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2985A - 전기 청소기 - Google Patents

전기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2985A
KR20120022985A KR1020117027497A KR20117027497A KR20120022985A KR 20120022985 A KR20120022985 A KR 20120022985A KR 1020117027497 A KR1020117027497 A KR 1020117027497A KR 20117027497 A KR20117027497 A KR 20117027497A KR 20120022985 A KR20120022985 A KR 20120022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pipe
exhaust
air
dust collecting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7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7592B1 (ko
Inventor
다까유끼 이찌노
야스히로 오쯔
가쯔히데 가또우
히로미쯔 이찌까와
사또시 오시따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12313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026896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13228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0274041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20022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2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7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7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14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cleaning by blowing-off, also combined with suction c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전기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2) 내의 공기를 흡인하는 전동 송풍기(28)와, 청소기 본체(2) 내에 흡입된 먼지를 모으는 집진부(31)를 구비하고 있다. 흡입관(41) 및 배기 전환 부재(35)가 청소기 본체(2)에 설치되어 있다. 흡입관(41)은, 전기 청소기가 집진 모드일 때에 청소기 본체(2) 내에 흡입된 먼지를 집진부(31)에 모으는 제1 위치와, 전기 청소기가 송풍 모드일 때에 집진 동작을 중단시키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배기 전환 부재(35)는, 집진 모드일 때에 전동 송풍기(28)로부터 배출된 배기를 청소기 본체(2)의 배기구(19)로 유도하는 제1 배기 위치와, 송풍 모드일 때에 전동 송풍기(28)로부터 배출된 배기를 송풍용 공기로서 청소기 본체(2)의 밖으로 유도하는 제2 배기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또한, 전기 청소기는 외기 도입 풍로(48)를 구비하고 있다. 외기 도입 풍로(48)는, 집진 모드일 때에 청소기 본체(2) 내로의 외기의 도입을 차단하고, 송풍 모드일 때에 청소기 본체(2) 내에 집진부(31)를 우회하여 외기를 도입한다.

Description

전기 청소기{ELECTRIC CLEANER}
본 발명은 집진 모드 및 송풍 모드로 전환 가능한 전기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은 집진용 및 송풍용의 2종류의 운전 모드를 갖는 전기 청소기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전기 청소기는 원통 형상의 본체를 갖고 있다. 본체의 내부는 격벽에 의해 필터를 갖는 집진실과 전동 송풍기를 수납한 배기실로 구획되어 있다. 집진실은 격벽에 뚫린 연통구를 통하여 배기실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청소기 본체의 상단부를 덮는 덮개는 흡기구, 배기구 및 호스 접속부를 갖고 있다. 흡기구는 필터에 통해 있다. 배기구는 배기실에 통해 있다. 호스 접속부는 흡기구 및 배기구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합치하도록 덮개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흡진용의 호스가 호스 커버를 통하여 호스 접속부에 고정되어 있다.
전기 청소기를 집진 모드에서 사용할 때에는 호스 접속부가 흡기구에 합치하도록 호스 접속부를 회동시킨다. 이에 의해 호스가 흡기구를 통하여 집진실에 연통됨과 함께 배기구가 대기 중에 개방된다. 전동 송풍기가 운전을 개시하면,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호스로부터 집진실에 흡입된다. 공기 중에 포함되는 먼지는 필터에 의해 여과된다. 필터를 통과한 공기는 배기실로부터 덮개의 배기구를 통하여 전기 청소기의 밖으로 배출된다.
전기 청소기를 송풍 모드에서 사용할 때에는 호스 접속부가 배기구에 합치하도록 호스 접속부를 회동시킨다. 이에 의해 흡기구가 대기 중에 개방됨과 함께 호스가 배기구를 통하여 배기실에 연통된다. 전동 송풍기가 운전을 개시하면, 흡기구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필터를 통과하여 배기실에 유입된다. 배기실에 유입된 공기는 덮개의 배기구로부터 호스 접속부를 통하여 호스로 유도됨과 함께, 호스의 선단부로부터 분출된다. 따라서, 전기 청소기를 송풍기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6-304104호 공보
특허문헌 1에 따르면, 전기 청소기를 집진 모드에서 운전하는 경우 및 송풍 모드에서 운전하는 경우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본체 내에 흡입된 공기가 반드시 필터를 통과한다.
이러한 전기 청소기에서는 필터에 포착된 먼지의 양에 따라 필터의 통기 저항이 변화한다. 그로 인해, 전기 청소기를 송풍 모드에서 사용할 때에, 배기구로부터 호스 접속부를 통하여 호스로 유도되는 송풍용 공기의 풍량이 필터에 포착된 먼지의 양의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송풍용 공기의 풍량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는, 배기구를 갖는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 내의 공기를 흡인하는 전동 송풍기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전동 송풍기의 운전에 의해 상기 청소기 본체 내에 흡입된 공기 중에 포함되는 먼지를 모으는 집진부를 구비하고 있다.
흡기 전환 부재 및 배기 전환 부재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설치되어 있다. 흡기 전환 부재는, 전기 청소기가 집진 모드일 때에 상기 전동 송풍기의 운전에 따라 상기 청소기 본체 내에 흡입된 먼지를 상기 집진부에 모으는 제1 위치와, 전기 청소기가 송풍 모드일 때에 집진 동작을 중단시키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상기 배기 전환 부재는, 상기 집진 모드일 때에 상기 전동 송풍기로부터 배출된 배기를 상기 배기구로 유도하는 제1 배기 위치와, 상기 송풍 모드일 때에 상기 전동 송풍기로부터 배출된 배기를 송풍용 공기로서 상기 청소기 본체의 밖으로 유도하는 제2 배기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또한, 전기 청소기는, 상기 집진 모드일 때에 상기 청소기 본체 내에의 외기의 도입을 차단함과 함께, 상기 송풍 모드일 때에 상기 집진부를 우회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 내에 외기를 도입하는 외기 도입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따르면, 전기 청소기를 송풍 모드에서 사용할 때, 외기는 집진부를 우회하여 청소기 본체 내에 흡입된다. 이로 인해, 청소기 본체의 밖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풍량이 집진부에 포착된 먼지의 양의 영향을 받지 않아 송풍용 공기의 풍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전기 청소기가 갖는 청소기 본체를 앞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전기 청소기가 갖는 청소기 본체를 뒤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청소기 본체에 지지된 흡입관이 제1 위치로 회동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5는 청소기 본체에 지지된 흡입관이 제2 위치로 회동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6은 청소기 본체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흡입관이 제1 위치로 회동되었을 때의 청소기 본체의 내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흡입관이 제1 위치로 회동되었을 때의 청소기 본체의 내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흡입관이 제1 위치로 회동되었을 때의 흡입관과 외기 도입 풍로(風路)와의 위치 관계를 일부 절결하여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흡입관이 제2 위치로 회동되었을 때의 청소기 본체의 내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흡입관이 제2 위치로 회동되었을 때의 청소기 본체의 내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2는 흡입관이 제2 위치로 회동되었을 때의 흡입관과 외기 도입 풍로와의 위치 관계를 일부 절결하여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청소기 본체를 구성하는 제1 케이스 요소의 내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4는 흡입관이 제1 위치로 회동되었을 때의 흡입관의 제1 통기 통로와 제1 케이스 요소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흡입관을 앞에서 본 사시도.
도 16은 흡입관을 뒤에서 본 사시도.
도 17은 흡입관이 갖는 관체의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기 청소기를 집진 모드로 전환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기 청소기를 송풍 모드로 전환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핸디형 전기 청소기(1)를 개시하고 있다. 전기 청소기(1)는 청소기 본체(2) 및 흡입 유닛(3)을 구비하고 있다. 전원 코드(7)가 청소기 본체(2)의 밖으로 인출되어 있다. 전원 플러그(8)가 전원 코드(7)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흡입 유닛(3)은 연장관(4)과 흡입 헤드(5)를 포함하고 있다. 연장관(4)은 외관(4a) 및 내관(4b)을 구비하고 있다. 내관(4b)은 외관(4a)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조합되어 있다. 연장관(4)의 후단부는 청소기 본체(2)가 갖는 흡입관(41)에 제거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흡입 헤드(5)는 헤드부(5a)와 접속관(5b)을 포함하고 있다. 헤드부(5a)는, 예를 들어 실내의 바닥면을 청소하는 데 적합한 바닥용이며, 좌우 방향으로 가늘고 긴 형상을 갖고 있다. 바닥면은 피청소면의 일례이다. 헤드부(5a)는 바닥면을 향하여 개구되는 흡진구를 구비하고 있다. 접속관(5b)은 헤드부(5a)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중앙부로부터 헤드부(5a)의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접속관(5b)의 후단부는 연장관(4)의 선단부로 되는 내관(4b)의 전단부에 제거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흡입 헤드(5)의 접속관(5b)은, 청소기 본체(2)가 갖는 상기 흡입관(41)에 대해서도 직접 제거 가능하게 접속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소기 본체(2)는 합성 수지제의 외장 케이스(11)를 구비하고 있다. 외장 케이스(11)는 제1 케이스 요소(12a)와 제2 케이스 요소(12b)로 분할되어 있다. 제1 케이스 요소(12a) 및 제2 케이스 요소(12b)는 서로 맞대어짐과 함께 복수의 나사를 통하여 결합되어 있다. 외장 케이스(11)는 그 상부에 핸들(13)을 갖고 있다. 외장 케이스(11)의 전방부는, 전기 청소기(1)를 사용하는 오퍼레이터가 한쪽 손으로 핸들(13)을 쥔 상태에서, 다른쪽 손의 엄지 손가락과 집게 손가락의 사이에 끼울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예를 들어 바닥면의 먼지를 흡인하는 청소 작업 시에 있어서는, 오퍼레이터는 한쪽 손으로 핸들(13)을 쥠으로써, 청소기 본체(2)를 바닥면의 상방으로 들어 올려 연장관(4)이 청소기 본체(2)로부터 바닥면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자세로 전기 청소기(1)를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바닥면 상의 먼지를 날려 버리는 송풍 작업 시에 있어서는, 오퍼레이터는 흡입 헤드(5)의 헤드부(5a)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전기 청소기(1)를 전체적으로 들어 올릴 수 있다.
도 2,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치(14)가 핸들(13)의 전단부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스위치(14)는 핸들(13)을 쥔 손의 엄지 손가락으로 압입함으로써 조작된다. 스위치(14)를 인위적으로 조작함으로써, 예를 들어 전기 청소기(1)의 강 운전, 약 운전 및 운전 정지를 선택할 수 있다.
외장 케이스(11)를 형성하는 제1 케이스 요소(12a) 및 제2 케이스 요소(12b)는, 그 형상 및 구성이 서로 동일하다. 그로 인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로 제1 케이스 요소(12a)를 대표적으로 설명하고, 제2 구성 요소(12b)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 도 3, 도 6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 요소(12a)는 상벽(11a), 격벽(11b) 및 전방벽(11c)을 갖고 있다. 상벽(11a)은 핸들(13)의 하방에 위치되어 있음과 함께 외장 케이스(11)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볼록부(11d)가 상벽(11a)의 전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11d)는 제1 케이스 요소(12a)의 내측으로 진출하도록 상벽(11a)의 전단부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격벽(11b)은 상벽(11a)의 하방에서 외장 케이스(11)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벽(11a) 및 격벽(11b)은 외장 케이스(11)의 내부에 케이스 저장실(16)을 형성하고 있다. 케이스 저장실(16)은 외장 케이스(11)의 후단부에 개방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벽(11c)은 원호 형상으로 만곡된 벽부 및 벽부의 상단부에 위치된 수평한 상벽부를 포함한다. 전방벽(11c)은 외장 케이스(11)의 내부에 지지실(17)을 형성하고 있다. 지지실(17)은 케이스 저장실(16)보다도 외장 케이스(11)의 전방측에 위치되어 있음과 함께, 외장 케이스(11)의 전단부에 개방된 개구단부(17a)를 갖고 있다.
상벽(11a)의 전단부에 위치된 볼록부(11d)는, 외장 케이스(11)의 후방으로부터 전방벽(11c)의 벽부의 상부에 연속되어 있다. 또한, 격벽(11b)은 경사부(11f)를 갖고 있다. 경사부(11f)는 전방으로 진행됨에 따라 상벽(11a)의 볼록부(11d)에 근접하도록 상향으로 경사져 있다. 경사부(11f)의 전단부는 외장 케이스(11)의 후방으로부터 전방벽(11c)의 원호 형상의 벽부에 연속되어 있다.
도 6,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벽(11a)의 볼록부(11d)와 격벽(11b)의 경사부(11f)의 전단부의 사이에 도입구(18)가 형성되어 있다. 도입구(18)는 케이스 저장실(16)과 지지실(17)의 경계에 위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지지실(17)은 도입구(18)를 통하여 케이스 저장실(16)에 연통되어 있다.
도 5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케이스 요소(12a, 12b)는 각각 복수의 배기 슬릿(19)을 갖고 있다. 배기 슬릿(19)은 배기구의 일례이며, 케이스 저장실(16)에 개구되어 있다. 또한, 리브(11e)가 제1 및 제2 케이스 요소(12a, 12b)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다. 리브(11e)는 배기 슬릿(19)이 개구하는 영역에 위치되어 있음과 함께, 제1 및 제2 케이스 요소(12a, 12b)의 내면으로부터 케이스 저장실(16) 내로 돌출되어 있다.
도 6, 도 8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격벽(11b) 및 전방벽(11c)은 외장 케이스(11)의 내부에 송풍기 저장실(21) 및 통기실(22)을 형성하고 있다. 송풍기 저장실(21)은 케이스 저장실(16)의 바로 아래에 위치되어 있다. 통기실(22)은 지지실(17)의 바로 아래에 위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송풍기 저장실(21) 및 통기실(22)은 외장 케이스(11)의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통기실(22)의 상단부는 입구(22a)를 통하여 지지실(17)에 연통되어 있다. 입구(22a)의 직전에 풍로 폐쇄부(22b)가 위치되어 있다. 풍로 폐쇄부(22b)는 지지실(17)과 통기실(22)의 사이를 구획하는 벽이며, 제1 및 제2 케이스 요소(12a, 12b)의 전단부에 연속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기성을 갖는 가드판(23)이 송풍기 저장실(21)과 통기실(22)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제1 및 제2 케이스 요소(12a, 12b)는 각각 가드판(23)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24, 25)를 갖고 있다. 지지부(24, 25)는 제1 및 제2 케이스 요소(12a, 12b)를 연결하기 위한 나사가 비틀어 넣어지는 나사받이를 겸하고 있다.
한쪽의 지지부(24)는 통기실(22)의 입구(22a)의 배후에 연속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24)는 스토퍼부(24a)를 갖고 있다. 스토퍼부(24a)는 격벽(11b)의 경사부(11f)의 하방에 위치되어 있음과 함께, 지지부(24)로부터 통기실(22)의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다른쪽의 지지부(25)는 한쪽의 지지부(24)의 하방에 위치되어 지지부(24)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도 6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케이스 요소(12a, 12b)는 각각 베어링용의 보스(26)를 갖고 있다. 보스(26)는 송풍기 저장실(21) 내에서 격벽(11b)의 경사부(11f)와 인접함과 함께, 한쪽의 지지부(24)의 후방에 위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케이스 요소(12a, 12b)는 각각 측방을 향하여 원호 형상으로 돌출되는 팽출부(12c)를 갖고 있다. 제1 케이스 요소(12a)의 팽출부(12c)와 제2 케이스 요소(12b)의 팽출부(12c)는, 외장 케이스(11)의 폭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고 있다. 제1 및 제2 케이스 요소(12a, 12b)의 각각에 있어서, 한쪽의 지지부(24)와 보스(26)의 사이의 부위는 팽출부(12c)의 단부에 위치되어 있다.
도 8,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기 홈(36)이 격벽(11b)의 경사부(11f)에 형성되어 있다. 통기 홈(36)은 제1 케이스 요소(12a)와 제2 케이스 요소(12b)를 결합하였을 때에, 외장 케이스(11)의 내부에 통기 구멍을 형성한다. 통기 구멍은 케이스 저장실(16)과 송풍기 저장실(21)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송풍기 저장실(21)은 통기 구멍을 통하여 케이스 저장실(16)에 연통되어 있다.
도 7, 도 8,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 송풍기(28)가 외장 케이스(11)의 송풍기 저장실(21)에 수용되어 있다. 전동 송풍기(28)는 모터 모듈(28a) 및 팬 모듈(28b)을 구비하고 있다. 팬 모듈(28b)은 그 전방면의 중앙부에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구(도시하지 않음)를 갖고 있다. 흡기구는 가드판(23)에 의해 덮여져 있다. 팬 모듈(28b)의 외주면은 제1 및 제2 케이스 요소(12a, 12b)의 팽출부(12c)의 내면 및 스토퍼부(24a)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한, 통기용의 공간이 제1 및 제2 케이스 요소(12a, 12b)의 팽출부(12c)의 내면과 팬 모듈(28b)의 외주면의 사이에 확보되어 있다.
전동 송풍기(28)가 운전을 개시하면, 통기실(22) 내의 공기가 흡기구로부터 팬 모듈(28b)에 흡입된다. 팬 모듈(28b)에 흡입된 공기는, 모터 모듈(28a)의 내부를 통과하여 모터 모듈(28a)의 후단부로부터 송풍기 저장실(21)로 배출된다. 송풍기 저장실(21)로 배출된 공기(배기)는, 스토퍼부(24a)와 보스(26)의 사이로부터 격벽(11b)의 통기 홈(36)을 통하여 케이스 저장실(16)로 유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진 케이스(31)가 케이스 저장실(16)에 저장되어 있다. 집진 케이스(31)는 집진부의 일례이며, 케이스 본체(32)와 케이스 덮개(33)로 구성되어 있다. 집진 케이스(31)는 케이스 저장실(16)에 인입하는 형상을 갖고 있다. 집진 케이스(31)는 외장 케이스(11)의 후단부로부터 케이스 저장실(16)로 취출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32)는 먼지 입구(32a) 및 먼지 출구(32b)를 갖고 있다. 먼지 입구(32a)는 케이스 본체(32)의 전단부에 개구되어 있다. 먼지 입구(32a)는 집진 케이스(31)를 케이스 저장실(16)에 저장하였을 때에, 외장 케이스(11) 내의 도입구(18)에 삽입되어 있다. 먼지 출구(32b)는 케이스 본체(32)의 후단부에 개구되어 있다. 케이스 덮개(33)는 케이스 본체(32)의 후단부에 제거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져 먼지 출구(32b)를 막고 있다. 케이스 덮개(33)를 케이스 본체(32)의 후단부로부터 제거함으로써 케이스 본체(32) 내에 저류된 먼지를 버릴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소기 본체(2)의 외장 케이스(11)는 집진 케이스(31)를 케이스 저장실(16)에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수단(34)을 장비하고 있다. 보유 지지 수단(34)은 조작 레버(34a)와 로크 부재(34b)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 레버(34a)는 핸들(13)의 후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핸들(13)의 밖으로 노출되어 있다. 로크 부재(34b)는 조작 레버(34a)와 연동하도록 핸들(13)의 후단부에 지지되어 있다. 로크 부재(34b)는 케이스 저장실(16)에 돌출된 로크 위치와, 케이스 저장실(16)로부터 이탈하는 로크 해제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가능함과 함께,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항상 로크 위치를 향하여 압박되어 있다. 로크 부재(34b)의 하단부는, 집진 케이스(31)가 케이스 저장실(16)에 적정하게 삽입되었을 때에, 케이스 본체(32)에 형성한 오목부(32c)에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 결합에 의해 집진 케이스(31)가 케이스 저장실(16)에 보유 지지됨과 함께, 집진 케이스(31)의 먼지 입구(32a)가 도입구(18)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조작 레버(34a)는 외장 케이스(11)의 후방으로부터 손끝으로 가압할 수 있다. 조작 레버(34a)를 가압하면, 로크 부재(34b)가 스프링의 압박력에 저항하여 로크 위치로부터 로크 해제 위치를 향하여 슬라이드된다. 그로 인해, 로크 부재(34b)의 하단부가 케이스 본체(32)의 오목부(32c)로부터 이탈한다. 이 결과, 집진 케이스(31)를 케이스 저장실(16)로부터 취출할 수 있다.
집진 케이스(31)를 케이스 저장실(16)로부터 취출함에 있어서는, 집진 케이스(31)의 케이스 덮개(33)가 하방을 향하도록 청소기 본체(2)를 기울이면 된다. 청소기 본체(2)를 기울임으로써, 집진 케이스(31)의 자중을 이용하여 집진 케이스(31)의 취출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판 형상의 배기 전환 부재(35)가 외장 케이스(11)의 내부에 지지되어 있다. 배기 전환 부재(35)는 일단부에 한 쌍의 축부(35a)를 갖고 있다. 축부(35a)는 동축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한쪽의 축부(35a)는 제1 케이스 요소(12a)의 보스(26)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져 있다. 다른쪽의 축부(35a)는 제2 케이스 요소(12b)의 보스(26)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져 있다. 이 끼워 맞춤에 의해 배기 전환 부재(35)는 제1 배기 위치와 제2 배기 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외장 케이스(11)에 지지되어 있다.
도 7, 도 8 및 도 14는 배기 전환 부재(35)가 제1 배기 위치로 회동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1 배기 위치에서는 배기 전환 부재(35)는 격벽(11b)의 경사부(11f)로부터 이격됨과 함께 스토퍼부(24a) 위에 닿아 있다. 그로 인해, 배기 전환 부재(35)가 제1 배기 위치에 있는 한, 격벽(11b)의 통기 홈(36)은 개방되어 있다.
그와 함께 배기 전환 부재(35)가 스토퍼부(24a) 위에 닿은 상태에서는, 배기 전환 부재(35)의 측연부가 제1 및 제2 케이스 요소(12a, 12b)의 팽출부(12c)의 단부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이 결과, 배기 전환 부재(35)의 측연부와 제1 및 제2 케이스 요소(12a, 12b)의 사이에 통기용의 공극(G)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동 송풍기(28)가 운전을 하고 있을 때에, 전동 송풍기(28)로부터 송풍기 저장실(21)에 배출된 공기(배기)는, 공극(G)을 통하여 배기 전환 부재(35)와 격벽(11b)의 경사부(11f)의 사이로 유도된 후에, 여기에서 통기 홈(36)을 통하여 케이스 저장실(16)에 유입된다.
도 10 및 도 11은 배기 전환 부재(35)가 제2 배기 위치로 회동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2 배기 위치에서는 배기 전환 부재(35)가 스토퍼부(24a)로부터 이격하여 격벽(11b)의 경사부(11f)의 하면에 중첩되어 있다. 이에 의해 경사부(11f)에 개구된 통기 홈(36)이 배기 전환 부재(35)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이 결과, 전동 송풍기(28)로부터 송풍기 저장실(21)에 배출된 공기는, 스토퍼부(24a)와 보스(26)의 사이를 통과하여 배기 전환 부재(35)의 하방에 도달하지만, 배기 전환 부재(35)에 차단되어 통기 홈(36)을 통과할 수는 없다. 따라서, 송풍기 저장실(21) 내의 공기가 케이스 저장실(16)에 유입되는 일은 없다.
한편, 청소기 본체(2)가 갖는 상기 흡입관(41)은 흡기 전환 부재를 구성하는 요소의 일례이다.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관(41)은 관체(42)와 한 쌍의 사이드 커버(43a, 43b)를 구비하고 있다.
관체(42)는 전반부(42a)와 후반부(42b)를 포함하고 있다. 전반부(42a)는 곧바른 통 형상이며, 그 전단부에 연장관(4) 또는 흡입 헤드(5)의 접속관(5b)이 제거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지는 접속구(42c)를 갖고 있다. 사이드 커버(43a, 43b)는 각각 원통 형상임과 함께, 관체(42)의 후반부(42b)를 좌우 방향으로부터 끼워넣도록 서로 맞대어져 있다.
도 7,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통기 통로(44) 및 제2 통기 통로(45)가 관체(42)의 후반부(42b)에 형성되어 있다. 제1 통기 통로(44)는 전반부(42a)의 접속구(42c)의 후방에 위치되어 접속구(42c)와 대향하고 있다. 제1 통기 통로(44)의 후단부는 사이드 커버(43a, 43b)의 후단부를 관통하여 흡입관(41)의 후방으로 약간 돌출되어 있다. 제2 통기 통로(45)는 제1 통기 통로(44)로부터 분기되어 제1 통기 통로(44)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통기 통로(45)의 하단부는 사이드 커버(43a, 43b)의 하단부를 관통하여 흡입관(41)의 하방으로 약간 돌출되어 있다.
또한, 관체(42)의 후반부(42b)는 제1 통기 통로(44)와 제2 통기 통로(45)의 사이에 설치된 벽부(46)를 갖고 있다. 벽부(46)는 사이드 커버(43a, 43b)의 후단부를 관통하여 흡입관(41)의 후방으로 약간 돌출되어 있다. 벽부(46)의 돌출단부는 사이드 커버(43a, 43b)의 외주면을 따르도록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관(41)은 네트 필터(47)를 갖고 있다. 네트 필터(47)는 제1 통기 통로(44)와 제2 통기 통로(45)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네트 필터(47)는 제1 통기 통로(44)에 개구된 제2 통기 통로(45)의 분지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도 8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벽부(46)는 제1 통기 통로(44)에 노출된 상면을 갖고 있다. 네트 필터(47)의 후방부는 벽부(46)의 상면에 겹쳐져 있다. 또한, 벽부(46)의 상면 및 네트 필터(47)는, 제1 통기 통로(44)의 후단부의 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 상향으로 경사져 흡입관(41)의 전단부의 접속구(42c)에 면해 있다.
흡입관(41)은 외장 케이스(11)에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흡입관(41)의 사이드 커버(43a, 43b)가 외장 케이스(11)의 지지실(17)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져 있다. 이에 의해 사이드 커버(43a, 43b)가 제1 케이스 요소(12a)와 제2 케이스 요소(12b)의 사이에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 넣어져 있음과 함께, 사이드 커버(43a, 43b)의 외주면이 제1 및 제2 케이스 요소(12a, 12b)의 전방벽(11c)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접해 있다. 흡입관(41)의 관체(42)의 전반부(42a)는, 연장관(4) 또는 흡입 헤드(5)의 접속관(5b)을 접속할 수 있도록 지지실(17)의 개구단부(17a)로부터 외장 케이스(11)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흡입관(41)은, 사이드 커버(43a, 43b)의 외주면과 전방벽(11c)의 접촉 부분을 가이드로 하여 집진용의 제1 위치와 송풍용의 제2 위치 사이에서 청소기 본체(2)의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은 흡입관(41)이 제1 위치로 회동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1 위치에서는 흡입관(41)의 제1 통기 통로(44)의 후단부가 외장 케이스(11)의 내부의 도입구(18)와 합치됨과 함께, 도입구(18)에 삽입된 집진 케이스(31)의 먼지 입구(32a)에 통해 있다. 또한, 흡입관(41)의 제2 통기 통로(45)의 하단부가 외장 케이스(11)의 내부의 입구(22a)와 합치하여 통기실(22)에 통해 있다.
도 10 및 도 11은 흡입관(41)이 제2 위치로 회동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2 위치에서는 흡입관(41)의 제1 통기 통로(44)의 후단부가 도입구(18)로부터 벗어나 볼록부(11d)에 의해 막혀져 있다. 그와 함께 흡입관(41)의 후반부(42b)의 벽부(46)가 도입구(18)의 개구단부로 진출하여 도입구(18)를 폐쇄하고 있다. 또한, 흡입관(41)의 제2 통기 통로(45)의 하단부가 입구(22a)로부터 벗어나 제2 통기 통로(44)와 통기실(22)의 연통이 차단되어 있다.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소기 본체(2)는 외기 도입 수단(38)을 구비하고 있다. 외기 도입 수단(38)은 외기 도입 풍로(48)와 상기 풍로 폐쇄부(22b)로 구성되어 있다. 외기 도입 풍로(48)는 흡입관(41)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외기 도입 풍로(48)는 관체(42)의 후반부(42b)와 사이드 커버(43a, 43b)의 사이에 발생한 공극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외기 도입 풍로(48)는 한 쌍의 풍로 입구(48a) 및 풍로 출구(48b)를 갖고 있다. 도 12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풍로 입구(48a)는 각 사이드 커버(43a, 43b)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관체(42)를 사이에 두도록 흡입관(41)의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풍로 출구(48b)는 사이드 커버(43a, 43b)의 하면에 형성되어 제2 통기 통로(45)의 하단부의 직전에 위치되어 있다. 풍로 출구(48b)는 사이드 커버(43a, 43b)의 사이에 걸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개구 형상을 갖고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관(41)이 집진용의 제1 위치로 회동된 상태에서는, 외기 도입 풍로(48)의 풍로 입구(48a)가 지지실(17)의 개구단부(17a)로부터 벗어나 제1 및 제2 케이스 요소(12a, 12b)로 덮여져 있다. 또한, 외기 도입 풍로(48)의 풍로 출구(48b)는 외장 케이스(11)의 풍로 폐쇄부(22b)와 합치하여 풍로 폐쇄부(22b)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그로 인해, 외기 도입 풍로(48)는 청소기 본체(2)의 외부 및 통기실(22)과의 연통이 차단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관(41)이 송풍용의 제2 위치로 회동된 상태에서는, 외기 도입 풍로(48)의 풍로 입구(48a)가 지지실(17)의 개구단부(17a)와 대향하고 있다. 그와 함께 외기 도입 풍로(48)의 풍로 출구(48b)가 외장 케이스(11)의 풍로 폐쇄부(22b)로부터 벗어나 통기실(22)의 입구(22a)와 합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통기실(22)은 외기 도입 풍로(48)를 통하여 청소기 본체(2)의 밖으로 연통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도 8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관(41)의 사이드 커버(43a, 43b)는 배기 전환 부재(35)의 직전에 위치되어 있다. 결합부(41a)가 사이드 커버(43a, 43b)의 후단부 상에 형성되어 있다. 도 16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41a)는 벽부(46)의 하단부와 제2 통기 통로(45)의 하단부의 사이에 발생한 단차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흡입관(41)이 제1 위치로 회동된 상태에서는 배기 전환 부재(35)의 축부(35a)와는 반대측에 위치된 선단부가 결합부(41a)에 인입되어 있다. 그로 인해, 배기 전환 부재(35)는 스토퍼부(24a)에 접한 제1 배기 위치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흡입관(41)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회동되면, 결합부(41a)가 상향으로 변위된다. 이에 의해 결합부(41a)의 내면이 배기 전환 부재(35)의 선단부에 걸림과 함께, 배기 전환 부재(35)가 제1 배기 위치로부터 제2 배기 위치를 향하여 회동한다. 반대로 흡입관(41)이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회동되면, 결합부(41a)가 하향으로 변위된다. 따라서, 배기 전환 부재(35)의 선단부가 밀어 내려져 배기 전환 부재(35)가 제2 배기 위치로부터 제1 배기 위치로 회동된다.
따라서, 배기 전환 부재(35)는 흡입관(41)의 회동에 추종하여 제1 배기 위치 또는 제2 배기 위치 중 어느 하나로 회동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소기 본체(2)는 흡입관(41)을 제1 위치 및 제2 위치에 로크하기 위한 로크 수단(51)을 장비하고 있다. 로크 수단(51)은 한 쌍의 푸시 버튼(54) 및 한 쌍의 코일 스프링(55)을 구비하고 있다. 푸시 버튼(54)은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 공통의 부품이다. 한쪽의 푸시 버튼(54)은 지지실(17)을 구성하는 제1 케이스 요소(12a)의 측벽(60a)과 흡입관(41)의 한쪽의 사이드 커버(43a)의 측면과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다른쪽의 푸시 버튼(54)은 지지실(17)을 구성하는 제2 케이스 요소(12b)의 측벽(60b)과 흡입관(41)의 다른쪽의 사이드 커버(43b)의 측면과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각 푸시 버튼(54)은 원반 형상의 버튼 베이스(54a)와, 버튼 베이스(54a)의 중앙부로부터 돌출된 가압부(54b)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결합 볼록부(54c)가 버튼 베이스(54a)의 외주부에 형성되어 있다. 결합 볼록부(54c)는 버튼 베이스(54a)의 둘레 방향으로 180°이격되어 있음과 함께, 버튼 베이스(54a)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각 결합 볼록부(54c)는 결합 홈(54d)을 갖고 있다. 가압부(54b)는 제1 및 제2 케이스 요소(12a, 12b)의 측벽(60a, 60b)에 뚫린 원형의 통과 구멍(56)에 삽입 관통되어 외장 케이스(11)의 밖으로 노출되어 있다.
또한, 도 6 및 도 14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관(41)의 사이드 커버(43a, 43b)는 각각의 측면에 버튼 베이스(54a)가 인입하는 오목부(59)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결합부(59a)가 오목부(59)의 외주부에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59a)는 버튼 베이스(54a)의 결합 볼록부(54c)에 걸려 있다. 그로 인해, 푸시 버튼(54)의 버튼 베이스(54a)는 흡입관(41)과 일체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55)은 오목부(59)의 바닥에 형성한 스프링받이(58)와 푸시 버튼(54)의 가압부(54b)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55)은 푸시 버튼(54)을 사이드 커버(43a, 43b)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압박하고 있다. 이에 의해 가압부(54b)의 선단부가 제1 및 제2 케이스 요소(12a, 12b)의 측벽(60a, 60b)의 밖으로 돌출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한 쌍의 푸시 버튼(54)의 가압부(54b)는, 흡입관(41)을 외장 케이스(11)의 폭 방향으로부터 끼워 넣는 제1 및 제2 케이스 요소(12a, 12b)의 측벽(60a, 60b) 상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푸시 버튼(54)의 가압부(54b)는, 예를 들어 오퍼레이터가 한쪽 손으로 외장 케이스(11)의 전단부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였을 때에, 그 수단의 엄지 손가락과 집게 손가락으로 동시에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케이스 요소(12a, 12b)의 측벽(60a, 60b)은, 각각 한 쌍의 제1 돌기(52) 및 한 쌍의 제2 돌기(53)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및 제2 돌기(52, 53)는 측벽(60a, 60b)의 내면으로부터 흡입관(41)의 사이드 커버(43a, 43b)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돌기(52)는 통과 구멍(56)의 주위에 위치되어 있음과 함께, 통과 구멍(56)의 둘레 방향으로 180°이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돌기(53)는 통과 구멍(56)의 주위에 위치되어 있음과 함께, 통과 구멍(56)의 둘레 방향으로 180°이격되어 있다. 또한, 한쪽의 제1 돌기(52)와 한쪽의 제2 돌기(53)는 통과 구멍(56)의 둘레 방향에 인접하고 있다. 다른쪽의 제1 돌기(52)와 다른쪽의 제2 돌기(53)는 통과 구멍(56)의 둘레 방향에 인접하고 있다.
흡입관(41)이 제1 위치로 회동된 상태에서는, 푸시 버튼(54)의 한 쌍의 결합 홈(54d)이 한 쌍의 제1 돌기(52)에 걸려 있다. 흡입관(41)이 제2 위치로 회동된 상태에서는, 푸시 버튼(54)의 한 쌍의 결합 홈(54d)이 한 쌍의 제2 돌기(53)에 걸려 있다. 이에 의해 흡입관(41)은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로 이동 불가능하게 로크되어 있다.
흡입관(41)이 제1 위치에 로크되어 있을 때에, 푸시 버튼(54)의 가압부(54b)를 손끝으로 압입하면, 버튼 베이스(54a)가 코일 스프링(55)의 압박력에 저항하여 제1 및 제2 케이스 요소(12a, 12b)의 측벽(60a, 60b)의 내면으로부터 멀어진다. 이에 의해 버튼 베이스(54a)가 사이드 커버(43a, 43b)의 오목부(59)에 인입함과 함께, 버튼 베이스(54a)의 결합 홈(54d)이 측벽(60a, 60b)의 내면의 제1 돌기(52)로부터 벗어난다. 따라서, 흡입관(41)의 로크가 해제되어, 흡입관(41)을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회동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흡입관(41)이 제2 위치에 로크되어 있을 때에, 푸시 버튼(54)의 가압부(54b)를 손끝으로 압입하면, 버튼 베이스(54a)의 결합 홈(54d)이 측벽(60a, 60b)의 내면의 제2 돌기(53)로부터 벗어난다. 따라서, 흡입관(41)의 로크가 해제되어, 흡입관(41)을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회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전기 청소기(1)는 2가지 운전 모드를 갖고 있다. 한쪽의 운전 모드는, 예를 들어 실내의 바닥면의 먼지를 흡입하는 집진 모드이다. 다른쪽의 운전 모드는 바닥면의 먼지를 날려 버리는 송풍 모드이다.
집진 모드에서는 청소기 본체(2)의 흡입관(41)을 도 4에 도시하는 제1 위치로 회동시킴과 함께, 흡입관(41)에 흡입 유닛(3)의 연장관(4)을 접속한다. 전기 청소기(1)를 조작하는 오퍼레이터가 핸들(13)을 쥐어 청소기 본체(2)를 들어 올리면, 흡입 유닛(3)의 중량이 흡입관(41)에 더해진다. 흡입관(41)은 로크 수단(51)에 의해 제1 위치에 로크되어 있으므로, 흡입관(41)이 하향으로 회동하는 일은 없다.
전동 송풍기(28)가 운전을 개시하면, 통기실(22) 내의 공기가 흡인되고, 통기실(22)에 통해 있는 흡입관(41) 및 흡입 헤드(5)의 흡진구에 부압이 작용한다. 이에 의해 바닥면 상의 먼지가 공기와 함께 흡진구에 흡입된다. 흡진구에 흡입된 공기 중에 포함되는 먼지는 흡입 유닛(3)으로부터 흡입관(41)으로 유도됨과 함께, 관성에 의해 흡입관(41)의 제1 통기 통로(44)로부터 먼지 입구(32a)를 통하여 집진 케이스(31)에 인입된다. 그로 인해, 먼지는 집진 케이스(31)에 저류된다.
전동 송풍기(28)가 통기실(22) 내의 공기를 흡인하면, 흡입관(41)의 제2 통기 통로(45)를 통하여 제1 통기 통로(44)를 흐르는 공기가 통기실(22)에 흡입된다. 제1 통기 통로(44)로부터 제2 통기 통로(45)를 향하는 공기는 네트 필터(47)를 통과한다. 이 결과, 흡입관(41)의 내측에서 먼지와 공기가 분리된다.
면 먼지와 같은 질량이 작은 먼지는 네트 필터(47)에서 포착되어 네트 필터(47)의 표면에 멈춘다. 전기 청소기(1)의 운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네트 필터(47)의 표면에 부착되는 먼지의 양이 증가한다. 네트 필터(47)의 표면에 부착된 먼지가 어느 정도까지 성장하면, 네트 필터(47)를 따라 집진 케이스(31)의 먼지 입구(32a)를 향하는 공기류의 기세에 의해 네트 필터(47)의 표면에 부착된 먼지가 벗겨진다.
구체적으로는, 흡입관(41)이 제1 위치에 로크된 상태에서는, 네트 필터(47)는 먼지 입구(32a)의 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 상향으로 경사져 있다. 그로 인해, 네트 필터(47)가 먼지 입구(32a)를 향하는 공기류를 받기 쉬워진다. 그와 함께 네트 필터(47)를 따르는 공기류는 네트 필터(47)의 경사에 따라 상승하고자 하므로, 네트 필터(47)의 표면에 퇴적된 먼지가 네트 필터(47)로부터 박리되기 쉬워진다. 이에 의해 네트 필터(47)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네트 필터(47)로부터 박리된 먼지는 먼지 입구(32a)로부터 집진 케이스(31)로 유도된다.
흡입관(41)이 제1 위치에 로크된 상태에서는, 통기실(22) 내의 공기가 가드판(23)을 통과하여 전동 송풍기(28)에 흡입된다. 전동 송풍기(28)에 흡입된 공기는 모터 모듈(28a)의 후단부로부터 송풍기 저장실(21)에 배출된다. 송풍기 저장실(21)에 배출된 공기는, 배기 전환 부재(35)와 제1 및 제2 케이스 요소(12a, 12b)의 사이의 공극(G)을 통하여 배기 전환 부재(35), 벽부(46)의 외주면 및 격벽(11b)의 경사부(11f)로 둘러싸여진 삼각 형상의 스페이스(S1)(도 8 참조)에 유입된다. 격벽(11b)의 경사부(11f)에 형성된 통기 홈(36)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페이스(S1)에 통해 있다. 그로 인해, 스페이스(S1)에 유입된 공기는 통기 홈(36)을 통하여 케이스 저장실(16)에 유입됨과 함께, 외장 케이스(11)의 배기 슬릿(19)으로부터 청소기 본체(2)의 밖으로 토출된다.
한편, 송풍 모드에서는 청소기 본체(2)의 흡입관(41)을 도 5에 도시하는 제2 위치로 회동시킨다. 그와 함께 오퍼레이터는 흡입 헤드(5)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청소기 본체(2)를 들어 올려 흡입 헤드(5)를 송풍 대상으로 향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예를 들어 집진 작업을 중단하여 전기 청소기(1)를 집진 모드로부터 송풍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오퍼레이터는 한쪽 손으로 청소기 본체(2)를 들어 올린 채, 다른쪽 손의 엄지 손가락과 집게 손가락으로 한 쌍의 푸시 버튼(54)의 가압부(54b)를 압입한다. 이에 의해 푸시 버튼(54)의 결합 홈(54d)이 제1 및 제2 케이스 요소(12a, 12b)의 제1 돌기(52)로부터 벗어나 흡입관(41)의 로크가 해제된다.
이 결과, 흡입관(41)에 더해지는 흡입 유닛(3)의 중량에 의해, 흡입관(41)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를 향하여 자동적으로 회동한다. 따라서, 오퍼레이터가 수작업으로 흡입관(41)을 하향으로 회동시킬 필요는 없어 흡입관(41)을 움직이는 수고를 줄일 수 있다.
흡입관(41)의 로크를 해제함에 있어서는, 다른쪽 손의 엄지 손가락과 집게 손가락의 사이에 걸치는 갈래부를 관체(42)의 전반부(42a)의 하면에 대고 로크 해제 조작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2 위치를 향하여 하향으로 회동하는 흡입관(41)을 다른쪽의 손으로 받을 수 있다. 그로 인해, 흡입관(41)의 회동에 따라 흡입 헤드(5)가 갑자기 바닥면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흡입관(41)이 제2 위치에 도달하면, 흡입관(41)의 관체(42)의 전반부(42a)가 외장 케이스(11)의 풍로 폐쇄부(22b)의 전단부에 맞부딪쳐 흡입관(41)의 회동이 제한된다. 또한, 흡입관(41)과 일체로 회동하는 버튼 베이스(54a)의 결합 홈(54d)이 제1 및 제2 케이스 요소(12a, 12b)의 제2 돌기(53)와 대향한다. 이 상태에서 푸시 버튼(54)의 압입을 해제하면, 푸시 버튼(54)이 코일 스프링(55)에 의해 되돌려져 버튼 베이스(54a)의 결합 홈(54d)이 제2 돌기(53)에 걸린다. 이 결과, 흡입관(41)이 제2 위치에 로크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위치부터 제2 위치에 이르는 흡입관(41)의 회동 각도는 대략 45°로 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관(41)이 제2 위치로 회동된 송풍 모드에서는, 제1 통기 통로(44)의 후단부가 도입구(18)로부터 벗어나 볼록부(11d)에 의해 막혀져 있다. 그와 함께 흡입관(41)의 벽부(46)가 도입구(18)를 폐쇄하고 있으므로, 집진 케이스(31)와 흡입관(41)의 연통이 차단되어 있다.
또한, 배기 전환 부재(35)가 제1 배기 위치로부터 제2 배기 위치로 회동되어 격벽(11d)의 경사부(11f)의 하면에 중첩되어 있다. 이에 의해 통기 홈(36)이 배기 전환 부재(35)에 의해 폐색되어, 송풍기 저장실(21)과 케이스 저장실(16)의 연통이 차단되어 있다. 그와 함께 배기 전환 부재(35)와 스토퍼부(24a)의 사이에 스페이스(S2)가 발생하고 있다.
흡입관(41)이 제2 위치로 회동된 상태에서는, 흡입관(41)의 제2 통기 통로(45)가 통기실(22)의 후방을 지향하여 스페이스(S2)에 연통되어 있다. 스페이스(S2)는 스토퍼부(24a)와 보스(26)의 사이를 통하여 전동 송풍기(28)의 배기측인 송풍기 저장실(21)에 통해 있다.
또한, 제2 위치에서는 흡입관(41)에 부설된 외기 도입 풍로(48)의 풍로 입구(48a)가 흡입관(41)의 회동에 따라 지지실(17)의 개구단부(17a)와 대향하고 있다. 그와 함께 외기 도입 풍로(48)의 풍로 출구(48b)가 풍로 폐쇄부(22b)의 후방측으로 어긋나 통기실(22)의 입구(22a)와 합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통기실(22)은 외기 도입 풍로(48) 및 지지실(17a)의 개구단부(17a)를 개재하여 외장 케이스(11)의 외측에 통해 있다.
전동 송풍기(28)가 운전을 개시하면, 통기실(22) 내의 공기가 흡인되고, 입구(22a)에 부압이 작용한다. 흡입관(41)이 제2 위치에 있는 한, 흡기실(22)의 입구(22a)는 외기 도입 풍로(48)의 풍로 출구(48b)에 통해 있다. 그와 함께 외기 도입 풍로(48)의 풍로 입구(48a)가 지지실(17)의 개구단부(17a)로부터 외장 케이스(11)의 밖으로 통해 있다. 이 결과, 외장 케이스(11)의 밖의 공기(외기)가 외기 도입 풍로(48)를 통하여 통기실(22)에 흡입된다.
통기실(22)로부터 가드판(23)을 통과하여 전동 송풍기(28)에 흡인된 공기는, 모터 모듈(28a)의 후단부로부터 송풍기 저장실(21)로 배출된다. 송풍기 저장실(21)로 배출된 공기는, 배기 전환 부재(35)와 스토퍼부(24a)의 사이의 스페이스(S2)에 유입된다. 도 11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통기 통로(45)는 배기 전환 부재(35)의 선단부의 직하에서 스페이스(S2)에 연통되고, 배기 전환 부재(35)는 제2 통기 통로(45)를 향하여 상향으로 경사져 있다. 이로 인해, 스페이스(S2)에 유입된 공기는, 배기 전환 부재(35)를 가이드로 하여 흡입관(41)의 제2 통기 통로(45)로 유도됨과 함께, 네트 필터(47) 및 제1 통기 통로(44)를 거쳐 흡입관(41)의 관체(42)에 유입된다.
흡입관(41)이 제2 위치로 회동된 상태에서는, 제1 통기 통로(44)의 후단부가 외장 케이스(11)의 볼록부(11d)에 의해 폐쇄되어, 제1 통기 통로(44)와 집진 케이스(31)의 연통이 차단되어 있다. 이 결과, 송풍기 저장실(21)로부터 제1 통기 통로(44)로 유도된 공기는 연장관(4)을 통하여 흡입 헤드의 흡진구로부터 분출된다. 따라서, 흡진구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에 의해, 예를 들어 실내의 코너나 알루미늄 섀시의 레일의 사이에 저류된 먼지를 날려 버릴 수 있다.
전기 청소기(1)가 송풍 모드에 있을 때에, 전동 송풍기(28)에 흡입되는 공기는, 흡입관(41)의 제1 및 제2 통기 통로(44, 45)를 통하지 않고 외기 도입 풍로(48)로부터 직접 통기실(22)로 유도된다. 바꾸어 말하면, 송풍 모드에서는 청소기 본체(2)의 밖의 공기는 먼지가 저류되는 집진 케이스(31)를 우회하여 전동 송풍기(28)에 흡입된다.
그로 인해, 흡입 헤드(5)의 흡진구로부터 분출되는 송풍용 공기의 풍량이 집진 케이스(31)에 저류된 먼지의 양의 영향을 받는 일은 없다. 따라서, 송풍용 공기의 풍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송풍 모드에서는 흡입관(41)의 벽부(46)가 집진 케이스(31)의 먼지 입구(32a)를 폐색하고 있다. 이로 인해, 집진 케이스(31)에 저류된 먼지가, 흡입관(41)을 통과하는 송풍용 공기의 흐름에 실려 집진 케이스(31)의 밖으로 누출되는 일은 없다.
송풍 작업을 중단하고 통상의 집진 작업으로 이행하기 위해서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한쪽 손의 엄지 손가락과 집게 손가락으로 한 쌍의 푸시 버튼(54)의 가압부(54b)를 압입한다. 이에 의해 푸시 버튼(54)의 결합 홈(54d)이 제2 돌기(53)로부터 벗어나 흡입관(41)의 로크가 해제된다.
흡입관(41)의 로크를 해제한 상태에서, 청소기 본체(2)를 바닥면에 접근시켜 흡입 유닛(3)의 흡입 헤드(5)를 바닥면에 가압한다. 이에 의해 흡입관(41)이 흡입 유닛(3)을 통하여 밀어 올려져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를 향하여 자동적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오퍼레이터가 수작업으로 흡입관(41)을 상향으로 회동시킬 필요는 없어 흡입관(41)을 움직이는 수고를 줄일 수 있다.
흡입관(41)이 제1 위치에 도달하면, 흡입관(41)과 일체로 회동하는 버튼 베이스(54a)의 결합 홈(54d)이 제1 및 제2 케이스 요소(12a, 12b)의 제1 돌기(52)와 대향한다. 이 상태에서 푸시 버튼(54)의 압입을 해제하면, 푸시 버튼(54)이 코일 스프링(55)에 의해 되돌려져 버튼 베이스(54a)의 결합 홈(54d)이 제1 돌기(52)에 걸린다. 이로 인해, 흡입관(41)이 제1 위치에 로크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2 위치부터 제1 위치에 이르는 흡입관(41)의 회동 각도는 대략 45°로 되어 있다.
흡입관(41)이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회동하면, 배기 전환 부재(35)가 제2 배기 위치로부터 제1 배기 위치로 회동한다. 이 회동에 의해 흡입관(41)에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흡인되어 통상의 청소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송풍용 공기에 의해 날려 버린 실내의 먼지를 흡입 헤드(5)로부터 흡입하여 집진 케이스(31)로 유도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전기 청소기(1)를 송풍 모드에서 사용할 때에, 송풍용 공기의 풍량이 집진 케이스(31)에 저류된 먼지의 양의 영향을 받는 일이 없어 송풍용 공기의 풍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흡입관(41)은 청소기 본체(2)의 외장 케이스(11)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로 인해, 청소기 본체(2)를 들어 올려 흡입 유닛(3)의 흡입 헤드(5)를 바닥면으로부터 이격하면, 흡입 유닛(3)의 중량이 흡입관(41)에 더해져 로크 해제된 흡입관(41)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회동한다. 따라서, 흡입 유닛(3)의 중량을 이용하여 전기 청소기(1)의 운전 모드를 집진 모드로부터 송풍 모드로 자동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청소기 본체(2)를 바닥면에 접근시켜 흡입 유닛(3)의 흡입 헤드(5)를 바닥면에 가압하면, 로크 해제된 흡입관(41)이 상향의 힘을 받아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회동한다. 그로 인해, 흡입 헤드(5)를 바닥면에 가압하는 동작을 이용하여 전기 청소기(1)의 운전 모드를 송풍 모드로부터 집진 모드로 자동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흡입관(41)의 회동에 추종하여 배기 전환 부재(35)가 제1 배기 위치 및 제2 배기 위치 중 어느 하나에 회동하므로, 전동 송풍기(28)로부터 배출된 공기의 흐름 방향이 자동적으로 전환된다. 이로 인해, 오퍼레이터가 수작업으로 배기 전환 부재(35)를 회동시킬 필요는 없어 배기 전환 부재(35)를 움직이는 수고를 줄일 수 있다. 그와 함께 흡입관(41)의 회동에 추종하여 외기 도입 풍로(48)가 개폐되고, 통기실(22)에의 외기의 도입 경로가 자동적으로 전환된다.
따라서, 간단히 흡입관(41)을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만으로 전기 청소기(1)의 운전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운전 모드의 전환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전기 청소기(1)의 사용 편의성이 양호해진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흡입 유닛(3)이 접속되는 흡입관(41)이 전동 송풍기(28)를 내장하는 외장 케이스(11)에 일체적으로 내장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전동 송풍기(28)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스페이스(S1) 또는 스페이스(S2)로 유도하는 배기 도입관을 이용하지 않고, 전동 송풍기(28)에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과, 전동 송풍기(28)로부터 배출된 공기의 흐름을 외장 케이스(11)의 내부에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특정되는 것이 아니며,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되어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장 케이스 중 전동 송풍기를 내장하는 개소와, 흡입관을 지지하는 지지실을 형성하는 개소를 서로 다른 구성 요소로 하여도 된다. 즉, 예를 들어 청소기 본체의 외장 케이스에 접속된 흡진 호스를 갖는 업라이트형의 전기 청소기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경우, 흡진 호스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연장관이 접속되는 손잡이 조작부를 흡입관을 지지하기 위한 요소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 구성을 적용함에 있어서는, 전동 송풍기가 저장된 외장 케이스와 손잡이 조작부의 사이를 흡진 호스와는 다른 배기 도입관에 의해 접속하면 된다. 이에 의해 외장 케이스의 내부에 배출된 전동 송풍기의 배기를 배기 도입관을 통하여 손잡이 조작부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청소기를 송풍 모드에서 운전할 때에 한하여, 전동 송풍기로부터 배기되는 공기가 배기 도입관을 통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와 함께 청소기 본체의 외장 케이스에 여과식의 집진부를 설치하면 좋다.
제1 실시 형태의 로크 수단은 흡입관을 제2 위치에 로크하는 제2 돌기를 갖고 있지만, 제2 돌기는 생략하여도 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흡입관이 제2 위치에 도달한 시점에서 흡입관이 외장 케이스의 풍로 폐쇄부의 전단부에 맞부딪치므로, 흡입관의 과도한 회동이 제한된다. 그로 인해, 제2 돌기가 없어도 흡입관을 제2 위치에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흡입관이 제2 위치에 로크되지 않으므로 흡입 헤드를 바닥면에 가압할 때에, 흡입관의 로크를 수작업으로 해제하는 수고를 줄일 수 있다. 이로 인해, 흡입관을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어, 송풍 모드로부터 집진 모드로 빠르게 이행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집진부로서 집진 케이스를 채용하였지만, 집진 케이스 대신에 집진 주머니를 사용하여도 된다. 또한, 로크 수단으로 하여도 제1 및 제2 케이스 요소의 측면에 노출된 가압부를 설치할 필요는 없고, 제1 케이스 요소의 측면 또는 제2 케이스 요소의 측면에만 가압부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풍로 폐쇄부는 흡입관이 제1 위치로 회동되었을 때에, 외기 도입 통로의 풍로 출구를 폐쇄함과 함께, 흡입관이 제2 위치로 회동되었을 때에 풍로 출구를 개방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풍로 폐쇄부는 풍로 출구를 개폐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흡입관이 제1 위치로 회동되었을 때에 외기 도입 풍로의 풍로 입구를 폐쇄함과 함께, 흡입관이 제2 위치로 회동되었을 때에 외기 도입 풍로의 풍로 입구를 개방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캐니스터형의 전기 청소기(101)를 개시하고 있다. 전기 청소기(101)는 집진 모드 및 송풍 모드의 2가지 운전 모드를 갖고 있다.
전기 청소기(101)는 청소기 본체(102)와 흡진 호스(103)를 구비하고 있다. 청소기 본체(102)는 도시하지 않은 차륜을 갖고, 예를 들어 청소해야 할 바닥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청소기 본체(102)는 외장 케이스(111)를 갖고 있다.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흡인하는 흡입구(131b)가 외장 케이스(111)의 전방벽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송풍구(161)가 외장 케이스(111)의 저벽에 형성되어 있다.
흡진 호스(103)는 일단부에 접속관(104)을 갖고 있다. 또한, 핸들을 구비한 손잡이 조작부(도시하지 않음)가 흡진 호스(103)의 타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연장관이 손잡이 조작부에 제거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흡진구를 갖는 흡입 헤드가 연장관의 선단부에 제거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연장관 및 흡입 헤드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이며, 흡진 호스(103)와 협동하여 흡입 유닛을 구성하고 있다.
흡진 호스(103)의 접속관(104)은 흡입구(131b) 또는 송풍구(161) 중 어느 하나에 삽입함으로써, 외장 케이스(111)에 제거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외장 케이스(111)에 대한 접속관(104)의 접속 및 제거는 오퍼레이터의 수작업에 의해 행해진다.
외장 케이스(111)의 내부는 제1 격벽(111a) 및 제2 격벽(111b)에 의해 집진실(131a), 통기실(122) 및 송풍기 저장실(121)의 3개의 방으로 구획되어 있다. 제1 격벽(111a) 및 제2 격벽(111b)은 외장 케이스(111)의 전후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다.
집진실(131a)은 외장 케이스(111)의 전단부에 위치되어 있다. 접속관(104)이 삽입되는 흡입구(131b)는 집진실(131a)에 개구되어 있다. 송풍기 저장실(121)은 외장 케이스(111)의 후단부에 위치되어 있다. 접속관(104)이 삽입되는 송풍구(161)는 송풍기 저장실(121)에 개구되어 있다. 통기실(122)은 외장 케이스(111)의 중간부에 위치되어 집진실(131a)과 송풍기 저장실(121)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집진실(131a)과 통기실(122)의 사이에 위치된 제1 격벽(111a)은 필터(147)를 지지하고 있다. 필터(147)는 흡진 호스(103)의 접속관(104)으로부터 집진실(131a)로 유도되는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것이며, 집진실(131a) 및 통기실(122)의 양쪽에 노출되어 있다. 그로 인해, 집진실(131a) 및 통기실(122)은 필터(147)를 통하여 서로 연통되어 있다. 집진실(131a) 및 필터(147)는 서로 협동하여 외장 케이스(111)의 내측에 집진부(131)를 형성하고 있다.
흡기 전환 부재(141)가 외장 케이스(111)의 전방벽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흡기 전환 부재(141)는 흡입구(131b)를 개방하는 집진용의 제1 위치와 흡입구(131b)를 폐쇄하는 송풍용의 제2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한 밸브이다. 구체적으로는, 흡기 전환 부재(141)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구(131b)에 접속관(104)을 삽입하였을 때에, 접속관(104)에 의해 밀려 흡입구(131b)를 개방한다. 흡입구(131b)로부터 접속관(104)을 인발하면, 흡기 전환 부재(141)는 자중 혹은 도시하지 않은 리턴 스프링의 압박력에 의해 흡입구(131b)를 폐쇄한다.
흡기 전환 부재(141)가 제1 위치로 회동된 상태에서는 접속관(104)으로부터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집진실(131a)로 도입되어 집진 동작이 행해진다. 흡기 전환 부재(141)가 제2 위치로 회동된 상태에서는 집진실(131a)에의 공기의 도입이 차단되어 집진 동작이 중단된다.
외기 도입 수단(138)이 외장 케이스(111)의 상벽에 설치되어 있다. 외기 도입 수단(138)은 외기 도입 구멍(148)과 제1 덮개 부재(149)를 구비하고 있다. 외기 도입 구멍(148)은 집진실(131a)의 하류측에 위치된 통기실(122)에 개구되어 있다. 그로 인해, 통기실(122)은 외기 도입 구멍(148)을 통하여 외장 케이스(111)의 밖으로 통해 있다. 제1 덮개 부재(149)는 외장 케이스(111)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외장 케이스(111)의 상벽의 내면에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덮개 부재(149)는 외기 도입 구멍(148)을 폐쇄하는 제1 전환 위치와, 외기 도입 구멍(148)을 개방하는 제2 전환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흡기 전환 부재(141)와 제1 덮개 부재(149)는 서로 연동되어 있다.
즉,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기 전환 부재(141)가 제1 위치로 회동되면, 제1 덮개 부재(149)는 흡기 전환 부재(141)의 회동에 추종하여 제1 전환 위치로 슬라이드된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기 전환 부재(141)가 제2 위치로 회동되면, 제1 덮개 부재(149)는 흡기 전환 부재(141)의 회동에 추종하여 제2 전환 위치로 슬라이드된다.
송풍기 저장실(121)은 통기실(122)의 하류에 위치되어 있다. 전동 송풍기(128)가 송풍기 저장실(121)에 저장되어 있다. 전동 송풍기(128)는 모터 모듈(128a) 및 팬 모듈(128b)을 구비하고 있다. 팬 모듈(128b)은 통기실(122)과 송풍기 저장실(121)을 구획하는 제2 격벽(111b)에 지지되어 있다. 팬 모듈(128b)의 흡기구(도시하지 않음)는 통기실(122)에 노출되어 통기실(122) 내의 공기를 흡인한다. 모터 모듈(128a)은 송풍기 저장실(121)의 내부에 위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흡기구로부터 팬 모듈(128b)에 흡입된 공기는, 모터 모듈(128a)의 내부를 통과하여 모터 모듈(128a)의 후단부로부터 송풍기 저장실(121)로 배출된다.
배기 구멍(119)이 외장 케이스(111)의 상벽의 후방부에 형성되어 있다. 배기 구멍(119)은 송풍기 저장실(121)에 개구되어 있음과 함께, 외기 도입 구멍(148)의 후방에 위치되어 있다. 배기 구멍(119)은 제1 덮개 부재(149)가 제1 전환 위치로 슬라이드되었을 때에, 제1 덮개 부재(149)로부터 벗어나 열려진다. 제1 덮개 부재(149)가 제2 전환 위치로 슬라이드되면, 배기 구멍(119)이 제1 덮개 부재(149)에 의해 폐쇄된다. 그로 인해, 배기 구멍(119)은 외기 도입 구멍(148)이 폐쇄되어 있을 때에 개방 상태를 유지하고, 외기 도입 구멍(148)이 개방되어 있을 때에 폐쇄 상태를 유지한다.
제2 덮개 부재(162)가 외장 케이스(111)의 저벽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2 덮개 부재(162)는 송풍구(161)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송풍구(161)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한 밸브이다. 구체적으로는, 제2 덮개 부재(162)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관(104)이 송풍구(161)로부터 뽑여졌을 때에, 자중 혹은 도시하지 않은 리턴 스프링의 압박력에 의해 송풍구(161)를 폐쇄한다. 제2 덮개 부재(162)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관(104)이 송풍구(161)에 삽입되었을 때에, 접속관(104)에 의해 밀려 송풍구(161)를 개방한다.
전기 청소기(101)를 집진 모드에서 사용할 때에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진 호스(103)의 접속관(104)을 외장 케이스(111)의 전단부의 흡입구(131b)에 삽입한다. 이 삽입에 의해 흡기 전환 부재(141)가 제1 위치로 회동됨과 함께, 흡기 전환 부재(141)의 회동에 추종하여 제1 덮개 부재(149)가 제1 전환 위치로 슬라이드된다. 이 슬라이드에 의해 외기 도입 구멍(148)이 폐쇄됨과 함께 배기 구멍(119)이 열려진다. 또한, 제2 덮개 부재(162)는 폐쇄 위치로 회동되어 송풍구(161)를 폐쇄하고 있다.
전동 송풍기(128)가 운전을 개시하면, 통기실(122) 내의 공기가 흡인되고, 통기실(122)에 통해 있는 집진실(131a), 흡진 호스(103)를 통하여 흡입 헤드에 부압이 작용한다. 이에 의해 바닥면 상의 먼지가 공기와 함께 집진실(131a)에 흡입됨과 함께 필터(147)에 의해 여과된다. 공기 중에 포함되는 먼지는 필터(147)에 의해 포착되어 집진실(131a)에 저류된다.
필터(147)를 통과한 공기는 통기실(122)을 경유하여 전동 송풍기(128)에 흡입된다. 전동 송풍기(128)에 흡입된 공기는 모터 모듈(128a)의 후단부로부터 송풍기 저장실(121)로 배출된다. 송풍기 저장실(121)로 배출된 공기는 개방된 배기 구멍(119)으로부터 청소기 본체(102)의 밖으로 토출된다. 도 18 중 화살표 X는, 전기 청소기(101)가 집진 모드에 있을 때의 청소기 본체(102) 내의 공기의 흐름 경로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집진 모드로부터 송풍 모드로 이행하기 위해서는, 전동 송풍기(128)의 운전을 멈춘 후, 흡진 호스(103)의 접속관(104)을 흡입구(131b)로부터 인발한다. 이어서, 인발한 접속관(104)을 송풍구(161)에 삽입하여 외장 케이스(111)에 접속한다.
접속관(104)이 흡입구(131b)로부터 뽑여지면, 흡기 전환 부재(141)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회동되어 흡입구(131b)를 폐쇄한다. 그와 함께 흡기 전환 부재(141)의 회동에 추종하여 제1 덮개 부재(149)가 제1 전환 위치로부터 제2 전환 위치로 슬라이드된다. 이 슬라이드에 의해 외기 도입 구멍(148)이 열려짐과 함께 배기 구멍(119)이 폐쇄된다. 또한, 송풍구(161)에 삽입된 접속관(104)에 의해 제2 덮개 부재(162)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를 향하여 회동되고, 송풍기 저장실(121)이 접속관(104)을 통하여 흡진 호스(103)에 접속된다.
전동 송풍기(128)가 운전을 개시하면, 통기실(122) 내의 공기가 흡인되고, 통기실(122)에 개구된 외기 도입 구멍(148)에 부압이 작용한다. 이 결과, 청소기 본체(102)의 밖의 공기가 집진실(131a)을 우회하여 직접 통기실(122)에 흡입된다. 통기실(122)에 흡입된 공기는 전동 송풍기(128)에 흡인되어 모터 모듈(128a)의 후단부로부터 송풍기 저장실(121)로 배출된다. 송풍기 저장실(121)로 배출된 공기는 접속관(104)으로부터 흡진 호스(103)를 통하여 흡입 헤드로 유도됨과 함께, 흡입 헤드의 흡진구로부터 분출된다.
따라서, 흡입 헤드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흡입 유닛을 들어 올려 흡입 헤드를 송풍 대상에 대향시킴으로써, 예를 들어 실내의 코너나 알루미늄 섀시의 레일의 사이에 저류된 먼지를 날려 버릴 수 있다.
도 19 중 화살표 Y는, 전기 청소기(101)가 송풍 모드에 있을 때의 청소기 본체(102) 내의 공기의 흐름 경로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전기 청소기(101)가 송풍 모드에 있을 때에, 전동 송풍기(128)에 흡입되는 공기는 집진실(131a)을 통하지 않고 외기 도입 구멍(148)으로부터 직접 통기실(122)로 유도된다. 바꾸어 말하면, 송풍 모드에서는 청소기 본체(102)의 밖의 공기는 먼지가 저류되는 집진실(131a)을 우회하여 전동 송풍기(128)에 흡입된다.
그로 인해, 흡입 헤드의 흡진구로부터 분출되는 송풍용 공기의 풍량이, 집진실(131a)에 저류된 먼지의 양의 영향을 받는 일은 없어 송풍용 공기의 풍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덮개 부재(149)는 흡기 전환 부재(141)의 회동에 추종하여 슬라이드되어, 외기 도입 구멍(148)을 닫았을 때에 배기 구멍(119)을 개방하고, 외기 도입 구멍(148)을 개방하였을 때에 배기 구멍(119)을 폐쇄한다. 또한, 송풍구(161)는 흡진 호스(103)의 접속관(104)이 송풍구(161)에 접속되지 않는 한, 제2 덮개 부재(162)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그로 인해, 흡기 전환 부재(141), 제1 덮개 부재(149) 및 제2 덮개 부재(162)를 개별적으로 수작업으로 움직이는 수고를 줄일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외장 케이스(111)의 흡입구(131b)에 흡진 호스(103)의 접속관(104)을 삽입함으로써, 전기 청소기(101)가 집진 모드로 전환되어 바닥면 상의 먼지를 흡입하는 통상의 청소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흡진 호스(103)의 접속관(104)을 흡입구(131b)로부터 인발하여 송풍구(161)에 삽입함으로써, 전기 청소기(101)가 송풍 모드로 전환되어 바닥면의 먼지를 날려 버릴 수 있다.
따라서, 흡입관(41)을 흡입구(131b) 또는 송풍구(161) 중 어느 하나에 삽입 함으로써, 전기 청소기(101)의 운전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운전 모드의 전환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전기 청소기(101)의 사용 편의성이 양호해진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외기 도입 구멍(148) 및 배기 구멍(119)을 공통의 제1 덮개 부재(149)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있다. 그로 인해, 외기 도입 구멍(148) 및 배기 구멍(119)을 개별적으로 개폐하는 경우와의 비교에 있어서 전기 청소기(101)의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다. 그러나, 외기 도입 구멍(148) 및 배기 구멍(119)을 개별적으로 전용의 덮개 부재로 개폐하도록 하여도 전혀 지장없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덮개 부재(149)는 외기 도입 구멍(148)만을 개폐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구성의 경우, 흡진 호스(103)의 접속관(104)은 배기 구멍(119)에 제거 가능하게 접속됨과 함께 송풍 구멍(161) 및 덮개 부재(162)를 생략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흡기 전환 부재(141), 제1 덮개 부재(149) 및 제2 덮개 부재(162)는 개별적으로 수동에 의해 회동시키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또한, 흡기 전환 부재(141), 제1 덮개 부재(149) 및 제2 덮개 부재(162)를 각각 전자기 밸브로 구성함과 함께, 흡진 호스의 손잡이 조작부에 각 전자기 밸브를 조작하는 조작 버튼을 설치하여도 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외장 케이스(111)의 내부의 흡기 전환 부재(141), 제1 덮개 부재(149) 및 제2 덮개 부재(162)를 손잡이 조작부에 의해 원격 조작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덮개 부재(162)를 생략함으로써 송풍구(161)를 항상 개방시켜도 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전기 청소기(101)가 집진 모드일 때에 송풍기 저장실(121)에 배출되는 전동 송풍기(128)의 배기의 일부를 송풍구(161)로부터 외장 케이스(111)의 밖으로 토출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송풍구(161)에 흡진 호스(103)의 접속관(104)을 제거 가능하게 삽입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제2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접속관(104) 대신에 송풍 전용의 송풍관을 송풍구(161)에 제거 가능하게 삽입하여도 된다.

Claims (10)

  1. 집진 모드 및 송풍 모드로 전환 가능한 전기 청소기로서,
    배기구를 갖는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수용되어 상기 청소기 본체 내의 공기를 흡인하는 전동 송풍기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전동 송풍기의 운전에 의해 상기 청소기 본체 내에 흡입된 공기 중에 포함되는 먼지를 모으는 집진부와,
    상기 집진 모드일 때에 상기 전동 송풍기의 운전에 따라 상기 청소기 본체 내에 흡입된 먼지를 상기 집진부에 모으는 제1 위치와, 상기 송풍 모드일 때에 집진 동작을 중단시키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청소기 본체에 설치된 흡기 전환 부재와,
    상기 집진 모드일 때에 상기 전동 송풍기로부터 배출된 배기를 상기 배기구로 유도하는 제1 배기 위치와, 상기 송풍 모드일 때에 상기 전동 송풍기로부터 배출된 배기를 송풍용 공기로서 상기 청소기 본체의 밖으로 유도하는 제2 배기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청소기 본체에 설치된 배기 전환 부재와,
    상기 집진 모드일 때에 상기 청소기 본체 내로의 외기의 도입을 차단함과 함께, 상기 송풍 모드일 때에 상기 집진부를 우회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 내에 외기를 도입하는 외기 도입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는, 외기가 도입되는 통기실과, 상기 통기실에 연통되도록 상기 통기실의 하류에 설치되고, 상기 전동 송풍기가 저장된 저장실을 갖고, 상기 전동 송풍기는 상기 통기실 내의 공기를 흡인함과 함께, 상기 배기구는 상기 저장실에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 전환 부재는 상기 청소기 본체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지지된 흡입관이며, 상기 흡입관은 제1 통기 통로와, 상기 제1 통기 통로로부터 분기된 제2 통기 통로와, 상기 제1 통기 통로와 상기 제2 통기 통로 사이에 설치된 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통기 통로는, 상기 흡입관이 상기 제1 위치로 회동되었을 때에 상기 집진부의 입구에 연통됨과 함께, 상기 흡입관이 상기 제2 위치로 회동되었을 때에 상기 집진부의 입구로부터 이탈하고,
    상기 제2 통기 통로는, 상기 흡입관이 상기 제1 위치로 회동되었을 때에 상기 통기실에 연통됨과 함께, 상기 흡입관이 상기 제2 위치로 회동되었을 때에 상기 전동 송풍기의 배기측에 연통되고,
    상기 벽부는, 상기 흡입관이 상기 제1 위치로 회동되었을 때에 상기 집진부의 입구를 개방함과 함께, 상기 흡기관이 상기 제2 위치로 회동되었을 때에 상기 집진부의 입구를 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은, 상기 제1 통기 통로와 상기 제2 통기 통로 사이에 개재된 네트 필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지지되고, 상기 네트 필터는, 상기 흡입관이 상기 제1 위치로 회동되었을 때에, 상기 집진부의 입구에 접근함에 따라 상향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전환 부재는, 상기 흡기 전환 부재에 추종하여 회동하도록 상기 청소기 본체에 지지되고, 상기 흡기 전환 부재가 상기 제1 위치로 회동되었을 때에 상기 배기 전환 부재가 상기 제1 배기 위치로 회동됨과 함께, 상기 흡기 전환 부재가 상기 제2 위치로 회동되었을 때에 상기 배기 전환 부재가 상기 제2 배기 위치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 도입 수단은 상기 흡입관에 설치된 외기 도입 풍로(風路)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설치된 풍로 폐쇄부를 구비하고,
    상기 풍로 폐쇄부는, 상기 흡입관이 상기 제1 위치로 회동되었을 때에 상기 외기 도입 풍로의 풍로 입구 또는 풍로 출구를 폐쇄함과 함께, 상기 흡입관이 상기 제2 위치로 회동되었을 때에 상기 풍로 입구 또는 상기 풍로 출구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는, 상기 집진부의 하류이며, 또한 상기 전동 송풍기의 상류에 설치된 통기실과, 상기 집진부와 상기 통기실의 사이에 개재된 필터를 갖고, 상기 흡기 전환 부재는 상기 집진부의 입구를 개폐함과 함께,
    상기 외기 도입 수단은, 상기 통기실에 외기를 유도하는 도입 구멍과, 상기 도입 구멍을 개폐하는 덮개 부재를 갖고, 상기 덮개 부재는, 상기 흡기 전환 부재가 상기 집진부의 입구를 개방하였을 때에 상기 도입 구멍을 폐색하고, 상기 흡기 전환 부재가 상기 집진부의 입구를 폐쇄하였을 때에 상기 도입 구멍을 개방하도록 상기 흡기 전환 부재에 연동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 전환 부재는 피청소면을 따라 이동 가능한 흡입 헤드를 갖는 연장관이 제거 가능하게 접속되는 흡입관이며, 상기 흡입관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청소기 본체에 지지되어, 상기 흡입 헤드를 상기 피청소면에 가압하였을 때에 상기 청소기 본체에 대하여 상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1 위치에 도달함과 함께, 상기 흡입 헤드를 상기 피청소면으로부터 이격하였을 때에 상기 연장관의 중량에 의해 상기 청소기 본체에 대하여 하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2 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을 적어도 상기 제1 위치에 로크하는 로크 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고, 이 로크 수단은 로크 해제용의 한 쌍의 푸시 버튼을 가짐과 함께, 이들 푸시 버튼은, 상기 흡입관의 단부를 상기 청소기 본체의 폭 방향으로부터 끼워 넣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한 쌍의 측벽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KR1020117027497A 2009-05-21 2010-05-20 전기 청소기 KR1013275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23138 2009-05-21
JP2009123138A JP2010268960A (ja) 2009-05-21 2009-05-21 電気掃除機
JP2009132280A JP2010274041A (ja) 2009-06-01 2009-06-01 電気掃除機
JPJP-P-2009-132280 2009-06-01
PCT/JP2010/058554 WO2010134577A1 (ja) 2009-05-21 2010-05-20 電気掃除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2985A true KR20120022985A (ko) 2012-03-12
KR101327592B1 KR101327592B1 (ko) 2013-11-12

Family

ID=43126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7497A KR101327592B1 (ko) 2009-05-21 2010-05-20 전기 청소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1327592B1 (ko)
CN (1) CN102438495B (ko)
RU (1) RU2500331C2 (ko)
WO (1) WO201013457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562B1 (ko) * 2012-08-31 2014-07-02 조규호 진공 청소기
KR20170135480A (ko) 2016-05-31 2017-12-08 강일 최 수열탄화반응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바이오 석탄 생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0720A1 (zh) * 2016-06-30 2018-01-04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尘杯、尘杯组件和手持吸尘器
GB2542197B (en) * 2015-09-14 2017-12-20 Dyson Technology Ltd Handle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JP6710070B2 (ja) 2016-03-14 2020-06-17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ハンディ型電気掃除機
MY193132A (en) * 2016-07-29 2022-09-26 Toshiba Lifestyle Products & Services Corp Vacuum cleaner
GB2554936B (en) * 2016-10-14 2022-03-30 Techtronic Floor Care Tech Ltd Surface cleaning apparatus
EP3641609B1 (en) 2017-06-19 2022-11-09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Surface cleaning apparatus
CN110219273A (zh) * 2017-12-12 2019-09-10 苏州宝时得电动工具有限公司 吹吸机
JP2020171515A (ja) * 2019-04-11 2020-10-22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気掃除機
AU2020417245B2 (en) 2020-01-03 2023-12-07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Handheld vacuum cleaner
US20240138638A1 (en) * 2022-11-02 2024-05-02 Black & Decker, Inc. Vacuum clean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312607U1 (de) * 1993-08-23 1993-10-28 Schoettle Kg Electrostar Saug- und Blasvorrichtung
EP0723759B1 (en) * 1995-01-30 2002-07-10 Black & Decker Inc. A blower-vacuum device
WO1997030620A1 (fr) 1996-02-21 1997-08-28 Ryobi Ltd. Dispositif soufflant et aspirant
JPH09327421A (ja) * 1996-06-13 1997-12-22 Seiichi Yoda 掃除器
JP3643041B2 (ja) * 2001-02-15 2005-04-27 リョービ株式会社 吸引・送風装置のモード切換機構
CN2572914Y (zh) * 2002-09-27 2003-09-17 宁涛 便携、气动、吹吸式吸尘器
CN2702105Y (zh) * 2004-05-18 2005-05-25 正峰工业股份有限公司 吹吸两用鼓风机
CN200977118Y (zh) * 2006-11-03 2007-11-21 乐建军 多功能吹风吸尘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562B1 (ko) * 2012-08-31 2014-07-02 조규호 진공 청소기
KR20170135480A (ko) 2016-05-31 2017-12-08 강일 최 수열탄화반응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바이오 석탄 생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1147066A (ru) 2013-06-27
CN102438495A (zh) 2012-05-02
KR101327592B1 (ko) 2013-11-12
CN102438495B (zh) 2014-05-14
WO2010134577A1 (ja) 2010-11-25
RU2500331C2 (ru) 2013-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7592B1 (ko) 전기 청소기
KR100928614B1 (ko) 전기 청소기
EP3491987B1 (en) Electric vacuum cleaner
KR20080096191A (ko) 캐니스터/스틱 겸용 진공청소기
US20230092045A1 (en) Cleaner
WO2007146444A1 (en) Filter cleaning system for a vacuum cleaner
US7468083B2 (en)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bag mount and separate bag caddy
JP6796966B2 (ja) 電気掃除機
JP3686053B2 (ja) 電気掃除機用集塵容器および電気掃除機
CN210124714U (zh) 清洁设备和清洁设备总成
KR20060019739A (ko)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 구조
KR101253385B1 (ko)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US11771280B2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removable air treatment member assembly
JP4896818B2 (ja) 電気掃除機
JP2010274041A (ja) 電気掃除機
KR20140020194A (ko) 집진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전기 청소기
EP1491128B1 (en) Mounting device for vacuum cleaner accessory
KR20110048511A (ko) 진공 청소기
JP2010268960A (ja) 電気掃除機
US11445878B2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removable air treatment member assembly
KR101717537B1 (ko) 업라이트 형 진공청소기
US11666193B2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removable air treatment member assembly
US11766156B2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removable air treatment member assembly
EP1491127A2 (en) Vacuum cleaner
JP4533768B2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