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2539A - 운전 제어 시스템, 운전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운전 제어 시스템, 운전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2539A
KR20120022539A KR1020110054662A KR20110054662A KR20120022539A KR 20120022539 A KR20120022539 A KR 20120022539A KR 1020110054662 A KR1020110054662 A KR 1020110054662A KR 20110054662 A KR20110054662 A KR 20110054662A KR 20120022539 A KR20120022539 A KR 20120022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quipment
command signal
operation control
group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4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8703B1 (ko
Inventor
히로시 나가오
히로시 무라타
미츠히로 혼다
마사토 다나카
마유미 미우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야마다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야마다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야마다케
Publication of KR20120022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2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8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8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주자가 실내 레이아웃을 결정한 후에 실제로 이용할 때의 편리성을 반영시키고, 에너지 사용량을 억제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운전 제어 시스템은, 설비 기기(4)에 대하여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할 수 있는 운전 제어 장치(1)와, 운전 제어 장치(1)에 대하여 지령 신호를 송신하는 조작 단말(2)을 구비한다. 운전 제어 장치(1)는, 조작 단말(2)로부터 송신된 지령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수단을 갖고, 자장치와 접속된 설비 기기(4)의 온/오프를 지령 신호에 따라서 제어하는 운전 제어 수단과, 자장치와 접속된 설비 기기(4)의 출력값을 지령 신호에 따라서 제어하는 출력 제어 수단 중 하나 이상을 갖는다.

Description

운전 제어 시스템, 운전 제어 장치 및 방법{OPERATION CONTROL SYSTEM, OPER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조명 기구나 공조(공기조절) 급기 취출구 등의 설비 기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운전 제어 시스템, 운전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오피스 빌딩 등의 건물의 규모가 큰 실내에는, 복수의 공조 급기 취출구나 조명 기구 등의 설비 기기가 설치된다. 설비 기기의 배치는, 거주자가 실내 레이아웃을 결정하기 이전에 거주자의 의지와 관계없이 미리 결정된다. 이들 설비 기기는 적절하게 구분되며, 구분된 존마다 따로따로 온/오프가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이와 같이, 설비 기기는 존 단위로 조작되기 때문에, 존 안의 일부에 사람이 없는 영역이 있었다고 해도 공조나 조명을 오프로 할 수는 없어, 에너지의 낭비가 발생하고 있었다. 그래서, 조명 기구에 장착하는 조광 센서 장치에 의해서 개별적으로 조광을 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은, 조광 센서 장치에 사람 감지 센서나 조도 센서를 설치하여,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나 주위의 밝기에 따라서 조명 기구를 개별적으로 조광 제어하는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2331호 공보
(A) 설비 기기가 적절하게 구분되는 설계는, 거주자가 실내 레이아웃을 결정하기 이전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실제로 이용될 때의 편리성을 반영한 것으로 되기는 어렵다.
(B) 설비 기기는, 책상이나 의자와 같이 거주자가 배치를 변경할 수 있는 것과는 달리, 천장이나 벽면에 고정되기 때문에, 실내 레이아웃 확정 후 또는 변경 후에 상황에 맞게 배치 변경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C) 설비 기기는, 책상이나 의자와 같이 거주자가 개별적으로 점유하여 이용할 수 있는 것과는 달리, 적절하게 구분된 존의 범위에서 복수의 거주자가 공유하기 때문에, 거주자의 존재 상황에 따라서 최적의 사용 상태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D) 이상의 (A)?(C)의 제약에 의해, 필요한 실내 환경을 실현하면서 사용 에너지를 최소화하는 것 등이 곤란하게 된다.
(E) 예컨대, 구분된 존이, 원래라면 10 사람이 공유하는 설계이며, 그 존에는 조명 기구가 8개, 공조 취출구가 6대 설치되어, 이들 조명 기구 및 공조 취출구가 일괄적으로 제어되는 경우에, 어떠한 사정에 의해 존에 1명밖에 없다고 하는 상황이라도, 10명이 존재하는 상황과 동일한 에너지량을 사용하여 필요한 실내 환경을 유지해야만 한다. 즉, 조명 기구는 8개 전부가 점등되고, 공조 취출구도 6개 전부로부터 급기가 공급되어, 에너지는 1명에게 필요한 양보다도 많이 소비된다.
(F) 또한, 예컨대 도 15의 평면도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간(200)의 내부에 설비 기기(201)가 다수 설치되고, 공간(200)이 복수의 존(202?206)으로 구분되어 있는 경우를 고려한다. 존(202)과 존(203)에 걸치는 식으로 하여 미팅 테이블(207)이 설치되면, 미팅 테이블(207)에 사람이 없어 미팅 테이블(207) 위치의 설비 기기(201)를 오프로 하고 싶은 경우라도, 208, 209의 위치에 사람이 있으면, 존(202, 203)의 설비 기기(201)를 오프로 할 수는 없다.
(G) 거주자가 설비 기기를 완전히 개별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정도로 구분 단위를 세분화하도록 미리 설계하면, 실내가 불필요하게 지나치게 세분화되어 버리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 구분이 과도하게 번잡하게 되거나, 설치 비용이 불필요하게 비싸지거나 하는 것과 같은 폐해도 생긴다.
(H) 또한, 구분 단위를 나중에 세분화하고자 하면, 배선의 변경이나, 기기 전체의 교환이 필요하게 되어, 설비 변경 비용이 커진다.
(I)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도 16의 평면도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간(210) 안의 각 조명 기구(211)에 조광 센서 장치(212)를 장착함으로써, 조명 기구(211)를 개별적으로 조광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조광 센서 장치(212)를 전체 조명 기구(211)에 장착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설치 비용이 비싸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실내를 조명 기구(211)마다 구분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실내를 불필요하게 지나치게 세분화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동작 모드를 변경하고자 하면, 조광 센서 장치(212)를 조명 기구(211)로부터 떼내어 재설정하여, 다시 장착해야 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거주자가 실내 레이아웃을 결정한 후에 실제로 이용할 때의 편리성을 반영시킬 수 있고, 에너지 사용량을 억제할 수 있는 운전 제어 시스템, 운전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운전 제어 시스템은, 설비 기기에 대하여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할 수 있는 운전 제어 장치와, 이 운전 제어 장치에 대하여 지령 신호를 송신하는 조작 단말을 구비하고, 상기 운전 제어 장치는, 상기 조작 단말로부터 송신된 지령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수단을 갖고, 자장치(自裝置)와 접속된 설비 기기의 온/오프를 상기 지령 신호에 따라서 제어하는 운전 제어 수단과, 자장치와 접속된 설비 기기의 출력값을 상기 지령 신호에 따라서 제어하는 출력 제어 수단 중 하나 이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운전 제어 시스템의 일 구성예에 있어서, 상기 운전 제어 장치는, 상기 조작 단말로부터의 지령 신호 또는 상기 조작 단말과의 거리에 따라서, 설비 기기를 그룹화하는 그룹 설정 수단을 더 가지며, 상기 운전 제어 수단 또는 상기 출력 제어 수단은, 자장치와 접속된 설비 기기가 소속된 그룹에 대한 상기 지령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자장치와 접속된 설비 기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운전 제어 시스템의 일 구성예에 있어서, 상기 운전 제어 장치는, 사람의 존재를 검지하는 사람 감지 센서를 더 가지며, 상기 운전 제어 수단 또는 상기 출력 제어 수단은, 상기 사람 감지 센서의 검지 결과에 따라서, 자장치와 접속된 설비 기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운전 제어 시스템의 일 구성예에 있어서, 상기 운전 제어 장치는, 설비 기기의 운전 상태나 설비 기기의 그룹화 상태를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운전 제어 시스템의 일 구성예에 있어서, 상기 설비 기기는 조명 기구이며, 상기 운전 제어 장치는, 발광 장치를 장착할 수 있는 소켓과, 상기 조명 기구에 장착할 때에 조명 기구의 소켓과 접속되는 단자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설비 기기에 대하여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할 수 있는 운전 제어 장치로서, 조작 단말로부터 송신된 지령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수단을 갖고, 자장치와 접속된 설비 기기의 온/오프를 상기 지령 신호에 따라서 제어하는 운전 제어 수단과, 자장치와 접속된 설비 기기의 출력값을 상기 지령 신호에 따라서 제어하는 출력 제어 수단 중 하나 이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운전 제어 장치의 일 구성예는, 상기 조작 단말로부터의 지령 신호 또는 상기 조작 단말과의 거리에 따라서, 설비 기기를 그룹화하는 그룹 설정 수단을 더 가지며, 상기 운전 제어 수단 또는 상기 출력 제어 수단은, 자장치와 접속된 설비 기기가 소속되는 그룹에 대한 상기 지령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자장치와 접속된 설비 기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운전 제어 장치의 일 구성예는, 사람의 존재를 검지하는 사람 감지 센서를 더 가지며, 상기 운전 제어 수단 또는 상기 출력 제어 수단은, 상기 사람 감지 센서의 검지 결과에 따라서, 자장치와 접속된 설비 기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운전 제어 장치의 일구성예는, 설비 기기의 운전 상태나 설비 기기의 그룹화 상태를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운전 제어 장치의 한 구성예는, 상기 설비 기기가 조명 기구인 경우에, 발광 장치를 장착할 수 있는 소켓과, 상기 조명 기구에 장착할 때에 조명 기구의 소켓과 접속되는 단자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운전 제어 방법은, 설비 기기에 대하여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할 수 있는 운전 제어 장치가, 조작 단말로부터 송신된 지령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운전 제어 장치는, 자장치와 접속된 설비 기기의 온/오프를 상기 지령 신호에 따라서 제어하는 운전 제어 단계와, 자장치와 접속된 설비 기기의 출력값을 상기 지령 신호에 따라서 제어하는 출력 제어 단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요한 곳에만 운전 제어 장치를 간단하게 추가할 수 있으며, 운전 제어 장치를 추가한 설비 기기를 온/오프 제어하거나, 출력 제어하거나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설계시의 설비 기기의 구분과는 무관하게, 거주자의 존재 상황에 따라서 최적의 사용 상태를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실내 환경을 실현하면서 사용 에너지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거주자가 실내 레이아웃을 결정한 후, 실제로 이용될 때의 편리성을 반영할 수 있기 때문에, 거주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실내의 구분 단위를 지나치게 세분화할 필요가 없어, 배선의 변경이나 설비 기기 교환을 할 필요도 없기 때문에, 비용의 증가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건물의 시공자에게 있어서는, 이용자(거주자)로부터의 클레임을 줄이기 위해서 어떻게 구분할지 검토하는 데에 많은 시간을 써버릴 필요성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조작 단말로부터 운전 제어 장치에 대하여 지령 신호를 송신할 수 있기 때문에, 거주자나 관리자에게 있어서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설비 기기를 그룹화함으로써, 복수의 설비 기기를 일괄적으로 온/오프 제어하거나, 출력 제어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운전 제어 장치에 사람 감지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사람의 존재 여부에 따른 설비 기기의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운전 제어 장치에 설비 기기의 운전 상태나 설비 기기의 그룹화 상태를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실내의 거주자나 관리자는, 설비 기기의 운전 상태나 설비 기기의 그룹화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운전 제어 장치에, 발광 장치를 장착할 수 있는 소켓과, 조명 기구에 장착할 때에 조명 기구의 소켓과 접속되는 단자를 설치함으로써, 기존의 조명 기구의 소켓을 이용하여, 조명 기구에 운전 제어 장치를 추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운전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운전 제어 시스템의 운전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운전 제어 시스템의 조작 단말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비 기기의 일례인 조명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비 기기의 일례인 공조 급기 취출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비 기기를 그룹화하는 경우의 조작 단말 및 운전 제어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비 기기를 온/오프 제어하는 경우의 조작 단말 및 운전 제어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비 기기를 출력 제어하는 경우의 조작 단말 및 운전 제어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운전 제어 시스템의 효과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운전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운전 제어 시스템의 본체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비 기기의 그룹화 상태를 확인하는 경우의 조작 단말 및 운전 제어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운전 제어 시스템의 운전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운전 제어 시스템의 운전 제어 장치의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15는 종래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종래의 다른 문제점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발명의 원리]
공조에 있어서의 조화 공기 반송이나 조명에 있어서의 전력 공급과 같이, 공조나 조명은 건물 자체의 기능 구성 요소와 결합하여 설치되어야만 하는 것이기 때문에, 건물의 기능으로서 취급하지 않으면 안 되어, 설비 기기의 설치는 건축시에 이루어져야만 한다. 즉, 공조 급기 취출구나 조명 기구 등의 설비 기기는, 「고정물=고정되어야 하는 것」으로서의 성질을 지니며, 이 성질은 피할 수 없는 것이다.
한편, 수도나 가스와 같이 한정된 장소에서 단시간 사용하는 설비와는 달리, 공조 급기 취출구나 조명 기구는 넓은 범위에서 장시간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실내의 상황에 따라서 요망되는 최적의 상태는 적절하게 변화되는 것이다. 즉, 공조 급기 취출구나 조명 기구 등의 설비 기기는,「비고정물=고정되어서는 안 되는 것」으로서의 성질을 아울러 갖는다.
종래에는, 공조 급기 취출구나 조명 기구 등의 설비 기기에 대해서, 「고정물」로서의 성질을 중시하고 있었기 때문에 「비고정물」로서의 성질이 희생되어,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했던 데에 발명자는 착안하였다. 이 착안점에 기초하여, 「고정물」로서 피할 수 없는 부분과「비고정물」로서 취급해야 되는 부분을 분리한 구성을 채용하는 해야만 한다는 데에, 발명자의 생각이 이르렀다.
구체적으로는, 공조 급기 취출구나 조명 기구 등의 설비 기기의 본체는 종래 그대로 설치하고, 거주자가 점유하거나 레이아웃에 따라서 적절하게 구분하거나 하기 위해서 필요한 조작 기능에 대해서는 본체에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예컨대, 무선에 의해 거주자로부터의 지령 신호를 수신하여, 공조나 조명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제어 신호를 본체에 발신하는 운전 제어 장치를 채용한다.
공조 급기 취출구나 조명 기구 등의 본체는, 운전 제어 장치를 착탈할 수 있게 하는 부착부를 갖는 구조로 한다. 이 경우, 본체는 「고정물」에 해당하며, 운전 제어 장치는 「비고정물」에 해당한다. 이용자는, 필요한 곳에만 운전 제어 장치를 부착하고, 운용이 변하면 부착 위치를 바꿈으로써, 레이아웃 변화 등에 따른 유연한 대응을 할 수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조광 센서 장치도 착탈 가능하지만, 본 발명의 운전 제어 장치와 같이 지령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할 수는 없으며, 본체로부터 떼어내어서 동작 모드를 재설정할 필요가 있어, 유연한 운용을 할 수 없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운용의 유연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 운전 제어 장치에 복수의 설비 기기를 그룹화하는 그룹화 기능을 갖게 한다.
[제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운전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운전 제어 시스템은, 실내의 천장(3)에 설치된 공조 급기 취출구나 조명 기구 등의 설비 기기(4)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운전 제어 장치(1)와, 운전 제어 장치(1)에 대하여 지령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조작 단말(2)로 구성된다.
도 2는 운전 제어 장치(1)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운전 제어 장치(1)는, 조작 단말(2)로부터 무선 송신된 지령 신호를 수신하고, 다른 운전 제어 장치(1)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부(10)와, 자장치와 접속된 설비 기기(4)의 온/오프를 지령 신호에 따라서 제어하는 설비 기기 운전 제어부(11)와, 자장치와 접속된 설비 기기(4)의 출력값을 지령 신호에 따라서 제어하는 설비 기기 출력 제어부(12)와, 설비 기기(4)를 그룹화하는 그룹 설정부(13)와, 설비 기기(4)의 운전 상태나 설비 기기(4)의 그룹화 상태를 거주자나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통지부(14)를 갖는다. 여기서, 설비 기기(4)가 예컨대 공조 급기 취출구라면, 설비 기기 운전 제어부(11) 및 설비 기기 출력 제어부(12)는, 예컨대 모터 댐퍼이다. 모터 댐퍼의 개방도를 완전 폐쇄로 함으로써 급기 풍량은 오프 상태가 되고, 모터 댐퍼의 개방도를 비례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변경함으로써 급기 풍량의 출력을 가변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설비 기기(4)가 예컨대 조명 기구라면, 설비 기기(4)의 출력값은 광량이다. 설비 기기 운전 제어부(11)는, 예컨대 On/Off 접점 릴레이이며, 설비 기기 출력 제어부(12)는, 광량 정도를 나타내는 신호 출력 장치 또는 광량 조정을 위한 주파수 변환 장치이다.
도 3은 조작 단말(2)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조작 단말(2)은, 운전 제어 장치(1)에 대하여 지령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무선 통신부(20)와, 거주자나 관리자로부터의 지령을 접수하기 위한 조작부(21)와, 거주자나 관리자의 조작에 따른 지령 신호를 생성하는 지령 신호 생성부(22)와, 조작 단말(2)을 특정한 그룹에 소속시키는 그룹 설정부(23)와, 거주자나 관리자에 대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24)를 갖는다.
도 4는 설비 기기(4)의 일례인 조명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조명 기구(40)에는, 운전 제어 장치(1)를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할 수 있는 운전 제어 장치장착부(41)가 형성되어 있다. 운전 제어 장치 장착부(41)에 운전 제어 장치(1)가 장착되면, 운전 제어 장치 장착부(41)에 설치된 전원 단자(도시되지 않음)와 운전 제어 장치(1)의 전원 단자(도시되지 않음)가 접속되고, 또한 운전 제어 장치 장착부(41)에 설치된 통신 단자(도시되지 않음)와 운전 제어 장치(1)의 통신 단자(도시되지 않음)가 접속된다. 이렇게 해서, 운전 제어 장치(1)는, 조명 기구(40)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받아 동작하고, 형광등을 장착하는 소켓과 안정기 사이의 기구내 배선을, 소켓과 운전 제어 장치(1)가 접속되도록 전환함으로써, 조명 기구(40)의 온(점등)/오프(소등) 제어나, 조광 제어를 할 수 있게 된다. 혹은, 조명 기구(40)의 안정기를 제어하는 다른 배선을 미리 조명 기구(40)에 세팅해 두고서, 운전 제어 장치(1)가 그 배선과 접속되도록 하여도 좋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운전 제어 장치(1)를 운전 제어 장치 장착부(41)에 착탈하여, 조명의 온(점등)/오프(소등) 제어나, 조광 제어를 하도록 했지만, 광량을 제어할 수 있는 기구라면, 다른 형태에서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운전 제어 장치의 기능이 포함된 소켓을 기존 소켓과 교환할 수 있도록 하더라도 좋다. 혹은, 안정기에 운전 제어 장치의 기능을 포함시키고, 기존의 조명 안정기와 교환하더라도 좋다. 나아가서는, 소켓과 안정기의 배선 상에 운전 제어 장치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더라도 좋다. 한편, 여기서 예시한 것 중에는 간이한 기구내 배선 공사를 동반하는 경우가 있지만, 조명 기구에 걸쳐지는 전원 배선의 공사는 불필요하며, 종래의 시스템보다도 배선 공사에 드는 수고가 적어, 충분한 경제적 메리트가 있다.
도 5는 설비 기기(4)의 일례인 공조 급기 취출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공조 급기 취출구(42)에는, 덕트(43)로부터 공급되는 급기가 지나는 유로(44)와, 운전 제어 장치(1)를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할 수 있는 고정 금구(金具)(45)가 설치된다.
운전 제어 장치(1)는, 공조 급기 취출구(42)에 장착되면, 공조 급기 취출구(42)의 일부로 되는 구조를 하고 있으며, 급기가 지나는 유로(15)와, 풍량 제어를 위한 취출구 개폐부(16)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 금구(45)에 운전 제어 장치(1)가 장착되면, 공조 급기 취출구(42)에 설치된 전원 단자(도시되지 않음)와 운전 제어 장치(1)의 전원 단자(도시되지 않음)가 접속된다. 이렇게 해서, 운전 제어 장치(1)는, 공조 급기 취출구(42)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받아 동작한다. 그리고, 덕트(43)로부터 공급되는 급기는, 유로(44, 15)를 지나, 취출구 개폐부(16)가 만드는 개구부로부터 실내로 송출된다.
이 때, 운전 제어 장치(1)의 설비 기기 운전 제어부(11)와 설비 기기 출력 제어부(12)는, 취출구 개폐부(16)를 상하 이동시켜 개구부의 크기를 바꿈으로써, 급기 풍량을 증감시킬 수 있으며, 급기 풍량 0%(오프)에서부터 100%까지 임의의 풍량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운전 제어 장치(1)는, 급기의 온/오프 제어나, 급기 풍량 제어를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취출구 개폐부(16)의 상하 이동에 의해서 풍량 제어를 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풍량을 제어할 수 있는 기구라면, 이용가능하다. 예컨대, 취출구에 연결되는 덕트에 모터 댐퍼 등의 풍량 제어 기구를 장착하는 것이라도 좋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의 운전 제어 시스템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의 (A), 도 6의 (B)는 설비 기기(4)를 그룹화하는 경우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며, 도 6의 (A)는 조작 단말(2)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6의 (B)는 운전 제어 장치(1)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실내의 거주자나 관리자는, 설비 기기(4)를 그룹화하고 싶은 경우, 조작 단말(2)의 조작부(21)를 조작하여, 그룹화하고 싶은 설비 기기(4)를 지정한다. 거주자나 관리자는, 그룹화하고 싶은 설비 기기(4)를, 예컨대 설비 기기(4)에 미리 할당된 식별번호로 지정하면 된다.
조작 단말(2)의 지령 신호 생성부(22)는, 거주자나 관리자로부터 그룹화의 지령이 있었음을 인식하면(도 6의 (A) 단계 S100에 있어서 YES), 지정된 설비 기기(4)를 그룹화하기 위한 그룹화 지령 신호를 생성한다(단계 S101). 이 그룹화 지령 신호에는, 예컨대 설비 기기(4)를 지정하는 정보와 그룹 식별 정보가 포함된다. 조작 단말(2)의 무선 통신부(20)는, 지령 신호 생성부(22)가 생성한 그룹화 지령 신호를 각각의 운전 제어 장치(1)에 무선 송신한다(단계 S102).
각각의 운전 제어 장치(1)의 무선 통신부(10)는, 조작 단말(2)로부터의 그룹화 지령 신호를 수신하면(도 6의 (B) 단계 S103에 있어서 YES), 이 그룹화 지령 신호를 그룹 설정부(13)에 전달한다. 그룹 설정부(13)는, 수신한 그룹화 지령 신호가 자장치와 접속된 설비 기기(4)의 그룹화를 지령하는 신호인 경우, 자장치 앞으로의 신호라고 인식하여(단계 S104에 있어서 YES), 자장치와 접속된 설비 기기(4)가, 그룹화 지령 신호의 그룹 식별 정보로 특정되는 그룹에 소속되는 기기임을 나타내는 그룹화 설정 정보를 생성하여 기억한다(단계 S105).
이렇게 해서, 거주자나 관리자가 지정한 설비 기기(4)가 특정한 그룹에 소속되는 그룹화가 이루어진다. 도 1의 예에서는, 그룹(5A)과 그룹(5B)의 2개의 그룹이 설정되어 있다.
한편, 조작 단말(2)을 특정한 그룹에 대응시키고 싶은 경우, 거주자나 관리자는, 조작 단말(2)의 조작부(21)를 조작하여, 특정한 그룹에 대응하도록 지시한다. 조작 단말(2)의 그룹 설정부(23)는, 거주자나 관리자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자장치가 특정한 그룹에 대응하는 장치임을 나타내는 그룹화 설정 정보를 생성하여 기억한다. 이후, 이 조작 단말(2)은, 특정한 그룹에 대해서만 조작을 하는 장치가 된다.
도 7의 (A), 도 7의 (B)는 설비 기기(4)를 온/오프 제어하는 경우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며, 도 7의 (A)는 조작 단말(2)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7의 (B)는 운전 제어 장치(1)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실내의 거주자나 관리자는, 특정한 그룹의 설비 기기(4)를 온 또는 오프로 하고 싶은 경우, 조작 단말(2)의 조작부(21)를 조작하여, 온 또는 오프로 하고 싶은 그룹을 지정한다. 거주자나 관리자는, 온 또는 오프로 하고 싶은 그룹을, 예컨대 그 그룹에 할당된 식별번호로 지정하면 된다. 또한, 거주자나 관리자는, 온 또는 오프로 하고 싶은 그룹에 대응하는 특정한 조작 단말(2)을 조작하더라도 좋다.
조작 단말(2)의 지령 신호 생성부(22)는, 거주자나 관리자로부터 온 또는 오프의 지령이 있었음을 인식하면(도 7의 (A) 단계 S200에 있어서 YES), 거주자나 관리자로부터 지정된 그룹의 설비 기기(4)를 온으로 하기 위한 온 지령 신호, 또는 지정된 그룹의 설비 기기(4)를 오프로 하기 위한 오프 지령 신호를 생성한다(단계 S201). 조작 단말(2)이 특정한 그룹에 대응하고 있는 경우에는, 지령 신호 생성부(22)는, 대응하는 그룹의 설비 기기(4)를 온으로 하기 위한 온 지령 신호, 또는 대응하는 그룹의 설비 기기(4)를 오프로 하기 위한 오프 지령 신호를 생성하면 된다. 온 지령 신호 또는 오프 지령 신호에는, 예컨대 그룹을 지정하는 그룹 식별 정보가 포함된다. 조작 단말(2)의 무선 통신부(20)는, 지령 신호 생성부(22)가 생성한 온 지령 신호 또는 오프 지령 신호를 각각의 운전 제어 장치(1)에 무선 송신한다(단계 S202).
각각의 운전 제어 장치(1)의 무선 통신부(10)는, 조작 단말(2)로부터의 온 지령 신호 또는 오프 지령 신호를 수신하면(도 7의 (B) 단계 S203에 있어서 YES), 이 온 지령 신호 또는 오프 지령 신호를 설비 기기 운전 제어부(11)에 전달한다. 설비 기기 운전 제어부(11)는, 수신한 온 지령 신호 또는 오프 지령 신호가, 자장치와 접속된 설비 기기(4)가 소속되는 그룹의 온 또는 오프를 지령하는 신호인 경우, 자장치 앞으로의 신호라고 인식하여(단계 S204에 있어서 YES), 온 지령 신호 또는 오프 지령 신호에 따라서, 자장치와 접속된 설비 기기(4)를 온 또는 오프로 한다(단계 S205). 온 지령 신호 또는 오프 지령 신호가, 자장치와 접속된 설비 기기(4)가 소속되는 그룹의 온 또는 오프를 지령하는 신호인지 여부는, 온 지령 신호 또는 오프 지령 신호에 포함되는 그룹 식별 정보와 자장치의 그룹 설정부(13)가 설정한 그룹화 설정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판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특정한 그룹의 설비 기기(4)만을 온/오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설비 기기(4)가 복수의 그룹에 소속되는 경우는, 복수의 그룹에 대한 신호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동작하면 된다. 즉, 운전 제어 장치(1)의 설비 기기 운전 제어부(11)는, 자장치와 접속된 설비 기기(4)가 소속되는 복수의 그룹 중 하나 이상의 그룹에 대한 온 지령 신호를 수신한 경우, 자장치와 접속된 설비 기기(4)를 온으로 한다. 또한, 설비 기기 운전 제어부(11)는, 자장치와 접속된 설비 기기(4)가 소속되는 모든 그룹에 대한 오프 지령 신호를 수신한 경우, 자장치와 접속된 설비 기기(4)를 오프로 한다.
도 8의 (A), 도 8의 (B)는 설비 기기(4)를 출력 제어하는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도 8의 (A)는 조작 단말(2)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의 (B)는 운전 제어 장치(1)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실내의 거주자나 관리자는, 특정한 그룹의 설비 기기(4)의 출력값을 조정하고 싶은 경우, 조작 단말(2)의 조작부(21)를 조작하여, 조정하고 싶은 그룹을 지정한다. 거주자나 관리자는, 조정하고 싶은 그룹을, 예컨대 그 그룹에 할당된 식별번호로 지정하면 된다. 또한, 거주자나 관리자는, 조정하고 싶은 그룹에 대응하는 특정한 조작 단말(2)을 조작하더라도 좋다.
이 때, 거주자나 관리자는, 조정하고 싶은 출력값의 증감 방향만을 지정하더라도 좋고, 조정하고 싶은 출력값의 증감량을 구체적으로 지정하더라도 좋다. 출력값의 증감 방향만을 지정하는 경우, 설비 기기(4)가 조명 기구라면, 광량 증가 또는 광량 감소를 지정하게 되고, 설비 기기(4)가 공조 급기 취출구라면, 풍량 증가 또는 풍량 감소를 지정하게 된다. 또한, 출력값의 증감량을 지정하는 경우, 설비 기기(4)가 조명 기구라면, 광량 증가량(%) 또는 광량 감소량(%)을 지정하게 되고, 설비 기기(4)가 공조 급기 취출구라면, 풍량 증가량(%) 또는 풍량 감소량(%)을 지정하게 된다.
조작 단말(2)의 지령 신호 생성부(22)는, 거주자나 관리자로부터 설비 기기(4)의 출력값 조정의 지령이 있었음을 인식하면(도 8의 (A) 단계 S300에 있어서 YES), 거주자나 관리자로부터 지정된 그룹의 설비 기기(4)의 출력값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지령 신호를 생성한다(단계 S301). 조작 단말(2)이 특정한 그룹에 대응하고 있는 경우에는, 지령 신호 생성부(22)는, 대응하는 그룹의 설비 기기(4)의 출력값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지령 신호를 생성하면 된다. 조정 지령 신호에는, 예컨대 그룹을 지정하는 그룹 식별 정보와, 출력값의 증감 방향을 지정하는 증감 방향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거주자나 관리자로부터 출력값의 증감량이 지정된 경우, 조정 지령 신호에는 증감량 정보가 포함된다. 조작 단말(2)의 무선 통신부(20)는, 지령 신호 생성부(22)가 생성한 조정 지령 신호를 각 운전 제어 장치(1)에 무선 송신한다(단계 S302).
각 운전 제어 장치(1)의 무선 통신부(10)는, 조작 단말(2)로부터의 조정 지령 신호를 수신하면(도 8의 (B) 단계 S303에 있어서 YES), 이 조정 지령 신호를 설비 기기 출력 제어부(12)에 전달한다. 설비 기기 출력 제어부(12)는, 수신한 조정 지령 신호가, 자장치와 접속된 설비 기기(4)가 소속되는 그룹의 출력값 조정을 지령하는 신호인 경우, 자장치 앞으로의 신호로 인식하여(단계 S304에 있어서 YES), 조정 지령 신호에 따라서, 자장치와 접속된 설비 기기(4)의 출력값을 조정한다(단계 S305). 조정 지령 신호가, 자장치와 접속된 설비 기기(4)가 소속되는 그룹의 출력값 조정을 지령하는 신호인지 여부는, 조정 지령 신호에 포함되는 그룹 식별 정보와 자장치의 그룹 설정부(13)가 설정한 그룹화 설정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판정할 수 있다.
설비 기기 출력 제어부(12)는, 조정 지령 신호가 증감량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설비 기기(4)의 출력값을, 조정 지령 신호의 증감 방향 정보에 따라서 정해진량만 증가 또는 감소시킨다. 또한, 설비 기기 출력 제어부(12)는, 조정 지령 신호가 증감량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설비 기기(4)의 출력값을, 증감량 정보에 의해 지정된 양만큼 증가 또는 감소시킨다.
이렇게 해서, 특정한 그룹의 설비 기기(4)만을 출력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설비 기기(4)가 복수의 그룹에 소속되는 경우는, 복수의 그룹에 대한 신호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동작하면 된다. 즉, 운전 제어 장치(1)의 설비 기기 출력 제어부(12)는, 자장치와 접속된 설비 기기(4)가 소속되는 복수의 그룹에 대한 조정 지령 신호를 수신한 경우, 각 그룹에 대한 증감량 정보가 지정하는 증감량의 최대치, 평균치, 가중 평균치 또는 최소치를 채용하여 증감량을 결정하여, 자장치와 접속된 설비 기기(4)의 출력값을 조정한다.
또한, 설비 기기 출력 제어부(12)는, 자장치와 접속된 설비 기기(4)가 소속되는 복수의 그룹에 대한 조정 지령 신호를 수신했을 때, 조정 지령 신호에 증감량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각 그룹에 대한 증감 방향 정보 중의 하나에 따라서 증감 방향을 결정하거나, 또는 각 그룹에 대한 증감 방향 정보의 다수결을 취하여 증감 방향을 결정하여, 자장치와 접속된 설비 기기(4)의 출력값을 조정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필요한 곳에만 운전 제어 장치(1)를 간단하게 추가할 수 있어, 운전 제어 장치(1)를 추가한 설비 기기(4)를 온/오프 제어하거나, 출력 제어하거나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형태에서는, 설계시의 설비 기기(4)의 구분과는 무관하게, 거주자의 존재 상황에 따라서 최적의 사용 상태를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실내 환경을 실현하면서 사용 에너지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거주자가 실내 레이아웃을 결정한 후에, 실제로 이용될 때의 편리성을 반영할 수 있기 때문에, 거주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내의 구분 단위를 지나치게 세분화할 필요가 없고, 배선의 변경이나 설비 기기(4)의 교환을 할 필요도 없기 때문에, 비용의 증가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건물의 시공자에게 있어서는, 이용자(거주자)로부터의 클레임을 줄이기 위해서 어떻게 구분할지 검토하는 데에 많은 시간을 써 버릴 필요성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 단말(2)로부터 운전 제어 장치(1)에 대하여 무선으로 지령 신호를 송신할 수 있기 때문에, 거주자나 관리자에게 있어서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설비 기기(4)를 그룹화함으로써, 복수의 설비 기기(4)를 일괄적으로 온/오프 제어하거나, 출력 제어하거나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9의 평면도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공간(200)의 내부에 설비 기기(4)가 다수 설치되어, 공간(200)이 복수의 존(202?206)으로 미리 구분되어 있는 경우를 생각한다. 도 15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존(202)과 존(203)에 걸치는 식으로 하여 미팅 테이블(207)을 설치할 때에, 미팅 테이블(207) 위치의 6개의 설비 기기(4)에 운전 제어 장치(1)를 장착하여 그룹화하면, 미팅 테이블(207)에 사람이 없는 경우, 존(202, 203)의 사람의 존재 여부에 관계없이, 미팅 테이블(207) 위치의 6개의 설비 기기(4)만을 1번의 조작으로 일괄적으로 오프로 할 수 있다. 따라서, 거주자는 특히 주저하는 일없이, 소등이라는 에너지 절약 행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설비 기기(4)의 그룹화를 거주자나 관리자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행하고 있지만, 그룹화를 자동적으로 행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각 운전 제어 장치(1)의 그룹 설정부(13)는, 특정한 그룹에 대응하는 조작 단말(2)로부터의 거리에 따라서, 자장치와 접속된 설비 기기(4)를 자동적으로 그룹화한다. 무선 신호를 조작 단말(2)에 송신하여, 조작 단말(2)로부터 응답이 되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면, 자장치와 조작 단말(2)과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운전 제어 장치(1)의 그룹 설정부(13)는, 자장치가 특정한 그룹에 대응하는 조작 단말(2)로부터 일정한 거리 내에 있다고 판단한 경우, 자장치와 접속된 설비 기기(4)가, 그 그룹에 소속되는 기기임을 나타내는 그룹화 설정 정보를 생성하여 기억한다.
또한, 그룹 설정부(13)는, 자장치가 특정한 그룹에 대응하는 조작 단말(2)로부터의 무선 신호가 도달하는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자장치와 접속된 설비 기기(4)가, 그 그룹에 소속되는 기기임을 나타내는 그룹화 설정 정보를 생성하여 기억한다.
이렇게 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설비 기기(4)를 자동적으로 그룹화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운전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운전 제어 시스템은,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운전 제어 장치(1)와 조작 단말(2)로 구성되는데, 운전 제어 장치(1)에는, 각 그룹에 1대만 존재하는 본체(1-1)와, 본체(1-1)에 따라서 동작하는 별체(1-2)로 구별된다. 본체(1-1)와 별체(1-2)는 서로 무선 통신함으로써, 연계된 동작을 실현한다.
도 11은 본체(1-1)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본체(1-1)는, 무선 통신부(10)와, 설비 기기 운전 제어부(11)와, 설비 기기 출력 제어부(12)와, 그룹 설정부(13)와, 통지부(14)와, 근처에 사람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사람 감지 센서(17)를 갖는다. 사람 감지 센서(17)는, 예컨대 적외선, 초음파, 가시광 등을 이용하여 사람의 존재를 검지하는 것이다. 또한, 사람이 휴대하는 무선 태그를 검지하는 경우도, 여기서 말하는 사람 감지 센서(47)에 포함한다.
별체(1-2)는, 본체(1-1)와 같은 구성을 갖지만, 본체(1-1)의 것보다도 감도가 떨어지는 사람 감지 센서(17)를 이용하고 있다. 이렇게 해서, 본체(1-1)에는 비용이 높은 고감도의 사람 감지 센서(17)를 이용하고, 별체(1-2)에는 감도는 그다지 좋지 않지만 저비용의 사람 감지 센서(17)를 이용함으로써, 시스템 전체의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설비 기기(4)의 그룹화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수동의 그룹화로 행하더라도 좋고,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자동의 그룹화로 행하더라도 좋다.
본체(1-1)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운전 제어 장치(1)와 마찬가지로, 자장치와 접속된 설비 기기(4)가 소속되는 그룹에 대한 지령 신호에 따라서, 설비 기기(4)를 온/오프 제어하거나, 출력 제어하거나 한다.
또한, 본체(1-1)는, 사람 감지 센서(17)의 검지 결과에 따라서, 설비 기기(4)를 온/오프 제어하거나, 출력 제어하거나 한다. 예컨대, 본체(1-1)의 설비 기기 운전 제어부(11)는, 사람 감지 센서(17)가 사람의 존재를 검지한 경우, 자장치와 접속된 정지중인 설비 기기(4)를 온으로 하고, 사람 감지 센서(17)가 사람의 존재를 검지하지 않은 경우, 자장치와 접속된 운전 중인 설비 기기(4)를 오프로 한다. 또한, 본체(1-1)의 설비 기기 출력 제어부(12)는, 사람 감지 센서(17)가 사람의 존재를 검지하지 않은 경우, 자장치와 접속된 설비 기기(4)의 출력값을 정해진량만큼 감소시킨다.
한편, 별체(1-2)는, 본체(1-1)와 마찬가지로, 자장치와 접속된 설비 기기(4)가 소속되는 그룹에 대한 지령 신호, 또는 사람 감지 센서(17)의 검지 결과에 따라서, 설비 기기(4)를 온/오프 제어하거나, 출력 제어하거나 하는데, 이 때 본체(1-1)의 동작을 가미한 뒤에 동작한다. 즉, 별체(1-2)는, 동일한 그룹에 소속되는 본체(1-1)가 설비 기기(4)를 온/오프 제어하거나, 출력 제어하거나 하고 있는 경우, 자장치와 접속된 설비 기기(4)를 마찬가지로 온/오프 제어하거나, 출력 제어하거나 한다. 본체(1-1)가 동일한 그룹에 소속되는지 여부는, 본체(1-1)와 통신을 하여, 본체(1-1)의 그룹 설정부(13)가 설정한 그룹화 설정 정보와 자장치의 그룹 설정부(13)가 설정한 그룹화 설정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판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1-1)의 동작을 가미한 뒤에 동작하는 이유는, 별체(1-2)에 탑재된 사람 감지 센서(17)의 감도가 좋지 않기 때문에 잘못 인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한편, 사람 감지 센서(17)는, 제1,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운전 제어 장치(1)에 부가하더라도 좋다. 이에 따라, 제1,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람 감지 센서(17)의 검지 결과에 따른 설비 기기(4)의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운전 제어 시스템의 구성은 제1?제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도 1?도 3, 도 11의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설비 기기(4)의 운전 상태 또는 그룹화 상태를 거주자나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것이다.
운전 제어 장치(1)의 통지부(14)는, 설비 기기(4)의 온(운전)/오프(정지) 상태, 또는 출력값을 표시한다. 출력값의 표시는, 예컨대 설비 기기(4)가 공조 급기 취출구인 경우, 풍량을 수치로 표시하더라도 좋고, 풍량을 단계별로 표시하더라도 좋다. 특히, 공조 급기 취출구 등의 경우, 운전중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지만, 통지부(14)에 의한 표시를 함으로써, 거주자나 관리자는 설비 기기(4)가 운전중인지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2의 (A), 도 12의 (B)는 설비 기기(4)의 그룹화 상태를 확인하는 경우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며, 도 12의 (A)는 조작 단말(2)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12의 (B)는 운전 제어 장치(1)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거주자나 관리자는, 설비 기기(4)의 그룹화 상태를 확인하고 싶은 경우, 조작 단말(2)의 조작부(21)를 조작하여, 그룹 확인을 요구한다. 조작 단말(2)의 지령 신호 생성부(22)는, 거주자나 관리자로부터 그룹 확인의 요구가 있었던 경우(도 12의 (A) 단계 S400에 있어서 YES), 그룹 확인 지령 신호를 생성한다(단계 S401). 그룹 확인 지령 신호에는, 예컨대 그룹을 지정하는 그룹 식별 정보가 포함된다. 조작 단말(2)의 무선 통신부(20)는, 지령 신호 생성부(22)가 생성한 그룹 확인 지령 신호를 각각의 운전 제어 장치(1)에 무선 송신한다(단계 S402).
각각의 운전 제어 장치(1)의 무선 통신부(10)는, 조작 단말(2)로부터의 그룹 확인 지령 신호를 수신하면(도 12의 (B) 단계 S403에 있어서 YES), 이 그룹 확인 지령 신호를 통지부(14)에 전달한다. 통지부(14)는, 수신한 그룹 확인 지령 신호가, 자장치와 접속된 설비 기기(4)가 소속되는 그룹에 대한 그룹 확인 지령 신호인 경우, 자장치 앞으로의 신호라고 인식하여(단계 S404에 있어서 YES), 예컨대 LED를 일정 시간 점멸시킨다(단계 S405). 이렇게 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동일 그룹에 소속되는 운전 제어 장치(1)의 LED가 일정 시간 점멸하기 때문에, 거주자나 관리자는, 설비 기기(4)의 그룹화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종래, 조명이나 공조의 스위치는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데, 스위치와 존의 대응 관계을 알기가 어렵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 단말(2)과 이것에 대응하는 설비 기기(4)의 그룹과의 관계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제5 실시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3의 (A), 도 13의 (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운전 제어 장치(1)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3의 (A)는 운전 제어 장치(1)를 조명 기구(40)에 장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13의 (B)는 운전 제어 장치(1)를 조명 기구(40)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운전 제어 장치(1)는, 형광등(47)을 장착할 수 있는 소켓(18)과, 조명 기구(40)의 소켓(46)과 접속되는 단자(19)를 구비하고 있다.
운전 제어 장치(1)의 단자(19)를 조명 기구(40)의 소켓(46)에 접속하여, 운전 제어 장치(1)를 조명 기구(40)에 장착했을 때에, 형광등(47)은 소켓(18) 및 단자(19)를 통해 조명 기구(40)와 접속된다. 운전 제어 장치(1)는, 조명 기구(40)의 소켓(46)으로부터 전력 공급을 받아 동작한다. 운전 제어 장치(1)의 내부 구성은, 도 2,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다. 이렇게 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존의 조명 기구(40)의 소켓(46)을 이용하여, 조명 기구(40)에 운전 제어 장치(1)를 추가할 수 있다.
도 14의 (A), 도 14의 (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운전 제어 장치(1)의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4의 (A)는 운전 제어 장치(1)를 조명 기구(40)에 장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14의 (B)는 운전 제어 장치(1)를 조명 기구(40)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운전 제어 장치(1)는, 형광등(48)을 장착할 수 있는 소켓(50)과, 조명 기구(40)의 소켓(46)과 접속되는 단자(51)를 구비하고 있다.
도 14의 (A), 도 14의 (B) 예의 경우, 형광등(47)보다도 짧은 형광등(48)을 이용한다. 형광등(48)의 일단을 운전 제어 장치(1)의 소켓(50)에 장착하고, 형광등(48)의 타단과 운전 제어 장치(1)의 단자(51)를 조명 기구(40)의 소켓(46)에 장착한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기존의 조명 기구(40)의 소켓(46)을 이용하여, 조명 기구(40)에 운전 제어 장치(1)를 추가할 수 있다.
한편, 제1?제5 실시형태에서는, 발광 장치의 예로서 형광등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전구나 LED 등의 발광 장치를 이용하여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제1?제5 실시형태에서는, 운전 제어 장치(1)에 설비 기기 운전 제어부(11)와 설비 기기 출력 제어부(12) 양방을 설치하고 있지만, 설비 기기 운전 제어부(11)와 설비 기기 출력 제어부(12) 중 어느 한 쪽을 설치하여, 설비 기기의 온/오프 제어와 출력 제어 중 어느 한 쪽을 행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더욱이, 제1?제5 실시형태에서는, 그룹화할 때에 있어서, 설비 기기(4)의 식별번호를 지정하는 방식으로 했지만, 반드시 이 방식이 아니더라도 좋다. 예컨대, 지향성이 강한 무선을 조작 단말(2)로부터 설비 기기(4)로 향함으로써 선택하여, 대상 그룹으로 할지 여부를 지정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제1?제5 실시형태에서는, 조작 단말(2)에서, 조작하고 싶은 그룹의 식별번호를 지정한 뒤에 온?오프 등의 조작을 하는 것으로 했다. 이에 따라, 하나의 조작 단말(2)로 복수의 그룹을 조작할 수 있어,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있지만, 이 방식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조작 단말(2)과 그룹과의 대응을 1:1로 하여, 그룹의 식별번호 지정을 필요로 하지 않게 하여도 좋다.
제1?제5 실시형태의 운전 제어 장치(1)와 조작 단말(2)의 각각은, CPU, 기억 장치 및 외부와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컴퓨터와, 이들의 하드웨어 자원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에 의해서 실현할 수 있다. 각각의 장치의 CPU는, 기억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제1?제5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처리를 실행한다.
본 발명은 설비 기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기술에 적용할 수 있다.
1 : 운전 제어 장치 1-1 : 본체
1-2 : 별체 2 : 조작 단말
3 : 천장 4 : 설비 기기
10 : 무선 통신부 11 : 설비 기기 운전 제어부
12 : 설비 기기 출력 제어부 13 : 그룹 설정부
14 : 통지부 15 : 유로
16 : 취출구 개폐부 17 : 사람 감지 센서
18, 46, 50 : 소켓 19, 51 : 단자
20 : 무선 통신부 21 : 조작부
22 : 지령 신호 생성부 23 : 그룹 설정부
24 : 표시부 40 : 조명 기구
41 : 운전 제어 장치 장착부 42 : 공조 급기 취출구
43 : 덕트 44 : 유로
45 : 고정 금구 47, 48 : 형광등

Claims (11)

  1. 설비 기기에 대하여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할 수 있는 운전 제어 장치와,
    이 운전 제어 장치에 대하여 지령 신호를 송신하는 조작 단말을 구비하고,
    상기 운전 제어 장치는,
    상기 조작 단말로부터 송신된 지령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수단을 갖고,
    자(自)장치와 접속된 설비 기기의 온/오프를 상기 지령 신호에 따라서 제어하는 운전 제어 수단과, 자장치와 접속된 설비 기기의 출력값을 상기 지령 신호에 따라서 제어하는 출력 제어 수단 중 하나 이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제어 장치는, 상기 조작 단말로부터의 지령 신호 또는 상기 조작 단말과의 거리에 따라서, 설비 기기를 그룹화하는 그룹 설정 수단을 더 가지며,
    상기 운전 제어 수단 또는 상기 출력 제어 수단은, 자장치와 접속된 설비 기기가 소속되는 그룹에 대한 상기 지령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자장치와 접속된 설비 기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제어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제어 장치는, 사람의 존재를 검지하는 사람 감지 센서를 더 가지며,
    상기 운전 제어 수단 또는 상기 출력 제어 수단은, 상기 사람 감지 센서의 검지 결과에 따라서, 자장치와 접속된 설비 기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제어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제어 장치는, 설비 기기의 운전 상태나 설비 기기의 그룹화 상태를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제어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 기기는 조명 기구이며,
    상기 운전 제어 장치는, 발광 장치를 장착할 수 있는 소켓과, 상기 조명 기구에의 장착시에 조명 기구의 소켓과 접속되는 단자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제어 시스템.
  6. 설비 기기에 대하여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할 수 있는 운전 제어 장치로서,
    조작 단말로부터 송신된 지령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수단을 갖고,
    자장치와 접속된 설비 기기의 온/오프를 상기 지령 신호에 따라서 제어하는 운전 제어 수단과, 자장치와 접속된 설비 기기의 출력값을 상기 지령 신호에 따라서 제어하는 출력 제어 수단 중 하나 이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제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단말로부터의 지령 신호 또는 상기 조작 단말과의 거리에 따라서, 설비 기기를 그룹화하는 그룹 설정 수단을 더 가지며,
    상기 운전 제어 수단 또는 상기 출력 제어 수단은, 자장치와 접속된 설비 기기가 소속되는 그룹에 대한 상기 지령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자장치와 접속된 설비 기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제어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사람의 존재를 검지하는 사람 감지 센서를 더 가지며,
    상기 운전 제어 수단 또는 상기 출력 제어 수단은, 상기 사람 감지 센서의 검지 결과에 따라서, 자장치와 접속된 설비 기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제어 장치.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설비 기기의 운전 상태나 설비 기기의 그룹화 상태를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제어 장치.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 기기가 조명 기구인 경우에, 발광 장치를 장착할 수 있는 소켓과, 상기 조명 기구에 장착할 때에 조명 기구의 소켓과 접속되는 단자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제어 장치.
  11. 설비 기기에 대하여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할 수 있는 운전 제어 장치가, 조작 단말로부터 송신된 지령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운전 제어 장치는, 자장치와 접속된 설비 기기의 온/오프를 상기 지령 신호에 따라서 제어하는 운전 제어 단계와, 자장치와 접속된 설비 기기의 출력값을 상기 지령 신호에 따라서 제어하는 출력 제어 단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제어 방법.
KR1020110054662A 2010-07-29 2011-06-07 운전 제어 시스템, 운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2687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70345A JP5639810B2 (ja) 2010-07-29 2010-07-29 運転制御システムおよび運転制御装置
JPJP-P-2010-170345 2010-07-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2539A true KR20120022539A (ko) 2012-03-12
KR101268703B1 KR101268703B1 (ko) 2013-05-28

Family

ID=45527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4662A KR101268703B1 (ko) 2010-07-29 2011-06-07 운전 제어 시스템, 운전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688242B2 (ko)
JP (1) JP5639810B2 (ko)
KR (1) KR101268703B1 (ko)
CN (1) CN102346468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3653A (ko) * 2013-06-07 2014-12-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WO2017065383A1 (ko) * 2015-10-15 2017-04-20 삼성전자(주)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사용자단말장치 및 방법
US9781810B2 (en) 2015-05-15 2017-10-03 Azbil Corporation Control apparatus, control system, and appliance control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77598A (ja) * 2012-10-11 2014-05-01 Mitsubishi Electric Corp 温度調節器、空気調和機、給湯器及び床暖房
KR102267186B1 (ko) * 2014-05-08 2021-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 모드를 변경하는 장치 및 방법
JP6604578B2 (ja) * 2016-07-25 2019-11-13 株式会社アクシス 外気取入れ用換気制御装置
JP6948812B2 (ja) * 2017-03-22 2021-10-13 三菱電機株式会社 管理装置、空調システム、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95380B2 (ja) * 2000-06-26 2012-08-08 美恵子 露崎 制御システム
JP2002299075A (ja) * 2001-03-29 2002-10-11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照明制御システム
JP2002299071A (ja) * 2001-03-29 2002-10-11 Mitsubishi Electric Corp 照明制御システム装置
US20070285504A1 (en) * 2002-02-15 2007-12-13 Hesse Thomas H Systems and methods for conferencing among governed and external participants
JP2003308726A (ja) * 2002-04-12 2003-10-31 Tempearl Ind Co Ltd 人感センサー付照明アダプタ装置
JP2005158439A (ja) * 2003-11-25 2005-06-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制御機能付きアダプター
JP4727965B2 (ja) * 2004-09-24 2011-07-20 三菱電機株式会社 照明制御システム
JP4598552B2 (ja) * 2005-02-04 2010-12-15 三菱電機株式会社 機器管理装置および機器管理方法
JP4356940B2 (ja) 2005-06-28 2009-11-04 株式会社省電舎 電子安定器付き照明器具に用いる調光センサ装置および照明器具
US7506090B2 (en) * 2006-06-14 2009-03-1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user-configurable resource arbitration in a process control system
US8429654B2 (en) * 2006-07-06 2013-04-2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guaranteed batch event delivery in a process control system
US20080197702A1 (en) * 2006-11-06 2008-08-21 Herman Miller, Inc. Programmable infrastructure system
US7881253B2 (en) * 2007-07-31 2011-02-0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pparatus and method supporting a redundancy-managing interface between wireless and wired networks
US8413227B2 (en) * 2007-09-28 2013-04-0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pparatus and method supporting wireless access to multiple security layers in an industrial control and automation system or other system
JP5371290B2 (ja) * 2008-06-04 2013-12-18 三菱電機株式会社 照明制御システム
JP5156521B2 (ja) * 2008-07-28 2013-03-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センサ脱着式照明器具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3653A (ko) * 2013-06-07 2014-12-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US9781810B2 (en) 2015-05-15 2017-10-03 Azbil Corporation Control apparatus, control system, and appliance control device
WO2017065383A1 (ko) * 2015-10-15 2017-04-20 삼성전자(주)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사용자단말장치 및 방법
US10408928B2 (en) 2015-10-15 2019-09-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recognizing location of u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39810B2 (ja) 2014-12-10
CN102346468A (zh) 2012-02-08
US20120029658A1 (en) 2012-02-02
KR101268703B1 (ko) 2013-05-28
US8688242B2 (en) 2014-04-01
JP2012032044A (ja) 2012-02-16
CN102346468B (zh) 2014-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8703B1 (ko) 운전 제어 시스템, 운전 제어 장치 및 방법
AU2019204330B2 (en) A hybrid control system
EP2494849B1 (en) Light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lighting system
KR101857081B1 (ko) 건물 내에 설치된 환경제어 관리시스템
JP5448049B2 (ja) 設備制御システム及び設備制御装置
KR20170131719A (ko) 주변 조명 조건들에 반응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US20130241420A1 (en) Dynamic lighting control
JP2003000616A (ja) 手術室用照明装置
JP5299677B2 (ja) 照明制御システム
KR101665559B1 (ko) Led 조명등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602212B1 (ko) 지그비 연동 전원 중첩 방식의 조명제어시스템
KR20130143265A (ko) 조광기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KR20080070432A (ko) 공기조화시스템 및 그 운전 방법
JP2006125727A (ja) 空調・照明の制御方法及びそのためのシステム天井モジュール
JP2013101779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JP2008228427A (ja) スイッチングシステム
JP2014039387A (ja) 電気機器待機電力最小化制御ユニットおよび制御システム
KR20130033852A (ko) 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
JP4722817B2 (ja) 照明装置と照度調整システム
JP2012064529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JP4981489B2 (ja) エアスイッチングシステム
JP5505017B2 (ja) 照明制御システム
JP7148216B2 (ja) サーバ及びスイッチシステム
KR101280395B1 (ko) 전력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엘이디 조명 중앙통제 시스템
JPH0927205A (ja) 照明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