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7186B1 - 디바이스 모드를 변경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바이스 모드를 변경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7186B1
KR102267186B1 KR1020150053794A KR20150053794A KR102267186B1 KR 102267186 B1 KR102267186 B1 KR 102267186B1 KR 1020150053794 A KR1020150053794 A KR 1020150053794A KR 20150053794 A KR20150053794 A KR 20150053794A KR 102267186 B1 KR102267186 B1 KR 102267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information
terminal
dcp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3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8557A (ko
Inventor
오규봉
정경훈
진종현
유한일
차순현
윤재승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5/00463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5170928A1/en
Priority to CN201580032266.7A priority patent/CN106664388B/zh
Priority to EP15790015.0A priority patent/EP3140986B1/en
Priority to US14/707,742 priority patent/US9807343B2/en
Publication of KR20150128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8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 H04N7/152Multipoint control uni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59End-user terminal functionalities specially adapted for real-tim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83In-session procedures
    • H04L65/1089In-session procedures by adding media; by removing med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83In-session procedures
    • H04L65/1094Inter-user-equipment sessions transfer or sha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2007/145Handheld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2M: Machine to Machine),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및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을 위한 기술과 관련된 것이다. 본 개시는 상기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지능형 서비스(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서버가 디바이스 모드를 변경하는 방법에 있어서, 마스터 디바이스로부터, 디바이스들 간에 모드 동기화의 활성화 여부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선호도 문서, 모드 별 적용되는 규칙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컨텍스트 프로필(DCP: device context profile) 문서 및 상기 DCP 문서에서 활성화된 프로필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DCP 디렉토리 문서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등록하고,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의 모드 변경과 관련된 정보가 수신될 경우, 기 등록된 사용자 선호도 문서, DCP 문서 및 DCP 디렉토리 문서를 상기 변경된 마스터 디바이스 모드를 기반으로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사용자 선호도 문서, DCP 문서 및 DCP 디렉토리 문서 중 적어도 하나를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디바이스에게 전송한다.

Description

디바이스 모드를 변경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MODE OF DEVICE}
본 발명은 영상통화 시스템에서 멀티뷰 영상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보유한 디바이스들의 모드를 일괄 변경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이 발달됨에 따라 스마트 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으며, 최근 휴대 단말기 보급률의 급속한 증가로 휴대 단말기는 이제 현대인의 생활 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고유의 음성 통화 서비스뿐만 아니라 각종 데이터 전송 서비스와 다양한 부가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기능상 멀티미디어 통신기기로 변모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휴대 단말기 간의 데이터 전송 기술의 발달로 영상 통화가 가능해졌으며,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상대방의 얼굴을 보면서 통화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영상 통화는 화상 회의 시스템 등에 적용되어 원거리에 있는 사용자들이 손쉽게 회의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고, 다양한 기술들, 일례로 나의 모습과 내가 촬영하는 대상을 한 화면으로 상대방에게 보여주는 듀얼 비디오 콜(Dual Video Call) 기술 등과 결합되어 보다 다양하고 편리한 영상 통화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영상 통화는 단말 또는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실시간 영상에 기본적으로 1개 이상의 화면 속 화면(PIP: picture-in-picture)이 포함된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통화 중 PIP를 화면 내에서 이동하거나 개별적으로 온/오프(on/off)할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하지 않으며, 이는 영상 통화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를 감소시키는 문제로 작용한다. 따라서 영상 통화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실시간 영상에 포함되는 PIP를 제어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IoE(Internet of Everything) 기술은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하나의 예가 될 수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 등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2M: Machine to Machine),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 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IoT 디바이스(device), 웨어러블(wearable) 디바이스, 이-헬스(e-health: electric-health) 디바이스 등 다양한 디바이스들을 보유할 수 있으며, 이러한 디바이스들을 통해 보다 다양하고 편리한 서비스들을 제공 받을 수 있다.
그러나 복수의 디바이스들을 보유한 사용자는 현재 서비스를 제공 받는 망에서 다른 망으로 이동할 경우, 일례로 LTE(long term evolution) 망에서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망으로 이동할 경우,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모든 디바이스들에 대해 와이파이 망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 받기 위해서는 모든 디바이스들 각각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네트워크 모드를 변경해야만 한다. 뿐만 아니라 와이파이 망에서 LTE 망으로 복귀하는 경우에도 서비스를 제공 받기 위해서는 모든 디바이스들 각각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네트워크 모드를 LTE 모드로 변경해야만 한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모든 디바이스들 각각에 대해 개별적으로 네트워크 모드를 변경해야 하므로, 디바이스 별 LTE 데이터 사용량을 조절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디바이스들에 대해 비행모드, 취침모드, 로밍모드 등으로 모드를 변경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도 모든 디바이스들 각각에 대해 개별적으로 모드를 변경해야만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이 보유하는 디바이스들에 대하여 모드 변경을 보다 편리하게 적용하고, 디바이스 별 LTE 데이터 사용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영상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뷰 영상을 제안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뷰 영상이 포함하는 PIP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뷰 영상이 포함하는 PIP를 화면 내에서 이동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뷰 영상이 포함하는 PIP를 개별적으로 온/오프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뷰 영상이 포함하는 PIP의 크기를 조절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바이스들의 모드를 변경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의 슬레이브 디바이스들의 모드를 일괄 변경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영상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멀티뷰 영상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대 단말로부터 상기 상대 단말이 보유하고 있는 카메라 개수에 관련된 정보와 상기 단말이 제공하는 영상들 중 상기 상대 단말이 디스플레이 가능한 영상 개수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상대 단말로부터 상기 상대 단말이 보유하고 있는 카메라들 각각의 고유번호를 지시하는 카메라 식별자 필드와, 상기 카메라 식별자 필드가 지시하는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의 제어를 요청하는 요청 필드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카메라 식별자 필드와 상기 요청 필드 값을 기반으로, 상기 카메라 식별자 필드가 지시하는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영상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멀티뷰 영상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보유하고 있는 카메라 개수에 관련된 정보와 상대 단말이 제공하는 영상들 중 상기 단말이 디스플레이 가능한 영상 개수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미리 정해진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발생된 이벤트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이 보유하고 있는 카메라들 각각의 고유번호를 지시하는 카메라 식별자 필드와, 상기 카메라 식별자 필드가 지시하는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의 제어를 요청하는 요청 필드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카메라 식별자 필드와 상기 요청 필드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영상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뷰 영상을 제어하는 단말에 있어서, 상대 단말로부터 상기 상대 단말이 보유하고 있는 카메라 개수에 관련된 정보와 상기 단말이 제공하는 영상들 중 상기 상대 단말이 디스플레이 가능한 영상 개수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상대 단말로부터 상기 상대 단말이 보유하고 있는 카메라들 각각의 고유번호를 지시하는 카메라 식별자 필드와, 상기 카메라 식별자 필드가 지시하는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의 제어를 요청하는 요청 필드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카메라 식별자 필드와 상기 요청 필드 값을 기반으로, 상기 카메라 식별자 필드가 지시하는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영상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뷰 영상을 제어하는 단말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보유하고 있는 카메라 개수에 관련된 정보와 상대 단말이 제공하는 영상들 중 상기 단말이 디스플레이 가능한 영상 개수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전송하고, 카메라 식별자 필드와 상기 요청 필드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전송하는 송신부와, 미리 정해진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발생된 이벤트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이 보유하고 있는 카메라들 각각의 고유번호를 지시하는 상기 카메라 식별자 필드와, 상기 카메라 식별자 필드가 지시하는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의 제어를 요청하는 상기 요청 필드를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서버가 디바이스 모드를 변경하는 방법에 있어서, 마스터 디바이스로부터, 디바이스들 간에 모드 동기화의 활성화 여부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선호도 문서, 모드 별 적용되는 규칙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컨텍스트 프로필(DCP: device context profile) 문서 및 상기 DCP 문서에서 활성화된 프로필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DCP 디렉토리 문서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의 모드 변경과 관련된 정보가 수신될 경우, 기 등록된 사용자 선호도 문서, DCP 문서 및 DCP 디렉토리 문서를 상기 변경된 마스터 디바이스 모드를 기반으로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변경된 사용자 선호도 문서, DCP 문서 및 DCP 디렉토리 문서 중 적어도 하나를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마스터 디바이스가 슬레이브 디바이스 모드를 변경하는 방법에 있어서, 디바이스들 간에 모드 동기화의 활성화 여부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선호도 문서, 모드 별 적용되는 규칙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컨텍스트 프로필(DCP: device context profile) 문서 및 상기 DCP 문서에서 활성화된 프로필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DCP 디렉토리 문서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서버에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의 모드가 변경될 경우, 상기 변경된 마스터 디바이스 모드를 기반으로 변경된 사용자 선호도 문서, DCP 문서 및 DCP 디렉토리 문서 중 적어도 하나를 서버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슬레이브 디바이스가 모드를 변경하는 방법에 있어서, 디바이스들 간에 모드 동기화의 활성화 여부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선호도 문서, 모드 별 적용되는 규칙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컨텍스트 프로필(DCP: device context profile) 문서 및 상기 DCP 문서에서 활성화된 프로필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DCP 디렉토리 문서 중 적어도 하나를 요청하는 DCP 정보 구독 요청을 서버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서버로부터 기 등록된 사용자 선호도 문서, DCP 문서 및 DCP 디렉토리 문서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서버로부터 마스터 디바이스의 모드 변경을 기반으로 하는 변경된 선호도 문서, DCP 문서 및 DCP 디렉토리 문서 중 적어도 하나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문서를 기반으로 자신의 모드를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장치는; 디바이스 모드를 변경하는 서버에 있어서, 마스터 디바이스로부터, 디바이스들 간에 모드 동기화의 활성화 여부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선호도 문서, 모드 별 적용되는 규칙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컨텍스트 프로필(DCP: device context profile) 문서 및 상기 DCP 문서에서 활성화된 프로필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DCP 디렉토리 문서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문서를 등록하는 저장부와,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의 모드 변경과 관련된 정보가 수신될 경우, 기 등록된 사용자 선호도 문서, DCP 문서 및 DCP 디렉토리 문서를 상기 변경된 마스터 디바이스 모드를 기반으로 변경하는 제어부와, 상기 변경된 사용자 선호도 문서, DCP 문서 및 DCP 디렉토리 문서 중 적어도 하나를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다른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장치는; 슬레이브 디바이스 모드를 변경하는 마스터 디바이스에 있어서, 디바이스들 간에 모드 동기화의 활성화 여부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선호도 문서, 모드 별 적용되는 규칙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컨텍스트 프로필(DCP: device context profile) 문서 및 상기 DCP 문서에서 활성화된 프로필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DCP 디렉토리 문서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서버에 등록하는 제어부와,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의 모드가 변경될 경우, 상기 변경된 마스터 디바이스 모드를 기반으로 변경된 사용자 선호도 문서, DCP 문서 및 DCP 디렉토리 문서 중 적어도 하나를 서버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장치는; 마스터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모드를 변경하는 슬레이브 디바이스에 있어서, 디바이스들 간에 모드 동기화의 활성화 여부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선호도 문서, 모드 별 적용되는 규칙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컨텍스트 프로필(DCP: device context profile) 문서 및 상기 DCP 문서에서 활성화된 프로필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DCP 디렉토리 문서 중 적어도 하나를 요청하는 DCP 정보 구독 요청을 서버에게 전송하는 송신부와, 상기 서버로부터 기 등록된 사용자 선호도 문서, DCP 문서 및 DCP 디렉토리 문서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서버로부터 마스터 디바이스의 모드 변경을 기반으로 하는 변경된 선호도 문서, DCP 문서 및 DCP 디렉토리 문서 중 적어도 하나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문서를 기반으로 자신의 모드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MVC에서 멀티뷰 영상이 포함하는 영상들을 개별적으로 온/오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단말이 보유한 카메라의 기능을 최대로 이용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서 불필요한 PIP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MVC에서 멀티뷰 영상이 포함하는 영상들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그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PIP 영상이 중요한 배경화면을 가리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MVC에서 멀티뷰 영상이 포함하는 영상들 중 상대적으로 중요한 영상을 배경 화면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디바이스들의 모드를 일괄 변경하는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보유하는 디바이스들에 대하여 모드 변경을 보다 편리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영상 통화 시스템에서 단말들 간에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세션을 교섭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영상 통화 시스템에서 멀티뷰 영상 통화의 제어를 위해 전송되는 제어메시지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시스템에서 단말이 멀티뷰 영상이 포함하는 PIP의 위치를 이동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시스템에서 단말이 멀티뷰 영상이 포함하는 PIP의 크기를 변경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시스템에서 단말이 멀티뷰 영상이 포함하는 PIP를 개별적으로 온/오프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시스템에서 송신 단말이 수신 단말에게 제공되는 멀티뷰 영상이 포함하는 PIP를 제어하는 동작의 예를 도시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시스템에서 수신 단말이 멀티뷰 영상이 포함하는 PIP를 제어하는 메시지를 송신 단말에게 전송하는 동작의 예를 도시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디바이스 그룹의 네트워크 모드를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디바이스 그룹의 비행 모드를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디바이스 그룹의 취침 모드를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디바이스 그룹의 매너 모드를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마스터 디바이스가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모드를 변경하는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마스터 디바이스가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모드를 변경하는 동작의 예를 나타낸 순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슬레이브 디바이스가 모드를 변경하는 동작의 예를 나타낸 순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서버가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모드를 변경하는 동작의 예를 나타낸 순서도,
도 16은 단말 컨텍스트 설정을 위한 XML 문서를 구성하는 사용자 선호도 문서 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7은 단말 컨텍스트 설정을 위한 XML 문서를 구성하는 DCP 문서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8은 디바이스 그룹의 단말 컨텍스트 설정을 위한 XML 문서를 구성하는 DCP 디렉토리의 예제를 나타낸 도면,
도 19a 내지 19d는 디바이스 그룹의 단말 컨텍스트 설정을 위한 XML 문서를 구성하는 DCP 디렉토리 문서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모드를 변경하는 디바이스, 일례로 단말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장치도.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모드를 변경하는 서버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장치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을 설명하며 그 이외의 배경 기술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한다.
도 1은 영상 통화 시스템에서 단말들 간에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세션을 교섭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는 사업자 A의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 IP multimedia subsystem)(120)에 연결된 송신 단말, 즉 단말 A(100)와 사업자 B의 IMS(130)에 연결된 수신 단말, 즉 단말B(110) 간에 IMS 세션을 교섭(negotiation)하는 예를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 A(100)는 오퍼레이터 A의 IMS(120)를 통해 IMS 세션 교섭을 위한 세션 디스크립션 프로토콜(SDP: session description protocol) 제안(offer) 메시지를 통해 단말 B(110)에게 전송한다. 단말 B(110)는 오퍼레이터 B의 IMS(130)를 통해 상기 SDP 제안 메시지를 수신하고, SDP 응답(answer) 메시지를 단말 A(100)에게 전송한다. 단말 A(100)는 오퍼레이터 A의 IMS(120)를 통해 상기 SDP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여기서 오퍼레이터 A의 IMS(120)는 부가 서비스를 관리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AS: application server)(121)와, 각 단말과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SDP 메시지를 교환하는 프록시-CSCF(P-CSCF: proxy-call session control function)(125)와, IMS와 관련된 모든 운영을 관리하는 서빙-CSCF(S-CSCF)(123)를 포함한다. 오퍼레이터 B의 IMS(130)는 가입자 정보를 관리하는 홈 가입자 서버(HSS: home subscriber server)/SLF(subscription locator function)(131)와, 부가 서비스를 관리하는 AS(133)와, SDP/SIP 메시지의 이동을 관리하는 심문(Interrogating)-CSCF(I-CSCF)(135)와, IMS와 관련된 모든 운영을 관리하는 S-CSCF(137)와, SIP/SDP 메시지를 교환하는 P-CSCF (139)를 포함한다.
단말 A(100)와 단말 B(110)는 오퍼레이터 A,B 각각의 IMS(120,130)에 포함된 개체(entity)를 이용하여 미디어 경로(150)를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미디어 경로(150)를 통해 SDP 제안 메시지와 SDP 응답 메시지를 교환한다. 즉 단말 A(100)는 패킷 교환(PS: packet switched) 영역(domain)(127)과 무선 접속 네트워크(RAN: random access network)(129)를 통해 SDP 제안 메시지를 P-CSCF(125)로 전달하고, P-CSCF(125)는 상기 SDP 제안 메시지를 S-CSCF(123)로 전달한다. S-CSCF(123)는 상기 SDP 제안 메시지를 AS(121)와 오퍼레이터 B의 IMS(130)에 포함되는 I-CSCF(135)로 전달한다. I-CSCF(135)는 상기 SDP 제안 메시지를 HSS/SLF(131)와 S-CSCF(137)로 전달하고, S-CSCF(137)는 상기 SDP 제안 메시지를 AS(133)와 P-CSCF (139)로 전달한다. 단말 B(110)는 P-CSCF (139)로부터 전달되는 SDP 제안 메시지를 PS 영역(141)과 RAN(143)을 통해 수신한다.
그런 다음 상기 SDP 제안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 B(110)는 상기 SDP 제안 메시지에 대응하는 SDP 응답 메시지를 PS 영역(141)과 RAN(143)을 통해 P-CSCF (139)로 전달하고, P-CSCF (139)는 상기 SDP 응답 메시지를 S-CSCF(137)로 전달한다. S-CSCF(137)는 상기 SDP 응답 메시지를 AS(133)와 I-CSCF(135)로 전달하고, I-CSCF(135)는 상기 SDP 응답 메시지를 HSS/SLF(131)와 오퍼레이터 A의 IMS에 포함되는 (120)의 S-CSCF(123)로 전달한다. S-CSCF(123)는 상기 SDP 응답 메시지를 AS(121)과 P-CSCF(125)로 전달하고, 단말 A는 P-CSCF(125)로부터 전달되는 SDP 응답 메시지를 PS 영역(127)과 RAN(129)을 통해 수신한다.
단말 A(100)가 IMS 세션 교섭을 위해 단말 B(110)로 전송하는 SDP 제안 메시지의 예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1에서는 멀티뷰(multiview) 영상 통화를 위해 전송되는 SDP 제안(offer) 메시지를 일례로 나타내었으며, 상기 멀티뷰라 함은 각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두 개 이상의 영상을 하나의 화면에 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의미한다.
Figure 112015037151131-pat00001
표 1의 SDP 제안메시지는 단말 A(100)가 H.264 비디오 코덱을 지원함을 나타내고, 관련 영상과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RTP: real-time transmission protocol)/UDP/IP 헤더를 포함하는 패킷을 512kbps의 비트 레이트(bit-rate)로 전송하고, 실시간 전송 제어 프로토콜(RTCP: real-time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수신자 보고(RR: receiver report)를 2500bps로 전송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SDP 제안 메시지는 해상도 640X480과 320X240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것을 제안하며, 특히 SDP 제안메시지의 마지막 라인(빨간색으로 표시함)은 단말 A(100)가 3개의 카메라를 보유하고 있으며 단말 B(110)에게 각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3개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SDP 제안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단말 B(110)가 단말 A(100)에게 전송하는 SDP 응답(answer) 메시지의 예는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Figure 112015037151131-pat00002
표 2의 SDP 응답메시지는 단말 B(110)가 단말 A(100)로부터 제안된 비트 레이트 512kbps를 선택하고, 단말 A(100)로부터 제안된 해상도 중 640X480을 선택하였음을 나타낸다. 또한 SDP 응답메시지의 마지막 라인(빨간색으로 표시함)은 단말 B(110)가 2개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단말 A(100)에게 2개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고, 단말 A(100)로부터 제공되는 3개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표 2의 SDP 응답메시지는 하나의 예로서 나타낸 것이며, 단말 B(110)의 선택에 따라 SDP 응답메시지는 단말 A(100)로부터 제안된 비트 레이트 512kbps보다 작은 값의 비트 레이트를 선택하고, 단말 A(100)로부터 제안된 해상도 중 320X240을 선택하였음을 나타낼 수도 있다. 또한 SDP 응답메시지의 마지막 라인을 "recv 2"와 같이 설정하여 단말 A(100)로부터 제공되는 3개의 영상 중 2개의 영상만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음을 나타낼 수도 있고, SDP 응답메시지의 마지막 라인을 "recv 1"과 같이 설정하여 단말 A(100)로부터 제공되는 3개의 영상 중 1개의 영상만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음을 나타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단말 A(100)와 단말 B(110)는 서로간에 SDP 제안 메시지와 SDP 응답 메시지를 교환하여, 상대 단말에 제공할 수 있는 영상의 개수와 자신이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영상의 개수를 서로간에 교섭한다.
도 2는 영상 통화 시스템에서 멀티뷰 영상 통화의 제어를 위해 전송되는 제어메시지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a)에 도시된 멀티뷰 영상 통화(MVC: Multiview Video Call) 제어 메시지(200)는 RTCP 패킷에 포함되어 전송되며, 상기 MVC 제어 메시지(200)는 2비트의 버전(V: version) 필드(201)와, 1비트의 패딩 비트(P: Padding bit) 필드(203)와, 5비트의 서브타입(Subtype) 필드(205)와, 1바이트의 패킷 타입(PT: Packet Type) 필드(207)와, 2바이트의 길이(Length) 필드(209)와, 4바이트의 패킷 소스에 대한 동기화 소스(SSRC: Synchronization Source)(SSRC of Packet Source) 필드(211)와, 4바이트의 미디어 소스에 대한 SSRC(SSRC of Media Source) 필드(213)와, 3비트의 요청(Request) 필드(215)와, 3비트의 카메라 식별자(CAM ID: Camera Identifier) 필드(217)와, 26비트의 제어(Control) 필드(219)를 포함한다.
V 필드(201)는 RTP의 버전을 지시하고, P 필드(203)는 패딩 비트를 지시하고, 서브타입 필드(205)는 MVC 제어 메시지(200)의 타입을 지시하고, PT 필드(207)는 MVC 제어 메시지(200)의 패킷 타입을 지시하고, 길이 필드(209)는 MVC 제어 메시지(200)의 길이를 지시하고, SSRC of Packet Source 필드(211)는 누가 패킷 소스를 전송하였는지를 나타내고 , SSRC of Media Source 필드(213)는 누가 미디어 소스를 수신하는지를 나타낸다 .
요청 필드(215)는 MVC에서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멀티뷰 영상이 포함하는 PIP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상대 단말에게 전송하는 필드로, 상기 요청 필드 (215)는 그 설정 값에 따라 하기 표 3의 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다양한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Figure 112015037151131-pat00003
즉 단말은 멀티뷰 영상이 포함하는 PIP를 제어하기 위해 상대 단말에 요청하고자 하는 동작을 기반으로 3비트의 요청 필드(215)의 값을 설정하고, 설정된 요청 필드(215)를 포함하는 MVC 제어 메시지(200)를 상대 단말에게 전송한다.
요청 필드(215) 값이 카메라 영상에 대한 오프를 요청하는 ‘000’ 또는 카메라 영상에 대한 온을 요청하는 ‘001’로 설정될 경우, 제어 필드(219)가 포함하는 모든 비트들은 0으로 설정된다. 또한 요청 필드(215) 값이 카메라 영상의 이동을 요청하는 ‘010’으로 설정될 경우, 제어 필드(219)는 도 2(b)와 같은 포맷(220)으로 구성된다. 즉 제어 필드(219)는 카메라 영상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벡터(vector) 값을 설정하는 X 필드(222)와 Y 필드(224)를 포함하며, 상기 X 필드(222)는 카메라 영상의 가로축 방향의 이동 벡터를 나타내고, 상기 Y 필드(224)는 카메라 영상의 세로축 방향의 이동 벡터를 나타낸다.
또한 요청 필드(215) 값이 카메라 영상의 크기 변경을 요청하는 ‘011’로 설정될 경우, 제어 필드(219)는 도 2(c)와 같은 포맷(230)으로 구성된다. 즉 제어 필드(219)는 카메라 영상의 가로 세로 크기의 조정 비율을 설정하는 너비(width) 필드(232)와 높이(height) 필드(234)를 포함하며, 상기 너비 필드(222)는 카메라 영상의 가로 크기의 조정 비율을 나타내고, 상기 높이 필드(234)는 카메라 영상의 세로 크기의 조정 비율을 나타낸다.
표 3에서 각 필드 값에 대응하는 동작은 일 예로서 기재한 것으로, 각 필드 값에 대응하는 동작은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예비로(Reserved) 설정된 비트 값 ‘101’-‘110’은 멀티뷰 영상이 포함하는 PIP를 제어하기 위한 새로운 동작이 필요할 경우 사용될 수 있다.
CAM ID 필드(217)는 상대 단말이 보유한 카메라들 각각의 고유 번호를 지시하는 필드이다. 일례로 상대 단말이 3대의 카메라를 보유할 경우 각 카메라의 고유 번호로는 1,2,3이 할당될 수 있으며, 이 경우 CAM ID 필드(217) 값은 ‘001’, ‘010’, ‘011’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어 상대 단말이 보유한 카메라들 각각의 고유 번호를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상대 단말이 2대의 카메라를 보유할 경우 각 카메라의 고유 번호로는 1,2가 할당될 수 있으며, 이 경우 CAM ID 필드(217) 값은 ‘001’, ‘010’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어 상대 단말이 보유한 카메라들 각각의 고유 번호를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상대 단말이 3대의 카메라를 보유할 경우 각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에는 3대중 첫 번째를 의미하는 1/3, 또는 3대중 두 번째를 의미하는 2/3, 또는 3대중 세 번째를 의미하는 3/3과 같은 인식 번호가 부여되며, 상대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말은 상기 인식 번호를 통해 멀티뷰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상들을 구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시스템에서 단말이 멀티뷰 영상이 포함하는 PIP의 위치를 이동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단말의 사용자가 상대 단말과 MVC를 수행하는 상황을 가정하며, 상기 상대 단말은 2대의 카메라를 보유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MVC를 수행하는 중 상대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멀티뷰 영상은 배경 화면인 상대 단말의 1번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도면에 인식 번호 1/2로 표기함)과 PIP인 상대 단말의 2번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도면에 인식 번호 2/2로 표기함)을 포함한다. 여기서는 도면부호 301에 위치한 영상(2/2)에 대한 좌측 상단의 좌표 (X1,Y1)의 값은 (200,200)이라 가정한다. 상기 좌표 X1은 상기 단말의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가로축 좌표를 나타내고, 상기 좌표 Y1은 상기 화면의 세로축 좌표를 나타낸다.
상기 단말의 사용자는 도면부호 301에 위치한 2번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2/2)을 사용자 편의에 따라 화면 내의 어떠한 위치로든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도면부호 301에 위치한 영상을 도면부호 302의 위치로 이동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도면부호 301에 위치한 영상을 손가락으로 드래그하는 동작 등을 통해 도면부호 302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는 사용자가 도면부호 301에 위치한 영상을 손가락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을 통해 도면부호 302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법을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도면부호 301에 위치한 영상은 어떠한 다른 동작의 적용으로도 도면부호 302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상기와 같은 이벤트가 발생되면, 도면부호 301에 위치한 영상의 이동 방향에 대한 벡터 값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도면부호 302의 위치로 이동된 영상(2/2)에 대한 좌측 상단의 좌표 (X2,Y2)의 값이 (10,800)이라 가정하면, 상기 단말은 도면부호 301에 위치한 영상(2/2)에 대한 좌측 상단의 좌표 (X1,Y1)과 도면부호 302의 위치로 이동된 영상(2/2)에 대한 좌측 상단의 좌표 (X2,Y2)를 이용하여 벡터(X2-X1,Y2-Y1)의 값 (-190,600)을 생성한다.
그런 다음 단말은 상기 발생한 이벤트에 따라 멀티뷰 영상이 포함하는 PIP를 제어하기 위해, MVC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요청 필드, CAM ID 필드 및 제어 필드 값을 각각 설정하여 상대 단말에게 전송한다. 즉 단말은 상기 요청 필드를 PIP 영상의 이동을 요청하는 ‘010’으로 설정하고, 상기 CAM ID 필드를 상기 이동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즉 2번 카메라를 지시하는 ‘010’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어 필드를 구성하는 X 필드와 Y 필드 각각을 상기 이동된 영상의 벡터 값 (-190,600) 각각으로 설정한다. 상기 X 필드와 Y 필드는 각각 13비트로 구성되며, 13비트 중 첫번째 1비트는 벡터 값의 부호(+,-)를 나타내고 나머지 12비트는 벡터 값의 절대값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설정된 MVC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상대 단말은 요청 필드, CAM ID 필드 및 제어 필드 값을 확인하고, CAM ID 필드 값 ‘010’이 지시하는 2번 카메라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을 제어 필드 값이 지시하는 벡터 값 (-190,600)에 따라 도면부호 302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런 다음 상대 단말은 MVC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요청 필드 및 제어 필드 값을 각각 설정하여 상기 단말에게 전송한다. 즉 상대 단말은 상기 요청 필드를 카메라 영상에 대한 상기 단말의 요청을 수행하였음을 지시하는 ‘111’로 설정하고, 상기 제어 필드를 구성하는 X 필드와 Y 필드 각각을 이동된 영상의 벡터 값 (-190,600) 각각으로 설정한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시스템에서 단말이 멀티뷰 영상이 포함하는 PIP의 크기를 변경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의 사용자가 상대 단말과 MVC를 수행하는 상황을 가정하며, 상기 상대 단말은 3대의 카메라를 보유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MVC를 수행하는 중 상대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멀티뷰 영상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경 화면인 상대 단말의 1번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도면에 인식 번호 1/3로 표기함)과 PIP인 상대 단말의 2번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도면에 인식 번호 2/3로 표기함)과 상대 단말의 3번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도면에 인식 번호 2/3로 표기함)을 포함한다. 여기서는 인식 번호 2/3로 표기된 영상(401)에 대한 좌측 상단의 좌표 (X1,Y1)의 값은 (200,200)이고 상기 영상(401)의 크기는 200X200 픽셀(pixel)이라 가정한다. 상기 좌표 X1은 상기 단말의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가로축 좌표를 나타내고, 상기 좌표 Y1은 상기 화면의 세로축 좌표를 나타낸다.
상기 단말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포함된 PIP들(401,403)의 크기를 사용자 편의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인식 번호 2/3로 표기된 영상(401)의 크기를 확대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상기 영상(401)을 두 손가락으로 동시에 터치한 후 두 손가락의 간격을 넓히는 동작 등을 통해 도 4b의 인식 번호 2/3로 표기된 영상(402)과 같이 그 크기를 확대시킬 수 있다. 여기서는 사용자가 영상(401)을 두 손가락으로 동시에 터치한 후 두 손가락의 간격을 넓히는 동작을 통해 상기 영상(401)의 크기를 확대시키는 방법을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영상(401)의 크기는 어떠한 다른 동작의 적용으로도 확대 또는 축소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영상(401)에서 기준점이 되는 좌표를 제외한 나머지 꼭지점 중 하나를 드래그하는 동작 등을 통해 영상(401)의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상기와 같은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두 손가락으로 동시에 터치된 제1시점에서 두 손가락 간의 거리와 상기 두 손가락의 간격이 조절된 이후의 제2시점에서 두 손가락 간의 거리의 비율을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 각각에 대해 결정한다. 여기서는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 각각에 대한 상기 제1시점과 제2시점 간의 거리의 비율이 1:2라고 가정한다. 이는 해당 영상의 크기가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 각각에 대해 2배씩 확대된 것을 의미한다.
그런 다음 단말은 상기 발생한 이벤트에 따라 멀티뷰 영상이 포함하는 PIP를 제어하기 위해, MVC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요청 필드, CAM ID 필드 및 제어 필드 값을 각각 설정하여 상대 단말에게 전송한다. 즉 단말은 상기 요청 필드를 PIP의 크기 변경을 요청하는 ‘011’로 설정하고, 상기 CAM ID 필드를 상기 크기가 변경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즉 2번 카메라를 지시하는 ‘010’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어 필드를 구성하는 너비 필드와 높이 필드 각각을 상기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 각각에 대하여 확대되는 비율을 나타내는 값으로 설정한다. 즉 상기 너비 필드와 높이 필드는 각각 13비트로 구성되며, 너비 필드 값과 높이 필드 값은 각각 2로 설정된다.
상기와 같이 설정된 MVC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상대 단말은 요청 필드, CAM ID 필드 및 제어 필드 값을 확인한다. 그런 다음 상대 단말은 CAM ID 필드 값 ‘010’이 지시하는 2번 카메라로부터 촬영되는 영상, 즉 도 4a의 영상(401)을 좌표 값 (200,200)을 기준으로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 각각에 대해 2배씩 확대시킨다.
그런 다음 상대 단말은 MVC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요청 필드 및 제어 필드 값을 각각 설정하여 상기 단말에게 전송한다. 즉 상대 단말은 상기 요청 필드를 카메라 영상에 대한 상기 단말의 요청을 수행하였음을 지시하는 ‘111’로 설정하고, 상기 제어 필드를 구성하는 너비 필드 값과 높이 필드 값을 각각 2로 설정한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시스템에서 단말이 멀티뷰 영상이 포함하는 PIP를 개별적으로 온/오프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5b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의 사용자가 상대 단말과 MVC를 수행하는 상황을 가정하며, 상기 상대 단말은 3대의 카메라를 보유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MVC를 수행하는 중 상대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멀티뷰 영상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경 화면인 상대 단말의 1번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도면에 인식 번호 1/3로 표기함)과 PIP인 상대 단말의 2번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도면에 인식 번호 2/3로 표기함)과 상대 단말의 3번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도면에 인식 번호 2/3로 표기함)을 포함한다.
상기 단말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포함된 PIP들(501,503)을 사용자 편의에 따라 개별적으로 온/오프 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인식번호 2/3로 표기된 영상(501)을 오프하고자 할 경우, 즉 상기 영상(501)을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서 제거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상기 영상(501)을 연속하여 두번 터치하는 동작 등을 통해 도 5b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서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는 사용자가 영상(501)을 연속하여 두번 터치하는 동작을 통해 상기 영상(501)을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서 제거하는 방법을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영상(501)의 오프는 어떠한 다른 동작의 적용으로도 실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상기와 같은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발생한 이벤트에 따라 멀티뷰 영상이 포함하는 PIP를 제어하기 위해, MVC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요청 필드 및 CAM ID 필드 값을 각각 설정하여 상대 단말에게 전송한다. 즉 단말은 상기 요청 필드를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서 해당 PIP의 오프를 요청하는 ‘000’으로 설정하고, 상기 CAM ID 필드를 상기 오프될 PIP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즉 2번 카메라를 지시하는 ‘010’으로 설정한다. 이때 MVC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 필드를 구성하는 모든 비트들은 0으로 설정된다.
상기와 같이 설정된 MVC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상대 단말은 요청 필드 및 CAM ID 필드 값을 확인하고, CAM ID 필드 값 ‘010’이 지시하는 2번 카메라로부터 촬영되는 영상(501)을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서 제거시킨다.
그런 다음 상대 단말은 MVC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요청 필드를 카메라 영상에 대한 상기 단말의 요청을 수행하였음을 지시하는 ‘111’로 설정하고, 상기 요청 필드가 설정된 MVC 제어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대 단말이 보유한 카메라들로부터 촬영된 영상들 중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포함되지 않는 영상을 온 시킬 것을 요청하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단말은 상기 발생한 이벤트에 따라 MVC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요청 필드 및 CAM ID 필드 값을 각각 설정하여 상대 단말에게 전송한다. 즉 단말은 상기 요청 필드를 해당 영상의 온을 요청하는 ‘001’로 설정하고, 상기 CAM ID 필드를 상기 해당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지시하는 값으로 설정한다. 이때 MVC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 필드를 구성하는 모든 비트들은 0으로 설정된다.
상기와 같이 설정된 MVC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상대 단말은 요청 필드 및 CAM ID 필드 값을 확인하고, CAM ID 필드 값이 지시하는 카메라로부터 촬영되는 해당 영상을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포함시킨다. 그런 다음 상대 단말은 MVC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요청 필드를 카메라 영상에 대한 상기 단말의 요청을 수행하였음을 지시하는 ‘111’로 설정하고, 상기 요청 필드가 설정된 MVC 제어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대 단말이 보유한 카메라들로부터 촬영된 영상들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을 배경 화면으로 설정할 것을 요청하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단말은 상기 발생한 이벤트에 따라 MVC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요청 필드 및 CAM ID 필드 값을 각각 설정하여 상대 단말에게 전송한다. 즉 단말은 상기 요청 필드를 해당 영상을 배경 화면으로 설정할 것을 요청하는 ‘100’으로 설정하고, 상기 CAM ID 필드를 상기 해당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지시하는 값으로 설정한다. 이때 MVC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 필드를 구성하는 모든 비트들은 0으로 설정된다.
상기와 같이 설정된 MVC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상대 단말은 요청 필드 및 CAM ID 필드 값을 확인하고, CAM ID 필드 값이 지시하는 카메라로부터 촬영되는 해당 영상을 배경 화면으로 설정한다. 그런 다음 상대 단말은 MVC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요청 필드를 카메라 영상에 대한 상기 단말의 요청을 수행하였음을 지시하는 ‘111’로 설정하고, 상기 요청 필드가 설정된 MVC 제어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시스템에서 송신 단말이 수신 단말에게 제공되는 멀티뷰 영상이 포함하는 PIP를 제어하는 동작의 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602단계에서 송신 단말은 IMS 세션 교섭을 위한 SDP 제안 메시지를 수신 단말에게 전송한다. 상기 SDP 제안 메시지는 상기 송신 단말이 보유하고 있는 카메라 개수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604단계에서 송신 단말은 상기 수신 단말로부터 SDP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SDP 응답 메시지는 상기 수신 단말이 보유하고 있는 카메라 개수에 관련된 정보와, 상기 송신 단말이 제공하는 영상들 중 상기 수신 단말이 디스플레이 가능한 영상의 개수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606단계에서 송신 단말은 수신 단말로부터 MVC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다. 608단계에서 송신 단말을 상기 MVC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요청 필드와 CAM ID 필드 값을 기반으로, 상기 CAM ID 필드 값이 지시하는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을 제어한다. 이때 송신 단말은 도 3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요청 필드 값에 따라 상기 CAM ID 필드 값이 지시하는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을 온/오프시키거나, 상기 영상을 화면 내에서 이동시키거나, 상기 영상의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시키거나, 상기 영상을 배경 화면으로 설정할 수 있다.
610단계에서 송신 단말은 상기 CAM ID 필드 값이 지시하는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에 대한 수신 단말의 요청을 수행하였음을 지시하는 값으로 설정된 요청 필드를 포함하는 MVC 제어 메시지를 상기 수신 단말에게 전송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시스템에서 수신 단말이 멀티뷰 영상이 포함하는 PIP를 제어하는 메시지를 송신 단말에게 전송하는 동작의 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702단계에서 수신 단말은 송신 단말로부터 IMS 세션 교섭을 위한 SDP 제안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SDP 제안 메시지는 상기 송신 단말이 보유하고 있는 카메라 개수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704단계에서 수신 단말은 상기 송신 단말에게 SDP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SDP 응답 메시지는 상기 수신 단말이 보유하고 있는 카메라 개수에 관련된 정보와, 상기 송신 단말이 제공하는 영상들 중 상기 수신 단말이 디스플레이 가능한 영상의 개수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706단계에서 수신 단말은 미리 정해진 이벤트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708단계로 진행한다. 만약 미리 정해진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706단계를 반복해서 수행한다.
708단계에서 수신 단말은 발생된 이벤트를 기반으로 MVC 제어 메시지의 요청 필드 및 CAM ID 필드 값을 설정한다. 상기 미리 정해진 이벤트는 일례로 특정 영상에 대한 온/오프 요청 이벤트, 특정 영상에 대한 위치 이동 요청 이벤트, 특정 영상에 대한 크기 변경 요청 이벤트, 특정 영상에 대한 배경 화면 설정 요청 이벤트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710단계에서 수신 단말은 요청 필드 및 CAM ID 필드 값이 설정된 MVC 제어 메시지를 송신 단말에게 전송한다.
712단계에서 수신 단말은 상기 송신 단말로부터 상기 CAM ID 필드 값이 지시하는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에 대한 수신 단말의 요청을 수행하였음을 지시하는 값으로 설정된 요청 필드를 포함하는 MVC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디바이스 그룹의 네트워크 모드를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복수의 디바이스들을 보유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보유한 디바이스들 중 미리 지정된 하나의 디바이스는 마스터(master) 디바이스이고 나머지 디바이스들은 슬레이브(slave) 디바이스라 가정한다. 도 8에서는 사용자가 보유한 디바이스들 중 단말이 마스터 디바이스인 경우를 일례로 설명하나, 사용자가 보유한 디바이스들 중 어떠한 디바이스도 마스터 디바이스가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마스터 디바이스에는 최초 단말들간 모드 설정을 위한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각 모드를 위한 디폴트(default) 프로필로 설정된 디바이스 컨텍스트 프로필(DCP: device context profile)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하며, 상기 디폴트 프로필로 설정된 DCP 정보는 사업자(service provider)로부터 제공된다.
마스터 디바이스인 단말(100)은 네트워크 모드가 LTE 모드에서 와이파이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102),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또는 프레즌스 정보에 상기 네트워크 모드 변경에 관련한 정보를 추가하여 서버(110)로 전송한다. 상기 네트워크 모드 변경에 관련한 정보는 일례로 상기 단말(100)이 와이파이 모드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와이파이 모드 유/무 정보가 될 수 있다.
단말(100)로부터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또는 프레즌스 정보를 수신한 서버(110)는 단말(100)의 네트워크 모드가 와이파이 모드로 변경되는 것으로 확인하고, 단말(100)과 미리 정해진 디바이스 그룹 A 간의 네트워크 설정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를 확인한다. 사용자 선호도는 마스터 디바이스와 슬레이브 디바이스 간의 모드 동기화의 활성화 여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XDM(XML document management) 서버에 저장되어 있다. 도 8에서는 단말(100)과 디바이스 그룹 A 간의 기기 동기화가 활성화되어 있다고 가정하며, 단말(100)과 디바이스 그룹 A 간의 와이파이 모드 동기화 역시 활성화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서버(110)는 디바이스 그룹 A의 DCP 정보를 확인하고 디바이스 그룹 A에 포함되는 모든 디바이스들의 네트워크 모드를 와이파이 모드로 변경한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 그룹 A에 포함되는 모든 디바이스들의 네트워크 모드는 와이파이 모드로 변경되고(114), 사용자 입장에서는 LTE 데이터의 사용량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서버(110)에 의해 디바이스 그룹 A에 포함되는 모든 디바이스들이 일괄 와이파이 모드로 변경되었으므로 모든 디바이스들 각각에 대해 모드 설정을 위한 개별적인 조작이 필요가 없게 된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일례로 스마트 와치의 경우 설정을 위한 화면의 크기가 소형임에 따라 네트워크 설정이 상당히 불편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별도의 조작 없이 스마트 와치의 네트워크 모드를 와이파이 모드로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단말(100)의 네트워크 모드가 와이파이 모드에서 LTE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에도, 단말(100)은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또는 프레즌스 정보에 상기 네트워크 모드 변경에 관련한 정보를 추가하여 서버(110)로 전송한다. 이후 서버(110)는 단말(100)의 네트워크 모드가 LTE 모드로 변경되는 것으로 확인하고, 단말(100)과 디바이스 그룹 A 간의 네트워크 모드 설정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를 확인한다. 또한 서버(110)는 상기 단말(100)과 디바이스 그룹 A 간의 네트워크 설정에 대한 동기화가 활성화되어 있음을 확인하면, 디바이스 그룹 A의 DCP 정보를 확인하고 디바이스 그룹 A에 포함되는 모든 디바이스들의 네트워크 모드를 LTE 모드로 변경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디바이스 그룹의 비행 모드를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복수의 디바이스들을 보유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보유한 디바이스들 중 미리 지정된 하나의 디바이스는 마스터 디바이스이고 나머지 디바이스들은 슬레이브 디바이스라 가정한다. 도 9에서는 사용자가 보유한 디바이스들 중 단말이 마스터 디바이스인 경우를 일례로 설명하나, 사용자가 보유한 디바이스들 중 어떠한 디바이스도 마스터 디바이스가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마스터 디바이스에는 최초 단말들간 모드 설정을 위한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각 모드를 위한 디폴트 프로필로 설정된 DCP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하며, 상기 디폴트 프로필로 설정된 DCP 정보는 사업자로부터 제공된다.
마스터 디바이스인 단말(200)은 동작 모드가 비행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202),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또는 프레즌스 정보에 상기 동작 모드 변경에 관련한 정보를 추가하여 서버(210)로 전송한다. 상기 동작 모드 변경에 관련한 정보는 일례로 상기 단말(200)이 비행 모드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비행 모드 유/무 정보가 될 수 있다.
단말(200)로부터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또는 프레즌스 정보를 수신한 서버(210)는 단말(200)의 동작 모드가 비행 모드로 변경되는 것으로 확인하고, 단말(200)과 미리 정해진 디바이스 그룹 B 간의 비행 모드 설정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를 확인한다. 사용자 선호도는 마스터 디바이스와 슬레이브 디바이스 간의 모드 동기화의 활성화 여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XDM 서버에 저장되어 있다. 도 9에서는 단말(200)과 디바이스 그룹 B 간의 기기 동기화가 활성화되어 있다고 가정하며, 단말(200)과 디바이스 그룹 B 간의 비행 모드 동기화 역시 활성화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서버(210)는 디바이스 그룹 B의 DCP 정보를 확인하고 디바이스 그룹 B에 포함되는 모든 디바이스들의 동작 모드를 비행 모드로 변경한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 그룹 B에 포함되는 모든 디바이스들의 동작 모드는 비행 모드로 변경되고,(214) 사용자 입장에서는 자신이 보유한 모든 디바이스들의 배터리 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서버(210)에 의해 디바이스 그룹 B에 포함되는 모든 디바이스들이 일괄 비행 모드로 변경되었으므로 모든 디바이스들 각각에 대해 모드 설정을 위한 개별적인 조작이 필요가 없게 된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일례로 스마트 와치의 경우 설정을 위한 화면의 크기가 소형임에 따라 모드 설정이 상당히 불편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별도의 조작 없이 스마트 와치의 동작 모드를 비행 모드로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단말(200)의 동작 모드를 비행 모드에서 기본 모드, 즉 서비스를 송수신하는 모드로 변경하는 경우에도, 단말(200)은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또는 프레즌스 정보에 상기 동작 모드 변경에 관련한 정보를 추가하여 서버(210)로 전송한다. 이후 서버(210)는 단말(200)의 동작 모드가 기본 모드로 변경되는 것으로 확인하고, 단말(200)과 디아비스 그룹 B 간의 동작 모드 설정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를 확인한다. 또한 서버(210)는 상기 단말(200)과 디바이스 그룹 B 간의 비행 모드 설정에 대한 동기화가 활성화되어 있음을 확인하면, 디바이스 그룹 B의 DCP 정보를 확인하고 디바이스 그룹 B에 포함되는 모든 디바이스들의 동작 모드를 기본 모드로 변경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디바이스 그룹의 취침 모드를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복수의 디바이스들을 보유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보유한 디바이스들 중 미리 지정된 하나의 디바이스는 마스터 디바이스이고 나머지 디바이스들은 슬레이브 디바이스라 가정한다. 도 10에서는 사용자가 보유한 디바이스들 중 단말이 마스터 디바이스인 경우를 일례로 설명하나, 사용자가 보유한 디바이스들 중 어떠한 디바이스도 마스터 디바이스가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마스터 디바이스에는 최초 단말들간 모드 설정을 위한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각 모드를 위한 디폴트 프로필로 설정된 DCP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하며, 상기 디폴트 프로필로 설정된 DCP 정보는 사업자로부터 제공된다.
마스터 디바이스인 단말(300)은 동작 모드가 취침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302),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또는 프레즌스 정보에 상기 동작 모드 변경에 관련한 정보를 추가하여 서버(310)로 전송한다. 상기 동작 모드 변경에 관련한 정보는 일례로 상기 단말(300)이 취침 모드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취침 모드 유/무 정보가 될 수 있다.
단말(300)로부터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또는 프레즌스 정보를 수신한 서버(310)는 단말(300)의 동작 모드가 취침 모드로 변경되는 것으로 확인하고, 단말(300)과 미리 정해진 디바이스 그룹 C 간의 취침 모드 설정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를 확인한다. 사용자 선호도는 마스터 디바이스와 슬레이브 디바이스 간의 모드 동기화의 활성화 여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XDM 서버에 저장되어 있다. 도 10에서는 단말(300)과 디바이스 그룹 C 간의 기기 동기화가 활성화되어 있다고 가정하며, 단말(300)과 디바이스 그룹 C 간의 취침 모드 동기화 역시 활성화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서버(310)는 디바이스 그룹 C의 DCP 정보를 확인하고 디바이스 그룹 C에 포함되는 모든 디바이스들의 동작 모드를 취침 모드로 변경하고, 이에 따라 디바이스 그룹 C에 포함되는 모든 디바이스들의 동작 모드는 취침 모드로 변경된다(314). 예를 들어 디바이스 그룹 C에 포함되는 디바이스들이 에어컨, 전등, 오디오라고 가정하면, 에어컨의 동작 모드는 수면풍 모드로 변경되고, 전등의 동작 모드는 수면등 모드로 변경되고, 오디오의 동작 모드는 수면 음악 모드로 변경되며, 사용자 입장에서는 에너지 사용량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서버(310)에 의해 디바이스 그룹 C에 포함되는 모든 디바이스들이 일괄 취침모드로 변경되었으므로 모든 디바이스들 각각에 대해 모드 설정을 위한 개별적인 조작이 필요가 없게 된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일례로 스마트 와치의 경우 설정을 위한 화면의 크기가 소형임에 따라 모드 설정이 상당히 불편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별도의 조작 없이 스마트 와치의 동작 모드를 취침 모드로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단말(300)의 동작 모드를 취침 모드에서 기본 모드, 즉 서비스를 송수신하는 모드로 변경하는 경우에도, 단말(300)은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또는 프레즌스 정보에 상기 동작 모드 변경에 관련한 정보를 추가하여 서버(310)로 전송한다. 이후 서버(310)는 단말(300)의 동작 모드가 기본 모드로 변경되는 것으로 확인하고, 단말(300)과 디아비스 그룹 C 간의 취침 모드 설정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를 확인한다. 또한 서버(310)는 상기 단말(300)과 디바이스 그룹 C 간의 취침 모드 동기화가 활성화되어 있음을 확인하면, 디바이스 그룹 C의 DCP 정보를 확인하고 디바이스 그룹 C에 포함되는 모든 디바이스들의 동작 모드를 기본 모드로 변경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디바이스 그룹의 매너 모드를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복수의 디바이스들을 보유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보유한 디바이스들 중 미리 지정된 하나의 디바이스는 마스터 디바이스이고 나머지 디바이스들은 슬레이브 디바이스라 가정한다. 도 11에서는 사용자가 보유한 디바이스들 중 단말이 마스터 디바이스인 경우를 일례로 설명하나, 사용자가 보유한 디바이스들 중 어떠한 디바이스도 마스터 디바이스가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마스터 디바이스에는 최초 단말들간 모드 설정을 위한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각 모드를 위한 디폴트 프로필로 설정된 DCP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하며, 상기 디폴트 프로필로 설정된 DCP 정보는 사업자로부터 제공된다.
마스터 디바이스인 단말(400)은 동작 모드가 매너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402),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또는 프레즌스 정보에 상기 동작 모드 변경에 관련한 정보를 추가하여 서버(410)로 전송한다. 상기 동작 모드 변경에 관련한 정보는 일례로 상기 단말(400)이 매너 모드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매너 모드 유/무 정보가 될 수 있다.
단말(400)로부터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또는 프레즌스 정보를 수신한 서버(410)는 단말(400)의 동작 모드가 매너 모드로 변경되는 것으로 확인하고, 단말(400)과 미리 정해진 디바이스 그룹 D 간의 매너 모드 설정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를 확인한다. 사용자 선호도는 마스터 디바이스와 슬레이브 디바이스 간의 모드 동기화의 활성화 여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XDM 서버에 저장되어 있다. 도 11에서는 단말(400)과 디바이스 그룹 D 간의 기기 동기화가 활성화되어 있다고 가정하며, 단말(400)과 디바이스 그룹 D 간의 매너 모드 동기화 역시 활성화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서버(410)는 디바이스 그룹 D의 DCP 정보를 확인하고 디바이스 그룹 D에 포함되는 모든 디바이스들의 동작 모드를 매너 모드로 변경한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 그룹 D에 포함되는 모든 디바이스들의 동작 모드는 매너 모드로 변경되고(414), 서버(410)에 의해 디바이스 그룹 D에 포함되는 모든 디바이스들이 일괄 매너 모드로 변경되었으므로 사용자는 모든 디바이스들 각각에 대해 모드 설정을 위한 개별적인 조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게 된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일례로 스마트 와치의 경우 설정을 위한 화면의 크기가 소형임에 따라 모드 설정이 상당히 불편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별도의 조작 없이 스마트 와치의 동작 모드를 매너 모드로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단말(400)의 동작 모드를 매너 모드에서 벨 모드 또는 무음 모드 등으로 변경하는 경우에도, 단말(400)은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또는 프레즌스 정보에 상기 동작 모드 변경에 관련한 정보를 추가하여 서버(410)로 전송한다. 이후 서버(410)는 단말(400)의 동작 모드가 벨 모드 또는 무음 모드 등으로 변경되는 것으로 확인하고, 단말(400)과 디바이스 그룹 D 간의 동작 모드 설정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를 확인한다. 또한 서버(410)는 상기 단말(400)과 디바이스 그룹 D 간의 매너 모드 설정에 대한 동기화가 설정되어 있음을 확인하면, 디바이스 그룹 D의 DCP 정보를 확인하고 디바이스 그룹 D에 포함되는 모든 디바이스들의 동작 모드를 벨 모드 또는 무음 모드 등으로 변경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마스터 디바이스가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모드를 변경하는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시된 통신 시스템은 마스터 디바이스인 단말 A(500), 서버(510), 슬레이브 디바이스인 단말 B(520), 단말 C(530)를 포함한다.
단말 A(500)는 단말 컨텍스트 설정을 위한 XML 문서(document)를 생성한다(501단계). XML 문서에는 단말 컨텍스트 설정을 위한 사용자 선호도 문서, DCP 문서 및 DCP 디렉토리 문서 등이 포함된다.
상기 사용자 선호도 문서는 마스터 디바이스와 슬레이브 디바이스 간의 모드 동기화 여부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DCP 문서는 단말 모드 별 적용되는 규칙(rule)을 포함하며, 일례로 와이파이 모드에 적용되는 규칙, 비행 모드에 적용되는 규칙, 취침 모드에 적용되는 규칙, 매너 모드에 적용되는 규칙, 로밍 모드에 적용되는 규칙 등을 포함한다. 상기 DCP 디렉토리 문서는 DCP 문서에서 활성화된 프로필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며, 일례로 단말 별 DCP 정보, 웨어러블 디바이스 리스트, 홈 디바이스 리스트, 마스터 디바이스 리스트, 마스터 디바이스에서 동작 중인 DCP 정보, 마스터 단말의 모드 변경에 따른 DCP 정보(일례로 관련 모드에 대응하는 규칙), 슬레이브 디바이스에서 동작 중인 DCP 정보, 슬레이브 디바이스 중 별도로 적용되는 DCP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단말 A(500)는 501단계에서 생성한 XML 문서의 등록을 요청하는 HTTP PUT 메시지를 서버(510)에 전송한다(503단계). 서버(510)는 XML 문서를 등록하고, 상기 HTTP PUT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200 OK 메시지를 단말 A(500)에게 전송한다(505단계).
단말 B(520)는 DCP 정보 구독을 위한SIP SUBSCRIBE 메시지를 서버(510)로 전송한다(507단계). 상기 DCP 정보는 일례로 사용자 선호도 문서, DCP 문서 및 DCP 디렉토리 문서 등을 의미한다. 상기 507단계의 SIP SUBSCRIBE 메시지에는 DCP 정보 구독을 요청하는 정보가 포함되며, 단말 B(520)는 상기 DCP 정보 구독을 요청하는 정보가 포함된 SIP SUBSCRIBE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변경되는 DCP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510)는 SIP SUBSCRIBE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SIP NOTIFY 메시지를 전송하여 기 저장된 DCP 정보를 단말 B(520)에게 통보한다(509단계). 여기서는 상기 507 단계와 509 단계를 통해 DCP 정보를 획득하는 구성을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DCP 정보는 단말 B(520)에 의한 주기적인 DCP 정보 읽기(XCAP GET)를 통해서도 획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단말 C(530)는 DCP 정보 구독을 위한 SIP SUBSCRIBE 메시지를 서버(510)로 전송한다(511단계). 상기 DCP 정보는 일례로 사용자 선호도 문서, DCP 문서 및 DCP 디렉토리 문서 등을 의미한다. 상기 511단계의 SIP SUBSCRIBE 메시지에는 DCP 정보 구독을 요청하는 정보가 포함되며, 단말 C(530)는 상기 DCP 정보 구독을 요청하는 정보가 포함된 SIP SUBSCRIBE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변경되는 DCP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510)는 SIP SUBSCRIBE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SIP NOTIFY 메시지를 전송하여 기 저장된 DCP 정보를 단말 C(530)에게 통보한다(513단계). 여기서는 상기 511 단계와 513 단계를 통해 DCP 정보를 획득하는 구성을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DCP 정보는 단말 C(530)에 의한 주기적인 DCP 정보 읽기(XCAP GET)를 통해서도 획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단말 A(500)는 네트워크 모드가 LTE 모드에서 와이파이 모드로 변경되면(515단계), SIP PUBLISH 메시지를 서버(510)로 전송하여 단말 모드 변경을 통보한다(517단계). 여기서 단말 A(500)의 모드 변경은 사용자에 의해 직접 변경될 수도 있고 단말 자체적으로 자동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SIP PUBLISH 메시지는 단말 A(500)와 관련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모드 동기화가 설정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전송될 수 있다. 즉 상기 SIP PUBLISH 메시지는 상기 모드 동기화가 설정된 경우에만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서버(510)는 SIP PUBLISH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200 OK 메시지를 단말 A(500)에게 전송한다(519단계).
서버(510)는 단말 A(500)의 모드 변경을 기반으로 마스터 디바이스의 DCP 정보를 변경하고, 이에 따라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DCP 정보를 변경한다(521단계).
이후 서버(510)는 SIP NOTIFY 메시지를 전송하여 변경된 DCP 정보를 단말 B(520)에게 통보한다(523단계). 단말 B(520)은 상기 SIP NOTIFY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200 OK 메시지를 서버(510)에게 전송하고(525단계), 변경된 DCP 정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모드를 LTE 모드에서 와이파이 모드로 변경한다(527단계).
또한 서버(510)는 SIP NOTIFY 메시지를 전송하여 변경된 DCP 정보를 단말 C(530)에게 통보한다(529단계). 단말 C(530)은 상기 SIP NOTIFY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200 OK 메시지를 서버(510)에게 전송하고(531단계), 변경된 DCP 정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모드를 LTE 모드에서 와이파이 모드로 변경한다(535단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마스터 디바이스가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모드를 변경하는 동작의 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602단계에서 마스터 디바이스는 XML 문서를 생성한다. 상기 XML 문서는 단말 컨텍스트 설정을 위한 사용자 선호도 문서, DCP 문서 및 DCP 디렉토리 문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선호도 문서는 마스터 디바이스와 슬레이브 디바이스 간의 모드 동기화 여부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DCP 문서는 모드 별 적용되는 규칙을 포함하고, 상기 DCP 디렉토리 문서는 DCP 문서에서 활성화된 프로필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604단계에서 마스터 디바이스는 602단계에서 생성한 XML 문서, 즉 사용자 선호도 문서, DCP 문서 및 DCP 디렉토리 문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서버에 등록한다.
606단계에서 마스터 디바이스는 자신의 모드 변경이 검출되는지 여부를 검사하고, 모드 변경이 검출될 경우 608단계로 진행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와의 모드 동기화가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606단계 검사 결과 모드 변경이 검출되지 않을 경우, 그리고 608단계 검사 결과 슬레이브 디바이스와의 모드 동기화가 설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 마스터 디바이스는 606단계로 진행하여 검사 동작을 반복한다.
608단계 검사 결과 슬레이브 디바이스와의 모드 동기화가 설정되어 있을 경우, 마스터 디바이스는 610단계로 진행하여 모드 변경을 서버에 통보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슬레이브 디바이스가 모드를 변경하는 동작의 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702단계에서 슬레이브 디바이스는 사용자 선호도 문서, DCP 문서 및 DCP 디렉토리 문서 등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구독 여부를 나타내는 DCP 정보 구독 요청을 서버에 전송한다. 상기 DCP 정보 구독 요청을 전송하는 이유는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가 DCP 정보, 일례로 사용자 선호도 문서, DCP 문서 및 DCP 디렉토리 문서 등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 사항을 수신하기 위함이다. 704단계에서 슬레이브 디바이스는 서버로부터 기 저장된 DCP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기 저장된 DCP 정보는 상기 서버에 현재 저장된 DCP 정보를 의미하며, 일례로 사업자로부터 제공된 각 모드를 위한 디폴트 프로필로 설정된 DCP 정보가 될 수 있다.
706단계에서 슬레이브 디바이스는 마스터 디바이스의 모드 변경을 기반으로 하는 변경된 DCP 정보가 서버로부터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하고, 변경된 DCP 정보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706단계의 검사 동작을 반복한다.
706단계 검사 결과 변경된 DCP 정보가 수신될 경우, 슬레이브 디바이스는 708단계로 진행하여 변경된 DCP 정보를 기반으로 자신의 모드를 변경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서버가 슬레이브 디바이스 모드를 변경하는 동작의 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802단계에서 서버는 마스터 디바이스로부터 XML 문서를 수신하여 등록한다. 상기 XML 문서는 단말 컨텍스트 설정을 위한 사용자 선호도 문서, DCP 문서 및 DCP 디렉토리 문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선호도 문서는 마스터 디바이스와 슬레이브 디바이스 간의 모드 동기화의 활성화 여부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DCP 문서는 모드 별 적용되는 규칙을 포함하고, 상기 DCP 디렉토리 문서는 DCP 문서에서 활성화된 프로필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804단계에서 서버는 슬레이브 디바이스로부터 DCP 정보 구독 요청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하고, 상기 DCP 정보 구독 요청이 수신될 경우 서버는 806단계로 진행한다. 806단계에서 서버는 수신된 DCP 정보 구독 요청이 DCP 정보, 일례로 사용자 선호도 문서, DCP 문서 및 DCP 디렉토리 문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함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804단계 검사 결과 상기 DCP 정보 구독 요청이 수신되지 않을 경우, 그리고 806단계 검사 결과 수신된 DCP 정보 구독 요청이 상기 DCP 정보를 수신하지 않음을 나타낼 경우, 서버는 804단계로 진행하여 검사 동작을 반복한다.
806단계 검사 결과 수신된 DCP 정보 구독 요청이 상기 DCP 정보를 수신함을 나타낼 경우, 서버는 808단계로 진행하여 기 저장된 DCP 정보를 해당 슬레이브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811단계에서 서버는 마스터 단말로부터 모드 변경과 관련된 정보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하고, 상기 모드 변경과 관련된 정보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811단계의 검사 동작을 반복한다. 811단계에서 상기 모드 변경과 관련된 정보가 수신될 경우, 서버는 813단계로 진행하여 마스터 디바이스 및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DCP 정보를 변경한다.
815단계에서 서버는 변경된 DCP 정보를 상기 해당 슬레이브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도 16은 단말 컨텍스트 설정을 위한 XML 문서를 구성하는 사용자 선호도 문서 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사용자 선호도 문서는 디바이스들 간의 모드 동기화의 활성화 여부를 나타내며, 사용자 선호도 문서 내 모드 동기화를 위한 엘리먼트 <mode-sync>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도시된 사용자 선호도 문서는 <mode-sync>가 활성화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일례로 동작 상태(on/off)를 나타내는 'state' 속성을 포함하고, 그 밖에 와이파이 모드 동기화가 활성화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wifi-sync>, 비행 모드 동기화가 활성화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airplane-sync>, 취침 모드 동기화가 활성화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sleep-sync>, 매너 모드 동기화가 활성화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manner-sync>, 로밍 모드 동기화가 활성화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roaming-sync>를 포함한다.
또한 도시된 사용자 선호도 문서에서 <mode-sync state= "on">은 디바이스들간의 모드 동기화가 활성화된 것을 나타내고, <wifi-sync> true </wifi-sync>는 디바이스들 간 와이파이 모드 동기화가 활성화된 것을 나타내고, <airplane-sync> true </airplane-sync>는 디바이스들 간 비행 모드 동기화가 활성화된 것을 나타내고, <sleep-sync> true </sleep-sync>는 디바이스들 간 취침 모드 동기화가 활성화된 것을 나타내고, <manner-sync> true </manner-sync>는 디바이스들 간 매너 모드 동기화가 활성화된 것을 나타내고, <roaming-sync> true </roaming-sync>는 디바이스들 간 로밍 모드 동기화가 활성화된 것을 나타낸다.
도 17은 단말 컨텍스트 설정을 위한 XML 문서를 구성하는 DCP 문서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DCP 문서는 단말 모드 별 적용되는 규칙을 포함하며, 도 17에서는 LTE 모드, 와이파이 모드, 비행 모드, 취침 모드 각각에 적용되는 규칙을 나타내었다. 사용자 인식을 위한 SIP URI로 'sip:ronald.underwood@example.com'을 가지게 되는 경우 DCP 문서는 [RFC4745] 'ruleset' 문서 내 각 모드 별 'rule'로서 정의되며, DCP 문서는 조건(conditions)에 따른 동작(action)들을 정의한다.
도 17(a)는 LTE 모드에 적용되는 규칙인 LTE 프로필을 나타낸 것으로, 'id' 속성(id="f3g44r1")이 정의되고 조건이 LTE 연결(LTE connection)인 경우,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Subscribed Services), 일례로 소리샘, 통화/데이터 사용량/잔여량 업데이트 등에 대한 통보는 디바이스 그룹에 전달하도록 정의한다.
또한 메시지(Message), 일례로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조인(joyn) 메시지 통보 역시 디바이스 그룹에 전달하도록 정의하고, 서드 파티(3rd party) 서비스, 일례로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이메일 서비스 통보는 차단하도록 정의한다. 그 외 필요한 다른 동작들, 일례로 각종 앱(App: application)들의 자동 업데이트 동작 등을 정의할 수도 있다.
도 17(b)는 와이파이 모드에 적용되는 규칙인 와이파이 프로필을 나타낸 것으로, 'id' 속성(id="ythk764")이 정의되고 조건이 와이파이 연결(WiFi connection)인 경우,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에 대한 통보는 디바이스 그룹에 전달하도록 정의한다. 또한 메시지 통보와 서드 파티 서비스 통보 역시 전달하도록 정의한다. 그 외 필요한 다른 동작들을 정의할 수도 있다.
도 17(c)는 비행 모드에 적용되는 규칙인 비행 모드 프로필을 나타낸 것으로, 'id' 속성(id="11t2t45")이 정의되고 조건이 비행(Airplane) 모드인 경우,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에 대한 통보를 차단하도록 정의한다. 또한 메시지 통보와 서드 파티 서비스 통보 역시 차단하도록 정의하고, 데이터 연결(data connection)을 비활성화하도록(Deactivate) 정의한다. 그 외 필요한 다른 동작들을 정의할 수도 있다.
도 17(d)는 취침 모드에 적용되는 규칙인 취침 모드 프로필을 나타낸 것으로, 'id' 속성(id="ythk764")이 정의되고 조건이 취침(Sleep) 모드인 경우,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에 대한 통보를 차단하도록 정의한다. 또한 메시지 통보와 서드 파티 서비스 통보 역시 차단하도록 정의한다. 또한 단말과 태블릿(tablet)은 최대 절전 모드를(maximum power saving mode) 활성화시키도록(Activate) 정의하고, 에어컨(conditioner)과 전등(lights)은 수면 모드를 활성화시키도록 정의한다. 그 외 필요한 다른 동작들을 정의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로밍 모드에 적용되는 로밍 프로필은, 'id' 속성(id="ythk764")이 정의되고 조건이 와이파이 연결인 경우,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에 대한 통보는 디바이스 그룹에 전달하도록 정의한다. 또한 메시지 통보와 서드 파티 서비스 통보 역시 전달하도록 정의한다. 그 외 필요한 다른 동작들을 정의할 수도 있다.
도 18은 디바이스 그룹의 단말 컨텍스트 설정을 위한 XML 문서를 구성하는 DCP 디렉토리의 예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마스터 디바이스의 프로필 변경에 따라 해당 그룹에 포함된 슬레이브 디바이스들의 프로필을 LTE 프로필, 와이파이 프로필, 로밍 프로필, 비행 모드 프로필, 수면 모드 프로필 등으로 변경한다.
도 19a 내지 19d는 디바이스 그룹의 단말 컨텍스트 설정을 위한 XML 문서를 구성하는 DCP 디렉토리 문서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a 내지 19d를 참조하면, <dcp-set>은 DCP 정보의 집합을 나타내며, 도 19a 내지 19d에서는 LTE 모드, 와이파이 모드, 로밍 모드, 비행 모드, 취침 모드 각각의 DCP 정보를 나타내었다.
<dp-set>은 디바이스 프로필에 관련된 디바이스들의 집합을 나타내며, 도 19a 내지 19d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리스트, 홈 디바이스 리스트, 마스터 디바이스 리스트를 나타내었다.
<active-dcp>는 디바이스에 활성화된 DCP 정보의 집합을 나타내며, <master dcp>는 마스터 디바이스에 활성화된 DCP 정보를 나타낸다.
<ruleset>은 단말의 모드 변경에 따른 디바이스 컨텍스트 프로필 규칙의 집합, 즉 변경된 모드에 대응하는 규칙의 집합을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어 마스터 디바이스가 로밍 모드로 변경되면 이때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프로필은 로밍 프로필로 변경 및 동작한다.
<slave-device-dcp-set>은 슬레이브 디바이스에 활성화된 DCP 정보의 집합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마스터 디바이스가 비행 모드(ghi6k)로 변경된 경우 슬레이브 디바이스인 웨어러블 디바이스(aaa111) 역시 비행 모드로 변경된다.
<active-device-dcp-set>은 단말 중 별도로 디바이스 컨텍스트 프로필이 적용된 단말의 집합을 나타낸다.
도 19a 내지 19d에서 설명한 DCP 디렉토리 문서 구조는 필요성 및 확장성을 위해 일부 수정된 형태로 표준화 및 구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디바이스간 데이터를 공유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간 데이터 공유하는 경우는 일례로 마스터 디바이스와 웨어러블 디바이스 간의 테더링(tethering) 서비스를 수행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네트워크 모드 및 동작 모드 변경과 관련된 기본 규칙을 설정한 이후에 사용자가 변경 가능하게 된다.
또한 앞서 설명한 DCP 정보, 즉 모드 별 적용되는 규칙을 서버에 저장할 경우, 디바이스를 통한 입력 방법이 제한적이거나 아예 없는 경우에도 일괄적인 적용을 통해 디바이스 그룹 별 데이터 공유가 가능하다. 즉 테더링 서비스를 예로 들면, 테더링 프로필 생성을 통해 마스터 단말이 테더링 서비스를 활성화시키면 특정 디바이스 그룹이 마스터 디바이스에 테더링 서비스를 통해 접속하여 데이터 서비스 송수신할 수숭 있다.
또한 서버 기반이 아닌 디바이스 기반의 경우에는 이를 디바이스 별로 설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 아니라 상호 간에 서비스 규칙/설정 충돌이 있을 경우에는 이들 간의 조정이 필요한데 이를 상기 DCP 정보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모드를 변경하는 디바이스, 일례로 단말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장치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도시된 단말(1300)는 송신부(1310), 수신부(1320), 제어부(1330) 및 저장부(1340)를 포함하며, 도시된 구성은 마스터 디바이스와 슬레이브 디바이스 모두에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상기 제어부(1330)는 단말(1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3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모드 변경에 관련된 전반적인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단말 모드 변경에 관련된 전반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도12 내지 도 14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송신부는(1310)는 상기 제어부(1330)의 제어에 따라 각종 메시지 등을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송신부(1310)가 전송하는 각종 메시지 등은 도12 내지 도 14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수신부는(1320)는 상기 제어부(1330)의 제어에 따라 각종 메시지 등을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부(1320)가 수신하는 각종 메시지 등은 도 12 내지 도 14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2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모드를 변경하는 서버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장치도이다.
도 21를 참조하면, 도시된 서버(1400)는 송신부(1410), 수신부(1420), 제어부(1430) 및 저장부(144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430)는 서버(1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4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모드 변경에 관련된 전반적인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디바이스 모드 변경에 관련된 전반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도12 및 도 15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송신부는(1410)는 상기 제어부(1430)의 제어에 따라 각종 메시지 등을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송신부(1410)가 전송하는 각종 메시지 등은 도12 및 도 15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수신부는(1420)는 상기 제어부(1430)의 제어에 따라 각종 메시지 등을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부(1420)가 수신하는 각종 메시지 등은 도 12 및 도 15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뷰 영상을 제어하는 방법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래픽 화면 갱신 방법은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뷰 영상을 제어하는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그래픽 처리 장치가 기설정된 컨텐츠 보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컨텐츠 보호 방법에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의 요청 또는 자동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상기 송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Claims (50)

  1. 서버에 의해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마스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와 슬레이브 디바이스 간의 모드 동기화 활성화 여부에 관한 제1 정보 및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에서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의 변경된 모드를 지원하기 위한 규칙에 관련된 제2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에 상기 제2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정보를 수신한 후에,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의 변경된 모드와 관련된 제3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와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 간의 모드 동기화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1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과정과,
    상기 제2 정보 및 상기 제3 정보에 기초하여 제4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에 상기 제4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4 정보는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에서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의 변경된 모드를 지원하기 위한 규칙과 관련된 정보 및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의 변경된 모드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의 변경된 모드는 Wi-Fi 모드, 비행기 모드, 슬립 모드, 벨소리 모드 및 무음 모드 중 하나를 나타내는 매너 모드, 및 로밍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는 DCP (device context profile) 정보이고, 상기 제3 정보 및 상기 제4 정보는 변경된 DCP 정보인,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정보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2 정보를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슬레이브 디바이스들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리스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들 중 하나인 방법.
  5. 모드를 변경하는 서버로서, 상기 서버는 청구항 1, 3 내지 4항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서버.
  6. 마스터 디바이스에 의해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와 슬레이브 디바이스 간의 모드 동기화 활성화 여부에 관한 제1 정보 및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에서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의 변경된 모드를 지원하기 위한 규칙에 관련된 제2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의 모드를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제2 정보를 전송한 후,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의 변경된 모드와 관련된 제3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3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의 변경된 모드는 Wi-Fi 모드, 비행기 모드, 슬립 모드, 벨소리 모드 및 무음 모드 중 하나를 나타내는 매너 모드, 및 로밍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는 DCP (device context profile) 정보이고, 상기 제3 정보는 변경된 DCP 정보인,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마스터 디바이스로서,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는 청구항 6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마스터 디바이스.
  11. 슬레이브 디바이스에 의해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마스터 디바이스와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 간의 모드 동기화 활성화 여부에 관한 제1 정보 및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에서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의 변경된 모드를 지원하기 위한 규칙에 관련된 제2 정보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를 수신한 후에, 상기 서버로부터 제3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3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모드를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에서 변경된 모드를 지원하기 위한 규칙과 관련된 정보 및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의 변경된 모드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의 변경된 모드는 Wi-Fi 모드, 비행기 모드, 슬립 모드, 벨소리 모드 및 무음 모드 중 하나를 나타내는 매너 모드, 및 로밍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이며,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는 DCP (device context profile) 정보이고, 상기 제3 정보는 변경된 DCP 정보인,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정보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2 정보를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슬레이브 디바이스들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리스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들 중 하나인 방법.
  14.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슬레이브 디바이스로서,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는 청구항 11항 내지 13항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슬레이브 디바이스.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KR1020150053794A 2014-05-08 2015-04-16 디바이스 모드를 변경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267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04637 WO2015170928A1 (en) 2014-05-08 2015-05-08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mode of device
CN201580032266.7A CN106664388B (zh) 2014-05-08 2015-05-08 用于改变设备的模式的装置和方法
EP15790015.0A EP3140986B1 (en) 2014-05-08 2015-05-08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mode of device
US14/707,742 US9807343B2 (en) 2014-05-08 2015-05-08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mode of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716 2014-05-08
KR20140054716 2014-05-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8557A KR20150128557A (ko) 2015-11-18
KR102267186B1 true KR102267186B1 (ko) 2021-06-22

Family

ID=54839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3794A KR102267186B1 (ko) 2014-05-08 2015-04-16 디바이스 모드를 변경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140986B1 (ko)
KR (1) KR102267186B1 (ko)
CN (1) CN10666438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5483B1 (ko) 2015-09-10 2017-07-10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이종소재 접합 구조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4512A (ja) 2000-08-22 2002-02-28 Canon Inc 通信方法及び通信装置
US20120029658A1 (en) 2010-07-29 2012-02-02 Yamatake Corporation Operation controlling system and operation controlling device and method
US20130130684A1 (en) * 2010-04-02 2013-05-23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Group Procedures For Machine Typ Communication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13331B2 (en) * 2002-12-20 2006-03-14 Nokia, Inc. Automated bulk configuration of network devices
US7266774B2 (en) * 2003-01-23 2007-09-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mplementing a second computer system as an interface for first computer system
KR100640483B1 (ko) * 2004-10-22 2006-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모드를 자동변경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US20080147827A1 (en) * 2006-12-14 2008-06-19 Morris Robert P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izing Operating Modes Of Networked Appliances
JP4367528B2 (ja) * 2007-05-25 2009-11-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シリアル通信装置
CN101557255B (zh) * 2009-05-11 2013-01-02 华为技术有限公司 时间同步方法、系统及时间同步通信设备
CN102594781B (zh) * 2011-01-12 2017-04-12 深圳震有科技股份有限公司 Sip防火墙软件中的主备同步机制
CN103999489A (zh) * 2011-12-08 2014-08-20 诺基亚通信公司 D2d群集中的设备的网络同步
US20130288601A1 (en) * 2012-04-26 2013-10-31 Apple Inc. Automatic configuration of electronic devic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4512A (ja) 2000-08-22 2002-02-28 Canon Inc 通信方法及び通信装置
US20130130684A1 (en) * 2010-04-02 2013-05-23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Group Procedures For Machine Typ Communication Devices
US20120029658A1 (en) 2010-07-29 2012-02-02 Yamatake Corporation Operation controlling system and operation controlling device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8557A (ko) 2015-11-18
EP3140986B1 (en) 2020-08-19
CN106664388B (zh) 2020-01-07
EP3140986A4 (en) 2017-12-06
CN106664388A (zh) 2017-05-10
EP3140986A1 (en) 2017-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734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mode of device
TWI559776B (zh) 視訊會議中的互動式變焦技術
JP6096998B2 (ja) インスタントメッセージング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6359764B2 (ja) 対話型ビデオ会議
US977510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10491861B2 (en) Interactive video conferencing
CN110417753A (zh) 多媒体电话服务接收器和发送器的装置
US20130219288A1 (en) Transferring of Communication Event
KR20160057873A (ko) 통신 방법,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KR20110048457A (ko) Av 시스템에서 사용자 입력 백 채널을 제공하는 방법 및 기기
US11991233B2 (en) QoE metrics reporting for RTP-based 360-degree video delivery
US11593350B2 (en) Temporary shared storage
US10212568B2 (en) Selective user interaction in a dynamic, proxmity-based group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JP2016538673A (ja) メッセージ伝送方法、メッセージ伝送装置、電子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1055470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ement of communication conferencing
KR102267186B1 (ko) 디바이스 모드를 변경하는 장치 및 방법
US20140214940A1 (en) Networked devices matching capabilities with tasks
EP331002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oice call
KR20130065855A (ko) 인스턴트 메신저 장치 및 그 장치에서의 동일 서비스 이용을 위한 방법
CN112449409A (zh) 移动终端的功率控制方法和移动终端的功率控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