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4940A - 유입 통로의 빗물 여과 장치 - Google Patents

유입 통로의 빗물 여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4940A
KR20120024940A KR1020127000234A KR20127000234A KR20120024940A KR 20120024940 A KR20120024940 A KR 20120024940A KR 1020127000234 A KR1020127000234 A KR 1020127000234A KR 20127000234 A KR20127000234 A KR 20127000234A KR 20120024940 A KR20120024940 A KR 20120024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cylinder
vertical
pip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0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1165B1 (ko
Inventor
세이이치로 타카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토오테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토오테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토오테츠
Publication of KR20120024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4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1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1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8Down pipes; Special clamp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E03B3/03Special vessels for collecting or storing rain-water for use in the household, e.g. water-but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76Devices or arrangements for removing snow, ice or debris from gutters or for preventing accumulation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8Down pipes; Special clamping means therefor
    • E04D2013/086Fil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모여진 빗물이 빗물 통로(12)에 의해 빗물 저장부(11)로 유도되고, 빗물 저장부로 유입되기 직전의 연직관(13)의 중간에 통수성을 갖는 통체(14)가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다. 상단이 개구되고 하단이 막힌 포대 형태의 필터(16)가 통체 내부에 수용되거나 통체 외부를 피복하여 빗물을 통과시키면서 빗물 중의 먼지를 포집한다. 연직관에 설치된 통체 및 필터를 연직관으로부터 꺼냄과 아울러 연직관에 수용하기 위해 착탈 수단(17)이 연직관에 설치된다. 탈착 수단이 통체의 상부에 이탈 가능하게 헐겁게 삽입되는 빗물 안내관(26)을 가지며, 통체 내주면과 빗물 안내관 외주면에 의해 에워싸이는 링형 통로(30)는 그 통수 허용량이 유입 통로의 통수 최대량에 상응하는 횡단면적을 갖도록 구성된다. 필터가 막히거나 통수성이 저하해도 유입 통로의 빗물 흘러내림 능력이 크게 손상되지 않으며, 따라서 항상 일정한 빗물 수집 성능을 유지한다.

Description

유입 통로의 빗물 여과 장치{RAINWATER FILTERING DEVICE FOR INFLOW PATH}
본 발명은 가옥이나 빌딩 등의 건물의 홈통을 흘러내리는 빗물이나 지표면에 내려 측홈 등을 흘러내리는 빗물을 모아 빗물 저장부에 저장할 때, 빗물이 빗물 저장부로 유입되기 직전의 유입 통로에서 빗물을 여과하여 빗물 중의 미세한 먼지를 최종적으로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빗물 여과 장치로서, 프레임으로 형성된 빗물 모임통 중에, 복수 개의 배관 접속 부재를 조합하여 형성된 배관 유닛과, 이 배관 유닛의 접속구에 장착 고정된 여과 포대(bag)가 배열되어 설치된 여과 장치를 구비한 빗물 모임통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이 여과 장치를 구비한 빗물 모임통에서는, 빗물이 세로 홈통에 접속된 배관 접속 부재의 일측의 접속구로부터 유입되고, 빗물 모임통의 바닥에 고정된 배관 접속 부재의 접속구로부터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배관 유닛에 높이차를 둔 2개의 접속구가 설치되고, 이들 접속구에 여과 포대가 각각 장착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여과 포대를 구비한 빗물 모임통에서는, 하단의 여과 포대가 막혀도 상단의 여과 포대에 빗물이 유입되므로, 빗물 모임통을 수목이 많은 장소에 설치해도, 혹은 태풍이 도래해도 모든 유로가 막힐 우려는 비교적 낮다. 이 결과, 초기 빗물 중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먼지의 종류나 형상 및 강우시의 조건에 좌우되지 않고 빗물 중의 먼지를 여과재로 항상 여과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3-13488호 공보(청구항 1, 단락 [0007], 단락 [0010]~[0012], 도 1, 도 2)
그러나, 상기 종래의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여과 장치를 구비한 빗물 모임통에서는, 비교적 장기간에 걸쳐 반복적으로 강우가 있으면 여과 포대가 차례로 막혀 통수성을 잃게 되며, 그 결과 빈번하게 상방의 세로 홈통이나 모임통으로부터 물이 흘러넘쳐 빗물의 수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장애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종래의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여과 장치를 구비한 빗물 모임통에서는, 내부의 빗물이 새지 않도록 빗물 모임통이 프레임으로 밀폐된 직육면체의 상자 형태로 형성됨과 아울러, 세로 홈통에 고정된 배관 유닛 중 빗물 모임통의 내부에 위치하는 배관 접속 부재에 여과 포대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여과 포대가 막혔을 때, 예를 들어 빗물 모임통의 상벽을 공구를 이용하여 뜯어낸 후에 빗물 모임통 내의 배관 유닛의 배관 접속 부재로부터 여과 포대를 떼어내야 하여 여과 포대의 세정 또는 교환에 많은 공정 수를 필요로 한다는 폐단이 있었다. 나아가, 상기 종래의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여과 장치를 구비한 빗물 모임통에서는, 배관 유닛 및 여과 포대를 수용한 비교적 큰 빗물 모임통을 세로 홈통에 설치하기 위해 비교적 넓은 설치 공간을 확보해야 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필터가 막혀도 통수성이 저하되거나 혹은 빗물량이 필터에 의한 여과량을 초과해도 유입 통로의 빗물 흘러내림 능력이 크게 손상되지 않고, 따라서 항상 일정한 빗물 수집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유입 통로의 빗물 여과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기간에 걸친 반복적인 강우로 필터의 통수 성능이 현저하게 저하했을 때, 연직관 또는 연직 모임통 내에 수용된 필터를 매우 용이하게 세정 또는 교환할 수 있는 유입 통로의 빗물 여과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 공간을 비교적 근소하게 증가시키면 되거나 혹은 설치 공간을 전혀 증가시키지 않아도 되는 유입 통로의 빗물 여과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첫 번째 관점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여진 빗물을 빗물 저장부(11)로 유도하는 유입 통로(12)와, 유입 통로(12) 중 빗물이 빗물 저장부(11)로 유입되기 직전의 연직관(13) 또는 연직 모임통의 중간에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통수성을 갖는 통체(14)와, 상단이 개구되고 하단이 막혀 통체(14) 내부에 수용되거나 통체(14) 외부를 피복하며 빗물을 통과시키면서 빗물 중의 먼지를 포집하는 포대 형태의 필터(16)와, 연직관(13) 또는 연직 모임통에 설치된 통체(14) 및 필터(16)를 연직관(13) 또는 연직 모임통으로부터 꺼냄과 아울러 연직관(13) 또는 연직 모임통에 수용하기 위해 연직관(13) 또는 연직 모임통에 설치된 착탈 수단(17)을 구비하며, 착탈 수단(17)이, 통체(14)의 상부에 이탈 가능하게 헐겁게 삽입되는 빗물 안내관(26) 또는 통 형태의 빗물 안내 부재를 가지며, 통체(14)의 내주면과 빗물 안내관(26) 또는 빗물 안내 부재의 외주면에 의해 에워싸이는 링형 통로(30)는 그 통수 허용량이 유입 통로(12)의 통수 최대량에 상응하는 횡단면적을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입 통로의 빗물 여과 장치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관점은, 첫 번째 관점에 의거한 발명으로서, 다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직관(13)이 상부 연직관(13a)과 하부 연직관(13b)으로 구성되고, 상부 연직관(13a)과 하부 연직관(13b)과의 사이에 착탈 수단(17)이 설치되고, 착탈 수단(17)은, 하단이 하부 연직관(13b)의 상단에 접속되고 상단이 하부 연직관(13b)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연직관(13)의 일부를 구성하는 깔대기 형태의 고정관(22)과, 고정관(22) 내에 설치되며 통체(14)가 올려지는 통수판(23)과, 하단이 고정관(22)의 상부에 이탈 가능하게 헐겁게 삽입되고 상단이 상부 연직관(13a)의 하단에 헐겁게 끼워지며 연직관(13)의 일부를 구성하는 가동관(24)과, 가동관(24)과 일체로 설치되며 통수판(23) 상의 통체(14)의 상부에 이탈 가능하게 헐겁게 삽입됨과 아울러 상부 연직관(13a)에 헐겁게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 빗물 안내관(26)을 가지며, 가동관(24)을 빗물 안내관(26)과 함께 상부 연직관(13a)을 따라 끌어올림으로써 통체(14) 및 필터(16)를 고정관(22) 내로부터 꺼낼 수 있고 고정관(22)에 수용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 번째 관점은, 첫 번째 관점에 의거한 발명으로서, 또한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입 통로(52)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지중에 매설된 수평관(53)과, 상단이 지표에 노출되도록 매설되고 수평관(53)이 접속된 바닥이 있는 상부 모임통(54)과, 상부 모임통(54)의 바닥부에 상부가 접속되고 수평관(53)으로부터 공급되는 빗물(55)이 상단 개구부(56a)로부터 흘러내리도록 하여 빗물 저장부(51)에 공급하는 통 형태의 연직 모임통(56)을 가지며, 착탈 수단(64)은, 연직 모임통(56)의 중간 내면 또는 하단에 고정 장착되고 통체(62)가 올려지는 통수판(66) 또는 바닥판과, 통수판(66) 또는 바닥판에 올려놓은 통체(62)의 상단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연직 모임통(56)의 내면에 고정 장착된 링형의 받침 부재(67)와, 상단이 받침 부재(67)에 올려지고 하단이 통체(62)의 상부에 헐겁게 삽입되는 통 형태의 빗물 안내 부재(68)를 가지며, 받침 부재(67)의 내경이 통체(6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빗물 안내 부재(68)를 연직 모임통(56)으로부터 떼어냄으로써 통체(62) 및 필터(63)를 연직 모임통(56)으로부터 꺼낼 수 있고 연직 모임통(56)에 수용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네 번째 관점은,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관점에 의거한 발명으로서, 재차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수성을 갖는 통체(14)가 다공질재, 천공 부재, 경질 네트 또는 슬릿 부재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섯 번째 관점은,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관점에 의거한 발명으로서, 재차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16)가 통 형태로 형성되고, 필터(16)의 하단이 하측 밴드(21)로 개방 가능하게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첫 번째 관점의 빗물 여과 장치에서는, 통체의 내주면과 빗물 안내관 또는 빗물 안내 부재의 외주면에 의해 에워싸이는 링형 통로의 통수 허용량이 유입 통로의 통수 최대량에 상응하는 횡단면적을 갖도록 상기 링형 통로를 구성하였으므로, 큰 비로 인해 대량의 빗물이 흘러내려 일부의 빗물이 필터를 통과하지만 나머지 빗물이 필터를 통과할 수 없는 사태가 발생해도 빗물이 유입 통로의 상방의 홈통 등으로부터 흘러넘치는 상황을 회피할 수 있다. 즉, 비의 양이 현저하게 많은 경우에, 링형 통로로부터 빗물이 흘러넘쳐 빗물 저장부로 유도되므로 항상 빗물의 흘러내림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큰 비가 내림에 따라 링형 통로로부터 빗물이 흘러넘쳐도 먼지의 대부분이 강우 초기에 필터로 포착(捕捉)되고 있어, 비가 본격적으로 쏟아지는 시점에서는 빗물은 매우 청정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빗물 저장부에 저장되는 빗물의 수질에의 영향은 거의 없다. 나아가 필터가 막혀도 통수성이 저하해도 유입 통로의 빗물 흘러내림 능력이 크게 손상되지 않아 항상 일정한 빗물 수집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필터가 막히면 통체 및 필터를 착탈 수단에 의해 연직관 등으로부터 꺼내어 세정 또는 교환한 후에 필터가 부착된 통체를 착탈 수단에 의해 연직관 등에 수용한다. 이와 같이 필터의 막힘시에 연직관 등에 수용된 필터를 매우 용이하게 세정 또는 교환할 수 있다.
배관 유닛 및 여과 포대를 수용한 비교적 큰 빗물 모임통을 세로 홈통에 설치하기 위해 넓은 설치 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종래의 여과 장치를 구비한 빗물 모임통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두 번째 관점의 빗물 여과 장치에서는, 통체 및 필터를 수용 가능하며 소정의 빗물 유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고정관 및 가동관의 직경을 연직관의 직경보다 크게 할 뿐이므로 설치 공간을 비교적 작게 증가시켜도 된다.
배관 유닛 및 여과 포대를 수용한 비교적 큰 빗물 모임통을 세로 홈통에 설치하기 위해 넓은 설치 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종래의 여과 장치를 구비한 빗물 모임통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세 번째 관점의 빗물 여과 장치에서는, 통체 및 필터가 이미 설치된 연직 모임통 내에 수용되므로 설치 공간을 전혀 증가시키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의 네 번째 관점의 빗물 여과 장치에서는, 통체를 다공질재, 천공 부재, 경질 네트 또는 슬릿 부재에 의해 형성하였으므로 비교적 용이하게 통수성을 갖는 통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섯 번째 관점의 빗물 여과 장치에서는, 필터를 통 형태로 형성하고 필터의 하단을 하측 밴드로 개방 가능하게 막았으므로, 필터의 내구성이 한계에 달하기 이전의 상태라면 필터는 장기간에 걸쳐 교환할 필요는 없고, 하측 밴드를 떼어내어 필터를 통체와 함께 세정함으로써 여과 성능을 용이하게 회복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빗물 여과 장치를 도시한 도 4의 A 부분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2는 그 빗물 여과 장치의 가동관을 빗물 안내관과 함께 끌어올린 상태를 도시한 도 1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그 빗물 여과 장치로부터 통체 및 필터를 꺼낸 상태를 도시한 도 1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그 빗물 여과 장치를 포함하는 빗물 저장 장치의 종단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은 그 빗물 저장 장치의 콘크리트제 프레임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빗물 여과 장치를 도시한 도 10의 C 부분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8은 그 빗물 여과 장치의 빗물 안내 부재를 연직 모임통으로부터 꺼낸 상태를 도시한 도 7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그 빗물 여과 장치의 통체 및 필터를 연직 모임통으로부터 꺼낸 상태를 도시한 도 7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그 빗물 여과 장치를 포함하는 제진 관리통의 종단면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빗물 여과 장치를 도시한 도 12의 D 부분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그 빗물 여과 장치를 포함하는 제진 관리통의 종단면 구성도이다.
다음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빗물 여과 장치(10)는, 모여진 빗물을 빗물 저장부(11)로 유도하는 유입 통로(12)와, 유입 통로(12) 중 빗물이 빗물 저장부(11)로 유입되기 직전의 연직관(13)의 중간에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통체(14)와, 상단이 개구되고 하단이 막힌 포대 형태의 필터(16)와, 연직관(13)에 설치된 통체(14) 및 필터(16)를 연직관(13)으로부터 꺼냄과 아울러 연직관(13)에 수용하기 위해 연직관(13)에 설치된 착탈 수단(17)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가옥의 지붕에 내린 비는 처마 홈통(도시하지 않음)에 모이고, 이 모인 빗물은 세로 홈통(도시하지 않음)을 흘러내려 다시 유입 통로(12)를 지나 빗물 저장부(11)에 저장된다. 유입 통로(12)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단이 세로 홈통의 하단에 접속되고 타단이 빗물 저장부(11)의 상방에 위치하는 수평관(18)과, 일단이 수평관(18)의 타단에 접속되고 타단이 빗물 저장부(11)에 삽입된 상기 연직관(13)을 갖는다. 이 연직관(13)은 상부 연직관(13a)과 하부 연직관(13b)에 의해 구성되고, 상부 연직관(13a)의 하단과 하부 연직관(13b)의 상단과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된다.
또한, 처마 홈통과 세로 홈통과의 접속부에는, 빗물과 함께 흘러오는 나뭇잎이나 잔가지 등의 큰 쓰레기를 제거하는 눈(메시)이 비교적 큰 망판(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된다. 그리고, 세로 홈통의 중간에는, 모래 등의 비교적 작은 쓰레기를 제거하는 빗물 분류구(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빗물 분류구는, 도시하지 않으나, 상부 세로 홈통의 내주면을 따라 흘러내린 빗물을 받는 링형의 오목홈과, 이 오목홈의 바닥부에 둘레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고 오목홈 내의 빗물을 하수도로 유도하는 복수 개의 통공과, 하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고 오목홈으로부터 흘러넘친 빗물을 하부 세로 홈통으로 유도하는 내주벽을 구비한다. 이 분류구에서는, 강우 초기의 비가 조금 내릴 때에 지붕에 쌓인 모래 등을 많이 포함하는 빗물이 분류구의 통공을 지나 모두 하수도로 흐르고, 강우 강도가 증가하면 비교적 청정한 빗물이 오목홈으로부터 흘러넘쳐 분류구의 내주벽을 지나 하부 세로 홈통을 흘러내리도록 구성된다.
한편, 통체(14)는, 통수성을 갖는 다공질재(예를 들어, 다공질의 세라믹관), 천공 부재(예를 들어, 복수 개의 구멍이 형성된 염화 비닐 등의 플라스틱관), 경질 네트(예를 들어, 플라스틱제의 두께가 두꺼운 네트를 원통형으로 형성한 것) 또는 슬릿 부재(예를 들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슬릿이 형성된 염화 비닐 등의 플라스틱관)에 의해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이 통체(14)의 내경은 연직관(13)의 외경 및 후술하는 빗물 안내관(26)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통체(14)의 내주면과 빗물 안내관(26)의 외주면과의 사이에는 링형 통로(30)가 설치되고(도 1), 빗물 안내관(26)은 통체(14)에 헐겁게 삽입 가능하게 구성된다. 통체(14)의 높이는 상부 연직관(13a)의 하단과 하부 연직관(13b)의 상단과의 사이의 소정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필터(16)는 부직포 또는 직포에 의해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필터(16)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통체(14)의 내부에 수용된다. 그리고 필터(16)의 상부는 통체(14)의 상단에서 외방으로 되접혀져서 통체(14)의 상단 및 외주면에 씌워진 상태에서 상측 밴드(19)로 통체(14) 외주면에 고정되고, 필터(16)의 하단은 하측 밴드(21)로 막힌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필터(16)는 통체(14)보다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필터(16)의 상부를 통체(14)의 외주면에 고정했을 때, 필터(16)의 중앙부가 통체(14)에 수용되고 필터(16)의 하부가 통체(14)의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필터(16)는, 그 메시 크기(눈 크기)에 따라서도 달라지지만, 빗물을 통과시키면서 빗물 중의 예를 들어 100㎛ 이상의 먼지를 포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측 밴드(19)로는 떼어낸 후에 다시 필터(16)의 상단을 고정할 수 있는 결속 밴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측 밴드(21)로는 떼어낸 후에 다시 필터(16)의 하단을 용이하게 막을 수 있는 결속 밴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필터를 통체 내부에 수용했으나, 통체 외부를 필터로 피복할 수도 있다.
착탈 수단(17)은 상부 연직관(13a)과 하부 연직관(13b)과의 사이에 설치된다. 즉, 착탈 수단(17)은 상부 연직관(13a)과 하부 연직관(13b)을 접속하여 상부 연직관(13a) 하단과 하부 연직관(13b) 상단과의 사이의 소정의 간격을 막도록 설치된다. 이 착탈 수단(17)은, 하단이 하부 연직관(13b)의 상단에 접속되고 연직관(13)의 일부를 구성하는 깔대기 형태의 고정관(22)과, 고정관(22) 내에 설치된 통수판(23)과, 상단이 상부 연직관(13a)의 하단에 헐겁게 끼워지고 연직관(13)의 일부를 구성하는 가동관(24)과, 가동관(24)과 일체로 설치된 빗물 안내관(26)을 갖는다. 고정관(22)은, 하단이 하부 연직관(13b)의 상단에 고정 장착된 고정 장착관부(22a)와, 하단이 고정 장착관부(22a)의 상단에 접속되고 상방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고정 테이퍼관부(22b)와, 하단이 고정 테이퍼관부(22b)의 상단에 접속된 고정 대직경관부(22c)로 이루어진다. 고정 장착관부(22a)와 고정 테이퍼관부(22b)와 고정 대직경관부(22c)는 염화 비닐 등의 플라스틱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고정 대직경관부(22c)는 하부 연직관(13b) 및 통체(14)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통수판(23)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천공판, 즉 복수 개의 작은 구멍(23a)이 형성된 염화 비닐 등의 플라스틱판에 의해 형성된다. 이 통수판(23)은 고정관(22) 중 고정 테이퍼관부(22b)와 고정 대직경관부(22c)과의 접속부에 수용되고, 이 통수판(23) 상에 통체(14)가 올려지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통체(14)를 통수판(23) 상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통체(14)의 상단과 상부 연직관(13a)의 하단과의 사이에 형성된 간격은 통체(14)를 고정관(22)으로부터 꺼내거나 혹은 고정관(22)에 수용할 수 있는 범위로 설정된다. 그리고 통수판(23)의 중앙에는 필터(16)의 하부를 헐겁게 삽입 가능하며 통체(14)보다 작은 투공(23b)이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통수판으로서 천공판을 예로 들었으나, 다공질판, 슬릿판, 네트형 경질판 등일 수도 있다.
가동관(24)은, 고정 대직경관부(22c)에 이탈 가능하게 헐겁게 삽입되는 가동 대직경관부(24a)와, 하단이 가동 대직경관부(24a)에 접속되고 상방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가동 테이퍼관부(24b)와, 하단이 가동 테이퍼관부(24b)의 상단에 접속되고 상부 연직관(13a)에 헐겁게 끼워진 헐거운 끼워맞춤관부(24c)로 이루어진다. 가동 대직경관부(24a)와 가동 테이퍼관부(24b)와 헐거운 끼워맞춤관부(24c)는 염화 비닐 등의 플라스틱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가동 대직경관부(24a)는 상부 연직관(13a) 및 통체(14)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나아가 빗물 안내관(26)은 헐거운 끼워맞춤관부(24c)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고, 헐거운 끼워맞춤관부(24c)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돌출되어 설치된다. 이 빗물 안내관(26)은, 통수판(23) 상에 올려진 통체(14)의 상부에 이탈 가능하게 헐겁게 삽입됨과 아울러 상부 연직관(13a)에 헐겁게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헐거운 끼워맞춤관부(24c) 및 빗물 안내관(26)은 상부 연직관(13a)보다 직경이 크고 통체(14)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통체(14)의 내주면과 빗물 안내관(26)의 외주면에 의해 에워싸이는 링형 통로(30)는 그 통수 허용량이 유입 통로(12)의 연직관(13)의 통수 최대량에 상응하는 횡단면적을 갖도록 구성된다(도 1). 여기서, 링형 통로(30)를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것은, 큰 비로 인해 대량의 빗물이 흘러내려 일부의 빗물이 필터(16)를 통과하지만 나머지 빗물이 필터(16)를 통과할 수 없는 사태가 발생해도, 빗물이 유입 통로(12)의 상방의 홈통 등으로부터 흘러넘치는 상황을 회피하여 항상 빗물의 흘러내림 성능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비의 양이 현저하게 많은 경우에는 상기 링형 통로(30)로부터 흘러넘쳐 가동관(24) 및 고정관(22) 내를 흘러내려 빗물 저장부(11)로 유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큰 비에 수반하여 링형 통로(30)로부터 빗물이 흘러넘쳐도, 빗물 저장부(11)에 저장되는 빗물의 수질에의 영향은 거의 없다. 이는, 먼지의 대부분이 강우 초기에 필터(16)로 포착되어 있어 비가 본격적으로 쏟아지는 시점에서는 빗물은 매우 청정하게 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통체(14)와 고정 대직경관부(22c)의 사이의 링형의 간격도 그 통수 허용량이 유입 통로(12)의 연직관(13)의 통수 최대량에 상응하는 횡단면적을 갖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통체(14)와 고정 대직경관부(22c)의 사이의 링형의 간격을 상기와 같이 구성한 것은, 강우 강도가 증가했을 때 링형 통로(30)로부터 흘러넘치는 빗물이 모두 하부 연직관(13b)을 흘러내리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빗물 저장부(11)는 지상에 설치되고, 이 빗물 저장부(11)는 직사각형의 통 형태의 콘크리트제 프레임체(27)에 수용된다. 빗물 저장부(11)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차수 시트(11a) 내에 복수 개의 저장재(11b) 및 복수 개의 폐재(11c)를 충전함으로써 형성된다. 차수 시트(11a)는 합성 고무계나 합성 수지계 등의 차수성을 갖는 시트로서, 그 양면에는 통상적으로 보호용의 부직포(도시하지 않음)가 중첩된다. 또한 저장재(11b)는 금형에 의해 각뿔대 형태로 성형된 플라스틱의 성형체이고, 폐재(11c)는 폐파이프이다. 저장재(11b)의 상면 및 하면은 개방되고 저장재의 측면에는 복수 개의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다. 또한 폐파이프(11c)는 직경이 서로 다른 복수 개의 폴리염화 비닐(PVC) 파이프나 폴리프로필렌(PP) 파이프 등의 수지제 파이프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형성된다. 저장재(11b)는 빗물 저장부(11) 내의 외주면에 충전되고, 폐파이프(11c)는 저장재(11b)에 의해 에워싸이는 내부에 충전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복수 개의 저장재(11b)를 사각형의 통 형태로 배열 설치하면서 쌓아올려 각통체를 형성하고, 이 각통체에 의해 에워싸인 내부에 복수 개의 폐파이프(11c)가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충전된다. 또한, 폐재로는, 폐파이프 이외에 플라스틱제의 컵이나 사발 등의 폐용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콘크리트제 프레임체(27)는 콘크리트제 프레임재(27a, 27b)를 우물 형태로 복수 단 쌓아올림과 아울러 서로 연결하여 형성된다(도 4 내지 도 6). 콘크리트제 프레임재(27a, 27b)는 현장에서 조립을 행하기 위해 미리 공장에서 제조된 콘크리트 부품, 즉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품이다. 이 콘크리트제 프레임체(27)는 지상에 설치된다. 또한 빗물 저장부(11)의 하면에는 완충 기능 및 단열 성능을 갖는 하부 보호판(28)이 설치되고, 콘크리트제 프레임체(27)와 빗물 저장부(11)와의 사이에는 완충 기능 및 단열 성능을 갖는 측부 보호판(29)이 설치된다. 하부 보호판(28) 및 측부 보호판(29)은 발포 스티롤(Styrol)이나 발포 염화 비닐 등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노출되는 빗물 저장부(11)의 상면은 흙(31)으로 덮이며, 이 복토(31)에는 잔디 등의 식물(도시하지 않음)이 심어진다.
빗물 저장부(11)의 하부에는 급수관(32)의 기단(基端)이 접속되고, 이 급수관(32)의 선단(先端)에는 수도꼭지(33)가 설치된다. 즉, 급수관(32)의 기단은 빗물 저장부(11)의 각 측면의 하부에 접속되고, 급수관(32)의 선단은 측부 보호판(29) 및 콘크리트제 프레임체(27)를 관통하여 프레임체의 외방으로 돌출되며, 이 돌출단에 수도꼭지(33)가 설치된다. 급수관(32)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 설치된다(도 5). 또한 빗물 저장부(11)의 상부에는 오버플로관(34)의 기단이 접속되고, 오버플로관(34)의 선단은 하방으로 구부러져서 하향으로 형성된다(도 4). 이 오버플로관(34)은 빗물 저장부(11)로부터 흘러넘치는 빗물을 배출하기 위해 설치된다. 또한, 하부 연직관(13b), 급수관(32) 및 오버플로관(34)의 빗물 저장부(11)에의 삽입부는 씰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밀봉되어 수밀성이 유지된다. 또한 하부 연직관(13b), 급수관(32) 및 오버플로관(34)은 빗물 저장부(11)의 저장재(11b)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각 배관의 시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빗물 저장부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복잡한 구조의 것은 아니며, 내부가 공동인 원통형이나 항아리 형태 등의 단순한 구조의 것일 수도 있다.
다음 빗물 여과 장치(10)를 유입 통로(12)의 연직관(13)에 조립 장착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먼저 유입 통로(12)의 연직관(13)의 중간을 절단하여 소정의 간격을 마련한다. 이에 의해 연직관(13)이 상부 연직관(13a)과 하부 연직관(13b)으로 분할된다. 이어서 가동관(24)을 상부 연직관(13a)에 헐겁게 끼워 가동관(24)이 상부 연직관(13a)의 하단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임시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고정관(22)의 고정 장착부(22a)를 하부 연직관(13b)의 상단에 끼워넣어 접착제에 의해 고정 장착한다. 다음 통수판(23)을 고정관(22)에 수용한 후에, 필터(16)를 부착한 통체(14)를 통수판(23) 위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고정관(22)에 수용한다. 또한 가동관(24)을 상부 연직관(13a)을 따라 하강시키고, 가동관(24)의 가동 대직경관부(24a)를 고정관(22)의 고정 대직경관부(22c)에 헐겁게 삽입한다. 이와 같이 간단한 작업으로 빗물 여과 장치(10)를 연직관(13)에 조립 장착할 수 있다(도 1 및 도 4).
이와 같이 조립 장착된 빗물 여과 장치(10)의 동작을 설명한다. 비가 내리기 시작하여 가옥의 지붕에 내린 비는 처마 홈통(도시하지 않음)에 모여 세로 홈통(도시하지 않음)로 유입된다. 이 때 빗물과 함께 흐르는 나뭇잎이나 잔가지 등의 큰 쓰레기는 처마 홈통과 세로 홈통과의 접속부에 설치된 망판(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포집되어 제거된다. 세로 홈통을 흘러내리는 빗물은 빗물 분류구(도시하지 않음)로 유입되고, 이 분류구에서 빗물 중의 모래 등의 비교적 작은 쓰레기가 분리 제거된다. 빗물 분류구에서 모래 등의 비교적 작은 쓰레기가 제거된 빗물은 수평관(18) 및 상부 연직관(13a)을 지나 빗물 여과 장치(10)로 유입된다. 이 빗물은 헐거운 끼워맞춤관부(24c) 및 빗물 안내관(26)을 지나 통체(14) 내의 필터(16)로 유입되고, 이 필터(16)로 빗물 중의 미세한 먼지가 포집된다. 필터(16)를 통과한 빗물은 하부 연직관(13b)을 지나 빗물 저장부(11)에 저장된다. 여기서, 강우 초기의 비교적 많은 먼지를 포함하는 빗물의 유량은 비교적 적기 때문에, 통체(14) 내주면과 빗물 안내관(26) 외주면과의 사이의 링형 통로(30)(도 1)로부터 흘러넘치지 않고 모든 빗물이 필터(16)를 통과한다. 강우 강도가 증가해도 필터(16)의 표면적은 비교적 크기 때문에 필터(16)로 유입된 빗물은 모두 필터(16)를 통과한다.
강우 강도가 더 증가하면, 필터(16)로 유입된 빗물의 일부는 필터(16)를 통과하지만 나머지 빗물은 필터(16)를 통과할 수 없게 된다. 이 때 통체(14) 내주면과 빗물 안내관(26) 외주면과의 사이에 링형 통로(30)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이 링형 통로(30)로부터 빗물이 흘러넘쳐 가동관(24), 고정관(22), 통수판(23) 및 하부 연직관(13b)을 지나 빗물 저장부(11)에 저장된다. 이 결과, 빗물이 유입 통로(12)의 상방의 홈통 등으로부터 흘러넘치는 상황을 회피하여 항상 빗물의 흘러내림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큰 비에 수반하여 링형 통로(30)로부터 빗물이 흘러넘쳐도 빗물 저장부(11)에 저장되는 빗물의 수질이 저하하는 일은 거의 없다. 이는, 먼지의 대부분이 강우 초기에 필터(16)로 포착되어 있어, 비가 본격적으로 쏟아지는 시점에서는 빗물은 매우 청정하게 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가옥의 지붕에 퇴적해 있던 먼지는 강우 초기의 빗물에 의해 씻겨져 내려가게 되어 강우 강도가 증가한 빗물에는 먼지가 거의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빗물 저장부(11)에 저장되는 빗물은 소정의 입자 크기 이상(예를 들어 입자 크기 100㎛ 이상)의 먼지를 거의 포함하지 않는다. 이 결과, 빗물 저장부(11)에 저장된 빗물을 살수 노즐(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하여 정원에 살포해도 살수 노즐이 막히는 일이 거의 없다. 또한, 빗물 저장부(11)에 저장된 빗물의 수위만으로는 살수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빗물의 분사 속도가 너무 느린 경우에는, 펌프(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빗물의 수압을 상승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빗물에 포함되는 먼지를 포집하여 필터(16)가 막히면, 먼저 가동관(24)을 빗물 안내관(26)과 함께 상부 연직관(13a)을 따라 끌어올리고(도 2), 이 상태에서 통체(14) 및 필터(16)를 연직관(13)의 일부를 구성하는 고정관(22) 내로부터 꺼낸 후에(도 3), 상부 연직관(13a)을 따라 가동관(24)을 하강시킨다. 이어서 필터(16)의 내구성이 한계에 달하기 이전의 상태라면, 필터(16)는 장기간에 걸쳐 교환할 필요는 없으며, 상측 밴드(19)는 그대로 두고 하측 밴드(21)만을 떼어내어 필터(16)를 세정한다. 이에 따라 필터(16)의 여과 성능을 용이하게 회복시킬 수 있다. 또한, 필터(16)의 내구성에 한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될 때에는, 상측 밴드(19)를 통체(14)로부터 떼어내어 필터(16)를 교환한다. 다음 세정한 필터(16)의 하단을 하측 밴드(21)로 막는다. 또한 가동관(24)을 빗물 안내관(26)과 함께 상부 연직관(13a)을 따라 다시 끌어올리고, 이 상태에서 필터(16)가 부착된 통체(14)를 통수판(23) 위에 올려놓아 연직관(13)의 일부를 구성하는 고정관(22)에 수용한 후에, 상부 연직관(13a)을 따라 가동관(24)을 하강시킨다. 이와 같이 필터(16)의 막힘시에 고정관(22) 및 가동관(24)에 수용된 필터(16)를 매우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빗물 저장부(51)가 지중(地中)에 매설되고, 빗물 여과 장치(50)가 빗물 저장부(51)로 빗물(55)을 유도하는 유입 통로(52)에 설치된다. 이 유입 통로(52)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지중에 매설된 수평관(53)과, 상단이 지표에 노출되도록 매설되고 수평관(53)이 접속된 바닥이 있는 상부 모임통(54)과, 상부 모임통(54)의 바닥부에 상부가 접속되고 수평관(53)으로부터 공급되는 빗물(55)이 상단 개구부(56a)로부터 흘러내리도록 하여 빗물 저장부(51)에 공급하는 통 형태의 연직 모임통(56)을 갖는다(도 10). 상부 모임통(54)은 바닥벽(54a)과 둘레벽(54b)과 덮개판(54c)으로 이루어진다. 둘레벽(54b)은 연직 모임통(56)의 상단을 포위 가능한 크기로 형성된다. 수평관(53)은 둘레벽(54b)에 연통 접속되고, 가옥의 지붕 또는 옥상 또는 지표에 낙하하여 모인 빗물(55)을 상부 모임통(54)으로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덮개판(54c)에 의해 둘레벽(54b)의 상단 개구부(54d)가 개방 가능하게 막힌다. 나아가 상부 모임통(54)의 바닥벽(54a)에는 연직 모임통(56)의 상부가 삽입 장착된다. 즉, 연직 모임통(56)의 상부 주위와 상부 모임통(54)의 둘레벽(54b)과의 사이에 둘레홈(54e)이 형성되도록 연직 모임통(56)의 상부가 상부 모임통(54)의 바닥벽(54a)에 삽입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둘레홈(54e)에는 수평관(53)으로부터 공급된 빗물(55)로서 연직 모임통(56)의 상단 개구부(56a)로 유입되기 전의 빗물(55)이 일단 저장되도록 구성된다. 둘레홈(54e)에 빗물(55)이 일단 저장됨으로써 빗물(55)에 포함되는 모래 등의 쓰레기가 침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연직 모임통(56)은 바닥이 있는 통 형태로 형성되고, 수평관(53)으로부터 상부 모임통(54)으로 유입된 빗물(55)이 둘레홈(54e)을 지나 연직 모임통(56)의 상단 개구부(56a)로부터 연직 모임통(56) 내로 유입하도록 구성된다. 이 연직 모임통(56)은 그 상단 개구부(56a)로부터 유입된 빗물(55)이 그 내부에 저장된 후에 연직 짧은관(57) 및 빗물 공급관(58)을 지나 빗물 저장부(51)로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빗물 공급관(58)은 연직 모임통(56)에 상하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2곳에 각각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연직 짧은관(57)은 연직 모임통(56)의 내부에 개구된 빗물 공급관(58)의 단부에 각각 연통 접속된다. 또한 연직 모임통(56)과 빗물 저장부(51)와의 상대적인 위치의 변동을 흡수하기 위해 빗물 공급관(58)에는 벨로즈(59)가 설치된다. 연직 짧은관(57)은 연직 모임통(56)의 바닥부에 면하여 개구되며, 연직 모임통(56)에 저장된 빗물(55)이 이 연직 짧은관(57)의 하단으로부터 진입하여 상승하고, 빗물 공급관(58)을 흘러 빗물 저장부(51)에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연직 짧은관(57)에는 역류 방지 밸브(61)가 설치된다. 역류 방지 밸브(61)는, 이 밸브(61)보다 하측의 연직 짧은관(57) 내의 수위가 빗물 저장부(51) 내의 수위 이상일 때에 하측의 연직 짧은관(57) 내로부터 빗물 저장부(51)로 빗물(55)이 흐르는 것을 허용하고, 밸브(61)보다 하측의 연직 짧은관(57) 내의 수위가 빗물 저장부(51)의 수위 미만일 때 빗물 저장부(51) 내의 빗물(55)이 하측의 연직 짧은관(57) 내로 흐르는 것을 저지하도록 구성된다.
빗물 여과 장치(50)의 통체(62) 및 필터(63)는 연직 모임통(56)에 설치되며, 이들 통체(62) 및 필터(63)를 연직 모임통(56)으로부터 꺼냄과 아울러 연직 모임통(56)에 수용하는 착탈 수단(64)도 연직 모임통(56)에 설치된다(도 7 내지 도 9). 착탈 수단(64)은, 연직 모임통(56)의 중간 내면에 고정 장착되고 통체(62)가 올려지는 통수판(66)과, 통수판(66)에 올려놓은 통체(62)의 상단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연직 모임통(56)의 내면에 고정 장착된 링형의 받침 부재(67)와, 상단이 받침 부재(67)에 올려지고 하단이 통체(62)의 상부에 헐겁게 삽입되는 통 형태의 빗물 안내 부재(68)를 갖는다. 통수판(66)은, 제1 실시 형태의 통수판과 마찬가지로, 천공판, 즉 복수 개의 작은 구멍(66a)이 형성된 염화 비닐 등의 플라스틱판에 의해 형성된다. 2개의 빗물 공급관(58, 58)보다 상방으로서 통수판(66)에 통체(62)를 올려놓았을 때 통체(62) 모두가 연직 모임통(56) 내에 수납되는 위치에서 연직 모임통(56) 내면에 수평하게 고정 장착된다. 또한 통수판(66)의 중앙에는 필터(63)의 하부를 헐겁게 삽입 가능하며 통체(62)보다 작은 투공(66b)이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통수판으로서 천공판을 예로 들었으나, 다공질판, 슬릿판, 네트형 경질판 등일 수도 있다.
통체(62)는, 제1 실시 형태의 통체와 마찬가지로, 통수성을 갖는 다공질재(예를 들어, 다공질의 세라믹관), 천공 부재(예를 들어, 복수 개의 구멍이 형성된 염화 비닐 등의 플라스틱관), 경질 네트(예를 들어, 플라스틱제의 두께가 두꺼운 네트를 원통형으로 형성한 것) 또는 슬릿 부재(예를 들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슬릿이 형성된 염화 비닐 등의 플라스틱관)에 의해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통체(62)의 내주면과 빗물 안내 부재(68)의 통형상부(68b)의 외주면에 의해 에워싸이는 링형 통로(70)는, 그 통수 허용량이 유입 통로(52)의 통수 최대량에 상응하는 횡단면적을 갖도록 구성된다(도 7). 여기서, 링형 통로(70)를 상기와 같이 구성한 것은, 큰 비로 인해 대량의 빗물(55)이 흘러내려 일부의 빗물이 필터(63)를 통과하지만 나머지 빗물이 필터(63)를 통과할 수 없는 상태가 발생해도, 빗물(55)이 상부 모임통(54)으로부터 흘러넘치는 상황을 회피하여 항상 빗물(55)의 흘러내림 성능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비의 양이 현저하게 많은 경우에는, 상기 링형 통로(70)로부터 흘러넘쳐 연직 모임통(56) 내를 흘러내려 빗물 저장부(51)로 유도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큰 비에 수반하여 링형 통로(70)로부터 빗물(55)이 흘러넘쳐도 빗물 저장부(51)에 저장되는 빗물(55)의 수질에의 영향은 거의 없다. 이는, 먼지의 대부분이 강우 초기에 필터(63)로 포착되어 있어 비가 본격적으로 쏟아지는 시점에서는 빗물(55)은 매우 청정하게 되어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통체(62)와 연직 모임통(56)의 사이의 링형의 간격도 그 통수 허용량이 유입 통로(52)의 통수 최대량에 상응하는 횡단면적을 갖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통체(62)와 연직 모임통(56) 사이의 링형의 간격을 상기와 같이 구성한 것은, 강우 강도가 증가했을 때 통체(62)와 연직 모임통(56) 사이의 링형의 간격으로부터 흘러넘치는 빗물(55)이 모두 연직 모임통(56) 내를 흘러내리도록 하기 위함이다.
받침 부재(67)의 외경은 연직 모임통(56)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받침 부재(67)의 내경은 통체(6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빗물 안내 부재(68)는, 받침 부재(67)에 올려지는 플랜지부(68a)와, 통체(62)의 상부에 헐겁게 삽입되는 상기 통형상부(68b)로 이루어진다. 플랜지부(68a)와 통형상부(68b)는 염화 비닐 등의 플라스틱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빗물 안내 부재(68)를 연직 모임통(56)으로부터 떼어냄으로써 통체(62) 및 필터(63)를 연직 모임통(56)으로부터 꺼낼 수 있고 연직 모임통(56)에 수용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도 7 내지 도 9의 부호 68c는 빗물 안내 부재(68)를 받침 부재(67)에 올려놓았을 때 받침 부재(67)에 밀착하도록 빗물 안내 부재(68)에 설치된 씰(seal) 부재이고, 부호 68d는 빗물 안내 부재(68)를 연직 모임통(56)으로부터 떼어내기 위해 빗물 안내 부재(68)에 설치된 손잡이이다.
필터(63)는, 제1 실시 형태의 필터와 마찬가지로, 부직포 또는 직포에 의해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필터(63)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통체(62)의 내부에 수용된다. 그리고 필터(63)의 상부는 통체(62)의 상단에서 외방으로 되접혀져서 통체(62)의 상단 및 외주면에 씌워진 상태에서 상측 밴드(69)로 통체(62) 외주면에 고정되고, 필터(63)의 하단은 하측 밴드(71)로 폐쇄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필터(63)는 통체(62)보다 약간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필터(63)의 상부를 통체(62)의 외주면에 고정했을 때, 필터(63)의 중앙부가 통체(62)에 수용되고, 필터(63)의 하부가 통체(62)의 하방으로 약간 돌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필터(63)는 빗물(55)을 통과시키면서 빗물(55) 중의 100㎛ 이상의 먼지를 포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필터를 통체 내부에 수용했으나, 통체 외부를 필터로 피복할 수도 있다.
한편, 빗물 저장부(51)는, 복수 개의 저장재(51a)를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집합체를 차수 시트(51b)에 의해 피복함으로써 형성된다(도 10). 저장재(51a)로는, 금형에 의해 성형된 플라스틱의 성형체가 사용된다. 이 플라스틱의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저장재(51a)는 각뿔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종횡으로 배열되어 설치된 후 그 위에도 적층되어 저장재(51a)의 집합체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이들 저장재(51a)를 피복하는 차수 시트(51b)는 합성 고무계, 합성 수지계 등의 차수성 시트로서, 그 양면에는 통상 보호용의 부직포가 중첩된다. 이 빗물 저장부(51)는, 굴삭된 곳에 차수 시트(51b)를 배치하고, 그 중앙 부분에 저장재(51a)를 종횡 및 상하로 배열 설치하여 집합체를 얻은 후, 차수 시트(51b)의 주위를 올려세워 저장재(51a)의 집합체의 주위를 그 차수 시트(51b)에 의해 포위하고, 다시 저장재(51a)의 상면에 차수 시트(51b)의 단부를 올려놓음으로써 저장재(51a)의 집합체를 차수 시트(51b)로 감싸넣음으로써 형성된다. 여기서, 단일의 차수 시트(51b)로는 저장재(51a)의 집합체를 감싸넣을 만한 크기를 갖지 않는 경우에는, 그 차수 시트(51b)를 복수 장 준비하여 그 단 가장자리에서 열융착하여 그들을 일체화하여 저장재(51a)의 집합체를 감싸넣기에 충분한 크기를 얻음과 아울러 그 용착한 부분의 누수를 방지한 차수 시트(51b)가 얻어진다. 이 빗물 저장부(51)에서는, 저장재(51a)의 빈틈에 빗물(55)을 저장 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상부 모임통(54)의 둘레홈에는 배수관(72)의 일단이 연통 접속되고, 배수관(72)의 타단은 하수관(도시하지 않음)에 연통 접속된다. 이 배수관(72)은 둘레홈(54e) 내의 빗물(55)을 하수관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배수관(72)으로는 주위에 복수 개의 작은 구멍(72a)이 형성된 소위 유공관이 사용된다. 그리고 지중에 매설됨으로써 이 유공관으로 이루어지는 배수관(72)은, 둘레홈(54e)으로부터 유입된 빗물(55)을 주위의 지중에 침투시키면서 잉여의 빗물(55)을 하수관으로 유입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부 모임통(54)에는 둘레홈(54e)에 연통되는 침사조(73)가 나란히 설치된다. 침사조(73)는 바닥부에 빗물(55)이 침투 가능한 복수 개의 작은 관통 구멍(73a)이 형성된 덮개(73b)가 장착된 소위 침투형의 모임통으로서, 상부 모임통(54)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그 상부 모임통(54)에 나란히 매설되고, 상부 모임통(54)과 침사조(73)는 연결관(74)에 의해 연통 접속된다. 상부 모임통(54) 내의 둘레홈(54e)은 연결관(74)에 의해 침사조(73)에 연통 접속되고, 이 침사조(73)에 배수관(72)의 일단이 연통 접속된다. 수평관(53)과 연결관(74)은 상부 모임통(54)의 둘레벽(54b)의 대향면에 각각 접속되고, 연결관(74)의 둘레벽(54b)에의 접속부는 수평관(53)의 둘레벽(54b)에의 접속부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된다. 그리고 수평관(53)으로부터 둘레홈(54e) 내로 유입된 빗물(55)이 연결관(74)으로 유입되도록 상부 모임통(54)의 바닥벽(54a) 상면이 수평관(53)으로부터 연결관(74)을 향해 점차 낮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둘레벽(54b)은 수평관(53) 측으로부터 연결관(74) 측으로 갈수록 내면의 폭이 감소하도록 만곡 또는 경사져서 형성된다.
침사조(73) 중 배수관(72)이 연결된 측벽에는 배수관(72)의 구멍 면적을 증감시켜 둘레홈(54e)으로부터 하수관으로 유입되는 빗물 유량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게이트(73c)가 설치된다. 그리고 둘레홈(54e)으로부터 하수관으로 유입되는 빗물 유량을 연직 모임통(56)으로 유입되는 빗물 유량 이하가 되도록 조정 게이트(73c)를 조정함으로써, 연직 모임통(56)의 상단 개구부(56a)로부터 연직 모임통(56) 내로 흘러내리는 빗물 유량을 증감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모임통(54)의 내부에는 망판(76)이 수용된다. 이 망판(76)은 덮개체(54c)를 떼어냄으로써 개방된 상단 개구부(54d)로부터 꺼낼 수 있고, 수평관(53) 측으로부터 연결관(74) 측을 향해 점차 상승하도록 경사져서 상부 모임통(54) 내에 수용된다. 또한 망판(76)은 연직 모임통(56)의 상단 개구부(56a)와 둘레홈(54e)을 덮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망판(76)은 수평관(53)을 지나 상부 모임통(54)으로 유입되는 빗물(55)로부터 나뭇잎이나 잔가지 등의 비교적 큰 쓰레기를 포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빗물 여과 장치(50)의 동작을 설명한다. 비가 내리기 시작하면, 가옥의 지붕이나 노면에 내린 비가 수평관(53)으로 유입된다. 이 때 빗물(55)과 함께 흐르는 나뭇잎이나 잔가지 등의 큰 쓰레기는 상부 모임통(54)에 수용된 망판(76)에 의해 포집되어 제거되고, 큰 쓰레기가 제거된 빗물(55)은 상부 모임통(54)의 둘레홈(54e)으로 유입된다. 이 둘레홈(54e)으로 유입된 빗물(55)은 둘레홈(54e) 내를 연결관(74)을 향해 흐르고, 그 중간에서 빗물(55)에 포함되는 모래 등의 비교적 작은 쓰레기의 일부가 침강하여 제거된다(도 10). 그리고 연결관(74)을 지나 침사조(73)로 유입되고, 여기서 빗물(55)에 포함되는 모래 등의 비교적 작은 쓰레기의 나머지가 침강하여 제거되고 하수도로 배출된다. 또한, 강우 초기에는 빗물 유량이 적기 때문에 둘레홈(54e) 내의 빗물(55)의 수위가 연직 모임통(56)의 상단 개구부(56a)에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빗물(55)이 연직 모임통(56)으로 유입되지 않는다. 한편, 강우 강도가 증가하면, 둘레홈(54e)으로 유입되는 빗물 유량이 많아져 둘레홈(54e) 내의 빗물(55)의 수위가 연직 모임통(56)의 상단 개구부(56a)에 도달하고, 빗물(55)의 대부분이 연직 모임통(56)으로 유입된다. 연직 모임통(56)을 흘러내린 빗물(55)은 빗물 안내 부재(68)의 통형상부(68b) 내를 지나 필터(63) 내로 유입되고, 이 필터(63)로 빗물(55) 중의 미세한 먼지가 포집된다. 필터(63)를 통과한 빗물(55)은 연직 모임통(56) 내에 일단 저장되고, 저장량이 소정량 이상이 되면 연직 짧은관(57) 및 빗물 공급관(58)을 지나 빗물 저장부(51)에 저장된다.
강우 강도가 더 증가하면, 필터(63)로 유입된 빗물(55)의 일부는 필터(63)를 통과하지만 나머지 빗물은 필터(63)를 통과할 수 없게 된다. 이 때 통체(62) 내주면과 빗물 안내 부재(68)의 통형상부(68b) 외주면과의 사이에 링형 통로(70)를 설치했기 때문에 이 링형 통로(70)로부터 빗물(55)이 흘러넘치고, 통수판(66)을 지나 연직 모임통(56)에 일단 저장된 후에 빗물 저장부(51)에 저장된다(도 7 및 도 10). 이 결과, 빗물(55)이 상부 모임통(54)으로부터 흘러넘치는 상황을 회피하여 항상 빗물(55)의 흘러내림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큰 비에 수반하어 링형 통로(70)로부터 빗물이 흘러넘쳐도 빗물 저장부(51)에 저장되는 빗물(55)의 수질이 저하하는 일은 거의 없다. 이는, 먼지의 대부분이 강우 초기에 필터(63)에서 포착되어 있어 비가 본격적으로 쏟아지는 시점에서는 빗물(55)은 매우 청정하게 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가옥의 지붕에 퇴적해 있던 먼지는 강우 초기의 빗물(55)에 의해 씻겨져 내려가게 되어 강우 강도가 증가한 빗물(55)에는 먼지가 거의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빗물 저장부(51)에 저장되는 빗물은 소정의 입자 크기 이상(예를 들어 입자 크기 100㎛ 이상)의 먼지를 거의 포함하지 않는다. 이 결과, 빗물 저장부(51)에 저장된 빗물을 살수 노즐(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하여 정원에 살수해도 살수 노즐이 막히는 일이 거의 없다. 또한, 빗물 저장부(51)와 살수 노즐과의 사이에는 살수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빗물의 압력을 상승시키기 위한 펌프(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된다.
빗물(55)에 포함되는 먼지를 포집하여 필터(63)가 막히면, 먼저 덮개판(54c)을 떼어내어 상부 모임통(54)의 상단 개구부(54d)를 개방하고, 망판(76)을 꺼내고, 계속해서 손잡이(68d)를 잡아 빗물 안내 부재(68)를 연직 모임통(56)으로부터 상부 모임통(54)의 상단 개구부(54d)를 통해 떼어낸 후에(도 8), 통체(62) 및 필터(63)를 연직 모임통(56)으로부터 상부 모임통(54)의 상단 개구부(54d)를 통해 꺼낸다(도 9). 이어서, 필터(63)의 내구성이 한계에 도달하기 이전의 상태라면, 필터(63)는 장기간에 걸쳐 교환할 필요는 없으며, 상측 밴드(69)는 그대로 두고 하측 밴드(71)만을 떼어내어 필터(63)를 세정한다. 이에 따라 필터(63)의 여과 성능을 용이하게 회복할 수 있다. 또한, 필터(63)의 내구성이 한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될 때에는, 상측 밴드(69)를 통체(62)로부터 떼어내어 필터(63)를 교환한다. 다음 세정한 필터(63)의 하단을 하측 밴드(71)로 막는다. 또한 필터(63)가 부착된 통체(62)를 상부 모임통(54)의 상단 개구부(54d)로부터 연직 모임통(56)에 삽입하고, 통수판(66) 위에 올려놓아 연직 모임통(56)에 수용한다. 그리고 손잡이(68d)를 잡고 빗물 안내 부재(68)를 상부 모임통(54)의 상단 개구부(54d)로부터 연직 모임통(56)에 삽입하고, 받침 부재(67) 상에 플랜지부(68a)를 올려놓은 후에 망판(76)을 상부 모임통(54)에 삽입하고, 계속해서 덮개판(54c)을 상부 모임통(54)에 부착하여 상부 모임통(54)의 상단 개구부(54d)를 막는다. 이와 같이 필터(63)의 막힘시에 연직 모임통(56)에 수용된 필터(63)를 매우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 11 및 도 12에 있어서 도 7 내지 도 10과 동일 부호는 동일 부품을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착탈 수단(64)이, 연직 모임통(96)의 하단에 고정 장착되고 통체(62)가 올려지는 바닥판(97)과, 바닥판(97)에 올려놓은 통체(62)의 상단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연직 모임통(96)의 내면에 고정 장착된 링형의 받침 부재(67)와, 상단이 받침 부재(67)에 올려지고 하단이 통체(62)의 상부에 헐겁게 삽입되는 통 형태의 빗물 안내 부재(68)를 갖는다(도 11). 연직 모임통(96)은 제2 실시 형태의 연직 모임통보다 짧게 형성된다. 이 연직 모임통(96)의 상단에는 상단 개구부(96a)가 형성되고, 연직 모임통의 하단이 바닥판(97)에 의해 막히고, 통체(62)의 하부 둘레면에 복수 개의 관통 구멍(96b)이 형성된다. 또한 연직 모임통(96)의 하부 둘레면에 빗물 공급관(98)의 일단이 연통 접속되고, 빗물 공급관(98)의 타단은 빗물 저장부(51)에 그 상면으로부터 삽입된다(도 12). 또한 빗물 안내 부재(68)를 연직 모임통(96)으로부터 떼어냄으로써 통체(62) 및 필터(63)를 연직 모임통(96)으로부터 꺼내거나 혹은 연직 모임통(96)에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외에는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빗물 여과 장치(90)에서는, 제2 실시 형태의 통수판이 필요 없게 된다. 상기 이외의 동작은 제2 실시 형태의 동작과 대략 동일하므로, 반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빗물 여과 장치는, 빗물 저장부로 유입되는 빗물 중의 미세한 먼지를 최종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과 아울러 필터의 막힘시에 필터를 매우 용이하게 세정 또는 교환할 수 있는 장치로서 이용할 수 있다.
10, 50, 90…빗물 여과 장치,
11, 51…빗물 저장부,
12, 52, 92…유입 통로,
13…연직관,
13a…상부 연직관,
13b…하부 연직관,
14, 62…통체,
16, 63…필터,
17, 64…착탈 수단,
22…고정관,
23, 66…통수판,
24…가동관,
26…빗물 안내관,
30, 70…링형 통로,
53…수평관,
54…상부 모임통,
55…빗물,
56, 96…연직 모임통,
56a, 96a…연직 모임통의 상단 개구부,
67…받침 부재,
68…빗물 안내 부재,
97…바닥판,

Claims (5)

  1. 모여진 빗물(55)을 빗물 저장부(11, 51)로 유도하는 유입 통로(12, 52, 92)와,
    상기 유입 통로(12, 52, 92) 중 상기 빗물(55)이 상기 빗물 저장부(11, 51)로 유입되기 직전의 연직관(13) 또는 연직 모임통(56, 96)의 중간에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통수성을 갖는 통체(14, 62)와,
    상단이 개구되고 하단이 막혀 상기 통체(14, 62) 내부에 수용되거나 상기 통체(14, 62) 외부를 피복하고 상기 빗물(55)을 통과시키면서 상기 빗물(55) 중의 먼지를 포집하는 포대 형태의 필터(16, 63)와,
    상기 연직관(13) 또는 상기 연직 모임통(56, 96)에 설치된 상기 통체(14, 62) 및 상기 필터(16, 63)를 상기 연직관(13) 또는 상기 연직 모임통(56, 96)으로부터 꺼냄과 아울러 상기 연직관(13) 또는 상기 연직 모임통(56, 96)에 수용하기 위해 상기 연직관(13) 또는 상기 연직 모임통(56, 96)에 설치된 착탈 수단(17, 64)
    을 구비하고,
    상기 착탈 수단(17, 64)이 상기 통체(14, 62)의 상부에 이탈 가능하게 헐겁게 삽입되는 빗물 안내관(26) 또는 통 형태의 빗물 안내 부재(68)를 가지며,
    상기 통체(14, 62)의 내주면과 상기 빗물 안내관(26) 또는 상기 빗물 안내 부재(68)의 외주면에 의해 에워싸이는 링형 통로(30, 70)는 그 통수 허용량이 상기 유입 통로(12, 52, 92)의 통수 최대량에 상응하는 횡단면적을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입 통로의 빗물 여과 장치.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연직관(13)이 상부 연직관(13a)과 하부 연직관(13b)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상부 연직관(13a)과 상기 하부 연직관(13b)과의 사이에 착탈 수단(|7)이 설치되며,
    상기 착탈 수단(17)은, 하단이 상기 하부 연직관(13b)의 상단에 접속되고 상단이 상기 하부 연직관(13b)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직관(13)의 일부를 구성하는 깔대기 형태의 고정관(22)과, 상기 고정관(22) 내에 설치되며 상기 통체(14)가 올려지는 통수판(23)과, 하단이 상기 고정관(22)의 상부에 이탈 가능하게 헐겁게 삽입되고 상단이 상기 상부 연직관(13a)의 하단에 헐겁게 끼워지며 상기 연직관(13)의 일부를 구성하는 가동관(24)과, 상기 가동관(24)과 일체로 설치되며 상기 통수판(23) 상의 상기 통체(14)의 상부에 이탈 가능하게 헐겁게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상부 연직관(13a)에 헐겁게 끼워질 수 있게 구성된 상기 빗물 안내관(26)을 가지며,
    상기 가동관(24)을 상기 빗물 안내관(26)과 함께 상기 상부 연직관(13a)을 따라 끌어올림으로써 상기 통체(14) 및 필터(16)를 상기 고정관(22) 내로부터 꺼내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고정관(22)에 수용 가능하게 구성된 유입 통로의 빗물 여과 장치.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유입 통로(52, 92)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지중에 매설된 수평관(53)과, 상단이 지표에 노출되도록 매설되고 상기 수평관(53)이 접속된 바닥이 있는 상부 모임통(54)과, 상기 상부 모임통(54)의 바닥부에 상부가 접속되고 상기 수평관(53)으로부터 공급되는 빗물(55)이 상단 개구부(56a, 96a)로부터 흘러내리도록 하여 빗물 저장부(51)에 공급하는 통 형태의 연직 모임통(56, 96)을 가지며,
    상기 착탈 수단(64)은, 상기 연직 모임통(56, 96)의 중간 내면 또는 하단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통체(62)가 올려지는 통수판(66) 또는 바닥판(97)과, 상기 통수판(66) 또는 바닥판(97)에 올려놓은 상기 통체(62)의 상단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직 모임통(56, 96)의 내면에 고정 장착된 링형의 받침 부재(67)와, 상단이 상기 받침 부재(67)에 올려지고 하단이 상기 통체(62)의 상부에 헐겁게 삽입되는 통 형태의 상기 빗물 안내 부재(68)를 가지며,
    상기 받침 부재(67)의 내경이 상기 통체(6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빗물 안내 부재(68)를 상기 연직 모임통(56, 96)으로부터 꺼냄으로써 상기 통체(62) 및 필터(63)를 상기 연직 모임통(56, 96)으로부터 꺼내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연직 모임통(56, 96)에 수용 가능하게 구성된 유입 통로의 빗물 여과 장치.
  4. 청구항1 내지 청구항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통수성을 갖는 상기 통체(14, 62)가 다공질재, 천공 부재, 경질 네트 또는 슬릿 부재에 의해 형성된 유입 통로의 빗물 여과 장치.
  5. 청구항1 내지 청구항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16, 63)가 통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필터(16, 63)의 하단이 하측 밴드(21, 71)로 개방 가능하게 폐쇄되는 유입 통로의 빗물 여과 장치.
KR1020127000234A 2009-10-29 2009-10-29 유입 통로의 빗물 여과 장치 KR1012911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68549 WO2011052054A1 (ja) 2009-10-29 2009-10-29 流入通路の雨水濾過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4940A true KR20120024940A (ko) 2012-03-14
KR101291165B1 KR101291165B1 (ko) 2013-07-31

Family

ID=43921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0234A KR101291165B1 (ko) 2009-10-29 2009-10-29 유입 통로의 빗물 여과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926836B2 (ko)
JP (1) JP5340407B2 (ko)
KR (1) KR101291165B1 (ko)
CN (1) CN102472041B (ko)
AU (1) AU2009354647B2 (ko)
CA (1) CA2769572C (ko)
TW (1) TWI418685B (ko)
WO (1) WO201105205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3102A (ko) * 2018-12-31 2020-07-08 ㈜스페이스선 빗물 정화를 위한 우수관용 연결소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69362B2 (en) * 2003-07-31 2010-03-02 Basf Aktiengesellschaft Trap for catching woodland, garden and agricultural insect pests and method for trapping and storing woodland, garden and agricultural insect pests
US20120000546A1 (en) * 2006-12-05 2012-01-05 David Lewis Systems and Methods for the Collection, Retention, and Redistribution of Rainwater and Methods of Construction of the Same
GB201203110D0 (en) * 2012-02-23 2012-04-04 Airbus Operations Ltd A filter for a pipe
US20140054245A1 (en) * 2012-08-27 2014-02-27 Jeffrey A. Loesche Downspout filter device
DE102013002013A1 (de) * 2013-02-06 2014-08-07 Wisy Ag Haustechniksysteme, Filtertechnik System von Bauteilen, die zusammengesetzt einen Regenwasserabscheider für ein Fallrohr bilden
JP6249721B2 (ja) * 2013-11-06 2017-12-20 西松建設株式会社 サンプル採取方法
DE212015000278U1 (de) * 2014-12-07 2017-09-06 Samit Choksi System für Solar- und Regenwassernutzung in Freiflächen
CN104612337B (zh) * 2015-02-12 2017-07-04 云南彬然建筑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反涡流式虹吸雨水斗
DE102015013810A1 (de) 2015-10-27 2017-04-27 Bernd Brunnhuber Einrichtung zum Filtern von Wasser, insbesondere von Regenwasser in einem Fallrohr
US10040006B2 (en) 2016-06-03 2018-08-07 Park Teq, Llc Bag filter apparatus for filtering fluids
CN106436871A (zh) * 2016-08-03 2017-02-22 戴文平 道路雨水透水装置
US10639568B1 (en) 2017-06-13 2020-05-05 Allen Roy Carter Pipe guard
KR102290362B1 (ko) 2018-06-19 2021-08-19 엘티소재주식회사 헤테로고리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이의 제조 방법 및 유기물층용 조성물
CN111962638B (zh) * 2020-08-12 2021-10-26 合肥森印科技有限公司 一种防堵塞的卫浴用地漏
CN112459215B (zh) * 2020-11-04 2022-01-14 杭州开元文化旅游研究院有限公司 一种海绵城市pp蓄水模块池
CN112900635A (zh) * 2021-03-11 2021-06-04 宁波万基建设有限公司 一种多功能移动房屋墙体
CN113216355B (zh) * 2021-05-19 2022-06-17 润盛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降雨排水结构
CN113718694A (zh) * 2021-08-16 2021-11-30 江苏德誉环保设备科技有限公司 道路路面定时自动清洗及污水回收再利用系统
GB2612802A (en) * 2021-11-11 2023-05-17 Jeremy Langrick David Downpipe filter
US11471796B1 (en) * 2022-03-25 2022-10-18 Robert Sherwood Filtration system for a water drainag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01849A (en) * 1939-03-17 1940-05-21 Bessie D Apple Safety tile section
US2446256A (en) * 1946-11-04 1948-08-03 John C Young Downspout strainer
US2669358A (en) * 1950-01-05 1954-02-16 John C Young Strainer for downspout drains
FR2028569A1 (ko) * 1969-01-18 1970-10-09 Huppert Max
SE427680B (sv) * 1981-10-01 1983-04-25 Oscar Sven Arntyr Anordning for avskiljning och uppsamling av fororeningar vid dagvattenbrunnar
US4681790A (en) 1986-02-03 1987-07-2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Treating composition containing fluorochemical compound mixture and textiles treated therewith
JPH0235907Y2 (ko) * 1986-05-13 1990-10-01
DE3812136A1 (de) * 1987-07-21 1989-02-02 Norbert Winkle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egenwassererfassung
US4798028A (en) * 1987-11-30 1989-01-17 Pinion John A Downspout trap and clean out
JPH0581388A (ja) 1991-09-19 1993-04-02 Nec Software Ltd 図形情報表示機能検査方式
JPH0712471Y2 (ja) * 1992-04-01 1995-03-22 博 大下 雨水溝フィルター
US5452546A (en) * 1993-11-22 1995-09-26 Goddard; Steven C. Drain guard
JP3596553B2 (ja) * 1994-07-26 2004-12-02 株式会社トーテツ 流下雨水の分流管
JPH0978639A (ja) * 1995-09-20 1997-03-25 Tootetsu:Kk 流下雨水の異物除去構造及び流下雨水の分流管構造
US5985158A (en) * 1997-11-06 1999-11-16 Tiderington; Kenneth M. Removable downspout debris trap assembly
JP2003013488A (ja) * 2001-07-03 2003-01-15 Yuji Kawazu 濾過装置付き雨水桝
JP4180044B2 (ja) * 2004-11-25 2008-11-12 株式会社トーテツ 流下雨水の濾過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雨水貯留装置
CN1884727A (zh) * 2005-06-20 2006-12-27 上海万森水处理有限公司 一种双重过滤的雨水回收处理系统
TWM287830U (en) 2005-07-11 2006-02-21 Ta Fong Plastic Co Ltd Underground water preservation tank structure for recycled rain water
KR100824268B1 (ko) * 2007-02-27 2008-04-24 주식회사 프라코 배수처리장치
JP4891399B2 (ja) * 2007-05-17 2012-03-07 株式会社トーテツ 除塵管理枡
KR20090079516A (ko) * 2008-01-18 2009-07-22 조병욱 빗물받이
DE202008004861U1 (de) * 2008-04-08 2009-08-20 Flw Forschungsgemeinschaft Landschaftsbau Und Wasserwirtschaft Ag Filter für Regen- und Abwasser
CN201221103Y (zh) * 2008-05-29 2009-04-15 上海市控江初级中学 雨水过滤器
KR101054283B1 (ko) * 2009-03-09 2011-08-08 삼남전기(주) 빗물받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3102A (ko) * 2018-12-31 2020-07-08 ㈜스페이스선 빗물 정화를 위한 우수관용 연결소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72041A (zh) 2012-05-23
TW201114990A (en) 2011-05-01
AU2009354647B2 (en) 2013-01-17
AU2009354647A1 (en) 2012-03-08
CA2769572A1 (en) 2011-05-05
US8926836B2 (en) 2015-01-06
WO2011052054A1 (ja) 2011-05-05
KR101291165B1 (ko) 2013-07-31
US20120118802A1 (en) 2012-05-17
CN102472041B (zh) 2014-02-19
JP5340407B2 (ja) 2013-11-13
CA2769572C (en) 2013-09-24
JPWO2011052054A1 (ja) 2013-03-14
TWI418685B (zh) 201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1165B1 (ko) 유입 통로의 빗물 여과 장치
CA2587220C (en) Flowing-down rainwater filtration device and rainwater storage device using the same
KR101133580B1 (ko) 불순물 제거 관리 구조물
CN104863247A (zh) 带过滤功能的下水道雨篦子
JP4936955B2 (ja) 雨水一時貯留槽
JP4997009B2 (ja) 雨水浸透ます
KR101626502B1 (ko) 막힘 방지 도로 배수시설
JP5137037B2 (ja) 雨水貯水タンク
EP3674493B1 (en) Gulley
KR101828079B1 (ko) 초기우수 배제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 및 이를 포함하는 우수 재활용 시설
KR20100114813A (ko) 안전을 고려한 하수도 빗물받이
KR100976853B1 (ko) 집수정
KR20190020455A (ko) 빗물 집수판 및 이를 이용한 집수장치
JP6393379B1 (ja) 縦型雨水浸透施設
KR20080023711A (ko) 오물 자동 분리식 맨홀장치
KR20170079458A (ko) 그레이팅 거치형 간이 우수 여과장치
JP5118882B2 (ja) 集水装置
KR101322306B1 (ko) 빗물 수집장치
CN113006253A (zh) 种植坛及屋面雨水回用系统
KR200399672Y1 (ko) 빗물 저장탱크용 다기능 필터 및 이를 내장한 빗물저장탱크
WO2012122990A1 (en) A gully for a drainage system with a restricted outlet
KR20060104787A (ko) 쓰레기 수거수단이 구비된 집수 측구
KR20160099990A (ko) 빗물받이
KR20180002556U (ko) 비닐하우스용 빗물수거장치
AU2007234551A1 (en) Kerbside Gross Pollution Tr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