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4536A - 거품수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거품수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4536A
KR20120024536A KR1020117021877A KR20117021877A KR20120024536A KR 20120024536 A KR20120024536 A KR 20120024536A KR 1020117021877 A KR1020117021877 A KR 1020117021877A KR 20117021877 A KR20117021877 A KR 20117021877A KR 20120024536 A KR20120024536 A KR 20120024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low
water
air
accelerated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1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4781B1 (ko
Inventor
마사아키 타카노
Original Assignee
마사아키 타카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사아키 타카노 filed Critical 마사아키 타카노
Publication of KR20120024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4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4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4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8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g. anti-splash devices
    • E03C1/084Jet regulators with aer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05B7/0416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one gas and one liquid
    • B05B7/0425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one gas and one liquid without any source of compressed gas, e.g. the air being sucked by the pressurised liquid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40Protecting water resources
    • Y02A20/411Water saving techniques at user leve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세밀한 기포를 균질하게 함유하는 양질의 거품수를 생성할 수 있는 거품수 생성 장치를 제공한다. 수도 꼭지 등의 물 토출관에 장착하여 물 토출관으로부터 토출되는 물을 거품수로 하는 거품수 생성 장치이다. 거품수 생성 장치 내를 흐르는 수류를 형성하는 수류 형성 부품(110)과, 수류가 통과하는 부분의 수류관의 측벽면에 외기와 도통하는 도통공(121)을 갖고, 수류에 대하여 측면으로부터 공기를 공급하는 통기로(120)를 구비한다. 수류 형성 부품(110)이 수류를 가속하는 수류 가속 수단(111)을 구비하고, 수류 가속 수단(111)에 의해 가속된 가속 수류에 대하여 통기공(121)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와 접촉시켜, 가속 수류의 기세에 의해 통기공(121)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말려 들어가게 하여 거품수를 형성한다.

Description

거품수 생성 장치{FOAMED-WATER GENERATING PLUG}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수도 꼭지(일반용 수도꼭지뿐만 아니라 실험실용 수도 꼭지 등의 특수 용도의 것도 포함)나, 샤워 헤드 등 물 토출관에 장착되어, 이 물 토출관으로부터 토출되는 물을 거품수로 만드는 거품수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일반 가정이나 상업 시설 등에서 거품수가 요구되고 있다. 거품수는 손을 씻을 때에 부드러운 감촉을 갖게 하고, 유리류나 도기류를 씻을 때에도 부드러운 수류(水流, 물줄기)를 갖기 때문에, 유리류나 도기류에 흠집을 낼 우려가 없어 중용되고 있다. 또한, 거품수는 세척시 유리 그릇이나 도기류에 부딛혀도 튀어나오는 것이 거의 없어, 주위에 물을 날리거나 주위 환경에 영향을 줄 우려가 없기 때문에, 일반 가정뿐만 아니라, 역 및 공공시설의 수도 꼭지, 연구 시설의 실험실의 수도 꼭지 등에 폭 넓게 이용되고 있다.
종래 거품수를 생성하는 수단으로, 수도 꼭지 등의 물 토출관에, 거품수를 형성하는 거품수 생성 장치를 장착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종래 기술의 거품수 생성 장치는, 기본 구조로서 수류에 대하여 공기를 끌어들이기 위한 통기로를 가지며, 토출되는 물에 공기를 혼합하고, 더욱이 물 토출관 입구를 철망으로 덮고, 토출되는 물을 철망으로 잘게 썰어 잘게 천절(千切)하며, 철망을 여러 장 설치하는 것으로, 물을 다수로 잘게 썰며 공기와 혼합시켜 거품수를 형성한다.
종래 기술의 거품수 생성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종래의 거품수 생성 장치는 기포를 포함하는 거품수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기는 하였으나, 정밀하고 미세한 기포를 포함하는 거품수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종래 기술의 거품수 생성 장치는, 공기와 혼합하는 부위에서 측방으로부터 공기와 접촉시켜, 대충 혼합시키는 것으로서, 기포는 대략 수 밀리(mm) 정도의 크기에 그치는 것이었다. 또한, 한 장 또는 여러 장의 철망을 설치하여, 수류를 통과시킴으로써, 수류를 잘게 썰어 공기와의 혼합을 도와 기포를 포함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거품수 생성 장치는, 공기와 혼합시키는 부위에서, 측방에서 공기와 접촉시켜 대충 혼합하는 것이며, 또한 철망의 구멍 역시 수 밀리(mm) 정도여서, 그 이하의 미세한 기포를 만들어내는 구조로는 되어 있지 않다.
종래 기술의 방식에서, 미세한 기포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상정되는 제1 방법은, 수류(물줄기)와 공기가 접촉하는 면적을 늘리는 것이지만, 수도관의 측방에서 공기를 공급하는 한, 수평 단면에서 공기의 접촉 면적을 크게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종단면에서 공기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하는 경우, 이른바 폭포의 낙차가 커지면 많은 공기가 혼합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공기의 혼합량은 증가하지만, 수도 꼭지에 부착되는 거품수 생성 장치가 지나치게 길어져 버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종래 기술의 방식에서 미세한 기포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상정되는 제2의 방법은, 철망 눈 크기를 세밀하게 하는 것이지만, 철망으로 천절(千切)하는 이상, 밀리(mm) 단위 이하의 철망을 통과시, 수류의 저항이 커짐과 동시에, 원래 상류 측에 큰 거품으로 혼합되어 있는 기포가 철망을 잘 통과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기포가 수도관 내부에서 체류하거나, 통기로로부터 공기를 빨아내는 것이 저해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철망의 눈이 수 밀리미터 이하로 되면 이물질이나 먼지 등이 흘러 들어 왔을 경우에, 막힘이 발생해 버리는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높다.
상기 문제점에 비추어, 본 발명은 미세한 기포를 균질하게 함유하는 양질의 거품수를 생성할 수 있는 거품수 생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제1의 거품수 생성 장치는, 수도 꼭지 등의 물 토출관에 장착하여 상기 물 토출관으로부터 토출하는 물을 거품수로 하는 거품수 생성 장치로서, 상기 거품수 생성 장치 안을 흐르는 수류를 형성하는 수류 형성 부품과, 상기 수류가 통과하는 부분의 수류관의 측벽면에 외기와 도통하는 도통공을 갖고, 상기 수류관에 대하여 측면으로부터 공기를 공급하는 통기로와, 상기 수류 형성 부품이 상기 수류를 가속하는 수류 가속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수류 가속 수단에 의해 가속된 가속 수류에 대하여 상기 도통공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공기와 접촉시켜, 상기 가속 수류의 기세에 의해 상기 도통공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공기를 말려들어가게 하여 거품수를 형성하는 거품수 생성 장치이다.
상기 구성에 의해, 수류 가속 수단에 의해 거품수 생성 장치 내의 수류의 세기를 강하게 함으로써, 통기로의 도통공 부근의 기압을 크게 저하시키고, 통기로로부터 공기를 타입하여, 수류에 기세 좋게 말려 들어가게 함으로써 고품질 거품수를 생성할 수 있다.
발명자가 실제로 시험 제작을 반복하여 연구한 결과, 힘차게 흐르는 수류에 힘차게 공기가 말려들어 가는 것에 의해, 기포가 고속으로 가속 수류 중에 퍼지기 때문에, 공기가 미세한 거품이 되고, 미세한 기포가 균일하게 확산된 양질의 거품수가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여기서, 상기 가속 수류의 폭을, 상기 가속 수류가 통과하는 수류관의 폭보다 작게 하는 것에 의해, 상기 수류관을 일종의 공기 캐비티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속 수류가 상기 공기 캐비티 내에 기세 좋게(힘차게) 타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공기 캐비티 내의 공기를 말려 들어가게 하면서 흐르기 때문에, 공기 캐비티 내의 기압이 낮아져, 상기 도통공으로부터 상기 공기를 기세 좋게 끌어들여 상기 거품수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가속 수류의 위치와 수류관 측벽의 도통공 사이의 거리나 각도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거품수에 포함되는 기포의 질을 바꿀 수 있다. 왜냐하면, 도통공으로부터는 힘차게 공기가 타입되도록 빨려 들어가지만, 가속 수류와 도통공과의 위치 관계에 따라 기압의 저하량이 변하여, 도통공으로부터 타입되는 공기의 속도가 변하고, 또한 가속 수류의 타입 각도와 도통공의 설치 위치와의 관계에 따라 기압의 저하량이 변하여 도통공으로부터 투입되는 공기의 속도가 변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공기 캐비티 내에 타입되는 상기 가속 수류와 상기 도통공 사이의 거리를 가변으로 하는 가속 수류 타입 위치 가변기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기 캐비티 안으로 투입되는 강기 가속 수류의 타입 각도를 가변으로 하는 가속 수류 타입 각도 가변기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기를 타입하는 도통공의 폭을 변경하여, 타입하는 공기의 속도를 바꿀 수 있고, 가속 수류에 대해 타입되는 공기의 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통공의 폭을 가변으로 하고, 상기 도통공에 의해 끌어 넣어지는, 상기 공기의 속도를 가변으로 하는 도통공 폭 가변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가속 수류에 대하여 말려 들어가는 공기의 속도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기를 투입하는 도통공의 수류로의 측벽면에 대한 도통 각도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투입하는 공기의 각도를 바꿀 수 있어, 가속 수류에 대해 투입하는 공기의 각도나 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기로의 상기 수류로의 측벽면에 대한 도통 각도를 상기 가속 수류의 방향에 대해, 0도 보다 크고 90도 보다 작은 각도로 하는 구조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통기로의 상기 수류로의 측벽면에 대한 도통 각도를 상기 가속 수류의 방향에 대해, 90도 보다 크고 180도 보다 작은 각도로 하는 구조도 가능하다.
또한, 공기를 투입하는, 도통공의 수류로의 측벽면에 대한 도통 각도를 고정적으로 하지 않고, 상기 가속 수류의 방향에 대해 상기 통기로의 상기 수류로의 측벽면에 대한 도통 각도를 가변으로 하는 통기로 도통 각도 가변 기구를 구비하는 구조도 가능하다.
또한, 가속 수류 폭 자체를 바꾸는 것도 공기의 혼합 상태를 바꾸는 것이 된다.
따라서 상기 수류 형성 부품을 상기 물 토출관 내부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거품수 생성 장치 부품이 형성하고 있는 수류로의 폭을 가변으로 하는 수류로 폭 가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수류로 폭 가변 수단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가속 수류의 폭을 조정하는 구조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거품수 생성 장치는, 가속 수류를 생성하기 때문에, 기세가 너무 강하면, 거품수로는 되어 있지만 세척하고 잇는 손가락이 아픈 경우나, 토출된 수류가 맞고 튀어나가 주변으로 비산하는 일이 생길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가속 수단에 의해 가속되어 상기 거품수가 된 수류의 기세를 약화시켜 하류측으로 보내는 감속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토출하는 거품수의 속도를 조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은 가속 수류의 개수가 한 개여도, 복수개여도 좋다.
본 발명의 거품수 생성 장치에 따르면, 수류 가속 수단에 의해, 거품수 생성 장치내의 수류의 기세를 높임으로써, 통기로의 도통공 부근의 기압을 크게 저하시키고, 통기로로부터 공기를 타입하여, 수류에 힘차게 말려 들게 함으로써 양질의 거품수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거품수 생성 장치에 의하면, 가속 수류의 폭을 상기 가속 수류가 통과하는 수류관의 폭 보다 작게하는 것에 의해, 상기 수류관을 일종의 공기 캐비티로 할 수 있고, 상기 가속 수류가 상기 공기 캐비티 내로 기세 좋게 타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공기 캐비티 내의 공기를 말려들게 하면서 흐르기 때문에, 공기 캐비티 내의 기압이 낮아져, 상기 도통공으로부터 상기 공기를 힘차게 끌어들여 상기 거품수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가속 수류의 위치와 수류관 측벽의 도통공 사이의 거리나 각도를 변경하여 거품수에 포함되는 기포의 질을 바꿀 수 있고, 또한 공기를 타입하는 도통공의 폭을 바꾸는 것에 의해, 타입되는 공기의 속도를 바꿀 수 있어, 가속 수류에 대해 타입하는 공기의 속도를 조정할 수 있으며, 또한, 공기를 타입하는 도통공의 수류로의 측벽면에 대한 도통 각도를 바꾸는 것에 의해, 타입되는 공기의 각도를 바꾸는 것이 가능하여, 가속 수류에 대해 타입되는 공기의 각도나 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거품수 생성 장치(100)의 기본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구조에서 수류를 흘려 거품수를 생성하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실시예 2에 관한 거품수 생성 장치(100a)의 일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실시예 2의 수류 형성 부품(110a)의 형상을 알기 쉽게 꺼내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본 실시예 2의 거품수 생성 장치(100a)를 사용하여 수류를 흘려 거품수를 생성하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은 가속 수류 타입 위치 가변기구를 구비한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7은 가속 수류 튜입 각도 가변기구를 구비한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8은 도통공 폭 가변기구를 구비한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9는 통기로 도통 각도 가변기구를 구비한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중에 1)이다.
도10은 통기로 도통 각도 가변기구를 구비한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중에 2)이다.
도11은 실시예 3에 관한, 수류 감속 수단을 구비한 거품수 생성 장치(100b)의 구조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2는 도11에서 도시한 실시예 3의 구성예에서, 수류를 흘려 거품수를 생성하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거품수 생성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의 범위는 다음의 실시예에 나타나는 구체적인 용도, 형상, 개수 등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1)
실시예1에 관한 본 발명의 거품수 생성 장치의 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1의 거품수 생성 장치(100)는 절수 효과를 발휘함과 동시에 막힘이 생겨도 막힘을 해소하는 기능을 구비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거품수 생성 장치(100)의 기본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거품수 생성 장치(100)는, 수도 꼭지 등의 물 토출관(200)에 장착되어 물 토출관(200)으로부터 토출되는 물을 거품수로 만드는 것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거품수 생성 장치(100)는 수류 형성 부품(110), 통기로(120), 수류로(130), 어태치먼트부(150)를 구비하고 있다. 도1에서는 내부 구조를 알기 쉽도록 종단면으로 도시하고 있다.
수류 형성 부품(110)은 거품수 생성 장치(100) 안을 흐르는 수류(水流)를 형성하는 부분이다. 여기에서는 수류 형성 부품(110)은 수류를 가속하는 수류 가속 수단(111)을 구비하고 있다. 수류를 가속하는 수단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도1의 구조예는, 일례로서, 수류를 가속하는 개소에 있어서, 수로의 폭을 좁히는 것에 의해, 통과하는 수류의 속도를 올리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이 구성예에서는 상면 전체는 수도 꼭지의 전체면을 덮는 것이지만, 단순히 중앙에 폭이 좁은 구멍이 난 부재로 되어 있어, 상기 중앙의 구멍이 수류관(130)이 되고 있다. 즉, 상류 측의 어태치먼트부(150)의 수류 폭(A)에 비해, 수류 가속 수단(111)에 의해 속도가 올라간 수류 폭(B)을 작은 것으로 하여, 수류의 폭을 좁게하는 것에 의해 수류의 속도를 가속한다.
이 예에서는 가속 수류의 형상은 원통 모양의 것으로 하여 내보내고 있지만, 봉상(棒狀)의 것에 한정하지 않고, 수류 형성 부품(110)과 수류 가속 수단(111)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것이 가능하다.
또한, 수류 가속 수단(111)을 상기 구성으로 하면, 절수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즉, 상류측의 수류로(130)의 폭에 비해 수류 가속 수단(111)에 의해 형성된 수류의 폭을 좁게하는 것에 의해 결과적으로 절수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어태치먼트부(150)는 물 토출관(200)에 설치하는 것으로, 수도 꼭지(200), 수류 형성 부품(110) 사이를 연결하는 어태치먼트로 되어 있고, 내부의 수류 형성 부품(110)을 둘러하는 관체(管體)로 되어 있다.
어태치먼트부(150)의 내경은 수도 꼭지의 물 토출관(200) 외경과 대략 동일한 직경으로 되어 있다. 즉, 물 토출관(200)에 대해 설치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수도 꼭지(200)와의 사이에서 나사 결합하는 나합(螺合) 나사를 구비하고 있다. 나합 나사를 수도 꼭지의 물 토출관(200)의 외주에 설치되어 있는 숫나사와 나사 결합시켜 누수 없이 나사결합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어태치먼트부(150)로, 수도 꼭지 등의 물 토출관(200)의 유출구의 형상이나 크기에 맞춘 사이즈의 것을 사용할 필요가 있지만, 수도 꼭지 등의 물 토출관(200)은 기본적으로 용도 등에 따라 표준화되어 있는 것도 많다. 예를 들어, 연구 시설이나 학교에서 사용되는 수도 꼭지 등은 적어도 연구 시설 내에 있는 수도 꼭지의 대부분이 동일 형상, 동일 크기로 되어 있는 것이 많다.
어태치먼트부(150)는 사발 모양의 관체(114)와 그 하방의 수류로(130) 주변을 계지(係止)하는 계지부(151)을 구비하고 있다. 계지부(151)의 존재에 의해, 사발 모양의 관체(114)와 그 하방의 수류로(130)는 어태치먼트부(150)를 통해 수도꼭지(200)에 매달려 고정된다.
통기로(120)는 외기와 통하는 공기의 통로이며, 수류관(130) 측벽면에 도통공(121) 설치되어 있어, 수류관(130) 측벽면으로부터 공기를 공급하는 부분이다. 이 구성예에서는 수류 가속 수단(111)이 설치되어 수류의 속도가 커지는 부분의 측벽면에 도통공(121) 설치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수류 가속 수단(111)에 의해 가속된 가속 수류에 대해 도통공(121)으로부터 공기를 공급하고 접촉시켜, 가속 수류의 기세에 의해 공기를 말려들게 하여 거품수를 형성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가속 수류가 기세 좋게 하류로 흘러 나가는 것에 의해 도통공(121) 부근에서는 기압이 크게 떨어지고, 통기로(120)로부터 공기가 힘차게 빨려 들어가, 이른바 가속 수류에 대해 공기가 타입(打入)되는 상태 된다.
가속 수류의 속도가 빠를수록 통기로(120)로부터 빨려 들어가 가속 수류에 타입되는 공기의 속도도 빨라지며, 더욱 공기와의 혼합이 촉진된다. 또한, 가속 수류 측면으로부터 내부에 타입된 공기는 수류중에 확산되어 균질하고 미세한 기포가 된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구조에서 수류(水流, 물줄기)를 흘려 거품수를 생성하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수류의 흐름, 공기의 흐름, 형성되는 거품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상류에서 흘러 들어온 수류는 도통공(121)보다 하류가 되면 도통공(121)으로부터 타입된 공기가 혼합되어 거품수로 변화하여 하류로 흘러 간다.
수류 가속 수단(111)을 좁혀 수류의 속도를 크게 하면, 도통공(121) 부근의 기압 저하가 커지고, 타입되는 공기의 속도가 커지며, 형성되는 거품수의 기포의 양이 많아져, 기포의 크기가 미세해진다.
이상 실시예 1의 거품수 생성 장치에 의하면, 수류 가속 수단에 의해 거품수 생성 장치 내의 수류의 세기를 높임으로써, 통기로의 도통공 부근의 기압을 크게 저하시켜, 환기로로부터 공기를 타입시켜, 수류에 힘차게 말려들어 가게 함으로써 양질의 거품수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2)
실시예 2로서, 공기 캐비티(cavity)를 이용하는 구조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2와 관련된 거품수 생성 장치(100a)는 수류관 내에 공기 캐배티(131)를 설치하여, 가속 수류의 폭을 수류관(130)의 폭보다 작게하고, 가속 수류를 공기 캐비티(131)에 기세 좋게 타입(打入)하는 것에 의해, 공기 캐비티(131) 내의 기압을 낮춰, 도통공(121)으로부터 공기를 강하게 빨아 넣어 거품수를 형성하는 것이다.
도3은 실시예 2에 관련된, 거품수 생성 장치(100a)의 일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1과 같이, 내부의 구조를 알기 쉽도록, 종단면도로서 나타내고 있다. 실제로는 세로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체로 되어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부(150)의 하방에 수류 형성 부품(110a)이 형성되어, 수류 가속 수단(111a) 의해 가속 수류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도3의 상태는, 사발 모양의 관체(113)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역 원추체(112)를 끼워넣은 상태이다. 여기에서, 양자를 빈틈 없이 끼워 넣는 것이 아니라, 양자간에 극간(隙間, 114)을 설치하도록 조정하고, 역원추체(112)의 측면과 대향하는 사발형의 관체(113)의 내주벽면과의 극간(114)을 형성하여, 상기 극간(114)이 거품수 생성 장치(100a) 내의 수류로가 된다. 도면 중, 역 원추체(112) 및 하방의 통기로(120)가 사발형의 관체(113)로부터는 조금 떠 있는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역원추체(112) 및 하방의 통기로(120)는, 도시되지 않은 구조물에 의해 상방으로 유지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어태치먼트부(150)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물 토출관(2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수도꼭지(200), 수류 형성 부품(110) 사이를 연결하는 어태치먼트로 되어 있고, 내부의 수류 형성 부품(110)을 감싸는 관체로 되어 있다.
도4는 실시예 2의 수류 형성 부품(110a)의 형상을 알기 쉽도록 꺼내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종단면을 나타내고 있고, 실제로는 세로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체로되어 있지만, 도통공(121)만은 회전체가 아니라 통기로(120) 측면에 다수 뚫린 구멍으로 되어 있다. 수류 형성 부품(110a)의 수류 가속 수단(111a)은 역원추체(112)의 측면과 대향하는 사발 모양의 관체(113)의 내주벽면과의 조합으로 되어, 양자간의 극간(114)이 거품수 생성 장치(100a) 내의 수류로 되어 있다.
도4 (a)는 역원추체(112)와 하방에 설치된 통기로(120)을 꺼내어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통기로(120)는 중공 원관체(圓管體)로 되어 있다. 도통공(121)은 통기로(120)의 측면에 뚫린 구멍이다.
도4 (b)는 사발 모양의 관체(113) 하방에 설치되어 있는 수류로(130)를 꺼내 보여주는 도면이다. 한편, 수류로(130)는 중공 원통체로 되어 있다.
이 극간(114)을 통과하는 것에 의해, 상류의 어태치먼트부(150)의 폭에 비해 극간(114)의 폭이 작기 때문에, 극간(114)을 통과할 때에 수류가 가속된다.
이 구성예에서는 수로 형성 부품(110a)이 형성하는 가속 수로는 원통형, 즉 회전하는 띠 모양의 것으로 한다. 또한, 가속 수류의 형상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류 형성 부품(110a)의 수류 가속 수단(111a)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것이 가능하다.
이 구성예에서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구성예에서는 수류 가속 수단(111) 직후의 수류관(130)의 일부 공간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류를 흘린 경우에도 공기가 존재하는 공기 캐비티(131)가 된다. 즉, 이 구성예에서는, 수류 가속 수단(111) 직후의 수류관(130)의 폭 A가 이 가속 수류의 폭 B보다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수류 가속 수단(111a)으로부터 타입된 가속 수류는 공기 캐비티(131) 내의 공기 중에 힘차게 타입되는 것이 된다.
도5는 본 실시예 2의 거품수 생성 장치(100a)를 사용하여 수류를 흘려 거품수를 생성하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어태치먼트부(150)로부터 수류로 형성 부품(110a)의 극간(114)을 향해 수류가 흐르고, 극간(114)를 통과할 때 수류가 가속된다. 가속 수류는 공기 캐비티(131) 속에 타입된다. 여기에서는 가속 수류의 폭보다 수류로(130) 폭이 더 넓기 때문에, 내부에 공기가 존재하고 있다. 극간(114)의 하방 중심측에는 도통공(121)이 있다.
가속 수류는 공기로 충만한 공기 캐비티(131)에 타입되는데, 그 기세로 공기를 말려들게 하면서 하류로 흘러 간다. 따라서 공기 캐비티(131) 내의 공기가 흘러, 기압이 저하된다. 공기 캐비티(131)에는 도통공(121)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압 저하는 도통공(121) 부근에도 일어나고, 결국 도통공(121) 부근의 기압이 크게 저하한다. 도통공(121)은 통기로(120)를 통해 외기와 통하고 있기 때문에, 공기 캐비티(131) 내의 기압 저하에 의해 통기로를 통해 외부 공기가 기세 좋게 공기 캐비티(131)에 흡입된다. 도통공(121)의 지름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공기가 기세 좋게 빨려들어오면, 도통공(121)을 통과하는 공기 흐름의 속도가 커진다. 여기에서 도통공(121) 부근에 가속 수류가 흐르고 있기 때문에, 가속 수류에 대하여 공기가 타입되는 것이 된다.
공기 캐비티(131)에는 공기가 충만되어 있어, 상기 공기 덩어리를 향해 힘차게 가속 수류를 타입한 후, 측면으로부터는 도통공(121)으로부터 공기가 타입되어, 가속 수류내에 기포가 균일하게 확산되어 가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 그 결과 양질의 거품수를 생성할 수 있다.
도5에서는, 거품수의 변화전 물의 해칭에 비해, 거품수의 변화 후의 물의 해칭이 세밀한 해칭으로 바꾸어 그려져 있다.
상기 구성이 공기 캐비티(131)를 이용하는 기본적인 구성 예이다.
다음으로, 공기 캐비티(131) 타입되는 가속 수류와 측방으로부터 공기를 타입하는 도통공(121) 사이의 거리, 공기 캐비티(131) 타입되는 가속 수류의 타입 각도, 도통공의 폭, 도통공의 설치 각도 (도통공(121)으로부터 가속 수류에 공기를 타입하는 각도) 등 제반 조건의 조정이 가능한 사항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공기 캐비티(131)에 타입되는 가속 수류와 도통공(121) 사이의 거리를 가변으로 하는, 가속 수류 타입 위치 가변기구를 구비한 구성예에 대해 말한다.
도6은 가속 수류 타입 위치 가변기구를 구비한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6에서도 거품수로 변화전의 물의 해칭과 비교해, 거품수로 변화 후 물의 해칭이 세밀한 해칭으로 바꾸어 도시되어 있다.
가속 수류 타입 위치 가변기구는, 수류 형성 부품(110a)에 의해 형성되고, 수류 가속 수단(111a) 의해 가속된 가속 수류의 형성 위치를 바꾸며, 도통공(121)에 대한 거리를 가변으로 하는 부분이다. 가속 수류 형성 위치를 바꾸고 도통공(121)에 대한 거리를 가변으로 하는 방법은 제한되지 않으나, 이 구성예에서는 가속 수류 타입 위치 가변기구에 의해 수류 형성 부품(110a) 및 수류 가속 수단(111a) 형성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면 중에는, 가속 수류 타입 위치 가변기구의 구체적인 구조까지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도면의 화살표처럼, 극간(114)를 형성하는 관체의 위치를 중심 가까이 하거나 외주 가까이 하도록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속 수류 타입 위치 가변기구에 의해 도6 (a) 로부터 도6 (b)와 같이 조정되면, 가속 수류 형성 위치가 중심측(도통공(121)에서 가까운 쪽)으로 변하여, 도통공(121)에 대한 거리가 작아 진다. 한편, 가속 수류 타입 위치 가변기구에 의해 도6 (b)로부터 도6 (a)와 같이 조정되면, 가속 수류 형성 위치가 외주측(도통공(121)에서 먼 쪽)으로 변하여, 도통공(121)에 대한 거리가 커진다.
도통공(121)으로부터 타입된 공기는 공기 캐비티(131) 내에 들어가면 내부에 있는 공기와 충돌하기 때문에 저항이 되고, 가속 수류에 타입될 때까지 공기 캐비티 내의 이동 거리가 길어 질수록 공기의 속도가 떨어지지만, 반대로 이 공기 캐비티 내의 이동 거리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가속 수류에 타입되는 공기의 속도,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도6 (a)와 나타난 바와 같이, 가속 수류 형성 위치가 중심측으로 변하여, 도통공(121)에 대한 거리가 작아지면, 도통공(121)으로부터 타입되는 공기가 가속 수류에 타입되는 속도나 양이 늘어 가속 수류 중에 혼입하는 기포의 양이 증가하게 된다.
반대로, 도6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속 수류 형성 위치가 외주측으로 변하여, 도통공(121)에 대한 거리가 커지면, 도통공(121) 으로부터 타입되는 공기가 가속 수류 중에 타입되는 속도나 양이 줄어, 가속 수류 중에 혼입하는 기포의 양이 감소하게 된다.
이처럼 가속 수류 타입 위치 가변기구에 의해 가속 수류 타입 위치를 조정하여, 기포의 양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실제로 가속 수류에 혼입하는 기포의 양과 기포의 크기는, 가속 수류의 수량, 가속 수류의 속도, 공기 캐비티(131)의 크기와 폭, 도입공(121) 크기 등의 조건에 따라 변화되지만, 이를 감안하여 가속 수류 타입 위치 가변기구에 의해 가속 수류 타입 위치를 바꿈으로써 가속 수류에 혼입하는 기포의 양과 기포의 크기를 조정하면 된다.
다음으로, 공기 캐비티(131)에 타입되는 가속 수류의 타입 각도를 가변으로 하는 가속 수류 타입 각도 가변기구를 구비한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7은 가속 수류 타입 각도 가변기구를 구비한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7에서도 거품수로 변화전의 물의 해칭과 비교해, 거품수로 변화후의 물의 해칭을 세밀한 해칭으로 바꾸어 도시하고 있다.
가속 수류 타입 각도 가변기구는, 수류 형성 부품(110a)에 의해 형성되며, 수류 가속 수단(111a) 의해 가속된 가속 수류의 타입 각도를 바꾸어, 도통공(121)에 대한 거리와 각도를 가변으로 하는 부분이다. 가속 수류의 타입 각도를 바꾸고 도통공(121)에 대한 거리나 각도를 조정하는 방법은 제한되지 않으나, 이 구성예에서는 가속 수류 타입 각도 가변기구에 의해 수류 형성 부품(110a) 및 수류 가속 수단(111a)의 설치 각도를 바꿀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면 중에서는 도통공 폭 가변기구의 구체적인 구조까지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도면중의 화살표처럼 도통공(121)을 형성하는 관체를 올렸다 내렸다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면 중에서는 가속 수류 타입 각도 가변기구의 구체적인 구조까지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도면의 화살표처럼 극간(114)를 형성하는 관체의 경사 각도를 변화시킬 수게 되어 있다.
가속 수류 타입 각도 가변기구에 의해 도7(a)로부터 도7(b)와 같이 조정하면, 가속 수류의 타입 각도가 중심측(도통공(121)에서 가까운 쪽)으로 변하고, 도통공(121)에 대한 거리가 작아 진다. 한편, 가속 수류 타입 각도 가변기구에 의해 도7 (b)로부터 도7 (a)와 같이 조정하면, 가속 수류 형성 위치가 외주측(도통공(121)에서 먼 쪽)으로 변하여, 도통공(121)에 대한 거리가 커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통공(121)으로부터 타입된 공기는 공기 캐비티(131) 내로 들어가면, 내부의 공기와 충돌하기 때문에 저항이 되어, 가속 수류에 타입될 때까지의 공기 캐비티(131)의 이동 거리가 길어 질수록 공기의 속도가 떨어지지만, 반대로 이 공기 캐비티 내의 이동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가속 수류에 타입되는 공기의 속도,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도7(a)와 같이 가속 수류 타입 각도가 중심측으로 변하고, 도통공(121)에 대한 거리가 작아지면, 도통공(121)으로부터 타입되는 공기가 가속 수류에 타입되는 속도와 양이 늘어, 가속 수류 중에 혼입하는 기포의 양이 증가하게 된다.
반대로, 도7(b)에서와 같이, 가속 수류의 타입 각도가 외주측으로 변하고, 도통공(121)에 대한 거리가 커지면, 도통공(121)으로부터 타입되는 공기가 가속 수류에 타입되는 속도와 양이 줄어 가속 수류 중에 혼입하는 기포의 양이 감소하게 된다.
이처럼, 가속 수류 타입 각도 가변기구에 의해, 가속 수류 타입 각도를 조정하여 기포의 양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실제로 가속 수류에 혼입하는 기포의 양과 기포의 크기는, 가속 수류의 수량, 가속 수류의 속도, 공기 캐비티(131)의 크기와 폭, 도입공(121) 크기 등의 조건에 따라 변화지만, 이를 감안하여, 가속 수류 타입 각도 가변기구에 의해 가속 수류 타입 각도를 바꿈으로써, 가속 수류에 혼입하는 기포의 양과 기포의 크기를 조정하면 된다.
다음으로, 도통공(121)의 폭을 가변으로 하여, 도통공(121)에 의해 끌어 들인 공기의 속도를 가변으로 하는 도통공 폭 가변기구를 구비한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8은 도통공 폭 가변기구를 구비한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실시예 1의 구조예에서, 도통공(121)의 폭이 가변으로 되는 예로 설명한다.
도8에서도 거품수로 변화전의 물의 해칭과 비교해, 거품수로 변화후의 물의 해칭을 세밀한 해칭으로 바꾸어 도시한다.
도통공 폭 가변기구는 도통공(121)의 폭을 변경하여, 도통공(121)으로부터 빨아 들여져 공기 캐비티 내에 타입되는 공기의 속도를 가변으로 하는 부분이다. 도통공(121)의 폭을 가변하는 방법은 한정되지 않으나, 이 구성예에서는 도통공 폭 가변기구에 의해 도통공(121)을 형성하는 부품의 상하의 상대적인 거리를 가변으로 하여, 양자의 극간의 크기를 바꿀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면 중에서는 도통공 폭 가변기구의 구체적인 구조까지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도면의 화살표처럼 도통공(121)을 형성하는 관체를 올렸다 내렸다 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도통공 폭 가변기구에 의해 도8 (a)로부터 도8 (b)와 같이 조정하면, 도통공(121)의 폭이 넓어지고, 도통공(121)으로부터 빨아 들여진 공기의 이동 통로가 넓어진다. 공기 캐비티(131) 내의 기압이 낮아지는 경우에는 빨아 들여진 공기의 양이 일정하기 때문에, 도통공(121)을 통과하는 공기 흐름의 속도가 저하된다. 한편, 도통공 폭 가변기구에 의해 도8 (b)부터 도8 (a)와 같이 조정하면, 도통공(121)의 폭이 좁아 져서, 도통공(121)으로부터 빨아 들여지는 공기의 통로가 좁아진다. 공기 캐비티(131) 내의 기압이 낮아진 경우에는, 빨아 들여지는 공기의 양이 일정하기 때문에, 도통공(121)을 통과하는 공기 흐름 속도가 증가한다.
즉, 도8 (a)의 상태는 도8 (b) 상태에 비해, 도통공(121)으로부터 타입되는 공기 흐름의 속도가 빨라지고, 가속 수류 중에 타입되는 공기 흐름의 속도와 양이 증가하고, 가속 수류 중에 혼입하는 기포의 양이 증가하게 된다.
반대로 도8 (b)의 상태는 도8 (a)의 상태에 비해, 도통공(121)으로부터 타입되는 공기 흐름의 속도가 느려지고, 가속 수류에 타입되는 공기 흐름의 속도와 양이 줄어, 가속 수류 중에 혼입하는 기포의 양이 감소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도통공 폭 가변기구에 의해 도통공(121) 폭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기포의 양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실제로 가속 수류에 혼입하는 기포의 양과 기포의 크기는, 가속 수류의 수량, 가속 수류의 속도, 공기 캐비티(131)의 크기와 폭, 도통공(121) 크기 등의 제반 조건에 따라 변화하는데, 이를 감안하여, 도통공 폭 가변기구에 의한 도통공(121)의 폭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가속 수류에 혼입하는 기포의 양과 기포의 크기를 조정하면 된다.
다음으로, 통기로(120)의 수류로의 측벽면에 대한 도통 각도를 가변으로 하는, 통기로 도통 각도 가변기구를 구비한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9는 통기로 도통 각도 가변기구를 구비한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실시예 1의 구조예에서, 도통공(121) 설치 각도가 가변으로 되는 예로서 설명한다.
도9에서도, 거품수로 변화전의 물의 해칭에 비해, 거품수로 변화후의 물의 해칭을 세밀한 해칭으로 바꾸어 도시한다.
통기로 도통 각도 가변기구는, 수류로(130)에 대한 통기로(120) 설치 각도를 가변으로 하여, 공기 캐비티(131)에 대하여 타입되는 공기 흐름의 각도를 조정하는 것이다. 수류로(130)에 대한 통기로(120)의 설치 각도를 조정하는 방법은 한정되지 않으나, 이 구성예에서는 통기로 도통 각도 가변기구에 의해 통기로(120)를 형성하는 부품의 각도를 가변으로 하고, 양자의 극간 각도를 바꾸는 것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도9 (a) 상태에서는, 통기로(120)의 수류관의 측벽면에 대한 설치 각도가, 가속 수류의 방향에 대하여 90도로 되어 있어, 도통공(121)으로부터 타입되는 공기 입자는 가속 수류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타입된다.
한편, 도9 (b) 상태에서는, 통기로(120) 수류관의 측벽에 대한 설치 각도가, 가속 수류의 방향에 대해 0도 보다 크고 90도 보다 작은 각도 (이 예에서는 약 45도)로 되어있어, 도통공(121)으로부터 타입되는 공기 입자는 가속 수류에 대해 45도 각도로 타입된다.
또한, 도10의 상태에서는, 통기로(120)의 수류관의 측벽에 대한 설치 각도가, 가속 수류의 방향에 대해, 90도보다 크고 180도보다 작은 각도 (이 예에서는 약 135도)로 되어, 도통공(121)으로부터 타입되는 공기 입자는 가속 수류에 대해 135도 각도로 타입된다.
이와 같이, 가속 수류에 타입되는 공기 흐름의 각도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공기 흐름이 가속 수류에 대해 충돌하는 속도나 각도가 변화하게 되어, 가속 수류에 혼입하는 기포의 양이나 기포의 크기가 변화하게 된다.
또한, 실제로 가속 수류에 혼입하는 기포의 양이나 기포의 크기는, 가속 수류의 수량, 가속 수류의 속도, 공기 캐비티(131)의 크기나 폭, 도입공(121) 크기 등의 제반 조건에 따라 변하지만, 이를 감안하여, 통기로 도통 각도 가변기구에 의한 통기로(120) 도통 각도를 바꿈으로써, 가속 수류에 혼입하는 기포의 양이나 기포의 크기를 조정하면 된다.
(실시예 3)
실시예 3의 거품수 생성 장치(100b)는, 수류 가속 수단에 의해 가속되어, 거품수가 된 수류의 세기를 약화시켜, 하류측에 안내하는 수류 감속 수단을 구비하여, 토출하는 거품수의 속도를 조정하는 구성예이다.
도11은 실시예 3에 관한 수류 감속 수단을 구비한 거품수 생성 장치(100b)의 구조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는, 실시예 2의 도3 내지 도5 등에 나타난 구조예에서, 수류 감속 수단(140)을 구비한 구조예로 설명한다.
거품수 생성 장치(100b)는 수류 형성 부품(110), 수류 가속 수단(111), 통기로(120), 도통공(121), 수류로(130), 공기 캐비티(131)에 더하여, 수류 감속 수단(140)을 구비하고 있다. 도11에서는, 거품수 생성 장치(100b)의 각부 구조를 알기 쉽게, 수류 형성 부품(110), 수류 가속 수단(111), 통기로(120), 수류로(130), 공기 캐비티(131)의 각 구성 요소는 모두 단면도로서 나타내고 있고, 세로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킨 회전체로 되어 있다. 도통공(121)은 원통형의 수류로(130) 측벽에 적절히 다수 설치된 구멍으로 되어 있고, 완전한 회전체로는 되어 있지 않다.
수류 형성 부품(110), 수류 가속 수단(111), 통기로(120), 도통공(121), 수류로(130), 공기 캐비티(131)는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서 설명은 생략 한다.
수류 감속 수단(140)의 구조는 수류를 감속시키는 수단이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이 구성예에서는 확산판으로 되어 있다.
수류 감속 수단(140)인 확산판은 수류로(130) 내주벽으로부터 외주벽을 향해 설치되는, 원추대(원뿔대)와 같은 원판체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부품 점수를 줄이기 위해, 수류로(130)에 일체화되어 형성된 구조예로 되어 있다.
이 구성예에서는, 수류 감속 수단(140)인 확산판은, 수류로(130) 내부를 통과하는 수류에 맞게 설치되어있다. 즉, 수류 감속 수단(140)인 확산판은, 상류의 수류 형성 부품(110)의 수류 가속 수단(111)으로 가속되어, 도통공(121)의 인근을 통과하며 기포를 함유한 거품수가 되어, 하류에 타입되어 온 수류(물줄기)가 충돌하도록 그 위치와 각도가 조정되어있다. 이 구성예에서는 수류 감속 수단(140)인 확산판은 약간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 수류 감속 수단(140)인 확산판에 충돌하여 기세가 약해진 수류는 외주측으로 튀어 나가, 수류 감속 수단(140)인 확산판 주위에 있는 극간(141)를 통해서 하류의 수류로(130)로부터 흘러 나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수류 감속 수단(140)은 가속된 수류의 세기를 약화시킬 수 있으면 되기 때문에, 과잉 흐름을 약화시켜 수류가 토출될때까지의 시간을 길게 해 버리면, 생성된 거품수의 거품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해 버리므로, 수류 감속 수단(140)은, 물줄기를 적당히 약화시킬 수 있으면 되며, 수류의 체류 시간은 짧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2는, 도11에 나타낸 실시예 3에 관한 구성예에서 수류를 흘려 거품수를 생성하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거품수로 변화전의 물의 해칭에 비해 거품수로 변화후의 물의 해칭을 세밀한 해칭으로 바꾸어 도시하고 있다. 실시예 2의 도5에서 볼 수 있듯이, 역원추체(112)와 사발 모양의 관체(113)와의 극간(114)의 수류 가속 수단(110a) 의해 가속된 가속 수류가, 공기 캐비티(131) 내에 타입되고, 도통공(121)을 통과할 때에 공기가 타입되어, 거품수가 된다. 여기서, 실시예3의 구조예에서는, 거품수의 분사 위치에 수류 가속 수단(140)인 확산체가 있고, 상기 확산체에 충돌하여 수류의 세기가 약화된다. 이 구성예에서는, 세기가 약화된 거품수는 과잉으로 체류하는 일이 없고, 수류 감속 수단(140)인 확산체와 수류로(130)와의 극간으로부터 하류로 흘러 나가며, 그 결과, 거품수는 부드러운 수류로서 토출된다.
이상, 실시예3의 거품수 생성 장치에 의하면, 균질한 양질의 거품수를 생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부드러운 거품수를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일반용 수도 꼭지뿐만이 아니라, 실험실용의 수도꼭지, 풀에서 눈을 닦는 수도 꼭지, 샤워 장치 등 물이 나오는 것이라면, 그 용도에 한정되지 않고, 절수기능과 거품기능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며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본 발명은, 일반용 수도 꼭지뿐만이 아니라, 실험실용의 수도 꼭지, 풀에서 눈을 씻는 후도 꼭지, 샤워장치 등 물이 나오는 것이라면, 그 용도에 한정되지 않고, 거품수 생성 기능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1)

  1. 수도 꼭지 등의 물 토출관에 장착되어 상기 물 토출관으로부터 토출되는 물을 거품수로 하는 거품수 생성 장치로서,
    상기 거품수 생성 장치 안을 흐르는 수류를 형성하는 수류 형성 부품과,
    상기 수류가 통과하는 부분의 수류관의 측벽면에 외기와 도통하는 도통공을 가지며, 상기 수류에 대하여 측면으로부터 공기를 공급하는 통기로를 구비하고,
    상기 수류 형성 부품이 상기 수류를 가속하는 수류 가속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수류 가속 수단에 의해 가속된 가속 수류에 대하여 상기 도통공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공기와 접촉시켜, 상기 가속 수류의 기세에 의해 상기 도통공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공기를 말려들게 하여 거품수를 형성하는 거품수 생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 수류의 폭을, 상기 가속 수류가 통과하는 수류관의 폭 보다도 작게하고, 상기 수류관이 공기 캐비티가 되어, 상기 가속 수류가 상기 공기 캐비티 내에 기세 좋게 타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공기 캐비티 내의 기압을 낮추어 상기 도통공으로부터 상기 공기를 끌어 들여 상기 거품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수 생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캐비티 내에 타입되는 상기 가속 수류와 상기 도통공과의 거리를 가변으로 하는 가속 수류 타입 위치 가변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수 생성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 수류의 상기 공기 캐비티 내로의 타입 각도를 가변으로 하는 가속 수류 타입 각도 가변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수 생성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통공의 폭을 가변으로 하여, 상기 도통공에 의해 끌어 들여진 상기 공기의 속도를 가변으로 하는 도통공 폭 가변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가속 수류에 대하여 말려 들어간 공기의 속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수 생성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로의 상기 수류로의 측벽면에 대한 도통 각도를, 상기 가속 수류의 방향에 대하여, 0도 보다 크고 90도 보다 작은 각도로 한 거품수 생성 장치.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로의 상기 수류로의 측벽면에 대한 도통 각도를, 상기 가속 수류의 방향에 대하여, 90도 보다 크고 180도 보다 작은 각도로 하는 거품수 생성 장치.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 수류의 방향에 대하여, 상기 통기로의 상기 수류로의 측벽면에 대한 도통각도를 가변으로 하는 통기로 도통 각도 가변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수 생성 부품.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류 형성 부품을 상기 물 토출관 내부에 장착한 상태로 상기 거품수 생성 장치 부품이 형성하고 있는 수류로의 폭을 가변으로 하는 수류로 폭 가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수류로 폭 가변 수단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가속 수류의 폭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수 생성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 수단에 의해 가속 되고, 상기 거품수가 된 수류의 세기를 약화시켜 하류측에 안내하는 감속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토출하는 거품수의 속도를 조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수 생성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류 형성 부품으로 형성된 가속 수류의 개수를 복수개로하는 거품수 생성 장치.

KR1020117021877A 2009-03-26 2009-03-26 거품수 생성 장치 KR1012847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56852 WO2010109680A1 (ja) 2009-03-26 2009-03-26 泡沫水生成コマ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4536A true KR20120024536A (ko) 2012-03-14
KR101284781B1 KR101284781B1 (ko) 2013-07-17

Family

ID=42780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1877A KR101284781B1 (ko) 2009-03-26 2009-03-26 거품수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9297153B2 (ko)
EP (1) EP2412877B1 (ko)
JP (1) JP4860781B2 (ko)
KR (1) KR101284781B1 (ko)
CN (1) CN102405321B (ko)
DK (1) DK2412877T3 (ko)
ES (1) ES2715074T3 (ko)
HU (1) HUE043817T2 (ko)
PL (1) PL2412877T3 (ko)
PT (1) PT2412877T (ko)
SG (1) SG174924A1 (ko)
WO (1) WO20101096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61733B1 (ja) 2015-07-30 2016-08-02 雅彰 高野 脈動流体または断続流体の生成装置
US10184233B2 (en) * 2016-08-28 2019-01-22 Gary Wu Aerator with LED
US10898909B2 (en) * 2017-10-25 2021-01-26 Pioneer Industries, Inc. Water pressure boosting device
WO2019160898A1 (en) 2018-02-13 2019-08-22 Tan Yung Chieh Liquid sav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98691A (en) 1949-11-29 1953-10-21 Elie Prodromos Aghnides Mixing devices for liquid and gas
DE1038531B (de) * 1953-08-05 1958-09-11 Rothmayr & Co Auslauftuelle
US3334818A (en) * 1965-09-22 1967-08-08 Alfred M Moen Swivel spray aerators
US3712548A (en) * 1970-08-20 1973-01-23 E Aghnides Water aerator
JPS5058553A (ko) * 1973-09-21 1975-05-21
JPS51134Y2 (ko) * 1973-09-25 1976-01-06
US4153204A (en) * 1975-08-08 1979-05-08 Aghnides Elie P Aerator with metal casing having inner plastic elements moldable in one piece
US4322292A (en) * 1981-01-02 1982-03-30 Rjd Aerator
US4484710A (en) * 1983-03-11 1984-11-2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Fire suppressant nozzle
US4869103A (en) * 1988-06-03 1989-09-26 Jerman James K Water flow measuring and dispersing device
JPH038940A (ja) * 1989-06-06 1991-01-16 Toto Ltd 泡沫吐水口
US5143295A (en) * 1989-11-21 1992-09-01 Toto Ltd. Bubbly water outlet device
JPH0679684B2 (ja) * 1989-11-21 1994-10-12 東陶機器株式会社 泡沫吐水口
JPH047051A (ja) * 1990-04-23 1992-01-10 Toto Ltd 吐水ヘッド
US5826799A (en) * 1996-12-03 1998-10-27 Hsieh; Paul Sprinkling head structure
KR100243787B1 (ko) * 1997-03-31 2000-02-01 전주범 에어버블 발생장치
IT1293138B1 (it) * 1997-06-03 1999-02-12 Gevipi Ag Dispositivo per l'aereazione di una doccia a getti multipli.
CN2705681Y (zh) * 2004-01-20 2005-06-22 招丽恩 一种节水嘴芯
JP4736672B2 (ja) 2005-09-27 2011-07-27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シャワー装置
US7611070B2 (en) * 2006-02-28 2009-11-03 Paoluccio John J Aspirating scented oxygen enriched faucet and shower head
JP5054434B2 (ja) * 2007-06-04 2012-10-24 嘉樹 建守 節水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節水具
DK2345765T3 (da) * 2008-10-31 2020-01-20 Masaaki Takano Vandbesparende sk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12877B1 (en) 2018-12-12
HUE043817T2 (hu) 2019-09-30
JP4860781B2 (ja) 2012-01-25
US9297153B2 (en) 2016-03-29
KR101284781B1 (ko) 2013-07-17
EP2412877A4 (en) 2014-11-19
US20120024984A1 (en) 2012-02-02
EP2412877A1 (en) 2012-02-01
SG174924A1 (en) 2011-11-28
PL2412877T3 (pl) 2019-07-31
CN102405321A (zh) 2012-04-04
DK2412877T3 (en) 2019-04-01
WO2010109680A1 (ja) 2010-09-30
PT2412877T (pt) 2019-03-22
ES2715074T3 (es) 2019-05-31
CN102405321B (zh) 2015-05-20
JPWO2010109680A1 (ja) 201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63786B2 (ja) 浮選セル
KR101284781B1 (ko) 거품수 생성 장치
CN100577301C (zh) 用于静电过滤器的供气装置和静电过滤器装置
US2005005802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ixing components with a venturi arrangement
KR930004040B1 (ko) 분말 분무장치 및 방법
WO2017029835A1 (ja) 泡沫吐水装置及び泡沫吐水ユニット
JP5854365B2 (ja) 泡沫吐水装置
JP4369993B1 (ja) 節水コマ
JP3086252B2 (ja) ガス粒子の形成
JP2012207492A (ja) 吐水装置
KR20170096674A (ko) 미세기포 발생장치
CN117531796A (zh) 用于鞘流后池清洗装置的隔离池、鞘流后池清洗装置和血球分析仪
KR101317655B1 (ko) 마이크로 버블 발생 장치 및 마이크로 버블 발생 방법
JP4793525B2 (ja) 泡沫吐水装置
JP2002070098A (ja) 気泡流吐出装置
JPH03161063A (ja) 泡沫吐水口
JP5748183B2 (ja) シャワー装置
JP6315247B2 (ja) 吐水装置
JPH0363333A (ja) 泡沫吐水口
JP2015194039A (ja) 吐水装置
JPH03165853A (ja) 泡沫吐水口
JPWO2012033128A1 (ja) 節水コマ
JP6315249B2 (ja) 吐水装置
JP2002079067A (ja) 気泡流吐出装置
JPH039749A (ja) 気泡噴出浴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