상태에서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조작을 행함으로써, 원하는 오브젝트를 선택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인팅 위치"란 3차원 공간에 있어서 포인팅 조작에 의해 포인팅되는 위치이다. 3차원 공간에 있어서, 포인팅 위치는 포인팅 조작을 행하는 유저가 그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된다. 포인팅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예를 들면, 화살 형상의 커서 오브젝트가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3차원 공간의 GUI는 표시 화면에 평면 화상이나 또는 입체 화상으로서 표시될 수 있다. 이하, 3차원 공간의 GUI의 표시에 사용할 수 있는 입체 화상의 표시 방법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제 공간에 존재하는 오브젝트(20)를 관찰자가 좌안 및 우안으로 보아서 입체적으로 인식하는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 오브젝트(20)는 수렴 각도 θ로 시인된다. 여기에서, 수렴 각도 θ은 좌안과 우안의 시선들의 교차 각도이다. 수렴 각도 θ로 인해, 좌안과 우안으로 관찰되는 오브젝트(20)의 화상들은, 화상(20L)과 화상(20R)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차이를 갖는다. 관찰자는 그러한 차이를 이용하여 오브젝트(20)를 입체적으로 인식한다.
도 2는 화상으로서 제시되는 오브젝트(21)에 설정되는 시차를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오브젝트(21)를 관찰자에게 입체적으로 인식시키기 위해서, 관찰자의 좌안과 우안에 각각 제시되는 오브젝트(21L)와 오브젝트(21R) 사이에는 시차 d가 설정된다.
도 3은 오브젝트(21)를 관찰자가 좌안과 우안으로 보아서 입체적으로 인식하는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오브젝트(21L)와 오브젝트(21R)가 관찰자의 좌안과 우안에 각각 제시됨으로써, 오브젝트(21)에 대한 관찰자의 좌안의 시선과 우안의 시선 사이에 수렴 각도 θ가 생긴다. 따라서, 관찰자는 오브젝트(21)가 화면 앞으로 튀어나오는 것처럼 느낀다.
도 4는 오브젝트(21L)와 오브젝트(21R) 사이에 설정되는 시차 d와, 관찰자가 인식하는 오브젝트(21)의 위치 간의 관계를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시차 d1이 설정되어 있을 경우, 관찰자는 오브젝트(21)를 수렴 각도 θ1로 시인한다. 한편, 시차 d1보다 작은 시차 d2가 설정되어 있을 경우, 관찰자는 오브젝트(21)를 수렴 각도 θ1보다 작은 수렴 각도 θ2로 시인한다. 수렴 각도 θ1이 작을수록, 관찰자는 오브젝트(21)가 더 깊이 있는 것으로 느낀다. 그러므로, 관찰자는, 시차 d2가 설정되는 경우에, 시차 d1이 설정되는 경우보다 오브젝트(21)가 더 깊은 위치에 있는 것처럼 느낀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입체 화상은, 관찰자의 좌안과 우안에 각각 제시되는 오브젝트의 화상들에 제공되는 시차를 갖고 표시되어, 관찰자가 인식하는 오브젝트의 깊이 방향의 위치는, 오브젝트의 화상들에 설정되는 시차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계속해서, 3차원 공간의 GUI에 있어서, 커서 오브젝트와 오브젝트에 깊이 방향의 차이가 있을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커서 오브젝트는 3차원 공간의 GUI에 있어서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커서 오브젝트는, 3차원 공간에 있어서, 유저의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한 조작에 의해 이동되어, 유저가 원하는 오브젝트에 중첩된다. 그러나, 예를 들면, 포인팅 디바이스는 2차원 좌표를 지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커서 오브젝트의 깊이 방향의 좌표가 고정되는 경우, 또는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해 지정된 깊이 방향의 좌표가 오브젝트의 깊이 방향의 좌표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커서 오브젝트와 오브젝트 간에 깊이 방향의 차이가 생길 수 있다. 이하, 그러한 경우에 대해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3차원 공간에 표시된 오브젝트들(21a, 21b)과 커서 오브젝트(27)를 도시한다. 3차원 공간에서는, 표시 화면의 수평 방향에 x축이, 수직 방향에 y축이, 깊이 방향에 z축이 각각 설정된다. 평면 Z0 및 평면 Z1은 z축에 대해 수직인 평면이다. 여기에서, 평면 Z0에 포함되는 점들은 동일한 z 좌표를 갖고, 평면 Z1에 포함되는 점들은 동일한 z 좌표를 갖는다. 한편, 평면 Z0에 포함되는 점들과 평면 Z1에 포함되는 점들은 z축 방향의 좌표가 다르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오브젝트(21a)는 평면 Z1에 위치하고, 오브젝트(21b)는 평면 Z0에 위치한다.
커서 오브젝트(27)는 3차원 공간에 있어서의 포인팅 위치를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포인팅 위치는 x 좌표 및 y 좌표를 포함하는 2차원 좌표를 지정하는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해 조작된다. 따라서, 포인팅 위치의 z 좌표는 평면 Z0의 z 좌표로 고정된다. 따라서, 커서 오브젝트(27)는 평면 Z0 상에서 포인팅 조작을 따라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유저는, 커서 오브젝트(27)와 오브젝트(21)가 x 좌표 및 y 좌표에 있어서 서로 중첩하는 상태에서 선택 조작을 행함으로써, 오브젝트(21)를 선택한다. 도면에 도시된 상태에 있어서, 커서 오브젝트(27)와 오브젝트(21a)는 x 좌표 및 y 좌표에 있어서 서로 중첩한 상태, 즉, 커서 오브젝트(27)에 의해 오브젝트(21a)를 선택할 수 있는 상태이다.
그러나, 평면 Z0 상의 커서 오브젝트(27)는, 평면 Z1 상의 오브젝트(21a)와는 z 좌표가 다르다. 따라서, 오브젝트(21a)에 커서 오브젝트(27)를 중첩시켜서 표시하면, 커서 오브젝트(27)는 오브젝트(21a)의 표면에서 뒤 측으로 깊이 박힌 것으로 표시되어 버린다. 유저가, 커서 오브젝트(27)를 오브젝트(21a)에 중첩시키는 포인팅 조작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커서 오브젝트(27) 및 오브젝트(21a)의 표시는 위화감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전술한 상태에 있어서 3차원 공간이 입체 화상으로서 표시될 경우, 커서 오브젝트(27)에 설정되는 시차가, 평면 Z0의 z 좌표에 대응한 시차이고, 오브젝트(21a)에 설정되는 시차가, 평면 Z1의 z 좌표에 대응한 시차이다. 따라서, 서로에 대해 중첩하고 있을 2개의 오브젝트에 대하여 모순적인 시차가 설정되기 때문에, 유저가 강한 위화감을 느낄 수 있을 가능성이 높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저에게 위화감을 유발할 수 있을 가능성이 높은, 포인팅 위치의 표시와 오브젝트의 표시 사이의 z축 방향의 차이를 보정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2. 제1 실시예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GUI의 3차원 공간(200)에 있어서, 유저의 포인팅 조작에 기초하여 설정된 가상의 포인팅 위치(220)와, 기준점(230)을 지나는 기준선(240) 상에 포인팅 위치(250)가 설정된다. 그러면, 포인팅 위치를 지나는 포인팅 선(260)이 표시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0)의 기능 및 구성에 관하여 설명하고,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위치(250)의 설정 및 표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0)의 기능과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정보 처리 장치(100)는 조작부(110), CPU(Central Processing Unit)(120), 표시 화면(130), 및 저장부(140)를 포함한다. CPU(120)는 취득부(122), 위치 설정부(124), 및 표시 제어부(126)의 기능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100)에 포함되는 컴포넌트들 중, 조작부(110), 표시 화면(130) 및 저장부(140)는 정보 처리 장치(100)와는 독립해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작부(110)는 USB(Universal Serial Bus) 등을 통해 정보 처리 장치(100)에 접속되는 별도의 조작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표시 화면(130)은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또는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등을 통해 정보 처리 장치(100)에 접속되는 표시 장치로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LAN(Local Area Network) 또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 처리 장치(100)에 접속된 네트워크 상의 저장 장치일 수 있다.
조작부(110)는 3차원 공간(200)에 있어서의 포인팅 조작을 신호로 변환하고, 그 신호를 취득부(122)에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조작부(110)는, 예를 들면, 마우스, 터치 패드, 또는 터치 패널 등과 같은, 2차원 좌표를 지정하는 포인팅 디바이스이다. 그러나, 조작부(110)는, 예를 들면, 3차원 마우스, 또는 적외선을 이용한 리모트 콘트롤러 유닛 등과 같은, 3차원 좌표를 지정하는 포인팅 디바이스일 수 있다. 여기에서, 3차원 공간(200)은, 예를 들면, 음악이나 영화 등의 콘텐츠, 조작 버튼 등의 아이콘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들(210)이 배치된 3차원 공간이다. 조작부(110)는, 예를 들면, 오브젝트들(210) 중에서 원하는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한 유저의 포인팅 조작을 신호로 변환하고, 그 신호를 취득부(122)에 송신한다.
CPU(120)는 정보 처리 장치(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연산 처리 장치이다. CPU(120)는, 예를 들면, 저장부(14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함으로써, 정보 처리 장치(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각종 연산 처리를 실행한다. CPU(120)에 의한 연산 처리를 위해, 예를 들면, 저장부(140)에 포함되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을 이용할 수 있다. CPU(120)를 동작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디스크형 저장 매체 또는 메모리 카드 등과 같은 리무버블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져서 정보 처리 장치(100)에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그램은 LAN 또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 처리 장치(100)에 다운로드될 수 있다. CPU(120)는 취득부(122), 위치 설정부(124), 및 표시 제어부(126)의 각 기능을 실현한다.
취득부(122)는 조작부(11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3차원 공간(200)에 있어서의 포인팅 조작을 취득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조작부(110)는 2차원 좌표를 지정하는 포인팅 디바이스이다. 따라서, 취득부(122)에 의해 취득되는 포인팅 조작은, 예를 들면, x 좌표 및 y 좌표 등의 2차원 좌표를 지정하는 조작이다. 그러나, 조작부(110)가 3차원 좌표를 지정하는 포인팅 디바이스일 경우, 취득부(122)에 의해 취득되는 조작은, 예를 들면, x 좌표, y 좌표 및 z 좌표 등과 같은 3차원 좌표를 지정하는 조작일 수 있다.
위치 설정부(124)는, 취득부(122)에 의해 취득된 포인팅 조작에 기초하여 3차원 공간(200)에 포인팅 위치(250)를 설정하고, 포인팅 위치(250)의 위치 정보를 표시 제어부(126)에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우선, 위치 설정부(124)는, 취득된 포인팅 조작에 기초하여 3차원 공간(200)에 가상의 포인팅 위치(220)를 설정한다. 그 다음에, 위치 설정부(124)는, 가상의 포인팅 위치(220)와 3차원 공간에 설정된 기준점(230)을 통과하는 기준선 상에 포인팅 위치(250)를 설정한다. 위치 설정부(124)에 의한 포인팅 위치(250)의 설정에 관해서 후술한다.
표시 제어부(126)는 표시 화면(130)에 화상 신호를 송신하고, 오브젝트(210)가 배치된 3차원 공간(200)을 표시한다. 표시 제어부(126)는, 위치 설정부(124)에 의해 제공된 포인팅 위치(25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3차원 공간(200)에 포인팅 위치를 표시한다. 이때, 포인팅 위치(250)는, 표시 화면(130)의 깊이 방향에 있어서, 포인팅 위치(250)와 오브젝트(210) 간의 차이가 보정되어 표시된다. 표시 제어부(126)에 의한 포인팅 위치(250)의 표시에 관해서 후술한다.
표시 화면(130)은 표시 제어부(126)로부터 화상 신호를 수신하고, 오브젝트(210)가 배치된 3차원 공간(200)을 표시한다. 표시 화면(130)은, 예를 들면,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또는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패널 등일 수 있다. 표시 화면(130)에 표시되는 3차원 공간(200)에서, 표시 화면(130)의 수평 방향, 수직 방향, 및 깊이 방향으로서 x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이 각각 정의된다. 또한, 3차원 공간(200)의 표시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저장부(140)는 정보 처리 장치(100)의 처리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140)는, 예를 들면, ROM(Read Only Memory) 또는 DRAM 등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 BD(Blu-ray Disc), DVD(Digital Versatile Disc), 또는 CD(Compact Disc) 등과 같은 광 디스크, 또는 하드 디스크(hard disk) 등일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정보 처리 장치(100)에 내장되는 저장 장치일 수 있거나, 정보 처리 장치(100)에 착탈가능한 메모리 카드 등과 같은 리무버블 매체일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복수의 종류의 저장 장치 또는 리무버블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0)에는, 예를 들면, GUI의 3차원 공간의 표시에 이용되는 화상 데이터가 저장되고, 또한, CPU(120)을 동작시키기 위한 프로그램도 저장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포인팅 위치(250)의 설정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3차원 공간(200)에는 오브젝트들(210a, 210b)이 표시된다. 포인팅 위치(250)는, 가상의 포인팅 위치(220)와 기준점(230)을 지나는 기준선(240) 상에 설정된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 포인팅 위치(250)는 기준선(240)과 오브젝트(210a)의 표면에 설정된다.
3차원 공간(200)은 표시 화면(130)에 GUI로서 표시되는 3차원 공간이다. 3차원 공간(200)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x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이 정의된다. 이들 중, x축 방향은 표시 화면(130)의 수평 방향이고, y축 방향은 표시 화면(130)의 수직 방향이며, z축 방향은 표시 화면(130)의 깊이 방향이다. 여기에서는, z축 방향의 좌표가 동일한 영역을 나타내는 평면으로서, 평면 Z0과 평면 Z1이 각각 도시된다. 평면 Z0과 평면 Z1은 z축 방향의 좌표가 다르다.
오브젝트(210)는 3차원 공간(200)에 배치되어, 예를 들면, GUI에 있어서 음악이나 영화 등의 콘텐츠, 조작 버튼 등의 아이콘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들이다. 복수의 오브젝트(210)는 x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에 대해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오브젝트(210a)는 평면 Z1 상에 위치하고, 오브젝트(210b)는 평면 Z0 상에 위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평면 Z0과 평면 Z1은 z축 방향의 좌표가 다르기 때문에, 오브젝트(210a)의 z 좌표와 오브젝트(210b)의 z 좌표도 역시 다르다.
가상의 포인팅 위치(220)는 취득부(122)에 의해 취득되는 포인팅 조작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취득부(122)에 의해 취득되는 포인팅 조작은 2차원 좌표를 지정하는 조작이다. 따라서, 가상의 포인팅 위치(220)의 z 좌표는 평면 Z0의 z 좌표로 고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포인팅 조작에 의해 지정되는 2차원 좌표는 x 좌표 및 y 좌표라는 것을 유의한다. 위치 설정부(124)는 평면 Z0 상의 포인팅 조작에 의해 지정된 x 좌표 및 y 좌표를 갖는 점에 가상의 포인팅 위치(220)를 설정한다.
기준점(230)은 포인팅 위치(250)를 설정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3차원 공간(200)에 설정되는 점이다. 기준점(230)은, 예를 들면, 3차원 공간(200)에 있어서, 유저가 그의/그녀의 손의 위치로서 인식하는 위치, 즉, 3차원 공간(200)에 있어서 유저의 시점이 설정되는 위치부터 y축을 따라 음의 방향으로 이동된 위치에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기준점(230)은, 위치 설정부(124)에 의해 미리 설정된 점이다. 기준점(230)은, 반드시 표시 화면(130)에 기준점(230)이 표시되는 범위에 설정될 필요는 없고, 표시 화면(130)에 기준점(230)이 표시되는 범위 밖에 설정될 수도 있다는 것을 유의한다.
기준선(240)은 가상의 포인팅 위치(220)와 기준점(230)을 지나는 선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기준선(240)은 직선으로서 설정된다. 위치 설정부(124)는 기준선(240) 상에 포인팅 위치(250)를 설정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 설정부(124)는 오브젝트(210)와 기준선(240) 간의 교점에 포인팅 위치(250)를 설정한다. 예를 들면, 위치 설정부(124)는 기준선(240)의 방향 벡터 및 오브젝트(210)의 각 정점(vertex)의 좌표로부터, Tomas Moller의 교차 판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오브젝트(210)가 존재하는 평면 Z와 기준선(240) 간의 교점을 산출하고, 그 교점이, 오브젝트(210)의 x 좌표 및 y 좌표의 범위 내에 있을 경우, 위치 설정부(124)는 그 교점을 포인팅 위치(250)로서 설정한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오브젝트(210)가 이동했을 경우, 위치 설정부(124)는, 이동된 오브젝트(210)의 위치에 기초하여 포인팅 위치(250)를 재설정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오브젝트(210)의 이동에 따라 포인팅 위치(250)가 동적으로 변화된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는, 오브젝트(210a)가 위치하는 평면 Z1과 기준선(240) 간의 교점이, 오브젝트(210a)의 x 좌표 및 y 좌표의 범위 내에 있다. 따라서, 포인팅 위치(250)는, 평면 Z1과 기준선(240) 간의 교점, 즉, 오브젝트(210a)와 기준선(240) 간의 교점에 설정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오브젝트(210)와 기준선(240) 간의 교점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위치 설정부(124)는 가상의 포인팅 위치(220)를 포인팅 위치(250)로서 설정한다.
위치 설정부(124)의 전술한 처리에 이용된 Tomas Moller의 교차 판정 알고리즘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Tomas Moller, 'Practical Analysis of Optimized Ray-Triangle Intersection', [online], [2010년 8월 31일 검색], 인터넷 (URL: http://www.cs.lth.se/home/Tomas_Akenine_Moller/raytri/)" 등에 설명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포인팅 위치(250)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3차원 공간(200)에 있어서 포인팅 위치(250)를 지나는 포인팅 선(260)이 표시된다.
포인팅 선(260)은 포인팅 위치(250)를 지나는 선이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포인팅 선(260)은, 표시 제어부(126)에 의해, 기준점(230)에서 시작해서 포인팅 위치(250)에서 끝나는 선분으로서 표시된다. 그러한 경우, 유저는, 포인팅 선(260)으로서 표시되는 선분의 끝점으로서, 포인팅 위치(250)를 인식할 수 있다. 포인팅 선(260)은, 반드시 그 전체가 표시 화면(130)에 표시될 필요는 없다는 것을 유의한다. 예를 들면, 기준점(230)이, 표시 화면(130)에 기준점(230)이 표시되는 범위 밖에 설정되어 있을 경우, 포인팅 선(260)도 그 일부가, 표시 화면(130)에 포인팅 선(260)이 표시되는 범위 밖에 위치한다. 따라서, 포인팅 선(260)은 표시 화면(130)의 끝에서 끊어져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에서, 3차원 공간(200)이 표시 화면(130)에 입체 화상으로서 표시될 경우, 오브젝트(210) 상에 뿐만 아니라 포인팅 선(260) 상에도 시차가 설정된다. 포인팅 선(260)에 설정되는 시차의 값은, 예를 들면, 기준점(230)의 z 좌표에 대응하는 시차의 값으로부터, 포인팅 위치(250)의 z 좌표에 대응하는 시차의 값까지 선형적으로 변화되는 값일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포인팅 위치(250)는 평면 Z1 상의 오브젝트(210a)와 기준선(240) 간의 교점에 설정된다. 포인팅 위치(250)와 포인팅되는 오브젝트(210a)는 둘 다 평면 Z1 상에 위치한다. 따라서, 포인팅 위치(250)에 있어서 포인팅 선(260)에 설정되는 시차와, 오브젝트(210a)에 설정되는 시차는 각각 평면 Z1의 z 좌표에 대응하는 시차가 된다. 따라서, 오브젝트(210a)의 시차와 포인팅 선(260)의 시차 간에 모순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유저가 느끼는 위화감이 저감된다.
한편, 오브젝트(210)와 기준선(240) 간의 교점이 존재하지 않고, 포인팅 위치(250)로서 가상의 포인팅 위치(220)가 설정되는 경우, 포인팅 선(260)은, 전술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기준점(230)에서 시작하여 포인팅 위치(250)에서 끝나는 선분으로서 표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 경우, 포인팅 선(260)은 기준점(230)으로부터, 가상의 포인팅 위치(220)에 설정된 포인팅 위치(250)를 통해 무한한 거리까지 연장되는 반직선으로서 표시될 수 있다.
3. 제2 실시예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포인팅 위치(250)에 커서 오브젝트(270)가 표시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위치(250)의 표시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포인팅 선(260) 대신에 또는 그와 함께 커서 오브젝트(270)가 표시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는 것을 유의한다. 그러나, 그 외의 기능과 구성은 제1 실시예의 것과 대략 동일하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포인팅 위치(250)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3차원 공간(200)에 있어서 포인팅 위치(250)에 커서 오브젝트(270)가 표시된다.
커서 오브젝트(270)는, 표시 제어부(126)에 의해, 예를 들면,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화살 형상의 오브젝트로서 표시된다. 커서 오브젝트(270)는 반드시 화살 형상의 오브젝트일 필요는 없고, 원형, 삼각형, 또는 다각형 등과 같은 여러 가지 형상의 오브젝트일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한다. 또한, 커서 오브젝트(270)의 형상은 반드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평면적인 형상일 필요는 없고, 입체적인 형상일 수 있다. 커서 오브젝트(270)의 표시에 의해, 유저는, 포인팅 위치(250)를 커서 오브젝트(270)가 표시되는 위치로서 인식할 수 있다. 포인팅 위치(250)를 나타내기 위해, 커서 오브젝트(270)에 더해서,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설명된 포인팅 선(260)도 표시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포인팅 위치(250)의 깊이 표시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커서 오브젝트(270)는, x축 방향의 위치가 오브젝트(210)와 중첩되는 경우, z축 방향에 대해서 오브젝트(210)와 같은 위치에 표시된다. 도면에서는 편의상 x축 방향과 z축 방향이 도시되지만, y축 방향이 포함될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포인팅 위치(250)가 설정되고, 포인팅 위치(250)에 커서 오브젝트(270)가 표시됨으로써, 커서 오브젝트(270)는 z축 방향, 즉, 표시 화면(130)의 깊이 방향에 있어서, 오브젝트(210)에 대응한 위치에 표시된다. 따라서, 오브젝트(210)에 커서 오브젝트(270)가 중첩하도록 오브젝트(210)와 커서 오브젝트(270)가 표시되는 경우, 커서 오브젝트(270)는 오브젝트(210)의 표면에 위치되도록 표시된다. 따라서, 3차원 공간(200)이, 표시 화면(130)에 입체 화상으로서 표시될 경우에, 커서 오브젝트(270)에 설정되는 시차는 오브젝트(210)에 설정되는 시차와 비슷한 값을 갖는다. 따라서, 입체 화상에 있어서 오브젝트(210)의 시차와 커서 오브젝트(270)의 시차 간에 모순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유저가 느끼는 위화감이 저감된다.
한편, 오브젝트(210)와 기준선(240) 간의 교점이 존재하지 않고, 가상의 포인팅 위치(220)가 포인팅 위치(250)로서 설정되는 경우, 커서 오브젝트(270)는, 가상의 포인팅 위치(220)가 설정되는 평면 Z0 상에 표시된다. 그러한 표시에 있어서, 평면 Z0의 z 좌표와 오브젝트(210)의 z 좌표 간의 차이에 따라서는, 커서 오브젝트(270)의 z 좌표, 즉 깊이가 갑자기 변화될 수 있고, 이것이 유저에게 위화감을 유발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유의한다. 그러한 경우, 후술하는 제3 실시예를 이용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4. 제3 실시예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오브젝트(210)와 기준선(240) 간의 교점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기준선(240)의 근방에 위치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오브젝트(210)의 위치(들)에 기초하여 포인팅 위치(250)가 설정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도 11 및 도 12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위치(250)의 표시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오브젝트(210)와 기준선(240) 간의 교점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의 포인팅 위치(250)의 설정에 있어서 제2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그러나, 그 외의 기능 및 구성은 제2 실시예와 대략 동일하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포인팅 위치(250)의 설정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오브젝트(210)와 기준선(240) 간의 교점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포인팅 위치(250)는 기준선(240) 근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210a) 및 오브젝트(210b)의 위치들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가상의 포인팅 위치(220)와 기준점(230)을 지나는 직선으로서 설정된 기준선(240)은, 3차원 공간(200)에 표시되는 오브젝트(210a) 또는 오브젝트(210b)와 교점을 갖지 않는다. 따라서, 위치 설정부(124)는, 기준선(240)의 근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210a) 및 오브젝트(210b)의 위치들에 기초하여 포인팅 위치(250)를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위치 설정부(124)는, 오브젝트(210a)가 위치하는 평면 Z1과 오브젝트(210b)가 위치하는 평면 Z0 사이의 위치의 기준선(240) 상에 포인팅 위치(250)를 설정한다. 표시 제어부(126)는 그렇게 설정된 포인팅 위치(250)에 커서 오브젝트(270)를 표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포인팅 위치(250)가 설정되고 포인팅 위치(250)에 커서 오브젝트(270)가 표시됨으로써, 포인팅 위치(250)가, 도면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포인팅 위치(250)가 오브젝트들(210) 중의 임의의 것과 중첩하는 상태로 천이할 경우에, 커서 오브젝트(270)의 표시의 변화에 대하여 유저가 느끼는 위화감을 저감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면에 표시된 상태로부터, 유저의 포인팅 조작에 의해 가상의 포인팅 위치(220)가 이동하고, 기준선(240)이 오브젝트(210a)와 교점을 갖는 상태로 바뀌는 경우, 포인팅 위치(250)는 기준선(240)과 오브젝트(210a) 간의 교점에 설정된다. 그러한 경우, 본 실시예와 같이, 포인팅 위치(250)에 표시되는 커서 오브젝트(270)가 평면 Z0과 평면 Z1 사이의 중점으로부터 평면 Z1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커서 오브젝트(270)가 평면 Z0로부터 평면 Z1으로 이동하는 경우보다, 커서 오브젝트(270)의 z 좌표, 즉 깊이의 변화가 보다 완만해서, 표시에 대하여 유저가 느끼는 위화감이 저감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포인팅 위치의 깊이의 표시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커서 오브젝트(270)의 z 좌표는, 서로 z 좌표가 다른 오브젝트(210a)와 오브젝트(210b)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변화된다. 도면에서는 편의상 x축 방향과 z축 방향이 도시되지만, y축 방향이 포함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포인팅 위치(250)의 x 좌표가 음의 방향으로 변화함에 따라, 포인팅 위치(250)는 오브젝트(210a)로부터 오브젝트(210b)로 이동한다. 오브젝트(210a)의 위치와 오브젝트(210b)의 위치와는, x축 방향에 대해서 연속적이지 않다. 따라서, 위치 설정부(124)는, 오브젝트(210a)와 오브젝트(210b) 사이의 부분에 있어서, 오브젝트(210a) 및 오브젝트(210b)의 z 좌표에 기초하여, 포인팅 위치(250)를 그의 z 좌표가 연속적으로 변화되도록 설정한다. 그 결과, 포인팅 위치(250)에 표시되는 커서 오브젝트(270)의 z 좌표는, 오브젝트(210a)와 오브젝트(210b)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변화된다. 이렇게 커서 오브젝트(270)가 표시되는 경우, 오브젝트(210a)와 오브젝트(210b) 사이의 간격에서, 커서 오브젝트(270)가 평면 Z0까지 이동한 결과, 커서 오브젝트(270)가, 그의 깊이가 급격하게 변화하도록 표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에 대하여 유저가 느끼는 위화감이 저감될 수 있다.
그러한 표시를 실현하기 위해서, 위치 설정부(124)는, 예를 들면, 포인팅 위치(250)의 이동 목적지를 예측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위치 설정부(124)는, 이동 전의 포인팅 위치(250)가 중첩하고 있는 오브젝트(210a)의 z 좌표와, 이동 후에 포인팅 위치(250)가 중첩한다고 예측되는 오브젝트(210b)의 z 좌표 사이에서 포인팅 위치(250)의 z 좌표가 연속적으로 변화되도록, 오브젝트(210a)와 오브젝트(210b) 사이의 간격에서 이동하고 있을 때의 포인팅 위치(250)의 z 좌표를 설정한다.
대안적으로, 위치 설정부(124)는 3차원 공간(200)에 있어서의 오브젝트들(210)의 배치에 따라 미리 준비된 깊이 맵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들(210) 사이의 간격에서 이동하고 있을 때의 포인팅 위치(250)의 z 좌표를 설정할 수 있다. 깊이 맵(map)은, 3차원 공간(200)의 x 좌표 및 y 좌표에 대하여 z 좌표가 연관지어진 맵이다. 깊이 맵은, 오브젝트들(210) 사이의 간격에 있어서, 오브젝트들(210)의 z 좌표들을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곡면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도 12는 포인팅 위치(250)의 z 좌표의 연속적인 변화로서, 정현파에 가까운 궤적을 도시하지만, 포인팅 위치(250)의 z 좌표의 변화의 방법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포인팅 위치(250)의 z 좌표는 직선형으로 변화될 수 있거나, 또는 Bezier 곡선과 같은 임의인 곡선으로 변화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실시예에 기초하여, 포인팅 위치(250)에 커서 오브젝트(270)가 표시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제1 실시예와 같이, 포인팅 위치(250)를 지나는 포인팅 선(260)이 표시될 수도 있다.
5. 제4 실시예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100)의 취득부(122)는 기준점(230)의 이동 조작을 취득하고, 위치 설정부(124)는 이동 조작에 기초하여 기준점(230)을 이동시킨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포인팅 위치(250)의 설정에 관하여 설명하고, 도 15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준점(230)의 이동 조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기준점(230)이 이동된다는 점에서 제1 내지 제3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는 것을 유의한다. 그러나, 그 외의 기능과 구성은 제1 내지 제3 실시예와 대략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있어서의 포인팅 위치(250)의 설정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13은 오브젝트들(210a 내지 210d)의 표시를 표시 화면(130)의 앞 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다. 오브젝트들(210a 내지 210d)은 서로 중첩해서 표시되어, 오브젝트(210d)는 오브젝트(210c)의 뒤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오브젝트들(210)이 표시되는 경우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구성이 유용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있어서의 포인팅 위치(250)의 설정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오브젝트(210c)는 평면 Z0 상에 배치되고, 오브젝트들(210a, 210b)은 평면 Z0의 앞 측에 있는 평면 Z1 상에 배치된다. 또한, 오브젝트(210d)는, 평면 Z0의 뒤 측에 있는 평면 Z2 상에 배치된다. 도면에서는, 이동 전후의 기준점(230)으로서 기준점(230a)과 기준점(230b)이 도시되어 있다.
이동 전의 상태에서는, 기준점(230a)이 설정되고, 기준점(230a)과 가상의 포인팅 위치(220a)를 지나는 직선으로서 기준선(240a)이 설정된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포인팅 위치(250a)는, 기준선(240a)과 오브젝트(210c) 간의 교점이다. 오브젝트(210c)는 평면 Z0 상에 있기 때문에, 포인팅 위치(250)는, 가상의 포인팅 위치(220)와 같은 위치에 있다는 것을 유의한다.
그러한 상태에서, 정보 처리 장치(100)의 취득부(122)는 포인팅 조작을 취득하고, 위치 설정부(124)는 취득된 포인팅 조작에 따라 평면 Z0 상에 가상의 포인팅 위치(220a)를 설정한다. 이렇게, 가상의 포인팅 위치(220a)를 이동시킴으로써, 이에 의해 가상의 포인팅 위치(220a)를 지나는 기준선(240a)을 이동시켜, 유저는 포인팅 위치(250)를 원하는 오브젝트(210)까지 이동시킨다. 그러나, 기준점(230a)은 오브젝트들(210a 내지 210d)에 대하여 z축의 음의 방향 측, 즉 표시 화면의 앞 측에 설정된다. 그러므로, 오브젝트(210c)의 뒤에 배치된 오브젝트(210d)를 포인팅하기 위해서, 가상의 포인팅 위치(220a)를 평면 Z0 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기준선(240a)은 오브젝트(210d)의 앞 측에 있는 오브젝트(210c)와 교차하고, 따라서 오브젝트(210c)와 기준선(240a) 간의 교점에 포인팅 위치(250)가 설정된다.
한편, 이동 후의 상태에서, 기준점(230b)이 설정되고, 기준점(230b)과 가상의 포인팅 위치(220b)를 지나는 직선으로서 기준선(240b)이 설정된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 포인팅 위치(250b)는 기준선(240b)과 오브젝트(210d) 간의 교점이다.
이동 후의 기준점(230b)은, 이동전의 기준점(230a)을 x축 및 y축의 음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얻은 점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준점(230b)을 이동시키고, 또한 가상의 포인팅 위치(220)를 평면 Z0 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오브젝트(210c)와의 교점을 갖지 않고 오브젝트(210d)와 교점을 갖는 기준선(240b)이 설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준점(230)을 이동시키는 경우, 다른 오브젝트(210)의 뒤에 위치하여 단일 기준점을 이용해서 포인팅하는 것이 어려운 오브젝트(210)를 용이하게 포인팅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준점(230)을 이동시키기 위해서 정보 처리 장치(100)의 취득부(122)가 조작부(110)를 통해 취득하는 이동 조작은, 조작부(110)의 종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작부(110)가 자이로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 등과 같은 센서를 이용하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포함할 경우, 포인팅 디바이스의 이동은 기준점(230)을 이동시키는 조작일 수 있다. 그러한 경우, 기준점(230)이 3차원 공간(200)에 있어서의 가상적인 유저의 손의 위치로서 설정되면, 유저는 그가/그녀가 포인팅 디바이스를 쥔 채 손을 이동시키고 있는 것을 느끼며 기준점(230)을 이동시킬 수 있다. 도면에 있어서 기준점(230)에 도시된 포인팅 디바이스와 손은, 전술한 방식으로 기준점(230)의 이동 조작을 행할 경우에 유저가 느끼는 감각의 일 예를 도시한다. 한편, 조작부(110)가 키보드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기준점(230)의 이동 조작을 행하기 위해 소정의 키가 할당될 수 있다. 또한, 조작부(110)가 마우스를 포함할 경우의 기준점(230)의 이동 조작은, 하기에서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준점(230)의 이동 조작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정보 처리 장치(100)의 조작부(110)가 마우스를 포함하는 경우의 기준점(230)의 이동 조작의 예를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가상의 포인팅 위치(220)를 이동시킬 경우, 유저는, (a)로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 버튼을 누르지 않고 마우스를 움직인다. 한편, 기준점(230)을 이동시킬 경우, 유저는, (b)로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 버튼을 누르면서 마우스를 움직인다.
6. 제5 실시예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00)의 취득부(122)가 오브젝트(210)의 선택 전환 조작을 취득하고, 위치 설정부(124)가 선택 전환 조작에 기초하여 포인팅 위치(250)의 설정을 전환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도 1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위치(250)의 설정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포인팅 위치(250)를 전환한다는 점에서 제1 내지 제4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는 것을 유의한다. 그러나, 그 외의 기능과 구성은 제1 내지 제4 실시예와 대략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있어서의 포인팅 위치(250)의 설정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기준선(240)은 오브젝트(210a), 오브젝트(210c),및 오브젝트(210d)와 교점들을 갖고, 포인팅 위치(250)는, 오브젝트들 중에서 선택된 1개의 오브젝트와 기준선(240) 간의 교점에 설정된다. 도면에서는 편의상 가상의 포인팅 위치(220)가 도시되지 않았지만, 기준선(240)은, 다른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기준점(230)과 가상의 포인팅 위치(220)를 지나는 직선으로서 설정될 수 있다.
오브젝트들(210a 내지 210d)은 제4 실시예에 있어서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된 오브젝트들(210a 내지 210d)과 마찬가지로 배치된 복수의 오브젝트이다. 기준점(230)을 지나는 기준선(240)은 오브젝트들 중에서 오브젝트(210a), 오브젝트(210c), 및 오브젝트(210d)와의 교점들을 갖는다. 정보 처리 장치(100)의 위치 설정부(124)는 오브젝트(210a), 오브젝트(210c), 및 오브젝트(210d) 중에서 1개의 오브젝트를 선택하고, 선택된 오브젝트와 기준선(240) 간의 교점에 포인팅 위치(250)를 설정한다.
도면에 도시된 예의 (a)에 있어서, 오브젝트(210a)가 선택되고, 오브젝트(210a)와 기준선(240) 간의 교점에 포인팅 위치(250a)가 설정된다. 한편, (b)에 있어서, 오브젝트(210c)가 선택되고, 오브젝트(210c)와 기준선(240) 간의 교점에 포인팅 위치(250c)가 설정된다. (c)에 있어서, 오브젝트(210d)가 선택되고, 오브젝트(210d)와 기준선(240) 간의 교점에 포인팅 위치(250d)가 설정된다. 여기에서, 표시 화면(130)의 앞 측에서 보아 더 뒤 측의 오브젝트(210)가 선택되는 경우, 앞 측에 있는 오브젝트(210)는 투과해서 표시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는, (b)에서 오브젝트(210a)가 투과해서 표시되고, (c)에서 오브젝트(210a) 및 오브젝트(210c)가 투과해서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100)의 취득부(122)는 오브젝트(210)의 선택 전환 조작을 취득하고, 위치 설정부(124)는 선택 전환 조작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오브젝트(210)를 전환한다. 취득부(122)가, 조작부(110)를 통해 취득하는 선택 전환 조작은, 조작부(110)의 종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작부(110)가 키보드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포인팅 위치(250)가 설정되어 있는 오브젝트(210)를 더 뒤에 있는 오브젝트(210)로 변경하기 위한 키와, 더 앞에 있는 오브젝트(210)로 변경하기 위한 키를 할당할 수 있다. 한편, 조작부(110)에 휠이 첨부된 마우스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마우스 휠을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포인팅 위치(250)가 설정되어 있는 오브젝트(210)를 더 뒤의 오브젝트(210)나 또는 더 앞의 오브젝트(210)로 변경하기 위한 조작이 취득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조작부(110)가 자이로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 등의 센서를 이용하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소정의 방향으로 기울임으로써, 포인팅 위치(250)가 설정되어 있는 오브젝트(210)를 더 뒤의 오브젝트(210) 또는 더 앞의 오브젝트(210)로 변경하기 위한 조작이 취득될 수 있다. 전술한 조작에 의해, 유저는 도 16에 도시된 (a), (b), 및 (c) 중에서 선택 상태를 바꾼다.
7. 제6 실시예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윤곽이 흐려진 커서 오브젝트(370)가 표시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포인팅 위치의 표시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가상의 포인팅 위치(220), 기준점(230), 및 기준선(240)이 설정되지 않고, 포인팅 조작에 기초하여 그대로 포인팅 위치가 설정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그러나, 그 외의 기능과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대략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있어서의 포인팅 위치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3차원 공간(200)에는, 오브젝트(210a)가 평면 Z1 상에 배치되고, 오브젝트(210b)가 평면 Z0 상에 배치된다. 또한, 3차원 공간(200)에 있어서, 포인팅 위치는 평면 Z0 상에 설정되어, 커서 오브젝트(370)가 표시된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커서 오브젝트(370)와 오브젝트(210a)는 x 좌표 및 y 좌표에 대해서 서로 중첩한 상태, 즉, 커서 오브젝트(370)에 의해 오브젝트(210a)가 선택될 수 있는 상태이다. 그러나, 평면 Z0 상에 있는 커서 오브젝트(370)는, 평면 Z1 상에 있는 오브젝트(210a)와는 z 좌표가 다르다. 따라서, 오브젝트(210a)에 커서 오브젝트(370)를 중첩시켜서 표시시키면, 커서 오브젝트(370)는 오브젝트(210a)의 표면으로부터 뒤 측으로 깊이 박힌 것으로 표시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되는 커서 오브젝트(370)는 윤곽이 흐려진 커서 오브젝트이다. 커서 오브젝트(370)와 오브젝트(210a) 간의 경계는, 유저에 분명히는 인식되지 않는다. 따라서, 커서 오브젝트(370)가 오브젝트(210a)의 표면으로부터 뒤 측으로 깊이 박힌 것으로 표시되는 경우에도, 유저는, 커서 오브젝트(370)와 오브젝트(210a) 간의 깊이 방향의 차이를 그다지 느끼지 않는다. 3차원 공간(200)이 표시 화면(130)에 입체 화상으로서 표시될 경우에도, 커서 오브젝트(370)의 윤곽이 흐려져 있기 때문에, 유저는, 커서 오브젝트(370)에 설정된 시차와 오브젝트(210a)에 설정된 시차 간에 모순이 있는 것을 그다지 느끼지 않는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커서 오브젝트(370)와 오브젝트(210a) 간의 깊이 방향의 차이가, 유저의 시각을 이용해서 시각적으로 보정된다.
8. 정리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오브젝트(210)가 배치된 3차원 공간(200)을 표시 화면(130)에 표시시키도록 구성된 표시 제어부(126)와, 3차원 공간(200)에 있어서의 포인팅 조작을 취득하도록 구성된 취득부(122)와, 3차원 공간(200)에 포인팅 위치(250)를 설정하도록 구성된 위치 설정부(124)를 포함한다. 표시 제어부(126)는, 포인팅 위치(250)와 오브젝트(210) 간의 표시 화면(130)의 깊이 방향의 차이를 보정하여, 포인팅 위치(250)를 3차원 공간(200)에 표시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3차원 공간의 GUI에 있어서, 오브젝트의 표시와 포인팅 표시 간의 깊이 방향의 차이에 기인하여 유저가 느끼는 위화감을 저감시킨 표시를 행할 수 있다.
위치 설정부(124)는, 포인팅 조작에 기초하여 3차원 공간(200)에 가상의 포인팅 위치(220)를 설정할 수 있고, 가상의 포인팅 위치(220)와, 3차원 공간(200)에 설정된 기준점(230)을 지나는 기준선(240) 상에 포인팅 위치(250)를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포인팅 조작이 2차원 좌표를 지정하는 경우에도, 포인팅 위치의 깊이 방향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고, 오브젝트와 포인팅 위치 간의 깊이 방향의 차이에 기인하여 유저가 느끼는 위화감을 저감시킬 수 있다.
표시 제어부(126)는 기준선(240) 상에, 포인팅 위치(250)를 지나는 포인팅 선(260)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3차원 공간에 있어서, 포인팅 위치를 포함하는 기준선의 일부 또는 전부가 표시되고, 따라서, 유저는 포인팅 위치의 깊이 방향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표시 제어부(126)는, 포인팅 선(260)을, 기준점(230)에서 시작하여 포인팅 위치(250)에서 끝나는 선분으로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유저는, 포인팅 위치를 그 선분의 끝점으로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표시 제어부(126)는 포인팅 위치(250)에 커서 오브젝트(27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유저는 포인팅 위치를 커서 오브젝트의 표시 위치로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위치 설정부(124)는, 오브젝트(210)와 기준선(240) 간의 교점에 포인팅 위치(250)를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포인팅 위치는 포인팅되어 있는 오브젝트와 깊이 방향의 위치가 일치하고, 따라서 오브젝트의 깊이와 포인팅 위치의 깊이가 대략 동일해진다. 따라서, 3차원 공간의 GUI의 표시에 대하여 유저가 느끼는 위화감을 크게 저감시킬 수 있다.
위치 설정부(124)는 기준선(240)과의 교점을 각각 갖는 복수의 오브젝트(210) 중에서 1개의 오브젝트(210)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오브젝트(210)와 기준선(240) 간의 교점에 포인팅 위치(250)를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기준선 상에 복수의 오브젝트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적절한 오브젝트를 선택해서 포인팅할 수 있다.
취득부(122)는 오브젝트(210)의 선택 전환 조작을 취득할 수 있고, 위치 설정부(124)는 선택 전환 조작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오브젝트(210)를 전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복수의 오브젝트 중에서 포인팅할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경우에, 유저는 소망하는 오브젝트를 선택할 수 있다.
위치 설정부(124)는, 오브젝트(210)와 기준선(240) 간의 교점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기준선(240)의 근방에 존재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오브젝트(210)의 위치(들)에 기초하여 포인팅 위치(250)를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기준선이 오브젝트와 교점을 갖는지의 여부에 따라, 포인팅 위치의 깊이 방향의 위치가 크게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3차원 공간의 GUI의 표시에 대하여 유저가 느끼는 위화감을 저감시킬 수 있다.
취득부(122)는 기준점(230)의 이동 조작을 취득할 수 있고, 위치 설정부(124)는 이동 조작에 기초하여 기준점(23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기준점이 고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포인팅하는 것이 어려운 오브젝트를, 기준점을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용이하게 포인팅할 수 있다.
표시 제어부(126)는 포인팅 위치(250)에 윤곽이 흐려져서 깊이 방향의 차이를 시각적으로 보정하는 커서 오브젝트(37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포인팅되는 오브젝트와 커서 오브젝트 간의 경계가 분명히는 인식되지 않게 되고, 이에 의해 오브젝트와 커서 오브젝트 간의 깊이 방향의 차이에 의해 유발되는 위화감을 저감시킬 수 있다.
표시 제어부(126)는 3차원 공간(200)을 입체 화상으로서 표시 화면(130)에 표시할 수 있다. 3차원 공간의 GUI가 입체 화상으로서 표시될 경우에, 오브젝트와 포인팅 위치 간의 깊이 방향의 차이에 기인하여 유저가 느끼는 위화감이 특히 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구성을 이용하여, 유저가 느끼는 위화감을 특히 크게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항들 또는 그 등가물들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확히 알 것이다. 그러한 변형 또는 수정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포함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예들은 취득부, 위치 설정부, 및 표시 제어부의 기능들이 CPU에 의해 제공되는 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CPU 대신에 또는 그와 함께 DSP(Digital Signal Processor)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표시 제어부의 기능이 CPU와는 다른 GPU(Graphics Processing Unit)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은 취득부가 2차원 좌표를 지정하는 포인팅 조작을 취득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취득부는 3차원 좌표를 지정하는 포인팅 조작을 취득할 수 있다. 3차원 좌표를 이용하여 3차원 공간 내의 소정의 위치를 지정하는 포인팅 조작이 행해질 수 있는 경우에도, 특히 깊이 방향에 대해서, 정확한 위치를 포인팅하는 조작을 행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가 자주 있다. 그 때문에, 취득부가 3차원 좌표를 지정하는 포인팅 조작을 취득할 경우에도, 포인팅 위치와 오브젝트 간의 깊이 방향의 차이가 생길 수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경우에 있어서도, 전술한 실시예들의 구성이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2010년 9월 7일자로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우선권 특허 출원 제2010-199743호에 개시된 내용에 관련된 요지를 포함하고,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되어 포괄된다.
100: 정보 처리 장치
122: 취득부
124: 위치 설정부
126: 표시 제어부
200: 3차원 공간
210: 오브젝트
220: 가상의 포인팅 위치
230: 기준점
240: 기준선
250: 포인팅 위치
260: 포인팅 선
270, 370: 커서 오브젝트

Claims (14)

  1. 정보 처리 장치로서,
    오브젝트가 배치된 3차원 공간을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
    상기 3차원 공간에 있어서의 포인팅 조작을 취득하는 취득부, 및
    상기 포인팅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3차원 공간에 포인팅 위치를 설정하는 위치 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포인팅 위치와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 간의 상기 표시 화면의 깊이 방향의 차이가 보정된, 상기 포인팅 위치를 상기 3차원 공간에 표시시키는, 정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설정부는 상기 포인팅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3차원 공간에 가상의 포인팅 위치를 설정하고, 상기 가상의 포인팅 위치와, 상기 3차원 공간에 설정된 기준점을 지나는 기준선 상에 상기 포인팅 위치를 설정하는, 정보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포인팅 위치를 지나는 포인팅 선을 상기 기준선 상에 표시시키는, 정보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포인팅 선을, 상기 기준점에서 시작하여 상기 포인팅 위치에서 끝나는 선분으로서 표시시키는, 정보 처리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포인팅 위치에 커서 오브젝트를 표시시키는, 정보 처리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설정부는 상기 오브젝트와 상기 기준선 간의 교점에 상기 포인팅 위치를 설정하는, 정보 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설정부는, 상기 기준선과의 교점을 각각 갖는 복수의 오브젝트 중에서 상기 오브젝트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오브젝트와 상기 기준선 간의 교점에 상기 포인팅 위치를 설정하는, 정보 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부는 상기 오브젝트의 선택 전환 조작을 취득하고,
    상기 위치 설정부는 상기 오브젝트의 상기 선택 전환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를 전환하는, 정보 처리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설정부는, 상기 오브젝트와 상기 기준선 간의 교점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기준선의 근방에 위치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오브젝트의 위치(들)에 기초하여 상기 포인팅 위치를 설정하는, 정보 처리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부는 상기 기준점의 이동 조작을 취득하고,
    상기 위치 설정부는 상기 기준점의 상기 이동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점을 이동시키는, 정보 처리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포인팅 위치에, 윤곽이 흐려져서 상기 깊이 방향의 차이를 시각적으로 보정하는 커서 오브젝트를 표시시키는, 정보 처리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3차원 공간을 입체 화상으로서 상기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는, 정보 처리 장치.
  13. 프로그램으로서,
    오브젝트가 배치된 3차원 공간을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는 처리,
    상기 3차원 공간에 있어서의 포인팅 조작을 취득하는 처리,
    상기 포인팅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3차원 공간에 포인팅 위치를 설정하는 처리, 및
    상기 포인팅 위치와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 간의 상기 표시 화면의 깊이 방향의 차이가 보정된, 상기 포인팅 위치를 상기 3차원 공간에 표시시키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14.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오브젝트가 배치된 3차원 공간을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는 단계,
    상기 3차원 공간에 있어서의 포인팅 조작을 취득하는 단계,
    상기 포인팅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3차원 공간에 포인팅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포인팅 위치와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 간의 상기 표시 화면의 깊이 방향의 차이가 보정된, 상기 포인팅 위치를 상기 3차원 공간에 표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KR1020110086991A 2010-09-07 2011-08-30 정보 처리 장치, 프로그램, 및 정보 처리 방법 KR201200254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99743 2010-09-07
JP2010199743A JP2012058896A (ja) 2010-09-07 2010-09-07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5411A true KR20120025411A (ko) 2012-03-15

Family

ID=44582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6991A KR20120025411A (ko) 2010-09-07 2011-08-30 정보 처리 장치, 프로그램, 및 정보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836642B2 (ko)
EP (1) EP2426586A1 (ko)
JP (1) JP2012058896A (ko)
KR (1) KR20120025411A (ko)
CN (2) CN102402281A (ko)
BR (1) BRPI1103804A2 (ko)
RU (1) RU201113632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5376A (ko) * 2014-08-27 2016-03-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터치 보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13746B (zh) * 2013-12-18 2017-01-04 深圳市宇恒互动科技开发有限公司 三维惯性遥控装置的输入方法及三维惯性遥控装置
KR102310994B1 (ko) 2014-11-25 2021-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상호작용 컴퓨팅 장치 및 방법
JP6650595B2 (ja) * 2015-09-24 2020-02-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機器制御装置、機器制御方法、機器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8761A (en) * 1996-01-26 1998-08-25 Silicon Graphics, Inc. Robust mapping of 2D cursor motion onto 3D lines and planes
US5880733A (en) * 1996-04-30 1999-03-09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windows of an operating system to provide a three-dimensional workspace for a computer system
JP3148133B2 (ja) 1996-10-30 2001-03-19 三菱電機株式会社 情報検索装置
US7278115B1 (en) * 1999-06-18 2007-10-02 Microsoft Corporation Methods, apparatus and data structures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to objects, the user interface exploiting spatial memory and visually indicating at least one object parameter
JP2001252464A (ja) * 2000-03-10 2001-09-18 Konami Co Ltd ゲーム装置、ゲーム制御方法、記録媒体及びプログラム
JP2001276420A (ja) * 2000-03-30 2001-10-09 Namco Ltd ゲーム装置および情報記憶媒体
US7193629B2 (en) * 2001-05-18 2007-03-20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Display apparatus
JP2004070920A (ja) 2002-06-11 2004-03-04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US7893920B2 (en) * 2004-05-06 2011-02-22 Alpine Electronics, Inc. Operation input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input
CN101308442B (zh) * 2004-10-12 2012-04-04 日本电信电话株式会社 三维指示方法和三维指示装置
WO2008093167A2 (en) 2006-09-19 2008-08-07 Bracco Imaging S.P.A. Methods and systems for interacting with a 3d visualization system using a 2d interface
JP2010199743A (ja) 2009-02-23 2010-09-09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携帯無線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5376A (ko) * 2014-08-27 2016-03-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터치 보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56877A1 (en) 2012-03-08
BRPI1103804A2 (pt) 2013-01-15
US8836642B2 (en) 2014-09-16
RU2011136327A (ru) 2013-03-10
CN102402281A (zh) 2012-04-04
EP2426586A1 (en) 2012-03-07
JP2012058896A (ja) 2012-03-22
CN202548819U (zh) 2012-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4285B2 (en) Detection of partially obscured objects in three dimensional stereoscopic scenes
US10133345B2 (en) Virtual-reality navigation
US98988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spawning drawing surfaces
US976679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180292971A1 (en) Zero Parallax Drawing within a Three Dimensional Display
US927460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130222363A1 (en) Stereoscopic imag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JP6110893B2 (ja) 仮想空間位置指定方法、プログラム、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および、装置
CN107077199B (zh) 用于在三维显示器上呈现虚拟对象的装置及用于控制装置的方法
KR20120025411A (ko) 정보 처리 장치, 프로그램, 및 정보 처리 방법
JP6174646B2 (ja) 仮想空間内のオブジェクトを3軸操作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00007602A1 (en) Image display device
US20230343022A1 (en) Mediated Reality
WO2015083267A1 (ja)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GB2533777A (en) Coherent touchless interaction with steroscopic 3D images
US10339722B2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6514416B2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2017069924A (ja) 画像表示装置
JPH0416896A (ja) 三次元カーソル及び三次元カーソルを用いた画像表示方法
JP4493082B2 (ja) Cg提示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並びに、cg表示システム
JP2017004539A (ja) 仮想空間位置指定方法、プログラム、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および、装置
JP6275809B1 (ja) 表示制御方法および当該表示制御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JP6347375B1 (ja) 表示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6145680A (ja) 三次元地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